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6491B1 -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491B1
KR102396491B1 KR1020210128433A KR20210128433A KR102396491B1 KR 102396491 B1 KR102396491 B1 KR 102396491B1 KR 1020210128433 A KR1020210128433 A KR 1020210128433A KR 20210128433 A KR20210128433 A KR 20210128433A KR 102396491 B1 KR102396491 B1 KR 102396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onsulting
terminal
keyword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준
Original Assignee
남기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준 filed Critical 남기준
Priority to KR1020210128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을 신청하기 위해 결제를 수행하고, 컨설턴트가 지정되는 사업자 단말, 사업자 단말의 컨설턴트로 지정되면, 스마트스토어의 상호명, 스마트스토어에 업로드되는 상품의 수, 상품의 키워드 및 상품의 이미지가 기 설정된 조건에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컨설팅 단말 및 사업자 단말로부터 컨설팅 요청이 수신되면 컨설팅 단말로 컨설턴트 업무를 분배하는 할당부, 사업자 단말에서 스마트스토어의 상호명을 지정할 때 판매할 상품의 키워드를 조합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상호체크부, 사업자 단말에서 상품을 스마트스토어에 업로드할 때 키워드에 상품명, 카테고리, 브랜드, 제조사, 속성 및 태그가 포함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검색품질체크부, 상품을 스마트스토어에 업로드할 때 상품의 제목(Title) 내 메인키워드(MainKeyword), 메인키워드가 포함되는 중분류 카테고리 키워드 및 메인키워드가 포함되는 소분류의 카테고리 키워드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하는 제목체크부, 상품의 대표사진 및 상세페이지의 상세사진이 스마트스토어의 가이드라인에 따른 사이즈 규격에 맞는 사진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사진체크부, 사업자 단말에서 업로드하는 상품의 수가 기 설정된 업로드 수를 만족하는지를 체크하는 업로드체크부를 포함하는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CONSULTING SERVICE FOR INCREASING SALES ON SMARTSTORE}
본 발명은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스토어의 검색엔진최적화로 파라미터를 추출 및 가이드라인을 설정하여 매출증대를 달성할 수 있도록 컨설팅해주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최근 국내 유통 시장의 저성장과 침체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유통은 매년 10% 넘는 고성장을 지속하고 있어 온라인 유통의 비중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 쇼핑은 접근성이 좋고 진입장벽이 낮아 다양한 창업가들을 배출하고 있다. 오픈 마켓과 소셜커머스가 온라인 쇼핑 산업을 이끌어 왔으며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온라인 쇼핑도 점차 스마트화되어 가고 있다. 빅데이터 수집 능력과 이를 분석하는 인공 지능(AI)에서 탁월한 능력이 있는 구글, 알리바바 등과 한국에서는 네이버가 데이터 커머스 기반의 진화된 데이터 커머스 플랫폼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들은 쇼핑몰 사업에서는 후발주자이나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기존 온라인 쇼핑몰 강자인 오픈마켓과 소셜커머스와 치열한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이때, 온라인 쇼핑몰에서 매출을 올리기 위해 인플루언서를 고용하거나 바이럴 마케터를 고용하는 플랫폼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2013186호(2019년08월22일 공고) 및 한국등록특허 제10-2216105호(2021년02월16일 공고)에는 인플루언서와 기업간의 마케팅에 필요한 상호작용을 지원하고, 인플루언서의 활동으로 소비자가 직접 쇼핑몰로 접근하게 하며, 인플루언서의 마케팅 활동을 측정하여 보상하는 구성과, 상품을 제조하는 제조사와 상품을 소비하는 소비자를 연결시켜 제조사의 상품을 직접 사용해본 소비자가 제조사의 상품에 대한 바이럴 마케팅뿐 아니라 직접적으로 제조사의 상품을 판매도 할 수 있는 마케터가 되어 제조사 상품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소비하고 이를 주변 지인들에게 직접적으로 마케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사와 소비자 모두에게 이익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한 바이럴 마케터를 이용한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과 같이 인플루언서나 바이럴 마케터를 고용한다고 할지라도 네이버의 스마트스토어에 특화된 검색엔진최적화(Search Engine Optimization)가 이루어지지 않는 한 일시적인 효과를 볼 뿐 장기적인 매출증대를 기대할 수 없다. 또 소상공인이나 자본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경우 연예인을 기용하는 것과 같은 막대한 자본이 투하되는 인플루언서나 바이럴 마케터를 지속적으로 고용할 수도 없다. 이에, 스마트스토어의 검색엔진 최적화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파라미터를 가이드라인으로 설정하여 각 사업자가 규칙을 지키도록 컨설팅함으로써 동족방뇨와 같은 일시적인 해결책이 아닌 장기적으로 발전가능한 컨설팅을 제공해줄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검색엔진최적화(Search Engine Optimization)를 진행한 후, 이를 이용하여 스마트스토어의 검색순위를 올리거나 유입되는 방문자수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가이드라인으로 설정함과 동시에 각 사업자가 규칙을 지키도록 컨설팅하고, 사업자 단말에서 규칙을 지키는지의 여부를 플랫폼 내에서 1 차적으로 체크 및 모니터링하며, 컨설팅 단말에서 2 차적으로 최종검수함으로써 각 사업자는 1 차적으로 실시간 기계검수 결과를 수신하고, 2 차적으로 사람으로부터 인간검수 결과를 수신하여 스마트스토어를 운영하는데 수정해야 할 사항을 알 수 있게 되는,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을 신청하기 위해 결제를 수행하고, 컨설턴트가 지정되는 사업자 단말, 사업자 단말의 컨설턴트로 지정되면, 스마트스토어의 상호명, 스마트스토어에 업로드되는 상품의 수, 상품의 키워드 및 상품의 이미지가 기 설정된 조건에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컨설팅 단말 및 사업자 단말로부터 컨설팅 요청이 수신되면 컨설팅 단말로 컨설턴트 업무를 분배하는 할당부, 사업자 단말에서 스마트스토어의 상호명을 지정할 때 판매할 상품의 키워드를 조합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상호체크부, 사업자 단말에서 상품을 스마트스토어에 업로드할 때 키워드에 상품명, 카테고리, 브랜드, 제조사, 속성 및 태그가 포함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검색품질체크부, 상품을 스마트스토어에 업로드할 때 상품의 제목(Title) 내 메인키워드(MainKeyword), 메인키워드가 포함되는 중분류 카테고리 키워드 및 메인키워드가 포함되는 소분류의 카테고리 키워드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하는 제목체크부, 상품의 대표사진 및 상세페이지의 상세사진이 스마트스토어의 가이드라인에 따른 사이즈 규격에 맞는 사진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사진체크부, 사업자 단말에서 업로드하는 상품의 수가 기 설정된 업로드 수를 만족하는지를 체크하는 업로드체크부를 포함하는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검색엔진최적화(Search Engine Optimization)의 알고리즘을 파악한 후, 이를 이용하여 스마트스토어의 검색순위를 올리거나 유입되는 방문자수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가이드라인으로 설정함과 동시에 각 사업자가 규칙을 지키도록 컨설팅하고, 사업자 단말에서 규칙을 지키는지의 여부를 플랫폼 내에서 1 차적으로 체크 및 모니터링하며, 컨설팅 단말에서 2 차적으로 최종검수함으로써 각 사업자는 1 차적으로 실시간 기계검수 결과를 수신하고, 2 차적으로 사람으로부터 인간검수 결과를 수신하여 스마트스토어를 운영하는데 수정해야 할 사항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 단말(100),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 단말(100)은,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마트스토어의 상호명을 설정하고 상품 제목 및 상세페이지의 텍스트 및 사진 등을 입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스마트스토어(https://sell.smartstore.naver.com)는 네이버의 쇼핑몰이고 사업자는 네이버의 쇼핑몰에 입점된 스마트스토어를 운영하는 개인 또는 기업을 의미한다. 이때, 사업자 단말(100)은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컨설팅 요청을 하고 컨설팅 단말(400)에 의해 컨설팅을 받으며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가이드라인을 출력하고 가이드라인에 따르지 않은 상품 데이터를 수정하는 사업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스마트스토어의 검색엔진최적화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각 파라미터에 따라 가이드라인을 설정하며, 사업자가 상품을 업로드할 때 가이드라인에 따라 업로드하도록 컨설팅하고 결과를 모니터링해주는 서버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1 차적으로는 시스템에서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를 체크해주고 2 차적으로는 컨설턴트의 단말인 컨설팅 단말(400)에서 체크를 해주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역공학을 이용하여 스마트스토어의 소스코드를 추정하고 실험을 통하여 결과와 비교해보는 테스트베드(TestBed)를 구축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단말(400)은,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컨설턴트의 단말일 수 있다. 컨설팅 단말(400)은,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컨설팅 업무를 할당받고 사업자 단말(100)의 스마트스토어에 대한 컨설팅을 해주는 컨설턴트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할당부(310), 상호체크부(320), 검색품질체크부(330), 제목체크부(340), 사진체크부(350), 업로드체크부(360), 텍스트체크부(370), 저장부(380), 지표체크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단말(400)로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단말(400)은,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설명하기 이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검색엔진최적화 및 역공학의 기본개념을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된 것들은 도 2를 설명하면서 반복하지 않는다.
<검색엔진최적화>
검색엔진마케팅(Search Engine Marketing, SME)은 온라인마케팅 혹은 인터넷마케팅의 한 부분으로 검색엔진의 검색결과페이지 상위에 홈페이지를 노출시켜 잠재고객 및 현재 방문자들의 방문을 유도하고자 하는 마케팅 기법이다. 검색엔진을 이용한 마케팅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타 마케팅에 비해 빠른 시간내에 마케팅 효과를 체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검색엔진마케팅의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검색엔진최적화, 유료 인덱스 등록 프로그램(Pay for Inclusion), 순위당 과금 검색엔진광고(Pay for Placement), 클릭당 과금 프로그램(Pay Per Click, PPC 혹은 Cost Per Click, CPC) 등이 있는데 검색엔진최적화와 클릭당 과금 프로그램을 동시에 진행할 경우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낸다.
검색엔진최적화(Search Engine Optimization, SEO)는 검색엔진에 적합한 키워드 등의 요인으로 수정하여 검색엔진의 결과 페이지에서 상위페이지 노출 순위를 위해 웹사이트를 개선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SEO는 검색엔진의 검색 알고리즘 가이드를 준수하여 검색엔진결과페이지 상위에 노출시켜 방문자를 적극적으로 유도하도록 해야 한다. CPC의 경우 검색엔진을 제공하는 기업에 광고비를 지불하는 방법으로 키워드 검색과 마찬가지의 결과를 가져오지만 가장 상위의 스폰서링크 혹은 스폰서광고란에 노출된다. 즉 CPC의 광고비는 검색자가 스폰서링크에 노출되어있는 웹사이트를 방문하게 되면 클릭당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이다. SEO와 CPC의 경우 어떠한방법이 더 나은 방식의 마케팅이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지만 SEO의 경우 CPC와 비교해서 낮은 비용과 지속성에서의 장점이 있다. CPC는 단기간 내에 많은 트래픽과 잠재고객들에 대한 웹사이트의 노출이 높아 타겟층의 빠른 유입이 가능하지만, 웹사이트의 콘텐츠 및 정보가 부족할 경우 사용자들이 웹사이트에 머물 시간이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이익발생의 요인을 잃어버리게 되며, 이는 광고비의 증가로 이어진다. 이 둘의 특성을 정리하면 이하 표 1과 같다.
SEO CPC 또는 PPC
기법 검색엔진의 알고리즘 규정에 최적화 하여 SERPs의 상위에 노출 검색엔진의 광고란을 이용하여 SERPs의 상위에 노출
비용 CPC대비 저렴 방문객의 유입에 따른 광고비용 증가로 인해 고비용
마케팅지속력 검색엔진의 알고리즘 변화에 지속적인 관심을 통해 마케팅 효과가 장기적 광고비용 소진시 마케팅 효과 상실
웹사이트가시성 검색엔진의 검색랭킹에 따라 웹사이트의 노출 정도가 달라짐 항상 상위에 노출
단점 검색엔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의 필요로 인해 인내심이 필요 마케팅 비용 증가, 몇몇의 이용자는 광고란의 유입을 꺼려하는 경향이 있음
<역공학>
M.G.Rekoff는 역공학(Reverse Engineering)을 “복잡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견본(Specimens)을 자세히 분석하여 일련의 명세서를 개발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소프트웨어에서의 역공학은 대상 시스템을 분석하여 시스템의 구성요소와 그 관계를 파악하고, 시스템을 다르게 표현하거나 고수준의 추상화를 추출하려는 과정으로 일반적으로 설계 사양서를 추출하거나 구현 -독립적인 추상화된 표현을 만드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역공학의 과정(Reverse Engineering Process)은, 역공학은 원시코드와 시스템 구조 모델을 이용하여 대상 시스템을 분석하는 단계에서 시작하며, 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하여 분석하고 수집한 정보들은 정보저장소에 저장되고 다양한 유형의 문서들이 이 정보로부터 생성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검색엔진최적화를 위한 각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스마트스토어의 프로그램을 리버스 엔지니어링, 즉 역공학을 통하여 [프로그램->어셈플리어->소스코드]로 재구성해볼 수 있는 테스트베드를 만들고 이를 실제 판매자의 스마트스토어에서 실험해봄으로써 검색순위를 높게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검색엔진은 질의자의 의도를 명확히 파악하고 원하는 페이지를 찾아주기 위해 개발이 되었지만, 이와 동시에 각 판매자들이 이러한 룰을 제대로 알지 못하면 아무리 좋은 상품이라도 페이지가 후순위로 밀려 클릭확률이 현저히 낮아지기 때문에, 이 원리를 각 판매자들이 숙지하고 상품을 판매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할당부(310)는, 사업자 단말(100)로부터 컨설팅 요청이 수신되면 컨설팅 단말(400)로 컨설턴트 업무를 분배할 수 있다. 컨설팅 서비스는 패션 및 잡화 카테고리에 최적화된 서비스일 수 있다.
상호체크부(320)는, 사업자 단말(100)에서 스마트스토어의 상호명을 지정할 때 판매할 상품의 키워드를 조합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트류를 판매하는 스마트스토어라고 가정하면 "니트앤니트"와 같이 상호명 자체에 니트라는 상품명, 카테고리명 등을 포함시키는 것이다. 사업자 단말(100)은,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을 신청하기 위해 결제를 수행하고, 컨설턴트를 지정받을 수 있다. 컨설팅 단말(400)은, 사업자 단말(100)의 컨설턴트로 지정되면, 스마트스토어의 상호명, 스마트스토어에 업로드되는 상품의 수, 상품의 키워드 및 상품의 이미지가 기 설정된 조건에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1 차적으로는 시스템에서 검수하지만 2 차는 인간의 개입이 요구된다. 시스템이 초기 구동할 때에는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아 인간의 개입이 필요한 지도학습이나 반지도학습으로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충분한 수의 데이터셋이 마련된다면 인간의 개입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겠지만, 검색엔진최적화의 특성상 계속하여 NHN에서는 검색엔진을 업데이트할 것이기 때문에 인간의 개입은 지속적으로 필요할 수 있다.
검색품질체크부(330)는, 사업자 단말(100)에서 상품을 스마트스토어에 업로드할 때 키워드에 상품명, 카테고리, 브랜드, 제조사, 속성 및 태그가 포함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각 스마트스토어의 검색엔진최적화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한 지표는 다양하나, 제목인 페이지 타이틀(Page Title), 상세페이지인 페이지 설명(Page Description), 키워드(Keywords), H1태그(H1 Tag), 이미지 설명 및 수, Alt태그 속성(Image Description, Number of Images, Alt Attribute), HTML의 크기(HTML Size), 검색시간(Retrieval Time), 본문텍스트(Body Text), 링크(Link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키워드(Keyword)의 경우 검색엔진결과의 상위노출을 악용하는 인터넷 이용자들이 검색엔진의 검색 로봇의 특성을 파악하여 키워드의 무분별한 채워 넣기 등의 편법적인 방법을 활용하고 있어서 과거에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였으나 현재는 그 중요성이 많이 낮아졌다. 하지만 키워드의 자리를 비워두는 것은 적절하지 않으며, 키워드는 10개에서 15개 내외로 작성하는 것이 좋고, 각각의 단어를 구분할 때에는 Comma(,)로 구분해야 한다. 반복적인 단어를 사용하지 않으며 가장 중요한 키워드가 키워드 리스트의 가장 처음에 위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목체크부(340)는, 상품을 스마트스토어에 업로드할 때 상품의 제목(Title) 내 메인키워드(MainKeyword), 메인키워드가 포함되는 중분류 카테고리 키워드 및 메인키워드가 포함되는 소분류의 카테고리 키워드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품의 제목은, 상품의 상태 또는 성질을 나타내는 품사인 형용사 및 실시간 이슈 또는 시즌 연관 키워드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h 및 도 4i를 참조하면, 상품 페이지의 제목인 페이지 타이틀(Page Title)은 페이지 순위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타이틀 태그(Title Tag)는 검색결과페이지(SERPs)에서 검색자들이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요소이다. 따라서 각각의 페이지마다 그 페이지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타이틀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중소기업의 경우 대기업과 달리 기업브랜드의 인지도 떨어지는 관계로 기업명을 첫 타이틀 태그로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으며 핵심키워드를 타이틀의 처음을 채우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기업명의 경우에는 ‘|(Pipe)’ 혹은 ‘-(Dash)’ 등을 이용하여 기업명을 나타내는 것이 적합하며 타이틀의 길이는 대략 65자 이내로 작성하여야 검색결과에서 나타나지 않는 부분을 없앨 수 있다. 페이지 타이틀은 사람의 이름과 같은 것으로 가능한 간략하고 창의적인 문구로 작성해야 한다.
사진체크부(350)는, 상품의 대표사진 및 상세페이지의 상세사진이 스마트스토어의 가이드라인에 따른 사이즈 규격에 맞는 사진인지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사진체크부(350)는 도 4j와 같이 이미지 설명 및 수, Alt태그 속성(Image Description, Number of Images, Alt Attribute)을 체크해야 한다. 검색로봇의 경우 이미지를 크롤링 하지 않으며, 이미지에 대한 설명이 있는 경우에 설명부분의 텍스트 정보를 수집한다. 따라서 Alt태그를 사용하여 이미지의 속성과 설명을 검색로봇에게 제공해야 한다. 또한 Alt태그는 이미지를 볼 수 없는 경우에 이미지나 나타내고 있는 설명을 검색자에게 텍스트로 제공하고 다음 진행으로의 불확실성을 제거함으로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Alt태그의 경우 제한된 글자 수는 없지만 너무 길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받아들이기에 불편함이 없도록 해야 한다. 또한 이미지가 사용자에게 주는 시각적인 만족감이 크기 때문에 한국의 홈페이지 같은 경우 이미지의 수가 특히 많지만 그 수가 너무 많거나 용량이 클 경우 페이지 로딩시간이 길어질 수 있음으로 검색엔진마케팅을 이용한 최대의 효과를 볼 수 없다. 자세하고 정교한 이미지가 필요할 시에는 링크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업로드체크부(360)는, 사업자 단말(100)에서 업로드하는 상품의 수가 기 설정된 업로드 수를 만족하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하루에 1 개 이상 꾸준히 업로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내지 7 개씩 업로드하는 것이 좋다. 이를 시스템적으로 체크하며 업로드가 없는 경우 사업자 단말(100)로 상품 업로드를 요청하게 된다.
텍스트체크부(370)는, 상세페이지 내 텍스트에 상품의 키워드, 메인키워드(MainKeyword), 메인키워드가 포함되는 중분류 카테고리 키워드 및 메인키워드가 포함되는 소분류의 카테고리 키워드가 기 설정된 문단 간격을 두고 기 설정된 횟수만큼 기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상세페이지 내 메타태그(MetaTag)에 상품의 키워드, 메인키워드(MainKeyword), 메인키워드가 포함되는 중분류 카테고리 키워드 및 메인키워드가 포함되는 소분류의 카테고리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도 4k와 같이 페이지 설명(Page Description)은 상세페이지는, 메타데이터의 내용 중 페이지별 요약(Meta Description)부분을 지칭한다. 페이지 설명은 검색결과페이지에서 미리보기로 볼 수 있는 부분이기에 웹사이트의 구성시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페이지 설명은 페이지 타이틀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관심을 끌 수 있어야 하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확한 정보와 콘텐츠 등을 명확하게 표시해야 하고, 창의적으로 작성되어야 한다. 막연한 키워드의 반복을 피하고, 홈페이지와 관련이 없는 단어를 나열하여 스팸으로 등록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해야 하며, 메타태그의 모든 내용을 복사하여 페이지 타이틀에 이용하는 것을 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모든 페이지에 대해 페이지 설명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양질의 웹사이트 제작을 위해서는 각 카테고리별로의 페이지 설명은 필요하다.
본문텍스트(Body Text)는 HTML의 구성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부분이며, 사용자들이 웹페이지에서 볼 수 있는 문자들로서 웹사이트의 콘텐츠라 할 수 있다. 콘텐츠의 구성내용은 키워드와 관련이 있는 내용으로 작성되어야 하며, 본문텍스트에서 키워드의 반복과 키워드와 관련이 있는 텍스트의 반복은 SEO에 도움을 준다. 그러나 키워드의 반복이 너무 많아질 경우에는 검색로봇이 부정행위나 스팸으로 간주할 수도 있기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본문텍스트에서 사용할 태그는 폰트와 바탕화면(Background) 등에 관한 것들이 있다. 폰트의 색상 및 강조, 볼드체 및 이탤릭체를 사용하는 것이며, 이는 검색로봇이 인식 가능하며 중요도에서의 가중치를 더 부여한다.
이 외에도, H1태그(H1 Tag)는, HTML의 구성요소 중의 하나로서 웹페이지 내의 각각의 섹션의 제목을 나타내거나 본문의 텍스트를 강조할 때 사용한다. HTML에서는 H1-H6까지의 헤딩(Heading Tag)이 존재한다. 각각의 중요도는 H1이 가장 크며, H6로 갈수록 작아진다. Heading Tag는 책의 목차로 표현 될 수 있다. 검색로봇 혹은 검색스파이더들은 웹페이지에서 Heading Tag를 반드시 확인하기 때문에 H1의 존재는 SEO에 있어서 필요한 요소이다. 또한 Heading Tag를 작성할 때에는 페이지와의 관련성이 없는 문구는 제외해야 한다.
HTML의 크기(HTML Size)는, 페이지를 로딩하는 시간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크기가 클 경우 검색로봇이 차단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Google의 경우 100kb가 넘어갈 경우 그 이후의 내용은 검색결과페이지에 노출되지 않는다. 사용자의 인터넷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 HTML의 크기가 클수록 페이지를 읽어내는 시간이 증가하게 될 것이고, 이러한 로딩시간의 증가는 차후의 방문이 꺼려지는 이유가 될 수 있다.
검색시간(Retrieval Time)도 중요하다. 검색엔진에 있어서 빠르고 신속한 검색은 검색엔진의 생명이다. 홈페이지의 크기, 키워드와 본문텍스트(콘텐츠)의 관련성 등은 이러한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검색로봇의 경우 홈페이지에서 수 십분씩 혹은 더 긴 시간을 머무르는 사람과는 달리 수 초간 웹사이트에 머물며 정보를 수집한다. 잘 구성된 웹사이트는 검색로봇이 빠른 시간내에 웹사이트의 구석구석 많은 정보를 수집가능하게 하며, 사용자에게도 빠른 정보제공으로 웹사이트의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다.
링크(Links)는, 내부링크(Internal link)와 외부링크(External or Outbound link)로 나누어지며, 검색엔진은 링크의 수, 링크의 키워드와의 연관성, 홈페이지의 인기도, 연결이 되지 않는 링크 등에 따라 검색결과의 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요소로 사용된다. 상술한 각 체크포인트를 정리하면 이하 표 2와 같다.
지표 내용 분석대상 중요도
페이지타이틀 -타이틀 태그(Title tag)는 검색결과페이지(SERPs)에서 검색자들이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요소
가능한 간략하고 창의적인 문구로 작성
페이지 타이틀의 사용여부
페이지설명 -메타데이터의 내용 중 페이지별 요약(Meta description)부분
-검색결과페이지에서 미리보기로 볼 수 있는 부분으로 각 카테고리별로의 페이지 설명 필요
페이지의 설명여부
키워드 -과거에 비해 편법적 활용으로 인해 중요도 하락, 10개에서 15개 내외로 작성, 구분할 때에는 comma(,)로 구분 키워드 존재여부
H1태그 -웹페이지 내의 각각의 섹션의 제목을 나타내거나 본문의 텍스트를 강조시 사용 H1태그 존재여부
이미지관련 alt태그를 사용, 이미지 속성과 설명을 검색로봇에게 제공 이미지의 수와 속성설명
HTML크기 페이지 로딩시간에 영향을 미치며, 크기가 클 경우 검색로봇이 차단하는 경우 발생 HTML크기
검색시간 홈페이지의 크기, 키워드와 본문텍스트(콘텐츠)의 관련성 등은 검색시간을 단축 검색에 걸리는 시간
본문텍스트 -HTML의 구성의 웹사이트 콘텐츠 구성
-폰트의 색상 및 강조, 볼드체 및 이탤릭체를 사용은 검색로봇이 인식 가능하며 중요도에서의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
본문텍스트의 존재 및 구성
링크 검색엔진은 링크의 수, 링크의 키워드와의 연관성, 홈페이지의 인기도, 연결이 되지 않는 링크 등에 따라 검색결과의 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요소로 사용 링크의 수
저장부(380)는, 상품의 상태 또는 성질을 나타내는 품사인 형용사를 형용사 사전을 구축하여 제공하고, 웹크롤러를 통하여 수집된 실시간 이슈 또는 시즌 연관 키워드를 모아놓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지표체크부(390)는, 스마트스토어에서 제공하는 상품별 리포트를 사업자 단말(100)로부터 업로드받고, 상품별 리포트 내 적어도 하나의 지표인 상품상세조회수, 결제금액, 결제상품수량 및 상세조회대비결제율의 각 수치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사업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품별 리포트는 스마트스토어의 플랫폼 사업자인 NHN에서 제공하는 것인데 이를 분석해줄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① 키워드 조합, ② 1일 업로드 수, ③ 구독자 및 방문자, ④ CS, ⑤ 외부유입으로 나누어 패션 및 잡화 카테고리에 맞는 검색엔진최적화 컨설팅을 제공한다.
<키워드 조합>
도 3b 및 도 3c와 같이 키워드 조합을 컨설팅하게 되는데 도 4a 내지 도 4g와 같은 방식으로 키워드 조합을 진행하도록 가이드라인을 설정한다.
<1일 업로드 수>
도 3d와 같이 1일 업로드 수를 컨설팅하게 되는데, 최초 컨설팅 계약후 등록확인서가 발행되면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업자 단말(100)로 컨설턴트료를 전달한다. 컨설턴트료를 전달함과 동시에 5개월간의 컨설팅 계획을 잡게되고, 긴밀한 소통을 통해 운영 및 컨설팅을 시작한다. 컨설턴트료는 평균 1~3일 사업자 측에서 정독을 한 후, 1 내지 3 개의 상품을 컨설팅 반영 없이 상품을 이해한 대로 업로드한다.
컨설팅 단말(400)의 컨설턴트는 사업자 단말(100)에서 업로드한 상품으로 교육 이해부분에 대해 체크하고 미비한 점 및 잘못된 점을 바로잡아주며 시작한다. 사업자측의 최초 업로드의 시작으로 일평균 평일기준 최소 5건의 최소 업로드를 사업자측으로 요청한다. 평균적으로 일평균 5~8건의 업로드가 되면 최적이며 주말 제외 평일만 업로드 하는경우 7~8건을 반드시 하는것이 수집기능 활성화에 도움을 주게되고, 외부유입 및 핫딜, 기획전 참여를 꾸준히 지속시킨다는 가정하에 3개월이면 뒤바뀐 노출빈도와 매출을 익월에 체감할 수 있다.
컨설턴트측에서 요청한 업로드 횟수가 90회(약 30일 가량) 등록이 되었다면 컨설턴트는 1차적으로 판매자센터를 통해 상품 리포트를 확인한다. 클릭율이 0.5 이하인 경우 썸네일문제, 가격경쟁문제를 사업자측으로 알리고 문제를 바로잡는다. 교육과 별개로 썸네일,가 격문제는 엑티브한 업로드를 하더라도 최저의 매출이 발생하으로 반드시 사업자측에서 고칠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매의류 사이트 사진인 경우 선행사례가 있기 때문에 선행사례 대로 사진 중 공격적인 반응을 줄 수 있는 썸네일을 선택하는것을 필두로 가격경쟁이 되지않는 상황이라면 반드시 도매의류사이트(위탁사업자)를 늘리도록 안내한다. 또한 도매의류사이트의 사진은 업로드 전 반드시 이미지 코드를 변경하여 올려야 하며 그것이 되지 않는경우, 또는 이미지 코드 변경이 안된경우 웹상에 이미 수집된 원본 코드로 인해 스토어 상품판매 품질에 변화를 줄 수 없게 된다. 30건 이후 40~50건(15일가량) 이되면 이후부터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무료광고(핫딜,기획전)를 반드시 진행한다. 주 단위로 진행이 되며 최소 10회 이상 진행을 했을때 반응빈도가 달라짐으로 반드시 주 단위 진행날짜를 놓치지 않고 진행하여야 한다.
<외부유입>
도 3h와 같이 상품이 50건이 넘으면 검색로봇을 통해 어느 정도 카테고리에 대한 키워드가 수집되어 있으므로 외부유입에 많은 신경을 써야한다. 외부유입은 스토어 내 중요 4 가지 품질 중 하나로 반드시 활성화 시켜야 하며 그 활성화에 대해서는 판매자센터 내 그래프 및 애널리틱스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므로 15일(보름)이 지난 시점부터 외부유입(SNS 또는 타링크)에 각별히 신경쓰도록 안내한다. 컨설턴트는 사업자측으로 광고도매사이트를 오픈하여 저렴한 대금으로 빠르게 외부유입을 발생시킬수 있도록 가입을 제공하며 꼭 진행해야될 사항은 아니지만 사업자는 반드시 외부유입을 늘려야 한다. 이후 업로드 최소 100건(1개월가량)이 완성이되면 지금부터가 스마트스토어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다.
한달 가량 100건 이상의 전시된 데이터 키워드 수집으로 인해 익월초 2일에 품질이 반영될 것이고 100건의 달성부터는 완성도 높은 업로드를 기본으로 최소 업로드를 지향하는 것이 아닌 가능한 일일 24시간 이내 스토어에 많은 액션을 주는것이 중요하므로 업로드, 외부유입은 지속적으로 늘려야 할 것이고 추후 핵심이 된다. 실제 매출발생의 여지가 있었던 성장사례의 사업자들은 꾸준한 업로드를 기반으로 상품을 늘려 이때부터 작업을 하게 된다. 그 작업으로는 평균 일일 업로드 5건을 예로 들었을때 1~2개의 상품은 카테고리 품질에 영향을 주는 일반적인 업로드, 다음 1~2개의 상품은 시즌, 계절, 이슈에 영향을 주는 형용사 및 키워드로 잡은 업로드, 다음 1개는 최저가(또는 노마진)의 미끼상품으로 잡은 업로드를 실시하게 된다. 이때, 미끼상품은 반드시 업로드하도록 하는데, 이유는 쇼핑 내 최저가로 자리매김 되는 것이 지속되는 것을 네이버에서는 가장 선호하며 그 데이터가 쌓일수록 타 업로드 상품 또한 상위랭크화 될 여지가 생기게 되며 최저가(노마진)으로 판매되는 상품 또한 마진이 없다고 슬퍼할 일이 없다. 이유는 노마진의 상품으로 핫딜 또는 기획전에서 40~100건 이상의 판매기록을 세운 사례도 종종있었으며 판매로 인한 인기도상승은 곧 다른 상품에도 영향을 줄수 있는 여지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3개월 이내 300건의 발송, 800만원의 매출을 달성하기 용이해지기 때문에 파워샵을 달 수 있는 확률이 올라간다.
100건의 상품부터는 큰 문제가 없다면 타 플랫폼도 함께 준비를 해야 한다. 이유는 웹상의 수집을 유발시켜 매출의 빈도를 올려볼수있는 여지가 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에이블리, 지그재그, 브랜디 등에 입점하도록 사업자를 유도해야 한다. 도매의류사이트 사진의 경우 입점제한이 되기에 위탁판매의 경우는 최소 2배의 업로드를 강행해야한다. 이유는 도매의류사이트 사진은 현재 웹상에 가장 많이 수집되고 가장 많이 나돌고 있기 때문에 적은 업로드는 살아남을 수 없다. 2개월 가량 되었을때 이루어져있어야 할 사항으로는 지속적으로 진행된 이벤트성 광고(핫딜) 및 기획전의 꾸준한 진행과 외부유입의 그래프가 최초 시작 대비 15%이상 상승하여야 한다.
2개월간 업로드를 꾸준히 하였다면 최소 180건~250건 사이의 상품이 진열중일 것이며 이때 컨설턴트는 판매자센터 확인을 통해 상품리포트를 확인한다. 0.5 이상의 클릭율을 확인하여야 하고 클릭율이 0.5 이하 또는 0.3 이하일 경우 사태의 심각성을 사업자측으로 알리게된다. 통상적으로는 썸네일이나 가격을 고치지않고 그대로 계속 하는 경우였거나 핫딜, 기획전에 소홀함이 있었을수도 있고 또는 최악의 경우로 피팅모델의 문제점이 될 수도 있다. 이 부분은 컨설턴트가 사업자측과 긴밀한 소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하며 소통에도 사업자측에서 변화가 없는경우라면 그 이상 소통에 의미를 둘 수 없고 유입은 늘어날 수 없다. 업로드 200~300건 사이가 스토어에 등록이 되어 있다면 기본적으로 100~150만원 사이의 매출은 발생을 하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하루 1건 및 주말 2~4건 판매를 기본으로 한다.
여기까지가 최초 등록후 2~3개월차에 일어나는 선행사례이며 도 3e와 같이 구독자는 최초 등록후 1 개월 이내에는 되도록 접수를 진행하여 4~7주가량의 시간동안 매일 모집되는 인원으로 버프를 받고 매 익월 초 마다 품질반영을 받으며 진행이 되어야 한다. 또한 도 3f 및 도 3g와 같이 중간중간에 일어나는 CS(Customer Service) 패널티는 최소화 하여야 하며 사업주는 패널티 부분 및 품질 저하 요소가 있었던 경우에 반드시 컨설턴트에게 전달하여야 한다. 정리하면, ① 도매의류는 최대한 많은 업로드와 거래처 추가 확보가 중요한데, ② 거래처에서 주는 카피는 넣지 않고 반드시 다른 판매자와 겹치지 않는 문장이나 키워드를 발굴해야 한다. ③ 피팅의류는 일평균 5 건을 최소 반영하고, 핫딜, 기획전은 반드시 주 단위 참여하며, ④ 상품리포트 클릭율은 반드시 0.5이상 유지하도록 공격적인 썸네일과 노출가격을 체크하도록 한다. ⑤ 외부유입을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고 ⑥ 3개월 이후 상술한 프로세스 반복과 변화된 품질에 따라 추가적인 컨설팅을 유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후 4개월~5개월 차가 되었을때 품절리스트를 제외한 전시상품은 교육대로 이행한 경우 500건 이상의 전시가 이루어진다. 이때 판매자센터를 확인해보게 되면 네이버쇼핑 및 외부유입의 빈도를 확인할수 있게 되는데 외부유입이 최소 15%이상 자리를 잡아줘야 할 것이고 주력으로 판매되는 유입은 네이버쇼핑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절대 외부유입이 네이버쇼핑 유입보다 높아서는 안되고 그런 경우 반드시 상품리포트를 확인해야 한다. 통상적인 선행사례로 500건~650건의 등록기준으로 최소 월 평균 120건~150건의 판매건수가 발생되며 평단가 3만원을 기준으로 360~450만원의 매출이 발생하며 최소 매출을 제외하고도 500만원대 이상의 매출이 발생하게된다
이후 CS 대처방법을 반드시 추가 추설팅 받고, 미끼상품과 판매상품의 합 평균단가를 3만원 아래로 맞춰줘야 하며 모든상품에 마진을 남길 생각은 당분간 버려야 한다. 사계절중 여름은 평단가가 낮은 대신 판매건수가 늘어나므로 함께 판매할 수 있는 옵션설정 및 이벤트를 걸어 추가구매유도를 하고 판매 평단가를 3만원대로 맞춘다. 판매나 소비자 유입, 즉 클릭이 많이 일어나는 상품을 등록해야 하는데, ① 상품에 "옵션"이 많을수록 판매율이 증가하고, ② 상품에 상품찜(상품스크랩)이 많을수록 판매율이 증가하며, ③ 상품URL이 여러 플랫폼에 링크될수록 판매율이 증가하고, ④ 상품 썸네일(대표사진)이 클릭유발성 사진일수록 판매율 증가하며, ⑤ 상품 제목 및 상세페이지에 데이터랩 인기키워드가 수집될수록 판매율이 증가한다. 반대로 판매나 소비자 유입, 즉 클릭이 어려운 상품은, ① 상품에 옵션이 없는 단일 상품이거나, ② 상품에 적은 텍스트 또는 적은 사진이 등록되었거나, ③ 상품 대표사진에 중국어가 기입되거나 마네킹이 모델인 단일 사진, ④ 소비자들에게 공감되기 어려운 모델의 피팅, 예를 들어, 피팅모델은 소비자 선망의 대상이므로 이에 걸맞는 피팅이 중요한데 그렇지 않은 경우 등이다. 물론, 시즌에 맞거나 이슈성 예를 들어 키가 작은 사람들을 위한 쇼핑몰이거나, 키가 큰 사람들을 위한 쇼핑몰 또는 빅사이즈 등을 제외하고는 소비자의 선망의 대상이 될 수 있는 피팅 모델이 중요하다.
상술한 컨설팅 내용을 지키며 지속적인 업로드를 진행하면 반드시 매출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어느 정도, 예를 들어, 구독자 1~3천명, 1일 방문 150~500명, 클릭율 0.7이상과 같이 자리가 잡힌 후에는 타 플랫폼에 진입을 하며 타 플랫폼의 경우 에이블리, 지그재그, 브랜디, 오픈마켓 3사, 소셜 등 최소 5개의 플랫폼에 진입을 하여 온라인 전체매출을 상승시키고 타 플랫폼의 경우 스마트스토어의 등록방식처럼 어렵게 등록이 되지 않기 땜누에, 스마트스토어 판매상품을 빠르게 업로드하며 발전해 나갈 수 있다. 이후 스마트스토어 외 타 플랫폼의 매출증대를 확인한다. 또한 새싹등급 달성 후 빠른 라이브쇼핑을 통해 추가적 큰 매출을 발생시킬수 있기 때문에 매출 성장 가능성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 외에도 도 4l 내지 도 4q를 관리할 수 있도록 컨설팅하게 되고 이를 지켰는지에 대한 결과는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상품리포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업자 단말로부터 컨설팅 요청이 수신되면 컨설팅 단말로 컨설턴트 업무를 분배하고(S5100), 사업자 단말에서 스마트스토어의 상호명을 지정할 때 판매할 상품의 키워드를 조합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며(S5200), 사업자 단말에서 상품을 스마트스토어에 업로드할 때 키워드에 상품명, 카테고리, 브랜드, 제조사, 속성 및 태그가 포함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S5300).
그리고,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품을 스마트스토어에 업로드할 때 상품의 제목(Title) 내 메인키워드(MainKeyword), 메인키워드가 포함되는 중분류 카테고리 키워드 및 메인키워드가 포함되는 소분류의 카테고리 키워드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하고(S5400), 상품의 대표사진 및 상세페이지의 상세사진이 스마트스토어의 가이드라인에 따른 사이즈 규격에 맞는 사진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S5500).
또,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업자 단말에서 업로드하는 상품의 수가 기 설정된 업로드 수를 만족하는지를 체크한다(S5600).
상술한 단계들(S5100~S56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6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을 신청하기 위해 결제를 수행하고, 컨설턴트가 지정되는 사업자 단말;
    상기 사업자 단말의 컨설턴트로 지정되면, 상기 스마트스토어의 상호명, 상기 스마트스토어에 업로드되는 상품의 수, 상기 상품의 키워드 및 상품의 이미지가 기 설정된 조건에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컨설팅 단말; 및
    상기 사업자 단말로부터 컨설팅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컨설팅 단말로 컨설턴트 업무를 분배하는 할당부, 상기 사업자 단말에서 스마트스토어의 상호명을 지정할 때 판매할 상품의 키워드를 조합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상호체크부, 상기 사업자 단말에서 상기 상품을 상기 스마트스토어에 업로드할 때 키워드에 상품명, 카테고리, 브랜드, 제조사, 속성 및 태그가 포함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검색품질체크부, 상기 상품을 상기 스마트스토어에 업로드할 때 상기 상품의 제목(Title) 내 메인키워드(MainKeyword), 상기 메인키워드가 포함되는 중분류 카테고리 키워드 및 상기 메인키워드가 포함되는 소분류의 카테고리 키워드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하는 제목체크부, 상기 상품의 대표사진 및 상세페이지의 상세사진이 상기 스마트스토어의 가이드라인에 따른 사이즈 규격에 맞는 사진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사진체크부, 상기 사업자 단말에서 업로드하는 상품의 수가 기 설정된 업로드 수를 만족하는지를 체크하는 업로드체크부를 포함하는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제목은,
    상기 상품의 상태 또는 성질을 나타내는 품사인 형용사; 및
    실시간 이슈 또는 시즌 연관 키워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상세페이지 내 텍스트에 상기 상품의 키워드, 상기 메인키워드(MainKeyword), 상기 메인키워드가 포함되는 중분류 카테고리 키워드 및 상기 메인키워드가 포함되는 소분류의 카테고리 키워드가 기 설정된 문단 간격을 두고 기 설정된 횟수만큼 기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상세페이지 내 메타태그(MetaTag)에 상기 상품의 키워드, 상기 메인키워드(MainKeyword), 상기 메인키워드가 포함되는 중분류 카테고리 키워드 및 상기 메인키워드가 포함되는 소분류의 카테고리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텍스트체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상품의 상태 또는 성질을 나타내는 품사인 형용사를 형용사 사전을 구축하여 제공하고, 웹크롤러를 통하여 수집된 실시간 이슈 또는 시즌 연관 키워드를 모아놓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스마트스토어에서 제공하는 상품별 리포트를 상기 사업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받고, 상기 상품별 리포트 내 적어도 하나의 지표인 상품상세조회수, 결제금액, 결제상품수량 및 상세조회대비결제율의 각 수치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사업자 단말로 전송하는 지표체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10128433A 2021-09-29 2021-09-29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96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433A KR102396491B1 (ko) 2021-09-29 2021-09-29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433A KR102396491B1 (ko) 2021-09-29 2021-09-29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6491B1 true KR102396491B1 (ko) 2022-05-12

Family

ID=81590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433A KR102396491B1 (ko) 2021-09-29 2021-09-29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4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738B1 (ko) 2023-08-04 2024-03-12 주식회사 오디너리크파트너스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는 기업에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7764459A (zh) * 2024-02-22 2024-03-26 山邮数字科技(山东)有限公司 一种基于数据智能分析处理的企业管理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963B1 (ko) * 2007-04-12 2010-01-06 최원혁 지능형 멀티미디어 게이트웨이 서비스 클라이언트 서버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108019A (ja) * 2008-10-28 2010-05-13 Nec System Technologies Ltd タイトル生成装置、それを用いたインターネットオークションシステム、タイトル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08129A (ko) * 2011-07-11 2013-01-22 김병국 온라인상에서의 상품형태 정보 제공방법
KR20200109704A (ko) * 2019-03-14 2020-09-23 정현영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963B1 (ko) * 2007-04-12 2010-01-06 최원혁 지능형 멀티미디어 게이트웨이 서비스 클라이언트 서버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108019A (ja) * 2008-10-28 2010-05-13 Nec System Technologies Ltd タイトル生成装置、それを用いたインターネットオークションシステム、タイトル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08129A (ko) * 2011-07-11 2013-01-22 김병국 온라인상에서의 상품형태 정보 제공방법
KR20200109704A (ko) * 2019-03-14 2020-09-23 정현영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738B1 (ko) 2023-08-04 2024-03-12 주식회사 오디너리크파트너스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는 기업에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7764459A (zh) * 2024-02-22 2024-03-26 山邮数字科技(山东)有限公司 一种基于数据智能分析处理的企业管理系统及方法
CN117764459B (zh) * 2024-02-22 2024-04-26 山邮数字科技(山东)有限公司 一种基于数据智能分析处理的企业管理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52570A1 (en) Website builder with integrated search engine optimization support
US20210056257A1 (en) Obtaining data from incomplete electronic forms
Rahman et al. Consumer buying behavior towards online shopping: An empirical study on Dhaka city, Bangladesh
Pigatto et al. Have you chosen your request? Analysis of online food delivery companies in Brazil
KR20180136398A (ko) 전자상거래 업무 통합 자동화 시스템
KR102396491B1 (ko)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020049792A1 (en) Conceptual content delivery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2225729B1 (ko) 복수 온라인 쇼핑몰 상품 등록을 위한 상품정보 가공 장치 및 방법
DE112012003376T5 (de) Seitenberichterstattung
KR102044555B1 (ko)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광고방법
CN102360386A (zh) 电子商务网站智能导购系统和方法
JP2009265833A (ja) 広告システム及び広告方法
Ji et al. Selection of best keywords: A poisson regression model
KR100758024B1 (ko) 웹 사이트에서 중개를 통한 수익배분시스템 및 방법
KR102238438B1 (ko) 규격화된 광고상품을 이용한 광고상품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98535B1 (ko)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KR20200097544A (ko) 리셀러들을 위한 콘텐츠 큐레이션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KR102224782B1 (ko) 지역 콘텐츠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Tekin et al. Big data concept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how big data effects productivity
KR102098537B1 (ko)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광고방법
Zoltán The relationship between SEO and artificial intelligence
KR20210096936A (ko) 검색 키워드를 이용한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474654B1 (ko) 교차검증을 이용한 쇼핑몰 실시간 가격비교 서비스 제공 시스템
Niu et al. New technology research and practices in digital publishing in China
Mittal IMPORTANCE OF WEBSITE OPTIMIZATION THROUGH SE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