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528B1 - 수중유 제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중유 제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528B1
KR102394528B1 KR1020150093766A KR20150093766A KR102394528B1 KR 102394528 B1 KR102394528 B1 KR 102394528B1 KR 1020150093766 A KR1020150093766 A KR 1020150093766A KR 20150093766 A KR20150093766 A KR 20150093766A KR 102394528 B1 KR102394528 B1 KR 102394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x
composition
melting point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290A (ko
Inventor
김신형
박성일
채병근
강병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50093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528B1/ko
Publication of KR20170003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 및 a) 스클레로튬 검, b)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및 c) 용융점이 70 ℃ 이상인 고융점 왁스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포함하는 수중유 제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중유 제형 화장료 조성물{OIL IN WATER EMULSIFIED COMETIC COMPOISTION}
본 발명은 수중유 유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 제형인 W/O형과 수중유 제형인 O/W형의 두가지로 분류되며, 이 두가지 모두 유상과 수상의 두가지 장점을 동시에 겸비해 피부의 보습 및 유연효과를 부여하고 있다. 여기서, 수중유 제형은 외상이 물이어서 바를 때 시원하고 발림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고 있다.
종래에는 수상과 유상은 계면 면적이 커서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하며, 수상과 유상이 분리되지 않도록 계면의 에너지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계면활성제를 제형 내에 함께 함유하여, 제형의 안정성을 유지하였으나, 계면활성제는 피부의 자극 등 안전성이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종래에는 수중유 제형의 화장료에 있어서, 수상과 유상을 조절하여 적절한 수상과 유상의 조합에서 발현되는 적절한 사용감을 구현하기에는 계면활성제의 존재가 필수이므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으면서, 수상과 유상을 조절하여 적절한 사용감을 구현하는 유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55087호 (2010.05.26)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으면서도 안정된 제형의 수중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 더 나아가 수상과 유상의 성분의 조합으로 인한, 지질 결정의 형성으로 발현되는 적절한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는 수중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 및 a) 스클레로튬 검, b)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및 c) 용융점이 70 ℃ 이상인 고융점 왁스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포함하는 수중유 제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으면서도, 고함량의 유상을 가지는 안정된 수중유 제형을 형성할 수 있으며, 안정된 수중유 제형을 유지하면서도 지질 결정의 형성으로 발현되는 우수한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는 수중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20 ℃의 온도에서 30일동안 보관한 비교예 1 (#1번 용기) 및 실시예 1 (#2번 용기)을 촬영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을 흑색 인조 가죽에 도포한 후 결과를 촬영하여 나타낸 것이며, #1 내지 #3은 각각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을 도포한 결과를 촬영한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을 현미경으로 100배 확대 촬영하여 나타낸 것이며, #1 내지 #3은 각각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을 도포한 결과를 촬영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 및 유상부를 포함하는 수중유 제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에 대하여 상술하면 하기와 같다.
1) 수상부
본 발명에 따른 수중류 제형 화장료 조성물의 수상부는 물을 포함한다. 수상부는 물을 함유함으로써, 피부의 적용시 수분을 공급하며, 시원하고 촉촉한 사용감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의 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함량에 대하여, 50 내지 80 중량%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이온봉쇄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온봉쇄제의 예시로서, 디소듐이디티에이를 들 수 있으며, 상기 이온봉쇄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2 내지 0.05 중량%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수용성 보습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용성 보습제의 예시로서, 프로판디올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수용성 보습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3 내지 20 중량%이 바람직하다.
2) 유상부
본 발명에 따른 수중류 제형 화장료 조성물의 유상부는 a) 스클레로튬 검, b)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및 c) 용융점이 70 ℃ 이상인 고융점 왁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20 중량%이다. 상기 유상부의 함량이 15 중량% 미만이거나 20 중량% 초과인 경우, 피부에 적용시 유연감과 같은 우수한 사용감을 달성할 수 없고, 제형이 불안정하게 된다.
a) 스클레로튬
본 발명에 있어서, 스클레로튬 검은 비이온성의 천연 폴리머로서, 이는 점증 능력이 양호함은 물론, 다양한 염(salt)을 포함하거나 다양한 pH 조건을 가지는 제형에서도 점도 저하 현상이 적고, 매우 안정하다. 상기 스클레로튬 검은 분자 내에 글루코피라노실 그룹을 가지는 회합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크렐로티움 롤프시균(sclerotium rolfsii)의 액체 배양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클레로튬 검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수평균 분자량 1 x 106 ~ 1 x 107이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가지는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63724743-pat00001
본 발명에 따른 수중류 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부에 스클레로튬 검을 포함함으로써, 그 점도가 증가시켜, 유화된 상태에서 제형을 안정화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스클레로튬 검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2 내지 0.5 중량%이다. 상기 스클레로튬 검의 함량이 0.2 중량% 미만이면 제형 안정 효과가 미비하며, 상기 스클레로튬 검의 함량이 0.5 중량% 초과이면 점도가 과다하게 증가되어 제형이 불안정하게 된다.
b)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 브이피코폴리머
본 발명에 따른 수중류 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부에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를 포함함으로써, 그 점도가 증가시켜, 유화된 상태에서 제형을 안정화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 중량%이다. 상기 스클레로튬 검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제형 안정 효과가 미비하며, 상기 스클레로튬 검의 함량이 1 중량% 초과이면 점도가 과다하게 증가되어 제형이 불안정하게 된다.
c) 고융점 왁스
본 발명의 문맥에서 고려되는 왁스란, 일반적으로 상온 (25 ℃)에서 고체인 친유성 화합물로서, 상태 면에서, 가역적 고체/액체 변화를 나타내고, 100 ℃ 이하, 특히 90 ℃ 이하에 걸칠 수 있는 30 ℃ 이상의 용융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왁스는 동물성, 식물성, 미네랄 또는 합성 기원의 왁스 또는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데, 이는 상온에서 고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융점 왁스는 용융점이 70 ℃ 이상으로서, 상기 스클레로튬 검 및 상기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와 함께 조성물에 포함됨으로써,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제형이 안정되어 유상과 수상이 분리되지 않는 안정된 상태의 수중유 제형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왁스는 선플라워 (sunflower seed, Helianthus Annuus seed) 왁스, 비즈 (Beez) 왁스 및 칸데릴라 (Candelilla) 왁스, 카나우바 (Carnauba, Copernicia Cerifera) 왁스 및 신세틱 왁스 (Synthetic Wax)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이다. 상기 신세틱 왁스는 폴리에틸렌 왁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왁스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6 중량%이다. 상기 고융점 왁스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거나 6 중량% 초과인 경우, 유상부의 전체 용융점에 따른 지질 결정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없고, 제형이 불안정하게 되어 수상과 유상이 분리되게 된다.
d) 오일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d) 오일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오일은 식물의 과실 또는 종자, 또는 동물의 일 부위, 광물 등으로로부터 압착법과 증류법 등으로 얻어지는 오일로서, 각종 불포화 지방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피부의 유연감을 올려주고, 피부보호 장벽을 강화시켜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d) 오일은 에스터계 오일이다.
상기 에스터계 오일은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yglycerides),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pentaerythrityl tetraethylhexanoate), 메틸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diisostearyl malate), 디카프릴일 카보네이트 (dicaprylyl carbonate), 부티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 (cetyl Ethylhexanoate) 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d) 오일은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이다.
상기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은 스쿠알란 (Squala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켄 (hydrogenated polydecene)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부텐 (Hydorgenated polyisobutene)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e) 저융점 왁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e) 용융점이 50 ℃ 이하인 저융점 왁스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융점 왁스는 용융점이 50 ℃ 이하로서, 상기 조성물의 유상부에 함유되어 유상부에서 지질이 결정화되는 온도를 낮추게 되어, 상기 조성물이 미세한 지질 결정이 함유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왁스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올리브오일라우릴에스터 (Hydrogenated Olive Oil Lauryl Esters), 야자씨드버터 (Astorocayum Murumuru Seed Butter), 라이스 브랜 (Rice Bran, Oryza Sativa) 왁스 및 시어버터 (Shear Butter)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이다.
3) 지질 결정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질 결정을 함유한다. 이러한 지질 결정은 상기 고융점 왁스와 함께, 상기 오일 및/또는 상기 저융점 왁스의 조합으로 인하여, 상기 수상부에 상기 유상부를 분산하는 단계, 즉, 유화 단계의 온도 조건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지질 결정의 평균 직경은 0.3~1 mm이다. 이 경우, 상기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시 초기 수분감이 강하면서, 상기 지질 결정이 녹으며 밀착된 마무리감을 부여하는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지질 결정의 평균 직경은 20 ㎛ 이하이다. 이 경우, 상기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시 초기 밀착력이 강한 롤링감을 부여하면서, 상기 지질 결정이 녹으며 수분감을 부여하는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수분 크림,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및 바디에센스 등의 화장료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수중유 제형과 수분감을 포함하는 우수한 사용감으로 인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수분 크림용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실시예, 비교예, 시험예 등의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의 통상적인 변화가 가능하다.
[제조예] 수중유 제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 (단위: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한 중량%)으로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의 수중유 제형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으며, 그 구체적인 제조과정은 하기와 같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수상부 정제수 72.08 72.08 72.08 71.08 72.08 71.98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0.02
프로판디올 6 6 6 6 6 6
글리세린 4 4 4 4 4 4
유상부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브이피코폴리머
0.6 0.6 0.6 0.6 0.6 -
스클레로튬 검 0.3 0.3 0.3 0.3 0.3 1
썬플라워씨드 왁스 4 4 4 4 - 4
신세틱왁스*칸델리나 왁스* 카나우바왁스1 ) - - - - 4 -
스쿠알란 - 10 - - 10 -
썬플라워씨드 오일 - - 5 0 0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리드 10 - 5 10 0 10
베지터블오일 3 3 3 - 3 3
시어버터 - - - 4 - -
1) Smart wax 7743S/ JAPAN Natural product.INC
상기 표 1의 수상부의 성분들을 해당 함량으로 혼합 후 70 ℃로 가온하여 용해 분산시켰다. 또한, 상기 표 1의 유상부의 성분들을 해당 함량으로 혼합 후 75 ℃로 가온하여 용해하였다. 가온 용해한 유상부의 성분들을 상기 용해 분산된 수상부의 성분들에 투입한 후, 3분 동안 PRIMIX사에서 제조된 상품명 HOMOMIXER MARK Ⅱ model 2.5의 호모 믹서를 사용하여 9500 rpm의 조건으로 3분 동안 호모 믹싱을 진행하였다. 이후, 호모 믹싱된 혼합물이 30 ℃가 되도록 냉각하였다.
[시험예 1] 제형 안정도의 측정
상기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각각 하기 표 2의 온도 조건에서 용기에 30일동안 보관하였다. 이후, 각 조성물이 보관된 용기를 각 조성물이 담지된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켜, 액상의 내용물이 용출되는 경우 "분리"로 평가하였으며, 액상의 내용물이 용출되지 않는 경우 "안정"으로 평가하였다. 평가된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20 ℃의 온도에서 30일동안 보관한 비교예 1 (#1번 용기) 및 실시예 1 (#2번 용기)을 촬영하여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온도 조건 45 ℃ 냉동 ( -20 ℃) 상온 (25 ℃)
비교예 1 안정 분리 안정
실시예 1 안정 안정 안정
도 1에서, 비교예 1의 조성물에서는 스클레로튬검이 17 중량%로 함유되어 고함량 오일 내상을 안정화시키는데 일정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냉동 보관시 스클레로튬검의 수축 현상으로 제형에서 일부 물이 분리가 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실시예 1의 조성물에서는 스클레로듐 검과 함께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코폴리머을 함유하여, 저온 조건에서의 제형 안정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유화 제형의 외관 및 지질 결정의 관찰
상기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5의 조성물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조성물 내 지질 결정의 직경의 평균을 하기 표 3과 같이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조성물 내 지질 결정의 평균 직경 0.3~1 mm ~20 ㎛ 미만 ~20 ㎛
미만
~20 ㎛
미만
0.3~1 mm
또한, 상기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을 흑색 인조 가죽에 도포한 후 결과를 촬영하여 하기 도 2에 나타내었으며,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을 현미경으로 100 배 확대 촬영하여 하기 도 3과 같이 나타내었다.
도 2 및 도 3에서, 상기 실시예 1의 경우, 에스터계 오일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리드를 사용한 유상부의 결정화 온도 범위가 70~80 ℃로 진눈깨비 형태의 불규칙적인 지질 결정 (평균 직경 크기: 0.3~1mm)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 2의 경우,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인 스쿠알란을 사용하여, 유상부의 결정화 온도 범위가 60~70 ℃로 규칙적인 크기의 미세 지질 결정 (평균 직경 크기: 20 ㎛ 미만)이 고르게 분포한 에멀전 제형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4의 경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예스터계 오일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리드를 사용하였으나, 용융점 50 ℃ 이하의 저융점 왁스인 시어버터를 함께 함유하여 유상부의 결정화 온도 범위가 60~70 ℃로 낮아짐으로써, 실시예 1과 달리 규칙적인 크기의 미세 지질 결정 (평균 직경 크기: 20 ㎛ 미만)이 고르게 분포한 에멀전 제형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5의 경우, 고융점 왁스류로 썬플라워씨드왁스 (용융점: 76 ℃)보다 용융점이 높은 신세틱왁스*칸델리나 왁스* 카나우바왁스 (용융점: 78~85 ℃)을 함유함으로써, 유상부의 결정화 온도 범위가 80~90 ℃로 진눈깨비 형태의 불규칙적인 지질 결정 (평균 직경 크기 0.3~1 mm)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2)

  1.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 및
    a) 스클레로튬 검, b)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c) 왁스, 및 d)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부;
    를 포함하되,
    상기 스클레로튬 검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3 중량%이고, 상기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6중량%이며, 상기 왁스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4 중량%이고, 및 상기 오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 제형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왁스는 선플라워 왁스, 비즈 (Beez) 왁스 및 칸데릴라 (Candelilla) 왁스, 카나우바 (Carnauba, Copernicia Cerifera) 왁스 및 신세틱 왁스 (Synthetic Wax)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용융점이 70 ℃ 이상인 고융점 왁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왁스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올리브오일라우릴에스터 (Hydrogenated Olive Oil Lauryl Esters), 야자씨드버터 (Astorocayum Murumuru Seed Butter), 라이스 브랜 (Rice Bran, Oryza Sativa) 왁스 및 시어버터 (Shear Butter)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용융점이 50 ℃ 이하인 저융점 왁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오일은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yglycerides),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pentaerythrityl tetraethylhexanoate), 메틸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diisostearyl malate), 디카프릴일 카보네이트 (dicaprylyl carbonate), 부티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 (cetyl Ethylhexanoate) 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에스터계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오일은 스쿠알란 (Squala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켄 (hydrogenated polydecene)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부텐 (Hydorgenated polyisobutene)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질 결정을 함유하며, 상기 지질 결정의 평균 직경은 0.3~1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질 결정을 함유하며, 상기 지질 결정의 평균 직경은 2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수분 크림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093766A 2015-06-30 2015-06-30 수중유 제형 화장료 조성물 KR102394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766A KR102394528B1 (ko) 2015-06-30 2015-06-30 수중유 제형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766A KR102394528B1 (ko) 2015-06-30 2015-06-30 수중유 제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290A KR20170003290A (ko) 2017-01-09
KR102394528B1 true KR102394528B1 (ko) 2022-05-06

Family

ID=5781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766A KR102394528B1 (ko) 2015-06-30 2015-06-30 수중유 제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528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589B1 (ko) 2008-11-17 2011-06-10 (주)아모레퍼시픽 전상온도유화법을 이용하여 수중유형 에멀젼 제조 시 전상온도의 조절방법, 이를 통하여 제조한 o/w형 나노에멀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11800A (ko) * 2011-07-22 2013-01-30 코웨이 주식회사 피부 유사 지질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0468A (ko) * 2011-11-30 2013-06-10 (주)아모레퍼시픽 친수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US20140004059A1 (en) * 2012-06-28 2014-01-02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Sunscreen compositions containing an ultraviolet radiation-absorbing polyester
US9393197B2 (en) * 2012-06-29 2016-07-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able emulsion for prevention of skin irritation and articles using same
KR20150061234A (ko) * 2013-11-27 2015-06-04 (주)케이피티 고형 에멀젼 비드를 포함하는 제제 및 이의 화장학적 또는 피부학적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290A (ko) 201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210B1 (ko)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
KR101191614B1 (ko)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EP1003459B1 (en) Emulsifier composition for skin care formulations
AU2015389700B2 (en) Cosmetic composition using plant-derived natural surfactant
KR102127674B1 (ko)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03081A (ko) 고함량의 유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스프레이형 화장료 조성물
KR101681073B1 (ko) 리피드 캡슐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48847B1 (ko)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고내상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7735074B (zh) 无表面活性剂体系的含有固体脂质微粒的分散液及使用其的化妆品组合物
JP4722683B2 (ja) 皮膚用乳化組成物
KR102248067B1 (ko) 화장료 조성물
KR20200144490A (ko)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JPH054912A (ja) 乳化型化粧料
KR102509002B1 (ko) 고함량의 버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40111816A (ko) 액정 겔 수화기술을 이용한 피부 보습 및 유연성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94528B1 (ko) 수중유 제형 화장료 조성물
KR102644391B1 (ko) 안정도가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994407B1 (ko)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345950B2 (ja) 水中油型化粧料
KR102444116B1 (ko) 타라검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74296B1 (ko)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KR102663961B1 (ko) 탄성감이 있는 고경도 액정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84476B1 (ko)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KR102556501B1 (ko) 천연 고분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8480A (ko) 비중조절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