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144B1 - 연결작업이 편리하고 연결상태가 견고한 잔디 보호매트 - Google Patents

연결작업이 편리하고 연결상태가 견고한 잔디 보호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144B1
KR102391144B1 KR1020200127996A KR20200127996A KR102391144B1 KR 102391144 B1 KR102391144 B1 KR 102391144B1 KR 1020200127996 A KR1020200127996 A KR 1020200127996A KR 20200127996 A KR20200127996 A KR 20200127996A KR 102391144 B1 KR102391144 B1 KR 102391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hook
connection
hole
protection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5580A (ko
Inventor
김용봉
김경빈
김신
김완
Original Assignee
김용봉
김경빈
김신
김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봉, 김경빈, 김신, 김완 filed Critical 김용봉
Priority to KR1020200127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144B1/ko
Publication of KR20220045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디 보호매트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잔디가 위치하는 생육공간을 형성하면서 연이어 연결되어 구성되는 바디부, 바디부의 외곽으로 연결되어 매트와 같은 사각형의 모양을 가지는 외곽프레임, 외곽프레임의 외측면인 4면에 연결고리와 연결구멍이 짝을 지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두개 이상의 잔디 보호매트를 연결하는데 있어서 외측면에 연결고리와 연결구멍이 짝을 이뤄 위치해 있어 방향에 상관없이 연결이 가능하며, 연결고리와 연결구멍을 서로 마주보게 위치시켜 어느 한쪽을 밀어넣어 끼워맞추는 방식으로 시공에 대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연결작업이 편리하고 연결상태가 견고한 잔디 보호매트{Grass protection mat for easy connection and strong connection}
본 발명은 골프장, 잔디구장, 공원잔디밭 등에서 잔디 보호를 위하여 사용되는 잔디 보호매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정방향과 역방향의 구분없이 어느 방향으로든 연결 가능하여 보호 매트의 교체 및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켜주며,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면서 연결 및 분리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개선되며, 아울러 수축과 팽창에도 잘 대응하도록 연결구성이 개선된 잔디 보호매트에 관한 것이다.
골프장, 잔디구장, 공원잔디밭 등과 같은 잔디의 생육 지역에서 잔디는 사람 또는 차량 등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밟히면서 손상되기 때문에 잔디를 보수하기 위하여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
이로 인해, 잔디 생육 지역 중에서 사람이나 차량 등이 이동하는 동선지역에는 잔디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잔디 보호매트가 시공되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0720호와 같은 기술발명이 게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잔디 보호매트는 인접한 잔디 보호매트 간의 연결이 용이하되, 사람이나 차량의 하중에 의한 함몰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생육공간을 포함하는 바디부, 바디부를 포함하여 외곽을 이루는 외곽프레임을 기본으로 포함하고 있다.
또한, 사각형 모양으로 4면을 가지는 외곽프레임에는 잔디 보호매트간의 연결이 가능하게 하는 연결수단을 갖는데, 그 예로는 ㄱ자로 형성되는 2면에는 연결구멍을 형성하고 나머지 2면에는 연결구멍과 체결되게 하는 연결 돌부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퍼즐을 맞추듯이 일측 매트의 연결구멍에 다른 매트의 연결 돌부를 위에서 아래로 힘을 주어 눌러서 연결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만큼 계속해서 확장해 나가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잔디 보호매트를 연결하는 방식은 시공하는 장소의 지면이 고르지 않거나 ?좋? 또는 늪지와 같이 무른 경우에는 잔디 보호매트의 바닥을 지지하는 힘의 불균형으로 인해 어느 한쪽이 위로 올라오거나 아래로 꺼지게 되어 매트 간의 연결이 어렵고 올바르게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 위에서 아래로 눌러 결합하는 방식이므로 지면이 불규칙함으로 인한 상하 유동이 생겨 분리되기 쉬우므로 강한 결합력이 필요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고, 이에 따라 연결구멍과 연결 돌부를 억지끼움으로 결합하도록 설계함에 의해 설치작업시 손으로는 결합이 어렵고 망치로 때려가면서 결합작업을 하여야 하는 어려운 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잔디 보호매트는 도 1a와 같이 외곽의 4면 중에서 접하고 있는 2면에는 연결고리(101)가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2면에는 연결고리(101)가 고정되는 연결구멍(102)이 형성되는 것으로, 연결을 할 때 처음에 놓인 잔디 보호매트의 연결고리(101)와 연결구멍(102)의 방향을 동일하게 정렬시켜 연결해야 도 1b와 같이 사각형의 모양을 가지면서 올바르게 확장이 가능하나, 동일한 방향이 아닌 잘못된 방향으로 연결하게 되면 도 1c와 같이 잔디 보호매트간의 연결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도 1d처럼 계속해서 연결하면서 확장을 해나가는 중에 하나 이상의 잔디 보호매트를 잘못 연결하는 경우에는 연결이 불가능한 여백의 공간이 남게 되어 잘못 연결된 보호매트 전체를 분리한 후 다시 조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잔디 보호매트들은 여름철과 겨울철의 온도차이에 의한 수축과 팽창에 대비한 구성으로 잔디 보호매트의 중간에 신축을 위한 ∩형의 신축연결부를 구성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경우 신축연결부를 별도로 구성하기 위한 설계와 금형제작 등 많은 어려움이 있고, 신축연결부에 의하여 전체적인 잔디 보호매트의 디자인이 훼손되는 등의 문제가 뒤따랐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072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써, 잔디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잔디 보호매트에 있어서 설치 장소와 상관없이 설치 또는 연결이 간단하고 방향의 구분없이 확장 및 연결이 가능한 잔디 보호매트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결합상태가 견고하여 지면의 불규칙에도 분리되는 경우가 없으며, 연결과 분리 작업이 편리하고 신속한 보호 매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온도차에 의한 신축을 위한 구성을 별도의 부위에 따로 구성하지 않고 잔디 보호매트 간의 연결부 구성에 포함되도록 하여 간단하고 효율적인 수축팽창 기능을 갖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잔디 보호매트는, 잔디가 위치하는 생육공간을 가지며 연이어 연결되어 구성되는 바디부, 바디부의 외곽으로 연결되어 매트와 같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외곽프레임을 포함하는 잔디 보호매트에 있어서, 외곽프레임의 외측면에는 각 면에 돌출되는 형태의 연결수단과 돌출되는 형태의 연결수단을 수용하는 연결수단이 짝을 지어 형성되도록 하면서, 각 반대되는 위치에 있는 연결수단의 한쪽은 돌출되는 형태의 연결수단이고 다른 쪽은 돌출되는 형태의 연결수단을 수용하는 연결수단이 되도록 구성하여 보호 매트가 다른 보호매트와 마주보면 보호 매트의 방향에 상관없이 어느 방향에서나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잔디 보호매트에 있어서 연결고리와 연결구멍을 서로 마주보게 위치시켜 어느 한쪽을 밀어 넣어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잔디 보호매트를 연결토록 하여 편리하고 신속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나아가 연결고리와 연결구멍은 결합시에 부드럽게 밀어 넣으면 결합이 가능하고 분리시에는 힘을 주어야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연결고리에 결합되는 연결구멍은 길이가 긴 장공 형태로 구성하여 원형의 연결고리와 장공형의 연결구멍의 결합에 의해 수축과 팽창의 변화를 수용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잔디 보호매트의 연결구조를 제공함으로써, 2개 이상의 잔디 보호매트를 마주보게 한 뒤 측면에서 밀어서 끼워넣는 방식을 사용하여 설치되는 장소의 지반이 고르지 않거나 무른 상태여도 무리없이 설치 및 연결이 가능하고, 4면 전체에 연결고리와 연결구멍이 짝을 이뤄서 한쌍씩 형성되어 있어 방향의 구분없이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하여 시공에 대한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연결을 위한 결합작업과 분리 작업이 쉽고 신속하면서 편리하며, 결합된 상태도 견고하게 유지되어 유지보수에도 장점이 있으며, 신축과 팽창을 위한 구성이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잔디 보호매트 간의 연결구성에 포함하여 외관이 단정하면서 효과적인 수축 팽창 기능을 갖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종래의 잔디 보호매트 평면도
도 1b는 종래의 잔디 보호매트가 올바르게 연결된 평면도
도 1c는 종래의 잔디 보호매트가 잘못 연결된 평면도
도 1d는 종래의 잔디 보호매트가 잘못 연결된 또 다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결구조를 포함하는 잔디 보호매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구조 연결고리와 연결구멍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구조 연결고리와 연결구멍의 측면도
도 6a, 6b는 본 발명 연결구조의 체결과정 상태도
도 7a, 7b는 본 발명 연결구조의 분리과정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연결구조 체결이 완료된 상태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은 잔디 보호매트의 연결구조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은 본 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기재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잔디 보호매트(1)는 잔디가 위치하게 되는 생육공간(2-1)을 가지는 다각형 모양의 바디부(2), 바디부(2)의 외곽으로 연결되어 매트와 같은 사각형의 모양을 가지는 외곽프레임(3), 외곽프레임(3)의 외측면인 4면에는 잔디 보호매트(1) 간의 연결을 위하여 연결고리(10)와 고리 수용부(20)가 하나의 짝을 이루어 각각의 면에 위치하며, 각면의 연결고리(10)와 고리 수용부(20)는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연결고리(10)는 돌출되어 고리 수용부(20)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걸림이 발생하여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외곽프레임(3)의 외측면에 짝을 이루어 위치하는 연결고리(10)와 고리 수용부(20)에 있어서, 연결고리(10)는 외곽프레임(3)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양측면이 오목하게 원호의 모양을 가지고 내측에는 장공 형태의 고리구멍(12-1)을 가지는 몸체(12)로 형성되고, 돌출된 몸체(12)의 끝단부에는 소정의 각도와 원호의 모양을 가지는 경사면(11-1)을 가지는 머리(11)를 포함한다.
상기 고리 수용부(20)는 외곽프레임(3)의 두께가 아래로 굴절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높이로 복귀하는 형태로 연결고리(10)의 하부와 맞닿아 받쳐주는 폭을 가진 받침부(23)를 구성하고, 받침부(23) 옆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대(21-1)와 지지대(21-1)의 상단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며 돌출되는 방향의 끝단부가 반구의 모양을 가지는 후크(21)를 구성하며, 받침부(23)와 후크(21)의 상단에 위치하며 아래에 위치한 후크(21)를 육안으로 확인가능하게 하는 개방부(22-1)를 가지는 덮개(22), 받침부(23)와 덮개(22)의 사이에 연결고리(10)가 진입하여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통로(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크(21)는 고리구멍(12-1)의 폭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으로 구성되어 고리구멍(12-1)에 결합시 고리구멍(12-1)의 길이 방향은 물론 그 직각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있는 여유를 가진다.
상기 받침부(23) 상면과 덮개(22)의 저면 사이 공간은 연결고리(10)가 진입할 수 있는 높이의 연결통로(24)가 되고 연결고리(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여유를 갖는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잔디 보호매트의 연결방법과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잔디 보호매트는 각각의 일 면에 연결고리(10)와 고리 수용부(20)가 동일한 위치 형성되어 있어서 서로 간에 결합시 방향성 없이 어느 방향으로든 밀착시켜면 연결고리(10)와 고리 수용부(20)가 마주보게 되어 결합이 편리해진다.
도 5처럼 연결하고자 하는 두개의 잔디 보호매트(1)에 있어서 연결고리(10)와 고리 수용부(20)를 서로 마주보게 배치한다.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는 잔디 보호매트(1)에서 도 6a와 같이 연결고리(10)를 고리 수용부(20)가 위치한 방향으로 밀어 넣어 도 6b와 같이 연결 시킨다.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고리(10)가 연결통로(24)를 통하여 고리 수용부(20)로 진입하게 되는데, 이때 머리(11)가 먼저 진입하여 후크(21)로 접근해 맞닿게 되고 힘을 계속 줘서 밀어넣게 되면 머리(11)의 경사면(11-1)으로 인해 후크(21)를 쉽게 밀어젖힘과 동시에 후크(21)는 재료 본연의 탄성으로 인하여 소정의 각도로 꺾이게 되면서 연결고리(10)가 계속해서 진입하게 되고, 받침대(23-1)에 맞닿아 있는 상태로 움직이는 연결고리(10)가 더욱 진입하여 고리구멍(12-1)이 후크(21)에 도달하면 휘어져 있던 후크(21)가 고리구멍(12-1)에 삽입되면서 연결된다.
상기 연결고리(10)가 고리 수용부(20)의 연결과정은 후크(21) 상단에 위치한 덮개(22)의 개방부(22-1)을 통해서 확인이 가능하여 올바르게 연결되는지를 볼 수 있다.
또한, 후크(21)가 고리구멍(12-1)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면 아래로는 지지대(21-1)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고 위로는 덮개(22)가 연결고리(10)의 일부를 덮어 위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 분리되는 것을 막아준다.
분리를 할 때는 도 7a 및 7b와 같은데, 일측 연결고리(10)가 당겨지면 고리구멍(12-1)에 후크(21)가 걸려 1차적인 이탈이 방지되고, 후크(21)는 연결고리(10)가 진입할 때는 쉽게 젖혀지는 구조이지만 반대로 이탈할 때는 많이 젖혀지지 못하므로 곧바로 연결고리(10)가 이탈하지 못하며, 더욱 강한 힘을 주면서 당기게 되면 연결고리(10)가 후크(21)의 위로 들리면서 개방부(22-1) 공간을 통하여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연결된 잔디 보호매트(1)는 도 8과 같이 후크(21)의 직경은 고리구멍(12-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받침대(23-1)에 받쳐있으며 연결통로(24)에 일부 진입하고 있는 몸체(12)도 연결통로(24)의 폭보다 작으며 고리구멍(12-1)이 장공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데, 이러한 이유는 잔디 보호매트(1)는 주로 야외의 환경에 쉽게 노출되는 곳에 설치됨에 따라 태양빛 등으로 인하여 온도가 상승하여 팽창됨에 따라 부피가 늘어나는등 변형이 발생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약간의 여유공간만큼 움직임이 가능하여 설치되는 장소의 상태에 따라 매트간의 간격 또는 높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연결고리(10)와 고리 수용부(20)가 결합된 상태를 보면, 연결고리(10)가 받침대(23)에 얹혀져 있으면서 좌우측으로도 받침대(23) 내에 지지되는 상태가 되고, 전후 방향으로는 후크에 고리구멍(12-1)이 걸린 상태로 고정이 되고 위로도 덮개(22)에 걸려 분리 또는 움직임이 방지되는 견고한 결합상태가 된다.
또한, 설치되는 장소가 늪지처럼 지면이 무른 상태에서는 종래의 매트가 위에서 아래로 힘을 줘서 연결하는 구조는 결합이 어려운 구조를 갖지만, 본원발명의 경우는 측면에서 밀어넣어 연결하는 구조로 연결이 간단하며, 연결고리와 연결구멍이 짝을 이루어서 외측면 4방향 모두에 형성되어 있어 잘못 연결하는 일이 없고 방향의 구분없이 원하는 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하여 추가 시공이 용이하다.
1: 잔디 보호매트
2: 바디부 2-1: 생육공간
3: 외곽프레임
10: 연결고리
11: 머리 11-1: 경사면
12: 몸체 12-1: 고리구멍
20: 고리 수용부
21: 후크 21-1: 지지대
22: 덮개 22-1: 개방부
23: 받침부
24: 연결통로
100: 잔디 보호매트
101: 연결고리
102: 연결구멍

Claims (3)

  1. 잔디가 위치하는 생육공간(2-1)을 형성하면서 연이어 연결되어 구성되는 바디부(2), 상기 바디부(2)의 외곽으로 연결되어 매트와 같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외곽프레임(3)으로 구성되고, 잔디 보호매트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은 외곽프레임의 외측면에 각 면에 돌출되는 형태의 연결수단과 돌출되는 형태의 연결수단을 수용하는 연결수단이 짝을 지어 형성되도록 하며, 각 반대되는 위치에 있는 연결수단은 한쪽은 돌출되는 형태의 연결수단이고 다른 쪽은 돌출되는 형태의 연결수단을 수용하는 연결수단이 되도록 구성되는 잔디 보호매트에 있어서,
    연결고리(10)는 고리 수용부(20)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걸림이 발생하여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외곽프레임(3)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내측에는 고리구멍(12-1)을 가지는 몸체(12)로 형성되고, 돌출된 몸체(12)의 끝단부에는 원호의 모양을 가지는 경사면(11-1)을 가지는 머리(11)를 포함하며,
    연결고리(10)를 수용하는 고리 수용부(20)는 외곽프레임(3)의 두께가 아래로 굴절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높이로 복귀하는 형태로 연결고리(10)의 하부와 맞닿아 받쳐주는 폭을 가진 받침부(23)를 구성하고, 받침부(23) 옆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대(21-1)와 지지대(21-1)의 상단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며 돌출되는 방향의 끝단부가 반구의 모양을 가지는 후크(21)를 구성하며,
    상기 연결고리(10)가 연결통로(24)를 통하여 고리 수용부(20)로 진입하게 되면, 머리(11)가 먼저 진입하여 후크(21)에 맞닿게 되고 힘을 계속 줘서 밀어넣게 되면 머리(11)의 경사면(11-1)으로 인해 후크(21)를 밀어젖힘과 동시에 후크(21)는 탄성으로 꺾이게 되면서 연결고리(10)가 계속해서 진입하게 되고, 이후 고리구멍(12-1)이 휘어져 있던 후크(21)에 도달하면 후크(21)가 복귀하면서 고리구멍에(12-1) 삽입되면서 연결되며,
    결합된 상태에서 후크(21)가 고리구멍(12-1)의 내측에 위치하면 아래로는 지지대(21-1)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고 위로는 덮개(22)가 연결고리(10)의 일부를 덮어 위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 분리되는 것을 막아주며, 연결고리(10)가 받침대(23)에 얹혀져 있으면서 좌우측으로도 받침대(23) 내에 지지되는 상태가 되고, 전후 방향으로는 후크에 고리구멍(12-1)이 걸린 상태로 고정이 되고 위로도 덮개(22)에 걸려 분리 또는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하며,
    분리를 할 때는 일측 연결고리(10)가 당겨지면 고리구멍(12-1)에 후크(21)가 걸려 1차적인 이탈이 방지되고, 더욱 강한 힘을 주면서 당기게 되면 연결고리(10)가 후크(21)의 위로 들리면서 개방부(22-1) 공간을 통하여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작업이 편리하고 연결상태가 견고한 잔디 보호매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연결고리에는 길이가 긴 장공형태의 고리구멍을 형성하고, 고리 수용부에는 고리구멍의 폭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원형의 후크가 구성되어 서로 결합시 수축과 팽창이 이루어질 수 있는 여유를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작업이 편리하고 연결상태가 견고한 잔디 보호매트.
KR1020200127996A 2020-10-05 2020-10-05 연결작업이 편리하고 연결상태가 견고한 잔디 보호매트 KR102391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996A KR102391144B1 (ko) 2020-10-05 2020-10-05 연결작업이 편리하고 연결상태가 견고한 잔디 보호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996A KR102391144B1 (ko) 2020-10-05 2020-10-05 연결작업이 편리하고 연결상태가 견고한 잔디 보호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580A KR20220045580A (ko) 2022-04-13
KR102391144B1 true KR102391144B1 (ko) 2022-04-28

Family

ID=81214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996A KR102391144B1 (ko) 2020-10-05 2020-10-05 연결작업이 편리하고 연결상태가 견고한 잔디 보호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1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3916B2 (ja) * 1991-08-13 2000-06-19 川崎製鉄株式会社 食缶用フィルムラミネート鋼板の製造方法
KR200413552Y1 (ko) * 2006-01-18 2006-04-07 심화택 잔디보호매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9945B2 (ja) * 1997-03-04 2005-02-16 三菱樹脂株式会社 芝生保護マット
JP3053916U (ja) * 1997-11-25 1998-11-17 日祥株式会社 マット、人工芝などの継手部分の構造
KR100710720B1 (ko) 2006-01-24 2007-04-25 심화택 잔디보호매트
KR100962271B1 (ko) * 2007-12-13 2010-06-11 손창섭 잔디 보호 매트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3916B2 (ja) * 1991-08-13 2000-06-19 川崎製鉄株式会社 食缶用フィルムラミネート鋼板の製造方法
KR200413552Y1 (ko) * 2006-01-18 2006-04-07 심화택 잔디보호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580A (ko) 202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4445A (en) Landscape edging device
KR101769737B1 (ko) 일체형 조립 방식의 잔디보호매트 및 잔디보호매트의 시공 방법
US4074479A (en) Lawn edging
US5092076A (en) Planter edging landscaping system
US4976063A (en) Lawn edging system and associated edging components
US5993107A (en) Paver block edging system
US6931798B1 (en) Modular protection device for underpinning
US6071038A (en) Device for holding paving blocks in position
JP2010029182A (ja) 芝保護マット
WO2006080751A1 (en) Grass protection mat and mat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1755658B1 (ko) 잔디 보호 매트
US4478391A (en) Fence protector
WO1994006986A1 (en) Self-attaching fence trim guard
US5039065A (en) Fence apparatus
KR102391144B1 (ko) 연결작업이 편리하고 연결상태가 견고한 잔디 보호매트
US6502349B1 (en) Lawn and garden edging device
US20060225342A1 (en) Anchoring pin insertion unit
US5992059A (en) Tread insert for insertion into a shoe sole
US5676067A (en) Modular interlocking flat storage pallet
KR200396353Y1 (ko) 매트 결합구
KR200354896Y1 (ko) 잔디 보호 매트
USD448660S1 (en) Self-piercing clinch nut
KR101092347B1 (ko) 잔디 보호 매트
KR101598680B1 (ko) 잔디 보호 매트
KR200407465Y1 (ko) 매트 결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