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8819B1 - 에어컨 세척수 비산방지 및 세척오염수 수집용 부재 - Google Patents

에어컨 세척수 비산방지 및 세척오염수 수집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8819B1
KR102398819B1 KR1020200070590A KR20200070590A KR102398819B1 KR 102398819 B1 KR102398819 B1 KR 102398819B1 KR 1020200070590 A KR1020200070590 A KR 1020200070590A KR 20200070590 A KR20200070590 A KR 20200070590A KR 102398819 B1 KR102398819 B1 KR 102398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air conditioner
water
drain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3485A (ko
Inventor
정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어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어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어존
Priority to KR1020200070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819B1/ko
Publication of KR20210153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10Masks for delimiting area to be clea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2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2203/0264Splash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F28G1/16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 F28G1/166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from external surfaces of heat exchange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 세척수 비산방지 및 세척오염수 수집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냉각핀 세척을 위해서는 도 1과 같이 냉각핀을 분해하고, 이 냉각핀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설치한 다음 세척작업이 진행된다. 따라서 세척작업공간이 협소한 경우 대단히 작업성이 없으며, 냉각핀의 분해조립시 예상못한 부품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무실이나 가정과 같은 실내 공간에서 오염된 열교환기를 본체와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없이 세척가능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에어컨 세척작업에 의하여 발생하는 세척 비산수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에어컨의 외곽 전체를 감싸는 아웃 커버 부재,
세척 작업에 의하여 발생하는 오염수를 포집하는 드레인부재,
에어컨의 응축수 드레인부재와 상기 컬렉팅 부재사이를 밀봉하여 주는 인캡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에어컨 세척수 비산방지 및 세척오염수 수집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포함하여 이루어진 에어컨 세척수 비산방지 및 세척오염수 수집용 부재를 개발하였다.

Description

에어컨 세척수 비산방지 및 세척오염수 수집용 부재{Sheet tools for prevention the rinsed and contaminated liquid spreading and leading to container}
본 발명은 에어컨 세척수 비산방지 및 세척오염수 수집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에어컨, 특히 실내공간에 설치된 입식 에어컨은 실내에 송풍팬에 의하여 실내의 공기를 열교환기로 순환시켜준다. 이렇게 순환되는 실내공기는 다양한 보조장치인 공기 정화장치에 의하여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여 열교환기에 공급되지만, 미세한 이물질은 그대로 통과하여 실내 열교환기의 핀에 고착되어버린다. 이러한 고착된 이물질은 각종 세균들의 영양원으로 작동하므로, 일정한 주기로 세척이 필요하다.
이러한 세척을 위하여 본 발명자는 "천정형 에어컨 실내기 세척용 오염수 비산방지 장치"( 10-1533921-0000호)를 등록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천장형 에어컨 설치부위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연질성 방수 커버; 상기 방수 커버에 연통되게 결합되어 상기 방수 커버로 흘러내린 상기 배출물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연질성 배수관; 상기 방수 커버에 작업자의 손이 내측으로 인입하여 세척작업가능하게 하는 작업터널을 부기한 천정형 에어컨 실내기 세척용 오염수 비산방지장치로서,
중앙의 센터프레임체결부(201)에서부터 상단까지 연장한 각각의 모서리에 탄성재질의 지주(210)의 삽입이 가능한 걸림부(202)와 상단을 고정하는 4각형 프레임(205)을 포함하는 탄성 재질의 절첩식 방수커버(200),
상기 방수커버의 센터프레임체결부에는 세척작업중 발생된 폐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부(210)와 세척시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220)를 체결할 수 있는 센터프레임(211),
상기 센터프레임을 향하여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절첩식 수직축(300)상단은 상기 배출부를 체결하며, 상기 수직축하부는 지면에서 자유이동가능한 주행부(400)와 체결한 지주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 실내기 세척용 오염수 비산방지 장치."이다.
상기 특허에 의하여 천정형 에어컨의 세척에 획기적 전환점을 주게 되었지만, 입식형, 즉 실내에 입식으로 세워져 있는 것도 다양한 세척 방법들이 제시되어 실시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특허 출원 10-2019-0091143 호는
"공조기(1)인 스탠드형 에어컨의 냉각핀(10)의 전체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가림막부재(200)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부재(200)의 전면을 이루며, 상기 냉각핀(10)의 전면을 감싸는 시트로 형성되고, 전후면개폐구(201)가 상하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전면가림시트(210);
상기 가림막부재(200)의 후면을 이루며, 상기 전면가림시트(210)의 좌우측단에 연결 형성되고, 상기 냉각핀(10)의 후면을 감싸는 시트로 형성되며, 전후면개폐구(201)가 상하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상단에 착탈구(200a)가 갖추어지는 후면가림시트(220);
상기 전면가림시트(21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전면가림시트(210)와 일체를 이루고, 상단에 착탈구(200a)가 갖추어져 상기 후면가림시트(210)의 착탈구(200a)와 결합되면서 상기 후면가림시트(210)의 상단에 결합되며, 수평거치대(130)에 거치되는 거치면시트(230);
상기 전면가림시트(210)와 후면가림시트(22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며,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세척수가 모여 저장되는 수용면시트(240);
상기 수용면시트(240) 내부를 통과한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갖추어지며, 길이가 긴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설정지점에 세척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배출구시트(2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전면과 후면만을 갖는 두겹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면가림시트(210)와 후면가림시트(220)가 연결되는 측단에 측면개폐구(202)가 상하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상기 전면가림시트(210)와 후면가림시트(220)를 분리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에어컨 고압세척용 가림막부재."를 개발하였다.
상기 특허 등록은 실내의 열교환기를 세척함에 있어 열교환장치를 본체와 분리하여 전면가림시트(210),후면가림시트(220), 거치면시트(230), 수용면시트(240)등을 조립프레임(100)에 거치하여 준 다음 상기 시트 내부에 분리한 열교환 장치를 내장하여 세척동작을 진행한다.
상기한 특허는 본체와 열교환장치를 분해하는 작업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작업중 다양한 도관, 센서, 전선류 들을 잘못 조작하는 경우 예상치 못한 고장을 발생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본체와 열교환장치의 분해없이 세척작업이 가능한 에어컨 실내기 세척용 오염수 비산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사무실이나 가정과 같은 실내 공간에서 오염된 열교환기를 본체와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없이 세척가능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더나아가서 에어컨 메이커 별로 다양한 형태와 구조의 차이점이 있다 하여도 누구나 손쉽게 세척가능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에어컨 세척작업에 의하여 발생하는 세척 비산수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에어컨의 외곽 전체를 감싸는 아웃 커버 부재,
세척 작업에 의하여 발생하는 오염수를 포집하는 드레인부재,
에어컨의 응축수 드레인부재와 상기 컬렉팅 부재사이를 밀봉하여 주는 인캡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에어컨 세척수 비산방지 및 세척오염수 수집용 부재를 개발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더나아가서 세척작업에 의하여 발생하는 세척 비산수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에어컨의 외곽 전체를 감싸는 아웃 커버 부재,
세척 작업에 의하여 발생하는 오염수를 포집하는 드레인부재,
에어컨의 응축수 드레인부재와 상기 컬렉팅 부재사이를 밀봉하여 주는 인캡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에어컨 세척수 비산방지 및 수집용 장치로서,
에어컨 드레인의 측면에 냉각핀 고정을 위한 고정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세척수 비산방지 및 세척오염수 수집용 부재도 함께 개발하였다.
이상 본 발명은 종래의 세척작업과 달리 에어컨의 외곽만 개방하면 세척이 필요한 냉각핀에 대한 아무런 조작이나 분리가 필요없이 세척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에어컨 설치가 된 협소한 작업공간에 제한없이 모든 작업이 이루어진다. 또한 작업이 전후면 개방정도만 이루어지므로, 작업시간이 배이상 단축될 수 있다.
특히 복잡한 사무실 공간에서도 근무중인 상태에서, 에어컨 앞뒤가림판만제거하고 덮어주면 세척작업이 진행되므로, 근무원들의 근무환경이나, 가정에서의 가족들간에도 전혀 이질감을 주지 않고 세척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 은 종래 에어컨 세척 가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아웃 커버 부재와 드레인부재의 조립전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아웃커버 부재의 세척할 에어컨에 설치하는 상태의 동작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아웃커버 부재, 드레인 부재 및 인캡슐부재를 에어컨에 설치한 상태의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아웃커버 부재, 드레인 부재 및 인캡슐부재를 에어컨에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인캡슐 부재의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아웃커버부재, 드래인부재 그리고 인캡슐부재의 조립후 세척건을 도입하여 세척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임.
이하 본발명의 대표적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실시예는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다양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설치하다",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설치, 고정,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지다", "구성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세척이란 에어컨의 열교환기에 부착된 다양한 점질물을 분해제거하기 위한 물에 용해된 각종 화학제를 포함한 액상물질을 고압분사하는 작업을 통칭하며, 이들 동작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예시하는 에어컨의 형태는 주 세척부가 열교환기이므로, 나머지 펌프, 각종 센서류와 전자부품, 밸브, 도관등의 도시는 생략하며, 모든 열교환기를 내장한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아웃커버 부재, 드레인부재, 인캡슐부재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방수기능을 갖는 합성수지 혹은 합성수지와 고무와 천의 혼방재질로 제작한 것으로, 작업성을 주는 투명성과 절첩성을 보장할 수 있는 모든 재질의 선택사용이 가능하며 재질적인 특성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용이하게 전용가능한 모든 재질을 기술적 범위에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에어컨 세척작업에 의하여 발생하는 세척 비산수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에어컨의 외곽 전체를 감싸는 아웃 커버 부재(10),
세척 작업에 의하여 발생하는 오염수를 포집배출하는 드레인부재(20),
상기 드레인부재와 상기 아웃 커버 부재사이를 밀봉하여 주는 인캡슐(encapsul)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에어컨 세척수 비산방지 및 세척오염수 수집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아웃 커버 부재(10)는,
에어컨에 설치한 열교환기와 주변 하우징 전체를 감싸는 커버재(1)와,
상기 커버재의 전후 대칭토록 설치하여 임의로 개폐동작가능하게 하는 개방조절구(5),
하부의 외측면을 따라 설치한 체결부(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재는 도 2에 도시하듯이 원통형으로 구성되어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통상적인 실내에 스탠드 형태로 설치하는 에어컨이 원통형, 직사각형, 다면체형들으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판매되고 있으므로, 가장 최적이고 대표적인 형태로 원통형을 예시한 것이다.
커버재는 에어컨 청소를 위하여 전후면 커버를 분리제거한 상태에서 세척수를 분사시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막기 위한 기능과 함께 작업중 외부에서 작업자가 내부 세척 작업의 진행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에어컨 전체를 감싸는 구성이라면, 원통형 외에도 직육면체, 원뿔형, 다면체등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며, 상술하듯이 세척수 확산 방지와 작업중 육안확인가능한 기능을 갖는다면 특별히 구성에 제한을 둘 필요는 없으며, 재질 역시 투명하며, 방수기능과 절첩기능을 갖는 모든 것을 포함하여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커버재의 상측은 탄성과 함께 상부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동시에 갖춘 지지체(2)를 내장한 구성이다. 지지체는 임의로 절첩과 확장이 가능하도록 매듭고리(3)와 연결되어져 있어, 에어컨 상부에 적재한 다음 매듭고리를 묶어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상기 개방조절구(5)는 에어컨 외부를 감싼 후, 이곳을 개방한 다음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는 스프레이건과 같은 장비를 집어넣고 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개방조절구는 가장 흔한 형태로 지퍼를 사용하지만, 그외에도 자석체결, 벨크로 테이프등 개방과 폐쇄기능을 갖능 모든 형태의 채용이 가능하다.
하부에 설치한 체결부(8)는 드레인부재와 일체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퍼, 자석, 벨크로 테이프 같은 다양한 형태의 체결수단을 채용하여 줄 수 있다.
체결부에도 상기한 상측에 설치한 지지체와 동일한 재질의 탄성 재질의 하부지지체(9)를 내장하여, 드레인부재와 연결후 전체적인 형태를 유지하면서 유출되어나오는 오염수의 비산방지기능이 최적화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세척 작업에 의하여 발생하는 오염수를 포집하는 드레인부재(20)는,
상기 아웃 커버 부재의 하부와 체결될 수 있는 상체결부(21),
에어컨의 드레인(d)에서 세척중 발생한 오염수를 유도하는 유도경사부(22),
상기 유도경사부가 에어컨의 드레인외벽을 감싸고 밀착토록 하는 고정부(23),
상기 유도경사부를 통하여 자중에 의하여 이동하는 오염된 세척수를 외부로 유도하는 배출로(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드레인부재의 하측단에는 유출되어나오는 오염수의 원활한 배출 경로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과 형태유지성능을 갖는 드레인지지부(25)를 상기 배출로(24)에 설치하여준다. 따라서 오염수가 누적이 되더라도, 상기 탄성을 갖는 드레인지지부에 의하여 배출로의 접힘현상을 막아 중공형태를 유지하므로, 배출되는 오염수의 무게를 견디면서 배출로의 개방상태를 원활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드레인부재와 상기 아웃커버 부재사이를 밀봉하여 주는 인캡슐부재(30)는,
다양한 형태의 에어컨 열교환기능을 갖는 냉각핀(40)의 하부에 설치된 드레인의 외곽면을 따라 밀착 고정가능하는 연질의 밀봉부(32)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밀봉부의 내측면에는 점착성을 갖는 점착층(31)을 형성하여, 도시한 4각구조 외에도 불규칙한 형태의 외면을 갖는 여러 형태의 드레인부재의 외면을 감싸면서 밀착가능하게 하였다.
밀봉부의 상단에서 부터 외곽을 향하여 절첩이 자유로운 방수시트(33)가 연결되어져 있다. 이 방수시트는 상기 드레인부재의 고정부(23)를 상측에서 덮어주어, 마치 우산처럼 덮어주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냉각핀에 분사된 세척수에 의하여 발생한 오염수들이 이 방수시트를 거쳐, 드레인부의 유도경사부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에어컨 세척작업에 의하여 발생하는 세척 비산수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에어컨의 외곽 전체를 감싸는 아웃 커버 부재(10),
세척 작업에 의하여 발생하는 오염수를 포집배출하는 드레인부재(20),
상기 드레인부재와 상기 아웃커버 부재사이를 밀봉하여 주는 인캡슐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에어컨 세척수 비산방지 및 수집용 장치로서,
에어컨 드레인의 측면에 냉각핀 고정을 위한 고정구(50)를 설치하는 것이다.
삭제
냉각핀에 고압 고속의 세척수를 분사하다보면, 경우에 따라서는 냉각핀이 수압이나 진동을 견디지 못하고 변형이 발생가능하기 때문에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컨의 냉각핀(40)의 양측면에 수직으로 입설할 수 있는 고정구를 설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구(50)에는 상측으로 길게 연장 설치한 고정부재(52)에 고정홀(53)들이 다수개 설치되어져 있다. 작업자는 고정을 위한 다양한 고정용 수단들인 체결용 철사, 끈 등을 고정홀에 엮어준 다음, 냉각핀도 함께 엮어줌에 따라 고정구에 냉각핀이 일체로 되어져 고압의 세척수에 의한 변형의 발생 위험성을 방지가능하게 하였다.
고정구의 형태는 직각형으로 입설한 판상형태로 예시하였지만, 원통형의 입설형태, 혹은 고정홀 대신에 고정돌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여, 철끈과 같은 고정수단을 고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조적 특징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다.
세척을 하고자 하는 에어컨의 전면 혹은 후면 혹은 양면을 모두 개방하여 세척이 필요한 냉각핀(열교환기)(40)를 노출시켜준다.
에어컨의 냉각핀(40)의 하부에 설치되어있는 드레인(d)의 외주면을 따라 본 발명의 에어컨의 응축수 드레인부재와 상기 아웃 커버 부재사이를 밀봉하여 주는 인캡슐부재(30)를 밀봉하면서 부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점착층(31)이 드레인의 외주면을 따라 방수성을 부여하면서 밀봉부(32)가 부착되어져, 드레인에서 흘러내리는 세척된 오염수가 외부로 유출확산되는 경로를 차단하여 준다.
이어서 도 3 도시하듯이 아웃커버부재(10)를 에어컨의 상측에서 씌워준다.
아웃커버부재를 덮어 씌운 다음에는 상측에 있는 매듭고리(3)를 조여주어 도 7 처럼 밀착고정하여 준다.
아웃커버부재의 고정이 이루어지고 나면 상기 드레인부재의 절첩이 자유로운 방수시트(33)가 도 6의 화살표처럼 확장하여준다. 방수시트의 확장과 함께 다시 드레인부재를 아웃 커버 부재의 하측과 상체결부(21)에 의하여 일체로 구성한다(도 4와 도 5).
이렇게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방수시트(33)를 펼쳐서 유도경사부(22)를 덮도록 조립하여 준다. 이렇게 조립이 완료되면, 아웃 커버 부재의 개방조절구(5)를 통하여 도 7처럼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분사시켜 냉각핀을 세척하여 준다. 세척중에 발생하는 세척된 오염수는 방수시트를 통하여 유도경사부(22)와 배출로(24)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이상 본 발명은 종래의 세척작업과 달리 에어컨의 외곽만 개방하면 세척이 필요한 냉각핀에 대한 아무런 조작이나 분리가 필요없이 세척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에어컨 설치가 된 협소한 작업공간에 제한없이 모든 작업이 이루어진다. 또한 작업이 전후면 개방정도만 이루어지므로, 작업시간이 배이상 단축될 수 있다.
10:아웃 커버 부재,1:커버재, 2:지지체, 3:매듭고리, 5:개방조절구, 8:체결부, 20:드레인부재, 30:인캡슐(encapsul)부재,40:냉각핀,. 32:밀봉부,31:점착층, 50:고정구

Claims (9)

  1. 에어컨 세척작업에 의하여 발생하는 세척 비산수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에어컨의 외곽 전체를 감싸는 아웃 커버 부재,
    세척 작업에 의하여 발생하는 오염수를 포집배출하는 드레인부재,
    상기 드레인부재와 상기 아웃 커버 부재사이를 밀봉하여 주는 인캡슐부재를 갖는 에어컨 세척수 비산방지 및 세척오염수 수집용 부재로서,
    상기 인캡슐부재는,
    에어컨의 냉각핀의 하부에 설치된 드레인의 외곽면을 따라 밀착 고정가능하는 연질의 밀봉부,
    상기 밀봉부의 내측면에 설치한 점착층,
    상기 밀봉부의 상단에서부터 외곽을 향하여 절첩이 자유롭게 설치한 방수시트를 포함하는 에어컨 세척수 비산방지 및 세척오염수 수집용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아웃 커버 부재는,
    에어컨에 설치한 열교환기와 주변 하우징 전체를 감싸는 커버재,
    상기 커버재의 전후 대칭토록 설치하여 임의로 개폐동작가능하게 하는 개방조절구,
    하부의 외측면을 따라 설치한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세척수 비산방지 및 세척오염수 수집용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커버재의 상측은 탄성과 함께 상부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동시에 갖춘 지지체를 내장하며,
    상기 지지체는 임의로 절첩과 확장이 가능하도록 매듭고리와 연결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세척수 비산방지 및 세척오염수 수집용 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체결부는 드레인부재와 일체로 연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체결부에는 탄성 재질의 하부지지체를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세척수 비산방지 및 세척오염수 수집용 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드레인부재는,
    상기 아웃 커버 부재의 하부와 체결될 수 있는 상체결부,
    에어컨의 드레인에서 유출되는 세척중 발생한 오염수를 유도하는 유도경사부,
    상기 에어컨의 드레인외벽을 감싸고 밀착토록 하는 고정부,
    상기 유도경사부를 통하여 자중에 의하여 이동하는 오염된 세척수를 외부로 유도하는 배출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세척수 비산방지 및 세척오염수 수집용 부재.
  6. 제 5 항에서
    드레인부재의 하측단에는 유출되어나오는 오염수의 원활한 배출 경로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과 형태유지성능을 갖는 드레인지지부를 설치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세척수 비산방지 및 세척오염수 수집용 부재.


  7. 삭제
  8. 에어컨 세척작업에 의하여 발생하는 세척 비산수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에어컨의 외곽 전체를 감싸는 아웃 커버 부재,
    세척 작업에 의하여 발생하는 오염수를 포집배출하는 드레인부재,
    상기 드레인부재와 상기 아웃 커버 부재사이를 밀봉하여 주는 인캡슐부재를 갖는 에어컨 세척수 비산방지 및 세척오염수 수집용 부재로서,
    에어컨 드레인의 측면에 냉각핀 고정을 위한 고정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세척수 비산방지 및 세척오염수 수집용 부재.
  9. 제 8 항에 있어서,
    고정구는,
    에어컨의 냉각핀의 양측면에서 상측으로 길게 연장설치한 판상의 고정부재에 고정홀들이 설치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세척수 비산방지 및 세척오염수 수집용 부재.

KR1020200070590A 2020-06-10 2020-06-10 에어컨 세척수 비산방지 및 세척오염수 수집용 부재 KR102398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590A KR102398819B1 (ko) 2020-06-10 2020-06-10 에어컨 세척수 비산방지 및 세척오염수 수집용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590A KR102398819B1 (ko) 2020-06-10 2020-06-10 에어컨 세척수 비산방지 및 세척오염수 수집용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485A KR20210153485A (ko) 2021-12-17
KR102398819B1 true KR102398819B1 (ko) 2022-05-16

Family

ID=79033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590A KR102398819B1 (ko) 2020-06-10 2020-06-10 에어컨 세척수 비산방지 및 세척오염수 수집용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8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992B1 (ko) 2019-04-12 2020-01-14 주식회사 다원물산 스탠드형 에어컨용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921A (ko) * 2000-05-24 2001-12-07 전승철 에어컨 세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척 방법
KR20140005142U (ko) * 2014-08-06 2014-09-30 이동주 천장형 에어컨디셔너 청소용 가림막
KR102113154B1 (ko) * 2019-07-26 2020-06-02 정태준 스탠드형 에어컨 고압세척용 가림막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992B1 (ko) 2019-04-12 2020-01-14 주식회사 다원물산 스탠드형 에어컨용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485A (ko) 202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5523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112752928B (zh) 空调
US4928581A (en) Negative air control unit and closure structure
KR102398819B1 (ko) 에어컨 세척수 비산방지 및 세척오염수 수집용 부재
JPWO2013046899A1 (ja) 空気調和装置
US11754299B2 (en) Air conditioner and pipe installation apparatus therefor
KR101558141B1 (ko) 작업성이 개선된 일체형 환기구 챔버.
KR100749285B1 (ko) 공기 조화 장치
KR100972048B1 (ko) 착탈식 다방향 분지관을 구비한 환기 장치
CN114059264A (zh) 一种具有热泵烘干功能的衣物处理装置
KR102555979B1 (ko) 천정 및 벽걸이 에어컨에 동시 적용가능한 세척 가대
JP4419522B2 (ja) エアコン設備の室外機カバー
CN216585703U (zh) 一种具有热泵烘干功能的衣物处理装置
CN216919742U (zh) 一种具有热泵烘干功能的滚筒洗衣机
JPS6036838A (ja) 清浄室装置
WO2007086640A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51841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4059262A (zh) 一种具有热泵烘干功能的滚筒洗衣机
JPS62190339A (ja) 清浄室装置
JP3942554B2 (ja) 気液分離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S62228829A (ja) 換気装置
JP2010276213A (ja) エアシャワ装置
JP2018102222A (ja) 空気清浄緑化ユニットおよびこの空気清浄緑化ユニットを用いた空気清浄緑化装置
KR20080044051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H11182891A (ja) 一体型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