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083B1 - 크랭크 운동방식 벨트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크랭크 운동방식 벨트 운동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97083B1 KR102397083B1 KR1020200089076A KR20200089076A KR102397083B1 KR 102397083 B1 KR102397083 B1 KR 102397083B1 KR 1020200089076 A KR1020200089076 A KR 1020200089076A KR 20200089076 A KR20200089076 A KR 20200089076A KR 102397083 B1 KR102397083 B1 KR 1023970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lifting
- frame
- support
- bel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8874 Chronic Fatigue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618 Intervertebral Disc Displace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914 Mental Fatigu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9816 Muscle tight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6256 fatigu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766 myalgic encephalomeyelitis/chronic fatigue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2001/0203—Rotation of a body part around its longitudinal ax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61H2011/005—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with belt or strap expanding and contracting around an encircled body par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36—Special crank assemb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3—Bac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자없이 크랭크 운동력으로 벨트의 좌,우측 움직임을 상,하로 승강시키고, 좌,우측 교번적으로 승강동작되는 벨트 움직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진동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신체 접촉부위를 좌,우측 측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벨트와 접촉되는 신체부위뿐만 아니라 다른 부위의 혈액 순환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크랭크 운동방식 벨트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크랭크 운동방식 벨트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동자없이 크랭크 운동력으로 벨트의 좌,우측 움직임을 상,하로 승강시키고, 좌,우측 교번적으로 승강동작되는 벨트 움직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진동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신체 접촉부위를 좌,우측 측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벨트와 접촉되는 신체부위뿐만 아니라 다른 부위의 혈액 순환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크랭크 운동방식 벨트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 중 하나는 오랜 시간 동안 컴퓨터를 다루면서 스트레스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사십견이나 오십견을 포함하여 목과 어깨에서 유발하는 통증으로 고통을 받는 것이 있으며, 또 장시간 바르지 않는 자세로 의자에 앉아 있으므로 인해 발생 되는 목과 허리디스크로 인해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에 따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운동이 필요하게 되고, 운동의 종류에 따른 운동기구의 개발도 필요로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체피로를 자주 느끼거나 과도한 스트레스 및 만성피로 증후군의 환자나, 심한 운동으로 인한 근육의 긴장을 느끼는 사람, 장시간 의자를 사용하거나 서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 요통이 있는 사람 등에는 마사지를 하여 근육의 긴장과 정신적인 피로를 풀어 이를 해소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이에 사람의 손으로 마사지하는 대신 신체에 전기적인 자극 또는 물리적인 자극을 가하여 마사지할 수 있는 마사지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사지장치로는 벨트를 이용해 마사지하는 운동벨트나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아 마시지를 받을 수 있는 안마의자 등이 있다.
벨트를 이용해 마사지하는 운동벨트는 주로 헬스장 등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그 종류로는 단순히 떨림 기능을 수행하는 벨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단순히 떨림 진동하는 운동벨트의 경우에는, 구동장치에 연결된 벨트가 구동장치의 편심 회전력에 의해 전달된 진동력을 허리 등의 신체부위에 전달하는 것으로 신체부위를 떨림시켜 마사지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운동벨트의 경우에는 실내에 설치하여 사용할 만큼 크기 때문에 휴대하여 다닐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가격이 비싸 일반 소비자들이 사용하기에는 부담이 되었다
기존 벨트 진동 운동기구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8595호 "벨트형 회전진동 운동기구"(등록일자 : 2006.12.1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자극을 주고자 하는 특정부위에 접촉되는 접촉부, 및 접촉부에 연결되고 특정부위가 포함되는 신체부위를 감싸 접촉부를 특정부위에 밀착 고정시키는 밴드부로 구성된 본체; 접촉부 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 고정프레임 내에 고정되며 정역 구동되는 구동모터, 및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로 구성된 진동 발생장치; 구동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장치; 및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기존 벨트 진동 운동기구와 관련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3468호 "벨트형 회전진동 운동기구"(등록일자 : 2007.12.03)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 내에 고정되며 정역 구동되는 구동모터, 고정프레임 내에서 구동모터의 양쪽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진동을 발생시키는 두 개의 진동자, 및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진동자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로 구성된 진동 발생장치를 포함하며, 벨트 형태로 제작된 본체 내에 진동 발생장치를 내장하여 진동에 의해 신체부위를 마사지하도록 된 구성에 있어서, 구동모터의 구동축은 구동모터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동력전달부는 구동축의 양단부에 각각 축 결합되는 두 개의 구동풀리, 두 진동자에 각각 고정되는 종동풀리, 및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를 각각 연결하는 두 개의 동력전달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런데, 기존 벨트를 이용한 진동 운동기구의 경우에는 진동자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구성 요소 추가로 인한 생산단가 상승 및 설계상의 제약이 있으며, 단순히 벨트의 진동력을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전달하여 진동 벨트와의 접촉되는 신체 부위에만 운동 및 마사지 효과가 제한되므로, 운동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진동자없이 크랭크 운동력으로 벨트의 좌,우측 움직임을 상,하로 승강시키고, 좌,우측 교번적으로 승강동작되는 벨트 움직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진동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신체 접촉부위를 좌,우측 측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벨트와 접촉되는 신체부위뿐만 아니라 다른 부위의 혈액 순환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크랭크 운동방식 벨트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에 대해 일정 높이로 배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단에 안착되고 구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으로 크랭크 회전동작되는 크랭크축과; 일단이 상기 크랭크축과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크랭크 회전되는 연동레버와; 일단이 상기 연동레버의 타단과 연동 회전되도록 핀 연결되고 타단이 제1승강브라켓과 일체로 결합되는 연결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1승강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의 타측단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 제2승강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제1,2승강브라켓의 상,하 승강동작시 사용자의 신체 접촉 부위에 좌,우 방향 이동마찰력을 교번적으로 제공하는 벨트부재와; 상기 제1승강브라켓의 상,하 승강력을 상기 제2승강브라켓측으로 교번적으로 전달하는 승강력 전달기구; 및 상기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벨트부재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제1,2지지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력 전달기구는 상기 제1승강브라켓의 하부와 상기 제2승강브라켓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중간부위에 핀 결합되어 상기 제1승강브라켓의 승강동작시 상반되는 승강력을 상기 제2승강브라켓에 전달하는 회동핀을 구비한다.
상기 제1,2지지롤러는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서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단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중공을 갖는 제1가이드브라켓과, 상기 제1가이드브라켓의 중공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지지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브라켓과, 상기 제1가이드브라켓의 외측에 체결되고 일방향 회전시 단부가 상기 중공 내부로 진입되어 상기 제1지지브라켓과 접촉되어 상기 제1지지브라켓의 높이를 고정시키는 제1조절볼트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단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중공을 갖는 제2가이드브라켓과, 상기 제2가이드브라켓의 중공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2지지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브라켓, 및 상기 제2가이드브라켓의 외측에 체결되고 일방향 회전시 단부가 상기 중공 내부로 진입되어 상기 제2지지브라켓과 접촉되어 상기 제2지지브라켓의 높이를 고정시키는 제2조절볼트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의 일측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부재가 더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벨트부재를 기준으로 전,후로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좌측단과 우측단을 연결하며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지지하는 받침대가 더 구비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바닥에 수평상태로 누운 상태로 신체의 일부를 벨트부재의 상측에 안착시키고,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크랭크 운동방식으로 제1승강브라켓의 상,하 승강력으로 전환시킨 후에, 상기 제1승강브라켓의 상,하방향 움직임이 회동핀을 중심으로 시소운동되는 연결바를 통해 제2승강브라켓에 전달됨에 따라, 상기 제1,2승강브라켓의 상,하 움직임이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됨에 따라 벨트부재를 좌,우 양측으로 당기는 인장력으로 작용하게 되어 벨트부재에 안착된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대한 마사지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신체를 좌,우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회전시켜 사용자의 신체 혈액흐름을 촉진시켜 혈액순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재활운동을 요구하는 환자에게 신체 부담없이 재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랭크 운동방식 벨트운동기구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승강력 전달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제1,2승강브라켓의 위치 변화에 따른 벨트부재의 움직임을 나타낸 도면.
도 5a,5b,5c는 사용자가 벨트부재에 안착된 상태에서의 벨트부재의 좌,우측 움직임을 나타낸 사용상태도로서, 도 5a는 크랭크축의 동작전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b는 제1승강브라켓이 하강동작되어 벨트부재의 일단이 당겨지면서 사용자의 우측어깨가 상측으로 향하는 기울기를 갖도록 움직이는 도면이며, 도 5c는 제2승강브라켓이 하강동작되어 벨트부재의 타단이 당겨지면서 사용자의 좌측어깨가 상측으로 향하는 기울기의 움직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 높낮이 조절수단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 승강력 전달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제1,2승강브라켓의 위치 변화에 따른 벨트부재의 움직임을 나타낸 도면.
도 5a,5b,5c는 사용자가 벨트부재에 안착된 상태에서의 벨트부재의 좌,우측 움직임을 나타낸 사용상태도로서, 도 5a는 크랭크축의 동작전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b는 제1승강브라켓이 하강동작되어 벨트부재의 일단이 당겨지면서 사용자의 우측어깨가 상측으로 향하는 기울기를 갖도록 움직이는 도면이며, 도 5c는 제2승강브라켓이 하강동작되어 벨트부재의 타단이 당겨지면서 사용자의 좌측어깨가 상측으로 향하는 기울기의 움직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 높낮이 조절수단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랭크 운동방식 벨트운동기구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바닥에 대해 일정 높이로 배치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단에 안착되고 구동모터(210)의 회전 구동력으로 크랭크 회전동작되는 크랭크축(220)과; 일단이 상기 크랭크축(220)과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크랭크 회전되는 연동레버(250)와; 일단이 상기 연동레버(250)의 타단과 연동 회전되도록 핀 연결되고 타단이 제1승강브라켓(310)과 일체로 결합되는 연결링크(270)와; 일단이 상기 제1승강브라켓(3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100)의 타측단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 제2승강브라켓(320)에 연결되어 상기 제1,2승강브라켓(310,320)의 상,하 승강동작시 사용자의 신체 접촉 부위에 좌,우 방향 이동마찰력을 교번적으로 제공하는 벨트부재(400)와; 상기 제1승강브라켓(310)의 상,하 승강력을 상기 제2승강브라켓(320)측으로 교번적으로 전달하는 승강력 전달기구(500); 및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과 타측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벨트부재(400)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제1,2지지롤러(610,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00)은 좌측단과 우측단이 중간부위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프레임(100)은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좌,우 양측단에 다리부재(105)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부재(11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벨트부재(400)를 기준으로 전,후로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100)의 좌측단과 우측단을 연결하며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지지하는 받침대(150)가 더 구비된 것이다.
상기 받침대(150)는 신체 부위를 지지하는 쿠션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력 전달기구(500)는 상기 제1승강브라켓(310)의 하부와 상기 제2승강브라켓(320)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바(510)와, 상기 연결바(510)의 중간부위에 핀 결합되어 상기 제1승강브라켓(310)의 승강동작시 상반되는 승강력을 상기 제2승강브라켓(320)에 전달하는 회동핀(5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바(510)는 프레임(100)의 중앙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제1승강브라켓(310)의 하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승강브라켓(320)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일단과 타단이 상기 회동핀(520)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된다.
상기 시소 운동되는 연결바(510)는 상기 제1,2승강브라켓(310,320)의 상,하 승강 운동이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동작되도록 승강력을 부여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210)의 회전력은 상기 크랭크축(220)과 상기 연동레버(250) 및 연결링크(270)를 통해 직선 방향의 상,하 승강력으로 전환되어 상기 제1승강브라켓(310)을 상,하 승강시키게 된다.
상기 제1,2지지롤러(610,620)는 상기 벨트부재(400)의 방향을 전환시킴과 아울러, 벨트부재(400)의 텐션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1,2지지롤러(610,620)는 상기 프레임(100)의 상측에서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수단(70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700)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단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중공을 갖는 제1가이드브라켓(710)과, 상기 제1가이드브라켓(710)의 중공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지지롤러(6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브라켓(720)과, 상기 제1가이드브라켓(710)의 외측에 체결되고 일방향 회전시 단부가 상기 중공 내부로 진입되어 상기 제1지지브라켓(720)과 접촉되어 상기 제1지지브라켓(720)의 높이를 고정시키는 제1조절볼트(730)와, 상기 프레임(100)의 타측단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중공을 갖는 제2가이드브라켓(740)과, 상기 제2가이드브라켓(740)의 중공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2지지롤러(6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브라켓(750), 및 상기 제2가이드브라켓(740)의 외측에 체결되고 일방향 회전시 단부가 상기 중공 내부로 진입되어 상기 제2지지브라켓(750)과 접촉되어 상기 제2지지브라켓(750)의 높이를 고정시키는 제2조절볼트(760)로 구성된다.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700)은 상기 제1가이드브라켓(710)의 중공에 삽입된 제1지지브라켓(720)의 높이와 상기 제2가이드브라켓(740)의 중공에 삽입된 제2지지브라켓(750)의 높이를 제1,2조절볼트(730,760)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2지지브라켓(720,750)에 지지된 상기 제1,2지지롤러(610,62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벨트부재(400)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벨트부재(400)는 일단이 상기 제1승강브라켓(3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승강브라켓(32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2승강브라켓(310,320)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벨트부재(400)가 좌,우측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벨트부재(400)에 안착된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좌,우 양측으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승강브라켓(310,320)의 승강동작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력 전달기구(500)에 의해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시소운동된다.
상기 크랭크축(220)이 축을 기준으로 중간 높이보다 하측에 위치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랭크축(220)의 높이 변위가 연동레버(250)와 연결링크(270)을 통해 제1승강브라켓(310)측에 전달되어 상기 제1승강브라켓(310)을 하강동작시키게 되면서 상기 벨트부재(400)의 일단을 하방향으로 당기게 되는 반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랭크축(220)이 상기 중간 높이보다 상측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크랭크축(220)의 높이 변위가 연동레버(250)와 연결링크(270)을 통해 제1승강브라켓(310)측에 전달되어 상기 제1승강브라켓(310)을 연동되도록 상승동작시키게 되면서 상기 벨트부재(400)의 타단을 하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프레임(100)의 좌,우측을 가로지르는 벨트부재(400)의 상측에 신체 부위를 안착시키고 구동모터(210)를 동작시키면, 상기 구동모터(210)의 회전력이 크랭크축(220)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크랭크축(220)의 회전력이 연동레버(250)와 연결링크(270)를 통해 제1승강브라켓(310)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력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크랭크축(220)의 크랭크 움직임에 따라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승강브라켓(310,320)이 회동핀(520)을 중심으로 시소운동되는 연결바(510)에 의해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승강동작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한 제1승강브라켓(310)의 승강동작시 승강 움직임이 연결바(510)를 통해 제2승강브라켓(320)에 전달되어 상기 제2승강브라켓(320)을 상기 제1승강브라켓(310)과 상반되는 방향으로 승강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승강브라켓(310,320)의 상,하 움직임은 상기 벨트부재(400)의 양단부를 상,하로 연동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고, 상기 벨트부재(400)가 좌,우측으로 당겨지는 인장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도 5b을 참조하면, 상기 크랭크축(220)이 중간 높이보다 하측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1승강브라켓(310)이 상기 크랭크축(220)의 위치 변위에 따라 하강동작되고, 상기 연결바(510)의 일단이 연동되도록 하강되면서 벨트부재(400)의 일단을 하방향으로 당기는 반면에, 상기 회동핀(520)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바(520)의 타단이 상승동작되며, 상기 연결바(520)의 타단과 연결된 제2승강브라켓(320)이 상승동작되면서 상기 벨트부재(400)의 타단 높이를 상측으로 위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벨트부재(400)의 우측방향 움직임에 의해 사용자가 도 5b에서의 우측 어깨부위가 상측으로 향하도록 기울기를 갖게 된다.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크랭크축(220)이 중간 높이보다 상측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1승강브라켓(310)이 상기 크랭크축(220)의 위치 변위에 따라 상승동작되고, 상기 연결바(510)의 일단이 연동되도록 상승되면서 벨트부재(400)의 일단 높이를 상측으로 위치시키는 반면에, 상기 회동핀(520)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바(520)의 타단이 하강동작되며, 상기 연결바(520)의 타단과 연결된 제2승강브라켓(320)이 하강동작되면서 상기 벨트부재(400)의 타단을 하측으로 당기기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벨트부재(400)의 좌측방향 움직임에 의해 사용자가 도 5c에서의 좌측 어깨부위가 상측으로 향하도록 기울기를 갖게 된다.
상기 제1,2승강브라켓(310,320)의 상,하 승강 움직임에 따라 벨트부재(400)를 좌,우 양측으로 교번적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벨트부재(400)에 안착된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진동력을 이용한 마사지 기능을 제공함과 아울러, 벨트부재(400)에 안착된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좌,우 양측으로 교번적으로 회전시켜 사용자의 신체 자세를 주기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바닥에 수평상태로 누운 상태로 신체의 일부를 벨트부재(400)의 상측에 안착시키고, 구동모터(210)의 회전력을 크랭크 운동방식으로 제1승강브라켓(310)의 상,하 승강력으로 전환시킨 후에, 상기 제1승강브라켓(310)의 상,하방향 움직임이 회동핀(520)을 중심으로 시소운동되는 연결바(510)를 통해 제2승강브라켓(320)에 전달됨에 따라, 상기 제1,2승강브라켓(310,320)의 상,하 움직임이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됨에 따라 벨트부재(400)를 좌,우 양측으로 당기는 인장력으로 작용하게 되어 벨트부재(400)에 안착된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대한 마사지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신체를 좌,우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회전시켜 사용자의 신체 혈액흐름을 촉진시켜 혈액순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재활운동을 요구하는 환자에게 신체 부담없이 재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력 전달기구(500)를 이용하여 회동핀(520)을 중심으로 연결바(510)가 시소운동되는 구조이며, 제1승강브라켓(310)의 승강 움직임이 연결바(510)에 의해 제2승강브라켓(320)에 상반되는 방향으로 전달되는 구조이므로, 하나의 구동모터(210)로 프레임(100)의 양측단에 마련된 제1,2승강브라켓(310,320)을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승강동작시킬 수 있게 되어 승강력 전달기구(500)를 이용한 동력 전달구조를 가짐에 따라 고장요인을 줄일 수 있으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프레임 105 : 다리부재
110 : 바퀴부재 150 : 받침대
210 : 구동모터 220 : 크랭크축
250 : 연동레버 270 : 연결링크
310,320 : 제1,2승강브라켓 400 : 벨트부재
500 : 승강력 전달기구 510 : 연결바
520 : 회동핀 610,620 : 제1,2지지롤러
700 : 높낮이 조절수단 710 : 제1가이드브라켓
720 : 제1지지브라켓 730 : 제1조절볼트
740 : 제2가이드브라켓 750 : 제2지지브라켓
760 : 제2조절볼트
110 : 바퀴부재 150 : 받침대
210 : 구동모터 220 : 크랭크축
250 : 연동레버 270 : 연결링크
310,320 : 제1,2승강브라켓 400 : 벨트부재
500 : 승강력 전달기구 510 : 연결바
520 : 회동핀 610,620 : 제1,2지지롤러
700 : 높낮이 조절수단 710 : 제1가이드브라켓
720 : 제1지지브라켓 730 : 제1조절볼트
740 : 제2가이드브라켓 750 : 제2지지브라켓
760 : 제2조절볼트
Claims (5)
- 바닥에 대해 일정 높이로 배치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단에 안착되고 구동모터(210)의 회전 구동력으로 크랭크 회전동작되는 크랭크축(220)과;
일단이 상기 크랭크축(220)과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크랭크 회전되는 연동레버(250)와;
일단이 상기 연동레버(250)의 타단과 연동 회전되도록 핀 연결되고 타단이 제1승강브라켓(310)과 일체로 결합되는 연결링크(270)와;
일단이 상기 제1승강브라켓(3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100)의 타측단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 제2승강브라켓(320)에 연결되어 상기 제1,2승강브라켓(310,320)의 상,하 승강동작시 사용자의 신체 접촉 부위에 좌,우 방향 이동마찰력을 교번적으로 제공하는 벨트부재(400)와;
상기 제1승강브라켓(310)의 상,하 승강력을 상기 제2승강브라켓(320)측으로 교번적으로 전달하는 승강력 전달기구(500); 및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과 타측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벨트부재(400)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제1,2지지롤러(610,6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운동방식 벨트운동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력 전달기구(500)는 상기 제1승강브라켓(310)의 하부와 상기 제2승강브라켓(320)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바(510)와,
상기 연결바(510)의 중간부위에 핀 결합되어 상기 제1승강브라켓(310)의 승강동작시 상반되는 승강력을 상기 제2승강브라켓(320)에 전달하는 회동핀(52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운동방식 벨트운동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지지롤러(610,620)는 상기 프레임(100)의 상측에서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수단(7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700)은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단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중공을 갖는 제1가이드브라켓(710)과,
상기 제1가이드브라켓(710)의 중공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지지롤러(6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브라켓(720)과,
상기 제1가이드브라켓(710)의 외측에 체결되고 일방향 회전시 단부가 상기 중공 내부로 진입되어 상기 제1지지브라켓(720)과 접촉되어 상기 제1지지브라켓(720)의 높이를 고정시키는 제1조절볼트(730)와,
상기 프레임(100)의 타측단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중공을 갖는 제2가이드브라켓(740)과,
상기 제2가이드브라켓(740)의 중공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2지지롤러(6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브라켓(750), 및
상기 제2가이드브라켓(740)의 외측에 체결되고 일방향 회전시 단부가 상기 중공 내부로 진입되어 상기 제2지지브라켓(750)과 접촉되어 상기 제2지지브라켓(750)의 높이를 고정시키는 제2조절볼트(7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운동방식 벨트운동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부재(11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운동방식 벨트운동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벨트부재(400)를 기준으로 전,후로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100)의 좌측단과 우측단을 연결하며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지지하는 받침대(1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운동방식 벨트운동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9076A KR102397083B1 (ko) | 2020-07-17 | 2020-07-17 | 크랭크 운동방식 벨트 운동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9076A KR102397083B1 (ko) | 2020-07-17 | 2020-07-17 | 크랭크 운동방식 벨트 운동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0322A KR20220010322A (ko) | 2022-01-25 |
KR102397083B1 true KR102397083B1 (ko) | 2022-05-12 |
Family
ID=80049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9076A KR102397083B1 (ko) | 2020-07-17 | 2020-07-17 | 크랭크 운동방식 벨트 운동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9708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33679A (ja) | 2002-06-28 | 2004-02-05 | Takashi Negoro | 腰部揺動装置 |
JP2004321664A (ja) | 2003-04-28 | 2004-11-18 | Rasuku:Kk | 吊りベルト式リハビリ装置 |
KR101555966B1 (ko) | 2015-07-08 | 2015-09-25 | 주식회사 휴테크산업 | 두드림 기능이 있는 안마기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155622B2 (ja) * | 1998-06-05 | 2008-09-24 | 儒子 平塚 | 寝返りベッド |
KR100658595B1 (ko) | 2006-09-21 | 2006-12-19 | 김계수 | 벨트형 회전진동 운동기구 |
KR100783468B1 (ko) | 2007-02-15 | 2007-12-11 | 대경엔터프라이즈(주) | 벨트형 회전진동 운동기구 |
KR20190023966A (ko) * | 2017-08-30 | 2019-03-08 | (주)드림헬스 | 하체 운동 기구 |
-
2020
- 2020-07-17 KR KR1020200089076A patent/KR10239708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33679A (ja) | 2002-06-28 | 2004-02-05 | Takashi Negoro | 腰部揺動装置 |
JP2004321664A (ja) | 2003-04-28 | 2004-11-18 | Rasuku:Kk | 吊りベルト式リハビリ装置 |
KR101555966B1 (ko) | 2015-07-08 | 2015-09-25 | 주식회사 휴테크산업 | 두드림 기능이 있는 안마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0322A (ko) | 2022-0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475130B1 (en) | Sporting apparatus for simulating horse riding | |
KR101138660B1 (ko) | 운동 보조 장치 | |
KR100664725B1 (ko) | 전신지압 및 척추교정기의 베드구조 | |
KR20060054222A (ko) | 체지방 분해 및 근력강화 운동기구 | |
CN107028753A (zh) | 具有理疗功能的筋脊调整及康复训练系统及其机器人 | |
KR101885432B1 (ko) | 기능성 침대 | |
TWI634923B (zh) | Human health device | |
CN110353945A (zh) | 一种多运动模式的下肢康复机器人 | |
KR102397083B1 (ko) | 크랭크 운동방식 벨트 운동기구 | |
KR102323896B1 (ko) | 운동용 의자 | |
KR200450443Y1 (ko) | 마사지장치 | |
US3898985A (en) | Body motion system | |
KR20230145636A (ko) | 재활 운동 장치 | |
KR102134804B1 (ko) | 붕어운동기 | |
WO2008018223A1 (fr) | Dispositif pour exercices de flexion et d'étirement | |
JP3132853U (ja) | ベット装置 | |
JP2006223791A (ja) | 運動補助装置 | |
KR20100109185A (ko) | 운동기구 | |
KR100745156B1 (ko) | 스윙운동의 안정성이 향상된 바이브레이타 | |
KR200363859Y1 (ko) | 전신지압 및 척추교정기의 베드구조 | |
KR200434021Y1 (ko) | 요동조절 기구를 가진 스트레칭장치 | |
KR101282206B1 (ko) | 척추교정기 | |
KR100617487B1 (ko) | 발목 펌프 운동 기구 | |
KR102241730B1 (ko) | 침대형 재활운동기구 | |
KR200354045Y1 (ko) | 승마용 운동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