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554B1 - 감염 예방을 위한 휴대용 간접 터치장치 - Google Patents

감염 예방을 위한 휴대용 간접 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554B1
KR102393554B1 KR1020210157930A KR20210157930A KR102393554B1 KR 102393554 B1 KR102393554 B1 KR 102393554B1 KR 1020210157930 A KR1020210157930 A KR 1020210157930A KR 20210157930 A KR20210157930 A KR 20210157930A KR 102393554 B1 KR102393554 B1 KR 102393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ase
lamp
magnet
touch device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성
서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솔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솔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솔릭
Priority to KR1020210157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5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염 예방을 위한 휴대용 간접 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전성 자성편을 구비한 손가락 장갑;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상기 손가락 장갑이 수납되는 공간부를 형성한 보관 케이스; 상기 보관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보관 케이스 뚜껑; 상기 보관 케이스와 보관 케이스 뚜껑에 설치되며 상기 손가락 장갑의 내부와 외부에 대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 및 상기 보관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손가락 장갑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착탈 조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다중 이용시설 등을 이용하는데 있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을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손가락 장갑을 위생적으로 편리하게 관리보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감염 예방을 위한 휴대용 간접 터치장치{Portable indirect touch device for infection preventione}
본 발명은 감염 예방을 위한 휴대용 간접 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공의 다중 이용시설 등을 이용하는 사람의 개인 위생 및 감염 예방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휴대하면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감염 예방을 위한 휴대용 간접 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인류는 인구 밀집도가 매우 높은 환경에서 생활하고 있고, 그에 따른 식당, 공중화장실, 도서관, 공공기관 및 병원 등의 다중 이용시설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교통의 발달로 인해 인구의 이동이 많아지면서 세균성 또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이 자주 발생함은 물론 광역화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이러한 여건에서 위생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하지만, 다중이 손으로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버튼, 자동출입문 스위치, 디스플레이 터치 주문기 등의 각종 시설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세균 및 바이러스가 많이 묻어 있게 되므로 이러한 오염물질이 주로 사용자의 손과의 접촉을 통해 신체로 유입되어 감염을 일으키므로, 손의 청결 상태만 잘 유지하여도 감염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다중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물건이나 각종의 시설물들을 손으로 접촉할 때, 손등이나 손바닥 보다는 관절로 이루어진 손가락이 주로 많이 접촉하게 된다.
이 때문에 손가락은 손등이나 손바닥에 비해 오염에 쉽게 노출될 수 밖에 없다. 특히, 손가락 끝부분의 손톱과 피부 사이에 틈 사이에 끼인 오염 물질은 물로 손을 세척하더라고 쉽게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손 씻기는 장소와 주변 상황에 따라 매번 즉각적으로 실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사용자의 손이 오염되면 손을 씻기 전까지 세균 및 바이러스를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손을 너무 자주 씻을 경우 피부가 건조해지고 거칠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피부가 손상되고 면역력이 더 약해진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선행문헌 1: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056605호(1998.10.15) 선행문헌 2: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71377호(2014.02.1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공의 다중시설 등을 이용하는 사람의 개인 위생 및 감염 예방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휴대하면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감염 예방을 위한 휴대용 간접 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감염 예방을 위한 휴대용 간접 터치장치는, 도전성 자성편을 구비한 손가락 장갑;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상기 손가락 장갑이 수납되는 공간부를 형성한 보관 케이스; 상기 보관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보관 케이스 뚜껑; 상기 보관 케이스와 보관 케이스 뚜껑에 설치되며 상기 손가락 장갑의 내부와 외부에 대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 및 상기 보관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손가락 장갑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보관 케이스의 바닥면 안쪽에 설치되는 자석, 상기 자석의 일측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길이방향의 일부는 상기 보관 케이스의 바닥면 안쪽에 위치하여 상기 자석의 타측에 연결되며 다른 일부는 상기 보관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자석을 직선이동 가능하게 조작하는 누름버튼을 구비한 착탈 조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착탈 조작수단은 상기 보관 케이스의 바닥면 안쪽에 설치되는 자석, 상기 자석의 일측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상기 자석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자석을 직선이동 가능하게 조작하는 누름버튼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전성 자성편과 자석 사이의 보관 케이스 바닥에는 중간 자성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외선 램프는 상기 보관 케이스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1 램프와, 상기 보관 케이스 뚜껑의 안쪽에 설치되는 제2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램프와 제2 램프는 배터리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관 케이스와 보관 케이스 뚜껑이 맞닿는 면에는 개폐작용시 상기 자외선 램프를 점등하거나 소등시키는 접점 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관 케이스의 하부에 나사체결되며, 연결고리가 설치된 연결줄을 인출가능하게 권취하는 권취롤을 구비한 권취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손가락 장갑이 수납되는 휴대용 보관 케이스를 구성함으로써, 다중 이용시설 등을 이용하는데 있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을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손가락 장갑을 위생적으로 편리하게 관리보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염 예방을 위한 휴대용 간접 터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손가락 장갑이 수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염 예방을 위한 휴대용 간접 터치장치의 구성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나타내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은 물론 그 이후에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염 예방을 위한 휴대용 간접 터치장치는 도전성 자성편(11)을 구비한 손가락 장갑(10),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손가락 장갑(10)이 수납되는 공간부(101)를 형성한 보관 케이스(100), 상기 보관 케이스(100)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보관 케이스 뚜껑(200), 상기 보관 케이스(100)와 보관 케이스 뚜껑(200)에 설치되며 상기 손가락 장갑(10)의 내부와 외부에 대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300) 및 상기 보관 케이스(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손가락 장갑(10)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착탈 조작수단(4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보관 케이스(100)는 상부가 개방되어 후술할 도전성 자성편(11)을 구비한 손가락 장갑(10)이 수납되도록 소정 길이를 가지는 공간부(101)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보관 케이스(100)의 안쪽벽 전체에는 후술할 자외선 램프(300)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이 다방향으로 반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알루미늄 소재의 반사판(11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관 케이스(100)의 바닥면 안쪽에는 후술할 착탈 조작수단(400)의 구성이 설치하기 위한 작동공간부(102)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보관 케이스(100)의 하부 외주면에는 후술할 권취수단(500)이 나체결되는 나사체결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손가락 장갑(10)은 사용자가 손가락(P)으로 직접 물건을 만지는 경우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묻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손가락 장갑(10)을 이용하여 물건에 묻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손가락 장갑(10)은 기본적으로 항균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가락 장갑(10)의 끝단에는 도전성 자성편(11)을 설치하여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으로부터 안전한 보호를 목적으로 착용한 상태에서도 터치스크린을 채용한 디바이스에 대해서도 뛰어난 터치감으로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보관 케이스 뚜껑(200)은 상기 보관 케이스(10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단속하는 것으로, 일측에는 상기 보관 케이스(100)와 힌지 연결이 이루어지는 힌지부(21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보관 케이스(100)와 보관 케이스 뚜껑(200)이 맞닿는 면에는 개폐작용시 상기 자외선 램프(300)를 점등하거나 소등시키는 접점 스위치(22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접점 스위치(220)는 자석 및 자성체로 구성하여 외부의 힘이 작용하지 않는한 상기 보관 케이스 뚜껑(200)이 보관 케이스(100)를 안전하게 밀폐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보관 케이스 뚜껑(200)과 보관 케이스(100)는 별도로 한층 견고한 고정용 체결구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자외선 램프(300)는 상기 보관 케이스(100)와 보관 케이스 뚜껑(200)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손가락 장갑(10)의 내부와 외부에 대하여 살균 자외선을 조사하여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오염된 손가락 장갑(10)을 항상 살균처리함으로써, 오염된 손가락 장갑(10)을 반복적으로 재사용하는데 있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도록 살균 및 항균 작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외선 램프(300)는 상기 보관 케이스(100)의 바닥면에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제1 램프(310)와, 상기 보관 케이스 뚜껑(200)의 안쪽 중앙에 설치되는 제2 램프(3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램프(310)와 제2 램프(320)는 상기 작동공간부(102)에 설치되는 배터리(33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제1 램프(310)는 상기 손가락 장갑(10)의 외면에 대하여 살균 및 항균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2 램프(320)는 손가락 장갑(10)의 안쪽 공간에 대해 살균 및 항균 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램프(310)와 제2 램프(320)는 앞서 설명한 접점 스위치(220)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별도의 제어스위치(미도시)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330)에는 별도로 타이머를 구성하여 제1 램프(310)와 제2 램프(320)의 살균 작동시간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착탈 조작수단(400)은 상기 보관 케이스(100)의 바닥면 안쪽 즉, 상기 작동공간부(102)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손가락 장갑(10)을 착탈가능하게 지지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착탈 조작수단(400)은 평상시 상기 손가락 장갑(10)이 보관 케이스(100)의 공간부(101)에 수납된 경우, 상기 손가락 장갑(10)이 세워진 상태로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손가락 장갑(10)을 착용하고자 할 때 손가락 장갑이 고정된 바닥면으로부터 쉽게 탈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착탈 조작수단(400)은 상기 보관 케이스(100)의 바닥면 안쪽에 설치되는 자석(410), 상기 자석(410)의 일측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420),
길이방향의 일부는 상기 보관 케이스(100)의 바닥면 안쪽에 위치하여 상기 자석(410)의 타측에 연결되며 다른 일부는 상기 보관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자석(410)을 직선이동 가능하게 조작하는 누름버튼(430)으로 구성된다.
즉, 평상시 상기 보관 케이스(100) 내에서 수납된 손가락 장갑(10)은 상기 자석(410)과 자성편(11)의 인력(引力)에 의해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누름버튼(430)을 누르는 가압력을 전달할 경우 상기 자석(410)이 일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자성편(11)으로부터 자연스럽게 이격됨에 따라 상기 손가락 장갑(10)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누름버튼(430)을 누르고 있던 가압력을 해제하면 압축된 상태의 스프링(420) 복원력이 작용하여 상기 자석(410)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상기 자성편(11)과 자석(410) 사이의 보관 케이스(100) 바닥에는 중간 자성체(440)를 추가적으로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자성편(11)과 자석(410)이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마찰 저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자성편(11) 및 자석(410)이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관 케이스(100)의 나사체결부(120)에는 연결고리(531)가 설치된 연결줄(530)을 인출가능하게 권취하는 권취롤(520)을 구비한 권취수단(500)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권취수단(500)은 상기 보관 케이스(100)에 나사체결이 이루어지는 하부 뚜껑(510), 상기 하부 뚜껑(510) 내에 설치되는 권취롤(520), 상기 권취롤(520)에 권취되며 끝단에 연결고리(531)를 구비한 연결줄(5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권취수단(500)을 이용하여 상기 보관 케이스(100)를 의복, 가방 등에 메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분실 위험성을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권취롤(520)은 태엽 스프링(미도시)을 구성하여 권취된 상태의 연결줄(530)이 임의로 풀려서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 당겨지면 비로소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당기는 힘이 사라지면 태엽 스프링에 의해 상기 연결줄(530)은 자연스럽게 자동 권취되어 인입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손가락 장갑
11... 자성편
100... 보관 케이스
200... 보관 케이스 뚜껑
300... 자외선 램프
310... 제1 램프
320... 제2 램프
400... 착탈 조작수단
410... 자석
420... 스프링
430... 누름버튼
500... 권취수단

Claims (6)

  1. 도전성 자성편을 구비한 손가락 장갑;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상기 손가락 장갑이 수납되는 공간부를 형성한 보관 케이스;
    상기 보관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보관 케이스 뚜껑;
    상기 보관 케이스와 보관 케이스 뚜껑에 설치되며 상기 손가락 장갑의 내부와 외부에 대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 및,
    상기 보관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손가락 장갑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보관 케이스의 바닥면 안쪽에 설치되는 자석, 상기 자석의 일측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길이방향의 일부는 상기 보관 케이스의 바닥면 안쪽에 위치하여 상기 자석의 타측에 연결되며 다른 일부는 상기 보관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자석을 직선이동 가능하게 조작하는 누름버튼을 구비한 착탈 조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 예방을 위한 휴대용 간접 터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자성편과 자석 사이의 보관 케이스 바닥에는 중간 자성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 예방을 위한 휴대용 간접 터치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는 상기 보관 케이스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1 램프와, 상기 보관 케이스 뚜껑의 안쪽에 설치되는 제2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램프와 제2 램프는 배터리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 예방을 위한 휴대용 간접 터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케이스와 보관 케이스 뚜껑이 맞닿는 면에는 개폐작용시 상기 자외선 램프를 점등하거나 소등시키는 접점 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 예방을 위한 휴대용 간접 터치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케이스의 하부에 나사체결되며, 연결고리가 설치된 연결줄을 인출가능하게 권취하는 권취롤을 구비한 권취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 예방을 위한 휴대용 간접 터치장치.
KR1020210157930A 2021-11-16 2021-11-16 감염 예방을 위한 휴대용 간접 터치장치 KR102393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930A KR102393554B1 (ko) 2021-11-16 2021-11-16 감염 예방을 위한 휴대용 간접 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930A KR102393554B1 (ko) 2021-11-16 2021-11-16 감염 예방을 위한 휴대용 간접 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3554B1 true KR102393554B1 (ko) 2022-05-03

Family

ID=81591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930A KR102393554B1 (ko) 2021-11-16 2021-11-16 감염 예방을 위한 휴대용 간접 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55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605A (ko) 1996-12-30 1998-09-25 김영귀 차량용 연료 탱크
KR200471377Y1 (ko) 2013-07-26 2014-02-19 김시우 캐비넷형 근적외선 소독장치
KR20160039069A (ko) * 2014-09-30 2016-04-0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를 이용한 이어폰 살균 장치
KR102207062B1 (ko) * 2020-05-13 2021-01-22 황은태 휴대용 접촉팁 살균장치
KR102273940B1 (ko) * 2020-09-25 2021-07-05 이경민 휴대용 uv-c 살균기
KR20210133703A (ko) * 2020-04-29 2021-11-08 서종수 살균 기능을 구비한 정전식 터치펜 및 이를 활용한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605A (ko) 1996-12-30 1998-09-25 김영귀 차량용 연료 탱크
KR200471377Y1 (ko) 2013-07-26 2014-02-19 김시우 캐비넷형 근적외선 소독장치
KR20160039069A (ko) * 2014-09-30 2016-04-0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를 이용한 이어폰 살균 장치
KR20210133703A (ko) * 2020-04-29 2021-11-08 서종수 살균 기능을 구비한 정전식 터치펜 및 이를 활용한 살균장치
KR102207062B1 (ko) * 2020-05-13 2021-01-22 황은태 휴대용 접촉팁 살균장치
KR102273940B1 (ko) * 2020-09-25 2021-07-05 이경민 휴대용 uv-c 살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55384B1 (en) Portable far-uvc device
US8598539B2 (en) Germicidal device for elevator buttons
US2814081A (en) Rapid hand sanitizer
US11180314B2 (en) Toilet paper holder and trash receptacle
US20120261593A1 (en) Method and Device for Ultraviolet Light Sterilizing
US10064967B2 (en) Adjustable ultraviolet LED sterilization automatic enclosure
KR102393554B1 (ko) 감염 예방을 위한 휴대용 간접 터치장치
KR20090007699U (ko) 살균 보관 기능을 갖는 이·미용기구 보관 상자
KR101554664B1 (ko) 손톱깎이 살균 케이스
KR102464936B1 (ko) 살균수저통을 구비한 식탁
US20200079587A1 (en) Foot activated waste bin
CN111689320A (zh) 一种紫外杀菌电梯按钮
JP7037274B2 (ja) スイッチ付きドアレバーハンドル、ドア及び室内照明機器の点消灯切換装置
KR101594808B1 (ko) 마우스 케이블의 권취기능이 구비된 마우스 살균기
CN212439498U (zh) 一种无接触杀毒杆
JP7096607B2 (ja) ポータブル殺菌装置
KR200463778Y1 (ko) 근적외선 소독기
JP2021185991A (ja) 照明器具
KR102623381B1 (ko) 차량 콘솔박스 부착형 플라즈마-uvc 하이브리드 살균 장치
BR102020001189A2 (pt) Válvula de descarga que aciona o fechamento da tampa/assento sanitário
KR200386636Y1 (ko) 변기
JPH07331933A (ja) 殺菌取手
TWM566743U (zh) Inductive photocatalyst door handle
KR200357771Y1 (ko) 자외선 컵소독기의 도어 설치구조
CN216517335U (zh) 自动杀菌门把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