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2605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2605A
KR20150042605A KR20130121472A KR20130121472A KR20150042605A KR 20150042605 A KR20150042605 A KR 20150042605A KR 20130121472 A KR20130121472 A KR 20130121472A KR 20130121472 A KR20130121472 A KR 20130121472A KR 20150042605 A KR20150042605 A KR 20150042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mold frame
bottom portion
disposed
buff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1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주완
최낙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21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2605A/ko
Priority to US14/221,061 priority patent/US20150103286A1/en
Publication of KR20150042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6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표시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그리고 표시 패널을 지지하고,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둘러싸는 몰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몰드 프레임은 상부면과 하부면이 뚫려 있는 사각형상인 몸체, 몸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복수의 완충 가이드를 포함하고, 완충 가이드는 몰드 프레임의 네 코너의 지지부 위에 배치되어 있고, 완충 가이드는 지지부 위에 배치되어있는 바닥부 및 바닥부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몸체의 안쪽 측면에 맞닿아 있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 중 하나로서,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등 전기장 생성 전극(field generating electrode)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표시판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전기장 생성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에 전기장을 생성하고 이를 통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의 방향을 결정하고 입사광의 편광을 제어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박형화가 요구됨에 따라 얇은 기판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사용한다. 또한, 하나의 기판에 화소 전극, 공통 전극 및 액정층이 포함된 표시 패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표시 패널은 몰드 프레임에 의해 지지 되는데, 표시 패널이 얇아짐에 따라 낙하 등과 같은 외부 충격에 의해 데미지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부 충격에 의한 표시 패널의 데미지 발생을 방지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표시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그리고 표시 패널을 지지하고,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둘러싸는 몰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몰드 프레임은 상부면과 하부면이 뚫려 있는 사각형상인 몸체, 몸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복수의 완충 가이드를 포함하고, 완충 가이드는 몰드 프레임의 네 코너의 지지부 위에 배치되어 있고, 완충 가이드는 지지부 위에 배치되어있는 바닥부 및 바닥부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몸체의 안쪽 측면에 맞닿아 있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한다.
완충 가이드는 연질 재질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표시 패널의 하부는 바닥부와 접촉하고, 표시 패널의 측면은 충격 흡수부와 맞닿아 있을 수 있다.
몰드 프레임의 네 코너의 지지부에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바닥부는 함몰부 내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바닥부의 상부면의 높이와 지지부의 상부면의 높이는 동일할 수 있다.
바닥부는 제1면과 제2면이 연결되어 있는 L 자 형상일 수 있다.
충격 흡수부는 바닥부의 제1면과 제2면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완충 가이드는 충격 흡수부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홈은 몸체의 안쪽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완충 가이드는 충격 흡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부를 노출하는 복수 개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충격 흡수부는 바닥부에 접촉되어 있는 제1 부분과 제1 부분의 상부에서 몰드 프레임의 안쪽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있다.
표시 패널의 측면은 충격 흡수부의 제1 부분에 접촉하고, 표시 패널의 상부는 충격 흡수부의 제2 부분에 접촉할 수 있다.
완충 가이드는 충격 흡수부의 제1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 가이드는 충격 흡수부의 제1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부를 노출하는 복수 개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 가이드는 몰드 프레임의 네 코너 사이에 더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몰드 프레임의 네 코너에 연질 재질의 완충 가이드를 배치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표시 패널의 데미지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몰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완충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Ⅵ-Ⅵ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몰드 프레임이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완충 가이드를 포함한 몰드 프레임이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광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200)와 광을 공급받아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패널(700)을 포함한다.
또한, 표시 장치(1000)는 백라이트 어셈블리(200) 및 표시 패널(70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몰드 프레임(300), 탑 섀시(600) 및 바텀 섀시(650)를 포함한다.
또한,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패널(700)을 외부로부터의 충격 및 이물질의 유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창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0)는 화면 위에 손가락 또는 터치 펜(touch pen, stylus) 등을 접촉해 문자나 그림을 쓰고 그리거나, 아이콘을 실행시켜 원하는 명령을 수행시키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700)은 사각형상이며,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얇은 하나의 기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패널은 하나의 기판에 배치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화소 전극, 공통 전극, 색필터 및 액정층 등의 박막층이 배치된다. 여기서, 액정층은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되고 데이터 전압을 인가 받는 화소 전극과 공통 전압이 인가되는 공통 전극 사이에 위치한 미세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700)은 사각형상이며, 서로 마주하고,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의 절연 물질로 이루이진 얇은 두 개의 기판 및 두 기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하나의 기판에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데이터선, 게이트선 및 화소 전극 등의 박막층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선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에 연결되고, 게이트선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는 연결되고, 화소 전극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에 연결된다. 다른 하나의 기판에는 광이 통과하면서 소정의 색을 발현하기 위한 색필터 및 공통 전극 등의 박막층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표시 패널(700)의 하부에는 표시 패널(700)에 균일한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200)가 배치되어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몰드 프레임(300) 및 바텀 섀시(650)에 고정되며, 표시 패널(700)에 광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광원(120) 및 광원(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광원 기판(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광원(120)은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광원(1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가이드하여 표시 패널(700)로 공급하는 도광판(160), 도광판(16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시트(260), 그리고 도광판(16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광원(120)으로부터의 광의 휘도 특성을 확보하여 표시 패널(700)로 제공하기 위한 광학 시트류(240)를 포함한다.
몰드 프레임(300)은 사각 형상이며, 상부면과 하부면이 뚫려 있고,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를 둘러싼다. 또한, 몰드 프레임(300)은 표시 패널(700)을 지지한다.
몰드 프레임(300)은 사각 형상이며, 상부면과 하부면이 뚫려 있는 몸체(305), 표시 패널(700)을 지지하는 지지부(310) 및 복수 개의 완충 가이드(320)를 포함한다.
지지부(310)는 몸체(305)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완충 가이드(320)는 몰드 프레임(300)의 네 코너에 위치하고, 몰드 프레임(300)의 지지부(310) 위에 배치되어 있다. 표시 패널(700)의 가장자리의 일부분이 몰드 프레임(300)의 지지부(310) 및 완충 가이드(320)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완충 가이드(320)는 낙하 등과 같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700)을 보호한다.
바텀 섀시(650)는 백라이트 어셈블리(200) 및 몰드 프레임(300)을 안착 지지한다.
표시 패널(700) 위에는 표시 패널(700)을 보호 및 지지하는 탑 섀시(600)가 배치되어 있다. 탑 섀시(600)는 표시 패널(700), 백라이트 어셈블리(200) 및 몰드 프레임(300)이 바텀 섀시(6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그러면,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몰드 프레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몰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완충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Ⅵ-Ⅵ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몰드 프레임이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몰드 프레임(300)은 사각 형상이며, 상부면과 하부면이 뚫려 있는 몸체(305), 표시 패널(700)을 지지하는 지지부(310) 및 복수 개의 완충 가이드(320)를 포함한다.
지지부(310)는 사각 형상의 몸체(305)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완충 가이드(320)는 몰드 프레임(300)의 네 코너의 지지부(310) 위에 배치되어 있다.
완충 가이드(320)는 실리콘 고무 또는 우레탄 등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낙하 등과 같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700)을 보호할 수 있다.
완충 가이드(320)는 바닥부(321)와 바닥부(321) 위에 배치되어 있는 충격 흡수부(322)를 포함한다. 바닥부(321)는 제1면과 제2면이 연결되어 있는 L 자 형상으로, 몰드 프레임(300)의 코너를 이루는 두 변에 모두 위치하고, 충격 흡수부(322)는 바닥부(321)의 제1면과 제2면에 각각 위치한다. 바닥부(321)의 제1면과 제2면에 위치한 충격 흡수부(322)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바닥부(321)의 제1면과 제2면에 위치한 충격 흡수부(322)가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몰드 프레임(300)의 네 코너 부분의 지지부(310)에는 함몰부(311)가 형성되어 있다. 완충 가이드(320)의 바닥부(321)가 함몰부(311) 내에 배치되어 있고, 완충 가이드(320)의 충격 흡수부(322)는 몰드 프레임(300)의 몸체(305)의 안쪽 측면에 맞닿아 있다. 완충 가이드(320)의 바닥부(321)가 함몰부(311)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완충 가이드(320)의 바닥부(321)와 지지부(310)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지 않는다. 즉, 완충 가이드(320)의 바닥부(321)의 상부면과 몰드 프레임(300)의 지지부(310)의 상부면의 높이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완충 가이드(320)의 바닥부(321)가 함몰부(311) 내에 배치되어 완충 가이드(320)의 바닥부(321)와 지지부(310)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표시 패널(700)을 지지할 때, 단차에 따른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몰드 프레임(300)은 표시 패널(700)을 지지하는데, 표시 패널(700)의 가장자리가 몰드 프레임(300)의 지지부(310)에 안착된다. 그리고, 표시 패널(700)의 가장자리는 몰드 프레임(300)의 네 코너 부분에서는 완충 가이드(320)의 바닥부(321)에 안착된다. 즉, 표시 패널(700)의 하부가 완충 가이드(320)의 바닥부(321)에 접촉한다.
또한, 몰드 프레임(300)의 네 코너 부분에서 표시 패널(700)의 측면은 완충 가이드(320)의 충격 흡수부(322)에 맞닿아 있다. 이에 따라, 낙하 등과 같은 외부 충격 시에, 완충 가이드(320)의 충격 흡수부(322)가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 패널(700)에 데미지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 가이드(320)는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그러면, 도 8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다양한 형상의 완충 가이드(320)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 가이드(320)는 바닥부(321)와 바닥부(321) 위에 배치되어 있는 충격 흡수부(322)를 포함한다.
완충 가이드(320)의 재질 및 바닥부(321)의 형상은 도 5에 따른 완충 가이드(320)와 동일하다. 이에, 바닥부(321)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충격 흡수부(322)는 바닥부(321)의 제1면과 제2면에 각각 위치한다. 바닥부(321)의 제1면과 제2면에 위치한 충격 흡수부(322)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바닥부(321)의 제1면과 제2면에 위치한 충격 흡수부(322)가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충격 흡수부(322)에는 복수 개의 홈(323)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 개의 홈(323)은 충격 흡수부(322)가 몰드 프레임(300)의 몸체(305)의 안쪽 측면에 맞닿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즉, 홈(323)은 몰드 프레임(300)의 몸체(305)의 안쪽 측면과 접촉한다. 이에 따라, 홈(323)과 몰드 프레임(300)의 몸체(305)의 안쪽 측면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된다.
낙하 등의 외부 충격 시, 완충 가이드(320)의 충격 흡수부(322)가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 패널(700)에 데미지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격 흡수부(322)에 복수 개의 홈(32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 충격의 강도가 커지더라도 홈(323)과 몰드 프레임(300)의 몸체(305)의 안쪽 측면 사이의 공기층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 가이드(320)는 바닥부(321)와 바닥부(321) 위에 배치되어 있는 충격 흡수부(322)를 포함한다.
완충 가이드(320)의 재질 및 바닥부(321)의 형상은 도 5에 따른 완충 가이드(320)와 동일하다. 이에, 바닥부(321)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충격 흡수부(322)는 바닥부(321)의 제1면과 제2면에 각각 위치한다. 바닥부(321)의 제1면과 제2면에 위치한 충격 흡수부(322)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바닥부(321)의 제1면과 제2면에 위치한 충격 흡수부(322)가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충격 흡수부(322)의 상부에는 바닥부(321)를 노출하는 복수 개의 개구부(3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개구부(324) 내에는 공기층이 형성된다.
낙하 등의 외부 충격 시, 완충 가이드(320)의 충격 흡수부(322)가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 패널(700)에 데미지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격 흡수부(322)의 상부에 복수 개의 개구부(32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 충격의 강도가 커지더라도 개구부(324) 내부의 공기층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따른 완충 가이드를 포함한 몰드 프레임이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 가이드(320)는 바닥부(321)와 바닥부(321) 위에 배치되어 있는 충격 흡수부(322)를 포함한다.
완충 가이드(320)의 재질 및 바닥부(321)의 형상은 도 5에 따른 완충 가이드(320)와 동일하다. 이에, 바닥부(321)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충격 흡수부(322)는 바닥부(321)의 제1면과 제2면에 각각 위치한다. 바닥부(321)의 제1면과 제2면에 위치한 충격 흡수부(322)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바닥부(321)의 제1면과 제2면에 위치한 충격 흡수부(322)가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충격 흡수부(322)는 바닥부(321)에 접촉되어 있고, 몰드 프레임(300)의 몸체(305)의 안쪽 측면에 맞닿아 있는 제1 부분(325)과 제1 부분(325)의 상부에서 뻗어 나온 제2 부분(326)를 포함한다. 충격 흡수부(322)의 제2 부분(326)은 몰드 프레임(300)의 안쪽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바닥부(321)와 평행할 수 있다.
표시 패널(700)의 안착 시 표시 패널(700)의 하부는 바닥부(321)에 접촉하고, 표시 패널(700)의 측면은 충격 흡수부(322)의 제1 부분(325)에 접촉하고, 표시 패널(700)의 상부는 충격 흡수부(322)의 제1 부분(325)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낙하 등과 같은 외부 충격 시에, 충격 흡수부(322)의 제1 부분(325)가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 패널(700)에 데미지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충격 흡수부(322)의 제2 부분(326)은 표시 패널(700)이 몰드 프레임(300)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 가이드(320)는 바닥부(321)와 바닥부(321) 위에 배치되어 있는 충격 흡수부(322)를 포함한다.
완충 가이드(320)의 재질 및 바닥부(321)의 형상은 도 5에 따른 완충 가이드(320)와 동일하다. 이에, 바닥부(321)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충격 흡수부(322)는 바닥부(321)의 제1면과 제2면에 각각 위치한다. 바닥부(321)의 제1면과 제2면에 위치한 충격 흡수부(322)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바닥부(321)의 제1면과 제2면에 위치한 충격 흡수부(322)가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충격 흡수부(322)는 바닥부(321)에 접촉되어 있고, 몰드 프레임(300)의 몸체(305)의 안쪽 측면에 맞닿아 있는 제1 부분(325)과 제1 부분(325)의 상부에서 뻗어 나온 제2 부분(326)를 포함한다. 충격 흡수부(322)의 제2 부분(326)은 몰드 프레임(300)의 안쪽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바닥부(321)와 평행할 수 있다.
충격 흡수부(322)의 제1 부분(325)에는 복수 개의 홈(323)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 개의 홈(323)은 충격 흡수부(322)가 몰드 프레임(300)의 몸체(305)의 안쪽 측면에 맞닿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즉, 홈(323)은 몰드 프레임(300)의 몸체(305)의 안쪽 측면과 접촉한다. 이에 따라, 홈(323)과 몰드 프레임(300)의 몸체(305)의 안쪽 측면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된다.
표시 패널(700)의 안착 시 표시 패널(700)의 하부는 바닥부(321)에 접촉하고, 표시 패널(700)의 측면은 충격 흡수부(322)의 제1 부분(325)에 접촉하고, 표시 패널(700)의 상부는 충격 흡수부(322)의 제1 부분(325)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낙하 등과 같은 외부 충격 시에, 충격 흡수부(322)의 제1 부분(325)가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 패널(700)에 데미지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충격 흡수부(322)의 제2 부분(326)은 표시 패널(700)이 몰드 프레임(300)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격 흡수부(322)의 제1 부분(325)에 복수 개의 홈(32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 충격의 강도가 커지더라도 홈(323)과 몰드 프레임(300)의 몸체(305)의 안쪽 측면 사이의 공기층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 가이드(320)는 바닥부(321)와 바닥부(321) 위에 배치되어 있는 충격 흡수부(322)를 포함한다.
완충 가이드(320)의 재질 및 바닥부(321)의 형상은 도 5에 따른 완충 가이드(320)와 동일하다. 이에, 바닥부(321)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충격 흡수부(322)는 바닥부(321)의 제1면과 제2면에 각각 위치한다. 바닥부(321)의 제1면과 제2면에 위치한 충격 흡수부(322)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바닥부(321)의 제1면과 제2면에 위치한 충격 흡수부(322)가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충격 흡수부(322)는 바닥부(321)에 접촉되어 있고, 몰드 프레임(300)의 몸체(305)의 안쪽 측면에 맞닿아 있는 제1 부분(325)과 제1 부분(325)의 상부에서 뻗어 나온 제2 부분(326)를 포함한다. 충격 흡수부(322)의 제2 부분(326)은 몰드 프레임(300)의 안쪽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바닥부(321)와 평행할 수 있다.
충격 흡수부(322)의 제1 부분(325)의 상부에는 바닥부(321)를 노출하는 복수 개의 개구부(324)이 형성되어 있다.
표시 패널(700)의 안착 시 표시 패널(700)의 하부는 바닥부(321)에 접촉하고, 표시 패널(700)의 측면은 충격 흡수부(322)의 제1 부분(325)에 접촉하고, 표시 패널(700)의 상부는 충격 흡수부(322)의 제1 부분(325)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낙하 등과 같은 외부 충격 시에, 충격 흡수부(322)의 제1 부분(325)가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 패널(700)에 데미지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충격 흡수부(322)의 제2 부분(326)은 표시 패널(700)이 몰드 프레임(300)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격 흡수부(322)의 제1 부분(325)에 복수 개의 개구부(32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 충격의 강도가 커지더라도 개구부(324) 내부의 공기층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완충 가이드(320)는 몰드 프레임(300) 네 코너 뿐만 아니라, 다른 곳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드 프레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몰드 프레임(300)은 사각 형상이며, 상부면과 하부면이 뚫려 있는 몸체(305), 표시 패널(700)을 지지하는 지지부(310) 및 복수 개의 완충 가이드(320)를 포함한다.
지지부(310)는 사각 형상의 몸체(305)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완충 가이드(320)는 몰드 프레임(300)의 네 코너 및 몰드 프레임(300)의 네 코너 사이의 지지부(310) 위에 배치되어 있다.
몰드 프레임(300)의 네 코너 부분에 위치하는 완충 가이드(320)는 앞서 설명한 도 5, 도 8, 도 9, 도 10, 도 12 또는 도 13에 따른 완충 가이드(320)일 수 있다.
몰드 프레임(300)의 네 코너 사이 부분에 위치하는 완충 가이드(320)는 앞서 설명한 도 5, 도 8, 도 9, 도 10, 도 12 또는 도 13에 따른 완충 가이드(320)의 형상에 비해 바닥부(321)의 형상만 다르고 나머지 형상은 동일하다. 몰드 프레임(300)의 네 코너 사이 부분에 위치하는 완충 가이드(320)의 바닥부(321)의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300: 몰드 프레임 305: 몸체
310: 지지부 311: 함몰부
320: 완충 가이드 321: 바닥부
322: 충격 흡수부 323: 홈
324: 개구부 325: 제1 부분
326: 제2 부분 700: 표시 패널

Claims (17)

  1.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고,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둘러싸는 몰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부면과 하부면이 뚫려 있는 사각형상인 몸체,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복수의 완충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가이드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네 코너의 상기 지지부 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완충 가이드는 상기 지지부 위에 배치되어있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안쪽 측면에 맞닿아 있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완충 가이드는 연질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는 상기 바닥부와 접촉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은 상기 충격 흡수부와 맞닿아 있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몰드 프레임의 네 코너의 상기 지지부에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함몰부 내에 배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바닥부의 상부면의 높이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의 높이는 동일한 표시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바닥부는 제1면과 제2면이 연결되어 있는 L 자 형상인 표시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바닥부의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에 배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완충 가이드는 상기 충격 흡수부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홈은 상기 몸체의 안쪽 측면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11. 제8항에서,
    상기 완충 가이드는 상기 충격 흡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부를 노출하는 복수 개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8항에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바닥부에 접촉되어 있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상부에서 상기 몰드 프레임의 안쪽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은 상기 충격 흡수부의 상기 제1 부분에 접촉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는 상기 충격 흡수부의 상기 제2 부분에 접촉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완충 가이드는 상기 충격 흡수부의 상기 제1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홈은 상기 몸체의 안쪽 측면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16. 제13항에서,
    상기 완충 가이드는 상기 충격 흡수부의 상기 제1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부를 노출하는 복수 개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항에서,
    상기 완충 가이드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네 코너 사이에 더 배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KR20130121472A 2013-10-11 2013-10-11 표시 장치 KR20150042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1472A KR20150042605A (ko) 2013-10-11 2013-10-11 표시 장치
US14/221,061 US20150103286A1 (en) 2013-10-11 2014-03-20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1472A KR20150042605A (ko) 2013-10-11 2013-10-11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605A true KR20150042605A (ko) 2015-04-21

Family

ID=52809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1472A KR20150042605A (ko) 2013-10-11 2013-10-1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103286A1 (ko)
KR (1) KR201500426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927A1 (ko) * 2021-06-25 2022-12-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74398A1 (en) * 2014-12-16 2016-06-16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CN105487278A (zh) * 2016-02-15 2016-04-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壳体及显示装置
KR102586849B1 (ko) * 2016-05-30 2023-10-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19109385A (ja) * 2017-12-19 2019-07-0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CN110956903B (zh) * 2018-09-27 2022-07-22 宏碁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2152B1 (en) * 1998-11-16 2003-03-11 Intermec Ip Corp. Ruggedized hand held computer
JP4659291B2 (ja) * 2001-07-27 2011-03-30 富士通東芝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3861791B2 (ja) * 2002-10-11 2006-12-20 ソニー株式会社 緩衝材及びこれを用いた情報記憶装置
JP5061277B2 (ja) * 2005-11-21 2012-10-3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
US9075567B2 (en) * 2012-06-08 2015-07-0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display structur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927A1 (ko) * 2021-06-25 2022-12-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03286A1 (en)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2605A (ko) 표시 장치
US9568757B2 (en) Display device having mold frame with elastic protective member
US9195083B2 (en) Impact resistant construction of an interactive device
US20140118902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997594B2 (ja) 液晶表示装置
KR102125906B1 (ko) 액정 표시 장치
WO2013190909A1 (ja)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2013190808A (ja) 表示素子
JP2006195146A (ja) 液晶表示装置
US20110193800A1 (en) Flat panel display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panel
US20130077343A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047919B1 (ko) 평판 표시 장치
KR101761361B1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백 라이트 유닛
US959427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JP7274115B2 (ja) 液晶表示装置
KR20080049217A (ko) 액정 표시장치
KR101821539B1 (ko) 액정표시장치
WO2014046032A1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9891660B2 (en) Display device
KR20160125273A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KR2020014221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62654B1 (ko) 표시 장치
KR102330084B1 (ko) 표시장치
JP2014211575A (ja) 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2313783B1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