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459B1 -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99459B1 KR102399459B1 KR1020170061142A KR20170061142A KR102399459B1 KR 102399459 B1 KR102399459 B1 KR 102399459B1 KR 1020170061142 A KR1020170061142 A KR 1020170061142A KR 20170061142 A KR20170061142 A KR 20170061142A KR 102399459 B1 KR102399459 B1 KR 1023994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smetic composition
- fine dust
- skin
- adsorption
- preven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nonio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먼지가 피부에 흡수되어 다양한 피부 손상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 중의 해로운 미세먼지가 피부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효과가 있는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작용기를 포함하지 않는(PEG-free) 비이온성 유화제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과 피부 외용제는 대기 중의 미세먼지의 흡착을 현저히 감소시켜 미세먼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피부 손상을 예방 또는 경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먼지가 피부에 흡수되어 유발되는 다양한 피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 중 해로운 미세먼지의 피부흡착을 방지하는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작용기를 포함하지 않는(PEG-free)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는 직경에 따라 PM-10과 PM-2.5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직경 PM-10의 미세먼지는 1,000분의 10mm보다 작은 먼지를 의미하고, 직경 PM-2.5의 미세먼지는 1,000분의 2.5mm보다 작은 먼지로, 머리카락 직경(약 60㎛)의 1/20 내지 1/30 크기보다 작은 입자이다. 미세먼지는 공기 중 고체상태와 액체상태 입자의 혼합물로 배출되거나 화학반응 또는 자연적으로 생성되며, 사업장 연소, 자동차 연료 연소, 생물성 연소과정 등 특정 배출원으로부터 직접 발생한다. 직경 PM-2.5 미세먼지는 상당량이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암모니아(NH3),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의 전구물질이 대기 중의 특정 조건에서 반응하여 2차 생성된다.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입자에는 광물 입자(예: 황사), 소금 입자, 생물성 입자(예: 꽃가루, 미생물) 등이 있다. 미세먼지 조성은 매우 다양하나, 주로 탄소성분(유기탄소, 원소탄소), 이온성분(황산염, 질산염, 암모늄), 광물성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세먼지는 천식과 같은 호흡기계 질병을 악화시키고, 폐 기능의 저하를 초래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특히, 직경 PM-2.5 미세먼지는 입자가 미세하여, 코 점막을 통해 걸러지지 않고 흡입시 폐포까지 직접 침투하여 천식이나 폐질환의 유병률과 조기사망률을 증가시킨다.
반면, 미세먼지가 피부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그러나 미세먼지와 피부 이상 반응의 관계에 대한 보고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구체적으로, 미세먼지는 염증반응을 일으키고 피부장벽에 손상을 주어 아토피피부염을 악화시킬 수 있고, 미토콘드리아에서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를 생산하여 콜라겐 합성을 감소시키고 콜라겐 분해를 증가시켜 주름 등 현저한 피부노화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에 붙은 PAH가 멜라닌세포를 증식시켜 얼굴에 색소반점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아시아인은 피부 색깔이 백인보다 어둡기 때문에 미세먼지로 인한 노화현상으로 색소반점이 증가할 위험이 높으며, 민감성 피부를 가진 사람들에게 피부염과 작열감과 소양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미세먼지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미세먼지와 접촉을 줄이고 미세먼지를 몸 속에서 배출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실내의 경우 미세먼지 농도를 낮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결국, 미세먼지의 피부와의 접촉을 줄이는 것은 화장품으로 미세먼지의 피부에 대한 악영항을 줄이는 방법 중 하나가 될 수 있으며, 미세먼지가 피부에 흡착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면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손상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폴리에틸렌 글라이콜(polyethylene glycol, PEG)은 석유에서 추출된 계면활성제로 산화에틸렌의 중합체이며, 단순 사용시에는 점도개선제나 보습제로, 다른 성분과 결합되어 사용시에는, 계면활성제, 점도개선제, 거품증폭제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상기 폴리에틸렌 글라이콜은 화장료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크림, 로션, 샴푸, 린스, 두발용제품 또는 비누 등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지속적으로 사용시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으며, 입으로 들어가면, 간, 신장기능 장애, 중추신경계 손상, 호흡곤란 등을 유발하거나 심각하게는 발암성 물질인 다이옥신을 생성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폴리에틸렌 글라이콜을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미세먼지 흡착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었으며, 특히,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2015-0062993호에서는 소르비탄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이 다중층상의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여 피부 보습 및 장벽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개시하고 있어, 이와는 다르게 라멜라 구조의 형성 없이 피부에 도포시 미세먼지 흡착을 방지함으로써 피부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 요구는 계속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작용기를 포함하지 않는(PEG-free)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세테아릴 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 또는 소르비탄 올리베이트(sorbitan oilvate)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미세먼지 흡착을 현저히 방지하여,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손상을 경감시킬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작용기를 포함하지 않는(PEG-free)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작용기를 포함하지 않는(PEG-free)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작용기를 포함하지 않는(PEG-free)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하나의 양태는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작용기를 포함하지 않는(PEG-free)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물에서 이온으로 해리되지 않는 액체에 용해되어 표면장력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작용을 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유화제에 속한 것으로, "유화제"는 서로 혼합하지 않는 2종의 액체(보통 물과 이것과 섞이지 않는 기름 등의 유기 액체)가 안정된 에멀션을 만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제3의 물질을 가하는 물질을 의미하며, 그 중에서도 "비이온성 유화제"는 물에서 이온으로 해리되지 않는 유화제를 말한다.
상기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작용기를 포함하지 않는(PEG-free)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석유에서 추출된 계면활성제인 폴리에틸렌 글라이콜을 포함하지 않는 계면활성제를 말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PEG 불포함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PEG-프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혼용하여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작용기를 포함하지 않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세테아릴 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sorbitan oilvate)로 선택된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세테아릴 올리베이트"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 화합물로, 녹는점은 50℃이고 끓는점은 249℃로 알려진 화합물이다.
[화학식 1]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의 R1은 팔미틱애씨드(palmitic acid),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 리놀레익애씨드(linoleic aicd), 리놀레닉애씨드(linolenic acid)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가 16개에서 18개의 포화 및 불포화 고급지방산으로부터 유래한 탄화수소 사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R2는 탄소수가 16개에서 18개로 구성된 고급 알코올로에서 유래한 탄화수소사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세테아릴 올리베이트는 상기에서 설명한 두 고급지방산과 고급알코올의 에스터 결합을 통해 세테아릴 올리베이트가 합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급지방산과 고급지방알코올은 올리브유에서 유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상기 세테아릴 올리베이트는 올리브오일에서 유래된 지방산과 세테아릴알코올의 에스터로, 인간의 피지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식물성 컨디셔닝제로 널리 사용된다. 세테아릴 올리베이트는 유화제로 구분되며 통상 민감성 피부를 위한 로션이나 크림, 고보습을 위한 기초 화장료 조성물에 많이 포함되며, 식물에서 유래되어 안정성이 높고 사용감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소르비탄 올리베이트"는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화합물로, 주로 소르비톨에서 유래된 헥시톨안하이드라이드와 올리브오일에서 유래된 지방산의 모노에스터이며, 실온에서는 고체상태이지만 열을 가하기 시작하면 액상으로 변한다.
[화학식 2]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2의 R은 팔미틱(Palmitic), 스테아릭(Stearic), 올레익(Oleic), 리놀레익(Linoleic), 리놀레닉(Linolenic)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가 16개에서 18개의 포화 및 불포화 고급지방산으로부터 유래한 탄화수소 사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상기 소르비탄 올리베이트는 올리브오일에서 유래되었다고 하여 올리브오일 유화제라고도 불리며, 주로 화장품에서 서로 섞이지 않는 성분들의 계면을 안정화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를 5:5 내지 7:3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6:4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세테아릴올리베이트와 소르비탄 올리베이트가 실시예에 사용된 중량비로 사용될 때 화장품 유화 공정이 간편해지며, 안정성이 향상되며 비율이 한 쪽으로 치우쳐질 때는 유화능이 저하되어 제형의 안정성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모발, 손·발톱에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는 피부용으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2015-0062993호에서는 소르비탄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여 비극성 물질이 모발 표면에 흡착되도록 개선시킴으로써 모발 부드러움의 지속력을 증대함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 등에 도포되었을 때 미세먼지가 피부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시키고자 하는 것으로서 상기와는 명확히 구분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있어 세테아릴 올리베이트와 소르비탄 올리베이트를 혼합하여 제조하였으며,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또는 소르비탄 올리베이트가 추가되지 않은 조성물과 비교하여,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미세먼지 흡착을 현저히 방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표 2), 특히, 기존 소르비탄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여 피부 흡착을 개선시키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지 않음을 편광현미경으로 확인하였는바, 이로부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른 메커니즘으로 피부의 미세먼지 흡착을 방지함을 확인하였다(도 1 내지 3).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미세먼지"는 용어 그대로 매우 작은 먼지를 의미하며, 직경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세먼지는 다양한 직경의 미세먼지를 포함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PM-10과 PM-2.5 등의 미세한 미세먼지의 흡착까지 방지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리콘 공중합체"는 실리콘에 속한 2종 이상의 다른 단위체를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코폴리머,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칠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칠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칠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는 아크릴레이트와 폴리트리메칠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로 미세먼지의 흡착 방지 효과를 증폭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칠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와 같은 실리콘 공중합체는 화장품 유화 제형에 투입하기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실리콘 오일이나 탄화수소 오일 등의 유기용매에 분산된 형태로 원료를 제공해야 한다. 상기 유기용매에는 이소도데칸 또는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이소도데칸을 유기 용매로 사용하여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칠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를 용해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화장료 조성물에 폴리에틸렌 글라이콜을 포함하지 않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포함 없이, 실리콘 공중합체만을 단독 적용하였을 때는 미세먼지 흡착률이 감소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나, 상기 폴리에틸렌 글라이콜을 포함하지 않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동시에 실리콘 공중합체를 추가한 경우에는 미세먼지 흡착률이 현저히 줄어들어, 시너지 효과가 명확히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2).
이에 따라,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작용기를 포함하지 않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미세먼지 흡착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나아가 다양한 피부 손상, 구체적으로 피부손상의 비 제한적인 예로서 기체, 액체, 고체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피부가 자극되어 발생하는 손상이나, 미세먼지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 발진, 피부 염증, 또는 피부 노화를 예방 또는 경감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작용기를 포함하지 않는(PEG-free)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과 피부 외용제는 대기 중의 미세먼지의 흡착을 현저히 감소시켜 미세먼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피부 손상을 예방 또는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좌) 및 편광필터 적용한 광학현미경 사진(우)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좌) 및 편광필터 적용한 광학현미경 사진(우)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기존 화장료 조성물의 라멜라 구조가 형성된 유화 제형에 대한 편광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좌) 및 편광필터 적용한 광학현미경 사진(우)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기존 화장료 조성물의 라멜라 구조가 형성된 유화 제형에 대한 편광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
하기 표 1의 조성을 가지는 실시예 1 내지 2와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 실시예 2 | 비교예 1 | 비교예 2 | |
정제수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글리세린 | 10.00 | 10.00 | 10.00 | 10.00 |
디프로필렌글라이콜 | 5.00 | 5.00 | 5.00 | 5.00 |
판테놀 | 1.00 | 1.00 | 1.00 | 1.00 |
디소듐이디티에이 | 0.02 | 0.02 | 0.02 | 0.02 |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 0.3 | 0.3 | 0.3 | 0.3 |
세테아릴올리베이트 | 0.6 | 0.6 | 0.00 | 0.00 |
소르비탄올리베이트 | 0.4 | 0.4 | 0.00 | 0.00 |
세테아릴알코올 | 0.50 | 0.50 | 0.50 | 0.50 |
베헤닐알코올 | 0.08 | 0.08 | 0.08 | 0.08 |
폴리실리콘-11 | 0.15 | 0.15 | 0.15 | 0.15 |
디메치콘올 | 0.15 | 0.15 | 0.15 | 0.15 |
사이클로펜타실록산 | 1.00 | 1.00 | 1.00 | 1.00 |
디메치콘 | 1.00 | 1.00 | 1.00 | 1.00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 2.00 | 2.00 | 2.00 | 2.00 |
스쿠알란 | 2.00 | 2.00 | 2.00 | 2.00 |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 0.50 | 0.50 | 0.50 | 0.50 |
스테아릭애씨드 | 0.10 | 0.10 | 0.10 | 0.10 |
이소도데칸 | 0.00 | 1.80 | 0.00 | 3.00 |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칠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 0.00 | 1.20 | 0.00 | 2.00 |
트로메타민 | 0.3 | 0.3 | 0.3 | 0.3 |
방부제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향료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제조예
2: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2-1:
실시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표 1에 기재된 성분 중 정제수,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판테놀, 디소듐이디티에이,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소르비탄 올리베이트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70℃로 가열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세테아릴알코올, 폴리실리콘-11, 디메치콘올,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디메치콘,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스쿠알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스테아릭애씨드, 이소도데칸, 세테아릴알코올, 폴리실리콘-11, 디메치콘올,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디메치콘,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스쿠알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스테아릭애씨드, 이소도데칸,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칠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가 포함된 제 2 혼합물을 제조하여 70℃까지 가온용해하였다. 이후, 상기 제 2 혼합물을 제 1 혼합물에 투입하여 유화한 후, 트로메타민, 방부제 및 향료를 투입하고 균일하게 분산하여 로션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이소도데칸은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칠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를 화장품 제조에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유기용매의 역할을 수행하며,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칠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를 용해하는 역할의 다른 화장품 원료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2-2: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
상기 표 1의 함량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 내지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화장료
조성물(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의 미세먼지 흡착 방지 효능 확인
상기 실시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면 도포시 미세먼지 흡착 방지 효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재질의 정사각형 플레이트 위에 인공피지를 도포하고 건조시킨 플레이트를 준비하고, 준비된 플레이트에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일정시간 건조시킨 후, 미세먼지의 크기와 유사한 5-8㎛ 사이즈의 무기 축광 입자를 노출시켰다. 이 후, 무기 축광 입자에 노출시킨 플레이트에 자외선 램프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이미지를 촬영한 후 흡착 면적을 계산하고, 화장료를 바르지 않은 플레이트에 무기 축광 입자가 흡착되는 양을 100으로 환산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무기 측광 입자의 흡착률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참고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은 하기와 같으며, 이하, 무기 측광 입자는 미세먼지로 대체하여 설명하였다.
- 비교예 1: 모든 실험물질을 적용하지 않은 제형
- 비교예 2: 비교예 1 +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칠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 실시예 1: 비교예 1 + 소르비탄 올리베이트와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 실시예 2: 비교예 1 + 소르비탄올리베이트와 세테아릴올리베이트 +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칠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실시예 1 | 실시예 2 | 비교예 1 | 비교예 2 | |
미세먼지 흡착률(%) | 52 | 39 | 75 | 81 |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의 도포 표면에서의 미세먼지 흡착율 변화는 각각 52%, 39%, 75%, 81%로 확인되었다.
즉,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이 아무것도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에 비하여 미세먼지 흡착률이 75%에서 그의 2/3 수준인 52%로 감소되는 것을 통하여,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작용기를 포함하지 않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소르비탄올리베이트와 세테아릴올리베이트의 추가가 미세먼지 흡착을 방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소르비탄올리베이트와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외 실리콘 공중합체인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칠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가 추가된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은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 대비 미세먼지 흡착률이 39%까지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통하여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칠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의 단독적용은 미세먼지흡착률을 감소시키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작용기를 포함하지 않는 비인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경우, 그 단독으로도 미세먼지 흡착을 방지하는 데 있어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작용기를 포함하지 않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없이 실리콘 공중합체만을 추가한 경우는 미세먼지 흡착을 방지하는 효과가 전혀 없는 반면,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실리콘 공중합체를 동시에 포함하는 경우에는 미세먼지 흡착을 방지하는데 있어 현저히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화장료
조성물(
실시예
1 내지 2)의 편광구조 확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미세먼지 흡착을 방지하는데 있어 기존의 소르비탄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유사하게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편광현미경으로 확인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LEICA DMRP 광학현미경 X40 렌즈로 촬영한 후 이를 이미지화하여 1.25배 확대하였다.
참고로, 피부 내 지질은 라멜라 구조를 갖고 있어, 일반적인 라멜라 구조를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의 경우 피부 친화성이 높아지고 피부에 두껍게 발리며, greasy한 성분이 증가되어 수분 증발을 막는다고 알려져 있는 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미세먼지 흡착을 방지하는데 있어서도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여 차단하는 것인지를 확인한 것이다.
그 결과, 도 1 및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의 화장료 조성물과 달리 mortar cross의 독특한 십자가 모양이 관찰되지 않았는바, 이를 통하여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로부터 소르비탄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다고 하여 모두 동일하게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는 기존의 메커니즘과 다른 메카니즘으로 피부 미세먼지의 흡착을 감소시키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 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작용기를 포함하지 않는(PEG-free)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지 않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세테아릴 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sorbitan oilv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를 5:5 내지 7:3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용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공중합체는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칠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인 것인,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칠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로션, 크림, 세럼, 썬크림, 메이크업 프라이머,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컨실러, 비비크림, 또는 씨씨크림 제형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작용기를 포함하지 않는(PEG-free)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피부 외용제로서, 상기 피부 외용제는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지 않는 것인, 피부 외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3063 | 2016-11-17 | ||
KR20160153063 | 2016-11-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5670A KR20180055670A (ko) | 2018-05-25 |
KR102399459B1 true KR102399459B1 (ko) | 2022-05-19 |
Family
ID=62299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1142A KR102399459B1 (ko) | 2016-11-17 | 2017-05-17 |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9945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123807A1 (fr) * | 2021-06-14 | 2022-12-16 | Laboratoire De Dermocosmetique Active Docteur Pierre Ricaud | Serum cosmetique activateur et utilisation dans un procede de soin cosmetiqu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39660A (ko) * | 2013-10-03 | 2015-04-13 | (주)바이오믹스 | 컬러 감자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외용제 및 그 제조방법 |
KR102261313B1 (ko) * | 2013-11-29 | 2021-06-08 | (주)아모레퍼시픽 | 소르비탄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라멜라 액정 구조를 가지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
KR101666267B1 (ko) * | 2014-02-25 | 2016-10-13 | (주)셀트리온 | 화장 지속성 및 유연감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KR101787584B1 (ko) * | 2015-07-17 | 2017-11-15 | 한국콜마주식회사 | 세라마이드-피토스테롤 유도체 액정 수화 기술을 이용한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2017
- 2017-05-17 KR KR1020170061142A patent/KR102399459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5670A (ko) | 2018-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3902B1 (ko) |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AU2014218800B2 (en) | Non-aqueous solid stabilized emulsions | |
JP2002529370A (ja) | 乾燥型エモリエント剤組成物 | |
JPS63192703A (ja) | 皮膚外用剤 | |
KR20070068288A (ko) | 양육모제 조성물 | |
CN106176569A (zh) | 一种预防雾霾天气对皮肤伤害的组合物及其应用 | |
JP2016088929A (ja) | 汚染防止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汚染防止用化粧料又は汚染防止用皮膚外用剤 | |
KR102399459B1 (ko) |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30015469A (ko) | 개선된 제형 안정도를 갖는 워시오프 화장료 조성물 | |
KR101823494B1 (ko) | 금 나노 입자가 분산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IL264694B1 (en) | Preparations containing Dead Sea water and polysaccharides and their use as skin protectors | |
KR20180024401A (ko) |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 |
JP2021001135A (ja) | 白濁液状組成物 | |
JP2016088928A (ja) | 汚染防止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汚染防止用化粧料又は汚染防止用皮膚外用剤 | |
KR102164102B1 (ko) | 화산석 송이를 포함하는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 | |
JP2014198704A (ja) | 乳化組成物 | |
CN109890466A (zh) | 新颖方法 | |
KR102185823B1 (ko) | 나노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00051408A (ko) | 금속수산화물을 함유하는 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 |
EP3873426A1 (de) | Kosmetisches mittel zur behandlung eines keratinischen materials mit anti-pollution-wirkung | |
CN113692270A (zh) | 特定颗粒和亲脂性抗氧化剂的组合 | |
KR20130055332A (ko) | 워터-스플래쉬 현상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12703040B (zh) | Réotier水用于限制污染物的皮肤渗透的用途 | |
KR101662056B1 (ko) | 자외선 차단성 유화제 | |
JP7348014B2 (ja) | 発泡性エアゾール組成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