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279B1 - 골프공 라이너 - Google Patents

골프공 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279B1
KR101820279B1 KR1020160133613A KR20160133613A KR101820279B1 KR 101820279 B1 KR101820279 B1 KR 101820279B1 KR 1020160133613 A KR1020160133613 A KR 1020160133613A KR 20160133613 A KR20160133613 A KR 20160133613A KR 101820279 B1 KR101820279 B1 KR 101820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groove
insertion portion
marking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3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8256A (ko
Inventor
류정열
Original Assignee
신성금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금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성금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3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279B1/ko
Publication of KR20160128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5/00Apparatu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balls
    • A63B45/02Marking of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20Holders, e.g. of tees or of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공 라이너에 관한 것으로써, 개시된 본 발명은 중심부에 반구형으로 상향 돌출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내부로 골프공이 끼워지면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과 상기 골프공의 외주면이 서로 접면되며, 상기 삽입부의 하단 내주면이 상기 골프공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삽입부에 상기 골프공을 고정시켜주는 몸체와, 상기 삽입부의 표면에 외주면을 따라 직선형태로 관통 형성되는 마킹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구성의 단순화를 통해 제작성이 향상되고, 반구형 몸체의 내부로 골프공을 간단하게 끼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골프공이 반구형 몸체의 내부로 끼워짐과 동시에 몸체와 골프공의 결합력이 견고히 유지되면서 마킹홈을 통한 마킹작업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고, 특히 마킹홈에 마킹펜을 이용하여 마킹을 하는 과정에서 마킹펜의 잉크가 골프공의 표면에서 번져 라인이 부정확하게 그려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골프공 라이너{Golf ball liner}
본 발명은 골프공의 표면에 퍼팅 라인의 정렬을 위해 선을 긋기 위하여 사용되는 골프공 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코스 위에 정지하여 있는 골프공을 골프클럽의 헤드로 타격하여 정해진 홀에 넣고 그때까지 소요된 타수로서 우열을 가리는 경기이다.
그리고 이러한 골프에 사용되는 골프클럽은 골프공을 타격하는 타격면이 구비되고 일측에 호젤이 구비되는 헤드와, 호젤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단부에 그립이 구비되는 샤프트로 이루어지며, 헤드의 용도에 따라 우드클럽, 아이언클럽, 퍼터 등으로 구분된다.
이중 드라이버와 페어웨이우드로 구분되는 우드클럽은 장거리 샷을 할 때 사용되고, 롱 아이언, 미들 아이언 및 숏 아이언으로 구분되는 아이언클럽은 중거리 샷을 할 때 사용되며, 퍼터는 그린에 놓인 골프공을 홀에 집어넣기 위한 퍼팅시에 사용된다.
퍼팅과정에서는 골프 경기를 진행하는 중 그린에 올린 상태에서 동반자의 퍼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골프공 뒤에 볼마커를 놓은 후 골프공을 집을 수 있으며, 홀로부터 거리가 제일 먼 골퍼가 먼저 퍼팅을 하게 된다.
퍼팅의 순서가 되어 집었던 볼을 내시 그린에 내려 놓을 때는 자신이 이전에 놓았던 볼마커 앞쪽에 공프공을 다시 위치시킨 상태에서 볼마커는 제거하고 퍼팅을 하게 된다. 이때 볼마커 앞쪽에 골프공을 다시 놓을 때 골퍼는 홀까지의 경사를 감안하여 골프공의 진행 방향을 정하게 된다.
이러한 골프공의 진행 방향을 보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골프공의 표면에 인쇄된 문자나 로그 등을 이용하여 골프공의 진행 방향을 정한 다음 퍼팅을 할 수도 있지만, 정확성을 위하여 볼의 표면에 직선의 라인을 긋고 이러한 라인을 이용하여 골프공의 방향성을 맞춘 다음 퍼팅을 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골프공의 표면에 직선의 라인을 정확하게 긋기 위한 수단으로 골프공을 감싸는 형태의 구나 반구 형태의 몸체에 마킹펜을 안내하여 골프공의 표면에 선이 그어지도록 관통된 마킹홈이 일자 또는 십자형태로 만들어진 볼라이너가 이미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는 볼라이너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반구형 몸체로 구성되는 볼라이너인 경우, 사용자가 한 손으로 골프공과 볼라이너를 함께 파지한 상태에서 마킹홈을 이용하여 선을 긋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지 못하고, 볼라이너 안에서 골프공이 쉽게 움직여 골프공에 선이 정확하게 그려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형 몸체로 구성되는 볼라이너인 경우, 두개의 반구형 몸체가 힌지결합되어 골프공을 감싸는 형태가 되면서 골프공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구성요소가 많아 제작이 복잡해지고, 부피가 커지면서 휴대의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볼라이너는 마킹홈에 마킹펜의 심이 끼워진 상태로 마킹홈을 따라 이동되면서 골프공의 표면에 라인이 그려질 때 마킹홈의 길이방향 내면 하단과 골프공이 접면된 상태가 됨에 따라 마킹펜의 잉크가 마킹홈의 내면 가장리에서 번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마킹펜에 의해 골프공에 그려지는 라인의 폭이 일정하지 못하게 되면서 시각적으로 보기 좋지 않으며, 라인을 이용하여 퍼팅 라인을 정렬함에 있어 불편함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 제20-0363236(2004.10.02. 공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퍼팅의 과정에서 퍼팅 라인의 정렬을 위해 골프공의 표면에 직선의 라인을 그리기 위한 골프 라이너의 구성을 단순화시켜 제작성의 향상은 물론 골프공과의 결합력을 높이면서 마킹홈을 이용한 마킹펜의 마킹 작업을 정확하면서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마킹 과정에서 마킹펜의 잉크가 골프공의 표면에서 번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골프공 라이너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중심부에 반구형으로 상향 돌출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내부로 골프공이 끼워지면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과 상기 골프공의 외주면이 서로 접면되며, 상기 삽입부의 하단 내주면이 상기 골프공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삽입부에 상기 골프공을 고정시켜주는 몸체와,
상기 삽입부의 표면에 외주면을 따라 직선형태로 관통 형성되는 마킹홈으로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의 삽입부 하단 내주면에는 연속 또는 비연속적으로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점착물질이 도포된 테이프 형태 또는 탄성력을 가지는 돌기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의 외형은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또는 문자형 또는 기호형 또는 숫자형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의 테두리에는 연결부재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연결공 또는 연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재는 링, 체인, 줄, 고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는 상기 삽입부의 하단은 상기 삽입부에 끼워지는 상기 골프공의 중심 선상에서 3mm 상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는 상기 삽입부의 하단이 상기 골프공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가입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는 금속재질로 구성되고, 표면은 아노다이징 코팅층 또는 티타늄 코팅층 또는 크롬 도금층 또는 증착층 또는 바렐 연마층 또는 샌딩 가공층 또는 세라믹 코팅층 중 어느 하나가 도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는 금속재질로 구성되고, 표면은 바렐연마층 또는 샌딩가공층을 형성한 후 아노다이징 코팅층 또는 티타늄 코팅층 또는 세라믹 코팅층 또는 크롬 도금층 또는 증착층 중 어느 하나가 도포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의 테두리 저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골프공이 수납되도록 소정 깊이의 공간부를 가지며 외면이 투명 또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 중 어느 하나인 케이스의 상단에는 상기 끼움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구가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수평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연장되는 경사부를 가지는 스탠드를 구성하되, 상기 경사부의 표면에는 상기 삽입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반구형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마킹홈은 상기 삽입부의 표면 중심 선상을 따라 연속되는 일자형의 제1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마킹홈은 상기 제1홈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제2홈이 구성되어 십자형을 이루며, 상기 제2홈은 상기 제1홈을 사이에 두고 동일 선상에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마킹홈은 길이방향으로 내면 하단이 모따기 또는 라운드 처리되어 상기 삽입부에 끼워지는 골프공의 표면과 상기 마킹홈의 내면 하단이 서로 접면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골프공 라이너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구조가 간단하면서 반구 형태의 최소 크기로 구성됨에 따라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반구형 몸체의 내부로 골프공을 간단하게 끼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골프공이 반구형 몸체의 내부로 끼워짐과 동시에 몸체와 골프공의 결합력이 견고히 유지되면서 마킹홈을 통한 마킹작업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마킹홈에 마킹펜을 이용하여 마킹을 하는 과정에서 마킹펜의 잉크가 골프공의 표면에서 번져 라인이 부정확하게 그려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공 라이너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공 라이너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공 라이너를 예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공 라이너를 이용하여 골프공에 라인을 그리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골프공 라이너가 골프공이 보관되는 케이스의 덮개로 사용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골프공 라이너를 스탠드에 거치되는 상태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라이너의 구성은, 골프공의 일부분이 수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부를 가지는 몸체와, 그러한 몸체의 삽입부에 고정된 골프공의 표면에 선을 긋기 위해 몸체의 표면에 관통 형성되는 마킹홈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이하 예시되는 도면을 통해 전술한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라이너를 구성하는 몸체(100)는,
도 1 내지 도 3 에서와 같이 골프공(300)의 일부분이 저면으로부터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저면 중심부에 상측으로 돌출된 반구형의 삽입부(110)가 형성된다.
삽입부(110)는 내부로 골프공(300)이 끼워지게 되면 삽입부(110)의 내면 중심과 골프공(300)의 상단 중심이 서로 접면되고, 골프공(300)의 외주면은 삽입부(110)의 내주면과 접면된다. 이때, 삽입부(110)의 하단(111) 내주면은 골프공(300)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삽입부(110)의 하단(111) 내측둘레의 크기가 삽입부(110)에 끼워지는 골프공(300)에서 삽입부(110)의 하단(111) 내측둘레와 접면하게 되는 지점의 외측둘레 크기보다 작게 구성되어 삽입부(110)로 골프공(300)이 끼워지게 되면 삽입부(110)의 하단(111) 내측둘레가 골프공의 외측둘레를 가압하게 되면서 골프공(300)이 삽입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100)는 전체적으로 인장과 수축될 수 있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이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중 사출 방식 등을 이용하여 삽입부(110)만 연질이고 나머지는 경질로 이루어져 삽입부(110)의 하단 내주면이 탄성력을 가지면서 가변될 수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고, 몸체(100)가 전체적으로 경질이면서 삽입부(110)의 하단에 하나 이상의 절개홈을 두어 그러한 절개홈을 통해 삽입부(110)의 하단(111) 내측둘레 크기가 외력에 의해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몸체(100)의 다른 실시 예로 몸체(100)를 금속재질로 구성하여 골프공(300)이 삽입부(110)로 끼워질 때 삽입부(110)의 하단(111) 내측둘레 크기는 가변 되지 않고 재질 특성상 골프공(300)의 표면이 미세하게 압축되면서 억지끼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금속재질의 몸체(100) 삽입부(110) 하단(111)에 하나 이상의 절개홈을 구성하여 삽입부(110) 하단(111) 내측둘레의 크기가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몸체(100)는 또 다른 실시 예로, 삽입부(110)의 내부로 골프공(300)이 끼워지면 삽입부(110)의 내면 중심과 삽입부(110)에 끼워진 골프공(300)의 상단 중심이 서로 접면되고, 골프공(300)의 외주면은 삽입부(110)의 내주면과 접면되며, 삽입부(110)의 하단(111) 내주면은 골프공(300)의 외주면에 가압력을 가지지 않은 상태로 접면된다. 이때 삽입부(110)에 끼워진 골프공(300)이 몸체(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삽입부(110)의 하단 내주면에 미끄럼방지부재(도면중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재는 삽입부(110)의 하단(111) 내주면에 환형을 이루는 연속적인 띠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이격되어 비연속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미끄럼방지부재는 예를 들면, 점착물질이 도포된 테이프 형태가 될 수 있으며,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탄성력을 가지는 작은 돌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몸체(100)의 삽입부(110) 하단(111)은 삽입부(110)의 내부로 끼워지게 되는 골프공(300)의 중심 선상을 넘지 않도록 구성되어 몸체(100)의 삽입부(110)에 끼워진 골프공(300)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삽입부(110)의 하단(111)이 골프공(300)의 중심 선상에서 대략 5mm 이내로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골프공(300)의 중심 선상에서 3mm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몸체(100)의 형상은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는 없지만 예시된 도 1 내지 도 2 에서와 같이 삼각형상을 포함하여 다각형의 형상이나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인물이나 사물 등의 캐릭터와 같은 특정 모양 및 기호나 숫자, 문자 등의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몸체(100)의 테두리 어느 한쪽에는 링이나 체인 또는 줄, 고리와 같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연결부재(113)가 고정될 수 있도록 연결공(112)이나 연결홈 등이 구성될 수 있어 몸체(100)를 연결부재로(113) 연결 시켜 옷이나 골프백 등에 걸어놓고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몸체(100)는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예를 들면 알루미늄소재로 다이케스팅하여 제작한 후 그 표면에는 부식방지 및 외관의 미려함을 위해 상기 몸체(100) 표면은 아노다이징 코팅층 또는 티타늄 코팅층 또는 세라믹 코팅층 또는 크롬 도금층 또는 증착층 또는 바렐 연마층 또는 샌딩 가공층 중 어느 하나가 도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0) 표면엔 바렐 연마층 또는 샌딩 가공층을 형성하여 다이케스팅 직후 표면 조도를 균일하게 처리한 후 상기 아노다이징 코팅층 또는 티타늄 코팅층 또는 세라믹 코팅층 또는 크롬 도금층 또는 증착층 중 어느 하나를 도포하여 구성함으로써, 장식적인 효과를 높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등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표면에 각종 광고문구나 도형 및 이미지가 인쇄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금속재질의 표면에 폴리싱 처리에 의한 광택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몸체(100)와 함께 골프공 라이너를 구성하는 마킹홈(200)은,
몸체(100)의 표면에 몸체(100)의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몸체(100)의 삽입부(110)로 끼워진 골프공(300)의 표면에 마킹펜을 이용하여 선을 그리기 위해 사용된다.
마킹홈(200)은 퍼팅라인의 정렬을 위해 골프공(300)의 표면을 따라 소정 길이의 만곡진 직선이 그려질 수 있도록 삽입부(110)의 중심 표면을 따라 만곡진 일자형의 제1홈(2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홈(210)의 길이는 반구형상인 삽입부(110)의 최상 표면 중심을 가로지르면서 다양한 길이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연속된 홈의 형태나,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동일 선상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제1홈(210)의 폭은 마킹펜의 심이 끼워져 삽입부(110) 내부에 위치한 골프공(300) 표면에 닿을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가진다.
마킹홈(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부(110)의 표면에 제1홈(210)만 구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퍼팅라인 정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2 에서와 같이 제1홈(210)에 대하여 수직으로 교차되며, 삽입부(110)의 최상 표면 중심을 가로지르는 제2홈(22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홈(220)은 제1홈(210)과 연통되면서 수직으로 직교하도록 가로질러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제1홈(210)을 사이에 두고 동일 선상에서 대향된 양쪽에 소정 간격 이격되는 한 쌍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삽입부(110)에 골프공(300)이 끼워져 결합 되면 전술한 마킹홈(200)을 통해 삽입부(110)에 끼워진 골프공(300)의 표면이 보이게 되고, 이러한 마킹홈(200)에 마킹펜의 심지를 삽입한 상태에서 마킹홈(200)을 따라 마킹펜을 이동시키면 마킹홈(200)의 형상에 따라 골프공(300)에 선이 그려지게 된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4 와 같이 마킹홈(200)인 제1홈(210)과 제2홈(220)의 길이방향 내면 하단(230)은 삽입부(110)의 내부로 끼워져 결합되는 골프공(300)의 표면에 접면하게 되는데, 이때, 제1홈(210)과 제2홈(220)의 길이방향 내면 하단(230)을 모따기 또는 라운드 처리를 하게 되면 제1홈(210)과 제2홈(220)의 길이방향 내면 하단(230)이 삽입부(110)로 끼워져 결합된 골프공(300)의 표면과 직접 닿지 않고 이격 됨에 따라 제1홈(210)과 제2홈(220)을 따라 마킹펜이 이동되면서 골프공(300)에 선이 그려지는 과정에서 마킹펜의 잉크가 제1홈(210)과 제2홈(220)의 가장자리에서 번지게 되어 골프공(300)의 표면에 선이 명확하지 못하게 그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공프공 라이너는 골프 라운드시 골프백 등에 휴대하다가 사용하기 위한 골프공에 라인을 그려야 하는 경우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몸체(100)의 표면에는 광고문구 등을 삽입하여 골프공 라이너를 공고 판촉용도로 활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골프공 라이너는 마킹홈(200)이 구비된 몸체(100)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골프공(300)이 포장되는 포장용기에 덮개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5 와 같이 복수의 골프공이 수납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공간부를 가지는 케이스(400)의 상단에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라이너의 몸체(100)가 결합되면서 덮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케이스(400)는 내부에 수용되는 골프공이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반투명 내지 불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400)와 덮개가 되는 골프공 라이너 몸체(100)의 결합방식은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케이스(400)의 상단 테두리에 끼움구(410)가 돌출 형성되고 골프공 라이너의 몸체(100) 테두리 저면에는 케이스(400)에 형성된 끼움구(410)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케이스(400)의 상단 테두리와 골프공 라이너의 몸체(100) 테두리 저면에 자석부재가 각각 서로 설치되어 자력을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몸체(100)가 자력에 반응하는 금속재질인 경우에는 케이스(400)의 상단 테두리에만 자석부재가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케이스(400)의 상단 외주면에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골프공 라이너의 몸체(100) 테두리에는 하향 돌출된 원형의 연장부(도면중 미도시)를 두고 그러한 연장부의 내주면에 전술한 수나사부와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케이스(400)와 몸체(100)가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는 골프공 라이너의 몸체(100) 저면 테두리에 하향 돌출된 원형 연장부를 형성하되 그러한 연장부의 외주면이 케이스(400)의 상단 내주면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라이너는 장식 또는 보관을 위하여 거치될 수 있는 스탠드(5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스탠드(500)는 일 예로 도 6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소정 길이와 소정의 폭을 가지는 수평한 받침부(510)와, 그러한 받침부(510)에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연장 형성되는 경사부(520)로 구성될 수 있고, 경사부(520)의 표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라이너의 몸체(100)에 형성된 삽입부(11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반구형의 돌출부(5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탠드(500)는 적절한 부위에 각종 광고문구 등이 형성되어 골프공 라이너와 함께 제공되면서 기념품 및 광고 판촉의 용도로도 사용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마킹홈(200)이 구비되는 반구 형태의 삽입부(110)가 돌출 형성된 몸체(100)로 골프공 라이너가 구성됨에 따라 골프공 라이너의 제작이 간단하고, 휴대가 간편하며, 골프공 라이너에 골프공(300)의 끼움과 분리가 간단해지면서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삽입부에 끼워진 골프공에 마킹홈을 통하여 마킹펜으로 선을 그릴 때 골프공(300)의 움직임이 방지되면서 선을 신속하게 번짐 없이 정확하게 그려줄 수 있는 골프공 라이너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사상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몸체 110 : 삽입부
111 : 하단 120 : 끼움홈
200 : 마킹홈 210 : 제1홈
220 : 제2홈 230 : 내면 하단
300 : 골프공 400 : 케이스
410 : 끼움구 500 : 스탠드
510 : 받침부 520 : 경사부
521 : 돌출부

Claims (16)

  1. 중심부에 반구형으로 상향 돌출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내부로 골프공이 끼워지면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과 상기 골프공의 외주면이 서로 접면되며, 상기 삽입부의 하단 내주면이 상기 골프공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삽입부에 상기 골프공을 고정시켜주는 몸체; 및
    상기 삽입부의 표면에 외주면을 따라 직선형태로 관통 형성되는 마킹홈이 포함되고, 수평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연장되는 경사부를 가지는 스탠드를 구성하되, 상기 경사부의 표면에는 상기 삽입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반구형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라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삽입부 하단 내주면에는 연속 또는 비연속적으로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라이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점착물질이 도포된 테이프 형태 또는 탄성력을 가지는 돌기의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라이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형은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또는 문자형 또는 기호형 또는 숫자형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라이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테두리에는 연결부재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연결공 또는 연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라이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링, 체인, 줄, 고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라이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삽입부의 하단은 상기 삽입부에 끼워지는 상기 골프공의 중심 선상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라이너.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삽입부의 하단이 상기 골프공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라이너.
  9.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금속재질로 구성되고, 표면은 아노다이징 코팅층 또는 티타늄 코팅층 또는 세라믹 코팅층 또는 크롬 도금층 또는 증착층 또는 바렐 연마층 또는 샌딩 가공층 중 어느 하나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라이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표면은 바렐 연마층 또는 샌딩 가공층을 형성한 후 아노다이징 코팅층 또는 티타늄 코팅층 또는 세라믹 코팅층 또는 크롬 도금층 또는 증착층 중 어느 하나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라이너.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금속재질로 구성되고, 표면은 폴리싱 처리에 의한 광택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라이너.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테두리 저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골프공이 수납되도록 소정 깊이의 공간부를 가지며 외면이 투명 또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 중 어느 하나인 케이스의 상단에는 상기 끼움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라이너.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홈은,
    상기 삽입부의 표면 중심 선상을 따라 연속되는 일자형의 제1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라이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홈은,
    상기 제1홈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제2홈이 구성되어 십자형을 이루며, 상기 제2홈은 상기 제1홈을 사이에 두고 동일 선상에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라이너.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홈은 길이방향으로 내면 하단이 모따기 또는 라운드 처리되어 상기 삽입부에 끼워지는 골프공의 표면과 상기 마킹홈의 내면 하단이 서로 접면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라이너.
KR1020160133613A 2016-10-14 2016-10-14 골프공 라이너 KR101820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613A KR101820279B1 (ko) 2016-10-14 2016-10-14 골프공 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613A KR101820279B1 (ko) 2016-10-14 2016-10-14 골프공 라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256A KR20160128256A (ko) 2016-11-07
KR101820279B1 true KR101820279B1 (ko) 2018-01-19

Family

ID=57529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3613A KR101820279B1 (ko) 2016-10-14 2016-10-14 골프공 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2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418B1 (ko) * 2018-09-28 2019-04-16 (주)대동몰드 골프공 라이너 형상의 뚜껑을 구비한 골프공 용기
KR20190082165A (ko) * 2017-12-26 2019-07-09 남재웅 골프공 마킹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405Y1 (ko) * 2017-01-10 2018-05-14 박인철 휴대용 골프공 마킹기구
KR200484971Y1 (ko) * 2017-06-27 2017-11-13 김성수 골프공 라이너
KR101966036B1 (ko) 2018-07-20 2019-04-04 장재훈 옥상 스틸 방수공법 및 그 방수공법에 의해 시공된 옥상 스틸 방수구조
KR102173120B1 (ko) * 2019-03-06 2020-11-02 정금혜 골프공 지지구
KR102074287B1 (ko) 2019-03-15 2020-02-06 주식회사 피지에스산업 복합 방수공법 및 그 공법에 따라 시공된 복합 방수구조
KR102226336B1 (ko) 2020-06-16 2021-03-10 박춘원 옥상 스틸 방수 통풍시스템
KR102228867B1 (ko) 2020-07-13 2021-03-17 주식회사 디자인루프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
KR102392205B1 (ko) 2020-12-09 2022-04-28 김재훈 단방향 쉐드 지붕의 결로 방지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554435B1 (ko) * 2021-03-10 2023-07-11 문태준 골프공 라이너
KR102485889B1 (ko) 2021-04-09 2023-01-06 심주영 건축구조물 크랙 보수방법
KR102345216B1 (ko) 2021-05-18 2021-12-30 박춘원 비노출식 스틸 방수자재 및 그를 포함하는 옥상 방수 구조체
KR102447732B1 (ko) 2022-03-25 2022-09-27 유오상 스틸 방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으로 시공된 방수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6587B1 (en) 1999-05-07 2001-04-17 Keith Foley Golf ball marking device
KR200253983Y1 (ko) * 2001-08-20 2001-12-01 임병모 골프공 가이드 라인 표시 도구
US20010053721A1 (en) * 2000-02-09 2001-12-20 Tyke Charles R. Golf ball marking guide
KR200363236Y1 (ko) 2004-06-24 2004-10-02 길근택 골프 볼 라이너
KR100621844B1 (ko) 2004-06-03 2006-09-14 장세창 골프공용 가이드 라인 표시구
KR200432354Y1 (ko) * 2006-07-22 2006-12-04 김진만 휴대성을 증진시킨 판촉용 골프공 라이너
AU2007100375A4 (en) 2007-05-17 2007-08-02 Chen-Chun Chen Ball Liner for Golf
KR101538160B1 (ko) 2013-12-12 2015-07-22 황일선 스탬프 기능을 구비한 골프공 라이너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6587B1 (en) 1999-05-07 2001-04-17 Keith Foley Golf ball marking device
US20010053721A1 (en) * 2000-02-09 2001-12-20 Tyke Charles R. Golf ball marking guide
KR200253983Y1 (ko) * 2001-08-20 2001-12-01 임병모 골프공 가이드 라인 표시 도구
KR100621844B1 (ko) 2004-06-03 2006-09-14 장세창 골프공용 가이드 라인 표시구
KR200363236Y1 (ko) 2004-06-24 2004-10-02 길근택 골프 볼 라이너
KR200432354Y1 (ko) * 2006-07-22 2006-12-04 김진만 휴대성을 증진시킨 판촉용 골프공 라이너
AU2007100375A4 (en) 2007-05-17 2007-08-02 Chen-Chun Chen Ball Liner for Golf
KR101538160B1 (ko) 2013-12-12 2015-07-22 황일선 스탬프 기능을 구비한 골프공 라이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165A (ko) * 2017-12-26 2019-07-09 남재웅 골프공 마킹장치
KR102031205B1 (ko) 2017-12-26 2019-10-11 남재웅 골프공 마킹장치
KR101969418B1 (ko) * 2018-09-28 2019-04-16 (주)대동몰드 골프공 라이너 형상의 뚜껑을 구비한 골프공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256A (ko) 2016-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279B1 (ko) 골프공 라이너
US6595128B2 (en) Golf ball stencil
US5393052A (en) Golfing device for divot repair/club holding/ball mark retention
US20090054178A1 (en) Multi-purpose golf accessory assembly
US20020139256A1 (en) Golf ball marking tool
US20100095858A1 (en) Golf Ball Marking Stencil and Method of Use
US9072952B2 (en) Golf putter grip
US9327176B1 (en) Golf putting training kit
US20160121180A1 (en) Divot repair tool
US5628694A (en) Training putter and rug
US9027474B2 (en) Marking device for golf balls
US20060035723A1 (en) Contrasting patterns on golf balls
WO2007023693A1 (ja) パタークラブおよびパタークラブ用のグリップ
US20230347219A1 (en) Multi-purpose golf tool
US20030109319A1 (en) Golf ball marker and method therefor
KR200474806Y1 (ko) 탈부착이 가능한 골프그립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골프장갑
KR20190130230A (ko) 골프공 라이너
JP2019521827A (ja) クリップ部を有するゴルフボールマーカー
US20130079173A1 (en) Dual Layer Golf Club Grip
US20180154228A1 (en) Golf accessory
KR200389857Y1 (ko) 골프볼 라이너 겸용 골프볼 케이스
KR20120005623U (ko) 볼 라이너를 구비한 디봇 제거기
JP3213900U (ja) ティー兼グリーンフォーク
KR200363277Y1 (ko) 골프공에 정렬라인을 그리는 골프공 라이너
US20140187341A1 (en) Tool for Putting Practice with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