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465Y1 - 매트 결합구 - Google Patents
매트 결합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7465Y1 KR200407465Y1 KR2020050029079U KR20050029079U KR200407465Y1 KR 200407465 Y1 KR200407465 Y1 KR 200407465Y1 KR 2020050029079 U KR2020050029079 U KR 2020050029079U KR 20050029079 U KR20050029079 U KR 20050029079U KR 200407465 Y1 KR200407465 Y1 KR 20040746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t
- coupler
- ground
- present
- mat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title abstract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3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102100040428 Chitobiosyldiphosphodolichol beta-mannosyltransfer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553 photosynth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72 photosynth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8 reno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 A01G13/0237—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골프장 등에서 잔디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잔디 보호 매트와 같은 매트들의 결합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매트 결합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매트 결합구는, 매트의 모서리부분을 누르는 누름봉 및, 상기 누름봉의 양단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면서 매트 모서리측의 체결구멍을 통과하여 지중에 박히거나 바로 지중에 박히는 제 1,2 기둥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매트들의 연결 결합시 결합구의 고정핀이나 기둥부재가 지중에 박히는 정도를 조정함으로서, 매트 결합시 결합구의 사용을 보다 편리하게 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골프장, 잔디구장, 잔디밭, 잔디 보호 매트, 잔디 생육 매트, 매트 결합구
Description
도 1은 매트의 일예로서 잔디 보호 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매트 결합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매트 결합구에 의한 매트들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정면 구조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매트 결합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정면도
도 9는 도 7의 매트 결합구에 의한 매트들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도 7의 매트 결합구에 의한 매트의 다른 시공상태를 도시한 정면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매트(잔디 보호 매트) 100,200.... 매트 결합구
102.... 누름원판 104,106.... 제 1 ,2 고정핀
202.... 누름봉 204,206.... 제 1,2 기둥부재
본 고안은 잔디 보호 매트와 같은 매트들의 결합과 특히 지면상에서의 매트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매트 결합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매트들의 연결 결합시 결합구 기둥부재가 지중에 박히는 정도를 조정함으로서, 매트 결합시 결합구의 사용을 보다 편리하게 한 매트 결합구에 관한 것이다.
지면에 시공되는 매트중 대표적인 것 중 하나가 잔디 보호 매트인데, 이와 같은 잔디 보호 매트는 예를 들어 골프장, 잔디구장 및, 공원의 잔디밭 등과 같은 잔디생육지역에서 사람이 주로 다니는 통로부분이나 차량 예를 들어, 골프장인 경우의 카트 등이 주로 이동하는 동선지역에 있는 잔디를 보호하기 위하여 시공되는데, 이는 잔디가 지속적으로 눌려지면서 손상되고, 이경우 잔디의 개보수에 상당한 비용이 들기 때문이다.
즉, 골프장과 같이 넓은 잔디생육지역중 사람이나 차량 등이 집중적으로 이동하는 동선지역에는 잔디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람이나 차량이 지나가도 그 하중을 완충시키면서 잔디의 손상을 방지시키는 잔디 보호 매트가 시공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잔디 보호 매트는 골프장 등에서 경사진 지면에 시공하면 사람이 통과할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시키는 다른 기능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잔디 보호 매트들은 실제 지면에 조립 시공되는데,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통상 여러 개의 매트들을 훅크등을 이용하여 종 및 횡방향으로 연결시키고, 이때 매트의 모서리부분은 그 부위에 형성된 체결구멍을 통하여 철사를 십자형태로 엮어서 매트들의 연결 시공을 완료한다.
즉, 종래의 경우 철사를 엮어서 매트들을 연결 결합시킨 것인데, 이 경우 철사 체결작업이 불편하며, 이로 인하여 작업시간도 지연되는 것은 물론, 부식이 발생되기 때문에 사용할 수록 외관적으로도 미려하지 않게 된다.
더욱이, 철사의 강도가 크지 않기 때문에(강도가 크면 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매트를 장시간 사용하면 철사가 부식되어 손쉽게 끊어지는 단락이 발생될 우려가 높은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철사를 이용한 잔디 보호 매트의 결합 시공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매트 결합구가 본 건의 출원인이 국내 출원하여 등록한 등록 실용신안 20-377914호에서 개시되고 있다.
즉, 상기 등록 실용신안에서 개시된 종래의 매트 결합구는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지중에 박히는 압착부재 하부 양측의 기둥부재와 그 양측의 고정핀들이 매트 체결구멍에 삽입 체결되도록 하여 매트의 결합 시공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기 등록 실용신안에서 개시된 종래의 매트 결합구는 압착부재의 하부에 설치된 기둥부재가 길게되어 있어 지중에 깊이 박히는 형태이므로로, 실제 매트를 지면에 조립 시공하는 경우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등록 실용신안의 권리자인 본 건의 출원인은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매트 결합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지중에 박히는 정도를 조정하여 매트의 연결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매트 결합구를 제안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매트 결합구는 기둥부재와 고정핀이 대각방향으로 각각 압착부재의 저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도 5와 같이 매트의 체결구멍에서 서로 대각방향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기둥부재나 고정핀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서, 매트의 대각방향으로의 체결구멍이 아닌 인접한 체결구멍을 통하여 매트를 연결 결합시키는 다른 형태의 매트 결합구가 요구되어 왔고, 이를 제안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매트들의 연결 결합시 결합구의 기둥부재가 지중에 박히는 정도를 조정함으로서, 매트 결합시 결합구의 사용을 보다 편리하게 한 매트 결합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일측면으로서 본 고안은, 매트의 모서리부분을 누르는 누름봉; 및,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누름봉의 양단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면서 매트 모서리측의 체결구멍을 통과하여 지중에 박히거나 바로 지중에 박히는 제 1,2 기둥부재;
로 구성된 매트 결합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 1,2 기둥부재는 매트 저면에 역걸림으로 지지되는 지지턱부 및 지중에서의 기둥이탈을 방지토록 구비되는 이탈방지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2 기둥부재는 지중에 박히는 정도를 가변시키도록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매트 결합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매트 결합구에 의한 매트들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 구조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매트 결합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며, 도 9는 도 3의 매트 결합구에 의한 매트들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7의 매트 결합구에 의한 매트의 다른 시공상태를 도시한 정면 구조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 에서는 본 고안의 매트 결합구(100)(200)를 사용하는 매트의 일예로서 잔디 보호 매트(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매트 결합구를 사용하는 잔디 보호 매트(1)는, 매트의 골격을 이루는 바디부(10)와 돌출기둥(20)과 완충날개(30)와 외곽틀부(40)와 러그부재(50)로 구성되고, 추가로 매트들을 종 및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데에 사용되는 후크수단(60) 및 체결 개구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0)는 잔디 생육이 잘되도록 가능한 공간을 넓게 한 육각형태들이 연이어 연결되어 육각형의 잔디수용공간(12)을 제공하고, 매트의 강도를 유지하는 매트 골격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잔디 보호 매트(1)의 바디부(10)와 외곽틀부(40)의 저부에 설치된 상기 러그부재(50)는 사람이나 차량(바퀴)이 통과하면서 가하는 하중을 상기 돌출기둥(20)과 함께 받치면서 매트 파손이나 잔디가 눌려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잔디 보호 매트(1)의 바디부 상 부에 돌출 구비되는 돌출기둥(20)은 하중을 받치도록 한다.
그리고, 잔디 보호 매트(1)에서 완충날개(30)들은 상기 바디부(10)의 상부로 돌출기둥(20)사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돌출기둥(20) 보다는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사람이나 차량이 매트를 통과할 때, 대부분의 하중은 돌출기둥과 러그부재에서 받쳐지지만, 완충날개들은 하중을 분산시키어 잔디에 가해지는 수직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잔디 보호 매트(1)의 외곽틀부(40)는 바디부(10)들이 일체로 연결되면서 하나의 사각 또는 직사각 형태의 폐단면을 구성하여 제공되는 바아형상이고, 전체적으로 형태를 유지시킨다.
또한, 잔디 보호 매트(1)의 대각선을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설치된 슬라이딩형 훅크수단(60) 및 인접 매트의 훅크수단(60)이 결합 고정되는 체결 개구부(70)는 매트들의 조립시 종 및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 도 3 내지 도 6에서는 본 고안의 매트 결합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매트 결합구(100)는, 매트의 모서리부분을 누르는 누름원판(102)과, 상기 누름원판(102)의 하측으로 매트의 모서리측 체결구멍(90)(도 1 참조)에 삽입되어 매트들을 연결하는 제 1 고정핀(104) 및, 상기 누름원판의 하부로 상기 제 1 고정핀의 반대측에 한쌍이 대향 위치되고, 상기 제 1 고정핀이 박히는 않은 매트의 체결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제 2 고정핀(106)으로 구성된다.
이때,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2 고정핀(104)(106)들의 길이가 중요한데, 적어도 지면에 닿는 상기 매트(1)의 러그부재(50) 보다는 길이가 짧게 조정되어 매트 결합구(100)의 사용시 지중에 박히는 것을 피하도록 한다.
즉, 본 고안의 제 1 매트 결합구(100)는 앞에서 설명한 본 건의 출원인이 권리자인 등록 실용신안 20-377914호에서 개시된 매트 결합구에서 기둥부재가 지중에 깊이 박히기 때문에 발생되는 작업지연을 피하기 위하여 지중에 박히지 않도록 제공된 것이다.
물론, 본 고안의 제 1 매트 결합구(100)만을 사용하기 보다는 상기 등록 실용신안의 매트 결합구와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고정핀(104)에는 매트 저면에 역걸림으로 지지되고 일체로 구비된 지지턱부(104a)가 구비된 것을 바람직하다.
즉,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매트 결합구(100)는 총 4개의 매트들을 연결할때. 마주하는 대각방향의 매트 체결구멍(90)에 억지 끼움되면서 상기 지지턱부(104a)가 매트(1)의 저면(매트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외곽틀부와 바디부 저면)에 밀착 지지되면서 매트 결합구(1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매트의 모서리부분이 들리는 것도 방지한다.
이때, 실제 매트들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훅크수단(60)들이 체결 개구부(70)에 체결되면서 서로 밀착되어 종 및 횡방향으로 조립되므로 본 고안의 제1 매트 결합구(100)는 지중에 박히지 않으면서 매트들의 결합을 도와준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누름원판(102)의 상부면은 미끄럼 방지용 널링면(102b)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작업시 미끄럼을 방지시킬 것이다.
그리고, 상기 누름원판(102)에는 개구(102a)를 형성시키어 가능한 햇빛이 누름원판 하부의 잔디에 비추어 광합성을 통한 생육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등록 실용신안의 지중에 박히는 매트 결합구와 본 고안과 같이 지중에 박히지 않고 매트 모서리들만을 연결 고정하는 매트 결합구(100)를 같이 병행 사용하면 매트들이 조립 시공된 매트 조립체의 시공강도를 유지하면서 작업성은 향상시킬 것이다.
다음, 도 7 내지 도 10에서는 본 고안의 매트 결합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본 고안의 제 2 매트 결합구(200)는,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매트의 모서리부분을 누르는 누름봉(202)과 상기 누름봉(202)의 양단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면서 매트 모서리측의 체결구멍(90)(도 1 참조)을 통과하여 지중에 박히거나 바로 지중에 박히는 제 1,2 기둥부재(240)(2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2 기둥부재(204)(206)는 매트 저면에 역걸림으로 지지되는 지지턱부(204a)(206a) 및 지중에서의 기둥이탈을 방지토록 구비되는 이탈방지턱(204b)(206b)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제 1,2 기둥부재(204)(206)는 지중(G)에 박히 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단부에는 뽀쪽한 원추부(204c)(206c)를 구비한다.
특히, 상기 제 1,2 기둥부재(204)(206)는 지중에 박히는 정도를 가변시키도록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된다.
즉,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기둥부재(204)는 제 2 기둥부재(206) 보다 길이가 더 길게 하고, 이경우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매트 결합구(200)의 기둥부재(204)(206)들이 지중에 박히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시 원하는 위치로 제 1 ,2 기둥부재(204)(206)들을 배치시키면 매트 결합구의 사용도 조정되도록 하면서 결합강도도 조정할 수 있을 것이므로 사용을 편리하게 할 것이다.
또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매트 결합구(200)에서 제 1,2 기둥부재(204)(206)는 체결구멍에 대각선으로 삽입되지 않고 인접한 잔디 보호 매트(1)들의 모서리 체결구멍(90)사이에 삽입되게 된다.
즉, 제 1 매트 결합구(100)의 제 1 고정핀(104)은 잔디 보호 매트(1)들의 모서리에서 대각방향으로 있는 체결구멍(90)에 삽입되지만, 본 고안의 제 2 매트 결합구의 제 1,2 기둥부재(204)(206)는 대각방향이 아닌 인접 모서리에 삽입되고, 이를 위하여 제 1,2 기둥부재(204)(206)의 간격은 제 1 매트 결합구의 제 1 고정핀들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조정되어 있다.
다음,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매트 결합구(200)에서 제 1 기둥부재(204)는 지중(G)에 매트 통과없이 박히고, 제 2 기둥부재(206)는 매트 체결구멍을 통과하여 박히도록 하여 매트 모서리 하나만을 지중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 2 매트 결합구(200)는 원하는 위치에 매트가 지면에서 들뜨는 부위가 있으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서, 지금까지 설명한 매트 결합구(100)(200)는 지중에 거의 박히지 않으면서 매트들의 모서리를 연결 고정하거나, 지중에 박히는 정도가 기둥부재의 길이조정으로 조정되면서 사용할 수 있어 기존의 매트 결합구에 비하여 구조가 개선된 것이다.
물론, 본 고안의 매트 결합구(100)(200)들은 기존의 본 건의 출원인이 제안한 매트 결합구와 같이 사용하여도 매트 조립 시공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인 매트 결합구에 의하면, 지면에 놓이는 잔디 보호 매트의 조립 시공을 용이하게 하면서, 특히 매트들의 연결 결합시 결합구의 기둥부재가 지중에 박히는 정도가 조정됨으로서, 매트 결합시 결합구의 사용을 보다 편리하게 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더하여, 매트만을 연결 고정하거나 원하는 위치에 매트가 들뜨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기존의 매트 모서리에만 사용이 한정되는 것을 피하여 사용 범위를 보다 확장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우수한 효과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 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7)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매트의 모서리부분을 누르는 누름봉; 및,상기 누름봉의 양단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면서 매트 모서리측의 체결구멍을 통과하여 지중에 박히거나 바로 지중에 박히는 제 1,2 기둥부재;로 구성된 매트 결합구.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기둥부재는 매트 저면에 역걸림으로 지지되는 지지턱부 및 지중에서의 기둥이탈을 방지토록 구비되는 이탈방지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결합구.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기둥부재는 지중에 박히는 정도를 가변시키도록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결합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9079U KR200407465Y1 (ko) | 2005-10-12 | 2005-10-12 | 매트 결합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9079U KR200407465Y1 (ko) | 2005-10-12 | 2005-10-12 | 매트 결합구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1724U Division KR200412843Y1 (ko) | 2006-01-19 | 2006-01-19 | 매트 결합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7465Y1 true KR200407465Y1 (ko) | 2006-02-01 |
Family
ID=44480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29079U KR200407465Y1 (ko) | 2005-10-12 | 2005-10-12 | 매트 결합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7465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06807A (ko) * | 2019-09-26 | 2020-09-15 | 주식회사 보니타베베 |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가변형 범퍼 침대 |
KR20200121981A (ko) * | 2019-04-17 | 2020-10-27 | 주식회사 케이엘에스 | 친환경 야자매트용 고정안정로프핀. |
KR20210020411A (ko) * | 2019-08-14 | 2021-02-24 | 주식회사 보니타베베 |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가변형 범퍼 침대 |
-
2005
- 2005-10-12 KR KR2020050029079U patent/KR20040746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1981A (ko) * | 2019-04-17 | 2020-10-27 | 주식회사 케이엘에스 | 친환경 야자매트용 고정안정로프핀. |
KR102305686B1 (ko) * | 2019-04-17 | 2021-09-28 | 주식회사 케이엘에스 | 친환경 야자매트용 고정안정로프핀. |
KR20210020411A (ko) * | 2019-08-14 | 2021-02-24 | 주식회사 보니타베베 |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가변형 범퍼 침대 |
KR102352442B1 (ko) | 2019-08-14 | 2022-01-18 | 주식회사 보니타베베 |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변형이 가능한 가변형 범퍼 침대 |
KR20200106807A (ko) * | 2019-09-26 | 2020-09-15 | 주식회사 보니타베베 |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가변형 범퍼 침대 |
KR102246447B1 (ko) | 2019-09-26 | 2021-05-03 | 주식회사 보니타베베 | 바닥매트와 가드매트를 연결하는 결합부재의 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63271B1 (ko) | 잔디 보호 매트 | |
JP4886699B2 (ja) | 芝保護マット及びこれを含むマット組立体 | |
US6499725B2 (en) | Fence rail and post assembly | |
US20100293848A1 (en) | Grass protection mat | |
US20060169965A1 (en) | Pre-fabricated fencing panels | |
KR101772846B1 (ko) | 연약 지반용 잔디 보호 매트 및 하부 받침 매트의 시공 방법 | |
KR100807329B1 (ko) | 잔디 보호 매트 | |
KR200407465Y1 (ko) | 매트 결합구 | |
KR200412843Y1 (ko) | 매트 결합구 | |
KR101357240B1 (ko) |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장치 | |
KR200381257Y1 (ko) | 잔디 보호 매트 | |
KR200354896Y1 (ko) | 잔디 보호 매트 | |
KR100954978B1 (ko) | 잔디 보호 매트 | |
KR200396353Y1 (ko) | 매트 결합구 | |
KR101092347B1 (ko) | 잔디 보호 매트 | |
EP0004504B1 (fr) | Clôture réalisée au moyen de poteaux en profilé de section polygonale | |
KR101003478B1 (ko) | 철망 울타리 설치용 지지대 | |
KR101237895B1 (ko) | 고정클립을 이용한 방초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0782864B1 (ko) | 비닐하우스용 보조지주 | |
KR101407063B1 (ko) | 휀스용 연결장치 | |
KR100898547B1 (ko) | 잔디 보호 매트 | |
JP4316075B2 (ja) | 外装材下端支持金具及びそれを用いた外壁構造 | |
US20050257484A1 (en) | Heavy-duty mat panel connector and system for connecting mat panels | |
JPH0310169Y2 (ko) | ||
KR20110092130A (ko) | 가드경계레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6 |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