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567B1 - 마이크로스피어가 함유된 코팅재를 이용한 차열 방수 공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스피어가 함유된 코팅재를 이용한 차열 방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567B1
KR101623567B1 KR1020150181701A KR20150181701A KR101623567B1 KR 101623567 B1 KR101623567 B1 KR 101623567B1 KR 1020150181701 A KR1020150181701 A KR 1020150181701A KR 20150181701 A KR20150181701 A KR 20150181701A KR 101623567 B1 KR101623567 B1 KR 101623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ayer
parts
fiber sheet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홍
Original Assignee
조양도장산업 (주)
정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양도장산업 (주), 정대홍 filed Critical 조양도장산업 (주)
Priority to KR1020150181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9D7/12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스피어가 함유된 코팅재를 이용한 차열 방수 공법(마이크로스피어 차열 복합 방수 공법)에 있어서, 코팅대상에 다공성 세라믹 원료가 포함된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마이크로스피어,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다공성 세라믹 원료, 물,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중도재를 도포하여 중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0.1 내지 0.2mm의 두께를 갖는 섬유시트의 테두리에 중도재를 형성하고, 상기 중도층의 상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섬유시트의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중도재가 상기 중도층을 향하도록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섬유시트 상부에 마이크로스피어,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다공성 세라믹 원료, 물,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상도재를 도포하여 상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중도층 및 상도층 사이에 섬유시트를 배치하고 이를 통해 공기층이 형성됨으로 인해 코팅대상으로부터 발생하는 균열이나 들뜸이 상도층까지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스피어가 함유된 중도재 및 상도재를 이용하여 중도층 및 상도층을 형성함에 의해 방수효과, 자외선 반사효과, 온도에 따른 수축 및 팽창 정도 감소효과 및 에너지 절감효과를 보인다.

Description

마이크로스피어가 함유된 코팅재를 이용한 차열 방수 공법 {Thermal barrier waterproofing method using a coating material microspheres are contained}
본 발명은 마이크로스피어가 함유된 코팅재를 이용한 차열 방수 공법(마이크로스피어 차열 복합 방수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도층 및 상도층 사이에 섬유시트를 배치하고 이를 통해 공기층이 형성됨으로 인해 코팅대상으로부터 발생하는 균열이나 들뜸이 상도층까지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마이크로스피어가 함유된 코팅재를 이용한 차열 방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수페인트라 함은 건축물의 옥상, 지하 주차장 또는 기타 방수를 필요로 하는 노면의 표면에 도포하여 방수기능을 제공받기 위해 사용한다. 이러한 방수페인트는 도포 후 짧게는 3년, 길어도 5 내지 7년이면 주기적으로 덧칠을 하듯 도포를 해주어야만 방수 기능이 제대로 유지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유지, 보수에 있어 번거로움과 비용에 대한 부담감이 존재한다. 특히 방수페인트를 도포한 후 페인트가 건축물의 표면과 완전한 접착 및 고착이 되지 않아 들뜸 현상이 발생하거나, 탈색 및 도포 부위의 갈라짐으로 인해 유지, 보수하는 주기가 훨씬 더 앞당겨지기도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수페인트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212566호 유황을 함유하는 친환경성 방수페인트 조성물'과 같이 우레탄 수지, 합성제올라이트, 파라핀왁스, 유황, 자수정, 분산제 및 소포제를 함유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제10-2011-0057316호 탄성 방수제, 탄성 방수 페인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있는데, 방수용 바인더, 안료, 음이온 발생제 및 항균제를 포함한 조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방수페인트가 사용되는 옥상이나 건물의 벽면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건물의 착공 시기, 콘크리트의 배합, 시공 방법, 구조체 형식 등에 의해 콘크리트가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과정에서서도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할 경우 종래의 방수페인트로 코팅을 하여도 균열 사이에는 방수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도층 및 상도층 사이에 섬유시트를 배치하고 이를 통해 공기층이 형성됨으로 인해 코팅대상으로부터 발생하는 균열이나 들뜸이 상도층까지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마이크로스피어가 함유된 코팅재를 이용한 차열 방수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마이크로스피어가 함유된 중도재 및 상도재를 이용하여 중도층 및 상도층을 형성함에 의해 방수효과, 자외선 반사효과, 온도에 따른 수축 및 팽창 정도 감소효과 및 에너지 절감효과를 보이는 마이크로스피어가 함유된 코팅재를 이용한 차열 방수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코팅대상에 다공성 세라믹 원료가 포함된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마이크로스피어,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다공성 세라믹 원료, 물,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중도재를 도포하여 중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0.1 내지 0.2mm의 두께를 갖는 섬유시트의 테두리에 중도재를 형성하고, 상기 중도층의 상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섬유시트의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중도재가 상기 중도층을 향하도록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섬유시트 상부에 마이크로스피어,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다공성 세라믹 원료, 물,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상도재를 도포하여 상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피어가 함유된 코팅재를 이용한 차열 방수 공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라이머는, 다공성 세라믹 원료 22 내지 26중량부, 합성 고무 8 내지 12중량부, 바인더 3 내지 7중량부, 물 59 내지 63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도재는, 상기 플리아크릴레이트 수지 40 내지 50중량부, 상기 마이크로스피어 50 내지 60중량부로 이루어진 상기 수지혼합물 75 내지 80중량부, 상기 다공성 세라믹 원료 5 내지 15중량부, 상기 물 10 내지 30중량부, 상기 이산화티타늄 0.01 내지 1중량부, 상기 산화아연 0.01 내지 1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도재는, 상기 플리아크릴레이트 수지 50 내지 60중량부, 상기 마이크로스피어 40 내지 50중량부로 이루어진 상기 수지혼합물 60 내지 70중량부, 상기 다공성 세라믹 원료 10 내지 20중량부, 상기 물 10 내지 30중량부, 상기 이산화티타늄 0.01 내지 1중량부, 상기 산화아연 0.01 내지 1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층은 0.1 내지 1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중도층 및 상도층 사이에 섬유시트를 배치하고 이를 통해 공기층이 형성됨으로 인해 코팅대상으로부터 발생하는 균열이나 들뜸이 상도층까지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스피어가 함유된 중도재 및 상도재를 이용하여 중도층 및 상도층을 형성함에 의해 방수효과, 자외선 반사효과, 온도에 따른 수축 및 팽창 정도 감소효과 및 에너지 절감효과를 보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피어가 함유된 코팅재를 이용한 차열 방수 공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코팅대상에 적층 코팅된 프라이머층, 중도층, 섬유시트 및 상도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피어가 함유된 코팅재를 이용한 차열 방수 공법(마이크로스피어 차열 복합 방수 공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코팅대상(10)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100)을 형성한다(S1).
코팅대상(10)은 방수 기능을 필요로 하는 옥상, 벽면 등을 의미하며, 여기에 방수 코팅을 위해 먼저 프라이머(primer, 100)를 도포한다. 코팅대상(10)에 불순물이 부착되어 있을 경우 이 상태에서 그대로 코팅이 수행되면 불순물이 그대로 붙은 상태가 되어 균일한 코팅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고, 불순물이 부착된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추후에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코팅대상(10)에 프라이머를 도포하기 전에 코팅대상을 깨끗히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깨끗히 세척된 코팅대상(10)에 물기가 존재하지 않도록 완전히 건조한 후, 코팅대상(10)에 프라이머를 도포한다. 프라이머는 Fix Plus로도 알려져 있는데, 추 후에 방수 코팅이 코팅대상(10)에 원활하게 코팅되도록 전처리를 위해 사용된다. 프라이머가 도포될 경우 후에 방수 코팅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며 코팅대상(10)에 부착력이 증가하는 등 다양한 이점이 있기 때문에 추 후에 코팅되는 코팅층의 들뜸 현상이나 갈라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프라이머의 성분으로는 다공성 세라믹 원료 22 내지 26중량부, 합성고무 8 내지 12중량부, 바인더 3 내지 7중량부, 물 59 내지 63중량부로 이루어진다.
다공성 세라믹 원료는 세라믹(ceramics) 소재에 미세기공이 형성된 것을 의미하며, 다른 소재들에 비해 강성을 띄기 때문에 우박, 폭풍 등으로부터 코팅대상에 들뜸이나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코팅대상(10)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빗물에 의한 수분을 코팅대상(10) 내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이다. 이러한 다공성 세라믹 원료가 22중량부 미만일 경우 코팅대상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완벽히 방지하기가 힘들며, 26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다공성 세라믹 원료의 함량이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점성이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해 균일한 코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합성 고무 및 바인더(binder)는 프라이머의 원료인 다공성 세라믹 원료가 코팅대상에 도포된 후 코팅대상(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코팅대상(10)과 다공성 세라믹 원료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합성 고무가 8중량부 미만일 경우 다공성 세라믹 원료가 코팅대상으로부터 떨어질 우려가 있으며, 12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다공성 세라믹 원료와 균일한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바인더가 3중량부 미만일 경우 코팅대상(10)과 다공성 세라믹 원료 간에 접착력이 낮아지며, 7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프라이머의 균일한 코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원하지 않게 두꺼운 코팅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는 환경 오염을 방지하도록 친수성 프라이머를 사용하는데, 따라서 프라이머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물에 성분들이 분산된다. 여기서 물은 59 내지 63중량부 포함되는데, 물이 59중량부 미만일 경우 프라이머의 점도가 높아져 원하는 두께로 코팅을 조절하기 힘들며, 63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프라이머의 점도가 낮아져 원하는 두께가 될 때까지 여러 번 코팅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코팅대상(10)에 코팅을 할 경우 한 번 도포하는 것보다 여러 번 도포하여 프라이머의 역할이 제대로 발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프라이머를 한번 코팅한 후 1 내지 2시간 후에 재코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여러 번 반복 코팅을 통해 코팅대상(10)의 상부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한다.
프라이머층(100)의 상부에 중도재를 도포하여 중도층(200)을 형성한다(S2).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이를 완전히 건조하여 형성된 프라이머층(100)의 상부에 중도재를 도포하여 중도층(200)을 형성한다. 여기서 중도재는 thermo active를 의미한다.
중도층(200)의 하부에 형성된 프라이머층(100)에 의해 중도재는 균일하게 도포되며, 도포된 상태에서 흘러내리지 않고 부착력이 우수하게 코팅된다. 이러한 중도층(200)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도재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40 내지 50중량부, 마이크로스피어 50 내지 60중량부로 이루어진 수지혼합물, 다공성 세라믹 원료, 물,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수지혼합물은 75 내지 80중량부, 다공성 세라믹은 5 내지 15중량부, 물은 10 내지 30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이산화티타늄은 0.01 내지 1중량부, 산화아연은 0.01 내지 1중량부를 혼합하여 중도재를 얻는다.
수지혼합물에 포함된 마이크로스피어(microsphere)는 두 층의 막으로 이루어진 0.02 내지 0.12mm의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입자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유기성분을 이용하여 합성된다. 이러한 마이크로스피어는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비닐아미드(polyvinyl amide),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및 이의 혼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성분은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성분을 통해 제조 가능하다.
마이크로스피어가 포함됨에 의해 중도재는 인장력과 자외선 반사기능을 갖게 된다. 마이크로스피어가 중도재에 포함될 경우 자외선을 대부분 차단할 수 있으며, 코팅대상(10)에 에너지가 축적되는 것을 막아 동, 하절기에 코팅대상(10)의 수축 및 팽창을 감소시킨다. 마이크로스피어가 자외선을 차단할 경우 자외선에 의한 변색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코팅대상(10)의 수명 연장이 가능하며 냉난방에 있어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다.
코팅대상(10)의 수축 및 팽창을 감소시키는 원리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하절기 주간에 태양에 의해 태양광이 코팅대상(10)에 노출되면 마이크로스피어를 포함하는 중도층(200)에 저장된 수분이 증발하고, 이에 의해 열이 방출되어 코팅대상(10)이 냉각된다. 이 상태에서 야간에는 외부의 온도가 하락하게 되고 가열된 복사열이 분출된다. 이때 다량의 미세 수분이 형성되는 데 이 미세 수분은 중도층(200)에 저장되어 다음날 태양열에 의해 다시 수분이 방출된다. 이러한 단계로 인해 외부에 중도층(200)이 형성될 경우 균일한 실내 습도가 유지되며, 습도 증발에 의해 더운 하절기에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냉방에 따른 에너지 절감 효과가 나타난다. 특히 태양열에 의한 코팅대상(10)의 수축 및 팽창이 수분의 흡수 및 방출에 의해 그 정도가 감소된다.
동절기의 경우 태양광이 코팅대상(10)에 비추면 태양열을 흡수하고 흡수된 태양열이 중도층(200)에 저장되어 난방효과가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실내 온도가 따뜻하게 유지되어 난방 에너지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마이크로스피어는 수지혼합물 100중량부 중 50 내지 60중량부를 포함한다. 마이크로스피어가 50중량부 미만일 경우 태양열을 차단하기 적합하지 못하며, 6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마이크로스피어의 함량이 많아 페인트 조성물이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을 수 있다.
수지혼합물 중 마이크로스피어와 함께 함유되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는 뛰어난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중도재가 갈라지거나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미리 갈라진 상태의 코팅대상(10)에 중도재를 도포할 경우 갈라진 부분을 덮어주며 갈라짐으로 인한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이나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도막을 형성하며, 코팅시 물이 고인 공간에도 방수효과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는 높은 부착력을 가지며, 자외선을 보호하는 기능이 있다. 이러한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는 수지혼합물 100중량부 중 40 내지 50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가 40중량부 미만일 경우 코팅대상(10)과 높은 부착력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5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그만큼 마이크로스피어의 함유량이 줄어들어 태양열 차단 효과가 줄어들게 된다.
다공성 세라믹 원료는 프라이머에 사용되는 원료와 동일한 원료를 사용하며 이에 의해 나타나는 효과 또한 동일한다. 여기서 다공성 세라믹 원료는 5 내지 15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다공성 세라믹 원료가 5중량부 미만일 경우 코팅대상(10)에 크랙이 생기는 것을 완벽히 방지하기가 힘들며, 1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다공성 세라믹 원료의 함량이 증가하여 밀도가 증가하며 균일한 코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중도재는 프라이머와 마찬가지로 환경 오염을 방지하도록 친수성을 사용하는데, 따라서 중도재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물에 성분들이 분산된다. 여기서 물은 10 내지 30중량부 포함되는데, 물이 10중량부 미만일 경우 중도재의 점도가 높아져 원하는 두께로 코팅을 조절하기 힘들며, 3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중도재의 점도가 낮아져 원하는 두께가 될 때까지 여러 번 코팅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중도재에 포함되는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아연은 안료(pigment)이며, 친환경에 인체에 무해한 원료이다. 이러한 안료는 자외선 저항력이 높으며 특히 환경에 의한 자연적 분해의 저항성 또한 높아 분해되지 않고 안정한 상태로 존재한다. 또한 화염에 대한 저항력이 높다는 장점도 있다.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아연은 각각 0.01 내지 1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각각이 0.01중량부 미만 포함될 경우 자외선 저항 효과가 미미하며, 1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초과 혼합에 대한 효과가 급격히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안료가 낭비되는 단점이 있다.
중도층(200)의 상부에 공기층(400)이 형성되도록 섬유시트(300)를 적층한다(S3).
코팅대상(10)에 균열이나 들뜸이 생기더라도 외부에 코팅 형성되는 코팅층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중도층(200)의 상부에 섬유시트(300)를 이격 공간이 생기도록 적층한다. 중도층(200)과 섬유시트(300)가 접촉된 상태로 적층될 경우 코팅대상(10)으로부터 발생한 균열이 프라이머층(100)과 중도층(200)을 타고 섬유시트(300)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중도층(200)과 섬유시트(300)가 이격 공간이 존재하도록 적층할 경우 중도층(200)까지 균열이나 들뜸이 발생하더라도 섬유시트(300)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중도층(200) 상부와 섬유시트(300)가 이격되기 위해 섬유시트(300)의 테두리에 중도재를 코팅한 후 코팅된 영역이 중도층(200) 방향을 향하도록 적층한다. 이때 섬유시트(300)는 가로 90 내지 110cm, 세로 90 내지 110cm인 것을 사용하며, 섬유시트(300)의 테두리에 코팅되는 중도재는 섬유시트(300)의 외표면으로부터 중앙영역으로 약 10cm 이격되는 위치까지 코팅된다. 이와 같이 테두리에 중도재가 형성된 섬유시트(300)를 중도층(200)에 적층하게 되면 약 100cm의 가로를 가진 섬유시트(300)에서 양쪽 테두리 총 20cm를 제외한 80cm 정도의 이격된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이는 섬유시트(300)의 세로측도 동일하다. 중도층(200)과 섬유시트(300) 사이에 이격 공간에는 공기가 모인 공기층(400)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균열이나 갈라짐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중도재는 방수기능을 갖기 때문에 공기층(400)에 수분이 침투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섬유시트(300)의 가로 및 세로 길이가 각각 90cm 미만일 경우 총 시공 면적에 대해 시공해야하는 섬유시트(300)의 개수가 증가하여 작업자가 번거로울 수 있으며, 110cm를 초과할 경우 중력에 의해 섬유시트(300)의 중앙영역이 중도층(200)과 이격되지 않고 접촉할 우려가 있다. 또한 섬유시트(300)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중도재는 9 내지 11cm인 것이 바람직한데, 9cm 미만일 경우 섬유시트(300)가 중도층(200)에 견고하게 적층되지 않고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11cm를 초과할 경우 사용되는 중도재 양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중앙에 공기층(400)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게 된다.
섬유시트(300)의 두께는 0.1 내지 0.2mm인 초박막 섬유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시트(300)가 0.1mm 미만의 두께를 가질 경우 추후에 섬유시트(3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도층(500)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중도층(200) 방향으로 붙어 공기층 영역이 줄어들거나 두께가 너무 얇아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0.2mm를 초과할 경우 섬유시트(300) 자체 가격이 증가하여 시공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섬유시트(300)의 들뜸 현상으로 인해 방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중도재와 상도재 사이에 섬유시트(300)가 형성되면 종래에 코팅층의 얇은 두께로 인하여 내구성이 낮다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공기층(400)이 0.1 내지 1mm가 형성되도록 테두리에 형성되는 중도재는 0.1 내지 1mm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층(400)이 0.1mm 미만일 경우 중도재가 갈라지거나 들뜨면서 섬유시트(300)와 접촉하여 섬유시트(300)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1mm를 초과할 경우 중도재와 섬유시트(300) 간 거리가 넓어 섬유시트(300)가 중도재로부터 이탈할 우려가 있다.
섬유시트(300)의 상부에 상도재를 도포하여 상도층(500)을 형성한다(S4).
적층된 섬유시트의 상부에 상도재를 도포하여 일부는 섬유시트 사이에 침투하고 일부는 섬유시트 상부에 배치되어 상도층을 형성한다. 이때 상도층은 상도재를 스프레이, 롤러 또는 붓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같은 방법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상도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도재는 중도재와 동일한 성분을 통해 제조되나 성분비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상도재는 thermo protect로도 불리며,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50 내지 60중량부, 마이크로스피어 40 내지 50중량부로 이루어진 수지혼합물, 다공성 세라믹 원료, 물,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수지혼합물은 60 내지 70중량부, 다공성 세라믹은 10 내지 20중량부, 물은 10 내지 30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이산화티타늄은 0.01 내지 1중량부, 산화아연은 0.01 내지 1중량부를 혼합하여 상도재를 얻는다.
상도재는 중도재와 동일한 성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성분 함유에 따른 효과는 거의 동일하다. 하지만 성분비율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는데, 중도재에 비해 상도재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의 함량이 많으며, 마이크로스피어의 함량은 적다. 상도재의 경우 코팅대상에 적층되는 코팅층 중 최외곽에 형성되기 때문에 다른 코팅층에 비해 우수한 방수성 및 신축성을 지녀야 한다. 따라서 방수성 및 신축성을 우수하도록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의 함량을 증가시키며, 이에 따라 마이크로스피어의 함량을 감소시킨다.
상도재는 특히 일부가 섬유시트에 침투하기 때문에 더욱 견고하게 코팅되며, 프라이머층 및 중도층에 균열이 발생하더라도 공기층에 의해 상도층까지 영향이 미치지 않아 내부의 갈라짐이 노출되지 않고 이에 의해 외관이 미려해진다. 또한 상도재가 섬유시트에 스며듦으로써 일정한 두께와 상도재의 양을 유지할 수 있으며, 기존 코팅대상 상부에 바로 코팅층을 형성할 때에는 코팅층 두께를 증가시키는 데 한계가 있었지만 본 발명과 같이 코팅층을 형성할 경우 기존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이룰 수 있다.
10: 코팅대상
100: 프라이머층
200: 중도층
300: 섬유시트
400: 공기층
500: 상도층

Claims (5)

  1. 마이크로스피어가 함유된 코팅재를 이용한 차열 방수 공법에 있어서,
    코팅대상에 다공성 세라믹 원료가 포함된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마이크로스피어,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다공성 세라믹 원료, 물,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중도재를 도포하여 중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0.1 내지 0.2mm의 두께를 갖는 섬유시트의 테두리에 중도재를 형성하고, 상기 중도층의 상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섬유시트의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중도재가 상기 중도층을 향하도록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섬유시트 상부에 마이크로스피어,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다공성 세라믹 원료, 물,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상도재를 도포하여 상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피어가 함유된 코팅재를 이용한 차열 방수 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는,
    다공성 세라믹 원료 22 내지 26중량부, 합성 고무 8 내지 12중량부, 바인더 3 내지 7중량부, 물 59 내지 63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피어가 함유된 코팅재를 이용한 차열 방수 공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도재는,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40 내지 50중량부, 상기 마이크로스피어 50 내지 60중량부로 이루어진 상기 수지혼합물 75 내지 80중량부, 상기 다공성 세라믹 원료 5 내지 15중량부, 상기 물 10 내지 30중량부, 상기 이산화티타늄 0.01 내지 1중량부, 상기 산화아연 0.01 내지 1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피어가 함유된 코팅재를 이용한 차열 방수 공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도재는,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50 내지 60중량부, 상기 마이크로스피어 40 내지 50중량부로 이루어진 상기 수지혼합물 60 내지 70중량부, 상기 다공성 세라믹 원료 10 내지 20중량부, 상기 물 10 내지 30중량부, 상기 이산화티타늄 0.01 내지 1중량부, 상기 산화아연 0.01 내지 1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피어가 함유된 코팅재를 이용한 차열 방수 공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층은 0.1 내지 1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피어가 함유된 코팅재를 이용한 차열 방수 공법.
KR1020150181701A 2015-12-18 2015-12-18 마이크로스피어가 함유된 코팅재를 이용한 차열 방수 공법 KR101623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701A KR101623567B1 (ko) 2015-12-18 2015-12-18 마이크로스피어가 함유된 코팅재를 이용한 차열 방수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701A KR101623567B1 (ko) 2015-12-18 2015-12-18 마이크로스피어가 함유된 코팅재를 이용한 차열 방수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567B1 true KR101623567B1 (ko) 2016-06-07

Family

ID=56193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701A KR101623567B1 (ko) 2015-12-18 2015-12-18 마이크로스피어가 함유된 코팅재를 이용한 차열 방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5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7885A (zh) * 2018-12-29 2019-04-16 深圳市纳能科技有限公司 一种热反射涂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052162B1 (ko) * 2019-05-31 2019-12-04 대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노면 포장용 차열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열성 도료 시공 방법
KR20210099845A (ko) * 2020-02-05 2021-08-13 박지현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0592A (ko) * 2004-07-28 2006-02-02 정필호 단열 및 방수층 시공방법
KR101289336B1 (ko) * 2012-11-07 2013-07-29 이에이바이오스 주식회사 건축 구조물 도색 방법
KR20140128617A (ko) * 2013-04-29 2014-11-06 김재환 공기층 단열을 이용한 복합·복층·단열방수공법
KR101479531B1 (ko) * 2014-04-28 2015-01-07 송병창 점착성 방수재와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방수패널을 이용한 입체형 복합 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0592A (ko) * 2004-07-28 2006-02-02 정필호 단열 및 방수층 시공방법
KR101289336B1 (ko) * 2012-11-07 2013-07-29 이에이바이오스 주식회사 건축 구조물 도색 방법
KR20140128617A (ko) * 2013-04-29 2014-11-06 김재환 공기층 단열을 이용한 복합·복층·단열방수공법
KR101479531B1 (ko) * 2014-04-28 2015-01-07 송병창 점착성 방수재와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방수패널을 이용한 입체형 복합 방수공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7885A (zh) * 2018-12-29 2019-04-16 深圳市纳能科技有限公司 一种热反射涂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052162B1 (ko) * 2019-05-31 2019-12-04 대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노면 포장용 차열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열성 도료 시공 방법
KR20210099845A (ko) * 2020-02-05 2021-08-13 박지현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
KR102391241B1 (ko) * 2020-02-05 2022-04-27 박지현 아파트 외단열 및 열반사를 위한 도장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115B1 (ko) 노출형 옥상지붕의 단열차열방수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단열차열방수 도료조성물
KR10114809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차열방수공법
KR101623567B1 (ko) 마이크로스피어가 함유된 코팅재를 이용한 차열 방수 공법
US20120288678A1 (en) Building construction material with high solar reflectivity
JP5171473B2 (ja) 建築用遮熱性透湿防水シート
KR102207388B1 (ko) 옥상 또는 지붕용 수성 차열성 방수 도료를 사용한 차열성 방수 도장 방법
KR20190090957A (ko) 옥상 또는 지붕용 2-코트형 수성 차열성 방수 도료, 이를 사용한 2층 구조의 차열성 방수 도장 방법, 및 그에 따른 2층 구조의 차열성 방수 도막
US20230272617A1 (en) Roofing materials with synthetic roofing granule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JP2007145989A (ja) 塗料組成物
KR101278545B1 (ko)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보수 방법
JP2006232650A (ja) 多孔質構造軽量セラミックス、抗菌多孔質構造軽量セラミックス、止水防水多孔質構造軽量セラミックス、防水多孔質構造軽量セラミックス、融雪多孔質構造軽量セラミックス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964971A (zh) 一种改良型反射隔热涂料
KR101222875B1 (ko) 방수 도막 및 방수 도막 시공 방법
US20030148092A1 (en) Brushable paint and method of coating a wall of a structure
JP4604245B2 (ja) 建築物の表装仕上げ構造および表装仕上げ層の形成方法
CN103450729A (zh) 一种智能控温复合涂层
KR20220079233A (ko) 옥상용 무기질 탄성 침투 방수제 제조 방법
KR102119478B1 (ko) 건물 옥상면 반사차열공법 및 상기 공법에 의한 반사차열 적층체
KR101289336B1 (ko) 건축 구조물 도색 방법
CN205046766U (zh) 平涂隔热涂料涂层结构
CN205314271U (zh) 一种保温防腐涂层
KR102551193B1 (ko) 온도에 따라 색상을 변환시켜 가시광선 흡수율을 조절하는 기능성 차열 페인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차열성 도막
CA2876781C (en) Flake having multilayer coatings with optical and thermal properties
KR102305712B1 (ko) 인장력 및 열 차단 성능이 우수한 차열 방수 도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시공 방법
CZ2011166A3 (cs) Sendvicová hydroizol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