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682Y1 - 골프공 선 긋는 장치 - Google Patents

골프공 선 긋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682Y1
KR200460682Y1 KR20080000816U KR20080000816U KR200460682Y1 KR 200460682 Y1 KR200460682 Y1 KR 200460682Y1 KR 20080000816 U KR20080000816 U KR 20080000816U KR 20080000816 U KR20080000816 U KR 20080000816U KR 200460682 Y1 KR200460682 Y1 KR 2004606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golf ball
drawer
pin body
line dra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00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7437U (ko
Inventor
민-시엔 성
Original Assignee
민-시엔 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시엔 성 filed Critical 민-시엔 성
Priority to KR200800008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682Y1/ko
Publication of KR200900074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4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6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6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5/00Apparatu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balls
    • A63B45/02Marking of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공 선 긋는 장치로서, 빠르게 핀 본체를 열고 닫는 것으로 골프공을 골프공 선 긋는 기구 내에 넣을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가지고 있다. 핀 본체는 골프공 선 긋는 기구에 결합된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고 하나의 탄성부품을 가지고 있어 이 탄성부품을 이용하여 핀 본체에 눌러 제어하는 힘이 생기게 하여, 골프공 선 긋는 기구의 안에 있는 골프공이 골프공 선 긋는 기구의 내측면에 긴밀히 붙게 되어 힘을 받아도 회전하거나 위치가 변경되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선을 긋기가 편리하며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정확하게 각 골프공 위의 참고 기준선, 골프공 몸체 제조의 봉합선 혹은 중심 주위의 선을 그을 수 있어 골프공을 치는 사람이 골프공을 치기 전에 정확한 판단을 하는데 참고가 된다. 
골프공, 핀 본체, 선 긋는 기구, 탄성부품, 연결부, 연결축

Description

골프공 선 긋는 장치{line drawing device for golf ball}
본 고안은 골프공 선 긋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골프공 선 긋는 기구를 골프공 몸체를 당겨 누르는 핀 본체와 결합시켜 조작자가 신속하게 골프공 몸체에 선을 그릴 수 있는 골프공 선 긋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프는 기술을 측정하는 운동인데 그 기술의 관건은 공을 칠 때 공 몸체가 골프채 머리에 맞는 순간의 각도가 예정된 방향과 일치하는가에 달려 있다. 만약 약간이라도 편차가 발생하면 공이 나아가는 방향이 어긋나게 되어 예정된 낙차점에 편차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공의 구조, 공을 치는 점의 위치,각도,방법에 대해 매번 칠 때마다 반드시 완벽하도록 노력을 해야하는데 과학적인 방식으로 각종 공을 치는 참고치를 계산해 낼 수 있어 이를 이용하면 정밀하고도 정확한 골프의 기교를 배울 수 있다.
종래의 골프공 선 긋는 기구는 중화민국 특허공고 제M272563호의「골프공 선 긋는 기구」로 이 골프공 선 긋는 기구의 결점은 윗 덮개와 구형 아래 베이스가 거의 완전히 골프공의 바깥측을 덮어 사용자가 덮여있는 골프공을 쉽게 볼 수 없어 선을 그을 때 골프공 몸체의 적당한 구역을 선택할 수가 없고, 골프공 몸체 표면에 그려진 도안이 그리려는 측선을 모호하게 만들어 조작이 상당히 쉽지 않으며, 많은 시간을 낭비하게 된다. 또한 이 고안은 윗 덮개와 아래 베이스의 연결부에 스프링을 이용하여 핀 부품과 배합해 열리고 닫는 작동을 통제하는데, 제조 혹은 사용방면에서 모두 번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며 또한 닫힌 후 골프공이 여전히 외부 힘을 받아 회전하게 되어 그리려는 선이 굽어지게 되어 선을 그리는 동작을 쉽게 완성하기 어렵다.
한편, 중화민국 특허공개 제200727946호의「골프공 선 긋는 기구」는 골프공에 주변선을 그리는 것만 제공하여 다수의 선을 공 몸체에 응용할 수가 없고, 또한 이 골프공 선 긋는 기구의 수납구멍은 골프공에 대해 위치를 고정하는 작용을 발생시키지 않아 사용자가 선을 그릴 때 쉽게 골프공 몸체가 위치 이동하여 그리는 선이 서로 연결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미국출원 제11/742,805호「골프공 선 긋는 기구」는 골프공 표면에 여러 가닥의 주변선을 그리는 기구이다. 이 고안은 본 고안의 고안자가 이전에 신청한 것으로 고안자가 생각하기에 그 핀 줄이 실제 조작에서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많고, 특히 결합부와 뚫음 구멍의 배합에서 이 결합부와 뚫음 구멍이 분리될 때, 먼저 이 결합부를 눌러 견제해야 하는데 가장 큰 폭도 뚫음 구멍의 폭보다 작아야만 이 결합부를 벗어날 수 있고 핀 줄이 벗겨지거나 혹은 상반된 과정을 통해 원래의 위치로 고정되는데, 이러한 방식은 반복적으로 결합부를 눌러야 하기 때문에 조작에서 단계적인 장애가 생겨 순조롭지 못하고 시간도 많이 소비되며 이렇게 하여 결합부가 뚫음 구멍에 대해 쉽게 느슨해지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또한 골프공을 치는 면은 골프공이 날아갈 비행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외에 골프공의 중심위치 역시 비행하는 거리와 나아가는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데, 전술한 상황은 골프채를 휘두르는 속도가 느려질 경우 중심위치가 골프공의 측선보다 높아지게 되어 골프공이 굴러갈 때 중력의 영향을 받아 골프공의 경로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며 예정하는 경로와 어긋나게 되어 연습자 혹은 선수의 매번 승부의 관건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본 고안자는 사용상의 경험을 통해 상술한 문제를 극복하고 사용자가 빠른 속도로 골프공을 골프공 선 긋는 기구에 넣을 수 있게 하며 골프공을 조정하는 데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골프공 선 긋는 기구를 핀 본체와 결합하여 골프공 선 긋는 장치를 고안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하나의 호선형을 가지는 핀 본체를 포함하며, 이 핀 본체는 하나의 축구멍, 적어도 하나의 돌출조각, 하나의 탄성부품, 하나의 손잡이 부분, 하나의 연결부와 하나의 누름견제부를 가지며, 그중 이 탄성부품은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술한 돌출조각을 위에서 눌러 핀 본체에 아래로 누르는 힘을 발생하고, 골프공 선 긋는 기구에 들어간 골프공을 잡아 골프공의 위치고정 기능에 도달하며 또는 탄성부품을 아래로 누른 핀 본체의 돌출조각에 맞대게 하여 핀 본체가 위를 향해 열린 상태가 되게 유지한다. 또한 손잡이 부분은 사용자가 쉽게 핀 본체의 위치를 통제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튀어나온 돌출부분을 증가시키고 또 그 표면에 미끄럼 방지 무늬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잡기에 편하게 한다.
본 고안을 통해 핀 본체는 골프공 선 긋는 기구와 결합해 사용자가 이 핀 본체를 이용하기만 하면 빠른 속도로 골프공의 골프공 몸체를 넣거나 끄집어낼 수 있어 대폭적으로 조작의 번거로움을 저하시킨다.
또한 종래의 기술보다 소량의 재료를 사용하여 재료로 인해 지출되는 원가를 절감하며 사용자가 즉시로 골프공 몸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고정적으로 주변선을 그리게 되며 따라서 골프공 몸체가 마음대로 회전하지 않으며 즉시 그리는 선을 중단해도 사용자가 여전히 중단된 곳에서 작업이 가능하여 선이 불연속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한편 본 고안은 결합부품으로 핀 본체와 골프공 몸체 선 긋는 기구를 결합하지 않아 다단계 조작과정이 필요 없으며 핀 본체만으로도 조작이 순조롭고 막힘이 없어 반복사용으로도 느슨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탄성부품으로 핀 본체의 한쪽 단의 돌출조각을 밀어 견제하며 핀 본체의 다른쪽 단은 아래로 누르게 되어 안정적으로 골프공의 골프공 몸체를 끼워 집을 수 있고, 만약 선 그리는 위치를 조정하고자 할 때는 사용자가 위를 향해 핀 본체를 건드리기만 하면 골프공 몸체가 즉시 회전하게 되어 핀 본체와 골프공 몸체의 위치고정 조작이 매우 간단하면서도 정확하다.
또한 일반적인 골프공은 그 무게중심이 완전하게 중심위치에 있지 않은데 본 고안은 골프공 몸체의 무게중심을 측량한 후에 즉시 이 무게중심의 위치를 본 고안의 골프공 선 긋는 기구에 대입하여 무게중심 주변선을 골프공 치는 방향의 방향 인도선으로 그리게 하여 정밀하게 골프공을 통제하여 무게중심의 저하로 인해 발생하는 영향을 줄인다.
또한 본 고안은 현재 골프공의 봉합선이 있는 곳에 선을 그리는데 이는 골프공 몸체의 봉합선을 둥근 몸체 선 긋는 자에 맞추어 사용자가 그 측변에서 골프공 몸체의 봉합선에 선을 그려 방향 인도선을 형성하고 이로써 골프공을 칠 때 골프공 의 봉합선을 방향 인도선으로 하여 골프공을 칠 방향선으로 겨누면 골프공이 굴러 나아갈 때 양측의 무게중심이 평형을 이루어 경로가 어긋나지 않게 된다. 나아가 핀 본체와 골프공 선 긋는 기구의 적당한 위치에 기호를 설치하여 골프공의 무게중심의 상관위치가 이 기호에 대응되게 놓아 골프공에 각각 대응되는 선을 그리는데 편리하게 한다.
한편, 본 고안의 핀 본체와 골프공 선 긋는 기구는 골프공 몸체를 잡고 있을 때 그 끼워 잡히는 전단과 골프공의 둥근 몸체 선 그리는 자 사이에 거리간격을 두어 사용자가 둥근 몸체의 선 긋는 자로 골프공에 선을 그을 때 펜의 끝부분이 직접 이 빈틈을 따라가게 하여 선을 긋는 동작이 중단되지 않으며 한번에 직접 거의 원주에 가까운 선을 그리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연습장에서 연습하는 사용자에게도 편리한데 골프공과 골프채 머리가 접촉하는 면의 방향을 겨누는 연습을 할 수 있고, 이렇게 하여 골프채 머리와 골프공이 접촉하는 각도문제를 해결한 후, 사용자 스스로 검시하는데 편리하며 자신이 골프채를 휘두를 때 기타 다른 문제가 있는지를 생각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본 고안은 보조 교재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가지 우수점에 근거하여 진일보한 이해를 돕기 위해 아래 실시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 예시한 것은 본 고안의 골프공 선 긋는 기구(2)와 핀 본체(1)의 입체분해도로서, 핀 본체(1)는 골프공 선 긋는 기구(2)에 결합되어 있으며, 핀 본 체(1)는 호선형을 나타내고, 하나의 축구멍(10), 적어도 하나의 돌출조각(11), 하나의 손잡이 부분(12), 하나의 누름견제부(13), 하나의 탄성부품(14)과 하나의 연결부(15)를 포함하며, 상기 축구멍(10)은 핀 본체(1)의 한쪽 단에 설치되며, 상기 돌출조각(11)은 핀 본체(1)의 한쪽 단에 설치되고 축구멍(10)에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 부분(12)은 핀 본체(1)에 설치되고 축구멍(10) 위치의 다른 한쪽 단에 대응하게 위치하며, 상기 누름견제부(13)는 핀 본체의 호선형으로 정의되며, 핀 본체(1)의 중앙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연결부(15)는 하나의 홈형 본체(151)와 하나의 연결축(152)을 포함하는데, 그중 홈형 본체(151)는 하나의 열린 입구(1511), 하나의 아래 베이스(1512)와 적어도 하나의 주변 벽(1513)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상술한 아래 베이스(1512)와 주변 벽(1513)의 조합으로 하나의 공간(S)을 형성하며 그중 주변 벽(1513)은 한 쌍의 대칭되는 연결구멍(1514)을 포함하는데, 상기 연결축(152)을 핀 본체의 축구멍(10)과 연결구멍(1514)에 뚫고 설치하여 핀 본체(1)와 연결부(15)가 서로 연결을 형성하게 되며, 또한 상기 탄성부품(14)은 상술한 공간(S)의 아랫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아래 베이스(1512)에 이웃하여 탄성부품(14)이 탄력으로 상술한 돌출조각(11)을 맞대게 밀어 이로써 핀 본체(1)가 열고 닫히는 동작을 할 때 누름견제의 힘이 발생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술한 연결부(15)는 골프공 선 긋는 기구(2)에 연결되어 핀 본체(1)가 골프공 선 긋는 기구(2)에 대응되어 회전하고 돌출조각(11)이 축 구멍(10)의 외부둘레에 설치되어 핀 본체(1)가 골프공 선 긋는 기구(2)에 덮여질 때 탄성부품(14)이 돌출조각(11)을 왼쪽으로 밀어 견제하여 핀 본체(1)에 아래로 밀어 견제하는 힘을 발생시키고(여기서 서술하는 방향은 도면에서 표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이로써 골프공(G)을 잡아둔다.
또한 손잡이 부분(12)은 사용자가 핀 본체(1)의 작동을 편리하게 조작하게 하는 것인데, 사용자가 핀 본체(1)를 열려고 할 때 조금만 이 손잡이 부분(12)을 건드리기만 하면 바로 핀 본체(1)를 열 수 있다.
한편, 핀 본체(1)의 호선형 연결단의 한 측면을 조금 크게 설계하여 여기에 축 구멍(10)을 설치하여 핀 본체(1)의 탑재 외력을 증가할 수 있으며, 또한 핀 본체(1)의 한쪽 단의 또 다른 측면에도 호선형(18)으로 하여 핀 본체(1)의 한쪽 측면의 호선형(18)이 연결부에 연결될 때 핀 본체(1)의 회전으로 열고 닫기에 더욱 순조롭다.
또한, 핀 본체(1)를 골프공 선 긋는 기구(2)에 덮을 때, 누름견제부(13)는 내부의 골프공(G)을 눌러 골프공(G)이 눌려져 안정적으로 골프공 선 긋는 기구(2)에 맞대게 된다. 또한 누름견제부(13)는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견제방지부(131)와 결합하여 핀 본체(1)가 아래로 눌려질 때 견제방지부(131)와 골프공(G)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잡는 힘을 제고하게 된다.
또한, 손잡이 부분(12)은 핀 본체(1)에서 돌출되어 튀어나오며, 핀 본체(1)의 말단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잡을 때 편리하게 하며, 또한 전술한 돌출부분에는 미끄럼 방지무늬(121)를 설치하여 이 미끄럼 방지무늬(121)로 사용자와 접촉하는 마찰력을 증가시키고 사용자가 장갑을 끼고 있거나 혹은 땀이 많이 났을 때도 여전 히 순조롭게 조종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리함을 제고한다.
또한, 골프공 선 긋는 기구(2) 내에 골프공(G)이 들어가지 않았을 때 부당한 조작 혹은 누름을 방지하기 위해 핀 본체(1)와 골프공 선 긋는 기구(2)가 서로 부딪혀 손상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핀 본체(1)의 부근 축구멍(10) 한 측에 돌출되게 하나의 막음조각(16)을 설치하여 핀 본체(1)가 골프공 선 긋는 기구(2)에 접근하여 일정한 거리에 도달했을 때 이 막음조각(16)이 연결부(15)의 주변 벽(1513)의 윗부분에 맞대어 핀 본체(1)와 골프공 선 긋는 기구(2)가 서로 충돌하여 부딪히지 않게 된다.
도 3,4를 참고하면, 탄성부품(14)은 스프링 혹은 탄성조각, 탄성체 등으로 핀 본체(1)가 골프공(G)을 덮고 있을 때 이 탄성부품(14)이 돌출조각(11)을 밀어 움직이고 핀 본체(1)에 아래로 밀어 견제하는 힘을 발생시키며, 이로써 골프공(G)을 안에 끼우는데, 그중 본 실시예 중에서는 탄성부품(14)으로 U자형 탄성조각을 채용하며, 이 U자형 탄성조각으로 된 탄성부품(14)을 공간(S)의 하방에 놓고 아래 베이스(1512)와 인접하게 하며 돌출조각(11)의 측변에 근접시키면 연속적으로 고저의 차이가 나는 호선면이 생기는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핀 본체(1)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전환할 때 돌출조각(11)이 탄성부품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며, 탄성부품의 낮은 곳 호선면으로부터 높은 곳의 호선면으로 미끄럼 이동하고, 돌출조각(11)이 연속적인 고저 차이가 나는 호선면의 가장 높은 지점에 위치할 때 탄성부품이 위를 향해 돌출조각(11)을 밀어 올려 핀 본체(1)에 아래를 향하는 힘을 발생시켜 골프공을 끼우는 목적에 도달한다.
반대로, 핀 본체를 위를 향해 열 때는 핀 본체 말단부의 돌출조각(11)이 U자형 탄성조각으로 된 탄성부품(14)으로부터 탄성부품의 표면의 고저 차이가 나는 호선면의 높은 곳으로부터 낮은 곳으로 미끄럼 이동하고, 돌출조각(11)이 탄성부품(14)의 견제를 받게 되고, 핀 본체 말단부의 한 측면이 홈형 본체(151)의 주변 벽(1513)에 밀려 열림상태가 형성된다.
상술한 탄성부품(14)은 탄성을 가진 고무재질(도 5,6을 참고)을 채용하는데, 탄성고무는 하나의 입체 고무조각이며 그 표면의 한 측에는 고저차이가 나는 연속 호선면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하게 하고 핀 본체(1)가 열림상태에서 닫힘상태로 전환하고자 할 때 돌출조각(11)이 탄성고무의 표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고 탄성고무의 낮은 곳 호선면으로부터 높은 곳 호선면으로 미끄럼 이동하고, 돌출조각(11)이 연속적으로 고저 차이가 나는 호선면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할 때, 탄성고무가 위로 밀려져 돌출조각(11)을 견제하게 되어 핀 본체(1)에 아래를 향해 미는 힘이 생기게 된다.
반대로 핀 본체가 위로 열려지면 핀 본체(1) 말단부의 돌출조각(11)이 탄성부품(14)으로부터 탄성부품 표면의 고저 차이가 나는 호선면의 높은 곳으로부터 낮은 곳으로 미끄럼 이동하고, 돌출조각(11)이 탄성부품(14)의 견제를 받게 되고, 또한 핀 본체 말단부의 한 측면이 홈형 본체(151)의 주변 벽(1513)을 밀어 견제하여 열림상태가 형성된다.
도 7,8,9에서 예시한 것은 본 고안의 골프공 선 긋는 기구(2)와 핀 본체(1)의 또 다른 실시예인데, 핀 본체(1)는 호선형을 나타내며, 하나의 축 구멍(10)을 포함하는데, 이 축 구멍은 핀 본체(1)의 한쪽 말단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조각(11)은 핀 본체(1)의 한 말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축 구멍(10)에 인접하며, 하나의 손잡이 부분(12)은 핀 본체(1)의 다른 한쪽 말단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핀 본체를 조종하는데 제공되며, 하나의 누름견제부(13)는 상술한 호선형으로 정의되며 핀 본체(1)의 중앙에 위치한다.
연결부(15)는 하나의 홈형 본체(151), 하나의 연결축(152)을 포함하는데, 홈형 본체(151)는 하나의 열린 입구(1511), 하나의 아래 베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주변 벽(1513)을 포함하고, 하나의 공간(S)을 정의하며, 주변 벽(1513)은 한 쌍의 대칭되는 연결구멍(1514)을 포함하는데, 그중 연결축(152)이 뚫고 설치되는 핀 본체(1) 한쪽 단의 축 구멍(10)은 홈형 본체(151)의 연결구멍(1514)에 있게 되어 교접상태가 형성되며, 하나의 탄성부품(14)은 홈형 본체(151) 상기 공간(S)의 아랫부분에 설치된다.
골프공 선 긋는 기구(2)는 하나의 둥근 몸체 선 긋는 자(20), 하나의 제1호선형 선 긋는 자(21), 하나의 제2호선형 선 긋는 자(22)와 하나의 제3호선형 선 긋는 자(23)를 포함하는데, 상기 연결부(15)는 둥근 몸체 선 긋는 자(20)에 연결되고, 도 1에서와 같이 연결축(152)은 홈형 본체(151) 옆의 연결구멍(1514)에 뚫고 설치되어 교접상태가 완성된다.
제1호선형 선 긋는 자(21)는 둥근 몸체 선 긋는 자(20)의 한 측에 설치되며, 그 설치되는 위치는 둥근 몸체 선 긋는 자(20)의 직경보다 크지 않는 게 좋다. 제2호선형 선 긋는 자(22)의 한쪽 단은 상술한 제1호선형 선 긋는 자(21)의 중앙부에 뚫고 들어가 연결설치되며, 다른 한쪽 단과 둥근 몸체 선 긋는 자(20)의 한 측이 연결되고, 또한 제1호선형 선 긋는 자(21)와 제2호선형 선 긋는 자(22)는 서로 수직상태를 나타내며, 또한 제3호선형 선 긋는 자(23)의 한쪽 단과 둥근 몸체 선 긋는 자(20)의 한 측은 연결되며, 다른 한쪽 단은 제1호선형 선 긋는 자(21)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제3호선형 선 긋는 자(23)와 제1호선형 선 긋는 자(21)는 서로 수직되며, 제3호선형 선 긋는 자(23)는 제2호선형 선 긋는 자(22)와 직선관계 혹은 평형관계를 나타낸다.
상술한 둥근 몸체 선 긋는 자(20), 제1호선형 선 긋는 자(21), 제2호선형 선 긋는 자(22)와 제3호선형 선 긋는 자(23)는 둥근 몸체 선 긋는 자(20)와 하나의 수납공간(27)을 정의하여 골프공이 들어오게 하고 이로써 사용자가 선을 그리는 작업을 진행하게 하며, 한 번에 여러 가닥의 주변선을 그릴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하게 되며 제1호선형 선 긋는 자(21)가 그린 골프채 머리면 기준선(4)이 시각적으로 골프공의 구면의 한 측으로 기울게 되어 골프채를 조작할 때 골프채 머리면 기준선(4)과 골프공에 맞추는 선의 거리가 비교적 가까워져 눈으로 겨누는 데 있어 유리하다.
전술한 골프공 선 긋는 기구(2)는 나아가 하나의 제4호선형 선 긋는 자(24)와 결합하는데, 제4호선형 선 긋는 자(24)의 양단은 둥근 몸체 선 긋는 자(20)의 양측에 결합되고, 제4호선형 선 긋는 자(24)의 중앙은 제2호선형 선 긋는 자(22)와 수직 결합하고, 제4호선형 선 긋는 자(24)의 원주는 둥근 몸체 선 긋는 자(20)와 동일하며 이로써 들어간 골프공(G)의 안정성을 높이고 다른 선을 그리는 자의 용도 로 쓰이게 된다.
또한 전술한 둥근 몸체 선 긋는 자(20)와 연결부(15)의 결합은 일체성형(도 10을 참고)인데 이로써 제조가 편리한 장점을 가지며 혹은 상감(도 1 참고), 납땜, 붙임 등 기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도 11에서 예시한 대로 둥근 몸체 선 긋는 자(20)는 사용자가 골프공(G)의 표면에 360도로 지평선(7)을 그을 수 있게 하고, 골프공을 칠 때 신속하게 지평선과 잔디밭 표면이 상호 평형을 이루었는지를 눈으로 가늠하게 해주며, 이렇게 하여 골프공을 치려는 방향 인도선의 정밀한 측량과 조정을 하여 공을 치는 자가 정확하게 골프공을 칠 수 있게 하며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골프공의 봉합선에 360도 주변선을 그리게 하여 공을 치는 방향 인도선으로 하고 공을 치는 사람이 정확하게 골프공의 무게중심의 평형을 통제하여 실수를 줄이게 한다.
도 12,13에서 예시한 대로 각 골프공(G)의 무게중심이 동일한 위치에 있지 않은데 어떤 것은 중심에 있고 어떤 것은 중심위치에서 벗어난 곳에 있어 만약 잘 모르는 상황에서 선을 그리게 되어 도리어 선을 그린 후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먼저 골프공을 밀도가 골프공보다 높은 액체, 예를 들어 소금물 같은 데에 넣으면 중력의 영향을 받아 골프공의 무게중심이 정 하방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다만 이 액체면에 떠오른 골프공 표면에 무게중심과 서로 대응되는 기호(GL)를 그리기만 하면 이 기호(GL)에 의해 골프공의 무게중심 위치를 찾을 수 있고, 그에 대응되게 골프공 몸체에 돌아가며 주변선을 그리면 된다. 예를 들어 이 골프공(G)을 골프공 선 긋는 기구(2)의 수납공간(27)에 넣고 손가락을 이용해 골프 공 선 긋는 기구(2)의 각 새김처에 이 골프공을 회전시켜 가장 적합한 선 그릴 위치를 조정하고 다시 핀 본체를 당겨 공을 고정한다.
나아가 도 13과 배합해 무게중심과 서로 대응되는 한 면의 기호(GL)를 찾아내어 핀 본체(1)에 설치한 기호(17)와 둥근 몸체 선 긋는 자(20)의 기호(25)에 배합되게 적어도 하나의 기호(GL1)를 그리며, 다시 골프공 선 긋는 기구(2)의 다른 한 면을 뒤집어 먼저 골프공(G)의 다른 한 면에 제2호선형 선 긋는 자(22)의 제2도랑홈(221)과 제3호선형 선 긋는 자(23)의 제3도랑홈(231)을 이용해 골프공 몸체의 다른 한 측에 180도로 주변선을 그린다(도 12를 참고). 다시 핀 본체를 열어 골프공 구면을 회전하고 상술한 기호(GL,GL1) 중 적어도 두 점을 제2호선형 선 긋는 자(22)의 제2도랑홈(221)과 제3호선형 선 긋는 자(23)의 제3도랑홈(231)에 맞추어 핀 본체를 닫아 다른 한 면의 180도 무게중심의 둘러싸는 주변선을 그린다. 이렇게 하여 골프공(G)의 무게중심은 이미 360도의 방향 인도선(5)으로 표시되고 이로써 공을 치는 사람이 이 방향 인도선(5)을 이용해 골프공을 겨누고 잔디밭의 표면에서 쳐내는 안정성을 얻게 되어 홀에 골프공을 넣는 정확도를 높이게 된다.
도 8을 참고하면, 이밖에 제1호선형 선 긋는 자(21)는 제1도랑홈(211)을 포함하고, 제2호선형 선 긋는 자(22)는 나아가 제2도랑홈(221)을 포함하며, 제3호선형 선 긋는 자(23)는 제3도랑홈(231)을 포함하는데, 상술한 각 도랑홈을 통해 펜 끝부분(W)이 직접 공의 표면과 접촉하여 이로써 사용자가 선을 긋게 되며 동시에 선을 그을 때 어떠한 편차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제2도랑홈(221)에 그린 선과 제3도랑홈(231)에 그린 선이 직선관계를 나타내어 사용자가 이 그려진 선에 의거해 측량을 진행하며, 또한 각 도랑홈이 긴 선 모양을 드러내며, 제1도랑홈(211)과 제2도랑홈(221)은 연통되어 선이 연결된다. 한편 제2호선형 선 긋는 자(22)에는 두 개의 서로 대응되는 결손입구(222)가 설치되며 이 결손입구(222)는 제4호선형 선 긋는 자(24)와의 교접부에 위치하여 이로써 제4호선형 선 긋는 자(24)가 그린 두 가닥의 선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하여 눈으로 선 위치의 비교대조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4에서 예시한 것은 골프공 선 긋는 기구의 사용방식으로서, 골프공(G)의 위치를 조정한 후 필기도구로 제1호선형 선 긋는 자(21) 내의 제1도랑홈(211)을 따라 가면 즉시 시각상 골프공의 구면의 한 측을 향해 치우친 골프채 머리면 기준선(4)을 그릴 수 있게 되며, 골프공을 칠 때 기준선(4)과 골프채의 머리면이 평행으로 근접하여 쉽게 골프채의 머리가 골프공에 맞는 면의 기준선(4)이 상호 평행을 이루고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되어 골프채 머리에 골프공이 맞는 면이 정확한 각도로 골프공을 때리게 한다. 다시 펜 끝부분을 제2호선형 선 긋는 자(22)와 제3호선형 선 긋는 자(23)의 제2,3도랑홈(221,231)에 넣어 따라가면, 방향 인도선(5)을 그릴 수 있어 홀 방향을 맞출 수 있고 골프공을 칠 때 명확하게 골프공 몸체가 굴러가는 방향이 정확한지 어긋나는 지를 볼 수 있게 된다.
핀 본체(1)는 둥근 몸체 선 긋는 자(20)와 완전히 접합되지 않고 도 2에서와 같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는데, 고로 사용자가 이 둥근 몸체 선 긋는 자(20)를 따라 선을 그릴 때 그 그리는 펜 끝부분이 순조롭게 지나갈 수 있어 거의 완벽하게 둘레를 따른 선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제4호선형 선 긋는 자(24)는 골프공(G)에 하나의 호선(6)을 그리는 데, 이 호선(6)과 전술한 방향 인도선(5)은 십자선 교차점(65)을 가지는데, 이 십자선 교차점은 방향 인도선(5)의 정 중심이고 이 교차점의 위치는 골프공의 정중앙에서 위를 향하고 있어 골프공(G)이 잔디밭에 있을 때 각 선의 기호가 평형을 이루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 호선(6)은 다른 한 기준선이 되기도 하는데 기타 기능은 전술한 기준선(4)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부연설명하지 않는다.
도 15를 참고하면, 이는 본 고안의 골프공의 골프공 몸체에 선을 완성한 후의 개략도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골프공을 치는 사람이 골프공 선 긋는 기구를 이용해 골프공 몸체의 표면에 여러 축의 선을 그린 후, 골프공을 잔디밭에 놓을 때 골프공을 치는 사람이 골프공 표면에 그린 지평선(7)이 지면과 평행을 이루는지를 통해 만약 지평선(7)과 잔디밭이 평행이면 구체의 방향 인도선(5)이 정확하게 판단된 것이고, 골프공을 치는 사람이 골프채의 머리를 골프공의 한 측면에 겨눌 때 다시 골프채 머리의 공이 맞는 면이 기준선(4)과 평행상태를 나타내는지 보고 만약 평행상태이면 골프공을 치는 사람이 방향 인도선(5)을 겨누어 골프공 몸체를 홀 구멍에 밀어 넣으면 되어 골프공 몸체가 홀 구멍을 향해 굴러가는 경로에서 그 방향 인도선(5)을 따라 골프공이 나가서 구르는 경로가 어긋나지 않는지를 볼 수 있다. 따라서 골프공 몸체의 표면에서 그린 기준선(4), 방향 인도선(5)과 지평선(7)은 눈으로 골프공 위치와 골프채를 휘두르는 각도를 측량할 수 있게 해 준다.
본 고안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빠르게 골프공 선 긋는 기구로 완벽한 선을 그릴 수 있어 조심스럽게 골프채를 휘두르는 처음 배우는 이들에게 상당히 도움이 된다.
첨부한 도면은 본 고안 실시예에 속하는 것으로 이 범위에 기준한 어떠한 수식이나 변화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입체 분해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작동 개략도.
도 3과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작동 개략도의 국부 확대도.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 작동 개략도의 국부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 실시예의 골프공 선 긋는 기구의 입체도.
도 8은 본 고안 실시예의 골프공 선 긋는 기구의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 실시예의 부품 분해측면도.
도 10은 본 고안 실시예의 골프공 선 긋는 기구의 측면도.
도 11은 본 고안 실시예의 골프공 선 긋는 기구로 360도 지평선을 그리는 개략도.
도 12는 본 공안 실시예의 골프공 선 긋는 기구로 선을 그리는 개략도.
도 13은 본 고안 실시예의 골프공이 끼어 있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본 고안 실시예의 골프공 선 긋는 기구로 선을 그리는 개략도.
도 15는 본 고안의 골프공에 선 긋기가 완성된 것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G:골프공 GL,GL1:기호
S:공간 W:펜 끝부분
1:핀 본체 10:축 구멍
11:돌출조각 12:손잡이 부분
121:미끄럼방지 무늬 13:누름견제부
131:견제방지부 14:탄성부품
15:연결부 151:홈형 본체
1511:열린 입구 1512:아래 베이스
1513:주변 벽 1514:연결구멍
152:연결축 16:막음조각
17:기호 18:호선형
2:골프공 선 긋는 기구 20:둥근 몸체 선 긋는 자
21:제1호선형 선 긋는 자 211:제1도랑홈
22:제2호선형 선 긋는 자 221:제2도랑홈
222:결손입구 23:제3호선형 선 긋는 자
231:제3도랑홈 24:제4호선형 선 긋는 자
25:기호 27:수납공간
4:기준선 5:방향 인도선
6:호선 65:십자선 교차점
7:지평선

Claims (10)

  1. 하나의 핀 본체와, 하나의 연결부와, 하나의 골프공 선 긋는 기구, 하나의 탄성부품을 포함하되,
    상기 핀 본체는 호선형을 나타내며, 하나의 축 구멍, 적어도 하나의 돌출조각, 하나의 손잡이 부분, 하나의 누름견제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축 구멍은 핀 본체의 한쪽 말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돌출조각은 핀 본체의 한쪽 말단부에 설치되며 축 구멍과 인접하고, 상기 손잡이 부분은 핀 본체의 다른 한쪽 말단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핀 본체를 조종하는데 제공되며, 상기 누름견제부는 핀 본체의 중앙에서 호선형을 나타내며,
    상기 연결부는 하나의 홈형 본체, 하나의 연결축을 포함하는데, 상기 홈형 본체는 하나의 열린 입구, 하나의 아래 베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주변 벽 및 하나의 공간을 나타내며 상기 주변 벽은 한 쌍의 연결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축은 상기 핀 본체 한쪽 단의 축 구멍을 이용해 상기 홈형 본체의 연결구멍에 뚫고 설치되어 교접상태를 형성하며,
    상기 골프공 선 긋는 기구는 상기 연결부의 한쪽 측과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품은 홈형 본체의 공간의 아랫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핀 본체의 돌출조각이 상기 탄성부품과 맞대어져 이 탄성부품의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돌출조각을 견제하며, 이로써 핀 본체로 열고 닫는 동작을 행할 때 핀의 누름견제 힘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선 긋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 본체의 한쪽 단 측면이 호선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선 긋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품은 U자형 탄성조각 또는 탄성고무이며, 이 탄성부품의 한 측은 고저차이가 나는 연속 호선면을 나타내는 골프공 선 긋는 장치.
  4. 하나의 핀 본체와, 하나의 연결부와, 하나의 골프공 선 긋는 기구, 하나의 탄성부품을 포함하되,
    상기 핀 본체는 호선형을 나타내며, 하나의 축 구멍, 적어도 하나의 돌출조각, 하나의 손잡이 부분, 하나의 누름견제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축 구멍은 핀 본체의 한쪽 말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돌출조각은 핀 본체의 한쪽 말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축 구멍과 인접하고, 상기 손잡이 부분은 핀 본체의 다른 한쪽 말단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이 핀을 조종하는데 제공되며, 상기 누름견제부는 핀 본체의 중앙에서 호선형을 나타내며,
    상기 연결부는 하나의 홈형 본체, 하나의 연결축을 포함하는데, 상기 홈형 본체는 하나의 열린 입구, 하나의 아래 베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주변 벽 및 하나의 공간을 나타내며, 상기 주변 벽은 한 쌍의 연결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축은 상기 핀 본체 한쪽 단의 축 구멍을 이용해 상기 홈형 본체의 연결구멍에 뚫고 설치되 어 교접상태를 형성하며,
    상기 골프공 선 긋는 기구는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품은 홈형 본체의 공간의 아랫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핀 본체의 돌출조각이 상기 탄성부품을 견제하고 이 탄성부품의 탄성을 이용해 상기 돌출조각을 맞대고 있고 핀 본체를 이용해 열고 닫는 동작으로 상기 골프공 선 긋는 기구 내의 골프공에 대해 핀 본체의 누름견제 힘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선 긋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 선 긋는 기구는 하나의 둥근 몸체 선 긋는 자, 하나의 제2호선형 선 긋는 자, 하나의 제2호선형 선 긋는 자, 하나의 제3호선형 선 긋는 자를 포함하는데,
    상기 둥근 몸체 선 긋는 자의 내부에는 하나의 속이 빈 둥근 구멍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2호선형 선 긋는 자는 제1호선형 선 긋는 자의 중앙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호선형 선 긋는 자의 한쪽 단과 상기 둥근 몸체 선 긋는 자의 한쪽 측과 연결되며, 상기 제1호선형 선 긋는 자와 제2호선형 선 긋는 자는 서로 수직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제3호선형 선 긋는 자의 한쪽 단은 상기 둥근 몸체 선 긋는 자와 연결되며 다른 한쪽 단은 제1호선형 선 긋는 자의 중앙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3호선형 선 긋는 자와 제1호선형 선 긋는 자는 서로 수직관계를 이루며, 상기 제3호선형 선 긋는 자는 상기 제2호선형 선 긋는 자와 직선관계를 나타내며,
    상기 제1호선형 선 긋는 자는 제1도랑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호선형 선 긋는 자는 제2도랑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3호선형 선 긋는 자는 제3도랑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선 긋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둥근 몸체 선 긋는 자는 일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선 긋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 선 긋는 기구는 하나의 제4호선형 선 긋는 자를 더 포함하는데, 이 제4호선형 선 긋는 자의 양단은 상기 둥근 몸체 선 긋는 자의 양측에 결합되며, 이 제4호선형 선 긋는 자의 중앙과 상기 제2호선형 선 긋는 자는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선 긋는 장치.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핀 본체 또는 둥근 몸체 선 긋는 자는 기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선 긋는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랑홈과 제2도랑홈은 서로 연통되며, 상기 제2도랑홈이 그려낸 선과 제3도랑홈이 그려낸 선은 직선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선 긋는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호선형 선 긋는 자에는 두 개의 서로 대응되는 결 손입구가 설치되며, 이 결손입구는 제4호선형 선 긋는 자와의 교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선 긋는 장치.
KR20080000816U 2008-01-18 2008-01-18 골프공 선 긋는 장치 KR2004606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0816U KR200460682Y1 (ko) 2008-01-18 2008-01-18 골프공 선 긋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0816U KR200460682Y1 (ko) 2008-01-18 2008-01-18 골프공 선 긋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437U KR20090007437U (ko) 2009-07-22
KR200460682Y1 true KR200460682Y1 (ko) 2012-06-04

Family

ID=41292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00816U KR200460682Y1 (ko) 2008-01-18 2008-01-18 골프공 선 긋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6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061B1 (ko) 2012-06-28 2013-05-21 김오례 리얼스핀 골프공의 대량 제조방법
KR101811542B1 (ko) 2016-11-03 2017-12-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롤러타입 볼라이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108B1 (ko) * 2011-10-06 2013-02-05 장종현 골프공의 라인 마킹장치
KR101271775B1 (ko) * 2012-10-17 2013-06-07 조덕훈 골프공 무게중심 찾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골프공 무게중심 찾기용 키트
KR101539722B1 (ko) 2013-12-05 2015-07-28 에이스골프 주식회사 페이드 샷 및 드로우 샷을 구사하기 위한 타격라인이 형성된 골프공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10220706A1 (en) * 2017-12-26 2021-07-22 Jae Ung NAM Golf ball marking apparatus
KR102133335B1 (ko) * 2018-11-28 2020-07-13 김순희 골프공의 선 표시장치
CN115502023B (zh) * 2022-09-20 2023-06-27 湖北香城智能机电研究院有限公司 一种篮球外壳线条自动描线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4038A (ja) 2001-11-22 2003-05-27 Yasuhiro Takahashi ゴルフボール用マーカーライン描画具
KR200343637Y1 (ko) 2003-11-13 2004-03-04 신안전자 주식회사 줄긋기 홈을 갖는 골프공 케이스
KR200363236Y1 (ko) 2004-06-24 2004-10-02 길근택 골프 볼 라이너
US7568294B2 (en) 2007-05-01 2009-08-04 Min Hsien Sung Combination ball clip and ball liner and ball clip for use with a ball li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4038A (ja) 2001-11-22 2003-05-27 Yasuhiro Takahashi ゴルフボール用マーカーライン描画具
KR200343637Y1 (ko) 2003-11-13 2004-03-04 신안전자 주식회사 줄긋기 홈을 갖는 골프공 케이스
KR200363236Y1 (ko) 2004-06-24 2004-10-02 길근택 골프 볼 라이너
US7568294B2 (en) 2007-05-01 2009-08-04 Min Hsien Sung Combination ball clip and ball liner and ball clip for use with a ball lin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061B1 (ko) 2012-06-28 2013-05-21 김오례 리얼스핀 골프공의 대량 제조방법
WO2014003259A1 (ko) * 2012-06-28 2014-01-03 Jeong Sang Hwa 리얼스핀 골프공의 대량 제조방법
KR101811542B1 (ko) 2016-11-03 2017-12-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롤러타입 볼라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437U (ko)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682Y1 (ko) 골프공 선 긋는 장치
US8764587B2 (en) Multi-use golf device
US8075416B2 (en) Adjustable putter alignment aide
US7568294B2 (en) Combination ball clip and ball liner and ball clip for use with a ball liner
KR20100065481A (ko) 숏퍼팅과 미들 및 롱퍼팅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퍼터
US4819943A (en) Putting practice device and method
US20080271333A1 (en) Ball liner for golf
US10912980B2 (en) Golf training apparatus
US7887428B2 (en) Device for reducing effect of dominant hand on golf swing
JP2006212409A (ja) ゴルフパター
US8142299B1 (en) Training aid
JP3140519U (ja) ゴルフボールライナー及びそのクランプ
KR100621844B1 (ko) 골프공용 가이드 라인 표시구
US9126089B2 (en) Football tee with angularly adjustable ball support
KR200363343Y1 (ko) 골프공용 가이드 라인 표시구
KR20210002939U (ko) 탈부착용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
AU2007100375A4 (en) Ball Liner for Golf
KR200478458Y1 (ko) 골프공용 라인 마커
KR102014525B1 (ko) 퍼팅 연습 보조기
KR200479225Y1 (ko) 골프공용 라인 마커
KR101835959B1 (ko) 골프 클럽의 그립 및 이러한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
KR20180089828A (ko) 골프 퍼터 장착용 퍼팅 가이드 얼라인먼트
US20230201689A1 (en) Putting Kit
US8118686B1 (en) Device for reducing effect of dominant hand on golf swing
KR20230001378U (ko) 골프스윙보조그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