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928B1 - 무릎의 관절을 위한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 - Google Patents

무릎의 관절을 위한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928B1
KR102152928B1 KR1020167008460A KR20167008460A KR102152928B1 KR 102152928 B1 KR102152928 B1 KR 102152928B1 KR 1020167008460 A KR1020167008460 A KR 1020167008460A KR 20167008460 A KR20167008460 A KR 20167008460A KR 102152928 B1 KR102152928 B1 KR 102152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size
joint
spacer device
tib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8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8819A (ko
Inventor
아바 카펠레티
Original Assignee
코싱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싱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코싱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58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36Special connection between upper and lower leg, e.g. constrai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21Accessories
    • A61F2/30724Spacers for centering an implant in a bone cavity, e.g. in a cement-receiving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59Femor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9Tibi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331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longitudinally pushing a protrusion into a complementarily-shaped recess, e.g. held by friction f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426Bayonet 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448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using adhesives
    • A61F2002/3044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using adhesives the adhesive being c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604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604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dular
    • A61F2002/30616Sets comprising a plurality of prosthetic parts of different sizes or orien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667Features concerning an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or a particular use of the prosthesis
    • A61F2002/30672Features concerning an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or a particular use of the prosthesis tempora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667Features concerning an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or a particular use of the prosthesis
    • A61F2002/30677Means for introducing or releasing pharmaceutical products, e.g. antibiotics,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002/3895Joints for elbows or knees unicompartiment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310/00Prostheses classified in A61F2/28 or A61F2/30 - A61F2/44 being constructed from or coated with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005The prosthesis being constructed from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353Bone cement, e.g. polymethylmethacrylate or PMM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무릎의 관절 부근에서 경골 뼈의 하나의 단부로 고정적으로 연결되기에 적합한 경골 구성요소(3), 무릎의 관절 부근에서 대퇴골 뼈의 하나의 단부로 고정적으로 연결되기에 적합하고 경골 구성요소(3)와 접촉하기에 그리고 경골 구성요소(3)와 관절화되기에 적합한 대퇴골 구성요소(2)를 포함하는, 무릎의 관절을 위한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로서, 대퇴골 구성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 및 과간 중앙 바디부(6)를 포함하고, 과간 중앙 바디부(6) 및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이 대퇴골 구성요소(2)의 분리되고 구분된 구성요소들이다.

Description

무릎의 관절을 위한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ADJUSTABLE MODULAR SPACER DEVICE FOR THE ARTICULATION OF THE KNEE}
본 발명은 무릎 관절 삽입물(prostheses)의 일시적인 교체를 위한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삽입물이 상이한 이유들로, 예를 들어 감염 이후에 제거되어야 할 수 있을 것이다.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는, 새로운 삽입물을 이식하기 위해서 필요한 관절 공간을 유지하도록 환자의 실제 해부학적 구조를 결정할 수 있게 하고 그리고 관절의 치료에 필요한 시간 전부 동안 또는 삽입물이 제거될 때로부터 후속 삽입물이 이식될 때까지의 시간 동안 환자가 관절 자체의 양호한 이동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그리고 걷고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관절 삽입물의 이식 분야에서, 그러한 장치를 많은 상이한 이유들로, 특히 삽입물 자체를 이식한 후에 발생되는 관절의 국소적인 감염으로 인해서, 제거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한 경우에, 제1 삽입물을 제거한 후에, 새로운 삽입물을 이식할 수 있게 되기 전에, 적절한 항생제 약물로 관절의 시트(seat)를 치료할 필요가 있다.
치료 기간 중에, 조직의 축소(shortening), 관절의 위축, 및 근긴장도(muscle tone)의 상실을 피하기 위해서, 새로운 삽입물의 이식에 필요한 관절 공간을 유지하는 것이 기본이다.
그러한 기술이 관절 삽입물의 "2-스테이지 이식"으로서 공지되어 있다.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일반적으로 골 시멘트(bone cement)로 제조된, 무릎을 위한 일시적인 관절 이격부재가 시장에 존재한다.
이들 중 일부가 의사에 의해서 이격부재 자체의 이식을 위한 수술 중에 수작업으로 직접적으로 제조되고, 의사는 이식 장소(site)의 치수 및 형상에 따라서 제조 재료를 적절하게 성형한다.
그러나, 그러한 이격부재의 하나의 단점은, 수술 중에 그러한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 수술의 시간, 양호한 수작업 기술 및 경험을 가져야 하는 의사의 어려움, 및 제조 시의 장치의 오염 위험을 실질적으로 증대시킨다는 사실을 포함한다.
또한, 수작업으로 제조된 이격부재가, 치료되는 관절의 이동성을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결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시장에서, 미리 형성되고 그에 따라 즉각적인 이식이 준비된 무릎의 관절을 위한 이격부재를 찾아 볼 수 있다. 그러한 이격부재는, 서로 관절화되기에 적합한, 대퇴골 구성요소 상의 그리고 경골 구성요소 상의, 2개의 상응하는 관절 측부(side)를 갖는다.
그러나, 그러한 장치의 크기 및 형상이 미리-설정되고, 그에 따라, 특히 상이한 크기 및 유형의 삽입물을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또는 그러한 장소 자체에 결함 또는 이상이 있을 때, 그러한 장치를 이식 장소에 완벽하게 맞춰 조정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없다.
결과적으로, 그러한 이격부재를 환자의 무릎의 의인적(anthropomorphic) 치수에 맞춰 구성할 수 없기 때문에, 관절의 양호한 이동성을 보장하기가 보다 어렵고, 그에 따라, 이식하고자 하는 새로운 관절 삽입물을 기다리는 기간 동안 환자의 양호한 삶의 질을 보장하기가 보다 어렵다. 대안적으로, 엄격하게 필요한 것 보다 많은 뼈의 부분을 절제할 필요가 있다. 미국 특허 공개 문헌 US 2006/0190086 Al에는, 무릎의 영구적인 교체를 위한 모듈형 보철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철 장치는 많은 수의 구성요소를 감안할 때 조립하기에 매우 복잡하다. US 2006/0190086 Al에 따른 보철 장치에서는, 사람의 해부학적 구조에 기초하여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갖는 두 개의 측면 대퇴골 구성요소를 중앙 대퇴골 구성요소에 조립할 수 있는 가능성이 배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상태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미리 형성된 그리고, 동시에, 이식하고자 하는 무릎의 관절의 실제 조건에 맞춰 구성될 수 있는, 무릎의 관절을 위한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은, 감염된 관절 삽입물의 제거 이후에 절제되는 골 조직의 양을 또한 고려하여, 이식하고자 하는 관절의 상이한 그리고 실제적인 해부학적 치수에 맞춰 구성될 수 있는 무릎의 관절을 위한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관절 자체의 큰 이동성 및 안정성을 보장하는, 무릎의 관절을 위한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적인 목적은, 장치 자체가 일단 이식된 후 환자가 양호한 삶의 질을 가지도록 보장하는, 무릎의 관절을 위한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라서, 첨부된 제1항에 따른 무릎의 관절을 위한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의 존재가 예상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제24항에 따른 무릎의 관절을 위한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을 추가로 언급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제27항에 따른 무릎의 관절을 위한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를 위한 구성요소의 그룹을 또한 언급한다.
종속 청구항은 발명의 바람직하고 유리한 실시예를 언급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성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의 예시적인, 그러나 비제한적인 목적으로 도시된, 무릎의 관절을 위한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의 바람직한, 그러나 비배타적인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조립되지 않은 버전의, 본 발명에 따른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의 대퇴골 구성요소의 원근적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장치의 대퇴골 구성요소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조립된 버전의, 도 1 및 도 2에 따른 장치의 대퇴골 구성요소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립된 대퇴골 구성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부분적으로 조립된 버전의, 본 발명에 따른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의 대퇴골 구성요소의 추가적인 버전의 원근적 측면도이다.
도 6은 조립된 버전의, 본 발명에 따른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의 경골 구성요소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조립되지 않은 버전의, 도 6에 따른 경골 구성요소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조립되지 않은 경골 구성요소의 원근적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따른 조립된 경골 구성요소의 원근적 측면도이다.
도 10은 조립된 버전의, 본 발명에 따른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의 대퇴골 구성요소의 실시예의 원근적 측면도이다.
도 11은 조립된 버전의, 본 발명에 따른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의 대퇴골 구성요소의 추가적인 실시예의 원근적 측면도이다.
도 12는 조립되지 않은 버전의, 본 발명에 따른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의 경골 구성요소의 실시예의 원근적 측면도이다.
도 13은 조립된 버전의, 본 발명에 따른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의 경골 구성요소의 추가적인 실시예의 원근적 측면도이다.
인간 신체가, 이하의 용어에 따른, 가상으로 통과하는 평면들에 따른 영역들로 분할될 수 있다.
"시상(sagittal) 평면"은, 전후로 연장하고 신체를 두 부분 즉, 우측 및 좌측으로 분할하는 양측면적인 대칭 평면이다. 그러한 평면들은, 인간 신체를 2개의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부분들로 분할하는 중앙(median) 시상 평면, 및 측방향 시상 평면들로 지칭되는, 중앙 시상 평면에 평행한 평면들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인간 신체에 대한 위치 또는 방향이, 중앙 시상 평면에 있는 경우에, "정중" 또는 "내측(medial)"으로, 측방향 시상 평면에 근접하는 경우에, "측방향"으로 규정될 수 있다.
이어서, 시상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전두(coronal)" 평면이 있다.
마지막으로, 시상 평면 및 전두 평면 모두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횡방향" 평면이 있다.
유사하게, "해부학적 축"을 규정할 수 있다. 주요 축은 다음과 같다: 신체가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지면에 수직인 "길이방향" 또는 수직;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또는 반대로) 지향되고 길이방향 축에 대해서 수직인 "횡방향" 또는 수평; 신체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전방 표면으로(또는 반대로) 지향되는, "시상" 또는 전-후. 이러한 축은 다른 2개의 축에 대해서 수직이다.
설명의 나머지에서 사용된, "전방", "후방", "수직" 또는 "수평", "하부" 또는 "상부"라는 용어는 직립 위치의 인간 신체에 의해서 취해지는 방향을 지칭한다.
무릎의 관절이 이하의 골 구조물을 포함하고: 대퇴골의 원위 뼈끝(distal epiphysis), 경골 및 슬개골의 근위 뼈끝; 관절 표면은 대퇴골과(femoral condyles)에 의해서 그리고 상대적인 경골 휴지 베이스(relative tibial resting base)에 의해서 표시된다. 대퇴골의 원위 뼈끝이 2개의 관절구(condyle) 즉, 내측 관절구 및 측방향 관절구로 구성되고, 그러한 관절구들은 전방에서 함께 결합되어 골간(diaphysis)을 형성하는 반면, 후방에서, 측방향으로 발산하며; 얻어지는 공간이 과간 와(intercondylar fossa)가 된다. 원위 뼈끝의 전방에 편평한 삼각형 지역, 즉 슬개골과 관절화되는 슬개골 표면이 존재하고, 그러한 표면은 횡방향으로 오목하고 수직으로 볼록하다.
2개의 관절구의 하부 표면으로 이루어지는 대퇴골의 관절 표면이 편평하고 "U"-형상이며, 이는 경골 편평부(plateau) 즉, 경골의 근위 뼈끝의 상부 표면과 관절화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할 때, 참조 번호 1은 무릎의 관절을 위한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를 전반적으로 표시한다.
그러한 이격부재가, 설명의 나머지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반(hemi)-관절구 유형 및 완전한 유형 모두의, 무릎의 감염된 관절 삽입물을 대체하기 위해서, 그리고 특히 특정 환자의 무릎의 관절에 대한 중요한 수술을 실시할 필요가 있는 심각한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의 장점은, 설명의 나머지에서 보다 더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의사가, 이식의 순간에, 수술을 하는 관절의 실제 조건을 평가한 후에, 실제 요건에 따라서 그러한 장치를 선택 및 조립할 수 있다는 사실을 포함한다.
그러한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는 대퇴골 구성요소(2) 및 경골 구성요소(3)만을 포함한다. 대퇴골 구성요소(2)는 무릎의 관절 근처의 대퇴골 뼈의 단부로 고정적으로 연결되기에 적합하다. 경골 구성요소(3)는 무릎의 관절에서 경골 뼈의 단부로 고정적으로 연결되기에 적합하다.
슬개골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데, 이는 사실상 임시적인 장치인 본 발명에 따른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가 이식의 복잡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그리고 그 치료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추가적인 목적을 가지기 때문이고, 짧은 시간 동안 인간 신체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한편으로 영구적인 삽입물에서와 같이 슬개골을 대체하는 구성요소를 또한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 대퇴골 구성요소(2) 및 경골 구성요소(3)가 접촉되기에 그리고 서로에 대해서 이동되기에 적합하고, 그에 따라 환자의 무릎의 관절을 재현한다.
설명의 나머지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대퇴골 구성요소(2) 및, 가능한 경우에, 경골 구성요소(3) 각각이, 연결되는 뼈 단부들의 치수에 맞춰 구성하기 위해서 함께 조립되는 적어도 2개의 별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사실상, 그러한 특성으로 인해서,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가 반-관절구 이격부재로서 이용될 수 있고, 다시 말해서 이격부재 장치(1)가 하나의 내측 또는 측방향 관절 표면만을 가지거나, 완전한 이격부재로서, 다시 말해서 양 관절 표면들, 즉 측방향 및 내측 관절 표면들을 갖는다. 사실상, 이식의 순간에, 의사가, 실제 수술 및 해부학적 요건을 기초로, 대퇴골 구성요소(2) 및/또는 경골 구성요소(3)를 구성하는 여러 부분을 조립한다.
대퇴골 구성요소(2)는, 조립된 버전의, 도 3 및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U"-형상이고, 뼈 시트와 접촉하는 오목한 내측 표면(4) 및 경골 구성요소(3)와 접촉하기에 적합한 볼록한 외측 표면(5)을 포함한다.
내측 표면(4)이 대퇴골의 단부로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골 시멘트를 통해서 접촉된다.
도 1 및 도 2는 대퇴골 구성요소(2)의 하나의 조립되지 않은 버전을 도시한다. 그러한 대퇴골 구성요소(2)가 과간 중앙 바디부(6) 및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을 포함한다. 발명의 하나의 버전에서, 대퇴골 구성요소(2)가 2개의 관절구 관절 부분(7 및 8)을 포함하고, 그 중 하나가 내측으로 배열되고 그 중 다른 하나는 과간 중앙 바디부(6)에 대해서 측방향으로 배열된다.
대퇴골 구성요소(2)의 내측 표면(4)이 과간 중앙 바디부(6)에 의해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에 의해서 형성된다. 대퇴골 구성요소(2)의 외측 표면(5)이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에 의해서 형성된다.
과간 중앙 바디부(6)가 실질적으로 "L"-형상이고, 서로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직각인, 제1 수직 아암(9) 및 제2 수평 아암(10)을 구비한다.
제1 수직 아암(9)이 대퇴골 관절구들 사이의 전방 공간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제2 수평 아암(10)은, 실질적으로 과간 와에 대한, 대퇴골 관절구들 사이의 공간에 상응한다.
그에 따라, 제1 아암(9)이 인간 신체의 길이방향 또는 수직 축을 따라서 연장한다.
제2 아암(10)이 인간 신체의 시상 축을 따라서 연장하고 인간 신체의 횡방향 평면을 따라서 놓인다.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11)가, 측방향 및/또는 내측으로, 인간 신체의 횡방향 축을 따라서, 제2 수평 아암(10)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고, 그러한 연장부(11)는, 그러한 연장부가 분지(branch off)하기 시작하는 아암(10)과 동일한 횡방향 평면 상에 실질적으로 놓인다. 발명의 하나의 버전에서, 2개의 연장부(11)가 존재하며, 그 중 하나가 측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중 하나가 중앙 바디부(6)에 대해서 또는 그 제2 수평 아암(10)에 대해서 내측으로 배치된다.
설명의 나머지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과간 중앙 바디부(6) 및 관절구 관절 부분(7, 8)이 대퇴골 구성요소(2)의 분리된 부분이나, 그들이 서로 연관되어 단일 바디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이 중앙 바디부(6)에 대해서 측방향으로 및/또는 내측으로 배치되고 대퇴골 관절구에 그리고 그에 의해서 형성된 관절 표면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이 실질적으로 "U"-형상이고, 전방 부분(12), 중앙 부분(13) 및 후방 부분(14)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의 전방 부분(12)이, 중앙 바디부(6)의 제1 수직 아암(9)의 평면의 수직 연장부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다시 말해서 인간 신체의 시상 평면을 따른 수직 연장부를 갖는다. 전방 부분(12)이 인간 신체의 전방 평면 상에 놓인다.
중앙 부분(13)이 중앙 바디부(6)의 제2 수평 아암(10)과 동일한 평면 상에, 다시 말해서 인간 신체의 횡방향 평면 상에 실질적으로 놓인다.
전방 부분(14)이 대퇴골 관절구의 후방 표면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과간 중앙 바디부(6)의 하나의 부분 및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의 하나의 부분이, 대퇴골 단부의 전방 표면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장치의 전방 표면(30)을 구성한다. 특히, 그러한 전방 표면(30)이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의 그리고 과간 중앙 바디부(6)의 제1 수직 아암(9)의 전방 부분(12)으로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의 중앙 부분(13) 내에, 적어도 하나의 시트(15)가 존재한다. 그러한 시트(15)가 중앙 바디부(6)의 연장부(11)에 상응하고 하나의 하우징을 구성한다. 그러한 방식에서, 연장부(11)가 시트(15) 내에 수용되어, 본 발명에 따른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의 대퇴골 구성요소(2)의 조립을 결정한다. 적어도 하나의 시트(15)가, 대퇴골 구성요소(2)의 내측 표면(4)에서, 중앙 부분(13) 내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그러한 내측 표면(4)이 과간 중앙 바디부(6), 전방 부분(12) 및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의 후방 부분(14)으로 구성된다. 시트(15)가 대퇴골 구성요소(2)의 내측 표면(4) 상에 배치된다는, 그리고 연장부(11)가 그 상부에 수용된다는 사실은, 골 시멘트가 최적으로 부착될 수 있게 하고, 그러한 골 시멘트는 대퇴골 구성요소(2)를 상대적인 뼈 부분으로 고정하기 위해서, 또한 과간 중앙 바디부(6)의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의 연결부의 부분 내에서 이용된다. 또한, 이는 무릎의 정확한 관절화(articulation)를 또한 돕는데, 이는 경골 구성요소(3)와의 관절화의 외측 표면(5)이, 높이 차이 또는 거친 부분이 없고 특히, 연속적이고 중단부를 가지지 않고, 매끄럽기 때문이다.
시트(15)와 연장부(11) 사이에는, 관절구 관절 부분(7, 8)을 과간 중앙 바디부(6)로 연결 및 결합할 수 있는 일부 연동(interlocking) 체결 수단(16)이 존재한다.
의사는, 사실상, 전술한 바와 같이, 대퇴골 구성요소(2)의 다양한 부분을 선택하고, 그들을 함께 조립하여, 치료하고자 하는 관절의 치수에 그리고 환자의 특별한 수술 요건에 가장 잘 맞는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를 구성한다.
발명의 하나의 버전에서, 그러한 연동 체결 수단이 제거 가능한 유형이다.
발명의 하나의 버전에서, 그러한 연동 체결 수단(16)이, 상응하는 홀(16") 내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16')의 형태이다.
대안적으로, 연동 체결 수단(16)이, 2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다시 말해서 베이요넷(bayonet) 커플링 수단, 기계적 체결 수단, 제거 가능한 기계적 체결 수단, 등 사이의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서, 상응하는 추가적인 수단으로 체결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공지된 수단일 수 있다.
발명의 하나의 버전에서, 관절구 관절 부분(7) 내에, 예를 들어 측방향 위치 내에, 그리고 상대적인 연장부(11) 내에 존재하는 연동 체결 수단(16)이, 관절구 관절 부분(8) 내에, 예를 들어 내측 위치 내에, 그리고 상대적인 연장부(11) 내에 존재하는 연동 체결 수단(16)과 상이하다. 그러한 방식에서, 이식 중에, 예를 들어 측방향 위치 내의, 관절구 관절 부분이 명백하게(univocally) 상대적인 연장부로 커플링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대퇴골 구성요소(2)를 조립할 때 임의의 오류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다.
일단 조립되면, 중앙 바디부(6)의 그리고 관절 부분(7, 8)의 둘레 표면이 동일한 높이가 되고(level), 그에 따라, 완벽하게 합치되어, 시장에서 공지된, 단일 피스로 미리 형성된 것과 유사한 대퇴골 구성요소를 제공한다.
설명의 나머지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의 모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의사의 필요성에 그리고 이식 장소의 해부조직에 응답하도록 대퇴골 구성요소(2)의 크기가 선택될 수 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11) 및 적어도 하나의 시트(15)가 동일한 치수 및 커플링 양태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이 크기(Dl 또는 D2 또는 D3)를 갖는다. 특히, 크기(Dl)가 D2보다 작고, D2는 다시 D3 보다 작다. 의사는, 이식 중에, 환자의 실제 필요성에 따라서 크기(Dl 또는 D2 또는 D3)를 선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무릎의 관절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이 차별화된 크기를 갖는다.
대퇴골 구성요소(2)의 완벽한 커플링 및 조립을 달성하기 위해서, 관절 부분(7, 8)의 모든 크기가 연동 체결 수단(16)을 통해서 중앙 바디부(6)와 연관된다.
그러한 방식에서, 대퇴골 구성요소(2)가 모듈형인데, 이는 대퇴골 구성요소(2)가 많은 부분으로 구성되기 때문이고, 그리고 대퇴골 구성요소(2)가 조절 가능한데, 이는 대퇴골 구성요소(2)가, 가능한 한 최적의 방식으로 환자의 해부학적 요건에 맞추기 위해서, 구성요소를 대체하는 것 그리고 보다 적합한 크기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 5의 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특별한 요건에 따라서, 관절 부분(8)의 크기와 상이한 관절 부분(7)에 대한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발명의 하나의 버전에서, 중앙 바디부(6)가 또한 크기(dl, 또는 d2 또는 d3)를 가질 수 있고, dl은 d2 보다 작고 d2는 다시 d3 보다 작다.
연동 체결 수단(16)이 동일한 치수 및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는 것을 고려할 때, 과간 중앙 바디부(6)의 임의 크기가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의 임의 크기 상으로 조립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무릎의 관절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도록, 과간 바디부(6)가 차별화된 크기를 갖는다.
그에 따라, 의사는, 이식에 필요한 대퇴골 구성요소(2)의 부분을 선택한 후에, 그들의 최적의 크기를 추가적으로 선택할 수 있고 전체를 조립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특별한 요건에 가장 잘 맞는 조립된 대퇴골 구성요소(2)를 획득할 수 있다.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의 경골 구성요소(3)가 경골 편평부에 상응하고, 그러한 경골 편평부 상에서 전술한 대퇴골 구성요소(2)가 관절화된다.
경골 구성요소(3)가 과간 중앙 요소(17) 및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을 포함한다. 발명의 하나의 버전에서, 2개의 관절 관절구 베이스(18, 19)가 존재한다.
도 6 및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조립된 버전에서, 경골 구성요소(3)가 전체적으로, 대퇴골 구성요소(2)의 외측 표면(5)과 관절화되는 상부 표면(21) 및 뼈 시트와 접촉하는 하부 표면(22)을 가지며, 그러한 상부 표면은 약간 오목하다.
하부 표면(22)이 경골의 단부로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골 시멘트를 통해서 직접적으로 그리고, 가능하게는, 추가적인 경골 구성요소(미도시)의 개재를 통해서 접촉한다.
도 7 및 도 8은, 조립되지 않은 경골 구성요소(3)의 버전을 도시한다.
과간 중앙 요소(17)가 대퇴골 구성요소(2)의 과간 중앙 바디부(6)의 과간 공간 또는 제2 수평 아암(10)에 상응한다. 과간 중앙 요소(17)가 인간 신체의 횡방향 평면 상에 실질적으로 놓이고 인간 신체의 시상 축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과간 중앙 요소(17)가, 전방 부분에서, 돌출부(23)를 포함할 수 있고, 그러한 돌출부는 대퇴골 구성요소(2)와의 관절화를 개선하기에 그리고 그들 사이의 회전 가능성을 제한하기에 적합하다.
핀(24)이 과간 중앙 요소(17)로부터, 특히 그 하부 표면(22)으로부터 돌출한다. 그러한 핀(24)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고, 다시 말해서 인간 신체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다. 그러한 핀(24)이, 본 발명에 따른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의 경골 구성요소(3)의 이식을 안정화하기 위해서 경골 뼈내에 이식된다. 설명의 나머지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과간 중앙 요소(17) 및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가 경골 구성요소(3)의 분리된 부분들이나, 서로에 대해서 연결되고 연관되어 단일 바디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가 과간 중앙 요소(17)에 대해서 측방향으로 및/또는 중앙에 배치되고 실질적으로, 대퇴골 구성요소(2)의 대퇴골 관절구의 또는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의, 경골 편평부 상에 존재하는, 그라운드(ground) 및 회전 베이스에 상응한다.
대퇴골 구성요소의 관절 부분(7, 8)의 볼록한 표면에 상응하도록, 상부 표면(21)에 상응하는, 관절 베이스(18, 19)의 표면이 약간 오목하다.
상부 표면(21)이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에 의해서 그리고 과간 중앙 요소(17)에 의해서 형성된다.
하부 표면(22)이 과간 중앙 요소(17)에 의해서 형성된다.
인간 신체의 횡방향 평면 상에 실질적으로 놓이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장부(25)가, 측방향 및/또는 중앙 방식으로, 인간 신체의 횡방향 축을 따라서 과간 중앙 요소(17)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각각의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가,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장부(25)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시트(26)를 구비한다.
특히, 그러한 적어도 하나의 시트(26)가, 경골 구성요소(3)의 중앙 요소(17)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장부(25) 상에서 베이스 자체의 휴지 표면 내에서,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의 하부 부분 내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시트(26) 내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장부(25)를 수용하는 것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의 경골 구성요소(3)가 조립된다.
시트(26)와 제2 연장부(25) 사이에는,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를 중앙 요소(17)로 체결할 수 있는 연동 체결 수단(16)이 존재한다.
의사는, 사실상, 전술한 바와 같이, 경골 구성요소(3)의 다양한 부분을 선택하고, 그들을 함께 조립하여, 치료하고자 하는 관절의 크기에 그리고 환자의 특별한 수술 요건에 가장 잘 맞는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를 제공한다. 발명의 하나의 버전에서, 그러한 연동 체결 수단이 제거 가능한 유형이다.
발명의 하나의 버전에서, 그러한 연동 체결 수단(16)이, 상응하는 홀(16") 내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16')의 형태이다.
대안적으로, 연동 체결 수단(16)이, 베이요넷 커플링 수단, 기계적 후킹(hooking) 수단, 제거 가능한 기계적 후킹 수단, 등과 같은, 2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서, 상응하는 추가적인 수단을 체결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공지된 수단일 수 있다.
발명의 하나의 버전에서,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내에, 예를 들어 측방향 위치 내에, 그리고 상대적인 제2 연장부(25) 내에 존재하는 연동 체결 수단(16)이, 관절구 관절 베이스(19) 내에, 예를 들어 내측 위치 내에, 그리고 상대적인 제2 연장부(25) 내에 존재하는 연동 체결 수단(16)과 상이하다.
그러한 방식에서, 이식 중에, 예를 들어 측방향 위치 내의, 관절구 베이스가 명백하게 상대적인 제2 연장부와 커플링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경골 구성요소(3)의 조립 중에 임의의 오류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다.
일단 조립되면, 과간 중앙 요소(17)의 그리고 관절 관절구 베이스(18, 19)의 둘레 표면이 합치되고, 그에 따라, 시장에서 공지된, 단일 피스로 미리 형성된 것과 유사한 경골 구성요소를 달성한다. 설명의 나머지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것과 유사하게,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의 모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의사의 요건에 그리고 이식 장소의 해부조직에 응답하도록 경골 구성요소(3)의 크기가 선택될 수 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제2 연장부(25) 및 시트(26)가 동일한 치수 및 커플링 양태를 유지한다. 그에 따라, 의사는, 이식에 필요한 대퇴골 구성요소(2)의 부분을 선택한 후에, 그들의 최적의 크기를 추가적으로 구축할 수 있고 전체를 조립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특별한 요건에 가장 잘 맞는 조립된 대퇴골 구성요소(2)를 획득할 수 있다.
관절 관절구 베이스(18, 19)가, 그 측방향 또는 내측 단부 내에, 쇼울더(27)를 구비한다. 그러한 쇼울더(27)가 관절 베이스(18, 19)의 횡방형 평면으로부터 경골 뼈의 부분을 향해서 돌출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장부(25)의 측부를 커버한다. 설명의 나머지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그러한 쇼울더(27)는 임의 크기 또는 치수의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가, 설명의 나머지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임의 크기의 과간 중앙 요소(17) 내에 존재하는, 제2 연장부(15)를 수용할 수 있게 한다. 사실상, 환자의 실제 필요성을 기초로 선택될 수 있도록, 그리고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의 상이한 구성요소들의 임의의 추가적인 크기와 커플링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연동 체결 수단(16)의 크기에 더하여, 연장부(11)의, 또는 제2 연장부(25)의, 그리고 시트(15)의, 또는 제2 시트(26)의 크기가 과간 중앙 바디부(6), 관절구 관절 부분(7, 8) 또는 중앙 관절구 요소(17) 및 관절 관절구 베이스(18, 19)의 임의 크기에 대해서 동일하다.
사실상,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가 크기(Tl 또는 T2 또는 T3)를 갖는다. 특히, 크기(Tl)가 T2보다 작고, T2는 다시 T3 보다 작다. 의사는, 이식의 순간에, 환자의 실제 필요성에 따라서 크기(Tl 또는 T2 또는 T3)를 선택할 수 있다. 경골 구성요소(3)의 커플링 및 조립을 달성하기 위해서, 관절 관절구 베이스(18, 19)의 모든 크기가 연동 체결 수단(16)을 통해서 과간 중앙 요소(17)와 연관된다. 그에 따라, 무릎의 관절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도록, 과간 중앙 요소(17)가 차별화된 크기를 갖는다.
그러한 방식에서, 경골 구성요소(3)가 모듈형인데, 이는 경골 구성요소가 많은 부분으로 구성되기 때문이고, 그리고 경골 구성요소가 조절 가능한데, 이는 경골 구성요소가, 가능한 한 최적의 방식으로 환자의 해부학적 요건에 맞추기 위해서, 구성요소를 대체하는 것 그리고 보다 정확한 크기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특별한 요건에 따라서, 관절구 관절 베이스(19)의 크기와 상이한 관절구 관절 베이스(18)에 대한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발명의 하나의 버전에서, 과간 중앙 요소(17)가 또한 크기(tl, 또는 t2 또는 t3)를 가질 수 있고, tl은 t2 보다 작고 t2는 다시 t3 보다 작다.
연동 체결 수단(16)이 동일한 치수 및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는 것을 고려할 때, 임의 크기의 과간 중앙 요소(17)가 임의 크기의 관절 관절구 베이스(18, 19)로 조립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무릎의 관절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가 차별화된 크기를 갖는다.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의 정확한 크기 및 형상이 일단 구축되면, 연동 체결 수단(16)이 골 시멘트 또는 그러한 목적에 적합한 다른 재료로 고정된다.
대퇴골 구성요소(2) 및 경골 구성요소(3)가 생물학적으로 양립 가능한(compatible) 재료로 미리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제조된다.
그러한 생물학적으로 양립 가능한 재료가 다공성이다.
그러한 생물학적으로 양립 가능한 재료가, 금속, 금속 합금, 유기금속 화합물, 세라믹, 큰 다공성을 가지는 수지, 플라스틱 재료 및/또는 그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플라스틱 재료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와 같은 열가소성 중합체, 열성형 가능(thermoformable) 중합체 및 다른 유사 재료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버전에서, 생물학적으로 양립 가능한 재료가 골 시멘트,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이다.
전술한 생물학적으로 양립 가능한 재료가, 그 다공성으로 인해서, 약물 및/또는 치료 제품에 함침될 수 있다.
생물학적으로 양립 가능한 재료를 약물 및/또는 치료 제품에 함침시키는 것이, 제조자에 의해서 또는 이식 전에 의사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특별한 요건에 따라서, 제2 약물 및/또는 치료 제품과 상이한 제1 약물 및/또는 치료 제품으로 제조자에 의해서 이전에 이미 함침된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를 제2 약물 및/또는 치료 제품으로 의사가 함침시킬 수 있다.
하나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의 제조 중에, 생물학적으로 양립 가능한 재료로 적어도 하나의 약물 및/또는 치료 제품이 부가될 수 있다.
긴 기간에 걸쳐 낮은 농도로, 또는 짧은 기간에 걸쳐 높은 농도로 약물 및/또는 치료 물질을 방출하도록,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를 제조하는 재료의 다공성이 선택될 수 있다. 그러한 방식으로, 환자의 특별한 요건이 충족될 수 있다.
물론,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의 각각의 부분 또는 구성요소가, 요건에 따라서, 특별한 약물 및/또는 치료 제품으로 적재될 수 있거나, 동시에 그러한 물질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무릎의 관절의 단지 하나의 부분이 손상된 경우에, 또는 다시 국소적인 감염이 존재하는 경우에, 의사는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의 대퇴골 구성요소(2) 또는 경골 구성요소(3) 만을 선택하고 이용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무릎의 관절의 손상이 반-관절구에 있는 경우에, 또는 반-관절구 삽입물이 대체되는 경우에, 다시 말해서 단지 그 측방향 지역 또는 내측 지역과 관련하여 대체되는 경우에, 또는 다시 국소적인 감염이 있는 경우에, 필요한 구성요소 만을 선택할 수 있고, 다시 말해서, 도 10 내지 도 13의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구 관절 부분(7, 8) 중 하나 만을 또는 관절 관절구 베이스(18, 19) 중 하나 만을 선택할 수 있고; 그러한 방식으로,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의 여러 부분의 구성요소 및 크기를 선택하는 의사가, 장치 자체의 이식 전에 특별한 평가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 이러한 것을 실시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도, 희망하는 크기의 그러한 부분을 이용할 수 있고, 이어서, 전체를 조립할 수 있다. 무릎의 관절의 상응하는 부분이 이식과 관련되지 않기 때문에 이용되지 않는 가능한 연장부(11), 또는 제2 연장부(25)가 일반적인 수술용 기구를 이용한 컷팅을 통해서 의사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관절구 중앙 바디부(6) 및/또는 관절구 중앙 요소(17)가, 요건에 따라서, 연장부(11) 및/또는 제2 연장부(25) 만을 가지는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의 예가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되지 않는 그리고 의사가 필요로 하지 않는 부분의 분리를 돕기 위해서, 연장부(11)와 관절구 중앙 바디부(6) 사이의 및/또는 제2 연장부(25)와 관절구 중앙 요소(17) 사이의 연결 접합부에, 분리 수단 또는 예비-컷(pre-cut)이 존재할 수 있다.
대퇴골 구성요소(2) 및 경골 구성요소(3)는, 각각의 골 조직과 접촉하는 표면(4 및 22) 내에서, 골 시멘트의 보다 양호한 접착을 획득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20)을 포함한다.
그러한 적어도 하나의 홈(20)의 존재는 골 시멘트를 포함하고 유지할 수 있게 하여, 대퇴골 구성요소(2)의 또는 경골 구성요소(3)의 상대적인 골 조직과의 접착 단계 중에 골 시멘트가 분산되거나 외부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대퇴골 구성요소(2) 및 경골 구성요소(3)만을 포함하는 무릎의 관절을 위한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을 더 포함하고, 대퇴골 구성요소(2)는 무릎의 관절 부근에서 대퇴골 뼈의 하나의 단부로 고정적으로 연결되기에 적합하고, 경골 구성요소(3)는 무릎의 관절 부근에서 경골 뼈의 하나의 단부로 고정적으로 연결되기에 적합하며, 대퇴골 구성요소(2)는 경골 구성요소(3)와 접촉하기에 그리고 경골 구성요소(3)와 관절화되기에 적합하며, 그러한 방법은 과간 중앙 바디부(6) 및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을 포함하는 대퇴골 구성요소(2)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이 크기(Dl 또는 D2 또는 D3)를 가지며, 크기(Dl)는 D2 보다 작고, 크기(D2)는 D3 보다 작고, 및/또는 과간 중앙 바디부(6)가 크기(dl, 또는 d2 또는 d3)를 가지며, dl은 d2 보다 작고, d2는 d3보다 작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의 크기(Dl 또는 D2 또는 D3) 및 과간 중앙 바디부(6)의 크기(dl, 또는 d2 또는 d3)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후속하여,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의 선택된 크기를 과간 중앙 바디부(6)의 선택된 크기와 연관시키는 단계가 존재하며; 또한 대퇴골 구성요소(2)를 조립하는 단계가 존재한다.
전술한 단계에 대해서 대안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 및 과간 중앙 요소(17)를 포함하는 경골 구성요소(3)를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가 크기(Tl 또는 T2 또는 T3)를 가지고, 크기(Tl)가 T2보다 작고, 크기(T2)는 T3 보다 작으며, 과간 중앙 요소(17)가 크기(tl, 또는 t2 또는 t3)를 가지며, tl은 t2 보다 작고 t2는 t3 보다 작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의 크기(Tl 또는 T2 또는 T3) 및 과간 중앙 요소(17)의 크기(tl, 또는 t2 또는 t3)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어서,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의 선택된 크기를 과간 중앙 요소(17)의 선택된 크기와 연관시키는 단계 및 경골 구성요소(3)를 조립하는 단계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11)를 구비하는 과간 중앙 바디부(6)를 배열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시트(15)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을 배열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11)를 적어도 하나의 시트(15) 내로 삽입하는 단계, 대퇴골 구성요소(2)를 조립하는 방식에 있어서, 연동 체결 수단(16)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11)와 적어도 하나의 시트(15)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장부(25)를 구비하는 과간 중앙 요소(17)를 배열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제2 시트(26)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을 배열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장부(25)를 적어도 하나의 제2 시트(26) 내로 삽입하는 단계, 경골 구성요소(3)를 조립하는 방식에 있어서, 연동 체결 수단(16)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장부(25)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시트(26)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의사에게 최대의 선택 자유를 제공하기 위해서, 대퇴골 구성요소(2)의 과간 중앙 바디부(6) 및 관절구 관절 부분(7, 8) 그리고 과간 중앙 요소(17) 및 관절 관절구 베이스(18, 19)가 별개의 포장 내에 그리고 특별한 크기로 각각 포장될 수 있다. 사실상, 대퇴골 구성요소의 요소의 각각의 크기가 대퇴골 구성요소의 다른 요소의 임의 크기와 커플링될 수 있고, 경골 구성요소의 임의 크기와 관절화될 수 있고, 그 반대가 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의 형상은, 환자의 상이한 관절 부분들 사이에서, 상이한 해부학적 치수들(measurements)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무릎의 관절의 큰 이동성 및 자연적인 관절의 운동과 유사한 운동을 획득할 수 있게 한다.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로 약물 및/또는 치료 제품을 미리-첨가할 수 있는 또는 첨가할 수 있는 가능성은, 관절의 시트 내의 많은 상이한 국소적인 감염을 보다 잘 치료할 수 있게 하고 새로운 관절 삽입물의 이식을 위한 최적의 조건에 보다 잘 도달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대퇴골 구성요소(2) 및 경골 구성요소(3)만을 포함하는 무릎의 관절을 위한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를 위한 구성요소의 그룹을 인용하고, 대퇴골 구성요소(2)는 무릎의 관절 부근에서 대퇴골 뼈의 하나의 단부로 고정적으로 연결되기에 적합하고, 경골 구성요소(3)는 무릎의 관절 부근에서 경골 뼈의 하나의 단부로 고정적으로 연결되기에 적합하며, 대퇴골 구성요소(2)는 경골 구성요소(3)와 접촉하기에 그리고 경골 구성요소(3)와 관절화되기에 적합하며, 대퇴골 구성요소(2)는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 및 과간 중앙 바디부(6)를 포함하고 및/또는 경골 구성요소(3)는 과간 중앙 요소(17) 및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이 크기(Dl 또는 D2 또는 D3)를 가지며, 크기(Dl)는 D2 보다 작고, 크기(D2)는 D3 보다 작고, 및/또는 과간 중앙 바디부(6)가 크기(dl, 또는 d2 또는 d3)를 가지며, dl은 d2 보다 작고, d2는 d3보다 작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가 크기(Tl 또는 T2 또는 T3)를 가지며, 크기(Tl)는 T2 보다 작고, 크기(T2)는 T3 보다 작고, 및/또는 중앙 요소(17)는 크기(tl 또는 t2 또는 t3)를 가지고, tl은 t2 보다 작고, t2는 t3 보다 작다.
그에 따라 상정되는 본 발명은, 동일한 발명적 개념에 의해서 모두 커버되는 수 많은 수정 및 변경을 어떠한 경우에도 가질 수 있다.
또한, 모든 상세 내용이 다른 기술적으로 균등한 요소에 의해서 대체될 수 있다. 사실상, 이용되는 재료뿐만 아니라, 부수적인 형상 및 크기가 요건에 의존하여 어떠한 것도 될 수 있고, 그러한 이유로 후속 청구항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Claims (28)

  1. 대퇴골 구성요소(2) 및 경골 구성요소(3)만을 포함하는 무릎의 관절을 위한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로서,
    대퇴골 구성요소(2)는 무릎의 관절 부근에서 대퇴골 뼈의 하나의 단부로 고정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경골 구성요소(3)는 무릎의 관절 부근에서 경골 뼈의 하나의 단부로 고정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대퇴골 구성요소(2)는 상기 경골 구성요소(3)와 접촉하고 상기 경골 구성요소(3)와 관절화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대퇴골 구성요소(2)는, 상기 대퇴골 뼈의 단부와 접촉하는 오목한 내측 표면(4, 6, 7, 8), 및 상기 경골 구성요소(3)와 접촉하고 관절구 관절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는 외측 표면(5, 7, 8)을 포함하고, 상기 경골 구성요소(3)는, 상기 대퇴골 구성요소(2)와 접촉하고 관절구 관절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는 상부 표면(21, 17, 18, 19), 및 상기 경골 뼈의 단부와 접촉하는 하부 표면(22, 17)을 포함하며,
    상기 대퇴골 구성요소(2)가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 및 과간 중앙 바디부(6)를 포함하고, 상기 과간 중앙 바디부(6)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이 각각 상기 대퇴골 구성요소(2)의 분리된 부분들이며, 상기 과간 중앙 바디부(6)는, 대퇴골 관절구 사이의 전방 공간에 대응하는 제1 수직 아암(9) 및 제2 수평 아암(10)을 가지는, "L"-형상이고, 상기 과간 중앙 바디부(6)가, 인간 신체의 횡방향 축을 따라서 연장하고 인간 신체의 횡방향 평면 상에 놓이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11)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이, 상기 과간 중앙 바디부(6)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11)와 연관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15)를 포함하는,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i) 상기 대퇴골 구성요소(2)의 상기 과간 중앙 바디부(6)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과, (ii) 상기 경골 구성요소(3)의 과간 중앙 요소(17) 및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무릎의 관절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도록, 차별화된 크기들을 가짐으로써, 상기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의 부분들의 크기와 구성요소들을 선택하는 의사가 장치를 이식하기 전에 특정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선택을 할 수 있게 되는,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과간 중앙 바디부(6)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과 연관될 수 있는,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이 상기 과간 중앙 바디부(6)에 대한 내측(medial) 또는 측방향 위치 내에 배치되거나, 상기 과간 중앙 바디부(6)에 대한 내측 또는 측방향 위치 내에 2개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이 존재하는,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골 구성요소가, "U"-형상인, 인간 신체의 시상 평면에 평행한, 횡단면을 가지는,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과간 중앙 바디부(6) 중 일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 중 일부가 전방 표면(30)을 구성하는,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이, 전방 부분(12), 중앙 부분(13) 및 후방 부분(14)을 갖는, "U"-형상인,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의 전방 부분(12) 및 상기 과간 중앙 바디부(6)의 제1 수직 아암(9)이 전방 표면(30)을 구성하는,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15)가, 상기 내측 표면(4)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의 중앙 부분(13) 내에 배치되는,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골 구성요소(2)의 오목한 내측 표면(4)이 상기 과간 중앙 바디부(6),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11),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의 전방 부분(12) 및 후방 부분(14)으로 구성되는,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골 구성요소(3)의 과간 중앙 요소(17)가 인간 신체의 횡방향 평면 상에 놓이거나, 또는 과간 중앙 요소(17)가 수직으로 돌출하는 핀(24)을 포함하는,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골 구성요소(3)의 과간 중앙 요소(17)가, 측방향 또는 내측(medial)으로, 인간 신체의 횡방향 축을 따라서 연장하고, 인간 신체의 횡방향 평면 상에 놓이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장부(25)를 포함하는,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골 구성요소(3)의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가,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장부(25)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장부(25)와 연관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시트(26)를 형성하는,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골 구성요소(3)의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가 하나의 내측 단부 또는 하나의 측방향 단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장부(25)를 커버하기 위해서, 상기 경골 뼈의 부분을 향해서 돌출하는, 상기 내측 단부 또는 상기 측방향 단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쇼울더(27)를 형성하는,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골 구성요소(2) 및 상기 경골 구성요소(3)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i) 상기 과간 중앙 바디부(6)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 사이 및 (ii) 상기 경골 구성요소(3)의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와 과간 중앙 요소(17) 사이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배열된, 돌출부(16') 또는 상응하는 홀(16"), 베이요넷 커플링 수단, 제거 가능한 기계적 체결 수단, 기계적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연동 체결 수단(16)을 포함하는,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체결 수단(16)이, (i) 상기 대퇴골 구성요소(2)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트(15)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11) 사이 및 (ii) 상기 경골 구성요소(3)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시트(26)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장부(25) 사이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배치되는,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체결 수단(16)이 제거 가능한 유형인,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골 구성요소(2) 및 상기 경골 구성요소(3)가 미리 형성되고, 금속, 금속 합금, 유기금속 화합물, 세라믹, 큰 다공성을 가지는 수지, 플라스틱 재료, 열가소성 중합체,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열성형 가능 중합체, 골 시멘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이들의 조합물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 생물학적으로 양립 가능하고 다공성인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생물학적으로 양립 가능한 재료는, 약물 및 치료 제품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에 함침 또는 부가될 수 있는,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골 구성요소(2) 및 상기 경골 구성요소(3)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대퇴골 뼈와 경골 뼈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의 단부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20)을 포함하는,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이 크기(Dl 또는 D2 또는 D3)를 가지며, 크기(Dl)는 크기(D2) 보다 작고, 크기(D2)는 D3 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과간 중앙 바디부(6)가 크기(dl, 또는 d2 또는 d3)를 가지며, dl은 d2 보다 작고, d2는 d3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경골 구성요소(3)의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가 크기(Tl 또는 T2 또는 T3)를 가지며, 크기(Tl)는 T2 보다 작고, 크기(T2)는 T3 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경골 구성요소(3)의 중앙 요소(17)가 크기(tl 또는 t2 또는 t3)를 가지고, tl은 t2 보다 작고, t2는 t3 보다 작아, 상기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의 부분들(6, 7, 8, 17, 18, 19)의 크기와 구성요소들을 선택하는 의사가 장치를 이식하기 전에 특정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선택을 할 수 있게 되는,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골 구성요소(3)가 과간 중앙 요소(17) 및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를 포함하고, 상기 과간 중앙 요소(17)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가 상기 경골 구성요소(3)의 분리된 부분들인,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
  22.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i) 과간 중앙 바디부(6) 및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을 포함하는 대퇴골 구성요소(2)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이 크기(Dl 또는 D2 또는 D3)를 가지며, 크기(Dl)는 D2 보다 작고, 크기(D2)는 D3 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과간 중앙 바디부(6)가 크기(dl, 또는 d2 또는 d3)를 가지며, dl은 d2 보다 작고, d2는 d3보다 작은, 대퇴골 구성요소(2)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의 크기(Dl 또는 D2 또는 D3) 및 상기 과간 중앙 바디부(6)의 크기(dl, 또는 d2 또는 d3)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의 선택된 크기를 상기 과간 중앙 바디부(6)의 선택된 크기와 연관시키는 단계,
    상기 대퇴골 구성요소(2)를 조립하는 단계, 또는
    (ii)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 및 과간 중앙 요소(17)를 포함하는 경골 구성요소(3)를 배열하는 단계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가 크기(Tl 또는 T2 또는 T3)를 가지고, 크기(Tl)가 T2보다 작고, 크기(T2)는 T3 보다 작으며, 상기 과간 중앙 요소(17)가 크기(tl, 또는 t2 또는 t3)를 가지며, tl은 t2 보다 작고 t2는 t3 보다 작은, 경골 구성요소(3)를 배열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의 크기(Tl 또는 T2 또는 T3) 및 상기 과간 중앙 요소(17)의 크기(tl, 또는 t2 또는 t3)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의 선택된 크기를 상기 과간 중앙 요소(17)의 선택된 크기와 연관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경골 구성요소(3)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11)를 구비하는 상기 과간 중앙 바디부(6)를 배열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시트(15)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을 배열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11)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트(15) 내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대퇴골 구성요소(2)를 조립하는 방식에 있어서, 연동 체결 수단(16)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11)와 적어도 하나의 시트(15)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장부(25)를 구비하는 상기 과간 중앙 요소(17)를 배열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제2 시트(26)를 구비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를 배열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장부(25)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시트(26) 내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경골 구성요소(3)를 조립하는 방식에 있어서, 연동 체결 수단(16)을 통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장부(25)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시트(26)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25. 대퇴골 구성요소(2) 및 경골 구성요소(3)만을 포함하는 무릎의 관절을 위한,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를 위한 구성요소의 그룹으로서,
    대퇴골 구성요소(2)는 무릎의 관절 부근에서 대퇴골 뼈의 하나의 단부로 고정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경골 구성요소(3)는 무릎의 관절 부근에서 경골 뼈의 하나의 단부로 고정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대퇴골 구성요소(2)는 경골 구성요소(3)와 접촉하고 상기 경골 구성요소(3)와 관절화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대퇴골 구성요소(2)는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 및 과간 중앙 바디부(6)를 포함하거나 상기 경골 구성요소(3)는 과간 중앙 요소(17) 및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부분(7, 8)이 크기(Dl 또는 D2 또는 D3)를 가지며, 크기(Dl)는 D2 보다 작고, 크기(D2)는 D3 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과간 중앙 바디부(6)가 크기(dl, 또는 d2 또는 d3)를 가지며, dl은 d2 보다 작고, d2는 d3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 관절 베이스(18, 19)가 크기(Tl 또는 T2 또는 T3)를 가지며, 크기(Tl)는 T2 보다 작고, 크기(T2)는 T3 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과간 중앙 요소(17)는 크기(tl 또는 t2 또는 t3)를 가지고, tl은 t2 보다 작고, t2는 t3 보다 작아, 상기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의 부분들의 크기와 구성요소들을 선택하는 의사가 장치를 이식하기 전에 특정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선택을 할 수 있게 되는,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를 위한 구성요소의 그룹.
  26. 제25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구성요소 또는 하나 이상의 크기의 상기 구성요소가 개별적으로 포장되는,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1)를 위한 구성요소의 그룹.
  27. 삭제
  28. 삭제
KR1020167008460A 2013-09-09 2013-09-09 무릎의 관절을 위한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 KR102152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T2013/000235 WO2015033361A1 (en) 2013-09-09 2013-09-09 Adjustable modular spacer device for the articulation of the kn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819A KR20160058819A (ko) 2016-05-25
KR102152928B1 true KR102152928B1 (ko) 2020-09-08

Family

ID=49880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460A KR102152928B1 (ko) 2013-09-09 2013-09-09 무릎의 관절을 위한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265179B2 (ko)
EP (1) EP3043751B1 (ko)
JP (1) JP6393333B2 (ko)
KR (1) KR102152928B1 (ko)
CN (1) CN105636553B (ko)
AR (1) AR097583A1 (ko)
AU (1) AU2013399815B2 (ko)
BR (1) BR112016005057B1 (ko)
CA (1) CA2923358A1 (ko)
ES (1) ES2708553T3 (ko)
WO (1) WO20150333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07062B2 (en) * 2016-05-19 2021-05-18 Jonathan Peter Cabot Arrangement and method in the preparation of the distal femur and posterior femoral condyle proximal surfaces of the femur for the femoral component of a prosthetic knee joint
DE102016223289A1 (de) * 2016-11-24 2018-05-24 Waldemar Link Gmbh & Co. Kg Zwischensegment für eine Gelenkkomponente
US10966838B2 (en) 2019-02-28 2021-04-06 Oxford Performance Materials, Inc. Articulating knee spacer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11658241B (zh) * 2020-06-19 2023-06-23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用于膝关节的可调假体骨件
KR102324320B1 (ko) * 2021-06-18 2021-11-11 (주)포스메디칼 골관절 표면처리용 임플란트
CN113855342B (zh) * 2021-12-03 2022-05-03 北京爱康宜诚医疗器材有限公司 股骨髁假体
WO2024018377A1 (en) * 2022-07-18 2024-01-25 Cossington Limited Femoral element for a knee joint spacer device
CN117100462B (zh) * 2023-10-19 2024-03-15 北京爱康宜诚医疗器材有限公司 股骨髁间隔物模具
CN117503435B (zh) * 2024-01-08 2024-04-30 北京爱康宜诚医疗器材有限公司 膝关节假体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0636A1 (fr) 1998-07-06 2000-01-07 Merck Biomaterial France Prothese de genou modulable
WO2001076512A1 (en) 2000-04-07 2001-10-18 Tecres S.P.A. Disposable articulated spacing device for surgical treatment of joints of the human body
US20060190086A1 (en) 2005-02-22 2006-08-24 Mako Surgical Corporation Knee implant
WO2013041905A1 (en) 2011-09-19 2013-03-28 Tecres S.P.A. Temporary modular spacer device for joints of the human bod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78716T3 (es) * 2001-03-26 2007-08-16 Zimmer Gmbh Protesis de rodilla.
US20040102852A1 (en) * 2002-11-22 2004-05-27 Johnson Erin M. Modular knee prosthesis
US7628818B2 (en) * 2007-09-28 2009-12-08 Depuy Products, Inc. Fixed-bearing knee prosthesis having interchangeable components
US20130001121A1 (en) * 2011-07-01 2013-01-03 Biomet Manufacturing Corp. Backup kit for a patient-specific arthroplasty kit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0636A1 (fr) 1998-07-06 2000-01-07 Merck Biomaterial France Prothese de genou modulable
WO2001076512A1 (en) 2000-04-07 2001-10-18 Tecres S.P.A. Disposable articulated spacing device for surgical treatment of joints of the human body
US20060190086A1 (en) 2005-02-22 2006-08-24 Mako Surgical Corporation Knee implant
WO2013041905A1 (en) 2011-09-19 2013-03-28 Tecres S.P.A. Temporary modular spacer device for joints of the human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93333B2 (ja) 2018-09-19
CA2923358A1 (en) 2015-03-12
ES2708553T3 (es) 2019-04-10
EP3043751A1 (en) 2016-07-20
AU2013399815B2 (en) 2018-12-06
CN105636553A (zh) 2016-06-01
AU2013399815A1 (en) 2016-04-21
AR097583A1 (es) 2016-03-23
KR20160058819A (ko) 2016-05-25
US10265179B2 (en) 2019-04-23
WO2015033361A1 (en) 2015-03-12
CN105636553B (zh) 2018-03-20
BR112016005057B1 (pt) 2021-06-01
US20160206434A1 (en) 2016-07-21
EP3043751B1 (en) 2018-10-31
JP2016530021A (ja) 201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928B1 (ko) 무릎의 관절을 위한 조정 가능한 모듈형 이격부재 장치
US10092407B2 (en) Constrained spacer device for the knee joint
JP6103622B2 (ja) ポリマー大腿骨トライアルコンポーネント
CN108135701B (zh) 包括胫骨承载组件的假体系统
JP5819068B2 (ja) 膝関節補綴システム
US10463498B2 (en) Constrained prosthesis for the knee joint
EP2042127A1 (en) Knee orthopaedic implant
JP7126855B2 (ja) 固定機構を備える脛骨トレイ
AU2011226880B2 (en) Femoral component of a knee prosthesis having an angled cement pocket
DK2758004T3 (en) Temporary modular distance device for led the human body
CN109640890B (zh) 用于人体的关节的模块化间隔器装置
JP2020522368A (ja) モジュール式人工膝関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