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674B1 - 접이식 침대 - Google Patents

접이식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674B1
KR102399674B1 KR1020210022656A KR20210022656A KR102399674B1 KR 102399674 B1 KR102399674 B1 KR 102399674B1 KR 1020210022656 A KR1020210022656 A KR 1020210022656A KR 20210022656 A KR20210022656 A KR 20210022656A KR 102399674 B1 KR102399674 B1 KR 102399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frame
main support
frame
coupl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주임
Original Assignee
조주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주임 filed Critical 조주임
Priority to KR1020210022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12Folding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1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frictional force-resisters
    • A63B21/01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frictional force-resisters including rotating or oscillating elements rubbing against fix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42Anchored at one end only, the other end being manipulat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63B21/1672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for anchoring on beds 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침대에 관한 것으로, 설치면에 안착되고, 상단에 회전축이 형성되는 메인 지지대와, 메인 지지대의 전방에 수평하게 위치되고, 후단이 상기 회전축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방 프레임과, 메인 지지대의 후방에 수평하게 위치되고, 전단이 회전축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방 프레임과, 전방 프레임과후방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과 함께 회동 가능한 매트리스 및, 상단이 전방 프레임의 하단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방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하단이 설치면에 안착되는 전방측 지지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침대{folding bed}
본 발명은 접이식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윗몸 일으키기와 중량 운동이 가능한 접이식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이식 침대는 일정 길이로 펼쳐 침대로 사용하거나 절첩시켜 부피를 축소시킨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접이식 침대는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다단으로 연결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매트리스 및, 프레임의 하부에 접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다리 등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접이식 침대는 지지다리에 의해 프레임과 매트리스가 설치면에 수평하게 설치되거나, 프레임의 일측이 소파의 착좌부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접이식 침대는 사용자가 수면 및 휴식을 취하는 용도 외에 다른 기능이 없었다. 따라서 접이식 침대를 이용해 사용자의 인체를 단련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국내 공개특허 제10-2010-0115500호(2010년 10월 28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접이식 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윗몸 일으키기와 중량 운동이 가능하므로 인체의 여러 부위를 단련할 수 있고, 중량 및 단계 조절이 가능하므로 운동 강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접이식 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는 설치면에 안착되고, 상단에 회전축이 형성되는 메인 지지대와, 상기 메인 지지대의 전방에 수평하게 위치되고, 후단이 상기 회전축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방 프레임과, 상기 메인 지지대의 후방에 수평하게 위치되고, 전단이 상기 회전축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방 프레임과,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과 함께 회동 가능한 매트리스 및, 상단이 상기 전방 프레임의 하단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방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하단이 상기 설치면에 안착되는 전방측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지지대의 하단에는 측방으로 길이를 갖고, 상기 설치면의 상부에 이격 위치되는 발걸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측 지지대의 하단에는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지지대는 측방에 이격 위치되고, 상단에 상기 회전축이 구비되는 한 쌍의 제1상측 지지바 및,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제1상측 지지바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고, 폭방향이 상기 설치면에 안착되는 제1하측 지지바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발걸이부는 상기 제1하측 지지바의 길이방향 양측으로부터 상부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와,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제1절곡부의 상단을 각각 수평하게 연결하는 제2절곡부 및, 상기 제2절곡부의 외부에 결합되는 쿠션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측 지지대는 좌우 방향에 이격 위치되고, 상단이 상기 전방 프레임의 하단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2상측 지지바 및,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제2상측 지지바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고, 폭방향이 상기 설치면에 안착되는 제2하측 지지바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2하측 지지바의 길이방향을 양측으로 분할하는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분할된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파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프레임의 측부에는 하나 이상의 중량체를 결합시키기 위한 중량체 연결부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중량체 연결부는 상기 전방 프레임의 측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중량체의 체결홀에 관통 결합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의 돌출된 끝단과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연결바에 결합된 중량체를 걸림 위치시키는 체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지지대의 측부에는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마찰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회전강도 조절부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회전강도 조절부는 상기 메인 지지대의 측부에서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 일단과 회전중심이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회전드럼과, 상단이 상기 메인 지지대의 측부에서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전면이 회전드럼의 원주면과 밀착 또는 이격 위치되는 마찰부재와, 상기 마찰부재를 상기 회전드럼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상기 마찰부재의 전면과 상기 회전드럼의 원주면을 밀착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메인 지지대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마찰부재의 하단과 연결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 케이블을 견인 또는 견인 해지하는 조절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윗몸 일으키기와 중량 운동이 가능하므로 인체의 여러 부위를 단련할 수 있고, 중량 및 단계 조절이 가능하므로 운동 강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의 발걸이부를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의 손잡이부를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에 회전강도 조절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에 회전강도 조절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의 회전강도 조절부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의 발걸이부를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의 손잡이부를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에 회전강도 조절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에 회전강도 조절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의 회전강도 조절부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는 메인 지지대(100)와, 전방 프레임(200)과, 후방 프레임(300)과, 매트리스(400) 전방측 지지대(500) 및, 후방측 지지대(600)를 포함한다.
메인 지지대(100)는 하단이 설치면에 안착되고, 상단에는 좌우 방향으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축(C)이 구비되며, 메인 지지대(100)의 하단에는 측방으로 길이를 갖고 설치면의 상부에 이격 위치되는 발걸이부(130)가 구비된다.
여기서, 메인 지지대(100)는 측방에 이격 위치되고, 상단에 회전축(C1)이 구비되는 한 쌍의 제1상측 지지바(110) 및, 길이방향 양단이 제1상측 지지바(110)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고, 폭방향이 설치면에 안착되는 제1하측 지지바(1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상측 지지바(110)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제1상측 지지바(110)의 상단에 형성된 회전축(C1)은 좌우 방향으로 수평 회전중심을 형성하며, 제1상측 지지바(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상측 지지바(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방에 구비된 회전축(C1)에 후술 될 전방 프레임(200)의 후단이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상측 지지바(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후방에 구비된 회전축(C1)에 후술 될 후방 프레임(300)의 전단이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상측 지지바(110)의 상단에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받침부(부호 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고, 받침부의 전방과 후방에 회전축(C1)이 이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발걸이부(130)는 사용자가 윗몸 일으키기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걸림 구조를 형성시킨 것으로, 제1하측 지지바(12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부터 상부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131)와, 길이방향 양단이 제1절곡부(131)의 상단을 각각 수평하게 연결하는 제2절곡부(132) 및, 제2절곡부(132)의 외부에 결합되는 쿠션부(133)를 구비할 수 있다.
제2절곡부(132)는 사용자가 발을 집어넣을 수 있는 정도의 간격으로 설치면과 이격 위치되고, 쿠션부(133)는 제2절곡부(132)의 폭방향을 감싸는 원 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쿠션부(133)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원통 등)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발등에 통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쿠션력을 갖는 소재(스폰지, 고무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전방 프레임(200)은 메인 지지대(100)의 전방에 수평하게 위치되고, 후단이 메인 지지대(100)의 회전축(C1)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전방 프레임(200)은 금속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사각 또는 전후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 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전방 프레임(200)이 형성하는 틀의 내부에는 후술 될 매트리스(400)를 하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빔, 천 등)가 구비될 수 있고, 전방 프레임(200)의 양측에는 후술 될 전방측 지지대(50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회전축(C2)이 각각 형성된다. 전방 프레임(200)의 양측에 형성된 회전축(C2)은 좌우 방향을 따라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전방 프레임(200)을 전방으로 수평하게 회동시키는 경우, 도 2 내지 4에서처럼 전방 프레임(200)의 후단이 회전축(C1)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회동되고, 전방 프레임(200)의 후단이 회전축(C1)과 연결된 상태로 메인 지지대(100)의 상단에 수평하게 위치된다.
반면, 전방 프레임(200)을 후방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도 5에서처럼 전방 프레임(200)의 후단이 회전축(C1)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회동되고, 전방 프레임(200)의 전단이 메인 지지대(100)의 상부에 수직하게 위치될 수 있다. 즉 후술 될 후방 프레임(300)과 전방 프레임(200)은 메인 지지대(100)의 상부에 절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지지대(100)의 일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에는 전방 프레임(200)을 절첩된 상태로 위치시키기 위한 걸림핀(220)이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전방 프레임(200)의 측부에는 걸림핀(220)이 대응되게 삽탈될 수 있도록 걸림홈(210)이 형성될 수 있고, 걸림홈(210)은 회전축(C1)을 기준으로 전방 프레임(200)의 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윗몸 일으키기 운동을 하기 위해 전방 프레임(200)을 상부로 들어올리는 경우, 도 5에서처럼 전방 프레임(200)의 후단이 하부에 위치한다. 이후 메인 지지대(100)의 관통홀을 통해 걸림핀(220)을 수평하게 삽입시키고, 걸림핀(220)의 전단을 걸림홈(2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걸림핀(220)에 의해 걸림홈(210)이 걸림 위치되므로, 전방 프레임(200)이 전방으로 회동되지 않고 현재의 각도에 고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후방 프레임(300)의 전방이 넓게 개방되므로, 사용자는 전방 프레임(200)의 간섭 없이 윗몸 일으키기 운동을 할 수 있다.
후방 프레임(300)은 메인 지지대(100)의 후방에 수평하게 위치되고, 전단이 메인 지지대(100)의 회전축(C1)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후방 프레임(300)은 금속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사각 또는 전후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 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후방 프레임(300)이 형성하는 틀의 내부에는 후술 될 매트리스(400)를 하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빔, 천 등)가 구비될 수 있고, 후방 프레임(300)의 양측에는 후술 될 후방측 지지대(60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회전축(C3)이 각각 형성된다. 후방 프레임(300)의 양측에 형성된 회전축(C3)은 좌우 방향을 따라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후방 프레임(300)을 후방으로 수평하게 회동시키는 경우, 후방 프레임(300)의 후단이 회전축(C1)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회동되고, 후방 프레임(300)의 전단이 회전축(C1)과 연결된 상태로 메인 지지대(100)의 상단에 수평하게 위치된다.
반면, 후방 프레임(300)을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후방 프레임(300)의 전단이 회전축(C1)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회동되고, 후방 프레임(300)의 후단이 메인 지지대(100)의 상부에 수직하게 위치될 수 있다. 즉 후방 프레임(300)과 전술한 전방 프레임(200)은 메인 지지대(100)의 상부에 절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후방 프레임(300)과 전방 프레임(200)의 절첩되는 각도, 절첩되는 위치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후방 프레임(300)과 전방 프레임(200)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후방 프레임(300)을 수평하게 회동시키는 경우, 후방 프레임(300)의 후단은 후술 될 후방측 지지대(600) 또는 소파(10) 등의 착좌부에 지지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매트리스(400)는 전방 프레임(200)과 후방 프레임(30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되고, 일정 쿠션력을 갖는 소재가 내부에 충진될 수 있으나, 매트리스(400)의 형태와 소재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매트리스(400)는 전술한 전방 프레임(200) 및 후방 프레임(300)과 함께 절첩되거나 펼쳐질 수 있다.
그리고, 매트리스(400)의 가장자리에는 전방 프레임(200)과 후방 프레임(300)의 가장자리에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부재(410)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재(410)는 매트리스(4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고,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밴드(ban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전방측 지지대(500)는 상단이 전방 프레임(200)의 하단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방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하단이 설치면에 안착되는 것으로, 전방측 지지대(500)의 하단에는 측방으로 길이를 갖는 손잡이부(5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전방측 지지대(500)는 전방 프레임(200)의 양측에 결합된 회전축(C2)에 상단이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 프레임(200)의 양측에 결합된 회전축(C2)은 좌우 방향으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방측 지지대(500)는 좌우 방향에 이격 위치되고, 상단이 전방 프레임(200)의 하단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2상측 지지바(510) 및, 길이방향 양단이 제2상측 지지바(510)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고, 폭방향이 설치면에 안착되는 제2하측 지지바(5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상측 지지바(510)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상단이 회전축(C2)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2상측 지지바(510)를 전방으로 펼치는 경우, 제2상측 지지바(510)는 회전축(C2)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경사지게 더 회전되어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상측 지지바(510)의 상단에는 전방으로 회동 위치시 전방 프레임(200)의 양측 하단이 대응되게 안착되도록 받침부가 구비될 수 있고, 받침부의 상단에는 전방 프레임(200)의 양측 하단과 대응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530)는 제2하측 지지바(520)의 길이방향을 양측으로 분할하는 절개부(531) 및, 절개부(531)를 기준으로 분할된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파지부(532)를 구비할 수 있다. 한 쌍의 파지부(532)는 사용자가 양 손으로 각각 파지하기 위한 부분으로, 파지부(532)는 전방 프레임(200)을 전방으로 수평하게 회동시키는 경우 설치면에 안착된다.
사용자가 상체 운동(어깨, 등, 팔, 견갑골 등)을 하는 경우, 도 6에서처럼 사용자는 전방 프레임(200)을 경사지게 들어올린 상태에서 파지부(531)를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팔을 상부로 펼치거나 하부로 접는 동작 등을 반복하면서 상체 운동을 할 수 있고, 전방 프레임(200)과 매트리스(400)의 중량을 이용하므로 운동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머리와 상체가 절개부(531)에 위치되므로 파지부(531)와 사용자의 인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는 설치면에 착좌한 상태에서 상체 운동을 할 수 있으나, 의자에 착좌한 상태에서 상체 운동을 할 수 있고, 서있는 자세와 승마 자세 등과 같이 다양한 자체를 취한 상태에서 상체 운동을 할 수 있으며, 파지부(531)를 양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앉았다 일어나는 운동과 아령을 들어올리듯이 파지부(531)를 들어올리는 팔 운동 등을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후방측 지지대(600)는 상단이 후방 프레임(300)의 하단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방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하단이 설치면에 안착되는 것으로, 후방측 지지대(600)는 후방 프레임(300)의 양측에 결합된 회전축(C3)에 상단이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 프레임(300)의 양측에 결합된 회전축(C3)은 좌우 방향으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한다.
그리고, 후방측 지지대(600)는 좌우 방향에 이격 위치되고, 상단이 후방 프레임(300)의 하단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3상측 지지바 및, 길이방향 양단이 제3상측 지지바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고, 폭방향이 설치면에 안착되는 제3하측 지지바를 구비할 수 있다.
제3상측 지지바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상단이 회전축(C3)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3상측 지지바를 후방으로 펼치는 경우, 제3상측 지지바는 회전축(C3)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경사지게 더 회전되어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상측 지지바의 상단에는 후방으로 회동 위치시 후방 프레임(300)의 양측 하단이 대응되게 안착되도록 받침부가 구비될 수 있고, 받침부의 상단에는 후방 프레임(300)의 양측 하단과 대응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방 프레임(20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하나 이상의 중량체(710)를 결합시키기 위한 중량체 연결부(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중량체 연결부(700)는 전방 프레임(200)의 측부로부터 돌출되고, 중량체(710)의 체결홀에 관통 결합되는 연결바(720) 및, 연결바(720)의 돌출된 끝단과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되고, 연결바(720)에 결합된 중량체(710)를 걸림 위치시키는 체결부재(730)를 구비할 수 있다.
중량체(710)는 1kg, 2.5kg, 5kg 등의 중량을 사용할 수 있고, 중량체(710)의 체결홀은 연결바(720)와 대응되는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중량체의 외부에 무게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중량체(710)의 개수 및 무게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강도의 상체 운동을 할 수 있다.
연결바(720)는 전방 프레임(200)의 측부로부터 수평하게 돌출될 수 있고, 연결바(720)의 외주면에는 채결부재(730)를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바(720)의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중량체(710)가 거치되는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체결부재(730)는 연결바(720)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고, 체결홀의 내주면에는 연결바(720)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재(730)는 외부에 회전용 돌기가 돌출된 나비 너트(butterfly nu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체 운동을 하는 경우 연결바(720)에 거치되는 중량체(710)의 무게를 조절하여 다양한 강도로 상체 운동을 할 수 있고, 중량체(710)의 무게을 증가시켜 보다 높은 강도의 상체 운동을 할 수 있다.
또 한편, 메인 지지대(100)의 측부에는 회전축(C1)의 축 방향에 마찰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회전강도 조절부(800)가 더 구비된다. 회전강도 조절부(800)는 메인 지지대(100)의 측부에서 회전축(C1)의 축 방향 일단과 회전중심이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회전드럼(810)과, 상단이 메인 지지대(100)의 측부에서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전면이 회전드럼(810)의 원주면과 밀착 또는 이격 위치되는 마찰부재(820)와, 마찰부재(820)를 회전드럼(81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마찰부재(820)의 전면과 회전드럼(810)의 원주면을 밀착시키는 탄성부재(830) 및, 메인 지지대(100)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마찰부재(820)의 하단과 연결 케이블(850)에 의해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연결 케이블(850)을 견인 또는 견인 해지하는 조절부재(840)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드럼(810)은 회전방향에 원주면이 형성되고, 축 방향 일측이 회전축(C1)의 축 방향 일단과 결합된다. 이때 회전드럼(810)은 전방 프레임(20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할 때 동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마찰부재(820)는 회전드럼(8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될 수 있고, 마찰부재(820)의 상단은 좌우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힌지축에 결합되고, 상단을 기준으로 하단이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마찰부재(820)는 전면이 회전드럼(810)의 원주면과 밀착 또는 이격되고, 마찰부재(820)의 전면은 회전드럼(810)의 원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회전드럼(810)은 금속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마찰부재(820)의 전면에는 하나 이상의 자석(821)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자석(821)과 마찰부재(820)가 자력을 이용해 회전드럼(810)에 부하를 작용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830)는 마찰부재(820)를 후방에서 탄성 지지하여, 마찰부재(820)를 회전드럼(810)의 원주면에 밀착시킨다. 여기서 탄성부재(830)는 압축 탄성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지지대(100)의 일측에는 탄성부재(830)의 후단을 걸림 위치시키기 위한 걸림편(831)이 구비될 수 있고, 마찰부재(820)의 후면에는 탄성부재(830)의 전단이 지지된다. 이때 탄성부재(830)는 걸림편(831)과 마찰부재(820)의 사이에 수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조절부재(840)는 마찰부재(820)의 후방에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고, 조절부재(840)의 전단은 메인 지지대(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조절부재(840)의 후단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레버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절부재(840)의 회전중심은 회전축(C1)과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부재(840)는 여러 단계(3 ~ 5단계 등)로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조절부재(840)의 회전중심에는 원하는 단계로 회전시킨 후, 회전된 위치가 유지되도록 걸림 위치시키는 위치유지 구조(미도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조절부재(840)의 전단은 연결 케이블(850)에 의해 마찰부재(820)의 후단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케이블(850)는 조절부재(840)의 전단과 탄성부재(830)를 통해 마찰부재(820)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부재(840)를 높은 단계로 회전시키는 경우, 연결 케이블(850)이 조절부재(840) 방향으로 이동되고, 마찰부재(820)가 회전드럼(810)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회전드럼(810)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감소하므로 전방 프레임(200)을 들어올리는 강도를 낮출 수 있다.
반면, 조절부재(840)를 낮은 단계로 회전시키는 경우, 연결 케이블(850)이 회전드럼(810) 방향으로 이동되고, 마찰부재(820)가 회전드럼(810)과 밀착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회전드럼(810)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증가하므로 전방 프레임(200)을 들어올리는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조절부재(840)의 레버에는 단계를 지시하기 위한 지지부(화살표 등)가 형성될 수 있고, 메인 지지대(100)의 일측면에는 단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게이지, 눈금 등, 841)가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방 프레임(200) 또는 후방 프레임(300)의 측부에는 체결홀(910)이 형성될 수 있고, 체결홀(910)에는 탄성밴드(고무 등, 920)가 연결될 수 있다. 탄성밴드(920)의 일단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그립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접이식 침대의 일측에서 탄성밴드(920)의 그립부재를 잡아당기거나, 사용자가 매트리스(400)에 누운 상태에서 탄성밴드(920)의 그립부재를 잡아당기는 등의 운동을 할 수 있으며, 탄성밴드(920)의 두께, 길이 등을 조절하여 다양한 운동에 활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윗몸 일으키기와 중량 운동이 가능하므로 인체의 여러 부위를 단련할 수 있고, 중량 및 단계 조절이 가능하므로 운동 강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소파 100: 메인 지지대
110: 제1상측 지지바 120: 제1하측 지지바
130: 발걸이부 131: 제1절곡부
132: 제2절곡부 133: 쿠션부
200: 전방 프레임 210: 걸림홈
220: 걸림핀 300: 후방 프레임
400: 메트리스 410: 연결부재
500: 전방측 지지대 510: 제2상측 지지바
520: 제2하측 지지바 530: 손잡이부
531: 절개부 532: 파지부
600: 후방측 지지대 700: 중량체 연결부
710: 중량체 720: 연결바
730: 체결부재 800: 회전강도 조절부
810: 회전드럼 820: 마찰부재
821: 자석 830: 탄성부재
831: 걸림편 840: 조절부재
841: 표시부 850: 연결 케이블
910: 체결홀 920: 탄성밴드
C1, C2, C3: 회전축

Claims (5)

  1. 설치면에 안착되고, 상단에 회전축이 형성되는 메인 지지대;
    상기 메인 지지대의 전방에 수평하게 위치되고, 후단이 상기 회전축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방 프레임;
    상기 메인 지지대의 후방에 수평하게 위치되고, 전단이 상기 회전축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방 프레임;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과 함께 회동 가능한 매트리스; 및
    상단이 상기 전방 프레임의 하단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방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하단이 상기 설치면에 안착되는 전방측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지지대의 하단에는 측방으로 길이를 갖고, 상기 설치면의 상부에 이격 위치되는 발걸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측 지지대의 하단에는 손잡이부가 구비되되,
    상기 전방 프레임의 측부에는 하나 이상의 중량체를 결합시키기 위한 중량체 연결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중량체 연결부는 상기 전방 프레임의 측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중량체의 체결홀에 관통 결합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의 돌출된 끝단과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연결바에 결합된 중량체를 걸림 위치시키는 체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지지대의 일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전방 프레임을 절첩된 상태로 위치시키기 위한 걸림핀이 관통 결합되며, 상기 전방 프레임의 측부에는 상기 걸림핀이 대응되게 삽탈될 수 있도록 걸림홈이 형성되며,상기 걸림홈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전방 프레임의 후방측에 위치되며,
    상기 메인 지지대의 측부에는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마찰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회전강도 조절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회전강도 조절부는 상기 메인 지지대의 측부에서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 일단과 회전중심이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회전드럼과, 상단이 상기 메인 지지대의 측부에서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전면이 회전드럼의 원주면과 밀착 또는 이격 위치되는 마찰부재와, 상기 마찰부재를 상기 회전드럼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상기 마찰부재의 전면과 상기 회전드럼의 원주면을 밀착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메인 지지대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마찰부재의 하단과 연결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 케이블을 견인 또는 견인 해지하는 조절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드럼은 금속 소재를 이용해 제작하고, 상기 마찰부재의 전면에는 하나 이상의 자석이 결합되며, 상기 자석은 자력을 이용해 상기 회전드럼에 부하를 작용시키며,
    상기 전방 프레임 또는 상기 후방 프레임의 측부에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에는 탄성밴드가 연결되며, 상기 탄성밴드의 일단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그립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지지대는 측방에 이격 위치되고, 상단에 상기 회전축이 구비되는 한 쌍의 제1상측 지지바 및,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제1상측 지지바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고, 폭방향이 상기 설치면에 안착되는 제1하측 지지바를 구비하며,
    상기 발걸이부는 상기 제1하측 지지바의 길이방향 양측으로부터 상부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와,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제1절곡부의 상단을 각각 수평하게 연결하는 제2절곡부 및, 상기 제2절곡부의 외부에 결합되는 쿠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지지대는 좌우 방향에 이격 위치되고, 상단이 상기 전방 프레임의 하단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2상측 지지바 및,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제2상측 지지바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고, 폭방향이 상기 설치면에 안착되는 제2하측 지지바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2하측 지지바의 길이방향을 양측으로 분할하는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분할된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파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침대.
  4. 삭제
  5. 삭제
KR1020210022656A 2021-02-19 2021-02-19 접이식 침대 KR102399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656A KR102399674B1 (ko) 2021-02-19 2021-02-19 접이식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656A KR102399674B1 (ko) 2021-02-19 2021-02-19 접이식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674B1 true KR102399674B1 (ko) 2022-05-20

Family

ID=81799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656A KR102399674B1 (ko) 2021-02-19 2021-02-19 접이식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67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8939A (en) * 1980-10-22 1983-04-05 Wild Norman W Bed frame sit-up exerciser
KR950000057U (ko) * 1993-06-30 1995-01-03 김동수 낚시 받침대
JP2001128796A (ja) * 1999-11-04 2001-05-15 Tomoji Kobayashi ベッド
KR20040031581A (ko) * 2002-10-07 2004-04-13 가부시키가이샤 아텍스 접이식 베드
KR101435160B1 (ko) * 2014-03-28 2014-08-29 제트스타 주식회사 다기능 간이침대
KR101970984B1 (ko) * 2017-11-28 2019-04-2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이트 안전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8939A (en) * 1980-10-22 1983-04-05 Wild Norman W Bed frame sit-up exerciser
KR950000057U (ko) * 1993-06-30 1995-01-03 김동수 낚시 받침대
JP2001128796A (ja) * 1999-11-04 2001-05-15 Tomoji Kobayashi ベッド
KR20040031581A (ko) * 2002-10-07 2004-04-13 가부시키가이샤 아텍스 접이식 베드
KR101435160B1 (ko) * 2014-03-28 2014-08-29 제트스타 주식회사 다기능 간이침대
KR101970984B1 (ko) * 2017-11-28 2019-04-2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이트 안전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17451B2 (ja) 運動機械
US7749144B2 (en) Adjustable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8696534B2 (en) Total abs office chair
US5110121A (en) Exercise chair for the lower back
US20050181916A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AU2013101654A4 (en) Abdomen exercise machine
US20140274617A1 (en) Abdomen exercise machine
US20140274618A1 (en) Abdomen exercise machine
TWM522050U (zh) 腰腹運動健身椅
CN206777714U (zh) 一种多功能办公室健身座椅
EP1587587B1 (en) Chair type exercise apparatus
KR102399674B1 (ko) 접이식 침대
US6390960B1 (en) Abdominals and hip exercise machine
KR100718349B1 (ko) 근육이완 및 관절유연성 운동기구
JP3197398U (ja) 骨盤運動器
JP3197398U7 (ko)
KR101780469B1 (ko) 목 근력운동장치
JP3100083U (ja) 伸展トレーニング機
JP2812543B2 (ja) マルチ健康座椅子
KR20140052148A (ko) 링크를 이용한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
JP6075816B1 (ja) 多目的運動器具
JP2007089609A (ja) トレーニングマシン
JP2006204488A (ja) 可動座席筋力訓練機
KR102399909B1 (ko) 운동기구가 부설되는 의자
JP3226003U (ja) 運動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