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936B1 - 살균수저통을 구비한 식탁 - Google Patents

살균수저통을 구비한 식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936B1
KR102464936B1 KR1020200066319A KR20200066319A KR102464936B1 KR 102464936 B1 KR102464936 B1 KR 102464936B1 KR 1020200066319 A KR1020200066319 A KR 1020200066319A KR 20200066319 A KR20200066319 A KR 20200066319A KR 102464936 B1 KR102464936 B1 KR 102464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coil
sterilization
voltage
spoon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9370A (ko
Inventor
박철우
Original Assignee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66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936B1/ko
Publication of KR20210149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A47B2021/06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with power or communication connection inte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3Containers, e.g. vials, bottles, syringes, ma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 H01F2005/027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wound on formers for receiving several coils with perpendicular winding axes, e.g. for antennae or inductive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수저통을 구비한 식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탁(10)의 상판(12) 양측 가장자리에는 제1유도코일(16)이 있고, 상기 제1유도코일(16)에는 제2유도코일(34)을 가진 살균수저통(20)이 위치된다. 상기 살균수저통(20)은 내부의 수납공간(24)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조명(30)이 설치된다. 상기 살균수저통(20)은 상기 제2유도코일(34)을 통해 전원을 무선으로 공급받아 살균조명(30) 및/또는 무선호출벨(32)을 동작시키고, 필요한 경우 배터리(36)에 전원을 충전한다.

Description

살균수저통을 구비한 식탁{Table having Spoon case}
본 발명은 살균수저통을 구비한 식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탁과 살균수저통 사이에서 무선으로 전원공급이 가능한 살균수저통을 구비한 식탁에 관한 것이다.
음식의 섭취를 위해 사용하는 도구인 숟가락과 젓가락은 위생의 면에서 많은 주의를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숟가락과 젓가락을 가열소독하거나 자외선으로 소독하게 된다. 이와 같은 소독을 통해 숟가락과 젓가락에서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음식을 섭취하도록 한다.
하지만, 식당과 같은 곳에서는 손님이 숟가락과 젓가락이 진짜 소독이 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1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10462에서는 식탁에 일체형으로 수저통을 설치하고, 이에 살균성이 있는 발광램프를 두어 수저를 살균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이 식탁에 일체로 수저통이 있게 되면, 사용자중 한 사람이 수저통에서 수저를 꺼내서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해야 한다. 따라서, 수저가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되는 과정에서 오염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저통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사용환경에 대응해서 수저통을 두지 못해 식탁의 사용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식당과 같은 곳에서는 종업원의 호출을 위한 무선호출벨을 많이 사용하는데, 이들 무선호출벨은 내부에 배터리를 두어야 하므로, 자주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한 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1046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00539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식탁위에 놓여져 이동가능한 살균수저통을 제공하는 것으로, 무선충전이 가능한 살균수저통을 구비한 식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탁 위에 얹어 놓은 상태로 무선으로 전원공급이 가능하여 수저의 살균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는 충전이 가능한 살균수저통을 가진 식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탁 상에 있는 살균수저통과 무선호출벨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식탁은 음식물이 얹어지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레그와, 상기 상판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소정영역에 형성되어 제2유도코일을 가지는 살균수저통이 위치되는 제1유도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살균수저통은, 내부에 수저가 위치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일부를 차폐하는 상면판을 구비하는 수저통본체와, 상기 상면판의 저면에 설치된 기판에 구비되어 수납공간의 바닥을 향해 자외선을 제공하는 살균조명과, 상기 수저통본체의 수납공간을 상기 상면판과 함께 차폐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의 커버와, 상기 수저통본체의 저면 측에 구비되고 대응되는 제1유도코일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살균조명으로 전압을 공급하는 제2유도코일과, 상기 수저통본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2유도코일을 통해 공급되는 전압을 저장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상기 살균조명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압과 상기 제2유도코일을 통해 공급되는 전압을 선택적으로 상기 살균조명으로 전달하는 스위칭소자와,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와, 상기 전압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스위칭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전압이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압이 상기 살균조명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제2유도코일의 전압이 상기 살균조명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칭소자를 제어하고, 상기 상판에 상기 제1유도코일이 형성된 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살균수저통은 상기 상판 상에 상기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하는 영역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살균조명과 마주보는 수납공간의 바닥에는 살균조명에서 조사된 자외선을 반사하는 반사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살균조명이 설치된 기판에는 무선호출벨이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수저통본체의 상면판 외부로 노출된다.
삭제
삭제
상기 상판의 중앙에는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열원이 설치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살균수저통을 구비한 식탁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진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수저통의 내부에 살균조명을 설치하고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또한 살균조명을 동작시킨다. 따라서 수저통의 이동이 간단하여 사용이 편리하게 되고 수저통의 내부에서 살균이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들이 수저의 사용을 안심하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식탁에 있는 제1유도코일에 수저통에 있는 제2충전부를 위치시키면 무선으로 전원이 공급되므로 살균수저통으로 전원공급이 편리하고 원활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살균수저통에는 무선으로 종업원을 호출할 수 있는 무선호출벨이 설치되어 있고, 무선으로 공급되는 전원으로 동작되므로 별도로 무선호출벨을 충전하거나 배터리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무선호출벨의 사용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살균수저통의 내부 상부에서 살균조명이 하부로 자외선을 제공하여 수저를 살균하므로 외부로 자외선이 나오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고, 살균수저통의 내부 바닥에는 반사부가 있어 살균조명에서 나온 자외선이 수납공간 내부의 수저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살균작용이 이루어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살균수저통을 구비한 식탁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살균수저통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살균수저통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무선충전벨과 살균조명 등의 연결을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살균수저통이 사용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례에서 제1유도코일의 형상을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 실시례의 식탁(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2)을 다수개의 레그(14)가 지지하고 있다. 상기 상판(12)은 본 실시례에서는 직사각형의 판형상이다. 하지만, 상기 상판(12)은 원형이나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상판(12) 상에는 음식물이 놓여질 수 있고, 아래에서 설명될 구성들이 설치된다. 상기 레그(14)는 상기 상판(12)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판(12)의 높이를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 레그(14)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로 식탁(10)을 사용할 수 있는 높이로 되거나, 바닥에 앉은 상태에서 식탁(10)을 사용할 수 있는 높이로 될 수 있다.
상기 상판(12)에는 제1유도코일(16)이 있다. 상기 제1유도코일(16)은 무선충전을 위한 것으로, 전자기유도방식 또는 자기공명방식 등을 사용하여 전원을 아래에서 설명될 살균수저통(20)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유도코일(16)이 상기 상판(12)의 좌측과 우측 가장자리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식탁(10)에서 식사를 할 때 상판(12)의 중간부분에서 시작해서 음식물을 위치시키고, 상판(12)의 양측 가장자리는 비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제1유도코일(16)은 상판(12)의 좌측 또는 우측 가장자리에 소정 폭만큼 형성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또한 상판(12)의 형상이 사각형이 아닌 경우에도 가장자리 영역에 제1유도코일(16)이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면에는 일례로 제1유도코일(16)이 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도시하기 위한 일례이며 도 6과 같이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유도코일(16)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판(12)의 좌측 또는 우측 가장자리 또는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폭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살균수저통(20)을 제1유도코일(16)이 형성된 부분에 놓을 때 가장자리 중 어느 위치에 놓아도 되므로 상기 살균수저통(20)을 놓은 위치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어질 수 있다.
상기 상판(12)의 중앙에는 열원(1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원(18)의 예로서 인덕션히터가 있다. 물론, 상기 열원(18)으로 다양한 것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열원(18)의 자리에 숯통이 위치되거나, 상판(12)에 일체로 되게 가스버너가 위치될 수도 있다.
살균수저통(20)은 상기 상판(12) 상의 제1유도코일(16)에 위치되어 사용된다. 상기 살균수저통(20)의 외관과 골격을 수저통본체(22)가 형성한다. 상기 수저통본체(22)는 본 실시례에서는 길쭉한 육면체 형상이다. 하지만, 상기 수저통본체(22)의 외관은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고, 내부의 수납공간(24)은 숟가락과 젓가락을 수납하기 편리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24)에는 다수개의 숟가락과 젓가락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24)은 커버(26)에 의해 외부와 차폐된다. 상기 커버(26)는 상기 수납공간(24)의 입구에 위치되어 수납공간(24)을 외부와 차폐한다. 상기 커버(26)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되어 상기 수납공간(24)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되는 것이 좋다. 물론, 상기 수납공간(24) 내부에서 살균을 위한 자외선이 나오므로 아래에서 설명될 살균조명(30)에 인접한 위치에 있게 되는 커버(26)의 부분은 자외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불투명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수저통본체(22)의 길이방향 일단부에는 상면판(27)이 있다. 상기 상면판(27)의 표면은 상기 커버(26)의 표면과 같은 높이이다. 상기 상면판(27)의 하면에는 기판(28)이 설치되고, 상기 기판(28)에는 살균조명(30)이 있다. 상기 살균조명(30)은 자외선을 제공하여 숟가락과 젓가락을 살균하게 된다.
상기 살균조명(30)은 상기 수납공간(24)의 바닥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상기 상면판(27)의 하면, 즉 상기 수납공간(24)의 천정에 해당되는 부분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살균조명(30)에서 나온 자외선은 수납공간(24)의 바닥을 향해 조사된다.
상기 기판(28)에는 무선호출벨(3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호출벨(32)은 상기 상판(27)을 통해 노출되어 있다. 즉 상기 무선호출벨(32)은 살균수저통(20)의 상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무선호출벨(32)은 종업원을 부를 때, 사용자가 눌러서 종업원에게 식탁(10)의 번호를 알려주고 종업원이 듣도록 소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수저통본체(22)의 바닥에는 제2유도코일(34)이 있다. 상기 제2유도코일(34)은 상기 식탁(10)의 상판(12)에 있는 제1유도코일(16)과 상호작용하여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제2유도코일(34)이 수저통본체(22)의 바닥에 있음으로 해서 상기 제1유도코일(16)이 형성된 영역에 수저통본체(22)를 위치시키면 수저통본체(22)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수저통본체(22)의 일측에는 배터리(36)가 있다. 상기 배터리(36)는 제1유도코일(16)과 제2유도코일(34)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공급된 전원을 모아두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상기 배터리(36)에 충전된 전원이 상기 살균조명(30)이나 무선호출벨(32) 등을 동작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유도코일(34)에서 전달되는 전원을 상기 살균조명(30)이나 무선호출벨(32) 등이 직접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유도코일(16)과 제2유도코일(34)이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도코일(16)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제1유도코일(16)과 상기 제2유도코일(34) 간의 전자기적 유도결합(inductive coupling)을 통해 상기 제2유도코일(34)에 전압이 유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유도코일(34)에 유기된 전압에 의해 배터리(36)가 충전된다. 상기 유기된 전압은 상기 무선호출벨(32)과 살균조명(30)으로도 공급된다. 배터리(36)에 전압이 충전되면 전압검출부(38)가 충전전압을 검출한다. 상기 전압검출부(38)에서 검출된 충전전압은 제어부(42)로 전달된다.
상기 제1,2유도코일(16,34) 간에 유도결합에 의한 유기전압이 발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유도코일(16)과 제2유도코일(34)이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살균수저통(20)은 이동이 가능하므로 상기 살균수저통(20)을 상기 제1유도코일(16)이 형성된 위치에 배치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상판(12)에 상기 제1유도코일(16)이 형성된 위치를 표시하는 다수의 돌출부(미도시)가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수의 돌출부는 상기 살균수저통(20)의 크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바람직하게는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4개의 돌출부로 이루어진 영역 내에 상기 살균수저통(20)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1유도코일(16)과 제2유도코일(34)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살균수저통(20)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이동을 안내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게 상기 수저통본체(22)의 바닥에는 홈이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이나 공간에 상기 돌출부가 위치되어 수저통본체(22)가 임의로 이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36)와 상기 살균조명(30) 사이에 스위칭소자(4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칭소자(40)는 상기 배터리(36)에서 공급되는 전압과, 상기 제2유도코일(34)에서 공급되는 전압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살균조명(30)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위칭소자(40)의 스위칭동작은 상기 제어부(42)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제어부(42)는 상기 전압검출부(38)에서 검출된 충전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스위칭소자(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2)는 상기 충전전압이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배터리(36)의 충전전압이 상기 살균조명(30)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칭소자(4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어부(42)는 상기 충전전압이 상기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제2유도코일(34)의 전압이 상기 살균조명(30)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칭소자(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살균조명(30)은 상기 스위칭소자(40)의 스위칭동작에 의해 상기 배터리(36)에 충전된 전압이 기준치보다 낮으면 상기 제2유도코일(34)의 전압을 공급받도록 하고, 상기 배터리(36)가 충분히 충전되면 상기 배터리(36)의 전압을 공급받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배터리(36)를 이용하는 동안에는 제1유도코일(16)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수저통본체(22)의 수납공간(24) 바닥에는 상기 살균조명(30)과 마주보는 위치에 반사부(33)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반사부(33)는 살균조명(30)에서 나온 자외선을 반사하여 숟가락이나 젓가락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자외선이 효과적으로 살균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살균수저통을 구비한 식탁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살균수저통(20)의 수납공간(24)에는 숟가락과 젓가락이 위치되어 살균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26)를 분리하여 상기 수납공간(24)을 개방하고, 숟가락과 젓가락을 수납공간(24)으로 넣는다. 이때, 숟가락의 선단과 젓가락의 선단, 즉 사용자의 입으로 들어가는 부분이 상기 살균조명(3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숟가락과 젓가락이 수납공간(24)에 넣어지면 상기 커버(26)를 닫아서 수납공간(24)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살균조명(30)을 동작시키면 된다. 상기 살균조명(30)의 동작은 별도의 버튼을 조작하거나, 상기 커버(26)를 닫으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살균조명(30)이 동작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이 숟가락과 젓가락의 선단에 주로 조사되어 살균작용을 한다. 상기 살균조명(30)에서 나온 자외선중에서 일부는 상기 반사부(33)에 의해 반사되어 살균조명(30)에서 직접 닿지 않는 부분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 식탁(10)에 살균수저통(20)이 위치되어 있으면, 지속적으로 살균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살균수저통(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탁(10)의 상판(12)에 있는 제1유도코일(16)의 영역 내에 위치되는 것이 좋다. 물론, 이미 배터리(36)가 충전되어 있어서, 상기 살균조명(30)과 무선호출벨(32)이 동작될 수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제1유도코일(16) 영역 내에 있지 않아도 상관없다.
만약 살균수저통(20)이 상기 제1유도코일(16)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제1유도코일(16)과 제2유도코일(34) 사이의 유도결합에 의해 제2유도코일(34)에 유기된 전압이 상기 살균조명(30)과 무선호출벨(32)로 전달된다. 이때, 살균조명(30)과 무선호출벨(32)이 사용되지 않는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42)에 의해 스위칭소자(40)가 제어되어 상기 배터리(36)로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2)는 상기 전압검출부(38)에서 검출된 충전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스위칭소자(40)를 제어하는데, 미리 충전전압의 기준치를 설정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스위칭소자(4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42)는 상기 충전전압이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배터리(36)의 충전전압이 상기 살균조명(30)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칭소자(4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어부(42)는 상기 충전전압이 상기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제2유도코일(34)의 전압이 상기 살균조명(30)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칭소자(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살균조명(30)은 상기 스위칭소자(40)의 스위칭동작에 의해 상기 배터리(36)에 충전된 전압이 기준치보다 낮으면 상기 제2유도코일(34)의 전압을 공급받도록 하고, 상기 배터리(36)가 충분히 충전되면 상기 배터리(36)로부터 전압을 공급받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호출벨(32)은 그 사용되는 전원이 그리 크지 않으므로, 상기 배터리(36)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 무선호출벨(32)에 대해서도 별도의 스위칭소자(40)를 두고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36)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무선호출벨(32)이 사용되어 사용자가 쉽게 직원을 호출할 수 있다.
그리고, 위에서와 같이 상기 수납공간(24) 내에서 살균조명(30)에 의해 살균된 숟가락과 젓가락은 상기 식탁에서 식사를 하는 사용자가 상기 커버(26)를 열어서 꺼내어 사용하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무선호출벨(32), 배터리(36) 등이 살균수저통(20)에 있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상기 무선호출벨(32) 및/또는 배터리(36)가 없는 실시례도 가능하다.
10: 식탁 12: 상판
14: 레그 16: 제1유도코일
18: 열원 20: 살균수저통
22: 수저통본체 24: 수납공간
26: 커버 27: 상면판
28: 기판 30: 살균조명
32: 무선호출벨 34: 제2유도코일
36: 배터리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음식물이 얹어지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레그와,
    상기 상판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소정영역에 형성되어 제2유도코일을 가지는 살균수저통이 위치되는 제1유도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살균수저통은,
    내부에 수저가 위치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일부를 차폐하는 상면판을 구비하는 수저통본체와,
    상기 상면판의 저면에 설치된 기판에 구비되어 수납공간의 바닥을 향해 자외선을 제공하는 살균조명과,
    상기 수저통본체의 수납공간을 상기 상면판과 함께 차폐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의 커버와,
    상기 수저통본체의 저면 측에 구비되고 대응되는 제1유도코일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살균조명으로 전압을 공급하는 제2유도코일과,
    상기 수저통본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2유도코일을 통해 공급되는 전압을 저장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상기 살균조명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압과 상기 제2유도코일을 통해 공급되는 전압을 선택적으로 상기 살균조명으로 전달하는 스위칭소자와,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와,
    상기 전압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스위칭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전압이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압이 상기 살균조명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제2유도코일의 전압이 상기 살균조명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칭소자를 제어하고,
    상기 상판에 상기 제1유도코일이 형성된 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살균수저통은 상기 상판 상에 상기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하는 영역 내부에 위치되는 식탁.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조명과 마주보는 수납공간의 바닥에는 살균조명에서 조사된 자외선을 반사하는 반사부가 더 구비되는 식탁.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중앙에는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열원이 설치되는 식탁.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조명이 설치된 기판에는 무선호출벨이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수저통본체의 상면판 외부로 노출되는 식탁.
KR1020200066319A 2020-06-02 2020-06-02 살균수저통을 구비한 식탁 KR102464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319A KR102464936B1 (ko) 2020-06-02 2020-06-02 살균수저통을 구비한 식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319A KR102464936B1 (ko) 2020-06-02 2020-06-02 살균수저통을 구비한 식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370A KR20210149370A (ko) 2021-12-09
KR102464936B1 true KR102464936B1 (ko) 2022-11-08

Family

ID=78866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319A KR102464936B1 (ko) 2020-06-02 2020-06-02 살균수저통을 구비한 식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9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6994A (ko) 2022-07-07 2024-01-16 곽용화 냉장고가 부설된 식탁
KR20240013539A (ko) * 2022-07-22 2024-01-30 주식회사 루카스 살균 공간을 포함하는 테이블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39Y1 (ko) 2002-10-04 2003-01-10 이창수 로스터 테이블용 수저소독기
KR100857288B1 (ko) * 2006-08-07 2008-09-08 임두만 위생 수저통 및 이를 이용한 테이블
KR101203015B1 (ko) 2010-07-26 2012-12-27 주식회사 세만텍 위생 수저통이 구비된 테이블
KR20140118015A (ko) * 2013-03-27 2014-10-08 공석태 무선충전기내장 테이블탁자덮게
KR102085113B1 (ko) * 2018-05-15 2020-04-23 주식회사 이지테크 살균 수저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370A (ko)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4936B1 (ko) 살균수저통을 구비한 식탁
US20240148924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sanitizing a point of contact
US8698100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sanitizing a door opening device or other point of contact
KR20110098394A (ko) 트레이형 자외선 살균기
US11253619B2 (en) Ultraviolet sterilizer
KR20170041947A (ko) Uv 살균장치
KR101727202B1 (ko) 살균소독기가 부착된 수납가구
KR20170022190A (ko) 자외선 살균 기능을 갖는 싱크대
KR20130002604U (ko) 다목적 살균장치
KR100857288B1 (ko) 위생 수저통 및 이를 이용한 테이블
KR20130000919U (ko) 살균함
KR20220000127A (ko) Uvc 살균기 및 그를 이용한 서랍식 살균 수저통
KR100862739B1 (ko) 위생수저통을 구비한 테이블
KR20110063702A (ko) 칫솔 살균기
CN213284553U (zh) 用于牙刷的消毒装置
CN212940644U (zh) 一种家用消毒器
CN209790437U (zh) 一种便携式杀菌消毒盒
CN210932870U (zh) 一种消毒箱包
KR200459868Y1 (ko) 자외선 살균 수저통
KR20210156127A (ko) 도난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uv-led 수저통 살균 장치
KR200454425Y1 (ko) 자외선 살균 칼꽂이
KR102572622B1 (ko) 자외선 살균장치
CN219558139U (zh) 一种便携式餐具消毒盒
CN219699648U (zh) 一种装备新型茶杯收纳架的饮水机
KR102636729B1 (ko) 수저통 살균기 및 이를 장착한 살균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