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575A - 비가청 음향 패턴을 이용한 광고 매칭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가청 음향 패턴을 이용한 광고 매칭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575A
KR20160046575A KR1020140142677A KR20140142677A KR20160046575A KR 20160046575 A KR20160046575 A KR 20160046575A KR 1020140142677 A KR1020140142677 A KR 1020140142677A KR 20140142677 A KR20140142677 A KR 20140142677A KR 20160046575 A KR20160046575 A KR 20160046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acoustic pattern
information
service server
schedul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상엽
류길현
신현섭
박명호
김영배
Original Assignee
(주)인텔리안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텔리안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인텔리안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140142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6575A/ko
Publication of KR20160046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5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음향 패턴을 이용한 광고 정보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그 시스템은, 비가청 대역의 음향 패턴을 광고 컨텐츠에 매핑하는 음향 패턴 매핑부와, 상기 매핑된 광고 컨텐츠와 상기 음향 패턴의 재생 스케줄에 관한 광고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는 광고 스케줄링 정보 생성부와, 상기 광고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 컨텐츠 및 상기 음향 패턴을 출력하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상기 광고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광고 스케줄링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가청 음향 패턴을 이용한 광고 매칭 정보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PROMOTION MATCHING INFORMATION USING INAUDIBLE SOUND PATTERN}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광고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파를 이용한 다양한 통신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공개특허 제10-2013-0065789호는 양방향 통신 가능한 음파 통신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공개특허에서 음파 통신 시스템은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로 물품 또는 서비스 비용 결제를 위한 결제 요청 정보를 음파 통신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고객의 결제 정보를 음파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음파통신 결제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공개특허는 음파 통신을 통해 결제 관련 정보를 전송하며, 음파를 직접적인 광고에 이용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음향 패턴을 이용하여 광고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광고의 효과를 높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일측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는, 비가청 대역의 음향 패턴을 광고 컨텐츠에 매핑하는 음향 패턴 매핑부; 상기 매핑된 광고 컨텐츠와 상기 음향 패턴의 재생 스케줄에 관한 광고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는 광고 스케줄링 정보 생성부; 및 상기 광고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 컨텐츠 및 상기 음향 패턴을 출력하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상기 광고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광고 스케줄링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음향 패턴에 대응하는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된 다운로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다운로드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음향 패턴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음향 패턴에 대응하는 광고 관련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광고 관련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복수의 광고 컨텐츠와 복수의 음향 패턴이 매핑된 매핑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광고 컨텐츠의 재생 순서 및 재생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패턴은 시작 구간 및 정보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작 구간 및 상기 정보 구간은 주파수 별로 할당된 하나 이상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패턴은, 비가청 대역의 초음파, 저주파, 또는 고주파 중 적어도 하나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은, 매핑된 광고 컨텐츠와 음향 패턴의 재생 스케줄에 관한 광고 스케줄링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광고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 컨텐츠 및 상기 음향 패턴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광고 컨텐츠의 재생 순서 및 재생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광고 컨텐츠는, 광고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광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광고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광고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음향 패턴을 반복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광고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매핑된 광고 컨텐츠와 음향 패턴의 재생 스케줄에 관한 광고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 컨텐츠 및 상기 음향 패턴을 출력하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사운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운드 입력에서 상기 광고 컨텐츠와 매핑된 상기 음향 패턴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음향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와 관련된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내장된 매체 또는 삽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다.
상기 광고 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음향 패턴에 대응하는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된 다운로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음향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주소에 접속하여 상기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 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서버로 상기 음향 패턴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음향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주소에 접속하여 상기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은, 비가청 대역의 음향 패턴을 광고 컨텐츠에 매핑하는 단계; 상기 매핑된 광고 컨텐츠와 상기 음향 패턴의 재생 스케줄에 관한 광고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 컨텐츠 및 상기 음향 패턴을 출력하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상기 광고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음향 패턴에 대응하는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된 다운로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음향 패턴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음향 패턴에 대응하는 광고 관련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광고주는 광고와 함께 광고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광고 수요자는 광고 관련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는 광고와 광고 관련 정보의 매핑을 통해 광고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공공 장소에 설치된 광고판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 패턴을 이용한 광고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 및 사용자 단말 간의 음향 패턴 전달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 사용자 단말 및 광고 서버 간의 광고 관련 정보 전달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 사용자 단말 및 광고 서버 간의 광고 관련 정보 전달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음향 패턴 및 광고 관련 정보가 매핑된 매핑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스케줄링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음향 패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은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 패턴을 이용한 광고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100), 클라이언트 단말(200) 및 사용자 단말(300)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공공 장소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단말(200)에서 출력되는 광고를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광고에 관심이 있을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200)에서 출력되는 음향 패턴을 통해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고 관련 정보는 광고와 관련된 쿠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광고 영역에 진입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00)에서 출력되고 있는 광고에 대응되는 음향 패턴을 수신할 수 있다. 음향 패턴은 비가청 대역의 초음파, 저주파, 또는 고주파 중 적어도 하나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음향 패턴은 클라이언트 단말(200)에서 출력되고 있는 광고의 시청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광고 관련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광고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100), 클라이언트 단말(200) 및 사용자 단말(3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 서버(100)는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100)는 음향 패턴을 생성하거나, 음향 패턴을 광고 컨텐츠에 매핑하거나, 광고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거나, 광고 관련 정보의 다운로드를 위한 다운로드 정보를 생성하거나, 상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클라이언트 단말(200) 및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200)은 공공 장소에 설치된 광고 수단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200)은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200)은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광고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다. 클라이언트 단말(200)은 광고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광고 컨텐츠 및 음향 패턴을 출력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일반적인 모바일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에는 사용자에게 광고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광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의 광고 어플리케이션은 클라이언트 단말(200)로부터 음향 패턴을 수신한다. 음향 패턴을 이용하여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음향 패턴을 이용한 광고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 및 사용자 단말 간의 음향 패턴 전달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10)에서, 서비스 서버(100)는, 음향 패턴을 광고 컨텐츠에 매핑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다양한 패턴을 갖는 음향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음향 패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음향 패턴은 비가청 대역의 초음파, 저주파, 또는 고주파 중 적어도 하나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음향 패턴은 주파수 또는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식별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음향 패턴은 주파수 또는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서로 구별될 수 있다.
광고 컨텐츠는 사운드 또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컨텐츠는 음성만으로 구성된 광고, 이미지만으로 구성된 광고 또는 음성과 이미지가 결합된 광고일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복수의 음향 패턴과 복수의 광고 컨텐츠를 서로 매핑할 수 있다. 복수의 음향 패턴은 주파수 또는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서로 구별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서버(100), 클라이언트 단말(200) 및 사용자 단말(300)은 음향 패턴을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음향 패턴과 광고 컨텐츠의 매핑 테이블 저장하고, 광고 컨텐츠의 식별에 매핑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매핑 테이블에 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음향 패턴 및 광고 관련 정보가 매핑된 매핑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광고, 음향 패턴 및 광고 관련 정보가 동일 행에 매핑되어 있다. 광고-A, 광고-B 및 광고-C 각각에 대해 고유한 음향 패턴 X, Y, Z가 매핑된다. 즉, 음향 패턴 X, Y, Z는 주파수 또는 진폭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서로 구별될 수 있다.
광고 관련 정보는 광고에 대응되는 상품의 정보, 쿠폰 및 마일리지와 같은 리워드 정보, 상기 상품의 정보 및 리워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주소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도 5에 도시된 매핑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 단말(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매핑 테이블은 하나의 실시예이며, 매핑 테이블은 광고와 음향 패턴이 매핑된 매핑 테이블 또는 광고와 광고 관련 정보가 매핑된 매핑 테이블로 분할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분할된 각각의 매핑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 단말(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단계(20)에서, 서비스 서버(100)는, 광고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한다.
광고 스케줄링 정보는 매핑된 광고 컨텐츠와 음향 패턴의 재생 스케줄에 관한 것이다. 광고 스케줄링 정보에 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스케줄링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광고 스케줄링 정보는 광고 순서, 광고, 광고 시간 및 광고에 매핑된 음향 패턴 정보를 포함한다.
광고 스케줄링 정보는 광고 순서를 나타내기 위한 #1 내지 #4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200)은 식별자 순서대로 광고 및 음향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광고 스케줄링 정보는 광고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200)은 음향 패턴의 재생 시간이 광고의 재생 시간보다 짧은 경우 광고가 출력되는 동안 음향 패턴을 반복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6에서, 동일한 광고는 동일한 음향 패턴에 매핑되고, 동일한 재생 시간을 갖는다. 예를 들어, 광고-A는 음향 패턴 X에 매핑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광고 스케줄링 정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광고 스케줄링 정보는 광고 순서, 광고, 광고 시간 및 광고에 매핑된 음향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음향 패턴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복수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음향 패턴 X, Y 및 Z은 음향 패턴에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해 서로 구별될 수 있다. 음향 패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음향 패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음향 패턴은 시작 구간, 정보 구간 및 체크 섬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시작 구간, 정보 구간 및 체크 섬 구간은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음향 패턴은 18,000Hz ~ 20,000Hz의 비가청 고주파일 수 있다. 시작 구간, 정보 구간 및 체크 섬 구간에는 각각 18,000Hz ~ 20,000Hz의 고주파로 구성된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시작 구간은 음향 패턴이 시작됨을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300)은 시작 구간의 수신에 따라 음향 패턴이 수신됨을 인지할 수 있다.
정보 구간은 클라이언트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나 광고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나타낸다. 정보 구간은 복수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정보 구간은 클라이언트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제1 구간 및 클라이언트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광고를 식별하기 위한 제2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체크 섬 구간은 오류 검출을 위한 구간으로, 체크 섬은 데이터의 정확성을 검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합계를 의미한다.
각각의 구간에는 주파수 별로 할당된 식별자가 포함된다. 식별자는 구간의 특성에 따라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 주파수 대역이 비가청 고주파 대역은 18,000Hz ~ 20,000Hz일 수 있고, 식별자는 50Hz 간격으로 할당될 수 있다. 이 때, 식별자는 0 내지 39로 정의될 수 있다. 18,000Hz ~ 18,050Hz에는 식별자 0이, 18,050Hz ~ 18,100Hz에는식별자 1이 할당되고, 마지막 19,950Hz ~ 20,000Hz에는 식별자 39가 할당될 수 있다. 복수의 식별자에 대한 조합은 다양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일측에 있어서, 시작 구간에는 고유 식별자가 부여될 수 있다. 예컨대, 시작 구간에는 식별자 39가 부여될 수 있다. 일측에 있어서, 정보 구간에는 복수의 식별자에 대한 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도 7의 (b) 및 (c)는 식별자에 대한 조합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제1 구간에 포함된 서비스 식별자가 도시되어 있다. 서비스 식별자는 제1 서브 식별자 및 제2 서브 식별자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서브 식별자 및 제2 서브 식별자는 0 내지 38의 식별자로 각각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식별자 39는 시작 구간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식별자를 통해 1521 개의 서비스가 서로 식별될 수 있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제2 구간에 포함된 광고 식별자가 도시되어 있다. 광고 식별자는 제1 서브 식별자, 제2 서브 식별자 및 제3 서브 식별자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서브 식별자, 제2 서브 식별자 및 제3 서브 식별자는 0 내지 38의 식별자로 각각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식별자 39는 시작 구간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광고 식별자를 통해 59319개의 광고가 서로 식별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체크 섬 구간에는 시작 구간 및 정보 구간에 포함된 식별자의 합이 포함되거나, 상기 식별자의 합을 식별자의 수로 나눈 나머지 값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시작 구간 및 정보 구간에 39 개의 식별자가 사용된 경우, 체크 섬 구간에는 상기 식별자의 합을 39로 나눈 나머지 값이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단계(30)에서, 서비스 서버(100)는, 클라이언트 단말(200)로 광고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광고 스케줄링 정보를 주기적으로 클라이언트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클라이언트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광고 스케줄링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광고 스케줄링 정보에 변동이 발생한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200)로 변경된 광고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단말(200)은 서비스 서버(100)를 통해 광고 스케줄링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광고 스케줄링 정보는 서버-클라이언트 동기화를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200)은 광고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광고 컨텐츠 및 음향 패턴을 출력한다. 광고 컨텐츠는 광고의 형태에 따라 이미지 또는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될 수 있다. 음향 패턴은 광고 컨텐츠의 출력과는 독립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200)은 음향 패턴을 출력하기 위한 별도의 음향 패턴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패턴 출력부는 비가청 대역의 음향 패턴을 출력하기 위해 고주파 출력 모듈, 저주파 출력 모듈 또는 초음파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계(40)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클라이언트 단말(200)로부터 사운드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광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운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광고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300)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광고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300)에 내장된 매체 또는 삽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광고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광고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300)의 백그라운드에 구동되거나, 도 1에 도시된 광고 영역의 진입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어플리케이션은 광고 영역의 진입을 알리기 위한 별도의 신호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광고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300)의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사운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운드 입력부는 사용자 단말(300)의 마이크일 수 있다.
단계(50)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사운드 입력에서 음향 패턴을 추출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광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음향 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사운드 입력과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음향 패턴을 비교하여 사운드 입력에서 음향 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음향 패턴은 고유의 프리앰블을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어플리케이션은 사운드 입력에서 프리앰블을 식별하여 음향 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음향 패턴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00)에서 재생되는 광고에 대응되는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고 관련 정보의 수신 과정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도 3 및 도 4에서 설명된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 사용자 단말 및 광고 서버 간의 광고 관련 정보 전달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61)에서, 서비스 서버(100)는 다운로드 정보를 생성한다. 다운로드 정보는 복수의 음향 패턴에 대응하는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다운로드 정보는 복수의 음향 패턴과 복수의 음향 패턴에 대응하는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가 매핑된 매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어플리케이션은 사운드 입력으로부터 추출된 음향 패턴과 매핑 정보를 비교하여 추출된 음향 패턴에 대응하는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71)에서,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300)로 다운로드 정보를 전송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다운로드 정보를 주기적으로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다운로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다운로드 정보에 변동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 단말(300)로 변경된 다운로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300)은 서비스 서버(100)를 통해 다운로드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운로드 정보는 서버-클라이언트 동기화를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단계(81)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네트워크 주소를 통해 광고 서버(400)에 접속한다. 네트워크 주소는 URL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서버(400)는 광고 관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이다. 본 명세서에서 광고 서버(400)와 서비스 서버(100)를 서로 다른 도면 부호를 통해 설명하지만, 광고 서버(400)는 서비스 서버(100)에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고 서버(400)의 동작은 서비스 서버(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91)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광고 서버(400)로부터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광고 관련 정보는 광고에 대응되는 상품의 정보, 쿠폰 및 마일리지와 같은 리워드 정보, 상기 상품의 정보 및 리워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 사용자 단말 및 광고 서버 간의 광고 관련 정보 전달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62)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서비스 서버(100)로 추출된 음향 패턴에 대응되는 다운로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음향 패턴의 식별정보를 통해 서비스 서버(100)에 다운로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72)에서,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300)로 다운로드 정보를 전송한다. 도 3과는 달리, 도 4에서는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서만 다운로드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82)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네트워크 주소를 통해 광고 서버(400)에 접속한다. 네트워크 주소는 URL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92)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광고 서버(400)로부터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광고 관련 정보는 광고에 대응되는 상품의 정보, 쿠폰 및 마일리지와 같은 리워드 정보, 상기 상품의 정보 및 리워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어플리케이션은 도 3 및 도 4에서 설명된 단계들을 통해 추출된 음향 패턴에 대응하는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단말(200)에서 재생되는 광고와 관련된 광고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100)는 음향 패턴 매핑부(110), 광고 스케줄링 정보 생성부(120), 광고 스케줄링 정보 제공부(130), 광고 쿠폰 제공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음향 패턴 매핑부(110)는 비가청 대역의 음향 패턴을 광고 컨텐츠에 매핑한다.
광고 스케줄링 정보 생성부(120)는 매핑된 광고 컨텐츠와 음향 패턴의 재생 스케줄에 관한 광고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한다.
광고 스케줄링 정보 제공부(130)는 광고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광고 컨텐츠 및 음향 패턴을 출력하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광고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다운로드 정보 제공부(140)는 음향 패턴에 대응하는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된 다운로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저장부(150)는 복수의 광고 컨텐츠와 복수의 음향 패턴이 매핑된 매핑 테이블을 저장한다. 매핑 테이블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설명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다운로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광고 관련 정보 제공부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음향 패턴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음향 패턴에 대응하는 광고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광고 관련 제공부는 서비스 서버(100) 또는 광고 서버(400)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200)은 통신부(210), 프로세서(220), 출력부(23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매핑된 광고 컨텐츠와 음향 패턴의 재생 스케줄에 관한 광고 스케줄링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광고 스케줄링 정보는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광고 컨텐츠의 재생 순서 및 재생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20)는 통신부(210)가 서비스 서버(100), 사용자 단말(300) 및 광고 서버(4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출력부(230)가 광고 및 사운드 패턴을 출력하도록, 통신부(210) 및 출력부(230)를 제어한다.
출력부(230)는 광고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광고 컨텐츠 및 음향 패턴을 출력한다. 출력부(230)는 광고 출력부(231) 및 음향 패턴 출력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출력부(231)는 광고 컨텐츠에 포함된 사운드 및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사운드 출력 모듈 및 이미지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패턴 출력부(232)는 비가청 대역의 음향 패턴을 출력하기 위해 고주파 출력 모듈, 저주파 출력 모듈 또는 초음파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패턴 출력부(232)는 광고 출력부(231)에 의해 광고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음향 패턴을 반복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300)은 사운드 입력부(310), 프로세서(320), 통신부(330) 및 저장부(340)를 포함한다.
사운드 입력부(310)는 음향 패턴을 포함하는 사운드 입력을 수신한다.
프로세서(320)는 광고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광고 어플리케이션의 매핑된 광고 컨텐츠와 음향 패턴의 재생 스케줄에 관한 광고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광고 컨텐츠 및 음향 패턴을 출력하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사운드 입력을 수신하고, 사운드 입력에서 광고 컨텐츠와 매핑된 음향 패턴을 추출하고, 음향 패턴을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와 관련된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20)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음향 패턴에 대응하는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된 다운로드 정보를 수신하고, 네트워크 주소에 접속하여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20)는 서비스 서버로 음향 패턴의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로부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주소를 수신하고, 네트워크 주소에 접속하여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통신부(330)는 서비스 서버(100), 클라이언트 단말(200) 또는 광고 서버(40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330)는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다운로드 정보를 수신하거나, 광고 서버(400)로부터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340)는 내장 메모리 및 외장 메모리를 포함한다. 외장 메모리는 사용자 단말(300)에 삽입 가능한 형태의 메모리를 포함한다. 저장부(340)는 광고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7)

  1. 비가청 대역의 음향 패턴을 광고 컨텐츠에 매핑하는 음향 패턴 매핑부;
    상기 매핑된 광고 컨텐츠와 상기 음향 패턴의 재생 스케줄에 관한 광고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는 광고 스케줄링 정보 생성부; 및
    상기 광고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 컨텐츠 및 상기 음향 패턴을 출력하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상기 광고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광고 스케줄링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패턴에 대응하는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된 다운로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다운로드 정보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음향 패턴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음향 패턴에 대응하는 광고 관련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광고 관련 정보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광고 컨텐츠와 복수의 음향 패턴이 매핑된 매핑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광고 컨텐츠의 재생 순서 및 재생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패턴은,
    시작 구간 및 정보 구간을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구간 및 상기 정보 구간은,
    주파수 별로 할당된 하나 이상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패턴은,
    비가청 대역의 초음파, 저주파, 또는 고주파 중 적어도 하나의 대역을 갖는,
    서비스 서버.
  9. 매핑된 광고 컨텐츠와 음향 패턴의 재생 스케줄에 관한 광고 스케줄링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광고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 컨텐츠 및 상기 음향 패턴을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광고 컨텐츠의 재생 순서 및 재생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는, 광고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광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광고 출력부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광고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음향 패턴을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12. 광고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매핑된 광고 컨텐츠와 음향 패턴의 재생 스케줄에 관한 광고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 컨텐츠 및 상기 음향 패턴을 출력하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사운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운드 입력에서 상기 광고 컨텐츠와 매핑된 상기 음향 패턴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음향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와 관련된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내장된 매체 또는 삽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광고 어플리케이션.
  13. 제12항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음향 패턴에 대응하는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된 다운로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주소에 접속하여 상기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고 어플리케이션.
  14. 제12항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로 상기 음향 패턴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주소에 접속하여 상기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고 어플리케이션.
  15. 비가청 대역의 음향 패턴을 광고 컨텐츠에 매핑하는 단계;
    상기 매핑된 광고 컨텐츠와 상기 음향 패턴의 재생 스케줄에 관한 광고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 컨텐츠 및 상기 음향 패턴을 출력하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상기 광고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패턴에 대응하는 광고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된 다운로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음향 패턴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음향 패턴에 대응하는 광고 관련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KR1020140142677A 2014-10-21 2014-10-21 비가청 음향 패턴을 이용한 광고 매칭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600465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677A KR20160046575A (ko) 2014-10-21 2014-10-21 비가청 음향 패턴을 이용한 광고 매칭 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677A KR20160046575A (ko) 2014-10-21 2014-10-21 비가청 음향 패턴을 이용한 광고 매칭 정보 제공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390A Division KR101710558B1 (ko) 2016-07-01 2016-07-01 비가청 음향 패턴을 이용한 광고 매칭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575A true KR20160046575A (ko) 2016-04-29

Family

ID=55915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677A KR20160046575A (ko) 2014-10-21 2014-10-21 비가청 음향 패턴을 이용한 광고 매칭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657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291B1 (ko) * 2019-11-27 2021-03-16 주식회사 첸노 동기화 기반의 초음파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외부기기 제어 방법
KR20210065467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첸노 디지털 방송 기반의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1251634A1 (ko) * 2020-06-10 2021-12-16 네이버파이낸셜 주식회사 비가청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291B1 (ko) * 2019-11-27 2021-03-16 주식회사 첸노 동기화 기반의 초음파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외부기기 제어 방법
KR20210065467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첸노 디지털 방송 기반의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1251634A1 (ko) * 2020-06-10 2021-12-16 네이버파이낸셜 주식회사 비가청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153411A (ko) * 2020-06-10 2021-12-17 네이버파이낸셜 주식회사 비가청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23138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marketing by communicating tones to a mobile device
US10880023B2 (en) Vehicle-based media system with audio advertisement and external-device action synchronization feature
US8532644B2 (en) System effective to modulate a code and provide content to a user
US20100222037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erms and Conditions and Program Enrollment Information to a Mobile Device
CN105392022A (zh) 基于音频水印的信息交互方法与装置
JP6454741B2 (ja) 低電力関連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ーで読むことができる記録媒体
US20180225717A1 (en) Enhanced digital media platform with user control of application data thereon
US10339936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of encoding a digital interactive response action in an analog broadcasting message
US20100222088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receiving information by a mobile device
KR20160046575A (ko) 비가청 음향 패턴을 이용한 광고 매칭 정보 제공 시스템
US201502156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oss-device targeting of users
US20150039496A1 (en) Digital currency distribution system with acoustic triggers
US20160049163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solating microphone audio
WO2015070290A1 (en) Dynamic generation of an advertising schedule
KR101710558B1 (ko) 비가청 음향 패턴을 이용한 광고 매칭 정보 제공 시스템
JP6310795B2 (ja) 広告制御装置、広告制御方法及び広告制御システム
US9755770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of encoding a digital interactive response action in an analog broadcasting message
JP2002150102A (ja) 商取引方法
KR20150083953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장치 및 방법과, 그 시스템
US20210144428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identify media for ahead of time watermark encoding
US20090210306A1 (en) Advertising method and system using external memory device
JP6176966B2 (ja) 情報提供装置及びシステム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429187A (zh) 广告展示激励方法、设备和存储介质
TWI773384B (zh) 用於判定特定電信裝置的廣告標識符的方法及廣告伺服器
US10817908B1 (en) System for providing a promotion at a point-of-sale terminal based upon an inaudible promotion signal and relate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