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438B1 - 전선 접속형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 - Google Patents

전선 접속형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438B1
KR102385438B1 KR1020200069268A KR20200069268A KR102385438B1 KR 102385438 B1 KR102385438 B1 KR 102385438B1 KR 1020200069268 A KR1020200069268 A KR 1020200069268A KR 20200069268 A KR20200069268 A KR 20200069268A KR 102385438 B1 KR102385438 B1 KR 102385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ranch sleeve
clamp
clamp cover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2320A (ko
Inventor
김재현
박태순
이명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69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438B1/ko
Publication of KR20210152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프 커버와 분기 슬리브 커버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커버로 분기선의 접속부까지 커버가 가능하며, 각 커버를 따로 시공하는 것에 비해 작업 공수 및 불량률을 줄일 수 있고, 클램프 커버와 분기 슬리브 커버 사이의 커버 연결부가 주름형으로 형성되어 클램프 커버와 분기 슬리브 커버 사이의 각도 틀어짐 현상이 발생시 커버 연결부의 길이 및 각도가 플렉시블하게 가변되어 틀어진 각도를 보상해 줄 수 있다.

Description

전선 접속형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wire-connected dead end clamp cover}
본 발명은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데드엔드 클램프 보호 커버와 분기 슬리브 보호 커버가 일체로 형성되어 분기선이 접속되는 부위까지 커버가 가능하고, 본선 결합부가 실리콘으로 형성되어 본선 결합시 테이핑 작업이 불필요하며, 분기선의 쳐짐에 따라 플렉시블하게 각도 및 길이가 가변되는 전선 접속형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 또는 변전소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각 수용가로 공급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변전소로부터 각 수용가에 이르기까지 전주를 세우고 이에 의해 전력 케이블을 공중에 가설하며, 전선의 연결 개소는 분기 슬리브 등에 의해 접속하여 각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전선은 공중에 가설되는 특성상 자체 하중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 클램프(데드엔드 클램프)이다. 상기 클램프는 일단은 전주에 결합되어 있는 현수애자에 연결 고정한 상태에서 전선의 단부를 피복 처리한 다음, 노출된 전선의 심재를 슬리브 압축 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시켜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선을 클램핑한 클램프의 외경에는 빗물로 인한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가 씌워지게 된다.
또한, 분기선용 직선 분기 슬리브는 전선피복을 탈피하여 전선과 전선을 압축 접속하는데 이때 피박된 충전부위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기 슬리브 커버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분기선에서의 접속시 상술한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와 상기 분기 슬리브 커버의 위치가 대략 10 내지 30 센티미터 정도로 가까이 있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가까운 위치임에도 불구하고 각 커버를 별도로 시공하게 되면 테이핑 처리불량에 따른 분기 슬리브 커버의 벌어짐 문제, 작업 공수 과다의 문제, 시간이 지남에 따른 분기 슬리브 커버의 밀림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선의 쳐짐 현상에 따라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의 분기선 인출구의 각도와 분기선의 각도가 서로 불일치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 이는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의 틈새가 벌어지게 만들어 조류에 의한 지락사고, 일반인의 감전사고가 발생할 위험 등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3670호
본 발명은,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와 분기 슬리브 커버의 일체형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클램프 커버와 분기 슬리브 커버 사이의 각도 틀어짐 현상이 발생시 이를 보상해 줄 수 있는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는, 현수애자에 연결되는 데드엔드 클램프를 외부에서 감싸는 클램프 커버; 상기 클램프 커버에 연결되며 분기선이 결합된 분기 슬리브를 외부에서 감싸는 분기 슬리브 커버; 및 상기 클램프 커버와 상기 분기 슬리브 커버를 중간에서 소정의 각도로 연결하는 커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연결부는 주름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커버 연결부의 길이 및 상기 커버 연결부의 각도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 커버는, 상기 클램프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선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제1 클램프 커버 및 상기 절개선을 기준으로 타측에 위치하는 제2 클램프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연결부는 상기 제1 클램프 커버에 연결되는 제1 커버 연결부와 상기 제2 클램프 커버에 연결되는 제2 커버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기 슬리브 커버는 상기 제1 커버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분기 슬리브 커버와 상기 제2 커버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 분기 슬리브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 커버는, 전선의 본선에 결합되는 본선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선 결합부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톱니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함몰된 형상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오목부가 맞물려 상기 본선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클램프 커버는 상기 제1 클램프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클램프 커버는 상기 제2 클램프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부에는 상기 제1 고정부의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제1 고정못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2 고정부에는 상기 제2 고정부의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제2 고정못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는, 상기 제1 클램프 커버와 상기 제2 클램프 커버를 상기 절개선에서 마주보고 포개어진 상태로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잠금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잠금레버는 상기 제1 고정못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고정못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2 고정못이 결합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잠금홀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레버는, 상기 잠금레버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상기 제1 클램프 커버와 상기 제2 클램프 커버를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작업홀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는, 상기 제1 분기 슬리브 커버와 상기 제2 분기 슬리브 커버를 포개어진 상태로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잠금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링에는, 상기 잠금링의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분기 슬리브 커버와 상기 제2 분기 슬리브 커버를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작업고리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분기 슬리브 커버는 상기 잠금링이 결합되는 힌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잠금링은, 상기 잠금링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체결홈이 가공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분기 슬리브 커버는, 상기 제1 분기 슬리브 커버와 상기 제2 분기 슬리브 커버의 연결시 잠금링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프 커버와 분기 슬리브 커버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커버로 분기선의 접속부까지 커버가 가능하므로 분기선 접속부의 테이핑 작업이 불필요한 바, 각 커버를 따로 시공하는 것에 비해 작업 공수 및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프 커버의 본선 결합부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본선이 클램프 커버에 직접 접속될 수 있고, 따라서 본선과 클램프 커버가 결합되는 부위의 테이핑 작업이 불필요한 바, 테이핑 작업에 소요되는 작업 공수 및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프 커버와 분기 슬리브 커버 사이의 커버 연결부가 주름형으로 형성되어 클램프 커버와 분기 슬리브 커버 사이의 각도 틀어짐 현상이 발생시 커버 연결부의 길이 및 각도가 가변되어 각도 틀어짐 현상을 보상해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가 열린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전선의 본선이 결합되는 본선 결합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잠금레버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잠금레버에 의해 제1 클램프 커버와 제2 클램프 커버가 고정 연결된 상태와, 고정 연결된 상태에서 해제되어 분리 가능해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잠금링이 분기 슬리브 커버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잠금링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의 작업완료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가 열린 상태의 개략도이며, 도 3은 전선의 본선이 결합되는 본선 결합부의 확대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1000)는 클램프 커버(100), 분기 슬리브 커버(200) 및 커버 연결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클램프 커버(100)는 현수애자에 연결되는 데드엔드 클램프를 데드엔드 클램프의 외부에서 감싸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클램프 커버(100)는 클램프 커버(100)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선(L1)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제1 클램프 커버(110) 및 상기 절개선(L1)을 기준으로 타측에 위치하는 제2 클램프 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선(L1)과 반대방향에는 제1 클램프 커버(110)와 제2 클램프 커버(120)가 연결된 클램프 커버 결합부(P1)가 존재하는데, 상기 클램프 커버 결합부(P1)를 기준으로 제1 클램프 커버(110)와 제2 클램프 커버(120)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젖히면 클램프 커버(100)가 열리게 되고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개선(L1)이 마주보게 포개어질 때까지 모아주면 클램프 커버(100)가 닫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클램프 커버(100)의 길이방향이란 원통의 높이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또한, 클램프 커버(100)는 클램프 커버(10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본선 결합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측은 현수애자가 연결되는 부분과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이때, 본선 결합부(13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선 결합부(130)는, 클램프 커버(100)가 닫힌 상태에서 본선(C1)을 완전히 감쌀 수 있는 만큼의 내경을 가진다.
도 3을 참고하면, 본선 결합부(130)는 톱니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함몰된 형상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오목부가 맞물려 상기 본선(C1)과 결합될 수 있다.
본선 결합부(130)가 실리콘 재질을 가지고 본선(C1)과 완전히 맞물려 결합함에 따라 클램프 커버와 본선(C1)이 결합되는 부위의 테이핑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분기 슬리브 커버(200)는 클램프 커버(100)에 연결되며 분기선(C2)이 결합된 분기 슬리브를 분기 슬리브의 외부에서 감싸 보호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분기 슬리브 커버(200)는 분기선(C2)이 본선(C1)으로부터 분기되어 나오는 각도에 따라 클램프 커버(10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연결되는데, 이때 클램프 커버(100)와 분기 슬리브 커버(200)는, 클램프 커버(100)와 분기 슬리브를 중간에서 상기의 소정의 각도로 연결해주는 커버 연결부(300)를 통해서 연결된다.
이때, 커버 연결부(300)는 제1 클램프 커버(110)에 연결되는 제1 커버 연결부(310)와 제2 클램프 커버(120)에 연결되는 제2 커버 연결부(320)를 포함한다.
또한 분기 슬리브 커버(200)는 제1 커버 연결부(310)와 연결되는 제1 분기 슬리브 커버(210)와 제2 커버 연결부(320)와 연결되는 제2 분기 슬리브 커버(220)를 포함한다.
또한, 분기 슬리브 커버(200)는 커버 연결부(300)가 연결된 단부와 반대측 단부, 즉 분기선이 외부로 돌출되는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분기선 결합부(230)를 포함한다.
이때, 분기선 결합부(230)는 본선 결합부(130)와 마찬가지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기선 결합부(230)는, 분기 슬리브 커버(200)가 닫힌 상태에서 분기선(C2)을 완전히 감쌀 수 있는 만큼의 내경을 가진다.
또한, 분기선 결합부(230)는 본선 결합부(130)와 마찬가지로 톱니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함몰된 형상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오목부가 맞물려 상기 분기선(C2)과 결합될 수 있다.
분기선 결합부(230)가 실리콘 재질을 가지고 분기선(C1)과 완전히 맞물려 결합함에 따라 분기 슬리브 커버(200)와 분기선(C2)이 결합되는 부위의 테이핑 작업 또한 불필요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클램프 커버(100), 커버 연결부(300) 및 분기 슬리브 커버(200)는 일체로서 열리고 닫히는 동작을 한다. 다시 말해, 클램프 커버(100)가 클램프 커버 결합부(P1)를 기준으로 열리고 닫히는 동작을 할 때, 제1 클램프 커버(110), 제1 커버 연결부(310) 및 제1 분기 슬리브 커버(210)가 함께 움직이고, 제2 클램프 커버(120), 제2 커버 연결부(320) 및 제2 분기 슬리브 커버(220)가 함께 움직이면서 열리고 닫히는 동작을 한다.
한편, 커버 연결부(300)는 원통형의 지름방향 외측으로 볼록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주름형 관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커버 연결부(300)의 길이 및 커버 연결부(300)의 각도는 플렉서블하게 가변 가능하고, 커버 연결부(300)의 길이와 각도가 가변되면서 분기 슬리브 커버(200)가 클램프 커버(100)와 이루는 각도 또한 플렉서블하게 가변될 수 있다.
즉, 주름형 형상을 가지는 커버 연결부(300)에 의해, 분기선(C2)의 쳐짐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분기선(C2)이 분기 슬리브 커버(200)를 벗어나지 않도록 분기선(C2)이 쳐지면서 움직이는 것과 동시에 분기 슬리브 커버(200)가 함께 움직이면서, 분기선(C2)과 분기 슬리브 커버(200)의 각도가 틀어지는 만큼 보상해 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1000)는 제1 클램프 커버(110)와 제2 클램프 커버(120)를 절개선(L1)에서 마주보고 포개어진 상태로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잠금레버(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클램프 커버(100)가 닫힌 상태에서 어떻게 고정되는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잠금레버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5 및 도 6은 각각 잠금레버에 의해 제1 클램프 커버와 제2 클램프 커버가 고정 연결된 상태와 고정 연결된 상태에서 해제되어 분리 가능해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먼저 참고하면, 제1 클램프 커버(110)는 제1 클램프 커버(11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제1 클램프 커버(1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고정부(111)를 포함하고, 제2 클램프 커버(120)는 제2 클램프 커버(12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제2 클램프 커버(1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 고정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부(111)에는 제1 고정부(111)의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제1 고정못(112)을 포함하고, 제2 고정부(121)에는 제2 고정부(121)의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제2 고정못(1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정못(112)과 제2 고정못(122)은 클램프 커버(100)의 절개선(L1)을 기준으로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상이다.
다음으로 도 4를 참고하여 잠금레버(400)의 구조를 설명한다.
잠금레버(400)에는 제2 고정못(122)에 연결되는 잠금홀(410)과 제1 고정못(112)에 연결되는 고정홀(430)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잠금레버(4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는 제1 클램프 커버(110)와 제2 클램프 커버(120)를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작업홀(420a, 420b)이 마련되어 있다.
잠금레버(400)는, 고정홀(430)이 제1 고정못(112)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1 고정못(112)을 축으로 하여 잠금레버(400)가 회전할 수 있다.
잠금홀(410)은 제2 고정못(122)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데, 도 5와 도 6을 참고하면, 고정홀(430)이 제1 고정못(112)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클램프 커버(100)를 절개선(L1)에서 포개어 놓고 잠금홀(410)과 가까운 작업홀(420a)에 작업도구를 끼워 당기면 잠금홀(410)이 제2 고정못(122)에 결합되어 클램프 커버(100)가 고정 연결(잠금 상태) 된다.
반대로, 클램프 커버(100)가 고정 연결된 상태에서 고정홀(430)과 가까운 작업홀(4200b)에 작업도구를 끼워 당기면 잠금홀(410)과 제2 고정못(122)의 결합이 해제되어 클램프 커버(100)의 고정 연결이 해제(열림 상태)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1000)는 잠금레버(400)에 마련된 작업홀(420a, 420b)에 작업도구를 끼워 당기는 방식으로 클램프 커버(100)를 잠그거나 열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작업할 필요가 없어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분기 슬리브 커버(200)가 닫힌 상태에서 어떻게 고정되는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1000)는 제1 분기 슬리브 커버(210)와 제2 분기 슬리브 커버(220)를 포개어진 상태로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잠금링(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잠금링이 분기 슬리브 커버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잠금링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잠금링(500)은 원통형이며, 잠금링(500)에는 잠금링(500)의 외주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작업고리(510)와, 분기 슬리브 커버(200)에 연결되기 위한 힌지 연결부(53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잠금링(500)은, 잠금링(500)의 원통형 형상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체결홈이 가공되어 있다.
한편, 잠금링(500)에 의한 제1 분기 슬리브 커버(210)와 제2 분기 슬리브 커버(220)의 고정 결합을 위해, 제1 분기 슬리브 커버(210)에는 잠금링(500)의 힌지 연결부(530)와 연결되는 힌지(211)가 마련되어 있고, 힌지(211)가 마련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는 제1 분기 슬리브 커버(210)와 제2 분기 슬리브 커버(220)의 연결시 잠금링(500)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스토퍼(212)가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212)는 제1 분기 슬리브 커버(210)의 외주면의 외측방향으로 수직하게 소정의 길이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잠금링(500)이 제1 분기 슬리브 커버(210)와 제2 분기 슬리브 커버(220)를 고정 연결하여 잠그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7과 같이 잠금링(500)이 위치한 상태에서 잠금고리(510)에 작업도구를 끼워 잡아당기면 체결홈이 벌어진다. 잠금고리를 잡아당기면서 잠금링(500)을 힌지(211)를 축으로 하여 제1 분기 슬리브 커버(210)를 감싸도록 회전시키면 제1 분기 슬리브 커버(210)와 제2 분기 슬리브 커버(220)를 완전히 감싸면서 제1 분기 슬리브 커버(210)와 제2 분기 슬리브 커버(220)가 고정 결합된다(잠금 상태).
반대로, 제1 분기 슬리브 커버(210)와 제2 분기 슬리브 커버(220)가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잠금고리를 당기면 체결홈이 벌어지면서 제1 분기 슬리브 커버(210) 및 제2 분기 슬리브 커버(220)의 고정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열림 상태).
앞서 잠금레버(400)와 마찬가지로, 잠금링(500)에 마련된 작업고리(510)에 작업도구를 끼워 당기는 방식으로 분기 슬리브 커버(200)를 잠그거나 열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작업할 필요가 없어 간접활선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스토퍼(212)에 의해 잠금링(500)이 제1 분기 슬리브 커버(210)와 제2 분기 슬리브 커버(220)를 고정 결합할 때 잠금링(500)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아울러, 잠금링(500)에는 잠금고리(510)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의 잠금링(500)의 내주면에 상기 내주면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잠금링 고정부(52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는, 제2 분기 슬리브 커버(220)에 상기 잠금링 고정부(520)의 돌출된 깊이와 대응되는 깊이의 고정홈(22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221)은 제1 분기 슬리브 커버(210)와 제2 분기 슬리브 커버(220)가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잠금링 고정부(520)와 마주보게 될 위치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제1 분기 슬리브 커버(210)와 제2 분기 슬리브 커버(220)를 고정 결합하면서 상기 고정홈(221)에 상기 잠금링 고정부(520)가 끼워져 제1 분기 슬리브 커버(210)와 제2 분기 슬리브 커버(220)가 더 견고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의 작업완료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1000)에 현수애자(10), 데드엔드 클램프(20), 분기 슬리브(30), 본선(C1) 및 분기선(C2)이 까지 결합되어 작업완료된 모습이 나타나 있다. 이때, 현수애자(10)가 결합되는 일측에서 현수애자(10)의 스커트 한 개소가 클램프 커버(100) 내부에 삽입되는 형상으로 결합되는데 이는 현수애자(10)가 결합되는 부위에서 금속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현수애자(10)가 결합되지 않는 타측에서는 전선의 본선(C1)이 클램프 커버(100)의 실리콘 재질의 본선 결합부(130)에 직접 접속되어 있으며, 본 발명인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1000)는 분기 슬리브 커버(200)와 클램프 커버(100) 일체형으로서 분기선 접속부인 분기 슬리브(30)까지 한번에 감싸 보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프 커버와 분기 슬리브 커버(2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커버로 분기선의 접속부까지 커버가 가능하며, 각 커버를 따로 시공하는 것에 비해 작업 공수 및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프 커버의 본선 결합부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본선이 클램프 커버에 직접 접속될 수 있고, 따라서 본선과 클램프 커버가 결합되는 부위의 테이핑 작업이 불필요한 바, 테이핑 작업에 소요되는 작업 공수 및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프 커버와 분기 슬리브 커버 사이의 커버 연결부가 주름형으로 형성되어 클램프 커버와 분기 슬리브 커버 사이의 각도 틀어짐 현상이 발생시 커버 연결부의 길이 및 각도가 가변되어 각도 틀어짐 현상을 보상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
100: 클램프 커버
110: 제1 클램프 커버
111: 제1 고정부
112: 제1 고정못
120: 제2 클램프 커버
121: 제2 고정부
122: 제2 고정못
P1: 클램프 커버 결합부
L1: 절개선
130: 본선 결합부
200: 분기 슬리브 커버
210: 제1 분기 슬리브 커버
211: 힌지
212: 스토퍼
220: 제2 분기 슬리브 커버
230: 분기선 결합부
221: 고정홈
300: 커버 연결부
310: 제1 커버 연결부
320: 제2 커버 연결부
400: 잠금레버
410: 잠금홀
420a, 420b: 작업홀
430: 고정홀
500: 잠금링
510: 작업고리
520: 고정부
530: 힌지 연결부
C1: 본선
C2: 분기선

Claims (10)

  1. 현수애자에 연결되는 데드엔드 클램프를 외부에서 감싸는 클램프 커버;
    상기 클램프 커버에 연결되며 분기선이 결합된 분기 슬리브를 외부에서 감싸는 분기 슬리브 커버; 및
    상기 클램프 커버와 상기 분기 슬리브 커버를 중간에서 소정의 각도로 연결하는 커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연결부는 주름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커버 연결부의 길이 및 상기 커버 연결부의 각도가 가변되되,
    상기 클램프 커버는, 상기 클램프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선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제1 클램프 커버 및 상기 절개선을 기준으로 타측에 위치하는 제2 클램프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연결부는, 상기 제1 클램프 커버에 연결되는 제1 커버 연결부와 상기 제2 클램프 커버에 연결되는 제2 커버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기 슬리브 커버는, 상기 제1 커버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분기 슬리브 커버와 상기 제2 커버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 분기 슬리브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클램프 커버는 상기 제1 클램프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클램프 커버는 상기 제2 클램프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부에는 상기 제1 고정부의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제1 고정못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2 고정부에는 상기 제2 고정부의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제2 고정못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클램프 커버와 상기 제2 클램프 커버를 상기 절개선에서 마주보고 포개어진 상태로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잠금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레버는 상기 제1 고정못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고정못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2 고정못이 결합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잠금홀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커버는, 전선의 본선에 결합되는 본선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선 결합부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톱니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함몰된 형상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오목부가 맞물려 상기 본선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는,
    상기 잠금레버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상기 제1 클램프 커버와 상기 제2 클램프 커버를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작업홀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기 슬리브 커버와 상기 제2 분기 슬리브 커버를 포개어진 상태로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잠금링을 더 포함하는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링에는, 상기 잠금링의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분기 슬리브 커버와 상기 제2 분기 슬리브 커버를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작업고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기 슬리브 커버는 상기 잠금링이 결합되는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링은, 상기 잠금링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체결홈이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기 슬리브 커버는,
    상기 제1 분기 슬리브 커버와 상기 제2 분기 슬리브 커버의 연결시 잠금링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스토퍼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
KR1020200069268A 2020-06-08 2020-06-08 전선 접속형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 KR102385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268A KR102385438B1 (ko) 2020-06-08 2020-06-08 전선 접속형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268A KR102385438B1 (ko) 2020-06-08 2020-06-08 전선 접속형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320A KR20210152320A (ko) 2021-12-15
KR102385438B1 true KR102385438B1 (ko) 2022-04-13

Family

ID=78865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268A KR102385438B1 (ko) 2020-06-08 2020-06-08 전선 접속형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4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292B1 (ko) 2007-03-13 2007-05-28 육지영 현수애자 안착형 분기슬리브
KR200453852Y1 (ko) * 2008-09-30 2011-05-30 주식회사 진성테크 클램프 커버
KR101105403B1 (ko) * 2010-09-30 2012-01-17 한국전력공사 주름형 인류 클램프 커버
KR101754811B1 (ko) * 2017-01-16 2017-07-06 제룡산업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JP2020087786A (ja) 2018-11-28 2020-06-04 日立金属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535A (ko) * 1999-06-05 2001-01-05 김봉주 알루미늄 배전선용 인장 클램프 커버
KR200442863Y1 (ko) 2007-02-28 2008-12-17 진 수 김 전선 고정용 클램프 보호커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292B1 (ko) 2007-03-13 2007-05-28 육지영 현수애자 안착형 분기슬리브
KR200453852Y1 (ko) * 2008-09-30 2011-05-30 주식회사 진성테크 클램프 커버
KR101105403B1 (ko) * 2010-09-30 2012-01-17 한국전력공사 주름형 인류 클램프 커버
KR101754811B1 (ko) * 2017-01-16 2017-07-06 제룡산업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JP2020087786A (ja) 2018-11-28 2020-06-04 日立金属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320A (ko) 202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87903B (zh) 电缆夹具组件、分线器及紧固电缆的方法
US4142592A (en) Repairable assembly for protecting a cable junction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4797512A (en) Branch wire protector
JP4306692B2 (ja) ワイヤハーネス分岐部へのプロテクタの外装方法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の分岐構造
CN110233391A (zh) 密封盖套和盖以及由此保护的互连接头
US4694118A (en) Aerial terminal for telecommunication cables
KR102385438B1 (ko) 전선 접속형 데드엔드 클램프 커버
CN114207493B (zh) 户外用现场组装防水光连接器插头及其制造方法
KR20210032098A (ko) 건축용 방호관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0442863Y1 (ko) 전선 고정용 클램프 보호커버
US4737600A (en) Reenterable splice closure method and apparatus
KR101829670B1 (ko)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 덮개
KR200484302Y1 (ko)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JP6481438B2 (ja) 防護用部材支持装置および防護用部材の設置方法
US20200366075A1 (en) Insulator insert for service entrance cap
JP4003892B2 (ja) ジョイントボックスを用いた分岐配線方法
CN104898221A (zh) 一种光缆接头盒及其使用方法
JP2017192234A (ja) 引込み線防護管固定装置、防護管固定装置の引込み線への固定構造、防護管固定装置の固定方法
KR102333474B1 (ko)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JP3236747U (ja) 脱落防止具
KR20200095751A (ko) 전주의 완철밴드용 새둥지 축조방지구
KR20190136747A (ko) 방호관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선 설비, 방호관 결합부를 구비하는 데드엔드 커버
RU2794068C1 (ru) Штекер опт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ителя для наружного водонепроницаемого монтажа на месте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го штекера
US20030019099A1 (en) Electric cable splicing system and method
CN219998666U (zh) 一种新型高压卡点护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