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109A -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109A
KR20180099109A KR1020170026126A KR20170026126A KR20180099109A KR 20180099109 A KR20180099109 A KR 20180099109A KR 1020170026126 A KR1020170026126 A KR 1020170026126A KR 20170026126 A KR20170026126 A KR 20170026126A KR 20180099109 A KR20180099109 A KR 20180099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broadcasting
terminal
reque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경욱
박영훈
Original Assignee
(주)라이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이비오 filed Critical (주)라이비오
Priority to KR1020170026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9109A/ko
Publication of KR20180099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1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 H04L65/407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04L65/4084
    • H04L65/6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5Network streaming protocols, e.g.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or real-time control protocol [RTCP]
    • H04L67/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은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다수의 시청자 단말과, 상기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방송을 하는 다수의 방송자 단말 및 상기 시청자 단말, 상기 방송자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고 패킷 분산을 이용하여 상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요청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요청장치는, 상기 방송자 단말을 통해 생성되는 상기 방송 정보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시청자 단말에 제공하는 방송 스트리밍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 스트리밍서버는, 상기 통신망을 구성하는 각각 노드에 대해 전송되는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패킷을 통해 각 노드간 전송 시간 및 공간적 거리를 포함하는 거리 정보를 계산하는 거리정보 계산모듈과, 방송 정보 요청시, 상기 거리정보 계산모듈을 통해 계산된 상기 거리정보에 근거하여 검색된 노드 중 가장 가까운 노드를 선택하는 노드 선택모듈 및 상기 노드 선택모듈을 통해 선택된 상기 노드를 통해 패킷 형태의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방송정보 제공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QUESTING REAL TIME BROADCASTING}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및 웹 서비스 내부의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및 PC 환경에서 제공되는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원하는 사용자에게 방송을 요청하고 그 요청을 받은 사용자가 답변으로 실시간 방송할 수 있거나 또는 메시지를 보낸 이용자에게 동일한 방송 요청을 보낼 수 있는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Internet)은 누구나 접속하고자 하는 컴퓨터에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라는 공통의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자유롭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방형 네트워크로서, 이러한 인터넷을 통해 기본적인 텍스트 정보의 전달은 물론 멀티미디어 정보의 전달에 이용되는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디지털 카메라, 웹 카메라 등의 멀티미디어 장비의 대폭적인 보급으로 인하여 자신을 홍보하거나, 특정 관심 분야에 대한 방송을 직접 제작하고자 하는 개인 사용자들이 크게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인터넷 상에서 개인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 개인들에게 각종 방송 장비, 공간 등을 지원하는 인터넷 기술이 발전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 관련 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인해 생동감 있는 오디오와 비디오들이 결합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온라인 검색을 통해 보고 들을 수 있도록 해주는 인터넷 서비스도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이다. 스트리밍(streaming)이란 크기가 큰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실행시키는데 있어서 전부 다운로드 받아 실행하는 것이 아니고 여려 개의 파일로 나누어 실시간 전송하는 방식을 일컫는다.
상기와 같은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는 문자나 이미지, 영상과 같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풍부한 소통 매체임에도 불구하고, 편집이 불가능한 실시간 특성 한계 등으로 인해 특별한 주제가 없이는 쉽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특히 일반인들에 의해서는 1:1 영상통화의 형태로밖에 보편화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방송자가 원할 때 먼저 방송을 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청자 입장에서 원하는 방송자에게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언제든지 손쉽게 방송을 요청하고, 방송자 또한 이에 대한 응답으로 빠르고 자연스럽게 실시간 방송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84668호(2014.04.07)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시청자의 입장에서 방송을 기다리는 것 외에도 먼저 방송자에게 방송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고, 방송자 입장에서는 별다른 주제가 없더라도 시청자의 요청을 받아 손쉽고 부담 없이 방송을 시작할 수 있는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 및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불특정 다수에게 홍보 목적이나 공지의 성격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브랜드나 유명인, 미디어의 라이브 스트리밍 활용 외에도, 일반 대중들이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해 더욱 풍부하게 소통하고 삶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 및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은,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다수의 시청자 단말과, 상기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방송을 하는 다수의 방송자 단말 및 상기 시청자 단말, 상기 방송자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고 패킷 분산을 이용하여 상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요청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요청장치는, 상기 방송자 단말을 통해 생성되는 상기 방송 정보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시청자 단말에 제공하는 방송 스트리밍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 스트리밍서버는, 상기 통신망을 구성하는 각각 노드에 대해 전송되는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패킷을 통해 각 노드간 전송 시간 및 공간적 거리를 포함하는 거리 정보를 계산하는 거리정보 계산모듈과, 방송 정보 요청시, 상기 거리정보 계산모듈을 통해 계산된 상기 거리정보에 근거하여 검색된 노드 중 가장 가까운 노드를 선택하는 노드 선택모듈 및 상기 노드 선택모듈을 통해 선택된 상기 노드를 통해 패킷 형태의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방송정보 제공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시청자 단말은 상기 방송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어 가능한 제 1 정보 입력모듈, 제 1 통신 모듈 및 제 1 영상촬영 모듈을 구비하고, 활성화된 상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방송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방송자 단말은 상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 가능한 제 2 정보입력 모듈, 제 2 통신 모듈 및 제 3 영상촬영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시청자 단말에서 생성된 방송 요청 메시지가 상기 방송 요청장치를 통해 다수의 방송자 단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전달되는 경우, 선택된 상기 방송자 단말이 방송 요청을 선택하면, 상기 방송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방송을 상기 방송 요청장치를 통해 상기 시청자 단말에서 활성화된 상기 방송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고, 선택된 상기 방송자 단말이 방송 요청을 선택하지 않고 상기 방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상기 시청자 단말에 방송을 요청하면, 상기 방송자 단말에서 방송 요청 리턴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하는 상기 시청자 단말에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송 요청장치는, 상기 시청자 단말에서 활성화된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방송 요청 메시지와 상기 방송자 단말에서 방송 요청 리턴 메시지 생성되는 경우 생성된 상기 방송 요청 리턴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앱(APP) 서버와, 상기 앱 서버에 방송 요청 메시지가 전달되면 방송 요청에 대한 푸시(push)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푸시 알림 메시지를 AWS(Amazon Web Service) SNS를 이용하여 해당 방송자 단말에 푸시 방식으로 전달하는 메시지 전달서버 및 상기 방송 스트리밍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방송 정보를 실시간 저장하는 방송 저장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앱 서버는, 방송 종료 후 상기 방송 저장서버에 저장되는 방송 정보에 대해 타임 라인을 적용하여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시청자 단말, 방송자 단말 및 상기 방송 요청장치가 접속되는 통신망은 웹 알티씨(Web RTC(Real Time Communication)) 통신방식을 이용한 동적 네트워크망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송자 단말은 상기 제2 영상 촬영모듈보다 높은 화질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송 저장서버는, 스트리밍되는 상기 방송의 방송 정보를 상기 영상촬영 수단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정보로 대체하여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송 요청장치는 상기 방송 영상에 대해 보안기능을 부여하는 방송 보안서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송 보안서버는, 상기 방송 영상의 1프레임을 추출한 후 설정된 영역을 SHA-1(Secure Hash Algorithm-1)로 암호화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앱 서버는, 상기 방송자 단말을 통해 방송이 시작되면, 방송 요청을 한 시청자 단말 외에 다른 시청자 단말에게 방송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푸시 알림 방식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통신망을 통해 서로 접속되는 다수의 시청자 단말, 방송 요청장치 및 다수의 방송자 단말을 포함하는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을 이용한 방송 요청방법은,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상기 시청자 단말에서 상기 다수의 방송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방송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방송 요청 메시지를 상기 방송 요청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요청장치가 상기 방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요청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요청장치가 저장한 방송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푸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다수의 방송자 단말 중 선택된 상기 방송자 단말에 푸시 알림 방식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방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방송자 단말이 상기 방송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방송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자 단말이, 상기 방송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방송이 선택되면, 실시간 방송을 상기 방송 요청장치를 통해 상기 시청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자 단말이 상기 방송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시청자 단말에 대한 방송 요청이 선택되면, 방송 요청 리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방송 요청 메시지를 상기 방송 요청장치를 통해 상기 시청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시청자의 입장에서 방송을 기다리는 것 외에도 먼저 방송자에게 방송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고, 방송자 입장에서는 별다른 주제가 없더라도 시청자의 요청을 받아 손쉽고 부담 없이 방송을 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청자의 방송 요청에 의한 방송자의 방송 이외에도 방송자 측에서 방송 요청을 시청자에게 방송 요청을 리턴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방송 형태를 이룰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 및 방법은 불특정 다수에게 홍보 목적이나 공지의 성격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브랜드나 유명인, 미디어의 라이브 스트리밍 활용 외에도, 일반 대중들이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해 더욱 풍부하게 소통하고 삶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을 이루는 방송 요청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동적 네트워크망에 의해 구현되는 방송 스트리밍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보안서버를 통해 구현되는 방송 영상에 대해 보안기능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간 방송 요청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을 이루는 방송 요청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1)은 시청자 단말(10), 방송자 단말(20) 및 방송 요청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1)을 이루는 시청자 단말(10)과 방송자 단말(20)은 다수로 구성될 수 있다.
시청자 단말(10)는 방송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어 가능한 제 1 정보 입력모듈(11), 제 1 통신 모듈(12) 및 제 1 영상촬영 모듈(13)을 포함할 수 있다.
시청자 단말(10)에서는 활성화된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방송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정보 입력모듈(11)을 통해 방송 요청을 위한 정보(예를 들어, 방송자 선택 및 방송 요청 등)가 입력되면, 제 1 정보 입력모듈(11)에서는 방송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제 1 통신모듈(12)에서는 생성된 방송 요청 메시지를 통신망(100)을 통해 방송 요청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시청자 단말(10), 방송자 단말(20) 및 방송 요청장치(30)가 접속되는 통신망(100)은 웹 알티씨(Web RTC(Real Time Communication)) 통신방식을 이용한 동적 네트워크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방송 요청장치(30)는 시청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한 방송 요청 메시지를 통신망(100)을 통해 접속된 다수의 방송자 단말 중 시청자 단말(10)에서 선택된 방송자 단말(20)로 푸시 알림 방식으로 방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방송자 단말(20)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 입력이 가능한 제 2 정보입력 모듈(21), 통신망(100)을 통해 방송 요청장치(30)와 데이터 전송 및 수신이 가능한 제 2 통신 모듈(22) 및 방송을 위한 영상 촬영이 가능한 제 2 영상 촬영모듈(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영상 촬영모듈(11) 및 제 2 영상 촬영모듈(21)은 시청장 단말(10) 및 방송자 단말(20)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1)에서는 시청자 단말(10)에서 생성된 방송 요청 메시지가 방송 요청장치(30)를 통해 다수의 방송자 단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송자 단말(30)에 전송되면, 방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방송자 단말(20)에서는 방송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실시간 방송을 방송 요청장치(30)를 통해 시청자 단말(10)의 활성화된 방송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선택된 방송자 단말(20)이 방송 요청을 선택하지 않고, 즉 방송을 하지 않고 방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시청자 단말(10)에 방송을 요청하는 방송 요청 리턴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방송자 단말(20)에서만 방송이 이루어지지 않고,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 단말(10)을 통해서도 방송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송 요청장치(30)는 앱(APP) 서버(31), 메시지 전달서버(32), 방송 스트리밍서버(33), 방송 저장서버(34) 및 방송 보안서버(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앱(APP) 서버(31)는 시청자 단말(10) 및 방송자 단말(20)에서 실행되는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배포, 제어 및 업그레이드 등을 관리하고 시청자 단말(10) 및 방송자 단말(20)의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앱(APP) 서버(31)에서는 시청자 단말(10)에서 활성화된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되어 전송된 방송 요청 메시지 및 방송자 단말에서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방송 요청 리턴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메시지 전달서버(32)는 앱(APP) 서버(31)에 시청자 단말(10)로부터 방송 요청 메시지가 전달되면 방송 요청에 대한 알림 메시지 즉, 방송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푸시(push)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푸시 알림 메시지를 AWS(Amazon Web Service) SNS를 이용하여 방송자 단말(20)에 푸시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전송된 방송 요청 메시지에는 시청자 단말(10)에서 선택한 방송자 단말(20)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어, 메시지 전달서버(32)는 이를 통해 다수의 방송자 단말 중 해당 방송자 단말(20)로 푸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방송 스트리밍서버(33)는 스트리밍 엔진(Streaming Engine)이 내장되고, 방송자 단말(20)을 통해 생성되는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정보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시청자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송 스트리밍서버(33)는 거리정보 계산모듈(33_1)과, 노드 선택모듈(33_2) 및 방송정보 제공모듈(33_3)을 포함할 수 있다. 거리정보 계산모듈(33_1)은 네트워크 등의 통신망을 구성하는 각각 노드에 대해 전송되는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패킷을 통해 각 노드간 전송 시간 및 공간적 거리를 포함하는 거리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노드 선택모듈(33_2)은 방송 정보 요청시, 거리정보 계산모듈(33_1)을 통해 계산된 거리정보에 근거하여 검색된 다수의 노드들 중 가장 가까운 노드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정보 제공모듈(33_3)에서는 노드 선택모듈(33_2)을 통해 선택된 노드를 통해 데이터 즉, 패킷 형태의 방송 정보를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스트리밍서버는 클라이언트/서버 형태의 네트워크로 이루어져 있으며, 스트리밍서버의 특성상 소수의 스트림에 트랙픽이 집중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스티리밍 접속을 분산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클라이언트에 시간 정보를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동적 네트워크망에 의해 구현되는 방송 스트리밍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공간적 거리가 증가할수록 소요시간이 증가하기 때문에,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노드 별로 전송된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패킷을 통해 각 노드 간 소요시간 및 공간적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계산된 데이터는 중개자에 저장되고, 도 3의 (b)에서와 같이 새로운 요청이 발생하면, 중개자에 저장된 거리 정보에 기반하여 가장 가까운 노드를 검색하고, 검색된 노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도 3의 (c)).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스트리밍 송출의 지연시간/공간적 중앙 노드를 사용함으로써 분산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수의 노드를 군집화함으로써 하나의 노드에서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노드로 대체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방송 저장서버(34)는 방송 스트리밍 서버(33)에서 제공하는 방송 정보, 즉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실시간 저장한다. 특히, 방송자 단말(20)은 제 2 영상 촬영모듈보다 높은 화질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수단(24), 예를 들어 HD(High Definition), UHD(Ultra High Definition) 등의 고화질 영상을 위한 촬영수단이나 360도 카메라, 헬리캠 등의 촬영수단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방송 저장서버(34)는 스트리밍되는 방송의 방송 정보를 저장한 후에, 기존의 영상에 대해 영상 촬영수단(24)을 통해 촬영되는 고화질의 영상으로 대체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간 방송 종료 후에 시청자 단말에 제공되는 방송은, 실시간 제공되는 영상보다 고화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방송자 단말(20)에 포함되는 영상 촬영수단(24)은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시청자 단말(10)에도 포함될 수 있다.
앱(APP) 서버(31)는, 방송 종료 후 방송 저장서버(34)에 저장되는 방송 정보에 대해, 타임 라인을 적용하여 방송 저장서버(34)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타임 라인 저장시,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중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영상 패킷을 분산 후 방송 저장서버(34)에서 전송함으로써 기존 저장된 영상을 고화질의 영상으로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시청자 단말(10) 측에서는 항상 방송자 카메라의 최대 해상도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방송 보안서버(35)에서는 방송되는 영상 정보에 대해 보안기능, 예를 들어, 방송 영상의 1프레임을 추출한 후 설정된 영역을 SHA-1(Secure Hash Algorithm-1)로 암호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방송 보안서버를 통해 구현되는 방송 영상에 대해 보안기능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방송 영상으로부터 1 프레임을 추출한 후, 임의의 영역을 SHA-1로 암호화한다. 이때, 암호화하는 키를 해쉬(hash) 체인에 저장하고, 해당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 역시 이 블럭을 저장할 수 있다.
영상이 생성되면 그 영상의 1 프레임 별로 암호화하는 해쉬 체인이 생성되고, 또한 해당 영상을 시청했던 시청자 역시 시청한 구간만큼의 해쉬 체인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작권 보호를 위해 해당 영상을 시청자가 가지고 있는 해쉬 체인만큼만 시청이 가능하며(도 5의 (a)), 해쉬 체인이 중간에 어떠한 하나의 값만 변경되어도 그 이후의 해쉬 체인은 사용할 수 없다(도 5의 (b)).
따라서, 방송 보안서버(35)에서는 영상에 대해 보안기능을 적용함으로써 방송 영상에 대한 저작권 보호 및 보안을 강화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방송자 단말(20)을 통해 실시간 방송이 시작되면, 방송 요청장치(30)의 앱(APP) 서버(31)에서는 방송 요청을 한 시청자 단말 외에 다른 시청자 단말에게 방송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푸시 알림 방식으로 전송함으로써, 방송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앱(APP) 서버(31)는 실시간 방송되는 영상에 대해 상품 광고가 포함된 태그를 표시할 수 있고, 시청자 단말(10)을 통해 표시되는 태그가 선택되면 해당 태그에 대응하는 상품의 할인 쿠폰을 시청자 단말(10)에 전송함으로써 방송을 통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간 방송 요청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방송자 단말을 통해 방송시 활성화된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통신망(10)을 통해 서로 접속되는 시청자 단말(10), 방송자 단말(20) 및 방송 요청장치(30)를 포함하는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1)을 이용한 방송 요청방법에서는 먼저,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시청자 단말(10)에서 다수의 방송자 단말 중 방송을 원하는 어느 하나의 방송자 단말(20)을 선택하여 방송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S101).
이후, 시청자 단말(10)에서 생성된 방송 요청 메시지가 방송 요청장치(30)에 전송되어 방송 요청장치(30)의 앱(APP) 서버(31)에 저장된다(S102).
방송 요청장치(30)에서는 저장된 방송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푸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다수의 방송자 단말 중 선택된 방송자 단말(20)에 푸시 알림 방식으로 전송한다(S103).
방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방송자 단말(20)에서는 방송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방송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S104).
이때, 방송자 단말(20)에서 방송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방송이 선택되면, 실시간 방송을 방송 요청장치(30)를 통해 시청자 단말(10)에 제공한다(S105).
도 7은 방송시 방송자 단말을 활성화된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실시간 방송이 진행 중인 화면(200)의 하단에는 정보 입력창(201)이 활성화되어, 이 정보 입력창(201)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는 시청자 단말(1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방송자 단말(20)을 통해 실시간 방송이 시작되면, 방송 요청장치(30)의 앱(APP) 서버(31)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방송 요청을 한 시청자 단말(10) 외에 다른 시청자 단말에게 방송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푸시 알림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청자가 방송에 입장하면 방송이 진행 중인 화면(200)에는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정보 또는 아이콘(202)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방송중 시청자 단말(10)로부터 방송자 단말(20)에 대화 요청이 있는 경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송 중인 화면(200)의 상단에 대화 요청 메시지(203)가 표시되고, 방송자 측에서 시청자 단말(10)의 대화 요청을 수락하면, 시청자(시청자 단말(10)의 시청자)도 대화를 통해 방송 참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다수의 시청자를 대상으로 방송 중인 경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200)의 상단에 대화 요청을 한 시청자의 아이콘이 활성화되고, 방송자 단말(20)에서 대화 요청에 대한 수락 또는 거절을 선택함으로써 다수의 시청자가 대화를 통해 방송의 참여가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시청자와 방송자가 대화 중이더라도 대화 요청을 위한 배너가 계속 쌓이며, 방송자가 쌓인 배너로부터 대화요청을 한 시청자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시청자가 방송에 참가하면 배너 목록에서 사라지고, 다시 시청자가 요청하면 목록의 맨 윗줄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단계(S104)에서 방송자 단말(20)이 방송 요청을 선택하지 않고 방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시청자 단말(10)에 방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자 단말(20)은 시청자 단말(10)에 방송을 요청하는 방송 요청 리턴 메시지를 생성하고(S106), 방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시청자 단말(10)에 생성한 방송 요청 리턴 메시지를 전송한다(S107).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방송 요청 리턴 메시지를 수신한 시청자 단말(10)에서 방송 요청을 수락하면, 방송자 단말(20)을 통해 수행되는 실시간 방송이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
10 : 시청자 단말 11 : 제 1 정보 입력모듈
12 : 제 1 통신모듈 13 : 제 1 영상 촬영모듈
20 : 방송자 단말 21 : 제 2 정보 입력모듈
22 : 제 2 통신모듈 23 : 제 2 영상 촬영모듈
24 : 영상 촬영수단
30 : 방송 요청장치 31 : 앱(APP) 서버
32 : 메시지 전달서버 33 : 방송 스트리밍서버
34 : 방송 저장서버 35 : 방송 보안서버
100 : 통신망

Claims (12)

  1.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다수의 시청자 단말과, 상기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방송을 하는 다수의 방송자 단말 및 상기 시청자 단말, 상기 방송자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고 패킷 분산을 이용하여 상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요청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요청장치는,
    상기 방송자 단말을 통해 생성되는 상기 방송 정보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시청자 단말에 제공하는 방송 스트리밍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 스트리밍서버는,
    상기 통신망을 구성하는 각각 노드에 대해 전송되는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패킷을 통해 각 노드간 전송 시간 및 공간적 거리를 포함하는 거리 정보를 계산하는 거리정보 계산모듈;
    방송 정보 요청시, 상기 거리정보 계산모듈을 통해 계산된 상기 거리정보에 근거하여 검색된 노드 중 가장 가까운 노드를 선택하는 노드 선택모듈; 및
    상기 노드 선택모듈을 통해 선택된 상기 노드를 통해 패킷 형태의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방송정보 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 단말은 상기 방송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어 가능한 제 1 정보 입력모듈, 제 1 통신 모듈 및 제 1 영상촬영 모듈을 구비하고, 활성화된 상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방송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방송자 단말은 상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 가능한 제 2 정보입력 모듈, 제 2 통신 모듈 및 제 3 영상촬영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시청자 단말에서 생성된 방송 요청 메시지가 상기 방송 요청장치를 통해 다수의 방송자 단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전달되는 경우,
    선택된 상기 방송자 단말이 방송 요청을 선택하면, 상기 방송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방송을 상기 방송 요청장치를 통해 상기 시청자 단말에서 활성화된 상기 방송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고,
    선택된 상기 방송자 단말이 방송 요청을 선택하지 않고 상기 방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상기 시청자 단말에 방송을 요청하면, 상기 방송자 단말에서 방송 요청 리턴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하는 상기 시청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요청장치는,
    상기 시청자 단말에서 활성화된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방송 요청 메시지와 상기 방송자 단말에서 방송 요청 리턴 메시지 생성되는 경우 생성된 상기 방송 요청 리턴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앱(APP) 서버;
    상기 앱 서버에 방송 요청 메시지가 전달되면 방송 요청에 대한 푸시(push)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푸시 알림 메시지를 AWS(Amazon Web Service) SNS를 이용하여 해당 방송자 단말에 푸시 방식으로 전달하는 메시지 전달서버; 및
    상기 방송 스트리밍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방송 정보를 실시간 저장하는 방송 저장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앱 서버는, 방송 종료 후 상기 방송 저장서버에 저장되는 방송 정보에 대해 타임 라인을 적용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 단말, 방송자 단말 및 상기 방송 요청장치가 접속되는 통신망은 웹 알티씨(Web RTC(Real Time Communication)) 통신방식을 이용한 동적 네트워크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자 단말은 상기 제 2 영상 촬영모듈보다 높은 화질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송 저장서버는, 스트리밍되는 상기 방송의 방송 정보를 상기 영상촬영 수단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정보로 대체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요청장치는 상기 방송 영상에 대해 보안기능을 부여하는 방송 보안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보안서버는, 상기 방송 영상의 1프레임을 추출한 후 설정된 영역을 SHA-1(Secure Hash Algorithm-1)로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앱 서버는,
    상기 방송자 단말을 통해 방송이 시작되면, 방송 요청을 한 시청자 단말 외에 다른 시청자 단말에게 방송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푸시 알림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
  9. 통신망을 통해 서로 접속되는 다수의 시청자 단말, 방송 요청장치 및 다수의 방송자 단말을 포함하는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을 이용한 방송 요청방법에 있어서,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상기 시청자 단말에서 상기 다수의 방송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방송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방송 요청 메시지를 상기 방송 요청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방송 요청장치가 상기 방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요청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방송 요청장치가 저장한 방송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푸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다수의 방송자 단말 중 선택된 상기 방송자 단말에 푸시 알림 방식으로 전송하는 단계;
    방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방송자 단말이 상기 방송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방송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방송자 단말이, 상기 방송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방송이 선택되면, 실시간 방송을 상기 방송 요청장치를 통해 상기 시청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자 단말이 상기 방송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시청자 단말에 대한 방송 요청이 선택되면, 방송 요청 리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방송 요청 메시지를 상기 방송 요청장치를 통해 상기 시청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방송 요청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 단말, 방송자 단말 및 상기 방송 요청장치가 접속되는 통신망은 웹 알티씨(Web RTC(Real Time Communication)) 통신방식을 이용한 동적 네트워크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방송 요청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요청장치를 통해 상기 시청자 단말에 방송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방송 요청장치는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해 보안기능을 부여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보안기능을 부여하는 공정은 상기 영상 정보에서 1프레임을 추출한 후 설정된 영역을 SHA-1(Secure Hash Algorithm-1)로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방송 요청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자 단말을 통한 방송 단계에서,
    상기 방송자 단말을 통해 방송이 시작되면, 방송 요청을 한 시청자 단말 외에 다른 시청자 단말에게 방송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푸시 알림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방송 요청방법.
KR1020170026126A 2017-02-28 2017-02-28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91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126A KR20180099109A (ko) 2017-02-28 2017-02-28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126A KR20180099109A (ko) 2017-02-28 2017-02-28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109A true KR20180099109A (ko) 2018-09-05

Family

ID=63594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126A KR20180099109A (ko) 2017-02-28 2017-02-28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910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2089A (zh) * 2019-01-24 2019-06-07 网联清算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装置、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388670B1 (ko) * 2022-01-11 2022-04-20 주식회사온앤미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N115296943A (zh) * 2022-07-18 2022-11-04 杭州趣链科技有限公司 一种消息广播方法、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668B1 (ko) 2013-10-15 2014-04-14 조용상 하이브리드앱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의 실시간 라이브방송을 제공하는 솔루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668B1 (ko) 2013-10-15 2014-04-14 조용상 하이브리드앱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의 실시간 라이브방송을 제공하는 솔루션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2089A (zh) * 2019-01-24 2019-06-07 网联清算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装置、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388670B1 (ko) * 2022-01-11 2022-04-20 주식회사온앤미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540200B1 (ko) * 2022-01-11 2023-06-08 주식회사온앤미 시청자 반응에 기초하여 큐카드를 진행자에게 제공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540203B1 (ko) * 2022-01-11 2023-06-08 주식회사온앤미 쇼호스트 추천기능을 제공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N115296943A (zh) * 2022-07-18 2022-11-04 杭州趣链科技有限公司 一种消息广播方法、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CN115296943B (zh) * 2022-07-18 2024-04-16 杭州趣链科技有限公司 一种消息广播方法、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72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user digital interactive experience
US11317164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providing media content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CN101485170B (zh) 通过网络呈现用流传输的可重复的数据对象
US20020170053A1 (en) ECM and EMM distribution for multimedia multicast content
US118891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user digital interactive experience
WO2008125023A1 (fr) Système, procédé de protection et serveur pour réaliser un service de canal virtuel
KR20180099109A (ko) 실시간 방송 요청 시스템 및 방법
US9413798B2 (en) Method and system for video-on-demand (VOD)
KR100837522B1 (ko) Iptv 영화 예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51466A (ko) 방송 프로그램 전송 요청 방법 및 이에 대한 방송 프로그램 전송 방법
CN101405714A (zh) 用于通过通信网络提供媒体内容的方法、设备及系统
KR20100023473A (ko) Iptv를 이용하여 개인방송 중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개인방송 시스템 및 방법
US9197690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content
US92772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band delivery of advertising decision data
KR102101775B1 (ko) 합동 방송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0074709A (ja) 放送番組配信システムと放送番組配信サーバ及びユーザ端末装置
KR20080090112A (ko) Iptv 음악 포탈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송수신 방법
JP2005151229A (ja) 映像流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端末および映像流通方法
Koyama et al. Multi-camera Live Video Streaming over Wireless Network
WO20090950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media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BG3451U1 (bg) Система за споделен достъп за мобилна телевизия
AU2002253848A1 (en) ECM And EMM Distribution for Multimedia Multicast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