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762B1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762B1
KR102395762B1 KR1020170063978A KR20170063978A KR102395762B1 KR 102395762 B1 KR102395762 B1 KR 102395762B1 KR 1020170063978 A KR1020170063978 A KR 1020170063978A KR 20170063978 A KR20170063978 A KR 20170063978A KR 102395762 B1 KR102395762 B1 KR 102395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disposed
light
support member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8628A (ko
Inventor
심지인
김민지
이유원
윤수광
임현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3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762B1/ko
Publication of KR20180128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제 1 홈 및 제 2 홈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 상기 제 1 홈의 내부에 배치되는 차광 부재; 상기 제 2 홈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 내부로 광을 출사하는 광원; 상기 지지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데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반사 부재와 마주보는 제 1 면 및 상기 인쇄 부재와 마주보는 제 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은 상기 제 1 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홈은 상기 제 1 홈보다 상기 제 1 면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 1 면 상에서 상기 제 1 홈과 상기 제 2 홈 사이에 배치되는 패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APPARATUS}
실시예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면 조명은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제품에 이용된다. 예를 들어, 색감이 중요한 화실이나 박물관 등의 장소, 시각적인 효과가 중요한 거실이나 주방 또는 음식점 등의 장소, 자동차나 버스 등 차량 내부의 면 조명, 상업용 건물 조명의 레스토랑/백화점/전시점/편의점 등의 장소에 형광등이나 일반적인 조명 장치를 대신하여 인테리어적인 측면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면 조명은,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도광판, 반사 시트 및 확산 시트를 통해,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수직 방향으로 출사될 수 있다.
이러한 면 조명 상에 패턴 등을 형성하여, 외부에서 상기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에 의해 패턴을 시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면 조명은 상기 도광판, 반사 시트 및 확산 부재 등을 고정하는 외부의 고정 부재에 의해 수용되고, 상기 고정 부재의 상부에 투과 또는 반투과 원단 등을 배치하여, 외부로 광을 출사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광판, 반사 시트, 확산 부재 및 고정 부재 등 다양한 구성을 통해 투광 원단으로부터 외부로 광이 출사되기에 투광 원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 등에 의해 슬림한 두께의 조명 장치를 구현하는 것에 제약이 따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조명 장치가 요구된다.
실시예는 슬림한 두께를 구현할 수 있고, 향상된 휘도를 가질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제 1 홈 및 제 2 홈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 상기 제 1 홈의 내부에 배치되는 차광 부재; 상기 제 2 홈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 내부로 광을 출사하는 광원; 상기 지지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데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반사 부재와 마주보는 제 1 면 및 상기 인쇄 부재와 마주보는 제 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은 상기 제 1 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홈은 상기 제 1 홈보다 상기 제 1 면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 1 면 상에서 상기 제 1 홈과 상기 제 2 홈 사이에 배치되는 패턴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지지 부재의 내부에 광원 및 차광 부재를 삽입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지지 부재의 일면에 홈 또는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홀 또는 홈의 내부에 상기 광원 및 상기 차광 부재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도광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도광 영역에는 복수 개의 패턴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광원 및 상기 차광 부재의 지지 역할과 함께 도광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도광판을 생략할 수 있고, 광원 및 차광 부재를 접착하기 위한 층들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 장치의 두께를 슬림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의 이동 경로를 감소시킴으로써, 광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향상된 휘도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지지 부재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지지 부재의 다른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B-B'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지지 부재의 또 다른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C-C'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지지 부재의 또 다른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D-D'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지지 부재의 또 다른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E-E'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데코 부재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F-F'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 상에 투광 부재가 배치되는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장치가 차량에 적용되어 동작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장치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000)는 바텀 케이스(100), 지지 부재(200), 반사 부재(300), 데코 부재(400), 광원(500) 및 차광 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텀 케이스(100)는 상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텀 케이스(100)는 상기 지지 부재(200), 상기 반사 부재(300) 및/또는 상기 광원(500) 등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바텀 케이스(10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케이스(100)는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적용 분야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상기 바텀 케이스(100)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에 대해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바텀 케이스(100)는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적용 분야에 따라, 원형, 타원형 등으로 형성되거나 삼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200)는 광을 투과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 부재(200)는 광 투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200)는 투명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200)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 부재(200)는 투명한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200)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의 투명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200)는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 부재(200)는 조명 장치의 적용 분야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지지 부재(200)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원형, 타원형으로 형성되거나, 삼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 부재(200)의 두께는 약 0.5㎜ 이상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지지 부재(200)의 두께는 약 0.5㎜ 내지 약 5㎜ 일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200)의 두께가 약 0.5㎜ 미만인 경우 상기 지지 부재를 통해 충분하게 광을 상방으로 출사시킬 수 없어 휘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200)의 두께가 약 5㎜을 초과하는 경우, 조명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가 증가되어 슬림한 조명 장치의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 부재(200)는 복수 개의 수용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지지 부재(200)에는 홈 및/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들은 홀 및/또는 홈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지지 부재(200)의 일면 상에는 복수 개의 홈 및/또는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 및/또는 홀들에는 상기 광원(500) 및 상기 차광 부재(60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 부재(200)에는 복수 개의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지지 부재(200)는 상기 반사 부재(200)와 마주보는 제 1 면(1S) 및 상기 제 1 면(1S)과 반대되는 즉, 상기 데코 부재(400)와 마주보는 제 2 면(2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들은 상기 제 1 면(1S)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홈들은 상기 제 1 면(1S)은 관통하고, 상기 제 2 면(2S)은 관통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홈들은 제 1 홈(G1) 및 제 2 홈(G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은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제 1 홈(G2)보다 상기 제 1 면(1S)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홈(G1)의 내부에는 차광 부재(60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홈(G2)의 내부에는 광원(5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홈(G1)은 상기 지지 부재(200)의 제 1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며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홈(G1)은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폐루프 형상은 원형, 타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삼각형, 사각형 형상 등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홈(G1)은 제 1 영역(G1a), 제 2 영역(G1b), 제 3 영역(G1c) 및 제 4 영역(G1d)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 부재(200)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제 1 영역(G1a), 상기 제 2 영역(G1b), 상기 제 3 영역(G1c) 및 상기 제 4 영역(G1d)은 각각 상기 지지 부재(200)의 4개의 측면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G1a), 상기 제 2 영역(G1b), 상기 제 3 영역(G1c) 및 상기 제 4 영역(G1d)은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기 위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G1a)과 상기 제 2 영역(G2b)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영역(G1c)과 상기 제 4 영역(G1d)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제 1 홈(G1)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제 1 영역(G1a), 상기 제 2 영역(G1b), 상기 제 3 영역(G1c) 및 상기 제 4 영역(G1d)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제 1 홈(G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제 1 영역(G1a)과 상기 제 2 영역(G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제 3 영역(G1c)과 상기 제 4 영역(G1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제 1 홈(G1)에 의해 둘러싸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제 1 영역(G1a), 상기 제 2 영역(G1b), 상기 제 3 영역(G1c) 및 상기 제 4 영역(G1d)에 의해 둘러싸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홈(G2)의 내부에는 상기 광원(5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500)은 상기 제 2 홈(G2)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광원(500)은 상기 제 2 홈(G2)의 내부를 부분적으로 메우면서 삽입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광원(500)은 상기 제 2 홈(G2)의 내부를 완전히 메우면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광원(500)은 상기 제 2 홈(G2)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 부재(200)의 내부로 광을 출사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홈(G2)의 내부에는 수지 부재(80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수지 부재(800)는 상기 제 2 홈(G2)의 내부에는 상기 광원(500)과 상기 제 2 홈(G2)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지 부재(800)는 상기 광원(500)이 상기 제 2 홈(G2)의 내부에 배치될 때 상기 광원(500)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부재(800)가 완충 역할 등의 보호 역할을 할 수 있어, 외부 충격 등에 의한 상기 광원(500)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광원(500)은 인쇄회로기판(5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50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550)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500)은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50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550)을 통하여 구동신호를 인가받아 구동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광원(500)은 상기 바텀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바텀 케이스를 사출 성형하기 전에, 바텀 케이스의 일면에 회로 전극 패턴 등을 형성한 후, 사출 성형하여, 바텀 케이스(100)와 인쇄회로기판을 일체화할 수 있다.
상기 광원(500)은 상기 전극 패턴과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광원(500)은 인쇄회로기판과 일체화된 상기 바텀 케이스(100)의 일면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인쇄회로기판을 생략할 수 있어, 인쇄회로기판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 확보 등에 따른 디자인 자유도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광원(500)은 LE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광원(500)은 백열 전구, 램프, 수은 램프, 방전관, 네온 램프, 전구 등 광 에너지를 생성하는 다양한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500)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여러 가지 색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광원의 색 변화에 따라서 발광부에 나타나는 빛의 색상도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상기 광원(500)의 휘도값 범위(기본 BLU상에서의 값)은 6,000nit에서 13,000nit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최적의 값은 9,000nit에 해당한다. 주간 시인성을 고려할 때, 하한값은 6,000nit 이상 확보하여야 한다. 이는 광원의 원단 투과율(약 5~10%)을 적용하면 300~600Cd/m2(nit)가 되고, 최소한 300nit 이상을 확보하여야 주간 시인성이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발열을 고려할 때, 상한값은 13,000nit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이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LED BLU의 휘도값이 대략 12,000nit이므로 이를 초과하게 되면 발열 문제가 커지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광원(500) 휘도값의 최적 범위는 6,000nit에서 10,000nit의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원단 투과율을 향상하는 경우 주간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적정 광량이 6,000nit 전후이기 때문이며, 광량이 높아질수록 가독성의 향상이 가능하지만 10,000nit 이상에서는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광원 휘도값의 최적 값은 9,000nit이다. 이는 원단과 경고등 표시 필름(실사필름)을 적용하는 경우, 약 300nit의 광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원단 및 구조의 최적화를 고려하여 적절한 값을 확보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광원(500)은 단독으로 광을 출사하거나 또는 별도의 광 전달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광 전달 부재를 통해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원(500)은 광 섬유 등의 광 전달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 부재(200)의 내부로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상기 차광 부재(600)는 상기 제 1 홈(G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광 부재(600)는 상기 제 1 홈(G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차광 부재(600)는 상기 제 1 홈(G1)의 내부를 부분적으로 메우면서 삽입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차광 부재(600)는 상기 제 1 홈(G1)의 내부를 완전히 메우면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홈(G2)의 내부에는 수지 부재(80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수지 부재(800)는 상기 제 1 홈(G2)의 내부에는 상기 차광 부재(600)와 상기 제 1 홈(G1)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지 부재(800)는 상기 차광 부재(600)가 상기 제 1 홈(G1)의 내부에 배치될 때 상기 차광 부재(600)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부재(800)가 완충 역할 등의 보호 역할을 할 수 있어, 외부 충격 등에 의한 상기 차광 부재(600)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광 부재(600)는 상기 광원(500)을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광 부재(600)는 상기 광원(500)을 특정 영역에만 출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 부재(200) 상에 배치되는 데코 부재(400)에 복수 개의 아이콘 영역들이 형성될 때 상기 광원(500)에서 출사되는 광이 특정 아이콘 영역 또는 특정 아이콘 영역들에만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광 부재(600)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광 부재(600)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광 부재(600)는 상기 제 1 홈(G1)의 형상과 대응되는 지그(gig)를 삽입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홈(G1)의 내부에 수지 물질을 충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광 부재(600)는 불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광 부재(600)는 유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차광 부재(600)는 검정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광 부재(600)의 투과율을 낮을 수 있다. 상기 차광 부재(600)의 투과율은 약 1% 이하일 수 있다. 즉, 상기 차광 부재(600)의 차광율은 약 99% 이상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 부재(200)에는 도광 영역(LA) 및 상기 비도광 영역(NLA)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도광 영역(LA)은 상기 광원(500)에서 출사되는 광이 상기 지지 부재(200)의 상방으로 출사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도광 영역(NLA)은 상기 광원(500)에서 출사되는 광이 입사되지 않거나, 입사된 광이 상기 지지 부재(200)의 상방으로 출사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도광 영역(LA)에는 패턴부(P)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도광 영역(LA)에는 복수 개의 패턴부(P)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P)는 상기 지지 부재(20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패턴부(P)는 상기 지지 부재(200)의 제 1 면(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패턴부(P)는 상기 지지 부재(200)의 상기 제 1 면(S1) 및 상기 제 2 면(S2) 사이에서 상기 지지 부재(200)의 제 1 면(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P)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패턴부(P)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대해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에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패턴부(P)는 반구형 등의 곡면을 포함하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P)는 상기 지지 부재(200)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부(P)는 상기 지지 부재(200)와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부(P)는 상기 지지 부재(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P)는 상기 지지 부재(200)와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P)들의 간격은 균일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패턴부(P)들의 간격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턴부(P)들의 간격은 상기 광원에서 멀어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또는, 상기 패턴부(P)들의 간격은 상기 광원에서 멀어질수록 커질 수 있다,
상기 패턴부(P)는 상기 제 2 홈(G2) 내부의 상기 광원(500)에서 출사되는 광을 상기 지지 부재(200)의 상면 방향으로 출사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광원(500)에서 출사되는 광은 상기 패턴부(P)를 통해 상기 지지 부재(200)의 상기 제 2 면(S2) 방향으로 전반사될 수 있다.
즉, 홈들을 포함하는 상기 지지 부재(200)는 상기 차광 부재(600) 및 상기 광원(500)을 수용 및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도광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 부재(200)에는 복수 개의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지지 부재(200)는 상기 반사 부재(200)와 마주보는 제 1 면(1S) 및 상기 제 1 면(1S)과 반대되는 즉, 상기 데코 부재(400)와 마주보는 제 2 면(2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들은 상기 제 1 면(1S) 및 상기 제 2 면(2S)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들은 제 1 홀(H1) 및 제 2 홀(H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홀(H1) 및 상기 제 2 홀(H2)은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홀(H2)은 상기 제 1 홀(H1)보다 상기 제 1 면(1S)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홀(H1)의 내부에는 차광 부재(60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홀(H2)의 내부에는 광원(5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홀(H1)은 상기 지지 부재(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며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홀(H1)은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폐루프 형상은 원형, 타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삼각형, 사각형 형상 등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홀(G1)은 제 1 영역(H1a), 제 2 영역(H1b), 제 3 영역(H1c) 및 제 4 영역(H1d)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 부재(200)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제 1 영역(H1a), 상기 제 2 영역(H1b), 상기 제 3 영역(H1c) 및 상기 제 4 영역(H1d)은 각각 상기 지지 부재(200)의 4개의 측면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H1a), 상기 제 2 영역(H1b), 상기 제 3 영역(H1c) 및 상기 제 4 영역(H1d)은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기 위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H1a)과 상기 제 2 영역(H2b)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영역(H1c)과 상기 제 4 영역(H1d)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홀(H2)은 상기 제 1 홀(H1)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홀(H2)은 상기 제 1 영역(H1a), 상기 제 2 영역(H1b), 상기 제 3 영역(H1c) 및 상기 제 4 영역(H1d)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홀(H2)은 상기 제 1 홀(H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홀(H2)은 상기 제 1 영역(H1a)과 상기 제 2 영역(H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홀(H2)은 상기 제 3 영역(H1c)과 상기 제 4 영역(H1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홀(H2)은 상기 제 1 홀(H1)에 의해 둘러싸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홀(H2)은 상기 제 1 영역(H1a), 상기 제 2 영역(H1b), 상기 제 3 영역(H1c) 및 상기 제 4 영역(H1d)에 의해 둘러싸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광 부재(600) 및 상기 광원(500)은 상기 제 1 홀(H1) 및 상기 제 2 홀(H2)에 각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차광 부재(600)는 상기 제 1 홀(H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차광 부재(600)는 상기 제 1 홀(H1)을 모두 메우면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차광 부재(600)는 상기 제 1 홀(H1)을 부분적으로 메우면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차광 부재(600)와 상기 제 1 홀(H1)의 내측면 사이에는 수지 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차광 부재(600)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500)은 상기 제 2 홀(H2)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광원(500)은 상기 제 2 홀(H2)을 모두 메우면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광원(500)은 상기 제 2 홀(H2)을 부분적으로 메우면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광원(500)과 상기 제 2 홀(H2)의 내측면 사이에는 수지 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광원(500)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 부재(200)는 홀 및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 부재(200)는 홀(H) 및 홈(G)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지지 부재(200)는 상기 차광 부재(600)가 삽입되는 홀(H) 및 상기 광원(500)이 삽입되는 홈(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H)은 상기 지지 부재(200)의 제 1 면(S1) 및 상기 제 2 면(S2)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G2)은 상기 지지 부재(200)의 제 1 면(S1)을 관통하고, 상기 제 2 면(S2)은 관통하지 않으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H)은 상기 지지 부재(200)의 측면과 대응되는 제 1 영역(Ha), 제 2 영역(Hb), 제 3 영역(Hc) 및 제 4 영역(H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Ha), 상기 제 2 영역(Hb), 상기 제 3 영역(Hc) 및 상기 제 4 영역(Hd)은 서로 연결되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Ha), 상기 제 2 영역(Hb), 상기 제 3 영역(Hc) 및 상기 제 4 영역(Hd)은 상기 홈(G)을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 부재(200)는 홀(H) 및 홈(G)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지지 부재(200)는 상기 차광 부재(600)가 삽입되는 홈(G) 및 상기 광원(500)이 삽입되는 홀(H)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G)은 상기 지지 부재(200)의 측면과 대응되는 제 1 영역(Ga), 제 2 영역(Gb), 제 3 영역(Gc) 및 제 4 영역(G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Ga), 상기 제 2 영역(Gb), 상기 제 3 영역(Gc) 및 상기 제 4 영역(Gd)은 서로 연결되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Ga), 상기 제 2 영역(Gb), 상기 제 3 영역(Gc) 및 상기 제 4 영역(Gd)은 상기 홀(H)을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500)이 배치되는 홀 또는 홈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 부재(200)는 상기 지지 부재(200)의 측면의 가장 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홈(G)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G)은 상기 지지 부재(200)의 측면과 대응되는 제 1 영역(Ga), 제 2 영역(Gb), 제 3 영역(Gc) 및 제 4 영역(G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200)는 상기 홈들에 의해 둘러싸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홀은 제 1 홀(H1) 및 제 2 홀(H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홀(H1) 및 상기 제 2 홀(H2)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홀(H1) 및 상기 제 2 홀(H2)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홀(H1)은 상기 제 1 영역(Ga)과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2 홀(H2)은 상기 제 2 영역(Gb)과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홀(H1)은 상기 제 3 영역(Gc)과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2 홀(H2)은 상기 제 4 영역(Gd)과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광 영역(LA)은 상기 제 1 홀(H1)과 상기 제 2 홀(H2) 사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부(P)는 상기 제 1 홀(H1)과 상기 제 2 홀(H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광원이 배치되는 2개의 홀들에 대해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2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원의 종류, 조명 장치의 용도 등에 따라, 상기 광원(500)이 배치되는 홈들의 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량이 많이 요구되는 조명 장치의 경우에는 하나의 제 2 홈 만을 포함할 수 있고, 광량이 적게 요구되는 조명 장치의 경우에는 복수 개의 제 2 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300)는 상기 지지 부재(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300)는 상기 지지 부재(200)의 하부면으로 출사되는 광을 상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300)는 반사 시트일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300)는 상기 지지 부재(20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 부재(200)는 접착층을 통해 상기 지지 부재(200)와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데코 부재(400)는 상기 지지 부재(2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데코 부재(400)는 기재(410) 및 상기 기재(410) 상의 데코층(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코층은 상기 기재(4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코층(420)은 상기 지지 부재(200)와 상기 기재(4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재(410)는 투광 패턴 영역(PA) 및 차광 패턴 영역(NPA)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재(410)는 아이콘 영역(IA)과 중첩되는 상기 투광 패턴 영역(P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광 패턴 영역(PA)은 로고 및/또는 아이콘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에 의해 외부에서 상기 투광 패턴 영역(PA)의 형상을 시인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투광 패턴 영역(PA)의 형상은 상기 아이콘 영역(IA)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데코층(420)은 제 1 데코층(420a) 및 제 2 데코층(420b)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데코층(420)은 상기 투광 패턴 영역(PA) 상에 배치되는 제 1 데코층(420a) 및 상기 차광 패턴 영역(NPA) 상에 배치되는 제 2 데코층(42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데코층(420a)은 광을 투과할 수 있고, 상기 제 2 데코층(420b)은 광이 투과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데코층(420a) 및 상기 제 2 데코층(420b)은 서로 다른 색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데코층(420a)은 유색 잉크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제 2 데코층(420b)은 광이 투과되지 않도록 블랙 또는 화이트 잉크 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데코층(420a) 및 상기 제 2 데코층(420b)은 모두 광을 투과할 수 있다. 상기 제 1 데코층(420a)의 광 투과율이 상기 제 2 데코층(420a)의 광 투과율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하여 상기 제 1 데코층(420a) 및 상기 제 2 데코층(420b)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데코층(420a)은 유색잉크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제 2 데코층(420b)에 유색 잉크를 사용하거나, 상기 제 1 데코층(420a) 및 상기 제 2 데코층(420b)에 모두 유색 잉크를 사용하면서 상기 제 1 데코층(420a)의 광 투과율을 상기 제 2 데코층(420b)의 광 투과율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1 데코층(420a) 및/또는 상기 제 2 데코층(420b)은 잉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데코층(420a) 및/또는 상기 제 2 데코층(420b)은 안료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데코층(420a) 및/또는 상기 제 2 데코층(420b)은 산란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데코층(420a) 및/또는 상기 제 2 데코층(420b)은 안료 및 산란 물질을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잉크 조성물은 확산 잉크일 수 있다.
상기 잉크 조성물은 상기 안료 및 상기 산란 물질을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잉크 조성물은 알코올계 또는 물을 포함하는 용매에 상기 안료 및 상기 산란 물질을 투입하여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란 물질을 상기 용매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별도의 분산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상기 잉크 조성물에 색을 구현하기 위해 투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료는 상기 투광 패턴 영역(PA) 및 차광 패턴 영역(NPA)에 구현하고자 하는 색에 따라 청색, 노란색 또는 빨간색 등 다양한 색을 구현하는 안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란 물질은 확산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산란 물질은 이산화규소(SiO2) 및 이산화티탄(TiO2) 중 적어도 하나의 확산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투광 패턴 영역(PA)을 통과하는 광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원(500)에서 출사되는 광은 상기 제 1 데코층(420a)을 투과하여, 상기 아이콘 영역(IA) 방향으로 광을 출사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실시예예 따른 조명 장치는 원단 부재(700)와 결합되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원단 부재(700)는 상기 데코 부재(4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원단 부재(700)는 광을 투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단 부재는 광을 투과하거나 또는 반투과할 수 있다.
상기 원단 부재(700)의 광 투과율은 약 3%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원단 부재(700)의 광 투과율이 3% 미만인 경우 광원의 밝기를 높여야 하므로 발열에 따라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고, 광 투과율이 30%를 초과하는 경우 원단의 뒷부분이 시인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원단 부재(700)의 광 투과율은 약 5% 내지 15%일 수 있다. 이는 투과율이 5% 미만인 경우 시인성이 떨어지게 되며, 투과율이 20% 이상인 경우 조명 장치의 밝기를 조절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가 차량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원단 부재(700)가 배치된 상태에서 200 내지 600 nit의 휘도를 가질 수 있다. 휘도는 조명 장치의 밝기를 의미하며, 휘도가 높을 수록 더 밝은 화면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날씨가 흐린 경우는 주간 시인성이 최소 200nit 이상, 날씨가 맑은 경우 주간 시인성이 최소 300nit 이상이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발광부가 600nit를 초과하는 휘도를 가지는 경우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으며, 광원의 발열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문제점이 생긴다. 따라서,
또한, 상기 원단 부재(700)는 면, 마, 모, 비단, 석면 등 천연 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알코올섬유, 폴리아미드섬유, 폴리에스테르섬유, 아크릴섬유, 나일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라이트, 폴리아크릴로니크릴,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알킬파라옥시벤조레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등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합성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지지 부재의 내부에 광원 및 차광 부재를 삽입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지지 부재의 일면에 홈 또는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홀 또는 홈의 내부에 상기 광원 및 상기 차광 부재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도광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도광 영역에는 복수 개의 패턴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광원 및 상기 차광 부재의 지지 역할과 함께 도광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도광판을 생략할 수 있고, 광원 및 차광 부재를 접착하기 위한 층들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 장치의 두께를 슬림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의 이동 경로를 감소시킴으로써, 광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향상된 휘도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가 적용되는 가전 장치의 적용예를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에어컨의 제어부에 적용될 수 있다. 자세하게, 실시예에 따른 터치 조명 장치는 에어컨의 제어부에 적용되어, 바람세기, 온도 및 시간 등을 제어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자세하게, 실시예에 따른 터치 조명 장치는 냉장고의 제어부에 적용되어, 온도 및 시간 등을 제어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세탁기에 적용될 수 있다. 자세하게, 실시예에 따른 터치 조명 장치는 세탁기의 제어부에 적용되어, 시간, 기능 등을 제어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가 적용되는 차량의 적용예를 설명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자동차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또는, 자동차 내부 또는 외부에서 조명 장치로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세하게,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장치 상에 원단 부재가 배치됨에 따라, 조명 장치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외부에서 조명 장치의 패턴이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장치는 자동차에 구비된 장치의 사용 여부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부재는 자동차 차문 개폐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될 수 있으며, 자동차의 안전 벨트 착용 유무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자동차(270)의 차문(271)이 열리는 경우, 조명 장치(1000)가 온(on)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고, 주기적으로 점멸할 수도 있고,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변화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기 설정한 동작에 따라서 조명 장치가 발광할 수 있다.
또한, 도 20을 참조하면, 자동차(270)의 안전벨트(272)가 착용된 경우 조명 장치(1000)가 오프(off)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안전벨트(272)가 착용되지 않은 경우 조명 장치가 온(on) 상태로 변화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기 설정한 동작에 따라서 조명 장치가 발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주행 중에 자동차 차문이 열리거나 자동차의 안전벨트 미착용을 한번에 알아채고, 그에 대한 대응책을 빠르게 세울 수 있어, 자동차의 안전 주행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반적인 계기판에는 수 cm 가량의 작은 크기이기 때문에 운전자 또는 보조운전자가 쉽게 알아차릴 수 없지만,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크기에 관계없이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가니시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니시는 차량 내부 및 외부의 외관을 차체와 일체감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부재일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000)는 하부 가니시(2100) 및 상부 가니시(2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가니시(2100) 및 상기 상부 가니시(2200)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가니시(2100) 및 상기 상부 가니시(2200)는 플렉서블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가니시(2100) 및 상기 상부 가니시(2200)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별도의 상기 하부 가니시 없이, 상기 상부 가니시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니시는 반투명 또는 투명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니시가 투명한 경우, 상기 상부 가니시 상에 실시예의 원단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니시가 반투명 한 경우, 상기 원단부재가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가니시의 광 투과율은 3% 내지 3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장치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터치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30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000)은 상기 조명 장치(100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조명 장치의 상부 또는 하부에 직접 배치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상부 가니시(2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내부에서 터치 동작에 따라, 상기 조명 장치의 온/오프 기능 등 다양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바텀 케이스(100);
    상기 바텀 케이스(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 1 홈(G1) 및 제 2 홈(G2)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200);
    상기 제 1 홈(G1)의 내부에 배치되는 차광 부재(600);
    상기 제 2 홈(G2)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200) 내부로 광을 출사하는 광원(500);
    상기 지지 부재(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 부재(300); 및
    상기 지지 부재(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데코 부재(40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200)는 상기 반사 부재(300)와 마주보는 제 1 면(1S) 및 인쇄 부재와 마주보는 제 2 면(2S)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홈(G1) 및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제 1 면(1S)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홈(G2)은 상기 제 1 홈(G1)보다 상기 제 1 면(1S)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200)는 상기 제 1 면(1S) 상에서 상기 제 1 홈(G1)과 상기 제 2 홈(G2)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턴부(P)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홈(G1)의 내측면과 상기 차광 부재(600) 사이 및 상기 제 2 홈(G2)의 내측면과 상기 광원(500) 사이에는 수지 부재(800)가 배치되고,
    상기 차광 부재(600)의 전면은 상기 제 1 홈(G1) 내부에서 상기 수지 부재(800)와 접촉하고,
    상기 광원(500)의 전면은 상기 제 2 홈(G2) 내부에서 상기 수지 부재(800)와 접촉하고,
    상기 수지 부재(800)의 두께는 상기 차광 부재(600) 및 상기 광원(500)의 두께보다 작고,
    상기 지지 부재(200)의 두께는 0.5㎜ 내지 5㎜이고,
    상기 복수의 패턴부(P)들의 간격은 상기 광원(500)에서 멀어지면서 커지는 조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은 상기 지지 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며 형성되는 조명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은 상기 제 2 홈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조명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케이스의 일면에는 전극 패턴이 배치되고,
    상기 광원은 상기 전극 패턴과 접촉하며 배치되는 조명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63978A 2017-05-24 2017-05-24 조명 장치 KR102395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978A KR102395762B1 (ko) 2017-05-24 2017-05-24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978A KR102395762B1 (ko) 2017-05-24 2017-05-24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628A KR20180128628A (ko) 2018-12-04
KR102395762B1 true KR102395762B1 (ko) 2022-05-10

Family

ID=64669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978A KR102395762B1 (ko) 2017-05-24 2017-05-24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7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155A (ko) * 2021-07-13 2023-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가전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745B1 (ko) 2013-10-24 2015-01-02 주식회사 현도산업 도로 표지판용 백라이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6608B2 (ja) * 2003-10-31 2009-03-11 シャープ株式会社 リフレクタ、光源装置、及び投射型表示装置
KR100882801B1 (ko) * 2007-04-25 2009-02-09 박휴완 도광판 조명장치
KR102085256B1 (ko) * 2012-12-17 2020-03-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면광원
KR101971692B1 (ko) * 2012-12-17 2019-04-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조명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745B1 (ko) 2013-10-24 2015-01-02 주식회사 현도산업 도로 표지판용 백라이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628A (ko) 201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0537B2 (ja) 照明装置
WO2014129577A1 (ja) 表示装置
KR101796709B1 (ko) 테두리 발광 디스플레이장치
JP2016141358A (ja) 内装部品
KR102395762B1 (ko) 조명 장치
JP2018080954A (ja) 表示装置
CN112930276B (zh) 带有能光学激活的符号本体的面光装饰元件
KR20170031572A (ko) 면 조명 장치
KR20180018645A (ko) 차량용 도어의 무드 조명 장치
JP6600989B2 (ja) 照明装置
KR102488598B1 (ko) 조명 장치
WO2020121655A1 (ja) 車両ボディ用表示装置
JP4366682B2 (ja) 液晶表示装置
KR102679248B1 (ko) 조명 장치
JP2002240626A (ja) 車両用ドアレバー装置
KR102659684B1 (ko) 조명 장치
CN215674848U (zh) 工控装置
JPH0822256A (ja) Led表示装置
KR102490945B1 (ko) 조명 장치
CN211827944U (zh) 可变换背景色的led显示屏
CN217485033U (zh) 显示设备、人机交互系统及家用电器
CN220632009U (zh) 一种应用于清洁机器人的新型显示屏结构
JP7139140B2 (ja) 車両用照明装置、車両用灯具、車両用灯具付きウィンドウパネル、車載ディスプレイ
KR20180088088A (ko) 조명 장치
KR20170132045A (ko)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