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6578B1 -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578B1
KR102396578B1 KR1020200073915A KR20200073915A KR102396578B1 KR 102396578 B1 KR102396578 B1 KR 102396578B1 KR 1020200073915 A KR1020200073915 A KR 1020200073915A KR 20200073915 A KR20200073915 A KR 20200073915A KR 102396578 B1 KR102396578 B1 KR 102396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container body
container
support member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6150A (ko
Inventor
김진세
손재용
최동수
김용훈
이수장
박천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073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578B1/ko
Publication of KR20210156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65D85/34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having a meshed or apertured closure to allow contents to breath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B65D43/022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상면으로 개방된 포장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을 덮고 있는 덮개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 거치되어 상기 포장공간으로 함몰되어 있고 외부 둘레가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둘레와 떨어져 있는 보호부를 포함한다.
상기 포장물을 지지하고 있는 상기 보호부의 부분은 상기 포장물의 형상을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경도가 작아서 쉽게 물러지는 대과형 딸기(킹스베리)의 유통 충격을 완화하여 물러짐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용기{Packing carton}
본 발명은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딸기는 껍질이 없어 표면에 쉽게 무르게 된다. 이에 유통 과정에서 딸기를 보호하기 위해 딸기들을 포장용기에 담은 후 랩을 씌워 유통하고 있다. 그러나 딸기들이 서로 밀착되어 있는 관계로 뭉그러지거나 훼손이 되어 신선함을 유지할 수 없었다.
한편, 국내 생산되는 딸기는 설향, 매향, 장희, 금실, 죽향 등의 품종이 있다. 최근에는 대과형 딸기 품종으로 충남 딸기연구소의 킹스베리와 원예원의 아리향이 개발되었으며, 킹스베리의 경우 수출되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수출 품종인 매향, 금실 등은 익은 정도에 따라 경도가 달라지는데, 덜 익은 상태에서는 경도가 300g/5Φprobe 이상으로 강하며, 크기도 작으므로 수출 중 물러짐이 거의 없다. 그리고 설향의 경우 덜 익은 상태에서도 경도가 150g/5Φprobe 내외로 물러짐에 약하지만 국내생산이 많다 보니 수출되고 있다. 킹스베리 또한 당도, 맛, 향 모두 다른 품종의 딸기보나 월등하여 130g/5Φprobe 수준의 낮은 경도임에도 수출되고 있다. 이에, 잘 물러지지만, 크기와 맛으로 인해 농가 체험용으로 개발된 킹스베리의 수출 중 물러짐을 억제하는 포장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38817호 (2011.12.2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7425호 (2019.12.12.)
본 발명은 포장물인 딸기의 물러짐을 억제하는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는, 내부에 상면으로 개방된 포장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을 덮고 있는 덮개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 거치되어 포장물을 지지할 수 있으며 외부 둘레가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둘레와 떨어져 있는 보호부를 포함한다.
상기 포장물을 지지하고 있는 상기 보호부의 부분은 상기 포장물의 형상을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 거치되어 있고 상하 관통홀이 형성된 거치부재, 그리고 상기 거치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상하 관통홀을 통해 상기 포장공간에 위치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포장물의 형상을 따라 변형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둘레와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지름이 45 내지 55㎛인 필라멘트로 직조되어 격자 간격이 200 내지 300㎛의 네트구조일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상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거치단턱에 거치된 거치대, 그리고 상기 상하 관통홀의 둘레와 연결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탄성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탄성편은 각각, 상기 상하 관통홀의 둘레에서 상기 상하 관통홀의 중심으로 돌출된 탄성몸체, 그리고 상기 탄성몸체의 끝에서 상기 거치대를 따라 돌출된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몸체는 상기 포장물의 중량에 의해 상기 포장공간의 바닥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의 두께는 0.6 내지 1mm일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 덮개 및 보호부는 폴리 락틱 애씨드(Poly Lactic Acid)일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포장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 그리고 상기 수용부의 상단에서 복수 구부러져 상기 덮개와 접하고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날개편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상기 결합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 둘레와 마주하는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측 둘레 부분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날개편의 하면에 걸리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수용공간의 둘레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결합부의 상면을 따라 돌출된 기밀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경도가 작아서 쉽게 물러지는 대과형 딸기(킹스베리)의 유통 충격을 완화하여 물러짐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와 용기본체의 사이에 기밀띠가 형성되어 포장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대기중의 0.04% 대비 높은 10~20% 수준으로 유지하여 곰팡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용기가 생분해성 재질은 PLA 성분으로 이루어져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킹스베리의 수확시부터 제대로 된 수확판이 없어서 진동에 의해 물러지기 시작하는데, 수확용 플라스틱 박스에 덮개를 제외한 보호부가 결합된 용기본체를 배치하고 수확한 킹스베리를 보호부에 담아서 선별장으로 운반하여 물러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를 나타낸 분해도.
도 2는 도 1의 용기본체에 보호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도.
도 3은 도 2의 용기본체와 덮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1의 보호부를 나타낸 분해도.
도 6은 도 5의 B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5의 보호부의 저면 사시도.
도 8은 도 5의 보호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5의 지지부재를 나타낸 사진.
도 10은 도 9의 지지부재를 현미경으로 500㎛확대 사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용기본체에 보호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용기본체와 덮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1의 보호부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 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5의 보호부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5의 보호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5의 지지부재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10은 도 9의 지지부재를 나타낸 현미경 확대 사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1)는 용기본체(10), 덮개(20) 및 보호부(30)를 포함하며 포장물인 딸기(킹스베리)의 물러짐을 억제한다. 포장물을 딸기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에 포장물은 껍질이 없거나 얇아 쉽게 물러질 수 있는 복숭아, 배, 사과, 토마토 등 다양한 과일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1)는 녹는점이 170℃ 내지 230℃인 폴리 락틱 애씨드(Poly Lactic Acid; PLA)를 170℃로 가열하면서 열 성형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폴리 락티 애씨드는 옥수수에서 추출한 원료로 만든 친환경 수지로 환경호르몬은 물론 중금속 등이 검출되지 않아 안전하다. 폴리 락티 애씨드는 사용 중에는 일반 플라스틱과 동일한 특징을 가지지만 폐기 시 물, 이산화탄소, 미생물로 자연 분해되므로 친환경적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1)는 친환경, 생분해성 및 흡수성이 있어서, 석유기반 중합체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용기본체(10)는 수용부(11)와 결합부(12)를 포함하며 포장물이 수용되는 포장공간(11a)을 형성한다. 용기본체(10)는 외부에서 포장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본체(10)의 표면에는 직사광선으로부터 포장물을 보호하기 위한 공지의 코팅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1)는 내부에 포장공간(11a)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이 개방되어 있다. 수용부(11)의 내부 둘레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멀어진다.
수용부(11)에는 상하 방향으로 보강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부(111)는 수용부(11)의 내부 둘레가 오목하고 외부 둘레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보강부(111)는 수용부(11)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보강부(111)에 의해 수용부(11)는 상하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져도 구부러지지 않도록 한다. 골판지 박스에 포장용기(1)를 2개, 4개, 6개 등으로 배치하여 세트로 판매할 수도 있다. 그리고 포장용기(1)를 상하 방향으로 복수 적층할 수 있다.
수용부(11)의 상단 내부 둘레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거치단턱(112)이 형성되어 있다. 거치단턱(112)은 수용부(11)의 내부 둘레가 외측 방향으로 구부러져 기설정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12)는 수용부(11)의 상단을 따라 결합되어 있으며 복수 구부러져 수직면(122)과 수평면(121)으로 이루어져 있다. 결합부(12)의 최 상면은 수평면(121)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면(121)에는 기밀띠(13)가 돌출되어 있다. 기밀띠(13)는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수평면을 따라 폐루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수직면(122)은 2개로 이루어져 거치단턱(112)과 수평면(121)의 내측을 연결하는 내측수직면(122b) 수평면(121)의 외측과 연결되어 내측수직면(122b)과 마주하는 외측수직면(122a)을 포함한다.
한편, 외측수직면(122a)의 끝에는 날개편(123)이 형성되어 있다. 날개편(123)은 외측수직면(122a)의 둘레와 직각을 이루고 있으며 외측수직면(122a)의 둘레를 따라 기설정된 넓이로 형성되어 있다. 날개편(123)은 탄성력을 갖는다.
한편, 도면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결합부(12)의 수직면과 수평면은 생략될 수 있다. 이때 날개편(123)이 수용부(11)의 상단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날개편(123)에 기밀띠가 형성될 수 있다.
덮개(20)는 내부에 하면으로 개방된 수용공간(2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용기본체(10)와 동일하게 투명으로 형성되어 있고 표면에는 직사광선으로부터 포장물을 보호하기 위한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20)의 상면은 폐루프 형태의 보강띠(21)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공간(20a)으로 용기본체(10)의 상단을 이루는 결합부(12)가 수용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20a)의 내부 상면의 가장자리는 기밀띠(13)와 접한다. 그리고 수용공간(20a)의 내부 둘레는 외측수직면(122a)과 간격을 두고 마주하고 있으며, 날개편(123)의 둘레는 수용공간(20a)의 내부 둘레와 접하고 있다. 이때 수평면(121)을 기준으로 수용공간(20a)의 내부 둘레의 상하 길이는 외측수직면(122a)의 상하 길이보다 길다.
덮개(20)의 내부 둘레 하단에는 수용부(11)의 외부 둘레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22)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덮개(20)의 내부 둘레를 따라 배열되어 있다. 걸림돌기(22)가 날개편(123)의 하면에 걸리면서 덮개(20)는 용기본체(10)와 결합된다. 걸림돌기(22)가 형성된 부분과 대응하는 덮개(20)의 외부 둘레면은 걸림돌기(22)에 의해 함몰되어 있다.
한편, 걸림돌기(22)가 날개편(123)의 하면에 걸릴 때 날개편(123)은 걸림돌기(22)를 가압하는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날개편(123)의 탄성력에 의해 덮개(20)는 하부로 가압 되며 수용공간(20a)의 내부 상면이 기밀띠(13)와 더욱 밀착되면서 덮개(20)와 용기본체(10)의 사이에 기밀이 유지되어 포장물은 신선도유지를 꾀할 수 있다.
아울러, 기밀띠(13)에 의해 포장공간(11a)의 기밀이 유지되어 포장공간(11a)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대기중의 0.04% 대비 높은 10~20% 수준으로 유지하여 곰팡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포장용기(1)는 포장물에 대해 엠에이 포장 저장(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storage; MA)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용기본체(10)와 덮개(20)는 결합된 상태에서 포장공간(11a)의 포장물을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오염물 등의 외부요건으로부터 보호한다.
도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와 덮개(20)는 사각형태로 이루어져 4개의 모서리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모서리에 가해지는 충격이 분사되어 용기본체(10)와 덮개(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용기본체(10)와 덮개(20)를 사각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용기본체(10)와 덮개(20)의 형상은 포장용기(1)의 설계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0을 더 참고하면, 보호부(30)는 거치부재(31) 및 지지부재(32)를 포함하며 포장공간(11a)에 위치하여 포장물을 지지하여 보호한다.
거치부재(31)는 거치대(311) 및 탄성편(312)을 포함하며 보호부(30)의 골조 역할을 한다.
거치대(311)는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상하 관통홀(311b)이 형성되어 있는 거치몸체(311a), 거치몸체(311a)의 상면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된 보강몸체(311c)를 포함한다. 거치대(311)의 외형은 용기본체(10)의 상단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거치대(311)의 모서리는 용기본체(10)의 모서리와 같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거치대(311)는 거치몸체(311a)의 상면과 보강몸체(311c)를 연결하는 리브보강바(311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브보강바(311d)는 거치몸체(311a)의 상면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리브보강바(311d)는 생략될 수 있다. 또는 보강몸체(311c)와 리브보강바(311d) 모두 생략될 수 있다. 거치부재(31)는 포장용기(1)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거치대(311)의 두께는 0.6 내지 1mm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편(312)은 탄성몸체(312a), 그리고 지지대(312b)를 포함한다. 탄성편(312)은 거치몸체(311a)의 내부 둘레를 따라 배열되어 있다. 도면 도 5에서 탄성편(312)이 거치몸체(311a)의 각 모서리에 배치된 것으로 4개 도시하였다. 그러나 탄성편(312)의 위치와 개수는 포장용기(1)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에 탄성편(312)의 위치와 개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탄성몸체(312a)는 거치몸체(311a)의 내부 둘레에서 상하 관통홀(311b)의 중심 방향으로 기설정된 길이로 돌출되어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몸체(312a)는 포장공간(11a)의 내부 바닥으로 구부러지면서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탄성몸체(312a)의 두께는 거치대(311)의 두께와 같은 0.6 내지 1mm일 수 있다. 그러나 탄성몸체(312a)의 두께는 거치대(311)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탄성몸체(312a)의 두께가 0.6mm 미만인 경우 탄성력이 발생하는 과정 중에 파손될 수 있으며 1mm를 초과하는 경우 탄성력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포장물인 킹스베리의 중량은 80 내지 100g일 수 있다. 이에 탄성몸체(312a)는 80 내지 100g 중량의 포장물을 지지할 때 휘어질 수 있는 정도의 탄성력을 갖는다. 포장물의 종류에 따라 탄성몸체(312a)의 탄성력은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몸체(312a)의 두께, 폭, 길이 등은 탄성한계 내에서 이상적인 스프링과 유사하게 일정한 상수 값을 갖는다.
지지대(312b)는 탄성몸체(312a)의 끝에서 거치몸체(311a)를 따라 돌출되어 있다. 지지대(312b)는 거치몸체(311a)와 떨어져 있으며 탄성편(312)의 단면적을 확장하며 거치대(31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지지부재(32)를 지지한다.
탄성편(312)이 탄성몸체(312a)와 지지대(312b)로 이루어져 구부러지면서 탄성력이 발생한다고 하였으나, 탄성편(312)의 형상과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구부러지면서 탄성력이 발생하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거치부재(31)는 결합부(12)의 내측에 위치하여 거치몸체(311a)의 하면 외측 가장자리가 거치단턱(112)에 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몸체(311c)의 외측면은 내측수직면(122b)과 밀착하고 있다. 그러나 거치부재(31)는 도면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뒤집어진 상태에서 결합부(1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보강몸체(311c)의 외부둘레가 내측수직면(122b)과 접하면서 거치단턱(112)에 거치될 수 있다.
보강몸체(311c)가 생략된 경우 거치몸체(311a)의 하면은 거치단턱(112)에 거치되고, 둘레면이 내측수직면(122b)에 밀착된다. 이러한 거치부재(31)는 결합부(12)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어 있다.
지지부재(32)는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가장자리가 거치몸체(311a)의 상면에 열융착으로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지지부재(32)는 거치몸체(311a)를 따라 배치되는 결합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편(312)들은 지지부재(32)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지지부재(32)는 도 8 및 도 9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대(311)를 뒤집은 상태에서 거치몸체(311a)의 하면에 가장자리가 열융착으로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재(32)와 거치부재(31)의 연결 구조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지지부재(32)와 거치부재(31)의 연결 구조는 포장용기(1)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지지부재(32)는 거치몸체(311a)와 결합되어 탄성편(312)들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하 관통홀(311b)을 통해 포장공간(11a)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지지부재(32)의 외부 둘레는 용기본체(10)의 내부 둘레와 떨어져 있다. 지지부재(32)는 포장공간(11a)에서 포장물을 지지한다. 지지부재(32)가 용기본체(10)의 내부 둘레와 접하지 않아 포장물의 눌림을 예방할 수 있다.
지지부재(32)는 포장물을 따라 변형될 수 있는 지름이 45 내지 55㎛인 필라멘트로 직조되어 격자 간격이 200 내지 300㎛의 네트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도면 도 9의 (a) 및 도 10 참조). 한편, 네트의 위사와 경사의 배열은 포장물의 크기에 상관 있는 가로 새로 방향으로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해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지지부재(32)는 유연성을 가져 포장물의 형상을 따라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지지부재(32)가 포장물을 따라 변형되므로 포장물과 최대한 접촉하여 단위면적당 받는 힘이 최소화될 수 있다. 포장물인 킹스베리가 최대한 넓은 면적과 접촉하게 되면서 중량이 분산되어 킹스베리의 물러짐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32)의 표면에는 항균층이 형성될 수 있다. 항균층은 지지부재(32)를 인체에 무해한 식초, 에센셜오일 등에 함침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식초, 에센셜오일 등을 지지부재(32)의 표면에 분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에 포장물에 미생물, 세균 따위가 발육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포장물이 지지부재(32)에 위치한 상태에서 탄성편(312)은 지지부재(32)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에 탄성편(312)의 탄성력에 의해 포장물이 받는 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는 경도가 작아서 쉽게 물러지는 대과형 딸기(킹스베리)의 유통 충격을 완화하여 물러짐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포장용기 10: 용기본체
11: 수용부 11a: 포장공간
111: 보강부 112: 거치단턱
12: 결합부 121: 수평면
122: 수직면 122a: 외측수직면
122b: 내측수직면 123: 날개편
13: 기밀띠 20: 덮개
20a: 수용공간 21: 보강띠
22: 걸림돌기 30: 보호부
31: 거치부재 311: 거치대
311a: 거치몸체 311b: 상하 관통홀
311c: 보강몸체 311d: 리브보강바
312: 탄성편 312a: 탄성몸체
312b: 지지대 32: 지지부재

Claims (9)

  1. 내부에 상면으로 개방된 포장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을 덮고 있는 덮개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 거치되어 있고 상하 관통홀이 형성된 거치부재와, 상기 거치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상하 관통홀을 통해 상기 포장공간에 위치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포장물을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둘레와 떨어져 있는 보호부
    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상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거치단턱에 거치된 거치대, 그리고
    상기 상하 관통홀의 둘레와 연결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탄성편
    을 포함하며,
    상기 포장물을 지지하고 있는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포장물의 형상을 따라 변형될 수 있는
    포장용기.
  2. 제1항에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포장물의 형상을 따라 변형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둘레와 떨어져 있는
    포장용기.
  3. 제1항에서,
    상기 지지부재는, 지름이 45 내지 55㎛인 필라멘트로 직조되어 격자 간격이 200 내지 300㎛의 네트인 포장용기.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탄성편은 각각,
    상기 상하 관통홀의 둘레에서 상기 상하 관통홀의 중심으로 돌출된 탄성몸체, 그리고
    상기 탄성몸체의 끝에서 상기 거치대를 따라 돌출된 지지대
    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몸체는 상기 포장물의 중량에 의해 상기 포장공간의 바닥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포장용기.
  6. 제1항에서,
    상기 거치부재의 두께는 0.6 내지 1mm인 포장용기.
  7. 제1항에서,
    상기 용기본체, 상기 덮개 및 상기 보호부는 폴리 락틱 애씨드(Poly Lactic Acid)인 포장용기.
  8. 제1항에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포장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 그리고
    상기 수용부의 상단에서 복수 구부러져 상기 덮개와 접하고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날개편이 형성된 결합부
    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결합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 둘레와 마주하는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측 둘레 부분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날개편의 하면에 걸리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수용공간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어 있는
    포장용기.
  9. 제8항에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결합부의 상면을 따라 돌출된 기밀띠를 더 포함하는 포장용기.
KR1020200073915A 2020-06-17 2020-06-17 포장용기 KR102396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915A KR102396578B1 (ko) 2020-06-17 2020-06-17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915A KR102396578B1 (ko) 2020-06-17 2020-06-17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150A KR20210156150A (ko) 2021-12-24
KR102396578B1 true KR102396578B1 (ko) 2022-05-12

Family

ID=79176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915A KR102396578B1 (ko) 2020-06-17 2020-06-17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5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5943A (ja) * 2009-07-22 2011-02-10 Oishi Sangyo Kk 果実収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838B1 (ko) * 2008-05-30 2010-08-04 영천시 완충공간을 갖는 포장박스
KR200453733Y1 (ko) * 2009-03-26 2011-05-27 주식회사 오색만찬 일회용 식품 포장용기
KR20110138817A (ko) 2010-06-22 2011-12-28 송창용 충격완화를 위한 물품 포장용기 및 포장방법
KR20150000857A (ko) * 2014-10-31 2015-01-05 신한재 과일 용기
KR102057425B1 (ko) 2019-09-03 2019-12-18 주식회사 보토 생분해성수지를 통한 인장강도가 증가될 수 있는 포장망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포장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5943A (ja) * 2009-07-22 2011-02-10 Oishi Sangyo Kk 果実収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150A (ko) 202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6578B1 (ko) 포장용기
WO2009054723A1 (en) Packaging device, in particular packaging material for packaging a product, a method of packaging one or more products and use of packaging material
KR102080436B1 (ko) 충격 흡수용 완충 골심지
EP1265794B1 (en) Delicate goods holder, its manufacturing and use
KR200439346Y1 (ko) 과일포장용 에어매트
KR101134298B1 (ko) 과일 포장용 수지트레이
KR102580153B1 (ko) 계란 밀착용 케이스
CN204548765U (zh) 包装结构
CN211337224U (zh) 可替换嵌套式紧固包装盒
KR100748947B1 (ko) 과일 포장구
JP7101415B2 (ja) 果物収納容器、果物収納構造及び果物収納システム
JP3130779B2 (ja) 包装材
KR101054897B1 (ko) 과실용 난좌
JP2003012075A (ja) 果実用パックとそれを用いた梱包体
JP2012006638A (ja) 青果物用緩衝体
KR100800283B1 (ko) 과일보호용 포장구
KR0129007Y1 (ko) 딸기 포장박스
KR102039182B1 (ko) 과일 포장용 속 케이스
KR20140000631U (ko) 농산물 포장용 팩
KR102607668B1 (ko) 나노섬유 필터 고정캡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CN210259559U (zh) 一种草莓包装盒
KR200263986Y1 (ko) 과일포장용기
US3337038A (en) Packaging harness
KR200439411Y1 (ko) 물품 포장구
KR20180015396A (ko) 과일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