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8641B1 - 비사업자 신용카드 매출 정산 대금 바로 입금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 Google Patents

비사업자 신용카드 매출 정산 대금 바로 입금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8641B1
KR102398641B1 KR1020210122340A KR20210122340A KR102398641B1 KR 102398641 B1 KR102398641 B1 KR 102398641B1 KR 1020210122340 A KR1020210122340 A KR 1020210122340A KR 20210122340 A KR20210122340 A KR 20210122340A KR 102398641 B1 KR102398641 B1 KR 102398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assword
operator terminal
consumer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강섭
Original Assignee
(주)윈글로벌페이
우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윈글로벌페이, 우강섭 filed Critical (주)윈글로벌페이
Priority to KR1020210122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6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6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messaging services or messaging ap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사업자 신용카드 매출 정산 대금 바로 입금 방법은 비사업자 단말이 결제 요청 메시지를 소비자 단말에 제공한 후, 사전 암호 제공 메시지를 사업자 단말 각각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소비자 단말은 상기 사업자 단말이 호연결된 후 상기 사업자 단말로부터 사전 인증 요청 절차를 수신하면 상기 사전 인증 요청 절차를 통해 사전 인증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사업자 단말이 상기 사전 인증에 따라 사전 인증 결과 메시지를 상기 소비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업자 단말이 상기 소비자 단말의 전화번호가 미리 등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세 인증 요청 절차를 상기 소비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업자 단말이 상기 상세 인증 결과에 따라 결제 요청 메시지를 PG 서버를 통해 카드사 서버에 제공한 후, 상기 PG 서버를 통해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 요청 메시지에 대한 결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소비자 단말 및 비사업자 단말에 결제 완료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사업자 신용카드 매출 정산 대금 바로 입금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SYSTEM FOR PROVIDING CARD PAYMENT AGENT SERVICE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본 발명은 비사업자 신용카드 매출 정산 대금 바로 입금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비사업자 또는 소상공인의 카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비사업자 신용카드 매출 정산 대금 바로 입금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금결제를 대체하여 널리 이용되는 신용카드는 고객이 카드 단말기를 구비하는 가맹점에서 상품이나 용역을 구매한 후 신용카드를 제시하면, 카드 단말기는 카드사 서버로 카드결제를 요청하고 카드사 서버가 카드결제를 승인함에 따라 카드결제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가맹점이 매출에 따른 대금 결제를 카드사 서버에 요청하면, 카드사는 대금을 즉시 지급하는 것이 아니라, 매출 발생일 이후 통상 3~7일 이후에 카드결제대금을 지급한다.
이 경우, 가맹점 입장에서는 그만큼 현금 흐름이 늦어지게 되고, 카드결제 대금이 제대로 입금됐는지 확인하기 어려우며, 카드사가 실수 또는 의도적으로 카드결제대금을 지급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이를 파악하기 쉽지가 않다. 또한, 매출이 발생한 카드사의 종류에 따라 가맹점에 대한 카드결제대금 지급일이 서로 다르므로 매출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한편, 가맹점이 아닌 무점포 비사업자의 경우는 신용카드 결제 처리가 더 어렵다. 예를 들어, 외판 및 방문판매자, 네트워크 마케팅 업무자, 대리운전자, 택배기사, 대리운전자, 퀵 서비스사, 재래시장 노점상 등과 같은 무점포 비사업자는 사업자 등록증이 없기 때문에 고객을 대상으로 신용카드 결제를 처리할 능력이 없다.
본 발명은 비사업자 또는 소상공인의 카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비사업자 신용카드 매출 정산 대금 바로 입금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비사업자 신용카드 매출 정산 방법은 비사업자 단말이 결제 요청 메시지를 소비자 단말에 제공한 후, 사전 암호 제공 메시지를 사업자 단말 각각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소비자 단말은 상기 사업자 단말이 호연결된 후 상기 사업자 단말로부터 사전 인증 요청 절차를 수신하면 상기 사전 인증 요청 절차를 통해 사전 인증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사업자 단말이 상기 사전 인증에 따라 사전 인증 결과 메시지를 상기 소비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업자 단말이 상기 소비자 단말의 전화번호가 미리 등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세 인증 요청 절차를 상기 소비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업자 단말이 상기 상세 인증 결과에 따라 결제 요청 메시지를 PG 서버를 통해 카드사 서버에 제공한 후, 상기 PG 서버를 통해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 요청 메시지에 대한 결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소비자 단말 및 비사업자 단말에 결제 완료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비사업자 단말, 소비자 단말, 사업자 단말을 포함하는 비사업자 신용카드 매출 정산 대금 바로 입금 시스템은 소비자의 결제 요청에 따라 결제 요청 메시지를 소비자 단말에 제공한 후, 사전 암호 제공 메시지를 사업자 단말 각각에 제공하는 비사업자 단말, 상기 사업자 단말이 호연결된 후 상기 사업자 단말로부터 사전 인증 요청 절차를 수신하면 상기 사전 인증 요청 절차를 통해 사전 인증을 진행하는 소비자 단말, 상기 사전 인증에 따라 사전 인증 결과 메시지를 상기 소비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의 전화번호가 미리 등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세 인증 요청 절차를 상기 소비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업자 단말이 상기 상세 인증 결과에 따라 결제 요청 메시지를 PG 서버를 통해 카드사 서버에 제공한 후, 상기 PG 서버를 통해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 요청 메시지에 대한 결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소비자 단말 및 비사업자 단말에 결제 완료 메시지를 제공하는 사업자 단말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비사업자 또는 소상공인의 카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사업자 신용카드 매출 정산 대금 바로 입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사업자 신용카드 매출 정산 대금 바로 입금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사업자 신용카드 매출 정산 대금 바로 입금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사업자 신용카드 매출 정산 대금 바로 입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블록"은 소규모 데이터들이 P2P 방식으로 생성되어, 다른 블록들과 연결되어 하나의 데이터 저장환경처럼 실행된다. 여기서, 하나의 블록에는 블록이 생성된 시간과, 이전에 생성된 블록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마치 체인처럼 연결되어 있다하여 블록 체인(block chain)이라고 한다.
즉, 1000번째 생성된 블록에는 999번째 블록이 생성된 이후 1000번째 블록이 생성되기 이전의 정보와, 1~999번째 블록에 포함된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 형태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노드"는 블록에 저장하는 녹취 데이터의 위변조 여부를 판단하는 참여자를 의미한다. 즉, 데이터가 발생되어, 노드에게 전달되면, 상기 노드는 데이터의 위변조 여부를 판단하고 다른 노드에게 상기 데이터를 전달하여 추가적인 위변조 여부를 판단시킨다. 여기서, 노드 전체의 과반수이상이 합의한 데이터만 상기 블록에 저장되며, 과반수이상의 합의를 받지 못한 데이터는 파기된다.
즉, 일부 노드에게 위변조가 발생된 데이터가 전달되면 상기 데이터는 노드들의 합의과정에서 위변조로 판별(과반수이상의 합의를 받지 못하여)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사업자 신용카드 매출 정산 대금 바로 입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사업자 신용카드 매출 정산 대금 바로 입금 시스템은 비사업자 단말(100), 소비자 단말(200), 사업자 단말(300), PG 서버(400), 및 카드사 서버(500) 및 금융 결제원 서버(600)를 포함한다.
비사업자 단말(100)은 사업자가 없는 비사업자 또는 소상공인이 보유하는 단말이다.
먼저, 비사업자 단말(100)은 소비자의 결제 요청에 따라 소비자 전화번호 및 결제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 요청 메시지를 소비자 단말(200)에 제공한다.
그 후, 비사업자 단말(100)은 제1 버튼 비밀번호 및 제1 음성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사전 암호 제공 메시지를 사업자 단말에 제공한다. 따라서, 사업자 단말은 제1 버튼 비밀번호 및 제1 음성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사전 인증을 실행할 수 있다.
만일, 비사업자 단말(100)은 사업자 단말(300)로부터 사전 인증 결과 메시지를 수신하고, 사전 인증 결과 메시지 상에 에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전 인증 결과 메시지에 대한 이의 신청 메시지를 사업자 단말(300)에 제공한다.
이때, 이의 신청 메시지는 제1 음성 비밀번호 중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1 버튼 비밀번호의 순번에 해당하는 음성 암호를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이다.
예를 들어, 제1 버튼 비밀번호가 "34"이고, 제1 음성 비밀번호가 "아침"이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1 버튼 비밀번호가 "3"인 경우, 이의 신청 메시지는 제1 음성 비밀번호 "아침" 중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1 버튼 비밀번호 "3"의 순번 "첫 번째"에 해당하는 "아"를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사업자 단말(100)은 사업자 단말(300)로부터 1차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수신하면, 1차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통해 1차 음성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업자 단말(300)에 제공한다.
즉, 비사업자 단말(100)은 1차 음성 비밀번호를 통해 제1 음성 비밀번호 중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1 버튼 비밀번호의 순번에 해당하는 음성 암호를 입력하여 제1 버튼 비밀번호와 동일한 순번의 음성 암호를 입력하여 사업자 단말(300)에 제공한다. 따라서, 사업자 단말(300)은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이의 신청에 대한 처리가 완료된 후 상세 인증을 실행한다.
한편, 비사업자 단말(100)은 사업자 단말(300)로부터 사전 인증 결과 메시지를 수신하고, 사전 인증 결과 메시지 상에 에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지 않으면 사전 인증 결과 메시지에 대한 이의 신청 메시지를 사업자 단말(300)에 제공하지 않는다.
그 후, 비사업자 단말(100)은 소비자 단말(200) 및 사업자 단말(100) 사이의 상세 인증이 완료되면 상세 인증 결과에 따라 사업자 단말(100)로부터 결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비사업자 단말(100)은 사업자 단말(300)을 통해 카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 후, 비사업자 단말(100)은 출금 요청 메시지를 사업자 단말(300) 및 PG 서버를 통해 금융 결제원 서버(600)에 제공한다. 따라서, 금융 결제원 서버(600)는 상기 출금 요청 메시지에 따라 카드 승인 금액을 상기 비사업자 계좌에 이체 처리하기 때문에 비사업자는 카드 승인 금액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소비자 단말(200)은 비사업자를 통해 결제를 진행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이다.
소비자 단말(200)은 비사업자 단말(100)로부터 결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결제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호 연결 신호를 생성하여 사업자 단말(300)에 제공한다.
그 후, 소비자 단말(200)은 사업자 단말(300)과 호연결된 후 상기 사업자 단말(300)로부터 사전 인증 요청 절차를 수신하면 상기 사전 인증 요청 절차를 통해 사전 인증을 진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비자 단말(200)은 사업자 단말(300)로부터 제1 버튼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수신하고, 제1 버튼 비밀번호 입력 절차에 따라 제1 버튼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업자 단말(300)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소비자 단말(200)은 제1 버튼 비밀번호 입력 절차에 따라 제1 버튼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튼 비밀번호가 "34"인 경우, 소비자 단말(200)은 제1 버튼 비밀번호 입력 절차에 따라 "34"중 "3" 또는 "4"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업자 단말(300)은 소비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제1 버튼 비밀번호 및 미리 저장된 제1 버튼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호 연결된 소비자 단말(200)의 전화번호, 결제 금액 및 1차 버튼 비밀번호 인증 결과를 포함하는 사전 인증 완료 메시지를 비사업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사전 인증 과정이 종료되면 사업자 단말(300)에 소비자 단말(200)의 전화번호가 미리 등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제1 비밀번호 설정 절차를 거친 후 상세 인증 요청 절차를 수신한다.
만일, 사업자 단말(300)에 소비자 단말(200)의 전화번호가 미리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소비자 단말(200)은 사업자 단말(300)로부터 제2 버튼 비밀번호 설정 절차 및 제2 음성 비밀번호 설정 절차를 수신한다.
먼저, 소비자 단말(200)은 사업자 단말(300)로부터 제2 버튼 비밀번호 설정 절차를 수신하면 제2 버튼 비밀번호 설정 절차를 통해 제2 버튼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업자 단말(300)에 제공한다.
그 후, 소비자 단말(200)은 사업자 단말(300)로부터 제2 음성 비밀번호 설정 절차를 수신하면 제2 음성 비밀번호 설정 절차를 통해 제2 음성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업자 단말(300)에 제공한다.
한편, 사업자 단말(300)에 소비자 단말(200)의 전화번호가 미리 등록되어 있으면, 소비자 단말(200)은 사업자 단말(300)로부터 상세 인증 절차 요청 절차를 수신한다.
먼저, 소비자 단말(200)은 사업자 단말(300)로부터 제2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수신하면, 제2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통해 제2 음성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업자 단말(300)에 제공한다.
따라서, 사업자 단말(300)는 제2 음성 비밀번호 및 미리 등록된 제2 음성 비밀번호가 동일하면, 결제 요청 메시지를 PG 서버(400)를 통해 카드사 서버(500)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사업자 단말(300)은 사업자가 보유하는 단말로서, 비사업자 단말(100) 및 소비자 단말(200)과의 인증이 종료되면 카드 승인을 처리할 수 있다.
먼저, 사업자 단말(300)은 비사업자 단말(100)로부터 사전 암호 제공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전 암호 제공 메시지에서 제1 버튼 비밀번호 및 제1 음성 비밀번호를 추출하여 저장한다.
그 후, 사업자 단말(300)은 소비자 단말(200)로부터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한 후 소비자 단말(200)과 호 연결되면, 사전 인증을 진행하기 위해 제1 버튼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소비자 단말(200)에 제공한 후 제1 버튼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통해 제1 버튼 비밀번호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업자 단말(300)은 제1 버튼 비밀번호 입력 절차에 따라 제1 버튼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튼 비밀번호가 "34"인 경우, 사업자 단말(300)은 제1 버튼 비밀번호 입력 절차에 따라 "34"중 "3" 또는 "4"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사업자 단말(300)은 소비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제1 버튼 비밀번호 및 미리 저장된 제1 버튼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호 연결된 소비자 단말(200)의 전화번호, 결제 금액 및 1차 버튼 비밀번호 인증 결과를 포함하는 사전 인증 완료 메시지를 비사업자 단말(100)에 제공한다.
만일, 비사업자 단말(100)이 사전 인증 결과 메시지 상에 에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업자 단말(300)은 비사업자 단말(100)로부터 사전 인증 결과 메시지에 대한 이의 신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때, 사전 인증 결과 메시지에 대한 이의 신청 메시지는 제1 음성 비밀번호 중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1 버튼 비밀번호의 순번에 해당하는 음성 암호를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이다.
사업자 단말(300)은 비사업자 단말(100)로부터 이의 신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1차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비사업자 단말(100)에 제공하며, 비사업자 단말(100)로부터 1차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통해 1차 음성 비밀번호를 수신한다.
이때, 제1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1 버튼 비밀번호의 순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비사업자는 제1 음성 비밀번호 중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1 버튼 비밀번호의 순번에 해당하는 음성 암호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사업자 단말(300)은 비사업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제1 버튼 비밀번호 및 미리 저장된 제1 버튼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사전 인증을 종료한다.
그 후, 사업자 단말(300)은 소비자 단말(200)의 전화번호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결제 요청 메시지를 PG 서버(400)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업자 단말(300)은 소비자 단말(200)의 전화번호가 미리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제2 버튼 비밀번호 설정 절차 및 제2 음성 비밀번호 설정 절차를 소비자 단말(200)에 제공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사업자 단말(300)은 소비자 단말(200)로부터 제2 버튼 비밀번호 설정 절차를 통해 제2 버튼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제2 음성 비밀번호 설정 절차를 통해 제2 음성 비밀번호를 수신하면, 소비자 전화번호와 대응시켜 제2 버튼 비밀번호 및 제2 음성 비밀번호를 저장한다.
그 후, 사업자 단말(300)은 제2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소비자 단말(200)에 제공한 후 제2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통해 제2 음성 비밀번호를 수신한다. 만일, 사업자 단말(300)은 제2 음성 비밀번호 및 미리 등록된 제2 음성 비밀번호가 동일하면 결제 요청 메시지를 PG 서버(400)를 통해 카드사 서버(500)에 제공한 후 PG 서버(400)를 통해 카드사 서버(500)로부터 결제 요청 메시지에 대한 결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소비자 단말(200) 및 비사업자 단말(100)에 결제 완료 메시지를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업자 단말(300)은 소비자 단말(200)의 전화번호가 미리 등록되어 있으면, 제2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소비자 단말(200)에 제공한 후 제2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통해 제2 음성 비밀번호를 수신한다.
만일, 사업자 단말(300)은 제2 음성 비밀번호 및 미리 등록된 제2 음성 비밀번호가 동일하면 결제 요청 메시지를 PG 서버(400)를 통해 카드사 서버(500)에 제공한 후 PG 서버(400)를 통해 카드사 서버(500)로부터 결제 요청 메시지에 대한 결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소비자 단말(200) 및 비사업자 단말(100)에 결제 완료 메시지를 제공한다.
금융 결제원 서버(600)카드사 서버(500)는 사업자 단말(300) 및 PG 서버(400)를 통해 비사업자 단말(100)로부터 출금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출금 요청 메시지에 따라 카드 승인 금액을 상기 비사업자 계좌에 이체 처리한다. 따라서, 비사업자는 카드 승인 금액을 출금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사업자 신용카드 매출 정산 대금 바로 입금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비사업자 단말(100)은 소비자의 결제 요청에 따라 소비자 전화번호 및 결제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 요청 메시지를 소비자 단말(200)에 제공하고(단계 S101), 제1 버튼 비밀번호 및 제1 음성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사전 암호 제공 메시지를 사업자 단말(300)에 각각 제공한다(단계 S102).
소비자 단말(200)은 비사업자 단말(100)로부터 결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S101), 결제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호 연결 신호를 생성하여 사업자 단말(300)에 제공한다(단계 S102).
소비자 단말(200)은 사업자 단말(300)과 호 연결되면(단계 S103) 사업자 단말(300)로부터 제1 버튼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수신하고(단계 S104), 제1 버튼 비밀번호 입력 절차에 따라 제1 버튼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업자 단말(300)에 제공한다(단계 S105).
단계 S105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소비자 단말(200)은 제1 버튼 비밀번호 입력 절차에 따라 제1 버튼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튼 비밀번호가 "34"인 경우, 소비자 단말(200)은 제1 버튼 비밀번호 입력 절차에 따라 "34"중 "3" 또는 "4"를 입력할 수 있다.
그 후, 사업자 단말(300)은 소비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제1 버튼 비밀번호 및 미리 저장된 제1 버튼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호 연결된 소비자 단말(200)의 전화번호, 결제 금액 및 1차 버튼 비밀번호 인증 결과를 포함하는 사전 인증 완료 메시지를 비사업자 단말(100)에 제공한다(단계 S106).
만일, 비사업자 단말(100)은 사전 인증 결과 메시지 상에 에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전 인증 결과 메시지에 대한 이의 신청 메시지를 사업자 단말(300)에 제공한다(단계 S107). 이때, 사전 인증 결과 메시지에 대한 이의 신청 메시지는 제1 음성 비밀번호 중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1 버튼 비밀번호의 순번에 해당하는 음성 암호를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이다.
사업자 단말(300)은 비사업자 단말(100)로부터 이의 신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1차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비사업자 단말(100)에 제공하며(단계 S108), 비사업자 단말(100)로부터 1차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통해 1차 음성 비밀번호를 수신한다(단계 S109). 이때, 제1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1 버튼 비밀번호의 순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비사업자는 제1 음성 비밀번호 중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1 버튼 비밀번호의 순번에 해당하는 음성 암호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사업자 단말(300)은 비사업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제1 버튼 비밀번호 및 미리 저장된 제1 버튼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사전 인증을 종료한다.
그 후, 사업자 단말(300)은 소비자 단말(200)의 전화번호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단계 S110), 확인 결과에 따라 결제 요청 메시지를 PG 서버(400)에 제공한다(단계 S118) .
일 실시예에서, 사업자 단말(300)은 소비자 단말(200)의 전화번호가 미리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단계 S110), 제2 버튼 비밀번호 설정 절차(단계 S111) 및 제2 음성 비밀번호 설정 절차(단계 S113)를 소비자 단말(200)에 제공한다(단계 S111).
상기의 실시예에서, 사업자 단말(300)은 소비자 단말(200)로부터 제2 버튼 비밀번호 설정 절차(단계 S111)를 통해 제2 버튼 비밀번호를 수신하고(단계 S112) 제2 음성 비밀번호 설정 절차(단계 S113)를 통해 제2 음성 비밀번호를 수신하면(단계 S114), 소비자 전화번호와 대응시켜 제2 버튼 비밀번호 및 제2 음성 비밀번호를 저장한다.
그 후, 사업자 단말(300)은 제2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단계 S115)를 소비자 단말(200)에 제공한 후 제2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통해 제2 음성 비밀번호를 수신한다(단계 S116). 만일, 사업자 단말(300)은 제2 음성 비밀번호 및 미리 등록된 제2 음성 비밀번호가 동일하면(단계 S117) 결제 요청 메시지를 PG 서버(400)를 통해 카드사 서버(500)에 제공한 후(단계 S118, 단계 S119) PG 서버(400)를 통해 카드사 서버(500)로부터 결제 요청 메시지에 대한 결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단계 S120, S121), 소비자 단말(200) 및 비사업자 단말(300)에 결제 완료 메시지를 제공한다(단계 S123).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업자 단말(300)은 소비자 단말(200)의 전화번호가 미리 등록되어 있으면(단계 S110), 제2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소비자 단말(200)에 제공한 후 제2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통해 제2 음성 비밀번호를 수신한다(단계 S115, 단계 S116).
만일, 사업자 단말(300)은 제2 음성 비밀번호 및 미리 등록된 제2 음성 비밀번호가 동일하면(단계 S117) 결제 요청 메시지를 PG 서버(400)를 통해 카드사 서버(500)에 제공한 후(단계 S118, 단계 S119) PG 서버(400)를 통해 카드사 서버(500)로부터 결제 요청 메시지에 대한 결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단계 S120, S121), 소비자 단말(200) 및 비사업자 단말(300)에 결제 완료 메시지를 제공한다(단계 S123).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사업자 신용카드 매출 정산 대금 바로 입금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비사업자 단말(100)은 출금 요청 메시지를 사업자 단말(300)에 제공하고(단계 S301), 사업자 단말(300)은 출금 요청 메시지를 PG 서버(400)에 제공한다(단계 S302).
PG 서버(400)는 출금 요청 메시지를 금융 결제원 서버(600)에 제공한다(단계 S303). 따라서, 금융 결제원 서버(600)는 출금 요청 메시지에 따라 카드 승인 금액을 상기 비사업자 계좌에 이체 처리한 후 출금 완료 메시지를 비사업자 단말(100)에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비사업자는 카드 승인 금액을 출금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사업자 신용카드 매출 정산 대금 바로 입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3을 참조하면, 비사업자 신용카드 매출 정산 대금 바로 입금 시스템은 비사업자 단말(100), 소비자 단말(200), 사업자 단말(300), PG 서버(400), 카드사 서버(500) 및 블록체인(600_1~600_n)을 포함한다.
먼저, 비사업자 단말(100)은 소비자의 결제 요청에 따라 소비자 전화번호 및 결제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 요청 메시지를 소비자 단말(200)에 제공한다. 그 후, 비사업자 단말(100)은 제1 버튼 비밀번호 및 제1 음성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메시지를 블록체인(600_1~600_n)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제1 버튼 비밀번호 및 제1 음성 비밀번호를 블록체인(600_1~600_n)에 저장함으로써 사업자 단말(300)은 사전 인증 시 블록체인(600_1~600_n)에서 데이터를 획득하여 인증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비사업자 단말(100)은 사업자 단말(300)로부터 사전 인증 결과 메시지를 수신하고, 사전 인증 결과 메시지 상에 에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전 인증 결과 메시지에 대한 이의 신청 메시지를 사업자 단말(300)에 제공하며, 이의 신청 처리 결과에 따라 소비자 단말(200) 및 사업자 단말(100) 사이의 상세 인증이 완료되면 상세 인증 결과에 따라 사업자 단말(100)로부터 결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비사업자 단말(100)은 사업자 단말(300)을 통해 카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소비자 단말(200)은 비사업자를 통해 결제를 진행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이다.
소비자 단말(200)은 비사업자 단말(100)로부터 결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결제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호 연결 신호를 생성하여 사업자 단말(300)에 제공한다.
그 후, 소비자 단말(200)은 사업자 단말(300)과 호연결된 후 상기 사업자 단말(300)로부터 사전 인증 요청 절차를 수신하면 상기 사전 인증 요청 절차를 통해 사전 인증을 진행한다.
상기와 같은, 사전 인증 과정이 종료되면 사업자 단말(300)에 소비자 단말(200)의 전화번호가 미리 등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제1 비밀번호 설정 절차를 거친 후 상세 인증 요청 절차를 수신한다.
만일, 사업자 단말(300)에 소비자 단말(200)의 전화번호가 미리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소비자 단말(200)은 사업자 단말(300)로부터 제2 버튼 비밀번호 설정 절차 및 제2 음성 비밀번호 설정 절차를 수신한다.
먼저, 소비자 단말(200)은 사업자 단말(300)로부터 제2 버튼 비밀번호 설정 절차를 수신하면 제2 버튼 비밀번호 설정 절차를 통해 제2 버튼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블록체인(600_1~600_n)에 제공한다.
그 후, 소비자 단말(200)은 사업자 단말(300)로부터 제2 음성 비밀번호 설정 절차를 수신하면 제2 음성 비밀번호 설정 절차를 통해 제2 음성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블록체인(600_1~600_n)에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제2 버튼 비밀번호 및 제2 음성 비밀번호를 블록체인(600_1~600_n)에 저장함으로써 사업자 단말(300)은 상세 인증 시 블록체인(600_1~600_n)에서 데이터를 획득하여 인증할 수 있는 것이다.
사업자 단말(300)은 사업자가 보유하는 단말로서, 비사업자 단말(100) 및 소비자 단말(200)과의 인증이 종료되면 카드 승인을 처리할 수 있다.
사업자 단말(300)은 소비자 단말(200)로부터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한 후 소비자 단말(200)과 호 연결되면, 사전 인증을 진행하기 위해 제1 버튼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소비자 단말(200)에 제공한 후 제1 버튼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통해 제1 버튼 비밀번호를 수신한다.
그 후, 사업자 단말(300)은 블록체인(600_1~600_n)에서 소비자의 전화 번호를 해쉬키로 하는 블록을 추출한 후, 블록에 저장된 제1 버튼 비밀번호을 추출하며, 제1 버튼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호 연결된 소비자 단말(200)의 전화번호, 결제 금액 및 1차 버튼 비밀번호 인증 결과를 포함하는 사전 인증 완료 메시지를 비사업자 단말(100)에 제공한다.
만일, 비사업자 단말(100)이 사전 인증 결과 메시지 상에 에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업자 단말(300)은 비사업자 단말(100)로부터 사전 인증 결과 메시지에 대한 이의 신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사업자 단말(300)은 비사업자 단말(100)로부터 이의 신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1차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비사업자 단말(100)에 제공하며, 비사업자 단말(100)로부터 1차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통해 1차 음성 비밀번호를 수신한다.
사업자 단말(300)은 블록체인(600_1~600_n)에서 소비자의 전화 번호를 해쉬키로 하는 블록을 추출한 후, 블록에 저장된 제1 음성 비밀번호을 추출하며, 제1 음성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호 연결된 소비자 단말(200)의 전화번호, 결제 금액 및 1차 버튼 비밀번호 인증 결과를 포함하는 사전 인증 완료 메시지를 비사업자 단말(100)에 제공한다.
블록체인(600_1~600_n)은 순차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블록들(210, 220, 230)의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일종이다. 상기 블록체인(600_1~600_n)은 블록체인 시스템 내 소비자의 결제 금액, 비밀번호 등을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의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각 노드가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600_1~600_n)에 연결한다. 도3에 제한된 수의 블록들이 도시되어 있으나 블록체인에 포함될 수 있는 블록의 수는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블록체인(600_1~600_n)에 포함된 각 블록은 블록 헤더와 블록 바디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 헤더는 각 블록들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이전 블록의 해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해시 값에는 소비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600_1~600_n)이 유효한지 검증하는 과정에서 상기 블록 헤더(211) 내의 연결 관계가 사용된다. 상기 블록 바디는 상기 블록(210)에 저장되고 관리되는 데이터, 예를 들어 트랜잭션 리스트(즉, 소비자의 결제 금액, 비밀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600_1~600_n)은 비사업자 단말(100) 또는 소비자 단말(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소비자 전화번호를 해쉬키로 하는 블록을 생성한 후 블록 바디에 소비자와 연관된 데이터(즉, 소비자의 결제 금액, 비밀번호 등)을 저장한다.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비사업자 단말,
200: 소비자 단말,
300: 사업자 단말,
400: PG 서버.
500: 카드사 서버
600: 금융 결제원 서버

Claims (3)

  1. 비사업자 단말, 소비자 단말, 사업자 단말을 포함하는 비사업자 신용카드 매출 정산 대금 바로 입금 시스템에 있어서,
    소비자의 결제 요청에 따라 소비자 전화번호 및 결제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 요청 메시지를 소비자 단말에 제공하고, 제1 버튼 비밀번호 및 제1 음성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사전 암호 제공 메시지를 사업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전 암호 제공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사전 인증 결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사전 인증 결과 메시지 상에 에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사전 인증 결과 메시지에 대한 이의 신청 메시지를 사업자 단말에 제공한 후 상기 사업자 단말로부터 1차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수신하면 상기 1차 음성 비밀번호를 통해 제1 음성 비밀번호 중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1 버튼 비밀번호의 순번에 해당하는 음성 암호를 입력하여 제1 버튼 비밀번호와 동일한 순번의 음성 암호를 입력하여 사업자 단말에 제공하고, 소비자 단말 및 사업자 단말 사이의 상세 인증이 완료되면 상세 인증 결과에 따라 사업자 단말로부터 결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고, 출금 요청 메시지를 사업자 단말 및 PG 서버를 통해 금융 결제원 서버에 제공하는 비사업자 단말;
    상기 비사업자 단말로부터 결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결제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호 연결 신호를 생성하여 사업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업자 단말과 호연결된 후 상기 사업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1 버튼 비밀번호 입력 절차에 따라 제1 버튼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여 사업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업자 단말에 전화번호가 미리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사업자 단말로부터 제2 버튼 비밀번호 설정 절차를 수신하면 제2 버튼 비밀번호 설정 절차를 통해 제2 버튼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사업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업자 단말로부터 제2 음성 비밀번호 설정 절차를 수신하면 제2 음성 비밀번호 설정 절차를 통해 제2 음성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사업자 단말에 제공하고, 소비자 단말의 전화번호가 미리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사업자 단말로부터 제2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통해 제2 음성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업자 단말에 제공하는 소비자 단말;
    상기 비사업자 단말로부터 사전 암호 제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전 암호 제공 메시지에서 제1 버튼 비밀번호 및 제1 음성 비밀번호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과 호 연결되면 사전 인증을 진행하기 위해 제1 버튼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소비자 단말에 제공한 후 상기 제1 버튼 비밀번호 입력 절차에 따라 제1 버튼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1 버튼 비밀번호 및 미리 저장된 제1 버튼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상기 호 연결된 소비자 단말의 전화번호, 결제 금액 및 1차 버튼 비밀번호 인증 결과를 포함하는 사전 인증 완료 메시지를 비사업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전 인증 결과 메시지 상에 에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된 후 상기 비사업자 단말로부터 사전 인증 결과 메시지에 대한 이의 신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1차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비사업자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비사업자 단말로부터 1차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통해 1차 음성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비사업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1 버튼 비밀번호 및 미리 저장된 제1 버튼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사전 인증을 종료하고, 소비자 단말의 전화번호가 미리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제2 버튼 비밀번호 설정 절차 및 제2 음성 비밀번호 설정 절차를 소비자 단말에 제공하고, 소비자 단말로부터 제2 버튼 비밀번호 설정 절차를 통해 제2 버튼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제2 음성 비밀번호 설정 절차를 통해 제2 음성 비밀번호를 수신하면, 소비자 전화번호와 대응시켜 제2 버튼 비밀번호 및 제2 음성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제2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소비자 단말에 제공한 후 제2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통해 제2 음성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제2 음성 비밀번호 및 미리 등록된 제2 음성 비밀번호가 동일하면 결제 요청 메시지를 PG 서버를 통해 카드사 서버에 제공한 후 PG 서버를 통해 카드사 서버로부터 결제 요청 메시지에 대한 결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소비자 단말 및 비사업자 단말에 결제 완료 메시지를 제공하고, 소비자 단말의 전화번호가 미리 등록되어 있으면, 제2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소비자 단말에 제공한 후 제2 음성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통해 제2 음성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제2 음성 비밀번호 및 미리 등록된 제2 음성 비밀번호가 동일하면 결제 요청 메시지를 PG 서버를 통해 카드사 서버에 제공한 후 PG 서버를 통해 카드사 서버로부터 결제 요청 메시지에 대한 결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소비자 단말 및 비사업자 단말에 결제 완료 메시지를 제공하는 사업자 단말; 및
    상기 사업자 단말 및 상기 PG 서버를 통해 비사업자 단말로부터 출금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출금 요청 메시지에 따라 카드 승인 금액을 상기 비사업자 계좌에 이체 처리하는 금융 결제원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사업자 신용카드 매출 정산 대금 바로 입금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10122340A 2021-09-14 2021-09-14 비사업자 신용카드 매출 정산 대금 바로 입금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2398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340A KR102398641B1 (ko) 2021-09-14 2021-09-14 비사업자 신용카드 매출 정산 대금 바로 입금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340A KR102398641B1 (ko) 2021-09-14 2021-09-14 비사업자 신용카드 매출 정산 대금 바로 입금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641B1 true KR102398641B1 (ko) 2022-05-16

Family

ID=81799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340A KR102398641B1 (ko) 2021-09-14 2021-09-14 비사업자 신용카드 매출 정산 대금 바로 입금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6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778A (ko) * 2015-03-05 2016-09-19 (주)이삭랜드코리아 소상공인을 위한 휴대 단말 앱 기반 간편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15038A (ko) * 2015-07-29 2017-02-08 인비즈넷 주식회사 모바일 전화번호 및 개인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754954B1 (ko) * 2016-04-28 2017-07-07 주식회사 피노텍 자필서명과 음성을 이용한 개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778A (ko) * 2015-03-05 2016-09-19 (주)이삭랜드코리아 소상공인을 위한 휴대 단말 앱 기반 간편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15038A (ko) * 2015-07-29 2017-02-08 인비즈넷 주식회사 모바일 전화번호 및 개인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754954B1 (ko) * 2016-04-28 2017-07-07 주식회사 피노텍 자필서명과 음성을 이용한 개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3323B1 (en) Autonomous devices
EP3776441B1 (en) Digital asset exchange
US20230368158A1 (en) Cryptographic currency exchange
KR102639135B1 (ko) 암호화방식으로 싸인된 레코드들의 안전한 교환
KR100717590B1 (ko) 인터넷상에서의 가상자산 거래시스템 및 그 방법
US6157920A (en) Executable digital cash for electronic commerce
US20070266131A1 (en) Obtaining and Using Primary Access Numbers Utilizing a Mobile Wireless Device
US2020032049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a transaction using private blockchain
JP2001512872A (ja) 広域ネットワーク上の小売り方法
US201302268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an entity using transaction processing
WO2019122977A1 (en) A method for providing a loan with cryptocurrency as collateral
CN111127078A (zh) 一种基于区块链的积分交易方法及系统、电子设备
JP7321418B1 (ja) 電子商取引承認システム、電子商取引管理システム、電子商取引の承認方法、電子商取引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00024036A (ko) 전자상거래에서의 제3자거래보증
KR20200116042A (ko) 가상자산에 의한 제1 결제수단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시스템과 연동하여 비-가상자산에 의한 제2 결제수단에 기반하여 상기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결제대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 대행 방법
JP2002342688A (ja) 電子商取引方法、決済代行方法、使い捨て後払い方式情報発行方法、および決済依頼方法
CN113159682B (zh) 一种电子仓单信息联盟链系统
KR102398641B1 (ko) 비사업자 신용카드 매출 정산 대금 바로 입금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20200071226A (ko) 마스터패스워드와 공개키 기반의 안전하고 편리한 거래방법
CN106203976A (zh) 基于同一资金服务器的支付系统及其支付方法、装置和服务器
KR101045241B1 (ko) 신용카드 시스템을 이용한 판매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99983A (ko) 암호화 화폐 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102294623B1 (ko) 블록체인 기반 상품 구매 중계 시스템 및 방법
CA2988812C (en) Payment system based on shared funds-management server, and method, device and server therefor
KR102475662B1 (ko) 분산원장 기반의 블록체인을 이용한 포인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