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446B1 -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 및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 및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446B1
KR102388446B1 KR1020200070649A KR20200070649A KR102388446B1 KR 102388446 B1 KR102388446 B1 KR 102388446B1 KR 1020200070649 A KR1020200070649 A KR 1020200070649A KR 20200070649 A KR20200070649 A KR 20200070649A KR 102388446 B1 KR102388446 B1 KR 102388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ttery
electrode
drying
electrod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3830A (ko
Inventor
이장혁
서태헌
조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Priority to KR1020200070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446B1/ko
Priority to PCT/KR2021/006190 priority patent/WO2021251641A1/ko
Publication of KR20210153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26B3/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26B3/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 F26B3/08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tributing fluidising gas, e.g. grids,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3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33Heating devices using lamps
    • H05B3/0038Heating devices using lamp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는 금속 박, 및 상기 금속 박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된 전극 슬러리를 포함하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의 상기 전극 슬러리를 1차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전극 슬러리에 광을 조사하는 램프 유닛 및 상기 전극 슬러리에 고온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 분사 유닛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1차 건조부; 및 상기 전극 슬러리를 2차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전극 슬러리에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램프를 가진 복수의 적외선 램프 유닛을 구비하는 2차 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 및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electrode sheet for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 및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고 장비 설치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 및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및 자동차와 같은 다양한 제품에 배터리가 설치되고 있는데, 이러한 배터리는 양극판 및 음극판과 같은 배터리 전극을 포함한다.
종래의 배터리 전극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행해진다. 먼저, 일단부가 피딩 롤러(feeding roller)로부터 언와인딩(unwinding)되고 타단부가 권취 롤러로 리와인딩(rewinding)되는(이하, '롤 투 롤(Roll to Roll)'이라 함) 띠 형상의 금속 박에 전극 슬러리(slurry)를 코팅하고, 이러한 코팅된 금속 박(이하, '배터리용 전극 시트'라 함)은 코팅부와 권취 롤러 사이에 배치된 터널식 건조 장치를 통과하면서 전극 슬러리 내의 용제(solvent)를 제거하기 위한 건조 공정이 진행된다. 이와 관련하여, 금속 박의 양면에 전극 슬러리를 코팅하고자 하는 경우, 금속 박의 일면이 상면인 상태에서 1차 롤 투 롤 과정을 통해 금속 박의 일면에 대한 전극 슬러리의 코팅 및 건조가 행해진 후, 금속 박의 타면이 상면인 상태에서 2차 롤 투 롤 과정을 통하여 금속 박의 타면에 대한 전극 슬러리의 코팅 및 건조가 행해진다.
그 다음에, 건조가 완료된 배터리용 전극 시트는 롤 투 롤 방식의 압연 공정에 의해 두께가 줄고 밀도가 높아진다. 그 다음에, 압연된 배터리용 전극 시트는 절단 공정을 통해 단판 형태의 전극으로 제조된 후, 진공 건조기 내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공정이 진행된다.
이러한 배터리 전극 제조 방법의 건조 공정에서 코팅된 전극 슬러리 내의 용제를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는 열풍의 대류 현상을 이용하는 대략 60m 내지 100m 길이의 터널식 건조 장치이기 때문에, 건조 시간이 길고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매우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조 공정 중에 불량이 발생할 경우, 피딩 롤로부터 권취 롤까지의 길이인 라인(line) 길이가 길기 때문에 바로 절단하거나 정지시키는 것이 사실상 곤란하고, 생산 기종의 변경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고 장비 설치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 및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열 온도를 단시간에 조절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 및 생산 기종의 변경이 용이한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 및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에 있어서, 금속 박, 및 상기 금속 박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된 전극 슬러리를 포함하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의 상기 전극 슬러리를 1차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전극 슬러리에 광을 조사하는 램프 유닛(lamp unit) 및 상기 전극 슬러리에 고온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 분사 유닛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1차 건조부; 및 상기 전극 슬러리를 2차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전극 슬러리에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램프를 가진 복수의 적외선 램프 유닛을 구비하는 2차 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금속 박의 일면에 전극 슬러리를 코팅하는 제1 코팅 노즐, 및 상기 금속 박의 타면에 전극 슬러리를 코팅하는 제2 코팅 노즐을 가진 코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방법에 있어서, a) 금속 박, 및 상기 금속 박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된 전극 슬러리를 포함하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의 상기 전극 슬러리에 대한 램프 유닛의 광의 조사 및 상기 전극 슬러리에 대한 고온 가스의 분사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상기 전극 슬러리를 1차 건조시키는 단계; b) 상기 전극 슬러리에 적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전극 슬러리를 2차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a) 단계 이전에, a1) 상기 금속박의 양면에 전극 슬러리를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 및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방법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
1.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고 장비 설치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다.
2. 가열 온도를 단시간에 조절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 및 생산 기종의 변경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2에 표시된 A 부분을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의 적외선 램프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표시된 B 부분을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의 가스 분사 유닛의 방향 조절 브라켓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제3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표시된 C 부분을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 및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100)에 의해 건조되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는 금속 박(101) 및 전극 슬러리(104)를 포함한다. 금속 박(101)은 피딩 롤러(160)로부터 언와인딩되는 일단부(106)를 가진다. 또한, 금속 박(101)의 타단부(107)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롤러(170)에 리와인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 박(101)의 타단부(106)는 진공 컨베이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진공 흡착되면서 이동될 수도 있다. 전극 슬러리(104)는, 예를 들어, 활물질, 도전제, 바인더, 및 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금속 박(101)의 일면(102) 또는 양면(102, 103)에 코팅된다.
다음으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100)는 코팅부(110), 1차 건조부(120), 2차 건조부(130), 및 3차 건조부(150)를 포함한다.
코팅부(110)는 금속 박(101)의 일면(102) 또는 양면(102, 103)에 전극 슬러리(104)를 코팅하는 구성요소이다. 코팅부(110)는 금속 박(101)의 일면(102)에 전극 슬러리(104)를 코팅하는 제1 코팅 노즐(110a)을 포함한다. 또한, 코팅부(110)는 금속 박(101)의 타면(103)에 전극 슬러리(104)를 코팅하는 제2 코팅 노즐(110b)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팅 노즐(110a) 및 제2 코팅 노즐(110b)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박(101)을 사이에 두고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제1 코팅 노즐(110Aa) 및 제2 코팅 노즐(110Ab)과 같이, 금속 박(10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1차 건조부(120)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의 전극 슬러리(104)를 1차 건조시키는 구성요소이다. 1차 건조부(120)는 전극 슬러리(104)에 광을 조사하는 램프 유닛(121), 및 램프 유닛(121)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가진 제1 챔버(122)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 유닛(121)은, 예를 들어, 제논 램프(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논 램프(123)는 제논 가스 속에서 일어나는 방전에 의한 발광을 이용한 램프이다. 이러한 제논 램프(123)는 자연광에 가까운 광을 방사하기 때문에, 적외선, 가시광선, 및 자외선을 모두 방사할 수 있다.
제1 챔버(122)는 내부 공간과 외부를 단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챔버(122)는 전극 슬러리(104)가 코팅된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가 진입하는 입구(126), 및 1차 건조된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가 빠져 나오는 출구(127)를 가진다.
2차 건조부(130)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의 전극 슬러리(104)를 2차 건조시키는 구성요소이다. 2차 건조부(130)는 복수의 적외선 램프 유닛(131), 윈도우(window; 137), 제2 가스 분사부(138), 제2 가스 흡입부(139), 반사판(140), 및 제2 챔버(14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가스"는 "공기" 및/또는 "공기 이외의 기체"를 포함한다.
적외선 램프 유닛(131)은 금속 박(101)의 일면(102)에 코팅된 전극 슬러리(104)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적외선 램프 유닛(131a), 및 금속 박(101)의 타면(103)에 코팅된 전극 슬러리(104)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적외선 램프 유닛(131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램프 유닛(13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슬러리(104)에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램프(136)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적외선 램프(136)는 램프 본체(1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적외선 램프 유닛(131a)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근적외선 램프 유닛(131a1) 및 원적외선 램프 유닛(131a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침투 깊이가 서로 다른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모두를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으므로, 전극 슬러리(104)에 대한 2차 건조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적외선 램프 유닛(131a)은 복수의 세트(131aA, 131aB, 131a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적외선 램프 유닛(131a)의 교체는 세트(131aA, 131aB, 131aC) 별로 행해질 수 있다.
복수의 제2 적외선 램프 유닛(131b)은 복수의 제1 적외선 램프 유닛(131a)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137)는 금속 박(101)의 일면(102)에 코팅된 전극 슬러리(104)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윈도우(137a), 및 금속 박(101)의 타면(103)에 코팅된 전극 슬러리(104)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윈도우(137b)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137)는 적외선 램프(136)로부터 조사된 적외선을 투과시킨다. 윈도우는, 예를 들어, 세라믹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윈도우(137)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와 적외선 램프(136) 사이에 배치되어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와의 사이의 유로(流路; 146a, 146b)를 형성한다.
제2 가스 분사부(138)는 윈도우(137)와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 사이의 유로(146a, 146b)에 가스를 분사한다. 제2 가스 분사부(138)는 제1 윈도우(137a)와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 사이의 제1 유로(146a)를 향하여 가스를 분사하는 제1 가스 분사부(138a), 및 제2 윈도우(137b)와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 사이의 제2 유로(146b)를 향하여 가스를 분사하는 제2 가스 분사부(138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스 흡입부(139)는 윈도우(137)와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 사이의 유로(146a, 146b)로부터 가스를 흡입한다. 제2 가스 흡입부(139)는 제1 윈도우(137a)와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 사이의 제1 유로(146a)로부터 가스를 흡입하는 제2 가스 흡입부(139a), 및 제2 윈도우(137b)와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 사이의 제2 유로(146b)로부터 가스를 흡입하는 제2 가스 흡입부(139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가스 분사부(138) 및 제2 가스 흡입부(139)에 의해, 전극 슬러리(104)로부터 증발된 용제 및 수분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외선 램프 유닛(131)으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에 의한 열을 더욱 고르게 분배할 수 있다.
반사판(140)은 적외선 램프(136)로부터 방사된 적외선을 전극 슬러리(104) 측으로 반사한다. 반사판(140)은 제1 적외선 램프 유닛(131a)의 적외선 램프(136)로부터 방사된 적외선을 전극 슬러리(104) 측으로 반사하는 제1 반사판(140a), 및 제2 적외선 램프 유닛(131b)으로부터 방사된 적외선을 전극 슬러리(104) 측으로 반사하는 제2 반사판(14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챔버(141)는 적외선 램프(136), 윈도우(137), 및 반사판(140)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가진다. 또한, 제2 챔버(141)는 내부 공간과 외부를 단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 챔버(141)는 제1 챔버(122)로부터 빠져 나온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가 진입하는 입구(142), 및 2차 건조된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가 빠져 나오는 출구(143)를 가진다.
3차 건조부(150)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의 전극 슬러리(104)를 3차 건조시키기 위해 열풍을 생성하는 구성요소이다. 3차 건조부(150)는, 예를 들어, 제3 챔버(151), 제3 챔버(151) 내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도시되지 않음), 및 가열된 공기의 유동을 일으켜 열풍을 생성하기 위한 송풍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경우, 권취 롤러(170)가 제3 챔버(151)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권취 롤러(170)가 제3 챔버(151)의 외부에 배치되어, 3차 건조가 완료된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가 제3 챔버(151)의 출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빠져 나온 후 권취 롤러(170)에 리와인딩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의 전극 슬러리(104)를 1차 건조시키기 위해, 전극 슬러리(104)에 광을 조사하는 램프 유닛(121)을 구비하는 1차 건조부(120), 및 전극 슬러리(104)를 2차 건조시키기 위해, 전극 슬러리(104)에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램프(136)를 가진 복수의 적외선 램프 유닛(131)을 구비하는 2차 건조부(130)를 포함하고 있다. 즉, 적외선 뿐만 아니라 가시광선 및 자외선을 방사할 수 있는 램프 유닛(121)에 의해 광을 직접 전극 슬러리(104)에 조사하여 1차 건조시킨 후, 가시광선 및 자외선보다 가스 투과성이 높은 적외선을 전극 슬러리(104)에 조사하여 2차 건조시키고 있기 때문에,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고 장비 설치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열풍의 대류 현상을 이용하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는 대략 100m 길이를 가지고 있으나,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100)는 1차 건조부(120)부터 3차 건조부(150)까지의 길이가 30m 이하이기 때문에, 라인 길이가 70% 이상 축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지 보수 및 생산 기종의 변경이 용이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램프 유닛(121)이 제논 램프(123)를 포함하는 경우, 순간적인 고전압을 연속 방식으로 가하여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가열 온도를 단시간에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3a는 도 2에 표시된 A 부분을 확대한 측단면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의 적외선 램프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 내지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100A)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100A)는 코팅부(110), 1차 건조부(120), 및 2차 건조부(130A)를 포함한다.
제1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100A)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100)를 비교해 보면, 제1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100A)의 코팅부(110A) 및 2차 건조부(130A)의 구성이 도 1에 도시된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100)의 코팅부(110) 및 2차 건조부(130)의 구성과 차이가 있다. 또한, 제1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100A)는 3차 건조부(150)가 없다.
구체적으로, 제1 변형예에 따른 코팅부(110A)는, 제1 코팅 노즐(110Aa) 및 제2 코팅 노즐(110Ab)이 금속 박(10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코팅부(110)와 다르다.
제1 변형예에 따른 2차 건조부(130A)는 복수의 적외선 램프 유닛(131A), 반사판(140), 및 제2 챔버(141)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3b를 참조하면, 적외선 램프 유닛(131A)은 적외선 램프(136A), 제2 가스 공급부(134), 및 유량 조절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램프(136A)는 램프 본체(132), 및 램프 본체(132)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145)과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를 향하는 노즐(144)을 가진 노즐 관(133)을 포함한다. 노즐 관(133)은, 예를 들어, 석영(quartz)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램프 본체(132)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2 가스 공급부(134)는 노즐 관(133)의 내부 공간(145)으로 가스를 공급한다. 유량 조절부(135)는 제2 가스 공급부(134)로부터 노즐 관(133)의 내부 공간(145)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한다.
제1 변형예에 따른 2차 건조부(130A)의 적외선 램프(136A)는, 램프 본체(132)뿐만 아니라, 램프 본체(132)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145)과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를 향하는 노즐(144)을 가진 노즐 관(133)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전극 슬러리(104)에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램프 본체(132)에 의해 직접 가열된 가스가 전극 슬러리(104)를 향하여 분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100A)는, 3차 건조부가 없더라도, 3차 건조부를 가진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100)에 준하는 건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표시된 B 부분을 확대한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의 가스 분사 유닛의 방향 조절 브라켓의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100B)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100B)는 1차 건조부(120A), 2차 건조부(130), 및 3차 건조부(150)를 포함한다.
제2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100B)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100)를 비교해 보면, 제2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100B)는, 1차 건조부(120A)가 코팅부(110B) 및 가스 분사 유닛(180)을 포함하고 있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100)와 다르다.
구체적으로, 1차 건조부(120A)는 코팅부(110B), 가스 분사 유닛(180), 및 제1 챔버(122)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코팅부(110B)의 제1 코팅 노즐(110Ba)은 노즐 본체(111), 토출부(112), 및 홈(113)을 포함한다. 노즐 본체(111)의 내부에는 전극 슬러리(104)가 공급되어 유동할 수 있는 유로(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부(112)는 전극 슬러리(104)를 노즐 본체(111)의 유로로부터 금속 박(103)의 일면(102)에 토출시킨다. 홈(113)은 제2 가스 분사부(181)의 분사 노즐(181a)의 선단 및 제2 가스 흡입부(182)의 흡입 노즐(182a)의 선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코팅 노즐(110Ba)의 노즐 본체(111)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가스 분사 유닛(180)은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의 전극 슬러리(104)에 고온 가스를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다. 가스 분사 유닛(180)은 금속 박(101)의 일면(102)에 코팅되는 전극 슬러리(104)에 가스를 분사하는 제1 가스 분사 유닛(180a), 및 금속 박(101)의 타면(103)에 코팅되는 전극 슬러리(104)에 가스를 분사하는 제2 가스 분사 유닛(18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스 분사 유닛(180a)은 제1 가스 분사부(181), 제1 가스 흡입부(182), 방향 조절 브라켓(183), 지지부(184), 제1 가스 공급부(185), 유량 조절부(186), 제1 진공 생성부(187), 및 유량 조절부(18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스 분사부(181)는 전극 슬러리(104)에 고온 가스를 분사하는 구성요소로서, 분사 노즐(181a), 히터(181b), 온도 센서(181c), 및 공급관(181d)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 노즐(181a)은 제1 코팅 노즐(110Ba)의 토출부(112)로부터 토출되는 전극 슬러리(104)를 향하여 고온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이다. 히터(181b)는 분사 노즐(181a) 안에 있는 가스를 가열한다. 온도 센서(181c)는, 히터(181b)의 발열을 제어하기 위해, 분사 노즐(181a) 안의 가스의 온도를 측정한다. 공급관(181d)은 제1 가스 공급부(185)로부터 흘러 온 가스를 분사 노즐(181a)로 공급한다.
제1 가스 흡입부(182)는 분사된 고온 가스를 흡입하는 구성요소로서, 흡입 노즐(182a) 및 배출관(182b)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노즐(182a)은 제1 가스 분사부(181)로부터 분사된 고온 가스를 흡입하는 노즐이다. 배출관(182b)은 흡입 노즐(182a)로부터 흘러 온 고온 가스를 제1 진공 생성부(187)로 배출시킨다.
방향 조절 브라켓(183)은 제1 가스 분사부(181)가 향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가스 분사부(181)에 연결된 브라켓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방향 조절 브라켓(183)은 지지부(184)와 대향하는 제1 측면(183b), 및 제1 측면(183b)의 반대 측에 위치한 제2 측면(도시되지 않음)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방향 조절 브라켓(183)은 제1 측면(183b)에 형성되며 원호 형상을 가진 하나 이상의 홈(183a)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홈(183a)에는 지지부(184)의 돌출부(184a)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방향 조절 브라켓(183)은, 방향 조절 브라켓(183)의 제2 측면에 연결된 회전 축을 가진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와 같은 구동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회전을 통해, 지지부(184)에 의해 지지되면서 제1 가스 분사부(181)가 향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지지부(184)는 방향 조절 브라켓(183)을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지지부(184)의 양 측면 중 방향 조절 브라켓(183)과 대향하는 측면에는, 방향 조절 브라켓(183)의 홈(183a)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184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84a)는, 제1 측면(183b)에 수직인 방향으로 봤을 때, 홈(183a)보다 작은 면적을 가짐으로써, 방향 조절 브라켓(183)을 지지함과 동시에 방향 조절 브라켓(183)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제1 가스 공급부(185)는 제1 가스 분사부(181)에 가스를 공급하는 구성요소이고, 유량 조절부(186)는 제1 가스 공급부(185)로부터 제1 가스 분사부(181)로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제1 가스 공급부(185)에 의해 공급되는 가스는 CDA(Clean Dry Air)일 수 있다.
제1 진공 생성부(187)는 제1 가스 흡입부(182)에 진공 흡입력을 부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고, 유량 조절부(188)는 제1 가스 흡입부(182)로부터 제1 진공 생성부(187)로 배출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구성요소이다.
제2 코팅 노즐(110Bb) 및 제2 가스 분사 유닛(180b)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코팅 노즐(110Ba) 및 제1 가스 분사 유닛(180a)과 금속 박(101)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변형예에 따르면,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의 전극 슬러리(104)를 1차 건조시키기 위해, 전극 슬러리(104)에 고온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 분사 유닛(180)을 구비하는 1차 건조부(120A), 및 전극 슬러리(104)를 2차 건조시키기 위해, 전극 슬러리(104)에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램프(136)를 가진 복수의 적외선 램프 유닛(131)을 구비하는 2차 건조부(130)를 포함하고 있다. 즉, 고온 가스를 직접 전극 슬러리(104)에 분사하여 전극 슬러리(104)를 1차 건조시킨 후, 가스 투과성이 높은 적외선을 전극 슬러리(104)에 조사하여 2차 건조시키고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짧은 건조 라인 길이로도 전극 슬러리(104)를 충분히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고 장비 설치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1차 건조부(120A)의 가스 분사 유닛(180)은, 제1 가스 분사부(181)뿐만 아니라, 분사된 고온 가스를 흡입하는 제1 가스 흡입부(182)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전극 슬러리(104)로부터 증발된 용제 및 수분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제3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표시된 C 부분을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7 및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제3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100C)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100C)는 1차 건조부(120B), 2차 건조부(130), 및 3차 건조부(150)를 포함한다.
제3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100C)와 제2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100B)를 비교해 보면, 제3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100C)는, 1차 건조부(120B)가 가스 분사 유닛(180) 대신에 램프 유닛(121A)을 포함하고 있는 점에서, 제2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100B)와 다르다.
구체적으로, 램프 유닛(121A)은 금속 박(101)의 일면(102)에 코팅되는 전극 슬러리(104)에 광을 집중시키는 제1 램프 유닛(121Aa), 및 금속 박(101)의 타면(103)에 코팅되는 전극 슬러리(104)에 광을 집중시키는 제2 램프 유닛(121A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램프 유닛(121Aa)은 제논 램프(123), 광학 렌즈(124), 및 반사판(125)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렌즈(124)는 제논 램프(123)로부터 방사된 광(L1) 및/또는 반사판(125)으로부터 반사된 광(L2)을 제1 코팅 노즐(110Ca)의 토출부(111)로부터 토출되는 전극 슬러리(104)에 집중시킬 수 있다. 반사판(125)은 제논 램프(123)로부터 방사된 광(L1)을 광학 렌즈(124) 측으로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램프 유닛(121Ab)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램프 유닛(121Aa)과 금속 박(101)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3 변형예에 따르면, 1차 건조부(120B)의 램프 유닛(121A)은, 제논 램프(123)뿐만 아니라, 방사된 광(L1)을 전극 슬러리(104)에 집중시키는 광학 렌즈(124)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제논 램프(123)로부터 방사된 광(L1)을 제1 코팅 노즐(110Ca) 및/또는 제2 코팅 노즐(110Cb)로부터 토출되는 전극 슬러리(104)에 집중시킬 수 있으므로, 전극 슬러리(104)의 코팅과 1차 건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1, 2, 4, 및 7에 도시된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100, 100A, 100B, 100C)에 의해 코팅되고 건조되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의 금속 박(101)의 일면(102)은 위를 향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옆을 향하고 있는 등 다양한 방향을 향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210에서, 코팅부(110)는 금속 박(101)의 일면(102) 또는 양면(102, 104)에 전극 슬러리(104)를 코팅한다. 예를 들어,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부(110)는 제1 코팅 노즐(121a) 및 제2 코팅 노즐(121b)에 의해 금속 박(101)의 양면(102, 104)에 전극 슬러리를 코팅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1차 건조부(120)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의 전극 슬러리(104)에 대한 램프 유닛(121)의 광의 조사 및 전극 슬러리(104)에 대한 고온 가스의 분사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전극 슬러리(104)를 1차 건조시킨다. 즉,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건조부(120, 120A)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의 전극 슬러리(104)에 대한 램프 유닛(121)의 광의 조사에 의해 전극 슬러리(104)를 1차 건조시킬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의 전극 슬러리(104)에 대한 가스 분사 유닛(180)의 고온 가스의 분사에 의해 전극 슬러리(104)를 1차 건조시킬 수도 있다. 또한, 1차 건조부(120, 120A)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의 전극 슬러리(104)에 대한 램프 유닛(121)의 광의 조사 및 전극 슬러리(104)에 대한 가스 분사 유닛(180)의 고온 가스의 분사에 의해 전극 슬러리(104)를 1차 건조시킬 수도 있다.
또한, 단계 220에서,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건조부(120A)는 제1 가스 분사부(181)에 의해 전극 슬러리(104)에 대하여 고온 가스를 분사하고, 분사된 고온 가스를 제1 가스 흡입부(182)에 의해 흡입할 수도 있다. 또한, 단계 220에서, 1차 건조부(120A)는 방향 조절 브라켓(183)에 의해 제1 가스 분사부(181)가 향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단계 220에서,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건조부(120B)는 제논 램프(123)에 의해 광(L1)을 방사하고, 방사된 광(L1)을 광학 렌즈(124)에 의해 전극 슬러리(104)에 집중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4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건조부(120A, 120B)는 단계 210의 전극 슬러리(104)의 코팅과 단계 220의 전극 슬러리(104)의 1차 건조를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단계 230에서,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건조부(130, 130A)는 적외선 램프 유닛(131)에 의해 전극 슬러리(104)에 적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전극 슬러리(104)를 2차 건조시킨다.
또한, 단계 230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건조부(130)는 제2 가스 분사부(138)에 의해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와 윈도우(137) 사이에 형성된 유로(146a, 146b)에 가스를 분사하고, 제1 가스 흡입부(139)에 의해 유로(146a, 146b)로부터 가스를 흡입할 수도 있다.
또한, 단계 230에서, 도 2 내지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건조부(130A)는, 적외선 램프 유닛(131A)에 의해, 적외선을 조사하는 램프 본체(132)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145)을 가진 노즐 관(133)의 노즐(144)로부터 배터리용 전극 시트(105)를 향하여 고온 가스를 분사할 수도 있다.
단계 240에서, 3차 건조부(150)는 열풍에 의해 전극 슬러리(104)를 3차 건조시킨다. 물론, 도 2에 도시된 제1 변형예와 같이, 단계 240의 전극 슬러리(104)의 3차 건조는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중심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100A, 100B, 100C: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
101: 금속 박 104: 전극 슬러리
110: 코팅부 120, 120A, 120B: 1차 건조부
121, 121A: 램프 유닛 122: 제1 챔버
123: 제논 램프 124: 광학 렌즈
125, 140: 반사판 126, 142, 152: 입구
127, 143: 출구 130, 130A: 제2 건조부
131, 131A: 적외선 램프 유닛 132: 램프 본체
133: 노즐 관 134: 제2 가스 공급부
135, 186, 188: 유량 조절부 136: 적외선 램프
137: 윈도우 138: 제2 가스 분사부
139: 제2 가스 흡입부 141: 제2 챔버
150: 제3 건조부 151: 제3 챔버
160: 피딩 롤러 170: 권취 롤러
180: 가스 분사 유닛 181: 제1 가스 분사부
182: 제1 가스 흡입부 183: 방향 조절 브라켓
184: 지지부 185: 제1 가스 공급부
187: 제1 진공 생성부

Claims (19)

  1.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에 있어서,
    금속 박, 및 상기 금속 박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된 전극 슬러리를 포함하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의 상기 전극 슬러리를 1차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금속 박의 일면에 상기 전극 슬러리를 코팅하는 제1 코팅 노즐과, 가시광선 및 자외선을 포함하는 광을 방사하는 제논 램프 및 방사된 상기 광을 상기 제1 코팅 노즐의 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전극 슬러리에 집중시키는 광학 렌즈를 포함하는 램프 유닛을 구비하는 1차 건조부; 및
    상기 전극 슬러리를 2차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전극 슬러리에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램프를 가진 복수의 적외선 램프 유닛을 구비하는 2차 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건조부는 상기 금속 박의 타면에 상기 전극 슬러리를 코팅하는 제2 코팅 노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건조부는 상기 전극 슬러리에 고온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 분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 분사 유닛은 상기 전극 슬러리에 고온 가스를 분사하는 제1 가스 분사부, 및 분사된 상기 고온 가스를 흡입하는 제1 가스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건조부는 상기 배터리용 전극 시트와 상기 적외선 램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용 전극 시트와의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윈도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건조부는 상기 유로에 가스를 분사하는 제2 가스 분사부 및 상기 유로로부터 상기 가스를 흡입하는 제2 가스 흡입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램프는 램프 본체, 및 상기 램프 본체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과 상기 배터리용 전극 시트를 향하는 노즐을 가진 노즐 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슬러리를 3차 건조시키기 위해 열풍을 생성하는 3차 건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분사 유닛은 상기 제1 가스 분사부가 향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 조절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
  11.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방법에 있어서,
    a) 금속 박, 및 상기 금속 박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된 전극 슬러리를 포함하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의 상기 전극 슬러리를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금속 박의 일면에 상기 전극 슬러리를 코팅하는 제1 코팅 노즐과, 가시광선 및 자외선을 포함하는 광을 방사하는 제논 램프 및 방사된 상기 광을 상기 전극 슬리리에 집중시키는 광학 렌즈를 포함하는 램프 유닛을 구비하는 1차 건조부의 상기 제1 코팅 노즐의 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전극 슬러리에 상기 광을 집중시킴으로써 상기 전극 슬러리를 1차 건조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전극 슬러리에 적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전극 슬러리를 2차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금속 박의 양면에 상기 전극 슬러리를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전극 슬러리에 대한 상기 광의 조사와 함께 상기 전극 슬러리에 대하여 고온 가스를 분사하는 단계, 및 분사된 상기 고온 가스를 흡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방법.
  15. 삭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제1 가스 분사부에 의해 상기 배터리용 전극 시트와 윈도우 사이에 형성된 유로에 가스를 분사하는 단계, 및 상기 유로로부터 상기 가스를 흡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적외선을 조사하는 램프 본체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가진 노즐 관의 노즐로부터 상기 배터리용 전극 시트를 향하여 고온 가스를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에, c) 열풍에 의해 상기 전극 슬러리를 3차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고온 가스를 분사하는 제1 가스 분사부가 향하는 방향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방법.
KR1020200070649A 2020-06-11 2020-06-11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 및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방법 KR102388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649A KR102388446B1 (ko) 2020-06-11 2020-06-11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 및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방법
PCT/KR2021/006190 WO2021251641A1 (ko) 2020-06-11 2021-05-18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 및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649A KR102388446B1 (ko) 2020-06-11 2020-06-11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 및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830A KR20210153830A (ko) 2021-12-20
KR102388446B1 true KR102388446B1 (ko) 2022-04-21

Family

ID=78846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649A KR102388446B1 (ko) 2020-06-11 2020-06-11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 및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88446B1 (ko)
WO (1) WO20212516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291B1 (ko) * 2021-12-21 2023-12-20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침적식 수직 건조 장치
KR20230160562A (ko) * 2022-05-17 2023-11-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시트 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 제조 시스템
WO2024049139A1 (ko) * 2022-08-29 2024-03-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용 전극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863B1 (ko) * 2005-11-30 2006-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의 전극 형성 방법
US20190081317A1 (en) * 2017-09-11 2019-03-14 Andreas Keil Web coating and calendering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9190B2 (ja) * 2011-12-28 2016-06-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極乾燥方法および電極乾燥装置
KR102516223B1 (ko) * 2017-08-17 2023-03-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가열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제조시스템
KR102306546B1 (ko) * 2018-05-23 2021-09-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용 노칭장치 및 노칭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863B1 (ko) * 2005-11-30 2006-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의 전극 형성 방법
US20190081317A1 (en) * 2017-09-11 2019-03-14 Andreas Keil Web coating and calendering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51641A1 (ko) 2021-12-16
KR20210153830A (ko) 202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446B1 (ko)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 및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방법
JP4691175B2 (ja) 乾燥装置
KR102347351B1 (ko) 이차전지 음극 제조 장치 및 이차전지 음극 제조 방법
JP5902721B2 (ja) 有機被覆物加熱方法
CN1803313B (zh) 用于干燥漆涂层的方法和装置
KR100990855B1 (ko) 근적외선 건조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8308313B2 (en) Jet driven rotating ultraviolet lamps for curing floor coatings
TWI506682B (zh) 電極製造裝置、電極製造方法及電腦記憶媒體
US20200161629A1 (en) Not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econdary Battery
CN113546826A (zh) 涂布的复合加热开孔工艺及装置
KR100467195B1 (ko) 원적외선 조사 가열기와 원적외선 염착장치 및 원적외선을이용한 염착방법
CN208235117U (zh) 一种面料消毒烘干装置
KR20220006350A (ko) 배터리용 전극 시트 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용 전극 시트 제조 시스템
KR102468061B1 (ko) 리페어 장치 및 방법
KR20140043863A (ko) 액자 발생 억제 방법 및 액자 발생 억제 장치
KR102581731B1 (ko)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CN109571727B (zh) 一种瓷砖上釉装置
JP2007052952A (ja) 基板処理方法及び基板処理装置
CN219850540U (zh) 一种加热装置
JP2006007164A (ja) スプレーコート方法及びスプレーコート装置
JP7403887B1 (ja) 二次電池の塗工膜の乾燥方法とその塗工装置
US20240125552A1 (en) Electrode Sheet Drying Device and Drying Method
JP2018124027A (ja) 高濃度塗工機用乾燥装置及び乾燥方法
JP2008309862A (ja) 加熱装置
KR101729724B1 (ko) 복수 열원을 포함하는 코팅층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