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991A - 음파신호 처리 방법 및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주문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파신호 처리 방법 및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주문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991A
KR20170123991A KR1020160053449A KR20160053449A KR20170123991A KR 20170123991 A KR20170123991 A KR 20170123991A KR 1020160053449 A KR1020160053449 A KR 1020160053449A KR 20160053449 A KR20160053449 A KR 20160053449A KR 20170123991 A KR20170123991 A KR 20170123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box
broadcast program
sound wave
content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운들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운들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운들리
Priority to KR1020160053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3991A/ko
Publication of KR20170123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3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08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n identification number or address, e.g. local network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0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프로그램에 비가청대역 음파를 주입할 수 있는 여러 주체가 존재하는 경우 비가청대역 음파가 중첩되지 않도록 하여 시청자에게 제공하려는 정보를 손실없이 제공할 수 있는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청자가 현재 시청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을 단말기에서 실행하여 단말기 상에서 콘텐츠를 검색하고 선택하는 동작에 의해 시청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TV로 출력할 수 있는 주문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음파신호 처리 방법 및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주문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ound wave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broadcasting program including non-audible sound wave, an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on demand using the sound wave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음파신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주문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가청 음파가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는 음파신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주문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텔레비전(TV) 영상에 특정 정보를 내포한 비가청 음파를 삽입하여 시청자에게 모바일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3-0043862호(2013년 4월 19일 출원)는 TV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종래에 방송 프로그램에 비가청 음파를 삽입하는 과정은 주로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거나 구매하는 프로그램 공급자(PP)측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방송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공급자(PP)로부터 제공받아 시청자에게 공급하는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IPTV 사업자, 위성방송 사업자 등이 비가청대역 음파를 방송 프로그램에 주입하는 것도 기술적으로 가능하지만, 이 경우 프로그램 공급자(PP)가 주입한 비가청대역 음파와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등이 주입한 비가청대역 음파가 중첩하게 되어 비가청대역에 포함된 특정 정보를 식별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TV 홈쇼핑의 경우 최근 TV 방송을 보면서 TV의 리모컨으로 물건을 구매할 수 있는 양방향 쇼핑 채널(예컨대, T-커머스)이 서비스되고 있다. 그러나 리모컨으로 TV 화면의 상품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고 결재하는 과정이 쉽지 않아 불편한 점이 있어 양방향 쇼핑 채널이 많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프로그램에 비가청대역 음파를 주입할 수 있는 여러 주체가 존재하는 경우 비가청대역 음파가 중첩되지 않도록 하여 시청자에게 제공하려는 정보를 손실없이 제공할 수 있는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청자가 현재 시청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을 단말기에서 실행하여 단말기 상에서 콘텐츠를 검색하고 선택하는 동작에 의해 시청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TV로 출력할 수 있는 주문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TV로 제공하는 셋탑박스에서 음파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를 TV로 출력할 때 셋탑박스 관련 ID를 함께 출력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 단계; 상기 셋탑박스 관련 식별정보(ID)를 출력하기로 판단한 경우, 상기 셋탑박스 관련 ID를 포함하는 비가청대역의 ID포함 음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ID포함 음파를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와 함께 TV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셋탑박스 관련 ID는, (i) 셋탑박스를 식별하는 셋탑박스 ID; 및 (ii) 상기 셋탑박스에서 실행되는 채널연동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애플리케이션 ID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방송 프로그램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신호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된 음파신호를 처리하는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으로서, 셋탑박스 또는 상기 셋탑박스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서버에서 동작가능하고,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음파 신호를 필터링하여 비가청대역 신호를 추출하거나 제거하도록 구성된 음파신호 필터링부; 상기 셋탑박스에서 동작가능하고, 셋탑박스 관련 식별정보(ID)를 포함하는 비가청대역의 ID포함 음파를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에 믹싱하도록 구성된 음파신호 믹싱부; 및 상기 셋탑박스 또는 상기 서버에서 동작가능하고, 상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비가청대역에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방송 프로그램 ID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를 TV로 출력할 때 셋탑박스 관련 ID를 함께 출력할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TV로 제공하는 셋탑박스에서 TV 시청자에게 주문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셋탑박스를 식별하는 셋탑박스 ID가 포함된 비가청대역의 ID포함 음파를 생성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와 함께 TV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ID포함 음파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상기 셋탑박스 ID를 추출한 단말기로부터, 콘텐츠의 선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선택된 상기 콘텐츠를 주문형 콘텐츠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형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여 TV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셋탑박스에서 실행되는 채널연동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애플리케이션 ID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방송 프로그램 ID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TV를 통해 출력하거나 상기 셋탑박스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TV용 셋탑박스를 통해 TV 시청자에게 주문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TV에서 출력되는 음파신호를 수신하고 이 음파신호의 비가청대역에 포함된 식별정보(ID)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ID에 기초하여, 콘텐츠 검색을 위한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소정 콘텐츠가 선택되면 이 선택 결과를 상기 셋탑박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ID는, (i) 셋탑박스를 식별하는 셋탑박스 ID; (ii) 상기 셋탑박스 ID 및 상기 셋탑박스에서 실행되는 채널연동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애플리케이션 ID; 및 (iii) 상기 셋탑박스 ID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방송 프로그램 ID;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TV용 셋탑박스를 통해 TV 시청자에게 주문형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TV에서 출력되는 음파신호를 처리하는 음파신호 처리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음파신호 처리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단말기의 메모리에 로딩되어 상기 단말기 상에서 음파신호 처리 방법을 실행하며, 상기 음파신호 처리 방법은, TV에서 출력되는 음파신호를 수신하고 이 음파신호의 비가청대역에 포함된 식별정보(ID)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ID에 기초하여, 콘텐츠 검색을 위한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ID는, (i) 셋탑박스를 식별하는 셋탑박스 ID; (ii) 상기 셋탑박스 ID 및 상기 셋탑박스에서 실행되는 채널연동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애플리케이션 ID; 및 (iii) 상기 셋탑박스 ID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방송 프로그램 ID;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파신호 처리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프로그램에 비가청대역 음파를 주입할 수 있는 여러 주체가 존재하는 경우 비가청대역 음파가 중첩되지 않도록 하여 시청자에게 제공하려는 정보를 손실없이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청자가 현재 시청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을 단말기에서 실행할 수 있고, 단말기 상에서 콘텐츠를 검색하고 선택하는 동작에 의해 시청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TV로 출력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TV 홈쇼핑 방식에서 TV의 리모콘으로만 콘텐츠를 검색하던 불편함을 없애고 보다 편리하게 홈쇼핑을 즐길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2는 일 실시예에서 채널연동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신호 처리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의 일부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신호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6은 도5의 단계(S200)를 대체할 수 있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7은 도5의 단계(S200)를 대체할 수 있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8은 도5의 단계(S200)를 대체할 수 있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9는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음파신호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이 적용된 주문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일부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12는 도10의 실시예에 따른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이 적용된 주문형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1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14는 도13의 실시예에 따른 음파신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15는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이 적용된 주문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16은 도15의 실시예에 따른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이 적용된 주문형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 "...부", "…모듈", "...보드",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100)은 셋탑박스(10)와 음파처리 서버(20)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그램 공급자(PP)(50), 플랫폼사(社)(60), 텔레비전(TV)(30) 등으로 구성된 방송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프로그램 공급자(Program Provider)(50)는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 또는 구매하는 사업자로서,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KBS, MBC 등의 공중파 방송사, Mnet, CJ 홈쇼핑, YTN, OCN 등의 케이블 채널 사업자 등이 될 수 있다. 프로그램 공급자(50)는 플랫폼사(60)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송출한다.
본 발명에서 플랫폼사(60)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공급자(50)가 제작 또는 구매한 방송 프로그램을 케이블 TV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사업자로서, 예컨대 각종 케이블 TV 방송국과 같은 SO(System Operator: 종합유선방송사업자), IPTV 사업자, 위성방송 사업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플랫폼사(60)는 전송망 사업자(NO: Network Operator)를 통해 케이블 TV 시청자에게 방송 프로그램을 송출할 수도 있다.
플랫폼사(60)에서 셋탑박스(10)로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아날로그 방송 시스템 또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사(60)는 송출탑을 이용한 지상파 방송, 위성을 이용한 위성방송, 유선을 이용한 유선방송, 또는 인터넷을 이용한 인터넷 방송 중 어느 하나로 방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을 브로드캐스팅, 유니캐스팅, 또는 멀티캐스팅 방식에 따라 셋탑박스(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사(60)가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방송 프로그램을 스트리밍 방식 또는 다운로드 방식에 의해 셋탑박스(1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방송 프로그램"은 예컨대 프로그램 공급자(10)가 방송을 위해 제작 또는 구매한 TV 프로그램의 동영상 파일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하나의 동영상 파일 또는 복수개의 동영상 파일의 묶음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송 프로그램은 비디오 트랙과 오디오 트랙을 포함하며 MPEG, MPEG2, MPEG2-TS, MXF, GXF, MOV, WMV, MP4 등의 동영상 파일 포맷 중 임의의 포맷으로 만들어진 동영상 파일일 수 있고, 스트리밍 방식으로 셋탑박스(30)로 전송되는 경우 방송 프로그램이 일련의 패킷(구체적 프로토콜에 따라 스트리밍 데이터의 전송단위의 명칭이 "패킷", "세그먼트", "프레그멘트", "파일" 등으로 불리울 수 있음)을 의미할 수도 있다.
프로그램 공급자(50)는 방송 프로그램에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다른 방송 프로그램과 식별하는 식별정보("방송 프로그램 ID")를 포함시킬 수 있다. 방송 프로그램 ID는 방송 프로그램을 다른 방송 프로그램과 구별하는 고유 식별정보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방송 프로그램 ID가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 중 비가청 대역에 삽입되어 전송될 수 있다고 전제한다.
"비가청 대역"은 사람의 청력으로 들을 수 없는 주파수 대역을 의미하며, 예컨대 18 내지 24 KHz 대역의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가청 음파 발생기(도시 생략)에 의해 비가청대역의 음파가 생성되고 이 비가청대역 음파에 방송 프로그램 ID와 같은 특정 정보가 주입된다.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음파의 생성은, 예를 들어 디지털 데이터인 특정 정보를 진폭변조(ASK), 주파수 변조(FSK), 시변화 변조(Chirp Modulation), 또는 위상변조(PSK)와 같은 다양한 변조 방식 중 하나에 의해 변조하고 이를 비가청 음파에 실음으로써, 비가청 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음파"는 물체의 진동이 매질(공기)을 통해 전파되어 사람이 청각으로 들을 수 있는 것으로, 특별히 구분의 필요성이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음향", "오디오", 또는 "사운드"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특정 정보가 심겨진 비가청 음파를 방송 프로그램에 삽입하는 것은 공지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한국 특허출원 제10-1448823호(시변 주파수 기반의 심볼을 이용한 음파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에 개시된 기술 혹은 한국 특허출원 제2014-0169557호(비가청 음파가 포함된 방송영상 파일 또는 스트리밍 패킷의 생성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는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에 개시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셋탑박스(10)는 TV(30)에 연결되어, 플랫폼사(60)를 통해 전송된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고 적절히 변환 및 처리하여 TV(30)의 화면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이 때 방송 프로그램 ID를 포함한 비가청대역의 신호도 가청대역의 오디오 신호와 함께 처리되어 TV(3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셋탑박스(10)는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된 비가청대역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음파신호 처리부(15)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음파신호 처리부(15)는 방송 프로그램에서 비가청대역 신호를 추출하는 기능, 추출한 비가청대역 신호에서 특정 정보(예컨대 방송 프로그램 ID)를 인식하는 기능, 및/또는 특정 정보를 비가청대역에 주입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파신호 처리부(15)는 방송 프로그램의 비가청대역에 방송 프로그램 I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음파신호 처리부(15)는 비가청대역 신호를 직접 분석하여 이러한 판단을 할 수도 있고, 외부 장치에서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1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100)이 셋탑박스(10)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음파처리 서버(20)를 포함하며, 이 실시예에서 셋탑박스의 음파신호 처리부(15)는 방송 프로그램의 비가청대역 신호를 추출하여 서버(20)로 전송하고, 서버(20)로부터 비가청대역에 방송 프로그램 ID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비가청대역에 방송 프로그램 ID가 존재하는지를 알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파신호 처리부(15)는 셋탑박스 ID, 방송 프로그램 ID, 및 애플리케이션 ID 중 적어도 하나를 비가청대역에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셋탑박스 ID"는 각 셋탑박스(10)마다 고유하게 할당되어 다른 셋탑박스와 구별하는 식별정보이며, 예를 들어 각 셋탑박스(10)의 IP 어드레스 및/또는 맥(MAC) 어드레스가 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ID"는 셋탑박스(10)내에서 특정 방송 채널과 연동되어 실행되는 채널연동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이다. 이 때 "채널연동 애플리케이션"은 셋탑박스(10) 내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일종이며, 시청자가 특정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을 때 그 특정 채널에 연동되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이다. 예를 들어 도2는 채널연동 애플리케이션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2는 특정 홈쇼핑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모습이며, 이 때 TV(30)의 화면에 해당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것과 동시에, 이 홈쇼핑 채널에 연동된 채널연동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화면의 일부분(예컨대 점선 사각형으로 표시한 영역(35))에 디스플레이 된다. 이 실시예에서 채널연동 애플리케이션은 현재 방송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상품이나 그에 연관된 다른 상품들 및 기타 정보를 시청자에게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일부 프로그램 공급자(50) 및/또는 플랫폼사(60)는 이러한 채널연동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여 셋탑박스(10)에 미리 설치해놓을 수 있고, 또는 방송 채널이 선택된 후에 채널의 방송신호를 통해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될 수도 있다. 시청자가 해당 채널을 통해 방송을 볼 때 이 채널연동 애플리케이션이 셋탑박스(10)에서 실행되어 도2에서와 같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며, 일 실시예에서 셋탑박스(10)의 음파신호 처리부(15)는 예컨대 셋탑박스 ID와 채널연동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ID를 방송 프로그램의 비가청대역에 삽입할 수 있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단말기(40)는 TV를 시청하는 시청자가 소지한 모바일 통신 장치로서, 예를 들면 셀룰라 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과 같은 통신 가능한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단말기(40)는 TV(3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인식하고, 인식한 음향 신호의 비가청 대역에 특정 정보(예컨대, 방송 프로그램 ID, 셋탑박스 ID, 또는 애플리케이션 ID)가 포함되어 있으면 그 특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추출한 특정 정보는 시청자에게 주문형 콘텐츠나 맞춤형 정보, 광고 등을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40)가 방송 프로그램 ID를 추출한 경우, 시청자가 현재 어떤 방송 프로그램을 보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광고제공 서버(도시 생략)에 전송하고, 광고제공 서버는 그에 따른 맞춤형 광고나 정보를 단말기(40)의 브라우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기(40)가 셋탑박스 ID를 추출한 경우, 셋탑박스 ID는 시청자의 위치를 알려주므로, 시청자의 위치를 고려한 광고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셋탑박스(10)가 공공장소, 가정, 또는 회사 등 어디에 설치되어 있는지에 따라 광고제공 서버(도시 생략)가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제 도3을 참조하여 음파신호 처리부(15)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신호 처리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음파신호 처리부(15)는 음파신호 필터링부(151), 음파신호 생성부(152), 및 판단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음파신호 필터링부(151)는 셋탑박스(10)가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를 필터링하여 비가청대역 신호를 추출하거나 제거한다. 음파신호 필터링부(151)는 예를 들어 고역통과 필터 또는 대역통과 필터로 구현될 수 있고, 오디오 신호에서 비가청대역의 신호를 제거하거나 비가청대역의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음파신호 생성부(152)는 셋탑박스 관련 식별정보(ID)를 포함하는 비가청대역의 ID포함 음파를 생성하는 기능부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셋탑박스 관련 ID"는, (i) 셋탑박스를 식별하는 셋탑박스 ID; (ii) 셋탑박스 ID 및 상기 셋탑박스에서 실행되는 채널연동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애플리케이션 ID; (iii) 셋탑박스 ID 및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방송 프로그램 ID; (iv) 셋탑박스 ID, 애플리케이션 ID, 및 방송 프로그램 ID; 중 적어도 하나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하기로 한다.
음파신호 생성부(152)는 셋탑박스 관련 ID를 포함하는 비가청대역의 음파신호(이하 "ID포함 음파"라고도 함)를 생성하고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와 동시에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음파신호 생성 및 출력 동작은 셋탑박스가 TV로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동안 계속하여(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대안적으로, 일정 시간 주기나 기설정된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특정 방송 프로그램이 TV를 통해 방송되는 동안에, 기설정된 주기마다 셋탑박스 ID 또는 애플리케이션 ID를 포함한 소정 길이의 비가청대역 음파를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프로그램에 비가청 음파를 삽입하는 기술은 예를 들어 한국 특허출원 제2014-0169557호(비가청 음파가 포함된 방송영상 파일 또는 스트리밍 패킷의 생성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는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 등의 공지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정보를 비가청 음파에 삽입하거나 음파신호에 삽입된 특정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은 한국 특허출원 제2012-0038120호(음향 시스템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위치 추정 방법 및 위치 추정 시스템과 이에 사용되는 음향 시스템), 한국 특허출원 제2012-0078410호(근접성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시스템), 한국 특허출원 제2012-0053286호(스피커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추정 시스템), 한국 특허출원 제2013-0107604호(시변 주파수 기반의 심볼을 이용한 음파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한국 특허출원 제2015-0118809호(훈련열 동기화 위치 추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신기) 등에 개시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특허출원의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들은 모두 본원 명세서에 결합되어 본원 명세서의 일부로서 취급되어야 한다.
판단부(153)는 셋탑박스(10)가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비가청대역에 방송 프로그램 ID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셋탑박스 관련 ID를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와 함께 TV로 출력할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판단부(153)가 비가청대역에 방송 프로그램 I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음파신호 필터링부(151)에서 추출한 비가청대역의 음파신호를 제공받고 이 음파신호에 방송 프로그램 ID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비가청대역에 방송 프로그램 ID가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단이 셋탑박스(10)의 외부의 장치, 예컨대 음파처리 서버(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셋탑박스(10)는 음파신호 필터링부(151)에서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의 비가청대역 음파를 서버(20)로 전송하고, 서버(20)는 이 비가청대역 음파에 방송 프로그램 ID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 후 판단 결과를 셋탑박스(10)로 전달할 수 있다.
판단부(153)는 방송 프로그램 또는 이 방송 프로그램을 셋탑박스(10)로 전송하는 방송 채널에 기초하여, 셋탑박스 관련 ID를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와 함께 TV를 통해 출력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153)는 셋탑박스를 통해 현재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 또는 이 때의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즉, 현재 시청자가 어떤 방송 채널에서 어떤 방송을 보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판단 동작은 기설정된 일정 주기나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청자가 셋탑박스를 조작하여 방송 채널을 변경하는 경우, 방송 채널이 변경될 때마다 방송 프로그램에 셋탑박스 ID 또는 애플리케이션 ID를 삽입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판단부(153)는 셋탑박스 관련 ID를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와 함께 TV를 통해 출력할지 여부를 판단할 때, 사용자가 음파 출력 기능을 옵트아웃(Opt-out) 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상술한 음파신호 처리부(15)는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파신호 필터링부(151)는 고역통과필터나 대역통과필터와 같은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고 음파신호 생성부(152)와 판단부(153)의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음파신호 처리부(15) 중 일부 기능이 셋탑박스 외부의 장치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파신호 필터링부(151)와 판단부(153) 중 적어도 하나가, 셋탑박스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서버(예컨대 음파처리 서버(20))에서 실행될 수 있고, 셋탑박스(10)는 서버(20)에서 실행된 판단의 결과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10)의 일부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셋탑박스(1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및 저장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셋탑박스(10)는 플랫폼사(60)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예컨대 튜너, 변조기/복조기, 영상 및 음성 디코더, 인터페이스 단자 등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도4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모두 생략하였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채널연동 애플리케이션(11)과 음파신호 처리 소프트웨어(155)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요소만 도시하였다.
저장장치(130)는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수단으로, 예컨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등의 자기 기록매체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장치(130)는 채널연동 애플리케이션(11) 및/또는 음파신호 처리 소프트웨어(155)를 저장할 수 있다. 채널연동 애플리케이션(11), 음파신호 처리 소프트웨어(155) 등 각종 소프트웨어는 저장장치(130)에 저장되어 있다가 프로세서(110)의 제어 하에 메모리(120)에 로딩되어 실행될 수 있다.
채널연동 애플리케이션(11)은 도1과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홈쇼핑과 같은 일부 프로그램 공급자(50)의 방송 채널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될 때 이 방송 채널과 연동되어 셋탑박스(1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다.
음파신호 처리 소프트웨어(155)는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 음파신호 처리부(15) 중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부분을 의미하며, 음파신호 필터링부(151)의 적어도 일부, 음파신호 생성부(152)의 적어도 일부, 또는 판단부(153)의 적어도 일부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채널연동 애플리케이션(11)과 음파신호 처리 소프트웨어(155)를 각각 하나의 블록으로 표시했지만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채널 연동 애플리케이션(11)이 음파를 처리(예컨대 음파의 생성, 필터링, 출력 등)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파신호 처리 소프트웨어(155)의 적어도 일부가 채널연동 애플리케이션(11)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셋탑박스(10)에서 음파신호를 처리하는 예시적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단계(S110)에서 셋탑박스(10)가 플랫폼사(60)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한다. 그 후 단계(S120)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를 TV로 출력할 때 셋탑박스 관련 ID를 함께 출력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 판단 단계(S120)는,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프로그램을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방송 채널에 기초해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이 판단 단계(S120)는 방송 채널이 변경될 때마다 실행될 수 있고, 기설정된 시간주기 또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수행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단계(S120)에서 셋탑박스 관련 ID를 출력하지 않기로 판단하면, 단계(S180)로 진행되어, 방송 프로그램의 기존 비가청대역 신호을 제거하거나 새로운 정보를 삽입하지 않고, 플랫폼사(60)로부터 전송받은 방송 프로그램을 그대로 TV(3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이 판단 단계(S120)는 사용자가 셋탑박스(10)의 음파 출력 기능을 옵트아웃(Opt-out) 하였는지 여부를 추가로 고려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셋탑박스(10)를 조작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를 듣지 않거나 또는 비가청대역 음파를 듣지 않기로 설정한 경우, 판단 단계(S120)에서는 셋탑박스 관련 ID를 출력하지 않기로 판단하여 단계(S180)로 진행시킬 수 있다.
단계(S120)에서 방송 프로그램에 셋탑박스 관련 ID를 출력하기로 판단한 경우, 셋탑박스(10)는 방송 프로그램에서 비가청대역 신호를 추출하고(S130), 이 추출한 비가청대역 신호에 방송 프로그램 ID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방송 프로그램의 비가청대역에 셋탑박스 관련 ID가 존재하는 경우, 셋탑박스(10)는 방송 프로그램의 비가청대역 신호를 제거한다(S150). 일 실시예에서 이 단계(S150)는, 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를 고역통과필터 또는 대역통과필터에 통과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비가청대역 신호를 제거하면 그 후 단계(S160)에서, 셋탑박스 관련 ID를 포함하는 비가청대역 음파(즉 "ID포함 음파")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 단계(S160)는 방송 프로그램이 TV를 통해 방송되는 동안 계속하여(연속적으로) 실행될 수 있고, 대안적으로, 일정 주기마다 또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실행될 수 있다. 그 후 단계(S170)에서, ID포함 음파를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와 함께 TV로 출력한다.
만일 단계(S140)에서 방송 프로그램 ID가 비가청대역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기존의 비가청대역 신호를 제거할 필요없이 단계(S160)로 진행할 수 있다.
도5의 흐름도에서 두 번의 판단 단계(S120,S140)가 셋탑박스(10) 내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이 단계(S120,S140) 중 적어도 하나의 판단 단계가 상기 셋탑박스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서버(예컨대 음파처리 서버(20))에서 실행되고, 셋탑박스는 서버에서 실행된 판단의 결과를 수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6은 도5의 단계(S200)를 대체할 수 있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셋탑박스(10)가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한 이후, 셋탑박스 관련 ID를 출력할지 여부를 판단하고(S211), 출력하기로 판단하면 방송 프로그램에서 비가청대역 신호를 추출한다(S212). 이 단계들(S211,S212)은 도5의 단계들(S120,S130)과 동일하다.
그 후 셋탑박스(10)는 비가청대역에 방송 프로그램 ID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문의하기 위해, 추출한 비가청대역 신호를 외부 장치, 예컨대 도1의 음파처리 서버(20)로 전송한다(S213). 이 때 단계(S213)에서 셋탑박스(10)는 이 셋탑박스를 통해 현재 방송하는 방송 프로그램이나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서버(20)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는 비가청대역 신호에 특정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방송 프로그램 ID 리스트를 포함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에 따라, 서버(20)는 셋탑박스(10)로부터 수신한 비가청대역 신호에 방송 프로그램 I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14).
그 후 서버(20)는 상기 비가청대역에 상기 방송 프로그램 ID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판단 결과를 셋탑박스(10)로 전송하고(S215), 셋탑박스(10)는 이 수신 결과에 기초하여 도5의 후속 단계들(S150~S170)을 실행할 수 있다.
비가청대역에 셋탑박스 관련 ID를 삽입할지 판단하는 단계(S211)는 비가청대역에 방송 프로그램 ID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S212~S214)와 별개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S211 단계가 S212 단계에서 S215 단계 사이의 임의의 시간 위치에서 실행될 수 있고 S215 단계 이후에 실행될 수 있다.
도7은 도5의 단계(S200)를 대체할 수 있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셋탑박스(10)가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한 이후, 셋탑박스 관련 ID를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와 함께 TV로 출력할지 여부를 판단하고(S211), 출력하기로 판단하면, 비가청대역에 방송 프로그램 ID가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단을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음파처리 서버(20)에 전송한다(S222). 이 때 단계(S222)에서 셋탑박스(10)는 이 셋탑박스를 통해 현재 방송하는 방송 프로그램이나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는 자체적으로 셋탑박스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거나 임의의 셋탑박스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전제하면, 단계(S2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버(20)는 셋탑박스(10)와 독립적으로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22)에서 셋탑박스(10)로부터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서버(20)는 셋탑박스(10)가 수신하는 것과 동일한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이 방송 프로그램에서 비가청대역 신호를 추출하고(S224), 이 추출한 비가청대역 신호에 방송 프로그램 ID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5). 그 후 서버(20)는 판단 결과를 셋탑박스(10)로 전송하고(S226), 이에 따라 셋탑박스(10)는 비가청대역에 방송 프로그램 I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도8은 도5의 단계(S200)를 대체할 수 있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셋탑박스(10)가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한 이후, 셋탑박스 관련 ID를 출력할지 여부의 판단 및 비가청대역에 방송 프로그램 ID가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단을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음파처리 서버(20)에 전송한다(S231). 이 때 단계(S231)에서 셋탑박스(10)는 이 셋탑박스를 통해 현재 방송하는 방송 프로그램이나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서버(20)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는 자체적으로 셋탑박스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거나 임의의 셋탑박스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전제하므로, 단계(S2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버(20)는 셋탑박스(10)와 독립적으로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고, 단계(S231)에서 셋탑박스(10)로부터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서버(20)는 셋탑박스(10)가 수신하는 것과 동일한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게 된다. 서버(20)는 셋탑박스 관련 ID를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와 함께 TV로 출력할지 여부를 판단하고(S233), 출력하기로 판단하면, 방송 프로그램에서 비가청대역 신호를 추출한다(S234).
그 후 서버(20)는 추출한 비가청대역 신호에 방송 프로그램 ID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35), 판단 결과를 셋탑박스(10)로 전송하며(S236), 이에 따라 셋탑박스(10)는 비가청대역에 방송 프로그램 I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도9는 대안적 실시예에 따라 셋탑박스(10)에서 음파신호를 처리하는 예시적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5와 비교할 때 도9의 단계(S310) 및 단계들(S360~370)은 도5의 단계(S110) 및 단계들(S150~S170)에 각각 대응하며, 비가청대역 신호의 추출 및 판단 단계(S400)의 순서가 도5의 단계(S200)의 순서와 상이하다.
도9를 참조하면, 셋탑박스(10)가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면(S310), 이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에서 비가청대역 신호를 추출하고(S320), 비가청대역에 방송 프로그램 ID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330). 그리고 단계(S340)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를 TV로 출력할 때 셋탑박스 관련 ID를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와 함께 출력할지를 판단한다. 방송 프로그램 ID가 존재하고 셋탑박스 관련 ID를 출력하기로 판단한 경우(S340_Y), 단계(S360) 이하로 진행하여 기존 비가청대역 신호를 삭제하고 셋탑박스 관련 ID를 비가청대역에 삽입한 후 방송 프로그램을 TV로 출력한다(S360~S380).
방송 프로그램 ID가 존재하지만 셋탑박스 관련 ID를 출력하지 않기로 판단한 경우(S340_N), 기존 비가청대역 신호를 삭제하거나 새로운 정보를 삽입하지 않고 원래의 방송 프로그램 그대로를 TV로 출력한다(S390).
일 실시예에서, 방송 프로그램 ID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셋탑박스 관련 ID를 삽입할지 여부의 판단에 따라 단계(S360)로 진행하거나 단계(S380)로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도9의 각 단계의 구체적 구성은 도5의 각 단계에 대응되고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각 단계의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도9의 흐름도에서 단계(S400)가 셋탑박스(10) 내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이 단계(S400) 내의 적어도 일부 단계가 외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2번의 판단 단계(S330,S340) 중 적어도 하나의 판단 단계가 셋탑박스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서버(예컨대 음파처리 서버(20))에서 실행되고, 셋탑박스(10)는 서버(20)에서 실행된 판단의 결과를 수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도6 내지 도8의 흐름도가 도9의 단계(S400)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이 적용된 주문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셋탑박스(10), 음파처리 서버(20), TV(30), 단말기(40), 프로그램 공급자(50), 플랫폼사(60), 중계서버(70), 및 VOD 서버(80)를 포함하는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도10에서 셋탑박스(10), 음파처리 서버(20), TV(30), 단말기(40), 프로그램 공급자(50), 플랫폼사(60)는 도1에 도시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거나 부가되는 구성 또는 기능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중계서버(70)는 인터넷 등의 유선/무선 통신망을 통해 셋탑박스(10)와 연결되어 있고, 셋탑박스(10)와 단말기(40) 간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탑박스(10)는 음파신호를 통해 단말기(40)로 전송하려는 셋탑박스 관련 ID 중 적어도 일부 ID를 중계서버(70)에 전송하고, 단말기(40)는 중계서버(70)로부터 이 일부 ID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셋탑박스 관련 ID 중 셋탑박스 ID는 비가청음파 신호에 삽입되어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와 함께 TV로 출력되어 단말기(40)로 전달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ID 및/또는 방송 프로그램 ID는 중계서버(70)를 통해 단말기(40)로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셋탑박스(10)는, 셋탑박스 ID를 비가청대역 음파에 삽입하고 이를 TV를 통해 출력하는 것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애플리케이션 ID 및/또는 방송 프로그램 ID를 중계서버(70)로 전송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음파처리 서버(20)와 중계서버(70)를 따로 도시하였지만, 일 실시예에서 두 서버(20,70)가 물리적으로 동일한 서버일 수도 있고 별개의 서버일 수도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VOD 서버(80)는 다양한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으며 개별 시청자의 요청에 따라 각 시청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여기서 "콘텐츠"는 상품과 같은 구체적 물건; 방송 프로그램, 음악, 영화, 동영상, 광고 등의 멀티미디어; 기타 거래의 대상이 되는 유형/무형의 물건/서비스를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홈쇼핑을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VOD 서버(80)는 공중파나 케이블 방송국 등의 프로그램 공급자(50)가 운영할 수도 있고 IPTV, 케이블사, 위성방송사 등의 플랫폼사(60)가 운영할 수도 있다.
단말기(40)는 TV를 시청하는 시청자가 소지한 모바일 통신 장치로서, 예를 들면 셀룰라 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과 같은 통신 가능한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단말기(40)는 TV(3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인식하고, 인식한 음향 신호의 비가청 대역에 특정 정보(예컨대, 방송 프로그램 ID, 셋탑박스 ID, 또는 애플리케이션 ID)가 포함되어 있으면 그 특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음파신호에 삽입된 특정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은 상술한 특허(예컨대 한국 특허출원 제2012-0038120호, 제2012-0078410호, 제2013-0107604호, 제2015-0118809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40)의 일부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11을 참조하면, 단말기(40)는 프로세서(410), 메모리(420), 및 저장장치(4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40)는 디스플레이 등 다른 구성요소를 갖지만 도11에서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러한 다른 구성요소들이 모두 생략되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저장장치(430)는 운영체제 및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수단으로, 예컨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등의 자기 기록매체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저장장치(430)는 음파신호 처리 애플리케이션(441) 및 복수개의 콘텐츠 애플리케이션(443)을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40)는 각각 단말기 내에서 실행될 수 있는 복수개의 콘텐츠 애플리케이션(443)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콘텐츠 애플리케이션(443)의 각각은 사용자에게 판매할 콘텐츠를 보여주고 사용자가 단말기(40) 상에서 콘텐츠를 검색, 선택, 및 구매하는 것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일부 프로그램 공급자(50)마다 적어도 하나씩의 콘텐츠 애플리케이션(443)를 단말기(4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공급자(50) 중 CJ 홈쇼핑, 롯데 홈쇼핑, GS 홈쇼핑 등의 프로그램 공급자(50)는 각자의 홈쇼핑에서 판매하는 콘텐츠를 보여주기 위한 콘텐츠 애플리케이션(443)을 제작하여 단말기(40)에 배포할 수 있다. 복수개의 콘텐츠 애플리케이션 등 각종 소프트웨어는 단말기의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다가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메모리에 로딩되어 실행될 수 있다.
각각의 콘텐츠 애플리케이션(443)은 음파신호 처리 모듈(441)을 포함할 수 있다. 음파신호 처리 모듈(441)은 단말기(40)가 TV(3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파신호를 수신하고 음파신호에서 비가청대역 신호를 추출하고 이로부터 특정 정보(예컨대, 셋탑박스 관련 I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분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다. 음파신호에 삽입된 특정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은 상술한 특허(예컨대 한국 특허출원 제2012-0038120호, 제2012-0078410호, 제2013-0107604호, 제2015-0118809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음파신호 처리 모듈(441)은 각 콘텐츠 애플리케이션(443)에 독립적으로 삽입되어 구현될 수 있고, 대안적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콘텐츠 애플리케이션(443)이 하나의 음파신호 처리 모듈의 기능을 공유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콘텐츠 애플리케이션(443) 등 각종 소프트웨어는 단말기의 저장장치(430)에 저장되어 있다가 프로세서(410)의 제어 하에 메모리에 로딩되어 실행될 수 있다.
도12는 도10의 실시예에 따른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이 적용된 주문형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단계(S510)에서, 셋탑박스(10)가 식별정보(ID)를 포함하는 비가청대역의 음파("ID포함 음파")를 생성하고 이를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와 함께 TV를 통해 출력한다.
이 때 일 실시예에서 상기 ID 포함 음파는 셋탑박스 ID를 포함한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ID포함 음파는 애플리케이션 ID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 ID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ID포함 음파에 포함되는 ID는, (i) 셋탑박스를 식별하는 셋탑박스 ID; (ii) 상기 셋탑박스 ID 및 상기 셋탑박스에서 실행되는 채널연동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애플리케이션 ID; 및 (iii) 상기 셋탑박스 ID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방송 프로그램 ID; 중 하나일 수 있다.
한편 ID포함 음파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이 단계(S510)는 도5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 음파처리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셋탑박스(10)가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면, 이 방송 프로그램의 비가청대역에 방송 프로그램 ID가 포함되었는지 여부 및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를 TV로 출력할 때 셋탑박스 관련 ID를 함께 출력할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기존 비가청대역 신호를 삭제하고 셋탑박스 관련 ID를 포함하는 ID포함 음파를 생성하여 이를 TV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도12를 참조하면, 셋탑박스(10)가 ID포함 음파를 TV를 통해 출력하기 전에 단말기(40)에서 어느 특정 콘텐츠 애플리케이션(443)이 실행되고 있다고 가정한다(S520). 콘텐츠 애플리케이션(443)은 단말기(4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며 실행될 수도 있고 백그라운드 상에서(즉, 단말기의 화면에서는 보이지 않게) 실행될 수도 있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콘텐츠 애플리케이션(443)의 음파신호 처리 모듈(441)이 실행되고 있다.
단계(S510)에서 셋탑박스(10)가 ID포함 음파를 TV를 통해 출력하면, 단말기(40)가 TV에서 출력되는 음파신호를 수신하고 이 음파신호의 비가청대역에 포함된 식별정보(ID)를 추출하고(S520), 추출된 ID에 기초하여, 콘텐츠 애플리케이션(443)의 화면을 전환한다(S540). 여기서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전환하는 것은, 예를 들어 (i) 백그라운드 상에서 실행되는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을 단말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 (ii) 이미 단말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 화면을 갱신하는 것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단계(S540)에서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이 전환되면, 그 후 단계(S550)에서 해당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 때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일 예로서, 예컨대 선택된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작은 아이콘으로 단말기(4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이 아이콘을 클릭(또는 터치)함으로써 해당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선택된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방법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40)에서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시청자는 콘텐츠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고, 시청자가 어느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면(S560) 이 선택된 정보가 셋탑박스(10)로 전송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 콘텐츠 선택 정보가 중계서버(70)를 거쳐서 셋탑박스(10)로 전달될 수 있다.
셋탑박스(10)는 시청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VOD 서버(80)에 요청하고(S570), VOD 서버(80)는 요청받은 콘텐츠를 셋탑박스(10)로 전송하며, 이를 수신한 셋탑박스(10)는 해당 콘텐츠를 TV(30)를 통해 출력한다(S580).
그러므로 이상과 같이 상술한 방법을 통해, 시청자는 현재 시청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을 단말기(40)에서 실행할 수 있고 단말기(40)상에서 콘텐츠를 검색하고 선택하는 동작에 의해 시청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TV(30)로 출력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TV 홈쇼핑 방식에서 TV의 리모콘으로만 콘텐츠를 검색하던 불편함을 없애고 보다 편리하게 홈쇼핑을 즐길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제 도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셋탑박스 ID는 셋탑박스들 간에 서로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이므로 많은 비트의 길이를 가진다. 예를 들어 셋탑박스 ID로서 IP 어드레스나 MAC 어드레스를 사용할 경우 각각 32비트, 48비트가 필요하고 IPv6를 사용할경우 128비트나 필요하다. 그러나 음파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양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셋탑박스 ID를 음파신호로 전송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도13에 도시한 일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은 셋탑박스(10) 및 ID 관리서버(90)를 포함할 수 있다. 셋탑박스(10), TV(30), 단말기(40)는 도1에 도시한 실시예의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13에서 ID 관리서버(90)는 셋탑박스(10)에게 작은 비트수의 임시 식별정보(ID)를 할당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에 따라, 원래의 셋탑박스 ID가 큰 비트수를 가지더라도 음파신호를 통해 셋탑박스 ID를 단말기(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4는 도13의 실시예에 따른 음파신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을 참조하면, 우선 단계(S610)에서, 임시 ID 할당 요청과 함께 셋탑박스 관련 ID를 ID 관리서버(90)로 전송한다. 이 때 셋탑박스 관련 ID는 예를 들어 셋탑박스 ID, 및 애플리케이션 ID와 방송 프로그램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620)에서 ID 관리서버(90)는 셋탑박스(10)에 할당할 임시 ID를 생성하여 할당한다. 이 때 임시 ID는 원래의 셋탑박스 ID보다 작은 비트수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음파신호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비트수를 가진다. ID 관리서버(90)가 임시 ID를 생성하여 할당할 때, ID 관리서버(90)는 임시 ID에 매칭하여 해당 셋탑박스의 원래의 셋탑박스 ID, 애플리케이션 ID, 방송 프로그램 ID 등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또는 저장장치)에 함께 기록한다.
단계(S630)에서 ID 관리서버(90)는 임시 ID를 셋탑박스(10)에 전송하고, 셋탑박스(10)는 이 임시 ID를 포함하는 비가청대역의 음파를 생성하고 이를 TV를 통해 출력한다(S640).
단말기(40)는 TV를 통해 비가청대역의 음파신호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임시 ID를 추출하고(S650), 추출한 임시 ID를 ID 관리서버(90)로 전송한다(S660). 단말기(40)로부터 임시 ID를 수신한 ID 관리서버(90)는, 이 임시 ID에 매칭되는 정보들(예컨대 셋탑박스 ID, 애플리케이션 ID, 방송 프로그램 ID 등) 중 필요한 정보를 단말기(40)로 전송한다(S670).
이 때 단계(S670)에서 ID 관리서버(90)가 셋탑박스 ID 등의 정보를 단말기(40)에 전송할 수도 있지만, 일 실시예의 경우, 단말기(40)가 시청자가 현재 어떤 방송 채널 또는 어떤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지에 관한 정보만 필요하다면, 이 경우에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ID 또는 방송 프로그램 ID 등의 정보만 단말기(40)에 전송해도 무방하다.
한편, 셋탑박스(10)가 동작하는 동안에만 임시 ID가 필요하며 셋탑박스(10)의 전원이 꺼졌을 때에는 임시 ID의 관리를 위해 데이터베이스(또는 저장장치)에 저장되었던 해당 셋탑박스에 대한 정보를 삭제해야 하므로, 바람직하게는 셋탑박스(10)가 동작하는 동안에는 일정 주기마다 자신의 존재를 ID 관리서버(90)에 알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현재 동작하고 있는 셋탑박스(10)들은 일정 주기마다 소정 데이터 신호를 ID 관리서버(90)에 전송하고, ID 관리서버(90)는 일정 주기마다 체크를 하여 더 이상 소정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셋탑박스는 전원이 꺼진 것으로 간주하여 해당 셋탑박스의 임시 ID 및 이에 매칭되어 저장된 기록들을 삭제할 수 있다.
도15는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이 적용된 주문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셋탑박스(10), 음파처리 서버(20), TV(30), 단말기(40), 프로그램 공급자(50), 플랫폼사(60), ID 관리서버(90), 및 VOD 서버(80)를 포함하는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도15에서 셋탑박스(10), 음파처리 서버(20), TV(30), 단말기(40), 프로그램 공급자(50), 플랫폼사(60), VOD 서버(80)는 도1 또는 도10에 도시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15의 실시예에서 ID 관리서버(90)는 도13 및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한 ID 관리서버(90)의 기능을 포함한다. 즉 ID 관리서버(90)는 셋탑박스(10)와 단말기(40) 사이의 음파 통신시 셋탑박스(10)에 대한 임시 ID를 발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ID 관리서버(90)는 도10에 도시한 중계서버(70)의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셋탑박스(10)는 음파신호를 통해 단말기(40)로 전송하려는 셋탑박스 관련 ID 중 적어도 일부 ID를 ID 관리서버(90)에 전송하고, 단말기(40)는 ID 관리서버(90)로부터 이 일부 ID를 수신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음파처리 서버(20)와 ID 관리서버(90)를 따로 도시하였지만, 일 실시예에서 두 서버(20,90)가 물리적으로 동일한 서버일 수도 있고 별개의 서버일 수도 있다. 또한 대안적 실시예에서, 중계서버(70)가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다. 즉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음파처리 서버(20), 중계서버(70), 및 ID 관리서버(90)가 모두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적어도 두 개의 서버가 기능적으로 결합되어 존재할 수도 있다.
도16은 도15의 실시예에 따른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이 적용된 주문형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단계(S710)에서, 셋탑박스(10)가 식별정보(ID)를 포함하는 비가청대역의 음파("ID포함 음파")를 생성하고 이를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와 함께 TV를 통해 출력한다.
이 때 일 실시예에서 상기 ID 포함 음파는 도13 및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임시 셋탑박스 ID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즉 단계(S710)의 전에 도14의 단계(S610 내지 S630)가 수행되었고, 도16의 단계(S710)는 도14의 단계(S640)에 대응한다고 볼 수 있다.
셋탑박스(10)가 ID포함 음파를 TV를 통해 출력하기 전에 단말기(40)에서 어느 특정 콘텐츠 애플리케이션(443)이 실행되고 있다고 가정한다(S720). 콘텐츠 애플리케이션(443)은 단말기(4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며 실행될 수도 있고 백그라운드 상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콘텐츠 애플리케이션(443)의 음파신호 처리 모듈(441)이 실행되고 있다.
셋탑박스(10)가 임시 ID를 포함하는 ID포함 음파를 TV를 통해 출력하면, 단말기(40)(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단말기의 콘텐츠 애플리케이션(443)의 음파신호 처리 모듈(441))가 TV에서 출력되는 음파신호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임시 ID를 추출하고(S730), 추출한 임시 ID를 ID 관리서버(90)로 전송한다(S740). 단말기(40)로부터 임시 ID를 수신한 ID 관리서버(90)는, 이 임시 ID에 매칭되는 정보들(예컨대 셋탑박스 ID, 애플리케이션 ID, 방송 프로그램 ID 등) 중 필요한 정보를 단말기(40)로 전송한다(S750).
그 후 단말기(40)는 ID 관리서버(90)로부터 수신한 정보들에 기초하여 콘텐츠 애플리케이션(443)의 화면을 전환한다(S760). 여기서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전환하는 것은, 예를 들어 (i) 백그라운드 상에서 실행되는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을 단말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 (ii) 이미 단말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 화면을 갱신하는 것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단말기(40)에서 콘텐츠 애플리케이션(443)의 화면이 전환되면, 시청자는 콘텐츠 애플리케이션(443) 상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고, 시청자가 어느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면(S770) 이 선택된 정보가 셋탑박스(10)로 전송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 콘텐츠 선택 정보가 ID 관리서버(90)를 거쳐서 셋탑박스(10)로 전달될 수 있다.
셋탑박스(10)는 시청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VOD 서버(80)에 요청하고(S780), VOD 서버(80)는 요청받은 콘텐츠를 셋탑박스(10)로 전송하며(S790), 이를 수신한 셋탑박스(10)는 해당 콘텐츠를 TV(30)를 통해 출력한다(S795).
이상과 같이 상술한 방법을 통해, 시청자는 단말기(40)상에서 콘텐츠를 검색하고 선택하는 동작에 의해 시청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TV(30)로 출력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TV 홈쇼핑 방식에서 TV의 리모콘으로만 콘텐츠를 검색하던 불편함을 없애고 보다 편리하게 홈쇼핑을 즐길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상술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셋탑박스
20: 음파처리 서버
30: TV
40: 단말기
50: 프로그램 공급자
60: 플랫폼사
70: 중계 서버
80: VOD 서버
90: ID 관리서버

Claims (19)

  1.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TV로 제공하는 셋탑박스에서 음파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를 TV로 출력할 때 셋탑박스 관련 ID를 함께 출력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 단계;
    상기 셋탑박스 관련 식별정보(ID)를 출력하기로 판단한 경우, 상기 셋탑박스 관련 ID를 포함하는 비가청대역의 ID포함 음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ID포함 음파를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와 함께 TV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셋탑박스 관련 ID는, (i) 셋탑박스를 식별하는 셋탑박스 ID; 및 (ii) 상기 셋탑박스에서 실행되는 채널연동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애플리케이션 ID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방송 프로그램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신호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단 단계가 상기 셋탑박스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서버에서 실행되고,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서버에서 실행된 판단의 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신호 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D포함 음파를 생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비가청대역에 상기 방송 프로그램 ID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제2 판단 단계; 및
    상기 제2 판단의 결과 상기 비가청대역에 방송 프로그램 ID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비가청대역 신호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신호 처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판단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판단 단계가 상기 셋탑박스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서버에서 실행되고,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서버에서 실행된 판단의 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신호 처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 또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방송 채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판단 단계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신호 처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방송 채널이 변경될 때마다 상기 제1 판단 단계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신호 처리 방법.
  7.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된 음파신호를 처리하는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으로서,
    셋탑박스 또는 상기 셋탑박스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서버에서 동작가능하고,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음파 신호를 필터링하여 비가청대역 신호를 추출하거나 제거하도록 구성된 음파신호 필터링부;
    상기 셋탑박스에서 동작가능하고, 셋탑박스 관련 식별정보(ID)를 포함하는 비가청대역의 ID포함 음파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음파신호 생성부; 및
    상기 셋탑박스 또는 상기 서버에서 동작가능하고, 상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비가청대역에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방송 프로그램 ID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를 TV로 출력할 때 셋탑박스 관련 ID를 함께 출력할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 관련 ID는, (i) 셋탑박스를 식별하는 셋탑박스 ID; 및 (ii) 상기 셋탑박스에서 실행되는 채널연동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애플리케이션 ID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방송 프로그램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가, 상기 방송 프로그램 또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방송 채널에 기초하여, 상기 셋탑박스 관련 ID를 함께 출력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
  10.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TV로 제공하는 셋탑박스에서 TV 시청자에게 주문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셋탑박스를 식별하는 셋탑박스 ID가 포함된 비가청대역의 ID포함 음파를 생성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와 함께 TV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ID포함 음파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상기 셋탑박스 ID를 추출한 단말기로부터, 콘텐츠의 선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선택된 상기 콘텐츠를 주문형 콘텐츠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형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여 TV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셋탑박스에서 실행되는 채널연동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애플리케이션 ID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방송 프로그램 ID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TV를 통해 출력하거나 상기 셋탑박스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ID포함 음파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ID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 ID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ID포함 음파를 생성하여 TV로 출력하는 단계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상기 셋탑박스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ID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 ID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ID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 ID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ID 또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 ID에 기초하여, 콘텐츠 검색을 위한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ID포함 음파를 생성하여 TV로 출력하는 단계가,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비가청대역에 방송 프로그램 ID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를 TV로 출력할 때 셋탑박스 관련 ID를 함께 출력할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셋탑박스 관련 ID를 비가청대역 음파에 주입하여 상기 ID포함 음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셋탑박스 관련 ID는, (i) 상기 셋탑박스 ID; 및 (ii) 상기 애플리케이션 ID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ID포함 음파를 생성하여 TV로 출력하는 단계가,
    셋탑박스 관련 ID를 상기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셋탑박스를 식별할 수 있는 임시 셋탑박스 ID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 셋탑박스 ID를 비가청대역 음파에 주입하여 상기 ID포함 음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셋탑박스 관련 ID는, (i) 상기 셋탑박스 ID; 및 (ii) 상기 애플리케이션 ID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6.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TV용 셋탑박스를 통해 TV 시청자에게 주문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TV에서 출력되는 음파신호를 수신하고 이 음파신호의 비가청대역에 포함된 식별정보(ID)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ID에 기초하여, 콘텐츠 검색을 위한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소정 콘텐츠가 선택되면 이 선택 결과를 상기 셋탑박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ID는, (i) 셋탑박스를 식별하는 셋탑박스 ID; (ii) 상기 셋탑박스 ID 및 상기 셋탑박스에서 실행되는 채널연동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애플리케이션 ID; 및 (iii) 상기 셋탑박스 ID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방송 프로그램 ID;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ID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 ID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TV에서 출력되는 음파신호를 통해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중계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가 상기 콘텐츠 선택 결과를 수신하면, 이 선택된 콘텐츠를 주문형 콘텐츠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주문형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면 TV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9. TV용 셋탑박스를 통해 TV 시청자에게 주문형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TV에서 출력되는 음파신호를 처리하는 음파신호 처리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음파신호 처리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단말기의 메모리에 로딩되어 상기 단말기 상에서 음파신호 처리 방법을 실행하며,
    상기 음파신호 처리 방법은,
    TV에서 출력되는 음파신호를 수신하고 이 음파신호의 비가청대역에 포함된 식별정보(ID)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ID에 기초하여, 콘텐츠 검색을 위한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ID는, (i) 셋탑박스를 식별하는 셋탑박스 ID; (ii) 상기 셋탑박스 ID 및 상기 셋탑박스에서 실행되는 채널연동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애플리케이션 ID; 및 (iii) 상기 셋탑박스 ID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방송 프로그램 ID;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파신호 처리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60053449A 2016-04-29 2016-04-29 음파신호 처리 방법 및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주문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23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449A KR20170123991A (ko) 2016-04-29 2016-04-29 음파신호 처리 방법 및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주문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449A KR20170123991A (ko) 2016-04-29 2016-04-29 음파신호 처리 방법 및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주문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447A Division KR20170123586A (ko) 2017-09-26 2017-09-26 음파신호 처리 방법 및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주문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991A true KR20170123991A (ko) 2017-11-09

Family

ID=60385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449A KR20170123991A (ko) 2016-04-29 2016-04-29 음파신호 처리 방법 및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주문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39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1692A (zh) * 2019-06-28 2019-10-25 深圳市九洲电器有限公司 机顶盒
WO2021251634A1 (ko) * 2020-06-10 2021-12-16 네이버파이낸셜 주식회사 비가청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1692A (zh) * 2019-06-28 2019-10-25 深圳市九洲电器有限公司 机顶盒
CN110381692B (zh) * 2019-06-28 2020-10-23 深圳市九洲电器有限公司 机顶盒
WO2021251634A1 (ko) * 2020-06-10 2021-12-16 네이버파이낸셜 주식회사 비가청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832B1 (ko) 부가 서비스 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KR101591535B1 (ko) 컨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사용하는 기법
EP2525319B1 (en) Using a media content receiver to provide promotional information to a mobile device
JP6294238B2 (ja) 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US9967626B2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992527B2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A275858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verlaying content onto a common video stream
KR20140054362A (ko) 시청자들이 텔레비전에서 무엇을 시청하고 있는지 식별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검색 사용
KR20170123991A (ko) 음파신호 처리 방법 및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주문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RU2630432C2 (ru) При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программа, пере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передающих программ
KR20170123994A (ko) 음파신호 처리 방법 및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주문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23586A (ko) 음파신호 처리 방법 및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주문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23997A (ko) 음파신호 처리 방법 및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주문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23995A (ko) 음파신호 처리 방법 및 음파신호 처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주문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199568B1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7146613B2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EP2012534A1 (en) Broadcast scheduling method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60061019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284830B1 (ko) Iptv 셋탑박스, iptv의 시청률 조사장치 및 방법
KR102263146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3010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producing first reproduction data and at least second reproduction data,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7146614B2 (ja) 送受信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307093B1 (ko) 개인화된 iptv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7146615B2 (ja) 録画再生装置および録画再生方法
WO2020125722A1 (zh) 接收装置及接收方法、收发系统及由收发系统执行的方法、录像播放装置及录像播放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