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307B1 -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307B1
KR102394307B1 KR1020210152166A KR20210152166A KR102394307B1 KR 102394307 B1 KR102394307 B1 KR 102394307B1 KR 1020210152166 A KR1020210152166 A KR 1020210152166A KR 20210152166 A KR20210152166 A KR 20210152166A KR 102394307 B1 KR102394307 B1 KR 102394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information
investment
simulation
o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2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동권
김병기
장호연
김동기
박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스펙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스펙트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스펙트라
Priority to KR1020210152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307B1/ko
Priority to KR1020220052738A priority patent/KR20230067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chnology Law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리 정보와 건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고,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검색하고 리모델링 또는 재건축에 관한 옵션 입력에 기초하여 투자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며,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총 투자금액을 산출하고 이와 동등 금액 조건의 다른 건물을 추가 검색 제공하여, 부동산 투자 결정을 위한 비교 판단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Method for real estate investment simulation 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 server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본 발명은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지리 정보와 건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고,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검색하고 리모델링 또는 재건축에 관한 옵션 입력에 기초하여 투자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며,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총 투자금액을 산출하고 이와 동등 금액 조건의 다른 건물을 추가 검색 제공하여, 부동산 투자 결정을 위한 비교 판단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를 사용한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낸,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 혹은 그 기술 자체를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이라고 한다.
특히 최근에는 가상현실 기술 중에서도, 현실세계의 기계나 장비, 사물 등을 컴퓨터 속 가상세계에 구현한 디지털 트윈 기술의 사용이 확산되고 있다.
가상현실 기술은 부동산 정보 제공을 위해서도 사용되고 있다.
부동산 정보 제공과 관련된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87906 (2021년08월03일 등록)은 부동산 정보 제공 장치 및 부동산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3차원 맵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3차원 맵을 제공하고, 상기 3차원 맵에서 선택된 건물 폴리곤 내에서의 방향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방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 폴리곤 내에서의 외경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또다른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91644 (2020년03월16일 등록)은 O2O 기반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이용한 부동산 개방형 플랫폼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매도인 단말로부터 주소 및 매매금액을 등록받는 단계, 등록된 주소에 대응하여 저장된 건물 데이터를 기 구축된 빅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자동으로 입력하고, 매물정보로 업로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매물정보에 중개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매물정보를 중개하는 중개사 리스트로 업로드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매수인 단말로부터 검색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매수인 단말에서 매물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들은 가상현실 환경에서 부동산 정보를 제공하거나 거래가 이뤄지도록 중개 정보를 제공하지만, 부동산 투자 관점에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한계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87906 (2021년08월03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91644 (2020년03월16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지리 정보와 건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고,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검색하고 리모델링 또는 재건축에 관한 옵션 입력에 기초하여 투자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며,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총 투자금액을 산출하고 이와 동등 금액 조건의 다른 건물을 추가 검색 제공하여, 부동산 투자 결정을 위한 비교 판단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감안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리 정보와 건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가상현실 서버에서 실행하는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으로서, 1)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기초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검색하는 단계; 2) 상기 검색의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투자 검토 대상으로 선택한 건물에 관한 건물 정보와 투자 시뮬레이션을 위한 옵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옵션 정보는 상기 선택한 건물을 원 건물 상태 그대로 투자하는 제1 옵션, 상기 선택한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투자하는 제2 옵션, 상기 선택한 건물을 재건축하여 투자하는 제3 옵션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정보임-; 3) 입력된 건물 정보와 옵션 정보에 기초하여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를 제공하고,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의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총 투자금액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는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모드 및 재건축 시뮬레이션 모드를 포함함-; 4) 산출된 총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추가 검색하는 단계; 및 5)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가 반영된 상기 선택한 건물과 상기 추가 검색된 건물을 상호 비교 가능하도록 가상현실 환경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지리 정보와 건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되,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기초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검색하며; 상기 검색의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투자 검토 대상으로 선택한 건물에 관한 건물 정보와 투자 시뮬레이션을 위한 옵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옵션 정보는 상기 선택한 건물을 원 건물 상태 그대로 투자하는 제1 옵션, 상기 선택한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투자하는 제2 옵션, 상기 선택한 건물을 재건축하여 투자하는 제3 옵션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정보임-; 입력된 건물 정보와 옵션 정보에 기초하여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를 제공하고,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의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총 투자금액을 산출하며- 상기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는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모드 및 재건축 시뮬레이션 모드를 포함함-; 산출된 총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추가 검색하고;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가 반영된 상기 선택한 건물과 상기 추가 검색된 건물을 상호 비교 가능하도록 가상현실 환경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지리 정보와 건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가상현실 서버에서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은,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기초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의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투자 검토 대상으로 선택한 건물에 관한 건물 정보와 투자 시뮬레이션을 위한 옵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옵션 정보는 상기 선택한 건물을 원 건물 상태 그대로 투자하는 제1 옵션, 상기 선택한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투자하는 제2 옵션, 상기 선택한 건물을 재건축하여 투자하는 제3 옵션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정보임-; 입력된 건물 정보와 옵션 정보에 기초하여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를 제공하고,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의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총 투자금액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는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모드 및 재건축 시뮬레이션 모드를 포함함-; 산출된 총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추가 검색하는 단계; 및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가 반영된 상기 선택한 건물과 상기 추가 검색된 건물을 상호 비교 가능하도록 가상현실 환경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가상현실 환경에서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검색하고 리모델링 또는 재건축에 관한 옵션 입력에 기초하여 투자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며,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총 투자금액을 산출하고 이와 동등 금액 조건의 다른 건물을 추가 검색 제공하여, 부동산 투자 결정을 위한 비교 판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버의 전체 연결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버의 하드웨어 관점의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버의 전체 연결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버의 하드웨어 관점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은, 부동산 투자를 검토 중인 사용자가 실제 부동산 정보와 동일하게 구현된 가상현실 환경에서 자신이 투자 가능한 금액을 고려하여 이에 매칭되는 건물을 검색하고, 검색된 원 건물 그대로 투자, 리모델링 투자 또는 재건축 투자의 다양한 옵션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통해 투자 타당성을 검토해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은, 지리 정보와 건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가상현실 서버(100)에서 실행한다.
지리 정보는 공간자료(spatial data)와 속성자료로 이루어진다. 공간자료는 지형요소에 대한 유형, 위치, 크기, 다른 지형요소와의 공간적 위상관계 등을 포함하며, 속성자료는 지형요소의 속성에 대한 자료로서 수학적 의미를 포함하는 정량적 자료와 지도명, 주기, 라벨 등 대상물 설명에 필요한 정성적 자료 등을 포함한다. 일예로, 지형 정보는 국토교통부 산하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3차원 공간정보 등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건물은 지형도상에서는 일반적으로 평면 형태(planimetric feature)로 나타난다. 건물의 크기, 위치, 방향 등에 관한 정보는 지리 정보를 통해 수득할 수 있다.
지리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현실 환경의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건물을 포함하는 부동산 객체를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것과 관련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공지된 바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일예로, 상용 서비스로서는 ZIQWORLD, EARTH2, METAVERSE2 등이 알려져 있다.
건물의 실내공간 정보는 건축물의 설계를 위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3차원 설계정보) 정보 가운데 실내 구조물의 형상과 간략한 속성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BIM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의 가상 건물을 시각화하는 기술과 관련하여 본 출원인의 선출원등록된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876499 (2018년07월03일), 대한민국 특허등록 10-2125683 (2020년06월17일)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공지된 바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가상현실 서버(100)는 건물을 포함하는 부동산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부동산 정보 서버(400)와 연동하여, 부동산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는다.
일예로, 부동산에 관한 정보는 부동산 매물에 관한 주소 정보, 매물 구조 정보(건물 종류, 층수, 면적), 가격 정보(매도자에 의해 입력된 매매 금액, 임대료 금액), 공시가격 정보, 실거래가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일예로, 부동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용 서비스로서, 네이버 부동산, 직방, 다방, 부동산뱅크, 부동산114, 매경부동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용 서비스들은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각 지역별로 부동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부동산 정보 서버(400)는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이해될 수있다.
본 실시예의 건물 정보는, 지리 정보에 기초한 건물의 크기, 위치, 방향 등에 관한 정보와, BIM 정보에 기초한 실내공간 정보와, 부동산 정보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부동산에 관한 정보(부동산 매물에 관한 주소 정보, 매물 구조 정보, 가격 정보, 공시가격 정보, 실거래가 정보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건물 정보는 지리 정보와 BIM 정보를 포함하므로 가상현실 환경에서 각각의 건물 객체에 대한 시각적 구현이 가능하며, 각각의 건물의 주소에 기초하여 가상현실 환경에서 각각의 건물 객체에 대해 부동산에 관한 정보가 매칭하여 데이터가 관리된다. 그러므로, 가상현실 환경에서 특정 건물 객체를 선택 시에 해당 건물에 대한 부동산 매물 관련 정보, 매물 구조 정보, 가격 정보, 공시가격 정보, 실거래가 정보 등을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본 실시예의 건물은 임대 수익을 통해 투자금의 회수가 가능한 상업용 빌딩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가상현실은 현실세계의 지형과 지물을 컴퓨터 속 가상세계에 구현한 디지털 트윈 기술에 기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가상현실 서버(100)는 네트워크(1)를 통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 및 관리자 클라이언트(300)와 연동한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가상현실 서버(100)에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 등의 네트워크(1)를 통해 접속하여 가상현실에 기반한 각종 서비스(예,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등)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클라이언트이다. 사용자는 통상의 사용자 회원 등록 프로세스를 통해 가상현실 서버(100)에 등록된 사용자일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상현실을 구성하는 지형과 건물 환경에서 시뮬레이션 대상 건물은 사용자의 조작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다양한 옵션 입력에 기초한 다양한 가상의 건물 상태를 시각적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관리자 클라이언트(300)는 가상현실 서버(100)에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 등의 네트워크(1)를 통해 접속하여, 가상현실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 관리 및 사용자 등록 관리 등을 실행하는 관리자의 클라이언트이다.
본 실시예의 가상현실 서버(100)는 기능적 관점에서, 지리 정보와 건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고 사용자 클라이언트(200) 또는 관리자 클라이언트(300)의 화면에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가상현실 구현 모듈(102), 본 실시예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에 기반하여 투자 시뮬레이션을 위한 검색 정보 및 옵션 정보의 입력과 이에 따른 정보 검색 및 결과 제공 처리를 실행하는 투자 정보 처리 모듈(104), 상기 입력된 정보 및 검색된 정보에 기초하여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를 제공하고 시뮬레이션 결과(가상 건물 구현, 투자금액 산출)를 제공하는 투자 시뮬레이션 구현 모듈(106), 회원등록 및 각종 회원 관리 모드, 관리자 모드 등 가상현실 서버(100)의 전반적인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운영 모듈(108)을 포함한다.
일예로, 상기 기능 모듈 중의 일부는 가상현실 서버(100)와 네트워크 연동하는 별도의 서버의 형태로 분산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가상현실 서버(100)는, 가상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지리 정보를 저장 및 갱신 관리하는 지리 정보 DB(112), 가상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건물 정보를 저장 및 갱신 관리하는 건물 정보 DB(114), 본 실시예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에 기반하여 설정된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에 관한 정보를 저장 및 갱신 관리하는 투자 시뮬레이션 정보 DB(116), 사용자 정보를 저장 및 갱신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DB(118)를 포함한다.
일예로, 지리 정보 DB(112) 및/또는 건물 정보 DB(114)는 가상현실 서버(100)와 네트워크 연동하는 별도의 지리정보제공서버(예, 국토지리정보원 서버)로부터 전부 또는 일부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건물 정보 중 실내공간 정보는 건축물의 설계를 위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3차원 설계정보) 정보 가운데 실내 구조물의 형상과 간략한 속성정보를 추출하여 건물 정보 DB(114)에 입력 관리될 수 있다.
건물 정보 중 부동산 매물에 관한 주소 정보, 매물 구조 정보(건물 종류, 층수, 면적), 가격 정보(매도자에 의해 입력된 매매 금액, 전세 금액, 월세 금액), 공시가격 정보, 실거래가 정보 등은 부동산 정보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드웨어적 관점에서, 본 실시예의 가상현실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2) 및 상기 메모리(2)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세서(4)를 포함하며,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을 실행하도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컴퓨팅 장치이다. 본 실시예의 가상현실 서버(100)는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6)와 통신 인터페이스(8), 데이터 표시 수단(3), 데이터 저장 수단(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1)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입력된 기초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검색한다.
기초 투자금액은 사용자가 부동산에 투자를 검토 중인 기초 금액이며, 후술하는 총 투자금액보다 작거나 같은 금액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부동산 투자에 가능한 보유 금액이 20억원이고 매입한 건물에 대해 리모델링을 할 의향이 있다면, 기초 투자금액을 15억원 정도로 입력할 수 있다. 차액에 해당하는 5억원은 향후 리모델링 비용으로 사용할 것을 고려하여 여유 자금으로 남겨 관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부동산 투자에 가능한 보유 금액이 20억원이고 매입한 건물에 대해 재건축을 할 의향이 있다면, 기초 투자금액을 12억원 정도로 입력할 수 있다. 차액에 해당하는 8억원은 향후 재건축 비용으로 사용할 것을 고려하여 여유 자금으로 남겨 관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부동산 투자에 가능한 보유 금액이 20억원이고 매입한 건물에 대해 리모델링이나 재건축을 할 의향이 없다면, 기초 투자금액을 20억원으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검색은 입력된 기초 투자금액의 단일가 조건으로 검색할 수도 있지만, 미리 설정된 조건에 의해 범위값을 생성하여 검색할 수도 있다.
일예로, 입력된 기초 투자금액(예, 15억원)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금액 증가율(+3%) 및 금액 감소율(-3%)을 반영하여 금액 범위(15억원-45백만원 ~ 15억원+45백만원)를 산출하고, 건물 매입 비용이 상기 산출된 금액 범위에 해당하는 건물을 검색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된 기초 투자금액은 '15억원'이고, 검색을 위한 기초 투자금액 조건은 '15억원-45백만원 ~ 15억원+45백만원'이 된다.
입력된 기초 투자금액의 단일가 조건으로 검색하는 경우, 입력된 기초 투자금액은 '15억원'이고, 검색을 위한 기초 투자금액 조건도 '15억원'이 된다.
상기 기초 투자 금액은 부동산 투자를 위한 건물 매입 비용에 기초하여 상정한 것으로서, 일예로 건물 현재 시가만을 포함한 것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건물 현재 시가와 제세공과금을 포함한 금액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1)단계에서는, 검색된 건물들 상호 간에 비교 가능하도록 가상현실 환경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검색된 건물들을 시각적으로 표시 제공한다.
일예로, 상기 표시 제공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검색된 건물들과 해당 건물들에 관한 속성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다.
일예로, 가상현실 환경에서 건물 객체의 시각적 표시 제공은, 지리 정보와 건물 정보에 기초하여 폴리곤 메시(polygon mesh)에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다수 기술이 공지된 바 있으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2)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상기 검색의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투자 검토 대상으로 선택한 건물에 관한 건물 정보와 투자 시뮬레이션을 위한 옵션 정보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상기 검색 결과, 건물 현재 시가가 '15억원-45백만원 ~ 15억원+45백만원'의 범위에 해당하는 건물이 3개가 검색된 경우, 3개 건물 중에서 1개 이상의 건물을 투자 검토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가상현실 서버(100)는 선택한 건물에 대해, 지리 정보에 기초한 건물의 크기, 위치, 방향 등에 관한 정보와, BIM 정보에 기초한 실내공간 정보와, 부동산 정보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부동산에 관한 정보에 기초한 부동산 매물에 관한 주소 정보, 매물 구조 정보, 가격 정보, 공시가격 정보, 실거래가 정보 등을 포함하는 건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지리 정보에 기초한 건물의 크기, 위치, 방향 등에 관한 정보와, BIM 정보에 기초한 실내공간 정보는 3차원 가상현실 환경에서 렌더링 처리된 건물 객체로서 시각적으로 표시 제공할 수 있고, 부동산에 관한 정보는 해당 건물에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건물의 속성 정보 형태로 표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옵션 정보는 옵션 정보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옵션 정보는 상기 선택한 건물을 원 건물 상태 그대로 투자하는 제1 옵션, 상기 선택한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투자하는 제2 옵션, 상기 선택한 건물을 재건축하여 투자하는 제3 옵션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정보이다.
3)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입력된 건물 정보와 옵션 정보에 기초하여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를 제공하고,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의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총 투자금액을 산출한다.
상기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는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모드 및 재건축 시뮬레이션 모드를 포함한다.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모드는 제2 옵션 선택 시에 제공되며,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모드에서 입력된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투자금액(리모델링을 위한 추가 비용)이 산출된다. 이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재건축 시뮬레이션 모드는 제3 옵션 선택 시에 제공되며, 재건축 시뮬레이션 모드에서 입력된 재건축 시뮬레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투자금액(재건축을 위한 추가 비용)이 산출된다. 이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제1 옵션 선택의 경우, 기초 투자금액 이외의 추가 금액 소요가 없으므로,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를 제공하지 않고 2)단계에서 종료한다. 이미 1)단계에서 검색된 건물들 상호 간에 비교 가능하도록 검색된 건물들을 시각적으로 표시 제공하였으므로, 사용자는 이를 기초로 투자 판단을 할 수 있다.
4)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산출된 총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추가 검색한다.
산출된 총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추가 검색하는 것은, 기초 투자금액을 조건으로 검색한 건물에 추가 투자금액을 들여서 리모델링 또는 재건축 시뮬레이션한 결과와, 기초 투자금액과 추가 투자금액을 합산한 총 투자금액 조건으로 검색한 다른 건물(리모델링 또는 재건축되지 않은 다른 건물)을 가상현실 환경에서 상호 비교하여, 어느 건물이 더 투자 메리트가 있을지 비교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기초 투자금액 15억원을 검색 조건으로 하고 리모델링을 위한 추가 투자금액을 5억원으로 하여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처리된 건물과, 총 투자금액 20억원을 검색 조건으로 하여 검색된 건물(리모델링 또는 재건축되지 않은 다른 건물)을 상호 비교하여 어느 건물이 더 투자 메리트가 있을지 비교할 수 있다.
4)단계의 검색은 산출된 총 투자금액의 단일가 조건으로 검색할 수도 있지만, 미리 설정된 조건에 의해 범위값을 생성하여 검색할 수도 있다.
일예로, 산출된 총 투자금액(예, 20억원)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금액 감소율(-2%)을 반영하여 금액 범위(20억원-4천만원 ~ 20억원)를 산출하고, 건물 매입 비용이 상기 산출된 금액 범위에 해당하는 건물을 추가 검색할 수 있다. 이 경우, 산출된 총 투자금액은 '20억원'이고, 검색을 위한 총 투자금액 조건은 '20억원-4천만원 ~ 20억원'이 된다.
산출된 총 투자금액의 단일가 조건으로 검색하는 경우, 산출된 총 투자금액은 '20억원'이고, 검색을 위한 총 투자금액 조건도 '20억원'이 된다.
총 투자금액은 사용자가 가용 가능한 상한 금액으로 볼 수 있으므로, 금액 증가율은 적용하지 않는다.
5)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가 반영된 상기 선택한 건물과 상기 추가 검색된 건물을 상호 비교 가능하도록 가상현실 환경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은, 부동산 투자를 검토 중인 사용자가 실제 부동산 정보와 동일하게 구현된 가상현실 환경에서 자신이 투자 가능한 금액을 고려하여 이에 매칭되는 건물을 검색하고, 검색된 원 건물 그대로 투자, 리모델링 투자 또는 재건축 투자의 다양한 옵션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통해 투자 타당성을 비교 검토해볼 수 있다.
통상적으로 리모델링 또는 재건축은 건물이나 토지의 가치를 높이기 때문에 투자 수익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리모델링 또는 재건축은 추가 비용 및 기간 소요, 건축 설계/시공 관리의 어려움 등이 있으므로, 진행 여부를 쉽게 결정하기 어렵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은, 동일한 총 투자금액을 기준으로 원 건물 그대로 투자, 리모델링 투자, 재건축 투자의 다양한 옵션에 기초한 가상현실 환경의 시뮬레이션 비교가 가능하도록 하여 이러한 결정에 도움을 주도록 구성된다.
건물 상호 비교 시에는, 지리 정보에 기초한 건물의 크기, 위치, 방향 등에 관한 정보와, BIM 정보에 기초한 실내공간 정보와, 부동산 정보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부동산에 관한 정보에 기초한 부동산 매물에 관한 주소 정보, 매물 구조 정보, 가격 정보, 공시가격 정보, 실거래가 정보 등을 포함하는 건물 정보를 전체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또한, 건물 상호 비교 시에는, 지리 정보에 기초한 건물의 크기, 위치, 방향 등에 관한 정보와, BIM 정보에 기초한 실내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환경에서 각각의 건물 객체에 대해 시각적으로 구현된 상태를 제공한다.
또한, 각각의 건물의 주소에 기초하여 매칭 관리되는 각각의 건물 객체에 대한 부동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부동산에 관한 정보는 각각의 건물에 대한 부동산 매물 관련 정보, 매물 구조 정보, 가격 정보, 공시가격 정보, 실거래가 정보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더욱 상세하게, 상기 2)단계에서 제2 옵션이 입력된 경우, 상기 3)단계는 다음과 같이 실행될 수 있다.
31)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상기 선택한 건물에 대한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모드를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제공한다.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모드는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형태로 제공된다.
32)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상기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모드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상기 선택한 건물에 대한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정보는 건물 내장 리모델링 정보 및 건물 외장 리모델링 정보를 포함한다.
일예로, 건물 내장 리모델링 정보는 건물 내장 환경 구성을 위한 내장용 자재의 종류, 내장용 자재의 가격 등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입력된다. 내장용 자재는 천장재, 벽지, 바닥재, 도어, 조명기구 등 통상의 내장용 자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건물 외장 리모델링 정보는 건물 외장 환경 구성을 위한 외장용 자재의 종류, 외장용 자재의 가격 등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입력된다. 외장 환경 구성을 위한 자재는 건물외장패널, 외벽용 유리, 외부 출입용 도어, 외부 조명기구, 외부 도장 등 통상의 외장용 자재를 포함할 수 있다.
33)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입력된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한 건물이 가상현실 환경에서 리모델링된 시뮬레이션 결과를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결과는, 지리 정보에 기초한 건물의 크기, 위치, 방향 등에 관한 정보와 BIM 정보에 기초한 실내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환경에서 건물 객체를 시각적으로 구현한 상태에서, 입력된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정보에 포함된 내장용 자재 및 외장용 자재를 미리 설정된 시뮬레이션 룰에 기초하여 가상적으로 배치 또는 설치한 상태를 시각적으로 시뮬레이션 구현하는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 룰은 예를 들어, 바닥면적 1 ㎡ 당 바닥재 n개 소요, 바닥면적 1 ㎡ 당 조명기구 n개 소요 등과 같이, 건물 구조 조건에 따른 내장용 자재 및 외장용 자재의 소요 수량 및 배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룰로 이해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 룰은 관리자 클라이언트(30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룰에 기초하여 건물의 시각적인 구현 형태도 결정될 수 있다.
34)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상기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투자금액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추가 투자금액은, 건물 내장 리모델링에 소요되는 비용과 건물 외장 리모델링에 소요되는 비용을 합산하여 산출한다.
건물 내장 리모델링에 소요되는 비용은 상기 시뮬레이션 구현에 소요된 내장용 자재의 종류, 내장용 자재의 가격, 내장용 자재의 수량 또는 면적에 기초하여 산출한다.
건물 외장 리모델링에 소요되는 비용은 상기 시뮬레이션 구현에 소요된 외장용 자재의 종류, 외장용 자재의 가격, 외장용 자재의 수량 또는 면적에 기초하여 산출한다.
내장용 자재의 가격은 수량당 가격(예, 조명기구, 도어), 면적당 가격(예, 천장재, 벽지, 바닥재)의 형태로 가상현실 서버(100)에 입력 관리될 수 있다. 변형예로, 도어와 조명기구의 경우에도, 건물 크기 및 면적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룰에 의해 면적당 가격으로 산출될 수도 있다. 하기 표 1에 이러한 가격이 예시되어 있다.
천장재
(㎡ 당)
벽지
(㎡ 당)
바닥재
(㎡ 당)
조명기구
(개 당)
도어
(개 당)
A급 30000 ... ... ... ...
B급 25000 ... ... ... ...
C급 20000 ... ... ... ...
외장용 자재의 가격은 수량당 가격(예, 외부 출입용 도어, 외부 조명기구), 면적당 가격(예, 건물외장패널, 외벽용 유리, 외부 도장)의 형태로 가상현실 서버(100)에 입력 관리될 수 있다. 변형예로, 외부 출입용 도어와 외부 조명기구의 경우에도, 건물 크기 및 면적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룰에 의해 면적당 가격으로 산출될 수도 있다. 하기 표 2에 이러한 가격이 예시되어 있다.
건물 외장 패널
(㎡ 당)
외벽용 유리
(㎡ 당)
외부 도장
(㎡ 당)
외부 조명기구
(개 당)
외부 출입용 도어
(개 당)
A급 30000 ... ... ... ...
B급 25000 ... ... ... ...
C급 20000 ... ... ... ...
35)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상기 추가 투자금액과 기초 투자금액을 합산하여 총 투자금액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기초 투자금액이 15억원이고 추가 투자금액이 5억원이면, 총 투자금액은 20억원으로 산출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32)단계에서 상기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정보의 입력은 다음과 같이 실행될 수 있다.
321)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상기 선택한 건물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한 건물을 가상현실 환경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322)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상기 선택한 건물을 구성하는 외장 요소 또는 내장 요소에 대한 리모델링 옵션 메뉴를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제공한다.
상기 리모델링 옵션 메뉴는 외장 요소 또는 내장 요소의 리모델링을 위한 복수의 옵션을 각각 포함하며, 각각의 옵션별 소요 비용 정보가 포함된다.
일예로, 외장 요소의 리모델링을 위한 복수의 옵션은, 적어도 외장용 자재의 종류를 옵션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외장용 자재의 수량/면적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옵션은 옵션 메뉴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선택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내장 요소의 리모델링을 위한 복수의 옵션은, 적어도 내장용 자재의 종류를 옵션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내장용 자재의 수량/면적을 입력할 수도 있다.
323)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상기 리모델링 옵션 메뉴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건물 내장 리모델링 정보 또는 건물 외장 리모델링 정보를 입력받는다.
건물 내장 리모델링 정보는 내장 요소의 리모델링을 위한 옵션을 선택한 정보로서, 상기 옵션 메뉴에 기초하여 입력되며, 적어도 내장용 자재의 종류를 선택한 정보를 포함하며, 내장용 자재의 수량/면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건물 외장 리모델링 정보는 외장 요소의 리모델링을 위한 옵션을 선택한 정보로서, 상기 옵션 메뉴에 기초하여 입력되며, 적어도 외장용 자재의 종류를 선택한 정보를 포함하며, 외장용 자재의 수량/면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건물 내장 리모델링 정보 또는 건물 외장 리모델링 정보에 기초하여,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일예로, 내장용 자재의 수량 또는 면적은 사용자가 옵션 메뉴를 통해 입력할 수도 있고, 선택한 건물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계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옵션 메뉴를 통해 입력된 내장용 자재의 종류와 건물의 바닥 면적, 벽 면적, 층수에 기초하여 바닥재와 벽지의 소요량이 자동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옵션 메뉴를 통해 입력된 내장용 자재의 종류와 건물의 바닥 면적에 기초하여 조명기구의 수량이 자동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옵션 메뉴를 통해 입력된 내장용 자재의 종류와 건물의 방 개수에 기초하여 도어의 수량이 자동 계산될 수 있다.
일예로, 외장용 자재의 수량 또는 면적은 사용자가 옵션 메뉴를 통해 입력할 수도 있고, 선택한 건물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계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옵션 메뉴를 통해 입력된 외장용 자재의 종류와 건물의 바닥 면적, 외벽 면적, 층수에 기초하여 건물외장패널, 외벽용 유리, 외부 도장의 소요량이 자동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옵션 메뉴를 통해 입력된 외장용 자재의 종류와 건물의 바닥 면적에 기초하여 외부 조명기구의 수량이 자동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옵션 메뉴를 통해 입력된 외장용 자재의 종류와 건물의 출입 구조에 기초하여 외부 출입용 도어의 수량이 자동 계산될 수 있다.
상기 2)단계에서 제3 옵션이 입력된 경우, 상기 3)단계는 다음과 같이 실행될 수 있다.
31')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상기 선택한 건물에 대한 재건축 시뮬레이션 모드를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제공한다. 재건축 시뮬레이션 모드는 재건축 시뮬레이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형태로 제공된다.
32')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상기 재건축 시뮬레이션 모드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상기 선택한 건물에 대한 재건축 시뮬레이션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재건축 시뮬레이션 정보는 재건축 건물 구조 정보, 재건축 건물 내장 정보 및 재건축 건물 외장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재건축 건물 구조 정보는 가상의 재건축 건물의 건물 구조 환경 구성을 위한 건물 구조 타입 및 건물 층수, 건물 건축 비용 등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입력된다. 건물 구조 타입은 상업용 빌딩, 오피스텔, 주상복합 빌딩 등 임대 수익의 창출이 가능한 통상의 건물 구조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건축 건물 내장 정보 및 재건축 건물 외장 정보는 상술한 건물 내장 리모델링 정보 및 건물 외장 리모델링 정보와 동일 내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33')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입력된 재건축 시뮬레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한 건물이 가상현실 환경에서 재건축된 시뮬레이션 결과를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재건축 시뮬레이션 결과는, 재건축 대상 토지 영역에 관한 정보와 입력된 재건축 시뮬레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된다. 일예로, 건축 구조 요소(예, 기둥, 벽, 바닥, 문 등)를 미리 설정된 건물 시뮬레이션 룰에 기초하여 배치하여, 가상현실 환경에서 가상의 재건축 건물 객체(외부, 내부 포함)를 시각적으로 구현한다. 또한, 재건축 시뮬레이션 정보에 포함된 내장용 자재 및 외장용 자재를 미리 설정된 내외장 시뮬레이션 룰에 기초하여 가상적으로 배치 또는 설치한 상태를 시각적으로 시뮬레이션 구현한다.
건물 시뮬레이션 룰은 예를 들어, 토지 영역의 크기, 형상, 건물 구조 타입 및 건물 층수에 기초하여, 건물 구조물의 형상, 방의 개수, 계단/엘리베이터의 위치 및 개수, 출입문의 위치/개수 등을 결정하기 위한 룰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 구조 타입은 상업용 빌딩이고 건물 층수는 10층이며, 재건축 대상 토지 영역이 정사각형 형상이면서 1000 ㎡의 면적을 갖고 있다면, 가상현실 서버(100)에서 미리 관리되는 건물 시뮬레이션 룰에 기초하여 건축 구조 요소(예, 기둥, 벽, 바닥, 문 등)의 배치가 결정되고, 이에 따라 가상의 재건축 건물을 구현하기 위한 건축 구조물의 형상, 방의 개수, 계단/엘리베이터의 위치 및 개수, 출입문의 위치/개수 등이 결정된다. 이러한 건물 시뮬레이션 룰은 예를 들어, 실제 건물 데이터를 통계 분석하여 각각의 조건별로 가장 많은 사례값으로 도출된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가상현실 서버(100)에서 관리될 수 있다. 다른예로, 건물 구조 타입, 층수, 토지 영역 형상, 면적, 건물 실제 구조 등을 학습값으로 하여 학습된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건축 구조 요소의 배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건물 시뮬레이션 룰은 관리자 클라이언트(30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내외장 시뮬레이션 룰은 상술한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과정의 시뮬레이션 룰과 동일 내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34')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상기 재건축 시뮬레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투자금액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추가 투자금액은, 건물 구조물 건축에 소요되는 비용과 건물 내장에 소요되는 비용 및 외장에 소요되는 비용을 합산하여 산출한다.
건물 구조물 건축에 소요되는 비용은, 토지 영역의 크기, 형상, 건물 구조 타입 및 건물 층수와 건물 시뮬레이션 룰에 기초하여 결정된 건물 구조물의 형상, 방의 개수, 계단/엘리베이터의 위치 및 개수, 출입문의 위치/개수에 관한 정보와, 가상현실 서버(100)에서 관리하는 표준 건축비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다.
건물 내장에 소요되는 비용 및 외장에 소요되는 비용은 상술한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과정의 건물 내장 및 외장 리모델링에 소요되는 비용과 동일 내지 유사한 형태로 산출될 수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표준 건축비는, 건축물의 주요 용도와 구조에 따라 표준 건축비의 원가 구성을 설정해서 그 가중치에 따라 자재, 노무비의 변동을 종합한 건축비 지수로서, 건축 평가나 건축비에 대한 보조·융자 등의 기준을 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정부 고시의 표준 건축비를 사용하거나, 이를 응용하여 유사한 형태로 자체 설정한 표준 건축비를 입력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재건축 시뮬레이션은 기존에 존재하던 건물을 철거하고 새로이 건물을 건축하는 방식이므로, 표준 건축비의 산정 시에 기존 건물의 철거비를 함께 합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5')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상기 추가 투자금액과 기초 투자금액을 합산하여 총 투자금액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기초 투자금액이 12억원이고 추가 투자금액이 8억원이면, 총 투자금액은 20억원으로 산출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32')단계에서 상기 재건축 시뮬레이션 정보의 입력은 다음과 같이 실행될 수 있다.
321')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지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한 건물이 가상적으로 제거된 토지 영역을 가상현실 환경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322')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상기 토지 영역의 크기 및 형상 조건에 기초하여 건물 구조 옵션 메뉴를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제공한다.
상기 건물 구조 옵션 메뉴는 건물 구조 타입 및 건물 층수의 설정을 위한 복수의 옵션을 각각 포함하며, 각각의 옵션별 소요 비용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옵션별 소요 비용 정보는 표준 건축비 정보에 기초하여 건물 구조 타입 및 건물 층수에 의해 예상 비용을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323')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상기 건물 구조 옵션 메뉴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건물 구조 타입 정보 및 건물 층수 정보를 포함하는 재건축 건물 구조 정보를 입력받는다.
324')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상기 재건축 건물 구조 정보에 기초하여 재건축 건물을 구성하는 외장 요소 및 내장 요소에 대한 재건축 옵션 메뉴를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제공한다.
상기 재건축 옵션 메뉴는 외장 요소 또는 내장 요소의 설치를 위한 복수의 옵션을 각각 포함하며, 각각의 옵션별 소요 비용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재건축 옵션 메뉴는 상술한 리모델링 옵션 메뉴와 동일 내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바람직하게, 재건축 옵션 메뉴의 제공 시에, 상기 재건축 건물 구조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현실 환경에서 가상의 재건축 건물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제공할 수 있다.
325')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상기 재건축 옵션 메뉴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재건축 건물 내장 정보 및 재건축 건물 외장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재건축 건물 내장 정보 및 재건축 건물 외장 정보는 상술한 건물 내장 리모델링 정보 또는 건물 외장 리모델링 정보와 동일 내지 유사한 형태로 입력될 수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변형예로서, 상기 1)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상기 기초 투자금액과 함께 투자 상한액을 함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3)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한 총 투자금액이 상기 투자 상한액을 초과하는 경우,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를 다시 실행하여 제공한다.
상기 투자 상한액은 사용자가 부동산 투자에 가능한 보유 금액 또는 이를 감안하여 사용자가 입력 설정한 금액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초 투자금액은 리모델링 비용 또는 재건축 비용이 반영되지 않고 건물의 매입에 소요되는 금액만을 고려한 금액이다.
사용자가 리모델링 또는 재건축을 고려하지 않고 매입한 원 건물 그대로 임대 수익을 얻고자 한다면 기초 투자금액 이외의 추가 투자금액이 소요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리모델링 또는 재건축을 고려한다면, 리모델링 비용 또는 재건축 비용이 기초 투자금액에 추가되며, 사용자가 부동산 투자에 가능한 보유 금액을 기초 투자금액과 추가 투자금액의 합산액이 초과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실제 투자와 무관한 시뮬레이션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기초 투자금액과 함께 투자 상한액을 입력받도록 하고,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한 총 투자금액이 상기 투자 상한액을 초과하는 경우,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를 다시 제공하여, 사용자가 부동산 투자에 가능한 보유 금액을 기초 투자금액과 추가 투자금액의 합산액이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또다른, 변형예로서, 상기 1)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상기 기초 투자금액과 함께 일조권(日照權) 침해 조건을 함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2)단계에서 가상현실 서버(100)는, 투자 검토 대상으로 선택한 건물이 3차원 좌표 공간 내의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일조권 시뮬레이션 결과 상기 일조권 침해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투자 검토 대상으로 다른 건물을 재선택하도록 요청한다.
사용자의 개인적 성향 또는 투자 조건에 따라 투자한 건물의 일조권(日照權) 침해가 발생하면 안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건물을 사용할 사용자가 일조권(日照權) 침해 조건에서 정상적인 업무가 곤란한 업종에 해당하거나, 일조권(日照權) 침해로 인한 건물의 재산적 손실이 우려되는 경우 등이다.
이를 감안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재선택 요청 프로세스를 통해, 일조권(日照權) 침해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다른 건물을 새로이 검토할 수 있도록 한다.
일예로, 상기 일조권 침해 조건의 해당 여부는, 3차원 좌표 공간 내에서의 가상의 태양광(SL)의 조사 방향에 따라 생성된 인근 건물(10')의 그림자(20')가 투자 검토 대상으로 선택한 건물(10)의 바닥 영역(12)을 침범하는 침범 영역(DA')의 크기가 상기 바닥 영역(12) 크기의 소정 비율(예, 30%)을 초과하는 초과시간(예, 6시간)이 하루 중 소정 시간 이상(예, 4 시간)이 되는 경우, 상기 일조권 침해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경우가 도 5에 예시되어 있다. 비율 조건 및 시간 조건은 사용자 클라이언트(200) 또는 관리자 클라이언트(300)에 의해 변경 설정 가능하다.
일예로, 가상현실 내의 건물(10)은 지리 정보와 건물 정보에 기반하여 폴리곤 메시(polygon mesh)에 기반하여 구현된 3차원 객체일 수 있다. 3차원 공간 상에서 위치를 갖는 하나의 포인트를 버텍스(vertex), 버텍스와 버텍스를 연결하는 직선을 에지(edge), 3개 이상의 버텍스가 모여 하나의 면(face)을 구성한 것을 폴리곤(polygon), 폴리곤이 모여 하나의 3차원 물체를 구성한 것을 폴리곤 메시(polygon mesh)라고 한다. 폴리곤 메시는 3차원 공간 상에서 하나의 객체를 정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림자(20)는 가상현실의 지면(바닥)에만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그림자(20)는 폴리곤 메시(polygon mesh)에 기반의 3차원 객체로 구현할 수도 있고, 2차원 평면 객체의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그림자(20)는 가상현실 내의 가상의 태양(S)의 위치와, 건물(10)의 지리적 위치(위도, 경도) 및 일자, 시간 등에 기초하여 실시간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그 형상 및 방향이 변화될 수 있다.
가상현실 서버(100)는, 가상현실로 구현된 3차원 좌표 공간 내에서, 길이 조절된 그림자(20)를 가상의 태양광(SL)의 조사 방향의 반대 방향의 바닥면에 배치하고 색채를 부여하여 표시한다.
도 4에는 가상의 태양광(SL)의 조사 방향에 따라 다양하게 표시된 그림자(20)들이 예시되어 있다.
다른예로, 2 이상의 인근 건물(10',10'')의 그림자(20',20'')가 투자 검토 대상으로 선택한 건물(10)의 바닥 영역(12)을 각각 침범하는 경우, 각각의 인근 건물별로 상기 초과시간(예, 3시간, 5시간)을 산출하고, 산출한 인근 건물별 초과시간의 누적 합산값(예, 8시간)이 하루 중 소정 시간(예, 6시간)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일조권 침해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경우가 도 6에 예시되어 있다. 투자 검토 대상으로 선택한 건물(10)의 인근에 고층 건물이 다수 있는 경우에 이러한 구성이 바람직하다.
또다른 예로, 상기 일조권 침해 조건의 해당 여부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입력된 기준 일자(예, 하지, 동지) 및 기준 시간(예, 정오)을 기준으로, 3차원 좌표 공간 내에서의 가상의 태양광(SL)의 조사 방향에 따라 생성된 인근 건물(10')의 그림자(20')가 투자 검토 대상으로 선택한 건물(10)의 바닥 영역(12)을 침범하는 침범 영역(DA'-1)의 크기가 상기 바닥 영역(12) 크기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비율 이상(예, 60%))이 되는 경우, 상기 일조권 침해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경우가 도 7에 예시되어 있다. 투자 검토 대상으로 선택한 건물(10)이 연중 특정 일자 또는 시기에 일조권 침해가 발생되면 안되는 경우에 이러한 구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감시 영역 설정을 이용한 영상 관제 방법을 다양한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USB 드라이브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100: 가상현실 서버
200: 사용자 클라이언트
300: 관리자 클라이언트
400: 부동산 정보 서버

Claims (12)

  1. 지리 정보와 건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가상현실 서버에서 실행하는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으로서,
    1)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기초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검색하는 단계;
    2) 상기 검색의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투자 검토 대상으로 선택한 건물에 관한 건물 정보와 투자 시뮬레이션을 위한 옵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옵션 정보는 상기 선택한 건물을 원 건물 상태 그대로 투자하는 제1 옵션, 상기 선택한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투자하는 제2 옵션, 상기 선택한 건물을 재건축하여 투자하는 제3 옵션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정보임-;
    3) 입력된 건물 정보와 옵션 정보에 기초하여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를 제공하고,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의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총 투자금액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는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모드 및 재건축 시뮬레이션 모드를 포함함-;
    4) 산출된 총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추가 검색하는 단계; 및
    5)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가 반영된 상기 선택한 건물과 상기 추가 검색된 건물을 상호 비교 가능하도록 가상현실 환경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2)단계에서 제2 옵션이 입력된 경우, 상기 3)단계는,
    31) 상기 선택한 건물에 대한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모드를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
    32) 상기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모드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로부터 상기 선택한 건물에 대한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정보는 건물 내장 리모델링 정보 및 건물 외장 리모델링 정보를 포함함-; 및
    33) 입력된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한 건물이 가상현실 환경에서 리모델링된 시뮬레이션 결과를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
    34) 상기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투자금액을 산출하는 단계; 및
    35) 상기 추가 투자금액과 기초 투자금액을 합산하여 총 투자금액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정보의 입력은,
    321) 상기 선택한 건물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한 건물을 가상현실 환경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322) 상기 선택한 건물을 구성하는 외장 요소 또는 내장 요소에 대한 리모델링 옵션 메뉴를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리모델링 옵션 메뉴는 외장 요소 또는 내장 요소의 리모델링을 위한 복수의 옵션을 각각 포함하며, 각각의 옵션별 소요 비용 정보가 포함됨-; 및
    323) 상기 리모델링 옵션 메뉴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건물 내장 리모델링 정보 또는 건물 외장 리모델링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
  3. 지리 정보와 건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가상현실 서버에서 실행하는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으로서,
    1)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기초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검색하는 단계;
    2) 상기 검색의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투자 검토 대상으로 선택한 건물에 관한 건물 정보와 투자 시뮬레이션을 위한 옵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옵션 정보는 상기 선택한 건물을 원 건물 상태 그대로 투자하는 제1 옵션, 상기 선택한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투자하는 제2 옵션, 상기 선택한 건물을 재건축하여 투자하는 제3 옵션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정보임-;
    3) 입력된 건물 정보와 옵션 정보에 기초하여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를 제공하고,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의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총 투자금액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는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모드 및 재건축 시뮬레이션 모드를 포함함-;
    4) 산출된 총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추가 검색하는 단계; 및
    5)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가 반영된 상기 선택한 건물과 상기 추가 검색된 건물을 상호 비교 가능하도록 가상현실 환경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2)단계에서 제3 옵션이 입력된 경우, 상기 3)단계는,
    31') 상기 선택한 건물에 대한 재건축 시뮬레이션 모드를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
    32') 상기 재건축 시뮬레이션 모드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선택한 건물에 대한 재건축 시뮬레이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재건축 시뮬레이션 정보는 재건축 건물 구조 정보, 재건축 건물 내장 정보 및 재건축 건물 외장 정보를 포함함-;
    33') 입력된 재건축 시뮬레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한 건물이 가상현실 환경에서 재건축된 시뮬레이션 결과를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
    34') 상기 재건축 시뮬레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투자금액을 산출하는 단계; 및
    35') 상기 추가 투자금액과 기초 투자금액을 합산하여 총 투자금액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건축 시뮬레이션 정보의 입력은,
    321') 지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한 건물이 가상적으로 제거된 토지 영역을 가상현실 환경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322') 상기 토지 영역의 크기 및 형상 조건에 기초하여 건물 구조 옵션 메뉴를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건물 구조 옵션 메뉴는 건물 구조 타입 및 건물 층수의 설정을 위한 복수의 옵션을 각각 포함하며, 각각의 옵션별 소요 비용 정보가 포함됨-;
    323') 상기 건물 구조 옵션 메뉴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건물 구조 타입 정보 및 건물 층수 정보를 포함하는 재건축 건물 구조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324') 상기 재건축 건물 구조 정보에 기초하여 재건축 건물을 구성하는 외장 요소 및 내장 요소에 대한 재건축 옵션 메뉴를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재건축 옵션 메뉴는 외장 요소 또는 내장 요소의 설치를 위한 복수의 옵션을 각각 포함하며, 각각의 옵션별 소요 비용 정보가 포함됨-; 및
    325') 상기 재건축 옵션 메뉴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재건축 건물 내장 정보 및 재건축 건물 외장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
  5. 지리 정보와 건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가상현실 서버에서 실행하는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으로서,
    1)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기초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검색하는 단계;
    2) 상기 검색의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투자 검토 대상으로 선택한 건물에 관한 건물 정보와 투자 시뮬레이션을 위한 옵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옵션 정보는 상기 선택한 건물을 원 건물 상태 그대로 투자하는 제1 옵션, 상기 선택한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투자하는 제2 옵션, 상기 선택한 건물을 재건축하여 투자하는 제3 옵션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정보임-;
    3) 입력된 건물 정보와 옵션 정보에 기초하여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를 제공하고,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의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총 투자금액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는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모드 및 재건축 시뮬레이션 모드를 포함함-;
    4) 산출된 총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추가 검색하는 단계; 및
    5)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가 반영된 상기 선택한 건물과 상기 추가 검색된 건물을 상호 비교 가능하도록 가상현실 환경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1)단계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기초 투자금액과 함께 일조권(日照權) 침해 조건을 함께 입력받으며,
    상기 2)단계에서,
    투자 검토 대상으로 선택한 건물이 3차원 좌표 공간 내의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일조권 시뮬레이션 결과 상기 일조권 침해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투자 검토 대상으로 다른 건물을 재선택하도록 요청하며,
    상기 일조권 침해 조건의 해당 여부는,
    3차원 좌표 공간 내에서의 가상의 태양광의 조사 방향에 따라 생성된 인근 건물의 그림자가 투자 검토 대상으로 선택한 건물의 바닥 영역을 침범하는 침범 영역의 크기가 상기 바닥 영역 크기의 소정 비율을 초과하는 초과시간이 하루 중 소정 시간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일조권 침해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2 이상의 인근 건물의 그림자가 투자 검토 대상으로 선택한 건물의 바닥 영역을 각각 침범하는 경우,
    각각의 인근 건물별로 상기 초과시간을 산출하고, 산출한 인근 건물별 초과시간의 누적 합산값이 하루 중 소정 시간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일조권 침해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
  7. 지리 정보와 건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가상현실 서버에서 실행하는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으로서,
    1)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기초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검색하는 단계;
    2) 상기 검색의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투자 검토 대상으로 선택한 건물에 관한 건물 정보와 투자 시뮬레이션을 위한 옵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옵션 정보는 상기 선택한 건물을 원 건물 상태 그대로 투자하는 제1 옵션, 상기 선택한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투자하는 제2 옵션, 상기 선택한 건물을 재건축하여 투자하는 제3 옵션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정보임-;
    3) 입력된 건물 정보와 옵션 정보에 기초하여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를 제공하고,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의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총 투자금액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는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모드 및 재건축 시뮬레이션 모드를 포함함-;
    4) 산출된 총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추가 검색하는 단계; 및
    5)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가 반영된 상기 선택한 건물과 상기 추가 검색된 건물을 상호 비교 가능하도록 가상현실 환경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1)단계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기초 투자금액과 함께 일조권(日照權) 침해 조건을 함께 입력받으며,
    상기 2)단계에서,
    투자 검토 대상으로 선택한 건물이 3차원 좌표 공간 내의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일조권 시뮬레이션 결과 상기 일조권 침해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투자 검토 대상으로 다른 건물을 재선택하도록 요청하며,
    상기 일조권 침해 조건의 해당 여부는,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기준 일자 및 기준 시간을 기준으로,
    3차원 좌표 공간 내에서의 가상의 태양광의 조사 방향에 따라 생성된 인근 건물의 그림자가 투자 검토 대상으로 선택한 건물의 바닥 영역을 침범하는 침범 영역의 크기가 상기 바닥 영역 크기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비율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일조권 침해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
  8. 하나 이상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지리 정보와 건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되,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기초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검색하며;
    상기 검색의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투자 검토 대상으로 선택한 건물에 관한 건물 정보와 투자 시뮬레이션을 위한 옵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옵션 정보는 상기 선택한 건물을 원 건물 상태 그대로 투자하는 제1 옵션, 상기 선택한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투자하는 제2 옵션, 상기 선택한 건물을 재건축하여 투자하는 제3 옵션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정보임-;
    입력된 건물 정보와 옵션 정보에 기초하여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를 제공하고,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의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총 투자금액을 산출하며- 상기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는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모드 및 재건축 시뮬레이션 모드를 포함함-;
    산출된 총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추가 검색하고;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가 반영된 상기 선택한 건물과 상기 추가 검색된 건물을 상호 비교 가능하도록 가상현실 환경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옵션 정보로서 제2 옵션이 입력된 경우, 상기 총 투자금액의 산출은,
    상기 선택한 건물에 대한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모드를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제공하고;
    상기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모드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로부터 상기 선택한 건물에 대한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정보는 건물 내장 리모델링 정보 및 건물 외장 리모델링 정보를 포함함-;
    입력된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한 건물이 가상현실 환경에서 리모델링된 시뮬레이션 결과를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제공하고;
    상기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투자금액을 산출하며;
    상기 추가 투자금액과 기초 투자금액을 합산하여 총 투자금액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버.
  9. 하나 이상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지리 정보와 건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되,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기초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검색하며;
    상기 검색의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투자 검토 대상으로 선택한 건물에 관한 건물 정보와 투자 시뮬레이션을 위한 옵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옵션 정보는 상기 선택한 건물을 원 건물 상태 그대로 투자하는 제1 옵션, 상기 선택한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투자하는 제2 옵션, 상기 선택한 건물을 재건축하여 투자하는 제3 옵션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정보임-;
    입력된 건물 정보와 옵션 정보에 기초하여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를 제공하고,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의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총 투자금액을 산출하며- 상기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는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모드 및 재건축 시뮬레이션 모드를 포함함-;
    산출된 총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추가 검색하고;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가 반영된 상기 선택한 건물과 상기 추가 검색된 건물을 상호 비교 가능하도록 가상현실 환경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옵션 정보로서 제3 옵션이 입력된 경우, 상기 총 투자금액의 산출은,
    상기 선택한 건물에 대한 재건축 시뮬레이션 모드를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제공하고;
    상기 재건축 시뮬레이션 모드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선택한 건물에 대한 재건축 시뮬레이션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재건축 시뮬레이션 정보는 재건축 건물 구조 정보, 재건축 건물 내장 정보 및 재건축 건물 외장 정보를 포함함-;
    입력된 재건축 시뮬레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한 건물이 가상현실 환경에서 재건축된 시뮬레이션 결과를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제공하고;
    상기 재건축 시뮬레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투자금액을 산출하며;
    상기 추가 투자금액과 기초 투자금액을 합산하여 총 투자금액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버.
  10. 하나 이상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지리 정보와 건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되,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기초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검색하며;
    상기 검색의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투자 검토 대상으로 선택한 건물에 관한 건물 정보와 투자 시뮬레이션을 위한 옵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옵션 정보는 상기 선택한 건물을 원 건물 상태 그대로 투자하는 제1 옵션, 상기 선택한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투자하는 제2 옵션, 상기 선택한 건물을 재건축하여 투자하는 제3 옵션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정보임-;
    입력된 건물 정보와 옵션 정보에 기초하여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를 제공하고,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의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총 투자금액을 산출하며- 상기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는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모드 및 재건축 시뮬레이션 모드를 포함함-;
    산출된 총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추가 검색하고;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가 반영된 상기 선택한 건물과 상기 추가 검색된 건물을 상호 비교 가능하도록 가상현실 환경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기초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검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기초 투자금액과 함께 일조권(日照權) 침해 조건을 함께 입력받으며,
    상기 옵션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투자 검토 대상으로 선택한 건물이 3차원 좌표 공간 내의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일조권 시뮬레이션 결과 상기 일조권 침해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투자 검토 대상으로 다른 건물을 재선택하도록 요청하며,
    상기 일조권 침해 조건의 해당 여부는,
    3차원 좌표 공간 내에서의 가상의 태양광의 조사 방향에 따라 생성된 인근 건물의 그림자가 투자 검토 대상으로 선택한 건물의 바닥 영역을 침범하는 침범 영역의 크기가 상기 바닥 영역 크기의 소정 비율을 초과하는 초과시간이 하루 중 소정 시간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일조권 침해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버.
  11. 하나 이상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지리 정보와 건물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좌표 공간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되,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기초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검색하며;
    상기 검색의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투자 검토 대상으로 선택한 건물에 관한 건물 정보와 투자 시뮬레이션을 위한 옵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옵션 정보는 상기 선택한 건물을 원 건물 상태 그대로 투자하는 제1 옵션, 상기 선택한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투자하는 제2 옵션, 상기 선택한 건물을 재건축하여 투자하는 제3 옵션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정보임-;
    입력된 건물 정보와 옵션 정보에 기초하여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를 제공하고,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의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총 투자금액을 산출하며- 상기 투자 시뮬레이션 모드는 리모델링 시뮬레이션 모드 및 재건축 시뮬레이션 모드를 포함함-;
    산출된 총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추가 검색하고;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가 반영된 상기 선택한 건물과 상기 추가 검색된 건물을 상호 비교 가능하도록 가상현실 환경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기초 투자금액 조건에 매칭되는 건물을 검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기초 투자금액과 함께 일조권(日照權) 침해 조건을 함께 입력받으며,
    상기 옵션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투자 검토 대상으로 선택한 건물이 3차원 좌표 공간 내의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일조권 시뮬레이션 결과 상기 일조권 침해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투자 검토 대상으로 다른 건물을 재선택하도록 요청하며,
    상기 일조권 침해 조건의 해당 여부는,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기준 일자 및 기준 시간을 기준으로,
    3차원 좌표 공간 내에서의 가상의 태양광의 조사 방향에 따라 생성된 인근 건물의 그림자가 투자 검토 대상으로 선택한 건물의 바닥 영역을 침범하는 침범 영역의 크기가 상기 바닥 영역 크기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비율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일조권 침해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버.
  12.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제3항, 제5항 및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152166A 2021-11-08 2021-11-08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94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166A KR102394307B1 (ko) 2021-11-08 2021-11-08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52738A KR20230067467A (ko) 2021-11-08 2022-04-28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166A KR102394307B1 (ko) 2021-11-08 2021-11-08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738A Division KR20230067467A (ko) 2021-11-08 2022-04-28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307B1 true KR102394307B1 (ko) 2022-05-04

Family

ID=815843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166A KR102394307B1 (ko) 2021-11-08 2021-11-08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52738A KR20230067467A (ko) 2021-11-08 2022-04-28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738A KR20230067467A (ko) 2021-11-08 2022-04-28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943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6501A1 (ko) * 2022-11-02 2024-05-10 메타브릿지 주식회사 실물 경제 연계형 메타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2669563B1 (ko) 2022-11-02 2024-05-28 메타브릿지 주식회사 실물 경제 연계형 메타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6474A (ko) * 2008-06-04 2009-12-09 박소미 맞춤형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91644B1 (ko) 2019-07-17 2020-05-29 부동산거래소 주식회사 O2o 기반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이용한 부동산 개방형 플랫폼 제공 방법
KR102287906B1 (ko) 2020-12-16 2021-08-09 주식회사 직방 부동산 정보 제공 장치 및 부동산 정보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6474A (ko) * 2008-06-04 2009-12-09 박소미 맞춤형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91644B1 (ko) 2019-07-17 2020-05-29 부동산거래소 주식회사 O2o 기반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이용한 부동산 개방형 플랫폼 제공 방법
KR102287906B1 (ko) 2020-12-16 2021-08-09 주식회사 직방 부동산 정보 제공 장치 및 부동산 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6501A1 (ko) * 2022-11-02 2024-05-10 메타브릿지 주식회사 실물 경제 연계형 메타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2669563B1 (ko) 2022-11-02 2024-05-28 메타브릿지 주식회사 실물 경제 연계형 메타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467A (ko) 202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2576B1 (en) Gamification of renter's/homeowner's insurance products
US8515820B2 (en) Automated pricing system
US20230377295A1 (en) System and Method to Process and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Real Estate by Developing and Presenting a Photogrammetric Reality Mesh
Fisher-Gewirtzman et al. Voxel based volumetric visibility analysis of urban environments
US20210026998A1 (en) Rapid design and visualization of three-dimensional designs with multi-user input
AU2010364305B2 (en) Architectural planning method and system
US201402144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nhanced sales and marketing tool
JP2004506269A (ja) 構造のプロフィールを相互的に作成する方法
US20070204241A1 (en) Method for generating three dimensional stair objects in computer aided design drawings
Abdullah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from the perspective of facilities management (FM) in Malaysia
KR102394307B1 (ko)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 방법, 가상현실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84931B1 (ko) 최신의 건축관계법률을 활용한 사용자 맞춤형 건축 계획설계 장치
KR102432650B1 (ko) 부동산 거래를 위한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0642605B1 (ko) 인터넷을 이용한 건축물 시뮬레이션 및 시공관리방법
JP7426789B2 (ja) 不動産仲介システムおよび不動産仲介方法
Zavadskas et al. A multiple criteria decision support web-based system for facilities management
Nap et al. Using the laser scanning technology in the evaluation of a building located on ion neculce street from cluj-napoca.
US11941332B2 (en) Generating space models and geometry models using a machine learning system with multi-platform interfaces
JP7341175B2 (ja) 不動産取引を支援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非一過性の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記録媒体
US20240087062A1 (en) Real estate asset feasibility analysis system and method
Aburamadan et al. Developing a heritage BIM shared library for two case studies in Jordan’s heritage: The House of Art in Amman and the Qaqish House in the World Heritage City of As-Salt
Mader-Kratky et al. From Archival Sources to a 3D-Visualization of Baroque Urban Topography: Vienna, Neuer Markt, C. 1760
Davis Immersive GeoDesign: exploring the built environment through the coupling of GeoDesign, 3D modeling, and immersive geography
Togarepi et al. A participatory GIS approach to spatial modeling for slum upgrading: the case of Epworth ward 4, Zimbabwe
KR20240079422A (ko) 메타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모델 하우스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