KR102399812B1 - 변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변기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99812B1 KR102399812B1 KR1020210111986A KR20210111986A KR102399812B1 KR 102399812 B1 KR102399812 B1 KR 102399812B1 KR 1020210111986 A KR1020210111986 A KR 1020210111986A KR 20210111986 A KR20210111986 A KR 20210111986A KR 102399812 B1 KR102399812 B1 KR 1023998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duit
- toilet
- filth
- air
- tubular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08B9/0328—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by purging the pipe with a gas or a mixture of gas and liquid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변기 시스템은,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한 변기; 상기 변기의 오물이 수집되는 오물탱크; 상기 변기와 상기 오물탱크를 연결하는 도관; 상기 변기와 상기 도관의 경로를 개폐하는 제1밸브부; 및 상기 도관의 일정 영역에 체결되는 유체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관은, 제1방향 도관; 및 상기 제1방향 도관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2방향 도관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공급부는, 제1관형 몸체부; 상기 제1관형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에어분사체; 및 상기 제1관형 몸체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에어분사체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변기 시스템은, 상기 제1밸브부가 ON 상태로 되어, 상기 변기와 상기 도관의 경로가 오픈되어, 상기 변기의 오물이 상기 제1방향 도관으로 유입되면, 상기 제1방향 도관으로 유입된 오물이 상기 제2방향 도관을 거쳐 상기 오물탱크로 유입되며, 상기 제1밸브부가 ON 상태로 변환된 시점으로부터 2 내지 4초 후에, 상기 에어공급노즐이 ON 상태로 변환되어, 상기 에어분사체를 통해 에어가 분사됨으로써, 상기 제2방향 도관으로 유입된 오물을 상기 오물탱크 측으로 밀어내고, 상기 에어공급노즐이 ON 상태로 변환된 시점으로부터 2 내지 4초 후에, 상기 제1밸브부가 OFF 상태로 변환되고, 상기 제1밸브부가 OFF 상태로 변환된 시점으로부터 2 내지 4초 후에, 상기 에어공급노즐이 OFF 상태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열차의 객차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변기의 도관에 오물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변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변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차의 객차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변기의 도관에 오물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변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중교통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열차는 대량의 인력을 수용하면서도 그 수송시간이 일반 자가 차량에 비해 짧아 이용하는 사람들이 널리 선호하는 대중교통수단 중 하나이다. 열차는 내연기관을 통해 동력을 생성하는 기관차와 상기 기관차와 결합되어 이용객이 탑승하는 객차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객차는 승객이 탑승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승객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시설이 구비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열차 화장실은 장시간 운행을 하는 열차의 특성상 필수적인 구성요소 중 하나이다.
종래의 열차에 구비되는 열차 화장실은 협소한 공간에 간단히 세면을 할 수 있는 세면대와, 사용자가 앉아 용변을 볼 수 있는 변기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변기의 하부에는 오물과 세척수가 통과하는 도관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도관의 종단에는 오물탱크가 위치하여 오물을 저장하는 형태를 적용하고 있다.
한편, 복수개의 객차에 구비되는 변기의 위치는 설계 구조상 변경되지 않고 객차마다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객차 하부에 배치되는 오물탱크는 차량에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윤측 장치와 충격을 방지하는 현가 장치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므로 그 위치가 일정하지 않다.
이로 인하여 오물탱크와 변기를 연결하는 도관의 길이나 경사각도의 변동폭이 커져 오물이 변기에서 자체 중력에 의해 낙하되는 도관에 축적되는 현상을 야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물탱크가 화장실과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면, 상호간을 연결해주는 도관의 길이도 감소하여, 오물이 자연스럽게 낙차하는 각도가 형성되어 도관에 오물이 축적되지 않는다.
반면, 오물탱크가 화장실과 먼 위치에 배치되면, 상호간을 연결해주는 도관의 길이는 증가하며, 오물이 도관에 유입시 낙차각이 줄어들어 오물의 일부가 도관에 축적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관에 축적된 오물은 그 양이 점차 증가하여 도관을 막아 사용자가 화장실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축적된 오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가 도관을 타고 화장실로 유입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변기의 도관에 오물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변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관의 길이 및 위치에 무관하게, 상기 오물탱크에 축적된 오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가 도관을 타고 화장실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변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한 변기; 상기 변기의 오물이 수집되는 오물탱크; 상기 변기와 상기 오물탱크를 연결하는 도관; 상기 변기와 상기 도관의 경로를 개폐하는 제1밸브부; 및 상기 도관의 일정 영역에 체결되는 유체공급부를 포함하는 변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관은, 제1방향 도관; 및 상기 제1방향 도관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2방향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방향 도관은 수평 도관 또는 경사 도관이며, 상기 도관은, 상기 제2방향 도관으로 부터 분지되는 분지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분지 도관에 상기 유체공급부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체공급부는, 제1관형 몸체부; 상기 제1관형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에어분사체; 및 상기 제1관형 몸체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에어분사체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노즐을 포함하는 변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관은, 제1방향 도관; 및 상기 제1방향 도관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2방향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방향 도관은 수평 도관 또는 경사 도관이며, 상기 도관은, 상기 제2방향 도관으로부터 분지되는 분지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공급부는, 일측은 상기 제1관형 몸체부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에어분사체를 고정하고, 타측은 상기 분지 도관에 체결되는 관형상의 체결고정체를 더 포함하는 변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어분사체는, 제1직경의 관형 본체부; 상기 관형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2직경의 관형 제1플랜지부; 및 상기 관형 본체부의 타측에 위치하고, 제3직경의 관형 제2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형 본체부는, 상기 관형 제1플랜지부 및 상기 관형 제2플랜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형 제1플랜지부는, 상기 관형 제1플랜지부의 폭방향으로 관통되며, 상기 공간부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에어분사홀을 포함하는 변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체공급부는, 상기 제1관형 몸체부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2관형 몸체부; 및 상기 제1관형 몸체부 내부와 상기 제2관형 몸체부의 내부를 관통하는 제1경로를 포함하는 변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어분사체는, 제1직경의 관형 본체부; 상기 관형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2직경의 관형 제1플랜지부; 상기 관형 본체부의 타측에 위치하고, 제3직경의 관형 제2플랜지부; 및 상기 관형 제1플랜지부의 내부, 상기 관형 본체부의 내부 및 상기 관형 제2플랜지부의 내부를 관통하는 제2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관형 몸체부의 타측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되며, 상기 제2관형 몸체부의 타측을 통해 유입된 세척수는, 상기 제1경로 및 상기 제2경로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도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체공급부는 상기 제2관형 몸체부의 타측을 폐쇄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변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변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변기 시스템은,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한 변기; 상기 변기의 오물이 수집되는 오물탱크; 상기 변기와 상기 오물탱크를 연결하는 도관; 상기 변기와 상기 도관의 경로를 개폐하는 제1밸브부; 및 상기 도관의 일정 영역에 체결되는 유체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관은, 제1방향 도관; 및 상기 제1방향 도관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2방향 도관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공급부는, 제1관형 몸체부; 상기 제1관형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에어분사체; 및 상기 제1관형 몸체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에어분사체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변기 시스템은, 상기 제1밸브부가 ON 상태로 되어, 상기 변기와 상기 도관의 경로가 오픈되어, 상기 변기의 오물이 상기 제1방향 도관으로 유입되면, 상기 제1방향 도관으로 유입된 오물이 상기 제2방향 도관을 거쳐 상기 오물탱크로 유입되며, 상기 제1밸브부가 ON 상태로 변환된 시점으로부터 2 내지 4초 후에, 상기 에어공급노즐이 ON 상태로 변환되어, 상기 에어분사체를 통해 에어가 분사됨으로써, 상기 제2방향 도관으로 유입된 오물을 상기 오물탱크 측으로 밀어내고, 상기 에어공급노즐이 ON 상태로 변환된 시점으로부터 2 내지 4초 후에, 상기 제1밸브부가 OFF 상태로 변환되고, 상기 제1밸브부가 OFF 상태로 변환된 시점으로부터 2 내지 4초 후에, 상기 에어공급노즐이 OFF 상태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에어분사체를 통해 분사된 에어가, 예를 들면, 수평 도관 또는 경사 도관의 내부로 분사되기 때문에, 변기의 도관에 오물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변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관형 몸체부의 타측을 통해, 별도의 고압 세척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도관을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도관의 내부에 오물이 쌓인다 하더라도, 상기 도관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밸브부와 상기 제2밸브부가 모두 ON된 상태에서만 오물탱크로부터 악취가 변기로 유입되므로,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밸브부와 상기 제2밸브부가 동시에 ON 되어 있는 시점을 제어함으로써, 유입되는 악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구조의 열차의 변기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분리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결합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공급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분사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분사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분사체를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시스템의 제1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시스템의 제2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에서의 제2밸브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분리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결합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공급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분사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분사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분사체를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시스템의 제1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시스템의 제2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에서의 제2밸브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구조의 열차의 변기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구조의 열차의 변기 시스템(10)은,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한 변기(20); 상기 변기(20)의 오물이 수집되는 오물탱크(30); 및 상기 변기(20)와 상기 오물탱크(30)를 연결하는 도관(4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도관(40)은 상기 변기(20)의 오물이 상기 오물탱크(30)로 이동하기 위하여,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의 관형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타원의 관형체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관의 형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반적인 구조의 열차의 변기 시스템(10)은, 사용자가 상기 변기에 용변을 본 후, 상기 변기에 위치하는 오물을 상기 오물탱크(30)로 전달하기 위한 변기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하며, 즉, 사용자는 상기 변기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상기 변기에 위치하는 오물이 상기 오물탱크(30)로 전달되어, 상기 오물이 상기 오물탱크(30)에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기 스위치(미도시)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변기(20)에 위치하는 오물이 상기 오물탱크(30)로 전달되기 위하여, 상기 변기(20)와 상기 도관(40)의 사이에는 제1밸브부(50)를 포함하며, 즉, 상기 제1밸브부(50)의 개폐에 따라, 상기 변기(20)에 위치하는 오물이 상기 오물탱크(30)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변기에 용변을 보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1밸브부(50)가 OFF 상태로 되어 있어, 오물은 상기 변기(20)에 수집이 되게 되고, 이후, 사용자가 상기 변기에 용변을 본 후, 사용자가 상기 변기 스위치(미도시)를 ON 시키게 되면, 상기 제1밸브부(50)가 ON 상태로 되어, 상기 변기(20)와 상기 도관(40)의 경로가 오픈됨으로써, 상기 변기(20)의 오물이 상기 제1밸브부(50)를 통해 상기 도관(40)으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도관(40)에 유입된 오물은 상기 도관(4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도관(40)을 따라 이동한 오물은 최종적으로 상기 오물탱크(30)에 수집되게 된다.
이후, 상기 변기(20)의 오물이 상기 제1밸브부(50)를 통해 상기 도관(40)으로 모두 유입되면, 상기 제1밸브부(50)는 OFF 상태로 되어, 상기 변기(20)와 상기 도관(40)의 경로가 클로즈됨으로써, 상기 변기(20)의 오물이 상기 제1밸브부(50)를 통해 상기 도관(40)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구조의 열차의 변기 시스템은, 오물탱크와 변기를 연결하는 도관의 길이나 경사각도의 변동폭이 커져 오물이 변기에서 자체 중력에 의해 낙하되는 도관에 축적되는 현상을 야기시킬 수 있다.
즉, 오물탱크가 화장실과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면, 상호간을 연결해주는 도관의 길이도 감소하여, 오물이 자연스럽게 낙차하는 각도가 형성되어 도관에 오물이 축적되지 않으나, 반면, 오물탱크가 화장실과 먼 위치에 배치되면, 상호간을 연결해주는 도관의 길이는 증가하며, 오물이 도관에 유입시 낙차각이 줄어들어 오물의 일부가 도관에 축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변기의 도관에 오물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변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일반적인 구조의 열차의 변기 시스템은, 상기 제1밸브부(50)가 ON 상태로 되어, 상기 변기(20)와 상기 도관(40)의 경로가 오픈됨으로써, 상기 변기(20)의 오물이 상기 제1밸브부(50)를 통해 상기 도관(40)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오물탱크(30)의 악취가 상기 도관(40)을 따라 상기 변기(20)로 유입되게 된다.
즉, 통상적인 상황인, 상기 제1밸브부(50)가 OFF 상태로 되어, 상기 변기(20)와 상기 도관(40)의 경로가 클로즈된 상태에서는, 상기 오물탱크(30)의 악취가 상기 도관(40)을 따라 상기 변기(20)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으나, 상기 제1밸브부(50)가 ON 상태로 되어, 상기 변기(20)와 상기 도관(40)의 경로가 오픈됨으로써, 상기 변기(20)의 오물이 상기 제1밸브부(50)를 통해 상기 도관(40)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오물탱크(30)의 악취가 상기 도관(40)을 따라 상기 변기(20)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도관의 길이가 충분히 긴 경우에는, 상기 오물탱크에 축적된 오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가 도관을 타고 변기를 통해 화장실로 유입하는 정도가 심하지 않을 것이나, 상기 도관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상기 오물탱크에 축적된 오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가 도관을 타고 변기를 통해 화장실로 유입하는 정도가 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관의 길이 및 위치에 무관하게, 상기 오물탱크에 축적된 오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가 도관을 타고 변기를 통해 화장실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변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분리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결합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한 변기(120); 상기 변기(120)의 오물이 수집되는 오물탱크(130); 상기 변기(120)와 상기 오물탱크(130)를 연결하는 도관(140); 및 상기 변기(120)와 상기 도관(140)의 경로를 개폐하는 제1밸브부(15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도관(140)은 상기 변기(120)의 오물이 상기 오물탱크(130)로 이동하기 위하여,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의 관형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타원의 관형체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관의 형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반적인 구조의 열차의 변기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상기 변기에 용변을 본 후, 상기 변기에 위치하는 오물을 상기 오물탱크(130)로 전달하기 위한 변기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하며, 즉, 사용자는 상기 변기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상기 변기에 위치하는 오물이 상기 오물탱크(130)로 전달되어, 상기 오물이 상기 오물탱크(130)에 수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변기 스위치(미도시)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변기(120)와 상기 도관(14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밸브부(150)의 개폐에 따라, 상기 변기(120)에 위치하는 오물이 상기 오물탱크(130)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변기에 용변을 보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1밸브부(150)가 OFF 상태로 되어 있어, 오물은 상기 변기(120)에 수집이 되게 되고, 이후, 사용자가 상기 변기에 용변을 본 후, 사용자가 상기 변기 스위치(미도시)를 ON 시키게 되면, 상기 제1밸브부(150)가 ON 상태로 되어, 상기 변기(120)와 상기 도관(140)의 경로가 오픈됨으로써, 상기 변기(120)의 오물이 상기 제1밸브부(150)를 통해 상기 도관(140)으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도관(140)에 유입된 오물은 상기 도관(14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도관(140)을 따라 이동한 오물은 최종적으로 상기 오물탱크(130)에 수집되게 된다.
이후, 상기 변기(120)의 오물이 상기 제1밸브부(150)를 통해 상기 도관(140)으로 모두 유입되면, 상기 제1밸브부(150)는 OFF 상태로 되어, 상기 변기(120)와 상기 도관(140)의 경로가 클로즈됨으로써, 상기 변기(120)의 오물이 상기 제1밸브부(150)를 통해 상기 도관(140)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오물탱크와 변기를 연결하는 도관의 길이나 경사각도의 변동폭에 의하여, 오물이 변기에서 자체 중력에 의해 낙하되는 도관에 축적되는 현상을 야기시킬 수 있다.
즉, 오물탱크가 화장실과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면, 상호간을 연결해주는 도관의 길이도 감소하여, 오물이 자연스럽게 낙차하는 각도가 형성되어 도관에 오물이 축적되지 않으나, 반면, 오물탱크가 화장실과 먼 위치에 배치되면, 상호간을 연결해주는 도관의 길이는 증가하며, 오물이 도관에 유입시 낙차각이 줄어들어 오물의 일부가 도관에 축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관(140)의 일정 영역에 체결되는 유체공급부(3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관(140)은, 제1방향 도관(140a) 및 상기 제1방향 도관(140a)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2방향 도관(140b)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제1방향 도관(140a)는 수직 도관으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제2방향 도관은 수평 도관 또는 경사 도관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공급부(300)가 상기 도관(140)의 일정 영역에 체결됨에 있어서, 상기 일정 영역은 상기 제2방향 도관(140b), 즉, 수평 도관 또는 경사 도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방향 도관, 즉, 수직 도관의 경우, 오물이 변기에서 자체 중력에 의해 낙하되기 때문에, 상기 제1방향 도관에 오물이 축적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하지만, 상기 제2방향 도관, 즉, 수평 도관 또는 경사 도관의 경우, 오물이 변기에서 자체 중력에 의해 낙하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여, 상기 제2방향 도관에 오물이 축적이 되게 되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체공급부(300)가 상기 도관(140)의 일정 영역에 체결됨에 있어서, 상기 일정 영역은 상기 제2방향 도관(140b), 즉, 수평 도관 또는 경사 도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유체공급부가 체결되는 상기 도관의 일정 영역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에서 상기 유체공급부는 상술한 수평 도관 또는 경사 도관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유체공급부가 체결되는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도관 또는 상기 경사도관의 길이방향으로 체결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도관(140)은, 상기 제2방향 도관(140b)으로 부터 분지되는 분지 도관(1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분지 도관(110)의 단부에는 공지된 나사 등의 제1-1체결부(110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분지 도관(110)에 상기 유체공급부(300)가 체결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분지 도관(110)의 제1-1체결부(110a)에 상기 유체공급부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체공급부가 체결되는 방향은, 상기 수평 도관 또는 상기 경사도관의 길이방향으로 체결되는 것이 효과적이며, 따라서, 상기 분지 도관(110)은, 상기 제2방향 도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공급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공급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때,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의 체결고정체를 제외하고 도시하였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체공급부(300)는, 제1관형 몸체부(310); 및 상기 제1관형 몸체부(3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에어분사체(400); 및 상기 제1관형 몸체부(310)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에어분사체(400)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노즐(340)을 포함한다.
즉, 상기 에어공급노즐(340)로부터 공급된 에어는, 상기 제1관형 몸체부(3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1관형 몸체부(310)의 내부로 유입된 에어는 상기 에어분사체(400)를 통해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에어분사체(400)의 형상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공급부(300)는, 일측은 상기 제1관형 몸체부(310)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에어분사체(400)를 고정하고, 타측은 상기 분지 도관(110)에 체결되는 관형상의 체결고정체(350)를 더 포함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관형 몸체부(310)의 내부에 상기 에어분사체(400)가 위치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고정체(350)의 일측이, 상기 제1관형 몸체부(310)의 일측 단부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에어분사체(400)가 상기 제1관형 몸체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관형 몸체부(310)의 일측 단부의 내부에는 공지된 나사산과 같은 제2-1체결부(도면부호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고정체(350)의 타측 외부에는 공지된 나사산과 같은 제2-2체결부(도면부호 미도시)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2-1체결부(도면부호 미도시)와 상기 제2-2체결부(도면부호 미도시)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고정체(350)의 일측 내부에는 공지된 나사산과 같은 제1-2체결부(도면부호 미도시)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분지 도관(110)의 제1-1체결부(110a)에 상기 제1-2체결부(도면부호 미도시)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분지 도관(110)에 상기 유체공급부(300)가 체결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체공급부(300)는, 상기 제1관형 몸체부(310)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2관형 몸체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관형 몸체부(310) 내부와 상기 제2관형 몸체부(320)의 내부를 관통하는 제1경로(330)를 포함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공급부(300)는, 관형상의 체결고정체(3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경로(330)는, 상기 체결고정체(350)의 내부, 상기 제1관형 몸체부(310) 내부 및 상기 제2관형 몸체부(320)의 내부를 관통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체공급부(300)는 상기 제2관형 몸체부(320)의 타측을 폐쇄하는 마개(5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즉, 상기 마개(500)를 상기 제2관형 몸체부(320)의 타측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2관형 몸체부(320)의 타측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마개의 사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상기 분지 도관(110)의 제1-1체결부(110a)에 상기 제1-2체결부(도면부호 미도시)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분지 도관(110)에 상기 유체공급부(300)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또한, 도 3은, 상기 마개(500)를 상기 제2관형 몸체부(320)의 타측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2관형 몸체부(320)의 타측을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에어공급노즐에 에어를 공급하는 것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열차의 객차에 해당하는 부분은 이동하는 객차를 정지시키기 위한 제동 장치(미도시), 바퀴에 걸리는 부하와 충격을 분산시켜주는 현가 장치(미도시)를 비롯한 다수의 구성요소의 상호 작용으로 동작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필수 구성요소라 할 수 있는 제동 장치(미도시)의 경우 열차의 기관차가 정지동작을 수행하게 되어 일반적인 정차나 긴급 정차시 기관차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압축 공기를 통해 브레이크를 동작시켜 정지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동 장치(미도시)를 동작하기 위한 압축 공기는 유사시에 정차를 위하여, 제동 장치(미도시)에 상시 공급을 원칙으로 하여 동작을 위한 최소 압력을 항상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동 장치(미도시)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는 기준 압력 보다 더 큰 압력으로 공급될 수 있는데, 이는 제동장치(미도시)를 원활하게 동작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제동 장치(미도시)의 동작을 위한 가용 압축 공기를 제외한 나머지 압축 공기를 에어공급공급을 통해 상기 유체공급부로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분사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분사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분사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분사체를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분사체(400)는, 제1직경의 관형 본체부(410); 상기 관형 본체부(410)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2직경의 관형 제1플랜지부(420); 및 상기 관형 본체부(410)의 타측에 위치하고, 제3직경의 관형 제2플랜지부(4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직경 및 상기 제3직경은 상기 제1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따라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형 본체부(410)는, 상기 관형 제1플랜지부(420) 및 상기 관형 제2플랜지부(430)의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부(411)를 포함한다.
즉, 상기 공간부(411)는, 상기 관형 본체부(410)의 외측에 위치하되, 상기 관형 본체부(410)의 외형을 따라 원형으로 위치된다.
또한, 상기 공간부의 폭은, 상기 관형 제1플랜지부(420) 및 상기 관형 제2플랜지부(430)의 이격 거리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공간부의 깊이는, 상기 제1직경과 상기 제2직경의 단차, 및 상기 제1직경과 상기 제3직경의 단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공간부의 폭 및 깊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관형 제1플랜지부(420)는 일정 폭(도 8의 가로방향)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 상기 일정 폭의 크기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관형 제1플랜지부(420)는, 상기 관형 제1플랜지부(420)의 폭방향으로 관통되며, 상기 공간부(411)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에어분사홀(421)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에어분사홀(421)은, 제1에어분사홀(421a) 및 상기 제1에어분사홀(421a)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에어분사홀(421b)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에어분사홀(421)은, 상기 원형의 공간부의 형상을 따라,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에어분사홀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공급노즐(340)로부터 공급된 에어는, 상기 제1관형 몸체부(3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1관형 몸체부(310)의 내부로 유입된 에어는 상기 에어분사체(400)를 통해 분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공급노즐(340)의 일측에 위치하는 에어주입홀 및 타측에 위치하는 에어배출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에어배출홀은 상기 공간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주입홀로 공급된 에어는 상기 에어배출홀을 통해 배출되고, 배출된 에어는 상기 공간부로 전달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간부로 전달된 에어는 상기 공간부를 따라 순환하면서, 상기 관형 제1플랜지부(420)의 상기 복수개의 에어분사홀(421)을 통해 분사되게 된다.
이때, 상기 관형 제2플랜지부(430)에는 별도의 에어분사홀이 배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관형 제2플랜지부 측으로는 에어가 분사되지 않으며, 복수개의 에어분사홀을 포함하는 상기 관형 제1플랜지부 측으로만 에어가 분사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분사체(400)가 상기 제1관형 몸체부(310)의 내부에 위치함에 있어서, 상기 관형 제1플랜지부가 상기 제1관형 몸체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관형 제2플랜지부가 상기 제2관형 몸체부 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에어분사체(400)를 상기 제1관형 몸체부(310)의 내부에 위치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에어공급노즐(340)로부터 공급된 에어는, 상기 제1관형 몸체부(3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1관형 몸체부(310)의 내부로 유입된 에어는 상기 에어분사체(400)를 통해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분사체(400)를 통해 분사된 에어는, 상기 도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방향 도관, 즉, 수평 도관 또는 경사 도관의 내부로 분사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물탱크가 화장실과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면, 상호간을 연결해주는 도관의 길이도 감소하여, 오물이 자연스럽게 낙차하는 각도가 형성되어 도관에 오물이 축적되지 않으나, 반면, 오물탱크가 화장실과 먼 위치에 배치되면, 상호간을 연결해주는 도관의 길이는 증가하며, 오물이 도관에 유입시 낙차각이 줄어들어 오물의 일부가 도관에 축적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에어분사체(400)를 통해 분사된 에어가, 예를 들면, 수평 도관 또는 경사 도관의 내부로 분사되기 때문에, 변기의 도관에 오물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변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분사체(400)는, 상기 관형 제1플랜지부(420)의 내부, 상기 관형 본체부(410)의 내부 및 상기 관형 제2플랜지부(430)의 내부를 관통하는 제2경로(440)를 포함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공급부(300)는, 상기 체결고정체(350)의 내부, 상기 제1관형 몸체부(310) 내부 및 상기 제2관형 몸체부(320)의 내부를 관통하는 제1경로(3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경로는 상기 제2경로와 연통되어 있다. 이러한 제1경로와 제2경로의 역할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시스템의 제1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지 도관(110)의 제1-1체결부(110a)에 상기 제1-2체결부(도면부호 미도시)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분지 도관(110)에 상기 유체공급부(30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마개(500)를 상기 제2관형 몸체부(320)의 타측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2관형 몸체부(320)의 타측을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 제2관형 몸체부의 타측을 폐쇄시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1경로 및 제2경로를 통해, 상기 제2관형 몸체부의 타측으로 오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에어부입홀로 공급된 에어는 상기 에어배출홀을 통해 배출되고, 배출된 에어는 상기 공간부로 전달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간부로 전달된 에어는 상기 공간부를 따라 순환하면서, 상기 관형 제1플랜지부(420)의 상기 복수개의 에어분사홀(421)을 통해 분사되게 된다.
또한, 상기 에어분사홀(421)를 통해 분사된 에어는, 상기 도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방향 도관, 즉, 수평 도관 또는 경사 도관의 내부로 분사되게 되고, 수평 도관 또는 경사 도관의 내부로 분사된 에어는, 오물을 오물탱크(130)까지 밀어낼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변기의 도관에 오물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변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시스템의 제2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지 도관(110)의 제1-1체결부(110a)에 상기 제1-2체결부(도면부호 미도시)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분지 도관(110)에 상기 유체공급부(30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관형 몸체부(320)의 타측에 체결된 상기 마개(500)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2관형 몸체부(320)의 타측이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관형 몸체부(320)의 타측을 통해, 별도의 세척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도관을 세척할 수 있다.
상술한 도 9에서와 같이, 수평 도관 또는 경사 도관의 내부로 분사된 에어는, 오물을 오물탱크(130)까지 밀어낼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변기의 도관에 오물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변기의 장기간의 사용에 따라, 상기 도관의 내부는 오물이 점차적으로 쌓일 수 있으며, 이러한 변기의 장기간의 사용에 따라 쌓인 오물의 경우, 상기 에어만으로는 세척하는 것이 어렵다.
종래의 경우, 이러한 도관을 세척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도관 자체를 교체하여야 한다.
하지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관형 몸체부(320)의 타측을 통해, 별도의 고압 세척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도관을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도관의 내부에 오물이 쌓인다 하더라도, 상기 도관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분사체(400)는, 상기 관형 제1플랜지부(420)의 내부, 상기 관형 본체부(410)의 내부 및 상기 관형 제2플랜지부(430)의 내부를 관통하는 제2경로(440)를 포함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공급부(300)는, 상기 체결고정체(350)의 내부, 상기 제1관형 몸체부(310) 내부 및 상기 제2관형 몸체부(320)의 내부를 관통하는 제1경로(3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관형 몸체부(320)의 타측을 통해, 별도의 세척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도관을 세척함에 있어서, 상기 제2관형 몸체부의 타측을 통해 유입된 세척수는, 상기 제1경로 및 상기 제2경로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예를 들면, 수평 도관 또는 경사 도관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은, 상기 도관(140)의 일정 경로에 위치하는 제2밸브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밸브부(150)가 ON 상태로 되어, 상기 변기(120)와 상기 도관(140)의 경로가 오픈됨으로써, 상기 변기(120)의 오물이 상기 제1밸브부(150)를 통해 상기 도관(140)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오물탱크(130)의 악취가 상기 도관(140)을 따라 상기 변기(120)로 유입될 수 있다.
즉, 통상적인 상황인, 상기 제1밸브부(150)가 OFF 상태로 되어, 상기 변기(120)와 상기 도관(140)의 경로가 클로즈된 상태에서는, 상기 오물탱크(130)의 악취가 상기 도관(140)을 따라 상기 변기(120)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으나, 상기 제1밸브부(150)가 ON 상태로 되어, 상기 변기(120)와 상기 도관(140)의 경로가 오픈됨으로써, 상기 변기(120)의 오물이 상기 제1밸브부(150)를 통해 상기 도관(140)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오물탱크(130)의 악취가 상기 도관(140)을 따라 상기 변기(120)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오물탱크에 축적된 오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가 도관을 타고 변기를 통해 화장실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관(140)의 일정 경로에 위치하는 제2밸브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변기 시스템에서의 제2밸브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밸브부(200)는 밸브바디(210); 상기 밸브바디(210)의 일측에 위치하여 제1관로를 형성하는 제1관체(220); 상기 밸브바디(210)의 타측에 위치하여 제2관로를 형성하는 제2관체(230); 및 상기 밸브바디(2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유체가 이송되는 관통공(241)을 포함하는 개폐볼(240)을 포함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2밸브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도관(140)은 제3방향 도관(141)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3방향 도관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도관일 수 있으며, 다만, 도면에서는 상기 제2밸브부가 상기 제3방향 도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2밸브부는 상기 제2방향 도관에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밸브부의 위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제3방향 도관(141)은, 상기 제2방향 도관(140b)와 연결되는 제3방향 제1도관(141a) 및 상기 오물탱크(130)와 연결되는 제3방향 제2도관(141b)을 포함하고, 상기 제1관체(220)의 단부 일정 영역은 상기 제3방향 제1도관(141a)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관체(230)의 단부 일정 영역은 상기 제3방향 제2도관(141b)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도관(140)의 일정 경로에 상기 제2밸브부(200)가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1관체(220)의 단부 일정 영역이 상기 제3방향 제1도관(141a)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관체(220)의 단부 일정 영역이 상기 제3방향 제1도관(141a)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1고정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관체(230)의 단부 일정 영역이 상기 제3방향 제2도관(141b)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관체(230)의 단부 일정 영역이 상기 제3방향 제2도관(141b)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2고정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고정수단 및 상기 제2고정수단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관체(220)의 단부 일정 영역에는 제1나사산(221)을 포함하고, 상기 제2관체(230)의 단부 일정 영역에는 제2나사산(231)을 포함함으로써, 관체와 도관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은 변기 스위치(미도시)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변기(120)와 상기 도관(14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밸브부(150)의 개폐에 따라, 상기 변기(120)에 위치하는 오물이 상기 오물탱크(130)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변기에 용변을 보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1밸브부(150)가 OFF 상태로 되어 있어, 오물은 상기 변기(120)에 수집이 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밸브부(200)도 OFF 상태에 해당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변기에 용변을 본 후, 사용자가 상기 변기 스위치(미도시)를 ON 시키게 되면, 상기 제1밸브부(150)가 ON 상태로 되어, 상기 변기(120)와 상기 도관(140)의 경로가 오픈됨으로써, 상기 변기(120)의 오물이 상기 제1밸브부(150)를 통해 상기 제3방향 제1도관(141a)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2밸브부(200)는 OFF 상태에 해당한다.
즉, 상기 제2밸브부(200)가 OFF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오물탱크로부터의 악취가 제3방향 제1도관(141a)에는 유입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밸브부(150)가 ON 상태로 변환된 시점으로부터 약 2 내지 4초 후에, 상기 제2밸브부(200)가 ON 상태로 변환된다.
즉, 상기 제2밸브부(200)가 ON 상태로 변환되면서, 상기 제3방향 제1도관(141a)으로 유입된 오물이 상기 제3방향 제2도관(141b)을 거쳐 상기 오물탱크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시점, 즉, 상기 제1밸브부(150)가 ON 상태로 변환된 시점으로부터 약 2 내지 4초 후에, 상기 제2밸브부(200)가 ON 상태로 변환되면서, 상기 제3방향 제1도관(141a)으로 유입된 오물이 상기 제3방향 제2도관(141b)을 거쳐 상기 오물탱크로 유입되는 이 시점이, 오물탱크로부터의 악취가 변기(120)로 유입되는 유일한 시점에 해당한다.
즉, 종래의 경우, 상술한 제1밸브부(150)의 개폐여부에 의해서만 오물탱크로부터의 악취 유입여부가 결정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밸브부(150)와 상기 제2밸브부(200)가 모두 ON된 상태에서만 오물탱크로부터 악취가 변기로 유입되므로,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밸브부(150)와 상기 제2밸브부(200)의 개폐여부에 의해서 오물탱크로부터의 악취 유입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며, 결국, 상기 제1밸브부(150)와 상기 제2밸브부(200)가 동시에 ON 되어 있는 시점을 제어함으로써, 유입되는 악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2밸브부(200)가 ON 상태로 변환된 시점으로부터 약 2 내지 4초 후에, 상기 제1밸브부(150)가 OFF 상태로 변환되며, 이 경우, 상기 제1밸브부(150)가 OFF 상태이므로, 상기 제3방향 제1도관(141a)으로부터 상기 변기(120)에 더이상의 악취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밸브부(150)가 OFF 상태로 변환된 시점으로부터 약 2 내지 4초 후에, 상기 제2밸브부(200)가 OFF 상태로 변환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시스템은 작동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에어공급노즐(340)의 상기 에어유입홀로 공급된 에어는 상기 에어배출홀을 통해 배출되고, 배출된 에어는 상기 공간부로 전달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간부로 전달된 에어는 상기 공간부를 따라 순환하면서, 상기 관형 제1플랜지부(420)의 상기 복수개의 에어분사홀(421)을 통해 분사되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공급노즐(340)에 에어를 공급하는 것은, 상술한 제2밸브부의 작동과 동일한 시퀀스로 작동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은 변기 스위치(미도시)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변기(120)와 상기 도관(14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밸브부(150)의 개폐에 따라, 상기 변기(120)에 위치하는 오물이 상기 오물탱크(130)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변기에 용변을 보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1밸브부(150)가 OFF 상태로 되어 있어, 오물은 상기 변기(120)에 수집이 되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공급노즐(340)도 OFF 상태에 해당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변기에 용변을 본 후, 사용자가 상기 변기 스위치(미도시)를 ON 시키게 되면, 상기 제1밸브부(150)가 ON 상태로 되어, 상기 변기(120)와 상기 도관(140)의 경로가 오픈됨으로써, 상기 변기(120)의 오물이 상기 제1밸브부(150)를 통해 상기 제1방향 도관(140a) 및 상기 제2방향 도관(140b)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에어공급노즐(340)는 OFF 상태에 해당한다.
즉, 상기 에어공급노즐(340)이 OFF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에어공급노즐(340)에 에어를 공급하지 않게 된다.
이후, 상기 제1밸브부(150)가 ON 상태로 변환된 시점으로부터 약 2 내지 4초 후에, 상기 에어공급노즐(340)이 ON 상태로 변환된다.
즉, 상기 에어공급노즐(340)이 ON 상태로 변환되면서, 상기 복수개의 에어분사홀(421)을 통해 에어가 분사됨으로써, 상기 제2방향 도관(140b)으로 유입된 오물을 상기 제3방향 제1도관(141a) 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후, 상기 에어공급노즐(340)이 ON 상태로 변환된 시점으로부터 약 2 내지 4초 후에, 상기 제1밸브부(150)가 OFF 상태로 변환되며, 이 경우, 상기 제1밸브부(150)가 OFF 상태이므로, 상기 변기(120)의 오물이 상기 제1방향 도관(140a) 및 상기 제2방향 도관(140b)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후, 상기 제1밸브부(150)가 OFF 상태로 변환된 시점으로부터 약 2 내지 4초 후에, 상기 에어공급노즐(340)이 OFF 상태로 변환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시스템은 작동을 종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시스템에서는, 상기 제2밸브부를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부(200)가 ON 상태로 변환되면서, 상기 제3방향 제1도관(141a)으로 유입된 오물이 상기 제3방향 제2도관(141b)을 거쳐 상기 오물탱크로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이 시점, 즉, 상기 제1밸브부(150)가 ON 상태로 변환된 시점으로부터 약 2 내지 4초 후에, 상기 제2밸브부(200)가 ON 상태로 변환되면서, 상기 제3방향 제1도관(141a)으로 유입된 오물이 상기 제3방향 제2도관(141b)을 거쳐 상기 오물탱크로 유입되는 이 시점이, 오물탱크로부터의 악취가 변기(120)로 유입되는 유일한 시점에 해당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에어공급노즐(340)에 에어를 공급하는 것은, 상기 제2밸브부의 작동과 동일한 시퀀스로 작동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3방향 제1도관(141a)으로 유입된 오물이 상기 제3방향 제2도관(141b)을 거쳐 상기 오물탱크로 유입되는 시점에서, 상기 에어공급노즐이 ON 상태에 해당한다.
즉, 상기 에어공급노즐이 ON 상태에 해당하여, 상기 복수개의 에어분사홀(421)을 통해 에어가 분사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분사되는 에어는 에어커튼의 역할을 하여, 상기 제3방향 제1도관(141a)으로 유입된 오물이 상기 제3방향 제2도관(141b)을 거쳐 상기 오물탱크로 유입되는 시점에서도, 오물탱크로부터의 악취가 변기(1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에어분사체(400)를 통해 분사된 에어가, 예를 들면, 수평 도관 또는 경사 도관의 내부로 분사되기 때문에, 변기의 도관에 오물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변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관형 몸체부(320)의 타측을 통해, 별도의 고압 세척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도관을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도관의 내부에 오물이 쌓인다 하더라도, 상기 도관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밸브부(150)와 상기 제2밸브부(200)가 모두 ON된 상태에서만 오물탱크로부터 악취가 변기로 유입되므로,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밸브부(150)와 상기 제2밸브부(200)가 동시에 ON 되어 있는 시점을 제어함으로써, 유입되는 악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4)
- 변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변기 시스템은,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한 변기;
상기 변기의 오물이 수집되는 오물탱크;
상기 변기와 상기 오물탱크를 연결하는 도관;
상기 변기와 상기 도관의 경로를 개폐하는 제1밸브부; 및
상기 도관의 일정 영역에 체결되는 유체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관은, 제1방향 도관; 및 상기 제1방향 도관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2방향 도관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공급부는, 제1관형 몸체부; 상기 제1관형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에어분사체; 및 상기 제1관형 몸체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에어분사체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변기 시스템은,
상기 제1밸브부가 ON 상태로 되어, 상기 변기와 상기 도관의 경로가 오픈되어, 상기 변기의 오물이 상기 제1방향 도관으로 유입되면, 상기 제1방향 도관으로 유입된 오물이 상기 제2방향 도관을 거쳐 상기 오물탱크로 유입되며,
상기 제1밸브부가 ON 상태로 변환된 시점으로부터 2 내지 4초 후에, 상기 에어공급노즐이 ON 상태로 변환되어, 상기 에어분사체를 통해 에어가 분사됨으로써, 상기 제2방향 도관으로 유입된 오물을 상기 오물탱크 측으로 밀어내고,
상기 에어공급노즐이 ON 상태로 변환된 시점으로부터 2 내지 4초 후에, 상기 제1밸브부가 OFF 상태로 변환되고,
상기 제1밸브부가 OFF 상태로 변환된 시점으로부터 2 내지 4초 후에, 상기 에어공급노즐이 OFF 상태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변기 시스템은, 사용자가 상기 변기에 용변을 본 후, 상기 변기에 위치하는 오물을 상기 오물탱크로 전달하기 위한 변기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변기에 용변을 보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1밸브부가 OFF 상태로 되어 있어, 상기 오물은 상기 변기에 수집이 되게 되고, 이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변기 스위치를 ON 시키게 되면, 상기 제1밸브부가 ON 상태로 되어, 상기 변기의 오물이 상기 제1밸브부를 통해 상기 도관으로 유입되며,
상기 에어분사체를 통해 분사된 상기 에어는, 상기 제1밸브부가 ON 상태인 경우에서, 상기 오물탱크로부터의 악취가 상기 변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향 도관은 수평 도관 또는 경사 도관이며,
상기 도관은, 상기 제2방향 도관으로부터 분지되는 분지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분지 도관에 상기 유체공급부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부는, 일측은 상기 제1관형 몸체부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에어분사체를 고정하고, 타측은 상기 분지 도관에 체결되는 관형상의 체결고정체를 더 포함하는 변기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체는, 제1직경의 관형 본체부; 상기 관형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2직경의 관형 제1플랜지부; 및 상기 관형 본체부의 타측에 위치하고, 제3직경의 관형 제2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형 본체부는, 상기 관형 제1플랜지부 및 상기 관형 제2플랜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형 제1플랜지부는, 상기 관형 제1플랜지부의 폭방향으로 관통되며, 상기 공간부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에어분사홀을 포함하는 변기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1986A KR102399812B1 (ko) | 2021-02-16 | 2021-08-24 | 변기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0767A KR102318463B1 (ko) | 2021-02-16 | 2021-02-16 | 변기 시스템 |
KR1020210111986A KR102399812B1 (ko) | 2021-02-16 | 2021-08-24 | 변기 시스템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0767A Division KR102318463B1 (ko) | 2021-02-16 | 2021-02-16 | 변기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9196A KR20210139196A (ko) | 2021-11-22 |
KR102399812B1 true KR102399812B1 (ko) | 2022-05-18 |
Family
ID=782324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0767A KR102318463B1 (ko) | 2021-02-16 | 2021-02-16 | 변기 시스템 |
KR1020210111986A KR102399812B1 (ko) | 2021-02-16 | 2021-08-24 | 변기 시스템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0767A KR102318463B1 (ko) | 2021-02-16 | 2021-02-16 | 변기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31846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57943A (ja) * | 1998-11-26 | 2000-06-13 | Kawasaki Heavy Ind Ltd | トイレ配管のスケール付着防止方法及び装置 |
JP2008265356A (ja) * | 2007-04-16 | 2008-11-06 |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 汚物処理装置及び当該装置を備えた鉄道車両 |
KR100979550B1 (ko) * | 2009-04-07 | 2010-09-01 | 유기철 | 배관내 녹이나 스케일 이물질 제거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1970B1 (ko) * | 2019-06-27 | 2019-12-04 | 송영주 | 배관용 수압캡 |
-
2021
- 2021-02-16 KR KR1020210020767A patent/KR10231846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08-24 KR KR1020210111986A patent/KR10239981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57943A (ja) * | 1998-11-26 | 2000-06-13 | Kawasaki Heavy Ind Ltd | トイレ配管のスケール付着防止方法及び装置 |
JP2008265356A (ja) * | 2007-04-16 | 2008-11-06 |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 汚物処理装置及び当該装置を備えた鉄道車両 |
KR100979550B1 (ko) * | 2009-04-07 | 2010-09-01 | 유기철 | 배관내 녹이나 스케일 이물질 제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9196A (ko) | 2021-11-22 |
KR102318463B1 (ko) | 2021-10-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61153B2 (en) | Flush toilet | |
KR100490856B1 (ko) | 대변기 | |
JP5936169B2 (ja) | 水洗大便器 | |
US10597859B2 (en) | Dedicated siphon jet toilet and enhanced vacuum flush system for the same | |
KR102399812B1 (ko) | 변기 시스템 | |
CN107083796A (zh) | 一种3d超漩虹吸座便器 | |
KR102387040B1 (ko) | 변기 시스템 | |
JP6448985B2 (ja) | 水洗大便器 | |
KR20220130880A (ko) | 변기 시스템 | |
KR102215371B1 (ko) | 변기 시스템 | |
JP2002097704A (ja) | 水洗便器 | |
CN108560666B (zh) | 马桶 | |
JP2002061262A (ja) | 水洗便器の洗浄方法及び水洗便器 | |
JP2001279794A (ja) | 水洗便器および水洗便器の洗浄方法 | |
KR20170060800A (ko) | 자동 도관 세척 시스템 | |
CN112832344A (zh) | 一种马桶喷头及马桶 | |
JP3823963B2 (ja) | 水洗便器 | |
CN208167902U (zh) | 马桶 | |
JP2002106041A (ja) | 水洗便器 | |
JP2020026681A (ja) | 水洗大便器 | |
KR102635224B1 (ko) |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 | |
JPH07180202A (ja) | 水洗式大便器における給水構造 | |
JP2004084473A (ja) | 水洗便器 | |
JP2003129550A (ja) | 大便器 | |
CN114941361B (zh) | 一种直冲虹吸式排污结构及坐便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