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7927B1 - 시트형 마스크 팩 - Google Patents

시트형 마스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7927B1
KR102387927B1 KR1020200100514A KR20200100514A KR102387927B1 KR 102387927 B1 KR102387927 B1 KR 102387927B1 KR 1020200100514 A KR1020200100514 A KR 1020200100514A KR 20200100514 A KR20200100514 A KR 20200100514A KR 102387927 B1 KR102387927 B1 KR 102387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body
nose
protrusion
sheet
mask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0053A (ko
Inventor
이상록
Original Assignee
(주)리바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바이프 filed Critical (주)리바이프
Priority to KR1020200100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927B1/ko
Publication of KR20220020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형 마스크 팩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액을 함침시켜 안면의 전면에 부착되며 포장지 내에 보관될 수 있는 시트형 마스크 팩으로서, 안면의 좌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되 안면의 정중선과 대응되는 부분이 잘려져 있는 좌측 시트체; 및 안면의 우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되 안면의 정중선과 대응되는 부분이 잘려져 있는 우측 시트체;를 포함하되, 상기 좌측 시트체에서, 코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코 부착부가 마련되고, 이 코부착부에는 착용자의 콧등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정중선을 넘여서 우측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 시트체에서, 코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코 부착부가 마련되고, 이 코부착부에는 착용자의 콧등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정중선을 넘어서 좌측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가 형성되되, 상기 좌측 시트체와 우측시트체는 포장지 내에 서로 적층되어 배치되되, 착용자는 상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를 파지하여 적층된 좌측 시트체와 우측시트체를 분리해내는 시트형 마스크 팩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트형 마스크 팩{Sheet type mask pack}
본 발명은 시트형 마스크 팩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가 포장지에서 꺼낸 후에 쉽게 분리하여 안면에 부착할 수 있게 하는 시트형 마스크 팩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 팩은 보습제, 미백제 등과 같은, 피부에 유용한 여러 성분이 함유한 활성물질이나 화장품 등을 함유한 상태에서 얼굴에 부착하여 얼굴의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많은 양을 피부 깊이 흡수시키기 위해 부직포 등으로 제작된 마스크 팩을 일정시간 얼굴에 부착하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마스크 팩은 포장지 내에 접힌 상태에서 화장액에 함침되어 포장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얇은 부직포 형태의 시트에 화장액이 함침되어 있으므로 접힌 상태에서 착용자가 이를 펴는 것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혀진 상태에서 좌우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마련하여 돌출부를 파지하여 쉽게 펼칠 수 있는 시트형 마스크 팩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트형 마스크 팩은,
화장액을 함침시켜 안면의 전면에 부착되며 포장지 내에 보관될 수 있는 시트형 마스크 팩으로서,
안면의 좌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되 안면의 정중선과 대응되는 부분이 잘려져 있는 좌측 시트체; 및
안면의 우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되 안면의 정중선과 대응되는 부분이 잘려져 있는 우측 시트체;를 포함하되,
상기 좌측 시트체에서, 코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코 부착부가 마련되고, 이 코부착부에는 착용자의 콧등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정중선을 넘여서 우측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 시트체에서, 코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코 부착부가 마련되고, 이 코부착부에는 착용자의 콧등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정중선을 넘어서 좌측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가 형성되되,
상기 좌측 시트체와 우측시트체는 포장지 내에 서로 적층되어 배치되되, 착용자는 상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를 파지하여 적층된 좌측 시트체와 우측시트체를 분리해낼 수 있다.
상기 시트형 마스크 팩에서,
상기 좌측 시트체와, 상기 우측 시트체는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시트형 마스크 팩에서,
좌측 시트체에서, 턱부위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가장자리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절개되는 턱 절개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형 마스크 팩에서,
좌측 시트체와, 우측 시트체에는, 착용자의 눈과 대응되는 위치에 눈 개방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형 마스크 팩에서,
좌측 시트체에는 착용자의 입과 대응되는 위치에 입 개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입 개방구멍은 우측을 향하도록 열려 있을 수 있다.
상기 시트형 마스크 팩에서,
좌측 시트체와, 우측 시트체는, 각각의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시트형 마스크 팩에서,
상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는 좌측 시트체와, 우측 시트체가 적층된 상태에서 착용자가 파지가능하게 좌우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시트형 마스크 팩에서,
상기 좌측 시트체와, 우측 시트체는, 정중선과 대응되는 라인이 서로 반대에 위치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시트형 마스크 팩에서,
상기 좌측 시트체와, 우측 시트체에는, 콧망울과 대응되는 위치의 아래부분을 절개하는 코 절개라인이 형성되고,
좌측 시트체와, 우측 시트체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코 절개라인을 따라서 접혀질 수 있다.
상기 시트형 마스크 팩에서,
상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는 화장액이 함침되지 않는 비함침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트형 마스크 팩에서,
좌측 시트체와, 우측 시트체가 안면에 부착되는 경우, 제1돌출부는 우측 시트체의 코 부착부와 적층되고, 제2돌출부는 좌측 시트의 코 부착부와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좌우 분리된 좌측 시트체와, 우측 시트체에 좌우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착용자는 포장지에서 꺼낸 후에 돌출부를 잡고 쉽게 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을 서로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마스크 팩을 좌측 시트체와, 우측 시트체로 분리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마스크 팩을 접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대응된다는 의미는 2개의 구성들이 서로 동일한 형상과 모양을 가지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2개의 구성들이 서로 유사한 형상과 유사한 모양을 가지는 것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유사한 모양과 형상이란 기능적인 측면에서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쉽게 치환변경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정중선"이란 안면의 좌우 중앙을 서로 잇는 수직선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정중선에 의하여 안면이 대칭적으로 좌우 구분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형 마스크 팩(10)은, 서로 분리된 좌측 시트체(20)와 우측 시트체(30)를 얼굴에 부착하여 시트체에 함침된 화장액이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시트형 마스크 팩(10)은, 좌우 대칭적인 형상을 가지는 좌측 시트체(20)와, 우측 시트체(30)를 포함하고, 각 시트체(20, 30)는 적층된 상태로 접혀져서 포장지 내에 보관되고 착용자가 필요하면 포장지에서 꺼내서 얼굴에 부착하여 사용하게 구성된다.
상기 좌측 시트체(20)는, 안면의 좌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되 안면의 정중선(11)과 대응되는 부분이 잘려져 있는 것이다.
이때 좌측 시트체(20)를 구성하는 기재시트는 적어도 한 장의 직포 시트 또는 부직포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직포 시트 또는 부직포 시트의 재료는 솜, 펄프, 대나무 및 셀룰로스 섬유 등의 천연 섬유, 비스코스레이온 섬유 등의 반천연 섬유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및 폴리프로필렌 섬유 등의 합성 섬유이다. 상기의 섬유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을 조합해 사용하여도 좋다.
기재 시트가 적어도 한 장의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어 「부직」은 시트를 형성하고 있는 각각의 섬유 또는 실이 웹 타입의 구조에 있어서 통제되지 않는 방법으로 배치되어 있고 짜여지지 않거나 편직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부직포 시트의 섬유는 일반적으로 기계적 동작(예를 들면 인터락, 에어제트 등 )의 효과 하나 혹은 열적 동작의 효과 하나 또는 결합제를 첨가함으로써 함께 결합된다.
직포 시트 또는 부직포 시트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섬유가 친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직포 시트 또는 부직포 시트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섬유가 직경이 작고 예를 들면 5.0 dtex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dtex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dtex 이하,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dtex 이하인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이러한 작은 직경의 섬유로 제작되어 있는 직포 시트 또는 부직포 시트(정도)만큼 부드러워질 수 있다.
또한, 기재시트에 함침되는 화장액은, 예를 들면 화장수 및 우유 로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미용 마스크를 위한 화장용 조성물은 친수성 또는 친유성일 수 있는 적어도 1종의 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친수성 활성제는 다음의 화합물에서 선택되어도 좋은:아스코르브산 및 생물학적 적합성이 있는 그 염, 효소, 항생 물질, 조임제, α-하이드록시산 및 이들의 염, 수산화 폴리산과 수크로스, 만노스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의 당류, 요소, 아미노산, 올리고펩타이드, 친수성 식물 추출물 및 효모 추출물, 단백질 가수분해물, 히알루론산, 뮤코다당, 비타민 B2, B6, H, PP, 판테놀, 엽산, 아세틸살리실산, 알란토인, 글리시레틴산, 코지산 및 하이드로퀴논.
친유성 활성제는 다음의 화합물에서 선택되어도 좋은:d-α-토코페롤, dl-α-토코페롤, l-α-토코페롤, dl-α-아세트산 토코페롤, 팔미트산 아스코르빌, 비타민 F 및 비타민 F의 글리세라이드, 비타민 D, 비타민 D2, 비타민 D3, 레티놀, 레티놀 에스테르, 팔미트산 레티놀, 프로피온산 레티놀, β-카로틴, d-판테놀, 파네솔 및 아세트산 파네실;호호바유 및 필수 지방산이 풍부한 크로후사스그리유;각질 용해제, 예를 들면 살리실산, 그 염 및 그 에스테르, n-옥타노일- 5 살리실산 및 그 에스테르, 구연산, 젖산, 글리콜산 등의α-하이드록실산의 알킬 에스테르, 아지아틴산, 마데카신산, 아지아치코시드, 병풀(centella asiatica)의 완전 추출물, β-글리시레틴산, α-비사보롤 및2-올레오일 아미노-1,3 옥타데칸 등의 세라마이드;피탄트리올, 우유 스핑고미엘린, 폴리불포화 필수 지방산이 풍부한 해양 유래의 인지질 및 에톡시퀸;로즈메리 추출물, 레몬밤(멜리사) 추출물, 퀘르세틴, 건조한 미세 조류(microalgae)의 추출물 및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이러한 친유성 활성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해서 사용되는 기름 안으로 가용화 상태에서 포함되어도 좋고 이들 중에서 들 수 있는 것은, 동물, 식물 또는 광물 유래의 기름, 특히 지방산 및 폴리올의 에스테르, 특히 액상 트리글리세라이드로 형성되는 동물 또는 식물유, 예를 들면 해바라기유, 옥수수유, 대두유, 페포카보체유, 참기름, 헤이즐넛유, 피스타치오낫트유, 살구유, 아몬드유 또는 아보카도유;어유, 글리세롤 트리카프로 카프릴레이트, 또는 식 R1COOR2(식 중 R1는7~19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고급 지방산의 잔기를 나타내고 R2는3~2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분지형 탄화수소 사슬을 나타낸다)의 식물 또는 동물유, 예를 들면 파 세린유;맥아배아유, 카로피람유, 참기름, 고수기름 및 홍화유, 패션플라워유, 머스크 로즈(rosa mosqueta) 유, 마카다미아유, (포도, 크로후사스그리, 오렌지 또는 키위 씨앗으로 제작된) 과일 종자유, 유채(colza) 유, 코프라유, 땅콩유, 물까치-(onager) 기름, 팜유, 한가유, 아마씨유, 호호바유, 치아유 및 올리브유, 맥아배아 유 등의 곡물 배아유, 밀기울유, 미강유 및 카리테유;아세틸글리세라이드;알코올 또는 폴리알코올의 옥타노에이트, 데카노에이트 혹은 리시놀레이트;지방산의 트리글리세라이드;글리세라이드;파라핀유, 바셀린유 및 퍼하이드로스쿠알렌;지방 알코올(스테아릴 알코올, 세틸 알코올) 및 지방산(스테아르산) 및 이들의 에스테르;폴리알킬(C1~C20) 실록산 및 특히 트리메틸실릴 말단기를 가지는 것이며 이들 중(안)에서도 들 수 있는 것은, 선형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알킬 메틸폴리실록산, 예를 들면 세틸 디메티콘(CTFA명)이다.
부분적으로 불소화되어 있는 탄화수소화유 또는 퍼플루오로화유, 특히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및 퍼플루오로알칸도 또한 들 수 있다.
화장액은 화장품 중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활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되게 되는 활성 성분 중(안)에서 들 수 있는 것은, 항산화 클렌징제, 자유 라디칼 포착제, 보습제, 탈색소제, 지방 조절제, 항여드름제, 항비듬제, 항노화제, 유연제, 항주름제, 각질 용해제, 항염증제, 후렛슈나, 힐링제, 혈관 보호제, 항균제, 항진균제, 땀 억제제, 데오도란트, 피부 컨디셔너, 마취제, 면역 조절제, 영양제 및 피지 흡수제(예를 들면 올가 솔) 또는 수분 흡수제이다.
이러한 좌측 시트체(20)는, 안면의 좌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착용자의 눈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눈 개방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눈 개방구는 눈보다 다소 큰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눈 개방구멍(21)이 좌측 시트체(20)는 좌측 눈에 해당되도록 단일로 구성된다.
눈 개방구멍(21)의 아래에는 코 부착부(22)가 마련된다. 상기 코 부착부(22)는 콧등에 부착될 수 있도록 코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절개되어 있으며 콧망울과 대응되는 위치의 아래 부분을 포함하여 절개되어 코 절개라인(221)을 형성한다.
코 절개라인(221)에 의하여 형성되는 코 부착부(22)는 착용자의 콧등에 부착되어 콧등에 영양분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코 절개라인(221)에서 콧망울을 지나는 아래 부분에는 가상의 선인 접음 라인(12)이 형성되어 있어서 접은 라인을 따라서 접힐 수 있게 된다.
코 부착부(22)에는, 착용자의 콧등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정중선(11)을 넘여서 우측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222)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즉, 코 부착부(22)는 코 전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코에서 정중선(11)을 기준으로 우측 부분은 정중선(11)을 넘어서서 돌출된 부분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코 부착부(22)는 착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파지부를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 코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코 부착부(22)의 일부를 이용하여 파지할 수 있게 함으로서 마스크 팩(10)에 불필요한 부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가장자리를 파지부로 하는 경우 실제 부착된 안면보다 돌출되는 부분이 발생하여 착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게됨은 물론 안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안면에 부착되지 못하고 들뜨게 되어 함침된 화장액이 주변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돌출부(222)는 좌측 시트체(20)를 구성하는 부직포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장액이 함침되지 않는 비함침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닐로 제1돌출부(222)의 표면을 코팅하거나 실리콘 고무와 같은 소재로 구성하거나 기타 필름과 같은 소재로 구성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돌출부(222)를 비함침성 재질로 구성함에 따라서 사용자가 포장지에서 마스크 팩(10)을 꺼낸 후에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에도 미끄러짐이 없을 뿐 아니라, 다른 부분과 겹쳐 있는 경우에도 손쉽게 분리해낼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상기 코 부착부(22)의 하부에는, 착용자의 입과 대응되는 위치에 입 개방구멍(23)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입 개방구멍(23)은 착용자의 입을 외부로 개방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입 개방구멍(23)은 우측을 향하여 열려져 있게 된다. 한편, 우측 시트체(30)는 입 개방부멍이 좌측을 향하여 열려져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이 입 개방구멍(23)이 서로 입의 중앙을 기준으로 절개되어 있게 되므로 착용자는 마스크 팩(10)을 얼굴에 부착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다. 즉, 마스크 팩(10)은 정중선(11)을 기준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착용자는 편하게 대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입 개방구멍(23)의 하측으로서 대각선 위치에는 턱 절개라인(24)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턱 절개라인(24)은, 턱부위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가장자리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절개되는 것이다. 이러한 턱 절개라인(24)은 좌측 시트체(20)가 안면에 부착되었을 때 안면에서 들뜨지 않고 안면에 밀착되어 부착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우측 시트체(30)는, 안면의 우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되 안면의 정중선(11)과 대응되는 부분이 잘려져 있는 것이다. 이러한 우측 시트체(30)를 구성하는 기재 시트의 소재 및 화장액은 소재를 좌측 시트체(2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우측 시트체(30)는 상기 좌측 시트체(20)와 대칭적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눈 개방구멍(31), 코 부착부(32), 입 개방구멍(33) 및 턱 절개라인(34)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때, 코 부착부(32)에는, 착용자의 콧등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정중선(11)을 넘어서 좌측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322)가 마련된다. 제2돌출부(322)는 착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분이다. 제1돌출부(222)와, 제2돌출부(322)는 좌측 시트체(20)와 우측 시트체(30)가 서로 겹쳐서 배치된 상태에서도 서로 겹치지 않게 돌출되어 있어서 착용자는 제1돌출부(222)와, 제2돌출부(322)를 손으로 파지하여 화장액이 함침된 상태에서 면들이 서로 접촉되어 있는 좌측 시트체(20)와, 우측 시트체(30)를 쉽게 분리해낼 수 있게 된다.
제1돌출부(222)와 제2돌출부(322)는, 좌측 시트체(20)와, 우측 시트체(30)가 적층된 상태에서 착용자가 파지가능하게 좌우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좌측 시트체(20)와, 우측 시트체(30)는, 정중선(11)과 대응되는 라인이 서로 반대에 위치하도록 적층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좌측 시트체(20)는 일측은 타원의 형상을 가지고 타측은 직선형태로 이루어져서 전체적으로 반원형 형상을 가지게 되며, 우측 시트체(30)는 대칭적인 반원형 형상을 가지게 되는데, 직선부분이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적층되어 있게 되며, 이때 제1돌출부(222)는 우측 시트체(30)에서 반원부를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2돌출부(322)는 좌측 시트체(20)에서 반원부를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좌측 시트체(20)와, 우측 시트체(30)를 서로 안면에 부착하는 경우 제1돌출부(222)는 우측 시트체(30)에 겹쳐지고, 제2돌출부(322)는 좌측 시트체(20)에 겹쳐지게 되는데, 이에 따라서 좌측 시트체(20)와 우측시트체가 제1돌출부(222), 제2돌출부(322)에 의하여 결합되게 되어서 상호간에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좌측 시트체(20)와 우측 시트체(30)가 서로 완전하게 분리되어 있게 되는 경우에는 안면에 부착한 후에 얼굴의 움직임에 따라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는데, 제1돌출부(222)와 제2돌출부(322)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으므로 분리가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즉, 서로 분리된 한 쌍의 시트체가 하나의 시트체로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다른 시트형 마스크 팩(10)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포장지 내에 보관될 수 있다.
우선, 서로 분리된 좌측 시트체(20)와, 우측 시트체(30)에서 서로 적층한다. 이때, 좌측 시트체(20)의 반원부가 우측 시트체(30)의 직선부에 접하게 위치하고, 우측 시트체(30)의 반원부가 좌측 시트체(20)의 직선부에 접하게 위치시킨다. 이 과정에서 제1돌출부(222)와 제2돌출부(322)는 적층되지 않고 시트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게 된다.
이후에, 도 3의 점선으로 표시된 접음 라인(12)을 기준으로 하여 반으로 접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3의 점섬으로 표시된 접음 라인(12)을 기준으로 하여 하부는 뒤로 접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를 만들게 된다.
도 4에 나타난 접힌 상태에서도 제1돌출부(222)와 제2돌출부(322)는 서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화장액이 담겨져 있는 포장지 내에 마스크 팩(10)을 집어넣어 화장액이 함침되도록 한다.
착용자는 도 4에 나타난 마스크 팩(10)을 포장지에서 빼낸 후에, 제1돌출부(222)와, 제2돌출부(322)를 잡아서 벌림으로서 서로 겹쳐져 보관된 마스크 팩(10)을 쉽게 분리해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마스크 팩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시트형 마스크 팩을 정중선을 기준으로 좌우 분리된 시트를 사용하고 코 부위를 일부 돌출시킨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서 착용자는 돌출부를 손잡이로 사용하여 시트형 마스크 팩을 쉽게 분리해내어 펼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돌출부를 코 형상의 일부를 적용함으로서, 안면에 부착되었을 때, 안면에서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서 안면에서 들뜨지 않고 안면에 밀착되어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화장액이 불필요한 위치로 흘러내리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입 개방구멍 주변은 좌우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마스크 팩을 부착한 착용자가 편하게 입을 움직여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들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10...시트형 마스크 팩 20...좌측 시트체
21...눈 개방구멍 22...코 부착부
221...코 절개라인 222...제1돌출부
23...입 개방구멍 24...턱 절개라인
30...우측 시트체 31...눈 개방구멍
32...코 부착부 322...제2돌출부
33...입 개방구멍 34...턱 절개라인

Claims (11)

  1. 화장액을 함침시켜 안면의 전면에 부착되며 포장지 내에 보관될 수 있는 시트형 마스크 팩으로서,
    안면의 좌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되 안면의 정중선과 대응되는 부분이 잘려져 있고 함침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좌측 시트체; 및
    안면의 우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되 안면의 정중선과 대응되는 부분이 잘려져 있고 함침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우측 시트체;를 포함하되,
    상기 좌측 시트체에서, 코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비함침성 재질의 코 부착부가 마련되고, 이 코부착부에는 착용자의 콧등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정중선을 넘여서 우측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 시트체에서, 코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비함침성 재질의 코 부착부가 마련되고, 이 코부착부에는 착용자의 콧등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정중선을 넘어서 좌측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가 형성되되,
    상기 좌측 시트체와 우측시트체는 포장지 내에 서로 적층되어 배치되되, 착용자는 상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를 파지하여 적층된 좌측 시트체와 우측시트체를 분리해낼 수 있으며,
    상기 제1돌출부는 다른 재질의 코 부착부에 일체적으로 연결되고,상기 제1돌출부는 다른 재질의 코 부착부에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돌출부는 다른 재질의 코 부착부에 일체적으로 연결되며,
    안면에 부착시 상기 제1돌출부는 우측시트체의 코부착부의 일면에 적층되어 겹쳐지고, 상기 제2돌출부는 좌측시트체의 코부착부의 타면에 적층되어 겹쳐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마스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시트체와, 상기 우측 시트체는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마스크 팩.
  3. 제1항에 있어서,
    좌측 시트체에서, 턱부위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가장자리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절개되는 턱 절개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마스크 팩.
  4. 제1항에 있어서,
    좌측 시트체와, 우측 시트체에는, 착용자의 눈과 대응되는 위치에 눈 개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마스크 팩.
  5. 제1항에 있어서,
    좌측 시트체에는 착용자의 입과 대응되는 위치에 입 개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입 개방구멍은 우측을 향하도록 열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마스크 팩.
  6. 제1항에 있어서,
    좌측 시트체와, 우측 시트체는, 각각의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마스크 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는 좌측 시트체와, 우측 시트체가 적층된 상태에서 착용자가 파지가능하게 좌우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마스크 팩.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시트체와, 우측 시트체는, 정중선과 대응되는 라인이 서로 반대에 위치하도록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마스크 팩.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시트체와, 우측 시트체에는, 콧망울과 대응되는 위치의 아래부분을 절개하는 코 절개라인이 형성되고,
    좌측 시트체와, 우측 시트체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코 절개라인을 따라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마스크 팩.
  10. 삭제
  11. 삭제
KR1020200100514A 2020-08-11 2020-08-11 시트형 마스크 팩 KR102387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514A KR102387927B1 (ko) 2020-08-11 2020-08-11 시트형 마스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514A KR102387927B1 (ko) 2020-08-11 2020-08-11 시트형 마스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053A KR20220020053A (ko) 2022-02-18
KR102387927B1 true KR102387927B1 (ko) 2022-04-18

Family

ID=8049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514A KR102387927B1 (ko) 2020-08-11 2020-08-11 시트형 마스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79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8395A (ja) * 2012-07-18 2014-02-03 Shinichi Tsukamoto パック用シート及びその用法
JP2017205263A (ja) 2016-05-18 2017-11-24 佐奈恵 黒川 パック用フェイスマスク
CN207270489U (zh) * 2017-03-09 2018-04-27 东莞市金喜美化妆品有限公司 一种带多种复合层的面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916B1 (ko) * 2016-08-29 2018-05-10 (주)아모레퍼시픽 사용이 편리한 마스크시트 화장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8395A (ja) * 2012-07-18 2014-02-03 Shinichi Tsukamoto パック用シート及びその用法
JP2017205263A (ja) 2016-05-18 2017-11-24 佐奈恵 黒川 パック用フェイスマスク
CN207270489U (zh) * 2017-03-09 2018-04-27 东莞市金喜美化妆品有限公司 一种带多种复合层的面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053A (ko) 2022-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10495B2 (ja) 顔用の美容マスク
JP6116904B2 (ja) 美容シート包装体
KR100903236B1 (ko) 국소도포제의 개선된 운반효율을 갖는 처리된 기재
CN102100640A (zh) 透明的面部护理面膜
JP6001054B2 (ja) 美容処理用折畳みシート
JP2003093152A (ja) 化粧料含浸シート
CN101141936A (zh) 具有阻止护肤组合物转移的阻碍片的吸收制品
CN1160053C (zh) 低粘滞性的烟酰胺组合物
CN101836937A (zh) 具有隔离层的面部护理面膜
KR20090098813A (ko) 방출가능한 배킹을 갖는 피부 케어 운반 기구
EP1040822B1 (fr) Masque extensible comportant une matrice adhésive étirable au moins à l'état mouillé.
CN1518423A (zh) 一次性流体涂敷器
DE19802206A1 (de) Lipidreduzierte, fließfähige Zubereitungen
CN102100439A (zh) 产品分配器和吸收制品套件
ES2203029T3 (es) Producto para aplicacion topica que contiene una lipasa, un precursor de vitamina y un alcohol graso.
ES2611974T3 (es) Estructura en lámina que tiene al menos una cara coloreada
KR102387927B1 (ko) 시트형 마스크 팩
KR102406598B1 (ko) 마스크 팩
WO2011042996A1 (en) Folded mask sheet
KR102406597B1 (ko) 마스크 시트의 포장체
MXPA02007045A (es) Composiciones para el cuidado de la piel.
JPWO2020059167A1 (ja) 皮膚化粧料用組成物
WO2014073116A1 (en) Cosmetic sheet for face
CN102100438A (zh) 产品分配器
JP6654944B2 (ja) 乳化化粧料及びシート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