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877B1 -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와 터치 장치 - Google Patents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와 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877B1
KR102394877B1 KR1020177030889A KR20177030889A KR102394877B1 KR 102394877 B1 KR102394877 B1 KR 102394877B1 KR 1020177030889 A KR1020177030889 A KR 1020177030889A KR 20177030889 A KR20177030889 A KR 20177030889A KR 102394877 B1 KR102394877 B1 KR 102394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tylus
electromagnetic
signals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4559A (ko
Inventor
시방지
주데종
Original Assignee
장시 화추앙 터치 컨트롤 트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시 화추앙 터치 컨트롤 트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장시 화추앙 터치 컨트롤 트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024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ctive external devices, e.g. active pens, for receiving changes in electrical potential transmitted by the digitiser, e.g. tablet driving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ctive external devices, e.g. active pens, for transmitting changes in electrical potential to be received by the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와 터치 장치를 개시하는데, 이는 스타일러스 쉘과, 스타일러스 쉘 내의 배터리와, 스타일러스 쉘 내의 스타일러스 시스템 회로와 함께 스타일러스 쉘 내의 터치 감압 부품들과 터치 모듈을 포함하고, 터치 감압 부품들은 펜촉과, 펜촉 터치 스위치와, 및 펜촉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스타일러스 시스템 회로는 충전 회로와, 전원 제어 및 셧다운 지연 회로와, 전원 전압 변환 회로와, 기능키들과,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를 포함하며; RF 변조 및 RF 송수신회로는 펜촉 전압 센서 및 기능키들과 연결되어 펜촉 압력 신호와 기능키들을 각각 수신하고 RF 변조하여 RF 변조 신호들을 출력하고; RF 변조 및 RF 송수신회로는 터치 부품의 주파수 도약 지령 RF 신호를 수신한 다음, 신호 생성 회로에 주파수 도약 신호들을 출력하며;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에 연결된 신호 생성 회로는 이에 따라 주파수 도약 신호들을 수신하여 주파수 도약 동작으로 이행하므로 본 발명에 개시된 스타일러스 및 터치 모듈로 구성된 스타일러스 및 터치 장치가 매우 강력한 간섭 방지 특성과 실제 필기감의 필기 효과를 가지고, 기능키들은 외부 장치에 어떤 단축키를 규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와 터치 장치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기자의 실제 필기를 기록하며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 및 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제품의 발전과 개발과 함께 인덕터(inductor)의 사용이 매우 광범위하게 되었다. 현재 인덕터는 두 모드를 가지는데: 정전 모드(capacitive mode)와 전자기 모드(electromagnetic mode)로, 터치 필기 스타일러스(touch handwriting stylus)를 터치 필기 입력 기기의 터치 센서의 터치 유도 활성 영역(touch-induced active zone)과 터치를 유지시킴으로써 필기 입력 기능을 달성한다.
중국출원 CN200810089922 "정전 스타일러스(capacitive stylus)"는 정전 스타일러스를 개시하는데, 이는 도통판((conducting plate)과 커넥터(connector), 그리고 도통 스타일러스 몸체(conducting stylus body)를 포함하고, 커넥터가 도통판을 도통 스타일러스 몸체에 연결함으로써 스타일러스 몸체와 도통판이 상대 이동(relative motion)을 취하게 된다. 커넥터가 불편한 작동을 유발하고;
기존의 스타일러스는 필기압(writing pressure) 유도 기능이 없이 전기 회로를 통해 간단한 필기 기능을 달성하므로 스타일러스에 인가되는 압력값에 따른 다른 압력 신호를 출력할 수 없어 단순한 기능과 단순한 출력만이 초래되며;
스타일러스 압력 검출 기능을 가진다고 하더라도 압력 검출 거리가 길어 필기감(writing experience)이 불량하고 구현이 복잡하며 원가가 높았다. 뿐만 아니라, 이는 필기자의 필기 특성을 정확히 반영할 수 없다.
또한, 기존의 스타일러스는 일반적으로 단일한 모드를 채택하여 정전 모드와 전자기 모드 인덕터의 조합을 채택할 수 없으며, 정전 모드 또는 전자기 모드 어느 하나에만 적합하다. 뿐만 아니라, 고정된 주파수의 스타일러스 신호들에 작동하는 다수의 전자기 또는 정전 스타일러스들이 있어서, 작동 주파수를 가지는 유사 또는 동일한 스타일러스들이 외부에 있으면 훨씬 더 간섭되기 쉬워 작동 상태를 불안정하게 한다.
이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RF 송수신 회로(transceiver)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와 터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이는 전자기 모드, 정전 모드, 또는 전자기 및 정전 이중 모드를 가지는 전자기 스타일러스를 제공하여, 정전 인덕터 또는 전자기 인덕터, 또는 양자 모두에 적합하며, 필기압(writing pressure) 유도(induction)로 실제 필기 기능 역시 가진다. 한편, 고주파 신호(radio-frequency signal)들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RF 송수신 회로 역시 제공하는데, 작업 주파수가 외부에서 간섭되면 주파수 도약(frequency hopping) 작동을 구현하여 강력한 간섭 방지(anti-interference) 기능을 달성함으로써 외부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주파수가 발생하여 외부에 의해 훨씬 더 간섭되기 쉬운 불안정한 상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를 제공하는데, 이는 전자기 모드 스타일러스, 제1 정전 모드 스타일러스, 제2 정전 모드 스타일러스, 제3 정전 모드 스타일러스, 제1 전자기 및 정전 이중 모드 스타일러스, 제2 전자기 및 정전 이중 모드 스타일러스와 함께 제3 전자기 및 정전 이중 모드 스타일러스 등의 다중 모드의 터치 기능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기술적 해법은 다음과 같다:
스타일러스 쉘(stylus shell)과, 스타일러스 쉘 내의 배터리와, 스타일러스 쉘 내의 스타일러스 시스템 회로 및 스타일러스 쉘 내의 터치 감압(pressure-sensitive) 부품들을 포함하는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로,
터치 감압 부품들이 펜촉(nib)과, 펜촉 터치 스위치 및 펜촉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스타일러스 시스템 회로가 충전 회로와, 전원 제어 및 셧다운 지연 회로(power control and a shutdown delay circuit)와, 전원 전압 변환 회로(power voltage conversion circuit)와, 기능키(function key)들과,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RF modulating and RF transceiver circuit), 및 스타일러스 신호 생성 회로(stylus signal generating circuit)를 포함하고;
전원 전압 변환회로는 전원 제어 및 셧다운 지연 회로에 연결되어 시스템 전원 공급을 일정한 작동 공급 전압(operating supply voltage)으로 변환하고;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는 펜촉 압력 센서와 기능키들에 연결되어 펜촉 압력 신호들과 기능키 신호들을 각각 취득하고 이 신호들을 RF 변조하여 RF 변조 신호들을 출력하며;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가 고주파 신호들을 수신하여 회로의 주파수 도약 신호를 스타일러스 신호 생성회로에 산출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신호 생성 회로는 전자기 신호 및/또는 전기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는데,
스타일러스 신호 생성 회로는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에 연결됨으로써 주파수 도약 신호를 수신하여 주파수 도약 작동으로 진행한다.
바람직하기로, 스타일러스 신호 생성 회로로부터 출력된 전자기 신호 및/또는 전기 신호들은 펜촉 정지 위치 신호(nib hovering position)와 펜촉 궤적 신호(nib trace signal)들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펜촉 압력 센서는 감압 레지스터(resistor)이다.
바람직하기로, 펜촉 압력 센서는 감압 캐패시터(capacitor)이다.
바람직하기로, 스타일러스 쉘은 스타일러스 쉘 전단과 스타일러스 쉘 후단을 포함하고;
배터리와 스타일러스 시스템 회로는 스타일러스 쉘 후단에 배치되고, 스타일러스 쉘 후단은 금속 도전 재질로 구성되며;
터치 감압 부품들은 스타일러스 쉘 전단에 배치되고, 스타일러스 쉘 전단은 절연 재질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기로, 스타일러스 신호 생성 회로는 전자기 신호 출력 코일과 연결되어 교번하는 전자기 신호(alternating electromagnetic signal)를 출력하고, 전자기 신호 출력 코일은 절연 표면을 가지는 금속 와이어가 권선된 도넛형 코일(toroidal coil)이다.
바람직하기로, 스타일러스 신호 생성 회로는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electric signal radiating antenna)와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출력하고,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는 도전 재질의 부분(section)으로 구성된 전기 도체(electric conductor)이다.
바람직하기로, 스타일러스 신호 생성 회로는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와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데, 도전 재질로 구성된 펜촉 역시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펜촉의 터치는 펜촉 터치 스위치와 펜촉 압력 센서로 전달되는 압력을 생성한다.
바람직하기로, 스타일러스 시스템 회로의 전원 제어 및 셧다운 지연 회로는 배터리에 연결되는 전원 입력 포트(port)와, 전원 전압 변환 회로에 연결되는 전원 출력 포트와, 펜촉 터치 스위치에 연결되는 터치 스위칭 신호 제어 포트를 구비하고;
터치 스위칭 신호 제어 포트는 터치 스위치에 연결되어 신호를 취득하는데, 터치 스위치의 도통 신호(conducted signal)가 취득되면 전원 입력 포트와 전원 출력 포트가 서로 도통되어 스타일러스 시스템 회로가 작동 조건(working condition)에 진입하고;
작동 조건에서 터치 스위치에 연결된 단락 회로 도통 신호(short circuit conducted signal)가 장시간 수신되지 않으면 전원 입력 포트와 전원 출력 포트 간의 연결이 서로 차단(cut off)되어 시스템 회로는 셧다운 상태에 진입하며;
바람직하기로, 스타일러스 시스템 회로의 전원 제어 및 셧다운 지연 회로는 또한 충전 회로에 연결되는 전원 충전 제어 포트 역시 구비하는데, 전원 충전 제어 포트가 충전 신호를 취득하면 충전 상태에 진입하여, 전원 입력 포트와 전원 출력 포트 간의 연결이 서로 차단되고 스타일러스 시스템 회로는 셧다운 상태에 잠금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터치 장치도 제공하는데, 터치 장치는 전자기 모드 터치 장치, 제1 정전 모드 터치 장치, 제2 정전 모드 터치 장치, 제3 정전 모드 터치 장치, 제1 전자기 및 정전 이중 모드 터치 장치, 제2 전자기 및 정전 이중 모드 터치 장치와 함께 제3 전자기 및 정전 이중 모드 터치 장치 등의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다중 모드 터치 스타일러스와 터치 모듈을 포함하고, 기술적 해법의 상세는 다음과 같다: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터치 장치는 전술한 RF 송수신 회로 전송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와 터치 모듈을 포함하고, 터치 모듈은 터치 센서와 터치 프로세서와, 및 터치 프로세서에 연결된 RF 송수신 회로를 포함하여, 터치 모듈이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로부터 전송된 고주파 신호들과 출력 전자기 신호 및/또는 전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RF 송수신 회로는 2.4GHz 송수신 회로이며, 블루투스(Bluetooth) 송수신 회로 및/또는 와이파이(WiFi) 송수신 회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터치 모듈은 전자기 터치 모듈이고, 전자기 터치 모듈은 전자기 터치 센서와,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 및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에 연결된 RF 송수신 회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터치 모듈은 정전 터치 모듈이고, 정전 터치 모듈은 정전 터치 센서와, 정전 터치 프로세서, 및 정전 터치 프로세서에 연결된 RF 송수신 회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터치 모듈은 전자기 및 정전 이중 모듈이고, 전자기 및 정전 이중 모듈은 전자기 모듈과 정전 모듈을 포함하며;
전자기 모듈은 전자기 터치 센서와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 및 RF 송수신 회로를 포함하고, 정전 모듈은 정전 터치 센서와 정전 터치 프로세서, 및 RF 송수신 회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정전 터치 모듈의 정전 터치 센서의 정전 터치 유도 안테나 유닛(capacitive touch inducting antenna unit)은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에서 생성된 전기 신호들을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다음, 전기 신호들을 전기 유도 신호(electrically induced signal)들로 변환하여 정전 터치 프로세서로 입력하고, RF 송수신 회로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에서 전송된 고주파 신호들을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를 통해 수신하여 이 신호들을 정전 터치 프로세서로 전송하며, 정전 터치 프로세서는 이 신호들을 외부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복조(demodulate)하여 신호들을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기로, 전자기 터치 모듈의 전자기 터치 센서의 전자기 터치 유도 안테나 유닛은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에서 생성된 교번하는 전자기 신호들을 전자기 출력 코일을 통해 수신한 다음, 교번하는 전자기 신호들을 전자기 유도 신호(electromagnetic induced signal)들로 변환하여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로 입력하고, RF 송수신 회로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에서 전송된 고주파 신호들을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를 통해 수신하여 이 신호들을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로 전송하며,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는 이 고주파 신호들을 외부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복조하여 신호들을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기로, 전자기 및 정전 이중 모듈 내의 전자기 터치 모듈의 전자기 터치 유도 안테나 유닛과 정전 터치 모듈 내의 정전 터치 유도 안테나 모듈은 각각 교번하는 전자기 신호와 전기 신호들을 취득하고;
전자기 터치 유도 안테나 유닛은 교번하는 전자기 신호들을 전자기 유도 신호들로 변환한 다음, 전자기 유도 신호들을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에 입력하고, RF 송수신 회로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에서 전송된 고주파 신호들을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를 통해 수신하여 고주파 신호들을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로 전송하고,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는 이 신호들을 외부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들로 복조하여, 이 신호들을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정전 터치 유도 안테나 유닛은 전기 신호들을 전기 유도 신호들로 변환한 다음, 전기 유도 신호들을 정전 터치 프로세서에 입력하고, RF 송수신 회로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에서 전송된 고주파 신호들을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를 통해 수신하여 고주파 신호들을 정전 터치 프로세서로 전송하고, 정전 터치 프로세서는 이 신호들을 외부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들로 복조하여, 이 신호들을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전자기 및 정전 이중 터치 모듈의 전자기 터치 모듈은 정전 터치 모듈의 후방에 배치되고,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가 정전 터치 프로세서에 정전 터치 모듈의 셧다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전자기 터치 모드를 우선으로(prior) 유지한다.
바람직하기로, 전자기 및 정전 이중 터치 모듈의 정전 터치 모듈은 전자기 터치 모듈의 후방에 배치되고, 정전 터치 프로세서가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에 전자기 터치 모듈의 셧다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정전 터치 모드를 우선으로 유지한다.
바람직하기로, 외부 장치에 의해 인식되는 신호들은 펜촉 정지 위치(nib hovering position) 신호, 펜촉 궤적 신호(nib trace signal), 스타일러스 압력 신호, 및/또는 기능키의 신호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외부 장치는 정전 터치 센서, 전자기 터치 센서, 컴퓨터 및/또는 휴대폰이다.
기존의 기술들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기재된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와 터치 장치는 다음과 같은 유용한 이점들을 가진다:
1)본 발명이 제공하는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와 터치 장치는 전자기 모드, 정전 모드와 함께 전자기 및 정전 이중 모드 등의 다중 모드를 가져 정전 인덕터와 전자기 인덕터에 적용될 수 있다.
2)본 발명에 기재된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와 터치 장치로 필기하는 동안, 이는 스타일러스에 인가된 입력 압력값에 기초하여 다른 압력값을 출력함으로써 필기자의 실제 필기를 생성한다.
3)본 발명이 제공하는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와 터치 장치는 고주파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RF 송수신 회로와 함께 배치되어 주파수 도약 작동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작업 주파수가 환경으로부터 간섭될 때 매우 강력한 간섭 방지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4) 본 발명에 기재된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로 펜촉 압력과 기능키의 신호들이 더 민감하게 수신될 수 있고, 변조 회로로 전자기 신호 및/또는 전기 신호들을 복조한 다음 이 신호들을 대응 터치 모듈에 정확하고 적시에 전송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이는 필기자의 실제 필기를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정확한 신호를 정확하고 적시에 출력할 수 있다.
5)본 발명에 기재된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와 터치 장치는 작동이 용이하며, 스타일러스 압력 검출 기능을 가져 필기감이 우수하고, 구현이 용이하고, 필기자의 필기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의 회로도.
도 2a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전자기 터치 장치의 구조도.
도 2b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전자기 터치 장치의 회로도.
도 3a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제1 정전 터치 장치의 구조도.
도 3b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제1 정전 터치 장치의 회로도.
도 4a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제2 정전 터치 장치의 구조도.
도 4b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제2 정전 터치 장치의 회로도.
도 5a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제1 전자기 및 정전 터치 장치의 구조도.
도 5b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제1 전자기 및 정전 터치 장치의 회로도.
도 6a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제2 전자기 및 정전 터치 장치의 구조도.
도 6b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제2 전자기 및 정전 터치 장치의 회로도.
이하에 본원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해법들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된다. 설명된 실시예들이 본원의 일부 실시예들이지 전부가 아님은 자명하다. 본원의 보호 범위는 이하에 제공된 본원의 실시예들로 규정(define)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이들은 단순히 본원의 선택된 실시예들이다. 본원의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당업계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창조적 작업 없이 얻을 수 있는 실시예들은 본원의 보호범위에 귀속된다.
실시예 1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는 스타일러스 쉘(stylus shell)과, 스타일러스 쉘 내의 배터리와, 스타일러스 쉘 내의 스타일러스 시스템 회로(100) 및 스타일러스 쉘 내의 터치 감압(pressure-sensitive) 부품(300)들을 포함하며, 스타일러스 쉘이 스타일러스 쉘 전단과 스타일러스 쉘 후단을 포함하고;
배터리(601)와 스타일러스 시스템 회로(100)는 스타일러스 쉘 후단에 구비되고, 스타일러스 후단이 금속 도전 재질로 구성되며;
터치 감압 부품(300)들이 스타일러스 쉘 전단에 구비되고, 스타일러스 쉘 전단은 절연 재질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의 회로도인데, 스타일러스 시스템 회로(100)는 전원 충전회로(101)와, 전원 제어 및 셧다운 지연 회로(power control and a shutdown delay circuit; 102)와, 전원 전압 변환 회로(power voltage conversion circuit; 103)와,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RF modulating and RF transceiver circuit; 104)와, 기능키(function key; 105)들과, 그리고 스타일러스 신호 생성 회로(signal generating circuit; 106)를 포함하고;
터치 감압 부품(300)들이 펜촉(nib; 303)과, 펜촉 터치 스위치(302), 및 펜촉 압력 센서(301)를 포함한다.
펜촉 압력 센서(301)는 감압(pressure sensitive) 레지스터(resistor) 또는 감압 캐패시터(capacitor)로, 스타일러스로 필기하는 동안 스타일러스의 터치 감압 부품(300)의 펜촉(303)이 터치되어 터치 압력들을 생성하고, 터치 압력들은 펜촉 터치 스위치(302)로 전송되어 펜촉의 터치 압력들이 펜촉 터치 스위치(302)를 터치함으로써 펜촉 터치 스위치(302)가 서로 도통(conduct)되도록 하고; 그리고
펜촉의 터치 압력은 동시에 펜촉 압력 센서(301)로도 전송됨으로써 펜촉의 터치 압력의 변화에 따라 펜촉 압력 센서(301)의 저항 값 또는 캐패시턴스 값이 이에 따라 변화된다.
배터리(601)는 제거 가능한 일회용 배터리 및/또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인데, 이 실시예에서 배터리(601)는 적어도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고, 충전 회로(101)는 접촉식 유선(wired) 충전 회로 또는 비접촉식 무선 충전 회로이다.
전원 전압 변환회로(103)는 전원 제어 및 셧다운 지연 회로(102)에 연결되어 시스템 전원 공급을 일정한 작동 공급 전압(operating supply voltage)으로 변환한다.
전원 제어 및 셧다운 지연 회로(102)는 배터리에 연결되는 전원 입력 포트(VIN)와, 전원 전압 변환 회로(103)에 연결되는 전원 출력 포트(VOUT)와, 펜촉 터치 스위치(302)에 연결되는 터치 스위칭 신호 제어 포트(PC)를 구비하고;
터치 스위칭 신호 제어 포트(PC)는 터치 스위치(302)에 연결되어 스위칭 신호를 취득하는데, 터치 스위치(302)의 도통 신호(conducted signal)가 취득되면 전원 입력 포트(VIN)와 전원 출력 포트(VOUT)가 서로 도통되어 스타일러스 시스템 회로(100)가 전원 공급을 시작하여 작동 조건(working condition)에 진입하고;
작동 조건에서 터치 스위치(302)에 연결된 단락 회로 도통 신호(short circuit conducted signal)가 장시간 수신되지 않으면 전원 입력 포트(VIN)와 전원 출력 포트(VOUT) 간의 연결이 서로 차단(cut off)되어 스타일러스 시스템 회로는 전원 차단(power off) 상태에 진입한다.
전원 제어 및 셧다운 지연 회로(102)는 또한 충전 회로(101)에 연결되는 전원 충전 제어 포트(CC) 역시 구비하는데, 전원 충전 제어 포트(CC)가 충전 신호를 취득하면 충전 상태에 진입하여, 전원 입력 포트(VIN)와 전원 출력 포트(VOUT) 간의 연결이 서로 차단되고 스타일러스 시스템 회로(100)는 충전을 계속하기 위해 전원 차단 상태에 잠금될 것이다.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104)는 펜촉 압력 센서(301)와 기능키(105)들에 연결되는데, 기능키(105)는 하나 이상의 키들이고, 이 실시예에는 두 키들이 존재한다.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104)는 펜촉 압력 센서(301)로부터 취득된 감압 레지스터 신호 및 감압 캐패시터 신호들과 함께 기능키(105)로부터 취득된 기능키 신호들을 RF 변조하여 스타일러스 고주파 신호들을 출력하고;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104)는 또한 RF 신호들을 수신하여 RF 신호들에 간섭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동안 신호 생성 회로(106)에 주파수 도약 신호(frequency-hopping signal)를 출력한다.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104)는 간섭 신호들이 수신되지 않을 때까지 지속적으로 주파수 도약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의 신호 생성 회로(106)는 위상동기(phase-locked) 루프 발진회로로,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104)와 연결되어 주파수 도약 신호들을 취득하고, 스타일러스의 신호 생성 회로(106)는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104)로부터 주파수 도약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전자기 신호, 전기 신호 또는 전자기-전기 신호들을 출력하는데, 스타일러스의 신호 생성 회로(106)는 전자기 및/또는 전기 신호들을 출력하기 위해 새로운 작업 주파수 점으로 변조되는 주파수를 가져 스타일러스의 신호 생성 회로(106)가 지속적으로 변조되는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신호 생성 회로(106)는 전자기 신호 출력 코일(501)과 연결되어 교번하는 전자기 신호(alternating electromagnetic signal)를 출력하고, 신호 생성 회로(106)는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401)와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전자기 신호 출력 코일(501)은 적어도 한 층의 복수 권선(turn)을 위한 금속 와이어가 긴밀하게 감긴 도넛형 코일(toroidal coil)로, 금속 와이어는 에나멜 피복된 구리 와이어 또는 은 와이어가 될 수 있고, 또한 면(cotton) 피복된 구리 와이어 또는 은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전자기 신호 코일(501)의 용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기 코어를 코일 내에 배치함으로써 전자기 신호 코일(501)의 신호 출력 강도와 출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자기 신호 출력 코일(501)은 고리형으로 쉘 전단 내부의의 펜촉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401)는 임의 형상의 전기 도체(electric conductor)의 부분(section)인데, 고리형 금속, 도전성 고무, 꼬불대는 와이어 부분이 될 수 있고, 쉘 전단 내부의 펜촉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도전성 재질로 제조된 펜촉(303) 역시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401)로 사용될 수 있는데, 그러면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로 별도의 도체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과 용적을 감소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전성 재질로 제조된 펜촉(303)이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로 사용된다는 전제 하에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로 사용될 다른 전기 도체의 부분이 펜촉(303)에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전기 신호 출력이 더 정확하고 스타일러스의 감도(sensitivity)가 향상된다.
외부 장치에 대해 사용될 때, 스타일러스는 최종적으로 펜촉 정지 위치 신호와 펜 촉 궤적 신호를 전기 신호 및/또는 전자기 신호를 통해 출력하고, 최종적으로 스타일러스의 압력 신호들과 기능키 신호들을 고주파 신호들을 통해 외부 장치에 출력하는데, 기능키(105)들은 외부 장치에서 어떤 기능으로 규정될 수 있다. 외부 장치가 랩탑(laptop)인 경우 키는 좌/우측 마우스 버튼으로 규정될 수 있고, 또한 APP의 스위치 키, 드로잉(drawing) 지움 키, 화상 확대 단축키, 스크린샷(screenshot) 키 등으로 규정될 수도 있다.
스타일러스의 신호 생성 회로(106)만이 전자기 출력 코일(501)과 함께 배치된다면, 이는 전자기 신호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는 전자기 모드 스타일러스(110)이다.
스타일러스의 신호 생성 회로(106)만이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401)와 함께 배치된다면 이는 전기 신호만을 출력할 수 있고,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401)는 임의 형상의 전기 도체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는 제1 정전 모드 스타일러스(111)이다.
스타일러스의 신호 생성 회로(106)만이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401)와 함께 배치된다면 이는 전기 신호만을 출력할 수 있고, 도전 재질로 구성된 펜촉(303) 역시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401)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는 제2 정전 모드 스타일러스(112)이다.
스타일러스의 신호 생성 회로(106)만이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401)와 함께 배치된다면 이는 전기 신호만을 출력할 수 있고, 도전 재질로 구성된 펜촉(303) 역시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401)로 사용되는 한편, 전기 도체의 다른 부분 역시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로 배치되어 펜촉(303)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는 제3 정전 모드 스타일러스(113)이다.
스타일러스의 신호 생성 회로(106)가 전자기 출력 코일(501)과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401)를 모두 구비하면 이는 전자기 신호와 전기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고,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401)가 임의 형상의 전기 도체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때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는 제1 전자기 및 정전 이중모드 스타일러스(114)이다.
스타일러스의 신호 생성 회로(106)가 전자기 출력 코일(501)과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401)들을 모두 구비하면 이는 전자기 신호와 전기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고, 도전 재질로 구성된 펜촉(303)이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401)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는 제2 전자기 및 정전 이중모드 스타일러스(115)이며;
스타일러스의 신호 생성 회로(106)가 전자기 출력 코일(501)과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401)들을 모두 구비하면 이는 전자기 신호와 전기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고, 도전 재질로 구성된 펜촉(303)이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401)로도 사용되는 한편 다른 전기 도체의 부분 역시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로 사용되며 펜촉(303)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는 제3 전자기 및 정전 이중모드 스타일러스(116)이다.
실시예 2
이 실시예는 실시예 1에서 설명된 전자기 모드 스타일러스(110)와 전자기 터치 모듈을 포함하는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전자기 터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전자기 터치 모듈은 전자기 터치 센서(501)와,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901)와, 그리고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서(01)에 연결된 RF 송수신 회로(902)를 포함하고, RF 송수신 회로(902)는 2.4GHz RF 송수신 회로이고, 블루투스 송수신 회로 또는 와이파이 송수신 회로가 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전자기 터치 장치의 구조도인데,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의 외부는 스타일러스 쉘로 포장(package)되고, 배터리(601)와 스타일러스 시스템 회로(100)가 스타일러스 쉘 후단(701) 내부에 배치되고, 스타일러스 시스템 회로(100)에 연결된 기능키(105)가 스타일러스 쉘 후단 외부에 배치되며, 터치 감압 부품(300)들이 스타일러스 쉘 전단(702) 내부에 배치되고, 전자기 신호 출력 코일(501)이 펜촉(303) 둘레에 배치되며;
전자기 터치 센서(505)는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901)를 포함하여,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로부터 전자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b는 이 실시예의 전자기 터치 장치의 회로도로, 실시예 1에 설명된 전자기 모드 스타일러스(110)와 전자기 터치 모듈 회로를 포함하는데, 전자기 터치모듈의 전자기 터치 센서(505)의 전자기 터치 안테나 유닛(503)은 전자기 모드 스타일러스에 의해 생성된 교번하는 전자기 신호를 전자기 출력 코일(501)을 통해 수신한 다음, 교번하는 전자기 신호들을 전자기 유도 신호들로 변환하여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901)로 입력하고,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901)는 이 신호들을 외부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들로 복조(demodulate)하여 외부 장치로 출력하는데, 외부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들은 펜촉 정지(hovering) 위치 신호, 필기 궤적 신호들을 포함한다.
RF 송수신 회로(902)는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901)에 연결되어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에서 전송된 고주파 신호들을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104)를 통해 수신하여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로 전송하고,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는 고주파 신호들을 외부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고주파 신호로 복조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데, 외부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들은 스타일러스의 압력 신호와 기능키 신호들을 포함한다.
외부 장치는 이 실시예에 기재된 전자기 터치 장치의 전자기 터치 센서(505)와, 컴퓨터 및/또는 휴대폰이 될 수 있고;
전자기 터치 센서(505)는 하나 이상의 전자기 터치 유도 안테나 유닛(503)을 구비한다.
전자기 터치 모듈(900)의 전자기 터치 유도 안테나 유닛(503)에서 수신한 스타일러스에서 전송된 교번하는 전자기 신호들이 강하게 간섭되어 작동 상태를 불안정하게 할 때, 전자기 터치 모듈(900)은 터치 모듈 내의 RF 송수신 회로(902)를 통해 새로운 작동 주파수 점으로 도약하라는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고, 전자기 모드 스타일러스(110)의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104)가 이 고주파 신호들을 수신하면 스타일러스의 신호 생성 회로(106)에 주파수 도약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스타일러스의 신호 생성 회로(106)를 새로운 작동 주파수 점에서 작동하게 도약하도록 제어한다. 전자기 터치 유도 안테나 유닛(503)이 여전히 간섭을 수신하면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104)와 스타일러스의 신호 생성 회로(106)는 도약 주파수의 근접에 따른 간섭을 피하도록 노력하기 위해 다른 새 작동 주파수로 도약할 것이고, 전자기 터치 모듈(900)과 전자기 모드 스타일러스(110)는 간섭이 없는 해당 주파수 점으로 도약할 때까지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주파수 도약 접근방법을 시도함으로써 간섭 방지 기능을 달성한다.
실시예 3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제1 정전 터치 실제 필기 장치는 실시예 1에서 설명된 제1 정전 모드 스타일러스(111)와 정전 터치 모듈을 포함하는데, 전자기 터치 모듈은 정전 터치 센서(405)와 정전 터치 프로세서(801)와, 및 정전 터치 프로세서(801)에 연결된 RF 송수신 회로(802)를 포함하고, RF 송수신 회로(802)는 2.4GHz 송수신 회로, 블루투스 송수신 회로, 또는 와이파이 송수신 회로가 될 수 있다.
도 3a는 본 실시예의 제1 정전 터치 장치의 구조도인데,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의 외부는 스타일러스 쉘로 포장되고, 배터리(601)와 스타일러스 시스템 회로(100)가 스타일러스 쉘 후단(701) 내부에 배치되며, 스타일러스 시스템 회로(100)에 연결된 기능키(105)가 스타일러스 쉘 후단 외부에 배치되고, 터치 감압 부품(300)들이 스타일러스 쉘 전단(702) 내부에 배치되며, 임의 형상의 전기 도체 부분으로 구성된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401)가 펜촉(303) 둘레에 배치되고;
정전 터치 프로세서(801)가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정전 터치 센서(405) 내에 포함된다.
도 3b는 이 실시예의 제1 정전 터치 장치의 회로도로, 실시예 1에 설명된 제1 정전 모드 스타일러스(111)와 정전 터치 모듈의 회로들을 포함하는데, 정전 터치모듈의 정전 터치 센서(405)의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401)는 정전 모드 스타일러스(111)에 의해 생성된 전기 신호를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401)를 통해 수신한 다음, 전기 신호들을 전계 유도 신호(field-induced signal)들로 변환하여 정전 터치 프로세서(801)로 입력하고, 정전 터치 프로세서(801)는 이 신호들을 외부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들로 복조하여 외부 장치로 출력하는데, 외부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들은 펜촉 정지 위치 신호, 펜촉 궤적 신호들을 포함한다.
정전 터치 프로세서(801)에 연결된 RF 송수신 회로(802)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에서 전송된 고주파 신호들을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104)를 통해 수신하여 정전 터치 프로세서(801)로 전송하고, 정전 터치 프로세서(801)는 이 고주파 신호들을 외부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고주파 신호로 복조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데, 외부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들은 스타일러스의 감압 신호와 기능키 신호들을 포함한다.
외부 장치는 이 실시예에 기재된 정전 터치 장치의 정전 터치 센서(405)와, 컴퓨터 및/또는 휴대폰이 될 수 있고;
외부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들은 펜촉 현수(dangling) 위치 신호, 필기 궤적 신호, 스타일러스 감압 신호 및/또는 기능키 신호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정전 터치 센서(405)는 하나 이상의 정전 터치 유도 안테나 유닛(403)을 구비한다.
정전 터치 모듈(800)의 정전 터치 유도 안테나 유닛(403)에서 수신한 스타일러스에서 전송된 교번하는 정전 신호들이 강하게 간섭되어 작동 상태를 불안정하게 할 때, 정전 터치 모듈(800)은 터치 모듈 내의 RF 송수신 회로(104)를 통해 새로운 작동 주파수 점으로 도약하라는 지령의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고, 정전 모드 스타일러스(110)의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104)가 이 고주파 신호들을 수신하면 스타일러스의 신호 생성 회로(106)에 주파수 도약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스타일러스의 신호 생성 회로(106)를 새로운 작동 주파수 점에서 작동하게 도약하도록 제어한다. 정전 터치 유도 안테나 유닛(403)이 여전히 간섭을 수신하면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104)와 스타일러스의 신호 생성 회로(106)는 도약 주파수의 근접에 따른 간섭을 피하도록 노력하기 위해 전술한 주파수 도약 패턴을 따라 다른 새 작동 주파수로 도약할 것이고, 정전 터치 모듈(800)과 정전 모드 스타일러스(110)는 간섭이 없는 해당 주파수 점으로 도약할 때까지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전술한 주파수 패턴을 계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간섭 방지 기능을 달성한다.
실시예 4
이 실시예는 실시예 1에서 설명된 제2 정전 모드 스타일러스(112)와 정전 터치 모듈을 포함하는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제2 정전 터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실시예 3과 이 실시예의 차이는 도전 재질로 구성된 펜촉(303) 역시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401)로 사용된다는 점이다.
도 4a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제2 정전 터치 장치의 구조도인데, 펜촉(303) 둘레에 다른 전기 도체들이 배치되지 않았다.
도 4b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제2 정전 터치 장치의 회로도인데, 신호 생성 회로(106)가 펜촉(303)과 바로 직결되어 전기 신호들을 출력한다.
실시예 5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제3 실제 필기 정전 터치 장치는 실시예 1에서 설명된 제3 정전 모드 스타일러스(113)와 정전 터치 모듈을 포함하는데, 실시예 3과 이 실시예의 차이는 도전 재질로 구성된 펜촉(303) 역시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401)로 사용된다는 점이다. 한편, 전기 도체의 다른 부분 역시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로 배치되어 펜촉(303)에 연결되는데, 도 3a에서, 이 실시예의 회로에는 전기 도체로 구성된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401)가 펜촉에 연결되어 있다.
실시예 6
이 실시예는 실시예 1에서 설명된 제1 전자기 및 정전 이중모드 스타일러스(114)와 전자기 및 정전 이중 터치 모듈을 포함하는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제1 실제 필기 전자기 및 정전 이중 터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전자기 및 정전 이중 터치 모듈은 전자기 모듈과 정전 모듈을 포함한다. 전자기 모듈은 실시예 2를 지칭하며 정전 모듈은 실시예 3을 지칭한다.
도 5a는 이 실시예의 제1 전자기 및 정전 터치 장치의 구조도인데, 실시예 2의 도 2b의 펜촉(303) 부근에 임의 형상의 전기 도체 부분으로 구성된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401)가 추가된다.
도 5b는 이 실시예의 제1 전자기 및 정전 터치 장치의 회로도인데, 실시예 3의 도 3b에 전자기 터치 모듈이 추가된다.
제1 전자기 및 정전 이중모드 터치 장치의 전자기 터치 모듈(900)의 전자기 터치 유도 안테나 유닛(503)과 정전 터치 모듈(800)의 정전 터치 유도 안테나 유닛(403)은 교번하는 전자기 신호와 전기 신호들을 각각 취득한다.
제1 전자기 및 정전 이중모드 터치 모듈(900)의 전자기 터치 모듈이 정전 터치 모듈(800) 뒤에 배치되면,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901)가 정전 터치 프로세서(801)에 정전 터치 모듈 셧다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전자기 터치 모드를 우선으로 유지한다.
제1 전자기 및 정전 이중모드 터치 모듈(900)의 정전 터치 모듈이 전자기 터치 모듈(800) 뒤에 배치되면, 정전 터치 프로세서(801)가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901)에 전자기 터치 모듈 셧다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정전 터치 모드를 우선으로 유지한다.
실시예 7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제2 실제 필기 전자기 및 정전 이중 터치 장치는 실시예 1에서 설명된 제2 전자기 및 정전 이중모드 스타일러스(115)와 정전 터치 모듈을 포함하는데, 실시예 6과 이 실시예의 차이는 도전 재질로 구성된 펜촉(303) 역시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401)로 사용된다는 점이다. 도 6a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제2 전자기 및 정전 터치 장치의 구조도인데, 펜촉(303) 둘레에 다른 전기 도체들이 배치되지 않았다.
도 6b는 이 실시예의 제2 전자기 및 정전 터치 장치의 회로도인데, 신호 생성 회로(106)가 펜촉(303)과 바로 직결되어 전기 신호들을 출력한다.
실시예 8
이 실시예에 제공된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제3 실제 필기 정전 터치 장치는 실시예 1에서 설명된 제3 전자기 및 정전 이중모드 스타일러스(116)와 정전 터치 모듈을 포함하는데, 실시예 3과 이 실시예의 차이는 도전 재질로 구성된 펜촉(303) 역시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401)로 사용되는 한편, 전기 도체의 다른 부분 역시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401)로 사용되어 펜촉(303)에 연결된다는 점이다. 도 3a에서, 이 실시예의 회로는 전기 도체로 구성된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401)가 펜촉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제공된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를 포함하는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 및 터치 장치는 사용 상태에 따라 펜촉 정지 위치 신호와. 펜촉 궤적 신호와, 펜촉 압력 신호와, 및 기능키 신호들을 정확하고 적시에 취득할 수 있고, 펜촉 압력 신호와 기능키 신호의 수신에 민감하여, 최종적으로 필기자의 실제 필기를 실시간으로 생성한다. 뿐만 아니라 작동 주파수가 방해될 때 간섭 방지를 달성하는 주파수 도약 작동으로 진행할 수 있어,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와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를 구비하는 터치 장치는 매우 강력한 간섭 방지 기능을 가지며 반응에 더 민감하고 필기가 더욱 실감이 난다.
이상의 설명은 본원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본원의 바람직한 예이다. 당업계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본원은 다양한 변형과 변경을 가질 수 있다. 본원의 개념과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어떤 변형, 등가물, 그리고 개선은 본원의 보호 범위에 포괄될 것이다.

Claims (23)

  1. 스타일러스 쉘과, 스타일러스 쉘 내의 배터리와, 스타일러스 쉘 내의 스타일러스 시스템 회로 및 스타일러스 쉘 내의 터치 감압 부품들을 포함하는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로,
    터치 감압 부품들이 펜촉과, 펜촉 터치 스위치 및 펜촉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스타일러스 시스템 회로가 충전 회로와, 전원 제어 및 셧다운 지연 회로와, 전원 전압 변환 회로와, 기능키들과,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 및 신호 생성 회로를 포함하고;
    전원 전압 변환회로가 전원 제어 및 셧다운 지연 회로에 연결되어 시스템 전원을 일정한 전압의 전원 공급으로 변환하고,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가 펜촉 압력 센서와 기능키들에 연결되어 펜촉 압력 신호들과 기능키 신호들을 각각 취득하고 이 신호들을 RF 변조하여 RF 변조 신호들을 출력하며;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가 고주파 신호들을 수신하여 회로의 주파수 도약 신호를 스타일러스 신호 생성 회로에 산출할 수 있으며;
    스타일러스 신호 생성 회로가 전자기 신호 또는 전기 신호들 또는 전자기 신호 및 전기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는데; 스타일러스 신호 생성 회로가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에 연결됨으로써 주파수 도약 신호를 수신하여 주파수 도약 작동으로 진행하는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
  2. 청구항 1에서,
    스타일러스 신호 생성 회로로부터 출력된 전자기 신호 또는 전기 신호들 또는 전자기 신호 및 전기 신호들은 펜촉 정지 위치 신호와 펜촉 궤적 신호들을 포함하는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
  3. 청구항 1에서,
    펜촉 압력 센서가 감압 레지스터인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
  4. 청구항 1에서,
    펜촉 압력 센서가 감압 캐패시터인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
  5. 청구항 1에서,
    스타일러스 쉘이 스타일러스 쉘 전단과 스타일러스 쉘 후단을 포함하며;
    배터리와 스타일러스 시스템 회로는 스타일러스 쉘 후단에 배치되고, 스타일러스 쉘 후단은 금속 도전 재질로 구성되며; 그리고
    터치 감압 부품들은 스타일러스 쉘 전단에 배치되고, 스타일러스 쉘 전단은 절연 재질로 구성되는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
  6. 청구항 1에서,
    스타일러스 신호 생성 회로가 전자기 신호 출력 코일과 연결되어 교번하는 전자기 신호를 출력하고, 전자기 신호 출력 코일은 절연 표면을 가지는 금속 와이어가 권선된 도넛형 코일인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
  7. 청구항 1에서,
    스타일러스 신호 생성 회로가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와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출력하고,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는 도전 재질의 부분으로 구성된 전기 도체인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
  8. 청구항 1에서,
    스타일러스 신호 생성 회로가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와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출력하고, 도전 재질로 구성된 펜촉 역시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로 사용될 수 있는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
  9. 청구항 1에서,
    펜촉의 터치가 펜촉 터치 스위치와 펜촉 압력 센서로 전달되는 압력을 생성하는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
  10. 청구항 1에서,
    배터리에 연결되는 전원 입력 포트와, 전원 전압 변환 회로에 연결되는 전원 출력 포트와, 펜촉 터치 스위치에 연결되는 터치 스위칭 신호 제어 포트가 스타일러스 시스템 회로의 전원 제어 및 셧다운 지연 회로에 배치되고;
    터치 스위칭 신호 제어 포트가 터치 스위치에 연결되어 신호를 취득하는데, 터치 스위치의 도통 신호가 취득되면 전원 입력 포트와 전원 출력 포트가 서로 도통되어 스타일러스 시스템 회로가 작동 조건에 진입하고;
    작동 조건에서 터치 스위치에 연결된 단락 회로 도통 신호가 장시간 수신되지 않으면 전원 입력 포트와 전원 출력 포트 간의 연결이 서로 차단되어 시스템 회로는 셧다운 상태에 진입하는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
  11. 청구항 10에서,
    충전 회로에 연결되는 전원 충전 제어 포트 역시 스타일러스 시스템 회로의 전원 제어 및 셧다운 지연 회로에 배치되고, 전원 충전 제어 포트로부터 충전 신호를 취득하면 충전 상태에 진입하여, 전원 입력 포트와 전원 출력 포트 간의 연결이 서로 차단되고 스타일러스 시스템 회로는 셧다운 상태에 잠금되는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
  12. 청구항 1-11 중의 어느 한 항의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와 터치 모듈을 포함하는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터치 장치로,
    터치 모듈이 터치 센서와 터치 프로세서와, 및 터치 프로세서에 연결된 RF 송수신 회로를 포함하여, 터치 모듈이 고주파 신호들과 함께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로부터 출력된 전자기 신호 또는 전기 신호들 또는 전자기 신호 및 전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는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터치 장치.
  13. 청구항 12에서,
    RF 송수신 회로가 블루투스 송수신 회로와 와이파이 송수신 회로를 포함하는 2.4GHz 송수신 회로인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터치 장치.
  14. 청구항 12에서,
    터치 모듈이 전자기 터치 모듈이고, 이 전자기 터치 모듈이 전자기 터치 센서와,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와 이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에 연결된 RF 송수신 회로를 포함하는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터치 장치.
  15. 청구항 12에서,
    터치 모듈이 정전 터치 모듈이고, 이 정전 터치 모듈이 정전 터치 센서와, 정전 터치 프로세서와 이 정전 터치 프로세서에 연결된 RF 송수신 회로를 포함하는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터치 장치.
  16. 청구항 12에서,
    터치 모듈이 전자기 및 정전 이중 모듈이고, 전자기 및 정전 이중 모듈은 전자기 모듈과 정전 모듈을 포함하며;
    전자기 모듈은 전자기 터치 센서와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 및 RF 송수신 회로를 포함하고, 정전 모듈은 정전 터치 센서와 정전 터치 프로세서, 및 RF 송수신 회로를 포함하는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터치 장치.
  17. 청구항 15에서,
    정전 터치 모듈의 정전 터치 센서의 정전 터치 유도 안테나 유닛이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에서 생성된 전기 신호들을 전기 신호 방사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다음, 전기 신호들을 전기 유도 신호들로 변환하여 정전 터치 프로세서로 입력하고, RF 송수신 회로가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에서 전송된 고주파 신호들을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를 통해 수신하여 이 신호들을 정전 터치 프로세서로 전송하며, 정전 터치 프로세서는 이 신호들을 외부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복조하여 신호들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터치 장치.
  18. 청구항 14에서,
    전자기 터치 모듈의 전자기 터치 센서의 전자기 터치 유도 안테나 유닛이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에서 생성된 교번하는 전자기 신호들을 전자기 출력 코일을 통해 수신한 다음, 교번하는 전자기 신호들을 전자기 유도 신호들로 변환하여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로 입력하고, RF 송수신 회로가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에서 전송된 고주파 신호들을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를 통해 수신하여 이 신호들을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로 전송하며,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는 이 고주파 신호들을 외부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복조하여 신호들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터치 장치.
  19. 청구항 16에서,
    전자기 및 정전 이중 모듈 내의 전자기 터치 모듈의 전자기 터치 유도 안테나 유닛과 정전 터치 모듈 내의 정전 터치 유도 안테나 모듈은 각각 교번하는 전자기 신호와 전기 신호들을 취득하고;
    전자기 터치 유도 안테나 유닛은 교번하는 전자기 신호들을 전자기 유도 신호들로 변환한 다음, 전자기 유도 신호들을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에 입력하고, RF 송수신 회로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에서 전송된 고주파 신호들을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를 통해 수신하여 고주파 신호들을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로 전송하고,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는 이 신호들을 외부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들로 복조하여, 이 신호들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며;
    정전 터치 유도 안테나 유닛은 전기 신호들을 전기 유도 신호들로 변환한 다음, 전기 유도 신호들을 정전 터치 프로세서에 입력하고, RF 송수신 회로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에서 전송된 고주파 신호들을 RF 변조 및 RF 송수신 회로를 통해 수신하여 고주파 신호들을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로 전송하고, 정전 터치 프로세서는 이 신호들을 외부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들로 복조하여, 이 신호들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터치 장치.
  20. 청구항 19에서,
    전자기 및 정전 이중 터치 모듈의 전자기 터치 모듈이 정전 터치 모듈의 후방에 배치되고,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가 정전 터치 프로세서에 정전 터치 모듈의 셧다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전자기 터치 모드를 우선으로 유지하는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터치 장치.
  21. 청구항 19에서,
    전자기 및 정전 이중 터치 모듈의 정전 터치 모듈이 전자기 터치 모듈의 후방에 배치되고, 정전 터치 프로세서가 전자기 터치 프로세서에 전자기 터치 모듈의 셧다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정전 터치 모드를 우선으로 유지하는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터치 장치.
  22. 청구항 17에서,
    외부 장치에 의해 인식되는 신호들이 펜촉 정지 위치 신호, 펜촉 궤적 신호, 스타일러스 압력 신호, 및 기능키의 신호들을 포함하는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터치 장치.
  23. 청구항 17에서,
    외부 장치가 정전 터치 센서, 전자기 터치 센서, 컴퓨터 및 휴대폰인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터치 장치.
KR1020177030889A 2016-04-28 2016-11-28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와 터치 장치 KR1023948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272937.3A CN105929985B (zh) 2016-04-28 2016-04-28 带射频收发传输功能的真笔迹触控笔和触控装置
CN201610272937.3 2016-04-28
PCT/CN2016/107434 WO2017185735A1 (zh) 2016-04-28 2016-11-28 带射频收发传输功能的真笔迹触控笔和触控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559A KR20190024559A (ko) 2019-03-08
KR102394877B1 true KR102394877B1 (ko) 2022-05-09

Family

ID=56836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889A KR102394877B1 (ko) 2016-04-28 2016-11-28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와 터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802609B2 (ko)
EP (1) EP3451131B1 (ko)
JP (1) JP6974175B2 (ko)
KR (1) KR102394877B1 (ko)
CN (1) CN105929985B (ko)
WO (1) WO20171857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9985B (zh) * 2016-04-28 2020-04-14 深圳市华鼎星科技有限公司 带射频收发传输功能的真笔迹触控笔和触控装置
CN105867711B (zh) 2016-04-28 2019-04-09 深圳市华鼎星科技有限公司 一种真笔迹触控笔和触控装置
CN107179841A (zh) * 2017-06-09 2017-09-19 苏州零次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智能笔及包括该智能笔的记录装置
KR102227274B1 (ko) 2018-08-09 2021-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 펜 장치, 전자 펜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및 시스템
CN109271044A (zh) * 2018-09-06 2019-01-25 广东宗华触控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笔记识别方法
CN109613996A (zh) * 2019-01-16 2019-04-12 北京汉王鹏泰科技股份有限公司 多模式触控笔及触控系统
CN110008864A (zh) * 2019-03-22 2019-07-12 清华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微型人手识别设备及识别方法
KR20200114011A (ko) * 2019-03-27 2020-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펜의 구조
CN113661475B (zh) * 2019-04-10 2024-05-28 希迪普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10119215A (zh) * 2019-05-24 2019-08-13 深圳市优笔触控科技有限公司 双线圈无线无源数字电磁手写笔
CN110456928B (zh) * 2019-08-14 2023-11-14 深圳市绘王动漫科技有限公司 多功能手写输入笔及多功能手写输入系统
CN110968206A (zh) * 2019-11-21 2020-04-07 上海墨案智能科技有限公司 电磁手写笔的扩展功能按键方法及设备
CN113093924A (zh) * 2021-04-07 2021-07-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和运动轨迹的确定方法
CN113721778A (zh) * 2021-10-08 2021-11-30 深圳市绘王动漫科技有限公司 绘图笔功能区别方法、装置及设备
CN115097962A (zh) * 2022-07-06 2022-09-23 深圳市康冠商用科技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具有射频信号处理功能的红外触摸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79710A1 (en) * 1999-05-25 2009-03-26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Scanning device for scanning a surface having coded data disposed thereon
WO2015045866A1 (ja) * 2013-09-27 2015-04-02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及びその位置指示器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542Y2 (ja) * 1989-10-27 1994-08-22 ぺんてる株式会社 信号発生ペン
JPH06266492A (ja) * 1993-03-12 1994-09-22 Toshiba Corp 筆跡入力方法及び同装置
JPH06314162A (ja) * 1993-04-29 1994-11-08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マルチメディア・スタイラス
JPH07261906A (ja) * 1994-03-16 1995-10-13 Hitachi Ltd ペン入力方式データ処理装置
JP2001282444A (ja) * 2000-03-31 2001-10-12 Brother Ind Ltd 座標入力器具および座標読取装置
US7289109B2 (en) * 2000-09-26 2007-10-30 Denny Jaeger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ctuation of a controller device on a touch screen
US6952203B2 (en) * 2002-01-08 2005-10-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ouchscreen user interface: Bluetooth™ stylus for performing right mouse clicks
US7528825B2 (en) * 2003-12-08 2009-05-05 Fujitsu Component Limited Input pen and input device
US8081165B2 (en) * 2005-08-30 2011-12-20 Jesterrad, Inc. Multi-functional navigational device and method
US7891253B2 (en) * 2007-04-11 2011-02-22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Capacitive force sensor
TWI361995B (en) 2007-07-03 2012-04-11 Elan Microelectronics Corp Input device of capacitive touchpad
US8482545B2 (en) * 2008-10-02 2013-07-09 Wacom Co., Ltd. Combination touch and transducer input system and method
CN101934667A (zh) * 2009-07-01 2011-01-05 深圳市巨龙科教高技术股份有限公司 墨水电子笔
CN102622104A (zh) * 2011-01-26 2012-08-01 汉王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压力感测的电容手写笔
JP4840891B1 (ja) * 2011-04-19 2011-12-21 株式会社ワコム コードレス型の位置指示器
CN102602200B (zh) * 2012-02-24 2013-07-03 陈国富 可在纸上书写并直接存入电脑的多功能电子笔
CN102799312B (zh) * 2012-06-27 2015-06-03 创维光电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触控检测系统
US20140168140A1 (en) * 2012-12-18 2014-06-19 Logitech Europe S.A. Method and system for discriminating stylus and touch interactions
JP6249486B2 (ja) * 2013-08-19 2017-12-20 株式会社ワコム 描画装置
CN103488316B (zh) * 2013-09-27 2018-05-22 汉王科技股份有限公司 电容笔、电容触控面板和触控装置
CN104808814A (zh) * 2014-01-27 2015-07-29 奇景光电股份有限公司 不具有主动元件的手写笔及触控面板
KR20150117546A (ko) * 2014-04-10 2015-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입력 장치, 터치 입력 검출 방법, 및 좌표 표시 장치
US9632597B2 (en) * 2014-06-12 2017-04-25 Amazon Technologies, Inc. Configurable active stylus devices
KR102487045B1 (ko) * 2014-11-17 2023-01-11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위치 지시기
EP3340019B1 (en) * 2015-08-21 2020-06-10 Wacom Co., Ltd. Stylus and color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TWM522406U (zh) * 2015-09-18 2016-05-21 翰碩電子股份有限公司 無線觸控筆
CN205721670U (zh) * 2016-04-28 2016-11-23 深圳市华鼎星科技有限公司 带射频收发传输功能的真笔迹触控笔和触控装置
CN105929985B (zh) * 2016-04-28 2020-04-14 深圳市华鼎星科技有限公司 带射频收发传输功能的真笔迹触控笔和触控装置
CN105867711B (zh) * 2016-04-28 2019-04-09 深圳市华鼎星科技有限公司 一种真笔迹触控笔和触控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79710A1 (en) * 1999-05-25 2009-03-26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Scanning device for scanning a surface having coded data disposed thereon
WO2015045866A1 (ja) * 2013-09-27 2015-04-02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及びその位置指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51131A4 (en) 2019-12-25
KR20190024559A (ko) 2019-03-08
CN105929985A (zh) 2016-09-07
CN105929985B (zh) 2020-04-14
EP3451131A1 (en) 2019-03-06
JP6974175B2 (ja) 2021-12-01
US10802609B2 (en) 2020-10-13
WO2017185735A1 (zh) 2017-11-02
US20180217685A1 (en) 2018-08-02
EP3451131B1 (en) 2022-01-05
US20200033963A1 (en) 2020-01-30
JP2019516142A (ja)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4877B1 (ko) Rf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와 터치 장치
KR102390706B1 (ko)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와 터치 장치
KR102521459B1 (ko) 위치 지시기
TWI502439B (zh) Touch input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CN113253856A (zh) 触控笔和电子设备组件
US20120162128A1 (en) Touch input device and electromagnetic-wave transceiver using the same device
TWI653555B (zh) 觸控筆與其電子系統
JP2011259172A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モード切替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1135885A1 (zh) 用于触发显示笔迹的信号发射方法以及笔迹显示方法
CN205721670U (zh) 带射频收发传输功能的真笔迹触控笔和触控装置
CN105677064B (zh) 电容笔
CN209845247U (zh) 一种真无线蓝牙耳机
US20180314364A1 (en) Stylus and electronic system thereof
JP6644179B2 (ja) 位置指示器
JP2016134168A (ja) 位置指示器における構成タイプの設定方法
US2022033461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harger docking
CN105334982A (zh) 电容笔和触控装置
TWI656458B (zh) Wireless charging active stylus
JP2013025665A (ja) 携帯端末
KR102348410B1 (ko) 전자기 펜
JP3113067U (ja) 有線又は無線マウスを使用可能な入力装置
JP2019096351A (ja) 位置指示器
TWM444557U (zh) 無線筆
TWM468851U (zh) 無線裝置之配對系統及匹配系統
JP2015115827A (ja) 人体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