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070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070B1
KR102395070B1 KR1020200106685A KR20200106685A KR102395070B1 KR 102395070 B1 KR102395070 B1 KR 102395070B1 KR 1020200106685 A KR1020200106685 A KR 1020200106685A KR 20200106685 A KR20200106685 A KR 20200106685A KR 102395070 B1 KR102395070 B1 KR 102395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voltage value
sensor
controll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6076A (ko
Inventor
이재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6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070B1/ko
Publication of KR20220026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49Detection or prevention of malfunction, including accident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Rotary nozzl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08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bipolar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03F3/45085Long tailed p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24Spray arms status, e.g. detection of spray arm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30Variation of electrical, magnetical or optical quant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0Spray nozzles or spray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6Indication or alarm to the controlling device or to the us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94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low noise amplifier [LN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세척 대상이 수납되는 세척실이 형성된 터브, 세척실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동 범위 내에서 이동하며 세척 대상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 노즐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출력하는 센서 및 센서로부터 수신한 전압값에 기초하여, 노즐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식기나 조리 도구 등의 세척 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 대상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가전기기이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터브 내에 구비되어 식기가 수용되는 랙, 랙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 및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 암에 공급하는 세척 펌프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노즐은 회전을 하면서 세척 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한다. 그러나 세척 대상이 노즐의 회전 영역 내에 배치되거나, 유로에 누수가 발생하는 등의 원인으로 인해, 노즐이 원활하게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식기가 깨끗하게 세척되지 않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노즐이 원활하게 회전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즐의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의 일 실시예가 등록특허 DE 10-2006-007329에 개시된다.
이와 같은 식기 세척기는 홀 센서를 이용하여 노즐의 양단에 포함된 자성체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교번을 감지함으로써, 노즐의 회전 여부를 감지한다. 그러나 홀 센서는 감지 영역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노즐의 위치가 변하면 노즐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지 못한다. 이는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일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식기 세척기(100)는 터브(110), 노즐(120), 홀 센서(130), 제어기(140) 및 랙(150)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세척 대상의 크기에 따라 랙(150)을 상단(A), 중단(B) 및 하단(C)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노즐(120)은 랙(150)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랙(150)의 위치가 이동함에 따라 함께 상하로 이동한다.
랙(150)이 중단(B)에 위치하는 경우, 노즐(120)의 양단에 위치한 자성체(121, 122)는 홀 센서(13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120)이 회전하면, 홀 센서(130)는 자성체(121, 122)의 회전에 따라 변하는 자기장에 반응하여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랙(150)이 상단(A) 또는 하단(C)에 위치하는 경우, 노즐(120)의 양단에 위치한 자성체(121, 122)는 홀 센서(130)와 먼 위치에 배치된다. 즉, 자성체(121, 122)는 홀 센서(130)의 감지 영역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노즐(120)이 회전하더라도, 홀 센서(130)는 자성체(121, 122)의 회전에 따라 변하는 자기장에 반응하여 전압을 발생시킬 수 없다. 즉, 홀 센서(130)는 노즐(120)의 위치에 관계 없이 노즐(120)의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복수 개의 홀 센서(130)를 터브(110)에 결합시키면, 홀 센서(130)의 개수 증가로 인하여 생산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노즐(120)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노즐(120)의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100)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노즐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노즐의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오차로 노즐의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즐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오동작이 발생하면 사용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식기 세척기는 세척실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동 범위 내에서 이동하며 상기 세척 대상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 노즐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출력하는 센서 및 센서로부터 수신한 전압값에 기초하여, 노즐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노즐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노즐의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는 세척 대상이 수납되는 세척실이 형성된 터브, 상기 세척실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동 범위 내에서 이동하며 상기 세척 대상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노즐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출력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한 전압값에 기초하여, 상기 노즐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식기 세척기의 상기 센서는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가 집수되는 집수부 및 상기 집수부를 통해 집수된 세척수가 배수되는 배수부를 형성하는 유로 가이드, 상기 배수부의 내측에 이격하여 설치되며, 상기 유로 가이드에 집수된 세척수의 흐름에 따라 가변되는 저항값을 가지는 한 쌍의 전극 및 상기 한 쌍의 전극의 저항값에 따라 가변되는 전압값을 생성하여 상기 제어기로 출력하는 출력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식기 세척기의 상기 유로 가이드는 상기 집수부에서 상기 배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식기 세척기의 상기 한 쌍의 전극의 저항값은 상기 유로 가이드에 집수된 세척수가 상기 한 쌍의 전극 간을 흐름에 따라 감소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식기 세척기의 상기 출력 회로는 상기 한 쌍의 전극에 교번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신호 생성 회로,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전극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조절하며, 상기 한 쌍의 전극에 흐르는 전류값을 증폭시켜 출력하는 전류 증폭 회로, 상기 전류 증폭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값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저주파 통과 필터 회로 및 상기 저주파 통과 필터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값을 증폭시키고, 증폭된 전류값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상기 제어기로 출력하는 증폭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식기 세척기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출력 회로로부터 수신한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전압값을 가지면, 상기 노즐의 동작 상태를 회전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출력 회로로부터 수신한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시간 이상 동안 상기 제1 기준 전압값을 가지지 아니면, 상기 노즐의 동작 상태를 정지 상태로 판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식기 세척기의 상기 제어기는 상기 노즐이 회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중, 상기 노즐의 동작 상태를 정지 상태로 판단하면, 이상 알림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이상 알림을 출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식기 세척기의 상기 센서는 상기 노즐이 위치한 방향으로 빛을 출력하는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에 의해 출력된 빛 중에서 상기 노즐에 의해 반사된 빛을 감지하는 수광 소자 및 상기 수광 소자를 통해 감지된 빛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생성하여 상기 제어기로 출력하는 출력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식기 세척기의 상기 발광 소자 및 상기 수광 소자는 상기 노즐의 가동 범위의 중간 지점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식기 세척기의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노즐의 가동 범위의 중간 지점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수광 소자는 상기 노즐의 가동 범위의 일단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수광 소자 및 상기 노즐의 가동 범위의 타단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제2 수광 소자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식기 세척기의 상기 센서는 상기 발광 소자를 수용하며, 상기 노즐을 향하는 방향의 일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는 제1 케이스 및 상기 수광 소자를 수용하며, 상기 노즐을 향하는 방향의 일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는 제2 케이스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식기 세척기의 상기 센서는 상기 제1 케이스의 상기 노즐을 향하는 방향의 일면을 커버하는 제1 투명판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상기 노즐을 향하는 방향의 일면을 커버하는 제2 투명판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식기 세척기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출력 회로로부터 수신한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전압값을 가지면, 상기 노즐의 동작 상태를 회전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출력 회로로부터 수신한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시간 이상 동안 상기 제2 기준 전압값을 가지지 아니면, 상기 노즐의 동작 상태를 정지 상태로 판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식기 세척기의 상기 제어기는 상기 노즐이 회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중, 상기 노즐의 동작 상태를 정지 상태로 판단하면, 이상 알림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이상 알림을 출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노즐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출력하는 센서로부터 수신한 전압값에 기초하여, 노즐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므로 노즐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노즐의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유로 가이드를 통해 세척수를 집수하거나, 케이스 및 투명창을 통해 노이즈를 감소시키므로 적은 오차로 노즐의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노즐이 오동작하면 이상 알림을 출력하므로, 노즐의 오동작에 보다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일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센서에 노즐을 통해 분사된 세척수가 집수되는 모습을 간단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센서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센서에 노즐을 통해 분사된 세척수가 집수되는 모습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센서에 포함된 출력 회로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센서가 노즐의 회전에 따라 제어기에 출력한 전압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센서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센서의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의 배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센서의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의 배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센서가 노즐의 회전에 따라 제어기에 출력한 전압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200)는 터브(210), 상부 노즐(220) 및 센서(230, 330)를 포함한다. 또한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200)는 도 3,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기(2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200)는 케이스(205), 도어(211), 상부 랙(250), 탑 노즐(270), 하부 노즐(260), 하부 랙(280) 및 세척수 공급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5)는 식기 세척기(200)의 외관을 형성한다.
터브(210)는 케이스(205)의 내부에 구비되고,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터브(210)의 내부에는 세척 대상이 수납되는 세척실(212)이 형성된다.
도어(211)는 터브(210)의 개방된 일면에 구비되어 세척실(212)을 개폐한다. 도어(211)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고, 수동으로 개폐될 수도 있다.
세척수 공급부(290)는 터브(2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세척수를 하나 이상의 노즐(220, 260, 270)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세척수 공급부(290)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하나 이상의 노즐(220, 260, 270)로 공급하는 세척 펌프, 세척 펌프 내부의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 세척수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 세척수가 흐르는 배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노즐(220, 260, 270)은 세척실(2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세척 대상으로 세척수를 분사한다. 하나 이상의 노즐(220, 260, 270)은 세척실(212)의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부 노즐(220)과 하부 노즐(260) 및 세척실(212)의 최상단에 배치되는 탑 노즐(2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노즐(220, 260, 270)은 회전을 하며 세척 대상으로 세척수를 골고루 분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나 이상의 노즐(220, 260, 270)은 가동 범위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랙(250, 280)은 세척실(212)의 내부에 배치되며, 세척 대상이 수납된다. 하나 이상의 랙(250, 280)은 세척실(212)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랙(250) 및 세척실(212)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랙(2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랙(250)은 상부 노즐(220)과 연결될 수 있으며, 하부 랙(280)은 하부 노즐(260)과 연결 될 수 있다.
상부 랙(250)과 하부 랙(280)은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터브(210)의 개방된 일면으로 슬라이딩되어 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인출된 상부 랙(250) 및 하부 랙(280)으로 세척 대상을 수납할 수 있다.
상부 랙(250)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부 랙(250)에 수납되는 세척 대상이 터브(210)의 상단에 걸려서 세척실(212)로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 상부 랙(250)을 미리 정해진 가동 범위 내에서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하부 랙(280)에 수납되는 세척 대상이 상부 랙(250)에 걸려서 세척실(212)로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 상부 랙(250)을 미리 정해진 가동 범위 내에서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랙(250)이 상하로 이동할 때, 상부 랙(250)과 연결된 상부 노즐(220)은 상부 랙(250)과 함께 상하로 이동한다. 즉, 상부 노즐(220)은 상부 랙(250)의 가동 범위에 동일한 가동 범위 내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는 상부 랙(250) 및 상부 노즐(220)만 상하로 이동 가능한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부 랙(280) 및 하부 노즐(260)도 상하로 이동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센서(230, 330)는 상부 노즐(220) 또는 하부 노즐(260)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출력한다.
센서(230, 330)는 터브(210) 또는 도어(211)의 세척실(212) 방향의 면, 즉 터브(210) 또는 도어(211)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230, 330)는 터브(210) 또는 도어(211)의 내면에 배치되되, 상부 노즐(220) 또는 하부 노즐(260)의 위치 및 가동 범위를 고려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230, 330)가 터브(210)의 내면에 배치되는 경우, 센서(230, 330)는 터브(210)의 내면 중 상부면 또는 하부면이 아닌 옆면에 배치될 수 있다.
만일 도어(211)의 내면에 세척실(212)로 세제를 공급하는 디스펜서(미도시)가 배치되는 경우, 센서(230, 330)는 도어(211)에서 디스펜서가 배치되는 영역을 고려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펜서가 도어(211)의 내면 상단에 배치되는 경우, 센서(230)는 디스펜서가 배치된 위치의 하단 중 상부 노즐(220) 또는 하부 노즐(260)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기 용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230, 330)가 도어(211)의 내면에 배치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서(230)는 유로 가이드, 한 쌍의 전극 및 출력 회로를 포함하는 전극 센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330)는 발광 소자, 수광 소자 및 출력 회로를 포함하는 광 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230)의 구조 및 동작은 도 3 내지 도 7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330)의 구조 및 동작은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제어기(240)는 동작 명령을 통해 하나 이상의 노즐(220, 260, 27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기(240)는 동작 명령을 통해 하나 이상의 노즐(220, 260, 270)의 동작 상태가 회전 상태 또는 정지 상태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어기(240)는 동작 명령을 통해 세척수 공급부(290)에서 하나 이상의 노즐(220, 260, 270)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노즐(220, 260, 2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기(240)는 센서(230)로부터 출력된 전압값에 기초하여 상부 노즐(220) 또는 하부 노즐(26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한다.
이와 같은 제어기(240)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리적인 요소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우선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230)의 구조 및 동작과 그에 따른 제어기(240)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센서에 노즐을 통해 분사된 세척수가 집수되는 모습을 간단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200)의 상부 노즐(220) 및 하부 노즐(260)을 통해 분사된 세척수는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이동하여 센서(230)에 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부 노즐(220)을 통해 분사된 세척수는 센서(230)로 바로 도달하거나, 센서(230)가 배치된 도어(211)의 상단에 도달하고 도어(211)를 따라 흘러서 센서(230)에 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노즐(260)을 통해 분사된 세척수는 센서(230)로 바로 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200)의 센서(230)는 상부 노즐(220) 및 하부 노즐(260)을 통해 분사된 세척수를 집수하고, 집수된 세척수를 이용하여 상부 노즐(220) 및 하부 노즐(260)의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230)는 감지 결과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제어기(240)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230)의 상세 구조 및 상부 노즐(220) 및 하부 노즐(260)을 통해 분사된 세척수가 센서(230)에 집수되는 과정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센서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센서에 노즐을 통해 분사된 세척수가 집수되는 모습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200)의 센서(230)는 유로 가이드(231), 한 쌍의 전극(232) 및 출력 회로(233)를 포함한다.
유로 가이드(231)는 상부 노즐(220) 및 하부 노즐(260)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가 흐르는 경로를 형성한다. 유로 가이드(231)는 세척수를 집수하여 후술되는 한 쌍의 전극(232) 간으로 흐르도록 한다.
이와 같은 유로 가이드(231)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유로 가이드(231)는 한 쌍의 측벽을 통해 상부 노즐(220) 및 하부 노즐(260)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가 집수되는 집수부(231a) 및 집수부(231a)를 통해 집수된 세척수가 배수되는 배수부(231b)를 형성한다.
이때 유로 가이드(231)는 집수부(231a)에서 배수부(231b)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로 가이드(231)가 집수부(231a)에서 배수부(231b)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상부 노즐(220) 및 하부 노즐(260)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가 후술되는 한 쌍의 전극(232) 간으로 흐르도록 모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로 가이드(231)를 통해 세척수를 집수하므로, 상부 노즐(220) 및 하부 노즐(260)의 회전 여부를 적은 오차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전극(232)은 배수부(231b)의 내측에 이격하여 설치된다. 즉, 한 쌍의 전극(232)은 유로 가이드(231)에 의해 형성된 배수부(231b)의 내측에서, 각각의 전극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기준 간격은 전극 간을 흐르는 세척수가 고이지 않으면서, 전극 간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준 간격은 5mm 내지 7.5mm 일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전극(232)은 집수된 세척수의 흐름에 따라 가변되는 저항값을 가진다. 한 쌍의 전극(232) 간에 세척수가 흐르지 않을 때, 한 쌍의 전극(232)은 미리 설정된 기준 저항값을 가지고, 한 쌍의 전극(232) 간에 집수된 세척수가 흐르면, 한 쌍의 전극(232)은 기준 저항값보다 감소한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즉, 한 쌍의 전극(232)의 저항값은 유로 가이드(231)에 집수된 세척수가 한 쌍의 전극(232) 간을 흐름에 따라 감소할 수 있다.
출력 회로(233)는 한 쌍의 전극(232)의 저항값에 따라 가변되는 전압값을 생성하여 제어기(240)로 출력한다. 출력 회로(233)의 보다 상세한 구조는 도 6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센서에 포함된 출력 회로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출력 회로(233)는 입력 신호 생성 회로(233a), 전류 증폭 회로(233b), 저주파 통과 필터 회로(233c) 및 증폭 회로(233d)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신호 생성 회로(233a)는 한 쌍의 전극(232)에 교번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신호는 BJT, IGBT, MOSFET 등과 같은 스위칭 소자를 턴-온 또는 턴-오프 시키는 신호일 수 있다.
만일 한 쌍의 전극(232)에 한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면, 한 쌍의 전극(232)이 분극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극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입력 신호 생성 회로(233a)는 한 쌍의 전극(232)에 교번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류 증폭 회로(233b)는 입력 신호에 따라 한 쌍의 전극(232)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조절하며, 한 쌍의 전극(232)에 흐르는 전류값을 증폭시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류 증폭 회로(233b)는 하나 이상의 스위칭 소자, 하나 이상의 저항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류 증폭 회로(233b)는 입력 신호 생성 회로(233a)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에 따라 하나 이상의 스위칭 소자가 턴-온 또는 턴-오프 됨으로써 한 쌍의 전극(232)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전류 증폭 회로(233b)는 하나 이상의 스위칭 소자, 하나 이상의 저항 등을 통해 한 쌍의 전극(232)에 흐르는 전류값을 증폭시켜 저주파 통과 필터 회로(233c)로 출력할 수 있다.
저주파 통과 필터 회로(233c)는 전류 증폭 회로(233b)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값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주파 통과 필터 회로(233c)는 저항, 커패시터 등과 같은 수동 소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저주파 통과 필터 회로(233c)는 저항, 커패시터 등을 통해 전류 증폭 회로(233b)로부터 출력된 전류값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고, 저주파 성분만을 증폭 회로(233d)로 출력할 수 있다.
증폭 회로(233d)는 저주파 통과 필터 회로(233c)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값을 증폭시키고, 증폭된 전류값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제어기(240)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증폭 회로(233d)는 하나 이상의 스위칭 소자, 하나 이상의 저항,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증폭 회로(233d)는 하나 이상의 스위칭 소자, 하나 이상의 저항 및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를 통해 저주파 통과 필터 회로(233c)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값을 증폭시키고, 하나 이상의 저항 및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를 통해 증폭된 전류값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제어기(240)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 회로(233)는 이와 같은 전류 증폭 회로(233b), 저주파 통과 필터 회로(233c) 및 증폭 회로(233d)를 이용하여 제어기(240)에 전압값을 출력함으로써, 제어기(240)가 전압값에 기초하여 상부 노즐(220) 및 하부 노즐(260)의 회전 여부를 보다 정확히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6의 실시예는 전류 증폭 회로(233b), 저주파 통과 필터 회로(233c) 및 증폭 회로(233d)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고, 전류 증폭 회로(233b), 저주파 통과 필터 회로(233c) 및 증폭 회로(233d)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회로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도 4 및 도 5로 돌아와서, 센서(230)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질 때, 식기 세척기(200)의 상부 노즐(220) 및 하부 노즐(260)을 통해 분사된 세척수는 도 5의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이동하여 센서(230)에 도달할 수 있다.
우선 상부 노즐(220)을 통해 분사된 세척수는 도어(211)의 상단에 도달하고, 도어(211)를 따라 흘러서 집수부(231a)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유로 가이드(231)는 집수부(231a)에서 배수부(231b)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므로, 세척수가 한 쌍의 전극(232) 사이로 흐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부 노즐(220)이 가동 범위 내에서 이동하여 상단(A), 중단(B) 또는 하단(C) 중 어디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세척수는 도어(211)를 따라 흘러서 센서(230)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200)를 이용하면 노즐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노즐의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부 노즐(260)을 통해 분사된 세척수는 집수부(231a)에 바로 도달할 수 있다. 즉, 하부 노즐(260)을 통해 분사된 세척수는 집수부(231a)에 유입되고 나서, 한 쌍의 전극(232) 사이로 흐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한 쌍의 전극(232) 사이로 흐르는 세척수에 의하여, 한 쌍의 전극(232)의 저항값이 변하게 된다. 그리고 출력 회로(233)는 한 쌍의 전극(232)의 저항값에 따라 가변되는 전압값을 생성하여 제어기(240)로 출력할 수 있다.
센서(230)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질 때, 제어기(240)는 출력 회로(233)로부터 수신한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전압값을 가지면, 상부 노즐(220) 및 하부 노즐(260)의 동작 상태를 회전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기(240)는 출력 회로(233)로부터 수신한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시간 이상 동안 상기 제1 기준 전압값을 가지지 아니면, 상부 노즐(220) 및 하부 노즐(260)의 동작 상태를 정지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준 전압값은 세척수가 한 쌍의 전극(232) 사이로 흐름에 따라 한 쌍의 전극(232)의 저항값이 감소하였을 때, 출력 회로(233)가 출력하는 전압값으로, 출력 회로(233)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기준 시간은 상부 노즐(220) 및 하부 노즐(260)이 회전함에 따라 세척수가 센서(230)에 도달하여 한 쌍의 전극(232) 사이로 흐르게 되는 주기로, 상부 노즐(220) 및 하부 노즐(260)의 회전 주기에 마진을 추가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기(240)의 보다 상세한 판단 방법은 출력 회로(233)를 통해 제어기(240)로 출력되는 전압값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센서가 노즐의 회전에 따라 제어기에 출력한 전압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기(240)가 출력 회로(233)로부터 수신한 전압값을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다. 그래프를 참조하면, 출력 회로(233)로부터 출력되는 전압값은 약 5V 정도의 값을 가지다가 주기적으로 약 0V 정도의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출력 회로(233)는 상부 노즐(220) 및 하부 노즐(260)이 센서(230)가 위치하지 않은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수가 한 쌍의 전극(232) 사이로 흐르지 않을 때, 약 5V 정도의 전압값을 제어기(240)로 출력한다. 그리고 출력 회로(233)는 상부 노즐(220) 및 하부 노즐(260)이 센서(230)가 위치한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수가 한 쌍의 전극(232) 사이로 흐를 때, 약 0V 정도의 전압값을 제어기(240)로 출력하는 것이다. 이때 제1 기준 전압값은 약 0V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기준 시간은 출력 회로(233)로부터 출력되는 전압값이 0V의 값을 가지는 주기인 ta에 마진을 추가한 시간(예를 들어 1.2*ta)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어기(240)는 출력 회로(233)로부터 수신한 전압값이 0V에 도달하면, 상부 노즐(220) 및 하부 노즐(260)의 동작 상태를 회전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기(240)는 출력 회로(233)로부터 수신한 전압값이 0V에 도달하지 않는 시간이 ta에 마진을 추가한 시간(예를 들어 1.2*ta) 이상 지속되면, 상부 노즐(220) 및 하부 노즐(260)의 동작 상태를 정지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기(240)는 동작 명령을 통해 상부 노즐(220) 및 하부 노즐(260)이 회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중, 상부 노즐(220) 및 하부 노즐(260)의 동작 상태로 정지 상태로 판단하면, 이상 알림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이상 알림을 출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기(240)가 상부 노즐(220) 및 하부 노즐(260)의 오동작시 이상 알림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상부 노즐(220) 및 하부 노즐(260)의 오동작에 보다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330)의 구조 및 동작과 그에 따른 제어기(240)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센서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200)의 센서(330)는 발광 소자(331), 수광 소자(332) 및 출력 회로(333)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200)의 센서(330)는 제1 케이스(334), 제2 케이스(335), 제1 투명판(336) 및 제2 투명판(3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331)는 상부 노즐(220)이 위치한 방향으로 빛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발광 소자(331)는 적외선을 출력하는 적외선 LED 일 수 있다.
수광 소자(332)는 발광 소자(331)에 의해 출력된 빛 중에서 노즐에 의해 반사된 빛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광 소자(332)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포토 트랜지스터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발광 소자(331) 및 수광 소자(332)의 배치는 도 9 및 도 10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센서의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의 배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발광 소자(331) 및 수광 소자(332)는 상부 노즐(220)의 가동 범위의 중간 지점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발광 소자(331)에서 출력되는 빛은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상부 노즐(220)에 의하여 반사된 빛은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이동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발광 소자(331) 및 수광 소자(332)는 상부 노즐(220)의 가동 범위의 중간 지점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시키면, 상부 노즐(220)이 가동 범위 내에서 이동하여 상단(A), 중단(B) 또는 하단(C) 중 어디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발광 소자(331)로부터 출력된 빛은 상부 노즐(220)에 반사되어 수광 소자(332)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센서의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의 배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발광 소자(331)는 상부 노즐(220)의 가동 범위의 중간 지점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수광 소자(332)는 제1 수광 소자(332a) 및 제2 수광 소자(332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수광 소자(332a)는 상부 노즐(220)의 가동 범위의 일단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수광 소자(332b)는 상부 노즐(220)의 가동 범위의 타단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발광 소자(331)에서 출력되는 빛은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상부 노즐(220)에 의하여 반사된 빛은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이동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발광 소자(331)는 상부 노즐(220)의 가동 범위의 중간 지점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1 수광 소자(332a) 및 제2 수광 소자(332b)를 상부 노즐(220)의 가동 범위의 일단 및 타단에 대응되는 영역에 각각 위치시키면, 상부 노즐(220)이 가동 범위 내에서 이동하여 상단(A), 중단(B) 또는 하단(C) 중 어디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발광 소자(331)로부터 출력된 빛은 상부 노즐(220)에 반사되어 제1 수광 소자(332a) 또는 제2 수광 소자(332b)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200)는 도 9 또는 도 10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발광 소자(331) 및 수광 소자(332)를 배치함으로써, 상부 노즐(220)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상부 노즐(220)의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8로 돌아와서, 출력 회로(333)는 수광 소자(332)를 통해 감지된 빛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생성하여 제어기(240)로 출력한다.
출력 회로(333)는 발광 소자(331) 및 수광 소자(332)의 상부 노즐(220)을 향하지 않는 방향의 일단과 연결된다. 이때 출력 회로(333)는 발광 소자(331)가 상부 노즐(220)을 향하는 방향으로 빛을 출력하도록 하고, 수광 소자(332)로부터 빛의 감지 여부에 따른 신호를 입력 받는다. 그리고 나서 출력 회로(333)는 수광 소자(332)로부터 입력 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전압값을 생성하여 제어기(240)로 출력한다.
이때 출력 회로(333)는 증폭 회로(미도시), 저주파 통과 필터 회로(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제어기(240)에 전압값을 출력함으로써, 제어기(240)가 전압값에 기초하여 상부 노즐(220)의 회전 여부를 보다 정확히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케이스(334)는 발광 소자(331)를 수용하며 상부 노즐(220)을 향하는 방향의 일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진다. 즉, 제1 케이스(334)는 발광 소자(331)에서 출력되는 빛이 상부 노즐(220)로 입사될 수 있도록, 발광 소자(331)의 일면을 제외하고 커버할 수 있다. 이때 제1 케이스(334)는 빛이 투과하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발광 소자(331)로부터 출력되는 빛에 포함될 수 있는 노이즈를 감소시킨다.
제2 케이스(335)는 수광 소자(332)를 수용하며 상부 노즐(220)을 향하는 방향의 일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진다. 즉, 제2 케이스(335)는 상부 노즐(220)에서 반사된 빛이 수광 소자(332)로 입사될 수 있도록, 수광 소자(332)의 일면을 제외하고 커버할 수 있다. 이때 제2 케이스(335)는 빛이 투과하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수광 소자(332)로 입사되는 빛에 포함될 수 있는 노이즈를 감소시킨다.
이와 같이 제1 케이스(334) 및 제2 케이스(335)는 발광 소자(331) 및 수광 소자(332)를 수용함으로써, 발광 소자(331) 및 수광 소자(332)를 통해 감지되는 빛의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투명판(336)은 제1 케이스(334)의 상부 노즐(220)을 향하는 방향의 일면을 커버한다. 이때 제1 투명판(336)은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발광 소자(331)로부터 출력되는 빛은 제1 투명판(336)을 통과하여 상부 노즐(220)로 입사할 수 있다.
제2 투명판(337)은 제2 케이스(335)의 상부 노즐(220)을 향하는 방향의 일면을 커버한다. 이때 제2 투명판(337)은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노즐(220)로부터 반사되는 빛은 제2 투명판(337)을 통과하여 수광 소자(332)로 입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투명판(336) 및 제2 투명판(337)을 통해 발광 소자(331) 및 수광 소자(332)의 상부 노즐(220)을 향하는 방향의 일면을 커버함으로써, 발광 소자(331) 및 수광 소자(332)에 세척수가 맺히는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발광 소자(331)로부터 출력되는 빛이 상부 노즐(220)에 반사되어 수광 소자(332)로 입사된다. 그리고 출력 회로(333)는 수광 소자(332)를 통해 감지된 빛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생성하여 제어기(240)로 출력한다.
센서(330)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질 때, 제어기(240)는 출력 회로(333)로부터 수신한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전압값을 가지면, 상부 노즐(220)의 동작 상태를 회전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기(240)는 출력 회로(333)로부터 수신한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시간 이상 동안 상기 제2 기준 전압값을 가지지 아니면, 상부 노즐(220)의 동작 상태를 정지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2 기준 전압값은 세척수가 수광 소자(332)를 통해 빛이 감지되었을 때, 출력 회로(333)가 출력하는 전압값으로, 출력 회로(333)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기준 시간은 상부 노즐(220)이 회전함에 따라 발광 소자(331)로부터 출력된 빛이 상부 노즐(220)에 반사되어 수광 소자(332)로 입사되는 주기로, 상부 노즐(220)의 회전 주기에 마진을 추가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기(240)의 보다 상세한 판단 방법은 출력 회로(333)를 통해 제어기(240)로 출력되는 전압값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센서가 노즐의 회전에 따라 제어기에 출력한 전압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기(240)가 출력 회로(333)로부터 수신한 전압값을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다. 그래프를 참조하면, 출력 회로(233)로부터 출력되는 전압값은 약 0V 정도의 값을 가지다가 주기적으로 약 1.5V 정도의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출력 회로(333)는 발광 소자(331)로부터 출력된 빛이 상부 노즐(220)에 반사되지 않아서 수광 소자(332)를 통해 감지되는 빛이 없을 때, 약 0V 정도의 전압값을 제어기(240)로 출력한다. 그리고 출력 회로(333)는 발광 소자(331)로부터 출력된 빛이 상부 노즐(220)에 반사되어 수광 소자(332)를 통해 빛이 감지될 때, 약 1.5V 정도의 전압값을 제어기(240)로 출력하는 것이다. 이때 제2 기준 전압값은 약 1.5V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기준 시간은 출력 회로(333)로부터 출력되는 전압값이 1.5V의 값을 가지는 주기인 tb에 마진을 추가한 시간(예를 들어 1.2*tb)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어기(240)는 출력 회로(333)로부터 수신한 전압값이 1.5V에 도달하면, 상부 노즐(220)의 동작 상태를 회전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기(240)는 출력 회로(333)로부터 수신한 전압값이 1.5V에 도달하지 않는 시간이 tb에 마진을 추가한 시간(예를 들어 1.2*tb) 이상 지속되면, 상부 노즐(220)의 동작 상태를 정지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기(240)는 동작 명령을 통해 상부 노즐(220)이 회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중, 상부 노즐(220)의 동작 상태로 정지 상태로 판단하면, 이상 알림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이상 알림을 출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기(240)가 상부 노즐(220)의 오동작시 이상 알림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상부 노즐(220)의 오동작에 보다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200)의 센서(330)가 상부 노즐(22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전 가능한 다른 종류의 노즐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경우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이용하면, 노즐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노즐의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면서, 적은 오차로 노즐의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노즐의 오동작에 보다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200: 식기 세척기 205: 케이스
210: 터브 211: 도어
220, 260, 270: 노즐 230, 330: 센서
231: 유로 가이드 231a: 집수부
231b: 배수부 232: 한 쌍의 전극
233: 출력 회로 233a: 입력 신호 생성 회로
233b: 전류 증폭 회로 233c: 저주파 통과 필터 회로
233d: 증폭 회로 240: 제어기
250, 280: 랙 290: 세척수 공급부
331: 발광 소자 332: 수광 소자
332a: 제1 수광 소자 332b: 제2 수광 소자
333: 출력 회로 334: 제1 케이스
335: 제2 케이스 336: 제1 투명판
337: 제2 투명판

Claims (14)

  1. 세척 대상이 수납되는 세척실이 형성된 터브;
    상기 세척실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동 범위 내에서 이동하며 상기 세척 대상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노즐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출력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한 전압값에 기초하여, 상기 노즐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가 집수되는 집수부 및 상기 집수부를 통해 집수된 세척수가 배수되는 배수부를 형성하는 유로 가이드;
    상기 배수부의 내측에 이격하여 설치되며, 상기 유로 가이드에 집수된 세척수의 흐름에 따라 가변되는 저항값을 가지는 한 쌍의 전극; 및
    상기 한 쌍의 전극의 저항값에 따라 가변되는 전압값을 생성하여 상기 제어기로 출력하는 출력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출력 회로로부터 수신한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전압값을 가지면, 상기 노즐의 동작 상태를 회전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출력 회로로부터 수신한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시간 이상 동안 상기 제1 기준 전압값을 가지지 않으면, 상기 노즐의 동작 상태를 정지 상태로 판단하는
    식기 세척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가이드는
    상기 집수부에서 상기 배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는
    식기 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극의 저항값은 상기 유로 가이드에 집수된 세척수가 상기 한 쌍의 전극 간을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식기 세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회로는
    상기 한 쌍의 전극에 교번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신호 생성 회로;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전극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조절하며, 상기 한 쌍의 전극에 흐르는 전류값을 증폭시켜 출력하는 전류 증폭 회로;
    상기 전류 증폭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값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저주파 통과 필터 회로; 및
    상기 저주파 통과 필터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값을 증폭시키고, 증폭된 전류값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상기 제어기로 출력하는 증폭 회로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노즐이 회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중, 상기 노즐의 동작 상태를 정지 상태로 판단하면,
    이상 알림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이상 알림을 출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8. 세척 대상이 수납되는 세척실이 형성된 터브;
    상기 세척실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동 범위 내에서 이동하며 상기 세척 대상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노즐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출력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한 전압값에 기초하여, 상기 노즐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노즐이 위치한 방향으로 빛을 출력하는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에 의해 출력된 빛 중에서 상기 노즐에 의해 반사된 빛을 감지하는 수광 소자; 및
    상기 수광 소자를 통해 감지된 빛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생성하여 상기 제어기로 출력하는 출력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출력 회로로부터 수신한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전압값을 가지면, 상기 노즐의 동작 상태를 회전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출력 회로로부터 수신한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시간 이상 동안 상기 제2 기준 전압값을 가지지 않으면, 상기 노즐의 동작 상태를 정지 상태로 판단하는
    식기 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 및 상기 수광 소자는 상기 노즐의 가동 범위의 중간 지점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식기 세척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노즐의 가동 범위의 중간 지점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수광 소자는
    상기 노즐의 가동 범위의 일단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수광 소자; 및
    상기 노즐의 가동 범위의 타단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제2 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발광 소자를 수용하며, 상기 노즐을 향하는 방향의 일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는 제1 케이스; 및
    상기 수광 소자를 수용하며, 상기 노즐을 향하는 방향의 일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는 제2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제1 케이스의 상기 노즐을 향하는 방향의 일면을 커버하는 제1 투명판;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상기 노즐을 향하는 방향의 일면을 커버하는 제2 투명판을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3. 삭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노즐이 회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중, 상기 노즐의 동작 상태를 정지 상태로 판단하면,
    이상 알림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이상 알림을 출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200106685A 2020-08-25 2020-08-25 식기 세척기 KR102395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685A KR102395070B1 (ko) 2020-08-25 2020-08-25 식기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685A KR102395070B1 (ko) 2020-08-25 2020-08-25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076A KR20220026076A (ko) 2022-03-04
KR102395070B1 true KR102395070B1 (ko) 2022-05-04

Family

ID=80813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685A KR102395070B1 (ko) 2020-08-25 2020-08-25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0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6023A (ja) * 2000-09-22 2002-04-02 Honda Electronic Co Ltd 多周波超音波洗浄機の発振制御回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079A (ko) * 1992-06-05 1994-01-03 이헌조 식기세척기 제어장치와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6023A (ja) * 2000-09-22 2002-04-02 Honda Electronic Co Ltd 多周波超音波洗浄機の発振制御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076A (ko) 202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6904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소음 감소방법
US9681790B2 (en) Obstacle sensing spray arm for a dishwashing machine
US9320412B2 (en) Non-electronic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wash pump cavitation in a dishwasher
KR20140127594A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센싱 모듈
CN103989448A (zh) 洗碗机及其控制方法
KR102395070B1 (ko) 식기 세척기
JP2013027450A (ja) 食器洗い乾燥機
KR20050102457A (ko) 식기 세척기의 과급수 방지구조 및 방법
KR102367883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US11234576B2 (en) Dishwashing appliances and methods for addressing obstruction therein
KR100722017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92667B1 (ko) 식기 세척기
KR20090030988A (ko)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JP7327374B2 (ja) 食器洗浄機、食器洗浄方法
KR101054104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구조
KR100239368B1 (ko)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및 수위조절장치
KR20220090981A (ko) 식기 세척기
US20180084966A1 (en) Dishwashing appliance and methods of operation
EP3278701A1 (en) Dishwasher with diverter means controllable without feedback and method for operating a dishwasher with a diverter means controlled without feedback
US20240049941A1 (en) Flagged water event response cycle resume for a dishwasher appliance
JPH11290258A (ja) 洗浄機
US11627862B2 (en) Dishwashing appliances and methods for evaluating pressure therein
KR20220067574A (ko) 식기 세척기
US11419475B2 (en) Dishwashing appliances and methods for addressing obstruction therein
US20240115109A1 (en) Dishwashing appliance audio monit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