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555B1 -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광고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광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555B1
KR102044555B1 KR1020190045118A KR20190045118A KR102044555B1 KR 102044555 B1 KR102044555 B1 KR 102044555B1 KR 1020190045118 A KR1020190045118 A KR 1020190045118A KR 20190045118 A KR20190045118 A KR 20190045118A KR 102044555 B1 KR102044555 B1 KR 102044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user
server
advertis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인터랙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인터랙티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인터랙티브
Priority to KR1020190045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광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은,광고주의 사용자 방문 사이트를 구성하는 웹페이지 내에 사용자의 이용패턴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수집모듈과 방문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공통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 디바이스(1)를 통해 웹페이지를 방문하는 경우에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식별ID코드를 발급하고 사용자 디바이스(1)를 통해 접속되는 웹페이지 상의 방문 히스토리 정보, 상품정보, 구매 정보, 및 검색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광고주서버(10); 상기 광고주서버(10)를 통해 생성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집하여 사용자 선호도 및 연관 데이터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추출되는 상품정보 및 키워드정보를 사용자 정보와 연동하여 매핑테이블로 저장하고 상기 상품정보에 대응되는 다이나믹 배너이미지와 상기 키워드정보에 대응되는 해시키워드를 표시할 수 있는 멀티링크용 광고소재 템플릿을 구비하는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20); 및 상기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으로부터 송출되는 멀티링크용 광고소재 템플릿을 표시하기 위한 광고영역을 구비하여 광고가 노출되는 사용자 방문 사이트를 제공하며, 재방문여부 및 상기 광고주서버의 웹페이지 방문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공통모듈을 상기 광고대상 사용자 방문 사이트의 웹페이지 내에 구비하는 광고매체 서버(30);를 구비하고, 사용자 디바이스(1)가 상기 광고매체 서버(30)에서 제공하는 광고노출 사용자 방문사이트를 방문한 경우 상기 광고매체 서버(30)의 공통모듈(31a)을 통해 확인된 사용자 정보가 상기 광고서비스 플랫폼(20)의 매핑테이블에 존재하면, 상기 광고서비스 플랫폼으로부터 추천상품 및 연관키워드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자동으로 송출되어 상기 광고영역을 통해 다이나믹 배너이미지 및 해시키워드가 결합한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가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고주 서버 및 광고매체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방문 사이트의 웹페이지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 이용 패턴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한 다음 다이나믹 이미지 배너에 해시 키워드를 결합함으로써 동일한 광고지면을 이용하더라도 다수개의 랜딩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매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광고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광고방법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DVERTISEMENT MATERIAL TEMPLATE FOR AUTO MULTILINK BASED ON ANALYZING BIGDATA OF USER PATTERN AND ADVERTISEMEN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광고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고주 서버 및 광고매체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방문 사이트의 웹페이지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 이용 패턴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한 다음 다이나믹 이미지 배너에 해시 키워드를 결합함으로써 동일한 광고지면을 이용하더라도 다수개의 랜딩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매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광고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이용자가 급속히 늘어나면서 신문이나 전단지 및 옥외 전광판을 사용하던 기존의 전통적인 광고방식에 비해 각종 포털사이트 및 언론 사이트 등 다양한 종류의 광고매체 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쇼핑몰 상품광고를 비롯해 각종 행사 및 홍보에 관한 온라인 광고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광고는 광고매체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 쉽게 노출될 수 있도록 주로 이미지 배너를 활용한 배너 광고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배너 광고는 광고 매체 사이트의 웹 페이지 내 특정 위치에 사각형 모양 및 원 모양등으로 표출되는 광고소재를 의미하며, 해당 웹 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가 배너를 클릭하면 해당 광고소재와 관련된 광고주 사이트의 특정 웹페이지로 연결되는 형식으로 광고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배너 광고 서비스는, 광고주가 직접 배너 광고에 사용할 이미지를 선택하거나 관리자를 통해 배너 광고를 관리하기 위한 광고서버에 이미지를 업로드 하기 때문에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성향에 무관하게 광고가 제공됨으로써 광고효과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배너 광고 서비스는, 대개 단일의 이미지를 광고주가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특정매체에서 노출되기를 원하는 광고소재가 다수일 경우에 특정 매체에 노출되는 온라인 광고 소재의 노출 횟수가 줄어들 수 밖에 없어 그에 따른 광고효과가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방지 하기 위하여 광고소재의 수를 제한 할 경우에 수익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 다수개의 배너 광고 이미지를 일정한 시간 간격을 가지며 연속적으로 노출시키는 광고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한번에 노출되는 광고수에 제한이 있어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광고매체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온라인 광고의 광고효과를 높이면서도, 다수개의 광고소재를 동시에 노출시키기 위한 현실적이고도 적용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에 관련된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25518호(공개일: 2015년 03월 11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광고주 서버 및 광고매체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방문 사이트의 웹페이지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 이용 패턴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한 다음 다이나믹 이미지 배너에 해시 키워드를 결합함으로써 동일한 광고지면을 이용하더라도 다수개의 랜딩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매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광고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은, 광고주의 사용자 방문 사이트를 구성하는 웹페이지 내에 사용자의 이용패턴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수집모듈과 방문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공통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 디바이스(1)를 통해 웹페이지를 방문하는 경우에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식별ID코드를 발급하고 사용자 디바이스(1)를 통해 접속되는 웹페이지 상의 방문 히스토리 정보, 상품정보, 구매 정보, 및 검색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광고주서버(10); 상기 광고주서버(10)를 통해 생성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집하여 사용자 선호도 및 연관 데이터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추출되는 상품정보 및 키워드정보를 사용자 정보와 연동하여 매핑테이블로 저장하고 상기 상품정보에 대응되는 다이나믹 배너이미지와 상기 키워드정보에 대응되는 해시키워드를 표시할 수 있는 멀티링크용 광고소재 템플릿을 구비하는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20); 및 상기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으로부터 송출되는 멀티링크용 광고소재 템플릿을 표시하기 위한 광고영역을 구비하여 광고가 노출되는 사용자 방문 사이트를 제공하며, 재방문여부 및 상기 광고주서버의 웹페이지 방문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공통모듈을 상기 광고대상 사용자 방문 사이트의 웹페이지 내에 구비하는 광고매체 서버(30);를 구비하고, 사용자 디바이스(1)가 상기 광고매체 서버(30)에서 제공하는 광고노출 사용자 방문사이트를 방문한 경우 상기 광고매체 서버(30)의 공통모듈(31a)을 통해 확인된 사용자 정보가 상기 광고서비스 플랫폼(20)의 매핑테이블에 존재하면, 상기 광고서비스 플랫폼으로부터 추천상품 및 연관키워드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자동으로 송출되어 상기 광고영역을 통해 다이나믹 배너이미지 및 해시키워드가 결합한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광고주서버(10)는, 광고주의 사용자 방문 사이트를 구성하는 웹페이지 내에 사용자의 이용패턴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수집모듈(11);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수집모듈(11)은, 상기 광고주의 사용자 방문 사이트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방문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에 대한 고유식별ID코드를 발급하여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공통모듈(11a); 및 사용자 디바이스(1)를 통해 접속되는 웹페이지 목록의 방문히스토리 정보, 상품정보, 구매정보, 및 검색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으로 전송할 수 있는 분석모듈(11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으로 전송할 수 있는 분석모듈(11b)은, 사용자 디바이스(1)를 통해 접속되는 웹페이지 상에서 광고 대상 상품이 노출되는 경우에 상품코드, 상품명, 판매가격, 소비자격, 상품썸네일 웹주소, 상품이미지 웹주소, 모바일 상품이미지 웹주소, 상품 카테고리, 브랜드명, 및 사용자디바이스 종류를 포함하는 상품상세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품정보분석모듈(12); 사용자 디바이스(1)를 통해 접속되는 웹페이지 상에서 광고 대상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에 상품구매 주문번호, 상품코드, 상품명, 구매가격, 상품썸네일 웹주소, 구매수량, 및 사용자디바이스 종류를 포함하는 상품구매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매정보분석모듈(13); 및 사용자 디바이스(1)를 통해 접속되는 웹페이지 상에서 검색키워드를 이용해 상품을 검색하는 경우에 검색키워드 및 사용자디바이스 종류를 포함하는 검색키워드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키워드정보분석모듈(14); 중 하나의 분석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20)은, 상기 광고주서버(10) 및 상고 광고매체 서버(30)를 포함하여 사용자 방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공통모듈이 설치된 온라인 상의 사용자 방문 사이트를 통해 생성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수집하기 위한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에서 수집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웹페이지 방문 히스토리 정보, 구매 정보, 및 검색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빅데이터분석을 수행하는 빅데이터 분석서버(200); 상기 빅데이터 분석서버(200)를 통해 추천상품 및 연관키워드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추출되면 상기 광고매체서버(30)에서 필요한 멀티링크 광고소재 템플릿에 맞는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 다음 복수개의 매핑테이블로 저장하는 추천 데이터 저장서버(300); 및 사용자 디바이스(1)의 사용자정보가 상기 추천 데이터 저장서버(300)에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추천 데이터 저장서버(300)의 매핑테이블에 대응 저장된 추천상품 및 연관키워드 관련 광고소재용 데이터를 상기 광고매체서버(30)로 적어도 하나 이상 송출하는 광고송출서버(4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는, 광고주서버(10)의 공통모듈(11a) 및 상기 광고매체 서버(30)의 공통모듈(31a)로부터 생성된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식별ID값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디바이스식별ID 게더링부(110);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가 방문한 웹페이지의 방문 히스토리 이력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서핑데이터 게더링부(120); 상기 광고주서버(10)의 상품정보분석모듈(12)에서 생성된 상품코드, 상품명, 판매가격, 소비자격, 상품썸네일 웹주소, 상품이미지 웹주소, 모바일 상품이미지 웹주소, 상품 카테고리, 브랜드명, 및 사용자디바이스 종류를 포함하는 상품상세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프러덕트데이터 게더링부(130); 상기 광고주서버(10)의 구매정보분석모듈(13)에서 생성된 상품구매 주문번호, 상품코드, 상품명, 구매가격, 상품썸네일 웹주소, 구매수량, 및 사용자디바이스 종류를 포함하는 상품구매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바이데이터 게더링부(140); 상기 광고주서버(10)의 키워드정보분석모듈(14)에서 생성된 검색키워드 및 사용자디바이스 종류를 포함하는 검색키워드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키워드데이터 게더링부(150); 및 상기 디바이스식별ID 게더링부(110), 상기 사용자 서핑데이터 게더링부(120), 상기 프러덕트데이터 게더링부(130), 상기 바이데이터 게더링부(140), 및 상기 키워드데이터 게더링부(150)에 저장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매핑테이블로 리스트하여 1시간 간격으로 상기 빅데이터 분석서버(200)에 전달하는 수집데이터 포워딩부(1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빅데이터 분석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에서 전달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분석기준에 따라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의 웹페이지 방문이력과 관심상품을 분석하여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의 선호도에 따른 추천상품목록을 추출하는 추천상품 어날라이저(210);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에서 전달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분석기준에 따라 전체 사용자 디바이스의 웹페이지 방문이력과 관심상품을 포함하여 분석함으로써 전체 사용자 디바이스의 선호도에 따른 연관상품목록을 추출하는 연관상품 어날라이저(220);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에(100)서 전달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분석기준에 따라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의 검색키워드를 분석하여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의 검색이력에 따른 추천키워드목록을 추출하는 추천키워드 어날라이저(230);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에서 전달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분석기준에 따라 전체 사용자 디바이스의 검색키워드를 포함하여 분석함으로써 전체 사용자 디바이스의 검색이력에 따른 연관키워드목록을 추출하는 연관키워드 어날라이저(240); 및 상기 추천상품 어날라이저(210), 연관상품 어날라이저(220), 추천키워드 어날라이저(230), 및 연관키워드 어날라이저(240)에서 추출한 추천상품목록, 연관상품목록, 추천키워드목록, 및 연관키워드목록을 1일 간격으로 추천데이터 저장서버(300)로 전송하는 분석데이터 송출부(2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추천데이터 저장서버(300)는, 상기 빅데이터 분석서버(200)의 추천상품 어날라이저(210)에서 추출된 추천상품목록을 광고주사이트ID, 상품페이지URL, 아이템종류, 상품ID, 및 최근방문날짜를 포함하는 매핑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추천상품DB(310); 상기 빅데이터 분석서버(200)의 연관상품 어날라이저(220)에서 추출된 연관상품목록을 광고주사이트ID, 상품페이지URL, 아이템종류, 상품ID, 및 최근방문날짜를 포함하는 매핑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연관상품DB(320); 상기 빅데이터 분석서버(200)의 추천키워드 어날라이저(230)에서 추출된 추천키워드목록을 사이트ID, 검색날짜, 및 추천키워드 검색상세페이지 URL을 포함하는 매핑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추천키워드DB(330); 상기 빅데이터 분석서버(200)의 연관키워드 어날라이저(240)에서 추출된 연관키워드목록을 사이트ID, 검색날짜, 및 연관키워드 검색상세페이지 URL을 포함하는 매핑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연관키워드DB(340); 및 상기 추천상품DB(310), 연관상품DB(320), 추천키워드DB(330), 및 연관키워드DB(340)에 저장된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상품과 키워드 정보를 자동추출하여 광고송출서버에 전달하기 위한 쿼리전달부(3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고송출서버(400)는, 상기 추천데이터 저장서버(300)에 저장된 상품정보 및 키워드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상품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및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되는 해시키워드를 표시하기 위한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용 템플릿을 사용자 디바이스 종류에 따라 하나 이상 구비하는 광고소재 템플릿 리소스 모듈(410); 사용자 디바이스(1)가 광고매체 서버의 광고가 노출되는 사용자 방문사이트에 접속하면 상기 추천데이터 저장서버(300)로부터 상품정보를 업데이트 수신하고 상기 업데이트 수신된 상품정보의 URL에서 상품이미지를 추출하여 URL주소와 함께 상기 광고매체 서버(30)로 전달하는 상품이미지 자동업데이트부(420); 상기 추천데이터 저장서버(300)로부터 상기 업데이트 수신된 상품정보에 대응되는 키워드 정보를 업데이트 수신하여 키워드 검색페이지 URL과 함께 상기 광고매체 서버(30)로 전달하는 해시키워드 자동업데이트부(430); 및 상기 광고매체 서버(30)에 전달되는 상품이미지 및 해시키워드를 표시하기에 적합한 광고소재 템플릿을 상기 광고소재 템플릿 리소스 모듈에서 선택하여 상기 광고매체 서버로 송출하는 멀티링크 광고소재 템플릿 송출부(4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고매체 서버(30)는, 사용자 디바이스(1)의 방문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식별ID코드를 발급하여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공통모듈(31a)을 포함하고, 광고가 노출되는 사용자 방문 사이트를 구성하는 웹페이지 내의 사용자 이용패턴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수집모듈(31); 및 상기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20)으로부터 자동으로 송출되는 상품이미지 및 해시키워드를 표시하기 위한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표시모듈(32);을 구비하고, 상기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표시모듈(32)은, 상기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20)에서 송출된 상품이미지가 다이나믹 배너이미지 형태로 표시되는 상품정보 표시메뉴부(32a); 및 상기 광고서비스 플랫폼(20)으로부터 송출된 해시키워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되는 해시태그메뉴부(32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품정보 표시메뉴부(32a)에 표시되는 다이나믹 배너이미지와 상기 해시태그메뉴부에 표시되는 해시키워드는 상호간에 서로 연동되어 변경되며, 상기 다이나믹 배너이미지를 클릭하는 경우에는 해당상품과 관련된 랜딩페이지로 연결되고, 상기 해시키워드를 클릭하는 경우에는 광고주 서버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방문 사이트의 해당 키워드 검색결과와 관련된 검색페이지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이나믹 배너이미지의 해당상품과 관련된 랜딩페이지는, 상기 다이나믹 배너이미지에 표시되는 해당상품의 상세페이지를 표시하고, 상기 해당상품과 관련된 키워드를 상기 해당상품의 상세페이지 내에 해시키워드 형태로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하며, 사용자 디바이스(1)에서 상기 해당상품의 상세페이지 내에 표시되는 해시키워드를 클릭하는 경우에는, 광고주 서버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방문 사이트의 해당 키워드 검색결과 관련 검색페이지로 연결되는 동작을 수행하거나,상기 해당상품과 관련된 다른 상품의 상세페이지로 직접 연결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을 이용한 광고방법은,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 방문하는 사용자 방문사이트의 광고영역에 광고를 송출하기 위한 광고방법에 있어서, 광고주 서버에서 제공하는 광고대상 사이트 및 광고가 노출되기 위한 광고매체 사이트의 사용자 방문 웹페이지에 사용자 이용패턴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 수집모듈을 각각 설치하는 수집모듈 설치 단계;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에서 상기 광고주 서버의 사용자 방문 웹페이지에 설치된 데이터 수집모듈을 통해 생성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일정한 간격으로 수집하여 빅데이터 분석서버에 전달하는 원시데이터 수집 단계; 빅데이터 분석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분석하여 추천상품, 연관상품, 추천키워드, 및 연관키워드 목록을 추천데이터 저장서버에 일정한 간격으로 전달하는 빅데이터 분석 단계; 추천데이터 저장서버에서 추천상품목록, 연관상품목록, 추천키워드, 및 연관키워드를 광고주의 선호도에 따라 우선순위가 적용될 수 있는 가중치값과 함께 매핑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매핑테이블 저장단계; 광고송출서버에서 상기 추천데이터 저장서버에 저장된 상품정보 및 키워드 정보를 전달받아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용 템플릿과 상기 상품정보 및 키워드 정보에 각각 대응하며 상호간에 서로 연동하는 상품이미지와 해시키워드를 자동으로 송출하는 자동송출 단계; 광고매체 서버의 광고가 노출되는 광고영역에서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표시모듈을 구성하는 추천상품 표시메뉴부에는 상기 광고송출서버에서 송출된 상품이미지가 다이나믹 배너형태로 하나 이상 표시되고, 해시태그메뉴부에는 상기 광고송출서버에서 송출된 해시키워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되는 표시단계; 및 상기 추천상품 표시메뉴부에 표시되는 상품이미지를 클릭하는 경우에는 해당상품과 관련된 랜딩페이지로 연결하고, 상기 해시태그메뉴부에 표시되는 해시키워드를 클릭하는 경우에는 광고주 서버에서 제공하는 키워드 검색결과와 관련된 검색페이지로 연결되는 멀티링크 수행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빅데이터 분석단계는, 추천상품 어날라이저(210)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에서 전달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분석기준에 따라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의 웹페이지 방문이력과 관심상품을 분석하여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의 선호도에 따른 추천상품목록을 추출하는 단계; 연관상품 어날라이저(220)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에서 전달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분석기준에 따라 전체 사용자 디바이스의 웹페이지 방문이력과 관심상품을 포함하여 분석함으로써 전체 사용자 디바이스의 선호도에 따른 연관상품목록을 추출하는 단계; 추천키워드 어날라이저(230)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에(100)서 전달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분석기준에 따라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의 검색키워드를 분석하여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의 검색이력에 따른 추천키워드목록을 추출하는 단계; 및 연관키워드 어날라이저(240)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에서 전달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분석기준에 따라 전체 사용자 디바이스의 검색키워드를 포함하여 분석함으로써 전체 사용자 디바이스의 검색이력에 따른 연관키워드목록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을 이용한 광고방법은, 상기 추천상품 표시메뉴부에 표시되는 상품이미지와 상기 해시태그메뉴부에는 표시되는 해시키워드는 상호간에 서로 연동되어 변경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을 이용한 광고방법은, 상기 추천상품 표시메뉴부에 표시되는 상품이미지 하나에 상기 해시태그메뉴부에 표시되는 해시키워드는 세 개이상 표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고주 서버 및 광고매체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방문 사이트에서 사용자 디바이스의 이용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 이용 패턴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상품정보를 다이나믹 이미지 배너와 해시 키워드로 결합하여 구현함으로써 구매전환율이 높은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광고방법을 광고주에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방문 사이트의 한정된 광고영역에서 다이나믹하게 움직이는 동적이미지에 복수개의 해시태그를 결합하여 멀티링크를 구현함으로써 동일한 광고지면을 이용하더라도 다수개의 랜딩페이지와 결합할 수 있어 광고수익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별 사용자의 이용 패턴을 이용하여 추천상품과 추천키워드를 분석함과 동시에 전체 사용자의 이용패턴을 이용하여 연관상품과 연관키워드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타겟팅 광고를 사용자에게 노출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단순 노출 광고방법에 비해 구매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주가 제공하는 사용자 방문 사이트 뿐만 아니라 광고가 노출되는 광고매체의 사용자 방문 사이트에서의 방문 이력도 함께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광고의 타겟팅 효율을 높일 수 있어 결과적으로 광고주의 매출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 광고주 또는 광고시스템 운영자가 직접 광고소재를 업로드하던 방식과 달리 사용자의 이용패턴을 분석한 빅데이터 분석방법을 통해 광고주 서버에서 자동으로 광고소재를 추출하여 자동완성되는 광고소재 템플릿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사용자 맞춤형 광고소재를 자동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어 광고소재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구매가능성이 높은 사용자에게 광고노출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고 서비스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광고주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광고매체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표시모듈(32)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각 구성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도면의 각 구성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도면의 각 구성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도면의 각 구성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구성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구성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구성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구성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은, 광고주서버(10),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20), 및 광고매체 서버(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고주서버(10)는, 사용자 방문 사이트를 구성하는 다양한 종류의 웹페이지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온라인 쇼핑몰을 구성하는 상품상세페이지,상품구매페이지, 상품검색결과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20)은, 상기 광고주서버(10)와 광고매체 서버(30)에 접속하며 다양한 취향을 가지고 있는 소비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여 소비자가 접속하는 광고매체 서버(30)의 사용자 방문사이트에 노출되는 광고소재를 다양한 마케팅 채널 별로 개인화된 콘텐츠를 추천함으로써 고객만족도 향상 및 구매전환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었다.
또한, 상기 광고매체 서버(30)는, 다이나믹하게 동작하는 배너이미지에 해시키워드를 결합한 광고소재를 사용자 방문 사이트의 광고영역에 표시함으로써 멀티링크를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앞서 상술한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20)을 통해 추출된 상품정보와 키워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니즈와 연관성이 높은 상품과 키워드를 노출시켜 구매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고 서비스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고주서버(10)는, 광고주의 사용자 방문 사이트를 구성하는 웹페이지 내에 사용자의 이용패턴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수집모듈과 방문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공통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모듈은 스크립트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공통모듈을 이용하면, 소비자가 사용자 디바이스(1)를 통해 웹페이지를 방문하는 경우에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식별ID코드를 발급하고 사용자 디바이스(1)를 통해 접속되는 웹페이지 상의 방문 히스토리 정보, 상품정보, 구매 정보, 및 검색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20)을 구성하는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가 상기 광고주서버(10)를 통해 생성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집할 수 있다.
이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빅데이터 분석서버(200)가 사용자 선호도 및 연관 데이터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며, 추천데이터 저장서버(300)가 상기 빅데이터 분석서버(200)를 통해 통해 추출되는 상품정보 및 키워드정보를 사용자 정보와 연동하여 매핑테이블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광고송출서버(400)는, 광고매체 서버(30)에서 멀티링크 형태의 광고소재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품정보에 대응되는 다이나믹 배너이미지와 상기 키워드정보에 대응되는 해시키워드를 표시할 수 있는 멀티링크용 광고소재 템플릿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고매체 서버(30)는, 상기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20)으로부터 송출되는 멀티링크용 광고소재 템플릿을 표시하기 위한 광고영역을 구비하여 광고가 노출되는 사용자 방문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고매체 서버(30)는, 앞서 상술한 광고주 서버(10)와 마찬가지로 재방문여부 및 상기 광고주서버의 웹페이지 방문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공통모듈을 광고가 노출되는 광고대상 사용자 방문 사이트의 웹페이지 내에 구비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인터넷을 통해 빅데이터 분석서버(200)에 직접 전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그분석DB서버(4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면, 사용자 디바이스(1)가 상기 광고매체 서버(30)에서 제공하는 광고노출 사용자 방문사이트를 방문한 경우 상기 광고매체 서버(30)의 공통모듈(31a)을 통해 확인된 사용자 정보가 상기 광고서비스 플랫폼(20)의 매핑테이블에 존재하면, 상기 광고서비스 플랫폼으로부터 추천상품 및 연관키워드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자동으로 송출되어 상기 광고영역을 통해 다이나믹 배너이미지 및 해시키워드가 결합한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가 노출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광고주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주 서버(10)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광고주서버(10)는, 광고주의 사용자 방문 사이트를 구성하는 웹페이지 내에 사용자의 이용패턴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수집모듈(1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수집모듈(1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모듈(11a) 및 분석모듈(11b)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모듈(11a)은,상기 광고주의 사용자 방문 사이트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방문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에 대한 고유식별ID코드를 발급하여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모듈(11b)은, 사용자 디바이스(1)를 통해 접속되는 웹페이지 목록의 방문히스토리 정보, 상품정보, 구매정보, 및 검색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앞서 상술한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으로 전송할 수 있는 분석모듈(11b)은, 상품정보분석모듈(12), 구매정보분석모듈(13), 및 키워드정보분석모듈(14)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앞서 상술한 공통모듈(11a)과 마찬가지로 자바스크립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품정보분석모듈(12)은, 사용자 디바이스(1)를 통해 접속되는 웹페이지 상에서 광고 대상 상품이 노출되는 경우에 상품코드, 상품명, 판매가격, 소비자격, 상품썸네일 웹주소, 상품이미지 웹주소, 모바일 상품이미지 웹주소, 상품 카테고리, 브랜드명, 및 사용자디바이스 종류를 포함하는 상품상세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정보분석모듈(13)은, 사용자 디바이스(1)를 통해 접속되는 웹페이지 상에서 광고 대상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에 상품구매 주문번호, 상품코드, 상품명, 구매가격, 상품썸네일 웹주소, 구매수량, 및 사용자디바이스 종류를 포함하는 상품구매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워드정보분석모듈(14)은, 사용자 디바이스(1)를 통해 접속되는 웹페이지 상에서 검색키워드를 이용해 상품을 검색하는 경우에 검색키워드 및 사용자디바이스 종류를 포함하는 검색키워드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 빅데이터 분석서버(200), 추천 데이터 저장서버(300), 및 광고송출서버(4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20)의 구체적인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는, 상기 광고주서버(10) 및 상고 광고매체 서버(30)를 포함하여 사용자 방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공통모듈이 설치된 온라인 상의 사용자 방문 사이트를 통해 생성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는, 디바이스식별ID 게더링부(110), 사용자 서핑데이터 게더링부(120), 프러덕트데이터 게더링부(130), 바이데이터 게더링부(140), 키워드데이터 게더링부(150), 및 수집데이터 포워딩부(16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바이스식별ID 게더링부(110)는, 광고주서버(10)의 공통모듈(11a) 및 상기 광고매체 서버(30)의 공통모듈(31a)로부터 생성된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식별ID값을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서핑데이터 게더링부(120)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가 방문한 웹페이지의 방문 히스토리 이력을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러덕트데이터 게더링부(130)는, 상기 광고주서버(10)의 상품정보분석모듈(12)에서 생성된 상품코드, 상품명, 판매가격, 소비자격, 상품썸네일 웹주소, 상품이미지 웹주소, 모바일 상품이미지 웹주소, 상품 카테고리, 브랜드명, 및 사용자디바이스 종류를 포함하는 상품상세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데이터 게더링부(140)는, 상기 광고주서버(10)의 구매정보분석모듈(13)에서 생성된 상품구매 주문번호, 상품코드, 상품명, 구매가격, 상품썸네일 웹주소, 구매수량, 및 사용자디바이스 종류를 포함하는 상품구매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워드데이터 게더링부(150)는, 상기 광고주서버(10)의 키워드정보분석모듈(14)에서 생성된 검색키워드 및 사용자디바이스 종류를 포함하는 검색키워드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수집데이터 포워딩부(160)는, 상기 디바이스식별ID 게더링부(110), 상기 사용자 서핑데이터 게더링부(120), 상기 프러덕트데이터 게더링부(130), 상기 바이데이터 게더링부(140), 및 상기 키워드데이터 게더링부(150)에 저장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매핑테이블로 리스트하여 1시간 간격으로 상기 빅데이터 분석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빅데이터 분석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에서 수집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웹페이지 방문 히스토리 정보, 구매 정보, 및 검색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빅데이터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빅데이터 분석서버(200)는, 추천상품 어날라이저(210), 연관상품 어날라이저(220), 추천키워드 어날라이저(230), 연관키워드 어날라이저(240), 및 분석데이터 송출부(250)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추천상품 어날라이저(210)는,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에서 전달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분석기준에 따라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의 웹페이지 방문이력과 관심상품을 분석하여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의 선호도에 따른 추천상품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관상품 어날라이저(220)는,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에서 전달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분석기준에 따라 전체 사용자 디바이스의 웹페이지 방문이력과 관심상품을 포함하여 분석함으로써 전체 사용자 디바이스의 선호도에 따른 연관상품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키워드 어날라이저(230)는,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에(100)서 전달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분석기준에 따라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의 검색키워드를 분석하여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의 검색이력에 따른 추천키워드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관키워드 어날라이저(240)는,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에서 전달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분석기준에 따라 전체 사용자 디바이스의 검색키워드를 포함하여 분석함으로써 전체 사용자 디바이스의 검색이력에 따른 연관키워드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데이터 송출부(2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추천상품 어날라이저(210), 연관상품 어날라이저(220), 추천키워드 어날라이저(230), 및 연관키워드 어날라이저(240)에서 추출한 추천상품목록, 연관상품목록, 추천키워드목록, 및 연관키워드목록을 1일 간격으로 추천데이터 저장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추천 데이터 저장서버(300)는, 상기 빅데이터 분석서버(200)를 통해 추천상품 및 연관키워드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추출되면 상기 광고매체서버(30)에서 필요한 멀티링크 광고소재 템플릿에 맞는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 다음 복수개의 매핑테이블로 저장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추천데이터 저장서버(300)는, 추천상품DB(310), 연관상품DB(320), 추천키워드DB(330), 연관키워드DB(340), 및 쿼리전달부(35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천상품DB(310)는, 상기 빅데이터 분석서버(200)의 추천상품 어날라이저(210)에서 추출된 추천상품목록을 광고주사이트ID, 상품페이지URL, 아이템종류, 상품ID, 및 최근방문날짜를 포함하는 매핑테이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관상품DB(320)는, 상기 빅데이터 분석서버(200)의 연관상품 어날라이저(220)에서 추출된 연관상품목록을 광고주사이트ID, 상품페이지URL, 아이템종류, 상품ID, 및 최근방문날짜를 포함하는 매핑테이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키워드DB(330)는, 상기 빅데이터 분석서버(200)의 추천키워드 어날라이저(230)에서 추출된 추천키워드목록을 사이트ID, 검색날짜, 및 추천키워드 검색상세페이지 URL을 포함하는 매핑테이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관키워드DB(340)는, 상기 빅데이터 분석서버(200)의 연관키워드 어날라이저(240)에서 추출된 연관키워드목록을 사이트ID, 검색날짜, 및 연관키워드 검색상세페이지 URL을 포함하는 매핑테이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쿼리전달부(350)는, 상기 추천상품DB(310), 연관상품DB(320), 추천키워드DB(330), 및 연관키워드DB(340)에 저장된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상품과 키워드 정보를 자동추출하여 광고송출서버에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광고송출서버(400)는, 사용자 디바이스(1)의 사용자정보가 상기 추천 데이터 저장서버(300)에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추천 데이터 저장서버(300)의 매핑테이블에 대응 저장된 추천상품 및 연관키워드 관련 광고소재용 데이터를 상기 광고매체서버(30)로 적어도 하나 이상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고송출서버(4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소재 템플릿 리소스 모듈(410), 상품이미지 자동업데이트부(420), 해시키워드 자동업데이트부(430), 및 멀티링크 광고소재 템플릿 송출부(440)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광고소재 템플릿 리소스 모듈(410)은, 상기 추천데이터 저장서버(300)에 저장된 상품정보 및 키워드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상품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및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되는 해시키워드를 표시하기 위한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용 템플릿을 사용자 디바이스 종류에 따라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이미지 자동업데이트부(420)는, 사용자 디바이스(1)가 광고매체 서버의 광고가 노출되는 사용자 방문사이트에 접속하면 상기 추천데이터 저장서버(300)로부터 상품정보를 업데이트 수신하고 상기 업데이트 수신된 상품정보의 URL에서 상품이미지를 추출하여 URL주소와 함께 상기 광고매체 서버(3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시키워드 자동업데이트부(430)는, 상기 추천데이터 저장서버(300)로부터 상기 업데이트 수신된 상품정보에 대응되는 키워드 정보를 업데이트 수신하여 키워드 검색페이지 URL과 함께 상기 광고매체 서버(3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링크 광고소재 템플릿 송출부(440)는, 상기 광고매체 서버(30)에 전달되는 상품이미지 및 해시키워드를 표시하기에 적합한 광고소재 템플릿을 상기 광고소재 템플릿 리소스 모듈에서 선택하여 상기 광고매체 서버로 송출할 수 있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광고매체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소재가 주로 노출되는 목적으로 구성된 광고매체 서버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고매체 서버(30)는, 데이터수집모듈(31)과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표시모듈(32)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데이터수집모듈(31)은, 사용자 디바이스(1)의 방문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식별ID코드를 발급하여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공통모듈(31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수집모듈(31)은, 도 3에 도시된 광고주 서버(10)의 분석모듈과 같이 광고가 노출되는 사용자 방문 사이트를 구성하는 웹페이지 내의 사용자 이용패턴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광고주 서버(10)의 분석모듈이 주로 온라인 쇼핑몰에서 노출되는 상품정보, 구매정보, 및 상품검색페이지에 관한 것이라면, 여기서는 이와 달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광고매체사이트의 컨텐츠와 관련된 소비자의 선호컨텐츠에 관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표시모듈(32)은, 상기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20)으로부터 자동으로 송출되는 상품이미지 및 해시키워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표시모듈(3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정보 표시메뉴부(32a)와 복수개의 해시태그메뉴부(32b)를 구비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상품이미지에 세 개의 해시태그가 결합되어 표시되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품정보 표시메뉴부(32a)는, 상기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20)에서 송출된 상품이미지가 다이나믹하게 동작하는 배너이미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시태그메뉴부(32b)는, 상기 광고서비스 플랫폼(20)으로부터 송출된 해시키워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품정보 표시메뉴부(32a)에 표시되는 다이나믹 배너이미지와 상기 해시태그메뉴부에 표시되는 해시키워드는 상호간에 서로 연동되어 상품이미지가 변경되면 해시키워드도 이에 대응하여 다른 해시키워드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표시모듈(32)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상품정보 표시메뉴부(32a)의 다이나믹 배너이미지를 클릭한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다이나믹 배너이미지를 클릭하는 경우에는, 해당상품의 상세페이지와 관련된 랜딩페이지로 연결될 수 있으며, 추천서비스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상세페이지 하단에 연관검색어로 해시키워드가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상품정보 표시메뉴부(32a)의 해시키워드를 클릭한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시키워드를 클릭하는 경우에는 광고주 서버가 쇼핑몰을 제공하는 경우에, 해당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방문 사이트의 해당 키워드 검색결과와 관련된 검색페이지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나믹 배너이미지의 해당상품과 관련된 랜딩페이지를 추가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이나믹 배너이미지의 해당상품과 관련된 랜딩페이지는, 상기 다이나믹 배너이미지에 표시되는 해당상품의 상세페이지를 표시하고, 상기 해당상품과 관련된 키워드를 상기 해당상품의 상세페이지 내에 해시키워드 형태로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디바이스(1)에서 상기 해당상품의 상세페이지 내에 표시되는 해시키워드를 클릭하는 경우에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광고주 서버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방문 사이트의 해당 키워드 검색결과 관련 검색페이지로 연결되는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해당상품과 관련된 다른 상품의 상세페이지로 직접 연결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상품과 관련된 다른 상품의 상세페이지로 직접 연결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표시모듈(33)은, 랜딩1에 해당하는 이미지 표시부(33a)와 랜딩2, 랜딩3, 랜딩4의 해시키워드가 위치하는 세개의 해시태그메뉴부(33b)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앞서 상술한 도 6 내지 도 8과 달리, 각각의 이미지 표시부(33a)와 해시태그메뉴부(33b)는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랜딩페이지를 구비하는 방법으로 멀티링크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20)에 적용된 분석기법은 접속자의 식별 정보인 쿠키(Cookie)를 활용하여 각 인터넷 사용자들이 구매하고자 하는 특정 상품과 관련 상품들의 검색 상황, 그리고 특정 상품의 실제 구매 상황 및 과거 구매 현황을 수집하고 다중 다층 퍼셉트론(Multiple Multi-Layered Perceptron)으로 분석하여 추론을 위한 정보를 구축함으로써 개별 접속자에게 자동으로 상품들을 추천하는 방법을 제안한 것이다.
여기서, 상품 연관성 구축을 위한 기반 데이터 구축 기법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사용자 각각의 활동과 사용자 간의 활동에 기반한 실제 사용자 활동 데이터이며, 둘 째 사용자 활동 데이터와 실제 상품코드 데이터 및 그들의 관계, 셋 째 사용자 각각의 실제 구매 시계열 데이터와 사용자 각각의 실제 구매 시계열 데이터들의 연관성 데이터이다.
또한, 사용자들의 상품 검색 정보와 실제 구매 상태 정보들은 연관성을 부여하기 위해 초기 가중치를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부여한다. 즉, 한 사용자의 특정 상품 정보로의 접근여부와 반복 접근성, 여러 사용자들의 특정 상품 정보로의 중복 접근성, 실 구매가 발생되었을 때 사용자 각각의 과거 접근정보와 구매이력 및 현재 구매 상품의 분류상의 유사성과 연관성을 기준으로 각 상품들의 초기 연관성 가중치가 부여된다.
또한, 초기 가중치 부여를 위한 각 사용자들의 활동 정보는 기본적으로 DBMS의 SQL 문장으로 가공하며, 이렇게 가공되어 구성된 각 상품들의 연관 검색을 위한 유사성 가중치와 타 상품과의 연관 구매 가능성 가중치는 실제 상품코드와 실 구매 데이터를 다중으로 구성하여 다층 퍼셉트론(Multi-Layered Perceptron)을 활용한 지도학습과 병행하여 구축한다. 이 과정은 실제 상품코드의 연관성을 반영함으로써 각 사용자들의 실제 활동데이터만을 기반으로 하는 것 보다 높은 성능으로 각 상품간의 구매 연관성 정보의 안정화를 구축할 수 있다. 각 상품들의 초기 연관성 가중치를 기반으로 각 쇼핑몰의 실제 상품코드에 기반한 상품 연관성 지도학습을 수행한 가중치는 별도로 생성하여 기존과 함께 듀얼로 보관하며 이는 다음의 시계열 데이터 분석을 위한 다음 단계의 기반 데이터로 활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사용자들의 구매 시계열 연관성 정보 구축은 시계열 데이터 분석을 위해 다중 다층 퍼셉트론(Multiple Multi-Layered Perceptron)을 적용한다. 지도학습에 지정되는 목표값은 기존의 목표값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롭게 사용자들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가 추가적으로 가중치에 의해 반영됨으로써 지도학습이지만 인터넷 사용자들에 의해 현실적으로 연관성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트레이닝 데이터의 일부로써 실제 상품코드에 기반한 상품 연관성 정보가 함께 사용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자동 추론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을 이용한 광고방법은,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 방문하는 사용자 방문사이트의 광고영역에 광고를 송출하기 위한 광고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사용자 방문페이지에 데이터 수집모듈을 설치하는 단계(S10),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수집하는 단계(S20), 빅데이터 분석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S30), 추천데이터 저장서버에서 분석데이터를 매핑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단계(S40), 광고데이터 송출서버에서 광고소재용 템플릿과 상품이미지 및 해시키워드를 송출하는 단계(S50), 광고매체서버의 광고영역에서 상품이미지 및 해시키워드를 연동하여 표시하는 단계(S60), 및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표시모듈을 이용해 멀티링크를 수행하는 단계(S70)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먼저, 상기 사용자 방문페이지에 데이터 수집모듈을 설치하는 단계(S10)는, 광고주 서버에서 제공하는 광고대상 사이트 및 광고가 노출되기 위한 광고매체 사이트의 사용자 방문 웹페이지에 사용자 이용패턴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 수집모듈을 각각 설치하는 수집모듈 설치 단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수집하는 단계(S20)는,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에서 상기 광고주 서버의 사용자 방문 웹페이지에 설치된 데이터 수집모듈을 통해 생성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일정한 간격으로 수집하여 빅데이터 분석서버에 전달하는 원시데이터 수집 단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빅데이터 분석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S30)는, 빅데이터 분석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분석하여 추천상품, 연관상품, 추천키워드, 및 연관키워드 목록을 추천데이터 저장서버에 일정한 간격으로 전달하는 빅데이터 분석 단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추천데이터 저장서버에서 분석데이터를 매핑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단계(S40)는, 추천데이터 저장서버에서 추천상품목록, 연관상품목록, 추천키워드, 및 연관키워드를 광고주의 선호도에 따라 우선순위가 적용될 수 있는 가중치값과 함께 매핑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매핑테이블 저장단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광고데이터 송출서버에서 광고소재용 템플릿과 상품이미지 및 해시키워드를 송출하는 단계(S50)는, 광고송출서버에서 상기 추천데이터 저장서버에 저장된 상품정보 및 키워드 정보를 전달받아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용 템플릿과 상기 상품정보 및 키워드 정보에 각각 대응하며 상호간에 서로 연동하는 상품이미지와 해시키워드를 자동으로 송출하는 자동송출 단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광고매체서버의 광고영역에서 상품이미지 및 해시키워드를 연동하여 표시하는 단계(S60)는, 광고매체 서버의 광고가 노출되는 광고영역에서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표시모듈을 구성하는 추천상품 표시메뉴부에는 상기 광고송출서버에서 송출된 상품이미지가 다이나믹 배너형태로 하나 이상 표시되고, 해시태그메뉴부에는 상기 광고송출서버에서 송출된 해시키워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되는 표시단계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표시모듈을 이용해 멀티링크를 수행하는 단계(S70)는, 상기 추천상품 표시메뉴부에 표시되는 상품이미지를 클릭하는 경우에는 해당상품과 관련된 랜딩페이지로 연결하고, 상기 해시태그메뉴부에 표시되는 해시키워드를 클릭하는 경우에는 광고주 서버에서 제공하는 키워드 검색결과와 관련된 검색페이지로 연결되는 멀티링크 수행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빅데이터 분석단계(S30)는, 추천상품 어날라이저(210)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에서 전달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분석기준에 따라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의 웹페이지 방문이력과 관심상품을 분석하여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의 선호도에 따른 추천상품목록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빅데이터 분석단계(S30)는, 연관상품 어날라이저(220)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에서 전달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분석기준에 따라 전체 사용자 디바이스의 웹페이지 방문이력과 관심상품을 포함하여 분석함으로써 전체 사용자 디바이스의 선호도에 따른 연관상품목록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빅데이터 분석단계(S30)는, 추천키워드 어날라이저(230)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에(100)서 전달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분석기준에 따라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의 검색키워드를 분석하여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의 검색이력에 따른 추천키워드목록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빅데이터 분석단계(S30)는, 연관키워드 어날라이저(240)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에서 전달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분석기준에 따라 전체 사용자 디바이스의 검색키워드를 포함하여 분석함으로써 전체 사용자 디바이스의 검색이력에 따른 연관키워드목록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을 이용한 광고방법은, 상기 추천상품 표시메뉴부에 표시되는 상품이미지와 상기 해시태그메뉴부에는 표시되는 해시키워드는 상호간에 서로 연동되어 변경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을 이용한 광고방법은, 상기 추천상품 표시메뉴부에 표시되는 상품이미지 하나에 상기 해시태그메뉴부에 표시되는 해시키워드는 세 개이상 표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광고주 서버 및 광고매체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방문 사이트에서 사용자 디바이스의 이용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 이용 패턴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상품정보를 다이나믹 이미지 배너와 해시 키워드로 결합하여 구현함으로써 구매전환율이 높은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광고방법을 광고주에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방문 사이트의 한정된 광고영역에서 다이나믹하게 움직이는 동적이미지에 복수개의 해시태그를 결합하여 멀티링크를 구현함으로써 동일한 광고지면을 이용하더라도 다수개의 랜딩페이지와 결합할 수 있어 광고수익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별 사용자의 이용 패턴을 이용하여 추천상품과 추천키워드를 분석함과 동시에 전체 사용자의 이용패턴을 이용하여 연관상품과 연관키워드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타겟팅 광고를 사용자에게 노출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단순 노출 광고방법에 비해 구매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주가 제공하는 사용자 방문 사이트 뿐만 아니라 광고가 노출되는 광고매체의 사용자 방문 사이트에서의 방문 이력도 함께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광고의 타겟팅 효율을 높일 수 있어 결과적으로 광고주의 매출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 광고주 또는 광고시스템 운영자가 직접 광고소재를 업로드하던 방식과 달리 사용자의 이용패턴을 분석한 빅데이터 분석방법을 통해 광고주 서버에서 자동으로 광고소재를 추출하여 자동완성되는 광고소재 템플릿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사용자 맞춤형 광고소재를 자동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어 광고소재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구매가능성이 높은 사용자에게 광고노출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광고주서버
11 : 데이터수집모듈
11a: 공통모듈
11b: 분석모듈
12 : 상품정보분석모듈
13 : 구매정보분석모듈
14 : 키워드정보분석모듈
20 : 멀티링크 광고 서비스 플랫폼
30 : 광고매체 서버
31 : 데이터수집모듈
32(33) : 광고소재 표시모듈
32a(33a): 상품정보 표시메뉴부
32b(33b): 해시태크메뉴부
100 :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
110 : 디바이스식별ID 게더링부
120 : 서핑데이터 게더링부
130 : 프러덕트데이터 게더링부
140 : 바이데이터 게더링부
150 : 키워드데이터 게더링부
160 : 수집데이터 포워딩부
200 : 빅데이터 분석서버
210 : 추천상품 어날라이저
220 : 연관상품 어날라이저
230 : 추천키워드 어날라이저
240 : 연관키워드 어날라이저
250 : 분석데이터 송출부
300 : 추천 데이터 저장서버
310 : 추천상품DB
320 : 연관상품DB
330 : 추천키워드DB
340 : 연관키워드DB
350 : 쿼리전달부
400 : 광고송출서버
410 : 광고소재 템플릿 리소스 모듈
420 : 상품이미지 자동업데이트부
430 : 해시키워드 자동업데이트부
440 : 멀티링크 광고소재 템플릿 송출부

Claims (15)

  1. 광고주의 사용자 방문 사이트를 구성하는 웹페이지 내에 사용자의 이용패턴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수집모듈과 방문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공통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 디바이스(1)를 통해 웹페이지를 방문하는 경우에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식별ID코드를 발급하고 사용자 디바이스(1)를 통해 접속되는 웹페이지 상의 방문 히스토리 정보, 상품정보, 구매 정보, 및 검색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광고주서버(10);
    상기 광고주서버(10)를 통해 생성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집하여 사용자 선호도 및 연관 데이터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추출되는 상품정보 및 키워드정보를 사용자 정보와 연동하여 매핑테이블로 저장하고 상기 상품정보에 대응되는 다이나믹 배너이미지와 상기 키워드정보에 대응되는 해시키워드를 표시할 수 있는 멀티링크용 광고소재 템플릿을 구비하는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20); 및
    상기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으로부터 송출되는 멀티링크용 광고소재 템플릿을 표시하기 위한 광고영역을 구비하여 광고가 노출되는 사용자 방문 사이트를 제공하며, 재방문여부 및 상기 광고주서버의 웹페이지 방문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공통모듈을 광고대상 사용자 방문 사이트의 웹페이지 내에 구비하는 광고매체 서버(30);를 구비하고,
    사용자 디바이스(1)가 상기 광고매체 서버(30)에서 제공하는 광고노출 사용자 방문사이트를 방문한 경우 상기 광고매체 서버(30)의 공통모듈(31a)을 통해 확인된 사용자 정보가 상기 광고서비스 플랫폼(20)의 매핑테이블에 존재하면, 상기 광고서비스 플랫폼으로부터 추천상품 및 연관키워드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자동으로 송출되어 상기 광고영역을 통해 다이나믹 배너이미지 및 해시키워드가 결합한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가 노출되며,
    상기 광고주서버(10)는,
    광고주의 사용자 방문 사이트를 구성하는 웹페이지 내에 사용자의 이용패턴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수집모듈(11);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수집모듈(11)은,
    상기 광고주의 사용자 방문 사이트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방문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에 대한 고유식별ID코드를 발급하여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공통모듈(11a); 및
    사용자 디바이스(1)를 통해 접속되는 웹페이지 목록의 방문히스토리 정보, 상품정보, 구매정보, 및 검색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으로 전송할 수 있는 분석모듈(11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으로 전송할 수 있는 분석모듈(11b)은,
    사용자 디바이스(1)를 통해 접속되는 웹페이지 상에서 광고 대상 상품이 노출되는 경우에 상품코드, 상품명, 판매가격, 소비자격, 상품썸네일 웹주소, 상품이미지 웹주소, 모바일 상품이미지 웹주소, 상품 카테고리, 브랜드명, 및 사용자디바이스 종류를 포함하는 상품상세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품정보분석모듈(12);
    사용자 디바이스(1)를 통해 접속되는 웹페이지 상에서 광고 대상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에 상품구매 주문번호, 상품코드, 상품명, 구매가격, 상품썸네일 웹주소, 구매수량, 및 사용자디바이스 종류를 포함하는 상품구매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매정보분석모듈(13); 및
    사용자 디바이스(1)를 통해 접속되는 웹페이지 상에서 검색키워드를 이용해 상품을 검색하는 경우에 검색키워드 및 사용자디바이스 종류를 포함하는 검색키워드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키워드정보분석모듈(14); 중
    하나의 분석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20)은,
    상기 광고주서버(10) 및 상고 광고매체 서버(30)를 포함하여 사용자 방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공통모듈이 설치된 온라인 상의 사용자 방문 사이트를 통해 생성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수집하기 위한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에서 수집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웹페이지 방문 히스토리 정보, 구매 정보, 및 검색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빅데이터분석을 수행하는 빅데이터 분석서버(200);
    상기 빅데이터 분석서버(200)를 통해 추천상품 및 연관키워드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추출되면 상기 광고매체서버(30)에서 필요한 멀티링크 광고소재 템플릿에 맞는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 다음 복수개의 매핑테이블로 저장하는 추천 데이터 저장서버(300); 및
    사용자 디바이스(1)의 사용자정보가 상기 추천 데이터 저장서버(300)에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추천 데이터 저장서버(300)의 매핑테이블에 대응 저장된 추천상품 및 연관키워드 관련 광고소재용 데이터를 상기 광고매체서버(30)로 적어도 하나 이상 송출하는 광고송출서버(4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는,
    광고주서버(10)의 공통모듈(11a) 및 상기 광고매체 서버(30)의 공통모듈(31a)로부터 생성된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식별ID값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디바이스식별ID 게더링부(110);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가 방문한 웹페이지의 방문 히스토리 이력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서핑데이터 게더링부(120);
    상기 광고주서버(10)의 상품정보분석모듈(12)에서 생성된 상품코드, 상품명, 판매가격, 소비자격, 상품썸네일 웹주소, 상품이미지 웹주소, 모바일 상품이미지 웹주소, 상품 카테고리, 브랜드명, 및 사용자디바이스 종류를 포함하는 상품상세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프러덕트데이터 게더링부(130);
    상기 광고주서버(10)의 구매정보분석모듈(13)에서 생성된 상품구매 주문번호, 상품코드, 상품명, 구매가격, 상품썸네일 웹주소, 구매수량, 및 사용자디바이스 종류를 포함하는 상품구매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바이데이터 게더링부(140);
    상기 광고주서버(10)의 키워드정보분석모듈(14)에서 생성된 검색키워드 및 사용자디바이스 종류를 포함하는 검색키워드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키워드데이터 게더링부(150); 및
    상기 디바이스식별ID 게더링부(110), 상기 사용자 서핑데이터 게더링부(120), 상기 프러덕트데이터 게더링부(130), 상기 바이데이터 게더링부(140), 및 상기 키워드데이터 게더링부(150)에 저장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매핑테이블로 리스트하여 1시간 간격으로 상기 빅데이터 분석서버(200)에 전달하는 수집데이터 포워딩부(1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 분석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에서 전달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분석기준에 따라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의 웹페이지 방문이력과 관심상품을 분석하여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의 선호도에 따른 추천상품목록을 추출하는 추천상품 어날라이저(210);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에서 전달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분석기준에 따라 전체 사용자 디바이스의 웹페이지 방문이력과 관심상품을 포함하여 분석함으로써 전체 사용자 디바이스의 선호도에 따른 연관상품목록을 추출하는 연관상품 어날라이저(220);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에(100)서 전달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분석기준에 따라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의 검색키워드를 분석하여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의 검색이력에 따른 추천키워드목록을 추출하는 추천키워드 어날라이저(230);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에서 전달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분석기준에 따라 전체 사용자 디바이스의 검색키워드를 포함하여 분석함으로써 전체 사용자 디바이스의 검색이력에 따른 연관키워드목록을 추출하는 연관키워드 어날라이저(240); 및
    상기 추천상품 어날라이저(210), 연관상품 어날라이저(220), 추천키워드 어날라이저(230), 및 연관키워드 어날라이저(240)에서 추출한 추천상품목록, 연관상품목록, 추천키워드목록, 및 연관키워드목록을 1일 간격으로 추천데이터 저장서버(300)로 전송하는 분석데이터 송출부(2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추천데이터 저장서버(300)는,
    상기 빅데이터 분석서버(200)의 추천상품 어날라이저(210)에서 추출된 추천상품목록을 광고주사이트ID, 상품페이지URL, 아이템종류, 상품ID, 및 최근방문날짜를 포함하는 매핑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추천상품DB(310);
    상기 빅데이터 분석서버(200)의 연관상품 어날라이저(220)에서 추출된 연관상품목록을 광고주사이트ID, 상품페이지URL, 아이템종류, 상품ID, 및 최근방문날짜를 포함하는 매핑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연관상품DB(320);
    상기 빅데이터 분석서버(200)의 추천키워드 어날라이저(230)에서 추출된 추천키워드목록을 사이트ID, 검색날짜, 및 추천키워드 검색상세페이지 URL을 포함하는 매핑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추천키워드DB(330);
    상기 빅데이터 분석서버(200)의 연관키워드 어날라이저(240)에서 추출된 연관키워드목록을 사이트ID, 검색날짜, 및 연관키워드 검색상세페이지 URL을 포함하는 매핑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연관키워드DB(340); 및
    상기 추천상품DB(310), 연관상품DB(320), 추천키워드DB(330), 및 연관키워드DB(340)에 저장된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상품과 키워드 정보를 자동추출하여 광고송출서버에 전달하기 위한 쿼리전달부(3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광고송출서버(400)는,
    상기 추천데이터 저장서버(300)에 저장된 상품정보 및 키워드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상품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및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되는 해시키워드를 표시하기 위한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용 템플릿을 사용자 디바이스 종류에 따라 하나 이상 구비하는 광고소재 템플릿 리소스 모듈(410);
    사용자 디바이스(1)가 광고매체 서버의 광고가 노출되는 사용자 방문사이트에 접속하면 상기 추천데이터 저장서버(300)로부터 상품정보를 업데이트 수신하고 상기 업데이트 수신된 상품정보의 URL에서 상품이미지를 추출하여 URL주소와 함께 상기 광고매체 서버(30)로 전달하는 상품이미지 자동업데이트부(420);
    상기 추천데이터 저장서버(300)로부터 상기 업데이트 수신된 상품정보에 대응되는 키워드 정보를 업데이트 수신하여 키워드 검색페이지 URL과 함께 상기 광고매체 서버(30)로 전달하는 해시키워드 자동업데이트부(430); 및
    상기 광고매체 서버(30)에 전달되는 상품이미지 및 해시키워드를 표시하기에 적합한 광고소재 템플릿을 상기 광고소재 템플릿 리소스 모듈에서 선택하여 상기 광고매체 서버로 송출하는 멀티링크 광고소재 템플릿 송출부(4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고매체 서버(30)는,
    사용자 디바이스(1)의 방문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식별ID코드를 발급하여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공통모듈(31a)을 포함하고, 광고가 노출되는 사용자 방문 사이트를 구성하는 웹페이지 내의 사용자 이용패턴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수집모듈(31); 및
    상기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20)으로부터 자동으로 송출되는 상품이미지 및 해시키워드를 표시하기 위한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표시모듈(32);을 구비하고,
    상기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표시모듈(32)은,
    상기 멀티링크 광고서비스 플랫폼(20)에서 송출된 상품이미지가 다이나믹 배너이미지 형태로 표시되는 상품정보 표시메뉴부(32a); 및
    상기 광고서비스 플랫폼(20)으로부터 송출된 해시키워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되는 해시태그메뉴부(3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 표시메뉴부(32a)에 표시되는 다이나믹 배너이미지와 상기 해시태그메뉴부에 표시되는 해시키워드는 상호간에 서로 연동되어 변경되며,
    상기 다이나믹 배너이미지를 클릭하는 경우에는 해당상품과 관련된 랜딩페이지로 연결되고,
    상기 해시키워드를 클릭하는 경우에는 광고주 서버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방문 사이트의 해당 키워드 검색결과와 관련된 검색페이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다이나믹 배너이미지의 해당상품과 관련된 랜딩페이지는,
    상기 다이나믹 배너이미지에 표시되는 해당상품의 상세페이지를 표시하고,
    상기 해당상품과 관련된 키워드를 상기 해당상품의 상세페이지 내에 해시키워드 형태로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하며,
    사용자 디바이스(1)에서 상기 해당상품의 상세페이지 내에 표시되는 해시키워드를 클릭하는 경우에는,
    광고주 서버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방문 사이트의 해당 키워드 검색결과 관련 검색페이지로 연결되는 동작을 수행하거나,
    상기 해당상품과 관련된 다른 상품의 상세페이지로 직접 연결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12.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 방문하는 사용자 방문사이트의 광고영역에 광고를 송출하기 위한 광고방법에 있어서,
    광고주 서버에서 제공하는 광고대상 사이트 및 광고가 노출되기 위한 광고매체 사이트의 사용자 방문 웹페이지에 사용자 이용패턴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 수집모듈을 각각 설치하는 수집모듈 설치 단계;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에서 상기 광고주 서버의 사용자 방문 웹페이지에 설치된 데이터 수집모듈을 통해 생성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일정한 간격으로 수집하여 빅데이터 분석서버에 전달하는 원시데이터 수집 단계;
    빅데이터 분석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분석하여 추천상품, 연관상품, 추천키워드, 및 연관키워드 목록을 추천데이터 저장서버에 일정한 간격으로 전달하는 빅데이터 분석 단계;
    추천데이터 저장서버에서 추천상품목록, 연관상품목록, 추천키워드, 및 연관키워드를 광고주의 선호도에 따라 우선순위가 적용될 수 있는 가중치값과 함께 매핑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매핑테이블 저장단계;
    광고송출서버에서 상기 추천데이터 저장서버에 저장된 상품정보 및 키워드 정보를 전달받아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용 템플릿과 상기 상품정보 및 키워드 정보에 각각 대응하며 상호간에 서로 연동하는 상품이미지와 해시키워드를 자동으로 송출하는 자동송출 단계;
    광고매체 서버의 광고가 노출되는 광고영역에서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표시모듈을 구성하는 추천상품 표시메뉴부에는 상기 광고송출서버에서 송출된 상품이미지가 다이나믹 배너형태로 하나 이상 표시되고, 해시태그메뉴부에는 상기 광고송출서버에서 송출된 해시키워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되는 표시단계; 및
    상기 추천상품 표시메뉴부에 표시되는 상품이미지를 클릭하는 경우에는 해당상품과 관련된 랜딩페이지로 연결하고, 상기 해시태그메뉴부에 표시되는 해시키워드를 클릭하는 경우에는 광고주 서버에서 제공하는 키워드 검색결과와 관련된 검색페이지로 연결되는 멀티링크 수행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천상품 표시메뉴부에 표시되는 상품이미지와 상기 해시태그메뉴부에는 표시되는 해시키워드는 상호간에 서로 연동되어 변경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을 이용한 광고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 분석단계는,
    추천상품 어날라이저(210)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에서 전달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분석기준에 따라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의 웹페이지 방문이력과 관심상품을 분석하여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의 선호도에 따른 추천상품목록을 추출하는 단계;
    연관상품 어날라이저(220)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에서 전달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분석기준에 따라 전체 사용자 디바이스의 웹페이지 방문이력과 관심상품을 포함하여 분석함으로써 전체 사용자 디바이스의 선호도에 따른 연관상품목록을 추출하는 단계;
    추천키워드 어날라이저(230)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에(100)서 전달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분석기준에 따라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의 검색키워드를 분석하여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의 검색이력에 따른 추천키워드목록을 추출하는 단계; 및
    연관키워드 어날라이저(240)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 이용정보 수집서버(100)에서 전달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분석기준에 따라 전체 사용자 디바이스의 검색키워드를 포함하여 분석함으로써 전체 사용자 디바이스의 검색이력에 따른 연관키워드목록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을 이용한 광고방법
  14. 삭제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추천상품 표시메뉴부에 표시되는 상품이미지 하나에 상기 해시태그메뉴부에 표시되는 해시키워드는 세 개이상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을 이용한 광고방법
KR1020190045118A 2019-04-17 2019-04-17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광고방법 KR102044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118A KR102044555B1 (ko) 2019-04-17 2019-04-17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광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118A KR102044555B1 (ko) 2019-04-17 2019-04-17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광고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237A Division KR102098537B1 (ko) 2019-08-05 2019-08-05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광고방법
KR1020190095234A Division KR102098535B1 (ko) 2019-08-05 2019-08-05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KR1020190095236A Division KR102098536B1 (ko) 2019-08-05 2019-08-05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555B1 true KR102044555B1 (ko) 2019-12-02

Family

ID=68847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118A KR102044555B1 (ko) 2019-04-17 2019-04-17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광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55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0142A (ko)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코이노 보이스 리딩 방법 및 그 장치
KR102369857B1 (ko) * 2021-06-17 2022-03-04 쿠팡 주식회사 광고 메시지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388138B1 (ko) 2021-05-28 2022-04-19 주식회사 코클 음향정보 분석을 통한 매칭정보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391873B1 (ko) * 2021-06-18 2022-04-29 쿠팡 주식회사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70538A (ko) 2021-06-23 2022-12-30 주식회사 코클 음향정보 분석을 통한 매칭정보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582031B1 (ko) * 2023-06-15 2023-09-22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494B1 (ko) * 2011-12-28 2014-06-13 이기섭 사용자 방문 이력을 기반으로 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19148A (ko) * 2013-08-12 2015-02-25 남희옥 적응적 제공정보 판단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25518A (ko) 2013-08-27 2015-03-11 중소기업은행 배너광고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494B1 (ko) * 2011-12-28 2014-06-13 이기섭 사용자 방문 이력을 기반으로 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19148A (ko) * 2013-08-12 2015-02-25 남희옥 적응적 제공정보 판단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25518A (ko) 2013-08-27 2015-03-11 중소기업은행 배너광고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0142A (ko)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코이노 보이스 리딩 방법 및 그 장치
KR102388138B1 (ko) 2021-05-28 2022-04-19 주식회사 코클 음향정보 분석을 통한 매칭정보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WO2022250285A1 (ko) 2021-05-28 2022-12-01 주식회사 코클 음향정보 분석을 통한 매칭정보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20170741A (ko) 2021-05-28 2022-12-30 주식회사 코클 음향정보 분석을 통한 매칭정보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369857B1 (ko) * 2021-06-17 2022-03-04 쿠팡 주식회사 광고 메시지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2265145A1 (ko) * 2021-06-17 2022-12-22 쿠팡 주식회사 광고 메시지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391873B1 (ko) * 2021-06-18 2022-04-29 쿠팡 주식회사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WO2022265142A1 (ko) * 2021-06-18 2022-12-22 쿠팡 주식회사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70538A (ko) 2021-06-23 2022-12-30 주식회사 코클 음향정보 분석을 통한 매칭정보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582031B1 (ko) * 2023-06-15 2023-09-22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555B1 (ko)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광고방법
US10127574B2 (en) Internet marketing analytics system
CN101379484B (zh) 用于向通信设备的用户展示促销内容的方法和系统
US8417569B2 (en) System and method of evaluating content based advertising
JP5662446B2 (ja) リアルタイム広告入札に対して競争評価モデルを使用するための学習システム
US20140279078A1 (en) Enriching An Advertiser's Product-Related Information
JP2001282982A (ja) Webマーケティングシステム
CN106688215A (zh) 针对内容效能优化的自动点击类型选择
US202003201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nline website lead generation service
Thomas et al. Direct and digital marketing in practice
US2014027895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ximizing online coupon and deal commissions
US20150302475A1 (en) Managing, publishing and tracking content for virtual store display windows
KR102098535B1 (ko)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WO20182130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promotion design with promotion selection
KR102238438B1 (ko) 규격화된 광고상품을 이용한 광고상품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98537B1 (ko)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광고방법
KR102098536B1 (ko)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KR101459102B1 (ko) 웹 페이지의 검색 기록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52505A (ko) 인플루언서 주도의 광고주 검색 및 광고 제안 시스템 및 그 방법
JP7276634B1 (ja) 電子棚札、電子棚札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76577B1 (ja) 販促支援システム、販促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400053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link redirection
US202400132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link redirection
JP7164062B1 (ja) 販促支援システム、販促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295338B2 (en) Dynamic affiliate marketing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