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747B1 - 접지구조를 갖는 레이스웨이 - Google Patents

접지구조를 갖는 레이스웨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747B1
KR102386747B1 KR1020200089685A KR20200089685A KR102386747B1 KR 102386747 B1 KR102386747 B1 KR 102386747B1 KR 1020200089685 A KR1020200089685 A KR 1020200089685A KR 20200089685 A KR20200089685 A KR 20200089685A KR 102386747 B1 KR102386747 B1 KR 102386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eway
grounding
grounding member
neighboring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0932A (ko
Inventor
전찬복
Original Assignee
(주) 디테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디테코 filed Critical (주) 디테코
Priority to KR1020200089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747B1/ko
Publication of KR20220010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스웨이에 관한 것으로, 레이스웨이 설치시 이웃하는 레이스웨이와 연결하면서 손쉽게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한 접지구조를 갖는 레이스웨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 형태의 단면을 가지면서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일측부위는 양측부와 하측부위가 좁게 형성된 연결부를 가져서 이웃하는 레이스웨이의 타측부위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레이스웨이; 도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 형태의 단면을 가지면서, 양측 상단부위에는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걸리도록 걸림부가 형성되며, 양측부 및 하측부위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복수의 돌기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접지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와 이웃하는 레이스웨이의 타측면 사이에 상기 접지부재가 위치하여 상기 연결부의 외측면에 상기 접지부재의 내측면이 접하고, 이웃하는 레이스웨이의 타측부위 내측면과 상기 접지부재의 돌기부가 접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접지구조를 갖는 레이스웨이{Raceway having ground structure}
본 발명은 레이스웨이에 관한 것으로, 레이스웨이 설치시 이웃하는 레이스웨이와 연결하면서 손쉽게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한 접지구조를 갖는 레이스웨이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부에 설치된 각종 전원선, 통신케이블 등은 차후 유지보수를 수월하게 하기 위해 천장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서 레이스웨이를 천장에 매달아 설치하여 그 레이스웨이 내부로 전원선, 통신케이블 등을 포설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레이스웨이는 통상 금속성 판재를 절곡하여 일정길이 간격으로 제조하게 되고, 그 제조된 레이스웨이를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결하여 배치하는데, 이때 내부에 포설된 전원선, 통신케이블 등으로부터 누설된 전류가 유입됨으로써 누전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연결된 레이스웨이들을 연결하도록 접지하여 누전상태를 해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등록특허 제10-1067491호(케이블트레이 또는 레이스웨이의 코인접지구조)에서는 "┗┛" 형태의 단면을 이루며, 관통공이 통공된 수용부가 형성된 수용부재와; "┗┛" 형태의 단면을 이루되, 일측 내면에 단을 이루어 폭과 높이가 축소되며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볼트삽입공이 형성된 삽입부가 돌출된 삽입부재와; 상기 수용부 또는 상기 삽입부에 형성되는 접지홈과; 상기 접지홈에 삽입되며,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접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접지부재가 상기 접지홈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용부 내에 삽입되어, 볼트로 상기 관통공과 상기 볼트삽입공을 통해 너트로 결합하여 상기 수용부재와 상기 삽입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접지부재는 원형이며, 중앙에 원형의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공이 천공되고, 상기 나사공에 대응하게 상기 관통공과 상기 볼트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관통공의 중심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외주접지확인공이 상기 접지부재에 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로 상기 삽입부와 상기 수용부가 압착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접지부재가 상기 외주접지확인공으로 관찰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접지부재에 의해 삽입부재와 수용부재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누설전류를 흘려보내 누전상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구조는 접지부재를 볼트에 의해 고정시키는 수용부재를 복수의 볼트와 너트에 의해 삽입부재와 가압하여 접촉시킴으로써 접지부재에 의해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하지만, 현장에서 설치작업시 작업자가 복수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일일이 고정시켜야 하므로 작업성이 매우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 등록특허 제10-1067491호
(케이블트레이 또는 레이스웨이의 코인접지구조)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접지부재를 볼트에 의한 고정없이 간단히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레이스웨이의 연결부위에 설치함으로써 작업성이 매우 뛰어난 접지구조를 갖는 레이스웨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지구조를 갖는 레이스웨이는,
상부가 개방된 '┗┛' 형태의 단면을 가지면서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일측부위는 양측부와 하측부위가 좁게 형성된 연결부를 가져서 이웃하는 레이스웨이의 타측부위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레이스웨이;
도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 형태의 단면을 가지면서, 양측 상단부위에는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걸리도록 걸림부가 형성되며, 양측부 및 하측부위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복수의 돌기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접지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와 이웃하는 레이스웨이의 타측면 사이에 상기 접지부재가 위치하여 상기 연결부의 외측면에 상기 접지부재의 내측면이 접하고, 이웃하는 레이스웨이의 타측부위 내측면과 상기 접지부재의 돌기부가 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길이방향 양측부위가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지구조를 갖는 레이스웨이는,
상부가 개방된 '┗┛' 형태의 단면을 가지면서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일측부위는 양측부와 하측부위가 좁게 형성된 연결부를 가져서 이웃하는 레이스웨이의 타측부위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레이스웨이;
도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후단부위 외측을 감싸도록 '┗┛' 형태의 몸체를 가지면서, 상기 몸체의 양측 상단부위에는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걸리도록 걸림부가 형성되며, 하측부위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복수의 접촉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접촉부의 끝단부위는 하측을 향하여 라운드진 탄성부가 형성된 접지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와 이웃하는 레이스웨이의 타측면 사이에 상기 접지부재가 위치하여 상기 연결부의 외측면에 상기 접지부재의 내측면이 접하고, 이웃하는 레이스웨이의 타측부위 내측면과 상기 접지부재의 몸체와 탄성부가 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접지구조를 갖는 레이스웨이는,
상부가 개방된 '┗┛' 형태의 단면을 가지면서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일측부위는 양측부와 하측부위가 좁게 형성된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의 양측부위 또는 하측부위에 형성된 제1결합공을 가짐과 아울러 타측부위에 상기 제1결합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가 이웃하는 레이스웨이의 타측부위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레이스웨이;
상기 제1 및 제2결합공의 구경보다 크면서 하단면이 납작한 머리부를 가지며, 상기 머리부의 하측으로 길게 뻗은 바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바의 길이방향으로 쐐기 형태로 된 하나 이상의 걸림부가 형성되되, 상기 머리부와 상기 걸림부의 간격은 상기 연결부의 두께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이웃하는 레이스웨이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 접지핀;
상기 연결부에 이웃하는 레이스웨이가 연결되어 상기 제1결합공과 제2결합공으로 상기 접지핀이 삽입되면, 상기 접지핀이 삽입된 반대방향에서 바에 체결되어 상가 걸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머리부를 가압하여 연결부와 이웃하는 레이스웨이의 접촉상태를 유지시키는 결합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지구조를 갖는 레이스웨이는, 레이스웨이 설치현장에서 별도의 볼트와 너트의 체결없이 접지부재를 레이스웨이에 고정시켜 설치함으로써 작업이 손쉽고, 또한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장점을 갖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지구조를 갖는 레이스웨이를 보인 도.
도2는 고정바에 의해 천장에 매달린 레이스웨이의 하부 및 측단면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도1의 결합단면 구조를 보인 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도.
도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인 도.
도6은 도5의 결합단면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지구조를 갖는 레이스웨이를 보인 도이고, 도2는 고정바에 의해 천장에 매달린 레이스웨이의 하부 및 측단면 구조를 보인 도이며, 도3은 도1의 결합단면 구조를 보인 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크게 레이스웨이(100)와 접지부재(30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레이스웨이(100)는 상부가 개방된 '┗┛' 형태의 단면을 가지면서 그 일측에 이웃하는 레이스웨이(200)의 타측에 삽입되기 위한 연결부(12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연결부(120)도 마찬가지로 상부가 개방된 '┗┛' 형태의 단면을 가지면서 양측부위와 하측부위가 좁게 형성되어 본체부위와 단턱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부(120)의 외측으로 이웃하는 레이스웨이(200)의 타측부위가 끼워져 연결되고, 각 레이스웨이(100,200)는 천장에 고정된 고정바(110,210)의 하단에 고정되어 천장에 매달리게 되는데, 도2(a)에서와 같이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장공(130,220)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바(110,210)의 하측부위가 이를 관통하고, 도2(b)에서와 같이 레이스웨이(100,200)의 바닥면 상측부위와 하측부위에서 각각 너트(140,230)가 체결됨으로써 레이스웨이(100,200)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레이스웨이(100)의 연결부(120)에 이웃하는 레이스웨이(200)의 타측부위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너트(230)를 살짝 푼 다음 이웃하는 레이스웨이(200)를 레이스웨이(100) 쪽으로 측방향 이동시키게 되면, 장공(220)의 범위 내에서 레이스웨이(200)가 이동하여 연결부(120)의 외측으로 끼워지게 된다.
이후 너트(230)를 체결하면 레이스웨이(100,200)가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구조를 갖는 레이스웨이(100,200)를 서로 접지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부(120)의 외측으로는 도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된 접지부재(300)가 끼워지는데, 이러한 접지부재(300)도 마찬가지로 상부가 개방된 '┗┛'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그 길이는 상기 연결부(120)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지부재(300)의 양측부몸체(320,330)의 높이와 하부몸체(310)의 폭은 상기 연결부(120)의 외측면에 접하면서 감싸도록 하는 크기를 가지며, 양측부몸체(320,330)의 상단부위는 내측방향으로 '┏┓' 형태로 절곡된 걸림부(322,323)가 형성되어 연결부(120)의 상단부위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지부재(300)의 하부몸체(310)와 양측부몸체(320,330)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311,321,33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돌기부(311,321,331)는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3은 레이스웨이(100)의 연결부(120)와, 상기 연결부(120)에 연결된 이웃하는 레이스웨이(200) 사이에 접지부재(300)가 삽입되어 고정된 단면구조를 보인 도로서, 접지부재(300)가 연결부(120)의 외측을 감싸면서 설치되고, 걸림부(322,323)가 연결부(120)의 상단에 걸려서 이탈되지 않게 되며, 접지부재(300)의 내측면이 연결부(120)의 외측면에 접촉된다.
또한, 접지부재(300)의 외측으로는 이웃하는 레이스웨이(200)가 감싸면서 내측면이 돌기부(311,321,331)와 접촉하게 되어 접지부재(300)를 매개로 하여 연결부(120)와 이웃하는 레이스웨이(2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접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돌기부(311)는 도3(b)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양측부위가 완만한 경사부(311-1)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접지부재(300)가 연결부(1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레이스웨이(200)의 타측부위가 측방향으로부터 끼워질 때 돌기부(311)의 끝단에 걸리지 않고, 경사부(311-1)를 부드럽게 타고 넘으면서 돌기부(311)의 상단에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접지부재(300)를 연결부(120)에 원터치로 끼운 후 레이스웨이(100,200)를 서로 연결하면, 자연스럽게 접지가 이루어지게 되어 작업의 편의성과 능률이 매우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접지부재(400)는 제1실시예에서의 접지부재(300)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 형태로 되고, 도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된 몸체(410)를 가지며, 이러한 몸체(410)의 길이는 연결부(12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연결부(120)의 후방부위에 끼워지게 된다.
즉, 연결부(120)의 후단부위의 외측을 감싸고 고정되도록 몸체(410)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410)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양측 상단에 걸림부(411,421)가 형성되어 연결부(120)에 고정되며, 몸체(410)의 하측부위에서 전방으로는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접촉부(420)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접촉부(420)는 연결부(1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바 형태로서, 그 끝단부위에 하측으로 라운드진 탄성부(4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접촉부(420)는 등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410)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탄성부(421)의 전단까지의 길이는 상기 연결부(120)의 길이와 같거나 약간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4(b)와 같이 이웃하는 레이스웨이(200)의 타측부위가 연결부(120)의 외측으로 끼워질 때 연결부(120)와 이웃하는 레이스웨이(200) 사이에 접지부재(400)가 삽입되며, 탄성부(420)가 탄성력을 가지고 연결부(120)의 외측면과 레이스웨이(200)의 내측면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연결부(120)의 측부 또는 양측부위 또는 하측부위에는 제1결합공(140)이 형성되고, 이웃하는 레이스웨이(200)의 타측부위에도 상기 제1결합공(140)과 대응하는 부위에 제2결합공(230)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연결부(120)의 외측으로 레이스웨이(200)가 끼워질 때 제1결합공(140)과 제2결합공(230)을 일치시켜 접지핀(500)을 관통 삽입한 후 결합링(540)을 체결함으로써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접지핀(500)은 도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데, 상기 제1결합공(140)과 제2결합공(230)의 구경보다 큰 머리부(510)를 가지며, 상기 머리부(510)의 하측부위로 길게 뻗은 바(5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520)에는 쐐기 형태의 걸림부(53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머리부(510)의 하단부위로부터 걸리부(530)의 상단부위까지의 간격은 연결부(120)와 레이스웨이(200)의 두께를 합친 두께보다 약간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6에서와 같이 접지핀(500)의 제1결합공(140)과 제2결합공(230)을 관통하여 삽입된 후 반대방향에서 도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된 결합링(540)이 체결되어 연결부(120)와 레이스웨이(200)를 가압시켜 접촉하도록 하는데, 이때 결합링(540)의 두께는 연결부(120)의 내측면과 걸림부(530) 사이에 꼭맞게 끼워지게 되고, 내경 또한 바(520)의 외경에 꼭맞는 크기를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연결부(120)와 레이스웨이(200)가 결합링(540)에 의해 서로 가압접촉한 상태에서, 결합링(540), 바(520), 머리부(510)를 통해 접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단순히 결합공(140,230)에 접지핀(500)을 끼워 결합링(540)을 체결함으로써 매우 손쉽고 빠르게 접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걸림부(530)는 복수개가 형성되어 연결부(120)와 레이스웨이(200)의 두께가 변하더라도 접지핀(500)에 의해 접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도면에서는 걸림부(530)의 편의상 크게 도시하엿지만, 다단으로 형성된 걸림부(530)에 의해 다양한 두께를 갖는 연결부(120)와 레이스웨이(200) 사이에 체결되어 접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예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 200 : 레이스웨이 110,210 : 고정바
120 : 연결부 130,220 : 장공
140,230 : 너트 150,240 : 결합공
300 : 접지부재
310,320,330 : 하부몸체 311,321,331 : 돌기부
311-1 경사부 322,323 : 걸림부
400 : 접지부재
410 : 몸체
420 : 접촉부 421 : 탄성부
500 : 접지핀 510 : 머리부
520 : 바 520 : 걸림부
540 : 결합링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상부가 개방된 '┗┛' 형태의 단면을 가지면서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일측부위는 양측부와 하측부위가 좁게 형성된 연결부를 가져서 이웃하는 레이스웨이의 타측부위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레이스웨이;
    도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후단부위 외측을 감싸도록 '┗┛' 형태의 몸체를 가지면서, 상기 몸체의 양측 상단부위에는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걸리도록 걸림부가 형성되며, 하측부위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복수의 접촉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접촉부의 끝단부위는 하측을 향하여 라운드진 탄성부가 형성된 접지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와 이웃하는 레이스웨이의 타측면 사이에 상기 접지부재가 위치하여 상기 연결부의 외측면에 상기 접지부재의 내측면이 접하고, 이웃하는 레이스웨이의 타측부위 내측면과 상기 접지부재의 몸체와 탄성부가 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구조를 갖는 레이스웨이.
  4. 삭제
KR1020200089685A 2020-07-20 2020-07-20 접지구조를 갖는 레이스웨이 KR102386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685A KR102386747B1 (ko) 2020-07-20 2020-07-20 접지구조를 갖는 레이스웨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685A KR102386747B1 (ko) 2020-07-20 2020-07-20 접지구조를 갖는 레이스웨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932A KR20220010932A (ko) 2022-01-27
KR102386747B1 true KR102386747B1 (ko) 2022-04-15

Family

ID=80049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685A KR102386747B1 (ko) 2020-07-20 2020-07-20 접지구조를 갖는 레이스웨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67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318U (ja) 1997-07-14 1998-01-27 隆美 堀 ケーブル収納トレイ
JP3060634U (ja) 1998-12-28 1999-09-07 カナフジ電工株式会社 電路桁用セパレ―タ―の接続構造、接続用セパレ―タ―の端部構成及び接続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620179T2 (de) * 1996-10-12 2002-11-07 Molex Inc Elektrische Erdungshülle
KR100643347B1 (ko) * 1999-12-24 2006-11-13 주식회사 포스코 조립이 용이한 케이블 랙
KR20100027766A (ko) * 2008-09-03 2010-03-11 (주)동양인더스트리 레이스웨이
KR20160054685A (ko) * 2014-11-06 2016-05-17 (주)현대배관 케이블 레이스 웨이용 조인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318U (ja) 1997-07-14 1998-01-27 隆美 堀 ケーブル収納トレイ
JP3060634U (ja) 1998-12-28 1999-09-07 カナフジ電工株式会社 電路桁用セパレ―タ―の接続構造、接続用セパレ―タ―の端部構成及び接続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932A (ko) 202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64034B1 (en) Contact assembly for an electrical connector
KR100674253B1 (ko) 배전선로 내 애자의 위치 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
US6682355B1 (en) Electrical fitting for easy snap engagement of cables
US9437940B1 (en) Terminal block connector
CN101989703A (zh) 插头连接器
KR101349269B1 (ko) 원터치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FI91816B (fi) Sähköliitin
US7461870B2 (en) Connector for flexible electrical conduit
EP0653802B1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KR102386747B1 (ko) 접지구조를 갖는 레이스웨이
EP1746697A1 (en) Securing element for securing a box to a wire cable tray
KR102015853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101098548B1 (ko)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CN112615193A (zh) 电连接器
KR200445701Y1 (ko) 전선 접속구의 접지단자 구조
KR200466960Y1 (ko) 커넥터
KR20080003684U (ko) 커넥터용 스페이서
KR100988794B1 (ko) 커넥터
US3377607A (en) Electric circuit selectors
US6123549A (en) High integrity electrical connector
KR200267190Y1 (ko) 배터리 단자 커넥터
CN211789618U (zh) 管插电连接器
US6702596B2 (en) Cable shield ground connector
CN108666775B (zh) 连接器
KR100382322B1 (ko) 애자용 전선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