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205B1 - 골프공 마킹장치 - Google Patents

골프공 마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205B1
KR102031205B1 KR1020187033667A KR20187033667A KR102031205B1 KR 102031205 B1 KR102031205 B1 KR 102031205B1 KR 1020187033667 A KR1020187033667 A KR 1020187033667A KR 20187033667 A KR20187033667 A KR 20187033667A KR 102031205 B1 KR102031205 B1 KR 102031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ing
golf ball
frame
reference point
di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2165A (ko
Inventor
남재웅
Original Assignee
남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재웅 filed Critical 남재웅
Publication of KR20190082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5/00Apparatu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balls
    • A63B45/02Marking of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30Mar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3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curved surfaces of essentially spherical, or part-spherical,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41Heads with visual indicators for aligning the golf club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골프공 마킹장치는 골프공의 표면에 형성된 딤플(dimple)에 정확한 타격을 하기 위한 마킹장치로서, 골프공이 감싸여 수용되고, 골프공의 입출을 위해 각각의 사이가 벌어질 수 있도록 구비된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이 포함되고, 제1프레임은 필기구를 이용해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내측에 수용된 골프공의 표면에 마킹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기준점마킹부, 기준점마킹부와 이격되어 형성되고 필기구를 이용해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내측에 수용된 골프공의 표면에 마킹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타점마킹부 및 기준점마킹부 및 타점마킹부를 잇는 가상의 직선을 따라 길게 관통되어 형성되는 라인마킹부가 포함될 수 있다.

Description

골프공 마킹장치
본 발명은 골프 스포츠에 사용되는 골프공의 표면에 마킹을 할 수 있도록 제안된 골프공 마킹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공이 놓이는 각도 및 스윙 시 타격되는 위치, 타격된 골프공의 진행방향을 시인성이 높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골프공 마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프인구가 나날이 증가하고, 여가를 위한 스포츠의 하나로서 골프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골프는 작은 공을 클럽(golf club)으로 타격하여 특정한 위치에 마련된 홀컵(hole cup)에 넣는 것을 목표로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공을 타격하는 횟수에 따라 우열을 가리게 되며, 공을 타격하여 보내기 위한 거리, 공이 놓여진 지면의 종류나 기울기 등 여러가지 요소들이 다각적으로 고려되어 각각의 상황에 맞는 타격기술이 활용된다.
홀컵을 향해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한 클럽은 우드(wood), 아이언(iron), 웨지(wedge), 퍼터(putter)등 다양한 종류가 있고, 골프공의 놓인 지면의 상황이나 홀컵과의 거리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클럽을 통해 타격되는 골프공의 경우 지름 약 4.2cm정도의 크기로, 중량은 45.93g의 작은 공이 사용된다.
골프공의 표면에는 비행 중 공의 궤도가 공기의 저항으로 인해 예측 불가한 방향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작고 오목하게 패인 홈이 마련되며, 이러한 홈을 딤플(dimple)이라 일컫는다.
골프공의 표면에는 작은 딤플이 촘촘하게 배치되므로, 클럽을 통해 타격되는 위치에 요철이 있게 된다.
이때, 딤플의 중심점의 법선방향에서 타격이 될 경우 요철이 최소화되어 타격의 정확성이 향상되나, 클럽 헤드의 타격면과 골프공의 딤플로 인한 요철이 빗겨져 접할 경우 골프공이 의도된 방향으로 타격되지 않을 수 있고, 비거리가 줄어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골프공의 표면에 골프공을 배치하기 위한 기준점, 기준점이 특정 방향을 향하도록 골프공을 배치하였을 때 타격되는 타점 및 타격 시 골프공이 진행하는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라인을 표시할 수 있는 골프공 마킹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골프공 마킹장치는 골프공의 표면에 형성된 딤플(dimple)에 정확한 타격을 하기 위한 마킹장치로서, 골프공이 감싸여 수용되고, 골프공의 입출을 위해 각각의 사이가 벌어질 수 있도록 구비된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이 포함되고, 제1프레임은 필기구를 이용해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내측에 수용된 골프공의 표면에 마킹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기준점마킹부, 기준점마킹부와 이격되어 형성되고 필기구를 이용해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내측에 수용된 골프공의 표면에 마킹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타점마킹부 및 기준점마킹부 및 타점마킹부를 잇는 가상의 직선을 따라 길게 관통되어 형성되는 라인마킹부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기준점마킹부 및 타점마킹부는 기준점마킹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었을 때, 타점마킹부는 골프 스윙 시 골프공이 타격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기준점마킹부 및 타점마킹부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내측에 수용되는 골프공의 표면에 형성된 딤플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골프공 마킹장치는 클립형태를 지녀 골프공을 손쉽게 수용할 수 있고, 골프공이 수용된 상태에서 필기구를 이용해 골프공의 표면에 기준점, 타점 및 진행방향을 알 수 있는 라인을 용이하게 마킹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골프공의 타격 시 골프공의 배치위치를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이 가능하고, 스윙 시에 요철이 아닌 딤플에 정확하게 타격되어 골프공이 의도하였던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진행함과 아울러 비거리의 손실이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기준점마킹부 및 타점마킹부는 기준점마킹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었을 때, 타점마킹부는 골프 스윙 시 골프공이 타격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기준점마킹부 및 타점마킹부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내측에 수용되는 골프공의 표면에 형성된 딤플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골프공의 표면에 형성된 딤플(dimple) 중 한 개의 딤플(dimple)에 정확한 타격을 하기 위한 마킹장치로서, 골프공이 수용되고 인출되기 위해 구비된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제1프레임은, 골프공의 표면의 중앙에 위치하여 수직한 상방을 향하는 기준점을 마킹 가능하도록, 상기 제1프레임의 최상단 중앙에 원형으로 구비되는 기준점마킹부; 상기 기준점마킹부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제1프레임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골프공의 표면에 형성되는 딤플 중 어느 한 개의 딤플에 골프공이 타격되는 지점인 타점을 선택적으로 마킹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타점마킹부; 및 상기 제1프레임 상에 형성되되 상기 기준점마킹부 및 상기 타점마킹부를 잇는 가상의 직선을 따라 길게 관통되어 형성되어 골프공의 진행방향을 지시할 수 있는 라인을 마킹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라인마킹부;가 포함되며, 상기 기준점마킹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었을 때, 상기 타점마킹부는 골프 스윙 시 골프공이 타격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타점마킹부는 골프공의 표면에 형성된 딤플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타점마킹부는, 상기 타점이 상기 한 개의 딤플의 둘레를 따라 마킹되되 그 둘레 방향에 따른 적어도 일부에 마킹되도록, 상기 한 개의 딤플의 둘레에 대응되는 호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마킹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킹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킹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킹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킹장치에 골프공이 수용되기 위해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사이가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킹장치에 골프공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킹장치를 통해 골프공에 기준점, 타점 및 라인이 마킹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킹장치를 통해 마킹된 골프공이 타격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8은 골프공 타격 시 골프공의 요철이 클럽과 접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9는 골프공 타격 시 골프공의 딤플에 정확하게 클럽이 타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마킹장치는 하기 되는 것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킹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킹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킹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킹장치는 골프공의 표면에 형성된 딤플(dimple)에 정확한 타격을 하기 위한 마킹장치로서, 골프공이 감싸여 수용되고, 골프공의 인출을 위해 각각의 사이가 벌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이 포함되고, 제1프레임(100)은 필기구를 이용해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의 내측에 수용된 골프공의 표면에 마킹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기준점마킹부(120), 기준점마킹부(120)와 이격되어 형성되고 필기구를 이용해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의 내측에 수용된 골프공의 표면에 마킹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타점마킹부(110) 및 기준점마킹부(120) 및 타점마킹부(110)를 잇는 가상의 직선을 따라 길게 관통되어 형성되는 라인마킹부(130)가 포함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된 각각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킹장치는 골프공의 외측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구비되고, 골프공의 표면에 특정한 각도나 거리를 두고 표시를 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제1프레임(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반구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규격 골프공의 크기에 맞추어 반구형상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으며, 원형의 골프공 외측둘레와 대응되어 접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반구형상을 지닌 제1프레임(10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골프공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골프공이 제1프레임(100)의 내측공간에 안착될 수 있으면 될 것이다.
제2프레임(200)은 제1프레임(100)과 함께 골프공의 외측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골프공이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으로 이루어지는 내측공간에 안착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은 일측이 클립(3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클립(300)은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이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되, 외력에 의해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의 타측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벌어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각기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에 지지되는 양단을 지닌 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나 클립(300)의 구성이 코일스프링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을 결속하고,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의 타측이 골프공이 진입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마련되면 될 것이다.
타점마킹부(110) 및 기준점마킹부(120)는 가상의 원을 그릴 수 있도록 원형 또는 원형의 일부 외곽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00)의 일측에 소정의 원주율을 지닌 원호형태의 외곽을 지니도록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소정의 원주율을 지닌 원 형상으로 제1프레임(10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타점마킹부(110) 및 기준점마킹부(120)는 각기 사용자가 필기구를 이용하여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이 이루는 내측공간에 수용된 골프공의 표면에 마킹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딤플이 원형의 오목한 홈으로 형성되므로 딤플의 형상과 대응되는 원형의 마킹을 수행할 수 있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그리고, 타점마킹부(110) 및 기준점마킹부(120)가 이루는 가상의 원은 규격 골프공의 딤플이 지닌 원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기준점마킹부(120)와 타점마킹부(11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떨어져 형성될 수 있고, 기준점마킹부(120)를 통하여 마킹된 표시 및 타점마킹부(110)를 통해 마킹된 표시, 라인마킹부(130)를 통해 마킹된 표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준점마킹부(120), 타점마킹부(110) 및 라인마킹부(130)로 칭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킹장치에 골프공이 수용되기 위해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사이가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킹장치에 골프공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킹장치를 통해 골프공에 기준점, 타점 및 라인이 마킹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킹장치를 통해 마킹된 골프공이 타격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점마킹부(120)와 타점마킹부(110) 각각의 위치는 기준점마킹부(120)가 수직한 상방을 향하도록 골프공이 놓였을 때, 타점마킹부(110)의 위치가 클럽을 통해 골프공이 타격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서,기준점마킹부(120)가 수직한 상방을 향하도록 골프공이 배치되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의 중심을 기준으로 기준점마킹부(120)와 타점마킹부(110)는 a만큼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골프 시 사용되는 클럽의 종류, 스윙에 따른 골프공 타격위치를 감안하여 계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준점마킹부(120) 및 타점마킹부(110)의 위치는 각기 골프공의 딤플과 정확히 대응될 수 있도록 그 위치가 결정되고, 이는 기준점마킹부(120)를 수직 상방을 향하도록 골프공을 놓았을 때, 타점마킹부(110)와 대응되는 위치의 딤플에서 딤플의 중심점이 갖는 법선방향이 클럽이 타격되는 방향과 일치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준점마킹부(120) 및 타점마킹부(110)를 잇는 가상의 직선을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라인마킹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라인마킹부(130)는 길게 형성되는 장공으로서, 골프공의 표면에 특정한 직선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표시되는 두께가 기준점마킹부(120), 타점마킹부(110)를 통해 마킹될 수 있는 표시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라인마킹부(130)를 통해 골프공의 표면에 표시되는 직선은 그 길이방향이 골프공 타격 시 골프공의 예상 이동방향과 일치하게 되고, 이는 골프 스윙 시 스윙하는 운동자에게 시각적으로 골프공의 진행방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프레임(100)에는 시점마킹부(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시점마킹부(140)는 기준점마킹부(120) 및 타점마킹부(110)와 별도로 적어도 하나가 제1프레임(1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골프 스윙을 하는 운동자의 방향에 따라 선택될 수 있도록,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시점마킹부(140)는 기준점마킹부(120)가 수직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었을 때, 클럽을 들고 스윙을 하는 운동자의 위치에서 운동자의 시선이 위치하는 점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기준점마킹부(120), 타점마킹부(110) 및 시점마킹부(140)를 통해 마킹된 표시와 라인마킹부(130)를 통해 마킹된 라인을 이용하여, 골프 운동자는 다음과 같이 골프 스윙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운동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킹장치를 이용하여 골프공의 표면에 기준점마킹부(120), 타점마킹부(110), 시점마킹부(140) 및 라인마킹부(130)를 통해 마킹을 수행하고, 마킹된 골프공의 기준점마킹부(120)를 수직상방을 향하도록 배치한 후, 시점마킹부(140)를 바라보며 서서 스윙을 하면, 타점마킹부(110)에 위치한 딤플을 정확하게 타격하여 라인마킹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골프공이 운동하게 된다.
도 8은 골프공 타격 시 골프공의 요철이 클럽과 접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9는 골프공 타격 시 골프공의 딤플에 정확하게 클럽이 타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킹장치를 통해 마킹된 골프공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 표면의 요철(凹凸) 중 돌출된 철(凸) 부분이 클럽과 타격되는 확률을 확연하게 줄이고, 바른 자세로 스윙을 하였을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의 딤플을 정확하게 타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Claims (2)

  1. 골프공의 표면에 형성된 딤플(dimple) 중 한 개의 딤플(dimple)에 정확한 타격을 하기 위한 마킹장치로서,
    골프공이 수용되고 인출되기 위해 구비된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제1프레임은,
    골프공의 표면의 중앙에 위치하여 수직한 상방을 향하는 기준점을 마킹 가능하도록, 상기 제1프레임의 최상단 중앙에 원형으로 구비되는 기준점마킹부;
    상기 기준점마킹부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제1프레임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골프공의 표면에 형성되는 딤플 중 어느 한 개의 딤플에 골프공이 타격되는 지점인 타점을 선택적으로 마킹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타점마킹부; 및
    상기 제1프레임 상에 형성되되 상기 기준점마킹부 및 상기 타점마킹부를 잇는 가상의 직선을 따라 길게 관통되어 형성되어 골프공의 진행방향을 지시할 수 있는 라인을 마킹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라인마킹부;
    가 포함되며,
    상기 기준점마킹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었을 때, 상기 타점마킹부는 골프 스윙 시 골프공이 타격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타점마킹부는 골프공의 표면에 형성된 딤플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타점마킹부는,
    상기 타점이 상기 한 개의 딤플의 둘레를 따라 마킹되되 그 둘레 방향에 따른 적어도 일부에 마킹되도록, 상기 한 개의 딤플의 둘레에 대응되는 호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마킹장치.
  2. 삭제
KR1020187033667A 2017-12-26 2017-12-26 골프공 마킹장치 KR1020312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15446 WO2019132049A1 (ko) 2017-12-26 2017-12-26 골프공 마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165A KR20190082165A (ko) 2019-07-09
KR102031205B1 true KR102031205B1 (ko) 2019-10-11

Family

ID=67063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667A KR102031205B1 (ko) 2017-12-26 2017-12-26 골프공 마킹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220706A1 (ko)
KR (1) KR102031205B1 (ko)
CN (1) CN110198766A (ko)
WO (1) WO201913204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841U (ko) 2020-06-12 2021-12-21 이명환 휴대용 골프공 기능성 라인기
KR20230000092A (ko) * 2021-06-24 2023-01-02 (주)버디파파 골프공 라이너
KR20230165550A (ko) 2022-05-27 2023-12-05 주식회사 상상기구제작소 골프공의 퍼팅 라인 마킹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90276S1 (en) * 2019-01-21 2020-07-14 Therefore Limited Golf ball
USD927618S1 (en) * 2019-06-05 2021-08-10 Callaway Golf Company Golf ball
USD928258S1 (en) * 2019-06-05 2021-08-17 Callaway Golf Company Golf ball
USD927617S1 (en) * 2019-06-05 2021-08-10 Callaway Golf Company Golf ball
USD944347S1 (en) * 2019-06-05 2022-02-22 Callaway Golf Company Golf ball
USD931967S1 (en) * 2020-03-29 2021-09-28 Mark Ian Michelini Three-line golf ball marker
USD953464S1 (en) * 2020-06-10 2022-05-31 Gang Lu Golf scriber
JP1767557S (ja) * 2023-01-13 2024-04-05 ゴルフボールライナーとゴルフティライナーが付属したケース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8076B2 (ja) 1992-08-21 2001-02-26 三洋電機株式会社 画像2値化装置
JP2003154038A (ja) 2001-11-22 2003-05-27 Yasuhiro Takahashi ゴルフボール用マーカーライン描画具
KR200377786Y1 (ko) * 2004-10-13 2005-03-10 윤서현 헤드-업 방지용 골프공
KR200424169Y1 (ko) 2006-05-30 2006-08-18 박승호 마커를 가진 골프공 라이너
US20100095858A1 (en) * 2008-10-20 2010-04-22 Softspikes, Llc Golf Ball Marking Stencil and Method of Use
KR101820279B1 (ko) 2016-10-14 2018-01-19 신성금형 주식회사 골프공 라이너
KR200486405Y1 (ko) 2017-01-10 2018-05-14 박인철 휴대용 골프공 마킹기구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660Y1 (ko) * 2001-03-21 2001-10-08 최동원 휴대용 골프공 프린터
CN2489831Y (zh) * 2001-06-29 2002-05-08 叶仲伦 高尔夫球划线盒
WO2005063343A1 (en) * 2003-12-27 2005-07-14 You-Kyoum Kim Holder for golf-ball
JP2005253546A (ja) * 2004-03-10 2005-09-22 Kyobashi Kogyo Kk 打つべき点、及び/又は、打つべき方向を明示したゴルフボール
CN201055650Y (zh) * 2007-04-20 2008-05-07 宋明贤 高尔夫球划线器
JP3138076U (ja) * 2007-10-05 2007-12-20 株式会社ジャパーナ ゴルフボール用マーキング器具
KR200460682Y1 (ko) * 2008-01-18 2012-06-04 민-시엔 성 골프공 선 긋는 장치
KR20160119458A (ko) * 2015-04-06 2016-10-14 에이스골프 주식회사 비거리 향상을 위한 타격포인트가 형성된 골프공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8076B2 (ja) 1992-08-21 2001-02-26 三洋電機株式会社 画像2値化装置
JP2003154038A (ja) 2001-11-22 2003-05-27 Yasuhiro Takahashi ゴルフボール用マーカーライン描画具
KR200377786Y1 (ko) * 2004-10-13 2005-03-10 윤서현 헤드-업 방지용 골프공
KR200424169Y1 (ko) 2006-05-30 2006-08-18 박승호 마커를 가진 골프공 라이너
US20100095858A1 (en) * 2008-10-20 2010-04-22 Softspikes, Llc Golf Ball Marking Stencil and Method of Use
KR101820279B1 (ko) 2016-10-14 2018-01-19 신성금형 주식회사 골프공 라이너
KR200486405Y1 (ko) 2017-01-10 2018-05-14 박인철 휴대용 골프공 마킹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841U (ko) 2020-06-12 2021-12-21 이명환 휴대용 골프공 기능성 라인기
KR20230000092A (ko) * 2021-06-24 2023-01-02 (주)버디파파 골프공 라이너
KR102638604B1 (ko) * 2021-06-24 2024-02-20 (주)버디파파 골프공 라이너
KR20230165550A (ko) 2022-05-27 2023-12-05 주식회사 상상기구제작소 골프공의 퍼팅 라인 마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165A (ko) 2019-07-09
CN110198766A (zh) 2019-09-03
US20210220706A1 (en) 2021-07-22
WO2019132049A1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205B1 (ko) 골프공 마킹장치
KR200377377Y1 (ko) 골프용 퍼터
KR200463887Y1 (ko) 골프 퍼팅 연습용 기구
US9630080B1 (en) Putter alignment apparatus
KR20220050145A (ko) 표시를 포함하는 골프공
US8231477B2 (en) Golf aids
KR101426789B1 (ko) 골프 볼마커
US20130231199A1 (en) Golf putt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KR102105267B1 (ko) 개선된 어드레스용 정확성 향상을 위한 기준계를 갖는 골프클럽
US10569148B2 (en) Golf tee for guiding a ball
KR200435754Y1 (ko) 퍼터
US20150265890A1 (en) Golf Club Grip with Angled Channel
KR101144352B1 (ko) 골프용 퍼터
US20060199663A1 (en) Putting alignment system
KR100926419B1 (ko) 골프용 스탠딩 퍼터
KR20100026787A (ko) 수평계를 구비한 골프퍼터
KR102430587B1 (ko) 퍼터 페이스의 스퀘어 만들기 및 퍼팅 강도의 조절 훈련을 위한 퍼팅 연습장치
KR20190130230A (ko) 골프공 라이너
US8864607B2 (en) Golf training aid
KR200403038Y1 (ko) 골프 퍼터
KR101037833B1 (ko) 골프용 숏게임 연습용구
KR20240014951A (ko) 에이밍 링
KR20080096956A (ko) 수평손잡이 골프퍼터
KR101656718B1 (ko) 골프용 퍼터
KR200231212Y1 (ko) 수준기가 부착된 퍼팅용 골프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