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123B1 - 뼈 장애, 연골 장애, 또는 이 둘 다의 관리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뼈 장애, 연골 장애, 또는 이 둘 다의 관리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123B1
KR102393123B1 KR1020217024147A KR20217024147A KR102393123B1 KR 102393123 B1 KR102393123 B1 KR 102393123B1 KR 1020217024147 A KR1020217024147 A KR 1020217024147A KR 20217024147 A KR20217024147 A KR 20217024147A KR 102393123 B1 KR102393123 B1 KR 102393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bone
cartilag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osi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4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6701A (ko
Inventor
리디아 알파로 브로넬
민 추
메이-펭 홍
현은진
퀴 지아
핑 지아오
김현진
김미란
김태우
이영철
남정범
메스핀 이맘
Original Assignee
유니젠, 인크.
주식회사 네이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젠, 인크., 주식회사 네이처텍 filed Critical 유니젠, 인크.
Priority to KR1020227014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6256A/ko
Publication of KR20210096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8Compounds having an amino group directly attached to a carbo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e.g. D-galactosamine, ranimus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37Sulfated polysaccharides, e.g. chondroitin sulfate, dermatan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4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non-specific disorders of the connectiv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61P21/02Muscle relaxants, e.g. for tetanus or cr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뼈 건강, 연골 건강 또는 둘 모두들 촉진, 관리 또는 향상시키거나, 또는 뼈 장애, 연골 장애 또는 둘 모두를 방지 또는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 스틸벤, 또는 둘 모두와, 플라반 또는 커큐미노이드 또는 이들 모두의 혼합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 스틸벤, 또는 둘 모두와 플라반 또는 커큐미노이드 또는 둘 모두의 혼합물은, 칼슘, 마그네슘, 아연, 붕소, 비타민 D, 비타민 K, 글루코사민 및/또는 콘드로이틴 화합물,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진통제, COX/LOX 저해제, 신경성 동통 완화제 등의 다른 뼈 및 연골 관리제들과 임의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뼈 장애, 연골 장애, 또는 이 둘 다의 관리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NAGING OR IMPROVING BONE DISORDERS, CARTILAGE DISORDERS, OR BOTH}
본 발명은 골 질환이나 연골 장애, 또는 이 둘 다를 관리하는데 유용한 화합물 및 조성물, 및 뼈 건강, 연골 건강 또는 둘 다를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령 인구, 특히 폐경 전 후 여성에서 골다공증으로 종종 진행하는 골 밀도 감소는 중요한 건강 문제이다. 골다공증은 일차 골다공증성 골절의 최상의 예측자인 골 미네랄 농도(BMD)의 측정을 통해 임상적으로 정의된다(Kanis et al., Osteoporos. Int. 16:581, 2005). 전신성 염증은 종종 골 손실에 이르게 되는 가속화 골 재흡수와 연관된다. 상승된 PGE2, TNF-α, IL-1β 및 다른 프로염증성 사이토카인과 같은 다양한 메커니즘은 염증성 상태 하에서 골 손실에 관여하는 것으로 제안되어 왔다(Hardy and Cooper, J. Endocrinol. 201:309, 2009).
NSAID는 COX 효소를 저해하고 골대사 회전의 조절에 관여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산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Raisz et al., Osteoporos. Int. 3(Suppl 1):136, 1993).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OX-2) 억제제의 사용은 부하-유도 골형성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폐경기 관련 BMD 손실을 방지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Richards et al., Osteoporos. Int. 17:1410, 2006). 예를 들어, 디클로페낙은 COX-1 및 COX-2 효소를 모두 저해하는 NSAID이다(Richards et al., 2006). 인간 임상 시험에서, 디클로페낙은 폐경 후 여성에서 거의 골 손실의 보호를 위한 접합 에스트로겐만큼이나 효과적이었다(Bruce et al., Am. J. Med. 96:349, 1994). 코트렐 등(Cottrell et al., Bone Joint Res. 2:41, 2013)은 5-리폭시게나제(LOX) 억제제가 동물 모델에서 골 재생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폐경 후 여성의 인간 임상 시험에서, COX-2 선택적 NSAID와 아스피린 조합의 정기적인 사용은 정량적 컴퓨터 단층촬영(QCT)에 의해 요추의 지주 및 피질 BMD 모두와, 골밀도 스캐닝(DXA)에 의해 측정된 바 전신 및 엉덩이 전체를 포함한 모든 골격 부위에서 BMD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Carbone et al., J. Bone Miner. Res. 18:1795, 2003).
간단한 요약
요컨대, 본 발명은 골 질환이나 연골 장애, 또는 이 둘 다를 관리하는데 유용한 화합물 및 조성물, 및 뼈 건강, 연골 건강 또는 둘 다를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임의로 하나 이상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예를 들어,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딜스-알더(Diels-Alder) 부가물), 또는 하나 이상의 스틸벤, 또는 그의 조합이 강화된 뽕나무 추출물과, 임의로 플라반(flavan)이 강화된 아카시아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임의로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예를 들어,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딜스-알더 부가물), 또는 하나 이상의 스틸벤, 또는 그의 조합이 강화된 뽕나무 추출물과, 임의로 플라반이 강화된 운카리아 감비르(Uncaria gambir)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예를 들어,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딜스-알더 부가물), 또는 하나 이상의 스틸벤, 또는 그의 조합이 강화된 뽕나무 추출물과 임의로 커큐미노이드가 강화된 강황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예를 들어,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딜스-알더 부가물), 또는 하나 이상의 스틸벤이 강화된 뽕나무 추출물과 페퍼민트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임의의 조성물은 또한 선택적으로 기타 생물학적 화합물 및 경우에 따라 하나 이상의 칼슘, 비타민 D, 글루코사민 화합물, 예컨대 N-아세틸 글루코사민을 함유한다.
예를 들어, 강황과 뽕나무 근피 추출물의 1:1 비율 혼합물은 강황 또는 뽕나무 근피 추출물 단독과 비교하여 뼈 및 연골 건강 증진과 함께 유익한 상승작용 효과를 나타냈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뼈 장애, 연골 장애 또는 둘 다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뼈 장애, 연골 장애 또는 둘 다의 치료, 예방 또는 관리, 골 재흡수 최소화, 연골 퇴화 감소, 건강한 골밀도 증진, 뼈 무결성, 연골 무결성, 또는 둘 다의 보호, 뼈 건강, 연골 건강, 또는 둘 다에 영향을 주는 효소 작용의 약화, 골 밀도 증가 또는 유지, 뼈 기능, 연골 기능, 또는 둘 다의 개선, 관절 통증 완화, 관절 강직 완화, 관절의 이동 범위, 유연성, 또는 둘 다의 개선, 이동성 증진 및/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을 위한 방법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과 다른 측면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자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운카리아 추출물 및 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처리 및 처리 없이, MIA 유도 골관절염을 가진 래트에서 마이크로 CT 스캔에 의해 대퇴골과 무릎 관절 당 경골 모두를 평가한 골조직 형태를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뼈 건강, 연골 건강, 또는 둘 다의 개선에 사용하기 위한, 플라반 또는 커큐미노이드(curcuminoid)와 혼합된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 및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화합물을 제공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 및 레스베라트롤 화합물은 뽕나무(Morus alba) 식물 물질, 예컨대 뽕나무 뿌리로부터 추출된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플라반과 조합된 뽕나무 추출물은 임의로 뼈 건강, 연골 건강, 또는 둘 다의 관리제, 예컨대 칼슘(예를 들어 인산칼슘, 칼슘 프럭토보레이트, 탄산칼슘, 락트산칼슘, 글루콘산칼슘 또는 인산칼슘의 형태로 발견), 마그네슘, 붕소, 아연, 비타민 D, 비타민 K, 또는 다른 미네랄 및 비타민, 관절 건강을 증진하는 기타 건강 보조식품, 예컨대 글루코사민 화합물(글루코사민 황산염, 글루코사민 염산염, N-아세틸글루코사민 등), 콘드로이틴 황산염 및 메틸설포닐메탄, 히알루론산, ω-3 지방산(예컨대 에이코사펜타에노산, EPA 및 도코사헥사에노산, DHA), 가수분해 콜라겐(예를 들어, 소의 I형 콜라겐, 닭 흉골 II형 콜라겐에서 유래), 콜라겐 유래 펩티드 또는 콜라겐 아미노산의 혼합물, 잔토필 카로티노이드(예를 들어, 해양 박테리아, 조류, 갑각류, 어류에 분포하는 아스탁산틴(astaxanthin));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진통제, COX/LOX 억제제(예컨대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셀레콕시브); 신경성 동통 완화제, 약초 또는 식물 추출물(예컨대 보스웰리아(Boswellia) 추출물)과 추가로 조합된다.
다른 측면은 예컨대 골 구조, 연골 구조, 또는 둘 다의 유지, 골 재흡수 최소화, 연골 퇴화 예방, 골밀도 증가, 연골 무결성의 보호에 의한 건강한 관절 증진, 뼈 건강, 연골 건강, 또는 둘 다에 영향을 주는 효소 작용의 약화, 관절 운동 또는 기능 개선, 관절 통증 완화, 관절 불편함 완화, 관절 통증 및 불편함 완화, 관절 강직 완화, 관절의 이동 또는 유연성 범위 개선, 이동성 증진 등을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구체예들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한 구체적인 상세를 기재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이러한 상세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임의의 농도 범위, 백분율 범위, 비율 범위 또는 정수 범위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언급된 범위내 임의의 정수 값과, 적절하다면 그의 임의의 분수(예컨대, 해당 정수의 1/10과 1/100) 값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임의의 물리적 특징, 예컨대 폴리머 소단위, 크기 또는 두께와 관련하여 언급된 임의의 수 범위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언급된 범위내 임의의 정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약"과 "~로 필수적으로 구성된(consisting essentially of)"이란,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명시된 범위, 값 또는 구조의 ±20%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단수를 나타내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열거된 성분을 지칭한다. 대안(예를 들어, "또는")의 사용은 대안물 하나 또는 둘 다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내용 상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단어 "포함하다" 및 그의 변형, 예컨대 "포함한다" 및 "포함하는"뿐만 아니라 "함유하다"와 "가지다" 및 그의 변형 등의 동의어는 개방적인 포괄적 의미; 즉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체예" 또는 "구체예"에 대한 언급은 이 구체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특정 성질, 구조 또는 특징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구체예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체 명세서에 걸쳐 다양한 곳에서 "일 구체예에서" 또는 "구체예에서"라는 문구는 반드시 모두 동일한 구체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서 특정 성질, 구조 또는 특징들이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아미노"는 -NH2 라디칼을 지칭한다.
"시아노"는 -CN 라디칼을 지칭한다.
"히드록시" 또는 "히드록실"은 -OH 라디칼을 지칭한다.
"이미노"는 =NH 치환체를 지칭한다.
"니트로"는 -NO2 라디칼을 지칭한다.
"옥소"는 =O 치환체를 지칭한다.
"티옥소"는 =S 치환체를 지칭한다.
"알킬"은 1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C1-C12알킬), 또는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 (C1-C8 알킬) 또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C1-C6 알킬)를 갖는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즉, 하나 이상의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이 함유된) 탄소와 수소 원자만으로 구성된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 쇄 라디칼을 지칭하며, 이들은 단일 결합에 의해 분자의 나머지에 부착되는데,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1-메틸에틸 (이소-프로필), n-부틸, n-펜틸, 1,1-디메틸에틸 (t-부틸), 3-메틸헥실, 2-메틸헥실, 에테닐, 프로피-1-에닐, 부트-1-에닐, 펜트-1-에닐, 펜타-1,4-디에닐, 에티닐, 프로피닐, 부티닐, 펜티닐, 헥시닐 등이다. 명세서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알킬 그룹은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알킬렌" 또는 "알킬렌 쇄"는 1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포화되거나 불포화된(즉, 하나 이상의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이 함유됨), 탄소와 수소 만으로 구성되는, 라디칼 그룹에 분자의 나머지가 연결된 직쇄 또는 분지쇄 2가 탄화수소 사슬을 지칭하고, 예를 들어 메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n-부틸렌, 에테닐렌, 프로페닐렌, n-부테닐렌, 프로피닐렌, n-부티닐렌 등이다. 알킬렌 쇄는 단일 또는 이중 결합을 통하여 분자의 나머지, 그리고 단일 또는 이중 결합을 통하여 라디칼 그룹에 결합된다. 분자의 나머지와 라디칼 그룹에 대한 알킬렌 쇄의 결합 지점은 쇄 안에 1 개의 탄소 또는 임의의 2개의 탄소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알킬렌 쇄는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알콕시"는 식 -ORa의 라디칼을 말하며, 여기에서 Ra는 1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가 함유된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 라디칼이다.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알콕시 그룹은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알킬아미노"는 식 -NHRa 또는 -NRaRa의 라디칼을 말하며, 여기에서 각 Ra는 독립적으로 1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가 함유된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 라디칼이다.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알킬아미노 그룹은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티오알킬"은 식 -SRa의 라디칼을 말하며, 여기에서 Ra는 1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가 함유된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 라디칼이다.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티오알킬 그룹은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아릴"은 수소, 6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탄화수소 고리계 라디칼을 말한다. 본 명세서의 목적상, 아릴 라디칼은 단일환, 이환, 삼환 또는 사환 고리계일 수 있고, 이는 융합되거나 브릿지된 고리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아릴 라디칼은 아세안트릴렌, 아세나프틸렌, 아세페난트릴렌, 안트라센, 아줄렌, 벤젠, 크리센, 플루오란텐, 플루오렌, as-인다센, s-인다센, 인단, 인덴, 나프탈렌, 페날렌, 페난트렌, 플레이아덴, 피렌, 및 트리페닐렌으로부터 유도된 아릴 라디칼이다.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용어 "아릴" 또는 접두어 "아르-(ar-)"(예컨대 "아르알킬"에서)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라디칼이 포함됨을 의미한다.
"아르알킬"은 식 -Rb-Rc의 라디칼을 말하며, 여기에서 Rb는 상기에서 정의된 알킬렌 쇄이며, Rc는 상기에서 정의된 하나 이상의 아릴 라디칼, 예를 들어, 벤질, 디페닐메틸 등이다.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아르알킬 그룹은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사이클로알킬" 또는 "카르보사이클 고리"는 탄소와 수소 원자만으로 구성된 안정한 비-방향족 단일환 또는 다중환 탄화수소 라디칼을 말하며, 3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 또는 3개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융합되거나 브릿지된 고리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포화되거나 불포화되고, 단일 결합에 의해 분자의 나머지에 결합된다. 단일환 라디칼은, 예를 들어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헵틸, 및 사이클로옥틸을 포함한다. 다중환 라디칼은, 예를 들어 아다만틸, 노르보르닐, 데칼리닐, 7,7-디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타닐 등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사이클로알킬 그룹은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사이클로알킬알킬"은 식 -RbRd의 라디칼을 말하며, 여기에서 Rb는 상기에서 정의된 알킬렌 쇄이며, Rd는 상기에서 정의된 사이클로알킬 라디칼이다.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사이클로알킬알킬 그룹은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융합된(fused)"이란 본 명세서의 화합물에서 기존의 고리 구조에 융합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임의의 고리 구조를 지칭한다. 융합된 고리가 헤테로사이클릴 고리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인 경우,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 고리 또는 융합된 헤테로아릴 고리의 일부분이 되는 기존 고리 구조상의 임의의 탄소 원자는 질소 원자로 대체될 수 있다.
"할로" 또는 "할로겐"은 브로모, 클로로, 플루오로 또는 요오도를 지칭한다.
"할로알킬"은 상기에서 정의된 하나 이상의 할로 라디칼에 의해 치환된 상기에서 정의된 알킬 라디칼을 지칭하며, 예를 들어 트리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클로로메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1,2-디플루오로에틸, 3-브로모-2-플루오로프로필, 1,2-디브로모에틸 등이다.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할로알킬 그룹은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 고리"는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와 질소, 산소 및 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내지 6개의 헤테로원자로 구성된 안정한 3- 내지 18-원(membered)의 비-방향족 고리 라디칼을 지칭한다.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헤테로사이클릴 라디칼은 단일환, 이환, 삼환 또는 사환 고리계일 수 있으며, 융합되거나 브릿지된 고리계를 포함할 수 있고; 헤테로사이클릴 라디칼 내의 질소, 탄소 또는 황 원자는 임의로 산화될 수 있으며; 질소 원자는 임의로 사급화(quaternized)될 수 있고; 헤테로사이클릴 라디칼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포화될 수 있다. 이러한 헤테로사이클릴 라디칼의 예로는 디옥소라닐, 티에닐[1,3]디티아닐, 데카히드로이소퀴놀릴, 이미다졸리닐, 이미다졸리디닐, 이소티아졸리디닐, 이소옥사졸리디닐, 모폴리닐, 옥타히드로인돌릴, 옥타히드로이소인돌릴, 2-옥소피페라지닐, 2-옥소피페리디닐, 2-옥소피롤리디닐, 옥사졸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4-피페리도닐, 피롤리디닐, 피라졸리디닐, 퀴누클리디닐, 티아졸리디닐, 테트라히드로퓨릴, 트리티아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티오모폴리닐, 티아모폴리닐, 1-옥소-티오모폴리닐, 및 1,1-디옥소-티오모폴리닐이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헤테로사이클릴 그룹은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N-헤테로사이클릴"은 적어도 하나의 질소가 포함된 상기에서 정의된 헤테로사이클릴 라디칼을 지칭하며, 여기에서 헤테로사이클릴 라디칼이 분자의 나머지에 결합되는 지점은 헤테로사이클릴 라디칼 내 질소 원자를 통해서다.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N-헤테로사이클릴 그룹은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헤테로사이클릴알킬"은 식 -RbRe의 라디칼을 지칭하며, 여기에서 Rb는 상기에서 정의된 알킬렌 쇄이고, Re는 상기에서 정의된 헤테로사이클릴 라디칼이며, 헤테로사이클릴이 질소-함유 헤테로사이클릴인 경우, 헤테로사이클릴은 질소 원자에서 알킬 라디칼에 결합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헤테로사이클릴알킬 그룹은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헤테로아릴"은 수소 원자, 1 내지 13개의 탄소 원자, 질소, 산소 및 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내지 6개의 헤테로원자, 및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고리가 포함된 5- 내지 14-원 고리계 라디칼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의 목적상, 헤테로아릴 라디칼은 단일환, 이환, 삼환 또는 사환 고리계일 수 있으며, 융합되거나 브릿지된 고리계를 포함할 수 있고; 헤테로아릴 라디칼 내의 질소, 탄소 또는 황 원자는 임의로 산화될 수 있으며; 질소 원자는 임의로 사급화될 수 있다. 예로는 아제피닐, 아크리디닐,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티아졸릴, 벤즈인돌릴, 벤조디옥솔릴, 벤조퓨라닐, 벤조옥사졸릴, 벤조티아졸릴, 벤조티아디아졸릴, 벤조[b][1,4]디옥세피닐, 1,4-벤조디옥사닐, 벤조나프토퓨라닐, 벤조옥사졸릴, 벤조디옥솔일, 벤조디옥시닐, 벤조피라닐, 벤조피라노닐, 벤조퓨라닐, 벤조퓨라노닐, 벤조티에닐 (벤조티오페닐), 벤조트리아졸릴, 벤조[4,6]이미다조[1,2-a]피리디닐, 카르바졸릴, 신놀리닐, 디벤조퓨라닐, 디벤조티오페닐, 퓨라닐, 퓨라노닐, 이소티아졸릴, 이미다졸릴, 인다졸릴, 인돌릴, 인다졸릴, 이소인돌릴, 인돌리닐, 이소인돌리닐, 이소퀴놀릴, 인돌리지닐, 이속사졸릴, 나프티리디닐, 옥사디아졸릴, 2-옥소아제피닐, 옥사졸릴, 옥시라닐, 1-옥시도피리디닐, 1-옥시도피리미디닐, 1-옥시도피라지닐, 1-옥시도피리다지닐, 1-페닐-1H-피롤릴, 페나지닐, 펜토티아지닐, 페녹사지닐, 프탈라지닐, 프테리디닐, 퓨리닐, 피롤릴, 피라졸릴, 피리디닐,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피리다지닐,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퀴놀리닐, 퀴누클리디닐, 이소퀴놀리닐, 테트라히드로퀴놀리닐, 티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트리아지닐, 및 티오페닐(즉, 티에닐)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헤테로아릴 그룹은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N-헤테로아릴"은 적어도 하나의 질소가 포함된 상기에서 정의된 헤테로아릴 라디칼을 지칭하며, 여기에서 헤테로아릴 라디칼이 분자의 나머지에 결합되는 지점은 헤테로아릴 라디칼 내의 질소 원자를 통한다.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N-헤테로아릴 그룹은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헤테로아릴알킬"은 식 -RbRf의 라디칼을 지칭하며, 여기에서 Rb는 상기에서 정의된 알킬렌 쇄이며, Rf는 상기에서 정의된 헤테로아릴 라디칼이다.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헤테로아릴알킬 그룹은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치환된"이란 상기한 그룹들 중 임의의 그룹(즉, 알킬, 알킬렌, 알콕시, 알킬아미노, 티오알킬, 아릴, 아르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할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N-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사이클릴알킬, 헤테로아릴, N-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알킬)을 의미하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수소 원자는 비-수소 원자, 예컨대 할로겐 원자, 예컨대 F, Cl, Br, 및 I; 예컨대 히드록실 그룹, 알콕시 그룹, 및 에스테르 그룹 내의 산소 원자; 예컨대 티올 그룹, 티오알킬 그룹, 설폰 그룹, 설포닐 그룹, 및 설폭시드 그룹 내의 황 원자; 예컨대 아민, 아미드, 알킬아민, 디알킬아민, 아릴아민, 알킬아릴아민, 디아릴아민, N-옥시드, 이미드, 및 엔아민 내의 질소 원자; 예컨대 트리알킬실릴 그룹, 디알킬아릴실릴 그룹, 알킬디아릴실릴 그룹, 및 트리아릴실릴 그룹 내의 실리콘 원자; 및 다양한 다른 그룹 내의 다른 헤테로원자와의 결합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치환된"이란 또한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헤테로원자, 예를 들어 옥소, 카르보닐, 카르복실, 및 에스테르 그룹 내의 산소; 및 예를 들어 이민, 옥심, 히드라존, 및 니트릴 그룹 내의 질소에 고차 결합(예를 들어, 이중- 또는 삼중-결합)으로 대체된 상기 그룹들 중 임의의 그룹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치환된"이란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NRgRh, -NRgC(=O)Rh, -NRgC(=O)NRgRh, -NRgC(=O)ORh, -NRgSO2Rh, -OC(=O)NRgRh, -ORg, -SRg, -SORg, -SO2Rg, -OSO2Rg, -SO2ORg, =NSO2Rg, 및 -SO2NRgRh로 대체된 상기 그룹들 중 임의의 그룹을 포함한다. "치환된"이란 또한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C(=O)Rg, -C(=O)ORg, -C(=O)NRgRh, -CH2SO2Rg, -CH2SO2NRgRh로 대체된 상기 그룹들 중 임의의 그룹을 의미한다. 전술한 것에서, Rg 및 Rh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티오알킬, 아릴, 아르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할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N-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사이클릴알킬, 헤테로아릴, N-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알킬이다. "치환된"은 또한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아미노, 시아노, 히드록실, 이미노, 니트로, 옥소, 티옥소, 할로,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티오알킬, 아릴, 아르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할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N-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사이클릴알킬, 헤테로아릴, N-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알킬 그룹에 대한 결합으로 대체된 상기 그룹들 중 임의의 그룹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한 각 치환체는 하나 이상의 상기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글리코시드(glycoside)"는 당(sugar) 그룹이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하여 다른 그룹에 아노머(anomeric) 탄소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분자를 지칭한다. 예시적인 당에는 글루코스, 람노스, 만노스, 갈락토스, 아라비노스, 글루쿠로니드 등이 포함된다. 글리코시드는 O-(O-글리코시드), N-(글리코실아민), S-(티오글리코시드), 또는 C-(C-글리코시드) 글리코시드 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화합물들은 임의의 적합한 지점에서 글리코시드를 형성할 수 있다.
"프레닐(prenyl) 그룹"은 식
Figure 112021087634465-pat00001
의 5 탄소 주쇄를 포함하는 잔기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프레닐 그룹은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포함하거나/하고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된다. "프레닐"은
Figure 112021087634465-pat00002
라디칼을 지칭한다. 이소프레닐은
Figure 112021087634465-pat00003
라디칼(시스 또는 트랜스)을 지칭한다. 프레닐 그룹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며, 예컨대
Figure 112021087634465-pat00004
또는
Figure 112021087634465-pat00005
이다.
"프레닐페닐(prenylphenyl)"은 상기에서 정의된 프레닐 잔기에 연결된 페닐 모이어티를 지칭한다. 프레닐페닐은 분자내 적어도 하나의 프레닐 그룹이 있다면 치환된 페닐, 예컨대 플라보노이드 및 다른 치환된 페닐과 헤테로아릴을 포함한다. 치환된 페닐과 헤테로아릴의 경우에서, 프레닐 잔기는 페닐 고리에 직접적으로 결합될 필요는 없지만, 분자내 임의의 지점에 결합될 수 있다.
"칼콘(chalcone)"은 다음의 핵심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Figure 112021087634465-pat00006
칼콘은 상기 탄소 원자들 중 임의의 위치에서 다양하게 치환될 수 있다.
"전구약물(prodrug)"은 생리적 조건에서 또는 가용매분해에 의해 본 명세서의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로 전환될 수 있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따라서, 용어 "전구약물"은 약학적으로 및 식품의약적(nutraceutically)으로 허용가능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대사 전구체를 지칭한다. 전구약물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투여될 때 불활성일 수 있지만, 생체 내에서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로 전환된다. 전구약물은 전형적으로 생체 내에서, 예를 들어 혈액 또는 장 내 가수분해에 의해 신속하게 본 명세서의 모(parent) 화합물로 전환되거나 간에서 대사된다. 전구약물 화합물은 대개 포유동물 유기체 내에서 용해도, 조직 적합성 또는 지연 방출의 이점을 제공한다(Bundgard, H., Design of Prodrugs (1985), pp. 7-9, 21-24 (Elsevier, Amsterdam) 참조). 전구약물에 대한 언급은 [Higuchi, T., et al., A.C.S. Symposium Series, Vol. 14] 및 [Bioreversible Carriers in Drug Design, Ed. Edward B. Roche, American Pharmaceutical and Nutraceutical Association and Pergamon Press, 1987]에서 제공된다.
용어 "전구약물"은 또한 이러한 전구약물이 포유동물 대상에게 투여될 때 생체 내에서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을 방출하는 공유적으로 결합된 임의의 담체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전구약물은 통상적인 조작 또는 생체 내에서 본 발명의 모 화합물로 절단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 내에 존재하는 작용기를 변경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전구약물은 히드록시, 아미노 또는 머캅토 그룹은 임의의 그룹에 결합되고,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전구약물이 포유동물 대상에게 투여될 때, 자유 히드록시, 자유 아미노 또는 자유 머캅토 그룹으로 각각 절단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전구약물의 예로는 본 발명의 화합물 내 아민 작용기의 알코올 또는 아미드 유도체의 아세테이트, 포르메이트 및 벤조에이트 유도체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구조 (I)-(VI) 중 어느 하나의 모든 약학적 또는 식품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화합물을 포괄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상이한 원자량 또는 질량 번호를 갖는 원자로 대체된 하나 이상의 원자를 보유함으로써 동위원소적으로-표지된 것일 수 있다. 기술된 화합물에 혼입될 수 있는 동위원소의 예로는 수소, 탄소, 질소, 산소, 인, 불소, 염소, 및 요오드, 예컨대 2H, 3H, 11C, 13C, 14C, 13N, 15N, 15O, 17O, 18O, 31P, 32P, 35S, 18F, 36Cl, 123I, 및 125I를 각각 포함한다. 이러한 방사성 동위원소 표지 화합물은, 예를 들어 작용 부위 또는 방식, 또는 약리학적으로 중요한 작용 부위에 대한 결합 친화력을 특징화함으로써, 화합물들의 효능을 결정 또는 측정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구조 (I)-(VI) 중 어느 하나의 특정 동위원소-표지 화합물, 예를 들어 방사성 동위원소가 혼입된 것들은 약물 또는 기질의 조직 분포 연구에 유용하다. 방사성 동위원소 삼중수소, 즉 3H, 및 탄소-14, 즉 14C는 혼입의 용이성 및 탐지의 준비된 수단 측면에서 본 목적에 특히 유용하다.
더 무거운 동위원소, 예를 들어 중수소, 즉 2H로의 치환은 더 큰 대사 안정성, 예를 들어 생체 내 반감기 증가 또는 투여 요구량의 감소로 인하여 특정 치료 이점을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일부 환경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양전자방출 동위원소, 예를 들어 11C, 18F, 15O 및 13N로의 치환은 기질 수용체 점유를 실험하는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에 유용할 수 있다. 구조 (I)-(VI) 중 어느 하나의 동위원소-표지 화합물들은 일반적으로 당업자에 공지된 통상적인 기술에 의해, 또는 기존에 사용된 비-표지된 시약을 대신하여 적절한 동위원소-표지 시약을 사용하여 본 원에서 제시된 바와 같은 제조 및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기술된 화합물의 생체 내 대사 산물을 포괄한다. 이러한 산물은, 예를 들어 투여된 화합물의 주로 효소 과정으로 인한 산화, 환원, 가수분해, 아미드화, 에스테르화 등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대사 산물을 얻는데 충분한 기간 동안 포유동물에게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생성된 화합물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산물은 전형적으로 동물, 예를 들어 래트, 마우스, 기니피그, 개, 고양이, 돼지, 양, 말, 원숭이 또는 인간에게 본 발명의 방사성 동위원소 표지 화합물의 탐지가능한 투여 분량을 투여하고, 대사가 일어나도록 충분한 시간을 허용하고, 소변, 혈액 또는 다른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이 화합물의 전환 산물을 단리함으로써 확인된다.
"안정한 화합물" 및 "안정한 구조"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유용한 수준의 순도를 가지도록 단리될 수 있고, 효과적인 치료 물질로 제형화되는데 충분한 강도를 가진 화합물을 지칭한다.
"포유동물"은 인간 및 가축, 예를 들어 실험실 동물 또는 가정용 반려동물 (예를 들어, 래트, 마우스, 기니피그, 고양이, 개, 돼지, 소, 양, 염소, 말, 토끼, 영장류), 그리고 비-가축, 예를 들어 야생동물 등을 포함한다.
"임의적인" 또는 "임의로"란 후속적으로 기술된 요소, 성분, 사건 또는 환경이 일어날 수도 또는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하며, 요소, 성분, 사건 또는 환경이 발생한 경우와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임의로 치환된 아릴"은 아릴 라디칼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하며, 다시 말해서 치환된 아릴 라디칼과 치환을 갖지 않는 아릴 라디칼 모두를 포함한다는 의미가 된다.
"약학적으로 또는 식품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는 미국 식품의약국에서 인간 및 가축에게 사용이 승인된 임의의 어쥬번트, 담체, 부형제, 활택제(glidant), 감미제, 희석제, 보존제, 염료/착색제, 풍미 보강제, 계면활성제, 습윤제, 분산제, 현탁제, 안정화제, 등장화제, 용매, 또는 유화제를 포함한다.
"약학적으로 또는 식품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산 및 염기 부가염 모두를 포함한다.
"약학적으로 또는 식품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은 자유 염기의 생물학적 효능 및 특성을 보유하고, 생물학적으로 또는 달리 비바람직하지 않으며, 무기산, 예를 들어 염산, 브롬산, 황산, 질산, 인산 등과, 유기산, 예를 들어 아세트산, 2,2-디클로로아세트산, 아디프산, 알긴산, 아스코르브산, 아스파르트산, 벤젠설폰산, 벤조산, 4-아세트아미도벤조산, 캄포르산, 캄포르-10-설폰산, 카프르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본산, 신남산, 시트르산, 사이클람산, 도데실설폰산, 에탄-1,2-디설폰산, 에탄설폰산, 2-히드록시에탄설폰산, 포름산, 푸마르산, 갈락타르산, 겐티스산, 글루코헵톤산, 글루콘산, 글루쿠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 2-옥소-글루타르산, 글리세로포스포린산, 글리콜산, 힙푸르산, 이소부티르산, 락트산, 락토비온산, 라우르산, 말레산, 말산, 말론산, 만델산, 메탄설폰산, 뮤신산, 나프탈렌-1,5-디설폰산, 나프텔렌-2-설폰산, 1-히드록시-2-나프토산, 니코틴산, 올레산, 오로트산, 옥살산, 팔미트산, 파모산, 프로피온산, 피로글루탐산, 피루브산, 살리실산, 4-아미노살리실산, 세바스산, 스테아르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티오시안산, p-톨루엔설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운데실렌산 등으로 형성된 염을 지칭한다.
"약학적으로 또는 식품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 부가염"은 자유산의 생물학적 효능 및 특성을 보유하고, 생물학적으로 또는 달리 비바람직하지 않은 염을 지칭한다. 이들 염은 무기 염기 또는 유기 염기를 자유산에 첨가하여 제조된다. 무기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은 나트륨, 칼륨, 리튬, 암모늄, 칼슘, 마그네슘, 철, 아연, 구리, 망간, 알루미늄염 등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 있어서, 무기염은 암모늄, 나트륨, 칼륨, 칼슘, 또는 마그네슘 염이다. 유기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은 1차, 2차, 3차 아민,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치환된 아민을 포함한 치환된 아민, 환식 아민, 및 염기성 이온교환수지, 예를 들어 암모니아, 이소프로필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디에탄올아민, 에탄올아민, 데아놀, 2-디메틸아미노에탄올, 2-디에틸아미노에탄올, 디사이클로헥실아민,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프로카인, 히드라바민, 콜린, 베타인, 베네타민, 벤자틴, 에틸렌디아민, 글루코사민, 메틸글루카민, 테오브로민, 트리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퓨린, 피페라진, 피페리딘, N-에틸피페리딘, 폴리아민 수지 등의 염을 포함한다. 특히 유용한 유기 염기는 이소프로필아민, 디에틸아민, 에탄올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사이클로헥실아민, 콜린 또는 카페인을 포함한다.
보통 결정화에 의해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매화물이 생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용매화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하나 이상의 분자와 하나 이상의 용매 분자를 포함하는 회합체(aggregate)를 지칭한다. 용매는 물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용매화물은 수화물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용매는 유기용매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1수화물, 2수화물, 반수화물, 세스퀴수화물(sesquihydrate), 3수화물, 4수화물 등을 포함하는 수화물뿐만 아니라 상응하는 용매화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화합물은 진정한 용매화물일 수 있고, 다른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순히 우연적으로 물을 함유하거나, 또는 물과 일부 우연적인 용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의약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과 포유동물, 예를 들어 인간에게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의 전달을 위하여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매질의 제제(formulation)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독 조성물(stand alone composition)로서 또는 처방약, 처방전 없이 구입하는 일반의약품(OTC), 식물성 약품(botanical drug), 한약(herbal medicine), 동종요법 물질(homeopathic agent), 또는 정부에서 검토하고 승인한 건강관리제품의 다른 형태의 성분으로 제제화되거나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식품의약적 조성물은 단독 조성물로 제제화 또는 사용되거나, 음식, 새로운 음식, 기능 식품, 음료, 바(bar), 식용 향료, 식품 첨가제, 의료 식품, 식이 보충제 또는 허브 제품에서 영양 또는 생활성 성분으로 제제화되거나 사용될 수 있다.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매질은 약학적으로 또는 식품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이 강화된(enriched for)"이란 추출 또는 다른 제조 과정 전에 식물 물질 또는 다른 공급원의 중량으로 발견된 하나 이상의 활성 화합물의 양 또는 활성과 비교하였을 때, 하나 이상의 활성 화합물의 양 또는 활성에서 적어도 2배 내지 최대 약 1000-배 증가한 식물 추출물 또는 다른 조제물(preparation)을 지칭한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추출 또는 다른 제조 과정 전 식물 물질 또는 다른 원료의 중량은 건중량, 습윤중량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주요 활성 성분(ingredient)" 또는 "주요 활성 성분(component)"는 식물 추출물 또는 다른 조제물에서 발견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식물 추출물 또는 다른 조제물에 강화된 하나 이상의 활성 화합물을 지칭한다. 특정 구체예에 있어서, 강화(enriched) 추출물의 주요 활성 성분은 이 추출물에 강화된 하나 이상의 활성 화합물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주요 활성 성분은 다른 추출물 성분과 비교하였을 때, 하나 이상의 측정가능한 생물학적 활성 또는 효과의 대부분(즉, 50% 이상)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여한다. 특정 구체예에 있어서, 주요 활성 성분은 추출물의 중량 비율로는 소수 성분일 수 있지만(예를 들어, 추출물 내에 포함된 성분 중 50%, 25%, 20%, 15%, 10%, 5%, 또는 1% 미만), 원하는 생물학적 활성의 대부분을 제공한다. 주요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임의의 조성물은 또한 주요 활성 성분의 수준이 아니라 강화된 조성물의 약학 또는 식품의약적 활성에 기여하거나 기여하지 않는 소수의 활성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으며, 소수 활성 성분 단독은 주요 활성 성분 없이 효과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
"유효량(Effective amount)" 또는 "치료적 유효량"은 포유동물, 예를 들어 인간에게 투여될 때 다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치료를 나타내는데 충분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양을 지칭한다: (1) 포유동물에서 뼈 및 연골의 손실을 치료 또는 예방하고; (2) 뼈 및 연골 건강을 증진하고; (3) 포유동물에서 뼈 및 연골의 손실을 억제하고; (4) 포유동물에서 골 밀도를 증가시키고; (5) 포유동물에서 골다공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고; (6) 포유동물에서 뼈 및 연골의 염증을 개선하고; (7) 뼈 및 연골의 무결성을 보호한다. "치료적 유효량"으로 구성된 본 명세서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양은 화합물, 치료되고 있는 상태 및 그의 중증도, 투여 방식, 치료 기간 또는 치료될 대상의 체중과 연령에 따라 달라질 것이지만, 당업자의 고유한 지식 및 본 명세서와 관련하여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보충제(supplement)"는 자연 상태 또는 생물학적 과정과 연관된 특정 상태, 구조 또는 기능을 개선, 증진, 지지, 증가, 조절, 관리, 제어, 유지, 최적화, 변형, 감소, 억제 또는 예방하는 제품이다(즉, 질환을 진단, 치료, 완화, 치유 또는 예방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아님). 특정 구체예에서, 보충제는 식이 보충제이다. 예를 들어, 뼈 및 연골 건강과 연관된 상태와 관련하여, 식이 보충제는 뼈 및 연골 무결성 유지, 골 재흡수 최소화, 연골 퇴화 최소화, 뼈 및 연골 무결성의 보호에 의한 건강한 뼈 및 연골 증진, 뼈 및 연골 건강에 영향을 주는 효소 작용 약화, 골다공증 상태 개선, 뼈 재건 지지, 통증 완화, 불편감 완화, 강직 완화, 이동 범위 향상, 유연성 향상, 이동성 증진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있어서, 식이 보충제는 특정 범주의 식이, 음식 또는 둘 다이며, 약물은 아니다.
"치료하는(treating)" 또는 "치료(treatment)" 또는 "개선"이란 관심 질환 또는 상태를 갖거나 갖는 것으로 의심되는 포유동물, 예를 들어 인간에게서 관심 질환 또는 상태의 치료적 처치 또는 예방/방지 처치를 지칭하며,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i) 포유동물에서 이 질환 또는 상태의 발생을 방지, 특히 이러한 포유동물은 이 상태에 걸리기 쉽지만, 아직 걸린 것으로 진단받지는 않았을 때; (ii) 이 질환 또는 상태를 억제, 즉, 발병을 억제; (iii) 이 질환 또는 상태를 완화, 즉 이 질환 또는 상태의 퇴행을 야기; 또는 (iv) 기저 질환 또는 상태를 해결하지 않고, 이 질환 또는 상태로 인한 증상을 완화(예를 들어, 통증 완화, 염증 감소, 연골 손실 감소, 골 밀도 증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질환" 및 "상태"는 호환될 수 있거나, 또는 특정의 심각한 문제 또는 상태가 공지의 원인 물질을 가지지 않을 수 있고(따라서 병인은 아직 알아내지 못함), 그에 따라 질환으로서가 아니라, 단지 바람직하지 못한 상태 또는 증상으로서만 인식된다는 점에서 상이할 수 있으며, 이때 다소 특정한 일련의 증상들은 임상의에 의해 확인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의 조성물과 방법은, 예를 들어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둘 다를 치료, 관리 또는 개선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통계학적 유의성(statistical significance)"은 Students t-검정을 사용하여 산출된 0.050 이하의 p 값을 지칭하며, 특정 사건 또는 결과는 우연에 의해 일어날 가능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화학적 명명방법 및 구조 다이아그램은 I.U.P.A.C. 명명 체계의 변형된 형태이며, ACD/Name Version 9.07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ChemDraw Ultra Version 11.0 소프트웨어 명명 프로그램(CambridgeSoft)을 사용하였고, 여기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중심 코어 구조, 예를 들어 이미다조피리딘 구조의 유도체로서 본 명세서에서 명명되었다. 본 명세서에 적용된 복잡한 화학명에 있어서, 치환체 그룹은 결합하고 있는 그룹의 앞에 기재하였다. 예를 들어, 사이클로프로필에틸은 사이클로프로필 치환체를 갖는 에틸 주쇄를 포함한다. 이하에 기술된 것을 제외하고, 모든 결합은 본 명세서의 화학 구조 다이아그램에서 확인되며, 원자가를 완성하기 위해 충분한 수소 원자에 결합된 것으로 보이는 일부 탄소 원자는 제외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플라보노이드는 플라반, 플라본, 플라보놀, 플라바논, 플라바노놀, 이소플라보노이드, 네오플라보노이드, 칼콘, 아릴벤조퓨란 등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I)으로 표시된다:
Figure 112021087634465-pat00007
상기 화학식 (III)에서, R1-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프레닐 그룹, 칼콘, 글리코시드, 할로겐, 설프히드릴, 아미노, 알데히드, C1-12 알킬, C1-12 알콕시, C1-12 알크티오, C1-12 알키아미노,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알킬카르보닐, 아르알킬카르보닐, 또는 화학식 (III) 또는 (IV)의 화합물과의 결합이거나; R1-R12 중 하나가 R1-R12 중 다른 하나와 함께 고리를 형성하고, 나머지 R1-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프레닐 그룹, 플라보노이드, 칼콘, 글리코시드, 할로겐, 설프히드릴, 아미노, 알데히드, C1-12 알킬, C1-12 알콕시, C1-12 알크티오, C1-12 알키아미노,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알킬카르보닐, 아르알킬카르보닐 또는 화학식 (III) 또는 (IV)의 화합물과의 결합이되, 단 모든 원자가는 만족된다(예를 들어, 임의의 이중결합이 고리 C 내에 존재하면, R12가 없으며 R10 또는 R11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지 않는다). 특정 구체예에서, R1-R12 중 적어도 하나는 프레닐 그룹, 예를 들어
Figure 112021087634465-pat00008
또는
Figure 112021087634465-pat00009
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임의의 이중결합이 고리 C 내에 존재하고, R11과 R12는 존재하지 않고 R10은 프레닐 그룹이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R1-R9 중 적어도 하나는 프레닐 그룹이고, R10-R1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히드록실이다. 소정의 특정 구체예에서,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는 알바닌(Albanin) G, 쿠와논(Kuwanon) G, 모루신(Morusin),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V)로 표시된다:
Figure 112021087634465-pat00010
상기 화학식 (IV)에서, R1-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프레닐 그룹, 플라보노이드, 칼콘, 글리코시드, 할로겐, 설프히드릴, 아미노, 알데히드, C1-12 알킬, C1-12 알콕시, C1-12 알크티오, C1-12 알키아미노,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알킬카르보닐, 아르알킬카르보닐, 또는 화학식 (III) 또는 (IV)의 화합물과의 결합이거나; R1-R12 중 하나가 R1-R12 중 다른 하나와 함께 고리를 형성하고, 나머지 R1-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프레닐 그룹, 플라보노이드, 칼콘, 글리코시드, 할로겐, 설프히드릴, 아미노, 알데히드, C1-12 알킬, C1-12 알콕시, C1-12 알크티오, C1-12 알키아미노,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알킬카르보닐, 아르알킬카르보닐 또는 화학식 (III) 또는 (IV)의 화합물과의 결합이되, 단 모든 원자가는 만족된다(예를 들어, 임의의 이중결합이 고리 C 내에 존재하면, R12가 없으며 R10 또는 R11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지 않는다). 특정 구체예에서, R1-R12 중 적어도 하나는 프레닐 그룹, 예를 들어
Figure 112021087634465-pat00011
또는
Figure 112021087634465-pat00012
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임의의 이중결합이 고리 C 내에 존재하고, R11과 R12는 존재하지 않고 R10은 프레닐 그룹이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R1-R9 중 적어도 하나는 프레닐 그룹이고, R10-R1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히드록실이다. 소정의 특정 구체예에서,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는 알바닌(Albanin) G, 쿠와논(Kuwanon) G, 모루신(Morusin), 모루시놀, 상게논(Sanggenon), 이소잔토휴몰(isoxanthoumol), 글라브리딘, 카타야논 A,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칼코노이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V)로 표시된다:
Figure 112021087634465-pat00013
상기 화학식 (V)에서, R1-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프레닐 그룹, 플라보노이드, 칼콘, 글리코시드, 할로겐, 설프히드릴, 아미노, 알데히드, C1-12 알킬, C1-12 알콕시, C1-12 알크티오, C1-12 알키아미노,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알킬카르보닐, 또는 아르알킬카르보닐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R1-R10 중 적어도 하나는 프레닐 그룹, 예를 들어
Figure 112021087634465-pat00014
또는
Figure 112021087634465-pat00015
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임의의 이중결합이 고리 C 내에 존재하고, R11과 R12는 존재하지 않고 R10은 프레닐 그룹이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R1-R9 중 적어도 하나는 프레닐 그룹이고, R10-R1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히드록실이다. 소정의 특정 구체예에서, 칼코노이드 화합물은 잔토휴몰(xanthohumol)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스틸벤 화합물은 화학식 (I)의 (E)-스틸벤 (트랜스 이성체) 구조 또는 화학식 (II)의 (Z)-스틸벤 (시스 이성체) 구조이다:
Figure 112021087634465-pat00016
상기 화학식에서, R1-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글리코시드, 프레닐 그룹, 플라보노이드, 칼콘, 할로겐, 설프히드릴, 아미노, 알데히드, C1-12 알킬, C1-12 알케닐, C1-12 알콕시, C1-12 알크티오, C1-12 알키아미노,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알킬카르보닐, 또는 아르알킬카르보닐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R1-R10 중 적어도 하나는 프레닐 그룹, 예를 들어
Figure 112021087634465-pat00017
또는
Figure 112021087634465-pat00018
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R1, R5, R6 및 R10은 H이다. 다른 추가 구체예에서, R2는 글루코시드이거나 R2 및 R8가 글리코시드이고, R4, R9 및 R10 중 하나 이상이 히드록실이다. 또다른 추가 구체예에서, R1, R5, 및 R6는 H이고 R2-R4 및 R7-R10 중 하나 이상은 독립적으로 히드록실, C1-3 알콕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다. 소정의 특정 구체예에서, 스틸벤은 옥시레스베라트롤, 레스베라트롤, 피시아탄올, 피노실빈, 3,4'-디히드록시스틸벤, 콤브레타스타틴 A-1, 프테로스틸벤, 라폰티게닌을 포함하고, 스틸벤 글리코시드는 멀베로시드(mulberroside) A, 라폰티신(rhaponticin), 피세이드, 아스트린진, 또는 스틸벤 또는 스틸벤 글리코시드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상기한 화학식 (I) 내지 (VI)의 화합물과 화학식 (I) 내지 (VI)의 화합물에 대해 본 명세서에 나열된 임의의 특정 치환체의 임의의 구체예는 독립적으로 화학식 (I) 내지 (VI)의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의 다른 구체예 또는 치환체와 조합하여 위에서 구체적으로 나열하지 않은 본 발명의 구체예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치환체 목록이 특정 구체예 또는 청구항의 특정한 임의의 R 그룹으로 나열된 경우에 각각의 개별 치환체는 특정 구체예 또는 청구항으로부터 삭제될 수 있으며 치환체들의 남은 목록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투여 목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조성물은 가공되지 않은(raw) 화학물질로 투여되거나, 약학적 또는 식품의약적 조성물로 제제화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약학적 또는 식품의약적 조성물은 화학식 (I) 내지 (VI)을 갖는 화합물 어느 하나 이상과 약학적 또는 식품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화학식 (I) 내지 (VI)의 화합물은 관심 있는 특정 질환 또는 상태를 치료하는데 유효한 양으로 조성물 내에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으로 존재한다. 화학식 (I) 내지 (VI) 중 어느 하나로 기술된 화합물로 관절 건강을 증진, 관리 또는 개선하거나 질환을 치료하는 것은,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당업자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과 (예를 들어, 약학적, 식품의약적) 조성물은 뼈 건강 증진; 뼈 건강 개선; 뼈 건강 유지; 뼈 장애의 치료 또는 관리; 뼈 건강 지지; 운동 및/또는 유연성의 정상 및 편안한 범위 지지; 운동 및/또는 유연성 범위 개선; 뼈를 퇴화시키는 유해 효소 작용 감소; 골 흡수에 영향을 주는 효소 작용의 변경; 정상적인 뼈 기능과 함께 운동 개선; 물리적 이동성 개선; 물리적 이동성의 관리 및/또는 유지; 골 손실로 인한 통증 및/또는 강직성 완화; 물리적 기능 개선; 유연성 및 편안한 움직임의 증진 또는 강화; 건강한 뼈 기능과 안락감 증진; 뼈 불쾌감 완화; 운동, 작업, 과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야기된 뼈 불쾌감의 완화; 연골 무결성을 보호하여 건강한 뼈 증진; 관절 연골 유지; 관절 연골 지지; 연골 퇴화 치료, 예방 또는 관리; 연골 퇴화 최소화; 관절 윤활액 유지에 의한 관절 건강 또는 편안함 증진; 관절의 안정성 및 관절 유연성 지지; 관절 활성화 및 이동성 증진; 유연한 관절 및 강한 연골 증진; 증강된 유연성 및/또는 강도를 지지하는 관절의 정상 혈류 유지; 운동, 작업, 과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후 관절의 편안함과 폭넓은 운동 범위의 증진;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임의의 다른 관련 증상에 충분하고, 일반적으로 환자에게 허용가능한 독성을 갖는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과 (예를 들어, 약학적, 식품의약적) 조성물은 뼈 장애, 연골 장애, 또는 둘 모두를 예방하거나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그러한 골연골이형성증은 골다공증, 골관절염, 골괴사, 골증식, 골절, 대사성 골질환, 골연골염 질환, 골 연골종, 변형성 골염, 낭성 섬유성 골염, 치골염, 치밀화 골염, 골형성 부전증, 골연화증(구루병), 골수염, 골감소증 또는 임의의 다른 뼈 및 연골 관련 증상을 치료하는데 충분하고 일반적으로 환자에게 허용가능한 독성을 갖는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순수한 형태 또는 적절한 약학 또는 식품의약적 조성물에 포함된 본 명세서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또는 식품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투여는 유사한 용도를 제공하는 약제의 수용된 임의의 투여 방식을 통하여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약학 또는 식품의약적 조성물은 본 명세서의 화합물에 적절한 약학적으로 또는 식품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조합하여 제조될 수 있고, 고체, 반-고체, 액체 또는 기체 형태, 예를 들어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연고, 용액, 좌약, 주사, 흡입제, 겔, 미소구, 및 에어로졸의 조제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약학 또는 식품의약적 조성물의 투여를 위한 일반적인 경로에는 구강, 국소, 경피, 흡입, 비경구, 설하, 볼, 직장, 질 또는 비강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비경구란 용어는 피하 주사, 정맥내, 근육내, 흉골내 주사 또는 주입 기술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의 약학 또는 식품의약적 조성물은 환자에게 이 조성물이 투여될 때 이 안에 포함된 활성 성분들이 생물학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제제화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대상 또는 환자에게 하나 이상의 용량 단위 형태로 투여되는데, 여기에서, 예를 들어 정제는 단일 용량 단위일 수 있고, 에어로졸 형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기는 복수 용량 단위를 보유할 수 있다. 용량 형태를 조제하는 실제 방법은 공지되어 있거나, 당업자에게 자명하고, 예를 들어,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0판 (Philadelphia College of Pharmacy and Science, 2000)을 참고한다. 투여될 조성물은 임의의 경우에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관심 질환 또는 상태를 치료하기 위하여 치료요법적 유효량의 본 명세서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또는 식품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한다.
본 명세서의 약학적 또는 식품의약적 조성물은 고체 또는 액체 형태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담체(들)은 미립자이고, 따라서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정제 또는 분말 형태로 있다. 담체(들)은 액체이며, 조성물은, 예를 들어 경구 시럽, 주사가능한 액체 또는 에어로졸일 수 있고, 에어로졸은 예를 들어 흡입 투여에 유용하다.
경구 투여로 의도되는 경우, 약학적 또는 식품의약적 조성물은 고체 또는 액체 형태일 수 있고, 여기에서 반-고체, 반-액체, 현탁액 및 겔 형태는 고체 또는 액체로서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형태 내에 포함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체 조성물로서, 약학 또는 식품의약적 조성물은 분말, 과립, 압축 정제, 알약, 캡슐, 츄잉 검, 웨이퍼, 바(bar), 또는 유사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고체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불활성 희석제 또는 식용 담체를 일반적으로 함유할 것이다. 또한, 다음 중 하나 이상이 존재할 수 있다: 결합제,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에틸 셀룰로스, 사이클로덱스트린, 미정질 셀룰로스, 트라가칸트 검 또는 젤라틴; 부형제, 예를 들어 전분, 락토스 또는 덱스트린, 붕해제, 예를 들어 알긴산, 알긴산 나트륨, Primogel, 옥수수 전분 등; 윤활제, 예를 들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Sterotex®; 활택제, 예를 들어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감미제, 예를 들어 슈크로즈 또는 사카린; 풍미제, 예를 들어 페퍼민트, 메틸 살리실산염 또는 오렌지 풍미제; 및 착색제.
약학 또는 식품의약적 조성물이 캡슐, 예를 들어 젤라틴 캡슐 형태로 있는 경우, 이는 상기 유형의 물질에 추가하여, 액체 담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약학 또는 식품의약적 조성물은 액체 형태, 예를 들어 엘릭시르, 시럽, 겔, 용액, 에멀젼 또는 현탁액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액체는 두 가지 예로써 경구 투여 또는 주사에 의한 전달을 위한 것일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의도한 경우, 유용한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에 추가하여, 하나 이상의 감미제, 보존제, 염료/착색제 그리고 풍미 보강제를 포함한다. 주사에 의해 투여되도록 의도된 조성물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보존제, 습윤제, 분산제, 현탁제, 완충액, 안정화제 및 등장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약학 또는 식품의약적 액체 조성물은, 조성물이 용액, 현탁액 또는 다른 유사 형태인지와 상관없이, 하나 이상의 다음 어쥬번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멸균 희석제, 예를 들어 주사용수, 식염 용액, 예를 들어 생리학적 염수, Ringer 용액, 등장 염화나트륨,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 작용될 수 있는 고정 오일, 예를 들어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리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다른 용매; 항균제, 예를 들어 벤질 알코올 또는 메틸 파라벤; 항산화제,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 또는 중아황산나트륨; 킬레이트제,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완충액, 예를 들어 탄산염, 시트르산염, 아세트산염, 락트산염, 글루콘산염 또는 인산염 및 강장성 조정 물질,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 또는 덱스트로즈. 비경구 조제물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앰플, 1회용 주사기, 다중 분량 바이알에 동봉될 수 있다. 생리적 염수가 일반적으로 유용한 어쥬번트이다. 주사가능한 약학 또는 식품의약적 조성물은 살균된다.
비경구 또는 경구 투여용으로 의도된 액체 형태의 약학 또는 식품의약적 조성물은 적합한 용량을 얻도록 본 명세서의 화합물 양을 포함해야 한다.
본 명세서의 약학 또는 식품의약적 조성물은 국소 투여용으로 의도될 수 있고, 이 경우 담체는 용액, 에멀젼, 크림, 로션, 연고, 또는 겔 기재를 적절하게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셀린, 라놀린, 폴리에틸렌 글리콜, 벌 밀랍, 미네랄 오일, 희석제, 예를 들어 물과 알코올, 및 유화제와 안정화제. 증점제는 국소 투여용 약학 또는 식품의약적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경피 투여가 의도되는 경우, 조성물은 경피 패치 또는 이온이동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약학 또는 식품의약적 조성물은 직장 투여용, 예를 들어 좌약 형태일 수 있으며, 이것은 직장에서 용해되어 약물을 방출하게 된다. 직장 투여용 조성물은 적합한 비자극 부형제로서 유지성(oleaginous)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재는 라놀린, 코코아 버터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약학 또는 식품의약적 조성물은 고체 또는 액체 용량 단위의 물리적 형태를 변형시키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성물은 활성 성분들 주변에 코팅쉘을 형성하는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쉘을 형성하는 물질들은 전형적으로 불활성이며, 예를 들어 당, 셀락, 및 다른 장용코팅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활성 성분들은 젤라틴 캡슐안에 포함될 수 있다.
고체 또는 액체 형태의 본 명세서의 약학 또는 식품의약적 조성물은 본 명세서의 화합물에 결합되고, 이로 인하여 이 화합물의 전달을 지지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능력에 작용할 수 있는 적합한 물질은 단일클론성 또는 다중클론성 항체, 단백질 또는 리포좀을 포함한다.
고체 또는 액체 형태의 본 명세서의 약학 또는 식품의약적 조성물은 예를 들어, 생체이용가능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입자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부형제를 갖거나 갖지 않는 조성물 내 분말, 과립, 입자, 미세구 등의 크기는 크기 및 벌크 밀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마크로(예를 들어, 눈에 보이는 크기 또는 크기가 최소한 100 μm), 마이크로(예를 들어, 크기가 약 100 μm 내지 약 100 nm 범위), 나노(예를 들어, 100 nm 이하의 크기일 수 있음), 및 이들 사이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 범위 내 임의의 크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약학 또는 식품의약적 조성물은 에어로졸로 투여될 수 있는 용량 단위로 구성될 수 있다. 용어 에어로졸은 콜로이드 성질인 것들부터 가압된 패키지로 구성된 시스템까지 다양한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액화 또는 압축 가스에 의해 또는 활성 성분들을 분배하는 적합한 펌프 시스템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화합물의 에어로졸은 활성 성분(들)을 전달하기 위하여 단일 상, 이중상(bi-phasic), 또는 삼중상 시스템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에어로졸의 전달은 필수 용기, 활성제, 밸브, 하위용기 등을 포함하고, 이들이 함께 키트를 이룰 수 있다. 당업자는 과도한 실험없이 가장 적절한 에어로졸(들)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약학 또는 식품의약적 조성물은 약학 또는 기능식품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사에 의해 투여되도록 의도된 약학 또는 식품의약적 조성물은 용액을 형성하기 위하여 멸균 증류수와 본 명세서의 화합물을 조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균질 용액 또는 현탁액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수성 전달계에서 화합물의 용해 또는 균질 현탁액이 가능하도록 본 명세서의 화합물과 비-공유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화합물이다.
본 명세서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 또는 식품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치료적 유효량으로 투여되며, 이 유효량은 사용된 특정 화합물의 활성; 이 화합물의 대사 안정성 및 작용 기간; 환자의 연령, 체중, 전반적인 건강, 성별 및 식이요법; 투여 방식 및 시간; 배출 속도; 약물 조합; 특정 장애 또는 상태의 중증도; 및 대상이 받고 있는 요법이 포함된 다양한 인자들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한다.
본 명세서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또는 식품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도체들은 또한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의 투여와 동시에, 이들보다 먼저 또는 나중에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조합 요법은 본 명세서의 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추가 활성 물질이 포함된 단일 약학 또는 식품의약적 용량 제제의 투여뿐만 아니라 고유의 별개의 약학 또는 식품의약적 용량 제제 내의 각 활성 물질과 본 명세서의 화합물의 투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화합물과 또다른 활성 물질은 함께 단일 경구 용량 조성물로,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거나, 또는 각 물질이 별개의 경구 용량 제제로 투여될 수 있다. 별개의 용량 제형이 사용되는 경우, 본 명세서의 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추가 활성 물질은 기본적으로 같은 시간, 즉 동시에 투여될 수 있거나, 또는 별도로 시차를 두고, 즉 연속적으로 투여될 수 있고; 조합 요법은 이들 모든 섭생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화학식의 치환체 또는 변수들의 조합은 이러한 조합에 의해 안정적인 화합물을 얻는 경우에만 허용가능하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기술된 공정에서 중간체 화합물의 작용기가 적합한 보호기에 의해 보호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기는 히드록시, 아미노, 머캅토 및 카르복실산을 포함한다. 히드록시의 적합한 보호기는 트리알킬실릴 또는 디아릴알킬실릴(예를 들어, t-부틸디메틸실릴, t-부틸디페닐실릴 또는 트리메틸실릴), 테트라히드로피라닐, 벤질 등을 포함한다. 아미노, 아미디노 및 구아니디노의 적합한 보호기는 t-부톡시카르보닐, 벤질옥시카르보닐 등을 포함한다. 머캅토의 적합한 보호기는 -C(O)-R"(여기에서 R"는 알킬, 아릴 또는 아릴알킬임), p-메톡시벤질, 트리틸 등을 포함한다. 카르복실산의 적합한 보호기는 알킬, 아릴 또는 아릴알킬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보호기는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표준 기술에 따라 추가 또는 제거될 수 있다. 보호기의 용도는 Green, T.W. and P.G.M. Wutz,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1999), 3rd Ed., Wiley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당업자가 인지하는 바와 같이, 보호기는 또한 폴리머 수지, 예를 들어 Wang 수지, Rink 수지 또는 2-클로로트리틸-클로라이드 수지일 수 있다.
당업자들이라면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이러한 보호된 유도체들이 비록 그 자체로 약리학적 활성을 보유하지 못하지만, 포유동물에게 투여되고, 그 이후 체내에서 대사되어 약제학적으로 활성인 본 명세서의 화합물이 형성될 수 있음을 또한 인지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도체들은 "전구약물"이라고 기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모든 전구약물은 본 명세서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더욱이, 자유 염기 또는 산 형태로 존재하는 본 명세서의 모든 화합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통하여 적절한 무기 또는 유기 염기 또는 산으로 처리하여 이들의 약학적으로 또는 식품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화합물의 염은 표준 기술에 의해 이들의 자유 염기 또는 산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화합물은 식물 공급원, 예를 들어 실시예 및 본 명세서의 곳곳에 포함된 식물들로부터 단리될 수 있다. 이 화합물의 단리에 적합한 식물 부위는 잎, 껍질, 나무 몸통, 나무 몸통 껍질, 줄기, 줄기 껍질, 잔가지, 덩이줄기, 뿌리, 근피, 껍질표면(예를 들어, 주피 또는 다중상피, 예를 들어 코르크 조직, 코르크 형성층, 코르크 피층 또는 이들의 조합 포함), 새순, 근경, 종자, 열매, 수술군, 암술군, 꽃받침, 수꽃술, 꽃잎, 꽃받침, 심피(암술), 꽃,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관련된 구체예에 있어서, 화합물은 식물 원료로부터 단리되고, 언급된 임의의 치환체가 포함되도록 합성에 의해 변형된다. 이와 관련하여, 식물로부터 단리된 화합물의 합성 변형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수의 기술을 사용하여 이룰 수 있으며, 이것은 또한 당업자의 지식 범위 내에 속한다.
뽕나무(뽕나무과), 멀베리 또는 화이트 베리 식물은 중국 북부가 원산지이며, 인도에서 중동으로, 남부 유럽으로, 최근에는 북미 지역에 이르기까지 다른 곳에서 재배되고 있고 토착화되었다. 뽕나무 뿌리 껍질은 상백피(sang bai pi 또는 cortex mori)로서 알려져 있으며 전통 의학에서 사용된다(중화인민공화국 약전 2005). 뽕나무 약초는 한국에서 뽕나무로, 일본에서는 소하쿠히(sohakuhi)로도 알려져 있다. 현대 약리학적 연구에서, 뽕나무 근피는 항균, 항바이러스, 항산화, 혈당강하, 지질강하, 신경 보호, 항궤양, 진통 및 항염증 활성이 보고되어 있다. 뽕나무 근피 유래의 각종 생물학적 활성 화합물은 생체 내 및 시험관 내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딜스-알더 부가물,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 스틸벤 또는 이들의 조합의 화합물들은 화학적 합성 또는 식물 추출물, 예를 들어 뽕나무(Morus) 또는 밀리시아(Milicia) 추출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뽕나무는 뽕나무과(Moraceae)에 속하는 꽃나무속이며, 이것은 많은 나라에서 야생 또는 재배 하에 자라는 (멀베리라고 알려진) 30종 이상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뽕나무 종은 다음을 포함한다: Morus alba L., Morus australis Poir, Morus celtidifolia Kunth, Morus insignis, Morus mesozygia Stapf, Morus microphylla, Morus nigra L., Morus rubra L., Morus atropurpurea, Morus bombycis, Morus cathayana, Morus indica, Morus Ihou, Morus japonica, Morus kagayamae, Morus laevigata, Morus latifolia, Morus liboensis, Morus macroura, Morus mongolica, Morus multicaulis, Morus notabilis, Morus rotundiloba, Morus serrate, Morus heterophyllus, Morus tillaefolia, Morus trilobata, Morus yunnanensis, Morus wittiorum.
특정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은 모러스 알바(Morus alba)로부터 얻어지며, 또는 뽕나무 추출물은 1, 2, 3, 4, 또는 5가지의 상이한 뽕나무 종에서 얻어진 추출물의 혼합물이다. 추출물의 혼합물은 2 이상의 뽕나무 종 또는 표 A에 열거된 다른 공급원에서 유래한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딜스-알더 부가물,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 스틸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뽕나무 추출물(예를 들어, 모러스 알바)과 밀리시아 추출물(예를 들어, Milicia excelsa)로 제조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 및 스틸벤이 강화된 뽕나무 추출물은 모러스 알바의 (a) 근피, (b) 근피와 잎, (c) 근피와 잔가지, (d) 근피, 잎 및 잔가지, 또는 (e) 근피, 근재(root wood), 잔뿌리, 줄기 수피, 가지, 가지 수피, 지재(branch wood), 및 잔가지에서 유래한다.
일부 특정 구체예에서,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딜스 알더 부가물의 화합물은 표 A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112021087634465-pat00019
Figure 112021087634465-pat00020
Figure 112021087634465-pat00021
Figure 112021087634465-pat00022
Figure 112021087634465-pat00023
Figure 112021087634465-pat00024
Figure 112021087634465-pat00025
Figure 112021087634465-pat00026
Figure 112021087634465-pat00027
Figure 112021087634465-pat00028
Figure 112021087634465-pat00029
Figure 112021087634465-pat00030
Figure 112021087634465-pat00031
Figure 112021087634465-pat00032
Figure 112021087634465-pat00033
Figure 112021087634465-pat00034
Figure 112021087634465-pat00035
Figure 112021087634465-pat00036
Figure 112021087634465-pat00037
Figure 112021087634465-pat00038
Figure 112021087634465-pat00039
Figure 112021087634465-pat00040
Figure 112021087634465-pat00041
Figure 112021087634465-pat00042
Figure 112021087634465-pat00043
Figure 112021087634465-pat00044
표 A와 실시예 3, 5 및 6의 화합물은 기재한 식물종 또는 특정 식물 부위(예를 들어, 수피, 나무 몸통, 나무 몸통 껍질, 줄기 껍질, 뿌리, 근피, 껍질표면(예를 들어, 주피 또는 다중상피, 예를 들어 코르크 조직, 코르크 형성층, 코르크 피층 또는 이들의 조합 포함), 잎, 열매, 꽃, 다른 식물 부위 또는 이들의 조합)로부터 추출, 단리 또는 정제하거나, 합성방법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된 국제특허출원 PCT/US2013/43188에 상세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합성적으로 또는 반합성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표 A와 실시예 3, 5 및 6의 화합물 하나 이상은 기재된 식물종의 추출물 중 주요 활성 성분들이 강화되거나 그의 주요 활성 성분이다(여기서, 강화된 추출물은 전체 식물 또는 특정한 식물 부위, 예를 들어 잎, 껍질, 나무 몸통, 나무 몸통 껍질, 줄기, 줄기 껍질, 잔가지, 덩이줄기, 뿌리, 근피, 껍질표면(예를 들어, 주피 또는 다중상피, 예를 들어 코르크 조직, 코르크 형성층, 코르크 피층 또는 이들의 조합 포함), 새순, 근경, 종자, 열매, 수술군, 암술군, 꽃받침, 수꽃술, 꽃잎, 꽃받침, 심피(암술), 꽃,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얻어진다).
추가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 중의 주요 활성 성분은 (표 A와 실시예 3, 5 및 6에 제공된 것과 같은)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 및 스틸벤을 포함하며, 여기서 추출물은 근피, 잎, 잔가지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유래한 활성 성분들이 강화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은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와 스틸벤이 강화되며, 여기서 추출물은 약 1% 내지 약 25%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와 약 1% 내지 약 25%의 스틸벤을 포함하거나, 추출물은 약 2% 내지 약 6%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와 약 2% 내지 약 6%의 스틸벤을 포함하거나, 추출물은 적어도 3%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와 적어도 3%의 스틸벤을 포함한다(중량 대 중량).
특정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 또는 칼코노이드(chalconoid) 및 하나 이상의 스틸벤이 강화된 뽕나무 추출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는 다음 화학식 (III) 또는 (IV)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 또는 식품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토토머, 글리코시드, 전구약물 또는 입체이성체이고:
Figure 112021087634465-pat00045
또는
Figure 112021087634465-pat00046
(상기 화학식 (III) 또는 (IV)에서 R1-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프레닐 그룹, 플라보노이드, 칼콘, 글리코시드, 할로겐, 설프히드릴, 아미노, 알데히드, C1-12 알킬, C1-12 알콕시, C1-12 알크티오, C1-12 알키아미노,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알킬카르보닐, 아르알킬카르보닐, 또는 화학식 (III) 또는 (IV)의 화합물과의 결합이거나; R1-R12 중 하나가 R1-R12 중 다른 하나와 함께 고리를 형성하고, 나머지 R1-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프레닐 그룹, 플라보노이드, 칼콘, 글리코시드, 할로겐, 설프히드릴, 아미노, 알데히드, C1-12 알킬, C1-12 알콕시, C1-12 알크티오, C1-12 알키아미노,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알킬카르보닐, 아르알킬카르보닐 또는 화학식 (III) 또는 (IV)의 화합물과의 결합이되, 단 모든 원자가는 만족된다);
칼코노이드는 화학식 (V)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 또는 기능식품으로 허용가능한 염, 토토머, 글리코시드, 전구약물 또는 입체이성체이고:
Figure 112021087634465-pat00047
(상기 화학식 (V)에서, R1-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프레닐 그룹, 플라보노이드, 칼콘, 글리코시드, 할로겐, 설프히드릴, 아미노, 알데히드, C1-12 알킬, C1-12 알콕시, C1-12 알크티오, C1-12 알키아미노,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알킬 카르보닐, 아르알킬카르보닐이되, 단 모든 원자가는 만족된다);
하나 이상의 스틸벤은 화학식 (I) 또는 (II)를 갖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21087634465-pat00048
(상기 화학식 (I) 또는 (II)에서, R1-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글리코시드, 프레닐, 플라보노이드, 칼콘, 할로겐, 설프히드릴, 아미노, 알데히드, C1-12 알킬, C1-12 알케닐, C1-12 알콕시, C1-12 알크티오, C1-12 알키아미노,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알킬카르보닐, 아르알킬카르보닐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는 화학식 (III), (IV) 또는 (V)를 갖는 화합물이고, 여기서 임의의 이중결합이 고리 C 내에 존재하고, R11 및 R12는 존재하지 않으며 R10은 프레닐 그룹이다. 또다른 추가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는 화학식 (III), (IV) 또는 (V)를 갖는 화합물이고, 여기서 R1-R9 중 적어도 하나가 프레닐 그룹이고 R10-R1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히드록실이다. 소정의 특정 구체예에서,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는 알바닌(Albanin) G, 쿠와논(Kuwanon) G, 모루신(Morusin), 모루시놀, 상게논(Sanggenon), 이소잔토휴몰(isoxanthoumol), 글라브리딘, 카타야논 A,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스틸벤은 화학식 (I) 또는 (II)를 갖는 화합물이고, 여기서 R1-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글리코시드 또는 C1-4 알콕시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스틸벤은 화학식 (I) 또는 (II)를 갖는 화합물이고, 여기서 R1, R5, R6, 및 R10은 H이다. 다른 추가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스틸벤은 화학식 (I) 또는 (II)를 갖는 화합물이고, 여기서 R2는 글루코시드이거나 R2와 R8은 글리코시드이고, R4, R9, 및 R10 중 하나 이상은 히드록실이다. 또다른 추가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스틸벤은 화학식 (I) 또는 (II)를 갖는 화합물이고, 여기서 R1, R5, 및 R6은 H이고, R2-R4 및 R7-R10 중 하나 이상은 독립적으로 히드록실, C1-3 알콕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다. 소정의 특정 구체예에서, 스틸벤 화합물은 옥시레스베라트롤, 레스베라트롤, 피시아탄올, 피노실빈, 3,4'-디히드록시스틸벤, 콤브레타스타틴 A-1, 프테로스틸벤, 라폰티게닌을 포함하고, 스틸벤 글리코시드는 멀베로시드 A, 라폰티신(rhaponticin), 피세이드, 아스트린진, 또는 이들 스틸벤 또는 스틸벤 글리코시드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플라보노이드는 화학식 (III)의 화합물이고, 다른 구체예에서 플라보노이드는 화학식 (IV)의 화합물이다. 일부 다른 구체예에서, R1-R12 중 적어도 하나, 예컨대 R10은 프레닐이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폴리플라보노이드가 제공되며 화학식 (III) 또는 (IV)의 화합물에서 R1-R12 중 적어도 하나는 화학식 (III) 또는 (IV)의 화합물에 대한 결합이다(즉, 화합물은 1 초과의 화학식 (III) 및/또는 (IV)의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한다).
화학식 (III) 또는 (IV)의 화합물에 대한 일부 다른 구체예에서, R1-R12는 H, 히드록실, 프레닐 그룹 또는 사이클로알킬이다. 예를 들어, 일부 구체예에서, 사이클로알킬은 치환되거나/되고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포함한다(즉, 불포화된다). 임의의 치환체는 전형적으로 아릴, 예를 들어 페닐, 및 아릴 카르보닐에서 선택된다. 따라서, 일부 추가 구체예에서, 플라보노이드는 다음 화학식 (IIIa) 또는 (IVa) 중 하나를 갖는다:
Figure 112021087634465-pat00049
또는
Figure 112021087634465-pat00050
상기 화학식 (IIIa) 또는 (IVa)에서, R4a는 각각의 경우에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또는 프레닐 그룹이다.
화학식 (IIIa) 또는 (IVa)의 화합물에 대한 특정 구체예에서, R1-R3 및 R5-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및 프레닐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R1-R3, R4a 또는 R5-R12 중 적어도 하나는 프레닐이고, 예를 들어 일부 구체예에서, R10은 프레닐이다. 화학식 (IIIa) 또는 (IVa)의 화합물에 대한 다른 구체예에서, R1-R3, R4a 또는 R5-R12 중 적어도 2개는 히드록실이다.
보다 특정한 일부 구체예에서, 플라보노이드는 다음 화학식 중 하나를 갖는다:
Figure 112021087634465-pat00051
또는
Figure 112021087634465-pat00052
다른 구체예에서, R1-R12 중 하나는 R1-R12 중 다른 하나와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하고, 나머지 R1-R12는 H, 히드록실 또는 프레닐 그룹이다. 이러한 구체예들 중 일부에서, 고리는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예를 들어 사이클릭 에테르 고리이다.
따라서, 특정 구체예에서, 플라보노이드는 다음 화학식 (IIIb) 또는 (IVb) 중 하나를 갖는다:
Figure 112021087634465-pat00053
또는
Figure 112021087634465-pat00054
화학식 (IIIb) 또는 (IVb)의 화합물에 대한 특정 구체예에서, R1, R2 및 R5-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및 프레닐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R1, R2 또는 R5-R12 중 적어도 하나는 프레닐이고, 예를 들어 일부 구체예에서, R10은 프레닐이다. 화학식 (IIIb) 또는 (IVb)의 화합물에 대한 다른 구체예에서, R1, R2 또는 R5-R12 중 적어도 2개는 히드록실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플라보노이드는 다음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21087634465-pat00055
다양한 다른 구체예에서, 화학식 (V)의 칼코노이드 중 R1-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프레닐 그룹 및 C1-C12 알콕시에서 선택된다.
아카시아(Acacia)는 콩과 나무와 관목의 속이다. 아카시아속에는 1000 종 이상이 포함되어 있고 콩과(Leguminosae)와 미모사아과(Mimosoideae)의 아과에 속한다. 아카시아는 세계적으로 중앙 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 아프리카, 아시아 일부, 및 오스트레일리아에 분포하고, 수많은 풍토성 종이 있다. 아카시아는 주로 건조 및 매우 건조한 지역에서 자라며, 여기서 그 숲은 대개 오픈 가시 관목과 비슷하다. 아카시아는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하며, 탄닌, 검(gum), 목재, 연료 및 사료의 공급원을 제공한다. 탄닌은 주로 수피에서 단리되며 생가죽과 스킨의 태닝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일부 아카시아 수피는 또한 국소 스피릿에 맛을 더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A. sinuata 같은 일부 토착종에서는 사포닌을 얻을 수 있고, 이것은 세제, 기포제 및 유화제에서 사용된다. 일부 아카시아종의 꽃은 방향성으로 향수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다양한 아카시아의 심재는 농기구 제작에 사용되며 장작의 재료를 공급하기도 한다. 아카시아 검은 의약과 제과에서, 그리고 섬유 산업의 사이징(sizing) 및 마무리 재료로서 광범위한 용도를 갖는다.
운카리아 감비르(Uncaria gambir, 꼭두서니과(Rubiaceae))는 원지(round branch)를 갖는 덩굴형 관목으로, 파이퍼 베틀(piper bettle) 잎을 씹으면 치아가 강건해진다고 여겨진다. 이 식물의 모든 부위는 수렴 특성을 갖는다. U. gambir 식물의 잎은 유리 카테킨뿐만 아니라 중합 카테킨-탄닌-을 함유하며, 이것은 오래된 잎보다는 어린 잎에 더 풍부하다. U. gambir는 EAFUS(Everything Added to Food in the United States)의 식품 첨가물 데이터베이스, KFDA의 대한민국 식품첨가물 코드 및 MHLW의 일본 식품첨가물 코드에 천연 풍미제로서 등재되어 있다. U. gambir는 또한 대한민국 의약품 코덱스(KP), 일본 의약품 코덱스(JP) 및 중국 의약품 코덱스(CP)에 등재되어 있다. 대한민국에는 U. gambir 추출물을 함유하는, 특히 소화불량, 구취, 구토, 식욕 부진에 대한 수많은 일반의약품(OTC)이 있다. 일본에서 U. gambir는 설사, 구토 및 위염에 사용된다. 미국에서 U. gambir는 간 기능과 지방 대사를 지지하는 식이보충제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플라반은 합성방법에 의해 제조하거나, 하나 이상의 식물, 예컨대 아카시아, 운카리아 또는 둘 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아카시아 식물종은 A. angustifolia, A. ataxacantha, A. berlandieri, A. bonariensis, A. brevispica, A. catechu, A. chundra, A. concinna, A. floribunda, A. greggii, A. interior, A. macilenta, A. mellifera, A. merrallii, A. occidentalis, A. peninsularis, A. pennata, A. pennatula, A. polyacantha, A. polyphylla, A. riparia, A. roemeriana, A. senegal, A. sinuata, A. tamarindifolia, A. tenuifolia, A. victoriae, A. visco, 또는 임의의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아카시아 추출물과 플라반, 미국 특허 제8,124,134호 참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운카리아 식물 종은 U. acida, U. africana, U. attenuate, U. bernaysii, U. borneensis, U. callophylla, U. cordata, U. elliptica, Uncaria gambir, U. guianensis, U. hirsute, U. homomalla, U. lanosa, U. longiflora, U. macrophylla, U. orientalis, U. rhynchophylla, U. scandens, U. sessilifructus, U. setiloba, U. sinensis, U. sterrophylla, U. tomentosa, U. wangii, 또는 임의의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아카시아 추출물과 플라반,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07/0264361호)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카테킨, 에피카테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함유하는 플라반이 강화된 아카시아 카테추(Acacia catechu) 추출물을 포함한다. 다른 추가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카테킨, 에피카테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함유하는 플라반이 강화된 운카리아 감비르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다른 추가 구체예에서, 플라반이 강화된 아카시아 추출물은 아카시아 카테추로부터 유래하거나, 플라반이 강화된 아카시아 추출물은 1, 2, 3, 4, 5 이상의 상이한 아카시아 종, 운카리아 종, 또는 다른 공급원으로부터 유래한 추출물들의 혼합물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플라반이 강화된 운카리아 추출물은 운카리아 감비르로부터 유래하거나, 플라반이 강화된 운카리아 추출물은 1, 2, 3, 4, 5 이상의 상이한 운카리아 종, 아카시아 종, 다른 공급원(예를 들어, 상이한 식물, 예를 들어 녹차, 합성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한 추출물들의 혼합물이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카테킨, 에피카테킨, 또는 둘 다를 함유하는 플라반이 강화된 아카시아 카테추 추출물 및 카테킨, 에피카테킨, 또는 둘 다를 함유하는 플라반이 강화된 운카리아 감비르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아카시아 추출물 중의 주요 활성 성분은 카테킨, 에피카테킨, 또는 둘 다를 함유하는 플라반을 포함하고, 여기서 추출물은 뿌리, 수피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유래한 활성 성분들이 강화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운카리아 추출물 중의 주요 활성 성분은 카테킨, 에피카테킨, 또는 둘 다를 함유하는 플라반을 포함하고, 여기서 추출물은 잎에서 유래한 활성 성분들이 강화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에서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또는 둘 다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플라반이 강화된 아카시아 또는 운카리아 추출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플라반은 다음 화학식 (VI)의 화합물이다:
Figure 112021087634465-pat00056
상기 화학식 (VI)에서, R21, R22, R23, R24 및 R25는 독립적으로 H, -OH, -SH, -OCH3, -SCH3, -OR, -SR, -NH2, -NRH, -NR2, -NR3 +X-, 갈레이트, 아세테이트, 시나모일과 히드록실-시나모일 에스테르, 트리히드록시벤조일 에스테르 및 카페오일(caffeoyl) 에스테르로 구성되는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치환체 그룹의 에스테르; 여러 당, 예를 들어 알도펜토스, 메틸 알도펜토스, 알도헥소스, 케토헥소스의 단일 또는 조합의 탄소, 산소, 질소 또는 황 글리코시드; 다이머, 트리머 또는 다른 중합된 플라반에서 선택되며;
여기에서 R은 C1-10 알킬 그룹이고;
X는 히드록실, 염화물, 요오드화물, 황산염, 포스페이트, 아세테이트, 불화물 또는 카보네이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반대 음이온이다.
커큐마 롱가 엘(Curcuma longa L)은 일반명이 강황으로, 생강과(Zingiberaceae)의 다년생 식물이다. 강황이라는 이름은 라틴어로 가치있는 땅(terra merita) 또는 투메라이트(turmeryte)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사프론과 연관되어 있다. 이것은 원래 열대 남부 아시아에서 유래하였고 인도와 동남 아시아에서 대량으로 재배된다. 강황은 지하경으로부터 제조되며 인도에서는 수천년 동안 사용되어 왔다. 최근 연구에서는 강황이 요리 용도 이외에도 항박테리아, 항산화, 화학적예방, 화학치료, 항증식, 항기생충, 항말라리아, 통증완화 및 항염증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에서는 커큐미노이드(curcuminoids)를 포함하는 강황 추출물을 제공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커큐마 롱가(Curcuma longa) 추출물은 커큐미노이드, 예를 들어 커큐민(디페룰로일메탄), 데메톡시-커큐민, 비스데메톡시-커큐민, 캐슈무닌 A, 캐슈무닌 B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 강화된다. 본 명세서의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커큐미노이드 및 그의 유사물은 합성방법에 의해 제조하거나(Anand et al, Biochem. Pharmacol. 76:1590, 2008 참조), 하나 이상의 식물, 예를 들어 강황 식물, 생강 식물, 또는 둘 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강황 속의 예시적인 종은 다음을 포함한다: C. aeruginosa, C. albicoma, C. albiflora, C. alismatifolia, C. amada, C. amarissima, C. americana, C. angustifolia, C. aromatica, C. attenuata, C. aurantiaca, C. australasica, C. bakeriana, C. bicolor, C. bhatii, C. brog, C. burttii, C. caesia, C. candida, C. cannanorensis, C. caulina, C. careyana, C. ceratotheca, C. chuanezhu, C. chuanhuangjiang, C. chuanyujin, C. coccinea, C. cochinchinensis, C. codonantha, C. coerulea, C. colorata, C. comosa, C. cordata, C. cordifolia, C. coriacea, C. decipiens, C. domestica, C. ecalcarata, C. ecomata, C. elata, C. erubescens, C. euchroma, C. exigua, C. ferruginea, C. flavtflora, C. glans, C. glaucophylla, C. gracillima, C. grahamiana, C. grandiflora, C. haritha, C. harmandii, C. heyneana, C. inodora, C. karnatakensis, C. kuchoor, C. kudagensis, C. kuenstleri, C. kurzii, C. kwangsiensis, C. lanceolata, C. larsenii, C. latiflora, C. latifolia, C. leucorhiza, C. leucorrhiza, C. loerzingii, C. longa, C. longiflora, C. longispica, C. lutea, C. malabarica, C. mangga, C. meraukensis, C. montana, C. musacea, C. mutabilis, C. neilgherrensis, C. nilamburensis, C. ochrorhiza, C. officinalis, C. oligantha, C. ornata, C. pallida, C. parviflora, C. parvula, C. peethapushpa, C. petiolata, C. phaeocaulis, C. picta - C. pierreana, C. plicata, C. porphyrotaenia, C. prakasha, C. pseudomontana, C. purpurascens, C. purpurea, C. raktakanta, C. ranadei, C. reclinata, C. rhabdota, C. rhomba, C. roscoeana, C. rotunda, C. rubescens, C. rubricaulis, C. rubrobracteata, C. sattayasaii, C. sessilis, C. sichuanensis, C. singularis, C. soloensis, C. sparganiifolia, C. speciosa, C. spicata, C. stenochila, C. strobilifera, C. sulcata, C. sumatrana, C. sylvatica, C. sylvestris, C. thalakaveriensis, C. thorelii, C. trichosantha, C. vamana, C. vellanikkarensis, C. viridiflora, C. vitellina - C. wenchowensis, C. wenyujin, C. xanthorrhiza, C. yunnanensis, C. zedoaria, C. zedoaroides, C. zerumbet.
특정 구체예에서, 커큐미노이드가 강화된 강황 추출물은 커큐마 롱가(Curcuma longa)로부터 유래하거나, 커큐미노이드가 강화된 강황 추출물은 1, 2, 3, 4, 5 이상의 상이한 강황종 또는 다른 공급원에서 유래한 추출물의 혼합물이다. 예를 들어, 커큐미노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합성 커큐미노이드와 혼합된 강황 추출물(예를 들어, 커큐마 롱가), 또는 커큐미노이드가 강화된 강황 추출물(예를 들어, 커큐마 롱가)과 커큐미노이드가 강화된 Zingiber cassumunar 추출물, 커큐미노이드가 강화된 Curcuma phaeocaulis 추출물, 커큐미노이드가 강화된 Curcuma. xanthorrhiza 추출물,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의 혼합물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커큐미노이드(예를 들어, 커큐민, 데메톡시-커큐민, 비스데메톡시-커큐민, 캐슈무닌 A, 캐슈무닌 B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가 강화된 강황 추출물은 뿌리, 근경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유래할 수 있다.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 및 스틸벤이 강화된 뽕나무 추출물은 그 자체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생물활성 식물 추출물, 예컨대 아카시아, 웅카리아, 강황 또는 이들의 조합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임의로 약학적 또는 식품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제, 보조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COX와 LOX 경로를 모두 억제함으로써 항염증제로서 이용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임의의 조성물은, 골 손실을 예방하고, 골밀도를 증가시키고, 인간과 같은 포유동물, 특히 폐경 전, 폐경기 및 폐경 후 여성에서 골다공증을 예방, 관리 또는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명세서 또는 미국 특허 제8,124,134호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플라반이 강화되거나 이를 함유하는 아카시아 추출물, 및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딜스-알더 부가물,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 스틸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가 강화되거나 이를 함유하는 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본 명세서 또는 미국 특허 제8,124,134호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플라반이 강화되거나 이를 함유하는 아카시아 추출물, 및 표 A와 실시예 3, 5, 6 및 68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강화되거나 이를 함유하는 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한다. 다른 추가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카테킨, 에피카테킨, 또는 둘 다로 강화되거나 이를 함유하는 아카시아 추출물, 및 하나 이상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 하나 이상의 스틸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강화되거나 이를 함유하는 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와 하나 이상의 스틸벤이 강화된 뽕나무 추출물과 플라반이 강화된 아카시아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추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와 하나 이상의 스틸벤이 강화된 뽕나무 추출물과 하나 이상의 플라반이 강화된 아카시아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여기서 하나 이상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는 다음 화학식 (III) 또는 (IV)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 또는 식품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토토머, 글리코시드, 전구약물 또는 입체이성체이고:
Figure 112021087634465-pat00057
또는
Figure 112021087634465-pat00058
(상기 화학식 (III) 또는 (IV)에서, R1-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프레닐 그룹, 플라보노이드, 칼콘, 글리코시드, 할로겐, 설프히드릴, 아미노, 알데히드, C1-12 알킬, C1-12 알콕시, C1-12 알크티오, C1-12 알키아미노,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알킬 카르보닐, 아르알킬카르보닐, 또는 화학식 (III) 또는 (IV)의 화합물과의 결합이거나; R1-R12 중 하나가 R1-R12 중 다른 하나와 함께 고리를 형성하고, 나머지 R1-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프레닐 그룹, 플라보노이드, 칼콘, 글리코시드, 할로겐, 설프히드릴, 아미노, 알데히드, C1-12 알킬, C1-12 알콕시, C1-12 알크티오, C1-12 알키아미노,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알킬카르보닐, 아르알킬카르보닐 또는 화학식 (III) 또는 (IV)의 화합물과의 결합이되, 단 모든 원자가는 만족된다);
칼코노이드는 화학식 (V)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 또는 기능식품으로 허용가능한 염, 토토머, 글리코시드, 전구약물 또는 입체이성체이고:
Figure 112021087634465-pat00059
(상기 화학식 (V)에서, R1-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프레닐 그룹, 플라보노이드, 칼콘, 글리코시드, 할로겐, 설프히드릴, 아미노, 알데히드, C1-12 알킬, C1-12 알콕시, C1-12 알크티오, C1-12 알키아미노,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알킬 카르보닐, 또는 아르알킬카르보닐이되, 단 모든 원자가는 만족된다);
하나 이상의 스틸벤은 화학식 (I) 또는 (II)를 갖는 화합물이고:
Figure 112021087634465-pat00060
(상기 화학식 (I) 또는 (II)에서, R1-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글리코시드, 프레닐, 플라보노이드, 칼콘, 할로겐, 설프히드릴, 아미노, 알데히드, C1-12 알킬, C1-12 알케닐, C1-12 알콕시, C1-12 알크티오, C1-12 알키아미노,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알킬카르보닐, 또는 아르알킬카르보닐이다);
플라반은 다음 화학식 (VI)의 화합물이다:
Figure 112021087634465-pat00061
(상기 화학식 (VI)에서, R21, R22, R23, R24 및 R25는 독립적으로 H, -OH, -SH, -OCH3, -SCH3, -OR, -SR, -NH2, -NRH, -NR2, -NR3 +X-, 갈레이트, 아세테이트, 시나모일과 히드록실-시나모일 에스테르, 트리히드록시벤조일 에스테르 및 카페오일(caffeoyl) 에스테르로 구성되는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치환체 그룹의 에스테르; 여러 당, 예를 들어 알도펜토스, 메틸 알도펜토스, 알도헥소스, 케토헥소스의 단일 또는 조합의 탄소, 산소, 질소 또는 황 글리코시드; 다이머, 트리머 또는 다른 중합된 플라반에서 선택되며;
여기에서 R은 C1-10 알킬 그룹이고;
X는 히드록실, 염화물, 요오드화물, 황산염, 포스페이트, 아세테이트, 불화물 또는 카보네이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반대 음이온이다).
상기한 조성물들 중 어느 하나에서, 뽕나무 추출물은 모러스 알바에서 유래하고, 아카시아 추출물은 아카시아 카테추에서 유래한다. 본 조성물들의 추가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 중의 주요 활성 성분은 알바닌 G, 쿠와논 G, 모루신, 옥시레스베라트롤, 멀베로시드 A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고, 아카시아 추출물 중의 주요 활성 성분은 카테킨, 에피카테킨, 또는 둘 다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상기한 조성물은 화학식 (III), (IV) 또는 (V)를 갖는 화합물인 하나 이상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고, 여기서 임의의 이중결합이 고리 C 내에 존재하고, R11 및 R12는 존재하지 않으며 R10은 프레닐 그룹이다. 다른 추가 구체예에서, 상기한 조성물은 화학식 (III), (IV) 또는 (V)를 갖는 화합물인 하나 이상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고, 여기서 R1-R9 중 적어도 하나가 프레닐 그룹이고 R10-R1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히드록실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한 조성물은 화학식 (I) 또는 (II)를 갖는 하나 이상의 스틸벤을 포함하고, 여기서 R1-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글리코시드 또는 C1-4 알콕시이다. 다른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한 조성물은 화학식 (I) 또는 (II)를 갖는 화합물인 하나 이상의 스틸벤을 포함하고, 여기서 R1-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글리코시드 또는 C1-4 알콕시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상기한 조성물은 화학식 (I) 또는 (II)를 갖는 화합물인 하나 이상의 스틸벤을 포함하고, 여기서 R1, R5, R6, 및 R10은 H이다. 다른 추가 구체예에서, 상기한 조성물은 화학식 (I) 또는 (II)를 갖는 화합물인 하나 이상의 스틸벤을 포함하고, 여기서 R2는 글루코시드(glucoside)이거나 R2와 R8이 글리코시드이고, R4, R9, 및 R10 중 하나 이상이 히드록실이다. 또다른 추가 구체예에서, 상기한 조성물은 화학식 (I) 또는 (II)를 갖는 화합물인 하나 이상의 스틸벤을 포함하고, 여기서 R1, R5, 및 R6은 H이고, R2-R4 및 R7-R10 중 하나 이상은 독립적으로 히드록실, C1-3 알콕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다. 소정의 특정 구체예에서, 스틸벤 화합물은 옥시레스베라트롤, 레스베라트롤, 피시아탄올, 피노실빈, 3,4'-디히드록시스틸벤, 콤브레타스타틴 A-1, 프테로스틸벤, 라폰티게닌을 포함하고, 스틸벤 글리코시드는 멀베로시드(멀베로시드) A, 라폰티신(rhaponticin), 피세이드, 아스트린진, 또는 스틸벤 또는 스틸벤 글리코시드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아카시아 추출물과 혼합된 뽕나무 추출물의 상기한 조성물은 뼈 건강 및 연골 건강을 증진, 관리 또는 개선하거나, 뼈 및 연골 장애 질환(예를 들어 골다공증, 골관절염, 골괴사, 골증식, 골절, 대사성 골질환, 골연골염 질환, 골 연골종, 변형성 골염, 낭성 섬유성 골염, 치골염, 치밀화 골염, 골형성 부전증, 골연화증(구루병), 골수염, 골감소증 또는 임의의 다른 뼈 및 연골 관련 증상)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와 하나 이상의 스틸벤이 강화된 뽕나무 추출물과 플라반이 강화된 아카시아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여기서 조성물은 연골 퇴화를 억제한다. 연골 퇴화는 GAG 방출 어세이 반응 종료시 배지에 방출된 황산화 GAG(예를 들어, 프로테오글리간으로부터 방출)의 농도로 측정되며, 이것은 관절 연골 퇴화량을 반영한다. "연골 퇴화의 억제"는, 예를 들어 Blyscan™ 어세이(Accurate Chemical and Scientific Corp., Westbury, New York)에서 측정되고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 27에 기술된 바와 같이 황산화 GAG 유리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있을 때 수립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명세서 또는 미국 특허 제8,034,387호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플라반이 강화되거나 이를 함유하는 운카리아(Uncaria) 추출물과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딜스-알더 부가물,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 스틸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가 강화되거나 이를 함유하는 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본 명세서 또는 미국 특허 제8,034,387호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플라반이 강화되거나 이를 함유하는 운카리아 추출물과 표 A와 실시예 3, 5, 6 및 68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강화되거나 이를 함유하는 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한다. 다른 추가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카테킨, 에피카테킨, 또는 둘 다로 강화되거나 이를 함유하는 아카시아 추출물, 및 하나 이상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 하나 이상의 스틸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강화되거나 이를 함유하는 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가 강화된 뽕나무 추출물과 플라반이 강화된 운카리아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추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와 하나 이상의 스틸벤이 강화된 뽕나무 추출물과 하나 이상의 플라반이 강화된 운카리아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는 다음 화학식 (III) 또는 (IV)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 또는 식품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토토머, 글리코시드, 전구약물 또는 입체이성체이고:
Figure 112021087634465-pat00062
또는
Figure 112021087634465-pat00063
(상기 화학식 (III) 또는 (IV)에서, R1-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프레닐 그룹, 플라보노이드, 칼콘, 글리코시드, 할로겐, 설프히드릴, 아미노, 알데히드, C1-12 알킬, C1-12 알콕시, C1-12 알크티오, C1-12 알키아미노,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알킬 카르보닐, 아르알킬카르보닐, 또는 화학식 (III) 또는 (IV)의 화합물과의 결합이거나; R1-R12 중 하나가 R1-R12 중 다른 하나와 함께 고리를 형성하고, 나머지 R1-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프레닐 그룹, 플라보노이드, 칼콘, 글리코시드, 할로겐, 설프히드릴, 아미노, 알데히드, C1-12 알킬, C1-12 알콕시, C1-12 알크티오, C1-12 알키아미노,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알킬카르보닐, 아르알킬카르보닐 또는 화학식 (III) 또는 (IV)의 화합물과의 결합이되, 단 모든 원자가는 만족된다);
칼코노이드는 화학식 (V)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 또는 기능식품으로 허용가능한 염, 토토머, 글리코시드, 전구약물 또는 입체이성체이고:
Figure 112021087634465-pat00064
(상기 화학식 (V)에서, R1-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프레닐 그룹, 플라보노이드, 칼콘, 글리코시드, 할로겐, 설프히드릴, 아미노, 알데히드, C1-12 알킬, C1-12 알콕시, C1-12 알크티오, C1-12 알키아미노,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알킬 카르보닐, 아르알킬카르보닐이되, 단 모든 원자가는 만족된다);
하나 이상의 스틸벤은 화학식 (I) 또는 (II)를 갖는 화합물이고:
Figure 112021087634465-pat00065
(상기 화학식 (I) 또는 (II)에서, R1-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글리코시드, 프레닐, 플라보노이드, 칼콘, 할로겐, 설프히드릴, 아미노, 알데히드, C1-12 알킬, C1-12 알케닐, C1-12 알콕시, C1-12 알크티오, C1-12 알키아미노,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알킬카르보닐, 또는 아르알킬카르보닐이다);
플라반은 다음 화학식 (VI)의 화합물이다:
Figure 112021087634465-pat00066
(상기 화학식 (VI)에서, R21, R22, R23, R24 및 R25는 독립적으로 H, -OH, -SH, -OCH3, -SCH3, -OR, -SR, -NH2, -NRH, -NR2, -NR3 +X-, 갈레이트, 아세테이트, 시나모일과 히드록실-시나모일 에스테르, 트리히드록시벤조일 에스테르 및 카페오일(caffeoyl) 에스테르로 구성되는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치환체 그룹의 에스테르; 여러 당, 예를 들어 알도펜토스, 메틸 알도펜토스, 알도헥소스, 케토헥소스의 단일 또는 조합의 탄소, 산소, 질소 또는 황 글리코시드; 다이머, 트리머 또는 다른 중합된 플라반에서 선택되며;
여기에서 R은 C1-10 알킬 그룹이고;
X는 히드록실, 염화물, 요오드화물, 황산염, 포스페이트, 아세테이트, 불화물 또는 카보네이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반대 음이온이다).
상기한 조성물들 중 어느 하나에서, 뽕나무 추출물은 모러스 알바에서 유래하고, 운카리아 추출물은 운카리아 감비르에서 유래한다. 추가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 중의 주요 활성 성분은 알바닌 G, 쿠와논 G, 모루신, 옥시레스베라트롤, 멀베로시드 A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고, 운카리아 추출물 중의 주요 활성 성분은 카테킨, 에피카테킨,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는 화학식 (III), (IV) 또는 (V)를 갖는 화합물이고, 여기서 임의의 이중결합이 고리 C 내에 존재하고, R11 및 R12는 존재하지 않으며 R10은 프레닐 그룹이다. 다른 추가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는 화학식 (III), (IV) 또는 (V)를 갖는 화합물이고, 여기서 R1-R9 중 적어도 하나가 프레닐 그룹이고 R10-R1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히드록실이다. 소정의 특정 구체예에서,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는 알바닌 G, 쿠와논 G, 모루신, 모루시놀, 상게논, 이소잔토휴몰, 글라브리딘, 카타야논 A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스틸벤은 화학식 (I) 또는 (II)를 갖는 화합물이고, 여기서 R1-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글리코시드 또는 C1-4 알콕시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스틸벤은 화학식 (I) 또는 (II)를 갖는 화합물이고, 여기서 R1, R5, R6, 및 R10은 H이다. 다른 추가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스틸벤은 화학식 (I) 또는 (II)를 갖는 화합물이고, 여기서 R2는 글루코시드이거나 R2와 R8이 글리코시드이고, R4, R9, 및 R10 중 하나 이상이 히드록실이다. 또다른 추가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스틸벤은 화학식 (I) 또는 (II)를 갖는 화합물이고, 여기서 R1, R5, 및 R6은 H이고, R2-R4 및 R7-R10 중 하나 이상은 독립적으로 히드록실, C1-3 알콕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다. 소정의 특정 구체예에서, 스틸벤 화합물은 옥시레스베라트롤, 레스베라트롤, 피시아탄올, 피노실빈, 3,4'-디히드록시스틸벤, 콤브레타스타틴 A-1, 프테로스틸벤, 라폰티게닌을 포함하고, 스틸벤 글리코시드는 멀베로시드 A, 라폰티신, 피세이드, 아스트린진, 또는 스틸벤 또는 스틸벤 글리코시드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플라보노이드는 화학식 (III)의 화합물이고, 다른 구체예에서, 플라보노이드는 화학식 (IV)의 화합물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R1-R12 중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R10은 프레닐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폴리플라보노이드가 제공되며, 화학식 (III) 또는 (IV)의 화합물에서 R1-R12 중 적어도 하나는 화학식 (III) 또는 (IV)의 화합물과의 결합이다(즉, 화합물은 1 초과의 화학식 (III) 및/또는 (IV)의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한다).
화학식 (III) 또는 (IV)의 화합물에 대한 다른 일부 구체예에서, R1-R12는 H, 히드록실, 프레닐 그룹 또는 사이클로알킬이다. 예를 들어, 일부 구체예에서 사이클로알킬은 치환되거나/되고,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포함한다(즉, 불포화). 임의의 치환체는 전형적으로, 아릴, 예를 들어 페닐, 및 아릴 카르보닐로부터 선택된다. 따라서, 일부 추가 구체예에서, 플라보노이드는 다음 화학식 (IIIa) 또는 (IVa) 중 하나를 갖는다:
Figure 112021087634465-pat00067
또는
Figure 112021087634465-pat00068
상기 화학식 (IIIa) 또는 (IVa)에서, R4a는 각각의 경우에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또는 프레닐 그룹이다.
화학식 (IIIa) 또는 (IVa)의 화합물에 대한 특정 구체예에서, R1-R3 및 R5-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및 프레닐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R1-R3, R4a 또는 R5-R12 중 적어도 하나는 프레닐이고, 예를 들어 일부 구체예에서, R10은 프레닐이다. 화학식 (IIIa) 또는 (IVa)의 화합물에 대한 다른 구체예에서, R1-R3, R4a 또는 R5-R12 중 적어도 2개는 히드록실이다.
보다 특정한 일부 구체예에서, 플라보노이드는 다음 화학식 중 하나를 갖는다:
Figure 112021087634465-pat00069
또는
Figure 112021087634465-pat00070
다른 구체예에서, R1-R12 중 하나는 R1-R12 중 다른 하나와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하고, 나머지 R1-R12는 H, 히드록실 또는 프레닐 그룹이다. 특정한 이들 구체예에 있어서, 고리는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예를 들어 사이클릭 에테르 고리이다.
따라서, 특정 구체예에서, 플라보노이드는 다음 화학식 (IIIb) 또는 (IVb) 중 하나를 갖는다:
Figure 112021087634465-pat00071
또는
Figure 112021087634465-pat00072
화학식 (IIIb) 또는 (IVb)의 화합물에 대한 특정 구체예에서, R1, R2 및 R5-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및 프레닐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R1, R2 및 R5-R12 중 적어도 하나는 프레닐이고, 예를 들어 일부 구체예에서, R10은 프레닐이다. 화학식 (IIIb) 또는 (IVb)의 화합물에 대한 다른 구체예에서, R1, R2 또는 R5-R12 중 적어도 2개는 히드록실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플라보노이드는 다음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21087634465-pat00073
다양한 다른 구체예에서, 화학식 (V)의 칼코노이드 중 R1-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프레닐 그룹 및 C1-C12 알콕시에서 선택된다.
상기한 뽕나무 추출물과 혼합된 운카리아 추출물의 조성물은 뼈 건강 및 연골 건강을 증진, 관리 또는 개선하거나, 뼈 및 연골 장애 질환(예를 들어 골다공증, 골관절염, 골괴사, 골증식, 골절, 대사성 골질환, 골연골염 질환, 골 연골종, 변형성 골염, 낭성 섬유성 골염, 치골염, 치밀화 골염, 골형성 부전증, 골연화증(구루병), 골수염, 골감소증 또는 임의의 다른 뼈 및 연골 관련 증상)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와 하나 이상의 스틸벤이 강화된 뽕나무 추출물과 플라반이 강화된 운카리아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여기서 이 조성물은 골 재흡수 및 연골 퇴화를 억제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가 강화된 뽕나무 추출물, 플라반이 강화된 운카리아 추출물, 및 플라반이 강화된 아카시아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추가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와 하나 이상의 스틸벤이 강화된 뽕나무 추출물, 카테킨, 에피카테킨 또는 둘 다를 포함하는 플라반이 강화된 운카리아 추출물, 및 카테킨, 에피카테킨 또는 둘 다를 포함하는 플라반이 강화된 아카시아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은 모러스 알바에서 유래하고, 운카리아 추출물은 운카리아 감비르에서 유래하고, 아카시아 추출물은 아카시아 카테추에서 유래한다. 추가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 중의 주요 활성 성분은 알바닌 G, 쿠와논 G, 모루신, 옥시레스베라트롤, 멀베로시드 A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고, 운카리아 추출물 중의 주요 활성 성분은 카테킨, 에피카테킨,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다. 이들 3가지 추출물의 임의의 조성물(뽕나무, 운카리아, 아카시아)은 뼈 건강, 연골 건강 또는 이 둘 다를 증진, 관리 또는 개선하거나, 뼈 및 연골 장애 질환(예를 들어 골다공증, 골관절염, 골괴사, 골증식, 골절, 대사성 골질환, 골연골염 질환, 골 연골종, 변형성 골염, 낭성 섬유성 골염, 치골염, 치밀화 골염, 골형성 부전증, 골연화증(구루병), 골수염, 골감소증 또는 임의의 다른 뼈 및 연골 관련 증상)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딜스-알더 부가물,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 스틸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가 강화되거나 이를 함유하는 뽕나무 추출물과 커큐미노이드가 강화된 강황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추가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표 A와 실시예 3, 5, 6 및 68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강화되거나 이를 함유하는 뽕나무 추출물과 하나 이상의 커큐미노이드가 강화된 강황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다른 추가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 하나 이상의 스틸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강화되거나 이를 함유하는 뽕나무 추출물과 하나 이상의 커큐미노이드가 강화된 강황 추출물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은 모러스 알바에서 유래하고, 강황 추출물은 커큐마 롱가에서 유래한다. 상기한 조성물 중 어느 하나에서, 뽕나무 추출물 중의 주요 활성 성분은 알바닌 G, 쿠와논 G, 모루신, 옥시레스베라트롤, 멀베로시드 A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고, 강황 추출물 중의 주요 활성 성분은 커큐민, 데메톡시-커큐민, 비스데메톡시-커큐민,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상기한 뽕나무 추출물과 혼합된 강황 추출물의 조성물은 뼈 건강 및 연골 건강을 증진, 관리 또는 개선하거나, 뼈 및 연골 장애 질환(예를 들어 골다공증, 골관절염, 골괴사, 골증식, 골절, 대사성 골질환, 골연골염 질환, 골 연골종, 변형성 골염, 낭성 섬유성 골염, 치골염, 치밀화 골염, 골형성 부전증, 골연화증(구루병), 골수염, 골감소증 또는 임의의 다른 뼈 및 연골 관련 증상)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와 하나 이상의 스틸벤이 강화된 뽕나무 추출물과 하나 이상의 커큐미노이드가 강화된 강황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여기서 이 조성물은 골 재흡수 및 연골 퇴화를 억제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가 강화된 뽕나무 추출물, 플라반이 강화된 아카시아 추출물, 및 커큐미노이드가 강화된 강황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추가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와 하나 이상의 스틸벤이 강화된 뽕나무 추출물, 카테킨, 에피카테킨 또는 둘 다를 포함하는 플라반이 강화된 아카시아 추출물, 및 하나 이상의 커큐미노이드가 강화된 강황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은 모러스 알바에서 유래하고, 아카시아 추출물은 아카시아 카테추에서 유래하며, 강황 추출물은 커큐마 롱가에서 유래한다. 추가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의 주요 활성 성분은 알바닌 G, 쿠와논 G, 모루신, 옥시레스베라트롤, 멀베로시드 A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고, 강황 추출물 중의 주요 활성 성분은 커큐민(디페룰로일메탄), 데메톡시-커큐민, 비스데메톡시-커큐민,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가 강화된 뽕나무 추출물, 플라반이 강화된 운카리아 추출물, 및 커큐미노이드가 강화된 강황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추가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와 하나 이상의 스틸벤이 강화된 뽕나무 추출물, 카테킨, 에피카테킨 또는 둘 다를 포함하는 플라반이 강화된 운카리아 추출물, 및 하나 이상의 커큐미노이드가 강화된 강황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은 모러스 알바에서 유래하고, 운카리아 추출물은 운카리아 감비르에서 유래하며, 강황 추출물은 커큐마 롱가에서 유래한다.
이들 3가지 추출물의 임의의 조성물(뽕나무, 뽕나무, 아카시아, 강황 또는 뽕나무, 운카리아, 강황)은 뼈 건강, 연골 건강 또는 이 둘 다를 증진, 관리 또는 개선하거나, 뼈 장애 및 연골 장애 또는 이 둘 모두(예를 들어 골다공증, 골관절염, 골괴사, 골증식, 골절, 대사성 골질환, 골연골염 질환, 골 연골종, 변형성 골염, 낭성 섬유성 골염, 치골염, 치밀화 골염, 골형성 부전증, 골연화증(구루병), 골수염, 골감소증 또는 임의의 다른 뼈 및 연골 관련 증상)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상기한 임의의 조성물에서, 뽕나무 추출물은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 예를 들어 알바닌 G, 쿠와논 G, 모루신, 또는 이들의 조합이 강화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은 스틸벤, 예를 들어 옥시레스베라트롤, 멀베로시드 A, 또는 이들의 조합이 강화된다. 추가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은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와 스틸벤이 강화되며, 알바닌 G, 쿠와논 G, 모루신, 옥시레스베라트롤, 멀베로시드 A,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다른 추가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은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와 스틸벤이 강화되며, 여기서 추출물은 약 2% 내지 약 25%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와 약 1% 내지 약 8% 스틸벤을 포함하거나, 추출물은 적어도 3%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와 적어도 3% 스틸벤(중량 대 중량)을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 스틸벤, 또는 둘 다는 뽕나무 추출물로부터 단리하고 정제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된다. 뽕나무 추출물로부터 단리하고 정제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예시적인 활성 성분은 알바닌 G, 쿠와논 G, 모루신, 옥시레스베라트롤, 멀베로시드 A,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상기한 조성물에서 뽕나무 추출물은 모러스 알바에서 유래한다.
상기한 구체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추출물 또는 화합물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특별한 중량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뽕나무 추출물과 아카시아 추출물은 각각 2:1의 중량비로 블렌드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2개 추출물 또는 화합물의 (중량)비율은 약 0.5:5 내지 약 5:0.5의 범위이다. 2 초과(예를 들어, 3, 4, 5)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이 사용되는 경우, 유사한 범위가 사용된다. 예시적인 비율은 0.5:1, 0.5:2, 0.5:3, 0.5:4, 0.5:5, 1:1, 1:2, 1:3, 1:4, 1:5, 2:1, 2:2, 2:3, 2:4, 2:5, 3:1, 3:2, 3:3, 3:4, 3:5, 4:1, 4:2, 4:3, 4:4, 4:5, 5:1, 5:2, 5:3, 5:4, 5:5, 1:0.5, 2:0.5, 3:0.5, 4:0.5, 또는 5:0.5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과 아카시아 추출물은 1:1, 2:1, 3:1, 4:1, 5:1, 1:2, 1:3, 1:4, 또는 1:5의 중량비 각각으로 블렌드된다. 추가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과 아카시아 추출물은 1:2 내지 4:1 중량비의 범위로 각각 블렌드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과 운카리아 추출물은 1:1, 2:1, 3:1, 4:1, 5:1, 1:2, 1:3, 1:4, 또는 1:5의 중량비로 각각 블렌드된다. 추가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과 운카리아 추출물은 1:4 내지 4:1의 중량비 범위로 각각 블렌드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과 강황 추출물은 1:1, 2:1, 3:1, 4:1, 5:1, 1:2, 1:3, 1:4, 또는 1:5의 중량비로 각각 블렌드된다. 추가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과 강황 추출물은 1:1 내지 4:1의 중량비 범위로 각각 블렌드된다.
상기한 구체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추출물 또는 화합물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특정한 퍼센트 농도 또는 비율로 존재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0.1% 내지 49.9% 또는 약 1% 내지 약 10% 또는 약 0.5% 내지 약 3%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 0.1% 내지 49.9% 또는 약 1% 내지 약 10% 또는 약 0.5% 내지 약 3%의 스틸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아카시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 0.01% 내지 약 99.9%의 플라반을 포함하거나, 적어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또는 80%의 플라반(예를 들어, 카테킨, 에피카테킨, 또는 둘 다)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제제화되어 약학적 또는 식품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약학적 또는 식품의약적 제제는 추출 혼합물의 활성 또는 주요 활성 성분 약 0.5 중량 퍼센트(wt%) 내지 약 90wt%를 포함한다. 추가 구체예에서, 약학적 또는 식품의약적 제제는 약 0.5 중량 퍼센트(wt%) 내지 약 90wt%, 약 0.5wt% 내지 약 80wt%, 약 0.5wt% 내지 약 75wt%, 약 0.5wt% 내지 약 70wt%, 약 0.5wt% 내지 약 50wt%, 약 1.0wt% 내지 약 40wt%, 약 1.0wt% 내지 약 20wt%, 약 1.0wt% 내지 약 10wt%, 약 3.0wt% 내지 약 9.0wt%, 약 5.0 wt% 내지 약 10wt%, 약 3.0wt% 내지 약 6wt%의 추출 혼합물 중 주요 활성 성분 등을 포함한다. 상기한 제제들 중 어느 하나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제, 경질 캡슐, 연질젤 캡슐, 분말, 또는 과립으로 제제화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과 약학적 또는 식품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적어도 6wt% 또는 적어도 5wt% 또는 적어도 3wt% 또는 적어도 2wt% 또는 적어도 1wt%의 활성 뽕나무 성분, 예를 들어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 스틸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함유하게 된다. 예를 들어, 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또는 식품의약적 조성물은 적어도 3wt%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 또는 약 적어도 0.5wt% 내지 약 적어도 2.5wt% 또는 약 적어도 1wt% 내지 약 적어도 2.5wt% 또는 약 적어도 1.5wt% 내지 약 적어도 2.5wt% (예를 들어, 알바닌 G, 쿠와논 G, 모루신, 또는 이들의 조합) 및 적어도 3% 스틸벤(예를 들어, 옥시레스베라트롤, 멀베로시드 A, 또는 둘 다)을 포함하게 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아카시아 또는 운카리아 추출물과 약학적 또는 식품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적어도 20wt% 활성 아카시아 또는 운카리아 성분, 예를 들어 플라반을 함유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아카시아 또는 운카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또는 식품의약적 조성물은 적어도 약 3.5wt% 내지 약 적어도 14wt% 또는 적어도 약 6wt% 내지 약 적어도 16.5wt% (예를 들어, 카테킨, 에피카테킨, 또는 둘 다)가 포함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강황 추출물과 약학적 또는 식품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적어도 25wt%의 활성 강황 성분, 예를 들어 커큐미노이드를 함유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또는 식품의약적 조성물은 적어도 약 4.5wt% 내지 적어도 약 13wt% 커큐미노이드 (예를 들어, 커큐민, 데메톡시-커큐민, 비스데메톡시-커큐민, 또는 이들의 조합)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한 제제들 중 어느 하나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제, 경질 캡슐, 연질젤 캡슐, 분말, 또는 과립으로 제제화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뽕나무 추출물과 아카시아 추출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조성물은 약 1wt%내지 약 2.5wt%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 예를 들어 알바닌 G, 쿠와논 G 및 모루신, 약 1wt%내지 약 2.5wt%의 스틸벤, 예를 들어 옥시레스베라트롤 및 멀베로시드 A, 및 약 3.5wt% 내지 약 14wt%의 플라반, 예를 들어 카테킨 및 에피카테킨을 포함한다. 다른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뽕나무 추출물과 운카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조성물은 약 0.5wt% 내지 약 2.5wt%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 예를 들어 알바닌 G, 쿠와논 G 및 모루신, 약 0.5wt% 내지 약 2.5wt% 스틸벤, 예를 들어 옥시레스베라트롤 및 멀베로시드 A, 및 약 6wt% 내지 약 16.5wt% 플라반, 예를 들어 카테킨 및 에피카테킨을 포함한다. 특정한 추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뽕나무 추출물과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조성물은 약 1.5wt% 내지 약 2.5wt%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 예를 들어 알바닌 G, 쿠와논 G 및 모루신, 약 1.5wt% 내지 약 2.5wt%의 스틸벤, 예를 들어 옥시레스베라트롤 및 멀베로시드 A, 및 약 4.5wt% 내지 약 13wt%의 커큐미노이드, 예를 들어 커큐민을 포함한다.
상기한 조성물들을 사용하여, 관절 건강을 증진하고; 관절 건강을 개선하며; 관절 건강을 유지하고; 관절 건강을 치료 또는 관리하고; 관절 건강을 지지하고; 운동 및/또는 유연성의 정상적이고 편안한 범위를 지지하며; 운동 및/또는 유연성의 범위를 개선하고; 보호성 관절 조직을 분해하는 유해 효소 작용을 감소하고; 관절 건강에 영향을 주는 효소 작용을 변경하고; 관절 운동 및/또는 관절 기능을 개선하고; 물리적 이동성을 개선하고; 물리적 이동성을 관리 및/또는 유지하고; 관절 통증 및/또는 관절 강직성을 경감하고; 관절의 물리적 기능을 개선하고; 유연성과 편안한 움직임을 증진하거나 강화하고; 건강한 관절 기능과 관절 안락감을 증진하고; 관절 불쾌감을 완화하고; 운동, 작업, 과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야기된 관절 불쾌감을 완화하고; 연골 무결성을 보호하여 관절 건강을 증진하고; 관절 연골을 유지하고; 관절 연골을 지지하고; 연골 퇴화를 치료, 예방 또는 관리하고; 연골 퇴화를 최소화하고; 관절 윤활 활액을 유지하여 관절 건강 또는 편안함을 증진하고; 관절의 안정성 및 관절 유연성을 지지하고; 관절 활성화 및 이동성을 촉진하고; 유연한 관절 및 강한 연골을 촉진하고; 증강된 유연성 및/또는 강도를 지지하는 관절의 정상 혈류를 유지하고; 운동, 작업, 과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후 관절의 편안함과 폭넓은 운동 범위를 증진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한 임의의 조성물은 뼈 건강, 연골 건강 또는 이 둘 다를 증진, 관리 또는 개선하거나, 뼈 장애 및 연골 장애(예를 들어 골다공증, 골관절염, 골괴사, 골증식, 골절, 대사성 골질환, 골연골염 질환, 골 연골종, 변형성 골염, 낭성 섬유성 골염, 치골염, 치밀화 골염, 골형성 부전증, 골연화증(구루병), 골수염, 골감소증 또는 임의의 다른 뼈 및 연골 관련 증상)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또한 어쥬번트 또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어쥬번트는 일반적으로 관절 건강을 증진, 유지 또는 개선하는데 있어서 화학식의 기능을 강화시키는 물질들이다. 적합한 어쥬번트는 프로인트(Freund) 어쥬번트; 다른 박테리아 세포벽 성분; 알루미늄 기반 염; 칼슘 기반 염; 마그네슘, 아연, 실리카; 붕소, 히스티딘, 글루코사민 황산염, 콘드로이틴 황산염, 구리 글루코네이트, 폴리뉴클레오티드; 비타민 D, 비타민 K, 톡소이드; 상어 및 소 연골; 혈청 단백질; 바이러스 피막 단백질; 다른 박테리아 유래 조제물; γ-인터페론; 블록 코폴리머 어쥬번트, 예를 들어 헌터스 티터맥스 어쥬번트(Hunter's Titermax adjuvant; Vaxcel™, Inc. Norcross, Ga); 리비 어쥬번트(Ribi adjuvant; Ribi ImmunoChem Research, Inc., Hamilton, Mont.로부터 입수가능); 및 Quil A(Superfos Biosector A/S, Denmark로부터 입수가능)와 같은 사포닌 및 그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담체는 치료 대상에서 치료학적 또는 식품의약적 조성물의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화합물이다. 적합한 담체는 중합성 서방형 제형, 생분해성 임플란트, 리포좀, 박테리아, 바이러스, 오일, 에스테르 및 글리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한 다른 어쥬번트는 글루코사민(예를 들어, 글루코사민 황산염, 글루코사민 염산염, N-아세틸글루코사민), 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 히알루론산(HA), 엘라스틴, 콜라겐, 치킨 콜라겐 II형, 히알루론산과 콜라겐 블렌드, 콘드로이틴 황산염, 메틸설포닐메탄(MSM), 소 연골, 아미노산(예를 들어, 데스모신(desmosine), 이소데스모신, L-글루타민), Boswellia serrata 추출물, 피페린(예를 들어, Piper nigrum L(후추) 추출물 또는 Piper longum L(long pepper) 추출물), 브로멜라인(파인애플 추출물), 트립신, 루틴, 이뮤 오일, 형질전환 성장인자(TGF)-β, 카로티노이드(예를 들어, 루테인, 카로틴, 칸타잔틴); 비타민(예를 들어, 비타민 D3), ω-3 지방산(예를 들어, 에이코사펜타에노산, EPA; 도코사헥사에노산, DHA), 칼슘 프럭토보레이트, 난각막, 아스타잔틴, Hydrilla verticillata 추출물(잎과 싹), 생강 추출물(뿌리), 자몽 추출물(종자),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약(NSAIDs),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NSAIDS는 살리실레이트, 예를 들어 아스피린(아세틸살리실산), 디플루시날, 살살레이트; 프로피온산 유도체, 예를 들어 이부프로펜, 덱시부프로펜, 나프록센, 페노프로펜, 케토프로펜, 덱스케토프로펜, 플루르비프로펜, 옥스프로진, 록소프로펜; 아세트산 유도체, 예를 들어 인도메타신, 톨메틴, 술린닥, 에토돌락, 케토롤락, 디클로페낙, 남부메톤; 엔올산 유도체, 예를 들어 피록시캄, 멜록시캄, 테녹시캄, 드록시캄, 로르녹시캄, 이속시캄; 페남산 유도체, 예를 들어 메페남산, 메클로페남산, 플루페남산, 톨페남산; 선택적 COX-2 억제제, 예를 들어 셀레콕시브, 파레콕시브, 루미라콕시브, 에토리콕시브, 피로콕시브, 파라세타몰, H-하파기드; 서폰아닐리드(suphonanilide), 예를 들어 니메술리드; 니코틴산 유도체, 예를 들어 리신 클로닉시네이트; 이중 COX/LX 억제제, 예를 들어 리코펠론을 포함한다. 관련 약물, 파라세타몰 또는 "아세트아미노펜"은 종종 비마약성 진통제와 해열제로서의 그의 용도로 인하여 NSAIDS와 동일한 범주로 간주되지만, 약한 항염증을 나타내기 때문에 NSAIDS로 분류되지는 않는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주사가능한 항응고제, 경구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항앙기나제(anti-angina agent), 또는 COX-2 선택성 억제제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주사가능한 항응고제는 헤파린, 달테파린, 에녹사파린 및 틴자파린을 포함한다. 경구 항응고제의 예는 와파린, 비타민 K 길항제 및 비타민 K 리덕타제 억제제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항혈소판제의 예는 아스피린, 클로디포그렐 및 디피리다몰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항앙기나제는 니트레이트, 베타-차단제, 칼슘 차단제,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 및 칼륨 채널 활성제를 포함한다. 마지막적으로, COX-2 선택성 억제제의 예는 로페콕시브, 셀레콕시브, 에토돌락 및 멜록시캄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와 하나 이상의 스틸벤이 강화된 뽕나무 추출물, 플라반이 강화된 아카시아 추출물, 및 글루코사민 타입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추가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은 모러스 알바 추출물이고, 아카시아 추출물은 아카시아 카테추 추출물이고, 글루코사민 타입 화합물은 글루코사민 황산염, 글루코사민 염산염, N-아세틸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 황산염, 메틸설포닐메탄, 또는 히알루론산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 아카시아 추출물, 및 NAG는 1:1:1, 2:1:1, 3:1:1, 4:1:1, 5:1:1, 1:2:1, 1:3:1, 1:4:1, 1:5:1, 1:1:2, 1:1:3, 1:1:4, 또는 1:1:5의 중량비 각각으로 블렌드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 운카리아 추출물, 및 NAG는 1:1:1, 2:1:1, 3:1:1, 4:1:1, 5:1:1, 1:2:1, 1:3:1, 1:4:1, 1:5:1, 1:1:2, 1:1:3, 1:1:4, 또는 1:1:5의 중량비 각각으로 블렌드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 강황 추출물, 및 NAG는 1:1:1, 2:1:1, 3:1:1, 4:1:1, 5:1:1, 1:2:1, 1:3:1, 1:4:1, 1:5:1, 1:1:2, 1:1:3, 1:1:4, 또는 1:1:5의 중량비 각각으로 블렌드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가 강화된 뽕나무 추출물, 플라반이 강화된 운카리아 추출물, 및 글루코사민 타입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추가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은 모러스 알바 추출물이고, 운카리아 추출물은 운카리아 감비르 추출물이고, 글루코사민 타입 화합물은 글루코사민 황산염, 글루코사민 염산염, N-아세틸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 황산염, 메틸설포닐메탄, 또는 히알루론산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가 강화된 뽕나무 추출물, 커큐미노이드가 강화된 강황 추출물, 및 글루코사민 타입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추가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은 모러스 알바 추출물이고, 강황 추출물은 커큐마 롱가 추출물이고, 글루코사민 타입 화합물은 글루코사민 황산염, 글루코사민 염산염, N-아세틸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 황산염, 메틸설포닐메탄, 또는 히알루론산이다.
상기한 조성물들에 있어서, 조성물은 추가로 로즈마린산, 에리오시트린(eriocitrin), 또는 둘 다에 의해 강화된 멘타(Mentha) 추출물을 포함한다. 로즈마린산 축적은 가장 뚜렷하게 많은 꿀풀과(Lamiaceae) (쌍떡잎식물) 식물, 특히 Nepetoideae 아과,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요리용 허브로 사용되는 식물, 예를 들어 Ocimum basilicum(바질), Ocimum tenuiflorumcum(홀리 바질), Melissa officinalis(레몬밤), Rosmarinus officinalis(로즈마리), Origanum majorana(마조람), Salvia officinalis(세이지), Thymus vulgaris(타임) 및 Mentha piperita(페퍼민트)에서 발견된다. 로즈마린산은 또한 의약적 특성을 갖는 식물, 예를 들어 통상적 약초(common self-heal)(Prunella vulgaris) 또는 Stachy 속의 종에서 발견된다. 로즈마린산을 함유하는 다른 예시적인 식물은 Heliotropium foertherianum(지치과(Boraginaceae) 식물), Maranta 속의 종(Maranta leuconeura, Maranta depressa, (마란타(Marantaceae)과의 식물), 외떡잎 식물), Thalia 속의 종(Thalia geniculata), 및 Anthoceros agrestis(붕어마름)를 포함한다.
로즈마린산 또는 에리오시트린 또는 둘 다를 함유하는 예시적인 민트 식물은 Mentha aquatica(워터 민트 또는 마쉬 민트); Mentha arvensis(콘 민트, 와일드 민트, 일본 페퍼민트, 필드 민트, 푸디나(Pudina), 바나나 민트); Mentha asiatica(아시아 민트); Mentha australis(오스트레일리아 민트); Mentha canadensis; Mentha cervina(Hart의 페니로열); Mentha citrata(베르가모트 민트, 오렌지 민트); Mentha crispata(링클 잎 민트); Mentha dahurica(다우리안(Dahurian) 타임); Mentha diemenica(슬렌더 민트); Mentha laxiflora(포레스트 민트); Mentha longifolia(Mentha sylvestris, 호오스 민트); Mentha piperita(페퍼민트); Mentha pulegium(페니로열); Mentha requienii(코르시카 민트); Mentha sachalinensis(가든 민트); Mentha satureioides(네티브 페니로열); Mentha spicata(M. viridis, syn M. cordifolia Spearmint, 컬리 민트); Mentha suaveolens(애플 민트, 파인애플 민트(애플 민트의 다양한 재배종)); Mentha vagans(그레이 민트)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가 강화된 뽕나무 추출물, 플라반이 강화된 아카시아 추출물, 및 로즈마린산, 에리오시트린 또는 둘 다가 강화된 멘타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추가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은 모러스 알바 추출물이고, 아카시아 추출물은 아카시아 카테추 추출물이고, 멘타 추출물은 페퍼민트(Mentha piperita) 추출물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뽕나무, 아카시아 및 멘타 추출물은 1:1:0.5, 2:1:0.5, 3:1:0.5, 4:1:0.5, 5:1:0.5, 1:2:0.5, 1:3:0.5, 1:4:0.5, 1:5:0.5, 1:1:1, 1:1:2, 1:1:3, 1:1:4, 또는 1:1:5의 중량비로 각각 블렌드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가 강화된 뽕나무 추출물, 플라반이 강화된 운카리아 추출물, 및 로즈마린산, 에리오시트린 또는 둘 다가 강화된 멘타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추가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은 모러스 알바 추출물이고, 운카리아 추출물은 운카리아 감비르 추출물이고, 멘타 추출물은 페퍼민트(Mentha piperita) 추출물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뽕나무, 운카리아 및 멘타 추출물은 1:1:0.5, 2:1:0.5, 3:1:0.5, 4:1:0.5, 5:1:0.5, 1:2:0.5, 1:3:0.5, 1:4:0.5, 1:5:0.5, 1:1:1, 1:1:2, 1:1:3, 1:1:4, 또는 1:1:5의 중량비로 각각 블렌드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가 강화된 뽕나무 추출물, 커큐미노이드가 강화된 강황 추출물, 및 로즈마린산, 에리오시트린 또는 둘 다가 강화된 멘타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추가 구체예에서, 뽕나무 추출물은 모러스 알바 추출물이고, 강황 추출물은 커큐마 롱가 추출물이고, 멘타 추출물은 페퍼민트(Mentha piperita) 추출물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뽕나무, 강황 및 멘타 추출물은 1:1:0.5, 2:1:0.5, 3:1:0.5, 4:1:0.5, 5:1:0.5, 1:2:0.5, 1:3:0.5, 1:4:0.5, 1:5:0.5, 1:1:1, 1:1:2, 1:1:3, 1:1:4, 또는 1:1:5의 중량비로 각각 블렌드된다.
상기한 임의의 조성물은 뼈 건강, 연골 건강 또는 이 둘 다의 증진; 뼈 건강, 연골 건강 또는 이 둘 다의 개선; 뼈 건강, 연골 건강 또는 이 둘 다의 유지; 뼈 건강, 연골 건강 또는 이 둘 다의 치료 또는 관리; 뼈 건강, 연골 건강 또는 이 둘 다의 지지; 운동 또는 유연성의 정상적이고 편안한 범위의 지지; 운동 또는 유연성의 범위 개선; 보호성 골 조직, 연골 조직 또는 이 둘 다를 퇴화시키는 유해 효소의 작용 감소; 뼈 건강, 연골 건강 또는 이 둘 다에 영향을 주는 효소 작용의 변경; 관절 운동 또는 골 기능, 연골 기능 또는 이 둘 다의 기능 개선; 물리적 이동성의 개선; 물리적 이동성의 관리 또는 유지; 뼈 및 연골 통증 또는 관절 강직성의 완화; 뼈 또는 연골의 물리적 기능 개선; 유연성 및 편안한 움직임의 증진 또는 강화; 건강한 골 기능, 연골 기능, 관절 안락감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의 증진; 불쾌감 완화; 산화성 스트레스, 유해 자유 라디칼, 노화, 마모, 운동, 작업, 과로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 야기된 불쾌감 완화; 산화성 스트레스, 유해 자유 라디칼, 노화, 마모, 운동, 작업, 과로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 야기된 골 손상, 연골 손상 이 둘 다의 관리 또는 감소; 골 무결성, 연골 무결성 또는 이 둘 다의 보호에 의한 건강한 뼈, 건강한 연골 또는 이 둘 다의 증진; 뼈, 연골 또는 이 둘 다의 유지; 뼈 지지, 연골 지지 또는 이 둘 다의 지지; 골 흡수, 연골 퇴화 이 둘 다의 치료, 예방 또는 관리; 연골 퇴화 최소화; 관절 윤활 활액의 유지에 의한 뼈 건강, 연골 건강, 관절 건강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의 증진; 골 안정성 지지; 이동성 증진을 위한 뼈, 연골 또는 이 둘 다의 활성화; 유연한 관절, 강한 연골 또는 이 둘 모두; 증강된 뼈 강도를 지지하는 뼈로의 정상 혈류 유지; 운동, 작업, 과로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 후 편안함과 폭넓은 운동 범위의 증진에 유용하다.
추가 구체예에서, 상기한 임의의 조성물은 뼈 건강, 연골 건강 또는 이 둘 다를 증진, 관리 또는 개선하거나, 뼈 장애 및 연골 장애 또는 이 둘 모두 (예를 들어 골다공증, 골관절염, 골괴사, 골증식, 골절, 대사성 골질환, 골연골염 질환, 골 연골종, 변형성 골염, 낭성 섬유성 골염, 치골염, 치밀화 골염, 골형성 부전증, 골연화증(구루병), 골수염, 골감소증) 또는 임의의 다른 뼈 및 연골 관련 증상,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을 예방, 관리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뼈는 재형성이라는 대사 과정을 끊임없이 겪는다. 이것은 분해 과정, 골 재흡수 및 구축 과정, 골형성을 포함한다. 가교화 텔로펩티드 콜라겐은 재형성 과정의 산물이다. I형 콜라겐의 텔로펩티드는 뼈의 유기 매트릭스를 약 90% 차지하는 반면, II형 콜라겐은 연골의 주요 유기 구성성분이다. 연골의 구조적 무결성 파괴는 골관절염 및 류마티스 관절염의 주요 조직학적 소견이다. 연골의 퇴화에 따라, C-말단 가교화 텔로펩티드 II형 콜라겐(CTX-II) 단편이 순환으로 방출되고, 이후에 소변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CTX-II)는 연골 퇴화 및 질병 진행에 유효한 바이오마커로 간주된다. 여러 연구에서, 뇨 CTX-II는 골관절염의 진행에 유용한 지표 및 류마티스 관절염의 초기 증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관절염이 진행되면서, 매트릭스 및 연골을 비롯한 관절 성분들이 단백질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된다. CTX-II와 같은 분해물은 혈청 및 소변으로 방출되고, 체액의 CTX-II 농도는 OA 진행을 반영한다. CTX-II의 수준은 본원의 실시예 38에 기재된 것과 같은 공지의 분석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뼈 건강, 연골 건강 또는 이 둘 다의 증진, 관리 또는 개선, 뼈 장애, 연골 장애 또는 이 둘 다 (예를 들어 골다공증, 골관절염, 골괴사, 골증식, 골절, 대사성 골질환, 골연골염 질환, 골 연골종, 변형성 골염, 낭성 섬유성 골염, 치골염, 치밀화 골염, 골형성 부전증, 골연화증(구루병), 골수염, 골감소증) 또는 임의의 다른 뼈- 또는 연골-관련 증상,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예방, 관리 또는 치료는 CTX-II와 같은 바이오마커를 측정함으로써 검출된다.
실시예
실시예 1
모러스 알바로부터 유기 및 수성 추출물의 제조
모러스 알바 L. 근피에서 얻어진 식물 물질를 2 밀리미터(mm) 이하의 입자 크기로 분쇄하였다. 이후, 건조한 식물 물질 분쇄물(60 그램(g))을 엘렌마이어 플라스크로 옮기고, 메탄올:디클로로메탄 (1:1 부피비) (600 밀리리터(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여 바이오매스(biomass)를 메탄올:디클로로메탄 (1:1 부피비)(600 mL)으로 다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켜서 3.55 g의 유기 추출물(OE)을 얻었다. 유기 추출 후, 바이오매스를 공기 건조하고, 초순수 물(600 mL)로 한번 추출하였다. 수성 용액을 여과하고, 동결건조하여 4.44 g의 수성 추출물(AE)을 얻었다.
동일 절차 또는 플라스크 내에서의 환류를 사용하여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유기용매를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대체하면 각각 메탄올 추출물(ME) 또는 에탄올 추출물(EE)을 얻는다. 식물의 다른 종과 부위 및 해양 시료도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실시예 2
활성 식물 추출물의 대량 정제(HTP)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모러스 알바 근피 추출물의 유기 추출물(400 mg)을 사전 충전된 (2 cm ID x 8.2 cm, 10 g 실리카겔) 컬럼에 로딩하였다. 이후 컬럼을 Hitachi® High Throughput Purification(HTP) 시스템에서 분당 5 mL의 유속으로 30분간 (A) EtOAc:헥산의 50:50 부피비 및 (B) 100% A 내지 100% B의 메탄올의 구배 이동상으로 용출하였다. 광대역 파장 UV 검출기를 사용하여 분리를 모니터하고 Gilson 분획 수집기를 사용하여 웰당 1.9 mL로 96-딥-웰 플레이트에서 분획을 수집하였다. 시료 플레이트를 저진공 하에 건조하고, 원심분리한 다음, 시료를 웰당 1.5 mL 디메틸 설폭시드(DMSO)로 용해하였다. 일부(100 μL)를 취하고, 기능 어세이를 위해 (UV 추적에 기초해) 합하였다. 유의한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컬럼 분획들은 추가 테스트를 위하여 유지되었다.
실시예 3
모러스 알바 추출물로부터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의 단리, 정제 및 확인
실시예 1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얻어진 모러스 알바 근피의 유기 추출물(11 g)을 나누어 2개의 사전충전된 플래쉬 컬럼(120 g 실리카, 입자 크기 32-60 μm, 4 cm x 19 cm) 상에 분리하여 로딩한 다음, 분당 20 mL의 유속으로 헥산, EtOAc 및 메탄올(이동상)로 용출하였다. 구배는 5분 동안 95% 헥산/EtOAC로 시작하고, 이어서 25분 동안 5%에서 100%까지 EtOAC의 양을 증가한 다음, 추가 5분 동안 100% EtOAc로 유지하였고, 그 다음 15분 동안 0%에서 50% MeOH/EtOAC로 MeOH를 증가시키고, 최종적으로 용출 용액을 100% MeOH로 변경하고, 다시 16분 동안 컬럼을 용출하였다. 총 실행 시간은 66분이었으며, 88개의 분획이 각 컬럼에서 생성되었다. 실리카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에 의해 분획물을 분석하였고, 함께 모아서 8개 컬럼 용출액 풀(pool)을 생성하였다.
얻어진 최고 활성 풀(300 mg의 물질 함유)을 제조용 C18 컬럼(30 cm x 250 cm)에서 물(A)과 메탄올 (B)의 구배 이동상으로 60분 동안 분당 20mL의 유속으로 분획화하여 22개의 분획 풀을 생성하였다. 질량분광법(MS) 분석 결과, 모아진 물질 분획은 이하에 상세히 기술된 3종의 관련 화합물을 함유하였다.
화합물 1(28.2 mg)은 모라세닌(Moracenin) B 또는 알바닌 F로도 알려진,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딜스-알더 부가물, 이른바 쿠와논 G로 확인되었다; 고해상 전자분무 이온화 질량분광학(HRESIMS)(m/z) [M+H]- = 693.2329; UV λmax (MeOH): 265, 320 nm; 1H NMR (600 MHz, DMSO-d6, 100℃) δ ppm 1.44 (s, 3 H) 1.52 (br. s., 3 H) 1.58 (s, 3 H) 1.92 (m, 2 H) 3.08 (d, 3 H) 3.56 (m, 2 H) 4.29 (d, J=10.02 Hz, 1 H) 4.48 (m, 1 H) 5.07 (m, 1 H) 5.14 (br. s, 1 H) 5.93 (s, 2 H) 5.96 (dd, J=8.35, 2.23 Hz, 1 H) 6.02 (br s, 1 H) 6.11 (d, J=2.23 Hz, 1 H) 6.41 (dd, J=8.35, 2.23 Hz, 1 H) 6.51 (s, 1 H) 6.60 (m, 1 H) 7.13 (d, J=8.35 Hz, 1 H) 7.28 (br s, 1 H); 13C NMR (126 MHz, 메탄올-d4) δ ppm 16.35 (1 C) 21.78 (1 C) 23.35 (1 C) 24.53 (1 C) 37.72 (1 C) 97.14 (1 C) 101.57 (1 C) 102.22 (1 C) 102.33 (1 C) 104.28 (1 C) 106.55 (2 C) 107.00 (1 C) 107.21 (1 C) 112.37 (1 C) 114.47 (1 C) 120.27 (1 C) 121.62 (2 C) 123.27 (1 C) 131.05 (1 C) 131.35 (2 C) 132.62 (1 C) 132.99 (1 C) 155.16 (1 C) 155.56 (1 C) 156.38 (1 C) 159.66 (1 C) 160.39 (2 C) 161.13 (1 C) 161.88 (1 C) 164.51 (1 C) 164.63 (1 C) 182.46 (1 C) 208.68 (1 C).
Figure 112021087634465-pat00074
쿠와논 G
화합물 2 (10.5 mg)는 쿠와논 H 또는 모라세닌 A로도 알려진,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또다른 딜스-알더 부가물인 알바닌 G로 확인되었다: HRESIMS (m/z) [M-H]- = 759; UV λmax (MeOH): 265, 320 nm; 13C NMR(126 MHz, 메탄올-d4) δ ppm 16.35 (1 C) 16.47 (1 C) 20.96 (1 C) 21.79 (1 C) 23.32 (1 C) 24.51 (1 C) 24.53 (1 C) 33.74 (1 C) 35.61 (1 C) 36.81 (1 C) 37.77 (1 C) 97.19 (1 C) 102.27 (1 C) 102.33 (1 C) 104.24 (1 C) 106.07 (1 C) 106.53 (2 C) 107.34 (1 C) 112.37 (1 C) 113.94 (1 C) 114.35 (1 C) 120.17 (1 C) 121.60 (2 C) 122.31 (2 C) 123.25 (1 C) 130.21 (2C) 131.33 (2 C) 132.96 (1 C) 156.37 (3 C) 157.07 (1 C) 159.59 (1 C) 160.37 (1 C) 161.23 (1 C) 161.77 (1 C) 161.96 (1 C) 162.21 (1 C) 182.45 (1 C) 208.82 (1 C).
Figure 112021087634465-pat00075
알바닌 G
화합물 3 (12.9 mg)은 모루시놀로 확인되었다: ESIMS (m/z) [M-H]- = 437; UV λmax (MeOH): 269, 317 nm; 1H NMR (500 MHz, 메탄올-d4) δ ppm 1.08 (s, 6 H) 1.43 (s, 6 H) 1.60 (m, 2 H) 2.43 (m, 2 H) 5.59 (d, J=9.97 Hz, 1 H) 6.16 (s, 1 H) 6.43 (m, 2 H) 6.59 (d, J=10.26 Hz, 1 H) 7.15 (d, J=9.09 Hz, 1 H); 13C NMR (126 MHz, 메탄올-d4) δ ppm 21.52 (t, 1 C) 28.54 (q, 2 C) 28.88 (q, 2 C) 43.19 (t,1 C) 71.56 (s, 1 C) 79.28 (s, 1 C) 100.28 (d, 1 C) 102.35 (s, 1 C) 104.06 (d, 1 C) 106.05 (s, 1 C) 108.26 (d, 1 C) 113.14 (s, 1 C) 115.89 (d, 1 C) 122.99 (s, 1 C) 128.36 (d, 1 C) 132.37 (d, 1 C) 153.97 (s, 1 C) 157.96 (s, 1 C) 160.62 (s, 1 C) 162.13 (s, 1 C) 162.88 (s, 1 C) 163.63 (s, 1 C) 184.09 (s, 1 C)
Figure 112021087634465-pat00076
모루시놀
또다른 최고 활성 풀(538 mg의 물질 함유)을 제조용 C18 컬럼 (30 cm x 250 cm)에서 물(A)과 메탄올 (B)의 구배 이동상으로 60분 동안 분당 20mL의 유속으로 분획화하여 16개의 분획 풀을 생성하였다. 멀베로크로멘으로 알려진, 프레닐페닐화 화합물 4, 이른바 모루신(80 mg)을 단리하였다. 구조 및 분광학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ESIMS (m/z) [M-H]- 419; UV λmax (MeOH): 269.4 nm; 1H NMR (500 MHz, 메탄올-d4) δ ppm 1.41 (m, 9 H) 1.58 (s, 3 H) 3.10 (d, J=7.15 Hz, 2 H) 5.09 (m, 1 H) 5.57 (d, J=10.49 Hz, 1 H) 6.14 (s, 1 H) 6.40 (m, 2 H) 6.59 (d, J=10.01 Hz, 1 H) 7.10 (d, J=8.11 Hz, 1 H); 13C NMR (126 MHz, 메탄올-d4) δ ppm 16.25 (q, 1 C) 23.48 (t, 1 C) 24.42 (q, 1 C) 26.99 (q, 2 C) 77.70 (s, 1 C) 98.69 (d, 1 C) 100.79 (s, 1 C) 102.43 (d, 1 C) 104.51 (s, 1 C) 106.63 (d, 1 C) 111.67 (s, 1 C) 114.35 (d, 1 C) 120.63 (s, 1 C) 121.30 (d, 1 C) 126.73 (d, 1 C) 131.02 (d, 1 C) 131.42 (s, 1 C) 152.36 (s, 1 C) 156.51 (s, 1 C) 159.04 (s, 1 C) 160.61 (s, 1 C) 161.27 (s, 1 C) 162.14 (s, 1 C) 182.44 (s, 1 C).
Figure 112021087634465-pat00077
모루신
실시예 4
모러스 알바로부터 유기 70% ETOH 추출물의 제조
2 kg의 건조된 모러스 알바 뿌리와 근피를 잘라서 분쇄한 다음 약 10배 부피(20 L)의 70% 에탄올 수용액(v/v)으로 추출하였으며; 추출은 80℃에서 5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에탄올 용액을 여과하여 상등액을 얻은 다음, 진공 하에 40℃에서 증발기로 농축하였다. 이 추출과 농축 과정을 2회 반복하였다. 추출 용액을 함께 모아서 원래 부피의 1/25가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농축 용액을 진공 동결건조로 건조하여 283.5 g의 모러스 알바 70% EtOH 추출물 분말 1-01을 얻었다. 추출 수율은 약 14.7% (w/w)였다.
실시예 5
모러스 알바 ETOH 추출물에서 멀베로시드 A의 단리
실시예 4에서 얻어진 모러스 알바 70% 에탄올 추출물 1-01 20 g을 실리카겔 컬럼에 로딩하고 컬럼을 헥산:EtOAc (5:1 내지 1:5)의 선형 구배를 함유하는 용매 혼합물의 단계적 적용으로 용출하여 8개의 서브분획을 얻었다. 8개의 서브분획 중에서, 8번째 분획을 제조용 HPLC 시스템(JAI, LC-9104, Japan)에 주입하여 RP-HPLC 컬럼 (YMC-ODS) 5 μm, C18(250 x 30 mm)을 거쳐서 UV 파장 330 nm로 16.2분 동안 15% 아세토니트릴의 H2O 용액으로 용출하여 화합물 5 (멀베로시드 A)를 얻었다(191 mg).
화합물 5 (멀베로시드 A, C26H32014): APCI-MS (m/z) [M+H]+ 569.58; UV λmax (MeOH): 217.9, 325.6 nm;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6.34 (brs, 1 H)  6.52 (dd, J=8.6, 2.4 Hz, 1 H) 6.54 (d, J=2.4 Hz, 1 H) 6.57 (s, 1 H) 6.64 (s, 1 H) 6.94 (d, J=16.4 Hz, 1 H) 7.22 (d, J=16.4 Hz, 1 H) 7.45 (d, J=8.6 Hz, 1 H); 13C NMR (125 MHz, DMSO-d6) δ ppm 60.58 (t, G-6') 60.62 (d, G-6) 69.56 (d, G-4) 69.63 (d, G-4') 73.20 (d, G-2') 73.29 (d, G-2) 76.61 (d, G-3') 76.61 (d, G-3) 77.00 (d, G-5') 77.04 (d, G-5) 100.39 (s, G-1') 100.76 (s, G-1) 102.65 (d, C-2') 103.86 (d, C-3) 105.35 (d, C-4') 106.52 (d, C-5) 107.46 (d, C-6') 117.86 (s, C-1) 123.47 (d, C-6) 126.00 (d, a) 127.27 (d, b) 139.77 (s, C-1') 155.86 (s, C-2) 157.96 (s, C-4) 158.40 (s, C-5') 158.92 (s, C-3')
Figure 112021087634465-pat00078
멀베로시드 A
실시예 6
뽕나무 식물 유래 추출물의 제조 및 HPLC 정량
뽕나무 시료를 대한민국의 다양한 지역에서 상이한 식물 부위로부터 수집하였다. 건조한 식물 물질를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였다. 20 g의 뽕나무 식물 분말을 충분한 규조토와 혼합하여 100 mL 추출 셀을 충전하고, ASE 350 추출기를 사용하여 70% 에탄올/물로 추출하였다(추출 조건: 가열 = 5분, 정지(Static) = 5분, 플러쉬 = 80 부피, 퍼지(Purge)= 900 초, 주기 = 3, 압력 = 1500 psi, 온도 = 60℃). 추출 후, 용액을 50℃에서 증발기로 농축하여 고형 추출물을 얻었다.
뽕나무 추출물 중의 표적 성분 멀베로시드 A, 옥시레스베라트롤, 쿠와논 G, 알바닌 G 및 모루신을 Hitachi HPLC 시스템, 325 nm에서 Luna C18 역상 컬럼 (Phenomenex, 10 μm, 250 mm x 4.6 mm)으로 정량하였다. 컬럼을 0.1% 포름산의 수용액 (이동상 A)과 아세토니트릴(이동상 B)의 이원 구배로 분당 1 ml의 유속 및 30℃의 컬럼 온도로 용출하였다.
표 1 HPLC 분석 방법의 구배표
Figure 112021087634465-pat00079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기준 표준 물질 72-1(뽕나무 70% EtOH 추출물 1-01)을 정량 표준으로 사용하였다. 모든 추출물 시료를 MeOH ml 당 약 5 mg의 농도로 제조하였다. 약 15분 동안 초음파처리한 후, 시료 용액을 플라스크에서 실온으로 냉각하고 0.45 μm 나일론 시린지 필터에 의해 여과하고 20 μl의 시료를 컬럼에 주입하였다.
뽕나무 식물을 대한민국과 중국, 두 나라의 다양한 지역에서 수집하였다. 다른 지역, 다른 수령의 식물에서 수집된 상이한 종, 상이한 식물 부위 중 멀베로시드 A, 옥시레스베라트롤, 쿠와논 G, 알바닌 G 및 모루신 함량의 HPLC 정량을 표 2 및 3에 기재하였다. 활성물질은 뽕나무 근피, 근재, 잔뿌리, 줄기 수피, 가지, 가지 수피, 가지재 및 잔가지에서 정량되었다. 뽕나무 잎에서 소량의 스틸벤 타입 화합물-멀베로시드 A와 옥시레스베라트롤-이 검출되었다.
표 2 대한민국에서 수집된 뽕나무 중의 활성 화합물 정량
Figure 112021087634465-pat00080
표 3 중국에서 수집된 뽕나무 중의 활성 화합물 정량
Figure 112021087634465-pat00081
실시예 7
뽕나무 근피 추출물의 HPLC 정량
중국의 다양한 지역에서 뽕나무 근피의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뽕나무 추출물 중의 4종의 활성 성분 - 멀베로시드 A, 쿠와논 G, 알바닌 G 및 모루신 - 함량을 실시예 6에 기술된 HPLC 방법에 따라 정량하였다. 표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2개의 뽕나무 추출물(ME-10과 ME-12)은 4종의 활성 화합물 중 어떤 것도 함유하지 않았다. 3개의 뽕나무 추출물((ME-6, ME-7 및 ME-8)은 멀베로시드 A를 함유하지 않았고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는 극소량(존재하는 3가지 화합물 전체가 4% 미만)을 함유하였다. 또다른 4개의 뽕나무 추출물((ME-3, ME-4, ME-5 및 ME-14)은 소량의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존재하는 3가지 화합물 총 2% 미만)와 다양한 양의 멀베로시드 A를 함유하였다. 이 실시예에 따라, 일반 뽕나무 근피 추출물 중에 스틸벤과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가 농축 및 표준화되지 않은 것이 분명히 입증되었다.
표 4 중국에서 수집된 뽕나무 추출물 중의 활성 화합물 정량
Figure 112021087634465-pat00082
Figure 112021087634465-pat00083
실시예 8
모러스 알바 70% EtOH 추출물 10의 제조
건조된 모러스 알바 뿌리와 근피(93.3 kg)를 잘라서 분쇄한 다음 약 7배 부피(700 L)의 70% 에탄올 수용액(v/v)으로 추출하였으며; 추출은 100℃에서 4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에탄올 용액을 여과하여 상등액을 얻은 다음, 진공 하에 40℃에서 증발기로 농축하였다. 이 추출과 농축 과정을 2회 반복하였다. 추출 용액을 함께 모아서 부피가 원래 부피의 1/25가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농축 용액을 진공 동결건조로 건조하여 18.3 kg의 모러스 알바 70% EtOH 추출물 분말 10을 얻었다. 추출 수율은 약 19.6% (w/w)였다. 주요 활성 성분 함량을 실시예 12의 표 5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9
모러스 알바 EtOH 분획 11의 제조
실시예 8에 따라 제조된 모러스 알바 EtOH 추출물을 약 2배 부피의 에탄올(EP 등급, Ducksan Chemical, Korea)로 4kg의 건조 모러스 알바 근피로부터 추출하여 570 g의 모러스 알바 EtOH 추출물 분말을 얻었다. EtOH 추출물을 헥산과 물로 분배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은 추출 용액을 15,000 rpm으로 5분 동안 균질기(IKA T25D, Germany)로 균질화하여 수행하였다. 잘 균질화된 추출 용액을 원심분리기(Beckman J-20XP, Germany)에서 3,000 rpm (rotor# JLA 8.1000)으로 5분 동안 분리하였다. 상응하는 n-헥산 가용성 및 수용성 추출물을 570 g의 미정제 모러스 알바 EtOH 분말로부터 제조하였다. 그 결과, 80.5 g의 n-헥산 가용성 추출물 및 156 g의 수용성 모러스 알바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EtOAc로 용매 분배한 후, 상층(EtOAc 가용성층)을 여과지(Hyundai Micro, No. 20, Korea)로 여과하여 EtOAc 용액을 모았다. 원심분리로 모아진 잔류물(침전된 물질)을 2배 부피(300 L)의 에틸 아세테이트(EP 등급, Ducksan Chemical, Korea)로 다시 추출하였다. 다시 추출된 용액을 150 rpm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여과(Hyundai Micro, No. 20, Korea)하여 추가의 EtOAc 추출 용액을 얻었다. 상기한 방법을 2회 반복하였다. 3개의 얻어진 EtOAc 추출 용액을 모아서 증발기에 의해 40℃에서 농축하여 최종 EtOAc 추출물 11을 얻었다. 이 방법에서 얻어진 모러스 알바 EtOAc 분획 11의 최종 양은 327 g이었다. 주요 활성 성분 함량을 표 5에 기재하였다(실시예 12).
실시예 10
모러스 알바 70% EtOH 침전 추출물 12의 제조
모러스 알바 EtOH 침전 추출물 12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634 킬로그램(KG)의 건조된 모러스 알바 뿌리와 근피를 잘라서 분쇄하고, 약 7배 부피(3600 리터(L))의 70% 에탄올 수용액(v/v)으로 추출하였으며; 추출 용매를 80℃에서 4시간 동안 처리하고; 잔류물을 여과하여 상등액을 얻은 다음, 40℃에서 증발기로 농축하였다. 상기한 과정을 3회 반복하였다. 추출 용액을 부피가 원래 출발부피의 1/30이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이후, 농축 용액을 모아서 농축 용액의 부피를 원래 추출 용액의 1/90 부피까지 줄이기 위해 다시 증발시켰다. 농축된 용액을 실온에서 24시간(hr) 동안 방치하여 2개 층으로 분리하였다(상등액과 침전물 층). 침전물을 여과하고 진공 동결건조로 건조하여 모러스 알바 70% EtOH 침전물 분말을 얻었다. 634 kg의 식물 원료물질로부터 총 24 kg의 생성물을 얻었다. 추출 수율은 약 3.79% (w/w)였다. 주요 활성 성분 함량을 표 5에 기재하였다(실시예 12).
실시예 11
모러스 알바 70% EtOH 추출물(13-1), 침전물(13-2) 및 상등액 (13-3) 추출물의 제조
모러스 알바 EtOH 침전 추출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465 kg의 건조된 모러스 알바 뿌리와 근피를 잘라서 분쇄하고, 약 10배 부피(4500 L)의 70% 에탄올 수용액(v/v)으로 추출하였으며; 추출 용매를 80℃에서 4시간 동안 처리하고; 잔류물을 여과하여 상등액을 얻은 다음, 40℃에서 증발기로 농축하였다. 상기한 과정을 3회 반복하였다. 추출 용액을 부피가 원래 부피의 1/30이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이후, 농축 용액을 모아서 농축 용액의 부피를 원래 추출 용액의 1/90 부피까지 줄이기 위해 다시 증발시켰다. 농축된 용액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상등액과 침전물 층으로 분리하였다. 침전물을 진공으로 건조하여 12 kg의 모러스 알바 70% EtOH 침전물 분말 13-2를 얻었다. 뽕나무 근피로부터의 침전물 수율은 약 2.6% (w/w)였다. 상등액 층을 진공 건조하여 24 kg의 모러스 알바 70% EtOH 상등액 분말 13-3을 얻었다. 상등액 13-3의 추출 수율은 약 5.2%였다.
모러스 알바 70% EtOH 조합 추출물(13-1)은 2 kg의 침전물(13-2)과 4 kg의 상등액 (13-3)을 블렌딩하여 얻었다. 두 모러스 알바 EtOH 추출물 13-1, 침전물 13-2 및 상등액 13-3 중 주요 활성 성분 함량을 표 5에 기재하였다(실시예 12).
실시예 12
다양한 모러스 알바 추출물 중 활성 성분 함량의 HPLC 정량
멀베로시드 A, 옥시레스베라트롤, 쿠와논 G, 알바닌 G 및 모루신 함량의 상세한 HPLC 정량방법을 실시예 6에 기술하였다. 표 5에 실시예 8, 9, 10 및 11에서 제조된 다양한 뽕나무 근피 추출물 중의 활성 성분 함량을 기재하였다.
표 5 뽕나무 추출물 중의 활성 화합물의 정량
Figure 112021087634465-pat00084
실시예 13
커큐마 롱가로부터 유기 추출물의 제조
총 20 g의 커큐마 롱가의 건조 근경 분말을 2개의 100 ml 스테인레스 스틸 튜브에 넣고 유기용매 혼합물(염화메틸렌/메탄올 1:1 비율)을 사용하여 ASE 300 자동 추출기로 80℃, 1,500 psi의 압력 하에 2회 추출하였다. 추출 용액을 여과하여 모으고 회전식 증발기로 증발하여 미정제 유기 추출물(OE)을 얻었다(6.04 g, 30.2% 수율).
실시예 14
커큐마 롱가 유기 추출물의 대량 정제(HTP)
실시예 13에 기술된 커큐마 롱가 유기 추출물(OE, 400 mg)을 사전 충전된 플래쉬 컬럼(2 cm ID x 8.2 cm, 25 ml, 10 g 실리카겔)에 로딩하고, Hitachi High Throughput Purification (HTP) 시스템에서 분당 5 mL의 유속으로 30분간 (A) 50:50 EtOAc:헥산 및 (B) 100% A 내지 100% B 메탄올의 고유한 구배 이동상으로 용출하였다. 총 88개 분획을 Gilson 분획 수집기를 사용하여 웰당 1.9 mL로 96-딥-웰 플레이트에 수집하였다. 시료 플레이트를 저진공 하에 건조하고, 원심분리한 다음, 건조 시료를 웰당 1.5 mL 디메틸 설폭시드 (DMSO)에 재현탁하였다. 각 웰에서 일부(100 μL)를 취하고, BKB1 억제 어세이를 위해 (UV 추적에 기초) 합하였다.
실시예 15
커큐마 추출물과 그 분획의 브래디키닌 B1 방사성리간드 결합 어세이
브래디키닌(Bradykinin) B1(BKBl) 방사성리간드 결합 어세이를 수행하여 BKB1 수용체(BKB1R)에 대한 BKB1 결합에서 커큐마 롱가 OE와 추출 분획의 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변성 HEPES 완충액(PH=7.4) 중의 IL-1β로 자극된 인간 IMR-90 폐 섬유아세포의 막을 시험 시료와 0.9 nM [3H](Des-Arg10)-칼리딘 존재하에 60분 동안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막을 여과하고 변성 DPBS 완충액 (pH=7.4)으로 5회 세척하였다. 시료를 섬광 카운트하여 BKB1 수용체를 함유하는 막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양을 측정하였다.
커큐마 롱가 OE를 166 μg/mL의 농도로 시험하여 IC50값을 400 μg/mL 내지 5 ng/mL 범위의 농도로 연속 희석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여 용량-반응 곡선을 얻었다. 커큐마 롱가 OE 추출물에 의한 BKB1R에 대한 BKB1 결합 억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커큐마 롱가 OE에 의한 BKB1 수용체 결합의 억제
Figure 112021087634465-pat00085
커큐마 롱가 OE는 강력한 BKB1 결합 억제를 나타냈으며, IC50은 약 9.6 μg/mL였다. 또한, 커큐마 롱가 OE의 HTP 분획을 BKB1 결합 어세이에서 실험하였다(데이터 미도시). HTP 분획의 활성 프로파일에서는 분획 11-22, 34, 및 38이 가장 강력한 BKB1 수용체 결합 억제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의 평균 백분율(POC)은 10% 미만이었다.
커큐미노이드는 HTP 분획 11-22의 활성과 연관된 주요 활성 화합물인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6
강황 화합물의 BKB1 및 BKB2R 결합 활성
실시예 15에 기술된 BKB1 결합 어세이를 사용하여 커큐마 롱가 추출물(화합물 11)에서 단리된 커큐민 화합물뿐만 아니라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커큐민(Sigma-Aldrich로부터 구입(C1386))을 시험하였다. 커큐민을 200 μM 내지 5 nM 범위의 최종 농도로 시험하였다. 결합 곡선을 비선형 회귀 피트(GraphPad Prizm 소프트웨어 사용)로 플로팅하였다. Ki값을 Cheng-Prusoff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또한, 커큐민에 의한 BKB2 수용체 결합 활성의 억제를 BKB1 수용체에 대해 실시예 15에서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약간 변형하여 실험하였다. 브래디키닌 방사성리간드 결합 어세이 (BKB2)를 표준 어세이에 의해 다음 조건하에 수행하였다:
1. 어세이 완충액의 조성: 24 mM TES, pH 6.8, 1 mM 1.10-페난트리올린, 0.3% BSA.
2. BKb2R의 공급원: 재조합 인간 BKb2R을 발현하는 CHO-K1 세포
3. 리간드: [3H]-브래디키닌: 0.2 nM.
4. 인큐베이션 시간: 90 분 RT.
5. 판독: TopCount.
시판 커큐민(Sigma, C1386)을 200 μM 내지 5 nM 범위의 농도에서 시험하였다. 시판 커큐민의 결합 곡선은 경쟁적 억제제의 질량작용 법칙에 부합하지 않는다. Ki를 Cheng-Prusoff 식을 사용하여 매뉴얼로 계산하였다. 커큐민에 의한 BKB1과 BKB2 억제 활성을 표 7에 나타내었다.
표 7 커큐민에 의한 BKB1과 BKB2 억제
Figure 112021087634465-pat00086
이 데이터는 커큐민이 BKB2 결합과 비교하여 BKB1 결합 활성에 대해 더 강력한 억제를 보이기 때문에 커큐민이 선택적 BKB1 길항제임을 나타낸다.
실시예 17
커큐마 롱가 에탄올 추출물 19의 제조
강황 EtOH 추출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20 kg의 건조 커큐마 롱가 근경(뿌리)을 분쇄하여 약 4배 부피(80 L)의 100% 에탄올로 추출하고 추출 용매를 80-85℃에서 30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잔류물을 여과하여 상등액을 얻고, 이것을 증발기로 85-90℃에서 농축하였다. 이후, 추출 용액을 부피가 원래 부피의 1/25가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농축된 용액을 분무건조법(온도 I/P 200℃ 및 O/P 95℃)으로 건조하여 약 1 kg의 붉은 오렌지색을 갖는 25% 강황 EtOH 추출물 분말 19를 얻었다. 추출 수율은 약 5% (w/w)였다.
실시예 18
강황 근경 추출물에서 커큐민의 정량
하기한 분석 방법으로 커큐마 롱가 근경 추출물 중 커큐민의 양을 측정하였다. Agilent HPLC/PDA 시스템은 커큐민과 부 성분의 검출 및 정량을 위해 C18 역상 컬럼(Phenomenex, USA, Luna 5 um, 250 mm x 4.6 mm)과 함께 사용되었다. 정제수(이동상 A)와 아세토니트릴(이동상 B) 구배 중의 이원 0.1% 아세트산을 표 7에 기술된 커큐민 성분의 용출에 사용하였다. 유속을 분당 1 ml로 설정하고, 컬럼 온도가 35℃인 Luna C18 컬럼에 통과시켰다. UV 검출기는 407 nm에서 흡광도를 판독하도록 세팅하였다.
표 7 커큐민 HPLC 구배 용출 스케쥴
Figure 112021087634465-pat00087
정량 표준물 커큐민은 Sigma-Aldrich Co.로부터 구입하였다. 가장 높은 커큐민 농도는 0.05 mg/ml였고 메탄올을 사용하여 L1(0.0031 mg/ml)에서 L5로 희석하였다. 커큐마 롱가 근경 추출물 시료의 농도를 메스 플라스크 중에서 메탄올 1 ml 당 약 1 mg으로 조절하고 용해될 때까지(약 20분) 초음파처리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하고, 잘 혼합하여 0.45 μm 나일론 시린지 필터로 여과하였다. 10 μl의 시료를 HPLC로 정량하고, 커큐마 롱가 근경 추출물의 결과를 표 8에 기재하였다.
표 8 커큐마 롱가 근경 추출물의 HPLC 정량
Figure 112021087634465-pat00088
실시예 19
감비르(운카리아 감비르( Uncaria gambir )) 추출물 21의 제조
운카리아 감비르 수 추출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00 kg의 건조한 운카리아 감비르 잎을 잘라서 분쇄하여 15배 부피(1500 L)의 70% 에탄올로 추출하고, 추출 용매를 80℃에서 7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여과하여 상등액을 얻었다. 상기한 방법을 2회 반복하였다. 추출 상등액을 함께 모아서 증발기를 사용하여 46℃에서 진공 조건하에 부피가 원래 부피의 1/30이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농축된 용액을 추가로 증발시켜서 농축 용액의 부피를 원래 용액의 1/90 부피까지 줄였다. 이후, 얻어진 농축 용액을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하여 농축 용액 중에서 침전을 형성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진공하에 건조하여 침전물 분말을 운카리아 감비르 추출물 분말 21로 얻었다. 100 kg의 건조한 운카리아 감비르 잎으로부터의 수득물은 약 6 kg의 추출물 분말이었으며, 따라서 추출 수율은 약 6% (w/w)이다.
실시예 20
운카리아 감비르 추출물의 HPLC 정량
이하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운카리아 감비르 잎 추출물에서 카테킨의 양을 측정하였다. C18 역상 컬럼 (Phenomenex, USA, Luna 5 um, 250 mm x 4.6 mm)을 사용하는 Agilent HPLC/PDA 시스템으로 감비르 추출물에서 카테킨 화합물을 검출 및 정량하였다. 이원 컬럼 구배가 컬럼으로부터 물질을 용출하는데 사용되었다. 이동상 A: 0.1% 인산의 정제수 용액, 및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구배가 용출에 사용되었다(표 9). 유속을 분당 1.0 ml로 설정하고 컬럼 온도를 35℃로 하여 Luna C18 컬럼에 통과시켰다. UV 검출기는 275 nm에서 흡광도를 판독하도록 세팅하였다.
표 9 HPLC 분석방법의 구배 표
Figure 112021087634465-pat00089
순수 카테킨 기준 시료를 Sigma-Aldrich Co.로부터 구입하였다. 기준 시료를 MeOH:0.1% H3PO4 (1:1)에 용해하였다. 가장 높은 카테킨 농도 범위는 0.5 mg/ml였고 0.1% H3PO4 중의 50% 메탄올을 사용하여 L1(0.003 mg/ml)로부터 L5로 희석하였다. 감비르 추출물 시료의 농도를 메스 플라스크 중에서 0.1% H3PO4 중의 50% 메탄올 1 ml 당 2 mg으로 조절하고 용해될 때까지(약 10분) 초음파처리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하고, 잘 혼합하여 0.45 μm 나일론 시린지 필터로 여과하였다. 20 μl의 시료를 HPLC에 주입하여 HPLC 분석을 수행하였다.
표 10 감비르 추출물의 HPLC 정량
Figure 112021087634465-pat00090
실시예 21
아카시아 카테추 ( Acacia catechu ) 65% 카테킨 추출물의 제조
아카시아 카테추 65% 카테킨 추출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아카시아 카테추 (KATHA) 500kg을 750L의 50% 에틸 알코올에 넣고, 실온에서 90분 동안 교반하였다. 500L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균질화된 KATHA 슬러리에 넣은 후, 30 분간 부드럽게 교반하였다. 1시간 후, 슬러리는 두 개의 층으로 분리되었다. 에틸 아세테이트 층은 새로운 병에 옮겨 담고, 분리층(partition)은 물 층과 함께 상기 방법을 반복하였다. 첫 번째 및 두 번째 에틸 아세테이트 층 모두를 60-62℃ 에서 TDS 30% 까지 혼합하고 농축하였으며, 이어서 분무 건조하였다 (온도 I/P 190℃ - O/P 90℃). 500kg의 원료로부터, 카테킨 및 에피카테킨의 총량이 65% 이상인 총 72.5kg 아카시아 카테추 추출물이 수득되었다. 추출 수율은 14.5% (w/w)였다.
실시예 22
생체 외 글루코사미노글리칸 (GAG) 유리(release) 분석
*희생 직후의 토끼 (체중 2.5 kg)의 비절(hock joint)로부터 관절 연골을 즉시 채취하고, 샌디 등 (Biochem. Biophy Acta 543:36, 1978)에 의해 기술된 방법에 따라 관절 연골 체외 배양물이 수득되었다. 요약하자면, 멸균 조건하에서 관절 표면이 수술적으로 노출된 후, 관절 당 대략 200-220 mg의 관절 표면이 절개되고 완전 배지 (DMEM, 열불활성화 FBS 5%가 첨가됨; 페니실린 100 U/ml; 스트렙토마이신 100 μg/ml) 내로 침지되었다. 이들을 완전 배지로 수 회 헹군 후, 안정화를 위해 가습된 5% CO2/95% 공기 인큐베이터 내에서 1 내지 2일 동안 37℃에서 인큐베이션되었다. 완전 배지는 기본 배지 (DMEM, 열불활성화 FBS 1%가 첨가됨, 10 mM HEPES, 및 페니실린 100 U/ml, 스트렙토마이신 100 μg/ml)로 교체되었다. 대략 30 mg의 연골 조각들 (2 x 3 x 0.35 mm/조각)이 24-웰 플레이트 내에 위치되었고, 주어진 농도의 시험 약제들로 처리되었다. 1시간의 전처리 후에, 5 ng/ml의 rhIL-1α가 배양 배지에 첨가되었고, 가습된 5% CO2/95% 공기 인큐베이터 내에서 37℃에서 추가로 인큐베이션되었다. 배양 배지는 24시간 후에 채취되었고, -20℃에서 분석 전까지 보관되었다.
제조자의 지시 (BlyscanTM assay, Accurate Chemical and Scientific Corp., Westbury, New York)에 따라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1,9-디메티-메틸렌 블루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되는 반응 완료 후 배지 내 황산화 GAGs (예를 들어, 프로테로글리칸으로부터 유리된)의 양은 관절 연골 퇴화량을 반영한다.
실시예 23
생체 외 GAG 유리에 대한, 뽕나무로부터 정제된 화합물의 효능
프로테오글리칸 (PG) 분해에 대한 보호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서, 실시예 3에 따라 분리된, 정제된 뽕나무 화합물들의 부재 또는 존재하에 토끼 연골 체외 배양물이 rhIL-1α (5 ng/ml)와 함께 배양되었다. 정제된 화합물은 PG의 rhIL-1α-매개 분해를 농도 의존적 방식으로 저해하였다. 특히, 멀베로시드 A, 옥시레스베라트롤 및 모루신은 디클로페낙 처리 그룹에 비해 강한 저해 효과를 보였다.
표 12 생체 외 GAG 유리에 대한 뽕나무 화합물들의 효과
Figure 112021087634465-pat00091
실시예 24
뽕나무 추출물은 생체 외 GAG 유리를 감소시킨다
PG 분해에 대한 보호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뽕나무 추출물의 부재 또는 존재하에 토끼 연골 체외 배양물이 rhIL-1α (5 ng/ml)와 함께 배양되었다. 뽕나무 추출물은 PG의 rhIL-1α-매개 분해를 농도 의존적 방식으로 저해하였다. 모든 샘플들은 IL-1α 처리 그룹에 비해 강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표 13 생체 외 GAG 유리에 대한 뽕나무 추출물의 효과
Figure 112021087634465-pat00092
실시예 25
페퍼민트로부터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페퍼민트 (Mentha piperita)의 90% EtOH 추출물 (lot# RM604-13002)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73.4 kg의 건조 페퍼민트를 절단 및 분쇄하고, 15-배 부피 (1100 L)의 90% 에틸 알코올 (v/v)로 85℃에서 3 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상등액을 수득하기 위해 결과 잔여물을 여과하고, 진공 증발기를 이용하여 40℃에서 농축하였다. 결과 잔여물을 13-배 부피 (950 L)의 90% 에틸 알코올 (v/v)을 이용하여 40℃에서 1시간 동안 다시 추출하였으며, 2차 상등액을 수득하기 위해 여과하고, 진공 증발기를 이용하여 40℃에서 농축하였다. 수득된 농축 케이크를 진공 건조하여, 추출물 25로 명명되는 19.3 kg의 페퍼민트 90% EtOH 추출물 분말을 수득하였다. 추출 수율은 25.3% (w/w)였다.
실시예 26
페퍼민트로부터 메탄올 및 다른 유기 추출물의 제조
건조 분쇄 페퍼민트잎 분말 (Mentha piperita) (21.7 g)을 두 개의 100 ml 스테인리스 스틸 튜브에 로딩하고, ASE 300 자동 추출기를 이용하여 80℃에서 1,500 psi의 압력하에 유기 용매 혼합물 (메탄올)로 2 회 추출하였다. 추출물 용액을 자동 여과하여, 수집하고, 이어서 회전 증발기에 의해 건조하여 원료(crude) 유기 추출물 (ME 26-1) (4.48 g, 20.64% 수율)을 수득하였다.
대안적으로, 252.3 g의 건조 분쇄 페퍼민트잎 분말을 3회 추출 (각각 1 시간씩 환류)하였다. 유기 용액을 혼합하고, 진공하에서 증발하여, 16.20% 수율로 40.88 g의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ME 26-2).
유기 용매를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대체하여 동일한 방법에 의해 메탄올 추출물 (ME) 또는 에탄올 추출물 (EE), 에탄올:H2O (7:3) 추출물, 에탄올:H2O (1:1) 추출물, 에탄올:H2O (3:7) 추출물 및 물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는 경우에도 유사한 결과가 수득되었다.
실시예 27
생체 외 GAG 유리에 대한 강황 및 운카리아( Uncaria) 추출물의 효과
PG 분해에 대한 보호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실시예 17에 따른 강황 추출물 또는 실시예 19에 따른 운카리아 추출물의 부재 또는 존재하에서 연골 체외 배양물이 rhIL-1α (5 ng/ml)와 함께 배양되었다. 강황 추출물 19는 PG의 rhIL-1α-매개 분해를 농도 의존적 방식으로 감소시켰으나, 운카리아 추출물 21는 PG 분해에 대해 약한 보호 효과를 보였다.
표 14 생체 외 GAG 유리에 대한 강황 및 아선약(Gambir) 추출물의 효과
Figure 112021087634465-pat00093
실시예 28
생체 외 GAG 유리에 대한 페퍼민트 추출물의 효과
PG 분해에 대한 보호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실시예 25 및 26에 따른 페퍼민트 추출물의 부재 또는 존재하에 토끼 연골 체외 배양물이 rhIL-1α (5 ng/ml)와 함께 배양되었다.
표 15 생체 외 GAG 유리에 대한 페퍼민트 추출물의 효과
Figure 112021087634465-pat00094
페퍼민트 추출물은 PG의 rhIL-1α-매개 분해를 농도 의존적 방식으로 저해하였으나, 페퍼민트 추출물의 PG 분해에 대한 효과는 디클로페낙 처리 그룹에 비해서는 미약하였다.
실시예 29
생체 외 GAG 유리에 대한 강황( Curcuma Longa) (C):뽕나무 (M) 조성물들의 효과
PG 분해에 대한 보호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강황 및 뽕나무 추출물의 혼합물의 부재 또는 존재하에 토끼 연골 체외 배양물이 rhIL-1α (5 ng/ml)와 함께 24 시간 동안 배양되었다. 뽕나무 및 강황의 식물 추출물들은 실시예 8 및 17에 따라 각각 제조되었다. 강황 및 뽕나무 추출물은 4:1, 2:1, 1:1, 1:2 및 1:4를 포함하는 상이한 비율로 혼합되었다. 조성물들은 하기 네 종류의 용량으로 시험되었다: 50, 100, 200 및 300 ㎍/ml. 표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식물 추출물 조성물들은 rhIL-1α 매개 관절 연골 퇴화를 농도 의존적 방식으로 방지하였다.
표 17 생체 외 GAG 유리 뽕나무 / 강황 조성물들의 효과
Figure 112021087634465-pat00095
실시예 30
생체 외 GAG 유리에 대한 강황 (C):뽕나무 (M) 조성물의 상승효과의 평가
PG 분해에 대한 보호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강황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의 부재 또는 존재하에 토끼 연골 체외 배양물이 rhIL-1α (5 ng/ml)와 함께 24 시간 동안 배양되었다. 뽕나무 및 강황으로부터의 식물 추출물은 각각 실시예 8 및 17에 따라 제조되었다. 강황 및 뽕나무 추출물은, 1:2 및 1:4를 포함하는 상이한 비율로 혼합되었다. 조합 추출물들이 상승적 또는 상가적 효과를 가지는지 시험하기 위해, 조성물들은 다음의 두 가지 용량 - 200 및 300 ㎍/ml, 또는 한 가지 용량 - 75 ㎍/ml으로 시험되었다. 각각의 추출물 조성물들은 혼합 조성물 내 추출물의 중량비에 따른 농도로 시험되었다.
표 18 C:M 조성물 대(versus) C 또는 M 단독의 상승 효과
Figure 112021087634465-pat00096
강황 및 뽕나무 추출물들의 조성물은 PG의 rhIL-1α-매개 분해를 농도 의존적, 그리고 상승적(synergistic) 방식으로 저해하였다. 특히, 1C:4M (5 wt% 커큐미노이드, 2.4 wt%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 2.4 wt% 스틸벤) 및 1C:2M (8.3 wt% 커큐미노이드, 2 wt%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 2 wt% 스틸벤) 조성물들은 200 및 300 ㎍/ml에서 상승효과를 보였다. 조성물 1C:1M (12.5 wt% 커큐미노이드, 1.5 wt% 프레닐화 플라보노이드, 1.5 wt% 스틸벤) 또한 75 ㎍/ml에서 상승효과를 보였다. 시너지 수치는 콜비(COLBY) 공식에 의해 계산되었다 (Colby, Weeds 15:20, 1967).
실시예 31
생체 외 GAG 유리에 대한 강황 (C):뽕나무 (M):N-아세틸 글루코사민 (NAG) 조성물들의 효과
PG 분해에 대한 보호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강황 및 뽕나무 추출물의 조성물의 부재 또는 존재하에 토끼 연골 체외 배양물이 rhIL-1α (5 ng/ml)와 함께 24 시간 동안 배양되었다. 뽕나무 및 강황으로부터의 식물 추출물은 각각 실시예 8 및 17에 따라 제조되었다. 강황 및 뽕나무 추출물은 N-아세틸 글루코사민 (NAG)과 함께 1C:1M:2NAG의 비율로 혼합되었다. 조성물들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용량으로 시험되었다: 50, 100, 200 및 300 ㎍/ml. 조성물들 내의 단독 추출물들은 조성물들 내 추출물의 중량비에 따른 농도로 시험되었다. 시너지 수치는 콜비(COLBY) 공식에 의해 계산되었다 (Colby, Weeds 15:20, 1967).
표 19 강황, 뽕나무, 및 NAG 조성물들의 효과
Figure 112021087634465-pat00097
표 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식물 추출물의 조성물은 관절 연골의 rhIL-1α 매개 분해를 농도 의존적 방식으로 방지하였다. 특히, 1C:1M:2NAG 조성물은 300 ㎍/ml에서 3 종의 단독 추출물들과 비교하여 예측하지 못한 상승 효과를 나타내었다 (표 20).
표 20 C:M:NAG 조성물들의 상승 효과
Figure 112021087634465-pat00098
실시예 32
기타 활성 물질 및 성분들과 뽕나무 뿌리껍질(Root Bark) 추출물의 배합
뽕나무 뿌리껍질 추출물과 기타 활성 물질 및/또는 부형제 성분들과 함께 골밀도 조성물들이 아래의 조성으로 배합되었다.
보충 사실
용량: 하루에 정제(tablet) 2 개
용법: 하루 2 번 1 개의 정제를 식사와 함께 섭취
조성물 1
1 회 섭취량 용량 % 1 일 값
글루코사민 염산염 1,500 mg *
돌뽕나무(Chinese mulberry) 추출물 (Morus alba) (뿌리껍질)200 mg *
커큐민 추출물 (Curcuma longa) (뿌리줄기) 200 mg *
비타민 D3 (콜레칼시페롤로서) 400 IU 100%
칼슘 (원소) 600 mg 60%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1 일 값이 확립되지 않음
조성물 2
1 회 섭취량 용량 % 1 일 값
글루코사민 황산염 1,500 mg *
콘드로이틴 황산염 1,200 mg *
돌뽕나무 추출물 (Morus alba) (뿌리껍질) 100 mg *
아카시아 추출물 (아카시아 카테추) (심재 및 껍질) 50 mg *
비타민 D3 (콜레칼시페롤로서) 400 IU 100%
칼슘 (원소) 300 mg 30%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1 일 값이 확립되지 않음
조성물 3
1 회 섭취량 용량 % 1 일 값
N-아세틸-글루코사민 1,000 mg *
콘드로이틴 황산염 200 mg *
돌뽕나무 추출물 (Morus alba) (뿌리껍질) 150 mg *
운카리아 감비르 추출물 (Uncaria gambir) (식물 전체)150 mg *
비타민 D 800 IU 200%
칼슘 시트레이트 (원소) 1,000 mg 100%
마그네슘 시트레이트 300 mg 75%
비타민 K1 100 mcg 125%
비타민 K2 10 mcg 12.5%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1 일 값이 확립되지 않음
조성물 4
1 회 섭취량 용량 % 1 일 값
돌뽕나무 추출물 (Morus alba) (뿌리껍질) 250 mg *
커큐민 추출물 (Curcuma longa) (뿌리줄기) 250 mg *
비타민 D3 800 IU 200%
칼슘 (원소) 1,000 mg 100%
마그네슘 시트레이트 400 mg 100%
인 300 mg 30%
붕소 (시트레이트) 200 mcg *
아연 (시트레이트) 13 mg 87%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1 일 값이 확립되지 않음
기타 성분: 미정질 셀룰로스,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스테아르산, 코팅 이산화규소, 글리세린,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상기 조성물은 뼈 및 뼈와 연골의 건강을 보조한다. 상기 조성물은 골 손실을 방지하고, 골밀도를 증가시키며, 그리고 연골을 재생하고, 연결 조직을 윤활하고, 그리고 뼈를 강화함으로써 뼈와 연골에 편안함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사용자가 계속 움직일 수 있게 하고, 강함과 유연함을 유지할 수 있게 돕는다. 뼈&관절 보조제(Bone & Joint Support)는 사용자의 관절과 뼈를 4 가지 방법으로 보호한다:
● 글루코사민 염산염은 관절을 보호하고 강화하기 위해 제공된다*.
● 뽕나무 (Morus alba) 바이오플라보노이드들은 잠재적 항산화제로서, 뼈 및 연골 조직을 파괴하는 해로운 염증 및 산화제로부터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제공된다*.
● 비타민 D3은 뼈를 지지하고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미네랄 흡수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 칼슘은 뼈를 강화하고 골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실시예 33
모노-요오드아세트산(MIA) 유도성 골관절염 모델
골관절염 (OA)은 관절 통증 및 관절 연골의 점진적인 상실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관절질병으로서, 지금까지 치료법이 발견된 바 없다. 질병의 진행에 따라, 관절 연골 내에서 일어나는 생화학적 변화로 인해 동화 작용과 이화 작용간의 불균형이 유발됨으로써 전체적인 관절 구조 및 기능을 궁극적으로 변화시키고, 만성 통증을 일으킨다. 복수의 동물 모델들이 개발되고, OA의 발병 연구에 사용되었으며 신규 치료제의 효과 평가에 제한적으로 성공하였다. 질병과 연관된 고통과 함께, 관절 병리의 왕성한 유도 및 재생성을 가지는 동물 모델이 요구되었으며, 따라서 최소 침습 모노-요오드아세트산 (MIA) 유도성 OA 모델이 채용되었다. 모노-요오드아세트산 (MIA)은 글리세랄데하이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네이즈의 저해제로서, 연골 세포의 사멸을 유도하고, 이로 인해 프로테오글리칸 기질의 손실 및 인간 OA와 유사한 기능적 관절 장애와 더불어 연골 병변을 재현한다 (Marker and Pomonis, Methods Mol. Biol. 851:239, 2012).
약 170 내지 약 230 g (6 주령) 체중의 수컷 스프라그-돌리 (Sprague-Dawley, SD) 래트가 구매되었으며 1 주일 동안 순응되었다. 질병 유도 하루 전에, 동물들은 다음의 네 그룹으로 랜덤화되었다: G1 (정상), G2 (비히클), G3 (디클로페낙; 10 mg/kg) 및 G4 (G:M; 500 mg/kg). 각각의 처리 약물이 해당 그룹에 경구 위관 공급되었다. 제 2 용량 처리 1 시간 후에, 50 ㎕ 식염수 내 0.8 mg의 MIA가 마취된 래트들의 관절 포켓 내부에 주입되었다. 랜달-샐리토(Randall-Salitto) 미터를 이용하여, 고통 감수성이 1 주일에 한 번 측정되었으며, 처리는 6주 동안 지속되었다. 각 그룹의 주당 용량을 각각 계산하기 위해, 체중이 1 주일에 한 번 측정되었다. 생존 동안의 연구가 종료되면, 조직병리학적 방법에 의해 수정된 맨킨스 스코어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질병의 진행 및/또는 치료 효과에 따른 관절조직의 구조적 및 세포적 변화가 평가되었다.
실시예 34
치료적 MIA 유도성 골관절염 모델에서의 골조직 형태 계측
170 내지 230 g (6 주령) 체중의 수컷 스프라그-돌리 (Sprague-Dawley, SD) 래트가 구매되었으며 1 주일 동안 순응되었다. 질병 유도 하루 전에, 동물들은 정상, 비히클, 디클로페낙 (10 mg/kg) 및 GM (500 mg/kg)의 네 그룹으로 랜덤화되었다. 50 ㎕ 식염수 내 0.8 mg의 MIA가 마취된 래트들의 관절 포켓 내부에 주입되었다. MIA 유도 1 주일 후에, 샘플들이 6주 동안 매일 위관 투여되었다.
한국 오창에 있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서 InveonTM 유닛을 이용한 마이크로 CT 스캔 (Siemens Healthcare USA, Inc., Pennsylvania, USA)을 이용하여, MIA-유도성 골관절염 모델 래트의 무릎 관절에 대해 대퇴골 및 경골 모두에서 골조직 형태 계측이 수행되었다. 골다공증 및 골절 위험의 지표로서 BMD가 사용되었고; 해면골 부피의 지표인 BV/TV는 총 부피에 대한 해면골 부피의 비를 의미하고; 해면골 전환의 지표인 BS/BV는 관심 영역의 해면골 부피에 대한 해면골 표면의 비를 의미한다.
표 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히클 그룹에 비해 GM 그룹에서 BMD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비히클 그룹에 비해 G:M 그룹에서 BV/TV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디클로페낙 (양성 대조군) 그룹은 BV/TV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표 21).
표 21 치료적 MIA 모델에서 BMD 및 뼈 구성의 변화
Figure 112021087634465-pat00099
데이터는 평균 ± SD로 표시되었다. * p < 0.05(vs 비히클).
BV/TV; 총 해면골 부피 /총 조직 (뼈 + 골수) 부피
실시예 35
병행(concurrent) MIA-유도성 골관절염 모델에서의 골조직 형태 계측
170 내지 230 g (6 주령) 체중의 수컷 스프라그-돌리 (Sprague-Dawley, SD) 래트가 구매되었으며 1 주일 동안 순응되었다. 질병 유도 하루 전에, 동물들은 정상, 비히클, 디클로페낙 (10 mg/kg) 및 G:M (500 mg/kg)의 네 그룹으로 랜덤화되었다. 샘플 처리 1 시간 후에, 50 ㎕ 식염수 내 0.8 mg의 MIA가 마취된 래트들의 관절 포켓 내부에 주입되었다. 이어서, 샘플들이 6주 동안 매일 위관 투여되었다.
한국 오창에 있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서 InveonTM 유닛을 이용한 마이크로 CT 스캔 (Siemens Healthcare USA, Inc., Pennsylvania, USA)을 이용하여, 무릎 관절에 대해 대퇴골 및 경골 모두에서 골조직 형태 계측이 수행되었다. 해면골 부피의 지표인 BV/TV는 총 부피에 대한 해면골 부피의 비율이다. BMD는 골다공증 및 골절 위험의 지표로서 사용되었다. 따라서, GM이 골다공증에 효과를 가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이들 마커를 체크하였다.
표 2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히클 그룹에 비해 디클로페낙 및 G:M 그룹 모두에서 BMD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MIA 래트에서 디클로페낙 및 GM 그룹들은 비히클 그룹에 비해 BV/TV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표 22).
표 22 병행 MIA-유도성 모델에서 BMD 및 뼈 구성의 변화
Figure 112021087634465-pat00100
데이터는 평균 ± SD로 표시되었다. * p < 0.05(vs 비히클).
BV/TV; 총 해면골 부피 /총 조직 (뼈 + 골수) 부피
실시예 36
난소 절제 (OVX) 골다공증 모델
난소 절제된 (OVX) 래트에서 뼈 미네랄 밀도 (BMD)의 향상을 확인하기 위해 CM (강황 (Curcuma longa) 및 뽕나무 (Morus alba) 추출물의 자체적 블렌드)가 시험되었다. 요약하자면, 190 내지 220 g (7 주령) 체중의 암컷 스프라그-돌리 (Sprague-Dawley, SD) 래트가 구매되었으며 1 주일 동안 순응되었다. 동물들은 난소 절제 그룹 (OVX) 및 겉보기 수술 그룹 (n=10)으로 랜덤화되었다. OVX는 이소플루란 마취 하에 옆구리 절개를 통해 수행되었다. 난소가 제거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겉보기 그룹에도 유사한 수술 공정이 적용되었다.
OVX 래트들은 세 가지 용량의 OVX 대조군 그룹, 뽕나무-, 커큐민(Curcumin)- 및 C:M-처리 그룹들로 구분되었다. OVX 또는 겉보기 수술 10 주일 후, 모든 샘플들이 12주 동안 매일 투여되었다. 겉보기 수술 및 OVX 대조군 래트들은 비히클과 동일한 부피의 0.5%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CMC)를 투여받았다. BMD, 총 해면골 부피/총 조직 (BV/TV) 및 해면골 두께 (TH/TB)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관련 파라미터들이 분석되었다.
표 23 치료적 MIA 유도성 모델에서 BMD 및 구성의 변화
Figure 112021087634465-pat00101
데이터는 평균 ± SD로 표시되었다. * p < 0.05(vs 비히클).
BV/TV; 총 해면골 부피 /총 조직 (뼈 + 골수) 부피
실시예 37
병행 MIA-유도성 골관절염 모델에서의 골조직 형태 계측
170 내지 230 g (6 주령) 체중의 수컷 스프라그-돌리 (Sprague-Dawley, SD) 래트가 구매되었으며 1 주일 동안 순응되었다. 질병 유도 하루 전에, 동물들은 정상, 비히클, 디클로페낙 (10 mg/kg) 및 GM (500 mg/kg)의 네 그룹으로 랜덤화되었다. 샘플 처리 1 시간 후에, 50 ㎕ 식염수 내 0.8 mg의 MIA가 마취된 래트들의 관절 포켓 내부에 주입되었다. 이어서, 샘플들이 6주 동안 매일 위관 투여되었다.
한국 오창에 있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서 InveonTM 유닛을 이용한 마이크로 CT 스캔 (Siemens Healthcare USA, Inc., Pennsylvania, USA)을 이용하여, 무릎 관절에 대해 대퇴골 및 경골 모두에서 골조직 형태 계측이 수행되었다. 해면골 부피의 지표인 BV/TV는 총 부피에 대한 해면골 부피의 비율이다. BMD는 골다공증 및 골절 위험의 지표로서 사용되었다.
표 24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히클 그룹에 비해 디클로페낙 및 GM 그룹 모두에서 BMD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MIA 래트에서, 비히클 그룹에 비해 디클로페낙 및 GM 그룹들 모두에서 BV/TV 수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표 24; 도 1).
*표 24 병행 MIA-유도성 모델에서 BMD 및 뼈 구성의 변화
Figure 112021087634465-pat00102
데이터는 평균 ± SD로 표시되었다. * p < 0.05(vs 비히클).
BV/TV; 총 해면골 부피 /총 조직 (뼈 + 골수) 부피
실시예 38
골관절염을 가지는 성인에 있어서 뽕나무( Morus alba ) 및 아카시아 카테추 ( Acacia catechu )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 시험
본 실시예에서는 무릎에 골관절염(OA)을 가지는 개체에 12주 동안 섭취시켰을 때의 불편 (개시 및 전체) 및 전체적 기능에 대한 아카시아/뽕나무 (1A:2M) 조성물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구 개시 전 30 일 중 적어도 15일 동안 무릎 고통을 가지고, 연구 개시 전 적어도 6 달 전부터 무릎 고통의 증상을 가졌으며, 엑스선 스크리닝에 따라 켈그렌-로렌스 등급 I, II 또는 III을 가지고, 포함-배제의 기준이 일치하는, BMI가 35 kg/m2 미만인, 35 내지 75 세의 135 명의 성인이, 고지에 입각한 동의에 서명한 후 등록되었다. 본 실험은 약 12주 동안 진행으며, 실험 대상들은 선별검사 방문 및 여섯 번의 실험 방문을 가졌다 (0, 7, 14, 28, 56 및 84 일차). 선별검사 방문은 켈그렌-로렌스 등급이 I-III를 가지는 골관절염 대상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무릎 엑스선을 또한 포함하였다 (대상이 지난 6 개월 동안 엑스선 검사를 받지 않은 한). 선별검사 방문에서, 대상들은 응급 약물(아세트아미노펜)이 제공되었고, 응급 약물의 사용이 판별될 수 있도록 이후의 각각의 방문에 사용하지 않은 응급 약물을 가져오도록 요청받았다.
본 연구 대상은 랜덤화되었으며 아래의 세 연구 항목 중 하나가 투여되었다:
시험 약물 - 은 미정질 셀룰로스, 마그네슘 스테아르산염 (식물성) 및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와 함께 제제화된 뽕나무 (Morus alba, White Mulberry) 및 아카시아 카테추 (Senegalia catechu) (캡슐 당 100 mg)를 포함하였다.
양성 대조군 - 은 마그네슘 스테아르산염 (식물성) 및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와 함께 제제화된 글루코사민 (375 mg) 및 콘드로이틴 (300 mg)의 조합을 포함하였다.
위약군 - 미정질 셀룰로스, 마그네슘 스테아르산염 (식물성) 및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였다.
대상들은 아침 식사와 함께 캡슐 두 개, 그리고 저녁 식사와 함께 캡슐 두 개 총 하루 네 개의 캡슐을 8 온스의 물과 함께 섭취하도록 지시받았다.
시험 약물을 12주 동안 사용한 후, 양성 대조군 (글루코사민-콘트로이틴) 및 위약군과 비교하였을 때 불편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첫 번째 효과 척도는 다음과 같이 측정되었다: (a) 웨스턴 온타리오 및 맥마스터 대학 골관절염 인덱스 (WOMAC) 고통 하위점수(subscore); (b) 시각 척도 (VAS)-불편 평가 (12 주 초과 평가); 및 (c) 응급 약물 사용 (12 주 초과).
시험 약물을 최초 7일 동안 사용한 후, 양성 대조군 및 위약군과 비교하였을 때 불편에 대한 신속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두 번째 효과 척도는 다음과 같이 측정되었다: (a) 시각 척도 (VAS)-불편 평가 (최초 7일 동안 약물을 사용하면서 매일 평가); 및 (b) 응급 약물 사용 (약물 사용 최초 7일 동안).
시험 약물을 12주 동안 동안 사용한 후, 양성 대조군 및 위약군과 비교하였을 때 전체적 기능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세 번째 효과 척도는 다음과 같이 측정되었다: (a) 웨스턴 온타리오 및 맥마스터 대학 골관절염 인덱스 (WOMAC) 경직 및 일상 생활에서의 활동 하위점수; (b) 가동 범위 고니어미터 시험(Range of Motion Goniometer Testing); 및 (c) 6분 보행 시험 (6MWT).
시험 약물을 12주 동안 사용한 후, 양성 대조군 및 위약군과 비교하였을 때 염증 및 뼈 신진대사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네 번째 효과 척도는 다음과 같이 다양한 바이오마커의 생산에 의해 측정되었다: (a)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 (b) 인터류킨-1 베타(IL-1β), (c) 인터류킨-10 (IL-10) 및 (d) 소변 CTX-II.
탈락은 예상 한도 내였기 때문에 주 효과 분석은 계획서 순응(Per-Protocol, PP) 기반으로 PP 집단을 이용하여 수행되었으므로, 치료 목적 (ITT) 분석은 필요하지 않았다. 각각의 연속적 효과 변수에서, 각각의 약물 그룹 내에서 베이스라인에서 각각의 이후의 시간 포인트로의 평균의 변화는 명목상 유의성을 위해 대응 표본 스튜던트의 T 검정에 의해, 또는 실질적으로 비-정규분포인 경우 비-모수 윌콕슨 검정(non-parametric Wilcoxon test)에 의해 시험되었다. 각각의 시간 포인트에서 각각의 연속적 효과 변수에서, 그리고 베이스라인에서 각각의 이후의 시간 포인트로의 변화에서, 수치들은 일원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에 의해 세 약물 간의 전체적인 차이가 시험되었다.
바이오마커(TNFα 및 CTX-II/CR)의 분석을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접근이 사용되었다: (1) 세 그룹 간의 임의의 차이 검정을 위한 비모수적 검정 (일원분산분석 대신 비모수적 크루스칼-월리스 검정 사용); (2) 수치들의 대수(logarithm)에 대해 세 그룹 간의 모수적 (ANOVA) 및 비모수적 (KW) 검정; 및 (3) 수치들의 대수에 대해, UP1306 및 G+C, 그리고 UP1306 및 위약군 간의 베이스라인으로부터의 평균 변화를 비교하기 위한 공분산분석(ANCOVA)(베이스라인 수치에 따라 조정됨).
혈액 검사 (포괄적인 신진대사 패널, 일반 및 선별 혈액 검사 및 PT/INR), 혈압 (BP), 심박수 (HR), 부작용 및 주관적 평가에서 베이스라인으로부터 12 주 까지의 변화에 기초하여 매일 UP1306를 섭취하는 것에 대한 안전성이 평가되었다.
모든 안전성 분석은 안전성 연구 대상(Safety population)에서 수행되었다. 각각의 연속적 효과 변수에서, 각각의 약물 그룹 내에서 베이스라인에서 각각의 이후의 시간 포인트로의 평균의 변화는 (또는 평균 백분율 변화) 유의성을 위해 대응 표본 스튜던트의 T 검정에 의해, 또는 실질적으로 비-정규분포인 경우 비-모수 윌콕슨 검정(non-parametric Wilcoxon test)에 의해 시험되었다. 각각의 연속적 안정성 변수 및 각각의 시간 포인트에서, 상이한 세 약물 간의 변수 및 베이스라인으로부터의 변수의 변화의 차이는 유의성을 위해 수치들은 일원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에 의해 시험되었다. 각각의 개별적인 안전성 변수를 위해, 상이한 시험 항목들 간의 범주 분포의 차이가 유의성을 위해 가능한 경우 피셔의 정확한 검정(Fisher Exact test) 또는 필요한 경우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에 의해 시험되었다. 부작용들(AEs)은 목록화되고, MedDRA 부호화되고, 증상의 일반적 형태(위장, 신경, 심장 등)에 의해 그룹화되었고, 그리고 증상의 형태 및 약물 그룹에 따라 교차표화(cross-tabulated)되었다. 시험 약물들 간의 AE 패턴의 차이는 피셔의 정확한 검정에 의해 측정되었다. 주관적 평가는 가능한 한 범주화하고, AE와 동일한 방식으로 약물 그룹간의 패턴의 차이가 분석되었다.
결과
안전성
안전성 종결점 (예를 들어, 혈압, 심박수 및 안전성 실험실 값)에서 임상적 유의성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시험 화합물 및 부작용의 빈번한 발생 간의 유의적인 연관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진행 동안 심각한 부작용(SAEs)은 관찰되지 않았다.
안전성 연구 대상인 133 대상 중 30 대상에서 총 43 건의 부작용(AEs)이 관찰되었다. 43 건의 부작용 중 15 건은 시험 약물(뽕나무/아카시아) 그룹에서 관찰되었으며, 43 건의 부작용 중 10 건은 양성 대조군 (글루코사민 및 콘드로이틴 조함) 그룹에서 관찰되었고, 43 건의 부작용 중 18 건은 위약군 그룹에서 관찰되었다.
43 건의 총 부작용 중 14 건은, 7 명의 대상에서, 시험 약물과 연관되었을 개연성 또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고려되었고; 다른 하나는 시험 약물과 연관되었을 가능성이 없거나 전혀 연관되지 않은 것으로 고려되었다. 연관되었을 개연성 또는 가능성이 있는 14 건의 부작용 중에서, 3 건의 부작용은 시험 약물 그룹의 대상 중 두 명에서 나타났고, 2 건의 부작용은 양성 대조군 그룹의 대상 중 두 명에서 나타났으며, 9 건의 부작용은 위약군 그룹의 대상 중 3 명에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시험 약물과 관련된 안전성 문제는 나타나지 않았다.
효과
실험된 그룹들의 모든 효과 척도에서, 베이스라인으로부터 대부분의 시간 포인트까지 현저한 향상이 나타났다. 시험 약물과 대조군 간에서 관찰된 두 가지의 현저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WOMAC 고통: 시험 약물의 경우 양성 대조군에 비하여 베이스라인으로부터 56일차까지 현저히 감소되었다 (p=0.048).
* 소변 CTX-II: 투여 12주 후, 시험 약물과 위약군의 변화 간에 현저한 차이가 나타났다 (p=0.029).
본 연구의 데이터에 기초할 때, 위약군 그룹에 대한 높은 비율의 반응으로 인해 세 연구 그룹 모두에서 반응률이 긍정적이었기 때문에, 세 그룹들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이 어려웠다. CTXII와 같은 객관적인 바이오마커를 제외하고, 시험 약물에서 하나의 시간 포인트 (양성 대조군에 비해, UP1306 투여 56 일차(p=0.048))를 제외하고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이는 데에 실패한, 결과를 보고한 대상 (WOMAC, VAS)은 약물을 사용한 지 12주 후에 시험 약물 및 위약군 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목표를 달성하였다 (p=0.029).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다음의 바이오마커 척도: (a)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 (b) 인터류킨-1 베타(IL-1β), (c) 인터류킨-10 (IL-10) 및 (d) 소변 CTX-II들이, 양성 대조군 및 위약군과 비교하여 시험 약물이 약물 사용 12주 후에 염증 및 뼈 신진대사에 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한 대리척도(surrogate measure로 사용되었다. 인터류킨-1 베타(IL-1β) 및 인터류킨-10 (IL-10)의 수치는 적은 데이터 세트를 도출한 대부분의 대상에서 정량 한계 미만이었으므로, 분석되지 않았다. 더욱이,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는 세 시험 항목에서 모두에서, 그룹 간에서 베이스라인으로부터 84 일차까의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것을 포함하여, 그룹 내의 스코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데이터 미도시).
베이스라인 및 84 일차에 소변 CTX-II의 측정
CTX-II 측정 콜라겐 타입 II C 텔로펩타이드 단편의 소변 내 수준이 CartiLaps ELISA 분석에 의해 측정되었다. 상기 분석은 타입 II 콜라겐의 C-말단 텔로펩타이드의 분해 산물을 탐지하는 고특이적 모노클로날 항체를 이용하였다. 상기 분석은 소변 내 타입 II 콜라겐 단편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의 경쟁적 결합에 기초하였다.
CTX-II ELISA (ng/l)의 농도는 총 소변 크레아티닌 (mmol/l)으로 표준화되었다: 농도/크레아티닌 = ng/mmol. 크레아티닌 농도는 자페 반응에 기초한 크레아티닌 비색 분석 키트 (Cayman Chemical)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CTX-II 바이오마커 수치는 정규적으로 분포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평균 수치와 표준 편차가 비-모수 통계에 의해 계산되었다.
표 1. 약물 (product), 방문, 모든 대상에서 소변 내 CTX-II/CR (ng/mmol) (실제 수치)
Figure 112021087634465-pat00103
*로그 변환 수치를 이용한 분석
표 2. 약물 (product), 방문, PP 집단에서 소변 내 CTX-II/CR (ng/mmol)
Figure 112021087634465-pat00104
*로그 변환 수치를 이용한 분석
약물 사용 12주 후, 시험 약물과 위약군의 변화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29).
소변 내 CTX-II 수준은 질병 초기에 관절 손상 진행의 고위험을 가진 집단의 탐지에 유용하다. 이들 데이터는 또한, 심각한 관절 손상이 없을지라도 증가된 뼈/연골 퇴화를 가지는 이들 환자들에서 뼈 및 연골 퇴화 모두의 감소를 목적으로 하는 약물에 의한 조기 개재(intervention) - 예를 들어, 항-염증 치료와의 조합으로 - 가 이후의 관절 손상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발견들은 OA, RA 및 다른 연골 퇴화 관련 질환들의 관리를 위한 중요한 임상적 결과이다.
상기에서 기술한 다양한 구체예들을 조합하여 추가 구체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거나 출원 데이터 목록에서 열거된 모든 미국 특허, 미국 특허출원 공개, 미국 특허출원, 외국 특허, 외국 특허출원 및 비-특허 간행물은 그 전문이 본 원에 참고로 포함되었다. 구체예의 측면들은 다양한 특허, 특허출원 및 간행물의 개념을 적용할 필요가 있을 경우 변형되어 추가 구체예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 및 다른 변화가 상기 상세한 설명의 측면에서 구체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하의 청구범위에 있어서, 사용된 용어들은 청구범위를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기술된 특정 구체예로 제한시키지 않아야 하며, 이러한 청구범위가 등재된 것과 등가인 범위와 함께 모든 가능한 구체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는 명세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57)

  1. 뽕나무(Morus) 추출물과 아카시아(Acacia)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뼈 또는 연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뽕나무 추출물(M) 및 상기 아카시아 추출물(A)이 1:1, 4:1, 1:2, 또는 1:4의 중량비(M:A)로 블렌드되며,
    상기 뽕나무 추출물은 활성 화합물로서 알바닌 G, 쿠와논 G, 모루신, 옥시레스베라트롤, 멀베로시드 A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하여 강화된 에탄올 추출물이고, 상기 아카시아 추출물은 활성 화합물로서 카테킨, 에피카테킨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하여 강화된 에탄올 추출물이며,
    여기서, 상기 "강화된"이란, 추출 전에 식물 물질 또는 다른 공급원의 상기 활성 화합물들의 중량 기준 양 또는 활성과 비교하였을 때, 상기 활성 화합물들의 양 또는 활성에서 적어도 2배 내지 최대 1000배 증가를 의미하며,
    상기 뼈 또는 연골 질환은 골다공증, 골관절염, 골괴사, 골증식, 골절, 대사성 골질환, 골연골염 질환, 골 연골종, 변형성 골염, 낭성 섬유성 골염, 치골염, 치밀화 골염, 골형성 부전증, 골연화증(구루병), 골수염 및 골감소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뽕나무 추출물은 뽕나무(Morus alba)로부터 수득되고, 아카시아 추출물은 아카시아 카테추(Acacia catechu)로부터 수득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아카시아 추출물은 0.01 wt% 내지 99.9 wt%의 카테킨, 에피카테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뽕나무 추출물은 0.1 wt% 내지 49.9 wt%의 알바닌 G, 쿠와논 G, 모루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뽕나무 추출물은 0.1 wt% 내지 49.9 wt%의 옥시레스베라트롤, 멀베로시드 A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글루코사민-타입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글루코사민-타입 화합물은 글루코사민 황산염, 글루코사민 염산염, N-아세틸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 황산염 메틸설포닐메탄 및 히알루론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 혼합물의 활성 성분을 0.5 중량% 내지 90 중량%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정제, 경질 캡슐, 연질 겔 캡슐, 분말 또는 과립으로 제제화되는, 약학적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에서 골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에서 뼈 건강, 연골 건강 또는 둘 모두를 지지 또는 관리하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에서 정상적이고 건강한 범위의 골밀도를 지지하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에서 골 조직, 연골 조직 또는 둘 모두를 파괴하는 유해 효소의 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에서 뼈 건강, 연골 건강 또는 둘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효소의 작용을 변화시키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에서 뼈 구조, 연골 구조 또는 둘 모두를 향상시키거나, 또는 뼈 기능, 연골 기능 또는 둘 모두를 유지하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16.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에서 신체적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17.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에서 뼈 통증, 연골 통증, 경직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완화하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18.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에서 신체적 이동성을 관리하고 유지하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19.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에서 이동 범위, 유연성 또는 둘 모두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2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에서 뼈, 연골 또는 둘 모두의 신체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2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에서 유연성 및 편안한 움직임을 촉진 또는 향상시키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2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에서 뼈 건강, 연골 건강 또는 둘 모두를 지지하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23.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에서 건강한 뼈 기능, 연골 기능, 뼈의 편안함, 연골의 편안함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촉진하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24.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에서 뼈의 불편함, 연골의 불편함 또는 둘 모두를 완화하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25.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동, 일, 과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유발되는 포유동물에서의 뼈의 불편함, 연골의 불편함 또는 둘 모두를 완화하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26.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골 무결성을 보호함으로써 포유동물에서 건강한 뼈, 연골 또는 둘 모두를 촉진하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27.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에서 뼈, 연골 또는 둘 모두를 유지하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28.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에서 관절 연골을 지지하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29.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에서 연골 퇴화를 치료, 방지 또는 관리하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3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에서 연골 퇴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3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에서 관절 윤활을 위한 관절 낭액을 유지함으로써 뼈 건강, 연골 건강, 뼈의 편안함, 연골의 편안함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촉진하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3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에서 관절의 안정성 및 관절의 유연성을 지지하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33.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에서 관절을 활성화하고 이동성을 촉진하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34.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에서 유연한 관절 및 강한 연골을 촉진하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35.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에서 향상된 뼈의 강도를 지지하기 위해 뼈로 가는 혈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36.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동, 일, 과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후에 포유동물에서 뼈의 편안함 및 넓은 범위의 움직임을 촉진하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37.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골 흡수 및 연골 퇴화를 저해하고 골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38.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유효량이 CTX-II 수준의 감소를 촉진하는, 약학적 조성물.
  39. 뽕나무(Morus) 추출물과 아카시아(Acacia)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뼈 또는 연골 불편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nutraceutical) 조성물로서,
    상기 뽕나무 추출물(M) 및 상기 아카시아 추출물(A)이 1:1, 4:1, 1:2, 또는 1:4의 중량비(M:A)로 블렌드되며,
    상기 뽕나무 추출물은 활성 화합물로서 알바닌 G, 쿠와논 G, 모루신, 옥시레스베라트롤, 멀베로시드 A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하여 강화된 에탄올 추출물이고, 상기 아카시아 추출물은 활성 화합물로서 카테킨, 에피카테킨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하여 강화된 에탄올 추출물이며,
    여기서, 상기 "강화된"이란, 추출 전에 식물 물질 또는 다른 공급원의 상기 활성 화합물들의 중량 기준 양 또는 활성과 비교하였을 때, 상기 활성 화합물들의 양 또는 활성에서 적어도 2배 내지 최대 1000배 증가를 의미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0. 제39항에 있어서, 뽕나무 추출물은 뽕나무(Morus alba)로부터 수득되고, 아카시아 추출물은 아카시아 카테추(Acacia catechu)로부터 수득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1. 제39항에 있어서, 아카시아 추출물은 0.01 wt% 내지 99.9 wt%의 카테킨, 에피카테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2. 제39항에 있어서, 뽕나무 추출물은 0.1 wt% 내지 49.9 wt%의 알바닌 G, 쿠와논 G, 모루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3. 제39항에 있어서, 뽕나무 추출물은 0.1 wt% 내지 49.9 wt%의 옥시레스베라트롤, 멀베로시드 A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4. 제39항에 있어서, 글루코사민-타입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5. 제44항에 있어서, 글루코사민-타입 화합물은 글루코사민 황산염, 글루코사민 염산염, N-아세틸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 황산염 메틸설포닐메탄 및 히알루론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6. 제39항에 있어서, 기능식품적으로(nutraceutically)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 혼합물의 활성 성분을 0.5 중량% 내지 90 중량% 포함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7. 제46항에 있어서, 정제, 경질 캡슐, 연질 겔 캡슐, 분말 또는 과립으로 제제화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KR1020217024147A 2014-06-16 2015-06-16 뼈 장애, 연골 장애, 또는 이 둘 다의 관리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2393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14217A KR20220056256A (ko) 2014-06-16 2015-06-16 뼈 장애, 연골 장애, 또는 이 둘 다의 관리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12958P 2014-06-16 2014-06-16
US62/012,958 2014-06-16
PCT/US2015/036083 WO2015195701A1 (en) 2014-06-16 2015-06-16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naging or improving bone disorders, cartilage disorders, or both
KR1020207004069A KR102285622B1 (ko) 2014-06-16 2015-06-16 뼈 장애, 연골 장애, 또는 이 둘 다의 관리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4069A Division KR102285622B1 (ko) 2014-06-16 2015-06-16 뼈 장애, 연골 장애, 또는 이 둘 다의 관리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4217A Division KR20220056256A (ko) 2014-06-16 2015-06-16 뼈 장애, 연골 장애, 또는 이 둘 다의 관리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701A KR20210096701A (ko) 2021-08-05
KR102393123B1 true KR102393123B1 (ko) 2022-05-02

Family

ID=54936052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4217A KR20220056256A (ko) 2014-06-16 2015-06-16 뼈 장애, 연골 장애, 또는 이 둘 다의 관리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20177001227A KR101954325B1 (ko) 2014-06-16 2015-06-16 뼈 장애, 연골 장애, 또는 이 둘 다의 관리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20207004069A KR102285622B1 (ko) 2014-06-16 2015-06-16 뼈 장애, 연골 장애, 또는 이 둘 다의 관리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20217024147A KR102393123B1 (ko) 2014-06-16 2015-06-16 뼈 장애, 연골 장애, 또는 이 둘 다의 관리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20197005761A KR102078357B1 (ko) 2014-06-16 2015-06-16 뼈 장애, 연골 장애, 또는 이 둘 다의 관리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4217A KR20220056256A (ko) 2014-06-16 2015-06-16 뼈 장애, 연골 장애, 또는 이 둘 다의 관리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20177001227A KR101954325B1 (ko) 2014-06-16 2015-06-16 뼈 장애, 연골 장애, 또는 이 둘 다의 관리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20207004069A KR102285622B1 (ko) 2014-06-16 2015-06-16 뼈 장애, 연골 장애, 또는 이 둘 다의 관리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761A KR102078357B1 (ko) 2014-06-16 2015-06-16 뼈 장애, 연골 장애, 또는 이 둘 다의 관리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9717770B2 (ko)
JP (5) JP6340440B2 (ko)
KR (5) KR20220056256A (ko)
CN (3) CN107206040A (ko)
AU (4) AU2015277265B2 (ko)
CA (5) CA2951433C (ko)
HK (1) HK1244433A1 (ko)
MY (1) MY176583A (ko)
NZ (2) NZ741920A (ko)
PH (1) PH12016502522A1 (ko)
WO (1) WO20151957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93306A1 (en) 2012-03-23 2018-07-12 Cardero Therapeutics, Inc. Compoun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muscular disorders and bone disorders
CA2951433C (en) * 2014-06-16 2019-01-22 Unigen,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naging or improving bone disorders, cartilage disorders, or both
CN105535944A (zh) * 2015-12-29 2016-05-04 徐州市铜山区生命科学研究院 一种防控骨质疏松和关节退变药食两用复方保健药及其制备方法
WO2017127467A1 (en) * 2016-01-19 2017-07-27 The Remedy Lab, Llc Dietary supplement for gluten reaction
CA3091892A1 (en) * 2018-02-20 2019-08-29 Epirium Bio Inc. Compoun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muscular disorders and bone disorders
ES2953017T3 (es) * 2018-04-03 2023-11-07 Sanofi Sa Dispositivo de tira de inmunoensayo de flujo lateral
CN109172564A (zh) * 2018-09-12 2019-01-11 贵州大学 一种黄酮类化合物在制备抗骨质疏松药物中的应用
CN109224032A (zh) * 2018-10-20 2019-01-18 熊意铭 一种治疗颈椎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0075104A (zh) * 2019-06-14 2019-08-02 贵州大学 Kuwanon H在制备抗骨质疏松药物中的应用
CN110368379A (zh) * 2019-06-14 2019-10-25 贵州大学 Kuwanon G在制备抗骨质疏松药物中的应用
KR102095485B1 (ko) * 2019-07-25 2020-03-31 주식회사 메디팹 인산칼슘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모델 및 이의 용도
KR102262254B1 (ko) 2019-08-22 2021-06-07 장윤근 화물운반 설비를 갖춘 다층 비계장치
CN113729230A (zh) * 2020-05-29 2021-12-03 安琪纽特股份有限公司 预防骨质疏松或增强骨密度的组合物及其制备和应用
CN111544428A (zh) * 2020-06-08 2020-08-18 河南大学 异补骨脂色烯查耳酮在制备降血糖药物方面的应用
KR102587871B1 (ko) * 2020-06-19 2023-10-12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Bmpr2 유전자 기능획득 돌연변이체를 포함하는 돌연변이 복합체 및 이의 용도
KR102384149B1 (ko) * 2020-09-09 2022-04-0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턱관절 골관절염 진단 또는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WO2022103901A1 (en) * 2020-11-11 2022-05-19 Stemsation Ip Holding Llc Synergistic composition of food-based and organic nutrients and methods for use and manufacture
KR102510221B1 (ko) 2020-12-24 2023-03-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절 위험 예측 방법 및 장치
CN114796194B (zh) * 2022-05-27 2024-05-10 澳门大学 来源于桑属植物的da加合物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1804A1 (en) * 2002-01-18 2003-07-31 Advanced Phytonics Limited Purification of impure materials using non-aqueous solvents
US7108868B2 (en) * 2002-03-22 2006-09-19 Unigen Pharmaceuticals, Inc. Isolation of a dual cox-2 and 5-lipoxygenase inhibitor from acacia
CA2484192C (en) * 2002-04-30 2012-10-02 Unigen Pharmaceuticals, Inc. Formulation of a mixture of free-b-ring flavonoids and flavans as a therapeutic agent
CN100482210C (zh) * 2003-11-07 2009-04-29 北京东方凯恩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外用治疗关节疼痛的中药组合物贴膏
JP2008524222A (ja) * 2004-12-17 2008-07-10 バイオノボ・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Morusalbaのエストロゲン様抽出物およびその使用
EP1855528A4 (en) * 2005-03-10 2009-04-01 Unigen Pharmaceuticals Inc FORMULATION OF A MIXTURE OF FLAVONOIDS WITH FREE B-RING AND FLAVANES AS A THERAPY AGENT
KR100764813B1 (ko) * 2006-03-13 2007-10-08 한국 한의학 연구원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및 골절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US20080003300A1 (en) * 2006-06-30 2008-01-03 Gaffar Maria C Compostions containing Mg/Zn/F-CaP plus inhibitor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 combination of a Free-B-Ring flavonoids and a flavan) for osteoporosis prevention, therapy and treatment of bone diseases
AU2008219622A1 (en) * 2007-02-28 2008-09-04 Conatus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liver diseases using specifie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inhibitors
CN101099848A (zh) * 2007-07-23 2008-01-09 赵禹林 一种治疗风湿、类风湿关节炎及骨痛的中药散剂
DE102007039310A1 (de) * 2007-08-13 2009-02-19 Eberhard-Karls-Universität Tübingen Universitätsklinikum Zusammensetzung zur Prophylaxe und Behandlung von Osteoporose
CN102573496B (zh) * 2009-07-01 2015-08-26 玛格塞蒂克斯公司 缓释镁组合物及其用途
JP2011079803A (ja) * 2009-10-07 2011-04-21 Kenko No Eki:Kk アイシング
CN102488869B (zh) * 2011-12-27 2013-07-10 周建国 一种用于筋骨疼痛的中药外用搽剂
JP6152251B2 (ja) * 2012-06-08 2017-06-21 ハウス食品グループ本社株式会社 春ウコン成分含有飲料及び春ウコン成分による風味の調整を行う方法
CN103127232A (zh) * 2013-03-14 2013-06-05 赵晓昂 桑叶方总提物及其制剂和用途
CN111000898A (zh) * 2013-06-17 2020-04-14 尤妮金公司 用于关节健康的组合物和方法
CN103301408B (zh) * 2013-06-28 2015-04-15 圣原健康产业有限公司 中药提取物及其制备的按摩膏
KR200479129Y1 (ko) * 2013-07-22 2015-12-21 (주)민성정밀 기능을 향상시킨 이쑤시개
CA2951433C (en) * 2014-06-16 2019-01-22 Unigen,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naging or improving bone disorders, cartilage disorders, or bo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40440B2 (ja) 2018-06-06
CN116785342A (zh) 2023-09-22
AU2015277265A1 (en) 2017-01-05
MY176583A (en) 2020-08-17
AU2015277265B2 (en) 2018-03-01
KR20170034381A (ko) 2017-03-28
CA2951433C (en) 2019-01-22
CA3121053A1 (en) 2015-12-23
US20160045559A1 (en) 2016-02-18
CA3057129A1 (en) 2015-12-23
KR20220056256A (ko) 2022-05-04
AU2020201457B2 (en) 2022-11-24
JP2020002145A (ja) 2020-01-09
JP6657296B2 (ja) 2020-03-04
CA3121053C (en) 2024-03-26
CN117224593A (zh) 2023-12-15
JP2021191766A (ja) 2021-12-16
KR20210096701A (ko) 2021-08-05
KR101954325B1 (ko) 2019-03-05
AU2020201457A1 (en) 2020-03-19
CA3057129C (en) 2021-07-20
US20180055899A1 (en) 2018-03-01
US9717770B2 (en) 2017-08-01
CA3025292C (en) 2019-11-12
CN107206040A (zh) 2017-09-26
CA2951433A1 (en) 2015-12-23
KR102078357B1 (ko) 2020-02-17
JP2023109994A (ja) 2023-08-08
CA3025292A1 (en) 2015-12-23
WO2015195701A1 (en) 2015-12-23
AU2018203795B2 (en) 2020-04-09
NZ741920A (en) 2023-07-28
PH12016502522A1 (en) 2017-04-10
HK1244433A1 (zh) 2018-08-10
AU2023201116A1 (en) 2023-03-30
JP2017524671A (ja) 2017-08-31
KR20200017561A (ko) 2020-02-18
KR20190025047A (ko) 2019-03-08
KR102285622B1 (ko) 2021-08-04
CA3228988A1 (en) 2015-12-23
NZ727164A (en) 2018-05-25
JP2018138598A (ja) 2018-09-06
AU2018203795A1 (en)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01457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naging or improving bone disorders, cartilage disorders, or both
AU2021200432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joint health
US11554153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naging or improving bone disorders, joint disorders, cartilage disorders, or a combina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