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6645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645B1
KR102396645B1 KR1020170104077A KR20170104077A KR102396645B1 KR 102396645 B1 KR102396645 B1 KR 102396645B1 KR 1020170104077 A KR1020170104077 A KR 1020170104077A KR 20170104077 A KR20170104077 A KR 20170104077A KR 102396645 B1 KR102396645 B1 KR 102396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ide wall
buffer member
wall portio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0220A (ko
Inventor
왕지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4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645B1/ko
Priority to CN201810537001.8A priority patent/CN109410747B/zh
Publication of KR20190020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1L27/32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는 윈도우, 상기 홀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윈도우의 상기 두께 방향으로 배치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바닥부를 포함하는 버튼 하우징, 상기 측벽부와 상기 홀의 내벽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 및 상기 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버튼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외부 자극을 받아들여 표시 장치 내에서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 단자 또는 입력 모듈 등의 입력 버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버튼 모듈은 버튼 하우징에 의하여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입력 버튼 모듈을 포함하는 버튼 하우징은 윈도우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표시 장치에 고정될 수 있는데,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홀 주변의 윈도우가 파손되어 표시 장치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개선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는 윈도우, 상기 홀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윈도우의 상기 두께 방향으로 배치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바닥부를 포함하는 버튼 하우징, 상기 측벽부와 상기 홀의 내벽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 및 상기 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측벽부는 평면상 연속적인 폐곡선 형상으로, 상기 홀의 상기 내벽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튼 하우징은 상기 측벽부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입력 버튼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버튼 모듈의 하면은 상기 바닥부의 상면과 접하고, 상기 입력 버튼 모듈의 측면은 상기 측벽부의 측벽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는 평면상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폐곡선으로, 고리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는 고무 재질, 실리콘 재질, 또는 플라스틱 폼 재질을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측벽부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의 상면은 상기 측벽부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는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포함하고, 상기 일면은 상기 내측벽과 접하고, 상기 타면은 완충 부재와 접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의 상기 일면 및/또는 상기 타면에 형성된 요철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와 연결되고, 상기 측벽부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하단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단 돌출부의 상면은 상기 윈도우의 하면에 접할 수 있다.
상기 하단 돌출부의 돌출 길이는 상기 바닥부의 돌출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하단 돌출부의 하면과 상기 바닥부의 하면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정렬될 수 있다.
상기 하단 돌출부의 두께와 상기 바닥부의 두께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와 연결되고, 상기 측벽부의 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중단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오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와 연결되고, 상기 측벽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단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의 상면은 상기 상단 돌출부의 하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주위에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 하우징은 상기 표시 영역과 비중첩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윈도우의 일 단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윈도우와 버튼 하우징 사이에 완충 부재가 배치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완충 부재가 윈도우와 버튼 하우징 사이의 이격 공간을 완전히 밀폐하여, 외부 물질이 표시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V-V'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4는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부재의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는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0)는 투명 기판(10), 투명 기판(10)의 일 측부에 배치되는 버튼부(500), 및 투명 기판(10)의 하부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20)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1000)는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은 화면이 표시 되는 영역이고, 비표시 영역(NDA)은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주위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DA)이 직사각형인 경우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4개의 변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는 평면상 직사각형으로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는 일 단변 측에 배치되는 제1 측부(S1)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제2 측부(S2), 제3 측부(S3) 및 제4 측부(S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부(S1)와 제3 측부(S3)는 서로 마주하며,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측부(S2)는 제4 측부(S4)와 마주하며,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부(S1)와 제3 측부(S3)는 표시 장치(100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측부(S2)와 제4 측부(S4)는 표시 장치(10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측부(S1)와 제3 측부(S3)가 연장되는 방향을 제1 방향(D1)이라하고, 제2 측부(S2)와 제4 측부(S4)가 연장되는 방향을 제2 방향(D2)이라 한다. 또한, 표시 장치(1000)의 높이 방향, 즉 1 방향과 제2 방향(D2)이 이루는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제3 방향(D3)이라 한다. 표시 장치(1000)의 형상은 예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이나 기타 다른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투명 기판(10)은 표시 장치(1000)의 평면상 외관을 정의하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20)을 보호한다. 투명 기판(10)은 표시 장치(100)에서 윈도우일 수 있다.
투명 기판(10)의 표시 영역(DA)은 대체로 투명하며, 표시 패널(20)에서 출사된 빛을 투과시킨다. 투명 기판(10)의 비표시 영역(NDA)은 인쇄층(미도시) 또는 데코 부재(미도시) 등이 배치되어 불투명할 수 있다. 투명 기판(10)의 비표시 영역은 표시 장치(1000) 내부에서 발생된 빛이 표시 영역(DA) 이외의 영역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에서 표시 장치(1000)의 내부가 시인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쇄층과 데코 부재 등은 다양한 색감 및 질감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투명 기판(10)은 하나 이상의 홀(H)을 포함할 수 있다. 홀(H)은 투명 기판(10)의 일 측, 예컨대 제1 측부(S1)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홀(H)은 제1 측부(S1) 및 제3 측부(S3)에 복수개로 배치될 수도 있다. 홀(H)은 표시 패널(20)의 표시 영역(DA)과 비중첩하게 배치될 수 있다. 홀(H)은 비표시 영역(N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홀(H)은 투명 기판(10)을 두께 방향, 즉 제3 방향(DR3)으로 관통하는 관통 홀(H)일 수 있다.
홀(H)은 평면상 타원형, 원형,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개의 홀(H)이 배치될 경우, 각 홀(H)의 크기 및/또는 형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홀(H)은 평면상 투명 기판(10)의 단변이 연장되는 방향(예컨대, 제2 방향(DR2)으로 장변이 배치되는 타원형 형상일 수 있다.
홀(H)은 버튼부(500)가 수납될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버튼부(500)는 홀(H)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홀(H)에 삽입될 수 있다. 버튼부(500)는 입력 버튼 모듈(30), 입력 버튼 모듈(30)을 수납하는 버튼 하우징(40), 및 완충 부재(50)를 포함한다.
입력 버튼 모듈(30)은 외부에서 인식될 수 있다. 즉, 입력 버튼 모듈(30)은 투명 기판(10)의 관통홀(H)에 삽입되어, 입력 버튼 모듈(30)의 상면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입력 버튼 모듈(30)은 외부 자극을 받아들여 표시 장치(1000)내에서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 단자 또는 입력 모듈일 수 있다. 예컨대, 입력 버튼 모듈(30)은 표시 장치(1000)의 홈버튼 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전원 버튼, 음량 버튼 등일 수 있다.
입력 버튼 모듈(30)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버튼 모듈(30)은 지문 센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버튼 모듈(30)은 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또는 심박수 등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일 수도 있다. 입력 버튼 모듈(30)은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으며, 홈버튼과 지문 센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입력 버튼 모듈(30)은 투명 기판(10)의 홀(H)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홀(H)의 형상이 평면상 타원형인 경우 입력 버튼 모듈(30) 역시 평면상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평면상에서, 입력 버튼 모듈(30)은 홀(H) 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되, 입력 버튼 모듈(30)의 면적은 홀(H)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즉, 평면상에서, 홀(H)의 내벽(HS)을 기준으로 입력 버튼 모듈(30)의 측면(30s)은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홀(H)의 내벽(HS)과 입력 버튼 모듈(30)의 측면(30s) 사이 공간은 버튼 하우징(40)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버튼 하우징(40)은 투명 기판(10)의 하부에 배치되며, 투명 기판(10)의 홀(H)과 삽입된다. 버튼 하우징(40)은 버튼부(500)를 수납하는 수납 영역과 투명 기판(10)과 결합되는 결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하우징(40)의 일 측면을 따라 완충 부재(50)가 배치될 수 있다. 완충 부재(50)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 장치(10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버튼 하우징(40) 및 완충 부재(5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투명 기판(10)의 하부에는 표시 패널(20)이 배치된다. 이하에서, 특별한 정의가 없는한 "상부"는 제3 방향(D3)을 따라 표시 패널(20)을 기준으로 표시면 측을 의미하고, "하부"는 표시 패널(20)을 기준으로 제3 방향(D3)을 따라 표시면을 반대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표시 패널(20)은 화면을 표시하는 패널로서, 예를 들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20)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 적용된 경우를 예시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액정 표시 장치, 전기 영동 장치 등 다른 종류의 표시 패널이 적용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20)은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은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리지드 기판일 수도 있고, 폴리이미드 등으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기판일 수도 있다. 상기 기판으로 폴리이미드 기판이 적용되는 경우, 유기 발광 표시 패널(20)은 휘거나 꺾이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다.
표시 패널(20)은 투명 기판(10)에 완전히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투명 기판(10)은 표시 패널(20)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20)의 측벽 외측면을 기준으로 투명 기판(10)의 측벽 외측면은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명 기판(10)과 표시 패널(20) 사이에는 터치 패널(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표시 패널(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중첩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20)과 터치 패널, 터치 패널과 투명 기판(10)은 각각 광학 투명 접착제(OCA)나 광학 투명 수지(OCR)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20)과 투명 기판(10)이 광학 투명 접착제(OCA)나 광학 투명 수지(OCR)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20)은 그 내부에 터치 전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V-V'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0)의 버튼 하우징(40)은 측벽부(40w), 바닥부(40f) 및 하단 돌출부(40p)를 포함한다. 버튼 하우징(40)의 측벽부(40w), 바닥부(40f) 및 하단 돌출부(40p)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버튼 하우징(40)은 입력 버튼 모듈 사용에 따른 반복된 외부 압력에도 불구하고 입력 버튼 모듈(30)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는 일정 수준 이상의 강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하우징(40)은 상기 강성 조건을 만족하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버튼 하우징(40)의 측벽부(40w)는 투명 기판(1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다. 측벽부(40w)는 홀(H)의 내벽(HS)을 따라 연속하여 연장되는 폐곡면일 수 있다. 버튼 하우징(40)의 측벽부(40w)와 홀(H)의 내벽(HS) 사이의 이격 거리는 대체로 일정할 수 있다. 버튼 하우징(40)의 측벽부(40w)는 평면상 폐곡선을 이룬다. 예를 들어, 홀(H)이 평면상 타원형인 경우, 측벽부(40w)는 홀(H)의 외주를 따라 연장된 타원형 일 수 있다. 측벽부(40w)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은 버튼 수납 공간으로 활용된다.
구체적으로, 버튼 하우징(40)의 측벽부(40w)는 홀(H)의 중심부와 가까운 측벽 내측면(40ws1)과 홀(H)의 내벽(HS)과 가까운 측벽 외측면(40ws2)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부(40w)의 측벽 내측면(40ws1)과 측벽 외측면(40ws2)을 사이의 수직 거리, 즉 측벽부(40w)의 두께는 대체로 일정할 수 있다. 측벽부(40w)의 두께는 약 0.1mm 내지 약 0.3mm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2mm일 수 있다. 측벽부(40w)의 두께가 0.1mm 이상이면 입력 버튼 모듈(30)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측벽부(40w)의 두께가 0.3mm 이하이면 측벽부(40w)를 지지하기에 효과적인 강성을 지니면서도, 입력 버튼 모듈(30)이 배치되기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벽부(40w)의 두께는 약 0.2mm 일 수 있다.
버튼 하우징(40)의 측벽부(40w)의 측벽 외측면(40ws2)은 홀(H)의 내벽(HS)과 마주할 수 있다. 버튼 하우징(40)의 측벽부(40w)의 측벽 외측면(40ws2)은 홀(H)의 내벽(HS)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버튼 하우징(40)의 측벽부(40w)의 측벽 외측면(40ws2)과 홀(H)의 내벽(HS) 사이의 이격 거리는 약 0.005mm 내지 0.015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벽부(40w)의 측벽 외측면(40ws2)과 홀(H)의 내벽(HS) 사이의 이격 거리는 약 0.01mm 일 수 있다. 버튼 하우징(40)의 측벽부(40w)와 홀(H)의 내벽(HS) 사이의 이격 공간은 완충 부재(50)가 배치될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측벽부(40w)의 상면(40wa)은 투명 기판(10)의 상면(10a)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투명 기판(10)의 상면(10a)은 측벽부(40w)의 상면(40wa)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표시 장치의 외부로부터 버튼 하우징(40)의 측벽부(40w)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버튼 하우징(40)의 측벽부(40w)의 상면(40wa)과 투명 기판(10)의 상면(10a)이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측벽부(40w)는 바닥부(40f)와 연결된다. 바닥부(40f)는 측벽부(40w)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된다. 바닥부(40f)는 측벽부(40w)와 두께가 같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12의 실시예와 같이 바닥부(40f)와 측벽부(40w)의 두께는 상이할 수 있다.
바닥부(40f)는 평면상 연속적으로 연장된 폐곡선 형상일 수 있다. 바닥부(40f)는 측벽부(40w)의 측벽 내측면(40ws1)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닥부(40f)의 상면(40fa)은 측벽부(40w)의 측벽 내측면(40ws1)과 수직으로 교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것처럼, 측벽부(40w)로 둘러싸인 수납 공간 내부에는 입력 버튼 모듈(30)이 배치된다. 입력 버튼 모듈은(30)은 바닥부(40f) 상면(40f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입력 버튼 모듈(30)은 버튼 하우징(40)의 측벽부(40w)와 바닥부(40f)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입력 버튼 모듈(30)의 하면(30b)과 바닥부(40f)의 상면(40fa) 사이에는 제1 접착 부재(60)가 개재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측벽부(40w)의 측벽 내측면(40ws1)과 입력 버튼 모듈(30)의 측면(30s) 사이에도 접착 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60)는 버튼 하우징(40)과 입력 버튼 모듈(30) 사이에 개재되어, 입력 버튼 모듈(30)이 버튼 하우징(4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접착 부재(60)는 접착 물질이나 점착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접착 부재(60)는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벽부(40w)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단 돌출부(40p)와 연결된다. 하단 돌출부(40p)는 측벽부(40w)의 하단에서 홀(H)의 내벽(HS) 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하단 돌출부(40p)는 바닥부(40f)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
하단 돌출부(40p)는 측벽부(40w)를 따라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방향(D2)을 따라 2개의 하단 돌출부(40p)가 배치될 수 있다. 하단 돌출부(40p)는 표시 패널(20)과 비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단 돌출부(40p)의 측면(40ps)은 표시 패널(20)의 측면을 기준으로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방향(D1)을 따라 2개의 하단 돌출부(40p)가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을 따라 4개의 하단 돌출부(40p)가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하단 돌출부(40p)는 연속적으로 연장된 폐곡선 형상일 수 있다.
하단 돌출부(40p)의 하면은 바닥부(40f)의 하면(40fb)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정렬될 수 있다. 즉, 하단 돌출부(40p)의 하면과 바닥부(40f)의 하면(40fb)은 제3 방향(D3)을 따라 동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하단 돌출부(40p)의 하면 및 바닥부(40f)의 하면(40fb)은 측벽부(40w)의 일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하단 돌출부(40p)의 하면, 바닥부(40f)의 하면(40fb) 및 측벽부(40w)의 하면은 동일 평면상에 정렬 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단 돌출부(40p)의 하면, 바닥부(40f)의 하면(40fb), 및 측벽부(40w)의 하면이 이루는 버튼 하우징(40)의 하면은 돌출된 영역 없이 매끄럽게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하단 돌출부(40p)의 측면(40ps)과 측벽부(40w)의 측벽 외측면(40ws2) 사이의 수직 거리, 즉 하단 돌출부(40p)가 돌출된 거리는 바닥부(40f)의 측면과 측벽부(40w)의 측벽 내측면(40ws1) 사이의 수직 거리, 즉 바닥부(40f)가 돌출된 거리보다 길 수 있다. 하단 돌출부(40p)의 돌출 거리가 길수록 후술하는 바와 같이 투명 기판(10)과 버튼 하우징(40)이 충분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다.
하단 돌출부(40p)는 버튼 하우징(40)이 투명 기판(10)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하단 돌출부(40p)의 상면과 투명 기판(10)의 하면(10b) 사이에는 제2 접착 부재(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70)는 하단 돌출부(40p)와 투명 기판(10) 사이에 개재되어, 투명 기판(10)과 버튼 하우징(40)을 결합시킨다. 제2 접착 부재(70)는 접착 물질이나 점착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접착 부재(60)는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70)는 제1 접착 부재(60)에 비하여 큰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접착 부재의 도포 면적이 넓을수록 결합력이 커지는 바, 제2 접착 부재(70)의 도포 면적이 넓을수록 버튼 하우징(40)과 투명 기판(10) 사이의 충분한 결합력이 확보될 수 있다. 단면상에서, 제2 접착 부재(70)의 도포 면적은 제1 접착 부재(60)의 도포 면적에 비하여 클 수 있다.
버튼 하우징(40)과 투명 기판(10) 사이에는 완충 부재(50)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버튼 하우징(40)의 측벽부(40w)의 측벽 외측면(40ws2)과 홀(H)의 내벽(HS) 사이에는 완충 부재(50)가 배치된다.
완충 부재(50)는 연속적인 폐곡선으로, 고리 또는 링 형상일 수 있다.
완충 부재(50)는 측벽부(40w)의 측벽 외측면(40ws2)과 접하는 일면(50s1), 상기 일면(50s1)에 대향하며 투명 기판(10)의 홀(H)의 내벽(HS)과 접하는 타면(50s2)을 포함한다. 완충 부재(50)의 일면(50s1)은 측벽부(40w)의 측벽 외측면(40ws2)과 이격 공간 없이 접할 수 있다. 완충 부재(50)의 일면(50s1)과 측벽부(40w)의 측벽 외측면(40ws2) 사이에는 접착 부재(미도시)가 개재되거나, 완충 부재(50)의 일면(50s1) 자체가 접착층을 포함하여 접착력을 가질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완충 부재(50) 자체가 탄성력을 지니는 경우, 예컨대 완충 부재(50)가 고무로 형성된 경우에는 별도의 접착 부재 없이 버튼 하우징(40)의 측벽부(40w)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완충 부재(50)의 타면(50s2)은 홀(H)의 내벽(HS)과 이격 공간 없이 접할 수 있다. 즉, 버튼 하우징(40)의 측벽부(40w)와 홀(H)의 내벽(HS) 사이의 이격 공간은 완충 부재(50)에 의하여 채워질 수 있다. 이 경우, 완충 부재(50)는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하여 외부 물질이 표시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예컨대, 표시 장치의 외부로부터 수분 등의 액체가 표시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완충 부재(50)는 제2 접착 부재(70)가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하여 외부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착 부재가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하여 외부로 흘러 넘치는 경우, 표시 장치의 외관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완충 부재(50)는 상기 이격 공간을 막아, 제2 접착 부재(70)가 표시 장치 외부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완충 부재(50)는 외부 충격에 의하여 투명 기판(10)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표시 장치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외부 충격이 직접 가해지는 1차 충격뿐만 아니라, 리지드(rigid)한 재질의 버튼 하우징(40)이 투명 기판(10)에 부딪히며 발생하는 2차 충격에 의하여 표시 장치가 훼손될 수 있다. 반면, 투명 기판(10)과 버튼 하우징(40) 사이에 완충 부재(50)가 배치되는 경우, 완충 부재(50)가 충격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완충 부재(50)에 의하여 투명 기판(10)과 버튼 하우징(40) 사이의 이격 거리가 유지되므로 버튼 하우징(40)이 투명 기판(10)과 부딪히지 않으므로 2차 충격이 방지되어, 표시 장치가 훼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완충 부재(50)는 충격을 흡수하거나 완화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완충 부재(50)는 고무(rubber) 재질, 실리콘(silicon) 재질 또는 발포 플라스틱(plastic foam)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완충 기능을 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완충 부재(50)의 상면(50a)은 측벽부(40w)의 상면(40wa)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측벽부(40w)의 상면(40wa)은 완충 부재(50)의 상면(50a)을 기준으로 표시 장치의 상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완충 부재(50)는 표시 장치 외부에서 직접적으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완충 부재(50)의 상면(50a)과 측벽부(40w)의 상면(40wa)이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도 있다.
완충 부재(50)의 하면(50b)은 투명 기판(10)의 하면(10b)과 실질적으로 정렬되거나, 그로부터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완충 부재(50)의 하면(50b)은 하우징(40)의 하단 돌출부(40p) 상면(40pa)에 접할수도 있다. 완충 부재(50)의 하면(50b)은 제2 접착 부재(70)와 접할 수도 있다.
버튼 하우징(40)의 하부의 외측을 따라서 실링 부재(80)가 배치된다. 실링 부재(80)는 버튼 하우징(40)의 하면과 투명 기판(10)의 하면(10b)에 동시에 접한다. 구체적으로, 투명 기판(10)의 길이 방향에서는 하단 돌출부(40p) 하면(40pb), 하단 돌출부(40p)의 측면(40ps) 및 투명 기판(10)의 하면(10b)과 접하며, 이들을 덮는다. 실링 부재(80)는 투명 기판(10)의 폭 방향을 따라 바닥부(40f)의 하면(40fb), 측벽부(40w)의 측벽 외측면(40ws2) 및 투명 기판(10)의 하면(10b)을 덮으며, 이들과 직접 접할 수 있다. 나아가, 실링 부재(80)는 제2 접착 부재(70)와 접할 수 있다. 또한, 실링 부재(80)는 완충 부재(50)와 접할 수도 있다.
실링 부재(80)는 투명 기판(10)의 하면(10b)과 버튼 하우징(40)의 외측을 실링(sealing)한다. 실링 부재(80)는 버튼 하우징(40)과 투명 기판(10) 사이의 이격 공간을 밀봉하여, 외부 물질, 예컨대 수분의 유입을 2차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실링 부재(80)는 버튼 하우징(40)과 투명 기판(10) 사이의 결합력을 일부 증가시킬 수 있다. 실링 부재(80)는 그 자체로 결합력을 가지긴 하지만, 제2 접착 부재(70)에 비하여 결합력이 낮을 수 있다.
이하, 버튼부(500)에 관한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14는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부재의 단면도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1)의 버튼부(500)의 완충 부재(50)의 상면(50a)과 버튼 하우징(40)의 측벽부(40w)의 상면(40wa)이 동일 평면 상에 정렬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도 4의 표시 장치(1000)와 상이하다.
완충 부재(50)의 상면(50a)은 측벽부(40w)의 상면(40wa)에 정렬될 수 있다. 나아가, 완충 부재(50)의 상면(50a), 측벽부(40w)의 상면(40wa) 및 표시 장치의 상면이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정렬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의 외부에서 완충 부재(50)의 상면(50a)과 측벽부(40w)의 상면(40wa)이 모두 시인될 수 있다.
버튼 하우징(40)에 특정 질감 및/또는 색감 부여하여 디자인적 요소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버튼 하우징(40)에 메탈 질감을 부여하여, 입력 버튼 모듈(30) 테두리를 감싸는 금속 링으로 보여질 수 있다. 완충 부재(50) 역시 버튼 하우징(40)과 마찬가지로 특정 질감 및/또는 색감을 부여하여 디작인적 요소로 사용할 수 있다.
완충 부재(50)가 배치되는 면적이 증가하는 경우, 완충 부재(50)에 의한 방수 기능 및 완충 기능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완충 부재(50)가 차지하는 면적이 증가할수록 더 많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완충 기능이 개선된다. 즉, 완충 부재(50)가 차지하는 면적이 증가하는 경우 더 많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명 기판(10)의 홀(H)의 내벽(HS)과 버튼 하우징(40)의 측벽부(40w) 사이의 이격 거리를 더욱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버튼 하우징(40)에 의한 투명 기판(10)의 훼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버튼 하우징(40)의 측벽부(40w)와 홀(H)의 내벽(HS) 사이의 이격 거리가 완충 부재(50)에 의하여 채워지는 영역이 커짐으로써, 외부 물질이 유입되는 통로가 더욱 확실히 차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2)의 완충 부재(51)의 일측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도 4의 표시 장치(1000)와 차이가 있다.
완충 부재(51)의 적어도 일 측면, 예컨대 홀(H)의 내벽(HS)과 마주하는 완충 부재(51)의 타면(51s2)은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요철의 단면 형상은 예컨대, 삼각형, 사다리꼴과 같은 다각형이거나, 원이나 타원의 일부이거나, 무정형의 랜덤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요철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라인 패턴이거나 독립된 점형 패턴일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70)가 액체형 접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우, 경화되기 이전의 접착 부재는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미경화 상태의 액체형 접착 조성물은 도포된 영역으로부터 외부로 흘러 넘쳐, 의도하지 않은 영역까지 침범할 수 있다. 예컨대, 버튼 하우징(40)의 돌출부와 투명 기판(10) 사이에 개재된 미경화 상태의 제2 접착 부재는 유동성을 가져, 버튼 하우징(40)의 측벽부와 투명 기판(10)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흘러 넘쳐 표시 장치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다. 이 경우 흘러 넘친 접착 부재에 의하여 투명 기판(10)의 색이 변색되거나, 접착 부재의 얼룩으로 인하여 심미감을 해칠 수 있다. 완충 부재(51)의 측면이 표면 요철을 포함하는 경우, 유동성을 가지는 제2 접착 부재가 표시 장치 외부로 흘러 넘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즉, 완충 부재(51)의 측면에 형성된 요철은 미경화된 제2 접착 부재의 유동을 방해하여, 미경화된 제2 접착 부재의 넘침 거리를 줄이는데에 효과적이다. 이것은 미경화된 제2 접착 부재가 요철 사이사이의 빈 공간을 채워야 할 뿐만 아니라, 평면(flat)보다 넓은 표면적을 갖는 요철과 제2 접착 부재의 표면 장력으로 인하여 미경화된 제2 접착 부재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3)의 완충 부재(52)는 하단 돌출부(52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52)의 하단 돌출부(52p)는 완충 부재(52)의 측벽부(52w)와 연결되고, 측벽부(52w)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돌출부(52p)와 측벽부(52w)는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완충 부재(52)의 돌출부 돌출부(52p)는 완충 부재(52)의 측벽부(52w)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완충 부재(52)의 하단 돌출부(52p)는 투명 기판(10)과 버튼 하우징(40)의 바닥부(40f)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완충 부재(52)의 하단 돌출부(52p)의 상면은 투명 기판(10)의 하면(10b)과 접하고, 완충 부재(52)의 하단 돌출부(52p)의 하면은 버튼 하우징(40)의 바닥부(40f)의 상면(40fa) 과 접할 수 있다. 투명 기판(10)의 하면(10b)과 홀(H)의 내벽(HS)이 이루는 모서리는 완충 부재(52)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상기 모서리는 투명 기판(10)의 하면(10b)이나 홀(H)의 내벽(HS)에 비하여 외부 충격에 취약할 수 있다. 완충 부재(52)는 이러한 모서리 부분을 커버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4)의 버튼 하우징(41)의 측벽부(41w)는 중단 돌출부(41m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튼 하우징(41)의 측벽부(41w)와 버튼 하우징(41)의 중단 돌출부(41mp)는 연결된다. 버튼 하우징(41)의 중단 돌출부(41mp)는 버튼 하우징(41)의 측벽부(41w)의 중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버튼 하우징(41)의 측벽부(41w)의 측벽 외측면(41ws2)과 중단 돌출부(41mp)가 연결될 수 있다. 중단 돌출부(41mp)는 단면상 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원이나 타원의 일부와 같이 곡면을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다.
중단 돌출부(41mp)의 측면은 측벽부의 측벽 외측면(41ws2)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측벽부의 측벽 외측면(41ws2)보다 중단 돌출부(41mp)의 측면이 홀(H)의 내벽(HS)과 더욱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중단 돌출부(41mp)의 측면과 홀(H)의 내벽(HS)이 접하는 것은 아니며, 홀(H)의 내벽(HS)과 중단 돌출부(41mp)의 측면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배치된다.
상기 홀(H)의 내벽(HS)과 중단 돌출부(41mp)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완충 부재(53)가 배치될 수 있다. 완충 부재(53)의 일면(53s1)은 측벽부(41w)의 측벽 외측면(41ws2) 및 중단 돌출부(41mp)와 모두 접할 수 있다. 완충 부재(53)의 일면(53s1)은 중단 돌출부(41mp)와 대응하여 요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완충 부재(53)의 일면(53s1)은 중단 돌출부(41mp)와 중첩하는 요부, 및 측벽부의 측벽 외측면(41ws2)과 중첩하는 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53)의 일면(53s1)의 요철 형상은 버튼 하우징(41)의 측벽부(41w)의 요철 형상과 결합하여, 완충 부재(53)가 더욱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5)의 버튼 하우징(42)이 상단 돌출부(42tp)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9의 표시 장치(1004)와 상이하다.
표시 장치의 버튼 하우징(42)의 상단 돌출부(42tp)는 표시 장치(1005)의 버튼 하우징(42)의 측벽부(42w)와 연결된다. 상단 돌출부(42tp)는 측벽부(42w)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즉, 상단 돌출부(42tp)와 중단 돌출부(42mp)는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단 돌출부(42tp)와 중단 돌출부(42mp)는 제3 방향(D3)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격 공간에는 완충 부재(53)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상단 돌출부(42tp)와 중단 돌출부(42mp)의 돌출 거리가 동일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단 돌출부(42tp)와 중단 돌출부(42mp)의 돌출 거리는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상단 돌출부(42tp)의 돌출 거리는 중단 돌출부(42mp)의 돌출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상단 돌출부(42tp)의 돌출 거리가 긴 경우, 상단 돌출부(42tp)의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직접 인식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버튼 하우징(42)에 특정 질감 및/또는 색감을 부여함으로써, 상단 돌출부(42tp)의 상면은 디자인적 요소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상단 돌출부(42tp)는 완충 부재(53)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완충 부재(53)가 버튼 하우징(42)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단 돌출부(42tp)의 측면은 완충 부재(53)와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완충 부재(53)의 상면(53a)은 상단 돌출부(42tp)의 하면과 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완충 부재(53)의 상면(53a)은 상단 돌출부(42tp)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106)의 홀(H2)의 내벽(HS)은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106)의 버튼 하우징(43)은 상단 돌출부(43tp)만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9 및 도 10의 표시 장치(1104, 1005)와 상이하다.
홀(H2)의 내벽(HS)은 제1 측면(H2S_1), 제1 측면(H2S_1)과 구별되는 제2 측면(H2S_2), 및 제1 측면(H2S_1)과 제2 측면(H2S_2)을 연결하는 제3 측면(H2S_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측면(H2S_1)과 제2 측면(H2S_2)은 모두 제3 방향(D3)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측면(H2S_1)과 제2 측면(H2S_2)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면(H2S_1)은 비교적 투명 기판(11)의 하면(11b)과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2 측면(H2S_2)은 비교적 투명 기판(11)의 상면(11a)과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면(H2S_1)은 투명 기판(11)의 하면(11b)과 직접 교차하고, 제2 측면(H2S_2)은 투명 기판(11)의 상면(11a)과 직접 교차할 수 있다. 제3 측면(H2S_3)은 표시 장치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측면(H2S_1)의 일 끝단과 제2 측면(H2S_2)의 일 끝단이 제3 방향(D3)을 따라 동일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제3 측면(H2S_3)은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이 이루는 평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3 측면(H2S_3)은 투명 기판(11)의 상면(11a) 및/또는 하면(11b)에 대하여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제3 측면(H2S_3)은 버튼 하우징(43)의 중단 돌출부(43mp)의 하면에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즉, 제3 측면(H2S_3)은 버튼 하우징(43)의 중단 돌출부(43mp)의 하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면(H2S_1)은 제2 측면(H2S_2)으로부터 외측에 배치된다. 제2 측면(H2S_2)은 제1 측면(H2S_1)에 비하여 내측, 즉 홀(H2)의 중심과 더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1 측면(H2S_1)은 제2 측면(H2S_2)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측벽부(43w)의 측벽 외측면(43ws)을 기준으로 홀(H2)의 제1 측면(H2S_1)까지의 수직 거리는 홀(H2)의 제2 측면(H2S_2)까지의 수직 거리보다 길 수 있다. 그 결과 측벽부(43w)의 측벽 외측면(43ws)과 홀(H2)의 제1 측면(H2S_1)까지의 수직 거리와 상단 돌출부(43tp)의 측면과 홀(H2)의 제2 측면(H2S_2)까지의 수직 거리는 더욱 큰 차이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상단 돌출부(43tp)의 측면과 홀(H2)의 제2 측면(H2S_2) 사이의 이격 공간은 측벽부(43w)의 측벽 외측면(43ws)과 홀(H2)의 제1 측면(H2S_1) 사이의 이격 공간보다 작을 수 있다.
측벽부(43w)의 측벽 외측면(43ws)과 홀(H2)의 제1 측면(H2S_1) 사이에 형성된 비교적 넓은 이격 공간에는 완충 부재(50)가 배치된다. 완충 부재(50)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완충 부재(50)의 폭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홀(H2)의 제1 측면(H2S_1)과 제2 측면(H2S_2) 사이의 수직 거리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완충 부재(50)의 폭이 증가할 수 있다.
완충 부재(50)의 상면은 홀(H2)의 제3 측면(H2S_3)과 상단 돌출부(43tp)의 하면과 접할 수 있다. 완충 부재(50)는 홀(H2)의 제3 측면(H2S_3)과 상단 돌출부(43tp)의 하면에 의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완충 부재(50)가 홀(H2)의 제3 측면(H2S_3)과 직접적으로 접촉한 경우, 완충 부재(50)에 의하여 제3 측면(H2S_3)이 지지되므로, 외부 충격에 의하여 투명 기판(11)이 훼손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7)의 버튼 하우징(44)의 바닥부(44f)와 하단 돌출부(44p)의 두께가 상이하게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3의 실시예와 다르다.
버튼 하우징(44)의 바닥부(44f)의 두께, 즉 바닥부(44f)의 상면(44fa)과 하면(44fb) 사이의 거리는 버튼 하우징(44)의 하단 돌출부(44p)의 두께, 즉 하단 돌출부(44p)의 상면(44pa)과 하면(44pb) 사이의 거리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닥부(44f)의 하면(44fb), 하단 돌출부(44p)의 하면 및 측벽부(44w)의 하면(44wb)은 동일 평면상에 정렬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부(44f)의 상면(44fa)과 하단 돌출부(44p)의 상면(44pa) 위치에 따라 하단 돌출부(44p)와 바닥부(44f)의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2에서는 하단 돌출부(44p)의 상면(44pa)에 비하여 바닥부(44f)의 상면(44fa)이 투명 기판(10)의 상면(10a)과 인접하게 배치된 경우를 예시한다. 이 경우, 입력 버튼 모듈(30)의 두께, 즉 입력 버튼 모듈(30)의 상면(30a) 및 하면(30b) 사이의 수직 거리가 감소할 수 있다. 즉, 입력 버튼 모듈(30)의 사용자에 의하여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만져질 수 있어야 하므로, 입력 버튼 모듈(30)의 상면(30a)은 대체로 투명 기판(10)의 상면(10a)과 정렬되거나 투명 기판(10)의 상면(10a)과 접하여 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입력 버튼 모듈(30)의 두께는 투명 기판(10)의 두께에 종속될 수 있다. 반면, 도 12와 같이 입력 버튼 모듈(30)이 안착되는 바닥부(44f)의 두께를 달리하는 경우, 입력 버튼 모듈(30)의 두께가 감소하여도 입력 버튼 모듈(30)의 상면은 투명 기판(10)의 상면(10a)과 대체로 동일 평면 상에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버튼 모듈(30)의 두께는 투명 기판(10)의 두께에 종속되지 않고, 비교적 자유롭게 선택되어질 수 있다.
아울러, 바닥부(44f)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부(44f)의 측면(44fs)의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바닥부(44f)의 측면(44fs)에 의해 정의되는 내부 공간에는 입력 버튼 모듈(30)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기판(미도시)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바닥부(44f)의 상면(44fa)과 하단 돌출부(44p)의 상면(44pa)이 동일 평면상에 정렬되고, 바닥부(44f)의 하면(44fb)과 하단 돌출부(44p)의 하면(44pb) 위치를 달리하여 바닥부(44f) 및 하단 돌출부(44p)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바닥부(44f)의 상면(44fa) 및 하면(44fb)과 하단 돌출부(44p)의 상면(44pa) 및 하면(44pb) 위치를 모두 달리하여 바닥부(44f)와 하단 돌출부(44p)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8)의 버튼 하우징(45)의 바닥부(45f)와 하단 돌출부(45p)가 제3 방향(D3)을 따라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도 4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또한, 표시 장치(1008)의 버튼 하우징(45)의 바닥부(45f)의 두께와 하단 돌출부(45p)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점에서 도 12의 표시 장치(1007)와 상이하다.
버튼 하우징(45)의 바닥부(45f)는 측벽부(45w)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버튼 하우징(45)의 바닥부(45f)의 하면(45fb)은 버튼 하우징(45)의 측벽부(45w)의 하면(45wb)으로부터 제3 방향(D3)으로 투명 기판(10)의 상면(10a)과 더 가까이에 위치할 수 있다. 버튼 하우징(45)의 측벽부(45w)의 하면(45wb)은 버튼 하우징(45)의 바닥부(45f)의 하면(45fb)을 기준으로 제3 방향(D3)을 따라 외측으로 더욱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버튼 하우징(45)의 측벽부(45w)의 하면(45wb)과 바닥부(45f)의 하면(45fb)을 연결하는 측벽부(45w)의 측벽 내측면(45ws1)이 정의될 수 있다.
버튼 하우징(45)의 바닥부(45f)의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입력 버튼 모듈(30)의 두께는 투명 기판(10)의 두께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버튼 하우징(45)의 측벽부(45w)의 하면(45wb)과 바닥부(45f)의 하면(45fb)을 연결하는 측벽부(45w)의 측벽 내측면(45ws1)에 의해 정의되는 내부 공간에는 입력 버튼 모듈(30)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 기판(미도시)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9)의 버튼 하우징(46)의 바닥부(46f) 및 하단 돌출부(46p)가 제3 방향(D3)을 따라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도 13과 상이하다.
표시 장치(1009)의 버튼 하우징(46)의 바닥부(46f)의 하면(46fb), 하단 돌출부(46p)의 하면(46pb) 및 측벽부(46w)의 하면(46wb)은 각기 다른 평면 상에 정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닥부(46f)의 하면(46fb)은 하단 돌출부(46p)의 하면(46pb)에 비하여 제3 방향(D3)을 따라 투명 기판(10)의 상면(10a)에 더욱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측벽부(46w)의 하면(46wb)은 하단 돌출부(46p)의 하면(46pb)에 비하여 제3 방향(D3)을 따라 투명 기판(10)의 상면(10a)으로부터 더욱 떨어진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측벽부(46w)의 하면(46wb)을 기준으로 바닥부(46f)의 하면(46fb)까지의 수직 거리는 하단 돌출부(46p)의 하면(46pb)까지의 수직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7, 1008, 1009)는 버튼 하우징(44, 45, 46)의 형상을 조절함으로써 입력 버튼 모듈(30)의 두께를 달리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 경우, 입력 버튼 모듈(30)의 두께는 투명 기판(10)의 두께로부터 비교적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버튼 하우징(44, 45, 46)은 입력 버튼 모듈(30)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기판(미도시) 등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투명 기판
20: 표시 패널
30: 입력 버튼 모듈
40: 버튼 하우징
50: 완충 부재

Claims (20)

  1.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는 윈도우;
    상기 홀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윈도우의 상기 두께 방향으로 배치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바닥부를 포함하는 버튼 하우징;
    상기 측벽부와 상기 홀의 내벽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 및
    상기 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평면상 연속적인 폐곡선 형상으로, 상기 홀의 상기 내벽을 따라 배치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하우징은 상기 측벽부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입력 버튼 모듈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버튼 모듈의 하면은 상기 바닥부의 상면과 접하고, 상기 입력 버튼 모듈의 측면은 상기 측벽부의 측벽 내측면과 접하는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평면상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폐곡선으로, 고리 형상인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고무 재질, 실리콘 재질, 또는 플라스틱 폼 재질을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측벽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표시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의 상면은 상기 측벽부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표시 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포함하고,
    상기 일면은 상기 측벽부와 접하고, 상기 타면은 완충 부재와 접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의 상기 일면 및/또는 상기 타면에 형성된 요철 패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와 연결되고, 상기 측벽부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하단 돌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돌출부의 상면은 상기 윈도우의 하면에 접하는 표시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돌출부의 돌출 길이는 상기 바닥부의 돌출 길이보다 긴 표시 장치.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돌출부의 하면과 상기 바닥부의 하면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정렬되는 표시 장치.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돌출부의 두께와 상기 바닥부의 두께가 상이한 표시 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와 연결되고, 상기 측벽부의 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중단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오목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와 연결되고, 상기 측벽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단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의 상면은 상기 상단 돌출부의 하면과 접하는 표시 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주위에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 하우징은 상기 표시 영역과 비중첩하는 표시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윈도우의 일 단변측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KR1020170104077A 2017-08-17 2017-08-17 표시 장치 KR102396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077A KR102396645B1 (ko) 2017-08-17 2017-08-17 표시 장치
CN201810537001.8A CN109410747B (zh) 2017-08-17 2018-05-30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077A KR102396645B1 (ko) 2017-08-17 2017-08-17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220A KR20190020220A (ko) 2019-02-28
KR102396645B1 true KR102396645B1 (ko) 2022-05-11

Family

ID=65463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077A KR102396645B1 (ko) 2017-08-17 2017-08-17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96645B1 (ko)
CN (1) CN109410747B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7490A1 (en) * 2003-06-17 2004-12-23 Yi-Lun Ho LCD device having a combined bezel and front housing
US8289722B2 (en) * 2009-04-02 2012-10-1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Electronic apparatus
CN103117026A (zh) * 2012-12-26 2013-05-22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具有实体按键的显示装置
KR20160023468A (ko) * 2014-08-22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12297B1 (ko) * 2014-10-20 2021-10-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4360768B (zh) * 2014-11-10 2018-02-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摸显示模组和电子显示产品
KR102256049B1 (ko) * 2014-12-12 202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버튼 장치
CN105468199B (zh) * 2015-12-26 2019-01-15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一种具有压力感测的面板
CN106096374B (zh) * 2016-07-21 2019-03-22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电子设备的操控方法及相关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220A (ko) 2019-02-28
CN109410747B (zh) 2023-01-31
CN109410747A (zh) 2019-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5208B1 (ko) 표시 장치
CN105120022B (zh) 壳体组件及移动终端
KR20190082339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1049807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형성 방법
CN105208150B (zh) 壳体组件及移动终端
KR20150027969A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액정표시장치
KR20150096527A (ko) 투명 커버를 갖는 전자-광학 디스플레이
CN105120024B (zh) 壳体组件及移动终端
CN105263281B (zh) 壳体组件及移动终端
US10347864B2 (en) Display device
TW201310486A (zh) 鍵盤模組
CN107797318B (zh) 显示设备及显示设备的制造方法
TWI698682B (zh) 顯示裝置
KR100308160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KR102272319B1 (ko) 곡면 표시 장치
JP2014500654A (ja) 携帯端末機
JP6566739B2 (ja) 表示装置
KR102266008B1 (ko) 표시 장치
KR102396645B1 (ko) 표시 장치
KR20150042605A (ko) 표시 장치
TWI495928B (zh) 顯示裝置
KR20170048634A (ko)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49621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200096811A1 (en) Display assembly
KR102523535B1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