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670B1 -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670B1
KR102388670B1 KR1020220007273A KR20220007273A KR102388670B1 KR 102388670 B1 KR102388670 B1 KR 102388670B1 KR 1020220007273 A KR1020220007273 A KR 1020220007273A KR 20220007273 A KR20220007273 A KR 20220007273A KR 102388670 B1 KR102388670 B1 KR 102388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ents
preset time
streaming
viewers
com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찬영
한종문
사재빈
류명한
김태성
김수빈
이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온앤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온앤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온앤미
Priority to KR1020220046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200B1/ko
Priority to KR1020220046841A priority patent/KR102540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7Monitoring of transmitted content, e.g. distribution time, number of downlo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2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for selling goods, e.g. TV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촬영 단말로부터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복수의 시청자 단말들에 전송하며, 상기 시청자 단말들로부터 복수의 댓글들을 수신하고, 상기 촬영 단말 및 상기 시청자 단말들에 상기 댓글들이 표시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전송하는 스트리밍 제어부; 및 기 설정된 시간별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는 상기 시청자 단말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시간별 평균 시청자수를 산출하고, 기 설정된 시간별로 수신되는 상기 댓글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시간별 수신된 댓글수를 산출하며,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별 평균 시청자수가 감소하거나,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별 수신된 댓글수가 감소하는 경우, 소통진행을 요청하는 스티커가 표시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상기 촬영 단말에 전송하는 큐카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APPARATUS,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PROVIDING LIVE STREAMING RELAY SERVICE}
본 발명은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터넷을 통한 방송을 지원하는 플랫폼에 대한 시청자들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방송망을 통한 TV 방송 이외에 인터넷을 통한 방송들이 급증하고 있다.
인터넷을 통한 방송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데, 특히, 라이브커머즈 분야에서 인터넷을 통한 방송이 활용되고 있다. 인터넷을 통한 방송의 경우 시청자들과 상호 소통이 원활한 장점이 있기 때문에, 인지도가 있는 쇼호스트와 소통을 좋아하는 시청자들의 인터넷을 통한 라이브커머즈 방송에 폭발적으로 유입되고 있다.
인터넷을 통한 라이브커머즈 방송은 시청자의 집중력을 유지하여 시청자의 이탈을 막는 것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다만, 시청자의 집중력을 유지하는 것은 쇼호스트의 역량에 따라 달라지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판매될 상품에 대한 파급력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쇼호스트를 결정하여 촬영 단말에 제공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청자수, 주문량 및 댓글수에 기초하여 스트리밍 영상에 소통진행을 요청하는 큐카드를 표시하고, 스트리밍 영상에서 소통이 필요한 댓글들을 일반 댓글들과 차별화된 색상으로 표시하여 촬영 단말에 제공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청자수, 주문량 및 댓글수에 기초하여 스트리밍 영상에 이벤트진행을 요청하는 큐카드를 표시하고, 스트리밍 영상에서 이벤트에 당첨된 댓글들을 일반 댓글들과 차별화된 색상으로 표시하여 촬영 단말에 제공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판매될 상품에 대해 주로 구매할 것으로 예측되는 타겟 구매자들을 결정하고, 타겟 구매자들과 매칭되는 키워드들 및 키워드들에 대한 시청자들의 호응도를 스트리밍 영상에 표시하여 촬영 단말에 제공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촬영 단말로부터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복수의 시청자 단말들에 전송하며, 상기 시청자 단말들로부터 복수의 댓글들을 수신하고, 상기 촬영 단말 및 상기 시청자 단말들에 상기 댓글들이 표시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전송하는 스트리밍 제어부; 및 기 설정된 시간별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는 상기 시청자 단말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시간별 평균 시청자수를 산출하고, 기 설정된 시간별로 수신되는 상기 댓글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시간별 수신된 댓글수를 산출하며,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별 평균 시청자수가 감소하거나,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별 수신된 댓글수가 감소하는 경우, 소통진행을 요청하는 스티커가 표시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상기 촬영 단말에 전송하는 큐카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큐카드 표시부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통해 판매되는 상품인 제1 상품과 미리 매칭된 복수의 단어들을 검색하며, 상기 댓글들 중 상기 단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댓글을 제1 댓글로 결정하고, 상기 댓글들 중 상기 단어들 모두를 포함하지 않는 댓글을 제2 댓글로 결정하며, 상기 스트리밍 영상에서 상기 제1 댓글을 제1 색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2 댓글을 제2 색으로 표시하여 상기 촬영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큐카드 표시부는,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는 상기 시청자 단말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시청자수를 산출하고, 기 설정된 시간별로 상기 시청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주문요청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시간별 주문량을 산출하며, 상기 시청자수가 기 설정된 기준시청자수 이상이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별 시청자수 또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별 댓글수가 증가하며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별 주문량이 감소하는 경우, 이벤트진행을 요청하는 스티커가 표시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상기 촬영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큐카드 표시부는, 상기 시청자 단말들로부터 주문완료인증을 포함하는 복수의 SNS 게시글들의 링크들을 수신하고, 상기 링크들을 전송한 상기 시청자 단말들 각각에 인증코드를 전송하며, 상기 시청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인증코드가 포함된 이벤트 댓글들을 수신하고, 상기 이벤트 댓글들이 수신된 시각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 댓글들 각각의 순위를 결정하며, 상기 이벤트 댓글들 중 상기 순위가 기 설정된 기준순위 이상인 이벤트 댓글들을 당첨 이벤트 댓글들로 결정하고, 상기 이벤트 댓글들이 제3 색으로 표시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상기 촬영 단말 및 상기 시청자 단말들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복수의 쇼호스트들 각각과 대응하는 파급력을 산출하고, 상기 쇼호스트들 중 상기 파급력이 가장 큰 쇼호스트를 추천 쇼호스트로 결정하는 쇼호스트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쇼호스트 결정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제1 상품과 미리 매칭된 복수의 제2 상품들을 검색하고, 상기 제2 상품들과 미리 매칭된 제1 방송들 각각의 제1 구매자들의 성별 및 연령층을 검색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쇼호스트들 각각과 미리 매칭된 복수의 제2 방송들을 검색하고, 상기 제2 방송들 각각과 미리 매칭된 복수의 제2 구매자들의 성별 및 연령층을 검색하며, 상기 제1 구매자들의 성별 및 연령층과 상기 제2 구매자들의 성별 및 연령층에 기초하여 쇼호스트들 각각이 상기 제1 상품을 주로 구매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매자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기대치를 산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제2 방송들과 미리 매칭된 복수의 제3 상품들을 검색하고, 상기 제2 상품들 및 상기 제3 상품들에 기초하여 상기 쇼호스트들 각각과 대응하는 가중치를 산출하며, 상기 기대치와 상기 가중치를 곱한 값을 상기 파급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구매자들 각각의 성별 및 연령층에 기초하여 타겟구매자의 성별 및 연령층을 결정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타겟구매자의 성별 및 연령층과 미리 매칭된 복수의 키워드들을 검색하며, 상기 키워드들 각각과 대응하는 호응도를 산출하고, 상기 키워드들 및 상기 키워드들 각각과 대응하는 호응도를 상기 스트리밍 영상에 표시하여 상기 촬영 단말에 전송하는 키워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워드 표시부는, 상기 쇼호스트가 상기 키워드가 포함되는 문장을 말한 시점 이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제1 시청자수, 제1 주문량 및 제1 댓글수를 산출하고, 상기 쇼호스트가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문장을 말한 시점 이전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제2 시청자수, 제2 주문량 및 제2 댓글수를 산출하며, 상기 제1 시청자수, 상기 제1 주문량, 상기 제1 댓글수, 상기 제2 시청자수, 상기 제2 주문량 및 상기 제2 댓글수에 기초하여 상기 키워드들 각각과 대응하는 상기 호응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동작 방법은, 촬영 단말로부터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복수의 시청자 단말들에 전송하며, 상기 시청자 단말들로부터 복수의 댓글들을 수신하고, 상기 촬영 단말 및 상기 시청자 단말들에 상기 댓글들이 표시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전송하는 동작; 기 설정된 시간별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는 상기 시청자 단말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시간별 평균 시청자수를 산출하고, 기 설정된 시간별로 수신되는 상기 댓글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시간별 수신된 댓글수를 산출하며,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별 평균 시청자수가 감소하거나,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별 수신된 댓글수가 감소하는 경우, 소통진행을 요청하는 스티커가 표시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상기 촬영 단말에 전송하는 동작; 및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통해 판매되는 상품인 제1 상품과 미리 매칭된 복수의 단어들을 검색하며, 상기 댓글들 중 상기 단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댓글을 제1 댓글로 결정하고, 상기 댓글들 중 상기 단어들 모두를 포함하지 않는 댓글을 제2 댓글로 결정하며, 상기 스트리밍 영상에서 상기 제1 댓글을 제1 색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2 댓글을 제2 색으로 표시하여 상기 촬영 단말에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작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장치에서, 상기 동작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비일시적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장치에 스트리밍 영상을 전송하는 촬영 단말;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고, 댓글들을 상기 장치에 전송하는 복수의 시청자 단말들; 및 상기 댓글들이 표시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상기 촬영 단말 및 상기 시청자 단말들에 전송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촬영 단말로부터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상기 시청자 단말들에 전송하며, 상기 시청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댓글들을 수신하고, 상기 촬영 단말 및 상기 시청자 단말들에 상기 댓글들이 표시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전송하는 스트리밍 제어부; 및 기 설정된 시간별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는 상기 시청자 단말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시간별 평균 시청자수를 산출하고, 기 설정된 시간별로 수신되는 상기 댓글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시간별 수신된 댓글수를 산출하며,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별 평균 시청자수가 감소하거나,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별 수신된 댓글수가 감소하는 경우, 소통진행을 요청하는 스티커가 표시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상기 촬영 단말에 전송하는 큐카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큐카드 표시부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통해 판매되는 상품인 제1 상품과 미리 매칭된 복수의 단어들을 검색하며, 상기 댓글들 중 상기 단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댓글을 제1 댓글로 결정하고, 상기 댓글들 중 상기 단어들 모두를 포함하지 않는 댓글을 제2 댓글로 결정하며, 상기 스트리밍 영상에서 상기 제1 댓글을 제1 색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2 댓글을 제2 색으로 표시하여 상기 촬영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매될 상품에 대한 파급력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쇼호스트가 촬영 단말에 제공된다. 이를 통해, 촬영 단말은 상품의 판매를 의뢰하는 의뢰주에게 쇼호스트를 추천하고, 의뢰주로부터 쇼호스트의 고용에 대한 동의를 받아 라이브 커머즈 방송의 진행자로 추천한 쇼호스트를 고용할 수 있다. 라이브커머즈에서는 쇼호스트의 파급력이 중요하므로, 상품에 대한 파급력이 큰 쇼호스트를 고용하여 상품의 판매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청자수, 주문량 및 댓글수에 기초하여 스트리밍 영상에 소통진행을 요청하는 큐카드가 표시되고, 스트리밍 영상에서 소통이 필요한 댓글들을 일반 댓글들과 차별화된 색상으로 표시된다. 이를 통해, 방송을 진행하는 쇼호스트는 현재 시청자들의 집중력이 떨어지고 있음을 인지하고 소통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우선적으로 소통이 필요한 댓글들이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므로, 쇼호스트가 원활한 소통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청자수, 주문량 및 댓글수에 기초하여 스트리밍 영상에 이벤트진행을 요청하는 큐카드가 표시되고, 스트리밍 영상에서 이벤트에 당첨된 댓글들이 일반 댓글들과 차별화된 색상으로 표시된다. 이를 통해, 쇼호스트는 시청자들의 집중력에 비해 주문량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있음을 인지하고 이벤트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에 당첨된 댓글들이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므로, 쇼호스트가 이벤트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판매될 상품에 대해 주로 구매할 것으로 예측되는 타겟 구매자들이 결정되고, 타겟 구매자들과 매칭되는 키워드들 및 키워드들에 대한 시청자들의 호응도가 스트리밍 영상에 표시된다. 이를 통해, 쇼호스트는 시청자들의 집중도를 상승시키고 이탈을 막기 위해 효과적인 키워드들이 어떤 것들인지 확인하고, 확인된 효과적인 키워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기능적 모듈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쇼호스트 결정부가 추천될 쇼호스트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큐카드 표시부가 큐카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들을 촬영 단말에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실시간 스트리밍되는 방송 상에 큐카드가 표시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따른 큐카드 표시부가 큐카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들을 촬영 단말에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실시간 스트리밍되는 방송 상에 큐카드가 표시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따른 키워드 표시부가 키워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들을 촬영 단말에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실시간 스트리밍되는 방송 상에 키워드가 표시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 촬영 단말(200) 및 시청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촬영 단말(200)은,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촬영자의 단말로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방송이 중계되는 플랫폼의 정보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 정보에는 라이브 스트리밍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촬영 단말(200)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방송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는다. 촬영 단말(200)은 플랫폼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촬영 단말(200)은, 촬영수단(예를 들어,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여 기본 스트리밍 영상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촬영 단말(200)은, 영상을 촬영함과 동시에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기본 스트리밍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촬영 단말(200)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영상 또는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기초하여 기본 스트리밍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촬영 단말(200)은, 종래의 공지된 기술들을 통해 스트리밍 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며, 공지된 기술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촬영 단말(200)은, 생성된 기본 스트리밍 영상을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전송한다.
또한, 촬영 단말(200)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1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스트리밍 영상은 기본 스트리밍 영상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1 스트리밍 영상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해 가공된 기본 스트리밍 영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촬영 단말(200)과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별도로 분리되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촬영 단말(200)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시청자 단말(300)은,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시청자의 단말로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방송이 중계되는 플랫폼의 정보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 정보에는 라이브 스트리밍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시청자 단말(300)은 서비스 제공 장치9100)로부터 방송을 시청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는다. 시청자 단말(300)은 플랫폼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시청자 단말(300)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2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스트리밍 영상은 제1 스트리밍 영상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 스트리밍 영상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해 가공된 제1 스트리밍 영상일 수 있다.
촬영 단말(200) 및 시청자 단말(300)의 예를 들면,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를 촬영 단말(200) 및 시청자 단말(300)에 제공하기 위한 서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촬영 단말(200)로부터 방송에서 판매하려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품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쇼호스트를 결정하고, 추천 쇼호스트에 대한 정보를 촬영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2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는 시청자 단말(300)들의 개수를 통해 시청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2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는 시청자 단말(300)들로부터 댓글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댓글들에 기초하여 댓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된 댓글들을 제2 스트리밍 영상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된 댓글들 각각은 댓글을 전송한 시청자 단말(300)의 시청자의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제2 스트리밍 영상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2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는 시청자 단말(300)들로부터 주문요청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주문요청들에 기초하여 주문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수신된 댓글들을 제1 스트리밍 영상 상에 표시할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된 댓글들 각각은 댓글을 전송한 시청자 단말(300)의 시청자의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제1 스트리밍 영상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기 설정된 시간별 시청자수 및 기 설정된 시간별 댓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기 설정된 시간별 시청자수 및 기 설정된 시간별 댓글수에 기초하여, 소통을 요청하는 큐카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기 설정된 시간별 주문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기 설정된 시간별 시청자수, 기 설정된 시간별 댓글수 및 기 설정된 시간별 주문량에 기초하여, 이벤트를 요청하는 큐카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품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시청자들의 이탈을 억제하기 위한 키워드들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기능적 모듈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쇼호스트 결정부(101)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쇼호스트 결정부(101)가 추천될 쇼호스트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쇼호스트 결정부(101)는, 방송에서 판매될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촬영 단말(200)로부터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제1 상품과 미리 매치된 복수의 제2 상품들을 검색하고, 제2 상품들과 미리 매칭된 제1 방송들 각각의 제1 구매자들의 성별 및 연령층을 검색한다(S110).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서로 연관성 있는 상품들이 미리 매칭되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제1 상품이 사무용 의자인 경우, 의자, 사무용 의자, 책상, 책장 등이 제1 상품과 연관성 있는 제2 제품으로 미리 매칭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잇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상품들 각각에 대해 진행되었던 방송의 구매자들의 성별 및 연령층이 상품들 각각과 미리 매칭되어 저장된다.
또한, 쇼호스트 결정부(101)는, 쇼호스트들 각각과 미리 매칭된 제2 방송들을 검색하고, 제2 방송들 각각과 미리 매치된 제2 구매자들의 성별 및 연령층을 검색한다(S120).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쇼호스트들 각각과 쇼호스트들 각각이 진행했던 방송들이 미리 매칭되어 저장된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쇼호스트가 진행했던 방송들 각각과 방송들 각각의 구매자들의 성별 및 연령층이 미리 매칭되어 저장된다.
또한, 쇼호스트 결정부(101)는, 제1 구매자들의 성별 및 연령층과 제2 구매자들의 성별 및 연령층에 기초하여 쇼호스트들 각각이 제1 상품을 주로 구매하는 구매자들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기대치를 산출한다(S130).
쇼호스트 결정부(101)는, 제1 구매자들의 성별 및 연령층에 기초하여 제2 상품들에 대해 가장 구매를 많이 한 제1 구매자들의 성별 및 연령층인 제1 성별 및 제1 연령층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쇼호스트 결정부(101)는, 제1 구매자들의 성별 및 연령층에 기초하여 제2 상품들에 대해 두번째로 구매를 많이 한 제1 구매자들의 성별 및 연령층인 제2 성별 및 제2 연령층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쇼호스트 결정부(101)는, 제1 구매자들의 성별 및 연령층에 기초하여 제2 상품들에 대해 N(N은 자연수)번째로 구매를 많이 한 제1 구매자들의 제N 성별 및 제N 연령층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쇼호스트 결정부(101)는, 제1 성별 및 제1연령층 내지 제N 성별 및 제N 연령층과 제1 계수 내지 제N 계수를 매칭시킬 수 있다. 제1 계수 내지 제N 계수는, 제1 계수가 가장 큰 값으로 설정되고, 순차적으로 작아져 제N 계수가 가장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쇼호스트 결정부(101)는, 제2 구매자들의 중 제1 성별 및 제1 연령층인 제2 구매자들의 수인 제1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쇼호스트 결정부(101)는, 제2 구매자들 중 제N 성별 및 제N 연령층인 제2 구매자들의 수인 제N 값을 산출할 있다. 이를 통해, 쇼호스트 결정부(101)는, 제1 값 내지 제N값을 산출할 수 있다.
쇼호스트 결정부(101)는, 각각의 제1 계수 내지 제N 계수와 각각의 제1 값 내지 제N값을 곱한 값들을 모두 더한 값을 쇼호스트의 기대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쇼호스트 결정부(101)는, 제2 방송들과 미리 매칭된 복수의 제3 상품들을 검색하고, 제2 상품들 및 제3 상품들에 기초하여 쇼호스트들 각각과 대응하는 가중치를 산출한다(S140).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방송들과 방송들에서 판매되었던 상품이 미리 매칭되어 저장된다.
쇼호스트 결정부(101)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제2 방송들에서 판매되었던 제3 상품들을 검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쇼호스트가 방송을 통해 판매했었던 상품들이 검색될 수 있다.
쇼호스트 결정부(101)는, 제3 상품들 중 제2 상품들과 동일한 제3 상품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쇼호스트와 대응하는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쇼호스트 결정부는, 제3 상품들 중 제2 상품들과 동일한 제3 상품들의 개수가 많을수록 가중치를 상대적으로 크게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쇼호스트 결정부는, 제3 상품들 중 제2 상품들과 동일한 제3 상품들의 개수가 적을수록 가중치를 상대적으로 작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쇼호스트 결정부(101)는, 쇼호스트들 중 기대치와 가중치의 곱인 파급력이 가장 큰 쇼호스트를 추천 쇼호스트로 결정할 수 있다(S150).
쇼호스트 결정부(101)는, 쇼호스트들의 기대치들 각각과 쇼호스트들의 가중치들 각각을 곱하여 쇼호스트들의 파급력들을 결정할 수 있다.
쇼호스트 결정부(101)는, 쇼호스트들 중 파급력이 가장 큰 쇼호스트를 추천 쇼호스트로 결정하고, 추천 쇼호스트에 대한 정보를 촬영 단말(200)에 전송한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쇼호스트들 각각의 정보가 미리 저장된다. 에를 들어, 쇼호스트의 이름, 성별, 키, 외모, 진행했던 방송들, 진행했던 방송들에서 판매했던 상품들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판매될 제품에 대해 파급력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쇼호스트가 추천 쇼호스트로 결정되며, 이를 통해, 촬영 단말(200)은 방송의 진행자로 추천 쇼호스트를 고려해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스트리밍 제어부(102)를 포함한다.
스트리밍 제어부(102)는, 촬영 단말(200) 및 시청자 단말(300)에 플랫폼 정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촬영 단말(200)은 플랫폼 정보를 이용해 기본 스트리밍 영상을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하고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1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촬영 단말(200)에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청자 단말(300)은 플랫폼 정보를 이용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2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고 댓글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시청자 단말(300)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큐카드 표시부(103)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2에 따른 큐카드 표시부(103)가 큐카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들을 촬영 단말(200)에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큐카드 표시부(103)는, 기 설정된 시간별 시청자수가 감소하거나 기 설정된 시간별 댓글 수가 감소하는 경우, 소통진행을 요청하는 스티커를 제1 스트리밍 영상에 적용한다(S210).
큐카드 표시부(103)는, 제2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는 시청자 단말(300)들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시청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이 3분인 경우, 큐카드 표시부(103)는, 3분 동안의 시청자수의 평균값을 기 설정된 3분 동안의 시청자수로 결정할 수 있다.
큐카드 표시부(103)는, 시청자 단말(300)들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한 댓글들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입력된 댓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이 3분인 경우, 큐카드 표시부(103)는, 3분 동안 시청자 단말(300)들로부터 수신된 댓글들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3분 동안 입력된 댓글수를 산출할 수 있다.
큐카드 표시부(103)는, 기 설정된 시간별 시청자수가 감소하거나 기 설정된 시간별 댓글 수가 감소하는 경우, 소통진행을 요청하는 스티커를 제1 스트리밍 영상에 적용하고, 스트리밍 제어부(102)는, 소통진행을 요청하는 스티커가 적용된 제1 스트리밍 영상을 촬영 단말(200)에 제공한다.
또한, 큐카드 표시부(103)는, 시청자 단말(300)들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댓글들 중 제1 상품과 미리 매칭된 복수의 단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댓글들을 제1 댓글들로 결정하고, 단어들을 포함하지 않는 댓글들을 제2 댓글들로 결정한다(S220).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상품과 상품의 문의와 관련된 복수의 단어들이 미리 매칭되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상품이 의자인 경우, 얼마, 길이, 재질, 높이, 편안 등의 단어들이 미리 매칭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큐카드 표시부(103)는, 댓글들과 복수의 단어들을 비교하여, 복수의 단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댓글을 제1 댓글로 결정하고, 복수의 단어들을 모두 포함하지 않는 댓글을 제2 댓글로 결정한다.
또한, 큐카드 표시부(103)는, 제1 스트리밍 영상에서 제1 댓글을 제1 색으로 표시하고 제2 댓글을 제2 색으로 표시한다(S230).
스트리밍 제어부(102)는, 제1 댓글이 제1 색으로 표시되고, 제2 댓글이 제2 색으로 표시된 제1 스트리밍 영상을 촬영 단말(200)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트리밍 제어부(102)가 아닌 큐카드 표시부(103)가, 제1 댓글이 제1 색으로 표시되고, 제2 댓글이 제2 색으로 표시된 제1 스트리밍 영상을 촬영 단말(200)에 제공한다.
도 5는 실시간 스트리밍되는 방송 상에 큐카드가 표시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스트리밍 영상에는 소통진행을 요청하는 스티커가 적용되고, 제1 댓글을 제공한 시청자의 식별정보가 빨간색으로, 제2 댓글을 전송한 시청자의 식별정보가 검은색으로 표시된다.
이를 통해, 방송을 진행하는 쇼호스트는, 소통진행이 필요함을 인지할 수 있으며, 빨간색으로 표시된 댓글들을 위주로 시청자들과의 소통을 진행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따른 큐카드 표시부(103)가 큐카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들을 촬영 단말에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큐카드 표시부(103)는, 시청자수가 기 설정된 기준 시청자수 이상이고, 기 설정된 시간별 시청자수 또는 기 설정된 시간별 댓글 수가 증가하며, 기 설정된 시간별 주문량이 감소하는 경우, 이벤트진행을 요청하는 스티커를 제1 스트리밍 영상에 적용한다(S310).
큐카드 표시부(103)는, 제2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는 시청자 단말(300)들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시청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이 3분인 경우, 큐카드 표시부(103)는, 3분 동안의 시청자수의 평균값을 기 설정된 3분 동안의 시청자수로 결정할 수 있다.
큐카드 표시부(103)는, 시청자 단말(300)들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한 댓글들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입력된 댓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이 3분인 경우, 큐카드 표시부(103)는, 3분 동안 시청자 단말(300)들로부터 수신된 댓글들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3분 동안 입력된 댓글수를 산출할 수 있다.
큐카드 표시부(103)는, 시청자 단말(300)들로부터 수신된 제1 상품에 대한 주문요청들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주문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이 3분인 경우, 큐카드 표시부(103)는, 3분 동안 수신된 주문요청들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3분 동안의 주문량을 산출할 수 있다.
큐카드 표시부(103)는, 시청자수가 기 설정된 기준시청자수 이상이고, 기 설정된 시간별 시청자수 또는 기 설정된 시간별 댓글수가 증가하며, 기 설정된 시간별 주문량이 감소하는 경우, 이벤트진행을 요청하는 스티커를 제1 스트리밍 영상에 적용한다.
스트리밍 제어부(102)는, 이벤트진행을 요청하는 스티커가 적용된 제1 스트리밍 영상을 촬영 단말(200)에 제공한다.
또한, 큐카드 표시부(103)는, 시청자 단말(300)들로부터 주문완료인증을 포함하는 SNS게시글들의 링크들을 수신한다(S320).
또한, 큐카드 표시부(103)는, 링크들을 송부한 각각의 시청자 단말(300)들에 인증코드를 제공한다(S330).
또한, 큐카드 표시부(103)는, 시청자 단말(300)들로부터 인증코드가 포함된 댓글들인 이벤트 댓글들을 수신한다(S340).
또한, 큐카드 표시부(103)는, 이벤트 댓글들이 수신된 시각에 기초하여 이벤트 댓글들 각각의 순위를 산출한다(S350).
또한, 큐카드 표시부(103)는, 이벤트 댓글들 중 순위가 기 설정된 기준순위 이상인 이벤트 댓글들을 당첨 이벤트 댓글들로 결정한다(S360).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기준순위가 10위인 경우, 순위가 1위 내지 10위인 이벤트 댓글들이 당첨 이벤트 댓글들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큐카드 표시부(103)는, 제1 스트리밍 영상 및 제2 스트리밍 영상에서 이벤트 댓글들을 제3 색으로 표시한다(S370).
스트리밍 제어부(102)는, 이벤트 댓글들이 제3 색으로 표시된 제1 스트리밍 영상을 촬영 단말(200)에 제공하고, 이벤트 댓글들이 제3 색으로 표시된 제2 스트리밍 영상을 시청자 단말(300)들에 제공한다.
도 7은 실시간 스트리밍되는 방송 상에 큐카드가 표시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스트리밍 영상에는 이벤트진행을 요청하는 스티커가 적용되고, 이벤트 댓글들을 전송한 시청자들의 식별정보들이 파란색으로 표시된다.
이를 통해, 방송을 진행하는 쇼호스트는, 이벤트진행이 필요함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쇼호스트 및 시청자들은 이벤트에 당첨된 시청자들을 인지할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키워드 표시부(104)를 포함한다.
도 8은 도 2에 따른 키워드 표시부(104)가 키워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들을 촬영 단말(200)에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키워드 표시부(104)는, 제1 구매자들 각각의 성별 및 연령층에 기초하여 타겟구매자의 성별 및 연령층을 결정한다(S410).
키워드 표시부(104)는, 제1 구매자들의 성별 및 연령층에 기초하여 제2 상품들에 대해 가장 구매를 많이 한 제1 구매자들의 성별 및 연령층을 타겟 구매자의 성별 및 연령층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표시부(104)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타겟구매자의 성별 및 연령층과 미리 매칭된 복수의 키워드들을 검색한다(S420).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성별 및 연령층과 복수의 키워드들이 미리 매칭되어 저장된다. 예를 들어, 20대 여성과 요린이, 혼밥, 자취녀 등이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표시부(104)는, 검색된 키워드들을 제1 스트리밍 영상에 표시한다(S430).
스트리밍 제어부(102)는, 키워드들이 표시된 제1 스트리밍 영상을 촬영 단말(200)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트리밍 제어부(102)가 아닌 키워드 표시부(104)가, 키워드들이 표시된 제1 스트리밍 영상을 촬영 단말(200)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티리밍 제어부(102)가 아닌 키워드 표시부(104)가 키워드들이 표시된 제1 스트리밍 영상을 촬영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표시부(104)는, 쇼호스트가 키워드가 포함되는 문장을 말한 시점 이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평균 시청자수인 제1 시청자수, 제1 주문량 및 제1 댓글수를 산출한다(S440).
키워드 표시부(104)는, 제2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는 시청자 단말(300)들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시청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이 1분인 경우, 키워드 표시부(104)는, 쇼호스트가 키워드가 포함되는 문장을 말한 제1 시점으로부터 1분 동안의 평균 시청자수를 제1 시청자수로 결정할 수 있다. 시청자수는 초단위로 카운팅될 수 있다.
키워드 표시부(104)는, 시청자 단말(300)들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한 댓글들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입력된 댓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이 1분인 경우, 키워드 표시부(103)는, 쇼호스트가 키워드가 포함되는 문장을 말한 제1 시점으로부터 1분 동안에 시청자 단말(300)들로부터 수신된 댓글들의 개수를 제1 댓글수로 결정할 수 있다.
키워드 표시부(104)는, 시청자 단말(300)들로부터 수신된 제1 상품에 대한 주문요청들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주문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이 1분인 경우, 키워드 표시부(104)는, 쇼호스트가 키워드가 포함되는 문장을 말한 제1 시점으로부터 1분 동안에 시청자 단말(300)들로부터 수신된 주문요청들의 개수를 제1 주문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표시부(104)는, 쇼호스트가 키워드가 포함되는 문장을 말한 시점 이전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제2 시청자수, 제2 주문량 및 제2 댓글수를 산출한다(S450).
키워드 표시부(104)는, 제2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는 시청자 단말(300)들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시청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이 1분인 경우, 키워드 표시부(104)는, 쇼호스트가 키워드가 포함되는 문장을 말한 제1 시점의 시청자수와 제1 시점으로부터 1분 전까지의 평균시청자수를 제2 시청자수로 결정할 수 있다. 시청자수는 초단위로 카운팅될 수 있다.
키워드 표시부(104)는, 시청자 단말(300)들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한 댓글들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입력된 댓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이 1분인 경우, 키워드 표시부(103)는, 쇼호스트가 키워드가 포함되는 문장을 말한 제1 시점으로부터 1분 전까지 시청자 단말(300)들로부터 수신된 댓글들의 개수를 제1 댓글수로 결정할 수 있다.
키워드 표시부(104)는, 시청자 단말(300)들로부터 수신된 제1 상품에 대한 주문요청들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주문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이 1분인 경우, 키워드 표시부(104)는, 쇼호스트가 키워드가 포함되는 문장을 말한 제1 시점으로부터 1분 전까지 시청자 단말(300)들로부터 수신된 주문요청들의 개수를 제1 주문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키워드 표시부(104)는, 제1 시청자수, 제1 주문량, 제1 댓글수, 제2 시청자수, 제2 주문량 및 제2 댓글수에 기초하여 키워드들 각각과 대응하는 호응도를 산출한다(S460).
키워드 표시부(104)는, 제1 시청자수에서 제2 시청자수를 뺀 값인 시청자수변화, 제1 주문량에서 제2 주문량을 뺀 값인 주문량변화 및 제1 댓글수에서 제2 댓글수를 뺀 값인 댓글수변화에 기초하여 키워드들 각각과 대응하는 호응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키워드 표시부(104)는, 시청자수변화에 제1 계수를 곱한 값, 주문량변화에 제2 계수를 곱한 값 및 댓글수변화에 제3 계수를 곱한 값의 합을 호응도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예서, 제3 계수가 제1 계수보다 크게 설정되고, 제1 계수가 제2 계수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표시부(104)는, 키워드들 각각과 대응하는 호응도를 제1 스트리밍 영상에 표시한다(S470).
스트리밍 제어부(102)는, 호응도가 표시된 제1 스트리밍 영상을 촬영 단말(200)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트리밍 제어부(102)가 아닌 키워드 표시부(104)가, 호응도가 표시된 제1 스트리밍 영상을 촬영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실시간 스트리밍되는 방송 상에 키워드가 표시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스트리밍 영상에는 키워드들과 키워드들 각각과 대응하는 호응도가 표시된다. 이를 통해, 쇼호스트는 호응도가 높은 키워드를 주로 사용하여 타겟구매자들의 이탈을 억제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진행순서 표시부(105)를 포함한다.
제1 스트리밍 영상 및 제2 스트리밍 영상으로 제공되는 방송이 라이브 커머즈 방송이 아닌, 행사 진행에 대한 방송인 경우, 진행순서 표시부(105)는, 행사의 진행순서를 쇼호스트(또는, 사회자)가 인지하면서 방송을 진행할 수 있도록, 제1 스트리밍 영상에 행사의 진행순서를 표시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행사진행순서에 포함된 복수의 항목들 각각과 미리 매칭된 예정시간이 저장되며, 진행순서 표시부(105)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행사진행순서에 포함된 복수의 항목들 각각과 미리 매칭된 예정시간을 검색한다.
또한, 진행순서 표시부(105)는, 현재시각과 예정시간을 비교하여, 예정시간이 현재시각을 포함하는 경우, 해당 항목과 대응하는 스티커를 제1 색으로 표시하고, 예정시간이 현재시각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해당 항목과 대응하는 스티커를 제2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진행순서 표시부(105)는, 항목들과 대응하는 스티커들이 표시된 제1 스트리밍 영상을 촬영 단말(200)에 전송한다.
이를 통해, 쇼호스트(또는, 사회자)가 행사진행순서에 포함된 항목들을 인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전술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구성부들(101~106)이나 기타 기능 또는 동작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 하나일 수 있고, 저장 장치(16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또는 각종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등일 수 있다.
또한, 장치(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transceiver)(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1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저장 장치(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 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100)의 예를 들면,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단말(200) 및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례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며 이러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단말(200)은 설명의 편의상 노드나 단말로 혼용하여 지칭될 수 있다. 다음 설명에서, 제1 노드(장치)는 앵커/도너 노드 또는 앵커/도너 노드의 CU(centralized unit) 일 수 있고, 제2 노드(장치)는 앵커/도너 노드 또는 릴레이 노드의 DU(distributed unit) 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을 사용하는 노드의 일부로 기지국(base station, BS), 단말, 서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 무선 액세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이다. 기지국은 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 거리에 따라 소정의 지리적 영역으로 정의된 커버리지를 갖는다.
기지국은 "기지국"과 마찬가지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5 세대(5th generation, 5G) 노드",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 단말은 밀리미터 파(millimeter wave, mmWave) 대역(예: 28GHz, 30GHz, 38GHz, 60GHz)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이득 향상을 위해 기지국, 단말은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은 송신 빔포밍 및 수신 빔포밍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 단말은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에 지향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 단말은 빔 탐색 절차 또는 빔 관리 절차를 통해 서빙 빔을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통신은 서빙 빔을 운반하는 자원과 준 동일위치(quasi co-located) 관계에 있는 자원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첫 번째 안테나 포트 및 두 번째 안테나 포트는 첫 번째 안테나 포트의 심볼이 전달되는 채널의 대규모 속성이 두 번째 안테나 포트의 심볼이 전달되는 채널에서 유추될 수 있는 경우 준 동일위치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대규모 속성은 지연 확산, 도플러 확산, 도플러 시프트, 평균 이득, 평균 지연 및 공간 Rx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예시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모듈(module)", "-부(unit)"또는 "-er"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처리하는 유닛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기지국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 저장부(storage unit 및 컨트롤러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표준에 따라 베이스 밴드 신호와 비트 스트림 간의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전송 비트 스트림을 인코딩 및 변조하여 복합 심볼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수신 비트 스트림을 재구성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표준에 따라 베이스 밴드 신호와 비트 스트림 간의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전송 비트 스트림을 인코딩 및 변조하여 복합 심볼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수신 비트 스트림을 재구성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전송한 후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대역 신호를 베이스 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송신 필터(transmission filter), 수신 필터(reception filter), 증폭기(amplifier), 믹서(mixer), 발진기(oscillator),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igital-to-analog convertor, DAC),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to-digital convertor,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송수신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측면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유닛과 아날로그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아날로그 유닛은 동작 전력, 동작 주파수 등에 따라 복수의 서브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송신기(transmitter)", "수신기(receiver)"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수신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수행되는 처리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내의 다른 노드와 통신을 수행하기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는 다른 노드로 전송되는 비트 스트림을 변환하고, 예를 들어, 다른 액세스 노드, 다른 기지국, 상위 노드 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코어 네트워크는 물리적 신호로,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된 물리적 신호를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저장부는 기본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는 휘발성 메모리, 비 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 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컨트롤러는 저장부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읽는다. 컨트롤러는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 따르면, 프로토콜 스택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기지국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도너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에 관한 상기 도너 노드와 관련된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릴레이 노드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에 관한 상기 릴레이 노드와 관련된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말에 대한 데이터를 릴레이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 중 라디오 베어러는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통합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라디오 베어러 및 라디오 베어러에 의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라디오 베어러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메시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의 식별;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종류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의해 전달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도너 노드와 릴레이 노드 사이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해 설정된 터널에 대한 정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라디오 베어러 매핑 정보; 도너 노드 측면의 주소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 측의 주소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하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해 새로운 주소를 라디오 베어러에 할당하도록 릴레이 노드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릴레이 노드가 사용할 수 없는 주소 정보 목록; 및 보안 구성과 관련된 정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의 식별; 릴레이 노드에 의해 승인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의해 승인되지 않은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의해 부분적으로 승인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라디오 베어러 매핑 정보; 릴레이 노드가 생성한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구성 정보; 릴레이 노드 측의 주소에 대한 정보; 및 보안 구성과 관련된 정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너 노드는 도너 노드의 중앙 유닛을 포함하고, 릴레이 노드는 도너 노드의 분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릴레이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도너 노드로부터,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에 관한 도너 노드와 관련된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단말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에 관한 릴레이 노드와 관련된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도너 노드로 전송하고; 도너 노드로부터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 중 라디오 베어러는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통합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라디오 베어러 및 라디오 베어러에 의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라디오 베어러에 의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메시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의 식별;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종류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의해 전달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도너 노드와 릴레이 노드 사이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해 설정된 터널에 대한 정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라디오 베어러 매핑 정보; 도너 노드 측면의 주소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 측의 주소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하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해 새로운 주소를 라디오 베어러에 할당하도록 릴레이 노드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릴레이 노드가 사용할 수 없는 주소 정보 목록; 및 보안 구성과 관련된 정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의 식별; 릴레이 노드에 의해 승인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의해 승인되지 않은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의해 부분적으로 승인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라디오 베어러 매핑 정보; 릴레이 노드가 생성한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구성 정보; 릴레이 노드 측의 주소에 대한 정보; 및 보안 구성과 관련된 정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너 노드는 도너 노드의 중앙 유닛을 포함하고, 릴레이 노드는 도너 노드의 분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설명하는 단말의 구성요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범용적인 단말의 구성요소로서 전술한 내용들에 따른 단말의 구성요소와 병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고, 일부 중첩되거나 상충되는 범위에서 앞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이 우선적용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모듈", "-유닛"또는 "-er"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처리하는 유닛을 의미할 수 있다.
단말은 통신 인터페이스, 저장부 및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표준에 따라 베이스 밴드 신호와 비트 스트림 간의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송 비트 스트림을 인코딩 및 변조하여 복합 심볼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시 통신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여 수신 비트 스트림을 재구성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전송한 후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대역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는 송신 필터(transmission filter), 수신 필터(reception filter), 증폭기(amplifier), 믹서(mixer), 발진기(oscillator),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igital-to-analog convertor, DAC),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to-digital convertor,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송수신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측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예를 들어,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RFIC)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DSP)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RF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통신 인터페이스는 "송신기(transmitter)", "수신기(receiver)"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수신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수행되는 처리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는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는 휘발성 메모리, 비 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 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는 컨트롤러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컨트롤러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컨트롤러는 저장부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읽는다. 컨트롤러는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 따르면, 프로토콜 스택은 통신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의 일부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컨트롤러의 일부를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인코딩 및 변조 회로, 디지털 빔포밍 회로, 복수의 전송 경로 및 아날로그 빔포밍 회로를 포함한다.
인코딩 및 변조 회로는 채널 인코딩을 수행한다. 채널 인코딩을 위해 low-density parity check(LDPC) 코드, 컨볼루션 코드 및 폴라 코드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인코딩 및 변조 회로는 성상 매핑(constellation mapping)을 수행함으로써 변조 심볼을 생성한다.
디지털 빔포밍 회로는 디지털 신호(예를 들어, 변조 심볼)에 대한 빔 형성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 회로는 빔포밍 가중 값에 의해 변조 심볼을 다중화한다. 빔포밍 가중치는 신호의 크기 및 문구를 변경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프리코딩 매트릭스(precoding matrix)"또는 "프리코더(precoder)"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빔포밍 회로는 디지털 빔포밍된 변조 심볼을 복수의 전송 경로로 출력한다. 이때, 다중 안테나 기술(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전송 방식에 따라 변조 심볼이 다중화 되거나 동일한 변조 심볼이 복수의 전송 경로에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전송 경로는 디지털 빔포밍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복수의 전송 경로 각각은 인버스 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계산 유닛, 순환 전치(cyclic prefix, CP) 삽입 유닛, DAC 및 상향 변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CP 삽입 부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방식을 위한 것으로 다른 물리 계층 방식(예: 필터 뱅크 다중 반송파(a filter bank multi-carrier): FBMC) 적용시 생략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전송 경로는 디지털 빔포밍을 통해 생성된 복수의 스트림에 대해 독립적인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구현에 따라 복수의 전송 경로의 일부 요소는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날로그 빔포밍 회로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 회로는 빔포밍 가중 값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를 다중화한다. 빔포밍된 가중치는 신호의 크기와 문구를 변경하는데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전송 경로와 안테나 사이의 연결 구조에 따라, 아날로그 빔포밍 회로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송 경로 각각은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복수의 전송 경로는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복수의 전송 경로는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2개 이상의 안테나 어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촬영 단말로부터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복수의 시청자 단말들에 전송하며, 상기 시청자 단말들로부터 복수의 댓글들을 수신하고, 상기 촬영 단말 및 상기 시청자 단말들에 상기 댓글들이 표시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전송하는 스트리밍 제어부;
    데이터베이스에서 행사진행순서에 포함된 복수의 항목들 각각과 미리 매칭된 예정시간을 검색하고, 상기 항목들 중 상기 예정시간이 현재시각을 포함하는 항목과 대응하는 스티커를 상기 스트리밍 영상에 제1 색으로 표시하고, 상기 항목들 중 상기 예정시간이 상기 현재시각을 포함하지 않는 항목과 대응하는 스티커를 상기 스트리밍 영상에 제2 색으로 표시하여 상기 촬영 단말에 전송하는, 진행순서 표시부; 및
    기 설정된 시간별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는 상기 시청자 단말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시간별 평균 시청자수를 산출하고, 기 설정된 시간별로 수신되는 상기 댓글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시간별 수신된 댓글수를 산출하며,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별 평균 시청자수가 감소하거나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별 수신된 댓글수가 감소하는 경우, 소통진행을 요청하는 스티커가 표시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상기 촬영 단말에 전송하는 큐카드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큐카드 표시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통해 판매되는 제1 상품과 미리 매칭된 복수의 단어들을 검색하며,
    상기 댓글들 중 상기 단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댓글을 제1 댓글로 결정하고,
    상기 댓글들 중 상기 단어들 모두를 포함하지 않는 댓글을 제2 댓글로 결정하며,
    상기 스트리밍 영상에서 상기 제1 댓글을 상기 제1 색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2 댓글을 상기 제2 색으로 표시하여 상기 촬영 단말에 제공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큐카드 표시부는,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는 상기 시청자 단말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시청자수를 산출하고, 기 설정된 시간별로 상기 시청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주문요청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시간별 주문량을 산출하며, 상기 시청자수가 기 설정된 기준 시청자수 이상이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별 평균 시청자수 또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별 댓글수가 증가하며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별 주문량이 감소하는 경우, 이벤트진행을 요청하는 스티커가 표시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상기 촬영 단말에 전송하는,
    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큐카드 표시부는,
    상기 시청자 단말들로부터 주문완료인증을 포함하는 복수의 SNS 게시글들의 링크들을 수신하고,
    상기 링크들을 전송한 상기 시청자 단말들 각각에 인증코드를 전송하며,
    상기 시청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인증코드가 포함된 이벤트 댓글들을 수신하고,
    상기 이벤트 댓글들이 수신된 시각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 댓글들 각각의 순위를 결정하며,
    상기 이벤트 댓글들 중 상기 순위가 기 설정된 기준 순위 이상인 이벤트 댓글들을 당첨 이벤트 댓글들로 결정하고,
    상기 이벤트 댓글들이 제3 색으로 표시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상기 촬영 단말 및 상기 시청자 단말들에 전송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쇼호스트들 각각과 대응하는 파급력을 산출하고, 상기 쇼호스트들 중 상기 파급력이 가장 큰 쇼호스트를 추천 쇼호스트로 결정하는 쇼호스트 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쇼호스트 결정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제1 상품과 미리 매칭된 복수의 제2 상품들을 검색하고, 상기 제2 상품들과 미리 매칭된 제1 방송들 각각의 제1 구매자들의 성별 및 연령층을 검색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쇼호스트들 각각과 미리 매칭된 복수의 제2 방송들을 검색하고, 상기 제2 방송들 각각과 미리 매칭된 복수의 제2 구매자들의 성별 및 연령층을 검색하며,
    상기 제1 구매자들의 성별 및 연령층과 상기 제2 구매자들의 성별 및 연령층에 기초하여 쇼호스트들 각각이 상기 제1 상품을 구매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매자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기대치를 산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제2 방송들과 미리 매칭된 복수의 제3 상품들을 검색하고, 상기 제2 상품들 및 상기 제3 상품들에 기초하여 상기 쇼호스트들 각각과 대응하는 가중치를 산출하며,
    상기 기대치와 상기 가중치를 곱한 값을 상기 파급력으로 결정하는,
    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매자들 각각의 성별 및 연령층에 기초하여 타겟구매자의 성별 및 연령층을 결정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타겟구매자의 성별 및 연령층과 미리 매칭된 복수의 키워드들을 검색하며, 상기 키워드들 각각과 대응하는 호응도를 산출하고, 상기 키워드들 및 상기 키워드들 각각과 대응하는 호응도를 상기 스트리밍 영상에 표시하여 상기 촬영 단말에 전송하는 키워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 표시부는,
    상기 쇼호스트가 상기 키워드가 포함되는 문장을 말한 시점 이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제1 시청자수, 제1 주문량 및 제1 댓글수를 산출하고,
    상기 쇼호스트가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문장을 말한 시점 이전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제2 시청자수, 제2 주문량 및 제2 댓글수를 산출하며,
    상기 제1 시청자수, 상기 제1 주문량, 상기 제1 댓글수, 상기 제2 시청자수, 상기 제2 주문량 및 상기 제2 댓글수에 기초하여 상기 키워드들 각각과 대응하는 상기 호응도를 산출하는,
    장치.
  6.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방법으로서,
    촬영 단말로부터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복수의 시청자 단말들에 전송하며, 상기 시청자 단말들로부터 복수의 댓글들을 수신하고, 상기 촬영 단말 및 상기 시청자 단말들에 상기 댓글들이 표시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전송하는 동작;
    기 설정된 시간별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는 상기 시청자 단말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시간별 평균 시청자수를 산출하고, 기 설정된 시간별로 수신되는 상기 댓글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시간별 수신된 댓글수를 산출하며,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별 평균 시청자수가 감소하거나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별 수신된 댓글수가 감소하는 경우, 소통진행을 요청하는 스티커가 표시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상기 촬영 단말에 전송하는 동작; 및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통해 판매되는 상품인 제1 상품과 미리 매칭된 복수의 단어들을 검색하며, 상기 댓글들 중 상기 단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댓글을 제1 댓글로 결정하고, 상기 댓글들 중 상기 단어들 모두를 포함하지 않는 댓글을 제2 댓글로 결정하며, 상기 스트리밍 영상에서 상기 제1 댓글을 제1 색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2 댓글을 제2 색으로 표시하여 상기 촬영 단말에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
  7. 제6항에 따른 동작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매체.
  8.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서, 제6항에 따른 동작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비일시적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9.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장치에 스트리밍 영상을 전송하는 촬영 단말;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고, 댓글들을 상기 장치에 전송하는 복수의 시청자 단말들; 및
    상기 댓글들이 표시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상기 촬영 단말 및 상기 시청자 단말들에 전송하는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장치는,
    상기 촬영 단말로부터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상기 시청자 단말들에 전송하며, 상기 시청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댓글들을 수신하고, 상기 촬영 단말 및 상기 시청자 단말들에 상기 댓글들이 표시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전송하는 스트리밍 제어부; 및
    기 설정된 시간별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는 상기 시청자 단말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시간별 평균 시청자수를 산출하고, 기 설정된 시간별로 수신되는 상기 댓글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시간별 수신된 댓글수를 산출하며,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별 평균 시청자수가 감소하거나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별 수신된 댓글수가 감소하는 경우, 소통진행을 요청하는 스티커가 표시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상기 촬영 단말에 전송하는 큐카드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큐카드 표시부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통해 판매되는 상품인 제1 상품과 미리 매칭된 복수의 단어들을 검색하며,
    상기 댓글들 중 상기 단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댓글을 제1 댓글로 결정하고,
    상기 댓글들 중 상기 단어들 모두를 포함하지 않는 댓글을 제2 댓글로 결정하며,
    상기 스트리밍 영상에서 상기 제1 댓글을 제1 색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2 댓글을 제2 색으로 표시하여 상기 촬영 단말에 제공하는,

    시스템.
KR1020220007273A 2022-01-11 2022-01-18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388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838A KR102540200B1 (ko) 2022-01-11 2022-04-15 시청자 반응에 기초하여 큐카드를 진행자에게 제공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220046841A KR102540203B1 (ko) 2022-01-11 2022-04-15 쇼호스트 추천기능을 제공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216 2022-01-11
KR20220004216 2022-01-11
KR1020220004817 2022-01-12
KR20220004817 2022-01-12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841A Division KR102540203B1 (ko) 2022-01-11 2022-04-15 쇼호스트 추천기능을 제공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220046838A Division KR102540200B1 (ko) 2022-01-11 2022-04-15 시청자 반응에 기초하여 큐카드를 진행자에게 제공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670B1 true KR102388670B1 (ko) 2022-04-20

Family

ID=8140372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273A KR102388670B1 (ko) 2022-01-11 2022-01-18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220046838A KR102540200B1 (ko) 2022-01-11 2022-04-15 시청자 반응에 기초하여 큐카드를 진행자에게 제공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220046841A KR102540203B1 (ko) 2022-01-11 2022-04-15 쇼호스트 추천기능을 제공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838A KR102540200B1 (ko) 2022-01-11 2022-04-15 시청자 반응에 기초하여 큐카드를 진행자에게 제공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220046841A KR102540203B1 (ko) 2022-01-11 2022-04-15 쇼호스트 추천기능을 제공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8867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22664A (zh) * 2022-06-17 2022-09-06 云知声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人工智能的直播带货辅助方法及装置
KR102554242B1 (ko) * 2022-09-07 2023-07-11 유희주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가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를 단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93762B1 (ko) 2023-05-23 2023-10-26 주식회사 스푼라디오 보이스 인식 기반의 라이브 인터넷 방송에 대한 하이라이트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KR102605982B1 (ko) * 2023-05-23 2023-11-30 김효겸 라이브 방송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619551B1 (ko) * 2022-11-10 2023-12-2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 채팅 요약 시스템 및 방법
KR102660135B1 (ko) 2023-07-07 2024-05-03 스테이지랩스 주식회사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4099184A1 (zh) * 2022-11-07 2024-05-16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活动信息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6472A (ko) * 2015-12-24 2017-07-04 주식회사 지니프릭스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에서 광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099109A (ko) * 2017-02-28 2018-09-05 (주)라이비오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 및 방법
KR102076139B1 (ko) * 2017-09-29 2020-02-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360 영상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서버장치
KR102110414B1 (ko) * 2012-06-14 2020-05-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쉐어링을 위한 공용 지역 이동 네트워크 선택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414B1 (ko) * 2012-06-14 2020-05-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쉐어링을 위한 공용 지역 이동 네트워크 선택 방법
KR20170076472A (ko) * 2015-12-24 2017-07-04 주식회사 지니프릭스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에서 광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099109A (ko) * 2017-02-28 2018-09-05 (주)라이비오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 및 방법
KR102076139B1 (ko) * 2017-09-29 2020-02-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360 영상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서버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22664A (zh) * 2022-06-17 2022-09-06 云知声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人工智能的直播带货辅助方法及装置
KR102554242B1 (ko) * 2022-09-07 2023-07-11 유희주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가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를 단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4099184A1 (zh) * 2022-11-07 2024-05-16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活动信息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619551B1 (ko) * 2022-11-10 2023-12-2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 채팅 요약 시스템 및 방법
KR102593762B1 (ko) 2023-05-23 2023-10-26 주식회사 스푼라디오 보이스 인식 기반의 라이브 인터넷 방송에 대한 하이라이트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KR102605982B1 (ko) * 2023-05-23 2023-11-30 김효겸 라이브 방송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660135B1 (ko) 2023-07-07 2024-05-03 스테이지랩스 주식회사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200B1 (ko) 2023-06-08
KR102540203B1 (ko)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670B1 (ko)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405464B1 (ko) 비대면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39102B1 (ko) 반려동물 미용공간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30170607A (ko) 면적, 배치, 및 부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가상공간을 추천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486487B1 (ko) 사용자를 위한 상품 제공 방법
KR20220113644A (ko) 도매상을 위한 전자상거래 마케팅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385924B1 (ko) 맞춤형 상품 제공 방법
KR102605982B1 (ko) 라이브 방송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524647B1 (ko) 분양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560678B1 (ko)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초한 맞춤형 상품 제공 방법
KR102413526B1 (ko) 공유 주방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481991B1 (ko) 운동모임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424247B1 (ko) 배달 메뉴 공유 플랫폼
KR102562358B1 (ko) 사용자를 위한 광고 대행 방법
KR102662038B1 (ko) 풀필먼트 기반 b2b 커머스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된 운영서버
KR102527962B1 (ko) 사용자의 쇼핑을 위한 제품 추천 및 배송 알고리즘 생성 방법
KR102412716B1 (ko) 코팅 장비를 중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85469B1 (ko) Nft 기반의 헤어샵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590842B1 (ko) 사용자를 위한 음식점 브랜딩 생성 방법
KR20230030597A (ko) 메타버스 기반의 무역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40081301A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시간 경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매 운영 서버,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40081299A (ko) 낙찰금액 예측 기능을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시간 경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매 운영 서버
KR20220131803A (ko) 비대면으로 b2b 기반의 수출 상담회를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
KR20240081300A (ko) 예약 응찰자의 낙찰이력을 이용한 낙찰금액 예측 기능을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시간 경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매 운영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