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241B1 -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 - Google Patents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241B1
KR102391241B1 KR1020200013695A KR20200013695A KR102391241B1 KR 102391241 B1 KR102391241 B1 KR 102391241B1 KR 1020200013695 A KR1020200013695 A KR 1020200013695A KR 20200013695 A KR20200013695 A KR 20200013695A KR 102391241 B1 KR102391241 B1 KR 102391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apartment
insulation
heat reflection
r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9845A (ko
Inventor
박지현
Original Assignee
박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현 filed Critical 박지현
Priority to KR1020200013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241B1/ko
Publication of KR20210099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2Two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2001/7691Heat reflecting layers or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90Passive houses; Double facade technolo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으로서, (1) 아파트의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하도로 단열 도료를 도장하여 하도 단열층을 형성하는 단계; (2) 아파트의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중도로 상기 단계 (1)을 통해 형성되는 하도 단열층에 단열 도료와 열반사 도료를 1:1 동량으로 혼합한 중도 부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3) 아파트의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상도로 상기 단계 (2)를 통해 형성되는 중도 부착층에 열반사 도료를 도장하여 상도 열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에 따르면, 아파트 외벽으로 하도의 단열과 상도의 열반사로 구분되어 단열 및 열반사가 가능하도록 도장됨으로써, 태양열에 대한 열반사 및 단열 효율이 향상되고, 그에 따른 우수한 태양열의 열반사 효과와 단열성능을 통한 아파트 외단열의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에 따르면, 기존의 열반사 단열 도료의 결점을 극복하고, 태양 빛에 대한 높은 반사율과 열저항을 가짐으로써, 단열효과, 결로 방지 효과, 항균/항곰팡이 효과, 냉난방 에너지 절감 효과, 벽면 균열 방지 효과 등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에 따르면, 아파트의 외단열 시공 도장뿐만 아니라, 건물, 자동차 등의 교통수단, 각종 배관, 저장 탱크 등의 외면에 도장 마감재로 적용되고, 태양열반사 85% 이상의 열반사 효과와 더불어 우수한 단열성능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A COATING METHOD FOR EXTERNAL INSULATION AND HEAT REFLECTION OF APARTMENT}
본 발명은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파트 외벽으로 하도의 단열과 상도의 열반사로 도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태양열에 대한 열반사 및 단열의 효과적인 열차단벽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는 고층구조상 안전사고, 공사비용, 시공성, 공사기간, 내구성 등의 문제로 외단열을 할 수 없어 내단열을 선택하여 단열 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밀착과 기밀이 빈약한 내단열을 함에 따라 열교현상이 일어나 사용자는 에너지 사용량이 늘어나고, 결로와 곰팡이 같은 하자 문제가 끊이지 않고 발생되고 있다.
한편, 태양열 에너지는 근적외선과 가시광역에 집중되어 있다. 이러한 태양열 에너지는 대기에 흡수된 후, 지면에 도착하는 태양열 총에너지의 45%가 가시광선, 적외선이 50%, 기타 5%의 전자기파로 이루어지고 있다. 적외선 방사 에너지의 95%가 720~2500㎚에 집중되어 있는 데, 이는 근적외선 광역대를 의미한다. 또한, 태양 에너지는 물체의 표면온도를 상승시키는 열에너지로 변환되는 가시광선과 적외선으로 복사되어 진다. 특히, 하절기 태양광 하에서 건물 외벽은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고, 건물 내부로 전도되어 온도가 상승한다. 이러한 내부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친환경적으로 다양한 표면처리 및 도장 기술이 개발되어져 왔고, 이를 통해 태양 열방사를 반사하게 할 수 있었다. 종래의 기술은 도막생성을 위한 에멀젼 수지와 단열을 위한 중공구와 충진재, 안료 및 기타 첨가제로 이루어져 있다. 즉, 종래의 열반사 단열 도료는 미세중공구로 이루어진 단열층과, 표면에서 열방사를 반사할 수 있는 열반사체, 그리고 이를 상호 긴밀하게 접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지의 3개 주요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태양열 방사와 기타 소량의 열방사를 막아주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열반사 단열물질로 사용되는 중공구는 함께 적용된 다른 물질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밀도를 갖기 때문에 항상 상부 표면에 부유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제조공정에서 균일한 혼합 및 분산을 위하여 격렬한 교반이 요구되어 지고, 외벽이 비교적 얇은 중공구는 격렬한 교반에 의하여 손상을 입을 수 있고, 이는 단열성능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 미세중공구의 물에서의 분산성의 부족은 도장 층이 일정하게 형성되지 못하게 되며, 열반사율의 효능도 미세중공구의 표면이 미세하게는 구형의 곡면 표면이기 때문에 산란반사로 인하여 태양빛에 대한 반사효율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아파트 외벽으로 하도의 단열과 상도의 열반사로 구분되어 단열 및 열반사가 가능하도록 도장됨으로써, 태양열에 대한 열반사 및 단열 효율이 향상되고, 그에 따른 우수한 태양열의 열반사 효과와 단열성능을 통한 아파트 외단열의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열반사 단열 도료의 결점을 극복하고, 태양 빛에 대한 높은 반사율과 열저항을 가짐으로써, 단열효과, 결로 방지 효과, 항균/항곰팡이 효과, 냉난방 에너지 절감 효과, 벽면 균열 방지 효과 등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아파트의 외단열 시공 도장뿐만 아니라, 건물, 자동차 등의 교통수단, 각종 배관, 저장 탱크 등의 외면에 도장 마감재로 적용되고, 태양열반사 85% 이상의 열반사 효과와 더불어 우수한 단열성능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은,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으로서,
(1) 아파트의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하도로 단열 도료를 도장하여 하도 단열층을 형성하는 단계;
(2) 아파트의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중도로 상기 단계 (1)을 통해 형성되는 하도 단열층에 단열 도료와 열반사 도료를 1:1 동량으로 혼합한 중도 부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3) 아파트의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상도로 상기 단계 (2)를 통해 형성되는 중도 부착층에 열반사 도료를 도장하여 상도 열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에서는,
아파트의 외단열을 위한 하도 단열층을 형성하는 단열 도료로서, 열전도율이 낮은 중공 마이크로 비드 5~40 중량%, 열반사 물질 10~50 중량%, 접착성 거대 분자 수지 10~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반사 물질은,
이산화티탄(TiO2, titanium-dioxide), 산화주석(SnO2, tin-oxide), 삼산화안티몬(Sb2O3, antimony-trioxide), 산화마그네슘(MgO, magnesium-oxide), 산화아연(ZnO, zinc-oxide), 산화알루미늄(Al2O3, aluminium-oxide)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금속산화물로 조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성 거대 분자 수지는,
투명 수지로서 열방사 흡수가 적은 아크릴, 폴리우레탄, 실리콘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유화중합된 에멀젼으로 조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에서는,
아파트의 열반사를 위한 상도 열반사층을 형성하는 열반사 도료로서, 열반사 복합재료 5~40 중량%, 열반사 물질 10~50 중량%, 접착성 고분자 수지 10~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반사 복합재료는,
열선반사표면층의 복합물로서, 4염화주석(SnCl4, tin-tetrachloride), 4염화티탄(TiCl4, titanium-tetrachloride), 황산티탄(Ti(SO4)2, titan-sulfate), 삼염화안티몬(SbCl3, antomony-trichloride), 황산아연(ZnSO4, zinc-sulfate), 염화아연(ZnCl2, zinc-chlori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반사 복합재료는,
0.2 몰의 삼염화안티몬 수용액 1리터, 0.2몰의 사염화주석 수용액 1리터를 혼합하고, 편상의 무기질재료인 마이카를 300g 투입하여 용액의 pH를 5로 조절하며, 반응온도 50~60℃에서 3시간 반응 후 여과, 세척 및 건조를 거쳐 500~600℃에서 3시간 열처리 하여 안티몬-산화주석으로 표면이 피복되어진 안티몬-주석 피복 마이카, 또는 수열반응(Hydrothermal reaction)으로 밀폐된 오코클레이브에 0.2몰의 황산티타늄 수용액 1리터에 편상 마이카 400g을 투입한 후 밀폐반응기에서 150~160℃에서 5시간 이상 반응 후 여과, 세척 및 건조를 거친 이산화티타늄 피복 마이카로 조성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파트의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하도 단열층과 중도 부착층 및 상도 열반사층의 총 건조 도막은 500 내지 800㎛의 도장 두께로 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에 따르면, 아파트 외벽으로 하도의 단열과 상도의 열반사로 구분되어 단열 및 열반사가 가능하도록 도장됨으로써, 태양열에 대한 열반사 및 단열 효율이 향상되고, 그에 따른 우수한 태양열의 열반사 효과와 단열성능을 통한 아파트 외단열의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에 따르면, 기존의 열반사 단열 도료의 결점을 극복하고, 태양 빛에 대한 높은 반사율과 열저항을 가짐으로써, 단열효과, 결로 방지 효과, 항균/항곰팡이 효과, 냉난방 에너지 절감 효과, 벽면 균열 방지 효과 등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에 따르면, 아파트의 외단열 시공 도장뿐만 아니라, 건물, 자동차 등의 교통수단, 각종 배관, 저장 탱크 등의 외면에 도장 마감재로 적용되고, 태양열반사 85% 이상의 열반사 효과와 더불어 우수한 단열성능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에 따른 하도 단열층, 중도 부착층, 및 상도 열반사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에 따라 시공되어 외단열 및 차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에 따른 하도 단열층, 중도 부착층, 및 상도 열반사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에 따라 시공되어 외단열 및 차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은, 아파트의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하도로 단열 도료를 도장하여 하도 단열층을 형성하는 단계(S110), 아파트의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중도로 단열 도료와 열반사 도료를 1:1 동량으로 혼합한 중도 부착층을 형성하는 단계(S120), 및 아파트의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상도로 중도 부착층에 열반사 도료를 도장하여 상도 열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110에서는, 아파트의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하도로 단열 도료를 도장하여 하도 단열층(110)을 형성한다. 이러한 단계 S110에서는 아파트의 외단열을 위한 하도 단열층(110)을 형성하는 단열 도료로서, 열전도율이 낮은 중공 마이크로 비드 5~40 중량%, 열반사 물질 10~50 중량%, 접착성 거대 분자 수지 10~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열 도료의 열반사 물질은 이산화티탄(TiO2, titanium-dioxide), 산화주석(SnO2, tin-oxide), 삼산화안티몬(Sb2O3, antimony-trioxide), 산화마그네슘(MgO, magnesium-oxide), 산화아연(ZnO, zinc-oxide), 산화알루미늄(Al2O3, aluminium-oxide)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금속산화물로 조성될 수 있다.
또한, 접착성 거대 분자 수지는 투명 수지로서 열방사 흡수가 적은 아크릴, 폴리우레탄, 실리콘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유화중합된 에멀젼으로 조성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는, 아파트의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중도로 단계 S110을 통해 형성되는 하도 단열층(110)에 단열 도료와 열반사 도료를 1:1 동량으로 혼합한 중도 부착층(120)을 형성한다. 이러한 단계 S120에서의 중도 부착층(120)은 하도의 하도 단열층(110)과 상도의 상도 열반사층(130)의 층간 적절한 부착 및 열충격 완화를 위해 기능하게 된다.
단계 S130에서는, 아파트의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상도로 단계 S120을 통해 형성되는 중도 부착층(120)에 열반사 도료를 도장하여 상도 열반사층(130)을 형성한다. 이러한 단계 S130에는 아파트의 열반사를 위한 상도 열반사층을 형성하는 열반사 도료로서, 열반사 복합재료 5~40 중량%, 열반사 물질 10~50 중량%, 접착성 고분자 수지 10~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열반사 복합재료는 열선반사표면층의 복합물로서, 4염화주석(SnCl4, tin-tetrachloride), 4염화티탄(TiCl4, titanium-tetrachloride), 황산티탄(Ti(SO4)2, titan-sulfate), 삼염화안티몬(SbCl3, antomony-trichloride), 황산아연(ZnSO4, zinc-sulfate), 염화아연(ZnCl2, zinc-chlori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열반사 복합재료는 0.2몰의 삼염화안티몬 수용액 1리터, 0.2몰의 사염화주석 수용액 1리터를 혼합하고, 편상의 무기질재료인 마이카를 300g 투입하여 용액의 pH를 5로 조절하며, 반응온도 50~60℃에서 3시간 반응 후 여과, 세척 및 건조를 거쳐 500~600℃에서 3시간 열처리 하여 안티몬-산화주석으로 표면이 피복되어진 안티몬-주석 피복 마이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열반사 복합재료는 수열반응(Hydrothermal reaction)으로 밀폐된 오코클레이브에 0.2몰의 황산티타늄 수용액 1리터에 편상 마이카 400g을 투입한 후 밀폐반응기에서 150~160℃에서 5시간 이상 반응 후 여과, 세척 및 건조를 거친 이산화티타늄 피복 마이카로 조성될 수 있다.
또한, 열반사 복합재료의 열선반사표면층은 복합물로, 편상 무기물질이며, 이러한 편상 무기물은 유리, 마이카, 견운모 등으로 이러한 물질군은 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로 인하여 도장 공정 중에 물에 쉽게 분산되고, 균일한 도막 층을 형성할 수 있게 도와준다.
또한, 열반사 도료의 열반사 물질은 이산화티탄(TiO2, titanium-dioxide), 산화주석(SnO2, tin-oxide), 삼산화안티몬(Sb2O3, antimony-trioxide), 산화마그네슘(MgO, magnesium-oxide), 산화아연(ZnO, zinc-oxide), 산화알루미늄(Al2O3, aluminium-oxide)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금속산화물로 조성될 수 있다.
아파트의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하도 단열층(110)과 중도 부착층(120) 및 상도 열반사층(130)의 총 건조 도막은 500 내지 800㎛의 도장 두께로 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은, 종래의 단열 도료 단독으로 도장하는 방법과는 달리, 단열층을 하도로 하고 열반사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열반사 물질을 특별히 표면층을 개질한 반사원료가 적용된 것을 상도층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열반사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표면개질 복합재료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열반사 효율을 높이기 위한 마이카의 표면 개질 방법으로, 안티몬-주석 피복 마이카(운모)의 제조는, 0.2 몰의 삼염화안티몬 수용액을 용액A로 1리터 준비하고, 0.2몰의 사염화주석 수용액을 용액B로 1리터 준비한다. 이어, 이 두 가지 용액을 5:5로 혼합하여 편상의 무기질재료(마이카)를 300g 투입하고 용액의 pH를 5로 조절하며, 반응온도 50~60℃에서 3시간 반응 후 여과, 세척 및 건조를 거쳐 500~600℃에서 3시간 열처리 하여 안티몬-산화주석으로 표면이 피복되어진 열반사 복합재료로서의 안티몬-주석 피복 마이카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이산화티타늄 피복 마이카(운모)의 제조는, 수열반응(Hydrothermal reaction)으로 밀폐된 오코클레이브에 0.2몰의 황산티타늄 수용액 1리터에 편상 마이카 400g을 투입한 후 밀폐반응기에서 150~160℃에서 5시간 이상 반응 후 여과, 세척 및 건조를 거쳐 열반사 복합재료로서의 이산화티타늄 피복 마이카를 수득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열전달을 최소화하기 위한 하도 실시예(단위: ㎏)를 나타낸다.
Figure 112020012096598-pat00001
즉, 열전달을 최소화하기 위한 하도의 제조 방법으로는 [표 1]에 개시되는 원료를 참고하여, 1) 정해진 배합법에 따라 원재료를 준비하고, 2) 수성도료용 분산제, 유평제, 소포제, 이산화티타늄 파우더를 첨가하여 고속으로(RPM:1500 이상) 20분간 분산시키며, 3) 수지재료를 넣고 느린 속도(500RPM 미만)로 고르게 섞으며, 4) 마지막으로 미세 중공구(glass bubble)를 넣고 느린 속도(500RPM 미만)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아래의 [표 2]는 열반사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상도 실시예(단위: ㎏)를 나타낸다.
Figure 112020012096598-pat00002
즉, 열반사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상도의 제조 방법으로는 [표 2]에 개시되는 원료를 참고하여, 1) 정해진 배합비에 따라 원재료를 준비하고, 2) 수성도료용 분산제, 표면평활제, 소포제, 이산화티타늄을 투입한 후 20분간 고속분산(RPM:1500 이상)시키며, 3) 수지재료를 넣고 느린 속도(RPM 800이하)로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4) 자체적으로 합성한 이산화티타늄 표면 피복 마이카 열선반사 복합 재료, 또는 안티몬-주석 표면 피복 열선반사 복합 재료를 넣고 느린 속도(RPM:800이하)로 혼합하여 표면이 피복된 열선반사 복합재료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도장 공정은, 하도 1회, 상도:하도를 1:1 혼합한 중도로 2회 및 상도 1회로 총 4회로 도장을 마무리하며, 각각의 도장별 도막 두께는 하도두께 0.4 ± 0.5㎜, 중도두께 0.2 ± 0.5㎜ 및 상도 0.2 ± 0.5㎜로 한다.
아래의 [표 3]은 일사 반사율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즉, 아래의 [표 3]은 하도를 동일하게 적용한 후 상도 실시예 1, 2, 3을 각각 도장 공정에 의하여 도장한 도료에 대한 열반사율 측정치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20012096598-pat00003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은, 기존의 단순 열반사 물질에 열반사 기능을 높일 수 있도록 피복한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아파트 외벽으로 하도의 단열과 상도의 열반사로 구분되어 단열 및 열반사가 가능하도록 도장됨으로써, 태양열에 대한 열반사 및 단열 효율이 향상되고, 그에 따른 우수한 태양열의 열반사 효과와 단열성능을 통한 아파트 외단열의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의 열반사 단열 도료의 결점을 극복하고, 태양 빛에 대한 높은 반사율과 열저항을 가짐으로써, 단열효과, 결로 방지 효과, 항균/항곰팡이 효과, 냉난방 에너지 절감 효과, 벽면 균열 방지 효과 등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아파트의 외단열 시공 도장뿐만 아니라, 건물, 자동차 등의 교통수단, 각종 배관, 저장 탱크 등의 외면에 도장 마감재로 적용되고, 태양열반사 85% 이상의 열반사 효과와 더불어 우수한 단열성능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하도 단열층
120: 중도 부착층
130: 상도 열반사층
S110: 아파트의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하도로 단열 도료를 도장하여 하도 단열층을 형성하는 단계
S120: 아파트의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중도로 단열 도료와 열반사 도료를 1:1 동량으로 혼합한 중도 부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S130: 아파트의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상도로 중도 부착층에 열반사 도료를 도장하여 상도 열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

Claims (8)

  1.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으로서,
    (1) 아파트의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하도로 단열 도료를 도장하여 하도 단열층(110)을 형성하는 단계;
    (2) 아파트의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중도로 상기 단계 (1)을 통해 형성되는 하도 단열층(110)에 단열 도료와 열반사 도료를 1:1 동량으로 혼합한 중도 부착층(120)을 형성하는 단계; 및
    (3) 아파트의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상도로 상기 단계 (2)를 통해 형성되는 중도 부착층(120)에 열반사 도료를 도장하여 상도 열반사층(13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3)에서는,
    아파트의 열반사를 위한 상도 열반사층을 형성하는 열반사 도료로서, 열반사 복합재료 5~40 중량%, 열반사 물질 10~50 중량%, 접착성 고분자 수지 10~7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열반사 복합재료는,
    열선반사표면층의 복합물로서, 4염화주석(SnCl4, tin-tetrachloride), 4염화티탄(TiCl4, titanium-tetrachloride), 황산티탄(Ti(SO4)2, titan-sulfte), 삼염화안티몬(SbCl3, antomony-trichloride), 황산아연(ZnSO4, zinc-sulfate), 염화아연(ZnCl2, zinc-chlori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는,
    아파트의 외단열을 위한 하도 단열층(110)을 형성하는 단열 도료로서, 열전도율이 낮은 중공 마이크로 비드 5~40 중량%, 열반사 물질 10~50 중량%, 접착성 거대 분자 수지 10~7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반사 물질은,
    이산화티탄(TiO2, titanium-dioxide), 산화주석(SnO2, tin-oxide), 삼산화안티몬(Sb2O3, antimony-trioxide), 산화마그네슘(MgO, magnesium-oxide), 산화아연(ZnO, zinc-oxide), 산화알루미늄(Al2O3, aluminium-oxide)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금속산화물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거대 분자 수지는,
    투명 수지로서 열방사 흡수가 적은 아크릴, 폴리우레탄, 실리콘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유화중합된 에멀젼으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반사 복합재료는,
    0.2 몰의 삼염화안티몬 수용액 1리터, 0.2몰의 사염화주석 수용액 1리터를 혼합하고, 편상의 무기질재료인 마이카를 300g 투입하여 용액의 pH를 5로 조절하며, 반응온도 50~60℃에서 3시간 반응 후 여과, 세척 및 건조를 거쳐 500~600℃에서 3시간 열처리 하여 안티몬-산화주석으로 표면이 피복되어진 안티몬-주석 피복 마이카, 또는 수열반응(Hydrothermal reaction)으로 밀폐된 오코클레이브에 0.2몰의 황산티타늄 수용액 1리터에 편상 마이카 400g을 투입한 후 밀폐반응기에서 150~160℃에서 5시간 이상 반응 후 여과, 세척 및 건조를 거친 이산화티타늄 피복 마이카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아파트의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하도 단열층(110)과 중도 부착층(120) 및 상도 열반사층(130)의 총 건조 도막은 500 내지 800㎛의 도장 두께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
KR1020200013695A 2020-02-05 2020-02-05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 KR102391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695A KR102391241B1 (ko) 2020-02-05 2020-02-05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695A KR102391241B1 (ko) 2020-02-05 2020-02-05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845A KR20210099845A (ko) 2021-08-13
KR102391241B1 true KR102391241B1 (ko) 2022-04-27

Family

ID=77313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695A KR102391241B1 (ko) 2020-02-05 2020-02-05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2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567B1 (ko) * 2015-12-18 2016-06-07 조양도장산업 (주) 마이크로스피어가 함유된 코팅재를 이용한 차열 방수 공법
JP2018193441A (ja) * 2017-05-15 2018-12-06 輝明 嘉納 放射断熱耐火塗料及び放射断熱耐火塗料と添加剤との組み合わせ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827B1 (ko) * 2008-04-25 2010-04-20 장동주 극고온 차열성 수성 세라믹 도료 조성물
KR102446253B1 (ko) * 2016-01-20 2022-09-23 주식회사 케이씨씨 차단열 방수 도장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567B1 (ko) * 2015-12-18 2016-06-07 조양도장산업 (주) 마이크로스피어가 함유된 코팅재를 이용한 차열 방수 공법
JP2018193441A (ja) * 2017-05-15 2018-12-06 輝明 嘉納 放射断熱耐火塗料及び放射断熱耐火塗料と添加剤との組み合わ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845A (ko) 2021-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40202B (zh) 輻射致冷功能塗料及其製備方法與應用、選擇性輻射致冷塗層及複合材料
US10443241B2 (en) Solar heat-reflective roofing granules, solar heat-reflective shingle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CN103725124B (zh) 一种高辐射隔热涂料
KR101881728B1 (ko) 태양열 반사율
CN105567021B (zh) 一种水性冷颜料多功能隔热外墙真石漆及其制备方法
WO2009049481A1 (fr) Revêtement isolant thermique capable de réfléchir les rayons de la chaleur solaire
CN101585992B (zh) 隔热反射防腐涂料
CN102391778B (zh) 一种彩色透明隔热玻璃涂料及其制备方法
CN103146269A (zh) 一种水性高反射辐射复合型保温隔热涂料的制备
CN108795191A (zh) 一种水性反射隔热涂料
CN104610829A (zh) 一种建筑用反射隔热涂料及其制备方法
CN105802415A (zh) 一种反射隔热涂料
CN106634349A (zh) 彩色反射隔热降温涂料及其制备方法
CN112143312A (zh) 建筑用质感仿石隔热反射复合涂料及其制备方法
US11565970B1 (en) Graphene-containing roofing materials and related methods
CN109054556A (zh) 一种水性纳米复合隔热涂料及其制备方法
KR102391241B1 (ko)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
CN209163280U (zh) 一种反射隔热涂料的层结构
CN111454618A (zh) 一种隔热水包砂涂料及其制备方法
CN105802409A (zh) 一种弹性反射隔热建筑涂料及其制备方法
JP4512935B2 (ja) 遮熱(断熱)工法、および遮熱材料
JP6010315B2 (ja) 窯業建材用艶消し複層膜形成方法
CN108359374A (zh) 可用于内外墙的隔热材料及其制备方法
CN111410856A (zh) 一种无机反射隔热涂料及其制备方法
CN113201268A (zh) 一种工程机械涂装用反射隔热涂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