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272B1 - 슬레드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슬레드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272B1
KR102388272B1 KR1020210146729A KR20210146729A KR102388272B1 KR 102388272 B1 KR102388272 B1 KR 102388272B1 KR 1020210146729 A KR1020210146729 A KR 1020210146729A KR 20210146729 A KR20210146729 A KR 20210146729A KR 102388272 B1 KR102388272 B1 KR 102388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d
unit
reaction unit
collision
horizont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승배
양승희
Original Assignee
(주)제이.케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케이.에스 filed Critical (주)제이.케이.에스
Priority to KR1020210146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02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at least one fluid sp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방향으로 끌어 올려진 슬레드 유닛의 하강 후 수평방향에서의 시험대상물이 장착되는 반작용 유닛과 충돌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완충수단에 의해 시험대상물의 안정성 확보와 함께 슬레드 유닛의 변형이나 손상됨을 극소화할 수 있도록 본체 프레임; 슬레드 유닛; 반작용 유닛; 및 각각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슬레드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슬레드 시험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슬레드 유닛의 변형이나 손상됨을 방지하여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Description

슬레드 시험장치{sled test device}
본 발명은 슬레드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직방향으로 끌어 올려진 슬레드 유닛의 하강 후 수평방향에서의 시험대상물이 장착되는 반작용 유닛과 충돌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완충수단에 의해 시험대상물의 안정성 확보와 함께 슬레드 유닛의 변형이나 손상됨을 극소화할 수 있도록 한 슬레드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생산하는 메이커에서는 신차 개발시 개발된 차량의 안전도를 체크하기 위하여 다양한 안전성 시험을 하게 되는 데, 이는 일정한 기준을 마련하고 이 기준에 합당 한지 여부에 따라 완성도를 체크하게 된다.
차량의 안전성은 인간의 생명에 관련되는바, 차량의 완성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 할 수 있으며, 세계 여러 나라에서도 이와 같은 차량의 안전도에 가장 엄격한 기준을 적용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안전성 시험에는 시트의 안전성 시험, 시험용 더미(Dummy)의 내구시험, 에어백 작동시험, 도어 잠금장치 변형시험 등이 있으며, 이러한 시험들은 최대한 실사 조건에 가깝게 하여 시험을 할 수 있도록 실제 자체에 각 구성부품들이 모두 장착된 상태나 각 부품을 별도로 장착시켜 슬레드 시험장치를 통하여 시험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슬레드 시험장치는 실사 충돌시험시 차량이 받는 충격량과 감속도 패턴을 그대로 대상에서 재현하는 장치로서, 실차 충돌시험시의 인력과 시간, 예산 등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레일 상에서 후퇴 가능한 슬레드 위에 시험대상인 차체의 일부가 설치되고, 차체 내부에 안전관련 부품들(일 예로, 에어백, 시트벨트, 시트 등)이 장착된다. 또한, 시트 상에는 더미가 안착된 상태로 슬레드 전방에 위치한 충격 피스톤이 실차 충돌시의 충격치, 감속도 패턴에 따라 슬레드를 가격하여 슬레드 위에 설치된 차체 및 기타 장착 시험품들에 실차 충돌시의 충격 및 감속도가 그대로 재현되도록 함으로써, 충도리 더미가 받는 충격치, 변위 및 거동 등을 수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슬레드 시험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60922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직선식 슬레드 시험기에 회전용 구조물을 구비하여 시험용 지그에 대한 회전 운동을 발생시켜 정면 및 측면 충돌 현상 재현뿐 아니라, 전복 사고시의 현상을 재현할 수 있고, 개발 기간 및 개발비가 획기적으로 절감될 수 있도록 한 롤오버 슬레드 시험장치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53852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실제사고 유형에 대한 안전성능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각종 유형의 전복사고를 차량의 손상없이 반복 재현 테스트 되도록 하여 개발비용의 절감과 안전성능 향상에 기여되도록 피스톤 발사체, 캐리어 및 스토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전복사고 재현을 위한 슬레드 시험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6860호(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슬레드 장비에 충격량을 만들기 위해 위치 에너지를 이용한 충격량 구현 가능하여 시험장비 비용 및 시험비용에서도 경쟁력이 있고 시험시간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레일의 경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승강구동수단, 슬레드, 충격흡수수단을 포함하는 슬레드 테스트 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77338호(이하 '특허문헌 4'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실차에 해당하는 다양한 시험 차체를 시험할 수 있도록 시험 차체가 고정되는 회전 플레이트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쉽게 교체 가능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 회전 플레이트, 어댑터, 풀러(Puller)로 구성한 슬레드 충격시험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슬레드 충격 시험하는 과정에서 자동차 메이커에서는 부품의 안정성 등을 이유로 충돌시 데이터 성능곡선이 완만하게 상승되는 것을 요구하는 데, 특허문헌 1 내지 4는 시험대상물이 장착된 슬레드가 측정하고자 하는 부분과 직접적인 충돌로 인해 데이터 성능 곡선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시 최고점에서 급격하게 최하점으로 떨어져 슬레드에 장착되는 시험대상물의 부품 안정성이 파괴되거나 떨어짐은 물론 슬레드 역시 충돌에 따른 충격에 의한 데미지로 인해 변형이나 손상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6092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5385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686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77338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수직방향으로 끌어 올려진 슬레드 유닛의 하강 후 수평방향에서의 시험대상물이 장착되는 반작용 유닛과 충돌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완충수단에 의해 시험대상물의 안정성 확보와 함께 슬레드 유닛의 변형이나 손상됨을 극소화할 수 있도록 한 슬레드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슬레드 유닛과 반작용 유닛의 충돌시 슬레드 유닛의 가속도는 물론 충돌에 따른 반작용 유닛의 변위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충돌에 의해 밀려난 반작용 유닛을 시험 위치로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은 수직 프레임의 전면과 수평 프레임의 상면 및 상기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이 접한 직교 된 부분에 곡선 구간의 레일을 포함하는 본체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윈치에 의해 그 수직 프레임 측으로 끌어 올려진 후 수평 프레임 측으로 하강 가능한 슬레드 유닛; 상기 수평 프레임의 레일 상에 시험대상물이 장착되어 상기 슬레드 유닛의 하강에 따른 충돌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반작용 유닛; 및 상기 슬레드 유닛과 반작용 유닛의 서로 대응되는 면에 충돌시 완충 됨에 따라 반작용 유닛에 장착된 시험대상물의 안정성 확보 및 슬레드 유닛의 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각각 완충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완충수단은 에어 스프링이되, 상기 반작용 유닛에 구비되는 에어 스프링의 갯 수보다 슬레드 유닛에 구비되는 에어 스프링이 더 많은 갯 수로 겹쳐지게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반작용 유닛에는 가속도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측에는 변위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측에는 반작용 유닛의 밀려난 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충돌 전 상기 반작용 유닛이 위치한 위치와 그 반대 측 수평 프레임의 끝단 부위에 구비되는 각각의 지지 포스트, 상기 각각의 지지 포스트 상단에 연결되는 가이드 와이어 및 일단은 상기 반작용 유닛이 위치한 위치의 지지 포스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반작용 유닛에 연결되어 충돌에 따른 반작용 유닛의 밀림 위치를 제한하는 밀림 위치제한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 프레임의 반대 측 수평 프레임의 끝단 내측에는 구동수단에 의해 충돌에 의해 밀려난 반작용 유닛을 충돌 전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이동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수직방향으로 끌어 올려진 슬레드 유닛의 하강 후 수평방향에서의 시험대상물이 장착되는 반작용 유닛과 충돌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완충수단에 의해 시험대상물의 안정성 확보와 함께 슬레드 유닛의 변형이나 손상됨을 극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슬레드 시험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슬레드 유닛의 변형이나 손상됨을 방지하여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한, 슬레드 유닛과 반작용 유닛의 충돌시 슬레드 유닛의 가속도는 물론 충돌에 따른 반작용 유닛의 변위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험대상물에 대한 시험이 오차없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 충돌에 의해 밀려난 반작용 유닛을 시험 위치로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 시험에 따른 사용의 편리성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슬레드 유닛 및 반작용 유닛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충돌시험에 의한 데이터 성능 그래프,
도 6은 종래 슬레드 시험장치의 충돌시험에 의한 데이터 성능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따른 슬레드 유닛 및 반작용 유닛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충돌시험에 의한 데이터 성능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레드 시험장치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이 슬레드 충격 시험하는 과정에서 자동차 메이커에서는 부품의 안정성 등을 이유로 충돌시 데이터 성능곡선이 완만하게 상승되는 것을 요구하는 데, 종래 특허문헌들은 시험대상물이 장착된 슬레드가 측정하고자 하는 부분과 직접적인 충돌로 인해 데이터 성능 곡선이 도 6에서와같이 충돌시 최고점에서 급격하게 최하점으로 떨어져 슬레드에 장착되는 시험대상물의 부품 안정성이 파괴되거나 떨어짐은 물론 슬레드 역시 충돌에 따른 충격에 의한 데미지로 인해 변형이나 손상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수직방향으로 끌어 올려진 슬레드 유닛의 하강 후 수평방향에서의 시험대상물이 장착되는 반작용 유닛과 충돌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완충수단에 의해 시험대상물의 안정성 확보와 함께 슬레드 유닛의 변형이나 손상됨을 극소화할 수 있도록 한 슬레드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레드 시험장치(1)는 낙하방식인 위치 에너지를 이용한 충돌 시험방식이 적용되는 것으로, 본체 프레임(10), 슬레드 유닛(20), 반작용 유닛(30) 및 각각의 완충수단(40)을 포함하는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본체 프레임(10)은 슬레드 시험장치(1) 전체를 구성하는 프레임으로, 측면이 한글 자음의 니은("ㄴ") 자 형태를 이루면서 슬레드 유닛의 슬라이딩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직 프레임(10)의 전면과 수평 프레임(10B)의 상면 및 상기 수직 프레임(10A)과 수평 프레임(10B)이 접한 직교 된 부분에 곡선 구간의 레일(12)을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다시 말해서, 낙하방식을 적용함으로 인해 최소한의 설치면적에서도 원하는 충돌력을 충분히 가할 수 있음은 물론 전체적인 장치의 구성도 간단하게 가질 수 있다.
슬레드 유닛(20)은 하강에 따른 반작용 유닛(30)과 충돌시켜 충돌력을 그 반작용 유닛(30)에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수직 프레임(10A)의 하부에 구비되는 윈치(W)에 의해 그 수직 프레임(10A) 측으로 끌어 올려진 후 수평 프레임(10B) 측으로 하강 가능한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에서, 슬레드 유닛(20)은 레일(12) 상에서 이동은 물론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받침 플레이트(22)의 양측에 레일(12) 상에서 구름되는 한 쌍의 롤러23()가 구비됨은 물론 내부에 충돌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중량추(24)가 적재되어 볼팅되도록 격벽(25)에 의해 분할된 복수 개의 수용공간(26)이 형성된다.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부는 개방된 상태이므로 중량추의 체결 고정은 물론 교체 등이 더욱더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 플레이트(22)의 후방에는 윈치에 의해 수직 프레임에서 원하는 위치까지 끌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일 측면이 힌지 결합되며 타측에는 원치와 언락(unlock) 할 수 있도록 견인 플레이트(28)가 구비된다. 상기 견인 플레이트의 양측에도 레일 상에서 구름되는 각각의 롤러가 구비된다.
상기한 슬레드 유닛은 윈치에 의해 수직 프레임의 소정 높이에 도달했을 때 위치 센서나 리미트 스위치 등에 의해 설정된 높이까지 올려진 후 윈치와 단락됨에 따라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그에 따라 슬레드 유닛의 받침 플레이트의 수용공간에 시험대상물의 충돌 조건에 따른 중량추를 적정하게 체결 고정함으로써, 최적의 충돌 조건에서의 충돌 시험을 추구할 수 있다.
반작용 유닛(30)은 슬레드 유닛(20)과 충돌에 의한 충돌력을 전달받는 것으로, 상기 수평 프레임(10B)의 레일(12) 상에 시험대상물이 장착되어 상기 슬레드 유닛(20)의 하강에 따른 충돌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 수평 프레임(10B)의 내측에는 슬레드 유닛(30)의 밑면에 구비되는 가이드 블록(31)과 서로 대응되는 형태의 한 쌍의 보조 가이드 레일(14)이 구비된다.
상기에서, 반작용 유닛(30)은 시험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소정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시험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장착 홀(32)이 구비되며, 양측에 레일 상에서 구름되는 한 쌍의 롤러(33)가 구비되고, 후방 양측에 각각의 완충구(34)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반작용 유닛(30)은 슬레드 유닛에 의해 충돌력을 전달받아 수평 프레임의 끝단 측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밀림에 따라 충돌 정도에 따라 밀리는 거리의 위치가 다르다.
아울러, 상기 반작용 유닛(30)에는 수직 프레임(10A)으로부터 낙하되어 떨어지는 슬레드 유닛(20)의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36)가 장착된다. 그로 인해 슬레드 유닛의 가속도와 그 슬레드 유닛에 적재된 중량추의 무게에 따라 정확한 충돌력을 계산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평 프레임(10B)의 일측에는 슬레드 유닛(20)과 충돌에 따른 변위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변위센서(38)를 구비함으로써, 충돌에 따른 반작용 유닛의 변위량, 즉 수평 프레임의 후방으로 밀린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각각의 완충수단(40)은 상기 슬레드 유닛(20)과 반작용 유닛(30)의 서로 대응되는 면에 충돌시 완충 됨에 따라 반작용 유닛(30)에 장착된 시험대상물의 안정성 확보 및 슬레드 유닛(20)의 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에서, 완충수단(30)은 에어 스프링이되, 상기 반작용 유닛(30)에 구비되는 에어 스프링의 갯 수보다 슬레드 유닛(20)에 구비되는 에어 스프링이 더 많은 갯 수로 겹쳐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 스프링은 사용 하중범위(kgf)는 대략 350~3000, 최대 사용압력(kgf/㎠)은 1~7, 최대 사용변위(mm)는 +40/-60, 고유진동수(Hz)는 2.5~3.5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슬레드 유닛에 완충수단인 에어 스프링을 더 많은 갯 수로 구비하는 것은 수직 프레임으로부터 하강에 따른 반작용 유닛과 충돌시 더 큰 충돌력이 발생함으로써, 슬레드 유닛에 더 큰 완충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그에 따라 슬레드 유닛과 반작용 유닛의 충돌시 완충수단에 의해 충돌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반작용 유닛에 장착되는 시험대상물의 안정성 확보와 함께 슬레드 유닛의 변형이나 손상됨을 극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특히, 완충수단에 의하여 슬레드 유닛과 반작용 유닛의 충돌시 완충에 따른 도 5에서와같이 자동차 메이커에서 부품의 안정성 등을 이유로 충돌시 데이터 성능곡선이 완만하게 상승되는 것을 충족할 수 있는 조건을 구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평 프레임(10B)의 일측에는 반작용 유닛(30)의 밀려난 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충돌 전 상기 반작용 유닛(30)이 위치한 위치와 그 반대 측 수평 프레임(10B)의 끝단 부위에 구비되는 각각의 지지 포스트(52), 상기 각각의 지지 포스트(52) 상단에 연결되는 가이드 와이어(54) 및 일단은 상기 반작용 유닛(30)이 위치한 위치의 지지 포스트(52)에 연결되고 타단은 반작용 유닛(30)에 연결되어 충돌에 따른 반작용 유닛(30)의 밀림 위치를 제한하는 밀림 위치제한 와이어(50)를 포함한다.
상기한 밀림 위치제한 와이어는 충돌에 따라 반작용 유닛이 수평 프레임의 끝단에 충돌시 수평 프레임의 손상이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반작용 유닛의 후방 측에 구비되는 완충구 역시 사기 밀림 위치제한 와이어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수직 프레임(10A)의 반대 측 수평 프레임(10B)의 끝단 내측에는 구동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충돌에 의해 밀려난 반작용 유닛(30)을 충돌 전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이동 유닛(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와 그 모터에 의해 상기 이동 유닛을 이동시키는 볼스크류와 볼스크류 하우징은 물론 체인과 스프로킷, LM 가이드와 LM 가이브 블록, 풀리와 벨트 등과 같이 상기 이동 유닛와 연결되는 통상적인 동력전달수단이면 무방하다.
상기에서, 이동 유닛은 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양측에 각각 롤러가 구비됨은 물론 전면에는 반작용 유닛의 후방과 접촉되어 이동시킬 때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구 또는 댐퍼 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반작용 유닛이 슬레드 유닛과 충돌에 의해 수평 프레임의 끝단 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다시 시험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슬레드 시험장치는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충돌시 자동차 메이커에서 부품의 안정성 등을 이유로 충돌시 데이터 성능곡선이 완만하게 상승되는 것을 충족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가짐으로써, 슬레드 시험장치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충돌 정도의 강약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충돌 시험이 끝단 후 반작용 유닛을 시험 위치로 이동 또한 편리하게 이루어져, 사용의 편리성도 우수한 조건도 가진다.
1 : 슬레드 시험장치
10 : 본체 프레임 10A : 수직 프레임
10B : 수평 프레임 12 : 레일
14 : 보조 가이드 레일 20 : 슬레드 유닛
22 : 받침 플레이트 23, 33 : 롤러
24 : 중량 추 25 : 격벽
26 : 수용공간 28 : 견인 플레이트
30 : 반작용 유닛 31 : 가이드 블록
32 : 장착 홀 34 : 완충구
36 : 가속도 센서 38 : 변위센서
40 : 완충수단 50 : 밀림 위치제한 와이어
52 : 지지 포스트 54 : 가이드 와이어
60 : 이동 유닛

Claims (5)

  1. 수직 프레임의 전면과 수평 프레임의 상면 및 상기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이 접한 직교 된 부분에 곡선 구간의 레일을 포함하는 본체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윈치에 의해 그 수직 프레임 측으로 끌어 올려진 후 수평 프레임 측으로 하강 가능한 슬레드 유닛;
    상기 수평 프레임의 레일 상에 시험대상물이 장착되어 상기 슬레드 유닛의 하강에 따른 충돌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반작용 유닛; 및
    상기 슬레드 유닛과 반작용 유닛의 서로 대응되는 면에 충돌시 완충 됨에 따라 반작용 유닛에 장착된 시험대상물의 안정성 확보 및 슬레드 유닛의 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각각 완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측에는 반작용 유닛의 밀려난 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충돌 전 상기 반작용 유닛이 위치한 위치와 그 반대 측 수평 프레임의 끝단 부위에 구비되는 각각의 지지 포스트, 상기 각각의 지지 포스트 상단에 연결되는 가이드 와이어 및 일단은 상기 반작용 유닛이 위치한 위치의 지지 포스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반작용 유닛에 연결되어 충돌에 따른 반작용 유닛의 밀림 위치를 제한하는 밀림 위치제한 와이어를 포함하는 슬레드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에어 스프링이되, 상기 반작용 유닛에 구비되는 에어 스프링의 갯 수보다 슬레드 유닛에 구비되는 에어 스프링이 더 많은 갯 수로 겹쳐지게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슬레드 시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작용 유닛에는 가속도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측에는 변위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슬레드 시험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의 반대 측 수평 프레임의 끝단 내측에는 구동수단에 의해 충돌에 의해 밀려난 반작용 유닛을 충돌 전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이동 유닛을 더 포함하는 슬레드 시험장치.
KR1020210146729A 2021-10-29 2021-10-29 슬레드 시험장치 KR102388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729A KR102388272B1 (ko) 2021-10-29 2021-10-29 슬레드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729A KR102388272B1 (ko) 2021-10-29 2021-10-29 슬레드 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272B1 true KR102388272B1 (ko) 2022-04-20

Family

ID=81403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729A KR102388272B1 (ko) 2021-10-29 2021-10-29 슬레드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27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2568A (ja) * 2001-11-26 2003-08-08 Honda Motor Co Ltd 車両衝突試験装置
KR100460922B1 (ko) 2002-12-03 2004-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롤오버 슬레드 시험장치
KR100657816B1 (ko) * 2005-04-06 2006-12-14 오성국 차량용 레일 충격시험장치
KR20080053852A (ko) 2006-12-11 2008-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전복사고 재현을 위한 슬레드 시험장치
KR20150036860A (ko) 2013-09-30 2015-04-08 김영구 슬레드 테스트 장치
KR101911383B1 (ko) * 2016-12-29 2018-10-24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KR101951113B1 (ko) * 2017-08-10 2019-02-21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KR101977338B1 (ko) 2017-08-31 2019-05-10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슬레드 충격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2568A (ja) * 2001-11-26 2003-08-08 Honda Motor Co Ltd 車両衝突試験装置
KR100460922B1 (ko) 2002-12-03 2004-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롤오버 슬레드 시험장치
KR100657816B1 (ko) * 2005-04-06 2006-12-14 오성국 차량용 레일 충격시험장치
KR20080053852A (ko) 2006-12-11 2008-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전복사고 재현을 위한 슬레드 시험장치
KR20150036860A (ko) 2013-09-30 2015-04-08 김영구 슬레드 테스트 장치
KR101911383B1 (ko) * 2016-12-29 2018-10-24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KR101951113B1 (ko) * 2017-08-10 2019-02-21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KR101977338B1 (ko) 2017-08-31 2019-05-10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슬레드 충격시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0821B2 (en) Side impact dynamic intrusion simulator
CN104913893B (zh) 一种模拟车辆碰撞的落锤冲击试验装置
CA213667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vehicle side impacts
US6962245B2 (en) Variable force energy dissipater and decelerator
EP070111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de impact testing
US11022531B2 (en) Seat belt test apparatus
JP4911755B2 (ja) 自動車車体の衝突試験装置及び衝突試験方法
EP0639124A1 (en) Safety seat
US61788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de impact testing of motor vehicles at a sub-system level
US20170241861A1 (en) Airbag testing apparatus
US6983638B2 (en) Head restraint evaluator
SE507769C2 (sv) Provanordning för krockprovning av delsystem till personbilar vid simulerad sidokollision
CN207336063U (zh) 一种汽车座椅检测试验装置
KR102388272B1 (ko) 슬레드 시험장치
KR20190017283A (ko)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US20180072260A1 (en) Airbag testing apparatus
CN214040570U (zh) 一种用于高加速度碰撞冲击测试的装置
JP2011149947A (ja) 自動車車体の衝突試験装置及び衝突試験方法
KR100613717B1 (ko) 피칭 롤링 기능이 구비된 차량 모의 충돌시험장치
KR100488701B1 (ko) 차량용 충격 시험장치
KR20080053852A (ko) 자동차의 전복사고 재현을 위한 슬레드 시험장치
Rains et al. Evaluation of restraints effectiveness in simulated rollover conditions
CN112345271A (zh) 一种车辆动态翻滚测试设备及其方法
JP7431124B2 (ja) 車両拘束装置および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
CN211696972U (zh) 用于测试车辆转向管柱能量冲击的试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