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735B1 -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 - Google Patents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735B1
KR101977735B1 KR1020170167589A KR20170167589A KR101977735B1 KR 101977735 B1 KR101977735 B1 KR 101977735B1 KR 1020170167589 A KR1020170167589 A KR 1020170167589A KR 20170167589 A KR20170167589 A KR 20170167589A KR 101977735 B1 KR101977735 B1 KR 101977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buttocks
region
ope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경순
Original Assignee
오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경순 filed Critical 오경순
Priority to KR1020170167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7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6Corsets or girdles with brassi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04Undergarments characterized by the crotch
    • A41B9/005Undergarments characterized by the crotch with crotch lin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8Combined und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2Elast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은 올인원과 하의인 거들 또는 레깅스가 일체화되며, 올인원의 후면원단 하단영역에는, 착용자 둔부의 상부영역은 감싸고 둔부의 하부영역은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의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후면원단의 하단영역을 감싸 상기 둔부 전체를 커버하거나 상기 둔부의 하부영역을 개방하여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원단이 마련되되, 상기 개방원단은, 하부가 상기 하의와 일체화되고 양쪽 변 가장자리가 상기 둔부의 양쪽 측부영역에서 또는 한쪽 변 가장자리가 상기 둔부의 한쪽 측부영역에서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후면원단 및 전면원단의 결합부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용변시에는 상기 개방원단을 상기 결합부위에서 분리한 후 상기 둔부의 하부영역을 개방하여 노출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올인원과 거들 또는 올인원과 레깅스가 일체화된 보정속옷의 후면부 중에서 착용자의 둔부를 감싸는 영역에 둔부의 하부영역을 개방하여 노출시킬 수 있는 개방부를 형성함으로써 보정속옷을 착용한 상태에서 용변시 보정속옷의 상의(올인원)를 탈의하지 않고 용이하게 용변을 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CORRECTION UNDERWEAR HAVING REAR OPENING}
본 발명은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의와 하의가 일체화된 보정속옷의 후면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정속옷을 입은 상태에서 용변이 가능하도록 한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속옷은 신체 주요 부위를 가리고 보호 및 보온해주기 위한 목적으로 착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근래에는 다양한 옷감과 무늬를 이용하여 보다 세련되게 디자인함으로써 미관과 기능성 개선에 중점을 둔 속옷들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이 외관을 중시하는 경향을 넘어서, 속옷에 체형보정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착용감을 좋게 하는 동시에 겉옷을 입었을 때 옷맵시가 아름답게 표현되도록 하고자, 소위 파운데이션(Foundation)으로 불리는 거들, 웨이스트니퍼, 올인원(바디슈트) 등의 기능성 속옷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올인원 타입의 여성용 보정속옷은 신축성이 있는 스판덱스(spandex) 재질과 일반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으로 구성되고, 내의 전체가 신체에 밀착되어 압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착용시 여성의 실루엣(곡선미)을 잘 표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점이 있는 체형을 보정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보정속옷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8089호(공고일 : 2015.08.26)와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3718호(공고일 : 2014.07.25)에는 보정속옷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올인원 타입의 보정속옷은 단지 스판덱스(spandex) 재질로만 구성되어 내의 전체가 착용자의 가슴부위, 복부부위, 엉덩이부위에 밀착되어 압박하여 체형을 보정 해주는 기능만을 수행할 뿐 착용자의 활동성을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보정속옷을 착용하고 골프나 기타 운동을 할 경우에 원활한 활동이 곤란한 문제점 있었다.
예를 들면, 즉, 착용자가 허리를 굽혔을 때, 등 원단부가 팬티부를 당김으로써 착용자에게 불괘감을 주거나 활동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종래기술에 의한 보정속옷은, 하의와 상의가 일체화되어 있었기 때문에 용변을 봐야 하는 경우에는 겉옷과 상의 또는 올인원의 상부를 탈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8089호(공고일 : 2015.08.26) .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3718호(공고일 : 2014.07.25)
본 발명의 목적은, 보정속옷의 후면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하여 보정속옷을 입은 상태에서 용변이 가능하도록 한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정속옷을 착용한 착용자가 허리를 굽히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활동성이 강화된 기능성 보정속옷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올인원과 하의인 거들 또는 레깅스가 일체화되며, 상기 올인원의 후면원단 하단영역에는, 착용자 둔부의 상부영역은 감싸고 둔부의 하부영역은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의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후면원단의 하단영역을 감싸 상기 둔부 전체를 커버하거나 상기 둔부의 하부영역을 개방하여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원단이 마련되되, 상기 개방원단은, 하부가 상기 하의와 일체화되고 양쪽 변 가장자리가 상기 둔부의 양쪽 측부영역에서 또는 한쪽 변 가장자리가 상기 둔부의 한쪽 측부영역에서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후면원단 및 전면원단의 결합부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용변시에는 상기 개방원단을 상기 결합부위에서 분리한 후 상기 둔부의 하부영역을 개방하여 노출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둔부의 상부영역과 양쪽 측부영역을 감싸 커버하고, 상기 둔부의 하부영역은 노출되도록 원호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
상기 결합수단은, 지퍼, 후크, 단추 또는 벨크로 테잎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구부의 양쪽 끝단은, 착용자의 둔부와 허벅지의 경계영역에 해당하는 양쪽 상기 결합부위에 위치하고, 상기 둔부의 하부영역 노출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개방원단의 양쪽 변 가장자리의 하단부 또는 한쪽 변 가장자리의 하단부가 상기 개구부의 끝단이 위치한 상기 결합부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개방원단의 양쪽 변 상단 또는 한쪽 변 상단은,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결합부위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하단영역과 상기 둔부 전체를 감싸도록 착용자의 골반 측면의 상부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개방원단의 상단부에는,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결합부위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둔부를 탄력적으로 감싸도록 탄성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올인원과 하의인 거들 또는 레깅스가 일체화되며, 착용자 둔부와 허벅지의 경계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둔부를 감싸는 상기 올인원의 후면원단 하부와 하의가 구분되도록 절개되어, 상기 후면원단의 양쪽 변 가장자리가 상기 둔부의 양쪽 측부영역에서 또는 한쪽 변 가장자리가 상기 둔부의 한쪽 측부영역에서 지퍼, 후크, 단추 또는 벨크로 테잎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올인원의 전면원단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용변시에는 상기 후면원단의 하부를 상기 전면원단에서 분리한 후 상향으로 들어올려 상기 둔부의 하부영역을 개방하여 노출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올인원과 하의인 거들 또는 레깅스가 일체화되며, 착용자의 둔부에 해당하는 상기 올인원의 후면원단과 하의의 경계영역에, 상기 둔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절개부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경사진 직선 또는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지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결합되며, 용변시에는 상기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절개부를 개방하여 상기 둔부의 하부영역을 노출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올인원과 하의인 거들 또는 레깅스가 일체화되며, 착용자의 둔부에 해당하는 상기 올인원의 후면원단과 하의의 경계영역에, 상기 둔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절개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절개부의 양끝단이 착용자의 둔부와 허벅지의 경계지점에 해당하는 상기 둔부의 양쪽 측부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절개부는, 지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결합되며, 용변시에는 상기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절개부를 개방하여 상기 둔부의 하부영역을 노출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올인원을 이루는 전면원단과 후면원단은, 착용자의 둔부와 아랫배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이중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올인원과 거들 또는 올인원과 레깅스를 일체화시키고, 일체화된 보정속옷의 후면부 중에서 착용자의 둔부를 감싸는 영역에 둔부의 하부영역을 개방하여 노출시킬 수 있는 개방부를 형성함으로써 보정속옷을 착용한 상태에서 용변시 보정속옷의 상의(올인원)를 탈의하지 않고 용이하게 용변을 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된 개방원단의 양쪽 변 가장자리에 지퍼가 구비되어 둔부의 양 측면에서 전면원단 및 후면원단과 결합됨으로써, 지퍼를 이용하여 개방원단으로 둔부의 하부영역을 개폐하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올인원과 거들 또는 올인원과 레깅스가 일체화됨으로써, 올인원과 거들을 각각 착용하거나, 올인원과 레깅스를 각각 착용시 번거러움과 투박함이 발생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몸매 보정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올인원의 후면원단과 하의가 분리되어 구분됨으로써, 착용자가 허리를 굽히더라도 하의가 딸려 올라가면서 하체를 압박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을 도시한 도면대용 사진으로, 개방원단이 둔부의 하부영역을 개방하여 노출시킨 상태를 표현한 사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을 도시한 도면대용 사진으로, 개방원단이 둔부 전체영역을 커버한 상태를 표현한 사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을 도시한 도면대용 사진으로, 개방된 상태의 보정속옷을 확대하여 표현한 도면대용 사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의 측부를 확대하여 표현한 도면대용 일부확대 사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의 하의 전면을 표현한 도면대용 일부확대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을 도시한 개략적 일부확대 배면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을 도시한 도면대용 배면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을 도시한 개략적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을 도시한 개략적 배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을 도시한 개략적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을 도시한 도면대용 사진으로, 개방원단이 둔부의 하부영역을 개방하여 노출시킨 상태를 표현한 사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을 도시한 도면대용 사진으로, 개방원단이 둔부 전체영역을 커버한 상태를 표현한 사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을 도시한 도면대용 사진으로, 개방된 상태의 보정속옷을 확대하여 표현한 도면대용 사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의 측면을 확대하여 표현한 도면대용 일부확대 사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의 하의 전면을 표현한 도면대용 일부확대 사진이다.
이하에서, 둔부(100)의 하부영역(120)은 둔부(100) 전체를 수평방향으로 3등분했을 때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영역을 의미하거나, 둔부(100)의 중간부분에서 둔부(100)와 허벅지의 경계영역(210)까지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10)은, 올인원(20)과 하의(30)인 거들 또는 레깅스가 일체화된 구조를 갖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둔부(100)를 감싸는 영역에 둔부(100)의 하부영역(110)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개방원단(40)이 하의(30)와 일체화되어 구비됨으로써 올일원(20)을 착용한 상태에서 용변이 가능하게 된 것으로, 올인원(20)의 후면원단(22) 하단영역(22A)에는, 착용자 둔부(100)의 상부영역(110)은 감싸고 둔부(100)의 하부영역(120)은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22B)가 형성된다.
개구부(22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둔부(100)의 상부영역(110)과 양쪽 측부영역(130)을 감싸 커버하고, 둔부(100)의 하부영역(120)은 노출되도록 원호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개구부(22B)가 원호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후면원단(22)의 하단영역(22A)이 둔부(100)의 상부영역(110)은 감싼 상태를 유지하고 하부영역(120)은 개방하게 된다. 이때, 개구부(22B)를 일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개방원단(40)이 개구부(22B)를 개방하더라도 하단영역(22A)의 단부가 둔부(100)의 하부영역(120) 일부까지 커버하게 되어 하부영역(120)이 개방되지 않은 느낌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개구부(22B)는 둔부(100) 하부영역(120)의 개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원호형으로 형성한다. 즉, 개구부(22B)를 원호형으로 형성하여 하단영역(22A)이 둔부(100)의 중앙과 하부영역(120)만을 개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올인원(20)을 이루는 후면원단(22)과 전면원단(24)은, 착용자의 둔부(100)와 아랫배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이중원단으로 구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원단(22)과 전면원단(24)은 내부원단(IN)과 외부원단(OUT)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후면원단(22)과 전면원단(24)이 내부원단(IN)과 외부원단(OUT)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보정속옷(10)을 착용했을 때 후면원단(22)과 전면원단(24)이 착용자의 둔부(100)의 아랫배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몸매를 매끄럽게 하면서 체형을 곧게 교정하게 되는 것이다.
거들 또는 레깅스로 이루어지는 하의(30)에는, 선택적으로 후면원단(22)의 하단영역(22A)을 감싸면서 둔부(100) 전체를 커버하거나 둔부(100)의 하부영역(120)을 개방하여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원단(40)이 마련된다.
개방원단(4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하의(3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일체화되도록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방원단(40)이 하의(30)의 상부 쪽(둔부를 커버하도록)에 일체화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개방원단(40)은, 양쪽 변 가장자리(42)가 둔부(100)의 양쪽 측부영역(130)에서 결합수단(50)에 의해 후면원단(22) 및 전면원단(24)의 결합부위(2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수단(50)은 지퍼, 단추, 후크 또는 벨크로 테잎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지퍼로 구성한다. 이는 개방원단(40)의 개폐작동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개구부(22B)의 양쪽 끝단은,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둔부(100)와 허벅지(200)의 경계영역(210)에 해당하는 양쪽 결합부위(23)하부(23A)에 위치하고, 둔부(100)의 하부영역(120) 노출이 이루어지도록 개방원단(40)의 양쪽 변 가장자리(42)의 하단부가 개구부(22B)의 끝단이 위치한 결합부위(23) 하부(23A)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개구부(22B)의 끝단과 개방원단(40)의 양쪽 변 가장자리(42)의 하단부가 둔부(100)와 허벅지(200)의 경계영역(210)에 해당하는 양쪽 결합부위(23)하부(23A)에 결합되므로, 결합수단(50)인 지퍼를 이용하여 개방원단(40)을 하향으로 개방하였을 때 개방원단(40)이 둔부(100)의 하부영역(120)을 충분히 개방하여 노출시킬 수 있게 되고, 특히 지퍼를 상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개방원단(40)의 양쪽 변 상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수단(50)인 지퍼에 의해 결합부위(23) 상부 쪽에 결합되었을 때 후면원단(22)의 하단영역(22A)과 둔부(100) 전체를 감싸도록 착용자의 골반 측면의 양쪽 상부영역(150)에 각각 위치한다. 이는 개방원단(40)이 결합수단(50)인 지퍼에 의해 결합부위(23)에 결합되었을 때 둔부(100)의 하부영역(120)은 물론 둔부(100)의 상부영역(110)을 감싸고 있는 후면원단(22)의 일부를 추가적으로 감싸면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개방원단(40)이 착용자의 둔부(100) 전체를 커버하면서 탄력적으로 감싸 지지하기 위해서는 개방원단(40)은 자체 신축성을 갖는다.
그리고, 개방원단(40)의 상단부에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수단(50)에 의해 결합부위(23)에 결합되었을 때 둔부(100)를 탄력적으로 감싸도록 탄성밴드(46)가 구비된다. 이 탄성밴드(46)가 구비됨으로써, 개방원단(40)의 양쪽에 구비된 결합수단(50)으로서 지퍼를 올려 양쪽 변 가장자리(42)를 결합부위(23)에 결합하면, 탄성밴드(46)가 허리와 둔부(100)의 경계영역을 탄력적으로 압박하게 되므로 착용자는 안정감을 얻게 될 뿐만 아니라 개방원단(40) 전체가 둔부(100) 전체를 탄력적으로 감싸도록 하게 되므로 둔부(100)의 체형을 균형있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탄성밴드(46)가 전면원단(24)를 당기게 되므로 전면원단(24)이 착용자의 아랫배를 압박하여 균형있는 몸매를 형성하게 한다. 특히, 이중으로 된 후면원단(22)과 전면원단(24)이 개방원단(40) 및 탄성밴드(46)와 더불어 착용자의 둔부(100)의 아랫배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므로 착용자의 몸매를 매끄럽게 하면서 체형을 곧게 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10)의 작용을 설명한다.
올인원(20)의 후면원단(22) 하단영역(22A)에 착용자의 둔부(100)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22B)가 형성되고, 올인원(20)과 일체화된 하의(30)의 후면 상부에 착용자의 둔부(100) 전체를 커버하거나 개방하기 위한 개방원단(40)이 구비된 보정속옷(10)을 착용자가 착용한다. 이때 개방원단(40)의 양쪽 변 가장자리(42)는 결합수단(50)인 지퍼에 의해 각각 결합부위(23)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하단영역(22A)의 외측에서 둔부(100)를 전체적으로 감싼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개방원단(40)이 결합수단(50)에 의해 결합부위(23)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후면원단(22)의 하단영역(22A)과 개방원단(40)은 착용자의 둔부(1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고, 전면원단(24)은 착용자의 아랫배를 탄력 지지하게 되며, 하의(30)는 허벅지 등 다리를 탄력 지지하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체형 교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과정으로 보정속옷(10)을 착용한 착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서 개방원단(40)의 양쪽 변 가장자리(42) 상단에 위치한 결합수단(50)인 지퍼의 슬라이더를 하향으로 각각 이동시키게 되면, 개방원단(40)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으로 열리면서 둔부(100)를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둔부(100) 하부영역(120)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둔부(100)의 상부영역(110)의 양 측면 일부는 후면원단(22)의 하단영역(22A)이 커버하고 있으므로 노출되지 않고, 개구부(22B)에 의해 둔부(100)의 하부영역(120)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수단(50)을 이용하여 개방원단(40)으로 개구부(22B)를 개방함으로써 착용자의 둔부(100) 하부영역(120)이 개방될 수 있고, 따라서 용변을 용이하게 볼 수 있다.
이어서, 용변이 완료된 후에 착용자는 둔부(100)의 양쪽 측면에 위치하는 결합부위(23)에 구비된 결합수단(50)으로서의 각 지퍼를 올려 다시 개방원단(40)으로 둔부(100) 전체를 커버한다.
개방원단(40)이 결합수단(50)에 의해 결합부위(23)에 결합되어 일체화되므로 개방원단(40)과 후면원단(22) 및 전면원단(24)은 착용자의 둔부(100)아 아랫배 및 허벅지 등을 탄력적으로 감싸 착용자의 몸매를 보정하게 된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아랫배에 해당하는 전면원단(24)과 하의(30)의 전면에 아랫배와 허벅지를 탄력적으로 감싸기 위한 탄력지지원단(24A,34)이 추가로 구비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보정속옷(10)을 착용하였을 때 탄력지지원단(24A,34)이 아랫배와 허벅지를 탄력적으로 감싸게 된다. 따라서 운동시 아랫배나 허벅지가 유동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매끈한 체형으로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을 도시한 개략적 일부확대 배면 사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정속옷(10)은, 개방원단(40)의 어느 한 쪽 변 가장자리(42)에만 결합수단(50)이 마련되어 개구부(22B)의 한쪽을 개방하도록 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을 도시한 도면대용 배면 사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보정속옷(10)은, 하의(30)가 레깅스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이와 같이 레깅스로 이루어진 하의(30)와 올인원(20)이 일체화되고, 둔부(100)에 해당하는 곳에 개구부(22B)와 개방원단(40)이 구비됨으로써, 레깅스와 올인원(20)이 일체화된 보정속옷(10)을 입은 상태에서도 올인원(20)을 탈의하지 않은 상태로 개방원단(40)을 개방하여 용변을 볼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을 도시한 개략적 배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에 따른 보정속옷(10)은, 착용자 둔부(100)와 허벅지의 경계영역(210)을 기준으로, 둔부(100)를 감싸는 올인원(20)의 후면원단(22) 하부와 하의(30)가 구분되도록 절개되어, 후면원단(22)의 양쪽 변 가장자리(27)가 둔부(100)의 양쪽 측부영역에서 지퍼, 후크, 단추 또는 벨크로 테잎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50)에 의해 올인원(20)의 전면원단(24)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즉, 둔부(100)의 경계영역(210)에 위치하는 후면원단(22)과 하의(30)가 절개되어 후면원단(22)의 하단부(22C)와 하의(30)의 상단부(31)로 구비되고, 둔부(100)의 양쪽 측면에 위치하는 후면원단(22)이 허리쪽 방향으로 절개되어 양쪽 변 가장자리(27)가 형성되며, 각 가장자리(27)가 지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50)에 의해 전면원단(24)과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착용자의 둔부(100)에 해당하는 후면원단(22)과 하의(30)가 절개되어 결합수단(50)에 의해 선택적으로 둔부(100)의 하부영역(120)을 개방하여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보정속옷(10)을 착용한 상태로 용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을 도시한 개략적 배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보정속옷(10)은, 착용자의 둔부(100)에 해당하는 올인원(20)의 후면원단(22)과 하의(30)의 경계영역에, 둔부(100)를 노출시키기 위한 절개부(35)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경사진 직선 또는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절개부(35)는, 지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5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이와 같이 통패턴, 즉 올인원(20)과 거들 또는 레깅스로 이루어진 하의(30)가 일체화된 구조에서 절개부(35)를 형성하여 지퍼로 결합시킴으로써, 올인원(20)을 탈의하지 않고도 용변시 둔부(100)를 쉽게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을 도시한 개략적 배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에 따른 보정속옷(10)은, 착용자의 둔부(100)에 해당하는 올인원(20)의 후면원단(22)과 하의(30)의 경계영역에, 둔부(100)를 노출시키기 위한 절개부(35)가 원호형으로 형성되되, 절개부(35)의 양끝단이 착용자의 둔부(100)와 허벅지(200)의 경계영역(210)에 해당하는 둔부(100)의 양쪽 측부영역(160)에 각각 위치하고, 절개부(35)는, 지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5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때, 지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50)은 슬라이더를 좌측 또는 우측 이동시켜 절개부(35)를 개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올인원(20)의 후면원단(22)과 하의(30)의 경계영역에, 둔부(100)를 노출시키기 위한 절개부(35)가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절개부(35)가 지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50)에 의해 개폐됨으로써, 용변시 착용자가 용이하게 절개부(35)를 개방하여 둔부(100)를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올인원(20)과 거들 또는 레깅스로 이루어진 하의(30)가 일체화되고, 착용자의 둔부(100)에 해당하는 영역에 둔부(10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이 마련됨으로써, 착용자는 보정속옷(10)을 착용한 상태에서 올인원(20)을 탈의하지 않고 둔부(100)만을 노출시켜 용변을 볼 수 있다.
또한, 지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50)이 둔부(100)의 양 측면에 해당하는 결합부위(23)에 위치하게 되므로 지퍼의 조작, 즉 슬라이더의 이동이 간섭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보정속옷 20 : 올인원
22 : 후면원단 22A : 하단영역
22B : 개구부 23 : 결합부위
24 : 하의 30 : 하의
40 : 개방원단 50 : 결합수단

Claims (10)

  1. 삭제
  2. 착용자의 둔부와 아랫배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이중원단으로 구성된 후면원단과 전면원단으로 이루어진 올인원과 하의인 거들 또는 레깅스가 일체화되고, 상기 전면원단과 상기 하의의 전면에, 착용자의 아랫배와 허벅지를 탄력적으로 감싸기 위한 탄력지지원단이 구비되며,
    상기 올인원의 후면원단 하단영역에는, 착용자 둔부의 상부영역과 양쪽 측부영역은 감싸 커버하고 상기 둔부의 하부영역은 노출시키기 위한 원호형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의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후면원단의 하단영역을 감싸 상기 둔부 전체를 커버하거나 상기 둔부의 하부영역을 개방하여 노출시키기 위한 자체 신축성을 갖는 개방원단이 마련되되, 상기 개방원단은, 하부가 상기 하의와 일체화되고 양쪽 변 가장자리가 상기 둔부의 양쪽 측부영역에서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후면원단 및 전면원단의 결합부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개구부의 양쪽 끝단은,
    착용자의 둔부와 허벅지의 경계영역에 해당하는 양쪽 상기 결합부위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둔부의 하부영역 노출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개방원단의 양쪽 변 가장자리의 하단부가 상기 개구부의 끝단이 위치한 상기 결합부위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개방원단의 양쪽 변 상단은,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결합부위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후면원단의 하단영역과 상기 둔부 전체를 감싸도록 착용자의 골반 측면의 상부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개방원단의 상단부에는,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결합부위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둔부를 탄력적으로 감싸도록 탄성밴드가 구비되며,
    용변시에는 상기 개방원단을 상기 결합부위에서 분리한 후 상기 둔부의 하부영역을 개방하여 노출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지퍼, 후크, 단추 또는 벨크로 테잎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167589A 2017-12-07 2017-12-07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 KR101977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589A KR101977735B1 (ko) 2017-12-07 2017-12-07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589A KR101977735B1 (ko) 2017-12-07 2017-12-07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307A Division KR20190067736A (ko) 2018-12-20 2018-12-20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735B1 true KR101977735B1 (ko) 2019-05-13

Family

ID=66582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589A KR101977735B1 (ko) 2017-12-07 2017-12-07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7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441A (ko) * 2020-01-14 2021-07-22 정희남 기능성 보정속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6581A (en) * 1996-08-19 1999-04-27 Wong; Lavinia C. Unitary clothing with an improved drop-seat
JP3059887U (ja) * 1998-12-15 1999-07-13 株式会社チャイルド ファンデーション下着
KR200438968Y1 (ko) * 2007-11-15 2008-03-12 박남규 활동이 용이한 상하 일체형 작업복
KR200473718Y1 (ko) 2012-12-24 2014-07-25 박정민 보정 속옷
KR200478089Y1 (ko) 2011-04-08 2015-08-26 박정민 보정속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6581A (en) * 1996-08-19 1999-04-27 Wong; Lavinia C. Unitary clothing with an improved drop-seat
JP3059887U (ja) * 1998-12-15 1999-07-13 株式会社チャイルド ファンデーション下着
KR200438968Y1 (ko) * 2007-11-15 2008-03-12 박남규 활동이 용이한 상하 일체형 작업복
KR200478089Y1 (ko) 2011-04-08 2015-08-26 박정민 보정속옷
KR200473718Y1 (ko) 2012-12-24 2014-07-25 박정민 보정 속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441A (ko) * 2020-01-14 2021-07-22 정희남 기능성 보정속옷
KR102393583B1 (ko) 2020-01-14 2022-05-02 정희남 기능성 보정속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3023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tension in garments and method of use
US20140310854A1 (en) Body Sculpting Garment
KR100759946B1 (ko) 체형보정 기능을 갖는 바지
KR100607606B1 (ko) 남성용 팬티 겸용 거들
KR200430682Y1 (ko) 기능성 팬티
KR101825403B1 (ko) 기능성 보정속옷
KR101977735B1 (ko)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
KR100923504B1 (ko) 올인원
KR200422138Y1 (ko) 가슴 보강 패드가 구비된 남성용 상의
KR200486661Y1 (ko)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여성용 팬티
US7685652B2 (en) Garment
KR200409298Y1 (ko) 후면시트의 상하 분리형 올인원
KR20190067736A (ko) 후면 개방부를 갖는 보정속옷
KR101250465B1 (ko) 올인원
KR101030932B1 (ko) 노출 방지용 의복
JP3210833U (ja) 男性下半身用下着、及び男性下半身用衣服
KR101027396B1 (ko) 올인원
JP2004156193A5 (ko)
JPH08127903A (ja) ガードル
KR200430652Y1 (ko) 체형보정 기능을 갖는 바지
CN214229860U (zh) 一种女性无痕内裤
KR20120040558A (ko) 올인원
JP2559026Y2 (ja) 衣 類
KR20240005322A (ko) 레깅스 올인원
KR20210155198A (ko) 신축밴드를 이용한 노출 방지가 효과적인 의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