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146B1 -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 - Google Patents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146B1
KR102392146B1 KR1020210057195A KR20210057195A KR102392146B1 KR 102392146 B1 KR102392146 B1 KR 102392146B1 KR 1020210057195 A KR1020210057195 A KR 1020210057195A KR 20210057195 A KR20210057195 A KR 20210057195A KR 102392146 B1 KR102392146 B1 KR 102392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range
fixed rail
induction
ro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성생활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성생활과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성생활과학
Priority to KR1020210057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레인지 테이블(130)을 다단으로 수납하기 위한 수납대(110)와, 상기 수납대(110)에 높이방향을 따라서 다단으로 구비되고 인덕션 레인지(200)를 수납할 수 있는 레인지 테이블(130)과, 상기 레인지 테이블(130)에 수납되는 인덕션 레인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인지 테이블(130)은, 취반을 위해서 인덕션 레인지(200)를 동작하는 경우에는 수납대(11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고, 밥솥(R)의 취출을 위해서 수납대(110)의 내부에서 나올 수 있도록, 상기 수납대(110)에 슬라이드식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취반의 효율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Multi-stage rice cooker for restaurant}
본 발명은 업소용 취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밥솥에 대한 취반 작업을 빠르고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식당의 주방 내에서 차지하는 점용 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에 관한 것이다.
업소용 취반기는 식당, 음식점, 레스토랑, 급식시설 등에서 밥을 짖는 기계로서 최근에는 유도가열 방식을 이용해서 다수의 밥을 동시에 취사할 수 있는 유도가열 업소용 취반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업소용 취반기 중에서 인덕션 레인지가 상하방향(높이방향)에 대하여 다단(multi-stage)으로 수납되어 있어서 많은 수의 밥솥을 동시에 취반할 수 있는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37620호(공고일: 2020.07.24.)에 의한 자가 교체 가능한 업소용 취반기가 알려져 있다.
위 등록특허 제10-2137620호(공고일: 2020.07.24.)에 의한 자가 교체 가능한 업소용 취반기는 본원발명의 발명자가 발명한 기술(발명자 동일)로서, 설치가 용이하고 자가 교체가 가능하며 인덕션 레인지가 다단으로 수납되어 있어서 많은 수의 밥솥을 한꺼 번에 취사할 수 있는 뛰어난 취반이다.
위 등록특허 제10-2137620호(공고일: 2020.07.24.)에 의한 자가 교체 가능한 업소용 취반기는 다단으로 수납된 인덕션 레인지에 밥솥을 올려놓거나 취반이 끝난 밥솥을 가져가기 위해서 즉, 밥솥을 놓거나 파지하기 위해서 아래의 인덕션 레인지를 수납하는 아래 단은 가장 앞으로 돌출되어 있고 위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안쪽(후방)으로 들어가게 수납대가 형성되어 있다.
즉, 종래의 다단형 취반기는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전방으로 사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형성하여야만 각 단에 있는 인덕션 레인지를 서로 간에 방해가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위 등록특허 제10-2137620호(공고일: 2020.07.24.)에 의한 자가 교체 가능한 업소용 취반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위 등록특허 제10-2137620호(공고일: 2020.07.24.)에 의한 자가 교체 가능한 업소용 취반기를 비롯한 종래의 다단형 취반기는 아래로 갈수록 앞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취반기가 차지하는 점유 공간이 매우 크다는 문제점 있었다.
이러한 점유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는 특히 주방이 넓지 않은 경우에는 문제가 더 크게 대두되었다.
문헌1: 등록특허공보 제10-2137620호(공고일: 2020.07.24) 문헌2: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03635호(공개일: 201812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의 목적은,
첫째, 슬라이드식으로 인출되는 레인지 테이블에 인덕션 레인지를 다수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인덕션 레인지가 수납된 레인지 테이블을 동시에 넣었다 뺏다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인덕션 레인지에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는 취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하여 취반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취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둘째, 상하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사선형의 취반기보다 점유 공간을 줄여서 취반기가 사용되고 있는 주방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장방형의 곧은 형상으로 구현이 가능하여 외관상 미감을 고취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밥솥이 올려진 인덕션 레인지가 수납되어 있어서 매우 무거운 레인지 테이블의 인출과 수납 동작을 작은 힘으로도 쉽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넷째, 레인지 테이블의 인출과 수납 과정에서의 가동레일의 이탈이나 런너의 이탈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다섯째, 레인지 테이블이 인출된 경우에는 인덕션 레인지의 동작을 정지시켜서 취반기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는, 인덕션 레인지가 다단(multi-stage)으로 수납되어 있어서 유도가열 방식으로 다수의 밥솥을 동시에 가열하여 취반하기 위한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에 있어서, 복수의 레인지 테이블을 다단으로 수납하기 위한 수납대와, 상기 수납대에 높이방향을 따라서 다단으로 구비되고, 인덕션 레인지를 수납할 수 있는 레인지 테이블과, 상기 레인지 테이블에 수납되고, 유도가열 방식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하여서 밥솥을 상면에 재치시켜서 밥이나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인덕션 레인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인지 테이블은, 취반을 위해서 인덕션 레인지를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납대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고, 밥솥을 취출하기 위해서는 수납대의 내부에서 나올 수 있도록, 상기 수납대에 슬라이드식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레인지 테이블은, 인덕션 레인지가 재치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좌우측에서 상방으로 형성된 좌우측면과, 상기 바닥면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형성된 배면과, 상기 바닥면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형성된 전면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인지 테이블의 수납공간에는 다수의 인덕션 레인지가 수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슬라이드식으로 인출되는 레인지 테이블에 인덕션 레인지를 다수로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다수의 인덕션 레인지가 수납된 레인지 테이블을 동시에 넣었다 뺏다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인덕션 레인지에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는 취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그 결과 취반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취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하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사선형의 취반기보다 점유 공간을 줄여서 취반기가 사용되고 있는 주방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방형의 곧은(직선) 형상으로 구현이 가능하여 외관상 미감을 고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밥솥이 올려진 인덕션 레인지가 수납되어 있어서 매우 무거운 레인지 테이블의 인출과 수납 동작을 작은 힘으로도 쉽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레인지 테이블의 인출과 수납 과정에서의 가동레일의 이탈이나 런너의 이탈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레인지 테이블이 인출된 경우에는 인덕션 레인지의 동작을 정지시켜서 취반기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취반이 완료된 후에 밥솥(R)을 꺼내기 위해서 레인지 테이블(130)을 전방으로 꺼집어 낸 경우의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의 정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에 있어서, 레인지 테이블(130)이 수납대(110)의 수납공간(S1)으로 수납된 상태에서 측면에서 본 구성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에 있어서, 레인지 테이블(130)이 밖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측면에서 본 구성 개념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는, 인덕션 레인지(200)가 높이 방향에 대하여 다단으로 수납되어 있어서 유도가열 방식으로 다수의 밥솥(R)을 동시에 가열하여 취반하기 위한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에 있어서, 복수의 레인지 테이블(130)을 다단으로 수납하기 위한 수납대(110)와, 상기 수납대(110)에 높이방향을 따라서 다단으로 구비되고, 인덕션 레인지(200)를 수납할 수 있는 레인지 테이블(130)과, 상기 레인지 테이블(130)에 수납되고, 유도가열 방식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하여서 밥솥(R)을 상면에 재치시켜서 밥이나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인덕션 레인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인지 테이블(130)은, 취반을 위해서 인덕션 레인지(200)를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납대(110)의 수납공간(S1)으로 들어갈 수 있고, 밥솥(R)을 취출하기 위해서는 수납대(110)의 수납공간(S1)에서 나올 수 있도록, 상기 수납대(110)에 슬라이드식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레인지 테이블(130)은, 인덕션 레인지(200)가 재치되는 바닥면(131)과, 상기 바닥면(131)의 좌우측에서 상방으로 형성된 좌우측면(132,133)과, 상기 바닥면(131)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형성된 배면(135)과, 상기 바닥면(131)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형성된 전면(13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내부에는 재치공간(1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인지 테이블(130)의 재치공간(130a)에는 다수의 인덕션 레인지(200)를 수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레인지 테이블(130)에 다수의(도시된 예에서는 4 개) 인덕션 레인지(200)를 수납할 수 있고, 이 다수의 인덕션 레인지(200)가 수납된 레인지 테이블(130)을 동시에 넣었다 뺏다 할 수 있어서 다수의 인덕션 레인지(200)에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서 하나하나의 인덕션 레인지(200)를 넣었다 뺏다하는 경우보다 취반 작업 시간이 단축할 수 있고 취반 작업 효율이 상승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레인지 테이블(130)가 수납공간(S1)에 수납된 경우에는 레인지 테이블(130)의 전후방향의 길이(d3)는 수납공간(S1)의 깊이(D1,D2)와 거의 비슷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대(110)는, 바닥에 재치되는 베이스부(111)와, 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부(111)에 직립되는 좌우측의 한 쌍의 측면부(112,113)와, 상기 측면부(112,113)의 상단을 고정하는 탑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면부(112,113)는 높이방향으로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은 상기 측면부(112,113)의 하단의 폭(D1)과 상단의 폭(D2)이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즉 위에서 아래로 직선형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종래의 사선형보다는 점유 공간이 작아서 공간 활용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즉, 수납대(110)의 하측이 앞으로 튀어 나오지 않으므로 점유 공간이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장방형의 곧은(직선) 형상으로 구현이 가능하므로 종래와 같이 돌출된 형상이 아니어서 외관상 미감을 고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부(112,113)의 내면에 각각 서로 마주보면서 한 쌍으로 설치되되, 높이방향으로는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마운팅 프레임(120)와, 상기 마운팅 프레임(12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레일(141)과, 상기 레인지 테이블(130)의 좌우 측면(132,133)에 체결되고, 상기 고정레일(141)의 내측으로 구비되어서 상기 고정레일(141)을 따라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가동레일(142)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가동레일(142)이 고정레일(141)을 따라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서 상기 인덕션 레인지(200)가 수납된 레인지 테이블(130)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레인지 테이블(130)의 인출 및 수납 동작이 편리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141)은, 상기 마운팅 프레임(120)에 접촉되어서(바람직하게는 면접촉되어서) 마운팅 프레임(120)에 체결되는 판상의 바 형상의 고정레일 바디(141a)와, 상기 고정레일 바디(141a)의 상단에서 수납대(110)의 내부로 절곡 형성되는 제1 상측 리브(141b)와, 상기 고정레일 바디(141a)의 하단에서 수납대(110)의 내부공간(S1)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 하측 리브(141c)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동레일(142)은, 상기 고정레일 바디(141a)의 상하방향의 높이(h1)보다 더 작은 높이(h2)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레일 바디(141a)로부터 수납대(110)의 내부 쪽으로 이격되고 상기 레인지 테이블(130)의 측면(132,133)에 접촉되어서(바람직하게는 면접촉되어서) 체결되는 판상의 바 형상의 가동레일 바디(142a)와, 상기 가동레일 바디(142a)의 상단에서 외향[수납대(110)의 바깥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되, 상기 제1 상측 리브(141b)와 마주보도록 제1 상측 리브(141b)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는 제2 상측 리브(142b)와, 상기 가동레일 바디(142a)의 하단에서 외향[수납대(110)의 바깥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되, 상기 제1 하측 리브(141c)와 마주보도록 제1 하측 리브(141c)의 위에 위치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는 제2 하측 리브(142c)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레일(141)에 대한 가동레일(142)의 마찰력을 줄여서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상측 리브(141b)와 제2 상측 리브(142b) 사이에 롤링되도록 구비되는 금속 재질의 복수의 상부 볼(151a)과, 상기 고정레일(141)에 대한 가동레일(142)의 마찰력을 줄여서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제1 하측 리브(141c)와 제2 하측 리브(142c) 사이에 롤링되도록 구비되는 금속 재질의 복수의 하부 볼(151b)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며, 상기 제1 상측 리브(141b)는 상기 제2 상측 리브(142b)와의 사이에서 롤링되는 상부 볼(151a)이 원활하게 롤링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아래쪽으로 오목하도록 만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상측 리브(142b)는 상기 제1 상측 리브(141b)와의 사이에 롤링되는 상부 볼(151a)이 원활하게 롤링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아래쪽으로 오목하도록 만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하측 리브(141c)는 상기 제2 하측 리브(142c)와의 사이에서 롤링되는 하부 볼(151b)이 원활하게 롤링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위쪽으로 오목하도록 만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하측 리브(142c)는 상기 제1 하측 리브(141c)와의 사이에 롤링되는 하부 볼(151b)이 원활하게 롤링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아래쪽으로 오목하도록 만곡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밥솥(R)이 올려진 인덕션 레인지(200)가 수납되어 있어서 매우 무거운 레인지 테이블(130)을 인출과 수납을 작은 힘으로도 쉽고 편리하게 작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 바디(141a)와 가동레일 바디(142a)의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런너 몸체부(152a)와, 등간격으로 상측 취부홀(152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런너 몸체부(152a)의 상단에서, 상기 제1 상측 리브(141b)와 제2 상측 리브(142b) 사이에 위치하도록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상측 암(152b)과, 등간격으로 하측 취부홀(152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런너 몸체부(152a)의 하단에서, 상기 제1 하측 리브(141c)와 제2 하측 리브(142c) 사이에 위치하도록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하측 암(152c)으로 구성되는 런너 바디(15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볼(151a)은 상기 상측 취부홀(152b')에 이탈되지 않으면서 롤링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부 볼(151b)은 상기 하측 취부홀(152c')에 이탈되지 않으면서 롤링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런너 바디(152)와 상부 볼(151a)과 하부 볼(151b)은 런너(15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런너(150)는 상기 고정레일(141)과 가동레일(142) 사이에서 상기 가동레일(142)이 원활하게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141)의 전단에 체결되어서, 레인지 테이블(13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상기 런너(150)가 고정레일(141)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스토핑하기 위한 스토퍼(161)와, 레인지 테이블(13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가동레일(142)이 고정레일(14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하기 위해서 상기 가동레일(142)의 후측에 체결되는 스토핑 핀(162)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런너(150)가 스토퍼(161)에 스토핑되어서 전방으로 가장 많이 나와 있는 경우, 상기 스토핑 핀(162)이 런너(150)의 후단에 스토핑되어서 사기 가동레일(142)의 전방 슬라이딩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핑 핀(162)은 가동레일(142)의 가동레일 바디(142a)에 나사체결되는 나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61)에는 상기 가동레일(142)가 고정레일(141)에 설치를 위해서 슬라이딩 삽입되는 경우에, 그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제2 상측 리브(142b)와 제2 하측 리브(142c)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상측 리브(142b)와 제2 하측 리브(142c)가 각각 통과될 수 있는 상부 통과채널(161a)과 하부 통과채널(161b)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에 있어서, 레인지 테이블(130)이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상기 가동레일(142)이 고정레일(141)의 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스토핑하기 위해서, 상기 가동레일(142)이 슬라이딩되는 경우 상기 스토퍼(161)에 걸리도록 하기 위한 걸림 절곡편(142d)가 상기 가동레일 바디(142a)의 전단에서 외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141)과 가동레일(142)의 전후방 방향의 길이는 같거나 거의 유사하며, 상기 고정레일(141)의 고정레일 바디(141a)의 후단에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체결되어서, 가동레일(142)이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가동레일(142)의 제2 상측 리브(142b)와 제2 하측 리브(142c)를 외포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 재질의 완충 지지부재(165)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에 있어서, 상기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가동레일(142)을 원활하게 수용하기 위해서 상기 완충 지지부재(165)의 전방에는 가이드면(165a)이 중심에서 아래와 위로 갈수록 상향 경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에 있어서, 상기 완충 지지부재(165)보다 전방의 위치에서 상기 고정레일(141)의 고정레일 바디(141a)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후방으로 후퇴하는 런너(150)의 후방 한계를 설정하기 위한 런너 정지 돌기(163)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레인지 테이블의 인출과 수납 과정에서의 가동레일의 이탈이나 런너의 이탈을 예방할 수 있고 또한 제품의 안전성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에 있어서, 상기 레인지 테이블(130)의 전면(134)에는 복수의 방열공(134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인지 테이블(130)의 전면(134)에는 재치공간(130a)의 열을 방열하면서 동시에 표식을 위한 표식공(134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식공(134b)은 제조자나 사용업소의 상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부(112,113)에 가로질러서 설치되어서 슬라이딩되는 레인지 테이블(130)이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후방 차단판(171)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후방 차단판(171)에는 인덕션 레인지(200)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미도시)이 통과되는 케이블 통과공(171a)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대(1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레인지 테이블(130)이 상기 측면부(112,113)의 전단보다 돌출되어 있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하는 감지센서(18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인덕션 레인지(200)에는, 상기 감지센서(180)로부터 레인지 테이블(130)이 전방으로 빠져 나와있다는 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인덕션 레인지(200)로 인가되는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정지 제어신호를 전원공급부(220)로 출력하는 제어부(210)가 구비되어 있고, 제어부(210)로부터 정지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인덕션 레인지(20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원공급부(22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레인지 테이블(130)이 밖으로 인출되었을 때에 작동이 되지 않으므로 안전성이 담보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180)는 수납대(110)의 측면부(112,113)의 전단이나 탑부(114)의 전단에 구비되어서 레인지 테이블(130)의 인출 상태(즉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수납대 S1 : 수납대의 수납공간
111 : 베이스부
112,113 : 측면부 114 : 탑부
120 : 마운팅 프레임
130 : 레인지 테이블 130a : 재치공간
131 : 바닥면 132,133 : 좌우 측면
134 : 전면 134a : 방열공
134b : 표식공 135 : 배면
141 : 고정레일 141a : 고정레일 바디
141b : 제1 상측 리브 141c : 제1 하측 리브
h1 : 고정레일 바디의 상하방향의 높이
h2 : 가동레일 바디의 상하방향의 높이
142 : 가동레일 142a : 가동레일 바디
142b : 제2 상측 리브 142c : 제2 하측 리브
142d : 걸림 절곡편
150 : 런너
151a : 상부 볼 151b : 하부 볼
152 : 런너 바디 152a : 런너 몸체부
152b : 상측 암 152b' : 상측 취부홀
152c : 하측 암 152c' : 하측 취부홀
161 : 스토퍼
161a : 상부 통과채널 161b : 하부 통과채널
162 : 스토핑 핀 163 : 런너 정지 돌기
165 : 완충 지지부재 165a : 경사 안내면
171 : 후방 차단판 171a : 전선 인출공
180 : 감지센서 200 : 인덕션 레인지
210 : 제어부 220 : 전원공급부

Claims (5)

  1. 인덕션 레인지(200)가 다단으로 수납되어 있어서 유도가열(induction heating) 방식으로 다수의 밥솥(R)을 동시에 가열하여 취반하기 위한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에 있어서,
    복수의 레인지 테이블(130)을 다단으로 수납하기 위한 수납대(110)와,
    상기 수납대(110)에 높이방향을 따라서 다단으로 구비되고, 인덕션 레인지(200)를 수납할 수 있는 레인지 테이블(130)과,
    상기 레인지 테이블(130)에 수납되고, 유도가열 방식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하여서 밥솥(R)을 상면에 재치시켜서 밥이나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인덕션 레인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인지 테이블(130)은,
    취반을 위해서 인덕션 레인지(200)를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납대(11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고, 밥솥(R)을 취출하기 위해서는 수납대(110)의 내부에서 나올 수 있도록, 상기 수납대(110)에 슬라이드식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레인지 테이블(130)은, 인덕션 레인지(200)가 재치되는 바닥면(131)과, 상기 바닥면(131)의 좌우측에서 상방으로 형성된 좌우측면(132,133)과, 상기 바닥면(131)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형성된 배면(135)과, 상기 바닥면(131)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형성된 전면(13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내부에는 재치공간(1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인지 테이블(130)의 재치공간(130a)에는 다수의 인덕션 레인지(200)를 수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대(110)는,
    바닥에 재치되는 베이스부(111)와, 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부(111)에 직립되는 좌우측의 한 쌍의 측면부(112,113)와, 상기 측면부(112,113)의 상단을 고정하는 탑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면부(112,113)는 높이방향으로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부(112,113)의 내면에 각각 서로 마주보면서 한 쌍으로 설치되되, 높이방향으로는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마운팅 프레임(120)와,
    상기 마운팅 프레임(12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레일(141)과,
    상기 레인지 테이블(130)의 좌우 측면(132,133)에 체결되고, 상기 고정레일(141)의 내측으로 구비되어서 상기 고정레일(141)을 따라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가동레일(142)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가동레일(142)이 고정레일(141)을 따라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서 상기 인덕션 레인지(200)가 수납된 레인지 테이블(130)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141)은,
    상기 마운팅 프레임(120)에 접촉되어서 마운팅 프레임(120)에 체결되는 판상의 바 형상의 고정레일 바디(141a)와,
    상기 고정레일 바디(141a)의 상단에서 수납대(110)의 내부로 절곡 형성되는 제1 상측 리브(141b)와,
    상기 고정레일 바디(141a)의 하단에서 수납대(110)의 내부로 절곡 형성되는 제1 하측 리브(141c)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동레일(142)은,
    상기 고정레일 바디(141a)의 상하방향의 높이(h1)보다 더 작은 높이(h2)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레일 바디(141a)로부터 수납대(110)의 내부 쪽으로 이격되고 상기 레인지 테이블(130)의 측면(132,133)에 접촉되어서 체결되는 판상의 바 형상의 가동레일 바디(142a)와,
    상기 가동레일 바디(142a)의 상단에서 외향으로 절곡 형성되되, 상기 제1 상측 리브(141b)와 마주보도록 제1 상측 리브(141b)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는 제2 상측 리브(142b)와,
    상기 가동레일 바디(142a)의 하단에서 외향으로 절곡 형성되되, 상기 제1 하측 리브(141c)와 마주보도록 제1 하측 리브(141c)의 위에 위치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는 제2 하측 리브(142c)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레일(141)에 대한 가동레일(142)의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상측 리브(141b)와 제2 상측 리브(142b) 사이에 롤링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상부 볼(151a)과,
    상기 고정레일(141)에 대한 가동레일(142)의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제1 하측 리브(141c)와 제2 하측 리브(142c) 사이에 롤링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하부 볼(151b)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며,
    상기 제1 상측 리브(141b)는 상기 제2 상측 리브(142b)와의 사이에서 롤링되는 상부 볼(151a)이 원활하게 롤링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아래쪽으로 오목하도록 만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상측 리브(142b)는 상기 제1 상측 리브(141b)와의 사이에 롤링되는 상부 볼(151a)이 원활하게 롤링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아래쪽으로 오목하도록 만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하측 리브(141c)는 상기 제2 하측 리브(142c)와의 사이에서 롤링되는 하부 볼(151b)이 원활하게 롤링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위쪽으로 오목하도록 만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하측 리브(142c)는 상기 제1 하측 리브(141c)와의 사이에 롤링되는 하부 볼(151b)이 원활하게 롤링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아래쪽으로 오목하도록 만곡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 바디(141a)와 가동레일 바디(142a)의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런너 몸체부(152a)와,
    등간격으로 상측 취부홀(152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런너 몸체부(152a)의 상단에서, 상기 제1 상측 리브(141b)와 제2 상측 리브(142b) 사이에 위치하도록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상측 암(152b)과,
    등간격으로 하측 취부홀(152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런너 몸체부(152a)의 하단에서, 상기 제1 하측 리브(141c)와 제2 하측 리브(142c) 사이에 위치하도록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하측 암(152c)으로 구성되는 런너 바디(15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볼(151a)은 상기 상측 취부홀(152b')에 이탈되지 않으면서 롤링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부 볼(151b)은 상기 하측 취부홀(152c')에 이탈되지 않으면서 롤링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런너 바디(152)와 상부 볼(151a)과 하부 볼(151b)은 런너(15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
KR1020210057195A 2021-05-03 2021-05-03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 KR102392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195A KR102392146B1 (ko) 2021-05-03 2021-05-03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195A KR102392146B1 (ko) 2021-05-03 2021-05-03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146B1 true KR102392146B1 (ko) 2022-04-29

Family

ID=81429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195A KR102392146B1 (ko) 2021-05-03 2021-05-03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1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727B1 (ko) * 2023-05-30 2024-02-23 주식회사 금홍종합상사 대량의 음식물 조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4278B1 (en) * 2000-03-21 2002-07-02 Sigurd Frohlich Pizza warmer and oven system
KR101565755B1 (ko) * 2015-04-30 2015-11-05 (주) 다나일렉트릭스 다층으로 구획된 인덕션을 이용한 밥 조리장치
KR20170097964A (ko) * 2016-02-19 2017-08-29 주식회사 파세코 복합식 조리장치
KR20180003635U (ko) 2017-06-16 2018-12-27 남현목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
KR102137620B1 (ko) 2019-05-30 2020-07-24 주식회사 한국미래기술 자가 교체 가능한 업소용 취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4278B1 (en) * 2000-03-21 2002-07-02 Sigurd Frohlich Pizza warmer and oven system
KR101565755B1 (ko) * 2015-04-30 2015-11-05 (주) 다나일렉트릭스 다층으로 구획된 인덕션을 이용한 밥 조리장치
KR20170097964A (ko) * 2016-02-19 2017-08-29 주식회사 파세코 복합식 조리장치
KR20180003635U (ko) 2017-06-16 2018-12-27 남현목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
KR102137620B1 (ko) 2019-05-30 2020-07-24 주식회사 한국미래기술 자가 교체 가능한 업소용 취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727B1 (ko) * 2023-05-30 2024-02-23 주식회사 금홍종합상사 대량의 음식물 조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2146B1 (ko) 다단형 업소용 취반기
US3698782A (en) Multi-shelved slide rack
KR20180055005A (ko) 주방가구 하부수납장의 서랍용 걸이형 선반
US20060119233A1 (en) All in one media station
KR102137620B1 (ko) 자가 교체 가능한 업소용 취반기
KR200480389Y1 (ko) 인출식 멀티 수납장
TWM579483U (zh) Drawer device
KR101813570B1 (ko) 욕조
KR102036017B1 (ko) 싱크대의 걸레받이 서랍
JP6261026B2 (ja) スライド収納装置
KR20170077497A (ko)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이동판매대
JP2009201711A (ja) 商品陳列棚
KR200329184Y1 (ko) 전자레인지용 보조선반
US2151269A (en) Display rack for books and the like
JP2006230468A (ja) キャビネット
CN220713339U (zh) 柜子
CN219713316U (zh) 一种可以放置物品的条形灯
KR200474595Y1 (ko) 다용도 꽂이
JP2005211092A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の引出し構造
JP2006081572A (ja) キッチンカウンター
US2401409A (en) Periodical display rack
CN216364275U (zh) 可调拉篮的固定部件结构
KR20100112794A (ko) 다용도 서랍장
JP2017192619A (ja) 組み合わせ家具
JP2010284287A (ja) 陳列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