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377B1 - 함정용 소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 - Google Patents

함정용 소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377B1
KR102388377B1 KR1020200159331A KR20200159331A KR102388377B1 KR 102388377 B1 KR102388377 B1 KR 102388377B1 KR 1020200159331 A KR1020200159331 A KR 1020200159331A KR 20200159331 A KR20200159331 A KR 20200159331A KR 102388377 B1 KR102388377 B1 KR 102388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nozzle
unit
fire extinguishing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혁
정정훈
문석준
송진섭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59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36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foam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72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sprayed or atomised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14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for indicating inclination or duration of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9/00Arrangements of nautical instruments or navigational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1/00Arrangements of guns or missile launchers;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정용 소화 시스템은, 함정에서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상기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부; 및 상기 화재 감지부에서 감지된 화재를 분석하고, 상기 소화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가 발생한 구역의 상기 함정에서의 환경에 따라 상기 소화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Description

함정용 소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WARSHIP AND FIRE EXTINGUISH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함정용 소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함정에서의 화재 초동 진압을 위한 자율형 소화 시스템 및 화재 진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박에서는 화재 감지기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경보를 내어 승무원에게 화재 발생을 알리고, 승무원에 의해 화재의 위치, 규모를 확인한 후, 선박 내에 구비된 소화 장치를 통하여 화재 진압이 진행되었다. 따라서, 화재가 대규모로 확산되기 이전에 초동 진압에 어려움이 있었고, 재산 및 인명 피해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화재가 감지되면 자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하는 자율형 소화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나, 화재의 오탐율이 높았으며, 그에 따라 소화를 위해 분사되는 소화수인 해수로 인하여 선박 내의 설비, 장비, 물품의 손실이나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일반 선박에 비해 운항 속도가 빠르면서 기울어지는 거동이 상대적으로 큰 함정의 경우, 함정의 운동으로 인해 화염이 움직이게 되고, 함정 내 배치되어 있는 설비와 물품이 많아서 영상을 통한 화재 감지기의 시야를 가리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화재 감지기를 통해 화원의 위치를 정확히 감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함정의 경우 일반 선박에 비해 공간이 좁기 때문에 넓게 개방된 구역보다는 좁은 공간에 많은 설비와 물품이 배치되어 있는 구역이 많고, 폭발의 위험이 있거나 고가의 설비나 장비가 설치된 구역이 많은 바, 기존의 자율형 소화 시스템을 통해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고가의 설비나 물품 등이 소화수인 해수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화재 발생을 빨리 판별하고 화원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선박용 화재 소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화재가 발생한 함정에서의 환경에 맞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선박용 화재 소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화원의 위치를 파악하고, 화재가 발생한 환경을 분석함으로써, 함정에서의 화재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진압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화재 소화 시스템은, 함정에서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상기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부; 및 상기 화재 감지부에서 감지된 화재를 분석하고, 상기 소화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가 발생한 구역의 상기 함정에서의 환경에 따라 상기 소화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함정의 운동에 따라 상기 화재의 위치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화재 감지부는, 적외선 센서, 자외선 센서, 및 영상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재 감지부는,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및 연기 감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화부는, 소화재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소화재가 저장된 탱크, 및 상기 노즐과 상기 탱크를 연결하며 유량 조절 밸브가 설치된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직사 노즐 및 분사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상하 및 좌우 각도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탱크는 해수를 저장하는 제 1 탱크, 및 소화폼을 저장하는 제 2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가 발생한 구역의 함정에서의 환경이 개활지 또는 차폐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함정에는 상기 함정의 운동을 감지하는 운동 센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화재 위치 정보와 상기 운동 센서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통해 보정된 화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운동 센서부는 가속도계 및 경사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방법은, 함정 내의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 단계; 상기 화재의 위치 및 상기 화재가 발생한 구역의 환경을 분석하는 분석 단계; 및 상기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석 단계에서, 상기 함정의 운동 정보를 통해 상기 화재의 위치를 보정하고, 상기 화재가 발생한 구역의 환경 정보를 분석하며, 상기 소화 단계에서, 상기 보정된 화재의 위치, 및 상기 환경 정보에 맞게 상기 화재를 진압한다.
상기 함정의 운동 정보는 상기 함정의 가속도 및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정보는 상기 환경이 개활지 또는 차폐지 여부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단계에서, 상기 감지 수단은, 적외선 센서, 자외선 센서, 및 영상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발생을 신속히 판별하고 화원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한 함정에서의 환경에 맞게 화재를 진압함으로써, 빠르고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정용 소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정용 소화 시스템에서 화재의 환경을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정용 소화 시스템에서 화재의 위치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정용 소화 시스템에서 소화부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정용 소화 시스템을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정용 소화 시스템을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정용 소화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정용 소화 시스템에서 화재의 환경을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정용 소화 시스템에서 화재의 위치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정용 소화 시스템에서 소화부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함정용 소화 시스템'은 '소화 시스템'으로 혼용하여 사용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시스템(10)은 함정(1)에 구비되며, 화재 감지부(100), 소화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A는 화재(F)가 발생한 일정 범위의 구역을 의미한다.
화재 감지부(100)는 함정에서의 화재(F)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화재(F)를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감지부(100)는 적외선 센서, 자외선 센서, 및 영상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센서는 CCTV, 카메라 등과 같이 영상을 감지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화재 발생시에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게 한다. 적외선 센서와 자외선 센서는 영상 센서로 확인할 수 없는 화재의 발생, 예를 들어, 전기 합선 등에 의한 스파크나 불꽃을 특정 대역대의 파장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또는 도 2의 우측 그림과 같이 장애물(B)에 의해 화원이 가려진 차폐지의 경우라도 파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화재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재 발생 시 화염이 확산되기 전이라도 화재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므로, 화재에 대한 초동 대응을 할 수 있다.
또한, 화재 감지부(100)는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및 연기 감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염이나 불꽃 외에도, 열, 가스, 연기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개활지'라 함은, 도 2의 좌측 그림과 같이, 화재(F)가 발생된 구역이, 화재 감지부(100)와 화원 사이에 장애물이 없이 개방된 환경인 경우의 구역(A)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개활지는 함정에서의 격납고, 주갑판 등 일 수 있다. 또한, '차폐지'라 함은, 도 2의 우측 그림과 같이, 화재(F)가 발생된 구역이, 화재 감지부(100)와 화원 사이에 장애물이 존재하여 화원이 가려진 환경인 경우의 구역(A')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폐지는 함정에서의 격실, 기관실 등 일 수 있다.
화재 감지부(100)는 함정(1)의 전역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양한 방식으로 화재 감지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센서들이 통합된 형태의 복합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구역(A) 내에 복수의 화재 감지부(100)가 배치될 수 있다.
소화부(200)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구성으로, 소화수 또는 소화폼과 같은 소화재를 분사하여 화재를 소화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부(200)는 소화재를 분사하는 노즐(210), 소화재가 저장된 탱크(220), 및 노즐(210)과 탱크(220)를 연결하는 배관(2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노즐(210)은 소화재를 직진 방향으로 분사하는 직사 노즐(211), 및 소화재를 넓은 영역으로 퍼지게 분사하는 분사 노즐(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직사 노즐(211)과 분사 노즐(212)은 단일의 노즐 몸체(250)에 구비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제어부(130)에서 소화재가 직사 노즐(211) 또는 분사 노즐(212) 중 선택적으로 분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물(B, 도 2 참조)에 의하여 직사 노즐(211) 통하여 화재 진압이 어려운 차폐지의 경우에는, 분사 노즐(212)을 통하여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
한편, 노즐(211)은 상하 및 좌우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 몸체(250)가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화재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노즐 몸체(250) 또는 노즐(211)의 상하 및 좌우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이 때, 후술할 제어부(130)에서 화재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노즐 몸체(250) 또는 노즐(211)의 상하 및 좌우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탱크(220)는 배관(240)을 통해 노즐(210)과 연결되며, 해수를 저장하는 제 1 탱크(221), 및 소화폼을 저장하는 제 2 탱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요에 따라 소화를 위해 노즐(210)로 분사시키는 소화재로써, 제 1 탱크(221)의 해수를 사용하거나, 제 2 탱크(222)에 저장된 소화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된 구역(A)에 해수에 의하여 손상될 수 있는 장비가 있는 경우에는, 장비의 보호를 위해 해수 대신 소화폼을 소화재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술할 제어부(300)에서 화재 구역(A)의 환경에 따라 노즐(210)을 제 1 탱크(221) 또는 제 2 탱크(222)에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노즐(210)과 탱크(220)를 연결하는 배관(240)에는 유량 조절 밸브(230)가 설치될 수 있다. 유량 조절 밸브(230)는 노즐(210)과 제 1 탱크(221)를 연결하는 배관, 및 노즐(210)과 제 2 탱크(222)를 연결하는 배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술할 제어부(300)에서 유량 조절 밸브(230)의 개폐량을 제어하여 노즐(210)을 통해 분사되는 소화재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재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화재의 위치, 화재 구역의 환경 등의 정보가 제어부(300)를 통해 분석되어 소화부(200)의 동작이 제어되는 바, 이하, 제어부(3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화재 감지부(10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통하여 화재를 분석하고, 분석한 내용에 따라 소화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00)는 화재가 발생한 구역의 환경에 따라 소화부(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화재가 발생한 구역의 함정에서의 환경이 개활지인지 또는 차폐지인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도 2의 좌측 그림을 참조하면, 개활지에서 화재 감지부(100)에 의해 화재(F)가 감지될 수 있다. 이 때, 화재 감지부(100)의 영상 센서를 통하여 화염이 직접 감지되므로, 화재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은 제어부(300)는 화재가 발생한 구역(A)을 개활지로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개활지 환경이 맞도록 소화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소화부(200)에서 직사 노즐을 통하여 해수가 분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의 우측 그림을 참조하면, 차폐지에서 화재 감지부(100)에 의해 화재(F) 감지될 수 있다. 이 때, 화재 감지부(100)의 영상 센서를 통해서는 어떠한 화재 정보도 감지될 수 없다. 그러나, 화재 감지부(100)의 적외선 센서 또는 자외선 센서를 통해서는 가려진 공간에서의 불꽃의 파장을 감지할 수 있다. 화재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전술한 영상 센서, 적외선 센서, 자외선 센서의 감지 정보를 전달받은 제어부(300)는 화재가 발생한 구역(A')을 차폐지로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차폐지 환경이 맞도록 소화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소화부(200)에서 분사 노즐을 통하여 해수(장애물이 단순 구조물일 때) 또는 소화폼(장애물이 해수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설비 또는 물품일 때)이 분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00)는 함정의 운동에 따라 화재의 위치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화재 감지부(100)를 통해 파악된 화원의 위치 정보를, 함정의 운동을 고려하여 보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함정(1)에는 운동 센서부(500)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센서부(500)는 함정(1)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계 및 함정(1)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경사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함정(1)의 선수가 선미보다 높아지게 기울어진 상황을 도시하였다. 이 때, 함정(1) 내 화재 발생 구역(A)도 함정(1)과 동일한 기울기로 기울어진 상황이므로, 화재 감지기(100)에서는 화염의 방향이 선수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화재(또는 화원)의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화재 감지기(100)에서 감지된 화원의 위치는 실제 화원의 위치와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함정(1)이 빠른 속도로 운항되고 있는 경우, 화염은 함정(1)이 나아가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 때, 화재 감지기(100)에서 화재(또는 화원)의 위치를 감지하면, 실제 화원의 위치와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이 때,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화재 감지부(100)를 통해 감지된 화재 위치 정보와 운동 센서부(500)에서 감지된 정보를 통해, 보정된 화재(또는 화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화원의 위치값을, 운동 센서부(500)에서 감지된 함정(1)의 가속도 및 기울기 값을 고려하여 보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확한 화원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소화부(200)를 통해 정확한 화원 위치에 신속히 소화재를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소화 시스템(10)을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을 설명하면서, 제어부(300)의 상세 구성을 함께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정용 소화 시스템을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정용 소화 시스템을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정용 소화 시스템을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은, 함정 내의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 단계(S510), 화재의 위치 및 화재가 발생한 구역의 환경을 분석하는 분석 단계(S520), 및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 단계(S5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석 단계(S520)에서, 함정의 운동 정보를 통해 화재의 위치를 보정하고, 화재가 발생한 구역의 환경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화원의 위치는 함정의 운동에 의해 왜곡되게 감지될 수 있으므로, 운동 센서부(500)에서 감지된 함정의 가속도 및 기울기(경사) 중 적어도 하나의 운동 정보를 통해 화원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한 구역(A) 내의 화재 감지부(100) 중 영상 센서, 적외선 센서, 자외선 센서의 감지 정보를 종합하여, 화재가 발생한 구역(A)의 환경이 개활지인지 또는 차폐지인지 여부의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화재 판단부(310), 화재 위치 분석부(320), 화재 환경 분석부(330), 구동 제어부(340), 및 수동 제어 유닛(350)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재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정보를 통해 화재 판단부(310)에서 화재 유무를 판단한다.
만약, 화재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다음 단계로 진행되지 않고, 다시 화재 감지부(100)의 화재 감지 단계를 되돌아 간다.
만약, 화재가 맞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화재 위치 분석부(320)에서 운동 센서부(500)를 통해 감지한 함정 운동 정보와 화재 감지부(100)에서 전달된 화재 위치 정보를 종합하여 화재 위치를 분석한다. 또한, 화재 환경 분석부(330)에서 화재 감지부(100)에서 전달된 영상 신호를 통하여 화재 구역의 환경을 분석한다. 이 때, 화재 구역이 개활지인지 차폐지인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화재 구역에 해수에 손상될 수 있는 설비나 물품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화재 위치와 화재 환경을 분석한 다음에는, 분석 정보를 바탕으로 구동 제어부(340)에서 소화부(2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노즐(210)을 제어하여 직사 또는 분사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노즐 몸체(250)를 제어하여 노즐(210)의 상하 및 좌우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유량 제어 밸브(230)를 제어하여 노즐(210)에서 분사되는 소화재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유량 제어 밸브(230)를 제어하여 소화재 종류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해수 또는 소화폼을 노즐(210)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앞에서는 화재가 맞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무인 상황에서 자동으로 소화부(200)가 제어되는 자동제어 방식을 설명하였으나, 선택적으로, 수동제어 방식을 통해 소화부(200)가 제어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화재 판단부(310)에서 화재가 맞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경보 신호가 발생되고, 함정의 작업자(승무원)이 수동 제어 유닛(350)을 통해 구동 제어부(340)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소화부(200)가 수동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수동 제어 유닛(350)는 화재 감지부(100)와 연결되어 화재 구역(A)의 영상을 제공하는 모니터와, 소화부(200)를 제어하는 조이스틱, 매니퓰레이터, 버튼 등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정용 소화 시스템은, 영상 센서, 적외선 센서, 자외선 센서가 포함된 통합 센서를 통해 화재를 감지하므로, 화재 발생을 신속히 판별하여 화재의 초동 진압이 가능하다.
또한, 화재 감지부에서 감지된 화재의 위치 정보에 함정의 운동 정보를 고려함으로써, 화재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므로, 화재를 효율적이고 신속히 진압할 수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한 함정에서의 환경, 예를 들어, 화재 구역이 개활지인지 또는 차폐지인지, 또한 화재 구역에 해수에 손상되는 설비나 물품이 존재하는지 등을 분석하고, 분석 내용에 맞게 화재를 진압함으로써, 빠르고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하면서, 소화재 분사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함정 10 소화 시스템
100 화재 감지부 200 소화부
210 노즐 220 탱크
230 유량 조절 밸브 240 배관
250 노즐 몸체 300 제어부
310 화재 판단부 320 화재 위치 분석부
330 화재 환경 분석부 340 구동 제어부
350 수동 제어 유닛

Claims (15)

  1. 함정에서의 화원의 위치를 파악하여 함정 내 화재 초동 진압을 위한 함정용 소화 시스템으로서,
    적외선 센서, 자외선 센서, 및 영상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함정에서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가속도계 및 경사계를 포함하고, 상기 함정의 운동을 감지하는 운동 센서부;
    소화재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부; 및
    상기 화재 감지부에서 감지된 화재를 분석하고, 상기 소화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부는,
    상기 노즐과 연결되며 상기 소화재가 저장된 탱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노즐은 직사 노즐 및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탱크는
    해수를 저장하는 제 1 탱크, 및 소화폼을 저장하는 제 2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가 발생한 구역의 함정에서의 환경이 개활지 또는 차폐지 여부를 분석하고, 상기 소화재가 상기 직사 노즐 또는 상기 분사 노즐 중 선택적으로 분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화재가 발생한 구역의 함정에서의 환경에 따라 상기 노즐을 상기 제 1 탱크 또는 상기 제 2 탱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화재 감지부에서 감지된 화재 위치 정보와 상기 운동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함정의 운동 정보를 통해 상기 화재 감지부에서 감지된 화원의 위치와 실제 화원의 위치 간의 오차를 보정하여 보정된 화원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노즐의 상하 및 좌우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보정된 화원의 위치에 상기 소화재가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함정용 소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부는,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및 연기 감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함정용 소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부는,
    상기 노즐과 상기 탱크를 연결하며 유량 조절 밸브가 설치된 배관을 더 포함하는, 함정용 소화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함정에서의 화원의 위치를 파악하여 함정 내 화재 초동 진압을 위한 화재 진압 방법으로서,
    적외선 센서, 자외선 센서, 및 영상 센서를 포함하는 화재 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함정 내의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 단계;
    상기 화재의 위치 및 상기 화재가 발생한 구역의 환경을 분석하는 분석 단계; 및
    소화재를 분사하며 직사 노즐 및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노즐을 통하여 상기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석 단계에서,
    상기 함정의 가속도 및 기울기 정보를 통해 상기 화재 감지부에서 감지된 화원의 위치와 실제 화원의 위치 간의 오차를 보정하여 보정된 화원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 자외선 센서, 및 영상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재가 발생한 구역의 개활지 또는 차폐지 여부와, 해수에 의하여 손상되는 장비의 존재 여부를 분석하며,
    상기 소화 단계에서,
    상기 보정된 화원의 위치에 따라 상기 노즐의 상하 및 좌우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보정된 화원의 위치에 상기 소화재가 분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화재가 발생한 구역의 환경에 따라,
    상기 노즐의 직사 또는 분사 여부를 선택하고,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는 소화재를 해수 또는 소화폼 중 선택하는, 함정용 소화 시스템을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00159331A 2020-11-24 2020-11-24 함정용 소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 KR102388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331A KR102388377B1 (ko) 2020-11-24 2020-11-24 함정용 소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331A KR102388377B1 (ko) 2020-11-24 2020-11-24 함정용 소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377B1 true KR102388377B1 (ko) 2022-04-19

Family

ID=81390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331A KR102388377B1 (ko) 2020-11-24 2020-11-24 함정용 소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3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0882A (ko) 2022-09-22 2024-03-29 한화오션 주식회사 매립형 다중관절 기반의 소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8908A (ko) * 2013-11-21 2015-05-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함정의 화재 방재 시스템
KR101699663B1 (ko) * 2016-04-21 2017-01-2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화재 시뮬레이션 기반 능동 대응지침 제시가 가능한 사고대응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선박 사고대응 방법
KR101731433B1 (ko) * 2016-08-26 2017-04-28 (주)아이아이에스티 발화점 추적이 가능한 방수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화방법
KR20200055490A (ko) * 2018-11-13 2020-05-21 (주)더미래넷 화재의 자동감지 및 자동위치추적이 가능한 자동소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8908A (ko) * 2013-11-21 2015-05-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함정의 화재 방재 시스템
KR101699663B1 (ko) * 2016-04-21 2017-01-2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화재 시뮬레이션 기반 능동 대응지침 제시가 가능한 사고대응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선박 사고대응 방법
KR101731433B1 (ko) * 2016-08-26 2017-04-28 (주)아이아이에스티 발화점 추적이 가능한 방수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화방법
KR20200055490A (ko) * 2018-11-13 2020-05-21 (주)더미래넷 화재의 자동감지 및 자동위치추적이 가능한 자동소화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0882A (ko) 2022-09-22 2024-03-29 한화오션 주식회사 매립형 다중관절 기반의 소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881B1 (ko) 선박 기관실에 있어서의 화재 탐지 시스템 및 국소 소화 시스템
CN212586744U (zh) 用于控制消防设备的防火机器人,相应的防火系统
JP5707483B2 (ja) 火災及び煙の自動検知、遮断、及び火災及び煙からの自動復旧
KR20160139305A (ko) 화재 진압 소방로봇
KR102388377B1 (ko) 함정용 소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
CN102836514B (zh) 一种自动跟踪定位射流灭火系统
US20170014655A1 (en) Aircraft with fire suppression control system
KR20200046926A (ko) 선박 소화용 물분사 감시장치
CN113813527A (zh) 一种船用无人消防车精准消防装置及方法
KR20170028680A (ko)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화재 방재시스템 및 방법
KR102288416B1 (ko) 발화위치정보를 검출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화재진압 시스템
JP2006305173A (ja) 防災装置
KR20200055490A (ko) 화재의 자동감지 및 자동위치추적이 가능한 자동소화시스템
Deepa et al. Development of Fire Detection surveillance using machine learning & IoT
EP3384965B1 (en) Atmospheric air monitoring for aircraft fire suppression
JP3238879B2 (ja) 火災検出消火システム
KR101964317B1 (ko) 소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RU2128536C1 (ru) Роботизированная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KR20170093597A (ko) 소방용 cctv 시스템
RU2745641C1 (ru) Роботизированная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с системой коррекции струи
JPH05277204A (ja) 放水銃による消火システム
CN113577602A (zh) 一种船舶消防系统
KR101281477B1 (ko) 선박용 소화 시스템
KR102592735B1 (ko) 스프링쿨러 소화시스템
RU2426570C1 (ru) Роботизированный охранно-пожарный комплек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