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425B1 - 식기세척기의 섬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섬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425B1
KR101227425B1 KR1020100043750A KR20100043750A KR101227425B1 KR 101227425 B1 KR101227425 B1 KR 101227425B1 KR 1020100043750 A KR1020100043750 A KR 1020100043750A KR 20100043750 A KR20100043750 A KR 20100043750A KR 101227425 B1 KR101227425 B1 KR 101227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hwasher
air dome
sump assembly
protector
press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4410A (ko
Inventor
박철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to KR1020100043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425B1/ko
Publication of KR20110124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9Spray-pressure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의 섬프 어셈블리는, 터브의 하부에 장착되어 세척수가 집수되는 식기세척기의 섬프 어셈블리에 있어서, 에어돔이 형성되는 섬프하우징; 상기 에어돔에 호스를 통해 연결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압력센서로 잔수 및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는 프로텍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로텍터에 의해 압력센서로 잔수 및 기타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섬프 어셈블리{Sump assembly for a 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섬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력센서로 잔수 및 기타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식기세척기의 섬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음식물찌꺼기를 세척하고, 세척된 식기를 건조 및 살균하는 가전기기이다. 또한, 식기세척기는 설거지가 자동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됨에 따라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는 통상 세척→헹굼→건조의 기능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세척 대상물의 오염 정도에 따라 각 행정별로 온수 또는 냉수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세척조가 형성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에 설치되어 식기를 담는 랙 및 터브의 하부에 장착되어 세척수가 집수되는 섬프 어셈블리 및 섬프 어셈블리 내에 배치되어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섬프 어셈블리에는 섬프하우징에 형성된 에어돔(air dome)의 압력을 호스 등으로 전달받아 이상 및 정상동작을 판단하는 압력센서가 구비된다. 이때, 압력센서가 이상동작을 판단하면 에러메시지를 출력하며 식기세척기의 동작을 off 시키며 정상동작으로 판단하면 식기세척기를 정상 동작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이동 및 유통과정에서 섬프 어셈블리에 일부 남아있을 수 있는 잔수 및 기타 이물질이 압력센서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잔수 및 기타 이물질이 유입된 압력센서는 정상적으로 동작이 되지않음에 따라 식기세척기의 동작불능 및 비정상적인 동작을 실행하였다.
특히, 소비자가 식기세척기 구매 후 최초가동시에 전술한 불량이 발생하면 제품 및 판매사에 대한 신뢰도가 급격하게 하락하는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센서로 잔수 및 기타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식기세척기의 섬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의 섬프 어셈블리는, 터브의 하부에 장착되어 세척수가 집수되는 식기세척기의 섬프 어셈블리에 있어서, 에어돔이 형성되는 섬프하우징; 상기 에어돔에 호스를 통해 연결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압력센서로 잔수 및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는 프로텍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텍터는 단품으로 형성되어 에어돔에 설치되거나 상기 에어돔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텍터는, 일 측에서 타 측으로 하향 경사진 제1스토퍼와, 타 측에서 일 측으로 하향 경사진 제2스토퍼로 구성되되, 상기 제1,2스토퍼는 엇갈린 상태로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에어돔에는 연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프로텍터에는 상기 연통부에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섬프 어셈블리에 따르면, 프로텍터에 의해 압력센서로 잔수 및 기타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즉, 식기세척기의 동작불능 및 비정상적인 동작을 방지하여 식기세척기의 동작신뢰도가 향상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섬프 어셈블리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프로텍터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섬프 어셈블리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프로텍터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섬프 어셈블리를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본 발명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식기세척기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식기세척을 위한 세척조가 형성되는 터브(11a)와,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상기 터브(11a) 내에 배치되어 식기가 수납되는 상,하부 랙(3a,4a)과, 상기 터브(11a)의 개방된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5a) 및 상기 터브(11a)의 전면 중앙부에 배치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 어셈블리(2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터브(11a) 내측 상,하부에는 스프레이암(6a,7a)이 설치되어 상,하부 랙(3a,4a)에 담긴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레이암(6a,7a)에 의하여 분사되어 식기 등을 세척한 후 찌꺼기와 함께 세척수는 통공(100)을 통해 집수부(201)가 구비된 섬프 어셈블리(200)로 집수되고, 상기 세척수는 섬프 어셈블리(200)에 구비된 펌프(미도시)에 의해 재순환되어 다시 스프레이암(6a,7a)으로 공급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섬프 어셈블리(200)를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터브(11a)의 하부에 장착되어 세척수가 집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섬프 어셈블리(200)는, 에어돔(211)이 형성되는 섬프하우징(210)과, 상기 에어돔(211)의 상부에 호스(221)를 통해 연결되어 세척수 표면 위에 형성된 공간의 압력을 측정하여 급수 및 세척행정의 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압력센서(220) 및 상기 압력센서(220)로 잔수 및 이물질의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프로텍터(23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섬프하우징(210)의 집수부(201)는 식기 세척기의 동작중에는 집수된 물이 항상 채워져 순환하며 식기 세척기의 동작이 완료되면 섬프 하우징(210)에 형성된 배수부(205)를 통해 세척수를 배수하게 된다. 이때, 배수부(205)에는 배수펌프(미도시)가 설치되어 강제배수가 실시된다.
또한, 상기 에어돔(211)에는 집수부(201)와 연통되는 연통부(202)가 형성된다. 다만, 상기 에어돔(211)은 상기 집수부(201)와 별도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그 공간으로 프로텍터(230)가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돔(211)의 개방된 단부에는 패킹부재(203)와 덮개(204)가 차례로 끼워져 상기 개방된 단부가 마감된다.
한편, 상기 에어돔(211)에는 식기 세척기의 동작중에는 일부 물이 차올라 세척수 표면의 상부에는 진공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세척수 상부의 공간은 호스(221)를 통해 압력센서(220)에 연결되어 세척수에 의해 생성된 압력이 전달된다. 이때, 상기 에어돔(211)에는 대략 1/3의 물이 채워지며 나머지 2/3는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집수부(201)의 압력을 압력센서(220)가 측정하여 식기 세척기의 이상동작 및 정상동작을 판단하며, 이상동작 판단시에는 식기 세척기는 에러메시지를 표시하며 동작을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압력센서(220)는 식기세척기 구동하는 동안 계속적으로 세척수의 표면의 압력을 측정한다.
더욱이, 상기 에어돔(211), 호스(221) 및 압력센서(220)는 진공을 유지하기 때문에 식기 세척기의 동작 중에는 세척수의 유입이 차단된다. 다만, 식기세척기의 유통과정 및 사용 후 이동설치시에는 섬프 어셈블리(200)의 집수부(201) 및 에어돔(211) 하부의 잔수 및 이물질이 일부 남아있을 수 있어 이를 상기 프로텍터(230)에 의해 차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텍터(230)는 일 측에서 타 측으로 하향 경사진 제1스토퍼(231)와, 타 측에서 일 측으로 하향 경사진 제2스토퍼(232)로 구성되되, 상기 제1,2스토퍼(231,23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져서 엇갈린 상태로 이격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텍터(230)에는 상기 연통부(202)에 대응되는 관통공(233)이 형성되어 상기 집수부(201)에 집수된 세척수를 연통부(202), 관통공(233)을 통해 에어돔(211) 내부로 유입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섬프 어셈블리(20)에 따르면, 식기세척기 이동 및 유통과정에서 집수부(201) 또는 에어돔(211)에 잔류할 수 있는 잔수 및 기타 이물질이 하향 경사진 제1,2스토퍼(231,232)에 의해 에어돔(211) 상부로의 이동이 방지되어 압력센서(220)로 잔수 및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식기세척기의 동작불능 및 비정상적인 동작을 방지하여 식기세척기의 동작신뢰도가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설명에서는 프로텍터가 단품으로 형성되어 에어돔에 설치된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이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프로텍터가 에어돔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200 - 섬프 어셈블리 210 - 섬프하우징
220 - 압력센서 230 - 프로텍터

Claims (4)

  1. 터브의 하부에 장착되어 세척수가 집수되는 식기세척기의 섬프 어셈블리에 있어서,
    에어돔이 형성되는 섬프하우징;
    상기 에어돔에 호스를 통해 연결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압력센서로 잔수 및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는 프로텍터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텍터는,
    일 측에서 타 측으로 하향 경사진 제1스토퍼와, 타 측에서 일 측으로 하향 경사진 제2스토퍼로 구성되되, 상기 제1,2스토퍼는 엇갈린 상태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섬프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는 단품으로 형성되어 에어돔에 설치되거나 상기 에어돔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섬프 어셈블리.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돔에는 연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프로텍터에는 상기 연통부에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섬프 어셈블리.
KR1020100043750A 2010-05-11 2010-05-11 식기세척기의 섬프 어셈블리 KR101227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750A KR101227425B1 (ko) 2010-05-11 2010-05-11 식기세척기의 섬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750A KR101227425B1 (ko) 2010-05-11 2010-05-11 식기세척기의 섬프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410A KR20110124410A (ko) 2011-11-17
KR101227425B1 true KR101227425B1 (ko) 2013-01-29

Family

ID=45394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750A KR101227425B1 (ko) 2010-05-11 2010-05-11 식기세척기의 섬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4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9518A (ja) * 1992-09-22 1994-04-19 Hoshizaki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
JPH09173267A (ja) * 1995-12-27 1997-07-08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
KR19990030260U (ko) * 1997-12-30 1999-07-26 구자홍 식기세척기의 응축수 막힘 방지용 공기 압축 쳄버
KR20050105722A (ko) * 2004-05-03 2005-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9518A (ja) * 1992-09-22 1994-04-19 Hoshizaki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
JPH09173267A (ja) * 1995-12-27 1997-07-08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
KR19990030260U (ko) * 1997-12-30 1999-07-26 구자홍 식기세척기의 응축수 막힘 방지용 공기 압축 쳄버
KR20050105722A (ko) * 2004-05-03 2005-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410A (ko) 201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6906B1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US10307035B2 (en) Dish treating appliance with leak detection
KR20100110548A (ko) 식기세척기
US10624521B2 (en) Dishwasher appliance configured for flood and leak detection
KR101202062B1 (ko) 스팀 발생 장치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및 제어 방법
US10130238B2 (en) Turbidity sensor assembly including an integral water level indicator
US20160198926A1 (en) Fluid circulation system for dishwasher appliances
US7556050B2 (en) Self-drainage preventing structure of dish washer
KR20100000205A (ko) 식기세척기
US20190159652A1 (en) Dishwasher appliance having a pressure sensor for flood detection
KR101227425B1 (ko) 식기세척기의 섬프 어셈블리
KR102379996B1 (ko) 식기세척기
US7998280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shwasher and dishwasher
KR101356494B1 (ko) 식기 세척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9307886B2 (en) Indexing passive diverter for an appliance
KR20110046181A (ko)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58074B1 (ko) 식기세척기
KR100863859B1 (ko) 식기 세척기
US20070272284A1 (en) Dishwasher
KR20130059710A (ko) 오버플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식기세척기
KR100662156B1 (ko) 식기 세척기의 워터 가이드 결합 구조
KR101215344B1 (ko) 식기세척기의 자동운전 장치 및 방법
KR100866883B1 (ko) 식기세척기
KR101559397B1 (ko) 세척기기
KR100493283B1 (ko) 식기세척기의 과급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