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115B1 -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115B1
KR102395115B1 KR1020190042956A KR20190042956A KR102395115B1 KR 102395115 B1 KR102395115 B1 KR 102395115B1 KR 1020190042956 A KR1020190042956 A KR 1020190042956A KR 20190042956 A KR20190042956 A KR 20190042956A KR 102395115 B1 KR102395115 B1 KR 102395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body portion
body part
hois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0275A (ko
Inventor
김희영
Original Assignee
김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영 filed Critical 김희영
Priority to KR1020190042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115B1/ko
Publication of KR20200120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는, 제1 몸체부; 제1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제1 몸체부와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러지면서 이동하여, 제1 몸체부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변할 수 있는 제2 몸체부; 제1 몸체부에 대해 제2 몸체부의 상대적 위치가 특정한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하는 힘을 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고, 제2 몸체부는, 상기 제2몸체부에 형성되고, 호이스트와 연결될 수 있는 호이스트 연결부; 상기 제2몸체부에 형성된 이송보조장치 후크; 를 포함하고, 호이스트 연결부를 제1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여서, 제2 몸체부가 제1 몸체부와 접촉한 상태에서의 움직임에 따라, 카트리지 삽입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는 카트리지의 인양 러그와 상기 이송보조장치 후크의 상대적 위치가 달라져서, 호이스트 연결부를 위로 움직일 때 상기 이송보조장치 후크가 카트리지의 인양 러그에 걸리는지 여부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AUXILIARY APPARATUS FOR CARRYING CATRIDGE}
본 발명은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트리지를 호이스트에 쉽게 연결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활성탄이 사용될 수 있다.
활성탄(活性炭, Activated carbon)은 주 성분이 탄소이며 다공성이므로, 표면적이 넓어 흡착성이 강하다.
특허문헌 1은 활성탄을 공기 정화에 사용하는 예이다.
반도체 생산 공장에서는 대량의 강산 공기(강산 성분이 포함된 공기)가 발생하는데, 이 강산 공기는 다량의 활성탄이 포함된 필터로 정화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다량의 활성탄을 오래 사용한 후 오염된 활성탄을 새로운 활성탄으로 교체할 때, 활성탄 저장 공간 내에서 사람이 삽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오염 활성탄을 퍼낸다면 강산 성분으로 인해 사람의 건강을 해칠 수도 있다. 따라서 활성탄 교체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활성탄 알갱이들을 카트리지 형태의 몸체에 담아서 사용한다면, 오염된 활성탄을 좀 더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활성탄을 포함하는 카트리지의 예이고, 도 2는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삽입 프레임에 삽입한 상태의 예이다.
도 1의 카트리지에서는, 카드리지 내부에 활성탄(또는 활성탄 알갱이)가 들어 있고, 카트리지의 앞면과 뒷면에는 메쉬망(120)(격자 모양의 망)이 있어서, 공기는 통과할 수 있지만 내부의 활성탄은 카트리지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한다.(이 '카트리지'는 '필터 카트리지'라고 부를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는 간단하게 '카트리지'라고 부른다.)
도 1의 카트리지(100)에는 카트리지를 용이하게 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부 오목부에 인양 러그(110)('인양 러그'를 '인용 손잡이'라고 부를 수도 있다)가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 상부에 오목부가 형성된 이유는 여러개의 카트리지가 적층될 때 아래쪽 카트리지의 인양 러그가 위쪽 카트리지의 하부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 2에서와 같이, 다수의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삽입 프레임(200)('카트리지 삽입 프레임'을 '필터 카트리지 삽입 프레임'이라고 할 수도 있다)의 삽입구(210)를 통해 삽입한 상태에서,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오염된 공기를 흡입시키면, 카트리지를 통과한 공기는 정화가 된 후 카트리지의 반대쪽으로 배출된다.
카트리지 삽입 프레임의 삽입구(210)는 카트리지 삽입 프레임(200)의 위쪽에 막혀 있지 않은 공간으로서, 이 삽입구(210)를 통해 카트리지(100)를 카트리지 삽입 프레임(200)에 삽입할 수 있다.
카트리지의 오랜 사용으로 카트리지 내부의 활성탄이 오염되면, 사용한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삽입 프레임의 위쪽으로 꺼낸 후, 새로운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삽입 프레임의 위쪽 방향에서 삽입하면 된다.
카트리지에는 호이스트(hoist, 무거운 물체를 주로 상하로 이동시키는 데 사용하는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옮기기 편하도록 인양 러그가 형성되어 있지만, 호이스트를 인양 러그에 거는 작업은 용이하지 않다. 카트리지 삽입 프레임의 내부는 산성 물질로 오염되어 있어서 사람이 들어가기 힘든 작업공간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작업 공간에는 전력 공급선을 연결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서, 자동으로 호이스트의 후크(hook)를 인양 러그에 거는 장치를 개발하기도 어렵다. 또한 전기를 이용하는 복잡한 구조의 장치는 고장이 나기 쉬운데, 위와 같은 작업 공간의 특성상 그러한 장치의 수리가 어렵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1-0058569 A (공개일: 2001.07.0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는 하는 과제는, 카트리지 삽입 프레임의 내부에서 카트리지를 호이스트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는, 제1 몸체부; 제1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제1 몸체부와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러지면서 이동하여, 제1 몸체부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변할 수 있는 제2 몸체부; 제1 몸체부에 대해 제2 몸체부의 상대적 위치가 특정한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하는 힘을 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고, 제2 몸체부는, 상기 제2몸체부에 형성되고, 호이스트와 연결될 수 있는 호이스트 연결부; 상기 제2몸체부에 형성된 이송보조장치 후크; 를 포함하고, 호이스트 연결부를 제1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여서, 제2 몸체부가 제1 몸체부와 접촉한 상태에서의 움직임에 따라, 카트리지 삽입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는 카트리지의 인양 러그와 상기 이송보조장치 후크의 상대적 위치가 달라져서, 호이스트 연결부를 위로 움직일 때 상기 이송보조장치 후크가 카트리지의 인양 러그에 걸리는지 여부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몸체부의 하부에는 제2 몸체부 바퀴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의 측면에는 제1 몸체부 바퀴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2개이고, 상기 2개의 스프링이 제2 몸체부에 가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은, 카트리지 삽입 프레임 내부에서 카트리지를 호이스트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활성탄을 포함하는 카트리지의 예
도 2는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삽입 프레임에 삽입한 상태의 예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카트리지를 이동시키는 모습의 예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카트리지를 들어올리는 모습의 예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카트리지를 내려놓는 모습의 예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의 하나의 실시예인 도 3, 도 4의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는, 제1 몸체부(300), 제2 몸체부(400), 제1 스프링(510), 제2 스프링(520)를 포함한다.
제1 몸체부(300)의 측면에는 8개의 제1 몸체부 바퀴(3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8개의 제1 몸체부 바퀴(310)는 4 방향의 측면으로 각각 2개 씩 형성되어 있다.
제1 몸체부(300)는 카트리지 삽입 프레임(200)의 삽입구(210)에 삽입될 때, 제1 몸체부(300)의 길이와 폭이 삽입구(210)의 길이의 폭과 일치하여(또는 거의 일치하여), 제 1 몸체부(300)가 삽입구(210) 안으로 이동할 때 삽입구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삽입구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제1 몸체부 바퀴(310)는 제1 몸체부(300)가 삽입구(210) 안으로 이동할 때, 카트리지 삽입 프레임(200)과 마찰이 적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즉 제1 몸체부(300)가 카트리지 삽입 프레임(200)과 닿은 상태에서 이동하더라도, 제1 몸체부(300)의 측면에 형성된 제1 몸체부 바퀴(310)가 회전하여 마찰이 적어지도록 한다.
제2 몸체부(400)의 하부에는 제2 몸체부 바퀴(410)가 형성되어 있어서, 제2 몸체부(400)가 다른 물에 닿은 상태에서 작은 힘을 가하더라도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부(400)의 상부에는, 호이스트와 연결될 수 있는 호이스트 연결부(420)가 형성되어 있어서, 호이스트의 후크를 연결할 수 있다.
호이스트와 연결할 수 있는 호이스트 연결부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3, 도 4와 같이 호이스트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만들 수도 있고, 착탈이 불가능한 고정형으로 만들 수도 있다.
상기 제2몸체부(400)에는 하부 방향으로 이송보조장치 후크(43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이송보조장치 후크(430)를 카트리지(100)의 인양 러그(110)에 걸 수 있다.
제1 몸체부(300)와 제2 몸체부(400)의 사이에는 제1 스프링(510)와 제2 스프링(520)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에서, 제1 스프링(510)은 제1 몸체부(300)을 왼쪽으로 밀고 제2 몸체부(400)를 오른쪽으로 밀고 있다. 또한 제2 스프링(520)은 제1 몸체부(300)을 오른쪽으로 밀고 제2 몸체부(400)를 왼쪽으로 밀고 있다.
도 4에서, 제1 스프링(510)의 힘과 제2 스프링(520)의 힘은 균형을 이루고 있지만, 제1 몸체부(300)가 고정된 상태에서, 호이스트 연결부(420)에 오른쪽으로 힘을 가하면 제2 몸체부(400)가 오른쪽으로 움직이고, 호이스트 연결부(420)에 왼쪽으로 힘을 가하면 제2 몸체부(400)가 왼쪽으로 움직인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카트리지를 이동시키는 모습의 예이다.
도 5에서와 같이, 호이스트 후크(600)를 호이스트 연결부(420)에 연결한 후 호이스트 후크(600)를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호이스트 연결부(420)을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도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를 카트리지(100)와 착탈시킬 수만 있다면, 도 5에서와 같이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호이스트 후크(600)가 움직이면, 호이스트 연결부(420)도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이하에서는 호이스트(또는 호이스트 후크)를 움직이는 것을 호이스트 연결부를 움직이는 것으로 표현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카트리지를 들어올리는 모습의 예이다.
도 6의 (a)에서와 같이 호이스트 연결부를 하강시켜서, 도 6의 (b)에서와 같이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의 하부가 카트리지 상부에 닿도록 만들 수 있다.
도 6의 (c)와 같이, 호이스트 연결부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이송보조장치 후크도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서, 이송보조장치 후크가 카트리지의 인양 러그에 걸리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 몸체부 하부에는 제2 몸체부 바퀴가 형성되어 있어서 마찰력이 적으므로, 비교적 작은 힘으로도 제2 몸체부를 수평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도 6의 (d)와 같이, 호이스트 연결부를 위쪽으로 이동시키면, 이송보조장치 후크가 카트리지의 인양 러그에 걸려서 카트리지를 들어올릴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카트리지를 내려놓는 모습의 예이다.
도 7의 (a)에서와 같이 호이스트 연결부를 하강시켜서, 도 7의 (b)에서와 같이 카트리지를 바닥에 내려놓을 수 있다.
도 7의 (c)와 같이, 호이스트 연결부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이송보조장치 후크도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서, 이송보조장치 후크가 카트리지의 인양 러그에 걸리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 7의 (d)와 같이, 호이스트 연결부를 위쪽으로 이동시키면, 이송보조장치 후크가 카트리지의 인양 러그에 걸리지 않는 상태에서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를 들어올릴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2 몸체부가 움직이는 방향은 제1 몸체부가 길게 형성된 방향이므로, 제1 몸체부의 길이 방향이라고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2 몸체부가 움직이는 방향(인양 러그에 수직인 방향)을 제1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표현한다.(제 2 몸체부의 움직임으로 이송보조장치 후크가 인양 러그에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 2 몸체부의 움직임 방향이 인양 러그에 수직인 방향이어야 하므로, '제1 몸체부의 길이 방향'은 '인양 러그에 수직인 방향'으로 표현하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2 몸체부는, 제1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제1 몸체부와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러지면서 이동하여, 제1 몸체부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어서, 호이스트 연결부를 제1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여서, 제2 몸체부가 제1 몸체부와 접촉한 상태에서의 움직임에 따라, 카트리지 삽입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는 카트리지의 인양 러그와 상기 이송보조장치 후크의 상대적 위치가 달라져서, 호이스트 연결부를 위로 움직일 때 상기 이송보조장치 후크가 카트리지의 인양 러그에 걸리는지 여부가 달라진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스프링(510)과 제2 스프링(520)은, 제1 몸체부에 대해 제2 몸체부의 상대적 위치가 특정한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하는 힘을 가한다. 그리고 제1 스프링(510)과 제2 스프링(520)은 제2 몸체부에 가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다.
이론상으로 상기 제1 스프링(510)과 제2 스프링(520) 중 하나만 이용해도 호이스트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상기 이송보조장치 후크와 인양 러그에 연결 여부를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와 같이 2개의 스프링이 있을 때, 연결 여부 조정이 용이하다.
하지만, 필요하다면, 상기 2개의 스프링 중 하나의 스프링을 생략하는 형태로도 본 발명의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100: 카트리지
110: 인양 러그
120: 메쉬망
200: 카트리지 삽입 프레임
210: 삽입구
300: 제1 몸체부
310: 제1 몸체부 바퀴
400: 제2 몸체부
410: 제2 몸체부 바퀴
420: 호이스트 연결부
430: 이송보조장치 후크
510: 제1 스프링
520: 제2 스프링
600: 호이스트 후크

Claims (4)

  1. 제1 몸체부;
    제1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제1 몸체부와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러지면서 이동하여, 제1 몸체부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변할 수 있는 제2 몸체부;
    제1 몸체부에 대해 제2 몸체부의 상대적 위치가 특정한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하는 힘을 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고,
    제2 몸체부는,
    상기 제2몸체부에 형성되고, 호이스트와 연결될 수 있는 호이스트 연결부;
    상기 제2몸체부에 형성된 이송보조장치 후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부의 하부에는 제2 몸체부 바퀴가 형성되어 있고,
    호이스트 연결부를 제1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여서, 제2 몸체부가 제1 몸체부와 접촉한 상태에서의 움직임에 따라, 카트리지 삽입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는 카트리지의 인양 러그와 상기 이송보조장치 후크의 상대적 위치가 달라져서, 호이스트 연결부를 위로 움직일 때 상기 이송보조장치 후크가 카트리지의 인양 러그에 걸리는지 여부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몸체부의 측면에는 제1 몸체부 바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
  4. 청구항 1에서,
    상기 스프링은 2개이고,
    상기 2개의 스프링이 제2 몸체부에 가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
KR1020190042956A 2019-04-12 2019-04-12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 KR102395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956A KR102395115B1 (ko) 2019-04-12 2019-04-12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956A KR102395115B1 (ko) 2019-04-12 2019-04-12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275A KR20200120275A (ko) 2020-10-21
KR102395115B1 true KR102395115B1 (ko) 2022-05-09

Family

ID=73034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956A KR102395115B1 (ko) 2019-04-12 2019-04-12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1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8479A (ja) * 2010-02-26 2011-09-15 Jfe Steel Corp 遠隔玉掛機構
JP2013184783A (ja) * 2012-03-07 2013-09-19 Toyota Motor Corp 玉掛けワイヤー用治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4729B2 (ja) * 1994-09-21 1998-08-06 川崎製鉄株式会社 貯蔵・搬送用装置
DE19946122C2 (de) * 1999-09-20 2001-08-02 Atecs Mannesmann Ag Greifer einer heb- und senkbaren Aufnahmevorrichtung für von oben zu greifende Behälter
KR100316871B1 (ko) 1999-12-30 2002-01-18 김고정 산업용 공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8479A (ja) * 2010-02-26 2011-09-15 Jfe Steel Corp 遠隔玉掛機構
JP2013184783A (ja) * 2012-03-07 2013-09-19 Toyota Motor Corp 玉掛けワイヤー用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275A (ko)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89307A3 (en) Autonomous surface cleaning robot for wet and dry cleaning
CN205854184U (zh) 一种建筑板材转运车
CN204317950U (zh) 千层架
JP2009532292A5 (ko)
KR102395115B1 (ko)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
CN204108845U (zh) 一种水帘式活性炭打磨房
CN106052086A (zh) 一种空气净化器的悬挂式夹紧装置
CN106168393A (zh) 一种移动式空气净化装置
CN105857362B (zh) 一种物流手推车
KR102149365B1 (ko) 카트리지 이송보조장치
CN206067817U (zh) 一种化工原料桶推车
KR20190121037A (ko) 자동 이동형 공기 청정기
CN210611921U (zh) 一种稳定性高的商用电烤箱
CN210964356U (zh) 一种废气除尘装置
CN210201281U (zh) 一种电气自动化控制柜
CN208278964U (zh) 一种金属零件运输装置
CN207360362U (zh) 一种方便使用的纺织辊架
CN207063902U (zh) 一种安装在橱柜或者货架上的滑动梯子
CN206197468U (zh) 气瓶柜
CN214648498U (zh) 一种土木工程用材料运输装置
CN215288971U (zh) 一种用于金属零件表面发黑处理装置
CN110052946A (zh) 一种基于抛光机的可拆式导尘机构
CN219814004U (zh) 具有清洁功能的运输设备
CN204308795U (zh) 浮动式压紧装置
CN208273400U (zh) 一种智能家居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40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217

Effective date: 20220405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