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583B1 - 기능성 보정속옷 - Google Patents

기능성 보정속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583B1
KR102393583B1 KR1020200004609A KR20200004609A KR102393583B1 KR 102393583 B1 KR102393583 B1 KR 102393583B1 KR 1020200004609 A KR1020200004609 A KR 1020200004609A KR 20200004609 A KR20200004609 A KR 20200004609A KR 102393583 B1 KR102393583 B1 KR 102393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wear
waist
support part
support
pelv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1441A (ko
Inventor
정희남
Original Assignee
정희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남 filed Critical 정희남
Priority to KR1020200004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583B1/ko
Publication of KR20210091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6Corsets or girdles with brassi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2Elast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8Abdomin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67Trousers with reinforcement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기능성 보정속옷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기능성 보정속옷은, 안감과 겉감 사이에 허리 부위를 지지할 수 있도록 허리지지부가 배치되는 3중 구조로 형성되어 신체의 상부영역에 착의하도록 마련되는 상의속옷; 안감과 겉감 사이에 골반 부위를 지지할 수 있도록 골반지지부가 배치되는 3중 구조로 형성되어 신체의 하부영역에 착의하도록 마련되는 하의속옷; 및 안감과 겉감 사이에 복부 부위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복부지지부 및 움추린 어깨를 펴줄 수 있도록 등 견인부가 배치되는 3중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상의속옷의 외부에 착의하고, 상기 복부지지부와 등 견인부는 신체의 활동시 발생되는 열과 땀에 의해 수축 동작되도록 마련되는 상의겉옷;을 포함하며, 상기 상의속옷의 허리지지부에 의해 착용자의 허리를 잡아준 상태에서 상기 하의속옷의 골반지지부에 의해 골반의 틀어짐 현상을 교정하고, 상기 상의겉옷의 복부지지부에 의해 복부를 지지한 후 등 견인부에 의해 움추린 어깨를 견인하여 척추를 올바른 자세로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의속옷, 하의속옷 및 상의겉옷 한벌로 착의하고, 상의속옷의 허리지지부에 의해 착용자의 허리를 잡아준 상태에서 하의속옷의 골반지지부에 의해 골반의 틀어짐 현상을 교정하고, 상의겉옷의 복부지지부에 의해 복부를 지지한 후 등 견인부에 의해 움추린 어깨가 바르게 펴치도록 견인함으로써 척추를 올바른 자세로 교정하거나 또는 착용자의 사회 활동에 따른 척추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보정속옷{INNER WEAR FOR CORRECTION}
본 발명은 기능성 보정속옷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에 간편하게 착의하여 골반과 척추를 동시에 교정할 수 있는 기능성 보정속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용 보정 속옷은 신체 주요 부위를 가리고 보호 및 보온해주기 위한 목적으로 착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근래에는 다양한 옷감과 무늬를 이용하여 보다 세련되게 디자인함으로써 미관과 기능성 개선에 중점을 둔 속옷들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이 외관을 중시하는 경향을 넘어서, 속옷에 체형보정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착용감을 좋게 하는 동시에 겉옷을 입었을 때 옷맵시가 아름답게 표현되도록 하고자, 소위 파운데이션(Foundation)으로 불리는 거들, 웨이스트니퍼, 올인원(바디슈트) 등의 기능성 속옷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여성용 보정속옷은 신축성이 있는 스판덱스(spandex) 재질과 일반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으로 구성되고, 내의 전체가 신체에 밀착되어 압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착용시 여성의 실루엣(곡선미)을 잘 표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점이 있는 체형을 보정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여성용 보정속옷은 대부분 착용자의 가슴부위, 복부부위, 엉덩이부위 등과 같이 한정된 신체부위에 밀착되고 압박하여 체형을 보정 해주는 기능만을 수행할 뿐, 여성의 사회활동 또는 육아에 따라 빈번하게 발생하는 골반의 틀어짐이나 어깨움 움추림으로 인한 척추의 휨 현상을 보정하지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골반의 틀어짐 현상은 컴퓨터나 장시간 독서 등 오래 앉아 있는 생활이 반복되는 경우 혹은 다리를 꼬고 앉는 경우 혹은 한쪽 어깨에만 가방을 메고 걷는 경우 혹은 출산시 관절을 이완시키는 호르몬의 영향으로 골반이 정상적으로 회복되지 못한 경우 혹은 옆으로 누워 자거나 엎드려 자는 경우에 발생하게 되며, 골반의 틀어짐 현상은 심한 골반통증을 야기하게 된다.
또한, 어깨의 움추림으로 인한 척추의 휨 현상은 장시간 컴퓨터, 운전, 독서 및 공부 등 오랜시간 앉어서 생활하는 경우 혹은 스마트폰을 자주하는 경우 혹은 육아 또는 집안일을 하는 경우 혹은 허리에 무리가 가는 동작이 잦은 경우 혹은 장시간 서서 일하는 경우 혹은 허리나 관절이 아픈 경우에 발생하게 되며, 척추의 휨 현상은 척추질환을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골반의 틀어짐이나 척추의 휨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을 토대로 추나요법, 프롤로주사, 교정도수 방법, 도수 치료 및 자세 교정 등을 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신체에 착의한 상태로 골반의 틀어짐이나 척추의 휨 현상을 편리하게 교정할 수 있는 기능성 보정속옷에 관한 연구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1390343호(2014년04월23일) KR 등록특허공보 제10-1825403호(2018년01월30일)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의속옷, 하의속옷 및 상의속옷의 외부에 착의 하는 상의겉옷으로 구성되되, 상의속옷에 의해 허리를 견고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하의속옷에 의해 골반의 틀어짐 현상을 교정하고, 상의겉옷에 의해 척추를 올바른 자세로 교정할 수 있는 기능성 보정속옷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안감과 겉감 사이에 허리 부위를 지지할 수 있도록 허리지지부가 배치되는 3중 구조로 형성되어 신체의 상부영역에 착의하도록 마련되는 상의속옷; 안감과 겉감 사이에 골반 부위를 지지할 수 있도록 골반지지부가 배치되는 3중 구조로 형성되어 신체의 하부영역에 착의하도록 마련되는 하의속옷; 및 안감과 겉감 사이에 복부 부위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복부지지부 및 움추린 어깨를 펴줄 수 있도록 등 견인부가 배치되는 3중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상의속옷의 외부에 착의하고, 상기 복부지지부와 등 견인부는 신체의 활동시 발생되는 열과 땀에 의해 수축 동작되도록 마련되는 상의겉옷;을 포함하며, 상기 상의속옷의 허리지지부에 의해 착용자의 허리를 잡아준 상태에서 상기 하의속옷의 골반지지부에 의해 골반의 틀어짐 현상을 교정하고, 상기 상의겉옷의 복부지지부에 의해 복부를 지지한 후 등 견인부에 의해 움추린 어깨를 견인하여 척추를 올바른 자세로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보정속옷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복부지지부는 신체의 활동시 발생되는 열과 땀에 의해 수축 동작되어 복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상의속옷의 전면 부위에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등 견인부는 신체의 활동시 발생되는 열과 땀에 의해 수축 동작되어 움추린 어깨를 견인하여 펴줄 수 있도록 상기 상의속옷의 전면, 후면 및 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상의속옷의 전면에는 어깨선에서 가슴 윗쪽까지 형성되고 후면에는 어깨선에서 등 부위 전체에 형성되며 측면에는 어깨선에서 팔의 바깥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의겉옷은 착의시 팔의 원활한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도록 후면에 암감과 겉감으로 형성되고 어깨선에서 일정한 폭을 유지하여 겨드랑이 안쪽 및 전면의 가슴 부위까지 연장되는 팔 움직임 허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부지지부와 등 견인부는 신체의 활동시 발생되는 열과 땀에 의해 수축 동작되도록 스판텍스와 폴리에스테르가 혼합되어 형성되되, 상기 스판텍스와 폴리에스테르가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 반복적으로 배치되도록 편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골반지지부는 상기 골반을 교정할 수 있도록 신체의 엉덩이 부위 및 허벅지 안쪽 부위를 제외한 골반 전체와 무릎 부위를 완전히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허리지지부와 골반지지부는 일정한 신축성을 갖도록 스판텍스와 폴리에스테르의 혼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상의속옷은 올인원 타입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의속옷은 레깅스 타입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의겉옷은 맨투맨셔츠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의속옷, 하의속옷 및 상의겉옷 한벌로 착의하고, 상의속옷의 허리지지부에 의해 착용자의 허리를 잡아준 상태에서 하의속옷의 골반지지부에 의해 골반의 틀어짐 현상을 교정하고, 상의겉옷의 복부지지부에 의해 복부를 지지한 후 등 견인부에 의해 움추린 어깨가 바르게 펴치도록 견인함으로써 척추를 올바른 자세로 교정하거나 또는 착용자의 사회 활동에 따른 척추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보정속옷의 상의속옷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의속옷을 보인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의속옷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보정속옷의 하의속옷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하의속옷을 보인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하의속옷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하의속옷의 무릎 부위를 보인 요부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보정속옷의 상의겉옷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상의겉옷을 보인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상의겉옷의 복부지지부와 등 견인부의 요부를 보인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보정속옷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신체 상부영역에 착의하도록 마련되는 상의속옷(10)과, 착용자의 신체 하부영역에 착의하도록 마련되는 하의속옷(20)과, 그리고 상의속옷의 외부에 착의하도록 마련되는 상의겉옷(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보정속옷은 상의속옷(10), 하의속옷(20) 및 상의겉옷(30) 한벌로 착의하되, 상의속옷(10)으로 착용자의 허리를 잡아준 상태에서 하의속옷(20)에 의해 골반의 틀어짐 현상을 교정 또는 예방하고, 상의겉옷(30)에 의해 움추린 어깨가 펴지도록 견인하여 척추를 올바른 자세로 교정 또는 예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의속옷(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신체 상부영역에 착의하도록 마련되며, 허리지지부(12)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서, 상의속옷(10)은 신체의 상부영역에 착의할 수 있도록 안감과 겉감에 의해 올인원 타입으로 형성된다. 즉, 상의속옷(10)은 안감과 겉감으로 이루어지고, 안감과 겉감 사이에는 허리지지부(12)가 형성된다. 이때, 안감과 겉감은 기능성 보정속옷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도록 일정한 신축성을 갖는 파워넷으로 형성된다.
허리지지부(12)는 착용자의 허리 부위를 감싸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허리지지부(12)는 상의속옷(10)의 착의시 허리 부위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의속옷(10)은 스판텍스와 폴리에스테르의 혼합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허리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일정한 신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의속옷은 신체의 상부영역에 착의시 허리지지부(12)에 의해 허리 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이다.
또한, 상의속옷(10)은 안감, 겉감 및 허리지지부로 구성되는 3중 구조에 의해 허리 부위를 지지함으로써 허리 부위에 대한 지지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하의속옷(20)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신체 하부영역에 착의하도록 마련되며, 골반지지부(22)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서, 하의속옷(20)은 신체의 하부영역에 착의할 수 있도록 안감과 겉감에 의해 레깅스 타입으로 형성된다. 즉, 하의속옷(20)은 안감과 겉감으로 이루어지고, 안감과 겉감 사이에는 골반지지부(22)가 형성된다. 이때, 안감과 겉감은 기능성 보정속옷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도록 일정한 신축성을 갖는 파워넷으로 형성된다.
골반지지부(22)는 착용자의 골반 및 무릎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즉, 골반지지부(22)는 하의속옷의 착의시 골반의 틀어짐 현상을 교정 또는 예방하거나 또는 무릎을 보호할 수 있도록 골반 및 무릎 부위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골반지지부(22)는 신체의 엉덩이 부위 및 허벅지 안쪽 부위를 제외한 골반 전체와 무릎 부위를 완전히 감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하의속옷(20)은 스판텍스와 폴리에스테르의 혼합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일정한 신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하의속옷(20)은 신체의 하부영역에 착의시 골반지지부(22)에 의해 골반 및 부릎 부위를 동시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골반의 틀어짐 현상을 교정 또는 예방할 수 있고, 무릎관절을 안정적으로 잡아주어 보호함으로써 무릎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이다.
또한, 하의속옷(20)은 안감, 겉감 및 골반지지부로 구성되는 3중 구조에 의해 골반 및 무릎 부위를 지지함으로써 허리 및 무릎 부위에 대한 지지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상의겉옷(3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의속옷(10)의 외부에 착의하도록 마련되며, 복부지지부(32)와, 그리고 등 견인부(34)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서, 상의겉옷(30)은 상의속옷(10)의 외부에 착의할 수 있도록 안감과 겉감에 의해 맨투맨셔츠 타입으로 형성된다. 즉, 상의겉옷(30)은 안감과 겉감으로 이루어지고, 안감과 겉감 사이에는 복부지지부(32)와, 등 견인부(34)가 형성된다. 이때, 안감과 겉감은 기능성 보정속옷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도록 일정한 신축성을 갖는 파워넷으로 형성된다.
복부지지부(32)는 복부 부위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의겉옷(30)의 전면 부위에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복부지지부(32)는 신체의 활동시 발생되는 열과 땀에 의해 수축 동작되어 복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등 견인부(34)는 착용자의 움추린 어깨를 펴줄 수 있도록 상의겉옷의 전면, 후면 및 측면에 형성된다. 즉, 등 견인부(34)는 상의겉옷(30)의 전면에 어깨선에서 가슴 윗쪽까지 형성되고 후면에는 어깨선에서 등 부위 전체에 형성되며 측면에는 어깨선에서 팔의 바깥쪽에 형성된다. 이러한 등 견인부(34)는 신체의 활동시 발생되는 열과 땀에 의해 수축 동작되어 움추린 어깨를 견인하여 펴줌으로써 척추를 올바른 자세로 교정 또는 예방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한 복부지지부(32)와 등 견인부(3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의 활동시 발생되는 열과 땀에 의해 수축 동작되도록 스판텍스(S)와 폴리에스테르(P)가 혼합되어 형성되되, 스판텍스(S)와 폴리에스테르(P)가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 반복적으로 배치되도록 편직된다. 즉, 스판텍스(S)는 신체의 활동시 발생되는 열과 땀에 의해 수축 동작되는 특성이 있고, 폴리에스테르(P)는 스판텍스의 과도한 수축을 방지하는 특성이 있다.
이에 따라, 복부지지부(32)와 등 견인부(34)는 스판텍스(S)와 폴리에스테르(P)가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 반복적으로 혼합 배치되도록 편직되는 구조에 의해, 신체의 활동시 발생되는 열과 땀에 의해 움추린 어깨를 견인하여 펴줌으로써 척추를 올바른 자세로 교정 또는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의겉옷(30)은 후면에 안감과 겉감으로 형성되고 어깨선에서 일정한 폭을 유지하여 겨드랑이 안쪽 및 전면의 가슴 부위까지 연장되는 팔 움직임 허용부(36)를 더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의겉옷(30)의 착의시 팔의 원활한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게 된다. 즉, 팔 움직임 허용부(36)는 안감과 겉감으로 형성됨에 따라 신체의 활동시 발생되는 열과 땀의 영향에 의한 수축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상의겉옷의 착의시 팔의 원활한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의겉옷(30)은 상의속옷(10)의 외부에 착의시 복부지지부(32)와 등 견인부(34)가 복부와 등에 밀착된 상태에서 신체의 활동시 발생되는 열과 땀에 의해 수축 동작됨으로써, 복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움추린 어깨가 바르게 펴질 수 있도록 견인하여 척추를 올바른 자세로 교정 또는 예방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이다.
또한, 상의겉옷(30)은 안감과 겉감 사이에 복부지지부(32) 및 등 견인부(34)가 배치되는 3중 구조에 의해 척추의 교정시 복부 및 등 부위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보정속옷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상의속옷(10), 하의속옷(20) 및 상의겉옷(30) 한벌을 신체의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에 착의하는 과정이 선행된다. 그러면, 상의속옷은 허리지지부(12)에 의해 신체의 허리 부위를 지지하게 되고, 하의속옷(20)은 골반지지부(22)에 의해 신체의 골반 및 무릎 부위를 지지하게 되며, 상의겉옷은 복부지지부와 등 견인부에 의해 복부 및 등 부위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각종 사회활동시 상의속옷(10)의 허리지지부(12)에 의해 신체의 허리 부위가 지지되고 하의속옷(20)의 골반지지부(22)에 의해 신체의 골반 부위가 지지됨으로써 골반의 틀어짐이 교정되거나 또는 골반의 틀어짐 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의속옷(10)과 하의속옷(20)은 일정한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면서도 허리지지부(12)와 골반지지부(22)에 의해 신체의 허리 및 골반 부위를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허리지지부(12)에 의해 신체의 허리를 견고하게 잡아준 상태에서 골반지지부(22)에 의해 골반의 틀어짐 현상을 교정하거나 또는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골반지지부(22)는 무릎 부위를 완전히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각종 사회활동시 무릎관절을 안정적으로 잡아주도록 보호함으로써 무릎 부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신체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열과 땀에 의해 상의겉옷(30)의 복부지지부(32)와 등 견인부(34)가 수축 동작되어 움추린 어깨가 바르게 펴지도록 견인됨으로써 척추가 올바른 자세로 개선되어 교정되거나 또는 척추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의겉옷(30)은 신체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열과 땀에 의해 복부지지부(32)가 수축되어 복부에 밀착되고, 이와 동시에 등 견인부(34)는 움추린 어깨가 바르게 펴지도록 등 부위를 척추 방향으로 견인하게 됨으로써 척추가 올바른 자세로 개선되어 교정되거나 또는 사회 활동에 따른 척추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의겉옷(30)은 팔 움직임 허용부(36)에 의해 팔의 원활한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게 된다. 즉, 팔 움직임 허용부(36)는 안감과 겉감으로만 형성됨에 따라 신체의 열과 땀의 영향에 의한 수축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상의겉옷(30)의 착의시 팔의 원활한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보정속옷은, 상의속옷(10), 하의속옷(20) 및 상의겉옷(30) 한벌로 착의하고, 상의속옷(10)의 허리지지부(12)에 의해 착용자의 허리를 잡아준 상태에서 하의속옷(20)의 골반지지부(22)에 의해 골반의 틀어짐 현상을 교정하고, 상의겉옷(20)의 복부지지부(32)에 의해 복부를 지지한 후 등 견인부(34)에 의해 움추린 어깨가 바르게 펴지도록 견인함으로써 척추를 올바른 자세로 교정하거나 또는 착용자의 사회 활동에 따른 척추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상의속옷
12: 허리지지부
20: 하의속옷
22: 골반지지부
30: 상의겉옷
32: 복부지지부
34: 등 견인부
36: 팔 움직임 허용부

Claims (7)

  1. 일정한 신축성을 갖는 안감과 겉감 사이에 허리지지부가 배치되는 3중 구조로 형성되어 신체의 상부영역에 착의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허리지지부는 착용자의 골반 및 허리 부위를 감싸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안감과 겉감의 신축성에 의해 허리 부위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상의속옷;
    일정한 신축성을 갖는 안감과 겉감 사이에 골반 부위를 지지할 수 있도록 골반지지부가 배치되는 3중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골반지지부는 안감과 겉감의 신축성에 의해 골반을 교정할 수 있도록 신체의 엉덩이 부위 및 허벅지 안쪽 부위를 제외한 골반 전체와 무릎 부위를 완전히 감싸도록 형성되며, 신체의 하부영역에 착의하도록 마련되는 하의속옷; 및
    일정한 신축성을 갖는 안감과 겉감 사이에 복부 부위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복부지지부 및 움추린 어깨를 펴줄 수 있도록 등 견인부가 배치되는 3중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상의속옷의 외부에 착의하도록 마련되는 상의겉옷;을 포함하고, 상기 복부지지부는 신체의 활동시 발생되는 열과 땀에 의해 수축 동작되어 복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상의겉옷의 전면 부위에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등 견인부는 신체의 활동시 발생되는 열과 땀에 의해 수축 동작되어 움추린 어깨를 견인하여 펴줄 수 있도록 상기 상의겉옷의 전면, 후면 및 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상의겉옷의 전면에는 어깨선에서 가슴 윗쪽까지 형성되고 후면에는 어깨선에서 등 부위 전체에 형성되며 측면에는 어깨선에서 팔의 바깥쪽에 형성되며, 상기 복부지지부와 등 견인부는 신체의 활동시 발생되는 열과 땀에 의해 수축 동작되도록 스판텍스와 폴리에스테르가 혼합되어 형성되되, 상기 스판텍스와 폴리에스테르가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편직되도록 마련되는 상의겉옷;을 포함하며,
    상기 상의속옷의 허리지지부에 의해 착용자의 허리를 잡아준 상태에서 상기 하의속옷의 골반지지부에 의해 골반의 틀어짐 현상을 교정하고, 상기 상의겉옷의 복부지지부에 의해 복부를 지지한 후 등 견인부에 의해 움추린 어깨를 견인하여 척추를 올바른 자세로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보정속옷.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의겉옷은,
    착의시 팔의 원활한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도록 후면에 암감과 겉감으로 형성되고 어깨선에서 일정한 폭을 유지하여 겨드랑이 안쪽 및 전면의 가슴 부위까지 연장되는 팔 움직임 허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보정속옷.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지지부와 골반지지부는 일정한 신축성을 갖도록 스판텍스와 폴리에스테르의 혼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보정속옷.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의속옷은 올인원 타입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의속옷은 레깅스 타입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의겉옷은 맨투맨셔츠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보정속옷.
KR1020200004609A 2020-01-14 2020-01-14 기능성 보정속옷 KR102393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609A KR102393583B1 (ko) 2020-01-14 2020-01-14 기능성 보정속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609A KR102393583B1 (ko) 2020-01-14 2020-01-14 기능성 보정속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441A KR20210091441A (ko) 2021-07-22
KR102393583B1 true KR102393583B1 (ko) 2022-05-02

Family

ID=77158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609A KR102393583B1 (ko) 2020-01-14 2020-01-14 기능성 보정속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5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739Y1 (ko) 2013-08-23 2014-03-13 오희택 기능성 올인원
KR101967215B1 (ko) 2017-11-03 2019-04-09 한국기계연구원 근력 증강용 의복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77735B1 (ko) 2017-12-07 2019-05-13 오경순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452U (ko) * 2010-04-30 2011-11-07 전길진 체형을 교정하는 의복
KR20120139912A (ko) * 2011-06-20 2012-12-28 유하무역 주식회사 체형 보정 의류
KR101390343B1 (ko) 2012-02-29 2014-04-30 김성춘 기능성속옷
KR101825403B1 (ko) 2016-08-17 2018-02-08 오경순 기능성 보정속옷
KR200487233Y1 (ko) * 2016-12-29 2018-08-27 오윤경 기능성 레깅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739Y1 (ko) 2013-08-23 2014-03-13 오희택 기능성 올인원
KR101967215B1 (ko) 2017-11-03 2019-04-09 한국기계연구원 근력 증강용 의복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77735B1 (ko) 2017-12-07 2019-05-13 오경순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441A (ko)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6614B2 (en) Shirt having form-fitting mid-section support
US5582583A (en) Dynamic postural stability splint
US10426649B2 (en) Posture improvement shapewear garment and systems
US20180318142A1 (en) Lower body support and compression garment
US20210228394A1 (en) Wearable Tension Apparatus
KR20120042859A (ko) 가랑이가 있는 의류
JP4861073B2 (ja) 痩身衣類
JP2008002035A (ja) インナー
JP2012052276A (ja) インナーウェア
JP4660630B1 (ja) 姿勢改善の効果が期待できるウエア
JP2004107844A (ja) 股付き矯正衣類
KR102393583B1 (ko) 기능성 보정속옷
JP2012180627A (ja) 背中の筋肉をサポートする衣類
JP3008616U (ja) ヒップアップ用矯正スラックス
JP2004300619A (ja) 股付き衣類
KR20140056596A (ko) 체형 보정 기능을 가지는 의류
JP2013049939A (ja) 女性用姿勢矯正下着
GB2510212A (en) Maternity support garment
CN111163658A (zh) 姿势恢复服装装置系统
JP7204158B1 (ja) ウエスト補正機能付き衣類
JP3239115U (ja) 下衣及び衣服
KR102631511B1 (ko) 자세교정용 의류
JP2019030394A (ja) 衣類
JP4917966B2 (ja) 骨盤サポート下着
JP2008303518A (ja) 臀部のふた山を作って、強力に補正しても苦しくないガード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