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894B1 -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er and automatic bevel easyly system using this - Google Patents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er and automatic bevel easyly system using th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894B1
KR102389894B1 KR1020210108721A KR20210108721A KR102389894B1 KR 102389894 B1 KR102389894 B1 KR 102389894B1 KR 1020210108721 A KR1020210108721 A KR 1020210108721A KR 20210108721 A KR20210108721 A KR 20210108721A KR 102389894 B1 KR102389894 B1 KR 102389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unit
module
discharge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7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89894B9 (en
Inventor
이유철
Original Assignee
클래드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래드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클래드코리아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894B1/en
Publication of KR10238989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894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23C3/12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of pipes or cylinders
    • B23C3/124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of pipes or cylinders inter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23C3/126Portable devices or machines for chamfer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65G13/12Roller frame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16Chamfer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20Debur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6Tubes an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enter-tracking conveyor configured to automatically adjust a height of a conveyor unit according to the center of a pipe and a diameter of the pipe corresponding to a beveling work of the pipe, and an automatic bevel softening system using the same. To this end, the automatic center-tracking conveyor is configured to convey a pipe to a beveling unit for beveling an end of a pipe. The automatic center-tracking conveyor comprises: a conveyor unit which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an introduced pipe is seated, and moves the pi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elevation unit which elevates the conveyor unit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pipe. The elevation unit elevates the conveyor unit on which the corresponding pipe is seated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pipe desired to be gripped by the beveling unit and the diameter of the corresponding pipe. The conveyor unit conveys the corresponding pipe to the corresponding bevel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pipe desired to be gripped by the beveling unit and the center of the pipe elevated by the elevation unit.

Description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와 이를 이용한 자동 베벨 유연시스템{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ER AND AUTOMATIC BEVEL EASYLY SYSTEM USING THIS}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and automatic bevel flexible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와 이를 이용한 자동 베벨 유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파이프의 베벨링 작업에 대응하여 해당 파이프의 중심과 해당 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컨베이어유닛의 높이를 자동 조절하기 위한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와 이를 이용한 자동 베벨 유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and an automatic bevel flexible system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utomatically adjust the height of the conveyor unit according to the center of the pipe and the diameter of the pipe in response to the beveling operation of the pipe. It relates to an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and an automatic bevel flexible system using the same.

파이프는 사용처로 공급되어 사용하기 전에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게 되는데 절단한 양측 절단면이 예리하고 날카로워 취급하기가 곤란하며, 절단 공정 중에 버(burr)가 발생하므로 이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파이프의 용접이나 결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파이프의 절단면이 일정한 개선각을 가지도록 경사지게 가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공정을 베벨링 작업이라고 한다.The pipe is supplied to a place of use and cut to a certain length before use. The cut sides are sharp and sharp, making it difficult to handle, and burrs are generated during the cutting process, so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m.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weldability or bondability of the pipe, the cut surface of the pipe is inclined to have a certain angle of improvement. This process is called a beveling operation.

파이프의 베벨링 작업은 파이프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외측 베벨면과 내측 베벨면이 형성되도록 수행할 수 있다. 통상, 파이프의 선단부를 절삭팁이 장착되어 회전하는 면판에 접근시켜 베벨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회전하는 면판의 절삭팁 고정 지그에는 외측 베벨면 가공용 절삭팁과 내측 베벨면 가공용 절삭팁이 장착되어 내외측 베벨면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다.The beveling operation of the pipe may be performed so that an outer bevel surface and an inner bevel surface formed at the tip of the pipe are formed. In general, the bevel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approaching the distal end of the pipe to a rotating face plate equipped with a cutting tip. At this time, a cutting tip for machining an outer bevel surface and a cutting tip for machining an inner bevel surface are mounted on the cutting tip fixing jig of the rotating face plate, so that the inner and outer bevel surfaces can be simultaneously processed.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베벨링 작업에서는 소구경의 파이프에 적용이 가능한 구조이고, 중대형 강관에는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베벨링 작업에서는 파이프의 로딩부터 배출까지 일련의 공정이 연속적으로 자동으로 수행되지 않느 구조이므로, 작업자가 끊임없이 개입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공정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However, in the bevel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has a structure applicable to small-diameter pipes, and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medium and large-sized steel pipes. In addition, in the bevel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a series of processes from loading to discharging of the pipe are not continuously and automatically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cess efficiency is low in that the operator must constantly intervene.

특히, 파이프는 길이가 길고, 무게가 무거우므로, 작업자가 파이프를 베벨링 장비의 입구에 수동으로 정위치시키고, 베벨링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In particular, since the pipe has a long length and heavy weight, there is a limit to the operator manually positioning the pipe at the inlet of the beveling equipment and performing the beveling opera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7558호 (발명의 명칭 : 파이프의 베벨 면취 가공장치, 2012. 11. 09.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197558 (Title of the invention: Pipe bevel chamfering processing device, 2012. 11. 09. Announcement)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이프의 베벨링 작업에 대응하여 해당 파이프의 중심과 해당 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컨베이어유닛의 높이를 자동 조절하기 위한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와 이를 이용한 자동 베벨 유연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onveyor unit according to the center of the pipe and the diameter of the pipe in response to the beveling operation of the pipe, and an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using the same To provide a bevel flexible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의 직경에 대한 다양성을 수용하여 자동으로 베벨링유닛의 입구에 파이프의 선단부를 정위치시키기 위한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와 이를 이용한 자동 베벨 유연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ommodate the diversity of the diameter of the pipe to provide an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for automatically positioning the tip of the pipe at the inlet of the beveling unit and an automatic bevel flexible system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베벨링 작업을 위한 파이프의 반입, 로딩, 가공, 언로딩, 반출을 일련의 자동화된 공정에 의하여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파이프의 베벨링 작업에서 공정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와 이를 이용한 자동 베벨 유연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collectively perform loading, loading, processing, unloading, and discharging of a pipe for beveling operation by a series of automated processes, and to improve process efficiency in the beveling operation of a pipe It is to provide an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and an automatic bevel flexible system using the sam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는 파이프의 단부를 베벨링 작업하는 베벨링유닛에 파이프를 전달하기 위한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이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반입되는 파이프가 안착되고, 상기 파이프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유닛; 및 상기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하여 상기 컨베이어유닛을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베벨링유닛이 파지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중심과 해당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하여 해당 파이프가 안착된 상기 컨베이어유닛을 승강 이동시키고, 상기 컨베이어유닛은, 상기 베벨링유닛이 파지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중심과 상기 승강유닛에 의해 승강 이동된 파이프의 중심에 대응하여 해당 파이프를 해당 베벨링유닛에 전달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for delivering a pipe to a beveling unit that bevels the end of the pi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veyor unit which is formed to be elongated to receive the pipe is seated, and moves the pi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elevating unit for elevating and moving the conveyor unit in response to the diameter of the pipe, wherein the elevating unit corresponds to the center of the pipe to be gripped by the beveling unit and the diameter of the pipe, the pipe is seated The conveyor unit is moved up and down, and the conveyor unit delivers the pipe to the bevel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pipe to be gripped by the beveling unit and the center of the pipe moved up and down by the elevating unit. .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유닛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승강유닛에 결합되는 프레임모듈; 상기 파이프가 안착되도록 다수 개가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모듈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모듈; 상기 프레임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롤러모듈의 정역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롤러구동모듈; 및 상호 인접한 두 롤러모듈을 연결하거나, 상기 롤러모듈과 상기 롤러구동모듈을 연결하여 상기 회전력을 상기 롤러모듈에 전달하는 지지연결부;를 포함한다.Here, the conveyor unit may include: a frame module formed to be elonga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elevating unit; a plurality of roller module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so that the pipe is seated and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frame module; a roller driving module coupled to the frame module and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roller module; and a support connecting part that connects two adjacent roller modules or connects the roller module and the roller driving module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o the roller module.

여기서, 상기 롤러모듈은, 상기 파이프가 안착되도록 다수 개가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고,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롤러부재; 상기 프레임모듈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롤러부재의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부; 및 상기 롤러부재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롤러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롤러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재에는, 양단부로부터 상기 롤러부재의 중앙을 향해 직경이 작아지는 정위치경사부;가 구비된다.Here, the roller module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ller member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so that the pipe is seated, and elong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a roller support unit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rame module and rotatably supporting both ends of the roller member; and a roller rotating part provided on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roller member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roller member, wherein the roller member has an in-place inclined part whose diameter decreases from both ends toward the center of the roller member ;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컨베이어유닛의 승강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켜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승강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구동축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전달축부; 상기 회전력이 상기 제1전달축부에 전달되도록 상기 승강구동축과 상기 제1전달축부를 연결시키는 제1변환부; 및 상기 제1전달축부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전달축부에 전달된 회전력으로 상기 컨베이어유닛을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모듈;을 포함한다.Here, the elevating unit may include: an elevating drive unit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for elevating the conveyor unit to rotate an elevating drive shaft forming a center of rotation; a first transmission shaft portion formed to be elong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ing drive shaft; a first conversion unit connecting the lifting drive shaft and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portion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portion; and a lifting modul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respectively, for moving the conveyor unit up and down with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를 이용한 자동 베벨 유연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유닛의 일측 또는 상기 컨베이어유닛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의 단부를 베벨링 작업하는 베벨링유닛;을 포함한다.Automatic bevel flexible system using an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eveling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veyor unit or on both sides of the conveyor unit and beveling the end of the pipe.

여기서, 상기 베벨링유닛은, 상기 컨베이어유닛의 단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의 단부를 베벨링 작업하는 베벨링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유닛과 상기 베벨링모듈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베벨링모듈에 전달되는 파이프를 파지하는 파지모듈; 및 상기 컨베이어유닛과 상기 베벨링모듈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유닛으로부터 상기 베벨링모듈에 전달되는 파이프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Here, the beveling unit includes; a beveling module disposed to face the end of the conveyor unit and beveling the end of the pipe, provided between the conveyor unit and the beveling module, a gripping module for gripping the pipe delivered to the ring module; and a sliding module provided between the conveyor unit and the beveling module to slidably support a pipe transferred from the conveyor unit to the beveling module.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any one of.

여기서, 상기 베벨링유닛은, 상기 컨베이어유닛의 승강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파지모듈과 상기 슬라이딩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정위치모듈;을 더 포함한다.Here, the beveling unit, in response to the lifting movement of the conveyor unit, at least one of the holding module and the sliding module to the lifting and lowering position module for lifting and moving; further includes.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를 이용한 자동 베벨 유연시스템은 상기 베벨링 작업을 마친 파이프를 상기 컨베이어유닛에서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을 더 포함한다.The automatic bevel flexible system using an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ischarging unit for discharging the pipe after the beveling operation is completed from the conveyor unit.

여기서, 상기 배출유닛은,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고정되는 배출브라켓; 상기 컨베이어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파이프가 배출되는 쪽에서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출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축부;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안착되는 파이프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다수 개가 상기 배출축부를 따라 상호 이격되고, 일단부가 상기 배출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축부를 기준으로 상기 배출축부와 함께 회전 가능한 배출날개부; 및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력으로 상기 배출날개부 중 어느 하나를 승강 이동시키는 배출구동모듈;을 포함한다.Here, the discharge unit, two or mor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discharge bracket fixed to the conveyor unit; a discharge shaft portion dispos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from the side from which the pipe is discharged based on the conveyor unit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bracket; a plurality of discharge wi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discharge shaft so as to be disposed under the pipe seated on the conveyor unit, one end coupled to the discharge shaft and rotatable together with the discharge shaft based on the discharge shaft; and a discharge driving module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nveyor unit and moves any one of the discharge wing units up and down by rotational force.

여기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배출구동모듈에서 이격되어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동모듈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배출날개부 중 다른 하나를 승강 이동시키는 배출지지모듈; 및 상기 배출구동모듈과 상기 배출지지모듈을 연결하여 상기 배출구동모듈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상기 배출지지모듈에 전달하는 연결축모듈;을 더 포함한다.Here, the discharge unit may include a discharge support module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drive modul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conveyor unit to receiv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discharge drive module and move the other one of the discharge wings up and down; and a connecting shaft module that connects the discharge drive module and the discharge support module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discharge drive module to the discharge support module.

여기서, 상기 연결축모듈은, 상기 배출축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축부;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축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연결지지부; 및 상기 연결축부의 일단부와 상기 배출구동모듈을 연결시키고, 상기 연결축부의 타단부와 상기 배출지지모듈을 연결시키는 연결조인트;를 포함한다.Here, the connecting shaft module may include: a connecting shaft portion dispos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shaft portion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conveyor unit; a connection support part tha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oupled to the conveyor unit, the connection shaft part being rotatably supported; and a connecting joint connecting one end of the connecting shaft portion to the discharge driving module, and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shaft portion to the discharge support module.

여기서, 상기 연결조인트는, 상기 연결축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조인트로드; 상기 제1조인트로드에서 이격 배치되는 제2조인트로드; 상기 배출구동모듈 또는 상기 배출지지모듈에 결합되는 제3조인트로드; 상기 제3조인트로드에서 이격 배치되는 제4조인트로드; 상기 제1조인트로드와 상기 제2조인트로드를 링크 결합시키는 제1연결링크; 상호 인접한 상기 제2조인트로드와 상기 제4조인트로드를 동축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축고정부; 및 상기 제3조인트로드와 상기 제4조인트로드를 링크 결합시키는 제2연결링크;를 포함한다.Here, the connecting joint may include: a first joint rod coupled to an end of the connecting shaft portion; a second joint ro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joint rod; a third joint rod coupled to the discharge drive module or the discharge support module; a fourth joint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third joint; a first connection link connecting the first joint rod and the second joint rod; a shaft fixing part for coaxially reciprocally coupling the adjacent second joint rod and the fourth joint rod; and a second connection link connecting the third joint rod and the fourth joint rod to a link.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와 이를 이용한 자동 베벨 유연시스템에 따르면, 파이프의 베벨링 작업에 대응하여 해당 파이프의 중심과 해당 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컨베이어유닛의 높이를 자동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and the automatic bevel flexible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adjust the height of the conveyor unit according to the center of the pipe and the diameter of the pipe in response to the beveling operation of the pipe.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의 직경에 대한 다양성을 수용하여 자동으로 베벨링유닛의 입구에 파이프의 선단부를 정위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ommodate the variety of the diameter of the pipe can automatically position the tip of the pipe at the inlet of the beveling unit.

또한, 본 발명은 베벨링 작업을 위한 파이프의 반입, 로딩, 가공, 언로딩, 반출을 일련의 자동화된 공정에 의하여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파이프의 베벨링 작업에서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loading, loading, processing, unloading, and unloading of the pipe for the beveling operation in a batch by a series of automated processes, and can improve the process efficiency in the beveling operation of the pipe there is.

또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유닛의 결합 관계를 통해 컨베이어유닛에서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른 파이프의 왕복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정위치된 파이프를 베벨리유닛에 안정되게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acilitate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i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in the conveyor unit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conveyor unit, and stably deliver the positioned pipe to the bevelly unit.

또한, 본 발명은 롤러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롤러부재에서 파이프의 폭 방향에 대해 간편하게 센터링할 수 있고, 파이프의 왕복 이동에 대응하여 파이프의 폭 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center the pipe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roller member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roller modules, and to prevent the pipe from flowing in the width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ipe.

또한, 본 발명은 롤러지지부를 통해 롤러부재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support the roller member through the roller support.

또한, 본 발명은 롤러회전부를 통해 지지연결부를 이용한 롤러모듈과 롤러구동모듈 사이의 동력 전달 관계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larify the power transmission relationship between the roller module and the roller driving module using the support connecting part through the roller rotating part.

또한, 본 발명은 롤러구동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롤러모듈에 안정적인 회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y a stable rotational force to the roller module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roller drive module.

또한, 본 발명은 구동회전부를 통해 지지연결부를 이용한 롤러모듈과 롤러구동모듈 사이의 동력 전달 관계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larify the power transmission relationship between the roller module and the roller driving module using the supporting connection part through the driving rotating part.

또한, 본 발명은 승강유닛의 결합 관계를 통해 바닥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컨베이어유닛을 안정되게 지지하고, 파이프의 중심과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하여 컨베이어유닛을 안정되게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support the conveyor unit spaced apart from the floor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lifting unit, and stably move the conveyor unit up and down in response to the center of the pipe and the diameter of the pipe.

또한, 본 발명은 승강유닛의 결합 관계를 통해 하나의 회전력으로 둘 이상의 승강모듈을 동시에 승강 이동시킬 수 있고, 컨베이어유닛에 안착된 파이프의 수평을 간편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or more elevating modules can be moved up and down at the same time by a single rotational force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elevating unit, and the level of the pipe seated on the conveyor unit can be easily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은 승강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바닥으로부터 컨베이어유닛을 안정되게 지지하고, 컨베이어유닛의 폭 방향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support the conveyor unit from the floor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elevating module and prevent inclination of the conveyor unit in the width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은 파지모듈을 통해 컨베이어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파이프를 베벨링모듈에 안정되게 정위치시키는 한편, 파이프의 처짐을 방지하고, 파이프의 베벨링 작업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position the pipe delivered from the conveyor unit through the gripping module to the beveling module, prevent sagging of the pipe, and clarify the beveling operation of the pipe.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모듈을 통해 컨베이어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파이프를 베벨링모듈에 안정되게 전달하고, 파이프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transfer the pipe delivered from the conveyor unit through the sliding module to the beveling module, and prevent sagging of the pipe.

또한, 본 발명은 승강정위치모듈을 통해 컨베이어유닛의 위치에 대응하여 파지모듈과 슬라이딩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명확하게 하고, 파이프가 베벨링모듈에 안정되게 정위치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larifies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gripping module and the sliding module in response to the position of the conveyor unit through the elevation positioning module, and allows the pipe to be stably positioned on the beveling module.

또한, 본 발명은 배출유닛을 통해 베벨링 작업을 마친 파이프를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고, 파이프의 왕복 이동에 따라 컨베이어유닛에서 파이프와 배출유닛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pe after the beveling operation can be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and interference between the pipe and the discharge unit in the conveyor unit can be prevented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ipe.

또한, 본 발명은 배출유닛의 결합 관계를 통해 배출축부를 기준으로 배출날개부들의 동시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파이프를 승강 이동시켜 파이프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acilitate the simultaneous rotation of the discharge blades based on the discharge shaft portion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discharge unit, and facilitate the discharge of the pipe by moving the pipe up and down.

또한, 본 발명은 배출유닛의 부가 결합 관계를 통해 컨베이어유닛에서 파이프가 배출될 때, 파이프의 수평을 유지시켜 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한 파이프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inclination of the pi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by maintaining the horizontal when the pipe is discharged from the conveyor unit through the additional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discharge unit.

또한, 본 발명은 배출날개부의 결합 관계를 통해 반입되는 파이프와 배출날개부의 간섭을 방지하고, 파이프의 반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interference of the pipe and the discharge wings brought in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discharge wings, and can facilitate the discharge of the pipe.

또한, 본 발명은 배출구동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배출축부를 기준으로 하는 배출날개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배출전달변환부의 안정된 유동성을 확보하고, 배출날개부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stable fluidity of the discharge transmission conversion unit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discharge wing relative to the discharge shaft portion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discharge drive module, and facilitate the rotation of the discharge blade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배출지지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배출축부를 기준으로 하는 배출날개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배출지지변환부의 안정된 유동성을 확보하고, 배출날개부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nsure the stable fluidity of the discharge support conversion unit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discharge wing relative to the discharge shaft part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discharge support module, and smooth the rotation of the discharge blade.

또한, 본 발명은 연결축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배출구동모듈과 배출지지모듈의 유동에 대응하여 연결축부의 양단부의 안정된 유동성을 확보하고, 배출구동모듈의 회전력을 배출지지모듈에 간편하게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ecures stable fluidity of both ends of the connecting shaft portion in response to the flow of the discharge drive module and the discharge support module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connection shaft module,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ischarge drive module can be easily transmitted to the discharge support module.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와 이를 이용한 자동 베벨 유연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와 이를 이용한 자동 베벨 유연시스템에서 컨베이어유닛의 롤러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와 이를 이용한 자동 베벨 유연시스템에서 컨베이어유닛의 롤러구동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와 이를 이용한 자동 베벨 유연시스템에서 승강유닛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와 이를 이용한 자동 베벨 유연시스템에서 배출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와 이를 이용한 자동 베벨 유연시스템에서 배출유닛의 배출구동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와 이를 이용한 자동 베벨 유연시스템에서 배출유닛의 배출지지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와 이를 이용한 자동 베벨 유연시스템에서 배출유닛의 연결축모듈에 구비되는 연결조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and an automatic bevel flexible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ller module of the conveyor unit in the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and the automatic bevel flexible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ller driving module of the conveyor unit in the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and the automatic bevel flexible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and a lifting unit in an automatic bevel flexible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charge unit in an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and an automatic bevel flexible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charge drive module of the discharge unit in the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and the automatic bevel flexible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charge support module of the discharge unit in the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and the automatic bevel flexible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joint provided in the connection shaft module of the discharge unit in the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and the automatic bevel flexible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와 이를 이용한 자동 베벨 유연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and an automatic bevel flexible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xampl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in order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를 이용한 자동 베벨 유연시스템은 파이프의 베벨링 작업에 대응하여 해당 파이프의 중심과 해당 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컨베이어유닛(10)의 높이를 자동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와, 베벨링유닛(30)을 포함하고, 배출유닛(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는 컨베이어유닛(10)과, 승강유닛(2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8, the automatic bevel flexible system using an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beveling operation of the pipe, and according to the center of the pipe and the diameter of the pipe, the conveyor unit ( 10)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height, and includes an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eveling unit 30 , and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unit 50 . At this time, the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veyor unit 10 and a lifting unit 20 .

그러면, 승강유닛(20)은 베벨링유닛(30)이 파지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중심과 해당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하여 해당 파이프가 안착된 컨베이어유닛(10)을 승강 이동시키고, 컨베이어유닛(10)은 베벨링유닛(30)이 파지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중심과 승강유닛(20)에 의해 승강 이동된 파이프의 중심에 대응하여 해당 파이프를 해당 베벨링유닛(30)에 전달하게 되므로, 자동으로 베벨링유닛(30)의 센터와 파이프의 중심을 일치시키는 한편, 자동으로 베벨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예로, 컨베이어유닛(10)은 베벨링유닛(30)이 파지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중심과 승강유닛(20)에 의해 승강 이동된 파이프의 중심이 일치하는 경우, 해당 파이프를 해당 베벨링유닛(30)에 전달할 수 있다.Then, the lifting unit 20 moves the conveyor unit 10 on which the pipe is seated in correspondence to the center of the pipe to be gripped by the beveling unit 30 and the diameter of the pipe, and the conveyor unit 10 is Since the beveling unit 30 transmits the pipe to the corresponding beveling unit 30 in response to the center of the pipe to be gripped and the center of the pipe lifted and moved by the lifting unit 20, automatically the beveling unit While matching the center of (30) and the center of the pip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perform beveling operation. For example, when the center of the pipe to be gripped by the beveling unit 30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pipe moved up and down by the lifting unit 20, the conveyor unit 10 converts the pipe to the corresponding beveling unit 30 ) can be passed to

또한, 베벨링 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컨베이어유닛(10)에 의해 베벨링유닛(30)으로부터 파이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배출유닛(50)을 이용하여 다음 공정으로 파이프를 반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bevel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pipe may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from the beveling unit 30 by the conveyor unit 10 , and the pipe may be discharged to the next process using the discharge unit 50 .

컨베이어유닛(10)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컨베이어유닛(10)에는 반입되는 파이프가 안착되도록 한다. 컨베이어유닛(10)은 파이프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conveyor unit 10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veyed pipe is seated on the conveyor unit 10 . The conveyor unit 10 may move the pi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컨베이어유닛(10)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승강유닛(20)에 결합되는 프레임모듈(11)과, 프레임모듈(11)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모듈(12)과, 프레임모듈(11)에 결합되고 롤러모듈(12)의 정역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롤러구동모듈(13)과, 상호 인접한 두 롤러모듈(12)을 연결하거나, 롤러모듈(12)과 롤러구동모듈(13)을 연결하여 회전력을 롤러모듈(12)에 전달하는 지지연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yor unit 10 includes a frame module 11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elevating unit 20, a roller module 12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rame module 11, and a frame module ( The roller driving module 13 coupled to 11) and generating rotational force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roller module 12, and two adjacent roller modules 12 are connected, or the roller module 12 and the roller driving module 13 ) and may include a support connection part (not shown)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to the roller module 12 .

프레임모듈(11)은 롤러모듈(12)이 지지되는 한 쌍의 상단프레임과, 상단프레임을 지지하는 바디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module 11 may include a pair of upper frames supported by the roller module 12 and a body frame supporting the upper frames.

롤러모듈(12)은 파이프가 안착되도록 다수 개가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프레임모듈(11)의 상단부에 상호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roller modules 12 are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frame module 11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so that the pipe is seated.

롤러모듈(12)은 파이프가 안착되도록 다수 개가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고 파이프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롤러부재(121)와, 프레임모듈(11)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롤러부재(121)의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부와, 롤러부재(121)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롤러부재(121)와 함께 회전되는 롤러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ller module 12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roller member 121 and the frame module 11, a plurality of roller members 121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so that the pipe is seated and formed long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and a roller support part for rotatably supporting both ends of the roller member 121 , and a roller rotating part provided on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roller member 121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roller member 121 .

롤러부재(121)에는 양단부로부터 롤러부재(121)의 중앙을 향해 직경이 작아지는 정위치경사부(122)가 구비되므로, 반입되는 파이프가 롤러부재(121)에서 폭 방향으로 안정되게 정위치되도록 한다.Since the roller member 121 is provided with an in-place inclined portion 122 whose diameter is reduced from both ends toward the center of the roller member 121 , so that the imported pipe is stably positione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roller member 121 . do.

롤러지지부는 롤러부재(121)의 일단부에서 롤러부재(121)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롤러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롤러지지부(123)와, 롤러부재(121)의 타단부에서 롤러부재(121)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롤러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롤러지지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롤러지지부(123)와 제2롤러지지부(124)는 상호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The roller support portion includes a first roller support portion 123 that rotatably supports a roller shaft forming a center of rotation of the roller member 121 at one end of the roller member 121 , and a roller member at the other end of the roller member 121 . It may include a second roller support 124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roller shaft forming the rotation center of the (121). The first roller support 123 and the second roller support 12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to face each other.

롤러회전부는 제1롤러회전부(125)와 제2롤러회전부(126)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롤러회전부(125)와 제2롤러회전부(126)는 롤러부재(121)의 일단부에 모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롤러부재(121)의 타단부에 모두 구비되거나, 롤러부재(121)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roller rotating unit may be divided into a first roller rotating unit 125 and a second roller rotating unit 126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first roller rotating part 125 and the second roller rotating part 126 are shown as being provided at one end of the roller member 121,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oller member 121 is not limited thereto. ), or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oller member 121, respectively.

롤러구동모듈(13)은 프레임모듈(11)에 고정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롤러구동부(131)와, 롤러구동부(131)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롤러구동부(131)에 구비된 롤러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ller driving module 13 is fixed to the frame module 11 and is coupled to a roller driving shaft provided in the roller driving unit 131 at at least one of a roller driving unit 131 that generates rotational force, and both ends of the roller driving unit 131 . It may include a driving rotation unit that is rotated by a rotational force.

롤러구동부(131)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롤러구동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The roller driving unit 131 may rotate the roller driving shaft by applied power.

구동회전부는 제1구동회전부(132)와 제2구동회전부(133)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구동회전부(132)와 제2구동회전부(133)는 롤러구동부(131)의 롤러구동축의 일단부에 모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롤러구동부(131)의 롤러구동축의 타단부에 모두 구비되거나 롤러구동부(131)의 롤러구동축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driving rotating unit may be divided into a first driving rotating unit 132 and a second driving rotating unit 133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riving rotating unit 132 and the second driving rotating unit 133 are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at one end of the roller driving shaft of the roller driving unit 13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ll of the other ends of the roller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unit 131 may be provided or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oller driving shaft of the roller driving unit 131 .

지지연결부(미도시)는 체인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회전부와 구동회전부는 각각 스프로킷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The support connection part (not shown) may represent a chain structure. Accordingly, the roller rotating unit and the driving rotating unit may each represent a sprocket structure.

여기서, 롤러모듈(12) 간의 연결에 대하여, 상호 인접한 세 롤러모듈(12)인 제1모듈과 제2모듈과 제3모듈이 차례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제1모듈의 제1롤러회전부(125)와 제2모듈의 제1롤러회전부(125)가 가상의 제1평면에 배치되어 지지연결부(미도시)에 의해 연결되고, 제2모듈의 제2롤러회전부(126)와 제3모듈의 제2롤러회전부(126)가 제1평면과 평행한 가상의 제2평면에 배치되어 지지연결부(미도시)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Here,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roller modules 12, the first roller rotating part 125 of the first module on the basis that the first module, the second module, and the third module, which are three adjacent roller modules 12, are sequenti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and the first roller rotating part 125 of the second module are arranged on a first virtual plane and connected by a support connecting part (not shown), and the second roller rotating part 126 of the second module and the third of the third module The two-roller rotating part 126 is disposed on a second virtual plane parallel to the first plane and connected by a support connection part (not shown).

또한, 롤러모듈(12)과 롤러구동모듈(13)의 연결에 대하여 제1롤러회전부(125)와 제1구동회전부(132)는 가상의 제1평면에 배치되어 지지연결부(미도시)에 의해 연결되고, 제2롤러회전부(126)와 제2구동회전부(133)는 제1평면과 평행한 가상의 제2평면에 배치되어 지지연결부(미도시)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roller module 12 and the roller driving module 13, the first roller rotating unit 125 and the first driving rotating unit 132 are disposed on a first virtual plane and are connected by a supporting connection unit (not shown). connected, and the second roller rotating unit 126 and the second driving rotating unit 133 are disposed on a second virtual plane parallel to the first plane to be connected by a support connection unit (not shown).

컨베이어유닛(10)의 동작을 살펴보면, 반입되는 파이프가 안착되고, 베벨링 작업에 필요한 파이프의 센터링에 대응하여 승강유닛(20)에 의해 컨베이어유닛(10)이 승강 이동됨에 따라 파이프의 높이가 결정되면, 컨베이어유닛(10)은 베벨링 작업을 위해 롤러부재(121)를 회전시키므로, 파이프의 단부가 해당 베벨링유닛(30)에 전달되도록 한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conveyor unit 10, the pipe to be brought in is seated, and the height of the pipe is determined as the conveyor unit 1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elevating unit 20 in response to the centering of the pipe required for the beveling operation. When done, the conveyor unit 10 rotates the roller member 121 for the beveling operation, so that the end of the pipe is transferred to the corresponding beveling unit 30 .

좀더 자세하게, 파이프의 이동에 필요한 수치는 설계소프트웨어의 배관제작도면에서 추출되어 길이컨트롤러에 자동으로 전송되도록 하여 컨베이어유닛(10)이 자동으로 파이프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more detail, the numerical value required for the movement of the pipe is extracted from the pipe production drawing of the design software and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length controller so that the conveyor unit 10 can automatically move the pipe.

컨베이어유닛(10)의 롤러부재(121)에 가공하고자 하는 파이프가 안착되면, 컨베이어유닛(10)은 파이프를 정확히 필요한 거리만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 pipe to be processed is seated on the roller member 121 of the conveyor unit 10, the conveyor unit 10 can automatically move the pipe by an exact required distance.

일측의 베벨링유닛(30)에서 베벨링모듈(31)에 구비된 가공팁의 위치와 컨베이어유닛(10)에 안착된 파이프의 일단부 사이의 거리를 h1이라고 하면, 컨베이어유닛(10)은 파이프를 일측의 베벨링유닛(30) 쪽으로 h1+m1(보정값) 만큼 이동시킨다. 이때, 일측의 베벨링모듈(31)에 구비된 스토퍼에 파이프의 일단부가 접촉되면, 컨베이어유닛(10)은 파이프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일측의 베벨링모듈(31)은 파이프의 일단부에 대한 베벨링 작업을 실시한다. 여기서, m1(보정값)은 롤러부재(121)의 슬립(slip)이나 원점 오차 등과 같은 오류를 보정하는 값이다. 또한, 컨베이어유닛(10)은 파이프를 일측의 베벨링모듈(31)로 충분히 이동시킬 수 있고, 파이프가 필요 이상으로 이동되더라도 스토퍼에 의해 정지되므로, 파이프의 일단부를 일측의 베벨링모듈(31)에 안정되게 정위치시킬 수 있다.If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processing tip provided in the beveling module 31 and one end of the pipe seated on the conveyor unit 10 in the beveling unit 30 on one side is h1, the conveyor unit 10 is a pipe is moved to the side of the beveling unit 30 by h1+m1 (correction value). At this time, when one end of the pipe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provided in the beveling module 31 on one side, the conveyor unit 10 stops the movement of the pipe, and the beveling module 31 on the one side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ipe. Perform beveling. Here, m1 (correction value) is a value for correcting errors such as slip of the roller member 121 or an origin error. In addition, the conveyor unit 10 can sufficiently move the pipe to the beveling module 31 on one side, and even if the pipe is moved more than necessary, it is stopped by the stopper, so that one end of the pipe is connected to the beveling module 31 on one side. can be placed in a stable position.

파이프의 일단부에서 베벨링 작업이 완료되면, 해당 파이프를 타측의 베벨링유닛(30)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때, 설계소프트웨어를 통해 생성된 배관제작도면에서 필요한 길이만큼 자동으로 절단된 파이프의 길이데이터(LD)가 생산정보시스템을 통해 컨베이어유닛(10)에 전송된다. 컨베이어유닛(10)의 길이를 CL 이라고 하고, 일측의 베벨링모듈(31)에 구비된 가공팁과 타측의 베벨링모듈(31)에 구비된 가공팁 사이의 거리를 TL(TL=CL+A) 이라고 하며, 여기서, A는 컨베이어유닛(10)의 일단부의 일측의 베벨링모듈(31)의 가공팁 사이의 거리(a)의 2배를 나타낸다.When the beveling operation is completed at one end of the pipe, the pipe must be moved to the beveling unit 30 on the other side. At this time, the length data (LD) of the pipe automatically cut to the required length in the pipe production drawing generated through the design software is transmitted to the conveyor unit 10 through the production information system. Let the length of the conveyor unit 10 be CL,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rocessing tip provided in the beveling module 31 on one side and the processing tip provided in the beveling module 31 on the other side is TL (TL=CL+A) ), where A represents twice the distance (a) between the processing tips of the beveling module 31 on one side of one end of the conveyor unit 10 .

이때, 타측의 베벨링모듈(31)에 구비된 스토퍼에 파이프의 타단부가 접촉되면, 컨베이어유닛(10)은 파이프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타측의 베벨링모듈(31)은 파이프의 타단부에 대한 베벨링 작업을 실시한다. 여기서, m2(보정값)는 롤러부재(121)의 슬립(slip)이나 원점 오차 등과 같은 오류를 보정하는 값이다. 또한, 컨베이어유닛(10)은 파이프를 타측의 베벨링모듈(31)로 충분히 이동시킬 수 있고, 파이프가 필요 이상으로 이동되더라도 스토퍼에 의해 정지되므로, 파이프의 타단부를 타측의 베벨링모듈(31)에 안정되게 정위치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other end of the pip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provided in the beveling module 31 of the other side, the conveyor unit 10 stops the movement of the pipe, and the beveling module 31 of the other side is at the other end of the pipe. Perform beveling work for Here, m2 (correction value) is a value for correcting errors such as slip of the roller member 121 or an origin error. In addition, the conveyor unit 10 can sufficiently move the pipe to the beveling module 31 of the other side, and even if the pipe is moved more than necessary, it is stopped by the stopper,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pipe is moved to the beveling module 31 of the other side. ) can be placed in a stable position.

파이프의 타단부에서 베벨링 작업이 완료되면, 해당 파이프를 베벨링모듈(31)로부터 이격시켜 컨베이어유닛(10)에 배치되도록 해야 한다. 이때, 컨베이어유닛(10)은 파이프를 일측의 베벨링모듈(31) 쪽으로 a+m3(보정값) 과 같거나 크고 CL-LD+a 와 같거나 작도록 이동시키므로, 파이프를 컨베이어유닛(10)에 정위치시키므로, 배출유닛(50)에 의해 파이프를 외부 간섭없이 컨베이어유닛(1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When the beveling operation is completed at the other end of the pipe, the pipe should be spaced apart from the beveling module 31 to be disposed on the conveyor unit 10 . At this time, the conveyor unit 10 moves the pipe toward the beveling module 31 on one side so that 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 m3 (correction value) and equal to or less than CL-LD + a, so that the pipe is moved to the conveyor unit (10) Since it is positioned at the ,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pipe from the conveyor unit 10 without external interference by the discharge unit 50 .

주목할 부분은 설계소프트웨어를 통해 생성된 배관제작도면에서 파이프의 외경과, 길이데이터를 컨베이어유닛의 길이컨트롤러로 전송하므로, 컨베이어유닛(10)에서 파이프가 이동해야 하는 높이와 길이를 자동을 설정하고, 파이프를 해당 베벨링모듈(31)의 가공팁 쪽으로 정확하게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보정값은 현장에서 확인된 사항을 부가하므로, 실제 파이프의 이동에서 발생되는 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A notable part is that the pipe outer diameter and length data are transmitted to the length controller of the conveyor unit in the pipe production drawing created through the design software, so the height and length that the pipe must move in the conveyor unit 10 are automatically se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transfer the pipe toward the processing tip of the beveling module 31 . Here, since the correction value adds the items confirmed in the fiel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rror occurring in the actual movement of the pipe.

또한, 길이컨트롤러는 가공팁에 가까워짐에 따라 파이프의 이동 속도가 줄어들도록 컨베이어유닛(10)을 안정되게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controller can stably control the conveyor unit 10 so that the moving speed of the pipe is reduced as it approaches the processing tip.

승강유닛(20)은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하여 컨베이어유닛(10)을 승강 이동시킨다. 승강유닛(20)은 바닥에 지지된 상태에서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하여 바닥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컨베이어유닛(10)을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The lifting unit 20 moves the conveyor unit 10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pipe. The elevating unit 20 may elevate and move the conveyor unit 10 spaced apart from the floor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pipe in a state supported on the floor.

승강유닛(20)은 컨베이어유닛(10)의 승강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켜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승강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승강구동부(21)와, 승강구동축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전달축부(22)와, 승강구동부(21)에서 발생된 회전력이 제1전달축부(22)에 전달되도록 승강구동축과 제1전달축부(22)를 연결시키는 제1변환부(23)와, 제1전달축부(22)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제1전달축부(22)에 전달된 회전력으로 컨베이어유닛(10)을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vating unit 20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for elevating the conveyor unit 10 to rotate the elevating drive shaft forming the center of rotation, and the elevating drive unit 21 is formed lo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ing drive shaft. A first transmission shaft 22 and a first conversion unit 23 connecting the lifting drive shaft and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22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in the lifting drive unit 21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portion 22; It may include a lifting modul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portion 22 and moving the conveyor unit 10 up and down with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portion 22, respectively.

승강모듈은 제1전달축부(22)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전달축부(24)와, 제1전달축부(22)에 전달된 회전력이 제2전달축부(24)에 전달되도록 제1전달축부(22)의 양단부에 각각 제2전달축부(24)를 연결시키는 제2변환부(25)와, 제1전달축부(22)의 길이 방향과 제2전달축부(24)의 길이 방향에 모두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승강축부(26)와, 제2전달축부(24)에 전달된 회전력이 승강축부(26)에 전달되도록 제2전달축부(24)의 양단부에 각각 승강축부(26)를 연결시키는 승강변환부(27)와, 승강축부(26)에 전달되는 회전력으로 승강 이동되는 승강블럭(28)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블럭(28)에는 승강축부(26)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승강블럭(28)은 컨베이어유닛(10)의 프레임모듈(11)에 결합된다.The elevating module includes a second transmission shaft portion 24 that is elong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portion 22 , and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portion 22 is appli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portion 24 . A second conversion unit 25 for connecting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portion 24 to both ends of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portion 22 to be transmitted, respectively,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portion 22 and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portion 24 At both ends of the lifting shaft portion 26 and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portion 24 formed to be elongated in a direction crossing all the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portion 24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portion 24 is transmitted to the lifting shaft portion 26, respectively. It may include a lifting conversion unit 27 for connecting the lifting shaft portion 26, and a lifting block 28 that is moved by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lifting shaft portion 26. An end of the lifting shaft 26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lifting block 28 . The lifting block 28 is coupled to the frame module 11 of the conveyor unit 10 .

승강유닛(20)의 동작을 살펴보면, 반입되는 파이프가 컨베이어유닛(10)에 안착되면, 베벨링 작업에 필요한 파이프의 센터링을 위해 반입되는 파이프의 중심과 베벨링유닛(30)에서 파이프의 센터링 중심이 일치되도록 승강유닛(20)은 반입되는 파이프의 중심과 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컨베이어유닛(10)을 승강 이동시키므로, 파이프의 높이를 결정하여 파이프를 정위치시킬 수 있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unit 20, when the incoming pipe is seated on the conveyor unit 10, the center of the incoming pipe for centering the pipe required for beveling and the centering center of the pipe in the beveling unit 30 The lifting unit 20 moves the conveyor unit 10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pipe and the center of the pipe to be brought in so that the height of the pipe can be determined and the pipe can be positioned.

좀더 자세하게, 파이프의 승강에 필요한 수치는 설계소프트웨어의 배관제작도면에서 추출되어 승강컨트롤러에 자동으로 전송되도록 하여 승강유닛(20)이 자동으로 파이프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more detail, the numerical value required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pipe is extracted from the pipe production drawing of the design software and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elevating controller so that the elevating unit 20 can automatically elevate the pipe.

컨베이어유닛(10)의 롤러부재(121)에 가공하고자 하는 파이프가 안착되면, 승강유닛(20)은 파이프의 중심과 베벨링모듈(31)의 가공센터를 자동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When the pipe to be processed is seated on the roller member 121 of the conveyor unit 10 , the lifting unit 20 may automatically match the center of the pipe with the processing center of the beveling module 31 .

바닥을 기준으로 하는 디폴트된 베벨링모듈(31)의 가공센터의 높이를 VC 라 하고, 바닥을 기준으로 디폴트된 컨베이어유닛(10)의 높이(파이프가 맞닿는 부분)를 CH 라 하며, 파이프의 외부 직경(Outside Diameter)을 OD 라 하면, 승강유닛(20)은 VC-CH-(OD/2) 만큼 컨베이어유닛을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VC-CH-(OD/2) 가 0 보다 큰 양수를 나타내는 경우, 승강유닛(20)은 컨베이어유닛(10)을 절대값 만큼 상승시키고, VC-CH-(OD/2) 가 0 보다 작은 음수를 나타내는 경우, 승강유닛(10)은 절대값만큼 하강시키며, VC-CH-(OD/2) 가 0 인 경우, 센터링이 자동으로 완료된 것이므로, 컨베이어유닛(10)에 안착된 파이프의 중심과 베벨링모듈(31)의 가공센터를 자동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Let the height of the processing center of the default beveling module 31 based on the floor be VC, and the default height of the conveyor unit 10 (the part where the pipe abuts) with respect to the floor is CH, and the outside of the pipe If the diameter (Outside Diameter) is OD, the lifting unit 20 may lift and move the conveyor unit by VC-CH-(OD/2). Here, when VC-CH-(OD/2) represents a positive number greater than zero, the lifting unit 20 raises the conveyor unit 10 by an absolute value, and VC-CH-(OD/2) is greater than zero. When a small negative number is indicated, the lifting unit 10 descends by an absolute value, and when VC-CH-(OD/2) is 0, centering is automatically completed, so the center of the pipe seated on the conveyor unit 10 and the machining center of the beveling module 31 can be automatically matched.

파이프의 가공이 완료되어 파이프가 컨베이어유닛(10)에서 분리된 다음, 승강유닛(10)은 초기값이 세팅되어 컨베이어유닛(10)을 초기 상태로 복귀시켜 후속하는 파이프를 전달받을 수 있다.After processing of the pipe is completed and the pipe is separated from the conveyor unit 10 , an initial value is set for the lifting unit 10 to return the conveyor unit 10 to the initial state to receive the subsequent pipe.

주목할 부분은 설계소프트웨어를 통해 생성된 배관제작도면에서 파이프의 외경과, 길이데이터를 컨베이어유닛의 승강컨트롤러로 전송하므로, 컨베이어유닛(10)에서 파이프가 승강되어야 하는 높이를 자동 설정하고, 파이프를 기설정된 높이로 정확하게 승강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A notable part is that the pipe outer diameter and length data are transmitted to the lifting controller of the conveyor unit in the pipe manufacturing drawing created through the design software, so the height at which the pipe should be lifted is automatically set in the conveyor unit 10 It is possible to move up and down accurately to the set height.

베벨링유닛(30)은 컨베이어유닛(10)의 일측 또는 컨베이어유닛(10)의 양측에 구비된다. 베벨링유닛(30)은 파이프의 단부를 베벨링 작업하게 된다.The beveling unit 3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veyor unit 10 or on both sides of the conveyor unit 10 . The beveling unit 30 is beveling the end of the pipe.

베벨링유닛(30)은 컨베이어유닛(10)의 단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파이프의 단부를 베벨링 작업하는 베벨링모듈(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베벨링모듈(31)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The beveling unit 30 may include a beveling module 31 disposed to face the end of the conveyor unit 10 and beveling the end of the pipe. Such a beveling module 31 may be applied in a variety of known forms.

베벨링유닛(30)은 파지모듈(32)과 슬라이딩모듈(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eveling unit 3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the holding module 32 and the sliding module 33 .

파지모듈(32)은 컨베이어유닛(10)과 베벨링모듈(31) 사이에 구비되고, 베벨링모듈(31)에 전달되는 파이프를 파지한다. 파지모듈(32)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The gripping module 32 is provided between the conveyor unit 10 and the beveling module 31 , and grips the pipe delivered to the beveling module 31 . The holding module 32 can be applied in various known forms.

슬라이딩모듈(33)은 컨베이어유닛(10)과 베벨링모듈(31) 사이에 구비되고, 컨베이어유닛(10)으로부터 베벨링모듈(31)에 전달되는 파이프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슬라이딩모듈(33)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일예로, 슬라이딩모듈(33)에는 컨베이어유닛(10)의 롤러모듈(12) 중 적어도 롤러부재(121)가 적용될 수 있다. 슬라이딩모듈(33)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되기도 하고, 컨베이어유닛(10)에 의해 이동하는 파이프에 의해 무동력으로 동작될 수 있다.The sliding module 33 is provided between the conveyor unit 10 and the beveling module 31 , and slidably supports the pipe transferred from the conveyor unit 10 to the beveling module 31 . The sliding module 33 can be applied in a variety of known forms. For example, at least the roller member 121 among the roller modules 12 of the conveyor unit 10 may be applied to the sliding module 33 . The sliding module 33 may be operated by an applied power or may be operated without power by a pipe moving by the conveyor unit 10 .

베벨링유닛(30)은 승강정위치모듈(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정위치모듈(34)은 컨베이어유닛(10)의 승강 이동에 대응하여 파지모듈(32)과 슬라이딩모듈(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승강 이동시킨다. 승강정위치모듈(34)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승강정위치모듈(34)은 승강모듈()의 일부 또는 전체가 적용될 수 있다.The beveling unit 30 may further include a lifting position module 34 . The lifting stationary position module 34 moves at least one of the holding module 32 and the sliding module 33 up and down in response to the lifting movement of the conveyor unit 10 . The elevating stationary position module 34 can be applied in a variety of known forms. A part or all of the lifting module ( ) may be applied to the elevating stationary position module 34 .

베벨링유닛(30)의 동작을 살펴보면,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하여 컨베이어유닛(10)의 승강 이동함에 따라 승강정위치모듈(34)은 파지모듈(32)과 슬라이딩모듈(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승강 이동시킨다. 컨베이유닛(10)의 승강 이동이 완료되면, 컨베이유닛(10)의 상단부와 슬라이딩모듈(33)의 상단부가 실질적으로 일치된다. 컨베이유닛(10)과 슬라이딩모듈(33) 중 적어도 컨베이어유닛(10)이 파이프를 이동시킴에 따라 파이프의 단부는 슬라이딩모듈(33)을 거쳐 베벨링모듈(31)에 정위치된다. 그리고 파지모듈(32)은 베벨링모듈(31)에 정위치된 파이프를 파지하고, 베벨링모듈(31)은 파이프의 단부에 대한 베벨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베벨링 작업이 완료되면, 파이프는 베벨링모듈(31)에서 분리되고, 파지모듈(32)은 파이프의 파지를 해제하며, 컨베이유닛(10)과 슬라이딩모듈(33) 중 적어도 컨베이어유닛(10)이 파이프를 이동시킴에 따라 파이프의 단부는 슬라이딩모듈(33)을 거쳐 컨베이유닛(10)으로 복귀하게 된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beveling unit 30 , as the conveyor unit 10 moves up and down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pipe, the elevating position module 34 is at least one of the holding module 32 and the sliding module 33 . move up and down. When the lifting movement of the conveyor unit 10 is completed, the upper end of the conveyor unit 10 and the upper end of the sliding module 33 substantially coincide. As at least the conveyor unit 10 of the conveyor unit 10 and the sliding module 33 moves the pipe, the end of the pipe is positioned in the beveling module 31 via the sliding module 33 . And the gripping module 32 grips the pipe positioned in the beveling module 31, and the beveling module 31 may perform beveling on the end of the pipe. When the bevel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pipe is separated from the beveling module 31, the holding module 32 releases the holding of the pipe, and at least the conveyor unit 10 among the conveyor unit 10 and the sliding module 33. As the pipe is moved, the end of the pipe is returned to the conveyor unit 10 through the sliding module 33 .

배출유닛(50)은 베벨링 작업을 마친 파이프를 컨베이어유닛(10)에서 배출시킨다.The discharge unit 50 discharges the pipe after the beveling operation is completed from the conveyor unit 10 .

배출유닛(50)은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컨베이어유닛에 고정되는 배출브라켓(51)과, 컨베이어유닛(10)을 기준으로 파이프가 배출되는 쪽에서 파이프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배출브라켓(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축부(52)와, 컨베이어유닛(10)에 안착되는 파이프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다수 개가 배출축부(52)를 따라 상호 이격되고 일단부가 배출축부(52)에 결합되어 배출축부(52)를 기준으로 배출축부(52)와 함께 회전 가능한 배출날개부(53)와, 컨베이어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력으로 배출날개부(53) 중 어느 하나를 승강 이동시키는 배출구동모듈(54)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50 is dispos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from the side where the pipe is discharged with respect to the conveyor unit 10 and the discharge bracket 51 fixed to the conveyor unit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discharge bracket 51 ) and the discharge shaft part 52 rotatably coupled to the conveyor unit 10 so as to be disposed under the pipe seated on the conveyor unit 10, a plurality of them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discharge shaft part 52,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discharge shaft part 52 A discharge wing 53 rotatable together with the discharge shaft 52 based on the discharge shaft 52,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conveyor unit 10, and lifting and moving any one of the discharge blades 53 by rotational force It may include an exhaust drive module 54 to make the

또한, 배출유닛(50)은 배출구동모듈(54)에서 이격되어 컨베이어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배출구동모듈(54)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배출날개부(53) 중 다른 하나를 승강 이동시키는 배출지지모듈(55)과, 배출구동모듈(54)과 배출지지모듈(55)을 연결하여 배출구동모듈(54)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배출지지모듈(55)에 전달하는 연결축모듈(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50 is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drive module 54,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nveyor unit 10,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discharge drive module 54, the other one of the discharge wings (53) A connecting shaft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discharge support module 54 to the discharge support module 55 by connecting the discharge support module 55 for elevating and moving the exhaust drive module 54 and the discharge support module 55 . A module 56 may be further included.

배출브라켓(51)은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컨베이어유닛(10)의 프레임모듈(11)에 고정된다. 배출브라켓(51)의 일부는 컨베이어유닛(10)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배출축부(52)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한다.Two or more discharge brackets 5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ixed to the frame module 11 of the conveyor unit 10 . A part of the discharge bracket 51 protrudes to one side of the conveyor unit 10 so that the discharge shaft 52 is rotatably supported.

배출축부(52)는 배출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배출지지부는 배출브라켓(51)에 결합된다.The discharge shaft part 52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discharge support part. The discharge support is coupled to the discharge bracket (51).

배출날개부(53)는 배출축부(52)에서 돌출 형성된다. 배출날개부(53)에는 컨베이어유닛(10)에 안착되는 파이프가 간섭되지 않도록 간섭방지홈부가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간섭방지홈부에 안착된 파이프는 배출날개부(53)가 배출축부(52)를 기준으로 회전될 때, 배출날개부(5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출날개부(53)의 일단부에는 배출축부(52)가 결합되는 배출축결합부(531)가 구비된다. 배출구동모듈(54)에 대응하여 배출날개부(53) 중 어느 하나에는 배출날개결합부(532)가 구비되어 배출구동모듈(54)이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배출지지모듈(55)에 대응하여 배출날개부(53) 중 다른 하나에도 배출날개결합부(532)가 구비되어 배출지지모듈(55)이 결합되도록 한다. 배출날개결합부(532)는 배출축결합부(531)로부터 배출날개부(53)의 자유단을 향해 이격 배치된다.The discharge wing portion 53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discharge shaft portion (52). It is preferable that an interference prevention groove is formed in the discharge wing 53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ipe seated on the conveyor unit 10 . In addition, the pipe seated in the interference prevention groov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discharge wing 53 when the discharge wing 53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shaft 52 . A discharge shaft coupling part 531 to which the discharge shaft part 52 is coupled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discharge wing part 53 . In response to the discharge drive module 54, any one of the discharge wing parts 53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wing coupling part 532 so that the discharge drive module 54 is coupled. In addition, in response to the discharge support module 55, the other one of the discharge wing parts 53 is also provided with a discharge wing coupling part 532 so that the discharge support module 55 is coupled. The discharge wing coupling portion 532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shaft coupling portion 531 toward the free end of the discharge wing portion (53).

배출구동모듈(54)은 배출날개부(53)의 정역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배출구동부(541)와, 배출구동부(541)의 배출구동축에 결합되는 축이음부(542)와, 축이음부(542)와 결합되고 축이음부(542)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으로 배출날개부(53)를 승강 이동시키는 배출전달모듈(543)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drive module 54 includes a discharge drive unit 541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discharge wing unit 53, a shaft joint 542 coupled to the discharge drive shaft of the discharge drive unit 541, and the shaft It may include a discharge transmission module 543 that is coupled to the negative portion 542 and moves the discharge wing portion 53 up and down with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shaft joint 542 .

축이음부(542)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축이음부(542)는 배출구동부(541)를 배출전달모듈(543)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shaft joint 542 may have a variety of known shapes. The shaft joint 542 may fix the discharge driving unit 541 to the discharge transmission module 543 .

배출전달모듈(543)은 축이음부(542)와 동축으로 결합되는 배출전달축(5441)과, 배출전달축(5441)과 교차되도록 배치되고 단부가 배출날개부(53)에 링크 결합되는 승강전달축부(545)와, 배출전달축(5441)에 전달되는 회전력으로 승강전달축부(545)가 승강 이동되도록 배출전달축(5441)과 승강전달축부(545)를 연결시키는 배출전달변환부(544)와, 컨베이어유닛(10)의 프레임모듈(11)에 배출전달변환부(544)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전달피벗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transmission module 543 is disposed so as to intersect the discharge transmission shaft 5441 and the discharge transmission shaft 5441 coaxially coupled to the shaft joint 542, the end of which is linked to the discharge wing 53. The transmission shaft portion 545 and the discharge transmission conversion unit 544 connecting the discharge transmission shaft 5441 and the lifting transmission shaft portion 545 so that the lifting transmission shaft portion 545 is moved by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discharge transmission shaft 5441. ) and a transmission pivot module for rotatably coupling the discharge transmission conversion unit 544 to the frame module 11 of the conveyor unit 10 .

전달피벗모듈이 컨베이어유닛(10)의 프레임모듈(11)에 결합된다는 것은, 전달피벗모듈이 컨베이어유닛(10)의 프레임모듈(11)에 직접 결합되는 구조, 전달피벗모듈이 배출브라켓(51)에 결합되는 구조, 전달피벗모듈이 프레임모듈(11)과 배출브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배출전달브라켓에 결합되는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of the delivery pivot module to the frame module 11 of the conveyor unit 10 means that the delivery pivot module is directly coupled to the frame module 11 of the conveyor unit 10, and the delivery pivot module is a discharge bracket (51).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tructure coupled to the ,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transmission pivot module is coupled to a discharge transmission bracket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frame module 11 and the discharge bra*.

전달피벗모듈은 컨베이어유닛(10)의 프레임모듈(11) 또는 배출브라켓(51) 또는 프레임모듈(11)과 배출브라켓(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배출전달브라켓에 구비되는 전달모듈브라켓과, 전달피벗축(5471)을 매개로 전달모듈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달피벗브라켓(547)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달피벗브라켓(547)은 배출전달변환부(544)에 고정된다.The delivery pivot module includes a delivery module bracket provided in the frame module 11 or the discharge bracket 51 of the conveyor unit 10 or the discharge transmission bracket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frame module 11 and the discharge bracket 51; , it may include a transmission pivot bracket (547) rotatably coupled to the transmission module bracket via the transmission pivot shaft (5471). The transmission pivot bracket 547 is fixed to the discharge transmission conversion unit 544 .

배출전달모듈(543)은 승강전달축부(545)의 승강 이동에 대응하여 승강전달축부(545)를 가이드하는 승강전달가이드(5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전달가이드(546)는 배출전달변환부(544) 또는 전달피벗브라켓(547)에 결합되고, 승강전달가이드(546)가 삽입될 수 있다.The discharge transmission module 543 may further include an elevation transmission guide 546 for guiding the elevation transmission shaft portion 545 in response to the elevation movement of the elevation transmission shaft portion 545 . The elevating transfer guide 546 is coupled to the discharge transfer conversion unit 544 or the transfer pivot bracket 547, and the elevating transfer guide 546 may be inserted.

배출전달모듈(543)은 승강전달가이드(546)에 결합되어 승강전달축부(545)의 승강이동 한계를 감지하는 전달한계감지부(5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달한계감지부(548)는 승강전달축부(545)가 최대로 상승한 상태를 감지하는 전달상한감지부(5482)와, 승강전달축부(545)가 최대로 하강한 상태를 감지하는 전달하한감지부(5483)를 포함하고, 승강전달가이드(546)에 전달상한감지부(5482)와 전달하한감지부(5483)를 결합시키는 전달한계브라켓(54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달한계브라켓(5481)은 전달상한감지부(5482)를 승강전달가이드(546)에 결합시키는 제1전달브라켓과, 제1전달브라켓에서 이격되어 전달하한감지부(5483)를 승강전달가이드(546)에 결합시키는 제2전달브라켓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discharge transmission module 543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ssion limit detection unit 548 coupled to the elevation transmission guide 546 to detect a limit of the elevation movement of the elevation transmission shaft unit 545 . The transmission limit detection unit 548 includes a transmission upper limit detection unit 5482 that detects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transmission shaft unit 545 is maximally raised, and a transmission lower limi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transmission shaft unit 545 is lowered to the maximum. Including 5483, it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ssion limit bracket 5481 for coupling the transmission upper limit detection unit 5482 and the transmission lower limit detection unit 5483 to the elevating transmission guide 546. The transfer limit bracket 5481 includes a first transfer bracket that couples the upper transfer limit sensing unit 5482 to the elevating transfer guide 546, and the lower transfer limit sensing unit 5483 separated from the first transfer bracket to move the elevating transfer guide 546. ) can be divided into a second transfer bracket coupled to the

배출지지모듈(55)은 축이음부(542)와 동축으로 결합되는 배출지지축(5511)과, 배출지지축(5511)과 교차되도록 배치되고 단부가 배출날개부(53)에 링크 결합되는 승강지지축부(552)와, 배출지지축(5511)에 전달되는 회전력으로 승강지지축부(552)가 승강 이동되도록 배출지지축(5511)과 승강지지축부(552)를 연결시키는 배출지지변환부(551)와, 컨베이어유닛(10)의 프레임모듈(11)에 배출지지변환부(551)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지지피벗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support module 55 is disposed so as to intersect the discharge support shaft 5511 coaxially coupled to the shaft joint 542 and the discharge support shaft 5511 and has an end linked to the discharge wing 53. The support shaft part 552 and the discharge support conversion part 551 connecting the discharge support shaft 5511 and the elevation support shaft part 552 so that the lifting support shaft part 552 is moved up and down by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discharge support shaft 5511. ) and a support pivot module for rotatably coupling the discharge support conversion unit 551 to the frame module 11 of the conveyor unit 10 .

지지피벗모듈이 컨베이어유닛(10)의 프레임모듈(11)에 결합된다는 것은, 지지피벗모듈이 컨베이어유닛(10)의 프레임모듈(11)에 직접 결합되는 구조, 지지피벗모듈이 배출브라켓(51)에 결합되는 구조, 지지피벗모듈이 프레임모듈(11)과 배출브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배출지지브라켓에 결합되는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ct that the support pivot module is coupled to the frame module 11 of the conveyor unit 10 means that the support pivot module is directly coupled to the frame module 11 of the conveyor unit 10, and the support pivot module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bracket (51). It may include at least any one of a structure coupled to the ,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 pivot module is coupled to a discharge support bracket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frame module 11 and the discharge bra*.

지지피벗모듈은 컨베이어유닛(10)의 프레임모듈(11) 또는 배출브라켓(51) 또는 프레임모듈(11)과 배출브라켓(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배출지지브라켓에 구비되는 지지모듈브라켓과, 지지피벗축(5541)을 매개로 지지모듈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피벗브라켓(554)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피벗브라켓(554)은 배출지지변환부(551)에 고정된다.The support pivot module includes a support module bracket provided in the frame module 11 or the discharge bracket 51 of the conveyor unit 10 or the discharge support bracket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frame module 11 and the discharge bracket 51; , may include a support pivot bracket 554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module bracket via the support pivot shaft 5541. The support pivot bracket 554 is fixed to the discharge support conversion part 551 .

배출지지모듈(55)은 승강지지축부(552)의 승강 이동에 대응하여 승강지지축부(552)를 가이드하는 승강지지가이드(5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지지가이드(553)는 배출지지변환부(551) 또는 지지피벗브라켓(554)에 결합되고, 승강지지가이드(553)가 삽입될 수 있다.The discharge support module 55 may further include an elevation support guide 553 for guiding the elevation support shaft part 552 in response to the elevation movement of the elevation support shaft part 552 . The lifting support guide 553 is coupled to the discharge support conversion unit 551 or the support pivot bracket 554, and the lifting support guide 553 may be inserted.

배출지지모듈(55)은 승강지지가이드(553)에 결합되어 승강지지축부(552)의 승강이동 한계를 감지하는 지지한계감지부(5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한계감지부(555)는 승강지지축부(552)가 최대로 상승한 상태를 감지하는 지지상한감지부(5552)와, 승강지지축부(552)가 최대로 하강한 상태를 감지하는 지지하한감지부(5553)를 포함하고, 승강지지가이드(553)에 지지상한감지부(5552)와 지지하한감지부(5553)를 결합시키는 지지한계브라켓(55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한계브라켓(5551)은 지지상한감지부(5552)를 승강지지가이드(553)에 결합시키는 제1지지브라켓과, 제1지지브라켓에서 이격되어 지지하한감지부(5553)를 승강지지가이드(553)에 결합시키는 제2지지브라켓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discharge support module 55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limit detection unit 555 coupled to the lifting support guide 553 to sense the lifting movement limit of the lifting support shaft 552 . The support limit detection unit 555 includes a support upper limit detection unit 5552 for detect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support shaft part 552 is maximally raised, and a lower limi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support shaft part 552 is lowered to the maximum. Including 5553, 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limit bracket 5551 for coupling the upper support limit detection unit 5552 and the support lower limit detection unit 5553 to the lifting support guide 553. The support limit bracket 5551 includes a first support bracket that couples the upper support limit detection unit 5552 to the lifting support guide 553,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bracket to connect the lower support limit detection unit 5553 to the lifting support guide 553. ) can be divided into a second support bracket coupled to the

연결축모듈(56)은 배출축부(52)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컨베이어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축부(561)와,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컨베이어유닛(10)에 결합되고, 연결축부(56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연결지지부(562)와, 연결축부(561)의 일단부와 배출구동모듈(54)을 연결시키고 연결축부(561)의 타단부와 배출지지모듈(55)을 연결시키는 연결조인트(563)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shaft module 56 is dispos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shaft 52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conveyor unit 10 , and two or mor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the conveyor unit 10 . A connection support part 562 coupled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connection shaft part 561, one end of the connection shaft part 561 and the discharge drive module 54 are connected,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shaft part 561 and the discharge support A connection joint 563 for connecting the modules 55 may be included.

연결축부(561)가 컨베이어유닛(10)에 결합된다는 것은 연결축부(561)가 연결지지부(562)를 매개로 컨베이어유닛(10)에 직접 결합되는 구조, 연결축부(561)가 연결지지부(562)를 매개로 배출브라켓(51)에 결합되는 구조, 연결축부(561)가 연결지지부(562)를 매개로 프레임모듈(11)과 배출브라켓(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배출지지브라켓에 결합되는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shaft portion 561 coupled to the conveyor unit 10 means that the connection shaft portion 561 is directly coupled to the conveyor unit 10 via the connection support portion 562, and the connection shaft portion 561 is the connection support portion 562. ) through a structure coupled to the discharge bracket 51, the connection shaft portion 561 is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frame module 11 and the discharge bracket 51 through the connection support portion 562 to the discharge support bracket It may include at least any one of the combined structures.

연결축부(561)는 배출축부(52)와 평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축부(561)는 아이들 상태에서 배출구동부(541)의 배출구동축, 배출전달변환부(544)의 배출전달축(5441), 배출지지변환부(551)의 배출지지축(5511)들과 동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ng shaft portion 561 is preferably parallel to the discharge shaft portion 52 . The connecting shaft portion 561 is coaxial with the discharge drive shaft of the discharge drive unit 541 in the idle state, the discharge transmission shaft 5441 of the discharge transmission conversion unit 544, and the discharge support shafts 5511 of the discharge support conversion unit 551 It is desirable to achieve

연결조인트(563)는 연결축부(561)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조인트로드(5631)와, 제1조인트로드(5631)에서 이격 배치되는 제2조인트로드(5632)와, 배출구동모듈(54) 또는 배출지지모듈(55)에 결합되는 제3조인트로드(5633)와, 제3조인트로드(5633)에서 이격 배치되는 제4조인트로드(5634)와, 제1조인트로드(5631)와 제2조인트로드(5632)를 링크 결합시키는 제1연결링크(5636)와, 상호 인접한 제2조인트로드(5632)와 제4조인트로드(5634)를 동축으로 결합시키는 축고정부(5635)와, 제3조인트로드(5633)와 제4조인트로드(5634)를 링크 결합시키는 제2연결링크(5637)를 포함할 수 있다. 축고정부(5635)는 제2조인트로드(5632)와 제4조인트로드(5634)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제2조인트로드(5632)와 제4조인트로드(5634) 중 다른 하나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축고정부(5635)는 스플라인 결합 방식이 적용되므로, 회전력의 전달과 함께 왕복 이동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The connecting joint 563 includes a first joint rod 5631 coupled to an end of the connecting shaft portion 561 , a second joint rod 5632 spaced apart from the first joint rod 5631 , and a discharge drive module 54 . ) or a third joint rod 5633 coupled to the discharge support module 55, a fourth joint rod 5634 spaced apart from the third joint rod 5633, a first joint rod 5631 and a second A first connecting link 5636 for link coupling the joint rod 5632, a shaft fixing part 5635 for coaxially coupling a second joint rod 5632 and a fourth joint rod 5634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third joint It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link 5637 for link coupling the rod 5633 and the fourth joint rod (5634). The shaft fixing part 5635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second joint rod 5632 and the fourth joint rod 5634, and can reciprocate to the other of the second joint rod 5632 and the fourth joint rod 5634. tightly fitted together. Since the shaft fixing part 5635 is applied with a spline coupling method, it is possible to clearly reciprocate along with the transmission of the rotational force.

배출유닛(50)의 동작을 살펴보면, 베벨링유닛(30)에서 파이프의 단부 베벨링 작업이 완료됨에 따라 베벨링유닛(30)에서 분리된 파이프가 컨베이어유닛(10)에 정위치된다. 이때, 배출날개부(53)의 상단부는 파이프의 하단부보다 아래 배치되므로, 파이프의 왕복 이동에 대응하여 배출날개부(53)가 파이프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배출날개부(53)의 상단부는 롤러부재(121)의 정위치경사부(122)보다 아래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베이어유닛(10)에 정위치된 파이프의 반출을 위해 배출구동모듈(54)이 동작되면, 승강전달축부(545)가 상승되고, 배출날개부(53)는 상승하면서 배출축부(52)를 기준으로 회전하므로, 파이프는 배출날개부(53)에 지지된 상태에서 컨베이어유닛(10)으로부터 분리되는 한편 배출날개부(53)의 경사에 의해 파이프는 배출날개부(53)에서 이탈되어 반출이 완료된다. 여기서, 승강전달축부(545)의 단부는 배출날개부(53)에 구속되므로, 배출전달변환부(544)는 전달피벗모듈을 기준으로 피벗 회전되고, 배출전달축(5441)과 연결축부(561) 사이의 동축 관계가 평행 관계로 변형되지만, 연결조인트(563)에 의해 배출전달축(5441)부에 전달된 회전력은 안정되게 연결축부(561)를 거쳐 배출지지모듈(55)의 배출지지축(5511)에 전달된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unit 50 , the pipe separated from the beveling unit 30 is positioned on the conveyor unit 10 as the end beveling operation of the pipe in the beveling unit 30 is completed. At this time, since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wing 53 is dispos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pip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charge wing 53 from interfering with the pipe in response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ipe.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wing portion 53 is disposed below the in-place inclined portion 122 of the roller member 121 . When the discharge drive module 54 is operated to take out the pipe positioned in the conveyor unit 10, the lifting transmission shaft portion 545 is raised, and the discharge wing portion 53 is raised while the discharge shaft portion 52 is the standard. rotates, the pipe is separated from the conveyor unit 10 in a state supported by the discharge wing 53, while the pipe is separated from the discharge wing 53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discharge wing 53, and carrying out is completed. do. Here, since the end of the lifting transmission shaft portion 545 is constrained to the discharge wing portion 53, the discharge transmission conversion unit 544 is pivotally rotated based on the transmission pivot module, and the discharge transmission shaft 5441 and the connecting shaft portion 561 ) is transformed into a parallel relationship, but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discharge transmission shaft 5441 by the connection joint 563 is stably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ion shaft 561 to the discharge support shaft of the discharge support module 55 is forwarded to (5511).

이에 따라, 배출구동모듈(54)의 동작과 함께 배출지지모듈(55)도 동시에 동작되므로, 승강지지축부(552)가 상승되고, 배출날개부(53)는 상승하면서 배출축부(52)를 기준으로 회전하므로, 파이프는 배출날개부(53)에 지지된 상태에서 컨베이어유닛(10)으로부터 분리되는 한편 배출날개부(53)의 경사에 의해 배출날개부(53)에서 이탈되어 반출이 완료된다. 여기서, 승강지지축부(552)의 단부는 배출날개부(53)에 구속되므로, 배출지지변환부(551)는 지지피벗모듈을 기준으로 피벗 회전되고, 배출지지축(5511)과 연결축부(561) 사이의 동축 관계가 평행 관계로 변형되지만, 연결조인트(563)에 의해 연결축부(561)에 전달된 회전력은 안정되게 배출지지축(5511)에 전달된다.Accordingly, since the discharge support module 55 is simultaneously operated together with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drive module 54, the lifting support shaft portion 552 is raised, and the discharge wing portion 53 is raised while using the discharge shaft portion 52 as a reference. Since the pipe is separated from the conveyor unit 10 in a state supported by the discharge wing 53, the pipe is separated from the discharge wing 53 by the inclination of the discharging wing 53, and carrying out is completed. Here, since the end of the lifting support shaft portion 552 is constrained by the discharge wing portion 53, the discharge support conversion unit 551 is pivotally rotated based on the support pivot module, and the discharge support shaft 5511 and the connecting shaft portion 561 ) is transformed into a parallel relationship, but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connecting shaft portion 561 by the connecting joint 563 is stably transmitted to the discharge support shaft 5511 .

상술한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와 이를 이용한 자동 베벨 유연시스템에 따르면, 파이프의 베벨링 작업에 대응하여 해당 파이프의 중심과 해당 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컨베이어유닛(10)의 높이를 자동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and the automatic bevel flexible system using the same, the height of the conveyor unit 10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center of the pipe and the diameter of the pipe in response to the beveling operation of the pipe.

또한, 파이프의 직경에 대한 다양성을 수용하여 자동으로 베벨링유닛(30)의 입구에 파이프의 선단부를 정위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accommodating the diversity of the diameter of the pip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position the tip of the pipe at the inlet of the beveling unit 30 .

또한, 베벨링 작업을 위한 파이프의 반입, 로딩, 가공, 언로딩, 반출을 일련의 자동화된 공정에 의하여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파이프의 베벨링 작업에서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loading, loading, processing, unloading, and unloading of the pipe for the bevel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collectively by a series of automated processes, and process efficiency can be improved in the beveling operation of the pipe.

또한, 컨베이어유닛(10)의 결합 관계를 통해 컨베이어유닛(10)에서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른 파이프의 왕복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정위치된 파이프를 베벨리유닛에 안정되게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i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in the conveyor unit 10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conveyor unit 10, and to stably deliver the positioned pipe to the bevelly unit.

또한, 롤러모듈(12)의 결합 관계를 통해 롤러부재(121)에서 파이프의 폭 방향에 대해 간편하게 센터링할 수 있고, 파이프의 왕복 이동에 대응하여 파이프의 폭 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roller module 12,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center the pipe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roller member 121,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ipe from flowing in the width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ipe.

또한, 롤러지지부를 통해 롤러부재(121)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roller member 121 through the roller support.

또한, 롤러회전부를 통해 지지연결부(미도시)를 이용한 롤러모듈(12)과 롤러구동모듈(13) 사이의 동력 전달 관계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larify the power transmission relationship between the roller module 12 and the roller driving module 13 using a support connection part (not shown) through the roller rotating part.

또한, 롤러구동모듈(13)의 결합 관계를 통해 롤러모듈(12)에 안정적인 회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a stable rotational force can be supplied to the roller module 12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roller driving module 13 .

또한, 구동회전부를 통해 지지연결부(미도시)를 이용한 롤러모듈(12)과 롤러구동모듈(13) 사이의 동력 전달 관계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larify the power transmission relationship between the roller module 12 and the roller driving module 13 using a support connection part (not shown) through the driving rotation unit.

또한, 승강유닛(20)의 결합 관계를 통해 바닥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컨베이어유닛(10)을 안정되게 지지하고, 파이프의 중심과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하여 컨베이어유닛(10)을 안정되게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conveyor unit 10 spaced apart from the floor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lifting unit 20, and to move the conveyor unit 10 stably in response to the center of the pipe and the diameter of the pipe. there is.

또한, 승강유닛(20)의 결합 관계를 통해 하나의 회전력으로 둘 이상의 승강모듈을 동시에 승강 이동시킬 수 있고, 컨베이어유닛(10)에 안착된 파이프의 수평을 간편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lifting unit 20 , two or more lifting modules can be simultaneously lifted and moved by one rotational force, and the level of the pipe seated on the conveyor unit 10 can be easily maintained.

또한, 승강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바닥으로부터 컨베이어유닛(10)을 안정되게 지지하고, 컨베이어유닛(10)의 폭 방향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conveyor unit 10 from the floor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elevating module, and to prevent the conveyor unit 10 from tilting in the width direction.

또한, 파지모듈(32)을 통해 컨베이어유닛(10)으로부터 전달되는 파이프를 베벨링모듈(31)에 안정되게 정위치시키는 한편, 파이프의 처짐을 방지하고, 파이프의 베벨링 작업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pe delivered from the conveyor unit 10 through the gripping module 32 is stably positioned in the beveling module 31, while preventing the pipe from sagging and making the pipe beveling work clear. there is.

또한, 슬라이딩모듈(33)을 통해 컨베이어유닛(10)으로부터 전달되는 파이프를 베벨링모듈(31)에 안정되게 전달하고, 파이프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pe transmitted from the conveyor unit 10 through the sliding module 33 can be stably transmitted to the beveling module 31, and the sagging of the pipe can be prevented.

또한, 정위치승강모듈(34)을 통해 컨베이어유닛(10)의 위치에 대응하여 파지모듈(32)과 슬라이딩모듈(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명확하게 하고, 파이프가 베벨링모듈(31)에 안정되게 정위치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holding module 32 and the sliding module 33 is clarifi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veyor unit 10 through the in-place elevation module 34, and the pipe is connected to the beveling module 31 ) to be placed in a stable position.

또한, 배출유닛(50)을 통해 베벨링 작업을 마친 파이프를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고, 파이프의 왕복 이동에 따라 컨베이어유닛(10)에서 파이프와 배출유닛(5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discharge the pipe after the beveling operation through the discharge unit 50,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pipe and the discharge unit 50 in the conveyor unit 10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ipe.

또한, 배출유닛(50)의 결합 관계를 통해 배출축부(52)를 기준으로 배출날개부(53)들의 동시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파이프를 승강 이동시켜 파이프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discharge unit 50, the simultaneous rotation of the discharge wing parts 53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shaft part 52 is facilitated, and the pipe is moved up and down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the pipe.

또한, 배출유닛(50)의 부가 결합 관계를 통해 컨베이어유닛(10)에서 파이프가 배출될 때, 파이프의 수평을 유지시켜 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한 파이프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ipe is discharged from the conveyor unit 10 through the additional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discharge unit 5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clination of the pip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by maintaining the level of the pipe.

또한, 배출날개부(53)의 결합 관계를 통해 반입되는 파이프와 배출날개부(53)의 간섭을 방지하고, 파이프의 반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pipe and the discharge blade 53 brought in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discharge wing portion 53, and facilitate the discharging of the pipe.

또한, 배출구동모듈(54)의 결합 관계를 통해 배출축부(52)를 기준으로 하는 배출날개부(53)의 회전에 대응하여 배출전달변환부(544)의 안정된 유동성을 확보하고, 배출날개부(53)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discharge drive module 54,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discharge wing portion 53 based on the discharge shaft portion 52, the stable fluidity of the discharge transmission conversion unit 544 is ensured, and the discharge blade unit The rotation of (53) can be made smoothly.

또한, 배출지지모듈(55)의 결합 관계를 통해 배출축부(52)를 기준으로 하는 배출날개부(53)의 회전에 대응하여 배출지지변환부(551)의 안정된 유동성을 확보하고, 배출날개부(53)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discharge support module 55,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discharge wing part 53 based on the discharge shaft part 52, the stable fluidity of the discharge support conversion unit 551 is ensured, and the discharge blade unit The rotation of (53) can be made smoothly.

또한, 연결축모듈(56)의 결합 관계를 통해 배출구동모듈(54)과 배출지지모듈(55)의 유동에 대응하여 연결축부(561)의 양단부의 안정된 유동성을 확보하고, 배출구동모듈(54)의 회전력을 배출지지모듈(55)에 간편하게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stable fluidity of both ends of the connecting shaft portion 561 is ensured in response to the flow of the discharge drive module 54 and the discharge support module 55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connection shaft module 56, and the discharge drive module 54 ) can be easily transmitted to the discharge support module 55 .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y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may be modified or changed.

10: 컨베이어유닛 11: 프레임모듈 12: 롤러모듈
121: 롤러부재 122: 정위치경사부 123: 제1롤러지지부
124: 제2롤러지지부 125: 제1롤러회전부 126: 제2롤러회전부
13: 롤러구동모듈 131: 롤러구동부 132: 제1구동회전부
133: 제2구동회전부
20: 승강유닛 21: 승강구동부 22: 제1전달축부
23: 제1변환부 24: 제2전달축부 25: 제2변환부
26: 승강축부 27: 승강변환부 28: 승강블럭
30: 베벨링유닛 31: 베벨링모듈 32: 파지모듈
33: 슬라이딩모듈 34: 승강정위치모듈
50: 배출유닛 51: 배출브라켓 52: 배출축부
53: 배출날개부 531: 배출축결합부 532: 배출날개결합부
54: 배출구동모듈 541: 배출구동부 542: 축이음부
543: 배출전달모듈 544: 배출전달변환부 5441: 배출전달축
545: 승강전달축부 546: 승강전달가이드 547: 전달피벗브라켓
5471: 전달피벗축 548: 전달한계감지부 5481: 전달한계브라켓
5482: 전달상한감지부 5483: 전달하한감지부 55: 배출지지모듈
551: 배출지지변환부 5511: 배출지지축 552: 승강지지축부
553: 승강지지가이드 554: 지지피벗브라켓 5541: 지지피벗축
555: 지지한계감지부 5551: 지지한계브라켓 5552: 지지상한감지부
5553: 지지하한감지부 56: 연결축모듈 561: 연결축부
562: 연결지지부 563: 연결조인트 5631: 제1조인트로드
5632: 제2조인트로드 5633: 제3조인트로드 5634: 제4조인트로드
5635: 축고정부 5636: 제1연결링크 5637: 제2연결링크
10: conveyor unit 11: frame module 12: roller module
121: roller member 122: fixed position inclined portion 123: first roller support portion
124: second roller support unit 125: first roller rotating unit 126: second roller rotating unit
13: roller driving module 131: roller driving unit 132: first driving rotating unit
133: second driving rotation unit
20: elevating unit 21: elevating drive unit 22: first transmission shaft unit
23: first conversion unit 24: second transmission shaft unit 25: second conversion unit
26: lifting shaft unit 27: lifting conversion unit 28: lifting block
30: beveling unit 31: beveling module 32: gripping module
33: sliding module 34: elevating fixed position module
50: discharge unit 51: discharge bracket 52: discharge shaft part
53: discharge wing portion 531: discharge shaft coupling portion 532: discharge wing coupling portion
54: exhaust drive module 541: exhaust drive 542: shaft joint
543: discharge transmission module 544: discharge transmission conversion unit 5441: discharge transmission shaft
545: elevating transmission shaft portion 546: elevating transmission guide 547: transmission pivot bracket
5471: transmission pivot shaft 548: transmission limit detection unit 5481: transmission limit bracket
5482: transmission upper limit detection unit 5483: transmission lower limit detection unit 55: discharge support module
551: discharge support conversion unit 5511: discharge support shaft 552: lifting support shaft portion
553: lifting support guide 554: support pivot bracket 5541: support pivot shaft
555: support limit detection unit 5551: support limit bracket 5552: support upper limit detection unit
5553: support lower limit detection unit 56: connecting shaft module 561: connecting shaft portion
562: connection support 563: connection joint 5631: first joint rod
5632: Article 2 introduction rod 5633: Article 3 introduction rod 5634: Article 4 introduction rod
5635: shaft fixing part 5636: first connection link 5637: second connection link

Claims (12)

파이프의 단부를 베벨링 작업하는 베벨링유닛에 파이프를 전달하기 위한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이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반입되는 파이프가 안착되고, 상기 파이프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유닛; 및
상기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하여 상기 컨베이어유닛을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베벨링유닛이 파지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중심과 해당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하여 해당 파이프가 안착된 상기 컨베이어유닛을 승강 이동시키고,
상기 컨베이어유닛은,
상기 베벨링유닛이 파지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중심과 상기 승강유닛에 의해 승강 이동된 파이프의 중심에 대응하여 해당 파이프를 해당 베벨링유닛에 전달하되,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컨베이어유닛의 승강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켜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승강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구동축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전달축부;
상기 회전력이 상기 제1전달축부에 전달되도록 상기 승강구동축과 상기 제1전달축부를 연결시키는 제1변환부; 및
상기 제1전달축부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전달축부에 전달된 회전력으로 상기 컨베이어유닛을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모듈은,
상기 제1전달축부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전달축부;
상기 제1전달축부에 전달된 회전력이 상기 제2전달축부에 전달되도록 상기 제1전달축부의 양단부에 각각 상기 제2전달축부를 연결시키는 제2변환부;
상기 제1전달축부의 길이 방향과 상기 제2전달축부의 길이 방향에 모두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승강축부;
상기 제2전달축부에 전달된 회전력이 상기 승강축부에 전달되도록 상기 제2전달축부의 양단부에 각각 상기 승강축부를 연결시키는 승강변환부;
상기 승강축부에 전달되는 회전력으로 승강 이동되는 승강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
It is an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for delivering the pipe to the beveling unit that bevels the end of the pipe,
a conveyor unit formed to be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which a pipe to be carried in is seated, and for moving the pi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ing; a lifting unit for lifting and moving the conveyor unit in response to the diameter of the pipe;
The lifting unit is
Elevating and moving the conveyor unit on which the pipe is seated in correspondence to the center of the pipe to be gripped by the beveling unit and the diameter of the pipe,
The conveyor unit is
In response to the center of the pipe to be gripped by the beveling unit and the center of the pipe lifted and moved by the lifting unit, the pipe is delivered to the beveling unit,
The lifting unit is
an elevating drive unit that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for elevating the conveyor unit to rotate an elevating drive shaft forming a center of rotation;
a first transmission shaft portion elong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ing drive shaft;
a first conversion unit connecting the lifting drive shaft and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portion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portion; and
Including; and a lifting modul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portion, respectively, for moving the conveyor unit by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portion;
The elevating module is
a second transmission shaft portion elong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portion;
a second conversion unit for connecting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portion to both ends of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portion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portion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portion;
an elevating shaft portion elongated in a direction crossing bo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a lifting and lowering conversion unit for connecting the lifting shaft to both ends of the second transfer shaft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second transfer shaft is transmitted to the lifting shaft;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comprising a; a lifting block that is moved up and down by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lifting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유닛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승강유닛에 결합되는 프레임모듈;
상기 파이프가 안착되도록 다수 개가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모듈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모듈;
상기 프레임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롤러모듈의 정역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롤러구동모듈; 및
상호 인접한 두 롤러모듈을 연결하거나, 상기 롤러모듈과 상기 롤러구동모듈을 연결하여 상기 회전력을 상기 롤러모듈에 전달하는 지지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conveyor unit is
a frame modul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elevating unit;
a plurality of roller module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so that the pipe is seated and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frame module;
a roller driving module coupled to the frame module and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roller module; and
An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comprising: a support connecting part that connects two adjacent roller modules or connects the roller module and the roller drive module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o the roller modu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모듈은,
상기 파이프가 안착되도록 다수 개가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고,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롤러부재;
상기 프레임모듈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롤러부재의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부; 및
상기 롤러부재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롤러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롤러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재에는, 양단부로부터 상기 롤러부재의 중앙을 향해 직경이 작아지는 정위치경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oller module is
a plurality of roller member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so that the pipe is seated, and formed to be elongat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a roller support unit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rame module and rotatably supporting both ends of the roller member; and
a roller rotating part provided on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roller member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roller member;
The roller member, the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fixed position inclined portion having a smaller diameter from both ends toward the center of the roller member.
삭제delete 파이프의 단부를 베벨링 작업하는 베벨링유닛에 파이프를 전달하기 위한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
상기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의 일측 또는 상기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의 단부를 베벨링 작업하는 베벨링유닛; 및
상기 베벨링 작업을 마친 파이프를 상기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에서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반입되는 파이프가 안착되고, 상기 파이프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유닛; 및
상기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하여 상기 컨베이어유닛을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베벨링유닛이 파지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중심과 해당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하여 해당 파이프가 안착된 상기 컨베이어유닛을 승강 이동시키고,
상기 컨베이어유닛은,
상기 베벨링유닛이 파지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중심과 상기 승강유닛에 의해 승강 이동된 파이프의 중심에 대응하여 해당 파이프를 해당 베벨링유닛에 전달하고,
상기 배출유닛은,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고정되는 배출브라켓;
상기 컨베이어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파이프가 배출되는 쪽에서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출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축부;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안착되는 파이프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다수 개가 상기 배출축부를 따라 상호 이격되고, 일단부가 상기 배출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축부를 기준으로 상기 배출축부와 함께 회전 가능한 배출날개부; 및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력으로 상기 배출날개부 중 어느 하나를 승강 이동시키는 배출구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를 이용한 자동 베벨 유연시스템.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for delivering the pipe to the beveling unit beveling the end of the pipe;
a beveling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or on both sides of the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and beveling the end of the pipe; and
Including;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pipe after the beveling operation has been completed from the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The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a conveyor unit formed to be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which a pipe to be carried in is seated, and for moving the pi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ing; a lifting unit for lifting and moving the conveyor unit in response to the diameter of the pipe;
The lifting unit is
Elevating and moving the conveyor unit on which the pipe is seated in correspondence to the center of the pipe to be gripped by the beveling unit and the diameter of the pipe,
The conveyor unit is
In response to the center of the pipe to be gripped by the beveling unit and the center of the pipe lifted and moved by the lifting unit, the corresponding pipe is transferred to the corresponding beveling unit,
The discharge unit is
two or more discharge bracke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ixed to the conveyor unit;
a discharge shaft portion dispos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from the side from which the pipe is discharged based on the conveyor unit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bracket;
a plurality of discharge wi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discharge shaft to be disposed under the pipe seated on the conveyor unit, one end coupled to the discharge shaft and rotatable together with the discharge shaft based on the discharge shaft; and
An automatic bevel flexible system using an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comprising a; a discharge drive module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nveyor unit and moves any one of the discharge blades by rotational for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링유닛은,
상기 컨베이어유닛의 단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의 단부를 베벨링 작업하는 베벨링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유닛과 상기 베벨링모듈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베벨링모듈에 전달되는 파이프를 파지하는 파지모듈; 및
상기 컨베이어유닛과 상기 베벨링모듈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유닛으로부터 상기 베벨링모듈에 전달되는 파이프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를 이용한 자동 베벨 유연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eveling unit,
It includes; a beveling module disposed to face the end of the conveyor unit and beveling the end of the pipe.
a gripping module provided between the conveyor unit and the beveling module and gripping the pipe delivered to the beveling module; and
a sliding module provided between the conveyor unit and the beveling module and movably supporting a pipe transferred from the conveyor unit to the beveling module; Automatic bevel flexible system using an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링유닛은,
상기 컨베이어유닛의 승강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파지모듈과 상기 슬라이딩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정위치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를 이용한 자동 베벨 유연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beveling unit is
Automatic bevel flexible system using an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in response to the lifting movement of the conveyor unit, at least one of the gripping module and the sliding modu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배출구동모듈에서 이격되어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동모듈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배출날개부 중 다른 하나를 승강 이동시키는 배출지지모듈; 및
상기 배출구동모듈과 상기 배출지지모듈을 연결하여 상기 배출구동모듈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상기 배출지지모듈에 전달하는 연결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를 이용한 자동 베벨 유연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ischarge unit is
a discharge support module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drive modul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conveyor unit, receiving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discharge drive module to move the other one of the discharge wings up and down; and
Automatic bevel flexible system using an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shaft module that connects the discharge drive module and the discharge support module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discharge drive module to the discharge support module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모듈은,
상기 배출축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축부;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축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연결지지부; 및
상기 연결축부의 일단부와 상기 배출구동모듈을 연결시키고, 상기 연결축부의 타단부와 상기 배출지지모듈을 연결시키는 연결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를 이용한 자동 베벨 유연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necting shaft module,
a connecting shaft portion dispos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shaft portion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conveyor unit;
a connection support part tha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oupled to the conveyor unit, the connection shaft part being rotatably supported; and
An automatic bevel flexible system using an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comprising a; a connecting joint connecting one end of the connecting shaft and the discharge driving module, and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shaft and the discharge supporting modu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조인트는,
상기 연결축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조인트로드;
상기 제1조인트로드에서 이격 배치되는 제2조인트로드;
상기 배출구동모듈 또는 상기 배출지지모듈에 결합되는 제3조인트로드;
상기 제3조인트로드에서 이격 배치되는 제4조인트로드;
상기 제1조인트로드와 상기 제2조인트로드를 링크 결합시키는 제1연결링크;
상호 인접한 상기 제2조인트로드와 상기 제4조인트로드를 동축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축고정부; 및
상기 제3조인트로드와 상기 제4조인트로드를 링크 결합시키는 제2연결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를 이용한 자동 베벨 유연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necting joint is
a first joint rod coupled to an end of the connecting shaft;
a second joint ro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joint rod;
a third joint rod coupled to the discharge drive module or the discharge support module;
a fourth joint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third joint;
a first connection link connecting the first joint rod and the second joint rod;
a shaft fixing part for coaxially reciprocally coupling the adjacent second joint rod and the fourth joint rod; and
An automatic bevel flexible system using an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or comprising a; a second connection link for link coupling the third joint rod and the fourth joint rod.
KR1020210108721A 2021-03-30 2021-08-18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er and automatic bevel easyly system using this KR10238989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40897 2021-03-30
KR1020210040897 2021-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894B1 true KR102389894B1 (en) 2022-04-25
KR102389894B9 KR102389894B9 (en) 2023-02-23

Family

ID=81451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721A KR102389894B1 (en) 2021-03-30 2021-08-18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er and automatic bevel easyly system using thi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89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61875A (en) * 2023-10-31 2023-12-05 四川省卓辰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Valve block edge chamfering equipm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2012A (en) * 1983-03-29 1984-10-16 Shinko Kogyo Kk Bevel machining device
KR200390581Y1 (en) * 2005-04-28 2005-07-21 이윤문 conveyor
KR100903861B1 (en) * 2007-04-05 2009-06-24 한진국 Chamfering machine for a large hole pipe
KR101197558B1 (en) 2012-05-17 2012-11-09 서훈산업유한회사 Pipe end surface bevelling device
JP2014173915A (en) * 2013-03-07 2014-09-22 Kobe Steel Ltd Conveyor for tire testing machine
KR101815283B1 (en) * 2017-10-11 2018-01-04 최형식 Worktable for tapp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2012A (en) * 1983-03-29 1984-10-16 Shinko Kogyo Kk Bevel machining device
KR200390581Y1 (en) * 2005-04-28 2005-07-21 이윤문 conveyor
KR100903861B1 (en) * 2007-04-05 2009-06-24 한진국 Chamfering machine for a large hole pipe
KR101197558B1 (en) 2012-05-17 2012-11-09 서훈산업유한회사 Pipe end surface bevelling device
JP2014173915A (en) * 2013-03-07 2014-09-22 Kobe Steel Ltd Conveyor for tire testing machine
KR101815283B1 (en) * 2017-10-11 2018-01-04 최형식 Worktable for tapp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61875A (en) * 2023-10-31 2023-12-05 四川省卓辰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Valve block edge chamfering equipment
CN117161875B (en) * 2023-10-31 2024-01-23 四川省卓辰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Valve block edge chamfering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894B9 (en)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82719B (en) Profile cutting method of laser cutting automatic production line
KR102389894B1 (en) Automatic center tracking conveyer and automatic bevel easyly system using this
JP5274053B2 (en) Work transfer device
CN106429339B (en) A kind of full-automatic self-adapting type quick centring conveyer
CN107737980B (en) Automatic chamfering equipment for workpiece and control method
CN216784871U (en) Assembly line steering conveyor
CN212823432U (en) Laser cutting automatic production line for section bar cutting
CN213080667U (en) Automatic assembly production line for water pump
CN111922713A (en) Automatic assembly production line for water pump
US20220379464A1 (en) Production cell with at least two machining robots
KR101776047B1 (en) The Cutting Apparatus for Saw Blade
CN113059384A (en) Automatic conveying control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217457829U (en) Material transfer device and automatic feeding and discharging system with same
KR20110000188A (en) Material feeding apparatus for press machine
CN110936233A (en) Thrust wheel machining device
CN110561566A (en) Carving mills feeding mechanism of machine
KR102227743B1 (en) V-shaped grooving apparatus for artificial marble
CN214055666U (en) Go up and push away conveyor that material area side pushed
CN108568693B (en) Conveying system
CN201744896U (en) Automatic-alignment conveyer belt
CN112645007A (en) Feeding equipment
KR102375886B1 (en) Cutting system of pipe using the length arrest
CN112666183A (en) Glass vertical transmission detection device
CN212823431U (en) A loading attachment for section bar cutting
CN214685469U (en) Machine tool for processing short rod barr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