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7862B1 - 인체의 조인트를 위한 모듈 스페이서 장치 - Google Patents

인체의 조인트를 위한 모듈 스페이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7862B1
KR102387862B1 KR1020197002199A KR20197002199A KR102387862B1 KR 102387862 B1 KR102387862 B1 KR 102387862B1 KR 1020197002199 A KR1020197002199 A KR 1020197002199A KR 20197002199 A KR20197002199 A KR 20197002199A KR 102387862 B1 KR102387862 B1 KR 102387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device
femoral
tibial
knee joint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2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064A (ko
Inventor
아우구스토 마가뇰리
Original Assignee
코싱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싱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코싱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33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86Joints for elbows or knees for stabilising knees against anterior or lateral dis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36Special connection between upper and lower leg, e.g. constrai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59Femor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9Tibi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003Material related properties of the prosthesis or of a coating on the prosthesis
    • A61F2002/3006Properties of materials and coating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108Shapes
    • A61F2002/3011Cross-sections or two-dimensional shapes
    • A61F2002/30112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604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667Features concerning an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or a particular use of the prosthesis
    • A61F2002/30672Features concerning an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or a particular use of the prosthesis tempora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667Features concerning an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or a particular use of the prosthesis
    • A61F2002/30677Means for introducing or releasing pharmaceutical products, e.g. antibiotics,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61F2/30771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 A61F2002/30878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with non-sharp protrusions, for instance contacting the bone for anchoring, e.g. keels, pegs, pins, posts, shanks, stems, stru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310/00Prostheses classified in A61F2/28 or A61F2/30 - A61F2/44 being constructed from or coated with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005The prosthesis being constructed from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011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310/00Prostheses classified in A61F2/28 or A61F2/30 - A61F2/44 being constructed from or coated with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005The prosthesis being constructed from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179Ceramics or ceramic-like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310/00Prostheses classified in A61F2/28 or A61F2/30 - A61F2/44 being constructed from or coated with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005The prosthesis being constructed from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353Bone cement, e.g. polymethylmethacrylate or PMMA

Abstract

본 발명은 무릎 조인트를 향하는 경골의 일 단부에서 경골에 제한되도록 적합화된 적어도 하나의 경골 요소(2) 및, 무릎 조인트를 향하는 대퇴부 요소의 대퇴골의 일 단부에서 대퇴골에 제한되도록 적합화되고 상기 경골 요소(2)상에 관절화된 적어도 하나의 대퇴부 요소(3)를 포함하는 무릎 조인트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1)에 관한 것이다. 경골 요소(2)는 사용하는 동안 대퇴부 요소(3)를 향하는 제 1 표면(21) 및, 그에 대향하는 제 2 표면(22)을 포함하고, 대퇴부 요소(3)는 사용하는 동안 대퇴부 요소(3)를 향하는 제 1 표면(31) 및, 그에 대향하는 제 2 표면(32)을 가진다. 상기 대퇴부 요소(3)의 상기 제 1 표면(31)은 볼록하고 "암모나이트(ammonite)" 유형의 만곡된 윤곽을 측방향으로 가지고, 상기 암모나이트 유형의 만곡된 윤곽은, R1 의 곡률 반경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후방 섹션(PS), R2 의 곡률 반경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제 1 중심 섹션(FCS), R3 의 곡률 반경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제 2 중심 섹션(SCS)로부터 시작하여, R4 의 곡률 반경을 가진 상기 대퇴부 요소(3)의 적어도 하나의 전방 섹션(FS)까지 증가하는 곡률 반경을 가지며, R1≤R2≤R3≤R4 이다.

Description

인체의 조인트를 위한 모듈 스페이서 장치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감염 이후에, 제거되어야만 하는 조인트 보철물의 일시적인 대체를 위한 모듈 스페이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무릎 조인트의 스페이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인트 보철의 이식 분야에서, 조인트 보철(joint prostheses)은 다양한 이유로 제거될 수 있는데, 특히 보철의 이식 이후에 조인트의 국부적인 감염 때문에 제거된다.
그러한 경우에, 만약 조인트의 시트가 적절한 항생 약품을 사용하여 치료되어야만 한다면, 감염된 보철을 새로운 보철로 즉시 대체할 수 없다. 항생 치료를 위하여 필요한 기간 동안에, 새로운 보철의 이식에 필요한 관절 공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따라서 조직의 짧아짐, 조인트의 위축(atrophying) 및 근육 톤(muscle tone)의 손실을 방지한다. 그러한 기술은 조인트 보철의 "2 단계 이식"으로서 알려져 있다.
무릎을 위한 일시적인 관절 스페이서 장치들은 스페이서 이식 수술 동안 의사가 수작업으로 제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한 스페이서 장치들은 골 시멘트(bone cement)로 만들어지고, 관절 시트에 이식하기 직전에 수작업의 방식으로 적절하게 형상화된다.
수작업으로 형상화된 관절 스페이서 장치는 몇가지 단점을 가진다. 무엇보다, 수술 기간 동안 스페이서 장치를 만드는 수작업 과정은 기간 자체를 상당히 늘리며, 스페이서 장치를 제작하는데 이용되는 잠재적인 독성 물질과 의료 작업자들이 직접 접촉되게 한다. 더욱이, 수작업으로 형성된 관절 스페이서 장치는 조인트의 이동성을 제한할 수 있는 형상 결합을 가질 수 있다.
시장에서는 수술하는 동안 수작업으로 형성할 필요 없이 미리 형성되고 이식되는 조인트용 장치들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장치들은 표준적인 크기를 가지며 선험적으로 서로 조합되는 대퇴부 부분 및 경골 부분으로 구성되는 단점을 가지며, 따라서 이들은 각각의 환자의 의인화된 크기(anthropomorphic sizes)에 항상 용이하게 적합될 수 없다.
환자의 의인화된 크기에 공지된 스페이서 장치를 부정확하게 적합화시키는 것의 한가지 결과는, 사용하는 동안 보통 겪게 되는 스트레스, 특히 측방향 스트레스에 대한 스페이서 장치 자체의 우수한 저항성 뿐만 아니라, 조인트의 우수한 운동성(mobility)을 보장할 수 없다는 점에 있다. 이것은 새로운 조인트 보철을 기다리는 동안 환자의 삶의 질이 떨어지게 되고, 따라서 상기 문제점들을 극복하는 인체의 조인트들을 위한 스페이서 장치의 필요성이 있다.
한편, 미국 특허 출원 US 2013/006373 에는 'POSTERIOR STABILIZED ORTHOPAEDIC KNEE PROSTHESIS HAVING CONTROLLED CONDYLAR CURVATURE'가 개시되어 있고, 국제 출원 공개 WO 2016/071938 에는 'IMPROVED ADJUSTABLE MODULAR SPACER DEVICE FOR THE ARTICULATION OF THE KNEE'가 개시되어 있고, 국제 출원 공개 WO 2005/037147 에는 'HIGH FLEXION ARTICULAR INSERT'가 개시되어 있고, 유럽 특허 EP 2 254 519 에는 'TOTAL KNEE REPLACEMENT PROSTHESIS'가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체의 조인트를 위한, 특히 무릎 조인트를 위한 스페이서 장치와 관련된 현재 기술을 향상시키는 기술적 과제를 제안한다.
그러한 기술적 과제의 범위에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미리 형성되고 스페이서 장치가 적용되는 각각의 환자의 의인화된 크기에 적합화되는 무릎 조인트의 스페이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상적인 유형의 스페이서 장치에 비하여 조인트의 보다 적절하고 안정된 움직임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무릎 조인트의 스페이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상적인 유형의 스페이서 장치들에 비하여 측방향 추력(lateral thrust)에 대한 더 큰 저항을 제공할 수 있는 무릎 조인트의 스페이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서, 무릎 조인트의 스페이서 장치는 청구항 제 1 항에 따라서 제공된다.
종속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하고 유리한 실시예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과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에서 비 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 본 발명에 따른 무릎을 위한 모듈 스페이서 장치에 대한 상세하지만 배타적이지 않은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스페이서 장치의 전방에 대한 측방향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따른 모듈 스페이서 장치의 후방에 대한 측방향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의 대퇴부 요소 및 경골 요소를 확대 축척으로 약간 위를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의 대퇴부 요소의 정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대퇴부 요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 은 도 4 의 대퇴부 요소의 후면도를 도시한다.
도 7 은 도 4 에 따른 대퇴부 요소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4 의 대퇴부 요소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9 는 도 1 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의 구성 요소의 측면 및 후방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0 은 도 9 의 경골 요소의 평면도이다.
도 11 은 도 9 의 경골 요소의 저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 는 도 9 의 경골 요소의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 은 선 XIII-XIII 를 따라서 절단된, 도 9 의 경골 요소의 단면도이다.
도 14 는 도 9 의 경골 요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5 는 도 3 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의 일 예의 정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스페이서 장치의 일 예의 상부 후방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릎 조인트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modular spacer device)는 전체적으로 도면 번호 1 로 표시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경골 요소(tibial element, 2) 및 적어도 하나의 대퇴부 요소(femoral element, 3)를 포함하며, 상기 경골 요소(2)는 무릎 조인트를 향하는 경골의 일 단부에서 환자의 경골(tibial bone)에 제한되도록 적합화되고, 상기 대퇴부 요소(3)는 무릎 조인트를 향하는 대퇴부 골의 단부에서 환자의 대퇴부 골(femoral bone)에 제한되게 적합화되고 상기 경골 요소(2)상에 관절화된다.
도 9 내지 도 14 를 참조하면, 경골 요소(2)는 사용하는 동안 대퇴부 요소(3)를 향하는 제 1 표면(21) 및 그에 대향되는 제 2 표면(22)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도 4 내지 도 8 을 참조하면, 대퇴부 요소(3)는 사용하는 동안 개별의 경골 요소(2)를 향하는 제 1 표면(31) 및 그에 대향하는 제 2 표면(32)을 가진다.
대퇴부 요소(3)는 공지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C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가지고(도 8 참조), 여기에서 "C"의 각각의 자유 단부는 대퇴부 요소(3)의 후방 로브(rear lobe, 33, 34)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따르면, 대퇴부 요소(3)의 제 1 표면(31)은 볼록하고 측방향으로 "암모나이트(ammonite)" 유형의 만곡된 윤곽을 가지는데(특히 도 5 참조), 여기에서 곡률 반경은 R1 의 곡률 변경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후방 섹션(PS)으로부터 시작하여, R2 의 곡률 반경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제 1 중심 섹션(FCS) 및 R3 의 곡률 반경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제 2 중심 섹션(SCS)를 향하여, R4 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대퇴부 요소(3)의 적어도 하나의 전방 섹션(FS)까지 증가되며, 여기에서 R1<R2<R3<R4 이다.
대퇴부 요소(3)의 전방 섹션(FS)은 전방에서 실질적으로 만곡된 하부 윤곽(LP)을 가지며(도 4 및 도 6 참조), 보다 상세하게는 R5 의 곡률 반경을 따른 하부 윤곽을 가진다. 대퇴부 요소(3)의 제 1 표면(31)은 중심 홈(35)을 한정하는데, 이것은 대퇴부 요소(3)의 전후 방향(anteroposterior direction)을 따라서 연장되며, 즉, 전방 섹션(FS)으로부터 시작하여 제 1 표면의 제 2 중심 섹션(SCS) 및 제 1 중심 섹션(FCS)을 향한다. 그러한 중심 홈(35)은 둥근 윤곽을 가진다. 즉, 그러한 홈(35)에서, 제 1 표면(31)은 선형의 진전(linear progression) 또는 각도를 이루는 진전(angular progression)을 이루지 않는다.
대퇴부 요소(3)의 전방 섹션(FS)은 전방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벨 형상 패턴(bell-shaped pattern)에 따라서 만곡된 상부 윤곽(36)을 가진다(도 4 참조).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예를 들어 도 15 및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퇴부 요소(3)의 전방 섹션(FS)의 상부 윤곽(36)은 경사진 윤곽을 가지며, (도 15 에서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또는 우측으로 경사진다. 그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스페이서 장치(1)의 대퇴부 요소(3)는 좌측 무릎 또는 우측 무릎에 대하여 각각 적합화될 수 있다. 그러한 대퇴부 요소(3)는 이후에 더 잘 표시된 바와 같이, 좌측, 또는 우측 또는 대칭의 경골 요소(2)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모듈 스페이서 장치(1)의 대퇴부 요소(2)의 제 2 표면(32)은 오목하고 측방향으로 만곡된 U 형상 윤곽을 가지는데(특히 도 5 참조), 이것은 서로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후방 부분(PP) 및 하나의 전방 부분(AP), 상기 후방 부분(PP) 및 상기 전방 부분(AP)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베이스 부분(BP), 상기 후방 부분(PP)과 상기 베이스 부분(BP) 사이의 후방 연결 부분(PCP), 상기 전방 부분(AP)과 상기 베이스 부분(BP) 사이의 전방 연결 부분(ACP)을 포함한다.
후방 연결 부분(PCP)과 전방 연결 부분(ACP)은 만곡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실질적으로 직선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 이들이 각각 연결되는 부분들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된다.
하나의 그러한 구성으로써, 대퇴부 요소(3)의 후방 로브(33, 34)들 각각은 R1 의 곡률 반경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후방 섹션(PS) 및 제 2 표면(32)의 적어도 하나의 후방 부분(PP)과 하나의 후방 연결 부분(PCP)과 대퇴부 요소(3)의 제 1 표면(31)의 R2 의 곡률 반경을 가진 제 1 중심 섹션(FCS)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스페이서 장치(1)의 대퇴부 요소(3)는 부조(relief)의 요소 또는 중심 리브(37)를 가지며, 이것은 제2 표면(32)상의 전방 연결 부분(ACP)과 베이스 부분(BP)에서 전후 방향으로 전개된 것이다. 그러한 중심 리브(37)는 대퇴부 요소(3)의 제 1 표면(31)상에서 만들어진 중심 홈(35)에 배치된다. 중심 리브(37)는 대응하는 중심 홈(35)과 같이 둥근 윤곽을 가진다. 즉, 중심 리브(37)에서, 제 2 표면(32)은 선형의 전개부(linear development) 또는 각도를 이룬 전개부(angular development)를 가지지 않는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스페이서 장치(1)의 경골 요소(2)를 참조하면, 이것은 실질적으로 반전된 "U" 평면 형상을 가지며(도 10 참조), "U"의 베이스 부분은 경골 요소(2)의 전방 부분(23)(사용중의 전방)에 대응되고, 실질적으로 직선의 패턴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경골 요소(2)의 제 1 표면(21)은 오목하고 측방향으로 만곡된 윤곽을 가지며(도 14 참조), 보다 상세하게는, 대응하는 대퇴부 요소(3)의 곡률 반경(R3)을 가진 제 2 중심 섹션(SCS)의 패턴에 실질적으로 상보적으로 오목하다.
그러한 제 1 표면(21)은,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실질적으로 오목한 윤곽(24)을 전방에 가지며(특히 도 13 참조), 이것은 대퇴부 요소(3)의 R5의 곡률 반경을 가진 실질적으로 만곡된 하부 윤곽(LP)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 제 1 표면(21)은 매우 큰 곡률 반경(예를 들어, R5 보다 훨씬 큰 곡률 반경)을 가짐으로써 실질적으로 평탄하게 보일 수 있을지라도, 전방으로 실질적으로 평탄하거나 또는 오목한 윤곽(24)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예에서, 제 1 표면(21)은 지지부로서 작용하고, 대퇴부 요소(3)의 곡률 반경(R5)을 가지면서 실질적으로 만곡된 하부 윤곽(LP)으로 관절화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 제 1 표면(21)은 비 대칭적인 유형의 윤곽(24)을 가질 수 있는데, 이것은 환자의 특정한 해부학적 필요에 따라서, 윤곽(24)이 중간 부분에서는 오목한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측방향 부분에서는 평탄한 윤곽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의 역으로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비 대칭적이다. 이러한 예에 따르면, 경골 요소(2)는 오목 부분의 위치에 따라서 "좌측" 또는 "우측" 윤곽을 가진다. 모든 경우에서, 윤곽(24)은 대퇴부 요소(3)의 곡률 반경(R5)을 가진 실질적으로 만곡된 하부 윤곽(LP)과의 관절화(articulation) 및 맞닿음(abutment)을 허용한다.
더욱이, 경골 요소(2)의 제 1 표면(21)은 둥근 윤곽을 가진 부조 부분(relief portion) 또는 중심 리브(25)를 형성한다(대퇴부 요소의 중심 리브(37) 및 중심 홈(35)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의미에서 그러하다). 그러한 부조 부분 또는 중심 리브(25)는 경골 요소(2)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대퇴부 요소(3)내에 한정되는 대응 중심 홈(35)에 크기를 맞춰서 실질적으로 삽입 가능하게 되는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히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경골 요소(2)의 리브(25)는 매우 뚜렷한 방식으로 제 1 표면(21)의 나머지로부터 위로 돌출되거나 튀어나오며, 예를 들어 그에 대하여 대략 0.8 내지 1.2cm 로 위로 돌출하거나, 또는 보다 바람직스럽게는 대략 10 mm 로 돌출된다.
일부 적용예에서, 측방향 인대(lateral ligament)의 제거와 함께 제 2 보철(prosthesis)의 교체의 경우에서와 같이 무릎 조인트가 특히 손상되었을 때, 리브(25)는 더 높아질 수 있으며, 최대 20 mm 이고 더 넘을 수 있다.
중심 리브(25)는 용이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 수단(stabilizer means)으로서 작용하는데, 이것은 대퇴부 요소와 경골 요소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함께 결합되었다면 대퇴부 요소(3)와 경골 요소(2) 사이의 측방향 움직임을 방지한다는 의미에서 그러하다. 그 어떤 경우에라도, 중심 리브(25)와 중심 홈(35)은 그 사이에 특정의 유격(clearance)이 있게 되는 방식으로 크기가 정해짐으로써, 대퇴부 요소(3)는, 이후에 보다 명확하게 설명되는 의미로, 경골 요소(2)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경골 요소(2)의 중심 리브(25) 및 대퇴부 요소(3)의 중심 홈(35)의 그러한 구성으로써, 당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스페이서 장치(10)가 대응하는 경골 요소(2)상에서 관절화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실제로, 대퇴부 요소(3)는, 보다 상세하게는 그것의 볼록한 제 1 표면(31)은, 중심 리브(25) 및 대응하는 중심 홈(35)의 특정한 크기에 기인하여 높은 측방향 안정성(lateral stability)을 유지할지라도, 경골 요소(2)의 오목한 제 1 표면(21)에 대하여 사용중에 구를 수 있고 부분적으로 병진될 수 있다.
그러한 구름(rolling) 및 병진 움직임(translational motion)은 대퇴부 요소(3)의 "암모나이트(ammonite)" 유형의 구성 및 경골 요소(2)의 대응하는 구성에 기인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스페이서 장치의 경골 요소(2)로 돌아가면, 이것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제 2 표면(22)을 가지며, 제 2 표면은 제 1 표면(21)의 중심 리브(25)에 대응하는 중심 영역에서 맞물림 수단(26)에 (그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그러한 맞물림 수단(26)은 경골 요소(2)를 환자의 뼈 단부(bone end)에 맞물리게 하도록 채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스페이서 장치(1)의 일 변형예에 따르면, 모듈 스페이서 장치는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줄기부(stem, 4)을 포함하며, 상기 줄기부는 예를 들어 형상 결합(shape coupling)을 통하여 맞물림 수단(26)에서 경골 요소(2)와 맞물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르면, 맞물림 수단(26)은 슬리브 요소(sleeve element)로서, 이것은 경골 요소(2)의 제 2 표면(22)에 고정되면서 그것의 길이 방향 대칭축이 상기 표면(22)에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슬리브 요소는 줄기부(4)의 일 단부에 대하여 하우징 시트(housing seat, 26a)를 형성한다.
경골 요소(2)도 제 2 표면(22)과 슬리브 요소(26) 사이에 복수개의 강화 탭(reinforcement tab, 27)들을 포함하며(도 11 내지 도 14 참조), 이것은 경골 요소(2)의 구조 자체를 보다 견고하게 만들도록 구성된다.
줄기부(4)는 맞물림 수단 또는 슬리브(26)에 의해 형성된 시트(seat, 26a) 안에 크기를 맞춰서 삽입될 수 있는 제 1 단부(41)를 가지고, 그것의 다른 단부(42)를 향하여 테이퍼진 길이 방향 패턴을 가지며, 제 2 단부는 만약 제공된다면 환자의 경골 공동(tibial bone cavity) 안에 삽입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르면, 대퇴부 요소(3) 및 경골 요소(2) 양쪽은 미리 결정된 다양한 포맷(format) 또는 크기에 따라서 상이한 평면 연장부(plan extension)을 가질 수 있지만, 이들은 중심 홈(35) 및 중심 리브(25) 및/또는 곡률 반경(R3, R5) 각각의 구성을, 즉, 크기 및 형상을 일정하게(즉, 포맷 또는 크기에 독립적으로) 유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스페이서 장치의 경골 요소(2) 및 대퇴부 요소(3)는 항상 개별의 제 1 표면(21, 31)들에서, 개별의 포맷들 또는 개별의 크기들에 독립적으로, 항상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더욱이, 경골 요소(2)의 중심 리브(25) 및 대퇴부 요소의 중심 홈(35)은, 만약 무릎 조인트의 움직임 동안에 장치가 측방향으로 미는 응력(lateral thrust stress)를 지탱한다면, 중심 리브(25)가 대퇴부 요소(3)를 시트(seat) 안에 유지함으로써 관절의 정확한 움직임과 우수한 안정성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 따른 모듈 스페이서 장치의 측방향 안정성(lateral stability)은 대퇴부 요소(3)의 제 1 표면(31)의 특히 볼록하거나 또는 "암모나이트(ammonite)" 윤곽에 기인한 것이고 대퇴부 요소의 대응하는 제 1 표면(21)의 대응하는 오목하거나 또는 "움푹한(sunken)" 윤곽에 기인한 것이다. 통상적인 유형의 장치들에 대하여 훨씬 더욱 두드러진 방식으로, 제 1 표면(21)의 나머지에 대하여 상승되는 이들의 특정한 구성은, 중심 리브(25)의 구성과 함께, 대퇴부의 응력이 자체 센터링 모멘트(self-centering moment)를 초래하는 것을 보장하며, 즉, 대퇴부 요소(3)와 경골 요소(2) 사이의 길이 방향 정렬을 초래하는 것을 보장하여, 통상적인 유형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들에 비하여 확실하게 더 높은, 측방향 힘들에 대한 저항을 제공한다.
경골 요소(2) 및 대퇴부 요소(3)의 상이한 포맷 또는 크기는 서로에 대하여 교환 가능한데, 이것은 제 1 표면(31, 21)의 곡률 반경(R3, R5)의 등가성 때문이며, 그리고/또는 제 1 표면(31, 21)이 함께 결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페이서 장치(1)의 그러한 모듈성(modularity)은 서로 상이할 수 있는, 각각의 환자의 대퇴부 단부 및 경골 단부의 신체 유추된 크기(anthropomorphic sizes)들에 스페이서 장치를 적합화시킬 수 있게 한다.
곡률 반경(R3, R5)의 구성은 대퇴부 요소(3)와 경골 요소(2) 사이의 부분적인 미끄럼 운동 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의 상대적인 주 구름 운동(relative main rolling motion)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대퇴부 요소(3)의 제 1 표면(31)과 경골 요소(2)의 제 1 상부 표면(21) 사이의 그러한 주 구름 운동은 무릎 조인트의 정상의 생리적 움직임과 유사한 관절의 굽힘 및 연장 움직임을 사용자가 완수할 수 있게 한다.
그러한 구성으로써, 모듈 스페이서 장치(1)를 각각의 환자 크기에 적합화시키기 위하여 의사가 대퇴부 요소(3) 및 경골 요소(2)의 그 어떤 변경 작업을 수작업으로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모듈 스페이서 장치(1)의 이식에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이 당업자에게 어렵지 않게 관찰될 것이다. 실제로, 의사는 동일한 크기의 경골 요소 및 대퇴부 요소를 사용할 필요 없이, 다양한 이용 가능 포맷들 및 크기들중에서 모듈 스페이서 장치(1)를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에 대하여, 환자의 개별적인 해부학적 시트(anatomic seat)의 실제 크기에 가장 적합화된 크기 또는 포맷을 선택하도록 요구될 뿐이다.
의사가 최대한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대퇴부 요소(3), 경골 요소(2) 및 줄기부(3)는 분리된 패키지들 및 단일 크기로 패키지화될 것이다.
위에 설명된 것과 완전하게 유사한 방식으로, 경골 요소(2) 및 줄기부(4)는 맞물림 수단(26) 및 연결 단부(41) 각각에 대하여 구성을, 즉, 크기 및 형상을 일정하게 (포맷 또는 크기에 독립적으로) 유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경골 요소(2) 및 줄기부(4)는, 상기 경골 요소(2)의 평면 연장부와 줄기부(4)의 단면에 독립적으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서로 양립 가능한, 대퇴부 요소(3), 경골 요소(2) 및 줄기부(4)의 상이한 구성들은 모듈 스페이서 장치(1)에 대한 높은 모듈성을 보장한다.
특히, 모듈 스페이서 장치의 크기를 그것이 연결되어야 하는 골 단부(bone end)의 크기에 적합화시키기 위하여, 대퇴부 요소(3)는 경골 요소(2)의 그 어떤 크기에도 결합되는 방식으로 형상화된다.
따라서, 의사는 대퇴부 요소(3) 및 경골 요소(2)에 대한 포맷(format)들을 광범위하게 선택할 것이며, 동일한 포맷 또는 크기의 대퇴부 요소 및 경골 요소를 선택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더욱이, 줄기부(4)를 사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할 가능성이 주어진다면 선택의 폭은 더 커질 것이다.
그러한 구성으로써, 상기 설명된 모듈 스페이서 장치는, 상이한 해부학적 크기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상이한 관절 부분들 사이에, 자연 관절의 움직임과 유사한 움직임 및 무릎 조인트의 높은 운동성(mobility)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대퇴부 요소(3)의 제 2 표면 및/또는 경골 요소(2)의 제 2 표면(22)에서, 적어도 하나의 얕은 부조(bas-relief) 또는 요부가 얻어지는데, 이것은 개별의 깊이보다 훨씬 큰 평면 연장부를 가진다. 제시된 도면(도 7, 도 8 및 도 11 참조)의 경우에, 얕은 부조 영역들은 경골 요소(2) 및 대퇴부 요소(3) 양쪽에서 나타나며, 각각 도면 번호 38 및 28 로 표시된 것이 관찰된다.
대퇴부 요소(3) 및/또는 경골 요소(2)상에 제공된 그러한 얕은 부조 영역(38 및/또는 28)은, 모듈 스페이서 장치(1)의 이식 수술 과정 동안에, 충전 물질(filling material)의 사용에 의하여, 특히 본 시멘트(bone cement) 및/또는 그 어떤 다른 적절한 물질에 의하여, 개별의 대퇴부 요소(3) 및/또는 경골 요소(2)를 대응하는 뼈 단부에 부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제공된다.
연장부와 같은, 그것의 배치는 특정 필요의 함수로서 변화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대퇴부 요소(3) 및 경골 요소(2)의 포맷 또는 크기의 함수로서 변화될 수 있다.
얕은 부조 영역(38 및/또는 28)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충전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시트(seat)를 형성하며, 이것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서 자체 경화되거나 또는 응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충전 물질은 수술 과정 동안에 의사가 준비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충전 물질에 약품 또는 의료 물질이 결여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의사의 선택 및 환자의 필요에 기초하여 혼합될 수 있다.
충전 물질이 적어도 하나의 약품 또는 의료 물질을 포함한다면, 얕은 부조 영역(38 및/또는 28)은 실제로 인체내에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듈 스페이서 장치(1)가 이식되는 뼈 또는 관절 시트(articular seat)에서 배출되도록 그러한 약품 또는 의료 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탱크로서 작용한다.
당연히, 충전 물질에 주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항생제와 같은 약품 또는 의료 물질은 용해 가능한 유형이며, 따라서 골 조직의 치유 또는 적어도 감염 방지를 위하여 충전 물질과 접촉하거나 또는 인접하여 있는 골 조직을 향하여 방출된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충전 물질은 적어도 스페이서 장치가 인체 자체내에 머무는 시간 동안 인체내에서 비흡수성이거나 또는 비 분해성(non-degradable)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모듈 스페이서 장치 자체에 이식 이전에 충전 물질은 의사가 적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 상기 충전 물질은 물질내에 이미 함유된 적어도 하나의 약품 물질 또는 의료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충전 물질 자체를 구성하고, 준비 단계에서, 다른 물질과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충전 물질은 그것이 겪는 응고 또는 준비 단계에 의하여 다공성(porous)일 수 있다.
충전 물질의 기공(pore)의 크기는 (그리고/또는 스페이서 장치의 대퇴부 요소(3) 또는 경골 요소(2)를 구성하는 재료의 기공의 크기는), 그 어떤 경우에라도, 사용하는 동안 그 안에서 뼈의 성장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하는 것이며, 따라서 서술된 바와 같이 일시적인,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스페이서 장치(1)내에서 그러한 성장을 방지하도록 하는 크기이다.
따라서 기공들의 그러한 구성은, 일단 치료 기능이 완수되었다면, 치료된 뼈 또는 관절 시트로부터 스페이서 장치 자체의 차후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일 예로서, 기공들은 하나의 실례로서 100 마이크론보다 작은 평균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스페이서 장치(1)는 사용하는 동안 그것이 인체내에 이식될 때, 얕은 부조 영역(38 및/또는 28)내의 충전 물질이 치료되어야 하는 골 조직과 접촉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일 예에 따르면, 충전 물질은 개별의 대퇴부 요소(3) 또는 경골 요소(2)의 개별적인 제 2 표면(32 및/또는 22)과 같은 높이다.
다른 예에 따르면, 충전 물질은 개별의 얕은 부조 영역(38 및/또는 28)으로부터 배출되고 따라서 개별의 대퇴부 요소(3) 또는 경골 요소(2)의 제 2 표면(32 및/또는 22)에 대하여 돌출된다.
대퇴부 요소(3) 및/또는 경골 요소(2)상에 각각 있는 얕은 부조 영역(38 및/또는 28)의 전체적인 체적과 충전 물질의 양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스페이서 장치(1)가 이식되는 시트에서 진행중인 감염을 치료하는데 평가된 시간 기간에 적절하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얕은 부조 영역(38 및/또는 28)은 개별의 제 2 표면(32, 22)을 따라서 개방 셀 구조(open-cell structure)를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개방 셀 구조는 서로 나란히 있는 복수개의 셀(cell)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셀은 얕은 부조 영역(38 및/또는 28)에 대응한다. 일 예에 따르면, 얕은 부조 영역(38 및/또는 28)은 개별의 대퇴부 요소(3) 및/또는 경골 요소(2)상에서 서로 인접해 있다.
셀들은 개별의 대퇴부 요소(3) 또는 경골 요소(2)의 포맷에 따라서 서로 다소 이격될 수 있으며, 또한 이들이 사용되는 동안 예를 들어, 마모, 굽힘, 피로등과 같은 커다란 기계적 응력을 겪는 장치의 부분들에는 위치하지 않는 방식으로 이격될 수 있다.
위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각각의 얕은 부조 영역(38 및/또는 28)의 평면 연장부는 개별의 깊이보다 훨씬 크다. 그러한 방식으로, 다른 것들중에서, 의사는 상기 설명된 충전 물질을 얕은 부조 영역(38 및/또는 28)에 적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경골 요소(2), 대퇴부 요소(3) 및, 만약 제공된다면 줄기부(4)는 다양한 포맷 또는 크기로 미리 형성되며, 가능하게는 다공성인, 생물학적으로 양립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그러한 생물학적으로 양립 가능한 재료는, 가능하게는 열성형 가능한(thermoformable) 플라스틱 재료들 사이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스티렌(PS), 폴리에틸렌(PE), 초고분자중량 폴리에틸렌(ultra-high-molecular-weight polyethylene ;UHMWPE), 고밀도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거나, 또는 비 폴리머 물질(non- polymeric materials), 세라믹, 금속, 금속 합금, 유기금속 화합물(organometallic compounds) 및/또는 그것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 16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골 요소(2)는 2 개의 부재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들은 일단 조립되면 함께 상기 설명된 경골 요소(2) 및 성부 표면들을 다시 만든다. 그러한 2 개의 부재들은, 예를 들어 경골 요소(2)상에서 대퇴부 요소(3)의 활강성(slidability)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열거된 것들중에서 선택된, 서로 상이한 물질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생물학적으로 양립 가능한 물질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베이스의 골 시멘트(bone cement)이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 상기의 생물학적으로 양립 가능한 물질에는 처음에 약품 또는 의료 물질이 결여된다.
제 2 예에서, 상기 생물학적으로 양립 가능한 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약품 물질 또는 의료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생물학적으로 양립 가능한 물질은 CaS04또는 플래스터(plaster)로서 알려진 황산 칼슘과 같은 세라믹 시멘트일 수 있으며, 이것은 감소된 시간에 응고되는 것에 더하여 칼슘 이온을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스페이서 장치(1)의 요소들을 만들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보호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위에 설명된 것에 대하여 생체 적합 유형의 다른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본 발명은 다양한 장점을 가진다.
다양한 크기로 미리 형성된 대퇴부 요소(2) 및 경골 요소(3)는 관절 시트에 그것을 이식하는 단계들을 단순화시키는데, 왜냐하면 상기 요소들을 골 단부의 크기에 적합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요소들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형성하는 추가의 작용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모듈 스페이서 장치(1)로써, 수술적인 개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감소되며, 환자는 환자가 겪는 병리학적 상황 및/또는 수술 상황에 기인하여 있을 수 있는 결함을 보충하기 위하여, 그리고/또는 환자의 실제 골 구조 및 해부학적 구조에 완벽하게 적절한 모듈 스페이서 장치(1)의 각각의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통상적인 장치들과 관련하여 제 1 표면(21)으로부터 보다 현저한 방식으로 밖으로 돌출한 경골 요소(2)의 중심 리브(25) 및 대퇴부 요소(3)의 중심 홈(25)의 특정 구조 및, 대퇴부 요소의 대응하는 제 1 표면(21)의 (적어도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대응하는 오목하거나 또는 "내려앉은" 윤곽 및/또는 대퇴부 요소(3)의 제 1 표면의 특정한 "암모나이트" 볼록 윤곽은, 통상적인 유형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에 비하여 분명하게 더 높은, 측방향 추력(lateral thrust)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는데, 왜냐하면 대퇴부 스트레스의 힘은 자체 센터링 모멘트(self-centering moment)를 초래하기 때문이며, 즉, 대퇴부 요소(3)와 경골 요소(2) 사이의 길이 방향 정렬의 자체 센터링 모멘트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약물 제품 및/또는 치료제를 이용하여 모듈 스페이서 장치(1)를 미리 충만시키거나 또는 충만시킬 수 있는 가능성은 관절 시트의 국부적인 감염을 치료할 수 있게 하고 새로운 조인트 보철(joint prosthesis)의 이식을 위한 최적 조건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그렇게 구상된 본 발명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을 받아들일 수 있다.
더욱이, 모든 세부 사항은 다른 기술적으로 등가인 요소들로 대체될 수 있다. 실제로, 부수적인 형상 및 크기 뿐만 아니라 사용된 재료도 청구항의 보호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필요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설명된 모듈 스페이서 장치(1)의 줄기부(4)와 완전히 유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스페이서 장치의 대퇴부 요소(3)와 대퇴부 골 단부(femoral bone end) 사이의 연결을 위하여 줄기부 또는 섕크(shank)가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한 섕크 또는 줄기부는 그 어떤 적절한 유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골 요소(2)를 위하여 제공된 것과 유사하다. 이러한 경우에, 대퇴부 요소(3)는 그러한 줄기부 또는 섕크의 연결을 위하여 개별의 제 2 표면(32)상에 맞물림 수단을 포함할 것이다.
대퇴부 요소(3) 및 경골 요소(2)는 단일 부재로 만들어질 수 있거나, 또는 다수의 구성 요소들을 용접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1. 모듈 스페이서 장치 2. 경골 요소
3. 대퇴부 요소 21. 제 1 표면
22. 제 2 표면 33.34. 후방 로브

Claims (24)

  1. 무릎 조인트를 향하는 경골의 일 단부에서, 상기 경골(tibia bone)에 제한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경골 요소(2) 및,
    무릎 조인트를 향하는 대퇴골의 일 단부에서 대퇴골(femoral bone)에 제한되도록 차례로 설계되고 상기 경골 요소(2)상에 관절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퇴부 요소(3)를 포함하는, 무릎 조인트(knee joint)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1)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골 요소(2)는 사용시에 상기 대퇴부 요소(3)를 향하는 제 1 표면(21) 및, 제 1 표면에 대향하는 제 2 표면(22)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퇴부 요소(3)는 사용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골 요소(3)를 향하는 제 1 표면(31) 및, 상기 제 1 표면에 대향하는 제 2 표면(32)을 포함하고,
    상기 대퇴부 요소(3)는 실질적으로 "C" 유사 평면 구성을 나타내고, "C"의 각각의 자유 단부는 상기 대퇴부 요소(3)의 후방 로브(rear lobe, 33, 34)를 형성하고,
    상기 대퇴부 요소(3)의 상기 제 1 표면(31)은 볼록하고 "암모나이트(ammonite)" 유형의 만곡된 윤곽을 측방향으로 가지고, 상기 암모나이트 유형의 만곡된 윤곽은, R1 의 곡률 반경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후방 섹션(PS), R2 의 곡률 반경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제 1 중심 섹션(FCS), R3 의 곡률 반경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제 2 중심 섹션(SCS)로부터 시작하여, R4 의 곡률 반경을 가진 상기 대퇴부 요소(3)의 적어도 하나의 전방 섹션(FS)까지 증가하는 곡률 반경을 가지며, R1≤R2≤R3≤R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조인트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 요소(3)의 상기 제 1 표면(31)의 상기 전방 섹션(FS)은 R5 의 곡률 반경에 따라서 실질적으로 만곡된 하부 윤곽(LP)을 전방으로 나타내고, 상기 대퇴부 요소(3)에서 전후 방향에 따라서 연장된 중심 홈(35)을 형성하는, 무릎 조인트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 요소(3)의 상기 제 1 표면(31)의 상기 전방 섹션(FS)은, 우측 또는 좌측을 향하여 경사진 패턴 또는 종 형상(bell-shaped)의 패턴에 따라서 실질적으로 만곡된 상부 윤곽(36)을 전방으로 가지는, 무릎 조인트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퇴부 요소(3)의 상기 제 2 표면(32)은 오목하고 "U" 유형의 만곡된 윤곽을 측방향으로 나타내며, 상기 만곡된 윤곽은, 서로 평행한 후방 부분(PP) 및 전방 부분(AP), 상기 후방 부분(PP)과 상기 전방 부분(AP)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베이스 부분(BP), 상기 후방 부분(PP)과 상기 베이스 부분(BP) 사이의 후방 연결 부분(PCP) 및, 상기 전방 부분(AP)과 상기 베이스 부분(BP) 사이의 전방 연결 부분(ACP)을 포함하는, 무릎 조인트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연결 부분(PCP) 및 상기 전방 연결 부분(ACP)은 만곡될 수 있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직선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후방 연결 부분 및 상기 전방 연결 부분 각각은 그들이 각기 연결되는 개별의 부분들(BP, PP 및 BP, AP) 사이에서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는, 무릎 조인트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퇴부 요소(3)의 후방 로브(33, 34)들 각각은, 제 2 표면(32)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방 부분(PP) 및 후방 연결 부분(PCP)과, 상기 대퇴부 요소(3)의 상기 제 1 표면(31)의 곡률 반경(R1)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방 섹션(PS) 및 곡률 반경(R2)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중심 섹션(FCS) 사이에서 형성되는, 무릎 조인트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퇴부 요소(3)는, 상기 제 2 표면(32)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부분(BP) 및 상기 전방 연결 부분(ACP)에서 및 상기 제 1 표면(31)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심 홈(35)에서 전후 방향으로 전개된 중심 리브(37)를 나타내는, 무릎 조인트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골 요소(2)는 실질적으로 역전된 "U" 의 평면 구성을 나타내고, 상기 "U"의 베이스 부분은, 사용시에 상기 경골 요소(2)의 전방 섹션(23)에 대응하고, 직선 부분인, 무릎 조인트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골 요소(2)의 상기 제 1 표면(21)은 오목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퇴부 요소(3)의 곡률 반경(R3)을 가지는 상기 제 2 중심 섹션(SCS)의 전개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만곡된 윤곽을 측방향으로 가지는, 무릎 조인트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골 요소(2)의 상기 제 1 표면(21)은 오목하고 실질적으로 오목한 상부 윤곽(24)을 전방으로 가지고, 상기 상부 윤곽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퇴부 요소(3)의 곡률 반경(R5)을 가지는 상기 실질적으로 만곡된 하부 윤곽(LP)에 대응하거나, 또는,
    상기 경골 요소(2)의 상기 제 1 표면(21)은 오목하고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부 윤곽(24)을 전방으로 나타내고, 상기 상부 윤곽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퇴부 요소(3)의 곡률 반경(R5)을 가진 상기 실질적으로 만곡된 하부 윤곽(LP)과 관절을 이루도록 설계되거나, 또는,
    상기 경골 요소(2)의 상기 제 1 표면(21)은 오목하고 상부 윤곽(24)을 전방으로 나타내고, 상기 상부 윤곽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중간 부분 또는 측방향 부분 및, 실질적으로 오목한 측방향 부분 또는 중간 부분을 나타내고, 상기 상부 윤곽(24)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퇴부 요소(3)의 곡률 반경(R5)을 가진 상기 실질적으로 만곡된 하부 윤곽(LP)과 관절을 이루도록 설계되는, 무릎 조인트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골 요소(2)의 상기 제 1 표면(21)은 전후 방향을 따라서 상기 경골 요소(2)로 연장되는 중심 리브(25)를 형성하고, 상기 중심 리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퇴부 요소(3)로 형성되는 상기 중심 홈(35)으로 감소된 유격을 가지고 크기에 맞게 실질적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무릎 조인트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리브(25)는 제 1 표면(21)의 나머지로부터 상방향으로 0.8 내지 1.2cm 로 돌출되는, 무릎 조인트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골 요소(2)의 상기 제 2 표면(22)은, 실질적으로 평탄하고, 제 1 표면(21)의 중심 리브(25)에 대응하는 중심 영역에서 상기 경골 요소(2)를 환자의 골 단부와 맞물리게 하는 맞물림 수단(26)을 나타내는, 무릎 조인트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수단(26)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골 요소(2)와 맞물릴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줄기부(4)를 포함하는, 무릎 조인트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줄기부(4)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수단(26)과 결합되는 형상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제 1 단부(41)를 가지고, 상기 제 1 단부(41)에 대향하는 일 단부(42)를 향하여 테이퍼진 길이 방향 전개부를 가지는, 무릎 조인트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얕은 부조 영역(bas-relief area, 38 및 28)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퇴부 요소(3)의 상기 제 2 표면(32)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골 요소(2)의 상기 제 2 표면(22)에서 얻어지고, 개별의 깊이보다 훨씬 큰 평탄한 단면을 가지는, 무릎 조인트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 요소(3) 및 상기 경골 요소(2)는 다양한 포맷들(formats) 또는 크기들에 따라서 상이한 평면 연장부를 가질 수 있지만, 포맷 또는 크기에 독립적으로, 상기 중심 홈(35) 및 상기 중심 리브(25)의 치수와 구성, 그리고 상기 곡률 반경(R3, R5)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개별의 제 1 표면(31, 21)들에서, 개별의 평면 연장부들에 독립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결과를 가져오는, 무릎 조인트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 요소(3)의 상기 볼록한 제 1 표면(3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골 요소(12)의 상기 오목한 제 1 표면(21)과 회전과 부분적으로 병진될 수 있는 접촉 상태에 있는, 무릎 조인트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골 요소(2) 및 상기 줄기부(4)는, 상기 경골 요소(2)의 평면 연장부 및 상기 줄기부(4)의 단면에 독립적으로, 상기 경골 요소의 맞물림 수단(26)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는, 무릎 조인트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골 요소(2), 상기 대퇴부 요소(3) 및, 만약 제공된다면, 상기 줄기부(4)는 미리 형성되고 생체 적합성 물질로 만들어지는, 무릎 조인트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적합성 물질은 다공성인, 무릎 조인트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적합성 물질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스티렌(PS), 폴리에틸렌(PE), 초고분자량 폴리에텔렌(ultra-high-molecular-weight polyethylene;UHMWPE), 고밀도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비 폴리머 물질(non-polymeric materials)과 같은, 선택적으로 열성형 가능한 플라스틱 물질, 세라믹, 금속, 금속 합금, 유기금속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릎 조인트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생체 적합성 물질은 약품 및 치료제를 이용하여 미리 충만되도록 설계되는, 무릎 조인트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처음에 의료 물질이 결핍된 상기 다공성 생체 적합성 물질은, 상기 모듈 스페이서 장치의 이식 이전에, 약품 및 치료제로 충만되도록 설계되는, 무릎 조인트의 모듈 스페이서 장치.
KR1020197002199A 2016-07-20 2017-07-18 인체의 조인트를 위한 모듈 스페이서 장치 KR102387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6000075924 2016-07-20
IT102016000075924A IT201600075924A1 (it) 2016-07-20 2016-07-20 Dispositivo spaziatore modulare del corpo umano
PCT/IB2017/054331 WO2018015878A1 (en) 2016-07-20 2017-07-18 Modular spacer device for the joints of the human bod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064A KR20190033064A (ko) 2019-03-28
KR102387862B1 true KR102387862B1 (ko) 2022-04-19

Family

ID=58159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199A KR102387862B1 (ko) 2016-07-20 2017-07-18 인체의 조인트를 위한 모듈 스페이서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399947B2 (ko)
EP (1) EP3487455B1 (ko)
JP (1) JP2019524243A (ko)
KR (1) KR102387862B1 (ko)
CN (1) CN109640890B (ko)
AU (1) AU2017300122A1 (ko)
BR (1) BR112019000855B1 (ko)
CA (1) CA3030981A1 (ko)
ES (1) ES2833252T3 (ko)
IT (1) IT201600075924A1 (ko)
WO (1) WO20180158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66838B2 (en) 2019-02-28 2021-04-06 Oxford Performance Materials, Inc. Articulating knee spacer and method of manufacture
WO2024018377A1 (en) * 2022-07-18 2024-01-25 Cossington Limited Femoral element for a knee joint spacer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35926A1 (en) * 2005-12-14 2007-06-14 Peter Walker Surface guided knee replacement
US20110029093A1 (en) 2001-05-25 2011-02-03 Ray Bojarski Patient-adapted and improved articular implants, designs and related guide tools
US20130006373A1 (en) 2008-06-30 2013-01-03 Wyss Joseph G Posterior stabilized orthopaedic knee prosthesis having controlled condylar curvature
WO2016071938A1 (en) * 2014-11-06 2016-05-12 Cappelletti Ava Improved adjustable modular spacer device for the articulation of the kne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9861A (en) * 1978-02-22 1980-07-01 Howmedica, Inc. Joint prosthesis
US5152797A (en) * 1991-10-25 1992-10-06 Johnson & Johnson Orthopaedics, Inc. Modular prosthesis
FR2791553B1 (fr) * 1999-04-01 2001-07-06 Merck Biomaterial France Prothese de genou antero-postero-stabilisee
FR2805455B1 (fr) * 2000-02-24 2002-04-19 Aesculap Sa Composant femoral d'une prothese du genou a trois rayons de courbure
US8177841B2 (en) * 2000-05-01 2012-05-15 Arthrosurface Inc. System and method for joint resurface repair
ES2278716T3 (es) * 2001-03-26 2007-08-16 Zimmer Gmbh Protesis de rodilla.
US20050143832A1 (en) * 2003-10-17 2005-06-30 Carson Christopher P. High flexion articular insert
AU2006305736A1 (en) * 2005-10-26 2007-05-03 Exactech, Inc. Apparatus and method to obtain bone fixation
US7981945B2 (en) * 2006-03-01 2011-07-19 Poly-Med, Inc. Antimicrobial, radiopaque, microfiber-reinforced, polymeric methacrylate bone cement
EP2043561B1 (en) * 2006-06-30 2016-01-27 Smith & Nephew, Inc. Anatomical motion hinged prosthesis
US7875081B2 (en) * 2006-09-25 2011-01-25 New York Society For The Ruptured And Crippled Maintaining The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Posterior stabilized knee prosthesis
US9168155B2 (en) * 2007-03-01 2015-10-27 Zimmer, Inc. Modular femoral provisional
JP5665550B2 (ja) * 2008-02-18 2015-02-04 マックス オーソピディックス、インク. 高次nurbs曲面を有する全置換人工膝関節
EP2254519B1 (en) * 2008-02-18 2015-05-06 Maxx Orthopedics, Inc. Total knee replacement prosthesis
US8236061B2 (en) * 2008-06-30 2012-08-07 Depuy Products, Inc. Orthopaedic knee prosthesis having controlled condylar curvature
US20100191341A1 (en) * 2009-01-28 2010-07-29 Zimmer, Inc. Lateral condyle posterior inflection for total knee implant
US9101476B2 (en) * 2009-05-21 2015-08-11 Depuy (Ireland) Prosthesis with surfaces having different textures and method of making the prosthesis
US8357202B2 (en) * 2009-12-22 2013-01-22 Zimmer, Gmbh J-curve for a femoral prosthesis component
US8932365B2 (en) * 2011-06-16 2015-01-13 Zimmer, Inc. Femoral component for a knee prosthesis with improved articular characteristics
EP2726020B1 (en) * 2011-06-30 2015-11-04 Depuy (Ireland) Posterior stabilized orthopaedic knee prosthesis having controlled condylar curvature
FR2989568B1 (fr) * 2012-04-19 2014-09-05 Teknimed Implant espaceur de remplacement temporaire d'une prothese de genou
DE102013205156B4 (de) * 2013-03-22 2015-02-12 Heraeus Medical Gmbh Kniespacer zum zeitweisen Ersetzen eines künstlichen Kniegelenks
US10226348B2 (en) * 2014-11-06 2019-03-12 Cossington Limited Adjustable modular spacer device for the articulation of the knee
EP4218684A1 (en) * 2016-03-31 2023-08-02 Chen Yang Artificial prosthesis for knee arthroplasty
ITUA20163045A1 (it) * 2016-04-11 2017-10-11 Augusto Magagnoli Dispositivo spaziatore per il trattamento di un'articolazione del corpo umano
US20190015212A1 (en) * 2017-07-17 2019-01-17 Aaron MARLOW Tapered fixation device for a knee replac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29093A1 (en) 2001-05-25 2011-02-03 Ray Bojarski Patient-adapted and improved articular implants, designs and related guide tools
US20070135926A1 (en) * 2005-12-14 2007-06-14 Peter Walker Surface guided knee replacement
US20130006373A1 (en) 2008-06-30 2013-01-03 Wyss Joseph G Posterior stabilized orthopaedic knee prosthesis having controlled condylar curvature
WO2016071938A1 (en) * 2014-11-06 2016-05-12 Cappelletti Ava Improved adjustable modular spacer device for the articulation of the kne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064A (ko) 2019-03-28
ES2833252T3 (es) 2021-06-14
JP2019524243A (ja) 2019-09-05
CN109640890A (zh) 2019-04-16
BR112019000855B1 (pt) 2023-02-14
BR112019000855A2 (pt) 2019-04-30
CA3030981A1 (en) 2018-01-25
US20200179125A1 (en) 2020-06-11
WO2018015878A1 (en) 2018-01-25
AU2017300122A1 (en) 2019-02-07
EP3487455B1 (en) 2020-09-09
US11399947B2 (en) 2022-08-02
IT201600075924A1 (it) 2018-01-20
CN109640890B (zh) 2021-12-21
EP3487455A1 (en)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9697B1 (ko) 무릎 관절용 구속형 스페이서 장치
JP5410027B2 (ja) 可動式支持アセンブリ
CA1331905C (en) Modular knee joint prosthesis
EP1274374B1 (en) Disposable articulated spacing device for surgical treatment of joints of the human body
JP4202608B2 (ja) 外科手術で移植可能な膝の補綴
EP3197401B1 (en) Constrained prosthesis for the knee joint
JP7126855B2 (ja) 固定機構を備える脛骨トレイ
JP2004261574A (ja) 補綴インプラント外科キットおよび整形用インプラント組立品
KR102152928B1 (ko) 무릎의 관절을 위한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
KR20170080619A (ko) 무릅 관절을 위한 개선된 조절가능한 모듈형 스페이서 장치
KR102387862B1 (ko) 인체의 조인트를 위한 모듈 스페이서 장치
CN111867520A (zh) 用于人体关节的临时间隔件装置
US20240016617A1 (en) Femoral element of knee spacer
CN104822345A (zh) 膝关节置换假体
ITFI20110158A1 (it) Sistema di componenti calcinabili per reallizzare il mezzo di collegamento delle protesi ortopediche all&#39;osso a cui sono destinate e un metodo per la sua realizzazi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