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693B1 - 골프 퍼터용 경사값 측정부재 - Google Patents

골프 퍼터용 경사값 측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693B1
KR102399693B1 KR1020200087628A KR20200087628A KR102399693B1 KR 102399693 B1 KR102399693 B1 KR 102399693B1 KR 1020200087628 A KR1020200087628 A KR 1020200087628A KR 20200087628 A KR20200087628 A KR 20200087628A KR 102399693 B1 KR102399693 B1 KR 102399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inclination value
reference line
golfer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9208A (ko
Inventor
박영식
Original Assignee
박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식 filed Critical 박영식
Priority to KR1020200087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693B1/ko
Publication of KR20220009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5Putters or attachments on putter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8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 G01C9/24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in closed containers partially filled with liquid so as to leave a gas bub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8Inclination, slope or curv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퍼터용 경사값 측정부재에 관한 것으로, 헤드, 샤프트 및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골프 퍼터; 및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며, 홀컵과 골프공 사이의 X축 방향에 대한 지면의 경사값을 측정하는 경사값 측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경사값 측정부재는,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탈착부와 골퍼의 손가락이 파지되는 손가락홈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지면의 경사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경사값의 측정시 골퍼의 시점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수직 기준라인 및 상기 수직 기준라인의 중앙을 기준으로 직교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수평 기준라인으로 구성되는 기준라인과, 상기 수직 기준라인과 평행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수평 기준라인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되되, 동일한 간격을 이루도록 이격되게 구성되는 제1 및 제2간격라인으로 구성되는 측정부;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프 퍼터용 경사값 측정부재{Inclination measuring member for golf putter}
본 발명은 골프 퍼터용 경사값 측정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부의 상부에 구성되며, 경사값의 측정시 측정자의 시점과 일직선상에 배치시켜 홀컵의 중심부와 측정자의 시점 사이의 X축 방향에 대한 간격 정보를 제공하여 측정자(또는, 골프공)와 홀컵까지의 거리정보에 따라 홀컵과 골프공 사이의 지면에 대한 경사값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 퍼터용 경사값 측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 중 골프는 골퍼가 별도의 기구, 예로서 골프클럽이나 퍼터를 손에 들고 하는 운동이며, 골프에 있어서는 골퍼가 지면의 경사값 등에 적절히 대응하여 자세를 잡고 샷을 하여야만 원하는 거리와 방향으로 볼을 보낼 수 있는 것으로 골퍼가 경사값에 적절히 대응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그린 위에서 볼을 홀컵에 넣기 위하여는 퍼터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는 볼이 그린 위를 굴러 홀컵에 보내지게 되므로 그린의 경사각을 어떻게 읽고 볼을 어떤 방향으로 그리고 어느 정도의 힘으로 가격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그린의 경사각을 골퍼 스스로가 판별하는 것은 그리 쉽지 않아 퍼팅 실수를 범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며, 특히 같은 위치에서도 오르막 경사값나 내리막 경사값에 따라 골퍼에게 보이는 경사값에 대한 각도가 각각 다르게 보여지게 되어 경사값의 측정시 상당 시간을 소비할 수밖에 없고, 이는 골프를 함께 즐기는 동반자에게 방해를 주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73218호에는, 골프 퍼터의 샤프트상부에 그린의 경사값을 확인할 수 있는 경사값 측정장치를 부착하는 골프 퍼터 부착용 그린 경사값 측정장치가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에 의하면, 골퍼 퍼터에 측정장치를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퍼터의 무게 및 그립감을 저해시켜 퍼팅시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26787호에는 골프퍼터에 지면의 경사μ경사값을 측정할 수 있는 수평계를 설치하여 골프공을 홀컵에 정확하게 홀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계를 구비한 골프퍼터가 게재된 바 있다.
하지만,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에 의하면, 단면이 지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그립부; 및 그립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액체와 기포를 포함하고 기포의 위치를 통해 지면의 경사값 확인이 가능한 수평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경사값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헤드가 항상 그린과 직교를 이루도록 해야하기 때문에 헤드의 위치에 따라 경사값이 달라질 수밖에 없어 경사값 수치에 대한 신뢰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7321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26787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손잡이부의 상부에 구성되며, 경사값의 측정시 측정자의 시점과 일직선상에 배치시켜 홀컵의 중심부와 측정자의 시점 사이의 X축 방향에 대한 간격 정보를 제공하여 측정자(또는, 골프공)와 홀컵까지의 거리정보에 따라 홀컵과 골프공 사이의 지면에 대한 경사값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 퍼터용 경사값 측정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골프공과 홀컵까지의 거리정보와 경사값 측정부재를 통해 짧은 시간에 홀컵의 경사값 파악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동반자가 장시간 기다리지 않아도 되므로 골프의 즐거움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는 골프 퍼터용 경사값 측정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골프퍼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기존 골프퍼터나 골프퍼터의 종류와 무관하게 간단하게 장착하여 홀컵과 골프공 사이의 지면에 대한 경사값 측정이 가능한 골프 퍼터용 경사값 측정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 샤프트 및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골프 퍼터; 및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며, 홀컵과 골프공 사이의 X축 방향에 대한 지면의 경사값을 측정하는 경사값 측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값 측정부재는,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탈착부와 골퍼의 손가락이 파지되는 손가락홈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지면의 경사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경사값의 측정시 골퍼의 시점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수직 기준라인 및 상기 수직 기준라인의 중앙을 기준으로 직교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수평 기준라인으로 구성되는 기준라인과, 상기 수직 기준라인과 평행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수평 기준라인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되되, 동일한 간격을 이루도록 이격되게 구성되는 제1 및 제2간격라인으로 구성되는 측정부;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는, 상부 원주면에 형성되며, 골퍼의 시점과 상기 수직 기준라인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골퍼의 손가락이 파지되는 그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그립부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수직 기준라인이 상기 헤드의 축 방향과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정렬 가이드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정렬 가이드부가 상기 헤드의 축 방향과 평행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정렬 가이드부의 고정 위치를 설정하는 가이드 설정라인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 기준라인은, 상기 지면에 대한 경사μ경사값 측정시 상기 헤드의 축 방향과 골프공의 중심점이 서로 동일선상에 놓인 상태에서 골퍼의 시점이 상기 수직 기준라인과 일직선상에 위치할 때 상기 골퍼의 시점과 상기 헤드의 축방향이 서로 평행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간격라인들 사이의 거리는 3mm~6mm의 간격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간격라인은 상기 제1간격라인들 사이에 형성되되, 1.5mm~3mm의 간격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간격라인과 제2간격라인 사이의 거리는 동일한 간격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면에 대한 경사값은 골프공과 홀컵의 거리정보와 상기 수직 기준라인과 홀컵(H)의 중심점까지의 간격정보를 서로 곱한 값(거리정보 × 간격정보)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손잡이부의 상부에 구성되며, 경사값경사값의 측정시 측정자의 시점과 일직선상에 배치시켜 홀컵의 중심부와 측정자의 시점 사이의 X축 방향에 대한 간격 정보를 제공하여 골프공과 홀컵까지의 거리정보에 따라 홀컵과 골프공 사이의 지면에 대한 경사값을 단시간에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골프공과 홀컵까지의 거리정보와 경사값 측정부재를 통해 파악된 홀컵의 거리정보를 바탕으로 경사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짧은 시간에 홀컵의 경사값 파악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동반자가 장시간 기다리지 않아도 되므로 골프의 즐거움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골프퍼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기존 골프퍼터나 골프퍼터의 종류와 무관하게 간단하게 장착하여 홀컵과 골프공 사이의 지면에 대한 경사값 측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터용 경사값 측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터용 경사값 측정부재의 손잡이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터용 경사값 측정부재의 손잡이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값 측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값 측정부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값 측정부를 이용하여 그린의 경사값을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골프 퍼터용 경사값 측정부재는 골프공의 타격이 이루어지는 헤드(110)와, 헤드(1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샤프트(120)와, 샤프트(120)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골퍼의 손이 파지되는 손잡이부(130)와, 손잡이부(130)의 상단부 원주면에 결합되며, 퍼팅시 홀컵(H)과 골프공 사이의 지면에 대한 경사값을 측정하여 퍼팅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경사값 측정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손잡이부(130)에는 상부 원주면에 형성되며, 손잡이부(130)와 경사μ경사값 측정부재(200)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한편, 홀컵(H)과 골프공 사이의 경사값을 측정하기 위해 골퍼의 시점과 경사값 측정부재(200)의 측정부(220)를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골퍼의 손가락이 파지되는 그립부(132)가 형성된다.
여기서, 그립부(132)는 상부 원주면으로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소정의 호를 이루도록 구성되고, 그 중앙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경사값 측정부재(200)의 본체부(21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지지하는 결합부(134)가 형성된다.
이때, 결합부(134)는 소정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체부(210)에 형성된 탈착부(212)가 결합부(134)와 억지 끼움 방식, 또는 돌기 결합 방식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그립부(132)에 형성되는 결합부(134)를 통해 경사값 측정부재(20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골프 퍼터의 손잡이부(130)의 상단부에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경사값 측정부재(200)는 손잡이부(130)의 상단부, 또는 그립부(132)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퍼팅시 골프공과 홀컵(H) 사이의 지면에 대한 경사값을 짧은 시간에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골프공의 홀인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경사값 측정부재(200)는 그립부(132)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하부 원주면이 그립부(132)의 상단부에 형성된 호와 동일한 호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본체부(210)와, 본체부(210)의 상부면에 구성되며,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개의 측정라인들이 형성되어 홀컵(H)과 골프공 사이의 지면에 대한 경사값의 측정이 이 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측정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210)는 그립부(132)와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하단 중앙부로 결합부(134)에 결합되는 탈착부(212)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탈착부(212)는 끝단부가 원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결합부(134)와의 결합 방식에 따라 외주면에 다수개의 결합돌기, 또는 나사산 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10)에는 홀컵(H)과 골프공 사이의 경사값을 측정하기 위해 골퍼의 시점과 경사값 측정부재(200)의 측정부(220)를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골퍼의 손가락이 파지되는 손잡이홈(214)을 더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체부(210)에는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그립부(132)와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 측정라인 중, 기준라인(222)의 수직 기준라인(222a)이 손잡이부(130), 샤프트(120) 및 헤드(110)의 전방 및 후방측 선단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정렬 가이드부(216)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정렬 가이드부(216)는 경사값 측정부재(200)의 결합시 수직 기준라인(222a)이 헤드(110)의 축 방향과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헤드(110)의 축 방향과 수직 기준라인(222a)이 서로 평행한 위치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손잡이부(130)의 전방 및 후방측 선단부에는 본체부(210)와의 결합시 정렬 가이드부(216)가 헤드(110)의 축 방향과 평행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정렬 가이드부(216)의 고정 위치를 설정하는 가이드 설정라인(138)을 더 구성할 수 있다.
이에, 경사값 측정부재(220)의 결합시 정렬 가이드부(216)와 가이드 설정라인(138)을 통해 누구나 쉽게 측정라인과 헤드(110)의 축 방향이 서로 평행선상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측정부(220)는 본체부(21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홀컵(H)과 골프공 사이의 지면에 대한 경사값의 측정이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측정라인들을 구성하는 것으로, 측정부(22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90°간격으로 형성되어 골퍼의 시점과 헤드(110)의 축 방향이 평행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준라인(222)과, 측정부(22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되,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게 다수개로 형성되며, 홀컵(H)과 측정자(골퍼)의 시점 사이의 간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1 및 제2간격라인(224, 226)으로 구성된다.
기준라인(222)은 정렬 가이드부(216)의 상측 끝단부로부터 직교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경사값의 측정시 골퍼의 시점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수직 기준라인(222a)과, 이 수직 기준라인(222a)의 중앙을 기준으로 직교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수평 기준라인(222b)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수직 기준라인(222a)은 정렬 가이드부(216)에 의해 헤드(110)의 축 방향과 평행한 위치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골프공과 홀컵(H) 사이의 지면에 대한 경사값 측정시 헤드(110)의 축 방향과 골프공의 중심점이 서로 동일선상에 놓인 상태에서 골퍼의 시점이 수직 기준라인(222a)과 일직선상에 위치할 때 상기 골퍼의 시점과 헤드(110)의 축방향이 서로 평행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수평 기준라인(222b)은 수직 기준라인(222a)으로부터 직교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측정부(220)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제1 및 제2간격라인(224, 226)의 형성시 수직 기준라인(222a)과의 평행, 즉 수평 기준라인(222b)과 직교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수평 기준라인(222b)은 측정부(220)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만큼 상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되게 형성되는 경우 퍼터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지면의 고저에 대한 경사값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수평 기준라인(222b)의 돌출된 상단부 라인과 홀컵(H)의 중심점을 동일선상에 위치시킨 후 퍼터를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이동시키면서 수평 기준라인(222b)과 홀컵(H) 사이를 이루는 지면의 고저에 대한 경사값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제1 및 제2간격라인(224, 226)은 수직 기준라인(222a)과 평행선상에 위치하며, 수평 기준라인(222b)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되되, 동일한 간격을 이루도록 이격되게 구성되는 것으로, 수직 기준라인(222a)과 홀컵(H)의 간격정보를 산출함으로써, 골프공과 홀컵(H) 사이를 이루는 지면의 X축 방향에 대한 경사값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제1간격라인(224)들 사이의 거리(A: 이하 1컵이라 칭함.)는 3mm~6mm의 간격을 이루도록 측정부(220)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또한, 제2간격라인(226)은 제1간격라인(224)들 사이에 형성되되, 1.5mm~3mm의 간격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제1간격라인(224)과 제2간격라인(226) 사이의 거리(a: 이하, 0.5컵이라 칭함.)는 동일한 간격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제1간격라인(224)은 최소 3mm 미만으로 형성되거나, 최대 6mm를 초과하여 형성되는 경우, 골프공과 홀컵(H) 사이를 이루는 지면의 X축 방향에 대한 경사값의 측정시 골프공과 홀컵(H)의 거리정보에 따라 실제 경사값와의 동일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과 홀컵(H)의 거리정보 및 수직 기준라인(222a)과 홀컵(H)의 중심점까지의 간격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골프공의 중심과 홀컵(H)의 중심 사이를 이루는 경사값(a3)을 측정하되, 상기 경사값(a3)은 지면의 X축 방향에 대한 거리의 차이값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거리정보 × 간격정보로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일 예로, 골프공과 홀컵(H) 사이의 거리가 1m이고, 제1 및 제2간격라인(224, 226)을 통해 산출된 간격정보가 1.5컵인 경우, 골프공과 홀컵(H) 사이를 이루는 지면의 X축 방향에 대한 경사값(a3)은 1m × 1.5컵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산출식에 의해 산출된 경사값(a3)은 1.5컵의 거리만큼 X축 방향으로 경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골퍼는 골프공의 퍼팅시 골프공을 상기 식에 의해 산출된 1.5컵 만큼 X축 방향으로 퍼팅을 하는 것이다.
또한, 골프공과 홀컵(H) 사이의 거리가 2m이고, 제1 및 제2간격라인(224, 226)을 통해 산출된 간격정보가 1.5컵인 경우, 골프공과 홀컵(H) 사이를 이루는 지면의 X축 방향에 대한 경사값(a3)은 2m × 1.5컵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산출식에 의해 산출된 경사값(a3)은 3컵의 거리만큼 X축 방향으로 경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골프공과 홀컵(H) 사이의 거리가 3m이고, 제1 및 제2간격라인(224, 226)을 통해 산출된 간격정보가 1.5컵인 경우, 골프공과 홀컵(H) 사이를 이루는 지면의 X축 방향에 대한 경사값(a3)은 3m × 1.5컵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산출식에 의해 산출된 경사값(a3)은 4.5컵의 거리만큼 X축 방향으로 경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골퍼는 골프공의 퍼팅시 골프공을 상기 식에 의해 산출된 4.5컵 만큼 X축 방향으로 퍼팅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술한 1.5컵이라 함은, 측정부(220)의 중앙부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첫번째 제1간격라인(224: A1)과, 이 첫번째 제1간격라인(224: A1)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게 구성되는 두번째 제2간격라인(226: a2)까지의 거리를 의미하며, 홀컵(H)의 중심점이 상기 두번째 제2간격라인(226: a2)에 위치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일 예로, 홀컵(H)의 중심점이 첫번째 제2간격라인(226: a1)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수직 기준라인(222a)과 홀컵(H)의 중심점까지의 간격정보는 상기 첫번째 제2간격라인(226: a1)에 해당하는 0.5컵이 될 수 있으며, 골프공과 홀컵(H) 사이의 거리정보 × 0.5컵으로 산출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헤드 120: 샤프트
130: 손잡이부 132: 그립부
134: 결합부 138: 가이드 설정라인
200: 경사값 측정부재
210: 본체부 212: 탈착부
214: 손잡이홈 216: 정렬 가이드부
220: 측정부 222: 기준라인
222a: 수직 기준라인 222b: 수평 기준라인
224: 제1간격라인 226: 제2간격라인

Claims (6)

  1. 상부 원주면에 형성되며, 골퍼의 시점과 수직 기준라인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골퍼의 손가락이 파지되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부로 구성되는 골프 퍼터의 손잡이부에 결합되며, 홀컵과 골프공 사이의 X축 방향에 대한 지면의 경사값을 측정하는 경사값 측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값 측정부재는,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탈착부와 골퍼의 손가락이 파지되는 손가락홈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지면의 경사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경사값의 측정시 골퍼의 시점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면에 대한 경사값 측정시 헤드의 축 방향과 골프공의 중심점이 서로 동일선상에 놓인 상태에서 골퍼의 시점이 상기 수직 기준라인과 일직선상에 위치할 때 상기 골퍼의 시점과 상기 헤드의 축방향이 서로 평행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직 기준라인 및 상기 수직 기준라인의 중앙을 기준으로 직교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수평 기준라인으로 구성되는 기준라인과, 상기 수직 기준라인과 평행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수평 기준라인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되되, 동일한 간격을 이루도록 이격되게 구성되는 제1 및 제2간격라인으로 구성되는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수직 기준라인이 상기 골프 퍼터의 헤드의 축 방향과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정렬 가이드부가 더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정렬 가이드부가 상기 헤드의 축 방향과 평행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정렬 가이드부의 고정 위치를 설정하는 가이드 설정라인이 더 구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간격라인들 사이의 거리는 3mm~6mm의 간격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간격라인은 상기 제1간격라인들 사이에 형성되되, 1.5mm~3mm의 간격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간격라인과 제2간격라인 사이의 거리는 동일한 간격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평 기준라인은 상기 측정부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만큼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돌출된 상단부 라인과 홀컵의 중심점을 동일선상에 위치시킨 후 퍼터를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이동시키면서 상기 수평 기준라인과 홀컵 사이를 이루는 지면의 고저에 대한 경사값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용 경사값 측정부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87628A 2020-07-15 2020-07-15 골프 퍼터용 경사값 측정부재 KR102399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628A KR102399693B1 (ko) 2020-07-15 2020-07-15 골프 퍼터용 경사값 측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628A KR102399693B1 (ko) 2020-07-15 2020-07-15 골프 퍼터용 경사값 측정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208A KR20220009208A (ko) 2022-01-24
KR102399693B1 true KR102399693B1 (ko) 2022-05-18

Family

ID=80049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628A KR102399693B1 (ko) 2020-07-15 2020-07-15 골프 퍼터용 경사값 측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6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2885B2 (ja) * 1992-06-17 2001-07-03 株式会社デンソー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231252Y1 (ko) * 2001-02-14 2001-07-19 박승배 골프채 그립
KR101506078B1 (ko) * 2013-06-05 2015-03-26 오진우 골프장 그린의 경사 측정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218Y1 (ko) 2002-01-31 2002-04-20 주세영 골프 퍼터 부착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
KR20100026787A (ko) 2008-09-01 2010-03-10 김동휘 수평계를 구비한 골프퍼터
KR20110042041A (ko) * 2011-03-29 2011-04-22 이정원 골프장 그린 경사 측정기
JP3182885U (ja) * 2012-11-22 2013-04-18 興悦 後藤 確実な下げ振りとなるガイドラインを持つゴルフパタ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2885B2 (ja) * 1992-06-17 2001-07-03 株式会社デンソー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231252Y1 (ko) * 2001-02-14 2001-07-19 박승배 골프채 그립
KR101506078B1 (ko) * 2013-06-05 2015-03-26 오진우 골프장 그린의 경사 측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208A (ko) 202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205B1 (ko) 골프공 마킹장치
US7717811B1 (en) Adjustable golf tee with associated measuring device
KR20220050145A (ko) 표시를 포함하는 골프공
KR101426789B1 (ko) 골프 볼마커
KR101253866B1 (ko) 골프장 그린의 경사각 및 높낮이 측정장치
KR102399693B1 (ko) 골프 퍼터용 경사값 측정부재
KR101569671B1 (ko) 그린경사도의 경사각을 측정가능하도록 구성한 퍼터
US11413512B2 (en) Golf club fi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golf club fitting
KR100848271B1 (ko) 골프 퍼팅 연습 보조구
KR20100026787A (ko) 수평계를 구비한 골프퍼터
KR200438895Y1 (ko) 골프 퍼터용 라이 및 로프트각 교정장치
KR101683105B1 (ko) 골프 연습용 스틱
KR200195175Y1 (ko) 레이저 및 수평계가 부착된 골프 퍼터
JP4233886B2 (ja) ゴルフクラブ
KR200263826Y1 (ko) 골프 퍼터
US3293762A (en) Gauge and measuring device for golf clubs
KR200366314Y1 (ko) 골프 퍼팅 보조장치
KR200341646Y1 (ko) 골프 퍼터
KR200346287Y1 (ko) 다용도 골프퍼터
KR20160112859A (ko) 방향측정 기능을 구비한 골프채
US8864607B2 (en) Golf training aid
US20220347534A1 (en) Golf club fi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golf club fitting
JP3238645U (ja) ゴルフクラブのフィッティング装置
KR20140067605A (ko) 골프용 퍼터
KR200336187Y1 (ko) 골프클럽용 샤프트의 킥포인트 측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