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387B1 - 자동 정화 물감 물통 - Google Patents

자동 정화 물감 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387B1
KR102392387B1 KR1020210168530A KR20210168530A KR102392387B1 KR 102392387 B1 KR102392387 B1 KR 102392387B1 KR 1020210168530 A KR1020210168530 A KR 1020210168530A KR 20210168530 A KR20210168530 A KR 20210168530A KR 102392387 B1 KR102392387 B1 KR 102392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water tank
ar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서연
Original Assignee
최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서연 filed Critical 최서연
Priority to KR1020210168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3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006Devices for cleaning paint-applying hand tools aft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02Pal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2Paint cans; Brush holders; Containers for storing residual pai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정화 물통은, 상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미술 용수를 담을 수 있는 수조가 마련되는 물통 어셈블리; 상기 물통 어셈블리의 수조로부터 상기 미술 용수가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제1 연결 유로; 상기 제1 연결 유로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 유로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미술 용수를 여과하여 정화수를 출수하는 필터가 마련되는 필터 모듈; 상기 필터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필터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정화수를 상기 수조의 상단을 통해 상기 수조로 출수하도록 구성되는 제2 연결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필터가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필터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고정장치는, 상기 필터가 장착되면, 상기 필터의 입수부가 상기 제1 연결 유로에 연결되고, 상기 필터의 출수부가 상기 제2 연결 유로에 연결되게 상기 필터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정화 물감 물통{AUTOMATIC PURIFYING WATER BUCKET}
본 발명은 물통에 담긴 오염된 미술 용수를 자동으로 정화할 수 있는 자동 정화 물감 물통에 관한 것이다.
미술용 물통에 담긴 물은 붓에 묻은 물감이 녹아서 점점 어두운 색으로 오염된다. 결국 제대로 된 수채화를 위해서 사용자는 물통의 물을 자주 교체해야 되며, 이 과정에서 물감이 녹은 물은 중금속 등의 유해성분이 함유되어 있음에도 함부로 버려진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렇게 오염된 미술 용수가 버려지지 않도록 바로바로 정화할 수 있는 필터가 마련된 장치가 필요하다.
한편, 정수기는 외부에서 공급된 원수를 필터링하여 사용자에게 음용수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정수기는 원수를 필터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구성요소로 포함하고 있다.
정수기에서 배출되는 폐필터는 재활용이 어려워 대부분 매립이나 소각처리 되고 있어 환경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수기 폐필터를 재사용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오염된 미술 용수가 버려지지 않도록 바로바로 정화할 수 있어서 물을 갈아야 하는 사용자의 수고를 덜고 수질 오염을 줄일 수 있는 자동 정화 물감 물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정수기에서는 쓰일 수 없으나 아직 어느 정도 정화 성능이 남아있는 정수기 폐필터를 재사용하여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는 자동 정화 물감 물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 정화 물감 물통은, 상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미술 용수를 담을 수 있는 수조가 마련되는 물통 어셈블리; 상기 물통 어셈블리의 수조로부터 상기 미술 용수가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제1 연결 유로; 상기 제1 연결 유로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 유로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미술 용수를 여과하여 정화수를 출수하는 필터가 마련되는 필터 모듈; 및 상기 필터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필터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정화수를 상기 수조의 상단을 통해 상기 수조로 출수하도록 구성되는 제2 연결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필터가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필터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고정장치는, 상기 필터가 장착되면, 상기 필터의 입수부가 상기 제1 연결 유로에 연결되고, 상기 필터의 출수부가 상기 제2 연결 유로에 연결되게 상기 필터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고정장치는, 정수기에서는 쓰일 수 없으나 아직 정화 성능이 남아있는 정수기 폐필터를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통 어셈블리는, 어느 하나의 수조에 담긴 물이 물감으로 오염되더라도 다른 수조에 담긴 물은 오염되지 않도록 상기 수조가 적어도 두개 이상 마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 유로는: 각각 대응되는 수조로부터 상기 미술 용수를 전달받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공급 유로; 상기 미술 용수를 상기 필터 모듈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하나의 배출 유로; 및 상기 복수의 공급 유로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 유로를 통해 유입된 미술 용수를 상기 하나의 배출 유로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분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결 유로는, 복수의 상기 수조 중 어느 하나의 수조에만 상기 정화수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결 유로는, 복수의 상기 수조 중 어느 하나의 수조의 상단을 통해 상기 수조로 상기 정화수를 출수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는, 상기 정화수를 전달받는 수조가 변경될 수 있게 상기 배출구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통 어셈블리는: 각각의 상기 수조의 하단이 다른 수조의 상단에 쌓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복수의 상기 수조의 상단 중 최상단 수조의 상단만이 개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연결 유로는, 상기 정화수를 상기 최상단 수조의 상단을 통해 상기 최상단 수조로 출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술 용수가 제1 연결 유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수조에 담긴 미술 용수의 채도를 측정하는 컬러 센서; 및 상기 미술 용수의 채도가 기준 채도 값 미만인지 판단하고, 상기 미술 용수의 채도가 상기 기준 채도 값 미만이면 상기 구동부가 구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통 어셈블리는: 붓을 거치하도록 구성되는 붓통; 및 짜인 물감을 보관하도록 구성되는 팔레트;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오염된 미술 용수가 버려지지 않도록 바로바로 정화할 수 있어서 물을 갈아야 하는 사용자의 수고를 덜고 수질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정수기에서는 쓰일 수 없으나 아직 어느 정도 정화 성능이 남아있는 정수기 폐필터를 재사용하여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정화 물감 물통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정화 물감 물통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모듈'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모듈'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개시된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사람이 수채화를 그리는 과정에서는 계속해서 붓을 물통의 물에 적셔서 물통에 담긴 물을 붓에 묻혀야 한다. 이때, 물통에 담긴 물은 붓에 묻은 물감이 녹아서 점점 어두운 색으로 오염된다. 결국 제대로 된 수채화를 위해서 사용자는 물통의 물을 자주 교체해야 되며, 이 과정에서 물감이 녹은 물은 중금속 등의 유해성분이 함유되어 있음에도 함부로 버려진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렇게 오염된 미술 용수가 버려지지 않도록 바로바로 정화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정화 물감 물통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 정화 물감 물통(100)에서 미술 용수가 어떠한 경로를 거쳐서 정화수로서 출수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자동 정화 물감 물통(100)은 물통 어셈블리(110), 제1 연결 유로(120), 필터 모듈(140), 제2 연결 유로(130), 구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물통 어셈블리(110)는 한 개 이상의 수조(111)가 마련될 수 있다. 수조(111)는 상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미술 용수를 담을 수 있다.
제1 연결 유로(120)는 물통 어셈블리(110)의 수조(111)로부터 미술 용수가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수조(111)와 제1 연결 유로(120) 사이에는 밸브가 마련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미술 용수가 제1 연결 유로(120)로 흘려보내질 수 있다.
필터 모듈(140)은 제1 연결 유로(12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 모듈(140)은 제1 연결 유로(120)의 물이 마지막으로 도착하는 제1 연결 유로(120)의 마지막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
필터 모듈(140)은 제1 연결 유로(120)로부터 전달받은 미술 용수를 여과하여 정화수를 출수하는 필터가 마련될 수 있다.
필터 모듈(140)은, 복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모듈(140)은 원수에서 염소 및 염소 부산물 등의 휘발성 물질들을 흡착하는 프리 카본(pre-carbon) 필터, 역삼투압에 의해 매우 작은 크기의 오염물을 필터링하는 멤브레인 필터 및 출수되는 정수의 맛에 영향을 주는 포스트 카본(post-carbon) 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필터는, 프리 카본 필터, 멤브레인 필터 및 포스트 카본 필터 순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필터로 유입된 미술 용수는, 프리 카본 필터, 멤브레인 필터 및 포스트 카본 필터 순으로 통과하면서 여과될 수 있다.
전술한 필터의 종류나 순서에 관한 설명은 가능한 예시일 뿐, 필터 모듈(140)의 실시예가 전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전술한 예시 외에 다른 종류의 필터가 다른 개수로, 다른 배열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미술 용수에 포함된 침전물을 필터링하는 침전(sediment) 필터 또는 상대적으로 큰 입자를 여과하는 고탁도 필터가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필터 모듈(140)은 필터가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필터 고정장치(14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동 정화 물감 물통(100)에 장착된 필터가 더 이상 미술 용수의 정화를 하지 못하면 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필터 고정장치(142)는 필터가 장착되면 필터의 입수부가 제1 연결 유로(120)에 연결되고, 필터의 출수부가 제2 연결 유로(130)에 연결되게 필터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연결 유로(130)는 필터 모듈(14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 모듈(140)은 제2 연결 유로(130)에 물이 처음으로 도착하는 제2 연결 유로(130)의 처음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유로(130)는 필터 모듈(140)로부터 전달받은 정화수를 수조(111)의 상단을 통해 수조(111)로 출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리하면, 수조(111)에 담긴 오염된 미술 용수는 제1 연결 유로(120)와 필터를 거치면서 정화수로 정화되고, 정화된 물은 제2 연결 유로(130)를 통해 다시 수조(111)로 돌아올 수 있다. 사용자는 오염된 미술 용수를 버리고 새로운 물로 교체할 필요 없이 계속해서 수조(111)의 물을 수채화용 물로 쓸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라 이용되는 필터는 한 번도 다른 용도로 쓰지 않은 필터일 수 있으나, 이는 지나친 낭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오염된 미술 용수를 정화하는 것은 단순히 지나치게 채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준이면 된다. 미술 용수를 정화해서 나온 정화수는 식수로 사용되거나 빨래, 식기 세척 등의 용도로 쓰이는 것이 아니라 다시 미술 용수로 쓰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필터는 굳이 엄청난 정화 성능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문제없다.
한편, 정수기에서 배출되는 폐필터는 재활용이 어려워 대부분 매립이나 소각처리 되고 있어 환경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이렇게 정수기에서는 수명을 다한 정수기 폐필터는 비록 정수기에서 필요한 정화 성능은 없더라도 물감이 녹은 미술 용수의 채도를 높이는 데에는 충분한 성능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수기 폐필터를 재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 고정장치(142)는 정수기에서는 쓰일 수 없으나 아직 정화 성능이 남아있는 정수기 폐필터를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동 정화 물감 물통(100)이 구동하고 있더라도, 사용자가 계속해서 수조(111)의 물을 수채화에 이용하면, 미술 용수가 정화되는 속도보다 오염되는 속도가 더 빠를 수 있다. 따라서 미술 용수를 정화하는 동안에도 사용자가 보다 덜 오염된 물을 사용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물통 어셈블리(110)는 어느 하나의 수조(111)에 담긴 물이 물감으로 오염되더라도 다른 수조(111)에 담긴 물은 오염되지 않도록 수조(111)가 적어도 두개 이상 마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느 한 수조(111)에 담긴 물이 오염되어 있더라도, 사용자는 다른 수조(111)에 담긴 물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연결 유로(120)는 복수의 공급 유로(121), 하나의 배출 유로(122) 및 분기관(123)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 유로(121)는 각각 대응되는 수조(111)로부터 미술 용수를 전달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출 유로(122)는 미술 용수를 필터 모듈(140)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기관(123)은 복수의 공급 유로(121)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 유로(121)를 통해 유입된 미술 용수를 하나의 배출 유로(122)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수조(111)는 하나의 공급 유로(121)에 연결되어 있으며, 어느 한 수조(111)에 담긴 물은 해당 수조(111)에 연결된 공급 유로(121)로 흘러 들어가서 분기관(123)을 거쳐 배출유로로 도착할 수 있다. 어떠한 수조(111)의 물이라 해도 결국 하나의 배출유로로 도착해서 필터 모듈(140)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연결 유로(130)는 복수의 수조(111) 중 어느 하나의 수조(111)에만 정화수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 연결 유로(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정화수가 정화되기 전에 담겨있던 수조(111)로 해당 정화수를 전달할 수도 있고, 다른 수조(111)로 전달할 수도 있다.
제2 연결 유로(130)가 정화수가 정화되기 전에 담겨있던 수조(111)로 정화수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수조(111)에 담긴 물이 계속해서 해당 수조(111) 하나만 거치도록 순환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연결 유로(130)가 다른 수조(111)로 정화수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이미 깨끗한 물이 담겨있던 수조(111)로 물을 보충할 수 있다.
제2 연결 유로(130)는 끝단에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는 복수의 수조(111) 중 어느 하나의 수조(111)의 상단을 통해 해당 수조(111)로 정화수를 출수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호스는 정화수를 전달받는 수조(111)가 변경될 수 있게 배출구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배출구가 어떤 수조(111)의 상단에 위치하게 할지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파이프가 일종의 회전축 역할을 해서 제2 연결 유로(130)의 끝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방식일 수도 있다.
구동부(150)는 미술 용수가 제1 연결 유로(1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150)는 전력을 공급받아 수압을 발생시키는 모터일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정화 물감 물통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물통 어셈블리(110)는 각각의 수조(111)의 하단이 다른 수조(111)의 상단에 쌓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수조(111)를 하나씩 공급 유로(121)에 연결될 수 있다.
물통 어셈블리(110)는 복수의 수조(111)의 상단 중 최상단 수조의 상단만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최상단 수조만 위쪽에 다른 수조(111)가 쌓여 있지 않으므로 상단이 개방되고, 최상단 수조가 아닌 수조(111)의 경우 위쪽에 다른 수조(111)가 쌓여 있으므로 상단이 막혀 있을 수 있다.
제2 연결 유로(130)는 정화수를 최상단 수조의 상단을 통해 최상단 수조로 출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더 오염된 물이 담긴 수조(111)를 하단에 놓고, 자신이 수채화에 이용하고자 하는 수조(111)를 가장 위에 쌓고, 각각의 수조(111)를 하나씩 공급 유로(121)에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밸브를 잠그거나 풀어서 최상단 수조 또는 하단의 수조(111) 중 적어도 하나의 수조(111)에 담긴 물을 선택적으로 필터 모듈(140)로 보낼 수 있다. 어떠한 수조(111)에서 필터로 유입된 물이라 하더라도 정화된 물은 최상단 수조로 출수되고, 상대적으로 덜 오염된 물이 담긴 수조(111)만이 상단이 개방된 채로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상대적으로 덜 오염된 물이 담긴 최상단의 수조(111)를 수채화에 이용할 수 있다.
자동 정화 물감 물통(100)은 사용자가 스위치를 켜서 구동부(150)가 구동하도록 하여 물을 순환시킬 수 있다. 하지만, 미술활동에 전념중인 사용자는 일일이 스위치를 신경쓰지 못할 수 있다.
자동 정화 물감 물통(100)은 컬러 센서 및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컬러 센서는 수조(111)에 담긴 미술 용수의 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컬러 센서는 카메라 센서를 포함하고, 카메라 센서가 획득된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채도를 측정하는 방식일 수 있으나 컬러 센서가 미술 용수의 채도를 측정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프로세서는 미술 용수의 채도가 기준 채도 값 미만인지 판단할 수 있다. 기준 채도 값은 구동부(150)를 구동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기준이 되는 미술 용수의 채도 값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미술 용수의 채도가 기준 채도 값 미만이면 구동부(150)가 구동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각종 논리 회로와 연산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로부터 제공된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자동 정화 물감 물통(100)은 미술실과 같은 장소에 비치되어 수채화 용도로 사용되므로 수채화에 이용되는 물품들이 함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물통 어셈블리(110)는 붓을 거치하도록 구성되는 붓통 및 짜인 물감을 보관하도록 구성되는 팔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자동 정화 물감 물통
110: 물통 어셈블리
111: 수조
120: 제1 연결 유로
121: 공급 유로
122: 배출 유로
123: 분기관
130: 제2 연결 유로
140: 필터 모듈
141: 필터
142: 필터 고정장치
150: 구동부

Claims (10)

  1. 상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미술 용수를 담을 수 있는 수조가 마련되는 물통 어셈블리;
    상기 물통 어셈블리의 수조로부터 상기 미술 용수가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제1 연결 유로;
    상기 제1 연결 유로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 유로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미술 용수를 여과하여 정화수를 출수하는 필터가 마련되는 필터 모듈; 및
    상기 필터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필터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정화수를 상기 수조의 상단을 통해 상기 수조로 출수하도록 구성되는 제2 연결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필터가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필터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고정장치는,
    상기 필터가 장착되면, 상기 필터의 입수부가 상기 제1 연결 유로에 연결되고, 상기 필터의 출수부가 상기 제2 연결 유로에 연결되게 상기 필터를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물통 어셈블리는:
    어느 하나의 수조에 담긴 물이 물감으로 오염되더라도 다른 수조에 담긴 물은 오염되지 않도록 상기 수조가 적어도 두개 이상 마련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수조의 하단이 다른 수조의 상단에 쌓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복수의 상기 수조의 상단 중 최상단 수조의 상단만이 개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연결 유로는:
    각각 대응되는 수조로부터 상기 미술 용수를 전달받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공급 유로;
    상기 미술 용수를 상기 필터 모듈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하나의 배출 유로; 및
    상기 복수의 공급 유로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 유로를 통해 유입된 미술 용수를 상기 하나의 배출 유로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분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유로는:
    복수의 상기 수조 중 어느 하나의 수조의 상단을 통해 상기 수조로 상기 정화수를 출수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호스;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수조 중 어느 하나의 수조에만 상기 정화수를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정화수를 상기 최상단 수조의 상단을 통해 상기 최상단 수조로 출수하도록 구성되는, 자동 정화 물감 물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고정장치는,
    정수기에서는 쓰일 수 없으나 아직 정화 성능이 남아있는 정수기 폐필터를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동 정화 물감 물통.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는,
    상기 정화수를 전달받는 수조가 변경될 수 있게 상기 배출구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동 정화 물감 물통.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술 용수가 제1 연결 유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수조에 담긴 미술 용수의 채도를 측정하는 컬러 센서; 및
    상기 미술 용수의 채도가 기준 채도 값 미만인지 판단하고, 상기 미술 용수의 채도가 상기 기준 채도 값 미만이면 상기 구동부가 구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자동 정화 물감 물통.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 어셈블리는:
    붓을 거치하도록 구성되는 붓통; 및
    짜인 물감을 보관하도록 구성되는 팔레트;를 포함하는, 자동 정화 물감 물통.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술 용수가 제1 연결 유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수조에 담긴 미술 용수의 채도를 측정하는 컬러 센서; 및
    상기 미술 용수의 채도가 기준 채도 값 미만인지 판단하고, 상기 미술 용수의 채도가 상기 기준 채도 값 미만이면 상기 구동부가 구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통 어셈블리는:
    어느 하나의 수조에 담긴 물이 물감으로 오염되더라도 다른 수조에 담긴 물은 오염되지 않도록 상기 수조가 적어도 두개 이상 마련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수조의 하단이 다른 수조의 상단에 쌓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복수의 상기 수조의 상단 중 최상단 수조의 상단만이 개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연결 유로는:
    각각 대응되는 수조로부터 상기 미술 용수를 전달받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공급 유로;
    상기 미술 용수를 상기 필터 모듈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하나의 배출 유로; 및
    상기 복수의 공급 유로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 유로를 통해 유입된 미술 용수를 상기 하나의 배출 유로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분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유로는:
    복수의 상기 수조 중 어느 하나의 수조에만 상기 정화수를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정화수를 상기 최상단 수조의 상단을 통해 상기 최상단 수조로 출수하도록 구성되는, 자동 정화 물감 물통.
KR1020210168530A 2021-11-30 2021-11-30 자동 정화 물감 물통 KR102392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530A KR102392387B1 (ko) 2021-11-30 2021-11-30 자동 정화 물감 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530A KR102392387B1 (ko) 2021-11-30 2021-11-30 자동 정화 물감 물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387B1 true KR102392387B1 (ko) 2022-04-29

Family

ID=81429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530A KR102392387B1 (ko) 2021-11-30 2021-11-30 자동 정화 물감 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3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6721A (ko) * 2008-12-26 2010-07-06 김혜경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
US20190291147A1 (en) * 2016-06-10 2019-09-26 Geosentinel Pt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trades equip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6721A (ko) * 2008-12-26 2010-07-06 김혜경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
US20190291147A1 (en) * 2016-06-10 2019-09-26 Geosentinel Pt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trades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346B1 (ko) 정수기 세정 방법
US5679257A (en) Industrial waste water treatment
KR101705529B1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CN104661910B (zh) 压载水处理设备和压载水管理系统
JP5822286B1 (ja) 逆浸透膜を初期化可能な逆浸透膜浄水装置
KR20090012184U (ko) 탈착 가능한 카트리지형 필터
EP3898532B1 (en) Wastewater treatment and method for textile industry
KR102392387B1 (ko) 자동 정화 물감 물통
KR102350716B1 (ko)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
JP2007007618A (ja) 高汚濁水用の浄水処理方法及び装置
KR20160115576A (ko) 농축수를 이용하여 압력탱크의 정수수를 토출시키는 정수기
WO2015173981A1 (ja) 逆浸透膜を初期化可能なダイレクト式逆浸透膜浄水装置
CN114364444B (zh) 净水器和用于净水器的过滤器
JP2000061463A (ja) 浄水装置及び浄水装置の洗浄方法
KR20140095627A (ko)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용 필터
JP7256804B2 (ja) 水精製および分注システム、およびかかるシステムの稼働方法
KR200191691Y1 (ko) 공기방울 자동 역세척 정수 시스템
KR101564265B1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JP4647553B2 (ja) 浄化装置
WO2011092987A1 (ja) 浄水装置
CN217025555U (zh) 一种玻璃清洗水循环利用系统
KR0175883B1 (ko) 정수기
KR101439830B1 (ko)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JP7284545B1 (ja) 膜ろ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浄水システム
KR101668032B1 (ko) 아령형 엘리먼트, 이를 구비한 세디먼트 필터 및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