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919B1 - 비가청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비가청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919B1
KR102386919B1 KR1020200070415A KR20200070415A KR102386919B1 KR 102386919 B1 KR102386919 B1 KR 102386919B1 KR 1020200070415 A KR1020200070415 A KR 1020200070415A KR 20200070415 A KR20200070415 A KR 20200070415A KR 102386919 B1 KR102386919 B1 KR 102386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terminal
image content
information
inaudibl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3411A (ko
Inventor
유경수
Original Assignee
네이버파이낸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파이낸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파이낸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0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919B1/ko
Priority to JP2022575322A priority patent/JP2023528936A/ja
Priority to PCT/KR2021/006061 priority patent/WO2021251634A1/ko
Priority to TW110120621A priority patent/TWI841848B/zh
Publication of KR20210153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1/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sonic, ultrasonic or infrason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구매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말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제1 영상 컨텐츠 제공 중 발신되는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신호를 수신하는 비가청 신호 수신 단계; 상기 단말이 사용자의 미리 정해진 제1 동작 수행을 인식하는 동작 수행 인식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비가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제1 상품 정보 산출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를 제공하는 구매 절차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구매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비가청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SYSTEM, APPARATUS AND COUMPUTER PROGRAM FOR ONLINE PURCHASING USING INAUDIBLE SIGNAL}
본 발명은 온라인 구매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상품 등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비가청 신호를 통해 발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서 상기 비가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상품 등을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중 비가청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홈쇼핑이나 온라인 쇼핑 등을 이용하여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홈쇼핑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품 등을 구매하는 경우, 사용자는 판매 회사로 전화를 걸어 주문하고자 하는 물품을 지정하고 신용 카드 번호 등 결제 정보를 일일이 전달해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이 상당했다.
또한, 최근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에서 영화 등 영상 컨텐츠의 제공 중에 해당 영상 컨텐츠에 등장하는 상품 등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도 시도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조작이 불편한 리모콘 등으로 상품 선택 및 결제 절차를 진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랐다.
나아가, 위와 같은 구매 절차에서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UX(User eXperience, 사용자 경험)이 악화될 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 입장에서는 수익성까지도 떨어지는 문제가 초래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홈쇼핑 등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면서 보다 편리하게 구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UX(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또한 서비스 제공자에게도 편리한 구매 환경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으나, 아직 이에 대한 적절한 해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59243호(2007년 6월 12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홈쇼핑 등 영상 컨텐츠 시청 중에 상품 등을 보다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온라인 구매 절차에서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interaction) 등 UX(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사용자가 간편하게 구매 절차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보다 편리한 구매 환경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의 수익성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아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온라인 구매 방법은, 단말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제1 영상 컨텐츠 제공 중 발신되는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신호를 수신하는 비가청 신호 수신 단계; 상기 단말이 사용자의 미리 정해진 제1 동작 수행을 인식하는 동작 수행 인식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비가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제1 상품 정보 산출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를 제공하는 구매 절차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온라인 구매 방법은, 서버가 단말로 앱(App)을 전송하는 앱 전송 단계; 상기 앱(App)에 의하여 상기 단말에서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의 제1 영상 컨텐츠 제공 중 발신되는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는 비가청 신호 수신 단계; 상기 앱(App)에 의하여 상기 단말에서 사용자의 미리 정해진 제1 동작 수행을 인식하도록 하는 동작 수행 인식 단계; 상기 앱(App)에 의하여 상기 단말에서 상기 비가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도록 하는 제1 상품 정보 산출 단계; 및 상기 앱(App)에 의하여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를 제공하도록 하는 구매 절차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상기 온라인 구매 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단말은,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제1 영상 컨텐츠 제공 중 발신되는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신호를 수신하는 비가청 신호 수신부; 사용자의 미리 정해진 제1 동작 수행을 인식하는 동작 수행 인식부; 상기 비가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제1 상품 정보 산출부; 및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를 제공하는 구매 절차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온라인 구매 시스템은, 제1 영상 컨텐츠 제공 중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신호를 발신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발신되는 상기 비가청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미리 정해진 제1 동작 수행을 인식하여, 상기 비가청 신호를 이용해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산출한 후,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를 제공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가청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서는, 사용자가 홈쇼핑 등 영상 컨텐츠 시청 중에 상품 등을 보다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가청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서는, 사용자의 온라인 구매 절차에서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interaction) 등 UX(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사용자가 간편하게 구매 절차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가청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서는, 보다 편리한 구매 환경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의 수익성도 개선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가청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이용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방법에서 영상 컨텐츠의 구간별 비가청 신호 할당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방법에서 동작 인식 단계의 구체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시스템에서의 단말을 이용한 상품 구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아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가청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먼저,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시스템(10)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시스템(10)은,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와 단말(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제1 영상 컨텐츠 제공 중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신호를 발신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단말(100)에서는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발신되는 상기 비가청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미리 정해진 제1 동작 수행을 인식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비가청 신호를 이용해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산출한 후,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홈쇼핑 영상이나 영화, 드라마 등 영상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텔레비전이나 모니터 등이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유선 또는 무선 방송(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는 텔레비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상기 유선 또는 무선 유선 또는 무선 방송(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여 모니터 등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할 수 있는 셋탑 박스(210) 등의 부가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단말(100)로서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휴대전화 등 휴대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외에도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서는 퍼스널 컴퓨터(PC), 노트북 PC 등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시스템(10)에서는, 사용자가 홈쇼핑 등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면서 보다 편리하게 구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UX(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또한 서비스 제공자에게도 편리한 구매 환경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방법의 순서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방법은, 단말(100)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제1 영상 컨텐츠 제공 중 발신되는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신호를 수신하는 비가청 신호 수신 단계(S110), 상기 단말(100)이 사용자의 미리 정해진 제1 동작 수행을 인식하는 동작 수행 인식 단계(S120), 상기 단말(100)이 상기 비가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제1 상품 정보 산출 단계(S130) 및 상기 단말(100)이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를 제공하는 구매 절차 제공 단계(S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방법을 각 단계별로 나누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비가청 신호 수신 단계(S110)에서는, 상기 단말(100)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제1 영상 컨텐츠 제공 중 발신되는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가청 신호 수신 단계(S110)에서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홈쇼핑 채널이나 영화, 드라마 등의 제1 영상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상기 제1 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음성 신호에 더하여 홈쇼핑 상품이나 상기 영화, 드라마 등에 나오는 상품 등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음파를 송신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구매하는 상품은 물리적 형체를 가지는 물건 뿐만 아니라 컨텐츠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 등 다양한 재화 및 용역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비가청 신호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통상의 사용자가 들을 수 없는 주파수 대역인 18,500Hz ~ 24,000Hz 의 비가청 음파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동작 환경 및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비가청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비가청 신호로서 BLE(Bluetooth Low Energy) 등 무선 신호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래에서는 상기 비가청 신호로서 18,500Hz ~ 24,000Hz 의 비가청 음파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으나, 이는 BLE 등 무선 신호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정보에는 상기 제1 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나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를 제공하기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송신되는 비가청 신호에는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영상과 함께 상기 제1 상품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단말(100)에서는 상기 비가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상품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등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방법에서, 상기 제1 영상 컨텐츠는 유선 또는 무선의 방송(broadcasting) 시그널에 실려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송 시그널의 영상 신호에는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영상이 포함되고, 상기 방송 시그널의 음성 신호에는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음파가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방법에서,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서버(300)는 비가청 신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영상 컨텐츠와 별도로 외부 서버(예를 들면, 홈쇼핑사)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제1 영상 컨텐츠의 음성 신호에 상기 비가청 음파를 추가하여 제공하거나, 상기 음성 신호와 별도의 신호로 발신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영상 컨텐츠 장치(200)는 통신 네트워크(50)를 통해 상기 제1 서버(300)로부터 상기 제1 영상 컨텐츠에 대한 비가청 신호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50)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근거리 통신망 (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 (WAN: Wide Area Network) 등의 다양한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50)는 공지의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50)는 상기 열거된 네트워크에 국한되지 않고, 공지의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나 공지의 전화 네트워크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네트워크를 적어도 일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상기 제1 서버(300)로부터 상기 비가청 신호를 상기 제1 영상 컨텐츠와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정보도 전송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홈쇼핑 채널에서 t0 ~ t1까지의 제1 구간(P1)에 제1 상품에 대한 홈쇼핑 방송을 송출하는 경우, 상기 제1 서버(300)는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비가청 신호가 발신되는 상기 제1 구간(P1)에 대한 동기화 정보(t0, t1)도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전송하여,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홈쇼핑 방송 중에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신호도 발신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방법에서, 상기 제1 영상 컨텐츠 중 제1 상품이 제공되는 제1 구간에서는 상기 비가청 신호에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영상 컨텐츠 중 제2 상품이 제공되는 제2 구간에서는 상기 비가청 신호에 상기 제2 상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제공하는 드라마 등의 영상 컨텐츠에서 t0 ~ t1까지의 제1 구간(P1)에서는 제1 상품이 포함되고, t2 ~ t3까지의 제2 구간(P2)에서는 제2 상품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서버(300)는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제1 구간(P1)에 대한 동기화 정보를 전송하는데 더하여, 상기 제2 상품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제2 구간(P2)에 대한 동기화 정보를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는, 상기 제1 영상 컨텐츠 중 제1 상품이 제공되는 제1 구간에서는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비가청 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제1 영상 컨텐츠 중 제2 상품이 제공되는 제2 구간에서는 상기 제2 상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비가청 신호를 발신하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방법에서는, 상기 제1 영상 컨텐츠에 포함되는 복수의 상품에 대응하여 상기 비가청 신호에는 상기 복수의 상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단말(100)에서는 상기 복수의 상품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구매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1 영상 컨텐츠의 제1 구간(P1)에 제1 상품과 함께 제2 상품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서버(300)는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제2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는 비가청 신호에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2 상품에 대한 정보를 함께 실어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100)은 상기 비가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상품 및 제2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동작 수행 인식 단계(S120)에서는, 상기 단말(100)이 사용자의 미리 정해진 제1 동작 수행을 인식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동작 수행 인식 단계(S120)는,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단말(100)에 구비되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S121)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동작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100)로서 스마트폰 등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에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자이로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단말(100)에서는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미리 정해진 제1 동작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홈쇼핑 채널을 시청하던 중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 등 단말(100)을 흔들어주는 등 미리 정해진 제1 동작을 수행하는 것 만으로, 상기 홈쇼핑 채널의 상품에 대한 제품 정보 제공 및 구매 페이지로 바로 연결되어 보다 편리하게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동작은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다양한 움직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제1 동작이 상기 단말(100)을 상하 또는 좌우로 흔드는 동작으로 정의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에서는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가 미리 정의된 비교 데이터와 일치하거나 일정 수준 이상 유사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미리 정해진 제1 동작에 대응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상품 정보 산출 단계(S130)에서는, 상기 단말(100)이 상기 비가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100)에 구비되는 마이크 등을 이용하여 수신되는 신호 중 가청 주파수 영역에 해당하는 신호는 상기 제1 영상 컨텐츠에 대한 음성 신호로서 사용하고, 비가청 주파수 영역에 해당하는 신호는 미리 정해진 규격에 따라 복조(demodulation) 등을 거쳐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100)에서는 상기 비가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제품 정보 제공 및 구매 절차를 보다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구매 절차 제공 단계(S140)에서는 상기 단말(100)이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를 제공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단말(100)에서는 제1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홈쇼핑 채널 등 제1 영상 컨텐츠에 포함되는 홈쇼핑 상품 등 제1 상품에 대하여, 상기 제1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발신되는 비가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제품 정보 제공 및 구매가 가능한 URL 주소를 산출한 후, 상기 URL 주소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를 자동으로 연결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제품 정보 제공 및 구매 절차를 제공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단말(100)에서는, 복수의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발신되는 복수의 비가청 신호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비가청 신호 중 상기 단말(100)에 대응하는 제1 비가청 신호를 산출하고, 상기 제1 비가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가청 신호에는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가 함께 포함되어, 상기 단말(100)에서는 상기 식별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비가청 신호에는 상기 단말(100)에서 구동되는 앱(App)에서 사용되는 정보임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식별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를 진행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단말(100)에서 제1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발신되는 제1 비가청 신호 뿐만 아니라, 제2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b)에서 발신되는 제2 비가청 신호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에서는 상기 제1 비가청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비가청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2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b)의 식별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단말(100)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상기 제1 비가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상기 제2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b)의 제2 비가청 신호에 의한 오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가청 신호에는 상기 단말(100)에서 구동되는 특정한 앱(App)에서 사용되는 정보임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상기 앱(App)에서 상기 복수의 비가청 신호 중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비가청 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를 진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단말(100)에서는 상기 복수의 비가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비가청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품의 목록을 제공하거나 복수의 상품에 대한 메시지를 순차 제공하여, 상기 복수의 상품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구매 절차를 진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방법에서는,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비가청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상 컨텐츠의 미리 정해진 음성 신호 등을 인식하여 상기 제1 상품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제1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상기 비가청 신호의 송출이 불가한 경우 또는 상기 단말(100)에서 일시적으로 상기 비가청 신호의 인식이 어려운 경우, 상기 단말(100)에서는 상기 제1 영상 컨텐츠의 미리 정해진 음성 신호 등을 인식하여 상기 제1 영상 컨텐츠 및 상기 제1 상품을 식별하고,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재방송이나 사전에 방송이 약속된 상품의 경우 제1 영상 컨텐츠의 음원을 미리 저장해 놓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 같은 서비스를 위해 별도의 서버를 구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100)에서 전용 앱 등을 통해서 제1 영상 컨텐츠의 일부 음성 신호를 받아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는 전송받은 음성 신호를 음원과 비교함으로써 제1 상품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방법에서는, 제2 서버(미도시)가 상기 단말(100)로 현재 방송 중인 제2 영상 컨텐츠에 포함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제공된 정보를 선택하면, 상기 단말(100)은 상기 제2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신호를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송신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상기 제2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방법에서는, 제2 서버(미도시)가 상기 단말(100)로 현재 방송 중인 제2 영상 컨텐츠에 포함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제공된 정보를 선택하면, 상기 단말(100)은 자신과 동일한 억세스 포인트(AP)를 사용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검색해 상기 제2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상기 제2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 서버(미도시)는 상기 사용자의 과거 구매 이력과 현재 방송되고 있는 하나 이상 채널의 영상 컨텐츠에 포함되는 상품을 대비하여 연관성이 있는 상품이 있는 경우, 상기 단말(100)로 상기 연관성이 있는 상품이 방송되는 제2 영상 컨텐츠에 포함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2 서버(미도시)는 사용자의 과거 상품 구매 정보 또는 검색 이력 등을 이용하여, 현재 방송되고 있는 홈쇼핑 채널 등 제2 영상 컨텐츠의 상품과의 유사도가 기준치 이상인 상품이 있는 경우, 또는 특정 시간대의 홈쇼핑 채널에서 구매 이력이 있는 경우 등에, 상기 단말(100)로 푸시 알람 등을 통해 광고 메시지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단말(100)에 푸시된 광고 메시지를 터치하는 등 선택하면, 상기 단말(100)은 상기 제2 영상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하는 비가청 신호를 내장 스피커(미도시) 등을 통해 상기 TV/셋탑박스의 마이크 또는 리모콘의 내장 마이크로 발신하고, 상기 셋탑 박스(210)에서 해당 채널로 변경하여 상기 제2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상기 단말(100)에 푸시된 광고 메시지를 터치하는 등 선택하면, 상기 단말(100)은 자신과 동일한 억세스 포인트(AP)를 사용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검색해 상기 제2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상기 홈쇼핑 채널로 변경하여 상기 제2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집 등 미리 정해진 장소에 있는지 여부까지 판단이 가능하여 홈쇼핑 채널 변경, 모바일 상세 제품 정보 페이지나 구매 홈페이지로 연결하여 더욱 섬세한 큐레이션이 가능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방법에서는, 상기 구매 절차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물하기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선물하고자 하는 대상자의 구매 이력이 있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대상자의 구매 이력을 이용하여 선물의 배송 주소 등을 자동으로 입력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주소 입력 절차 없이 보다 간편하게 해당 상품을 구매하여 선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서버는 사용자의 친구 목록을 보유하고 있을 수 있으며, 친구가 찜해 놓거나 관심있는 것으로 특정한 상품을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경우, 해당 상품이 친구가 선호하는 상품인 것을 알림으로써 선물하기를 유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9와 도 1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시스템(10)의 구체적인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를 예시하고 있다.
먼저, 도 9에서 서버(300)는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상품을 판매하는 가맹점명, 상품의 상세한 제품 정보 등을 포함하는 URL(트래킹 코드 포함) 및 상기 상품에 대응하는 제1 영상 컨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 등을 전달하게 된다(S210).
이에 따라,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는 상기 서버에서 전송받은 정보를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비가청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영상 컨텐츠 시청 시에 상기 단말(100)로 전송하게 된다(S220).
이어서, 상기 단말(100)의 사용자가 스마트폰 등 단말(100)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구매를 위한 앱 등을 실행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제1 동작(예를 들어, 상하로 흔들기 등)을 수행하면(S230), 상기 단말(100)에서는 상기 비가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상품에 대한 URL에 대응하는 홈페이지 등을 오픈하게 된다(S240).
이에 따라, 상기 서버(300)는 상기 상품에 대한 결제 절차를 진행하고(S250), 상기 트래킹 코드를 확인하여(S260) 상기 상품에 대한 구매 성공 여부 등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상기 단말(100)로 전달하게 된다(S270).
또는,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단말(100)에서는 현재 방송 중인 상품에 대한 정보 등을 푸시 메시지로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제시하게 된다(S310).
이에 대하여, 사용자가 상기 푸시 메시지를 클릭하는 등 선택하면(S320), 상기 단말(100)은 상기 방송 중인 상품의 영상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 등을 비가청 신호로 발신하거나, 자신과 동일한 억세스 포인트(AP)를 사용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검색해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 등을 송신하여(S330),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상기 영상 컨텐츠 채널로 변경하도록 하게 된다(S360).
이때, 상기 단말(100)에서는 상기 상품에 대한 상세한 제품 정보를 제공하여(S340),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100)에서 보고 있는 상품에 대응하는 영상 컨텐츠를 TV 등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통해서도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위와 같은 상호 작용(interaction)을 통해 새롭고 편리한 UX(사용자 경험)을 경험할 수 있게 된다(S350).
이어서, 사용자는 상기 단말(100)을 이용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결제 절차를 진행할 수 있으며(S370), 이에 따라 상기 단말(100)에서는 상기 트래킹 코드를 확인하여(S380) 상기 상품에 대한 구매 성공 여부 등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상기 서버(300)로 전달하게 된다(S290).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1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단말(100)에서는 미리 설치된 앱(App) 등을 구동하여(도 11의 (a)의 1000),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제1 동작을 수행하면 현재 방송 중인 상품의 영상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 등을 비가청 신호로 수신하고, 상기 상품에 대한 상세한 제품 정보를 포함하는 URL 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URL의 제품 정보 사이트로 이동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푸시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도 11의 (a)의 1010).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푸시 메시지를 클릭하는 등 선택하면, 상기 단말(100)은 상기 URL 정보를 이용해 상기 상품에 대한 제품 정보를 제공하고 구매할 수 있는 사이트로 접속하여(도 11의 (b)의 1020),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현재 방송 중인 상품에 대한 구매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구매 방법은 아래와 같이 서버 관점에서 기술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서버 관점에서의 온라인 구매 방법은, 서버가 단말(100)로 앱(App)을 전송하는 앱 전송 단계; 상기 앱(App)에 의하여 상기 단말(100)에서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제1 영상 컨텐츠 제공 중 발신되는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는 비가청 신호 수신 단계; 상기 앱(App)에 의하여 상기 단말(100)에서 사용자의 미리 정해진 제1 동작 수행을 인식하도록 하는 동작 수행 인식 단계; 상기 앱(App)에 의하여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비가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도록 하는 제1 상품 정보 산출 단계; 및 상기 앱(App)에 의하여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를 제공하도록 하는 구매 절차 제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 관점에서의 온라인 구매 방법은, 앞서 설명된 단말 관점에서의 온라인 구매 방법을 통해 쉽게 구현 가능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앞서 살핀 온라인 구매 방법의 각 단계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계속적으로 저장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로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기계어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서는 퍼스널 컴퓨터(PC)나 노트북 컴퓨터 등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서버,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휴대전화 등 중앙처리장치(CPU)를 구비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일체의 정보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행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전자적 기록 매체(예를 들면, 롬, 플래시 메모리, 등),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이 컴퓨터로 판독이 가능한 일체의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용 단말 장치(100)의 블록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1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용 단말 장치(100)는 비가청 신호 수신부(110), 동작 수행 인식부(120), 제1 상품 정보 산출부(130) 및 구매 절차 제공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용 단말 장치(100)를 각 구성요소 별로 나누어 살핀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용 단말 장치(100)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앞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1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시스템(10) 및 방법 등과 유사하게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반복하는 것은 생략한다.
먼저, 상기 온라인 구매용 단말 장치(100)에서, 상기 비가청 신호 수신부(110)는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제1 영상 컨텐츠 제공 중 발신되는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가청 신호 수신부(110)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되는 마이크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동작 수행 인식부(120)는 사용자의 미리 정해진 제1 동작 수행을 인식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작 수행 인식부(120)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되는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 상품 정보 산출부(130)는 상기 비가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매 절차 제공부(140)는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를 제공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100)에 구비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에서는 상기 마이크 등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상세한 제품 정보 등이 포함되는 URL을 산출하고, 상기 URL의 홈페이지를 연결하여 상기 단말(1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display)를 통해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가청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서는, 사용자가 홈쇼핑 등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면서 보다 편리하게 구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UX(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또한 서비스 제공자에게도 편리한 구매 환경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온라인 구매 시스템
50 : 통신 네트워크
100 : 단말
110 : 비가청 음파 수신부
120 : 동작 수행 인식부
130 : 제1 상품 정보 산출부
140 : 구매 절차 제공부
200 :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210 : 셋탑 박스
300 : 서버

Claims (18)

  1. 단말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제1 영상 컨텐츠 제공 중 발신되는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신호를 수신하는 비가청 신호 수신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비가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제1 상품 정보 산출 단계;
    를 포함하며,
    제2 서버가 상기 단말로 현재 방송 중인 제2 영상 컨텐츠에 포함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제공된 정보를 선택하면,
    상기 단말은 상기 제2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신호를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로 송신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상기 제2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구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사용자의 미리 정해진 제1 동작 수행을 인식하는 동작 수행 인식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동작 수행이 인식되면 상기 제1 상품 정보 산출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동작 수행 인식 단계는,
    상기 단말에 구비되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동작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구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컨텐츠는 방송(broadcasting) 시그널에 실려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되며,
    상기 방송 시그널의 영상 신호에는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영상이 포함되고,
    상기 방송 시그널의 음성 신호에는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신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구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비가청 신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영상 컨텐츠와 별도로 제1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제1 영상 컨텐츠의 음성 신호에 상기 비가청 신호를 추가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구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비가청 신호를 상기 제1 영상 컨텐츠와 동기화하기 위한 정보도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구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컨텐츠 중 제1 상품이 제공되는 제1 구간에서는 상기 비가청 신호에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제1 영상 컨텐츠 중 제2 상품이 제공되는 제2 구간에서는 상기 비가청 신호에 상기 제2 상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구매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컨텐츠에 포함되는 복수의 상품에 대응하여 상기 비가청 신호에는 상기 복수의 상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단말에서는 상기 복수의 상품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구매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청 신호에는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가 함께 포함되며,
    상기 단말에서는 상기 식별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구매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서 상기 비가청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단말에서는 상기 제1 영상 컨텐츠의 미리 정해진 음성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제1 상품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구매 방법.
  10. 삭제
  11. 단말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제1 영상 컨텐츠 제공 중 발신되는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신호를 수신하는 비가청 신호 수신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비가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제1 상품 정보 산출 단계;
    를 포함하며,
    제2 서버가 상기 단말로 현재 방송 중인 제2 영상 컨텐츠에 포함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제공된 정보를 선택하면,
    상기 단말은 자신과 동일한 억세스 포인트(AP)를 사용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를 검색해 상기 제2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상기 제2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구매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과거 구매 이력과 현재 방송되고 있는 하나 이상 채널의 영상 컨텐츠에 포함되는 상품을 대비하여 연관성이 있는 상품이 있는 경우,
    상기 단말로 상기 연관성이 있는 상품이 방송되는 제2 영상 컨텐츠에 포함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구매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서는,
    복수의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발신되는 복수의 비가청 신호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비가청 신호 중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제1 비가청 신호를 산출하고,
    상기 제1 비가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구매 방법.
  14. 서버가 단말로 앱(App)을 전송하는 앱 전송 단계;
    상기 앱(App)에 의하여 상기 단말에서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의 제1 영상 컨텐츠 제공 중 발신되는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는 비가청 신호 수신 단계;
    상기 앱(App)에 의하여 상기 단말에서 상기 비가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도록 하는 제1 상품 정보 산출 단계;
    를 포함하며,
    제2 서버가 상기 단말로 현재 방송 중인 제2 영상 컨텐츠에 포함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제공된 정보를 선택하면,
    상기 단말은 상기 제2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신호를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로 송신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상기 제2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구매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과거 구매 이력과 현재 방송되고 있는 하나 이상 채널의 영상 컨텐츠에 포함되는 상품을 대비하여 연관성이 있는 상품이 있는 경우,
    상기 단말로 상기 연관성이 있는 상품이 방송되는 제2 영상 컨텐츠에 포함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구매 방법.
  16. 비가청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단말에 있어서,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제1 영상 컨텐츠 제공 중 발신되는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신호를 수신하는 비가청 신호 수신부; 및
    상기 비가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제1 상품 정보 산출부;
    를 포함하며,
    제2 서버가 상기 단말로 현재 방송 중인 제2 영상 컨텐츠에 포함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제공된 정보를 선택하면,
    상기 단말은 상기 제2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신호를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로 송신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상기 제2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7. 제1 영상 컨텐츠 제공 중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신호를 발신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발신되는 상기 비가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비가청 신호를 이용해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말;을 포함하며,
    제2 서버가 상기 단말로 현재 방송 중인 제2 영상 컨텐츠에 포함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제공된 정보를 선택하면,
    상기 단말은 상기 제2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신호를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로 송신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상기 제2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구매 시스템.
  18. 컴퓨터에서 제1항 내지 제9항,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070415A 2020-06-10 2020-06-10 비가청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86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415A KR102386919B1 (ko) 2020-06-10 2020-06-10 비가청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22575322A JP2023528936A (ja) 2020-06-10 2021-05-14 非可聴信号を用いたオンライン購買方法、装置、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CT/KR2021/006061 WO2021251634A1 (ko) 2020-06-10 2021-05-14 비가청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TW110120621A TWI841848B (zh) 2020-06-10 2021-06-07 利用不可聽信號的線上購物方法、裝置、系統及計算機程序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415A KR102386919B1 (ko) 2020-06-10 2020-06-10 비가청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411A KR20210153411A (ko) 2021-12-17
KR102386919B1 true KR102386919B1 (ko) 2022-04-15

Family

ID=78846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415A KR102386919B1 (ko) 2020-06-10 2020-06-10 비가청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528936A (ko)
KR (1) KR102386919B1 (ko)
WO (1) WO20212516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66316A (zh) * 2022-03-24 2022-06-24 阿里云计算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279B1 (ko) * 2011-11-01 2012-04-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미디어 체크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708153B1 (ko) * 2016-07-20 2017-02-17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광고플랫폼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 장치
KR101895214B1 (ko) * 2017-06-26 2018-09-07 코코아 비전(주) 간접광고상품 정보 제공 서버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9243A (ko) 2005-12-06 2007-06-12 주식회사 지에스홈쇼핑 케이블 tv 홈쇼핑 방송에서의 카드결제 방법 및 그시스템
KR20160046575A (ko) * 2014-10-21 2016-04-29 (주)인텔리안시스템즈 비가청 음향 패턴을 이용한 광고 매칭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70123991A (ko) * 2016-04-29 2017-11-09 주식회사 사운들리 음파신호 처리 방법 및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주문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279B1 (ko) * 2011-11-01 2012-04-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미디어 체크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708153B1 (ko) * 2016-07-20 2017-02-17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광고플랫폼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 장치
KR101895214B1 (ko) * 2017-06-26 2018-09-07 코코아 비전(주) 간접광고상품 정보 제공 서버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03656A (zh) 2022-01-16
KR20210153411A (ko) 2021-12-17
WO2021251634A1 (ko) 2021-12-16
JP2023528936A (ja)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61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configuring a user equipment device with content consumption material
US10971144B2 (en) Communicating context to a device using an imperceptible audio identifier
US10909609B2 (en) Wish list transactions through smart TV
US10674193B2 (en)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device
WO2016202116A1 (zh) 信息处理方法、客户端、服务器和计算机存储介质
KR101394152B1 (ko) 모바일 단말의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764257B1 (ko) 제품들을 식별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검색을 사용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2015008225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images
US20150319509A1 (en) Modified search and advertisements for second screen devices
KR101969222B1 (ko)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한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
US97629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reaming audio of a visual feed
US20160234550A1 (en) Display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KR102386919B1 (ko) 비가청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120143918A1 (en) Mobile user data collection
JP5527853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US11134286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JP2014049884A (ja) シーン情報出力装置、シーン情報出力プログラム、及びシーン情報出力方法
US105602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argeted secondary content delivery
US20140067935A1 (en) Movie finding
US20210006870A1 (en) Object detection from media data rendered on a device networked to a client device
TWI841848B (zh) 利用不可聽信號的線上購物方法、裝置、系統及計算機程序
JP6756180B2 (ja) システム及び画像記録装置
KR102524066B1 (ko) 웹기반으로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25531B1 (ko)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16431A (ko) 모바일 쿠폰을 제공하는 방송수신 시스템, 서버 및 그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