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7594A -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센싱 모듈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센싱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7594A
KR20140127594A KR1020130046132A KR20130046132A KR20140127594A KR 20140127594 A KR20140127594 A KR 20140127594A KR 1020130046132 A KR1020130046132 A KR 1020130046132A KR 20130046132 A KR20130046132 A KR 20130046132A KR 20140127594 A KR20140127594 A KR 20140127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sensor
sens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6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1679B1 (ko
Inventor
김형준
유지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6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679B1/ko
Priority to US14/258,628 priority patent/US9861255B2/en
Priority to EP14165840.1A priority patent/EP2796080B1/en
Publication of KR20140127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A47L15/4212Detection of water leaks; Collection of leaked water, e.g. in the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7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the condition of the washing water, e.g. turbid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4Water-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74Arrange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e.g. control units or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7Temperature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9Water lev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0Water cloudiness or dirtiness, e.g. turbidity, foaming or level of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2Water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실과, 상기 세척실 하부에 마련되어 세척에 사용되는 물이 모이는 집수부와, 집수부에 배치되어 물의 유무를 감지하는 물 감지센서와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일체로 포함한 센싱 모듈을 포함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센싱 모듈이 물 감지센서와 온도센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집수부 내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센싱 모듈{DISH WASHER AND SENSING MODULE FOR THE SAME}
본 발명은 물을 모으는 집수부에 배치되어 물을 감지하는 물 감지센서를 포함한 센싱 모듈 및 이를 갖춘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투입된 식기에 물을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장치로, 전면에 식기 투입을 위한 투입구가 마련된 본체와, 투입구 내측에 배치된 세척실과,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식기 수납을 위해 세척실 내에 배치된 랙과, 랙에 담긴 식기에 물을 분사하여 식기의 오물을 세척하는 노즐 유닛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세척실의 하부에는 식기 세척에 사용된 물을 모아 순환 또는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섬프가 마련되며, 섬프에는 물의 배수나 물의 순환을 위한 펌프와,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등이 배치된다.
또한 섬프 내부에는 각종 센서가 배치되어 섬프에 담긴 물을 검사함으로써 식기세척기의 동작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있는데, 이러한 센서에는 섬프에 물이 존재하는지의 유무를 감지하는 물 감지센서와,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물 감지센서와, 섬프에 담긴 물의 탁도를 감지하는 탁도센서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섬프의 내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센서 설치 구조를 갖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실과, 상기 세척실 하부에 마련되어 세척에 사용되는 물이 모이는 집수부와, 상기 집수부에 배치되며 물을 유무를 감지하는 물 감지센서와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일체로 포함하는 센싱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집수부의 하면과 이격 배치된다.
또한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물 감지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물 감지센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 1 면에 배치된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면과 반대측인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 2 면에 배치된 제 2 전극을 포함한 정전용량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전극과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단에 나란히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 2 전극과 상기 온도센서 사이에 마련된 슬릿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물 감지센서와 상기 온도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는 센서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센서 하우징 내부에 충진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센서 하우징 내부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수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 하우징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집수부 내로 돌출되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부는 그 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감지부가 관통하여 돌출되는 관통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 하우징은 그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감지부가 통과하는 감지부 관통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 통과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두 개의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 통과부는 상기 두 개의 걸림부와 각각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두 개의 걸림부 통과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 하우징은 상기 관통공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부는 상기 관통공 인접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장착부가 안착 지지되는 안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의 내주면과 상기 장착부의 외주면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집수부는 상기 센싱 모듈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한 쌍의 스토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하우징은 상기 센싱 모듈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스토퍼부에 각각 걸리는 한 쌍의 스토퍼 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집수부는 일 방향으로 회전한 상기 센싱 모듈의 역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락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하우징은 상기 락킹부와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센싱 모듈의 일 방향 회전에 따라 탄성 변형하며 상기 락킹부에 걸리는 탄성 후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실과, 상기 세척실 하부에 마련되어 세척에 사용되는 물이 모이는 집수부와, 상기 집수부에 배치되어 물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싱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센싱 모듈은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물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물 감지센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 1 면에 배치된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면과 반대인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 2 면에 배치된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센싱 모듈은 식기세척기에 설치되어 물의 유무를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정전용량센서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 1 면에 배치된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면과 반대측인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 2 면에 배치된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에 적용된 센싱 모듈은 인쇄회로기판의 양면에 배치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을 가진 정전용량센서에 의해 물 감지센서가 구현되므로, 물 감지센서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센싱 모듈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센싱 모듈을 섬프에 설치하여 센싱 모듈을 통해 물의 유무와 물의 온도를 모두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섬프 내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섬프 및 섬프에 설치되는 센싱 모듈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적용된 센싱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적용된 물 감지센서 및 온도센서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B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적용된 센싱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센싱 모듈이 섬프에 설치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관을 형성하며 식기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해 전면에 투입구(10a)가 마련된 본체(10)와, 투입구(10a) 내측에 배치되어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실(11a)을 형성하는 세척조(11)와, 하단이 본체(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입구(10a)를 개폐하는 도어(12)를 포함한다.
세척실(11a) 내에는 식기를 담는 랙(13U, 13L)과, 랙(13U, 13L)에 담긴 식기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노즐 유닛(14L, 14U, 14M)이 배치되며, 세척실(11a)의 하부에는 세척에 사용되는 물을 모으는 섬프(15)가 배치된다.
랙(13U, 13L)은 식기를 담을 수 있으면서도 노즐 유닛(14L, 14U, 14M)에서 분사된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와이어들에 의해 형성된 와이어 랙으로 이루어지며,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 두 개의 랙(13U, 13L)이 세척실(11a) 내에 상하로 배치된다. 또한 랙(13U, 13L)은 세척실(11a)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진하며 투입구(10a)를 통해 세척실(11a)로부터 인출되거나, 투입구(10a)를 통해 세척실(11a) 내에 인입된다. 따라서, 랙(13U, 13L)을 세척실(11a)로부터 인출한 상태에서 랙(13U, 13L)에 식기를 얹거나 랙(13U, 13L)으로부터 식기를 꺼낼 수 있다.
노즐 유닛(14L, 14U, 14M)은 랙(13U, 13L)에 담긴 식기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 유닛(14L, 14U, 14M)이 하부에 배치된 랙(13L)의 하측에 배치된 하부 노즐유닛(14L), 상부에 배치된 랙(13U)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 노즐유닛(14U), 두 랙(13U, 13L) 사이에 배치된 중간 노즐유닛(14M)을 포함하며, 노즐 유닛(14L, 14U, 14M)들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두 랙(13U, 13L)에 담긴 식기를 향해 물을 분사하도록 되어 있다.
세척조(11)의 후방측에는 외부 급수원(미도시)으로부터 세척실(11a)로 물을 안내하는 급수관(16)이 연결되고, 급수관(16)에는 급수관(16)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급수밸브(17)가 배치된다.
섬프(15)는 급수관(16)을 통해 세척실(11a) 내로 공급된 물이나 노즐 유닛(14L, 14U, 14M)에서 분사된 물을 모으기 위한 것으로, 섬프(15)는 하측으로 오목 형성되어 물이 모이는 집수부(15a)와, 세척조(11)의 하부에 연결되어 물을 집수부(15a)로 안내하는 가이드부(15b)를 포함한다.
집수부(15a)에는 집수부(15a)에 모인 물이 노즐 유닛(14L, 14U, 14M)으로 전달하여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펌프(18)와, 집수부(15a)에 모인 물이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19)가 설치된다. 배수펌프(19)에는 물을 배수펌프(19)에서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관(21)이 연결되며, 순환펌프(18)에는 물을 노즐 유닛(14L, 14U, 14M)로 안내하는 순환관(20)이 연결된다.
또한 집수부(15a) 내에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22)와, 각종 센서들이 설치된다.
집수부(15a)에 설치되는 센서들에는 도 2 내지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집수부(15a)에 담긴 물의 탁도를 확인하는 탁도센서(23)와, 집수부(15a) 내에 물이 일정 수위 이상 채워졌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물 감지센서(31)와, 집수부(15a)에 담긴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32)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물 감지센서(31)와 온도센서(32)는 하나의 센싱 모듈(30) 내에 포함되어 집수부(15a)에 설치되는데, 이와 같이 물 감지센서(31) 및 온도센서(32)가 센싱 모듈(30)에 포함되도록 하면 물 감지센서(31)와 온도센서(32)를 개별적으로 설치할 필요없이 센싱 모듈(30)을 집수부(15a)에 설치함에 따라 물 감지센서(31)와 온도센서(32)가 동시에 집수부(15a)에 설치되므로, 물 감지센서(31)와 온도센서(32)의 설치가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제한된 집수부(15a)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센싱 모듈(3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물 감지센서(31), 온도센서(32)와 함께 물 감지센서(31) 및 온도센서(32)가 실장되는 하나의 인쇄회로기판(33)과, 물 감지센서(31) 및 온도센서(32)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33)이 수용되는 센서 하우징(34)과, 센서 하우징(34)에 설치되어 센서 하우징(34)과 후술할 안착부(15e) 사이를 통한 누수를 막는 실링부재(25)를 포함한다. 센서 하우징(34) 내부 공간은 인쇄회로기판(33)이 수용된 후, 용융 수지가 주입되어 응고되도록 함으로써 센서 하우징(34) 내면과 인쇄회로기판(33) 사이의 공간이 수지에 의해 채워지면서 인쇄회로기판(33)이 센서 하우징(34) 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인쇄회로기판(33)은 양면에 모두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양면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지며,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 감지센서(31)는 인쇄회로기판(33)의 제 1 면에 배치된 제 1 전극(31a)과 제 1 면과 반대측인 인쇄회로기판(33)의 제 2 면에 배치된 제 2 전극(31b)을 포함한 정전용량센서로 이루어진다. 제 1 전극(31a)과 제 2 전극(31b)은 각각 금속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전극(31a)은 인쇄회로기판(33)의 제 1 면 중앙측에 배치되며, 제 2 전극(31b)은 온도센서(32)와 함께 인쇄회로기판(33)의 제 2 면 일단측에 나란히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33)의 타단측에는 접속부(33b)들이 마련되어, 신호 전달 및 전원 공급을 위한 전선들이 접속부(33b)에 연결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33)에는 제 2 전극(31b)과 온도센서(32) 사이를 구획하는 슬릿(33b)이 마련되어, 제 2 전극(31b)과 온도센서(32)의 동작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정전용량센서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두 전극 사이의 유전율 변화에 따라 변경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되어 있는 센서로, 정전용량센서로 이루어진 물 감지센서(31)를 센싱 모듈(30)에 포함시킨 후, 센싱 모듈(30)을 집수부(15a)에 설치하면, 집수부(15a)에 채워진 물의 수위에 따라 제 1 전극(31a)과 제 2 전극(31b) 사이의 유전체가 변화하고, 그에 따라 제 1 전극(31a)과 제 2 전극(31b) 사이의 정전용량은 변화한다. 따라서 이러한 정전용량변화를 통해 집수부(15a)에 물이 일정 수위 이상 채워졌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인쇄회로기판(33)에 물 감지센서(31)와 온도센서(32)가 모두 실장되도록 하여 물 감지센서(31)와 온도센서(32)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33)을 통해 신호의 송수신과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물 감지센서(31) 및 온도센서(32)의 설치 구조 및 접속 구조가 단순해져, 센싱 모듈(30)을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집수부(15a)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싱 모듈(30)의 설치를 위해 마련된 관통공(15c)과, 관통공(15c) 인접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후술할 센서 하우징(34)의 장착부(34c)가 안착되는 안착부(15e)가 마련된다. 또한 관통공(15c) 인접부는 안착부(15e) 내측으로 돌출되어 장착부(34c)가 걸려 지지되는 걸림턱(15d)을 형성한다.
센서 하우징(34)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공(15c)을 통해 집수부 내로 돌출되어 집수부(15a) 내에 채워지는 물과 접하는 감지부(34a)와,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관통공(15c)의 내면에 지지되는 관통부(34b)와, 상술한 안착부(15e)에 안착되어 센싱 모듈(30)이 집수부(15a)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착부(34c)를 일체로 포함한다.
감지부(34a)는 그 내부에 물 감지센서(31) 및 온도센서(32)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33)의 일단이 수용되어, 감지부(34a)를 통해 물의 유무 감지와 물의 온도가 감지된다.
관통부(34b)는 그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부(34b-1)를 포함한다. 걸림부(34b-1)는 관통공(15c)을 통과한 후, 센싱 모듈(30)의 회전에 따라 집수부(15a)의 관통공(15c) 인접부에 지지되어, 관통부(34b)가 관통공(15c)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부(34b-1)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걸림부(34b-1)를 포함하며, 두 걸림부(34b-1)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집수부(15a)에 마련된 관통공(15c)은 감지부(34a)가 통과하는 통과부(15c-1)와, 감지부 통과부(15c-1)의 양측에 걸림부(34b)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된 걸림부 통과부(15c-2)를 포함한다. 따라서 센싱 모듈(30)이 일정한 각도로 관통공(15c)에 설치될 경우에만 두 걸림부(34b)가 두 걸림부 통과부(15c-2)를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장착부(34c)는 상술한 걸림턱(15d)에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관통공(15c)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술한 실링부재(25)가 설치되는 실링부재 설치부(34c-1)를 포함한다.
또한 안착부(15e)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하는 센싱 모듈(3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부(15e-1)가 돌출되어 있으며, 장착부(34c)에는 스토퍼부(15e-1)와 대응하는 스토퍼 돌기(34c-2)가 마련되어, 센싱 모듈(30)의 회전에 따라 두 스토퍼 돌기(34c-2)가 두 스토퍼부(15e-1)에 걸려 센싱 모듈(30)의 회전 각도가 일정 이하로 제한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부(15e-1)는 두 개가 안착부(15e)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며, 스토퍼 돌기(34c-2)는 두 스토퍼부(15e-1)와 대응하도록 두 개의 스토퍼 돌기(34c-2)가 장착부(34c)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 형성된다.
또한 안착부(15e) 선단에는 일 방향으로 회전한 센싱 모듈(30)이 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락킹부(15e-2)가 형성되며, 센서 하우징(34)의 장착부(34c)에는 락킹부(15e-2)와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센싱 모듈(30)의 회전에 따라 탄성 변형하며 락킹부(15e-2)에 걸리는 탄성 후크(34c-3)가 마련된다.
실링부재(25)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오링(O-ring)으로 형성되어 상술한 실링부재 설치부(34c-1)에 설치된다. 따라서 실링부재(25)를 장착부(34c)의 실링부재 설치부(34c-1)에 설치한 후, 센싱 모듈(30)을 집수부(15a)에 설치하여 장착부(34c)가 안착부(15e) 내에 삽입되도록 하면, 장착부(34c)의 외주면과 안착부(15e)의 내주면 사이가 실링부재(25)에 의해 실링되므로 관통공(15c)을 통한 누수는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춘 센싱 모듈(30)을 집수부(15a)에 설치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
먼저 두 걸림부(34b-1)가 두 걸림부 통과부(15c-2)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센싱 모듈(30)을 일정 각도로 관통공(15c)에 삽입하면, 두 걸림부(34b-1)가 각각 대응하는 두 걸림부 통과부(15c-2)를 통과하고, 장착부(34c)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부(15e) 내로 진입하여 걸림턱(15d)에 걸린다.
이러한 상태에서 센싱 모듈(30)을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두 걸림부(34b)는 관통공(15c)과 인접한 집수부(15a) 내면에 지지된다. 또한 센싱 모듈(30)의 회전에 따라 센서 하우징(34)에 마련된 스토퍼 돌기(34d)는 집수부(15a)에 마련된 스토퍼부(15e)에 걸리므로 센싱 모듈(30)의 회전은 제한되어 미리 설정된 각도까지만 회전한다.
또한 센싱 모듈(30)의 일 방향 회전에 따라 탄성 후크(34c-3)는 일시적으로 탄성 변형되었다가 원위치로 복귀되며 락킹부(15e-2)에 걸리므로,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기 이전까지는 센싱 모듈(3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방지된다.
상기에서 두 걸림부(34b-1) 및 두 걸림부 관통부(34b)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걸림부(34b-1)가 서로 다른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고, 두 걸림부 관통부(34b)가 두 걸림부(34b-1)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센싱 모듈(30)이 일정 각도로 집수부(15a)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세척조(11) 내의 랙(13U, 13L)에 식기를 담은 후 식기세척기를 동작시키면, 급수관(16)을 통해서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척실(11a) 내로 물이 급수되며, 급수된 물은 세척실(11a) 하부에 마련된 집수부(15a)에 모인다.
집수부(15a) 내에 물이 일정 수위 이상 채워지면, 센싱 모듈(30) 내에 포함되어 있는 물 감지센서(31)에 의해 센싱 모듈(30) 주위에 물이 존재하는 것이 감지된다. 물이 존재하는 것이 감지되면 순환펌프(18)가 동작한다. 순환펌프(18)의 동작에 따라 집수부(15a)에 모인 물은 노즐 유닛(14L, 14U, 14M)으로 전달되고, 노즐 유닛(14L, 14U, 14M)에 전달된 물은 노즐을 통해 랙(13U, 13L)에 담긴 식기로 분사되어 식기에 묻은 오물을 청소한다.
식기의 세척이 완료된 후에는 순환펌프(18)의 동작은 정지하고, 배수펌프(19)가 동작하여 집수부(15a)에 모인 물을 배수관(21)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집수부(15a) 내에 물이 일정 수위 이하로 낮아지면 센싱 모듈(30) 내에 포함되어 있는 물 감지센서(31)에 의해 센싱 모듈(30) 주위에 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감지된다. 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감지되면 배수펌프(19)의 동작은 정지되고, 식기의 세척은 완료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센싱 모듈(30)은 섬프(15)의 하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섬프(15) 내의 물이 일정 수위 이상 채워진 상태에서만 센싱 모듈(30)에 배치된 물 감지센서(31)가 물을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식기세척기의 구조 상 섬프(15)의 물을 완전히 배출하기 어려워, 섬프(15)의 하부에는 불가피하게 잔수가 존재할 수 밖에 없는데, 이러한 잔수가 센싱 모듈(30)에 의해 감지될 경우, 섬프(15) 내에 물이 채워진 것으로 오인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물 감지센서(31)는 정전용량센서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종류의 근접센서를 온도센서(32)와 함께 센싱 모듈(30) 내에 포함시켜 센싱 모듈(30)이 물 감지센서(31)와 온도센서(32)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회로기판(33)에 물 감지센서(31)와 온도센서(32)가 모두 실장되도록 하여 센싱 모듈(30)이 물 감지센서(31)와 온도센서(32)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온도센서(32)에 대응하는 구성이 없어 물 감지센서(31)로만 동작하는 센싱 모듈(30)에 적용될 경우에도 인쇄회로기판(33)의 양면에 제 1 전극(33a)과 제 2 전극(33b)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센싱 모듈(30)의 크기를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다는 점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세척조
11a: 세척실 12: 도어
13: 랙 14: 노즐 유닛
15: 섬프 15a: 집수부
15c: 관통공 15e: 안착부
15e-1: 스토퍼부 15e-2: 락킹부
30: 센싱 모듈 31: 물 감지센서
31a: 제 1 전극 31b: 제 2 전극
32: 온도센서 33: 인쇄회로기판
33a: 슬릿 34: 센싱 하우징
34a: 감지부 34b: 관통부
34b-1: 걸림부 34c: 장착부
34c-1: 실링부재 설치부 34c-2: 스토퍼 돌기
34c-3: 탄성 후크

Claims (22)

  1.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실과,
    상기 세척실 하부에 마련되어 세척에 사용되는 물이 모이는 집수부와,
    상기 집수부에 배치되며 물을 유무를 감지하는 물 감지센서와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일체로 포함하는 센싱 모듈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집수부의 하면과 이격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물 감지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물 감지센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 1 면에 배치된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면과 반대측인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 2 면에 배치된 제 2 전극을 포함한 정전용량센서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과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단에 나란히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 2 전극과 상기 온도센서 사이에 마련된 슬릿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물 감지센서와 상기 온도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는 센서 하우징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센서 하우징 내부에 충진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센서 하우징 내부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수지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하우징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집수부 내로 돌출되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부는 그 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감지부가 관통하여 돌출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하우징은 그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감지부가 통과하는 감지부 관통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 통과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두 개의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 통과부는 상기 두 개의 걸림부와 각각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두 개의 걸림부 통과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하우징은 상기 관통공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부는 상기 관통공 인접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장착부가 안착 지지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내주면과 상기 장착부의 외주면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는 상기 센싱 모듈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한 쌍의 스토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하우징은 상기 센싱 모듈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스토퍼부에 각각 걸리는 한 쌍의 스토퍼 돌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는 일 방향으로 회전한 상기 센싱 모듈의 역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락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하우징은 상기 락킹부와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센싱 모듈의 일 방향 회전에 따라 탄성 변형하며 상기 락킹부에 걸리는 탄성 후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5.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실과,
    상기 세척실 하부에 마련되어 세척에 사용되는 물이 모이는 집수부와,
    상기 집수부에 배치되어 물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싱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센싱 모듈은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물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물 감지센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 1 면에 배치된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면과 반대인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 2 면에 배치된 제 2 전극을 포함한 정전용량센서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과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단에 나란히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 2 전극과 상기 온도센서 사이에 마련된 슬릿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9. 식기세척기에 설치되어 물의 유무를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정전용량센서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 1 면에 배치된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면과 반대측인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 2 면에 배치된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센싱 모듈.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센싱 모듈.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과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단에 나란히 배치되는 식기세척기의 센싱 모듈.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 2 전극과 상기 온도센서 사이에 마련된 슬릿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센싱 모듈.
KR1020130046132A 2013-04-25 2013-04-25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센싱 모듈 KR101981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132A KR101981679B1 (ko) 2013-04-25 2013-04-25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센싱 모듈
US14/258,628 US9861255B2 (en) 2013-04-25 2014-04-22 Dishwasher and sensing module for the same
EP14165840.1A EP2796080B1 (en) 2013-04-25 2014-04-24 Dishwasher and sensing module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132A KR101981679B1 (ko) 2013-04-25 2013-04-25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센싱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594A true KR20140127594A (ko) 2014-11-04
KR101981679B1 KR101981679B1 (ko) 2019-05-23

Family

ID=50542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6132A KR101981679B1 (ko) 2013-04-25 2013-04-25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센싱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61255B2 (ko)
EP (1) EP2796080B1 (ko)
KR (1) KR1019816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170A (ko) * 2015-04-22 2016-11-02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배터리팩모듈의 온도측정 장치
KR101700275B1 (ko) 2015-11-27 2017-01-3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센싱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300362D0 (en) * 2013-01-09 2013-02-20 Reckitt Benckiser Uk Ltd Low cost senor system
US9782053B2 (en) * 2013-12-05 2017-10-10 Christopher J. Gilreath Water conserving clean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10335008B1 (en) * 2013-12-05 2019-07-02 Chris Gilreath Water conserving clean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10722095B1 (en) * 2013-12-05 2020-07-28 Chris Gilreath Water conserving clean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CN104905746B (zh) * 2015-06-26 2018-03-30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
US10335012B2 (en) 2015-10-19 2019-07-0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ishwasher spray fill
US9993132B2 (en) * 2015-12-16 2018-06-12 Whirlpool Corporation Dish treating appliance with leak detection
CN108534914B (zh) * 2018-04-18 2023-09-22 北京方等传感器研究所有限公司 温度传感器连接结构及连接系统
CN108968861A (zh) * 2018-08-31 2018-12-11 杭州川月科技有限公司 一种洗碗机的洗碗方法及洗碗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6531A (en) * 1994-05-20 1995-08-29 Honeywell Inc. Sensor platform for use in machines for washing articles
US20060237036A1 (en) * 2005-04-25 2006-10-26 Viking Range Corporation Fill level control system for an article clean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210345D1 (de) 2002-01-31 2007-08-02 Emz Hanauer Gmbh & Co Kgaa Trübungssensor mit Temperaturerfassung für Haushaltsgeräte
US7028697B2 (en) 2002-05-03 2006-04-18 Whirlpool Corporation In-sink dishwasher
EP1677085A3 (de) 2004-12-31 2007-08-01 Moonhaven LLC Kapazitiver Niveau-Sensor
PL2233058T3 (pl) 2009-03-27 2013-10-3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 Nv Zmywarka do naczy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6531A (en) * 1994-05-20 1995-08-29 Honeywell Inc. Sensor platform for use in machines for washing articles
US20060237036A1 (en) * 2005-04-25 2006-10-26 Viking Range Corporation Fill level control system for an article clean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170A (ko) * 2015-04-22 2016-11-02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배터리팩모듈의 온도측정 장치
KR101700275B1 (ko) 2015-11-27 2017-01-3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센싱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96080A2 (en) 2014-10-29
US9861255B2 (en) 2018-01-09
KR101981679B1 (ko) 2019-05-23
US20140318585A1 (en) 2014-10-30
EP2796080A3 (en) 2015-03-11
EP2796080B1 (en) 202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1679B1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센싱 모듈
US6675818B1 (en) Dishwashing machine
US8834646B2 (en) Turbidity sensor and related consumer appliance
US10307035B2 (en) Dish treating appliance with leak detection
KR20080108528A (ko) 식기세척기 특히 가정용 식기세척기
KR20130081113A (ko) 노즐 어셈블리와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EP2767631B1 (en)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level sensing device
US11234576B2 (en) Dishwashing appliances and methods for addressing obstruction therein
CN111050624B (zh) 洗碗机
JP2012115489A (ja) 食器洗い機
US9872596B2 (en) Warewash machine chemical sensor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
US20230320558A1 (en) Dishwashing appliances and sensor assemblies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n appliance door
US20210251464A1 (en) Sensor assembly including a multifunctional housing
US20230165431A1 (en) Dishwashing appliances and sensor assemblies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n appliance door
US11445884B2 (en) Dishwasher appliance main conduit with pressure relief hole
KR20100104561A (ko) 식기세척기
US10646096B2 (en) Flood detection sensor for a dishwasher appliance
KR100844156B1 (ko)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
KR20070112720A (ko) 식기 세척기
KR20230109417A (ko) 식기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161561B1 (ko) 식기세척기
KR101104542B1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구조
KR101227425B1 (ko) 식기세척기의 섬프 어셈블리
KR20210061143A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JP6068892B2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