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572B1 - 케이블드럼용 위치추적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드럼용 위치추적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572B1
KR102393572B1 KR1020180008032A KR20180008032A KR102393572B1 KR 102393572 B1 KR102393572 B1 KR 102393572B1 KR 1020180008032 A KR1020180008032 A KR 1020180008032A KR 20180008032 A KR20180008032 A KR 20180008032A KR 102393572 B1 KR102393572 B1 KR 102393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battery
gps
communication modul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9484A (ko
Inventor
권영수
임현채
이경준
이수홍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8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572B1/ko
Publication of KR20190089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34Power consump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드럼용 위치추적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 상기 GPS 신호 및 상기 위치추적장치의 식별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모듈;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충격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충격 센서;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GPS 수신기 및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에 공급되는 것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충격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GPS 수신기 및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에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드럼용 위치추적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Location tracking device for cable dru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대상물의 위치를 추적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드럼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치추적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용 또는 통신용 케이블 등은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 뿐만 아니라 중량이 많이 나가기 때문에 인력으로 운반하거나 사용하기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단면이 "H" 형상인 케이블드럼에 권취하여 보관하고 지게차를 이용하여 운반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사용 시에는 케이블드럼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케이블드럼으로부터 케이블을 풀면서 사용하게 된다.
한편 전력용 또는 통신용 케이블 등은 종류와 규격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다수의 케이블(즉, 케이블드럼)을 보관하는 제조현장, 물류창고, 공사현장 등에서는 케이블드럼에 해당 케이블의 종류와 규격 등을 기록한 종이(또는 스티커) 태그를 부착하여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작업자가 필요한 특정 케이블을 찾기 위해서는 케이블드럼마다 부착된 태그를 일일이 조회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등 케이블의 위치와 제품정보 등을 제대로 관리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케이블드럼에 GPS를 이용한 위치추적장치를 장착하여 수신되는 GPS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면 해당 케이블드럼의 위치 및 제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리란 점에 본 발명을 착안하였다.
그런데 케이블드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수신되는 GPS 신호를 지속적, 주기적으로 전송하여야 하므로 배터리 소모 때문에 장시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드럼용 위치추적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드럼용 위치추적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 상기 GPS 신호 및 상기 위치추적장치의 식별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모듈;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충격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충격 센서;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GPS 수신기 및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에 공급되는 것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충격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GPS 수신기 및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에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 센서에서 가장 최근에 충격감지신호가 발생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GPS 수신기 및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GPS 수신기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적어도 1회 이상 주기적으로 상기 GPS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적어도 1회 이상 주기적으로 상기 GPS 신호 및 상기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GPS 신호 및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할 중계기 또는 서버와의 통신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GPS 수신기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GPS 신호의 양호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은 상기 중계기 또는 서버와 통신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고 GPS 신호가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GPS 신호 및 상기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드럼용 위치추적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드럼용 위치추적장치는 배터리, GPS 수신기, 근거리 통신모듈 및 충격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충격 센서가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을 감지하면 충격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GPS 수신기 및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에 공급되는 것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충격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GPS 수신기 및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에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GPS 수신기가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이 상기 수신된 GPS 신호 및 상기 위치추적장치의 식별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충격 센서에서 가장 최근에 충격감지신호가 발생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GPS 수신기 및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적어도 1회 이상 주기적으로 상기 GPS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적어도 1회 이상 주기적으로 상기 GPS 신호 및 상기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GPS 수신기 및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에 공급되면, GPS 신호 및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할 중계기 또는 서버와의 통신 가능 여부 및 GPS 신호의 양호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기 또는 서버와 통신 가능하고 GPS 신호가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수신된 GPS 신호 및 상기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 의하면, 대기 상태에서는 GPS 수신모듈 및 근거리 통신모듈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다가, 지게차에 의한 적재, 운반 및 하역 등으로 인해 충격 센서에 의해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GPS 수신모듈 및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에 공급하고, 그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GPS 수신모듈 및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다시 대기 상태로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드럼용 위치추적장치가 케이블드럼에 장착된 모습의 예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드럼용 위치추적장치 및 위치추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드럼용 위치추적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드럼용 위치추적장치가 케이블드럼에 장착된 모습의 예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케이블드럼용 위치추적장치(100)는 케이블드럼의 플랜지(F)에 마련된 구멍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멍은 위치추적장치(100)를 장착하기 위해 플랜지(F)의 적당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케이블드럼의 플랜지(F)에 원래부터 마련되어 있는 키구멍(케이블 권취를 위해 케이블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키가 삽입되는 구멍)이 위치추적장치(100)를 삽입 고정하기 위한 구멍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치추적장치(100)가 항시 GPS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GPS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지 않고, 외력에 의하여 케이블드럼이 운반되는 등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GPS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GPS 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케이블드럼은 일반적으로 지게차에 의하여 운반되는데, 케이블드럼을 지게차에 적재하는 과정, 지게차가 이동하는 과정, 케이블드럼을 지게차로부터 하역하는 과정에서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케이블드럼에 가하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케이블드럼에 장착된 위치추적장치(100)에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위치추적장치(100)가 GPS 신호를 수신하고 GPS 신호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위치추적장치(100)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드럼용 위치추적장치 및 케이블드럼 위치추적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드럼 위치추적시스템은, 케이블드럼에 장착되는 위치추적장치(100)와, 관리 서버(200) 및 중계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추적장치(100)는 평소의 대기 상태에서는 GPS 신호를 수신하거나 중계기로 전송하지 않다가, 위치추적장치(100)에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GPS 신호와 해당 위치추적장치(100)의 식별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중계기(210)를 경유하여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위치추적장치(100)는 GPS 신호와 식별정보를 중계기(210)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컨대 관리 서버(200)가 위치추적장치(100)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 커버리지 밖에 있을 경우 중계기(210)를 경유하여 GPS 신호와 식별정보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200)가 위치추적장치(100)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 커버리지 내에 있을 경우 GPS 신호와 식별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추적장치(200)는 충격 이벤트의 발생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대기 상태로 돌아간다.
중계기(210)는 위치추적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GPS 신호 및 식별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관리서버(200)로 전달한다.
관리 서버(200)는 위치추적장치(100)로부터 받은 GPS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추적장치(100)의 위치정보, 즉 해당 케이블드럼의 위치정보를 산출하고 저장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추적장치(100)는 대기 상태에서는 GPS 신호와 식별정보를 전송하지 않다가,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GPS 신호와 식별정보를 전송한 후 다시 대기 상태로 돌아간다. 한편 위치추적장치(100)에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다면 위치추적장치(100)(혹은 그것이 장착된 케이블드럼)는 이동되지 않고 그 자리에 계속 머물러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관리 서버(200)는 위치추적장치(100)로부터 가장 최근에 수신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산출한 위치정보를 해당 위치추적장치(100)의 현재 위치정보로 간주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각 위치추적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케이블드럼에 있는 케이블의 관리번호, 종류, 규격, 수량 등 제품 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한다. 관리 서버(200)는 각 케이블드럼의 위치정보 및 해당 케이블의 제품 정보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웹(web)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공되는 케이블드럼의 현재 위치정보는 엄밀히 말하면 해당 케이블드럼에 장착된 위치추적장치(100)로부터 가장 최근에 수신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산출한 위치정보로서, 다시 말하면 해당 케이블드럼의 적재, 이동 및 하역 등으로 인하여 가장 최근에 충격이 가해진 때의 위치정보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척장치(100)는, GPS 수신기(110), 근거리 통신모듈(120), 메모리(130), 제어부(140), 충격 센서(150), 배터리(16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60)는 위치추적장치(100)의 구성요소들, 즉 GPS 수신기(110), 근거리 통신모듈(120), 메모리(130), 제어부(140), 충격 센서(150) 등에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160)는 건전지 또는 충전지일 수 있다.
GPS 수신기(110)는 배터리(16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GPS 위성으로부터 주기적으로 GPS 신호를 수신한다.
근거리 통신모듈(120)은 배터리(16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GPS 수신기(110)에 수신된 GPS 신호와 메모리(130)에 저장된 위치추적장치(100)의 고유한 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중계기(210) 또는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는 예컨대 지그비,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충격 센서(150)는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충격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충격감지신호 발생의 기준이 되는 강도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가령 지게차에 케이블드럼이 적재될 때의 충격 강도가 5, 지게차에 의해 케이블드럼이 이동될 때의 충격 강도가 3, 지게차로부터 케이블드럼이 하역될 때의 충격강도가 6, 케이블드럼은 제자리에 있지만 작업자가 건드리거나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 등의 주변 요인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최대 충격 강도가 1이라 하면, 충격감지신호 발생의 기준이 되는 강도는 1보다 크고 3보다 작은 값인 예컨대 2.5로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적재, 이동, 하역 등 비교적 큰 충격이 일어난 경우에만 충격감지신호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평소의 대기 상태에서는 배터리(160)의 전원이 GPS 수신기(110)와 근거리 통신모듈(120)에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다만 충격 센서(150)는 충격을 감지하여야 하므로 항상 전원이 공급되지만, 충격 센서(150)가 소비하는 전력은 매우 작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에 장애가 되지 않는다.
충격 센서(150)에서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어 충격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제어부(140)는 예컨대 스위치를 통해 배터리(160)와 GPS 수신기(110) 및 근거리 통신모듈(120)을 연결하여 배터리(160)의 전원이 GPS 수신기(110) 및 근거리 통신모듈(120)에 공급되도록 한다. GPS 수신기(110)와 근거리 통신모듈(120)에 전원이 공급되면, GPS 수신기(110)는 GPS 신호를 수신하고, 근거리 통신모듈(120)은 GPS 신호와 식별정보를 중계기(210) 또는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게 된다.
배터리(160)의 전원이 GPS 수신기(110) 및 근거리 통신모듈(120)에 공급된 다음에, 가장 최근의 충격감지신호가 발생한 이후 일정 시간(예컨대 1분 내지 몇 분)이 경과하면 제어부(140)는 배터리(160)로부터의 전원이 GPS 수신기(110)와 근거리 통신모듈(120)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다시 대기 상태로 돌아가도록 한다. 여기서 충격감지신호가 마지막으로 발생한 이후 일정 시간 동안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은 케이블드럼이 더 이상 움직이지 않고 있음을 의미하므로 다시 대기 상태로 돌아가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드럼용 위치추적장치(100)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310단계에서, 평소에 위치추적장치(100)는 배터리(160)로부터의 전원이 GPS 수신기(110)와 근거리 통신모듈(120)에 공급되지 않는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320단계에서 충격 센서(150)에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321단계에서 충격 센서(150)는 충격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330단계에서, 제어부(140)는 충격감지신호에 응답하여 배터리(160)로부터의 전원이 GPS 수신기(110) 및 근거리 통신모듈(120)에 공급되도록 한다.
340단계에서, 근거리 통신모듈(120)은 중계기(210) 또는 관리 서버(200)와의 통신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모듈(120)은 중계기(210) 또는 관리 서버(200)로 간단한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고 중계기(210) 또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파일럿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통신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341단계에서 중계기(210) 또는 관리 서버(200)와 통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일정 시간(예컨대 1분) 동안 340단계를 반복하여 중계기(210) 또는 관리 서버(200)와의 통신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중계기(210) 또는 관리 서버(200)와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343단계), 390단계에서 제어부(140)는 배터리(160)로부터의 전원이 GPS 수신기(110)와 근거리 통신모듈(120)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대기 상태(310단계)로 돌아가도록 한다.
341단계에서 중계기(210) 또는 관리 서버(200)와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350단계에서 GPS 수신기(110)는 GPS 신호가 양호하게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GPS 수신기(110)는 GPS 신호의 수신 여부 및 신호 품질 등에 따라 GPS 신호가 양호하게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351단계에서 GPS 신호가 양호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일정 시간(예컨대 1분) 동안 350단계를 반복하여 GPS 신호가 양호하게 수신되는지 확인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GPS 신호가 양호하지 않은 경우(353단계), 390단계에서 제어부(140)는 배터리(160)로부터의 전원이 GPS 수신기(110)와 근거리 통신모듈(120)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대기 상태(310단계)로 돌아가도록 한다.
351단계에서 GPS 신호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면, 360단계에서 GPS 수신기(110)는 GPS 위성으로부터 주기적으로 GPS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그러면 370단계에서 근거리 통신모듈(120)은 수신되는 GPS 신호 및 메모리(130)에 저장된 위치추적장치(100)의 식별정보를 중계기(210) 또는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위 360단계 및 370단계, 즉 GPS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GPS 신호 및 식별정보를 중계기(210) 또는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과정은 주기적으로(예컨대 1초마다) 반복된다. 그러다가 가장 최근의 충격감지신호가 발생한 이후 일정 시간(예컨대 1분 내지 몇 분)이 경과하면(380단계), 390단계에서 제어부(140)는 배터리(160)로부터의 전원이 GPS 수신기(110)와 근거리 통신모듈(120)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대기 상태(310단계)로 돌아가도록 한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충격감지신호가 발생할 때마다 타이머를 시작시켜 타이머가 일정 시간에 도달하면 배터리(16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블드럼이 안정 상태에 있는 동안에는 배터리(160)의 전원이 GPS 수신기(110)와 근거리 통신모듈(120)에 공급되지 않다가, 예컨대 지게차에 의해 케이블드럼이 적재, 운반, 하역되는 등 케이블드럼에 충격이 가해지면 비로소 GPS 수신기(110)와 근거리 통신모듈(120)에 전원이 공급되어 중계기(210)를 통해 관리 서버(200)로 GPS 신호 및 식별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케이블드럼의 운반이 완료되어 다시 안정 상태가 되면 충격이 사라지므로 위치추적장치(100)는 GPS 수신기(110)와 근거리 통신모듈(120)에 전원이 차단되는 대기 상태로 다시 돌아가게 된다. 이처럼 케이블드럼이 운반되는 동안에만 GPS 수신기(110)와 근거리 통신모듈(120)이 전력을 소비하므로 GPS 수신기(110)와 근거리 통신모듈(120)에 항상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에 비하여 전력 소모가 획기적으로 줄어드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집적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실시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케이블드럼용 위치추적장치로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
    상기 GPS 신호 및 상기 위치추적장치의 식별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모듈;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충격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충격 센서;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GPS 수신기 및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에 공급되는 것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충격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GPS 수신기 및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에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전원 공급 상태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은 통신 가능성을 판단하고, 상기 GPS 수신기는 GPS 신호의 수신 양호성을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가능성 판단 및 상기 수신 양호성 판단에 있어서 일정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 상기 GPS 수신기 및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에 공급되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 센서에서 가장 최근에 충격감지신호가 발생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GPS 수신기 및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PS 수신기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적어도 1회 이상 주기적으로 상기 GPS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적어도 1회 이상 주기적으로 상기 GPS 신호 및 상기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GPS 신호 및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할 중계기 또는 서버와의 통신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GPS 수신기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GPS 신호의 양호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은 상기 중계기 또는 서버와 통신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고 GPS 신호가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GPS 신호 및 상기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장치.
  5. 케이블드럼용 위치추적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케이블드럼용 위치추적장치는, 배터리, GPS 수신기, 근거리 통신모듈 및 충격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 센서가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을 감지하면 충격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GPS 수신기 및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에 공급되는 것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충격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GPS 수신기 및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에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이 통신 가능하고, GPS 신호가 양호하게 수신되는 상태에서, 상기 GPS 수신기가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이 상기 수신된 GPS 신호 및 상기 위치추적장치의 식별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의 통신 가능성 판단 및 GPS 신호의 수신 양호성 판단에 있어서 일정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GPS 수신기 및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센서에서 가장 최근에 충격감지신호가 발생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GPS 수신기 및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적어도 1회 이상 주기적으로 상기 GPS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적어도 1회 이상 주기적으로 상기 GPS 신호 및 상기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GPS 수신기 및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에 공급되면, GPS 신호 및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할 중계기 또는 서버와의 통신 가능 여부 및 GPS 신호의 양호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기 또는 서버와 통신 가능하고 GPS 신호가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수신된 GPS 신호 및 상기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KR1020180008032A 2018-01-23 2018-01-23 케이블드럼용 위치추적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2393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032A KR102393572B1 (ko) 2018-01-23 2018-01-23 케이블드럼용 위치추적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032A KR102393572B1 (ko) 2018-01-23 2018-01-23 케이블드럼용 위치추적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484A KR20190089484A (ko) 2019-07-31
KR102393572B1 true KR102393572B1 (ko) 2022-05-03

Family

ID=67473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032A KR102393572B1 (ko) 2018-01-23 2018-01-23 케이블드럼용 위치추적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5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223B1 (ko) 2014-02-06 2015-05-04 (주)비이인터렉티브 차량의 충격 감지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JP2016085174A (ja) 2014-10-28 2016-05-19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屋内測位用の測位信号送信機及び当該送信機の座標登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200B1 (ko) * 2005-08-19 2007-11-23 (주)코리아컴퓨터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
KR101542546B1 (ko) * 2013-01-16 2015-08-06 주식회사 인포월드 휴대용 지하수 관측 장치
KR102219849B1 (ko) * 2014-01-03 2021-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직접 변환 수신기의 직류 전류 오프셋 교정 방법 및 장치
KR20150137974A (ko) * 2014-05-30 2015-12-09 (주)에이딕 컨테이너 트래킹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223B1 (ko) 2014-02-06 2015-05-04 (주)비이인터렉티브 차량의 충격 감지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JP2016085174A (ja) 2014-10-28 2016-05-19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屋内測位用の測位信号送信機及び当該送信機の座標登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484A (ko)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3625B2 (en) Welding asset tracking with heartbeat monitoring
US10382897B1 (en) Wireless gateway relay system and method
EP1931492B1 (en) Welding-type devices
US8748776B2 (en) Wireless system for monitoring theft of welding-type devices
KR102411318B1 (ko) 케이블용 위치 추적 장치, 케이블용 도난 감지 및 위치 추적 시스템
US20080164984A1 (en) Security System for Vehicles, Trucks and Shipping Containers
US20140214604A1 (en) Wireless tracking and inventory monitoring for welding-type devices
US10290209B2 (en) Method for operating a sensor device, and sensor device
US853837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mergency tracking
US8102242B2 (en) Autonomous interrogating transponder for direct communications with other transponders
US11468392B2 (en) Methods, systems, and communication protocols for proximity monitoring mobile network and associated methods
US201001351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configuration for moving object
KR102393572B1 (ko) 케이블드럼용 위치추적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1765940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원 제어 시스템
JP2009073594A (ja) パレット管理システム、パレット管理方法、パレットおよび管理サーバ
JP2009163733A (ja) Rfidタグ検出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5812499B2 (ja) 管理システム及びrfidタグ
JP5118996B2 (ja) 貨物警備システムおよび貨物警備方法
JP2008014851A (ja) 車両管理システム
KR102160261B1 (ko) 근거리 통신망 및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관리 장치, 서버 및 시스템
KR102381548B1 (ko) 케이블 도난 방지용 센서 및 장치
WO2024014193A1 (ja) モバイル端末
JP2023137549A (ja) 位置情報管理用通信装置
JP2002232337A (ja) 無線通信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22109569A (ja) 位置情報管理用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