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704A -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704A
KR20200109704A KR1020190029162A KR20190029162A KR20200109704A KR 20200109704 A KR20200109704 A KR 20200109704A KR 1020190029162 A KR1020190029162 A KR 1020190029162A KR 20190029162 A KR20190029162 A KR 20190029162A KR 20200109704 A KR20200109704 A KR 20200109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ulting
thesis
terminal
content
re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영
Original Assignee
정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영 filed Critical 정현영
Priority to KR1020190029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9704A/ko
Publication of KR20200109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이 시스템되며, 논문 및 컨설팅의 분야 및 종류, 전공분야, 및 과정을 포함하는 컨설팅 요청 이벤트를 출력하고, 컨설팅 요청 이벤트에 대응하는 컨설팅 콘텐츠 및 컨설팅 채널 연결을 피드백으로 수신하여 출력하는 피지도 단말, 피지도 단말에서 출력한 컨설팅 요청 이벤트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지도 단말의 피지도자를 할당받고, 피지도 단말과 컨설팅 채널로 연결되어 호(Call) 또는 메세지 수발신을 수행하는 컨설팅 단말, 및 피지도 단말로부터 출력된 컨설팅 요청 이벤트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컨설팅 요청 이벤트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피지도 단말의 피지도자를 컨설팅 단말과 매칭하여 할당하는 할당부, 피지도 단말과 컨설팅 단말 간의 컨설팅 채널을 생성하는 생성부, 피지도 단말에서 입력된 논문심사 스케줄에 대응하도록 제 1 컨설팅 콘텐츠 내지 제 5 컨설팅 콘텐츠를 시기별로 배분하여 피지도 단말로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RESEARCH PAPER CONSULTING SERVICE WITH THESIS ADVIC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SIS DISSERTATION CALENDAR}
본 발명은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논문의 주제선정에서부터 편집방법 및 프리젠테이션에 이르기까지 각 과정별로 준비해야할 사항을 스케줄별로 콘텐츠 및 컨설팅으로 제공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논문은 어떤 주제에 대해 알게 된 새로운 사실이나, 연구 결과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더하고 이것을 일정한 양식과 체제에 따라 논리적으로 증명해 내야 하는 글이다. 즉, 논문이란 어떤 주제에 관하여 조사 연구한 결과로 얻어진 여러 가지 사실과 이러한 사실에 대한 연구 자신의 비판이나 평가를 종합한 것을 일정한 양식에 따라 방증을 갖추고 적절한 체제에 맞추어 기술한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글이며, 연구 과정을 거쳐 도출된 결과를 일정하게 약정된 양식과 체계에 따라 기술한 글이다. 따라서, 논문의 집필자는 연구의 방법과 절차, 그리고 논문 작성에 관한 기술적 요령을 체득해야 하며, 특히 학위 논문들은 다른 종류의 연구 논문들과 비교하여 양은 제외하더라도 목적, 독자층, 그리고 입증하고 보여주기 위해 필요한 기술과 지식 종류, 지켜야 하는 요구사항들이 매우 다르다.
이때, 학생의 수가 늘어나고 연구 및 수업 등의 업무가 과중한 교수의 논문지도가 부실해지는 상황에서 논문을 인터넷을 통하여 지도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02-0006884호(2002년01월26일 공개)에는, 인터넷상에서 실시간으로 논문연구를 원격으로 지도하고 지도받을 수 있도록, 인터넷상에서 원거리에 떨어져 있는 지도교수와 학생이 실시간 인터넷 동화상 및 컨퍼런싱을 이용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논문의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논문작성에 필요한 논문 메뉴스크립트, 연구방법, 전공지식, 자료검색, 논문 게재방법, 지도내용 히스토리 등 논문지도에 관한 종합적인정보를 메인 서버에 저장하고 웹의 스토리보드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고, 각 개인의 논문 연구에 관한 모든 데이터베이스는 물론이고 지도받은 내용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방법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여전히 일대일로 교수가 지도를 해야하며, 피지도자에 따라 달라지는 연구주제를 함께 고민하여 선정하고 연구를 진행해나가면서 콘텐츠를 설정하는 내용(무형) 지도 뿐만 아니라, 논문의 포맷에 맞도록 문서편집툴이나 통계툴을 이용하는 형식(유형) 지도까지 수행해야 하는데, 실질적으로 수업 뿐만 아니라 연구까지 진행해야 하는 교수의 업무시간에서 대학원생에게 상술한 내용과 형식 지도를 할 시간은 사실상 전무하다. 이에 따라, 지도교수의 피드백이 오탈자를 교정하는 수준에 불과하다며 불만을 제기하는 학생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논문의 준비와 연구계획서 및 논문의 기본구성과 형식을 논문심사의 스케줄에 맞도록 콘텐츠 및 컨설팅을 제공하고, 논문의 기본 형식을 익히고 난 후에는 전공 분야의 특수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각자 자신의 논문 주제에 맞는 선행연구들을 찾아 형식 체계를 분석하도록 하고, 기본적인 논문의 형식과 체계를 이해시키며, 연구 주제를 선정하는 것에서부터 연구방법과 분석방법을 도출하고 선정하며 연구결과를 표현하고 형식을 정리하는 것 뿐만 아니라, 논문심사 프리젠테이션을 준비하는 과정까지 2D, 3D 및 가상 콘텐츠를 이용함으로써 논문 피심사자의 심리적 안정까지 완벽히 대비가능하도록 하는,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논문 및 컨설팅의 분야 및 종류, 전공분야, 및 과정을 포함하는 컨설팅 요청 이벤트를 출력하고, 컨설팅 요청 이벤트에 대응하는 컨설팅 콘텐츠 및 컨설팅 채널 연결을 피드백으로 수신하여 출력하는 피지도 단말, 피지도 단말에서 출력한 컨설팅 요청 이벤트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지도 단말의 피지도자를 할당받고, 피지도 단말과 컨설팅 채널로 연결되어 호(Call) 또는 메세지 수발신을 수행하는 컨설팅 단말, 및 피지도 단말로부터 출력된 컨설팅 요청 이벤트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컨설팅 요청 이벤트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피지도 단말의 피지도자를 컨설팅 단말과 매칭하여 할당하는 할당부, 피지도 단말과 컨설팅 단말 간의 컨설팅 채널을 생성하는 생성부, 피지도 단말에서 입력된 논문심사 스케줄에 대응하도록 제 1 컨설팅 콘텐츠 내지 제 5 컨설팅 콘텐츠를 시기별로 배분하여 피지도 단말로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논문의 준비와 연구계획서 및 논문의 기본구성과 형식을 논문심사의 스케줄에 맞도록 콘텐츠 및 컨설팅을 제공하고, 논문의 기본 형식을 익히고 난 후에는 전공 분야의 특수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각자 자신의 논문 주제에 맞는 선행연구들을 찾아 형식 체계를 분석하도록 하고, 기본적인 논문의 형식과 체계를 이해시키며, 연구 주제를 선정하는 것에서부터 연구방법과 분석방법을 도출하고 선정하며 연구결과를 표현하고 형식을 정리하는 것 뿐만 아니라, 논문심사 프리젠테이션을 준비하는 과정까지 2D, 3D 및 가상 콘텐츠를 이용함으로써 논문 피심사자의 심리적 안정까지 완벽히 대비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피지도 단말(100),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피지도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피지도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단말(400)과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피지도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고,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피지도 단말(100)과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피지도 단말(100)은,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논문의 연구주제를 선정하는 것에서부터 심사를 준비하는 과정까지를 컨설팅받는 피지도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피지도자는 학생일 수 있으나, 직장인 또는 일반인 등을 포함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피지도 단말(100)은, 논문 및 컨설팅의 분야 및 종류, 전공분야, 및 과정을 등록하여 컨설팅 요청 이벤트를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피지도 단말(100)은, 자신의 전공분야, 연구주제, 학교, 과정 등에 적합한 컨설턴트가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배정되는 경우,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직접 또는 간접으로 배정된 컨설팅 단말(400)과 연결채널을 형성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피지도 단말(100)은, 피지도 단말(100)에서 업로드한 연구계획서 또는 논문심사스케줄 등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콘텐츠를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피지도 단말(100)은, 대면심사 또는 프리젠테이션 이전에 예상질문을 VR 또는 AR 콘텐츠로 출력하고, 이때 HMD(Head Mounted Display)와 연동하여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고, 피지도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질문에 대한 답변을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여 답변에 대한 평가를 피드백받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피지도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단말(400)과 호 또는 데이터 채널로 연결되고 원격에서 일대일 컨설팅 내용을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피지도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피지도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피지도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피지도 단말(100)로부터 논문 컨설팅 요청을 수신하는 서버일 수 있고, 피지도 단말(100)에게 컨설팅을 제공해줄 컨설턴트를 검색하고 배정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단말(400)로부터 전공분야, 학위 등 이력사항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피지도 단말(100)에서 입력한 스케줄에 대응하도록 각 단계별로 컨설팅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피지도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단계별로 컨설팅이 요구되는 단계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단말(400)로 피지도자의 정보와 단계를 전송하여 컨설턴트와 피지도자 간의 호 또는 데이터 송수신 채널에서 피지도자가 컨설팅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단계별 컨설팅 콘텐츠 중 대면심사를 위한 VR 또는 AR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적어도 하나의 피지도 단말(100)에서 대면심사를 위한 컨설팅 콘텐츠를 출력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피지도 단말(100)에서 수집된 답변을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답변이 기 저장된 나쁜 답변의 예와 일치하는 경우 또는 기 저장된 답변과 유사도가 떨어지는 경우에는 이를 체크하여 컨설팅 단말(400)로 전송하고 피드백을 피지도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예상 질문을 빅데이터로 수집하여 각 분야별, 전공별, 과정별로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예상 질문을 VR 콘텐츠 내의 심사위원이 수행하도록 콘텐츠를 형성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또한,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학교, 학회, 심사위원 등 별로 주요 관심사 또는 주요 질문 등에 대한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피지도자에게 논문의 방향과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여기서,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단말(400)은,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컨설턴트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단말(400)은,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피지도 단말(100)이 배정되는 경우,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전송된 스케줄별 콘텐츠 및 컨설팅 내용을 수신하고, 기 설정된 주기별 또는 시기마다 적어도 하나의 피지도 단말(100)로 컨설팅 내용을 전달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단말(400)은 배정된 피지도자가 복수인 경우, 서로 다른 스케줄 및 일정을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고, 각 시기마다 어떠한 내용의 콘텐츠와 컨설팅이 진행되어야 하는지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미도시)은,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단말(400)에서 컨설턴트 등록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각 학위나 이력 등을 검증하여 사이트에 업로드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피지도 단말(100)의 컨설팅 요청으로 컨설팅 단말(400)의 배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피지도자의 과정, 이력, 전공분야와 컨설턴트의 전공분야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한번 더 검수하는 단말일 수도 있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6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6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6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부(310), 할당부(320), 생성부(330), 콘텐츠 제공부(340), 등록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피지도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단말(400), 및 관리자 단말로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피지도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단말(400), 및 관리자 단말은,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피지도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단말(400), 및 관리자 단말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신부(310)는, 피지도 단말(100)로부터 출력된 컨설팅 요청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피지도 단말(100)은, 논문 및 컨설팅의 분야 및 종류, 전공분야, 및 과정을 포함하는 컨설팅 요청 이벤트를 수신부(31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입력값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입력값이 입력될 수 있으며, 변형 및 변경 뿐만 아니라 수정, 삭제 및 부가 등도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할당부(320)는, 수신된 컨설팅 요청 이벤트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피지도 단말(100)의 피지도자를 컨설팅 단말(400)과 매칭하여 할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컨설팅 단말(400)은, 미리 컨설턴트의 전공분야, 학위, 이력, 컨설팅 분야, 이력 등이 등록 및 검증이 완료되어 있어야 한다. 이는, 관리자 단말에서 수동으로 검증을 수행할 수도 있고, 자동으로 제3신뢰기관(The 3rd Party)을 통하여 검증할 수도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이때, 매칭도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생성부(330)는, 피지도 단말(100)과 컨설팅 단말(400) 간의 컨설팅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호(Call), 또는 데이터 송수신을 포함하고, 데이터 송수신은, 메세지, 메신저, 화상통화, 이메일 등 다양할 수 있으나 상술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통하여, 피지도 단말(100)은 컨설팅 요청 이벤트에 대응하는 컨설팅 콘텐츠 및 컨설팅 채널 연결을 피드백으로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컨설팅 단말(400)은, 피지도 단말(100)에서 출력한 컨설팅 요청 이벤트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지도 단말(100)의 피지도자를 할당받고, 피지도 단말(100)과 컨설팅 채널로 연결되어 호(Call) 또는 메세지 수발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콘텐츠 제공부(340)는, 피지도 단말(100)에서 입력된 논문심사 스케줄에 대응하도록 제 1 컨설팅 콘텐츠 내지 제 5 컨설팅 콘텐츠를 시기별로 배분하여 피지도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 1 컨설팅 콘텐츠는, 문서편집기 프로그램 내에서 변경추적기능 설명을 포함한 논문검토방식 콘텐츠, 학술검색에서 키워드를 이용한 국내외 논문 검색하는 방법을 포함한 참고문헌 찾기 콘텐츠, 및 참고문헌 인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참고문헌 인용법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컨설팅 콘텐츠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한 연구주제 도출을 통하여 연구주제를 선정하는 방법 콘텐츠, 실험연구, 조사연구, 문헌고찰연구, 질적연구, 및 양적연구를 포함한 연구 방법론을 선정하는 연구방법을 도출하는 방법 콘텐츠, 및 도출된 연구 방법론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분석방법 및 통계기법을 선정하는 분석방법을 선정하는 방법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컨설팅 콘텐츠는, 연구목적에 대응하도록 논지가 있는 글쓰기 방법을 포함하는 서론 작성법 콘텐츠, 이론적 배경의 목차 설정 및 참고문헌 정리를 포함하는 이론적 배경 작성법 콘텐츠, 및 문헌조사, 설문조사, 실험수행, 및 통계처리를 포함하는 방법론에 대응하는 연구수행에 대한 검토를 포함하는 연구수행과정 검토방법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 컨설팅 콘텐츠는, 분석방법 및 통계방법에 따른 결과작성방법인 연구결과 작성법 콘텐츠, 논문양식에 맞는 표 및 그래프를 작성하는 방법인 연구결과 표와 그래프 표현법 콘텐츠, 분석결과해석 및 선행연구를 고찰하는 고찰작성법 콘텐츠, 연구결과에 대한 해석 및 결론을 도출하는 결론작성법 콘텐츠, 및 문서편집기 프로그램을 이용한 논문형식정리법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제공부(340)는, 논문형식정리법을 제공할 때 피지도 단말(100)로 논문형식정리 의뢰 여부를 선택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피지도 단말(100)의 선택값을 리턴받을 수 있다. 이때, 논문형식정리 의뢰가 체크된 경우에는, 콘텐츠 제공부(340)는, 논문형식정리를 수행할 단말(미도시)을 검색하고 해당 단말로 논문형식정리를 기 설정된 기한 내에 처리하도록 외주를 발주한다.
제 5 컨설팅 콘텐츠는 VR 또는 AR 콘텐츠일 수 있다. 이때, 기 저장된 예상질문 또는 컨설팅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예상질문을 적어도 하나의 심사위원이 질문하는 논문심사준비 콘텐츠, 심리적 안정을 위한 조언을 제공하는 2차심사준비 콘텐츠, 및 논문 최종 수정 및 영문화 방법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제공부(340)는, 논문 최종 수정 및 영문화 방법 콘텐츠 내에 초록 또는 논문 전문의 영문화 의뢰 여부를 결정하는 인터페이스를 피지도 단말(100)로 전송하고, 피지도 단말(100)의 선택값을 리턴받을 수 있다. 이때, 영문화 의뢰가 체크된 경우에는, 콘텐츠 제공부(340)는, 초록 또는 논문 전문의 영문화를 수행할 단말(미도시)을 검색하고 해당 단말로 초록 또는 논문 전문의 영문화를 기 설정된 기한 내에 처리하도록 외주를 발주한다.
이때, 제 5 컨설팅 콘텐츠는, HMD를 통하여 진행이 될 수 있다. 이때, HMD는, 데이터 장갑, 데이터 옷 등의 특수 장비를 통해 인간으로 하여금 실제로 보고 만지는 것 같은 감각적 효과를 느끼게 해 생생한 환경에 몰입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는, 컴퓨터가 만들어 내는 3차원 공간에서 사용자가 기본적으로 필요한 장비를 장착한 후에 직접 몰입되어 들어가는 방식이다. 여기서, 제 5 컨설팅 콘텐츠가 제공된 후, 즉 심사위원이 질문을 하고 자신이 대답을 한 것을 제3인칭의 시점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를 더 제공할 수 있다. 3인칭 가상현실은 비디오카메라로 촬영된 자신의 모습을 컴퓨터가 만들어 내는 가상공간에 나타나게 하여 자신이 가상공간에 직접 존재하는 것처럼 느끼게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HMD와는 다르게 본인이 직접 몸을 움직이거나 대응하는 방식이 아니라, 자신이 한 행동을 3인칭 시점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보면서, 피지도자는 컨설턴트에게 듣는 조언 뿐만 아니라, 자신이 자신을 스스로 돌아볼 수 있어서, 더 나은 답변과 태도를 준비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내의 심사위원은 인공지능 채팅 에이전트(챗봇)에 기반하여 실시간 인터렉션이 가능하도록 한다. 만약, 피지도자가 응답이 왔을 경우 상대방인 심사위원이 아무런 반응이 없거나 질문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피지도자는 가상임을 인지하고 피지도자로부터 실전과 같은 반응이 나오기가 어렵고 연습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AR 또는 VR 내에 포함된 객체인 심사위원을 인공지능 챗봇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인공지능에 캐릭터를 부여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A 교수님은 짧고 간명한 답변을 선호하고 호탕한 성격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심사위원 챗봇이 말이 적고 조용한 성격이며 장황한 답변을 좋아한다고 가정하면 제대로 된 심사연습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인공지능 챗봇에 각 심사위원 또는 지도교수의 캐릭터를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인공지능 캐릭터는, 사전에 정의된 방대한 양의 의사결정트리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행동하게 된다. 여기서, 맥락은 상황을 특정 짓기 위해 사용된 모든 정보이며, 맥락 인지는 근처의 사람과 사물들, 사용되는 장소 뿐만 아니라 시간에 따른 대상들의 변화에 따라 채택되어진다. 또한 인지심리학의 행동모델에 따르면 세상을 이해하고 지각하는 것은 주관적인 인식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다시 말해 행동모델에 따른 맥락 인지는 사람, 사물, 장소뿐만 아니라 시간에 따른 대상들의 변화마저도 주관적인 관점에 따른 선택을 통해 진행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기반 대화형 인공지능이란 연속대화 수행을 통해 대화의 상황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관적인 의견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대화형 인공지능으로 정의한다.
이때, 기계학습을 이용한 대화형 인공지능과 같이 입력문장에 대한 답변문장을 학습시키거나, Generative Hierachical Neural Network Models을 통해 위의 방식에 대화 직전 한 문장까지 학습 데이터로 추가시킴으로써 연속대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캐릭터 기반 대화형 인공지능을 위해 다중 에이전트를 도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식, 의사결정, 계획/행동 등으로 나누고, 각 에이전트는 다시 지식 베이스와 추론 엔진으로 세분화된다. 따라서 복수의 에이전트로 구성된 플랫폼에서는, 상대방의 대화를 읽어내고, 파악하며, 자신의 감정 상태를 고려한 전반적인 대화 상황을 인지하고, 대응 전략을 구상하고, 실행 계획을 수립하여 실행하는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때, 대상 언어 분석 에이전트는 상대방으로부터 전달받은 문장을 통해 대상이 전하고자하는 의미와 대상의 감정을 분석하는 에이전트이다. 이 에이전트에서는 의사 결정 에이전트의 피드백과 상대방의 발언으로부터 단편 분석과 심층 분석을 통하여 상대방이 전하고자하는 의미와 감정을 파악하여 이를 대화 상황 판단 에이전트에 전달한다. 단편 분석은 현재 상대방으로부터 전달받은 문장을 통해 의미적·감정적인 분석을 의미한다. 심층 분석은 상황인지 에이전트로부터 받은 피드백을 통해 업데이트 받은 상대의 의도와 감정을 누적시킴으로써 상대의 실제 의도와 감정을 유추하기 위한 분석 모듈이다. 심층 분석은 대화의 초기에는 단편 분석의 값만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대상에 대한 선입견이 반영되며 이는 대화가 진행됨에 따라 실제 대상의 의도와 감정에 맞게 업데이트된다.
자기감정 파악 에이전트는 상대방으로부터 전달받은 문장을 통해 인공지능 스스로의 감정의 변화를 모델링하기 위한 에이전트이다. 이 에이전트 또한 대상 언어 분석 에이전트와 마찬가지로 단편 분석과 심층 분석을 통해 상대방의 발언으로 부터 인공지능 스스로의 감정을 파악하여 이를 대화 상황 판단 에이전트에 전달한다. 단편적 반응을 통한 모델링은 상대방의 일정 수준이상의 강한 반응을 통해 일어나는 순간적인 감정적 변화이다. 이는 강한 자극으로 인한 갑작스런 감정의 변화 혹은 순간적인 감정의 표출에 영향을 미친다. 심층적 반응을 통한 모델링은 상대방과의 대화가 진행되어가는 상황으로부터 발생하여 누적되는 감정적 변화를 모델링한다.
대화 상황 판단 에이전트는 대상 언어 분석 에이전트와 자기감정 파악 에이전트로부터 전달받은 의미와 감정 상태, 의사결정 에이전트의 피드백 통해 대화의 상황을 파악하며 이를 의사결정 에이전트에 전달한다. 또한 대상 언어 분석 에이전트와 자기감정 파악 에이전트에 파악된 상황에 대하여 피드백을 해주어 각각의 심층 분석 모듈의 업데이트를 위해 제공한다.
의사 결정 에이전트는 대화 상황 판단 에이전트를 통해 파악한 상황에 인공지능의 발화 목적을 포함하여 다음 발언의 의도를 결정하는 에이전트이다. 의사 결정 에이전트는 대상 언어 분석 에이전트 및 대화 상황 판단 에이전트의 추론 엔진에 피드백을 주어 주어진 상황에 대해 주관적인 해석을 이루도록 한다. 인공지능 스스로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대상 언어 분석 에이전트와 자기감정 파악 에이전트를 통해 만들어진 감정 모델을 통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의사를 결정한다.
응답 생성 에이전트는 의사 결정 에이전트를 통해 결정된 다음 발언의 의도를 문장의 수준으로 생성해주는 에이전트이다. 문장 표현 에이전트는 응답 생성 에이전트의 결과 문장을 문법과 특정 어투(사투리)에 맞도록 변형해주는 에이전트이다. 따라서, 인터렉션이 가능하도록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기반으로 컨설팅 콘텐츠를 구성하고, 피지도자를 지도해줄 수 있도록 하고, 궁극적으로 피지도자가 논문을 완성하고 프리젠테이션까지 완벽하게 대비 및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등록부(350)는, 컨설팅 단말(400)로부터 컨설턴트 등록을 수신하고, 컨설턴트의 검증이 완료된 경우 컨설턴트의 컨설팅 단말(400)과, 논문 및 컨설팅의 분야 및 종류, 전공분야, 및 과정을 대표하는 키워드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이후 컨설팅 요청자(피지도자)의 요청이 입력될지라도 자동으로 매칭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국어의 특성상 띄어쓰기나 유의어 등에 따라 동일한 단어이지만 다르게 인식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한글단어뭉치를 이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동음이의어가 같게 처리되는 현상 또는 그 반대의 현상까지 없앨 수 있도록 하고, 자동 매칭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고, 각 교수, 학위, 학회지, 과정 등에 따른 대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우선,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정형화 정도에 따라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반정형(semi-structured) 데이터, 비정형 (unstructured) 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다.
정형 데이터는 종류와 형식이 정해져 있는 규격을 갖는 데이터로, 정형 데이터는, 고정된 필드에 정해진 형식(수치, 날짜 등)의 값으로 기입하거나 항목으로 선택하는 유형의 데이터와, 각종 자료들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한다. 반정형 데이터는 대부분 텍스트 형태로 필드가 고정되어 있지는 않지만, 자료의 특성에 따라 텍스트 내에 포함되는 내용을 정의할 수 있는 데이터 부류이다. 비정형 데이터는 형태가 불규칙하여 정의하기 어려운 항목들로서, 일반적으로 텍스트와 이미지 등이 해당한다. 이와 같은 비정형 데이터도, 키워드, 태그 또는 메타 데이터로 학습되어 분류 및 패턴화되고, 이후 새로운 비정형 데이터의 분류가 요구되었을 때, 데이터를 레코드 형식으로 가공하고 연관 데이터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집된 정형, 반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를 포함하는 로우 데이터(Raw Data)를 병렬 및 분산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분석된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마이닝은, 전처리된 데이터 간의 내재된 관계를 탐색하여 클래스가 알려진 훈련 데이터 셋을 학습시켜 새로운 데이터의 클래스를 예측하는 분류(Classification) 또는 클래스 정보 없이 유사성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짓는 군집화(Clustering)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마이닝 방법이 존재할 수 있으며, 수집 및 저장되는 빅데이터의 종류나 이후에 요청될 질의(Query)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마이닝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축된 빅데이터는, 인공신경망 딥러닝이나 기계학습 등으로 검증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
이때, 인공 신경망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구조가 이용될 수 있는데, CNN은 컨볼루션 층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조로 이미지 처리에 적합하며,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이미지 내의 특징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분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은 비/반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자연어처리 기술에 기반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출, 가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이다.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통해 방대한 텍스트 뭉치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해 내고, 다른 정보와의 연계성을 파악하며, 텍스트가 가진 카테고리를 찾아내거나 단순한 정보 검색 그 이상의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또한, 클러스터 분석(Cluster Analysis)은, 비슷한 특성을 가진 객체를 합쳐가면서 최종적으로 유사 특성의 그룹을 발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컨설팅 단말(400)로부터 컨설턴트 등록을 수신하여 검증한 후 컨설턴트에 대한 정보를 업로드하고, 적어도 하나의 피지도 단말(100)로부터 컨설팅 요청이 온 경우 (b) 피지도자를 분석하여 컨설팅 단말(400)을 할당한다. (c) 그리고, 피지도자의 논문계획 및 스케줄에 맞게 각 단계의 컨설팅을 콘텐츠 및 컨설턴트를 통하여 진행하도록 하고, 이는 도 4에 개시된다. 이때, 마지막 단계인 제 5 컨설팅 콘텐츠에서는 VR 또는 AR로 진행하되, 각 심사위원은 캐릭터 기반 인공지능 에이전트로 설계함으로써 각 교수의 특징 또는 심사위원의 특징을 모사하여 피지도자와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논문 및 컨설팅의 분야 및 종류, 전공분야, 및 과정을 포함하는 컨설팅 요청 이벤트를 출력하고, 상기 컨설팅 요청 이벤트에 대응하는 컨설팅 콘텐츠 및 컨설팅 채널 연결을 피드백으로 수신하여 출력하는 피지도 단말;
    상기 피지도 단말에서 출력한 컨설팅 요청 이벤트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피지도 단말의 피지도자를 할당받고, 상기 피지도 단말과 상기 컨설팅 채널로 연결되어 호(Call) 또는 메세지 수발신을 수행하는 컨설팅 단말; 및
    상기 피지도 단말로부터 출력된 컨설팅 요청 이벤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컨설팅 요청 이벤트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피지도 단말의 피지도자를 컨설팅 단말과 매칭하여 할당하는 할당부, 상기 피지도 단말과 상기 컨설팅 단말 간의 컨설팅 채널을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피지도 단말에서 입력된 논문심사 스케줄에 대응하도록 제 1 컨설팅 콘텐츠 내지 제 5 컨설팅 콘텐츠를 시기별로 배분하여 상기 피지도 단말로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컨설팅 단말로부터 컨설턴트 등록을 수신하고, 상기 컨설턴트의 검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컨설턴트의 컨설팅 단말과, 논문 및 컨설팅의 분야 및 종류, 전공분야, 및 과정을 대표하는 키워드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등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설팅 콘텐츠는,
    문서편집기 프로그램 내에서 변경추적기능 설명을 포함한 논문검토방식 콘텐츠, 학술검색에서 키워드를 이용한 국내외 논문 검색하는 방법을 포함한 참고문헌 찾기 콘텐츠, 및 참고문헌 인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참고문헌 인용법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컨설팅 콘텐츠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한 연구주제 도출을 통하여 연구주제를 선정하는 방법 콘텐츠, 실험연구, 조사연구, 문헌고찰연구, 질적연구, 및 양적연구를 포함한 연구 방법론을 선정하는 연구방법을 도출하는 방법 콘텐츠, 및 상기 도출된 연구 방법론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분석방법 및 통계기법을 선정하는 분석방법을 선정하는 방법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컨설팅 콘텐츠는,
    연구목적에 대응하도록 논지가 있는 글쓰기 방법을 포함하는 서론 작성법 콘텐츠, 이론적 배경의 목차 설정 및 참고문헌 정리를 포함하는 이론적 배경 작성법 콘텐츠, 및 문헌조사, 설문조사, 실험수행, 및 통계처리를 포함하는 방법론에 대응하는 연구수행에 대한 검토를 포함하는 연구수행과정 검토방법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4 컨설팅 콘텐츠는,
    분석방법 및 통계방법에 따른 결과작성방법인 연구결과 작성법 콘텐츠, 논문양식에 맞는 표 및 그래프를 작성하는 방법인 연구결과 표와 그래프 표현법 콘텐츠, 분석결과해석 및 선행연구를 고찰하는 고찰작성법 콘텐츠, 연구결과에 대한 해석 및 결론을 도출하는 결론작성법 콘텐츠, 및 문서편집기 프로그램을 이용한 논문형식정리법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논문형식정리법을 제공할 때 상기 피지도 단말로 논문형식정리 의뢰 여부를 선택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기 피지도 단말의 선택값을 리턴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5 컨설팅 콘텐츠는 VR 또는 AR 콘텐츠이고,
    기 저장된 예상질문 또는 상기 컨설팅 단말로부터 수신된 예상질문을 적어도 하나의 심사위원이 질문하는 논문심사준비 콘텐츠, 심리적 안정을 위한 조언을 제공하는 2차심사준비 콘텐츠, 및 논문 최종 수정 및 영문화 방법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논문 최종 수정 및 영문화 방법 콘텐츠 내에 초록 또는 논문 전문의 영문화 의뢰 여부를 결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피지도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피지도 단말의 선택값을 리턴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90029162A 2019-03-14 2019-03-14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1097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162A KR20200109704A (ko) 2019-03-14 2019-03-14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162A KR20200109704A (ko) 2019-03-14 2019-03-14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704A true KR20200109704A (ko) 2020-09-23

Family

ID=72708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162A KR20200109704A (ko) 2019-03-14 2019-03-14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97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584B1 (ko) * 2021-04-25 2022-01-21 주식회사 큐링크 입시 컨설팅 자동 관리 시스템
KR102396491B1 (ko) * 2021-09-29 2022-05-12 남기준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584B1 (ko) * 2021-04-25 2022-01-21 주식회사 큐링크 입시 컨설팅 자동 관리 시스템
KR102396491B1 (ko) * 2021-09-29 2022-05-12 남기준 스마트스토어의 매출증대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9207B2 (en) Educational teaching system and method utilizing interactive avatars with learning manager and authoring manager functions
Neumann et al. Chatbots as a tool to scale mentoring processes: Individually supporting self-study in higher education
Arguedas et al. A model for providing emotion awareness and feedback using fuzzy logic in online learning
Hung et al. Towards a method for evaluating naturalness in conversational dialog systems
Nafea et al. Personalized students’ profile based on ontology and rule-based reasoning
Siiman et al.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AI-Assisted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ample from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Discourse Data
Ismail et al. Review of personalized language learning systems
Suresh et al. Career Counseling Chatbot on Facebook Messenger using AI
KR20200109704A (ko) 논문심사 스케줄별 논문지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논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Borysenko et al. Chat gpt features in data search
von Brackel-Schmidt et al. A User-centric Taxonomy for Conversational Generative Language Models
Pham Thi et al. Do people intend to use AI Voice Assistants? An empirical study in Vietnam
Roundtree From engineers' tweets: Text mining social media for perspectives on engineering communication
WO2022208953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仮想人材
Wu et al. A belief–desire–intention model for blog users’ negative emotional norm compliance: Decision-making in crises
Zaina et al. Adaptive learning in the educational e-LORS system: an approach based on preference categories
Yadav et al. An Empirical Study of Design Techniques of Chatbot, a Review
KR102166798B1 (ko) 자기경영을 위한 lvh의 단계별 컨설팅 및 멘토링을 제공하는 슈퍼자기경영 서비스 제공 방법
Younis et al.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Organisational Behavior: A Risky Tale between Myth and Reality for Sustaining Workforce
Ismail et al. A reusable software architecture for personalized learning systems
Calvo et al. Multiplatform Career Guidance System Using IBM Watson, Google Home and Telegram: A User Experience and Usability Evaluation
Heimerl et al. Generating personalized behavioral feedback for a virtual job interview training system through adversarial learning
Noskova et al. Educational interactions quality in e-learning environment
KR20200141863A (ko) 개인기록물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Maria et al. Chatbots as cognitive, educational, advisory & coaching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106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413

Effective date: 2021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